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초등 5, 6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영역 분석 및 지도 방안

        서다영 부산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문화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5종의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문화 내용을 소재별, 유형별, 교수 ‧ 학습 활동 유형별, 배경별로 분석하고, 초등 영어 교사들과 학생들의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과서의 문화 코너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 소재, 유형, 배경, 교수 ․ 학습 활동이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는가? 둘째, 교사와 학생들의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은 어떠한가? 셋째, 영어 교과서의 문화 코너에서 보완되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정된 검정교과서 5종의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있는 문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학생과 교사의 문화에 대한 인식과 흥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과 영어를 가르치고 있거나 가르쳐 본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 B, C, D, E 5종의 영어교과서의 문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A, B, E는 매 단원 뒤에 문화 코너가 있고, 문화 코너의 개수는 각각 14개, 13개, 13개였다. 교과서 D는 매 2단원 뒤에, C는 2~3단원 뒤에 문화 코너가 있으며 문화 코너의 개수는 공통적으로 6개였다. 문화 코너의 분량은 A, B, C, D, E 각각 1쪽, 1/2쪽, 1/3쪽, 1/2쪽, 1/2쪽으로 1쪽을 넘어가는 교과서는 없었다. 이처럼, 문화 코너가 차지하는 비중 분석을 통해 각 교과서에서 문화 교육을 전담하는 차시의 비중이 적고 언어기능 학습에 부수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내의 문화 내용을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언어 소재로 분석해 본 결과,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소재는 ‘8.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이해하는 내용’으로, 62.5%의 비율을 보였다.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것은 ‘9.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에 관한 내용’에 관한 것으로 전체 소재의 21.2%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7. 영어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내용’이 6.7%를 차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10. 우리 문화와 생활양식을 소개하는 내용’은 한 단원에서도 소개되지 않았다. 셋째, 검정교과서 5종의 영어 교과서 내의 문화 내용을 문화 유형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교생활’, ‘사회생활’, ‘법과 규범’ 등의 행동문화가 45.2%를 차지하였고,��문물 · 풍경’,��의식주��등의 물질문화가 39.4%,��언어’,��인물’, ‘문학 · 예술’ 등의 정신문화가 15.4%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검정교과서 5종의 문화 교수 · 학습활동의 유형별 분석 결과, 5종의 교과서 모두 ‘1. 단편정보 기술 · 설명’, ‘2. 사진 · 그림’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사의 설명 이외에 학생 스스로 문화학습을 심화하는 방법으로 ‘5. 말하기 · 대화 연습’이나 ‘8. 탐구 · 조사 · 발표’ 활동이 주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교과서에 ‘~에 대해 말해봅시다.’ 또는 ‘~에 대해 조사해봅시다.’ 와 같이 한 줄 정도의 지시문으로 제시될 뿐 지도서를 통한 자세한 활동 예시나 안내는 없었다. 그 밖에 ‘4. 게임’, ‘6. 노래 · 춤 · 챈트’, ‘7. 역할놀이 ․ 드라마’를 이용한 문화 교수 · 학습활동이 2종의 교과서에서 나타났으나 그 횟수가 1회 뿐이었고, ‘10. 토론’ 활동을 제시한 교과서는 전혀 없었다. 다섯째, 교과서의 내용을 문화 배경별로 분석해 본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지역은 영어권 국가로 전체 96회, 30.3%의 비율을 보였다. 영어권 국가 내에서의 비율을 살펴보면 미국이 45%로 가장 높았고, 영국 · 아일랜드, 호주 · 뉴질랜드, 캐나다의 순이었다. 영어권 국가 다음으로 제시 빈도수가 많은 지역은 28.4% 비율로 나타난 유럽이었고, 뒤이어 우리나라가 속해있는 아시아 대륙이 17%의 비율을 보였다. 아시아 대륙 가운데서도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북아시아 국가인 중국, 일본 등의 제시 빈도가 높았고 인도, 태국 등이 속한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의 순으로 제시되었다. 이밖에 중남미와 아프리카 국가는 5%이내의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과 교사들의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원하는 문화 교육의 방향을 조사해 본 결과,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수준이 높고 문화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 또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문화학습 현황과 문화 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교사들은 영어교육에 있어 문화 지도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나 교과서의 문화 교육 내용 및 자료 부족으로 인해 멀티미디어나 개인적인 경험에 의존하여 간헐적으로 문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내 문화 학습내용을 늘리고 실질적인 활동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언어기능을 학습하는 것과 동등하게 문화 학습 차시를 확보하고, 문화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시청각 자료, 붙임자료 등을 제시하여 문화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 문화 내용을 균형적으로 소개해야 한다. 학생들이 다양한 면에서 문화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교과서의 문화 코너에 문화 소재와 유형, 배경이 골고루 제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하고 체계적인 문화 교수 · 학습활동을 개발하여 교과서에 제시해야 한다. 일부 활동에 치중된 5,6학년 교과서의 문화 교수 · 학습활동 유형을 다양화 하고, 단순 지식의 전달 및 정보제공 방식의 교과서 구성을 구체적인 탐구 ․ 심화활동을 이끄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생들이 문화 교육에 관심을 가지도록 영어 문화 학습 교재 및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최신의 영어 문화 교육 자료 및 문화 관련 연수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영화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을 활용한 영어수업 연구 : 3학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설미 부산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영화 Inside Out을 3학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분석하고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수업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이 수업 모델이 학생들에게 영어에 대한 정의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화 Inside Out을 활용하여 가르칠 수 있는 3학년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은 무엇이 있는가? 둘째, 영화 Inside Out에서 의사소통 기능과 함께 가르칠 수 있는 관련 어휘와 발음지도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셋째, 영화 Inside Out에서 드러나는 문화적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넷째, 영화 Inside Out을 3학년 수업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다섯째, 영화 Inside Out을 활용한 수업 후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영화 Inside Out과 함께 3학년 교육과정 및 A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해당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의사소통기능, 어휘, 발음지도, 문화교육 부분을 중심으로 영화를 수업에 활용할 방안을 분석하였다. 수업모델 적용 대상 학생은 창원시 소재 J 초등학교 3학년 28명이다. 분석 및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의사소통기능을 분석한다. 둘째, 교과서의 의사소통기능과 연관하여 가르칠 수 있는 장면을 선택한다. 셋째, 선택한 장면에서 함께 가르칠 수 있는 어휘, 발음지도, 문화적 요소를 분석한다. 넷째,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상한다. 다섯째, 실제로 적용한 후 학생들의 정의적 변화를 설문조사와 소감문을 통해 분석한다. 분석 결과 3학년 A 교과서는 14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원별 2가지의 의사소통 기능을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의사소통 기능과 연계하여 단원별로 10개 내외의 새로운 어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목표 언어를 제시하는 상황이 학생들이 흔히 겪는 상황이 아닌 어색한 상황이거나 흥미를 끌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발음을 명시적으로 지도하는 부분이 없었다. 문화교육은 단원별로 마지막 차시에 따로 코너를 마련하여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는데, 영어권 문화 뿐 아니라 여러 나라의 문화를 골고루 소개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A교과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10차시 분량의 수업모델을 구상하였다. 수업 전 실시한 사전 설문조사에서 대상 학생들은 영어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영어를 사용하는 상황을 만나는 것에는 다소 두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차시의 수업을 한 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영화를 통한 영어수업을 하고 나서 다른 나라의 문화와 영어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는 의견과 유용한 표현을 많이 배웠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영화를 활용한 영어수업과 수업에 활용된 활동들이 재미있었다는 응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영화를 활용한 영어수업은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고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영화를 활용한 영어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정착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수업모델의 개발과 실천사례의 공유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ie Inside Out and third-grade English textbook and to provide English lesson plans using the movie. The following five research problems are defined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the study. 1. What are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at can be taught using the movie Inside Out? 2. What are the vocabularies and phonological factors that can be taught using the movie Inside Out? 3. What are the cultural elements that can be taught using the movie Inside Out? 4. How can teachers teach English to third-grade students using the movie Inside Out? 5. How does the lesson using the movie Inside Out affects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The subjects were the movie Inside Out and third-grade textbook A. After analyzing communicative functions, vocabularies, phonological factors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movie and the textbook, lesson plans of ten hours using the movie were designed. A pre-surve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wenty eight third-grade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A post-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students learned English by the lesson plan to recognize the change of their attitude to English.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student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However, many of them were afraid of being in real English speaking situations. After the English class using the movie "Inside Out," they answered that they learned useful expressions and cultural elements from the lesson. Many students stated that the class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interes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urther researches about teaching models using movies should be conducted.

      • 교내 영어능력 성취 평가 문항 분석

        권민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59

        본 연구는 교사의 영어 평가도구 제작 전문성과 교내에서 자체적으로 구성하는 영어 능력 평가도구 제작에 대한 방향성에 시사를 얻기 위하여 교사가 교육과정에서 제공하는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제작한 교내 영어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과 시도 교육청에서 제작한 영어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을 분석하였다. 교사가 교내에서 직접 제작한 영어 학업성취도 평가도구와 시도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영어 학업성취도 평가도구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교내에서 자체 제작하는 영어 능력 평가의 방향과 교사의 평가도구 제작 전문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1개 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들이며 학년말에 실시한 교내 학업성취도 평가 영어 문항과 2012년 울산광역시교육청에서 제작한 광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영어 문항을 평가 도구로 사용하였다.이 두 평가 문항이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언어기능별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성취기준을 충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문항 분석을 통해 평가 문항이 얼마나 양호하게 제작되고 있는지를 진단하였다. 성취기준 충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평가 문항이 성취기준에서 제시하는 언어기능별 비율과 일치하는지, 44개 성취기준을 다루었는가 하는 구성을 살펴보았으며, 문항 분석을 위해서는 각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기초로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및 문항반응분포를 통한 오답 매력도를 분석하였고, 아울러 상위권 학생과 하위권 학생의 수와 학생들의 점수분포를 살펴보았다. 이 두 평가 문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광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와 교내 학업성취도평가 모두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성취기준의 언어기능별 비율과 맞지 않아 이를 고려하여 문항 출제를 해야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는 총 44개 성취기준 중 7개만을 사용하여 교내 학업성취도평가는 총 44개의 성취기준 중 10개를 사용하여 문항을 출제하였고, 특히 몇 몇개의 성취기준에서 많은 문항을 출제하여 편향된 출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난이도는 광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의 평균 난이도가 .745로, 교내 학업성취도평가의 평균 난이도는 .893으로 교내 학업성취도평가가 광역 수준 평가에 비해 쉬운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교내 학업성취도평가에서는 어려운 문항이 한 문항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변별도는 광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는 변별력이 높은 문항이 60%, 변별력이 있는 문항이 20%를 차지한데 비하여, 교내 학업성취도평가에서는 변별력이 높은 문항 40%를 제외하고는 60%의 문항이 변별력이 낮거나 없는 문항으로 나타났다. 문항반응분포를 보면 광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는 5개의 답지 중 15%의 문항은 한 개의 답지에 한 명의 학생도 응답하지 않은 4지선다가 되는 문항이 있었던 것에 반해 교내 학업성취도평가에서는 5개의 답지에 모두 응답한 문항이 46.7%밖에 되지 않았다. 광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는 하위 27%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숫자가 3명 많은데 반하여, 교내 학업성취도평가에서는 상위 27% 집단에 해당하는 학생의 숫자가 11명 많다. 학생들의 점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에서도 교내 학업성취도평가가 상위권 점수에서 지나치게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 애니메이션 영화와 역할극이 한국 초등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중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교수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그 일환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와 역할극을 활용해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 문제를 실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애니메이션 영화와 역할극은 초등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애니메이션 영화와 역할극은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 학습태도, 문화이해 등의 정의적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애니메이션 영화라는 매체를 선택한 이유는 먼저, 애니메이션 영화가 학습자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함께 제공하기 때문이다. 즉, 학습자들은 애니메이션 영화를 보면서 영어공부를 한다는 생각보다는 애니메이션 영화를 통해서 영어를 즐기는 것이다. 애니메이션 영화는 주로 일상생활 영어를 바탕으로 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영어 초급자가 이해하고 따라 말하기에 적합한 매체이자 도구가 될 것이다. 또한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종종 영어권 문화가 자연스럽게 잘 녹아있어서 학습자들이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쉽게 영어권 문화를 함께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들이 관심이 있는 애니메이션 영화를 선정해서 ‘영상 없이 소리만 듣기’, ‘소리 없이 영상만 보기’, ‘영상과 소리 함께 시청하기’, ‘대사 살펴보기’ 등의 다양한 애니메이션 영화 시청관련 활동을 하였다. 애니메이션 영화 시청 관련 활동 후에는 실질적으로 학습자들이 직접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되어서 영화 속 장면의 대사를 역할극으로 체험해 보는 과정을 더 하였다. 이 때 역할극의 대본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적절한 어휘와 표현들로 재구성하여 작성하였다. 역할극을 진행할 시에는 학생들을 그룹으로 나누어서 역할을 배정하고 각 자의 역할을 모둠원들과 함께 연습하게 한다. 충분한 연습이 된 후에 각 그룹의 학생들은 무대에서 실제로 애니메이션 속에 나오는 대사를 연기해본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듣기 중심의 Input 위주의 영화를 활용한 수업에서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Output 과정을 보완한 영화 활용 수업으로 업그레이드 하여서 진행하였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와 역할극을 적용하기 힘든 현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떻게 하면 이렇게 유용한 학습 자료를 실제 수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였으며 그 해결 방안을 애니메이션 영화와 역할극을 수업에 10분 활용법, 20분 활용법, 40분 활용법 등과 같이 구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구체적인 시간 활용법을 통해서 교사들은 자신들의 상황과 여건에 맞게 애니메이션 영화와 역할극을 활용한 수업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 첫 번째 “애니메이션과 역할극은 초등학생의 영어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란 가설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애니메이션과 역할극은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 학습태도, 문화이해 등의 정의적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라는 두 번째 가설에서 흥미도와 자신감은 유의미한 실험결과를 가져왔고 참여도, 학습태도, 문화이해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일정부분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되어진다. 지금까지 영화, 애니메이션, 역할극을 활용한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실시되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영화면 영화, 역할극이면 역할극 등과 같이 한 부분에 집중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영화만을 활용한 수업의 경우에는 Output 보다는 Input 위주의 수업이 될 가능성이 많고 역할극만을 활용한 수업의 경우는 Input 보다는 Output 위주의 수업이 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애니메이션 영화와 역할극을 함께 활용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듣기 문항분석을 통한 수능듣기평가 개선방안 연구

        박상인 부산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English assessment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has come in a variety of forms. Among them, English sec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started with measuring accurate knowledge of English and gradually advanced to evaluate linguistic fluency, necessitating direct evaluation of grammar, reading and comprehensive listening by implementing verbal language test since 1994. As English plays more important role as major means of education, the necessity of English Test has been also heightened. Students in Korea should learn English and prepare for the CSAT from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through public education. Despite of decades of English study, English education system is regarded as only for preparation the test rather than for communica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s, first, 2004 through 2016 CSAT's English listening question types including both 2014 A Type and B Type in terms of diverse subjects of each questions and suggests appropriate instructions. Second, examines the the relation between the current contents of other official English Test such as TOEIC and TOEFL and listening part of those 10 CSAT test. Third, reviews 10 CSAT questions items, 180 questions thorough 9years. Finally, all questions are classified by the 7th education process and English as a function of communica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presence of listening part of CSAT and directs the way to improve the text.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modification of language education policies that prioritize the English language by looking at how governments and individuals conceptualize and act on global and local expectations I hope that this analysis could be some help to lead those students preparing for CSAT for not only academical improvement of English but also communicational their English.

      • 어휘학습전략이 영어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한국 인문계 고등학생의 사례 분석 중심

        안소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어휘학습에 대한 설문조사, 어휘학습전략 지도를 위한 실험 수업 및 분석을 통해 어휘학습전략이 영어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는 영어 학습에서 어휘의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주로 사용하는 어휘학습전략의 종류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독해능력 수준과 어휘학습전략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학습전략 활용이 독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1, 2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의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1학년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version 22으로 빈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220명의 학생 중, 수준이 비슷한 60명의 학생을 통제집단(30명)과 실험집단(3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수업은 2016년 9월에서 11월까지 총 10주 동안 주2회 20분씩 총 20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은 모두 동일한 어휘교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험집단은 어휘교재를 바탕으로 구성된 어휘학습전략 지도 계획에 맞추어 체계적인 어휘학습이 이루어졌고, 실험 처치 전후로 실시된 독해능력평가 결과를 SPSS version 22으로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과반수가 어휘를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독해를 위하여 지문의 어휘 중 70% 이상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학습자의 인식과는 달리 어휘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요구되는 방대한 어휘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어휘학습전략에 대한 인식 부족과 어휘 학습 시간 부족으로 그 원인이 나타났다. 둘째, Schmitt(1997)의 어휘학습전략 분류를 바탕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등학교 학습자는 다양한 어휘학습전략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억강화전략(2.84)을 의미발견전략(2.69)보다 더 많이 활용하였다. 가장 활용빈도가 높은 전략은 수업시간에 교사의 설명을 필기하며 학습하기로 평균 4.18의 빈도를 나타냈고, 원어민과의 대화를 통한 어휘학습은 평균 1.54로서 가장 낮은 활용도를 보였다. 개방형 질문을 통해 학습자의 자유로운 의견을 취합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휘학습전략과 가장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전략은 모두 반복학습으로 나타났다. 어휘학습전략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별도의 훈련 없이 스스로 학습 가능한 단순 반복을 통한 기계적 학습에 익숙해져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독해능력에 따라 상, 중, 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어휘학습전략의 사용과 독해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 집단은 기억강화전략의 사회전략, 중 집단은 기억강화전략의 상위인지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하 집단은 모든 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10주간의 어휘학습전략 지도에 따른 독해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어휘학습전략 지도는 독해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은 1.10점 상승하였고 통제집단은 1.64점 감소한 평균 수치를 고려할 때, 실험집단의 긍정적인 변화를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어휘학습을 독해지도의 부수적인 영역이나 학습자 개인의 영역으로 여기지 말고 교사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도를 위하여 교사 스스로 어휘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의 교사는 어휘학습전략을 골고루 활용할 수 있는 흥미로운 수업 활동 설계 및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와 더불어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핵심역량인 의사소통역량 증진을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보다 다양하고 실질적인 역량 평가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어휘학습전략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자의 어휘력 및 독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 세계화 시대 한국경찰의 영어교육 실태와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임완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91

        논 문 요 약 세계화 시대 한국경찰의 영어 교육 실태와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Recognition of Necessity of English Education in the Korean Police 임 완 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실용영어학과 (지도교수 박 윤 주) 21세기 세계화 시대 그 필요성과 유용성 측면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세계인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영어’를 상호 소통을 위한 ‘공용어’로 사용해오고 있다. 무엇보다도 인터넷 기타 온라인 사이트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가히 절대적이다. 세계화 현상은 또한 인적・물적 교류의 급격한 확대로 인해 치안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달라진 치안환경에 대응하는 치안당국으로 하여금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세계 모든 나라의 경찰은 자국민뿐만 아니라 자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안전까지도 보호 하고 살펴야 하는 새로운 치안부담을 안고 있다. 이 같은 현실을 모두 고려해 볼 때, 21세기 달라진 치안환경에 대응하는 한국경찰도 세계인들이 ‘소통의 도구로 사용하는 영어’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치안역량의 한 요소로 평가하고 접근할 때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배경에서 영어교육학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치안역량의 한 척도로서 우선 달라진 치안환경에 대응하는 한국경찰의 영어교육 지원 실태와 일선 치안현장에서 근무하는 현장 경찰관들이 느끼는 영어교육 필요성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나아가 현장 경찰관들의 의견과 반응을 토대로 한국경찰의 영어교육 활성화 및 영어 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바람직한 대안을 조명해보고자 했다. 연구자는 우선 한국 경찰이 지난 30여 년 동안 일선 치안현장에서 근무하는 경찰관들의 영어실력 향상을 위해 시행해온 제도적 지원 실태 전반에 대한 연구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경찰 선발시험에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과 선발 이후 경찰교육기관에서 경찰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영어교육 현황, 외사경찰, 관광경찰 등 외국인 전담 경찰에 대한 영어 학습 지원 실태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한국경찰은 78년부터 99년까지 승진시험에 영어, 일본어 등 7개 외국어를 선택 과목으로 지정해왔을 뿐만 아니라, 일부 경찰청사 내에서 영어, 일어 등 외국어 강좌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세계화가 시작되기 오래 전인 1970년대 후반부터 소속 경찰관들의 외국어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도적으로 지원을 강화해왔다. 그러나 2000년 5월 ‘경찰공무원승진임용시행규칙’을 개정, 승진시험에서 외국어 과목을 삭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경찰청사에서 운영해오던 외국어 강좌 프로그램과 경찰종합학교에서 실시해오던 외국어 직무과정을 잇달아 폐지하는 등 사실상 세계화가 본격화되던 2000년대 초기부터 외국어 교육 지원체계는 급격히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현재 경찰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기타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육기관은 경찰대학이 유일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대학에서 재학생과 일부 전문화과정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외국어 교육을 실시해오고 있을 뿐 여타 경찰교육기관의 경우 현직 경찰관들에 대한 외국어 교육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경찰 선발시험에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영어과목이 시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경찰관 선발 이후에는 영어 기타 외국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전혀 제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한국경찰의 외국어 학습 지원체계는 세계화 흐름에 반하여 계속 약화되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이 같은 연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현직 경찰관(36명)들을 대상으로 전화 면담과 회고록 수집 및 분석 방식을 통해 세계화 시대 한국경찰의 영어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영어 능력 향상에 필요한 효율적인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참여한 경찰관 대다수의 경우 첫째, 세계화 시대 소통에 필요한 공용어로서 영어 교육의 중요성과 현장 경찰에 대한 영어 학습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하여 공통된 인식을 드러냈다. 둘째, 잦은 근무교대와 현장출동 등 경찰의 근무여건이 특수한 점을 고려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개발, 경찰 교육포털에 제공하고 이수자에게는 학습시간으로 인정해 줄 것을 희망하는 등 다양한 실용적인 대안들을 제시했다. 셋째, 학습한 내용을 치안 현장에서 쉽게 적용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경찰실무를 최대한 반영한 현장 경찰을 위한 일종의 경찰 특수목적 영어인 ‘경찰 실무영어 학습 콘텐츠’ 개발 및 지원방안을 가장 바람직한 대안으로 제시했다. ※ 주제어: 한국경찰의 영어교육, 경찰교육기관 영어교육 현황, 한국경찰의 영어교육 필요성, 경찰의 영어 학습지원, 경찰 특수목적 영어, 경찰 실무영어 콘텐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