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태복음에 나타난 산상설교 연구

        최운천 호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3263

        본 연구에서는 마태복음의 삶의 자리에서 산상설교는 새 계약의 공동체인 마태공동체에게 어떤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있었는지, 산상설교(마 5-7장)의 내용을 주석하여 산상설교에 나타난 신학과 메시지를 고찰함으로 믿음과 행함, 복음과 율법의 역동적 통일성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마태복음의 삶의 자리와 집필동기를 살펴봄으로 마태복음에서의 산상설교의 위치와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태공동체는 안팎으로 어려움을 당하고 있었다. 내부적으로는 유대전쟁 이후 유대교 회당과의 갈등으로 새로운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 또한 엄격한 유대교적, 율법주의적 기독교인의 입장을 내세운 이방 기독교인들 가운데 극단적인 반율법주의가 있는 반면, ‘일점 일획’을 강조하는 극단적인 율법주의자들의 갈등이 있었다. 거기에 이방 선교에 대한 문제는 마태공동체를 더욱 혼란스럽게 하였다. Ⅲ장에서는 본문을 주석함으로 마태복음에 위치한 산상설교의 내용을 자세히 개괄하였다. 새로운 가르침으로써의 산상설교는 예수의 천국의 은혜를 체험한 자, 이미 천국 시민이 된 자가 미래의 천국을 바라보면서 지키게 되고 또 지켜야 하는 윤리이다. 예수는 율법을 폐하러 오신 분이 아닌 율법을 완전케 하러 오셨다. 즉 율법의 요청을 폐기하러 오신 것이 아니라 율법의 효력을 불가침적인 것으로 선언하고 또 제자들에게 율법의 요청을 무제한적으로 따르도록 가르치기 위해 오셨다. 그럼으로 제자들은 ‘더 나은 의’를 실천해야만 했다. Ⅳ장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산상설교에 나타난 신학과 메시지를 고찰하였다. 새 이스라엘을 위한 복음으로서의 율법의 수여자이신 예수는 모세와 비견되면서 마태공동체에 새로운 율법을 제시한다. 마태는 새로운 율법, 그리고 더 나은 율법, 완전한 율법을 선포하신 제 2의 모세로 예수를 묘사하고 있다. 새 계약의 공동체인 이스라엘에는 그에 합당한 새 율법과 새로운 규범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산상설교이다. 마태공동체의 제자들은 예수의 은혜로운 부름을 통하여 하나님의 아들들이 되고 그의 형제들이 되며 하나님의 왕권적인 지배의 영역 안으로 들어간 자들이다. 이러한 은혜로운 부름에 응답한 제자들은 그들의 삶에 ‘더 나은 의’를 드러내며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Sermon on the Mount in the Gospel of Matthew Un Cheon Choi Department of Theology, The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Hoseo University Cheon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ng Won Suh, Ph. D.) This dissertation makes a study of the essence of Jesus' gospel and parables through a Sermon on the Mount that is the core of gospel in the first gospel of Matthew as a bridge between the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Especially, it is to study the message and the theology of Mt. chp. 5-7 in the gospel of Matthew. The introduction In the chapter one shows the direction of this dissertation. The chapter Two is to analyze a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Sermon on the Mount in the whole structure of Matthew. The chapter three show the teaching and the message of Jesus in a Sermon on the Mount with its exegesis. In chapter four we will look into faith and deeds, a dynamic unity of gospel and law, identity of Matthew community as new covenant community, Jesus of the new giver of torah for new Israel in the Sermon on the Mount The chapter five come to a conclus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role of the Sermon on the Mount as a new life ethics for modern christian of various biblical contemporary deeds in our modern society. The teaching of a Sermon on the Mount is for the believers in christianity, and the teaching of a Sermon on the Mount in society will be taught after keeping the faith. In the Gospel of Matthew, the first sermon of Jesus. It is a central expression of his teachings regarding the new age he has come to proclaim. Jesus tells his followers that he expects them to be even more generous than the Mosaic law requires: “Be ye perfect,” he says, “even as your Father which is in heaven is perfect.” Biblical collection of religious teachings and ethical sayings attributed to Jesus, as reported in the Gospel of Matthew. The sermon was addressed to disciples and a large crowd of listeners to guide them in a life of discipline based on a new law of love, even of enemies, as opposed to the old law of retribution. It is the source of many familiar Christian homilies and oft-quoted passages from the Bible, including the Beatitudes and the Lord's Prayer. The sermon must be regarded as a blueprint for Christian life.

      • 예수의 "하나님 아들" 기독론 연구 : 마가복음 기적사화를 중심으로

        김호민 호서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33247

        This dissertation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Son of God Christology found throughout miracle narratives in Mark's Gospel. The eighteen texts of the miracle narratives in Mark's Gospel show Jesus as a victor, the Son of God, and the one spreading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Thirty percent of the Gospel deals with the miracle narratives. Though it consists of the least sixteen chapters among the Gospels, Mark's Gospel records the most eighteen miracle narratives. These narratives are divided into nature, healing and exorcism, and five loaves and two fish narratives. We investigated each text of the narratives through the exegesis using the method of literal criticism. In addition, we studied the social state of those days when the Gospel was written and the narrator's purpose and thought, etc. by using social rhetorical methodology. Mark's Gospel mainly describes Jesus as the Son of God. The beginning section of the Gospel starts with saying "The beginning of the gospel about Jesus Christ, the Son of God"(NIV). Moreover, Jesus is called the Son of God here and there in the Gospel. In the miracle narratives, those who accepted the miracles confessed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and even demons admitted it. The healing and exorcism miracle narratives show Jesus is a victor. The figures of Jesus conquering diseases and Satan present those of a victor conquering the passion and the death on the cross, which differ from the appearance of political military Messiah his disciples anticipated. Mark represents the glorious victory through the passion of the Christian community. Jesus is also depicted as the proclaimer of the Gospel imparting the kingdom of God in these miracle narratives. He proclaimed the kingdom of God through the eighteen miracles. He chose doing miracles as one of the methods to proclaim the kingdom of God, which gives one message to us living in the present. We his disciples in the present must focus all our attention on proclaiming the kingdom of God and making all efforts to save people as Jesus did. In conclusion, Jesus was found as the Son of God, rather than the son of man, who always spread the gospel in Mark's Gospel. Affirming Jesus is the Son of God through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our generation must pay attention to the same concerns as Jesus had around 2000 years ago.

      • 마가복음서의 “항해 이야기” : 서사 비평적 분석과 설교 모델

        홍승표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247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teachings of Jesus by first focusing on three so called “Voyage Story,”the texts that contain specific themes among the six voyage accounts. The study uses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the narrative and structural perspectives which must be applied into entire Gospel of Mark. So, the study digs out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three voyage texts and tries to present a sermon model by using the outcome of this dissertation. Also, this is an attempt to connect biblical studies and homiletics. By doing so, it is intended to assert that biblical studies should not remain only as biblical studies, but also become a study that serves the field of ministry, and that homiletic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biblical studies. The true meaning of the Bible will be delivered when biblical studies and homiletics are connected. The Gospel of Mark is a divine work composed of six lake-travel stories. It is the story of the journey of Jesus from his hometown of Nazareth in Galilee (1:9) to the temple of Jerusalem (11:1). Two important motifs in Jesus' journey is 'sailing' and ‘the road'. The voyage story appears from 4:35 when Jesus cross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ke to 8:21 when he arrives at Bethsaida. On the other hand, the story of the road is concentrated from Mk8:22, the end of voyages to 10:52, the entering into Jerusalem. In the voyage section (4:35-8:21), the disciples' misunderstandings and failures form the central them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Mark's literary construction of this sea journey becomes a key literary element leading the plot of Mark's Gospel. The voyage story reveals the divine identity of Jesus Christ. Also, the voyage becomes a special teaching opportunity for ignorant disciples. A seashore exorcism and healing miracles follow the voyage stories (5:1-20; 6:53-56; 8:22-26). Jesus' intentions to go to foreign lands are repeatedly thwarted by the menace of the sea and the misunderstandings of his disciples. If the voyage is Jesus' persistent effort to go to the eastern side of the sea, the sea and the disciples' ignorance function as an obstacle that blocks it. The voyages are closely and developmentally related to each other. The first voyage (4:35-41) serves as an example for the disciples' new journey (6:45-52). Mark 5:13 foreshadows how confusing and tiring the next voyage will be (6:48). The failure of the fourth voyage leads to a promise of a new journey (8:13-31). Mark spends the middle part of the Gospels as 'the Voyage' (4:35-41; 5:1, 21; 6:45-53; 8:10, 13-21) and 'the Discourse of the Bread' (5:21-43; 6 :34-44; 7:1-22, 23-20; 8:1-9, 13-21). In the fourth voyage (6:45-52), the two literary motifs show a parasol joining each other (especially v. 52). In the last voyage, the motif of the voyage is finally fully incorporated into the discourse of bread. Later, Mark closes the Gospel by completing the symbolism of the bread and the theology of the body (14:3-9, 17-25, 36).

      • 로마공동체의 내부 갈등과 이스라엘의 구원 : 로마서 11장 25-32절을 중심으로

        이대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247

        롬 11:25-32에 대한 연구는 이스라엘의 개념 즉 이스라엘이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이루어진 크리스천 공동체를 가리키는 지 아니면 역사적 이스라엘을 가리키는 지에 대한 논의와, 이스라엘의 구원 방법 즉 이스라엘의 구원이 기독론적 방법을 통한 구원인지 하나님의 언약에 의한 구원인지에 대한 논의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로마공동체의 상황과 바울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본문을 통해서 바울이 로마공동체에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이끌어내지 못했다. 이에 비해 로마공동체의 상황과 바울의 상황을 고려한, 로마서 9-11장에 대한 서중석의 연구는 롬 11:25-32의 사회학적 논의의 출발점이 된다. 본 단락에 담긴 바울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로마공동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로마공동체는 회당을 중심으로 유대인 크리스천들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그러나 주후 49년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유대인 추방령 이후 로마공동체의 주도권은 이방인 크리스천들에게 넘어갔다. 유대인 크리스천들의 귀환 후 주도권이 이방인 크리스천에게로 넘어간 로마공동체는 갈등 국면에 접어들게 된다. 그 갈등의 항목들은 음식법, 리더십, 유대인 크리스천들의 도덕성 등에 관련된 것들이다. 바울은 로마공동체의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마공동체의 정체성과 회원자격을 새롭게 규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로마공동체의 기존 정체성은 '의'였다. 로마공동체는 '의의 공동체'였고, 회원자격은 '믿음'이었다. 그러나 바울은 롬10:10에서 로마공동체의 정체성을 '구원'으로, 회원자격을 '공개적 고백'으로 새롭게 설정한다. 바울은 정체성과 회원자격을 새롭게 설정한 후 롬 11:25-32 단락에서 모든 이스라엘이 '구원'받을 것을 언급한다. 이는 곧 모든 유대인들이 로마공동체의 회원일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 회원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렇듯 롬 11:25-32은 바울이 단순히 이스라엘의 실질적인 구원을 언급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단락이라기보다는, 이스라엘의 구원을 통해서 로마공동체 내의 유대인 크리스천들을 지원하고 있는 단락이다. 바울은 본문의 유대인 변호를 통하여 자신의 예루살렘 방문에 로마공동체 유대인 크리스천들의 지원을 유도하고, 로마공동체를 스페인 선교의 거점으로 삼으려는 이중목적을 추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tention of Paul in Rom 11:25-32. The studies on Rom 11:25-32 have focused on two things; first, the concept of Israel -Is Israel composed of the Jewish and Gentiles or the Jewish only?-, second, the method of salvation - Can Israel get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or God's Covenants?-. However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s of Roman Community and Paul, these investigations could not extract the intention of Paul to Roman Community from this paragraph. Otherwise the study of Joong S. Suh on Rom chap. 9-11 in which the situations of Roman Community and Paul is well reflected can be a starting point of sociological investigation on Rom 11:25-32. In order to clarify Paul's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Roman Community first. Roman Community was founded on the basis of synagogues by Jewish Christians. However, since the edict of Claudius in AD 49 was declared to expel the Jewish from Rome, the leadership of Roman Community was alienated from the Jewish christians to the Gentile christian. When the Jewish christians returned to Rome, the conflicts between Jewish christians and Gentile christians began in Roman Community. The conflicts were about Food abstention, Leadership, and Jewish Christian's morality. In order to get rid of those conflicts, Paul tried to redefine the membership and membership requirement of Roman Community. Ex-membership had been 'Righteousness' and ex-membership requirement had been 'Faith'. However in Rom 10:10, Paul redefined membership as 'Salvation' and membership requirement as 'Open confession'. Then he insisted on 'The salvation of all Israel' in Rom 11:25-32. In this way he insisted that all the Jewish including non christian Jewish is the possible members of Roman Community. Therefore, Rom 11:25-32 supports Jewish Christian in Roman Community through the salvation of Israel rather than just revealing the salvation of Israel. Through his advocation of Jewish Christians, Paul wanted to accomplish double goals; Gaining of Roman Jewish christians' support on his visitation to Jerusalem and Making Roman Community as the post for his future mission to Spain.

      • 마태복음서 27장 51-54절의 선교적 대립과 공존

        김영곤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247

        본 연구는 마태복음서 27장 51-54절을 사회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마태공동체 내부의 정황과의 관련 속에서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는 마태공동체 내부의 정황을 고려하지 않고, 예수의 죽음(그리고 부활)에 대한 신학적 의미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예수의 죽음에 대한 신학적 의미에 집중한 학자들은 이 단락(27:51-54)을 묘사한 마태의 의도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지 못했다. 이 본문에 대한 기존의 해석방향은 '거룩한 자들의 부활'을 강조하는 학자들과 '예수 부활의 우선'을 강조하는 학자들로 대별된다. 전자는 '거룩한 자들의 부활'을 강조함으로써 "예수의 부활 후에"(27:53) 구절은 마태의 본문이 아니라고 선언한다. 후자는 예수가 "부활의 첫 열매"(고전 15:20)라는 전통적인 사고를 이 본문에 대한 해석의 기저로 삼아, '거룩한 자들의 부활'의 의미를 성도들의 미래 부활을 예시한다는 신학적 의미로 해석한다. 필자는 '거룩한 자들의 부활'과 '예수의 부활 후에' 구절 양쪽을 강조하면서 마태공동체 내부의 정황과의 관련 속에서 이 징조들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 본문을 해석하기 위해서 마태공동체 내부의 이방인 그룹과 유대인 그룹의 선교적 대립 정황을 가정한다. 성전 휘장의 찢겨짐은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를 상징한다. 마태는 성전의 파괴와 예수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종교지도자를 비롯한 유대백성에게 있다고 선언함으로 써 이방인에 대한 유대인 그룹의 적개심을 약화시켜 양 그룹의 평화로운 공존을 모색하였다. 마태는 거룩한 도성에 들어간 자를 '이스라엘 백성'이 아니라 '거룩한 자들'이라고 명기(明記)한다. 마태의 의도는 예수의 죽음 후 사건들을 에스겔 비전의 성취함을 묘사함으로써 유대교의 완성이라는 전망으로 자신의 공동체의 정체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공동체를 인종을 초월한 '거룩한 공동체'로 규정하여 이방인 그룹과 유대인 그룹의 대립상황을 화해의 상황으로 전환시키려는 데 있다. 거룩한 자들이 예수의 부활 후에 거룩한 도성에 가서 많은 사람에게 나타났다는 것은 '거룩한 공동체'인 마태공동체가 예수의 부활 후에도 유대인 선교의 상징적 장소인 예루살렘에서 유대인 선교를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태는 이러한 진술을 통해서 부활한 예수가 모든 이방인들에게만 선교명령(28:19-20)을 했다는 근거로 유대인 선교가 끝났다는 이방인 그룹의 주장을 수정하며 유대인 선교를 지지한다. 마태가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을 강조하는 이유는 이 기독론이 마태공동체 내부의 선교적 대립정황에서 이방인 선교와 유대인 선교 양쪽을 합법화 할 수 있고,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믿는 신앙으로 양 그룹을 통합하여 평화로운 공존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예수의 죽음 이야기(27:51-54)를 기록한 마태의 의도가 예수의 죽음에 대한 신학적 의미를 제공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공동체의 선교적 대립 정황과 관련 있음을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events that follow the death of Jesus(Matt. 27:51 54) in relation to the internal context of Matthean community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e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 the theological signification of the death of Jesus (and his resurrection) in negligence of the internal situation in the Matthean community.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the text may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ose scholars who emphasize 'the resurrection of the sacred' and those who stress 'the priorit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The former scholars declare that the phrase, "after his resurrection" (27:53) is not that of Matthew by emphasizing "many bodies of saints which slept arose." The latter, justify their traditional thought of "the firstfruits of them that slept" (I Cor. 15:20) b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many bodies of saints which slept arose" as the theological implication that anticipates the rise of saints in the future. However, this interpretation may reduce the significance of "many bodies of saints which slept arose" in succession to the death of Jesus.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text, this study hypothesizes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Matthean community to be in mission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Jewish group and the Gentile group. Under these conditions, it is likely Matthew would have attempted to strive for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Jewish group and the Gentile group within the Matthean community through the story of the death of Jesus by eliminating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tearing of the veil signified the judgment of God against the leaders of Jerusalem and their temple. Matthew insists that the responsibility for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should be ascribed to the external Jewish leaders rather than to the Gentiles. He tries to strive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Jewish group and the Gentile group by weakening the hostility towards the Gentiles. The reason why Matthew describes those who "enter into the holy city" as 'holy ones' may be ascribed to his intention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his own community. His vision of the perfection of Judaism is depicted with a sense of the achievement of the vision of Ezekiel, along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his community as a holy community beyond race. He then shifts the confrontational situation between the Jewish group and the Gentile group to a situation of reconciliation. The fact that the holy ones were resurrected and they entered the holy city of Jerusalem after the resurrection of Jesus indicates the point that the holy Matthean community continued its missionary work in Jerusalem after the resurrection of Jesus. Matthew corrects the assumption of the Gentiles who insist that Jewish mission had come to an end based on the grounds that Jesus gave a missionary order to all Gentiles except for the Jews after his resurrection. The Matthean community had confrontation between the Gentile group who insisted on the Christology of the son of God and the Jewish group who insisted on the Christology of the son of David, the Israeli king. The reason why Matthew emphasizes the Christology of 'the son of God' is that both of the Gentile and Jewish missions can be justified, aimed at striving for peaceful coexistence by integrating both the Gentile group and the Jewish group into one faith believing in Jesus as the son of God.

      • "바울 신학의 새관점"(New Perspective on Paul)에 나타나는 J. D.G. Dunn의 주요 주장에 대한 비평적 연구

        박형철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247

        본 논고의 취지는 “바울에 대한 새 관점”(the New Perspective on Paul)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그것이 전통적인 견해와는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그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올바른 시각을 가짐으로써 원래 성서가 말하는 바울과 바울신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정립하고자 함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관점”의 등장 배경이 된 샌더스(E. P. Sanders)의 주장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샌더스는 자신의 책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에서 1세기 유대교를 율법을 지킴으로서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율법주의 종교”(legalist religion)가 아니라 하나님의 선택과 은혜의 언약으로 구원 받는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 종교라고 새롭게 정의한다. 또한 1세기 유대교에서의 율법은 의와 구원에 이르는 수단이 아닌(not getting in), 이미 하나님의 선택과 은혜의 언약 안에서 주어진 언약백성의 신분을 유지하기 위한(but staying in) 수단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는 유대인들이 율법의 행위로 구원을 얻으려 한다고 비판한 바울이 유대교를 오해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처럼 “새 관점” 논쟁은 원래 바울과 바울신학에 대한 논쟁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라 1세기 유대교의 성격에 관한 논쟁에서 시작된 것이며, 기본적으로 기존의 바울에 대한 해석인 “옛 관점”이 1세기 유대교를 잘못 이해했다는 입장에서 나타난 운동이다. 중요한 것은, 1세기 유대교가 언약적 율법주의였는가 아니면 율법주의였는가에 대한 문제는 1세기 유대교의 “구원론의 문제”와 연관되어 다루어질 수밖에 없었고 이것이 바로 바울과 바울신학에 대한 논쟁을 초래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런 새 관점을 지지하는 학자들 중, 본 논고에서는 새 관점 주창자들의 중심이 된다고 할 수 있는 던(J. D. G. Dunn)의 주요 주장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던이 그의 책 The New Perspective on Paul 에서 새 관점에 대한 그의 주장들과 그에 대한 학자들의 비판들, 그리고 그 비판들에 대해 재차 자신의 주장들을 변호하는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그의 책에 12개의 명제로 정리되어 있는 내용을 필자는 크게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는데, 첫째, 언약과 율법에 대한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문제, 둘째, 다메섹에서 안디옥에 이르는 이신칭의 논쟁, 마지막으로, 율법에 대한 태도 문제와 그 사회적 기능에 대한 문제가 그것들이다. 먼저, 언약과 율법에 대한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다룬 이유는 던의 새 관점에 대한 주장이 전통 개혁신학의 이신칭의 교리에 대한 반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던은 하나님의 주권만을 강조하고 루터의 이신칭의에 대한 내용을 반대하며 종교개혁 전통을 부정하는 태도를 보인다. 그는 루터의 전통보다는 칼뱅을 더 선호한다고 말하고, 신구약을 통과하는 단 하나의 “은혜의 언약”(covenant of grace)을 강조하며 신구약 사이의 “연속성”(continuity)을 주장한다. 또한 던은 인간론에 있어서도 바울이 유대교의 낙관론적 인간론을 가지고 있었고, 구원에 있어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중요시하는 “신인 협력설”(synergism)을 주장했다는 듯이 말한다. 구원에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뿐만 아니라 인간의 협력이 필요하고 인간은 그 율법의 행위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던은 바울이 율법과 “결별”(break)하지 않았음을 주장한다. 그는 바울이 그의 서신서들에서 주장하는 율법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에 대해 언급하며, 그것이 바울이 다메섹에서 율법을 완전히 버리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던의 이런 주장이 문제가 되는 것은, 언약과 율법에 대한 연속성을 주장함으로써 유대교와 기독교의 차이를 거부하려 하기 때문이다. 또한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의 단절을 무시하고 두 언약을 하나의 언약 안에 포함시켜서 언약의 연속성을 주장함으로써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이신칭의 복음을 불완전한 반쪽짜리로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성경은 분명히 옛 언약과 새 언약을 구분하며 그것들은 서로 다른 것이라고 말한다. “새 언약”은 예수의 죽음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데, 하나님이 모세와 언약을 세우셨던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와 그 피로 새 언약을 세우셨다는 것을 말하며, 이는 더 이상 구원이 율법으로 말미암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으로 말미암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언약은 두 개가 동시에 공존할 수 없으며, 하나의 언약이 끝났고 새로운 하나의 언약이 옴으로써 새 언약이 옛 언약을 무효로 만드는 것이다. 옛 언약은 그 유효 기한도 끝이 났으며 그 효력도 잃었다는 것인데, 이는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에 “불연속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유대교와 달리 바울은 인간에 대해 “비관론적”인 견해를 보이는데, 그는 율법 준수에 대한 인간의 무능력을 주장하며 따라서 그의 구원론에는 신인 협력설에 대한 주장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라토(T. Laato)는 바울이 유대교의 신인 협력설을 거부했다고 말하며 오히려 신인 협력설 때문에 바울이 유대교를 율법주의적인 것으로 간주했다고 설명한다. 바울은 인간이 결코 율법을 온전히 성취할 수 없기 때문에 비관적으로 보는 것이며, 인간의 절망적 상태에 대한 해결책으로 유대교의 낙관적인 인간 이해에 따른 “율법 준수”가 아닌 “성령”을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인간은 “죄”, 즉 “악한 성향”의 상태에 놓여 있지만 새로운 영의 법, 즉 “성령의 법”을 따라 행함으로써 그 상태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바울의 율법에 대한 생각과 태도는 이전과는 다르게 완전히 바뀌었으며 따라서 유대교의 율법은 바울 안에서 더 이상 연속성을 갖지 못한다. 바울이 율법과 “결별”(break)했는지에 대한 문제는 “율법은 폐지되었다”는 루터의 기본 입장인 율법에 대한 불연속성과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율법은 구원사에 있어서 한 부분에만 유효했던 것이며 새 언약의 시대 이후로는 그 효력을 잃은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오심으로 그를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의와 구원에 이르게 되었다. 바울은 더 이상 “예수 그리스도”와 “율법”을 함께 취급하지 않으며, “예수 그리스도”와 대조되는 율법은 이미 “유효 기한”이 끝난 것이고, 바울은 그 율법과 “결별”한 것이다. 이처럼 언약과 율법이 불연속성을 가진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유대교와 기독교가 불연속성을 가지는 전혀 다른 종교라는 것이며, 따라서 바울이 다메섹 사건을 통해 유대교에서 복음으로 “개종”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실, 바울의 “다메섹 사건”이 중요한 것은 그 안에 언약에 대한 문제와 율법에 대한 문제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또한 바울의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며 이방 소명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바울의 다메섹 사건이 어떤 사건이었는지를 규명하고, 그 때부터 시작된 바울의 복음 선포의 역사가 안디옥 사건에 이르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그 모든 과정 가운데 “이신칭의 복음”의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바울과 그의 복음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다메섹”과 “이신칭의”로 돌아가야 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던은 다메섹 사건을 유대교의 율법과 옛 언약 아래 매여 있던 자가 새 언약 아래로 옮겨온 사건으로 보는 전통적인 견해를 거부한다. 그는 바울이 아직 옛 언약과 율법의 연속성 아래 있다고 주장하며 이신칭의 복음을 거부하는 태도를 보인다. 던은 다메섹에서 바울이 그리스도 현현을 경험한 것에 대한 일차적인 의의를 “신적 소명 혹은 위임”으로만 보려 한다. 또한 바울이 다메섹에서 “이방인을 향한 소명”만을 깨달았으며, 이신칭의 교리도 바울이 그 이방인들을 구원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결국 던은 유대인에게는 유대인의 길이, 이방인에게는 이방인의 길이 주어졌다고 말하는 “두 언약 이론”(two-covenant theory)과 동일한 내용을 주장하는 것이다. 유대인에게는 “언약적 율법주의”라는 길이, 이방인에게는 “이신칭의”라는 이방인만을 위한 길이 주어짐으로써 하나님의 구원에 이를 수 있는 방법이 각각 생겼다는 것이다. 던은 이런 논리 가운데 이신칭의 교리를 바울의 이방인 선교의 부산물로 폄하하면서, 그 확립 시기를 안디옥 논쟁의 시기까지 늦춘다. 또한, 그는 하나님께서 바울을 이방인 선교로 부르신 것에 대해서는 “즉각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이신칭의 복음에 대해서는 그가 안디옥 교회 선교사로 일하던 초기 시절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더 명료하게 깨달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시갈(A. Segal)이 바울의 회심을 심리학적으로나 사회학적으로 유대교에서 다른 종교로 이동한 완전한 “배교”였다고 보는 것처럼,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유대교에서 복음으로 “개종”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바울은 유대교의 옛 언약에서 그리스도의 새 언약으로, 유효기한이 끝난 율법과 결별한 후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으로 넘어온 것이다. 물론 바울이 다메섹에서 이방인의 사도로서의 “소명”을 받은 것도 맞지만, 그것은 명백히 “회심(개종)을 통한 소명”이었다. 또한 그의 소명은 단지 이방인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바울은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만남으로 그 분이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를 위해 죽으신 것과 그 분을 믿음으로써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이신칭의” 복음을 깨달은 것이고, 유대인뿐만 아니라 이방인에게도 그 복음을 전하기 위해 사도의 소명을 받게 된 것이다. 그러나 유대인과 이방인에게 각각 다른 구원의 길이 주어졌다는 “두 언약 이론”이 명백히 거부되어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불완전한 반쪽짜리로 만들기 때문이다. 바울의 이신칭의 교리의 “확립 시기”가 중요한 이유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는데, 던이 그 시기를 안디옥 사건까지 늦춤으로 이신칭의 교리를 이방 선교의 부산물로 여기려 하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그 시기를 최대한 앞으로 당겨서 다메섹 사건 즈음으로 잡음으로써 바울이 다메섹 사건 이후 즉시 이신칭의 복음을 전하는 사도의 소명을 감당했다고 주장하려 하였다. 바울은 다메섹 체험 이후 아나니아로부터 초대 교회의 기독론적 전승을 전해 들었으며 예수 그리스도를 주(ku,rioj)라고 고백하며 세례까지 받을 수 있었다. 그는 새로운 공동체에 속하게 되었으며 자신이 깨달은 이신칭의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의 거침없는 복음 전파 사역은 그를 다메섹에서 쫓겨나게 했고, 바울은 그 때 아라비아에 복음을 전하러 떠난 것이다(갈 1:17). 던은 “복음 계시의 즉각성”은 부인한 채 바울의 “이방인 선교 소명의 즉각성”만을 주장하지만, 오히려 바울은 다메섹에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신칭의의 핵심과 그 구원의 원리를 깨달았으며(“복음 계시의 즉각성”), 또 그 복음의 핵심에 따라 “이방인들 뿐만 아니라 유대인들을 위한 사도적 소명”을 받았다는 것을 깨닫고 즉시 다메섹에서, 그리고 이후 아라비아에서 복음 전파의 소명을 감당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안디옥 사건에서 베드로가 이방인과의 식탁 교제 중 보여준 행동과 관련해서 “율법”에 대한 “태도” 문제와 그 “사회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사건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유대인의 “정체성”과 “율법의 행위” 문제와 연결되기 때문이며, 던이 주장하는 율법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율법의 행위 문제와 더불어 “이신칭의” 와 “구원론”에 관련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때문이다. 던은 베드로가 여전히 옛 언약의 율법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주장한다. 베드로 자신도 유대인이므로 “유대인의 정체성”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이는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예수를 믿는 믿음” 외에도 “율법의 행위”가 요구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런 규칙들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남기 위한 유대인들의 “삶의 방식”이 따로 존재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문제는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방인과 분리되어야 함을 배웠다는 것이고, 던은 이를 레위기 20:22-26에서 이스라엘이 다른 나라들로부터 구별되는 표지로써의 율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던은 이처럼 율법을 이스라엘의 특권의식과 연결시킨다. 그는 바울이 말하는 “율법의 행위”가 율법 전체가 아닌 이스라엘의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대인들을 이방인들과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몇 가지 율법에만 국한된다고 주장한다. 그런 율법의 행위들은 “정체성의 표지들”(identity markers) 또는 “경계의 표지들”(boundary markers)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며, 바울이 비판하는 것은 율법 전체가 아니라 유대민족의 정체성 역할과 경계 표지들의 역할을 하는 이런 율법들,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유대인과 이방인의 동등성을 방해하며 구원에 있어 유대인들의 우월적이고 배타적인 사상을 가져오는 이런 율법의 “사회적 기능”이라는 것이다. 또한 바울이 공격하는 것은 “율법 준수”와 관련해서 언약 백성의 자격을 유지하려는 유대인들의 자기-이해이고, 그래서 바울이 부정한 것은 “언약적 율법주의”에 의존하는 하나님의 칭의와 언약 백성의 배지를 가진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하나님의 은혜라는 것이다. 하지만 율법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던의 주장은 바울의 율법 이해를 너무나 부분적이고도 편협하게 만든다. 던은 “율법의 행위”를 좁게 해석하려한 것이 아니라고 말하지만, 여러 가지 표현들 -“정체성의 표지들”, “언약 백성의 배지”(badges), “경계를 규정함”, “경계의 표지들” - 속에서 이미 “율법의 행위”를 “유대인과 이방인을 구분 짓는 역할을 하는 도구”의 의미로만 사용하고 있다. 또한 그의 주장은 “구원론의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율법 준수가 결국 구원을 위한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바울은 율법 몇 개만을 부정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사회적 기능”을 하는 몇 개의 율법만을 제거했다는 의미가 되며, 전 인류를 향한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건을 유대 민족의 배타성에만 국한시키는 우를 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바울은 “율법과 율법의 행위 전체”를 부정한 것이며, 결국 율법의 행위를 “사회적 기능”을 하는 몇 개의 율법으로 제한하는 던의 주장은 “구원론적 관점” 앞에서는 힘을 잃는다. “율법의 행위”를 “구원론적 관점”에서 살펴봐야 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는, 그 “율법의 행위”와 관련된 유대교의 “최후 행위 심판”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던을 비롯한 새 관점주의자들의 주장이 잘못된 것임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1세기 문헌들을 “종말론적 관점”에서 연구해보면 공통된 특징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최후심판의 결과는 율법에 대한 순종, 공로적 순종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상들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의인과 악인은 동시에 행위심판의 대상으로 나타나며, 심판의 대상에는 이스라엘 백성들도 포함된다. 이는 행위심판의 관점에서 볼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자비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하나님이 행위 심판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결국 새 관점 주의자들은 최후심판 때 “인간의 행함”이 차지하는 “구원론적 역할”에 대해서 1세기 유대교가 어떻게 생각했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 된다. 이처럼 “바울의 율법 이해”와 그 “율법에 대한 바울의 태도”가 어떤 것이었는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것은 본 논고에서 다룬 바울 신학에 대해 주장하는 새 관점의 각 주제들이 모두 “율법”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또한 그 율법에 대한 문제가 결국 “이신칭의” 교리와 “구원론”의 문제로 연결된다는 것이 “율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대한 중요성을 더해 준다.

      • 로마교회와 『양자의 영』 : 로마서 8:12-17을 중심으로

        이승엽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247

        이 논문의 목적은 바울이 롬8:12-17절에서 성령을 양자의 영으로 규정하고 있는 진술에 드러난 로마교회의 내·외적인 상황들과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로마교회의 내부 정황과 사회적인 상황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는 바울의 성령이해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단락을 포함하고 있는 롬8장에 기록된 양자의 영으로 규정된 성령에 관한 연구이다. 바울은 성령에 관한 문제를 진술함에 있어서 하나님에 대한 신앙적 체험이라는 해석적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신앙적 체험이라는 바울의 성령에 관한 진술 속에는 1세기 중반이라는 시간적인 상황에 가로질러 놓여 있던 그레코-로망 세계의 사상 체계와 사회적 관습을 반영하고 있다. 무엇보다 바울 자신이 당시 로마사회의 일상적인 문제들과 정면으로 부딪히고 있는 상황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로마서가 기록될 당시 1세기 중반의 로마교회는 '이방인 크리스천들'과 '유대인 크리스천들'이 공존하는 인종적으로 혼합된 공동체이다. 그리스도 교회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혼합된 구성원들간의 대립적인 상황에 대한 바울의 성령이해가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먼저 '정황'의 측면에서 교회 공동체 구성원들간의 긴장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로마교회는 신분상의 '노예제'와 '유동성'이라는 사회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리고 대립하고 있는 두 그룹을 향하여 '양자의 영'으로 규정한 성령을 소개함으로써, 어지럽혀진 공동체 내부의 '연합'을 가능케 하는 실체가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스도 교회 공동체 연합을 위한 '성령'의 역할과 1세기 그레코-로망 사회의 '양자'의 의미를 함께 묶는 바울의 진술 속에서 로마교회의 '정체성'이 반영되어 있다. 특히 사회구조의 '근간'(根幹)을 토대로 하여, 바울이 전하는 이 '양자'의 문제는 로마교회의 구성원들에게 복음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장치가 된다. 로마교회의 '정체성'은 성령에 의하여 하나님의 '양자'(uiJoqesiva)가 되었다는 상징적인 해석에 의하여 명료해 진다. 또한 바울은 이 신적인 신분에 주어지는 옛 전승이 말하고 있는 '보증'과 '상속권'을 인식시키려는 것이다. 롬8장의 내용은 스스로 종이 된 그리스도가 성령에 의하여 하나님의 '맏아들'이 된 그 증거를 보여 주고 있으며, 또한 동일하게 양자의 영인 성령에 의하여 로마교회가 공동체로서 미처 깨닫지 못한 자신들이 소유한 것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다'라는 특권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바울은 '양자의 영'을 받은 공동체로서 로마교회를 '협력'과 '선교', 그리고 '일치'라는 측면에서 사회를 향한 '책임성'과 내부 '결속'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바울은 양자의 영에 의하여 결속된 로마교회의 구성원들을 '하나님의 가족'이라는 강력한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그리고 먼저 이 하나된 하나님의 가족이라는 이미지는 '선교'의 강력한 의미를 부여한다. 바울은 로마교회가 양자의 영에 의한 공동체 내부적인 결속과 함께, 일생동안 감당해 온 이방인 선교에 '종합적 결론'인 바울 자신이 세운 '이방교회들'과의 결속을 추구함으로써 자신이 전하는 복음에 대한 '지지'(支持)와 예루살렘교회와의 '협력' 문제를 획득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롬8:12-17절 단락에서 볼 수 있는 바울의 성령이해는 구체적으로 복음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교회 공동체의 내·외적으로 드러나는 실제적인 현상들을 성령에 관한 신학적인 논의로 전환시켜 낸 것이다. 바울은 이러한 현상들을 전적인 성령의 역할로 이해하고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how Paul defined the Holy Spirit as 'the Spirit of adoption'(pneu'ma uiJoqesiva") in relation to the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of the Roman Church as seen in the verses of Romans 8:12∼17. In other words, it is about what Paul thought the Holy Spirit was as he tried to consider the social situation as well as the internal circumstance of the Roman Church. It is also about the Holy Spirit defined as pneu'ma uiJoqesiva" in the 8th chapter of Romans. Paul used a method when he explained the Holy Spirit: experiences in faith. In his statement about the Holy Spirit related to the experiences in faith, he revealed the system of the thought and custom of the Greco-Roman society in the mid first century. He himself had to collide with the social problems everyday. The Roman Church was a ethnically diverse community in which the Gentile Christians and the Jewish Christians coexisted in the mid first century when Romans was written. Paul'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was based on the opposing situation of the members of the Roman Church. The members of the Roman Church were in strained relations because of their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Roman Church was influenced by the Roman society in terms of "slavery" and "mobility". He revealed what substance could accomplish the union of the community by introducing the Holy Spirit to two groups that were opposed to each other. In Paul's statements where he related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for the union of the Christian community to the meaning of uiJoqesiva in the Greco-Roman society at the first century, he tried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Roman Church. On the basis of the keynote of the social structure, the matter of the adopted son could be a device by which the members of the Roman Church could arouse their sympathy with the Gospel. The identity of the Roman Church became clear by the symbolic interpretation that they became the adopted son of God by the Holy Spirit. Paul also wanted them to recognize 'inheritance rights' and 'assurances' given by their divine status. In the 8th chapter of Romans, Paul was trying to show the evidence that self-imposed slave Christ became the eldest son of God by the Holy Spirit. Paul also wanted the members of the Roman Church to recognize their privilege that they became the children of God by the Holy Spirit, pneu'ma uiJoqesiva". Meanwhile, Paul explained what the internal unity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of Rome toward society were as a community with pneu'ma uiJoqesiva", in terms of cooperation, mission, and union. Paul presented the intense image of the Rpmana Church as the family of God united by pneu'ma uiJoqesiva". The image of the family of God gives the word mission its strong meaning. Pursuing the union of the Roman Church with the gentile churches he had established, the synthetic conclusion to the gentile mission which he had coped with during his whole life, along with internal unity of the community by pneu'ma uiJoqesiva", he tried to acquire support for the Gospel he had been conveying and cooperation with the Jerusalem Church. In result, Paul'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seen in the verses of Romans 8:12∼17 turned the actual stat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man Church in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Gospel into the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Holy Spirit. Paul understood this as the role of the Holy Spirit. He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members of the Roman Church could be the equal family of God (true Israel) by the Holy Spirit, pneu'ma uiJoqesiva", which was the accomplishment of the covenant God promised.

      • 사도행전에 나타난 `재산공유` 연구

        박영권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247

        사도행전에 나타난 초기교회의 '재산공유'를 연구한 논문이다. 초기교회의 '재산공유'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연구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누가의 '재산공유'의 배경(헬레니즘 세계, 구약성서, 쿰란공동체, 예수공동체, 초기교회의 사회 경제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사도행전 '재산공유'에 대한 맥락적 분석과 '재산공유' 본문에 대한 주석적 분석을 통해, 누가의 '재산공유'가 무엇이었는지를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요약과 제언을 하였다.

      • 사도행전에 나타난 예루살렘 교회의 신학적 성격 연구

        명영태 호서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3247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Jerusalem church in the New Testament period, which led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other early churches and to clarify the theological aspects of the Jerusalem church and the theology of Luke. We often hear that modern churches should model after the early church. Jerusalem church has more distinctive features than other churches in the New Testament. And it is regarded as a model church that all the churches should imitate. Jerusalem church blamelessly manifested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the genuine church that Jesus envisioned. The model of Jerusalem church gives a good example to imitate for Korean churches. Good examples that Jerusalem church showed are what Korean churches are most lacking and what they are to introduce for their growing into good churches. Therefore, this paper is designed to seek the essential features that enabled Jerusalem church to establish and develop to be a model church and apply such findings to modern churches to vitalize their contemporary pastorship and evange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