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황나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07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the application of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affects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above study goal, it has establishe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1. Does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2. Does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The study subjects selected to solve the above study questions are 56 fourth graders (28 boys, 28 girls) residing in Daejeon-si. Among them, 28 students (15 boys, 13 girls) in the researcher’s class are chosen to be in an experimental group while 28 students (13 boys, 15 girls) in another class was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allott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etween pre- and post-tests. The program used in this article referred to the job search-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Jo Bung-hwan (2006). It also referred to and applied the program developed in a paper titled a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ading Therapy Program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mprovement’ by Lee Sang-hae (2006). In this article, the execution of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ly. In order to check i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e identical,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on the pre-test scores of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results gained through the process stated above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performed to examine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it is proved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areas of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group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areas of career development such as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performed to examin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achievement motivation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areas except for the independence spirit: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Therefore,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ly,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sub-areas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Moreover, it wa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but an independence spirit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motivation. 본 연구는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 4학년 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나.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4학년 학생 56명(남: 28명, 여:28명) 중 연구자의 담당 학급 학생 28명(남: 15명, 여: 1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학생 28명(남: 13명, 여: 1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10주간의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조붕환(2006)이 개발한 ‘초등학생을 위한 직업탐색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참고하였으며 이상해(2006)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투입하였으며 여기서 독립변인은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의 투입이며, 그에 따른 종속변인은 진로발달과 성취동기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로발달검사와 성취동기 검사의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한 결과 진로발달 하위영역 중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 · 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 영역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집단 프로그램은 진로발달은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영역 등 모든 영역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성취동기의 사전·사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분석결과 독립심을 제외한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미래지향성, 과업지향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성취동기 중 자신감,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과업지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직업탐색중심 초등학교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진로발달 중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영역 등 모든 영역에 효과가 있었으며 성취동기 중 독립심을 제외한 자심감과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과업지향성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인식 비교 : 초보집단상담자의 수퍼비전을 중심으로

        김현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91

        상담자 훈련과정 중에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수퍼비전의 궁극적인 목적은 상담자의 전문성을 키우는데 있다. 특히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과정을 다뤄야 하는 독특성을 가진 집단상담에서는 개인상담과는 다른 별도의 수퍼비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인식을 특히 초보집단상담자의 수퍼비전을 중심으로 비교해 봄으로써 양자 간의 수퍼비전 관계를 공고히 하고, 효과적인 수퍼비전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성과에 대한 여러 가지 시각 중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일치성을 중요하게 봤다. 두 집단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수퍼비전의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치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퍼비전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해 보려고 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는 집단과정 전체를 보는 교육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수퍼바이지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교육내용을 중요하게 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수퍼바이지의 경력 수준이 낮을수록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미선(2008)이 개발한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질문지를 사용하고자 한다. 질문지는 개념화,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집단역동, 개입기술, 상담계획 및 구조화, 집단상담자의 6개의 교육영역으로 나누어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T검증을 실시했다. 또한 수퍼바이지 집단을 평균 경력 1년을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수퍼바이저 집단과 함께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중요도에 대해서는 집단역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내용들에 대해 비교해 본 결과 집단역동 영역 중에서도 ‘집단 내 대인간 역동 이해’, ‘전체로서의 집단역동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인 경향성을 봤을 때 다른 영역의 경우 대체로 수퍼바이저의 평균이 높은 반면 상담계획 및 구조화, 개입 기술의 경우에는 수퍼바이지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수퍼바이지 경력별로 두 집단으로 나누고 수퍼바이저와 비교한 결과에서도 집단역동에서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퍼바이저의 인식과 얼마나 일치하는 지를 보기 위해 평균차를 비교해 봤을 때, 개념화, 집단역동, 개입기술, 상담계획 및 구조화, 집단상담자 영역에서는 수퍼바이지 경력 높은 집단과 수퍼바이저 집단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결과를 정리하면 초보집단상담자의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는 교육내용 중요도에 대해 특히 집단역동에서 차이를 보이며, 같은 초보상담자라고 할지라도 경력 수준에 따라 수퍼바이저의 시각과 일치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두 집단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초보집단상담자는 자신이 실제로 무엇을 배우기를 원하는 지 알 수 있게 되고, 평가자인 수퍼바이저의 시각에서 수퍼비전에 임하게 됨으로써 어떤 교육내용이 중요한 것인지 알게 된다. 수퍼바이저 입장에서는 수퍼비전 성과를 높이기 위해 긍정적인 수퍼비전 관계를 맺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퍼바이지의 개별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퍼바이저와 구체적인 교육내용의 중요도를 어떻게 다르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알게 됨으로써 좀 더 체계적인 수퍼비전 계획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ltimate goal supervision is to raise the professionalism of counselors. In particular, group work needs supervision separate from individual counseling. Because it is important to treat group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personal uniqueness. This study find effective supervision's direction to make firmly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supervisee by comparison of recognition between two groups about importance of educational contents in group work supervision. In this study, congruence between supervisor and supervisee is treated critical element. It is inferred the higher the congruence of the two groups would appear to the performance of supervision. It is focused on educational content for the supervision of the two groups tried to compare the recognition to learn more about this convergence. This study recognizes the supervisor emphasizes to group process from seeing the whole educational content seriously whereas the supervisee guesses important thing is concrete and direct educational content. And these differences appears in different according to supervisee experience level. In order to prove his hypothesis, it is used questionnaire on needs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of the supervision in group counseling in this study. Analysis is divided into six regions, conceptualizatio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group dynamics, intervention skills, counseling planning and structuring, group leader. In addition,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wo groups dividing depending on career of supervisee to supervisor. As th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group dynamics. About sub-content area, especially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group dynamics, 'understanding of my interpersonal dynamics', 'dynamic understanding of the group as a who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lthough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when viewed overall tendency that the average score of supervisor is higher generally, it is worthy of notice to be higher score of intervention skills and counseling planning and structuring. When supervisee's career is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mparison with the supervisor,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s in region of 'group dynamic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when congruence with supervisor according to supervisee's career are different. Gap between higher career supervisee and supervisor appears lower in the five area, conceptualization, group dynamics, intervention skills, counseling planning and structuring and group leader. With these results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the novice group counselor knows what he/she actually wants to learn and what's important contents in supervision. Supervisor makes increase the outcomes by positive supervision relationship.

      •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한 석사과정 학생의 인식

        염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해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석사 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것,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연구 활동 경험, 상담 실무 경험, 졸업 후 진로와 석사과정에 대한 평가로 구성하였고,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무 수련 경험이 있는 석사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은 주로 상담 실무자를 목표로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실무자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 이수 과정으로서의 상담 수련을 기대하기 때문에 연구보다 상담 실무 활동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비중을 두었다. 둘째, 상담실습에 대한 기대와 실제 만족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원인은 상담 실습 교과목 개설의 부족과 상담 자격 요건을 이수하기 위해 발생하는 시간 및 경제적 어려움으로 추측되었다. 셋째,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은 석사 과정에서 상담 실무 활동을 가장 유용하게 평가하였고, 실무 활동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사생들은 상담 수련을 통해 스스로를 이해하고 내담자를 조력하면서 성취감을 느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내담자를 이해하기 위해 연구 결과물을 활용하며 연구의 필요성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에 자격 이수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여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l graduate school counseling program using a mixed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1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matters, what they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master's program, percep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research activity experience, counseling practice experience, and evaluation of the post-graduation career and master's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Based on the result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mast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counseling practic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went on to graduate school with the goal of becoming counseling practitioners. Because counseling training is expected as a process of completing the qualifications required to become a practitioner, it was recognized that counseling practice was more important than research and gave weight to i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the actual satisfaction. The reason for this was presumed to be the lack of open counseling practice courses and the time and economic difficulties that occurred to complete the counseling qualification requirem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rated counseling practical activities the most useful in the master's program, and learned a lot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Master's students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they understood themselves and helped clients through counseling training.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client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experienc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need to include the qualification completion process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was made possible by investigating the general graduate school counseling major program through a mixed method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황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N 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여 9월 16일부터 10월 30일까지 1주일에 2회기씩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윤희(1994)가 수정․보완한 학교생활적응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분석결과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교육용 SNS 내용,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 변화는 통제집단의 학교적응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하위영역별 분석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교육용 SNS 내용,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교육용 SNS를 활용하여 집단상담이 갖는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해 학부모의 관심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초등학교 고학년 학급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프로그램으로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클래스팅’ 외의 다양한 교육용 SNS 활용에 따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다 많은 연구대상을 상대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사후 지속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자가 아닌 다른 프로그램 실행자에 의한 효과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학부모의 사전․사후 인식 변화의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 교육소외지역 전문상담교사의 어려움, 대처 그리고 영향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정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가 교육소외지역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대처, 그리고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총 10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된 후 전사되었으며, 합의적 질적 연구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3개의 영역, 16개 범주, 1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3개의 영역은 교육소외지역에서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어려움, 어려움에 대한 대처, 그리고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영향이다. 본 연구는 교육소외지역의 특징으로 인해 전문상담교사에게 미치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과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상담실 안과 밖을 연결하는 사회정의 옹호적 활동을 통해 옹호적 정체성을 형성해갔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대해 교육소외지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요구를 통해 정서적 개입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며, 사회정의 옹호역량 및 실천적 행동에 대한 교육과 논의가 필요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llenges, coping strategies, and perceived impacts experienced b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educationally marginalized areas.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following the CQR procedure.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domains, 16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The three domains were: challenges experienced b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educationally marginalized areas, coping strategies for these challenges, and the perceived impacts of these experiences. This study highlight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ly marginalized areas that pose challenges to school counseling and examines how counselors develop an advocate identity through social justice advocacy efforts, connecting the counseling room with the broader community.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support systems for emotional interventions tailored to the needs of counselors in such area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dialogue o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ies and practical actions. Finally, the study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집단상담에서의 사전교육이 집단응집력과 자기노출에 미치는 효과

        김미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75

        사전교육(Pretraining)은 집단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참가자들이 집단상담에 적응되도록 돕는 준비작업으로써 집단상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집단과정 변인에 영향을 주어 긍정적인 결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사전교육에 대한 연구는 국외에서 1950년대부터 꾸준히 되어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상담에서 사전교육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응집력(group cohesion)과 자기노출(self-disclosure)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사전교육을 경험한 집단이 사전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a) 초기 집단응집력이 높을 것이며, (b) 집단응집력이 더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이다. 또한 (c) 초기 자기노출양이 높을 것이며, (d) 자기노출이 더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이다. 연구대상은 집단상담에 지원하여 참여한 16명의 여자대학생들로서, 사전경험을 하고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n=8)과 사전경험을 하지 않고 집단상담을 실시한 비교집단(n=8)으로 구성되었다. 사전교육은 집단원들로 하여금 집단과정에 집중하게 하고 지금-여기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관련된 사고와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경험하게 하는 사전집단의 형태로 90분간 진행되었다. 본 연구자가 구성한 집단설명서를 나눠주고 설명을 한 후, 집단지침서를 나누어 읽은 후 토론을 하게 하였다. 그리고 나서 ‘지금-여기’에서 느낌나누기 훈련 등을 하였다. 사전교육의 영향을 집단응집력 검사와 자기노출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 - 초기 - 중기 - 후기에 실시하여 총 4회 측정되었다. 사전검사는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사전교육으로서 사전집단을 실시하기 직전에 수행되었고,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집단상담 실시 직전에 수행되었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교육을 경험한 집단이 사전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a) 초기 집단응집력이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증가했으며, (b) 집단상담 초기, 중기, 후기에서 집단응집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p<.01, p<.05, p<.05). 또한 (c) 초기 자기노출은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d) 집단상담 초기, 중기, 후기에서 자기노출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10, p<.10, p<.0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교육의 특정 형태 중 하나인 사전집단을 실시함으로써 집단상담의 과정변인이자 성과변인인 집단응집력과 자기노출의 초기와 전체 증가가 더 유의미하게 높아진다는 가설을 모두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사전교육은 집단상담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는 집단상담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집단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참가자들이 잘 적응할 수 있게 하는 전반적인 사전교육의 필요성과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전교육 중 사전집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므로 앞으로 다양한 사전교육의 적극적인 개발과 발전이 필요하겠다. 또한 사전교육이 집단상담의 효과 및 집단과정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양하고 민감한 성과측정 방법 및 주요 과정변인에 따른 과정측정 도구가 개발되어야겠다. It is reported that pretraining, which is a preparatory work to help participants in adaptation to group counseling before it is commenced, exerts an positive effect on the group counseling performance, specially by giving the effect on the factors of variation in the group process. However, there is no sufficient study on the methodology enough to suggest a definite answer to the relevance between the particular-formed pretraining and the particular-formed counseling process and its resul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that pretraining exerts on the pregroup that is most effective among pretrainings focused on the change of group cohesion and self-disclosure. This study hypothesizes followings: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that has not experienced pretraining, the group that has experienced pretraining would have, (a) higher group cohesion on the initial stage, (b) higher increment of group cohesion, (c) higher degree of self-disclosure, and (d) higher increment of self-disclos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6 University students that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group(n=8)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after pre-experience and the control group(n=8) that has participated without pre-experience. Pretraining has been carried on for 90 minutes in the form of the pregroup where the group members are told to concentrate on the group process and show directly and experience their thinking and emotions associated with an interaction that has been occurring 'now and here'. The group guideline, which was composed by the researcher, was distributed and the explanation was given to the students. After that, students were told to read the guideline and to discuss on that. Training for sharing feelings 'now and here' and making a rule were followed by. The effect of pretraining using group cohesion test and self-disclosure test has been measured at 4 stages; prestage - initial stage - mid stage - later stage. Pre 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has carried out as pretraining before the pregroup was implemented and for the control group, it has been carried out right before the group counseling was implemented. In addition, sinc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consisted of 6 sessions, the pre test has been carried out after 2nd session (initial stage), 4th session (mid stage), and 6th session (later stage).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util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that has not experienced pretraining, the group that has experienced pretraining had the following results, a) its group cohesion on the initial stage has been more increased statistically in a meaningful way at the significance level 0.01, (b) its group cohesion has also more increased statistically in a meaningful way at the significance level 0.01, (c) its self-disclosure on the initial stage has showed the tendency of more increasement statistically in a meaningful way at the significance level 0.01, and (d) its self-disclosure has been more increase statistically in a significant way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Therefore, by implementing the pregroup that is one of the particular forms of pretraining, this study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the increment of group cohesion and self-disclosure, which is a process factor of variation and a performance factor of variation at the same time, got higher on the intial stage and over whole stage. This result shows that pretraining leads the group counseling more effective.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ce in this study is that it has verified that the need and efficiency of the general pretraining that allows the participants to adapt well to pretraining before it is commenc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group counseling. However, a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cused on the pregroup that has a highest efficiency among pretrainings, more activ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various pretrainings are required in the future. Also, in order to understand deeply how pretraining can be reflected on the efficiency of group counseling and in the process of group, it is needed to develop various and delicate measuring methods of performance and the measuring tool of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ss factor of variation.

      •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과 활동간의 관계

        류지효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과 활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분석 검토하여 교사들의 진로상담 활성화 및 바람직한 진로상담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을 설문지 통계를 검증하여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는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 )에 따라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와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에 따라 실제 활동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60명을 무선 표집하여 학교별로 집단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와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에 따른 실제 활동에는 이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특히 특정점수(4.0)를 기준으로 구분함으로써 유목변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하위영역에 따라 기준점수가 다른 이유는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포함된 구성비율이 가능한 유사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프로그램(version14.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진로상담 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 하위영역별 중 남여 모두 진로상담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인식도가 높은 것은 초등학교에서도 상담을 전담하는 교사가 필요하며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일정 수준의 상담 기법에 관한 연수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에 따른 진로상담의 인식 정도는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교사가 아동의 적성과 능력을 포함한 자아 특성의 발전과 소질을 계발하기 위해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상담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대학원이나 교원연수에서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진로상담의 중요성과 상담 내용, 상담의 방법, 개선방안의 모든 영역에서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상담의 저해요인의 경우 진로상담 교육을 받은 교사 보다 받지 않은 교사가 진로상담의 저해요인에 대한 진로상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가 상담에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각 하위영역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일정수준의 상담기법에 관한 연수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는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여러 가지 정보 분야를 일깨워 줄 수 있도록 견학이나 작업 장면을 통하여 자극을 주어야 하며 학교 경험과 실생활을 관련시켜 배울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선행연구(최봉애, 2004)에서는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 간 각 하위영역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것은 본 연구결과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으며 선행연구(김동숙, 2005)에서는 본 연구결과와 같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교사들이 자신의 자녀의 연령에 따라 초등학교 진로상담에 대하여 인식하는 정도는 자녀가 없는 교사의 진로 인식 정도가 자녀가 있는 다른 교사에 비하여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이는 자녀가 없는 교사는 가장 최근에 교육을 받아서 상담내용을 비교적 잘 알고 있으며, 상담을 하기 위한 개선방안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김동숙, 2005)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녀 유무에 따른 진로상담 인식이 집단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녀가 초등학생인 교사가 진로상담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던 것은 본 연구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으며 진로 및 직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사회의 흐름을 보여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인식과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진로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활동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상담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교사집단의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초등학교 아동들이 장차 선택해야 할 직업의 세계를 수업계획과 관련시켜 가르치며, 아동의 심정을 잘 이해하고 직업세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아동의 장래 희망에 관심을 갖고 학급아동에게 도전을 주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담교육을 받지 않았어도 진로상담 방법의 인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상담 활동정도가 더 크게 나온 것은 아동 개개인의 성격이나 가정생활 및 적성과 소질에 대해 잘 알고 지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진로상담 인식정도와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 자녀의 유무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 교육의 유무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인식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진로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활동정도가 높은 것은 상담교육의 중요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교우관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조여은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교우관계 및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교우관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행복감 점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O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교우관계와 행복감 점수에서 낮게 측정된 학생 14명 중에서 각자의 동의를 얻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무선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Hudson(1987)이 제작한 것을 정미(2004)가 번안하여 사용한 교우관계 검사지와 이정화(2005)가 제작한 행복감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처치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Glasser의 현실요법을 기초로 하여 Sullo(1993)가 개발한 ‘Teach Them To Be Happy’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집단상담은 총 8회에 걸쳐 40~60분 정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론은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교우관계와 행복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교우관계 향상과 행복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욕구를 탐색하고 자신의 욕구 충족을 만족시키고 다른 사람과의 효과적인 관계형성을 맺게 도와주는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행복감에 영향을 줌으로써 초등학교 생활지도에 현실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nfluence on classmate relationship and happiness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se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y effects on classmate relationship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Dose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y effects on happiness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4 sixth-grade students a class elementary school in Deajeon. They were Tested in classmate relationship and happiness, and 14 students who scored lower selected. All of them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And th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randomly organized with seven students each.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Jeong, Mi(2004)'s adapted version of Hudson(1987)'s Classmate relationship Test, Lee, Jeong-hwa(2006)'s Happiness Test. I adapted this program based on 'Teach Them To Be Happy' by L. A. Sullo(1993). It was prepar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reality therapy, suit the interest and level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ver eight times : 40-60 minutes at a time. To the effect of this program, pre-Tests and post-Test of classmate relationship and happiness were carried out for both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e t-Test of SPSS 11.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s classmate relationship and happi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tool enhancement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s classmates relationship and happiness.

      • 高校生이 期待하는 相談者로서 學級 擔任 敎師의 役割에 대한 調査 硏究 : 안양시와 군포시 소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용민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교육은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습의 주체인 학생과의 인간적·역동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서 학생이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하는 과정이다. 학교 교육에 있어서 학급은 교사가 교육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단위이며, 교육 활동을 통하여 인간 행동을 변화시켜 훌륭한 인간을 기르기 위한 형식적 교육의 최소 단위이다. 학급에서는 학습 지도뿐만이 아니라 생활 지도, 인성 지도 등 교육 활동의 대부분이 교사와 학생간의 긴밀한 상호 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 입시라는 현실적 문제에 급급한 나머지 청소년기의 인성 교육의 중요성이 교육적 측면에서 외면을 당하고 있다. 학생들은 사춘기의 심성적 변화와 더불어 입시라는 현실적 난제를 어깨에 짊어지고 청소년기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도적으로는 18학급 이상의 중·고등학교마다 생활 지도의 목적 하에 학교 상담실을 설치,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형식적인 운영에 치우치고 있다. 대부분의 학교 상담실은 학생들의 기피로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학교 상담교사가 전문성을 결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논문은 학생들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고, 학생들이 고민을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 학급담임교사의 상담 역할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문의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설문조사방법을 적용하여, 조사 대상 지역을 안양시의 평촌지역과 군포시에 위치한 인문계고교와 실업계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는 컴퓨터를 활용한 SPSS/PC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table analysis), 교차상관분석(cross-tab)을 주기법으로 사용하여 의도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이 기대하는 상담교사로서의 학급담임교사의 역할과 관련한 다양한 의식들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담임교사가 주 상담자로서 학생들에 인식되고 있는가의 측면에서 매우 부정적으로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 고등학교에서 학급담임교사는 학생들의 고민거리에 대해 상담해 주고 향후의 진로에 대해 조언을 해주는 주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성별이나 계열별, 학년별로도 별다른 유의적 차이가 없이 나타남으로써 근본적으로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급담임교사에 학생들이 얼마나 자율적으로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대화를 하는가와 관련해서도 거의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고민거리에 대해 학급담임교사에게 스스로 찾아와 상담을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상담이 대학선택이나 성적하락 등을 이유로 학급담임교사의 입장에서 호출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담의 내용 또한 딱딱하고 한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셋째, 현재 수행되고 있는 상담 방법은 조사결과 면담방식에 의한 획일적인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 학생들 사이에 널리 보급된 PC통신(E-mail)을 이용한다든지, 편지 등을 이용하여 상담을 한다든지의 방법상의 다양성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는 주로 인문계 학생들의 경우 대학진학에 보다 중점이 두어지고 이를 위한 담임교사에 의한 면담이 주로 이루어지는 데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 내용면에서 학습문제와 진로문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의 상담은 학생들의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진솔한 상담보다는 학교 성적의 하락, 대학의 선택시 조언 등에 극히 한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상담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감과 관련해서는 학생들은 상담했던 내용들이 대부분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립적인 입장을 제외하면 만족한다는 학생보다 불만족스럽다는 학생이 많았으며, 이는 향후 상담의 질적인 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한 남녀 학생간에도 기대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사 결과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이 만족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았고, 학년별로도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이 '별로 도움이 될 것 같지 않다'라는 부정적인 응답 비율이 높았던데 비해 3학년 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 부분의 비율이 낮음으로써 1학년과 2학년 학생들과 차이를 보였다. 이는 3학년 학생들의 경우 대학 진학과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 내신 성적 등과 관련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학급담임교사와 상의할 필요성이 강함으로써 이러한 면에서 원했던 응답을 어느 정도 얻음으로써 만족이 높았던데 비해, 현실적으로 이러한 상담 내용이 적을 수밖에 없는 저학년의 경우 주로 학과 성적의 저하 등에 따른 꾸지람 형식의 상담이 많음으로써 보다 부정적일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여섯째, 상담 태도면에서 학급담임교사와 상담에 임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매우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대부분 학생들은 상담시 마음의 면을 모두 활짝 열고 상담에 임하기보다는 필요한 사항을 제한적으로 묻고 답하는 식의 소극적인 상담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 현재 학생들이 가지는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인가는 학급담임교사의 상담내용이나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데, 현재 학생들의 주 고민거리는 역시 성적의 하락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민하는 내용면에서는 남녀 학생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계열별, 학년별로도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과는 달리 성에 대한 충동, 교우관계, 건강문제, 술·담배에 대한 충동 등 보다 다양한 문제에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학생의 경우 성적하락에 대한 고민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에 성에 대한 충동, 교우관계, 건강문제 등이 인문계 학생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보여 대조를 보였다. 학년간에도 성에 대한 충동, 원만한 교우관계 면에서 3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비율을 보이고 있고, 건강문제도 낮아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여덟째, 상담시 학생이 학급담임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일반적으로 볼 때, 성별로는 '전문성이 뛰어나 객관적·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상담전문가의 역할'이 많은 비율을 보였지만 계열별, 학년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상담자로서의 학급담임교사에 대한 성별 기대 차이에 있어 인문계 학생의 경우 '전문성이 뛰어나 객관적·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상담전문가의 역할'을 학급담임교사로부터 기대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실업계 학생의 경우 '친구처럼 따뜻하고 공감적인 위안을 줄 수 있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 있어서도 1학년 학생의 경우 '친구처럼 따뜻하고 공감적인 위안을 줄 수 있는 역할'에 가장 큰 기대를 한 반면,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의 경우 '전문성이 뛰어나 객관적·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상담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된 내용들을 분석하여 나타난 여러 가지 유의미한 결과들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현재 고등학교의 교육 현실이 대학 진학을 위해 존재하는 교육기계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교육 현실에서 실증된 다양한 사실들을 눈여겨보고 이를 제도화 내지는 정책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으로 몇 가지 관련된 제언을 제시하여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보다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거시적으로 학교 교육의 기본적인 틀이 전환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Education is the desirable, humane and growing process by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n schooling class teacher role of education achieve that it minimum unit of formal education to be the basicest and central unit, and foster good human because changes human action through education activity. Attain in class through inseverable interaction between educational guidance, mostly instigation of education activity such as human nature guidance as well as studying guidance and a student. Because high school students of present our country are urgent in realistic problem that i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mportance of human nature education of juvenescence is encountering outward appearance in educational side. Students shoulder realistic difficult problem that are audience along with adolescent mentalistic change in shoulder and spend a juvenescence. There is establishing school counseling office under purpose of educational guidance in middle·high school more than 18 classes systematically to solve these problem and operate, but most are leaning in formal operation. Most counseling teacher is operated as formal by evasion of students, and there are a lot of occasions that also is lacking professionalism. A treatise that see in these real condition is spending most times with students, and wish to deduce plan that is more effective about consultation role of class classroom teacher who students are receiving agony in householder approximation but allows purpose and expands discussion. Unfolded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basis of various literatures in theoretical composition side because runs parallel literalistic access method and positive enumeration method to methodology of a treatise for this, and investigate and analyzed realization of students of spot to prove present real condition. Applying question enumeration method to specific methodology investigation target area draw talent and learning principal cause students as sample in the academic world high school and business world high school which is situated in review inch of land station and military beacon of Anyang city and executed attitude survey. Question data deduced result that use SPSS/PC analysis technique that utilize computer and intends using frequency analysis (frequency table analysis), cross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 by rhythm method. There is as following if probe various ceremonies regarding role of that is class wall as counseling teacher that students expect and summarize and presents analyzing result. First, I can know that result appeared very contradictorily in side of that it is realized to students as main consultant that is a class wall. That is, not achieving role as main consultant that consult about trouble of students and advises about course after direction of class, classroom teacher is actuality on present high school. These phenomenon can know that role as teacher in charge's consultant hardly attains fundamentally by appearing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alternative by class by sex or order. Second, I can know that is rare in case almost all students consult calling on to home room teacher about own trouble even if refer if talk because students approach how autonomously naturally to class. Consultation request experience that do homeroom teacher in charge. Because occasion that attain because most consultation calls in homeroom teacher standpoint because of college selection or results fall etc. is most, consultation contents were hard and is limitative. Third, consultation method that is achieved present can know that undifferentiated consultation by the findings interview room is attaining. Recently, using PC communication (E-mail) that is prevailed between students, or letter back consultation or variety of method expect hard. It was exposed that cause is though this emphasis is put more in college entering upon studies in occasion of academic world students mainly and interview by teacher in charge for this attains mainly. Fourth, I can know that studying problem and course problem occupy most in consultation contents side. That is, current consultation could know thing which is limited extremely to counsel etc., at fall of school record, selection of college than sincere consultation about private problem of students. Fifth, I can know that contents that students consulted in connection with expectation of students about consultation are thought how aid mostly. But, there are many students that is unsatisfactory than a student who is satisfied if except limusless situation, and is thought if this is not point to be considered in qualitative cotton of consultation hereafter. Also, I can know that difference exists in expectation level between a man and woman student. Upon investigation, first-year student and second-year students and difference were seen by ratio of this part is low relatively in occasion of third-year student while ratio that girl students are not satisfied than boy student was high, and first-year student and second-year students particularly help become may response ratio that is contradictory were high by class. It is thought that by there are many learning and consultation of reprimand form by decline etc.. of results mainly in lower classes' occasion that this can not but be less this consultation contents actually while satisfaction was high by getting response that wanted in this side by necessity to consult connection such realistic problem with class classroom teacher with college entering upon studies and college matriculation scholastic aptitude test, confidential report results etc. in occasion of third-year students is strong in some degree could not but be more contradictory. Sixth, Consultation attitude inclination homeroom teacher and most students who face on consultation can say that very negative and limited attitude is seen in consultation attitude side. That is, in most case, students can know that negative consultation of way that ask necessary item circumscriptively and answers rather than is all wide-open and faces on consultation page of mind when consult is gone. Seven ranks, Now the greatest agony, present students that is what is important in terms of can exert big influence on class teacher's consultation contents or method, but main trouble of present students appeared by fall of results too. But, some difference was seen and displayed some difference by class by order between a man and woman student in agonizing substance. It was exposed that worry in more various problem such as instigation about sex, ones company, health problem, instigation for wine·tobacco unlike girl student in the case of boy student. In the case of a business world student, while agony about results fall is low relatively, but contrast was seen because instigation about sex, ones company, health problem etc. see ratio that is high excellently than an academic world student. Ratio that become low as rise by third-year student in instigation about sex during class, smooth ones company page is seen, and is shown characteristic that health problem becomes low. Eight ranks, role that a student expects to teacher when consult role of general of, which help by sex specially objectively and substantially consultation specialist a lot of ratioes see, but appeared as is different by order, by class. While ratio that expect role of consultation specialist who give help in occasion of an academic world student in sex expectation difference about teacher in charge as consultant specially objectively and substantially from teacher in charge is high, but Korea expectation was the highest gouging role that can give warm and sympathetic consolation in the case of a business world student like friend, and while do the biggest expectation gouging role that can give warm and sympathetic consolation in occasion of first-year student like friend even if is during class, but Korea expectation is most high gouging role of consultation specialist who give help in second-year student and occasion of third-year students specially objectively and substantially Various meaning results that appear analyzing examined contents are throwing us a lot of suggestion points. Observe carefully various truths that is proved in single and mechanical education actuality enough to hear word of teaching machine that education actuality of present high school exists for college entering upon studies and this institutionalization or politicization do known work need. Presented some connected offers by singularity. But, these things are ideas that it is necessary that basic capacity of schooling is converted as macroscopic to actualize more.

      •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진향 숙명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implement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est its effects on their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shoul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be organized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Second,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awareness? Third,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guidance behavior?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model development procedure of Kim Chang-dae et al.(2017) and designed in a way to enable constant revision and review in total four stages of setting goals, organizing the program, doing preliminary research/enhancing long-term effects, and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several researches on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Children who raise dreams, parents who help, Jang Seok-min(2000), Kim Ji-hyeon(2007), which developed a career guidance program for children to target parents, Heo Eun-suk(2004),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simultaneous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on the career maturity and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e Hee-seong(2011), which developed a Holland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the career awareness of parents, and Cheon A-rong(2014), which examined the effects of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career support behavior of parent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Adult MBTI form M and its manual by Korea MBTI Research Institute, Simplified MBTI test for children, Holland MCI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Korea Guidance, and "Aro Junior Program" by CareerNet, all of which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 study. In addition, CareerNet's online test for vocational values, vocational cards, and their manual(Kim Bong-hwan et al., 2004) was used along with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video materials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total six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150 minutes. The subjects include total 35 parents that wished to participate in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arents' career education at S and M Elementary Schools in Cheonan City, Chungcheongnam Provinc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of 18 and the control group of 17. Tests on par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paired-sample t-test was performed for each condition to examine changes to the pre- and post-test measurements within each condition.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with d value of Cohen(1988). Finally, repeated-measure ANOVA was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changes of each condi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treatment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had clear effects. There was no voluntary improvement or accidental change in several variables to measure parents' career guidance behavior and career awareness for six week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offered positive assistance to the par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and helped the parents offer career guidance to their children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terest and ability of their children. It has implications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school or counseling so that parents expand their viewpoint of the career world that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utilize it in their career guidance for their children. In addition to these implication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y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학부모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부모의 진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셋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부모의 진로지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김창대 외(2017)의 프로그램 모형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1단계 목표수립, 2단계 프로그램의 구성, 3단계 예비연구/장기적 효과제고 노력, 4단계 프로그램의 실시와 평가의 총 4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으로 계속적인 수정과 검토가 이루어지도록 구안하였다. 초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장석민(2000)의 꿈을 키우는 자녀, 도와주는 부모, 김지현(2007)의 부모를 위한 자녀 진로지도프로그램 개발 연구, 허은숙(2004)의 부모-자녀 동시참여 진로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희성(2011)의 학부모의 진로의식 향상을 위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천아롱(2014)의 부모참여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과 부모의 진로지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한국MBTI연구소의 성인용 MBTI Form M과 매뉴얼, 자녀용 간이 MBTI검사, 한국가이던스의 Holland MCI 초등고학년용, 커리어넷의 ‘아로주니어 프로그램’을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 커리어넷 직업가치관 온라인 검사 활용, 직업카드와 활용 매뉴얼(김봉환 외, 2004), 한국고용정보원 초등학생 학부모용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6회기 회기당 150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 S초등학교와 M초등학교에서 학부모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총 35명을 모집 후 무작위로 실험집단 18명과 통제집단 17명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학부모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 검사를 실시하고, 각 조건 내에서의 사전-사후 측정치들 간의 변화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건별로 대응 표본 t 검증을 수행한 후, Cohen(1988)의 d 값을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조건 간의 변화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실험 집단에서는 사전-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실험 집단에 제공한 처치가 뚜렷한 효과를 보였음을 나타낸다. 부모 진로지도행동과 진로의식을 측정하는 여러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사전과 사후 사이에 이르는 6주의 시간 동안 자발적으로 호전되거나 혹은 우연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부모들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들이 자녀의 특성인 흥미와 능력을 고려하여 자녀의 진로지도를 하게 되었고 시대의 흐름에 변화하고 있는 직업세계에 대한 안목이 넓어져 자녀진로지도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학교나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사점이 있다. 이러한 시사점과 더불어 중, 고등학생용 프로그램 개발 등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