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황나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07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the application of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affects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above study goal, it has establishe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1. Does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2. Does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The study subjects selected to solve the above study questions are 56 fourth graders (28 boys, 28 girls) residing in Daejeon-si. Among them, 28 students (15 boys, 13 girls) in the researcher’s class are chosen to be in an experimental group while 28 students (13 boys, 15 girls) in another class was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allott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etween pre- and post-tests. The program used in this article referred to the job search-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Jo Bung-hwan (2006). It also referred to and applied the program developed in a paper titled a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ading Therapy Program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mprovement’ by Lee Sang-hae (2006). In this article, the execution of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ly. In order to check i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e identical,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on the pre-test scores of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results gained through the process stated above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performed to examine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it is proved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areas of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group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areas of career development such as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performed to examin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achievement motivation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areas except for the independence spirit: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Therefore,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ly,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sub-areas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Moreover, it wa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but an independence spirit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motivation. 본 연구는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 4학년 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나.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4학년 학생 56명(남: 28명, 여:28명) 중 연구자의 담당 학급 학생 28명(남: 15명, 여: 1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학생 28명(남: 13명, 여: 1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10주간의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조붕환(2006)이 개발한 ‘초등학생을 위한 직업탐색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참고하였으며 이상해(2006)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투입하였으며 여기서 독립변인은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의 투입이며, 그에 따른 종속변인은 진로발달과 성취동기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로발달검사와 성취동기 검사의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한 결과 진로발달 하위영역 중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 · 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 영역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집단 프로그램은 진로발달은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영역 등 모든 영역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성취동기의 사전·사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분석결과 독립심을 제외한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미래지향성, 과업지향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성취동기 중 자신감,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과업지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직업탐색중심 초등학교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진로발달 중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영역 등 모든 영역에 효과가 있었으며 성취동기 중 독립심을 제외한 자심감과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과업지향성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황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N 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여 9월 16일부터 10월 30일까지 1주일에 2회기씩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윤희(1994)가 수정․보완한 학교생활적응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분석결과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교육용 SNS 내용,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 변화는 통제집단의 학교적응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하위영역별 분석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교육용 SNS 내용,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교육용 SNS를 활용하여 집단상담이 갖는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해 학부모의 관심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초등학교 고학년 학급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프로그램으로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클래스팅’ 외의 다양한 교육용 SNS 활용에 따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다 많은 연구대상을 상대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사후 지속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자가 아닌 다른 프로그램 실행자에 의한 효과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학부모의 사전․사후 인식 변화의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인식 비교 : 초보집단상담자의 수퍼비전을 중심으로

        김현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91

        상담자 훈련과정 중에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수퍼비전의 궁극적인 목적은 상담자의 전문성을 키우는데 있다. 특히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과정을 다뤄야 하는 독특성을 가진 집단상담에서는 개인상담과는 다른 별도의 수퍼비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인식을 특히 초보집단상담자의 수퍼비전을 중심으로 비교해 봄으로써 양자 간의 수퍼비전 관계를 공고히 하고, 효과적인 수퍼비전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성과에 대한 여러 가지 시각 중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일치성을 중요하게 봤다. 두 집단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수퍼비전의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치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퍼비전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해 보려고 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는 집단과정 전체를 보는 교육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수퍼바이지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교육내용을 중요하게 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수퍼바이지의 경력 수준이 낮을수록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미선(2008)이 개발한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질문지를 사용하고자 한다. 질문지는 개념화,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집단역동, 개입기술, 상담계획 및 구조화, 집단상담자의 6개의 교육영역으로 나누어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T검증을 실시했다. 또한 수퍼바이지 집단을 평균 경력 1년을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수퍼바이저 집단과 함께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중요도에 대해서는 집단역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내용들에 대해 비교해 본 결과 집단역동 영역 중에서도 ‘집단 내 대인간 역동 이해’, ‘전체로서의 집단역동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인 경향성을 봤을 때 다른 영역의 경우 대체로 수퍼바이저의 평균이 높은 반면 상담계획 및 구조화, 개입 기술의 경우에는 수퍼바이지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수퍼바이지 경력별로 두 집단으로 나누고 수퍼바이저와 비교한 결과에서도 집단역동에서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퍼바이저의 인식과 얼마나 일치하는 지를 보기 위해 평균차를 비교해 봤을 때, 개념화, 집단역동, 개입기술, 상담계획 및 구조화, 집단상담자 영역에서는 수퍼바이지 경력 높은 집단과 수퍼바이저 집단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결과를 정리하면 초보집단상담자의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는 교육내용 중요도에 대해 특히 집단역동에서 차이를 보이며, 같은 초보상담자라고 할지라도 경력 수준에 따라 수퍼바이저의 시각과 일치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두 집단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초보집단상담자는 자신이 실제로 무엇을 배우기를 원하는 지 알 수 있게 되고, 평가자인 수퍼바이저의 시각에서 수퍼비전에 임하게 됨으로써 어떤 교육내용이 중요한 것인지 알게 된다. 수퍼바이저 입장에서는 수퍼비전 성과를 높이기 위해 긍정적인 수퍼비전 관계를 맺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퍼바이지의 개별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퍼바이저와 구체적인 교육내용의 중요도를 어떻게 다르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알게 됨으로써 좀 더 체계적인 수퍼비전 계획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ltimate goal supervision is to raise the professionalism of counselors. In particular, group work needs supervision separate from individual counseling. Because it is important to treat group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personal uniqueness. This study find effective supervision's direction to make firmly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supervisee by comparison of recognition between two groups about importance of educational contents in group work supervision. In this study, congruence between supervisor and supervisee is treated critical element. It is inferred the higher the congruence of the two groups would appear to the performance of supervision. It is focused on educational content for the supervision of the two groups tried to compare the recognition to learn more about this convergence. This study recognizes the supervisor emphasizes to group process from seeing the whole educational content seriously whereas the supervisee guesses important thing is concrete and direct educational content. And these differences appears in different according to supervisee experience level. In order to prove his hypothesis, it is used questionnaire on needs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of the supervision in group counseling in this study. Analysis is divided into six regions, conceptualizatio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group dynamics, intervention skills, counseling planning and structuring, group leader. In addition,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wo groups dividing depending on career of supervisee to supervisor. As th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group dynamics. About sub-content area, especially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group dynamics, 'understanding of my interpersonal dynamics', 'dynamic understanding of the group as a who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lthough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when viewed overall tendency that the average score of supervisor is higher generally, it is worthy of notice to be higher score of intervention skills and counseling planning and structuring. When supervisee's career is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mparison with the supervisor,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s in region of 'group dynamic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when congruence with supervisor according to supervisee's career are different. Gap between higher career supervisee and supervisor appears lower in the five area, conceptualization, group dynamics, intervention skills, counseling planning and structuring and group leader. With these results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the novice group counselor knows what he/she actually wants to learn and what's important contents in supervision. Supervisor makes increase the outcomes by positive supervision relationship.

      •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한 석사과정 학생의 인식

        염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해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석사 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것,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연구 활동 경험, 상담 실무 경험, 졸업 후 진로와 석사과정에 대한 평가로 구성하였고,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무 수련 경험이 있는 석사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은 주로 상담 실무자를 목표로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실무자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 이수 과정으로서의 상담 수련을 기대하기 때문에 연구보다 상담 실무 활동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비중을 두었다. 둘째, 상담실습에 대한 기대와 실제 만족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원인은 상담 실습 교과목 개설의 부족과 상담 자격 요건을 이수하기 위해 발생하는 시간 및 경제적 어려움으로 추측되었다. 셋째,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은 석사 과정에서 상담 실무 활동을 가장 유용하게 평가하였고, 실무 활동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사생들은 상담 수련을 통해 스스로를 이해하고 내담자를 조력하면서 성취감을 느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내담자를 이해하기 위해 연구 결과물을 활용하며 연구의 필요성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에 자격 이수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여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l graduate school counseling program using a mixed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1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matters, what they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master's program, percep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research activity experience, counseling practice experience, and evaluation of the post-graduation career and master's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Based on the result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mast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counseling practic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went on to graduate school with the goal of becoming counseling practitioners. Because counseling training is expected as a process of completing the qualifications required to become a practitioner, it was recognized that counseling practice was more important than research and gave weight to i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the actual satisfaction. The reason for this was presumed to be the lack of open counseling practice courses and the time and economic difficulties that occurred to complete the counseling qualification requirem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rated counseling practical activities the most useful in the master's program, and learned a lot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Master's students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they understood themselves and helped clients through counseling training.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client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experienc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need to include the qualification completion process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was made possible by investigating the general graduate school counseling major program through a mixed method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학교 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윤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실험집단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자기존중감 향상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자기존중감의 하위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학교생활태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 1개 초등학교 6학년3개 학급 120명중 사전 검사 점수가 비슷한 2개 학급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3명으로 배정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에는 한국교육개발원이 개발한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주 1∼2회, 40분으로 총 12회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만을 하였다. 검사 측정 도구는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기존중감 검사지」와 권낙원이 개발한 「학교생활태도 검사지」를 참고로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로는 첫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자기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자기존중감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자기존중감 하위영역이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학교생활태도의 신장을 가져왔다. 학교생활태도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교생활태도의 하위영역이 유의한 신장을 가져왔다. 학교생활태도의 세 가지 요인에 대해 분석을 종합해 볼 때, 실험집단의 경우는 세 가지 요인, 학습관계, 교우관계, 교사관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집단 상담을 실시하면 아동들의 자기존중감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how the "human nature group education" affects self esteem and an attitude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consist of two issues. First, is the "human nature group counsel program" effective to improve the self esteem of children? Second, is the "human nature group counsel program" effective to improve the attitude of a examine group? Hypothesises based on the two issues of study are made. Firs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 restricted group and a instructed group by the "human nature group counsel program", could be exist. Second, regard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uld be shown in an attitude toward a school life. In order to make sure of these hypothesises, two classes getting similar points in a pre-test were selected among 120 sixth grades students in three classes in M elementary school in Suwon. The selected classes were tested 12 times, one or two times a week and 40minutes in a test, by "the human nature group counsel program" creat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A reconstructed test tool based on "[self esteem test]" for children created by "Coopersmith(l967) and "[attitude of school life test]" created by "Kwon NakHyun" was used. Four conclusions were made from this study. First, self esteem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roup instructed by the "human nature group counsel program." Regarde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tricted group and the instructed group, were shown in self-esteem. second, the subordinated field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instructed group by the "human nature group counsel program" compare to the restricted group. Third, the instructed group has got to a better attitude toward school life than the restricted group. Besides, inspecting a data from the test resulted in regarde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Forth, the subordinated field of attitude toward a school lif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instructed group by the "human nature group counsel program" compare to the restricted group. From all we have got, this study shows self-esteem and an attitude toward school life of children could be improved by the "human nature group counsel program."

      • 전문상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지각한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용 및 개선방안

        현아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전문상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전문상담 교육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실습 실태를 파악하고, 전문상담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첫째,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용에 대한 전문상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용의 개선방안에 대한 전문상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해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먼저, 예비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게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전문상담교사에게 전문상담 교육실습에서 이뤄지고 있는 구체적인 내용과 이에 대한 한계 및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과거 교육실습 경험과 현재 학교상담 직무와의 연계성 정도를 고려한 전문상담 교육실습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문에 참여자 중 자발적으로 지원한 6명의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실습 내용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제반 조건들을 파악하였다. 양적연구 결과와 질적 연구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전문상담 교육실습이 보다 실효성 있게 운영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요소와 제반 조건들을 추출하여 3개의 범주, 10개의 주제, 2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전문상담교사를 위한 전문상담 교육실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교사가 지각한 전문상담 교육실습의 현황과 제한점 및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용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tual state of teaching practice based on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prospective teachers and current teachers,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effectiv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To achieve thi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and current teachers of professional counselling about the contents of schoo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and current teachers of professional counseling on ways to improve the contents of schoo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set up a research question that. The research problems were examined as follows using the mixed methods study.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pre-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respectivel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pecific contents, limit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schoo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a survey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schoo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considering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past teaching practice experiences and current school counseling jobs were investigat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rofessional counselors who voluntarily applied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specific teaching practice contents that can be actually operated in the school field and all conditions to be considered for efficient operation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specific content elements and all conditions for more effective operation of schoo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were extracted to derive three categories, 10 topics, and 28 subtopics.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a plan for schoo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as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schoo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perceived by pre-professional and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presented basic data on school counseling teaching practice by reflecting this.

      • 청소년상담자 경력에 따른 교육 요구분석

        이재화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청소년상담자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상담자가 요구하는 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청소년상담자 경력에 따라 요구하는 교육 내용은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소년상담자들의 경력 단계를 세분화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 내용과 그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근무하는 청소년상담자 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담자 발달 수준 척도와 청소년상담자 직무역량 모델을 사용하여 청소년상담자 교육요구도 분석 설문지를 제작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9.0 버전을 사용하였고, 현재 수준과 필요 수준 간의 순위별 교육의 전체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는 Borich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여 항목 간의 변별을 용이하게 하였고, 이를 통해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상담자들이 요구하는 교육 요구의 최우선 순위군은 ‘위기관리’(1위), ‘심리검사’(2순위), ‘상담전략 및 기술’(3순위), ‘연구 보고서 작성 및 평가’(4순위), ‘사례관리’(5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상담자 경력별 우선순위로 초심 청소년상담자는 ‘위기관리’(1순위), ‘사례관리’(2순위), ‘청소년 이해’(3순위)였으며, 중급 청소년상담자는 ‘심리검사’(1순위), ‘위기관리’(2순위), ‘상담전략 및 기술’(3순위)였으며,. 숙련 청소년상담자는 ‘연구 설계 및 수행’(1순위), ‘마케팅’(2순위), ‘연구 보고서 작성 및 평가’(3순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상담자 발달 과정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설계와 운영에 기여함으로써, 청소년상담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청소년 상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youth counselors according to their work experience and to prioritize th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is analysi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youth counselors' professional competency.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educational content do youth counselors require? Second, does the required educational content differ according to the work experience of youth counselor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work experience of youth counselors were subdivided, and the educational content and its priorities needed at each stage were investigated. The study subjects were 204 youth counselors working at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s in the regions of Busan, Ulsan, Gyeongnam, Daegu, and Gyeongbuk. An educational needs analysi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the Counselor Development Level Scale and the Youth Counselor Job Competency Model, and a survey was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9.0, and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s in educational priorities between current and required levels. Subsequently, Borich's educational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hich are effective in distinguishing between item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prior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p educational needs prioritized by youth counselors were ‘Crisis Management’ (1st), ‘Psychological Testing’ (2nd), ‘Counsel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3rd), ‘Research Report Writing and Evaluation’ (4th), and ‘Case Management’ (5th). Second, the educational priorities according to the work experience of youth counselors were as follows: novice youth counselors prioritized ‘Crisis Management’ (1st), ‘Case Management’ (2nd), and ‘Understanding Adolescents’ (3rd); intermediate youth counselors prioritized ‘Psychological Testing’ (1st), ‘Crisis Management’ (2nd), and ‘Counsel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3rd); proficient youth counselors prioritized ‘Research Design and Implementation’ (1st), ‘Marketing’ (2nd), and ‘Research Report Writing and Evaluation’ (3rd).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lay a crucial role in systematically designing and operating the necessary educational programs for youth counselors' developmental processes, thereby enhancing their professional competency and ultimately improving the quality of youth counseling services.

      • 집단상담에서의 사전교육이 집단응집력과 자기노출에 미치는 효과

        김미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75

        사전교육(Pretraining)은 집단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참가자들이 집단상담에 적응되도록 돕는 준비작업으로써 집단상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집단과정 변인에 영향을 주어 긍정적인 결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사전교육에 대한 연구는 국외에서 1950년대부터 꾸준히 되어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상담에서 사전교육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응집력(group cohesion)과 자기노출(self-disclosure)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사전교육을 경험한 집단이 사전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a) 초기 집단응집력이 높을 것이며, (b) 집단응집력이 더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이다. 또한 (c) 초기 자기노출양이 높을 것이며, (d) 자기노출이 더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이다. 연구대상은 집단상담에 지원하여 참여한 16명의 여자대학생들로서, 사전경험을 하고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n=8)과 사전경험을 하지 않고 집단상담을 실시한 비교집단(n=8)으로 구성되었다. 사전교육은 집단원들로 하여금 집단과정에 집중하게 하고 지금-여기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관련된 사고와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경험하게 하는 사전집단의 형태로 90분간 진행되었다. 본 연구자가 구성한 집단설명서를 나눠주고 설명을 한 후, 집단지침서를 나누어 읽은 후 토론을 하게 하였다. 그리고 나서 ‘지금-여기’에서 느낌나누기 훈련 등을 하였다. 사전교육의 영향을 집단응집력 검사와 자기노출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 - 초기 - 중기 - 후기에 실시하여 총 4회 측정되었다. 사전검사는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사전교육으로서 사전집단을 실시하기 직전에 수행되었고,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집단상담 실시 직전에 수행되었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교육을 경험한 집단이 사전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a) 초기 집단응집력이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증가했으며, (b) 집단상담 초기, 중기, 후기에서 집단응집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p<.01, p<.05, p<.05). 또한 (c) 초기 자기노출은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d) 집단상담 초기, 중기, 후기에서 자기노출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10, p<.10, p<.0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교육의 특정 형태 중 하나인 사전집단을 실시함으로써 집단상담의 과정변인이자 성과변인인 집단응집력과 자기노출의 초기와 전체 증가가 더 유의미하게 높아진다는 가설을 모두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사전교육은 집단상담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는 집단상담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집단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참가자들이 잘 적응할 수 있게 하는 전반적인 사전교육의 필요성과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전교육 중 사전집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므로 앞으로 다양한 사전교육의 적극적인 개발과 발전이 필요하겠다. 또한 사전교육이 집단상담의 효과 및 집단과정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양하고 민감한 성과측정 방법 및 주요 과정변인에 따른 과정측정 도구가 개발되어야겠다. It is reported that pretraining, which is a preparatory work to help participants in adaptation to group counseling before it is commenced, exerts an positive effect on the group counseling performance, specially by giving the effect on the factors of variation in the group process. However, there is no sufficient study on the methodology enough to suggest a definite answer to the relevance between the particular-formed pretraining and the particular-formed counseling process and its resul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that pretraining exerts on the pregroup that is most effective among pretrainings focused on the change of group cohesion and self-disclosure. This study hypothesizes followings: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that has not experienced pretraining, the group that has experienced pretraining would have, (a) higher group cohesion on the initial stage, (b) higher increment of group cohesion, (c) higher degree of self-disclosure, and (d) higher increment of self-disclos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6 University students that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group(n=8)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after pre-experience and the control group(n=8) that has participated without pre-experience. Pretraining has been carried on for 90 minutes in the form of the pregroup where the group members are told to concentrate on the group process and show directly and experience their thinking and emotions associated with an interaction that has been occurring 'now and here'. The group guideline, which was composed by the researcher, was distributed and the explanation was given to the students. After that, students were told to read the guideline and to discuss on that. Training for sharing feelings 'now and here' and making a rule were followed by. The effect of pretraining using group cohesion test and self-disclosure test has been measured at 4 stages; prestage - initial stage - mid stage - later stage. Pre 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has carried out as pretraining before the pregroup was implemented and for the control group, it has been carried out right before the group counseling was implemented. In addition, sinc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consisted of 6 sessions, the pre test has been carried out after 2nd session (initial stage), 4th session (mid stage), and 6th session (later stage).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util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that has not experienced pretraining, the group that has experienced pretraining had the following results, a) its group cohesion on the initial stage has been more increased statistically in a meaningful way at the significance level 0.01, (b) its group cohesion has also more increased statistically in a meaningful way at the significance level 0.01, (c) its self-disclosure on the initial stage has showed the tendency of more increasement statistically in a meaningful way at the significance level 0.01, and (d) its self-disclosure has been more increase statistically in a significant way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Therefore, by implementing the pregroup that is one of the particular forms of pretraining, this study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the increment of group cohesion and self-disclosure, which is a process factor of variation and a performance factor of variation at the same time, got higher on the intial stage and over whole stage. This result shows that pretraining leads the group counseling more effective.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ce in this study is that it has verified that the need and efficiency of the general pretraining that allows the participants to adapt well to pretraining before it is commenc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group counseling. However, a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cused on the pregroup that has a highest efficiency among pretrainings, more activ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various pretrainings are required in the future. Also, in order to understand deeply how pretraining can be reflected on the efficiency of group counseling and in the process of group, it is needed to develop various and delicate measuring methods of performance and the measuring tool of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ss factor of variation.

      •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진향 숙명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implement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est its effects on their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shoul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be organized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Second,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awareness? Third,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guidance behavior?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model development procedure of Kim Chang-dae et al.(2017) and designed in a way to enable constant revision and review in total four stages of setting goals, organizing the program, doing preliminary research/enhancing long-term effects, and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several researches on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Children who raise dreams, parents who help, Jang Seok-min(2000), Kim Ji-hyeon(2007), which developed a career guidance program for children to target parents, Heo Eun-suk(2004),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simultaneous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on the career maturity and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e Hee-seong(2011), which developed a Holland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the career awareness of parents, and Cheon A-rong(2014), which examined the effects of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career support behavior of parent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Adult MBTI form M and its manual by Korea MBTI Research Institute, Simplified MBTI test for children, Holland MCI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Korea Guidance, and "Aro Junior Program" by CareerNet, all of which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 study. In addition, CareerNet's online test for vocational values, vocational cards, and their manual(Kim Bong-hwan et al., 2004) was used along with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video materials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total six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150 minutes. The subjects include total 35 parents that wished to participate in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arents' career education at S and M Elementary Schools in Cheonan City, Chungcheongnam Provinc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of 18 and the control group of 17. Tests on par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paired-sample t-test was performed for each condition to examine changes to the pre- and post-test measurements within each condition.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with d value of Cohen(1988). Finally, repeated-measure ANOVA was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changes of each condi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treatment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had clear effects. There was no voluntary improvement or accidental change in several variables to measure parents' career guidance behavior and career awareness for six week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offered positive assistance to the par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and helped the parents offer career guidance to their children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terest and ability of their children. It has implications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school or counseling so that parents expand their viewpoint of the career world that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utilize it in their career guidance for their children. In addition to these implication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y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학부모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부모의 진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셋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부모의 진로지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김창대 외(2017)의 프로그램 모형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1단계 목표수립, 2단계 프로그램의 구성, 3단계 예비연구/장기적 효과제고 노력, 4단계 프로그램의 실시와 평가의 총 4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으로 계속적인 수정과 검토가 이루어지도록 구안하였다. 초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장석민(2000)의 꿈을 키우는 자녀, 도와주는 부모, 김지현(2007)의 부모를 위한 자녀 진로지도프로그램 개발 연구, 허은숙(2004)의 부모-자녀 동시참여 진로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희성(2011)의 학부모의 진로의식 향상을 위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천아롱(2014)의 부모참여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과 부모의 진로지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한국MBTI연구소의 성인용 MBTI Form M과 매뉴얼, 자녀용 간이 MBTI검사, 한국가이던스의 Holland MCI 초등고학년용, 커리어넷의 ‘아로주니어 프로그램’을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 커리어넷 직업가치관 온라인 검사 활용, 직업카드와 활용 매뉴얼(김봉환 외, 2004), 한국고용정보원 초등학생 학부모용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6회기 회기당 150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 S초등학교와 M초등학교에서 학부모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총 35명을 모집 후 무작위로 실험집단 18명과 통제집단 17명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학부모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 검사를 실시하고, 각 조건 내에서의 사전-사후 측정치들 간의 변화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건별로 대응 표본 t 검증을 수행한 후, Cohen(1988)의 d 값을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조건 간의 변화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실험 집단에서는 사전-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실험 집단에 제공한 처치가 뚜렷한 효과를 보였음을 나타낸다. 부모 진로지도행동과 진로의식을 측정하는 여러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사전과 사후 사이에 이르는 6주의 시간 동안 자발적으로 호전되거나 혹은 우연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부모들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들이 자녀의 특성인 흥미와 능력을 고려하여 자녀의 진로지도를 하게 되었고 시대의 흐름에 변화하고 있는 직업세계에 대한 안목이 넓어져 자녀진로지도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학교나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사점이 있다. 이러한 시사점과 더불어 중, 고등학생용 프로그램 개발 등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상담자의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른 역전이 행동, 공감 및 작업동맹의 차이

        김소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of counselors results in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of counselors, and empathy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ounselors and their client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set: first, doe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lead to a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of the counselor? Second, doe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perceived by the counselor and client? Third, doe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make a difference in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the client?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the following procedure was carried out: as research subjects, counselors who are working in different regions of South Korea including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their clients who were of high school age and older were select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fter three sessions of counseling, and, as a measuring instrument,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empathy, working alliance questionnaires were used. A total of 130 pairs (2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counselors and clients were distributed. Among the 89 collected copies, 7 copies with inadequate response were excluded and 82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SPSS 23.0 was used to conduct one-way M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ccording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of the counselor(𝐹=12.00, p<.001).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perceived by the counselor according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𝐹=1.12, p>.05).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mpathy perceived by the client(𝐹=4.39, p<.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the client according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of the counselor(𝐹=18.97, p<.001).  In this study, career of the counselors, which can have an exogenous effect on the variables, was controlled when investigating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empathy, and working alliance accorrding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and suggested specific relevant results. Also, the study proposed meaningfu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that can help counselors and clients in counseling environment, and looked into variables that pretict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and counseling results, empirically demonstrating that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can lead to positive counseling resul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lead to meaningful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자의 역전이 행동과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각한 공감 및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자의 역전이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가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각한 공감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가. 셋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를 포함한 전국 지역에서 현재 상담을 하고 있는 상담자와 그들이 상담하는 고등학생 이상인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3회기 이후 상담이 끝난 직후에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로는 역전이 행동, 공감, 작업동맹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배포된 설문지는 상담자와 내담자 각 쌍으로 130부(총 260부)였으며, 수거된 89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무응답 문항을 포함하고 있는 7부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82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3.0을 사용하여 일원다변량공분산분석(One-way M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자의 역전이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𝐹=12.00, p<.001). 둘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자가 지각한 공감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으나(𝐹=1.12, p>.05), 내담자가 지각한 공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𝐹=4.39, p<.05). 셋째,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𝐹=18.97, p<.001). 본 연구에서는 각 연구변인들에 외생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담자의 경력을 통제한 후에, 교육분석 경험 유무에 따라 역전이 행동, 공감 및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담 현장에서 상담자와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 교육분석 경험의 필요성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분석 경험과 상담 성과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교육분석 경험이 상담에서 긍정적인 상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교육분석 경험에 따른 풍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