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실태에 관한 연구

        김상윤 영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2011 by the SPSS Statistic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of support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65-and-over age group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 of supporting activity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The sociological variable includes current residence, sex, age, marital status, type of family,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us, and total annual household income as its sub-variables; the support exchange includes emotional support exchange, physical support exchange, and financial support exchange as its sub-variables; the recipients of support include children cohabiting with parents, children not-cohabiting with parents, parents(of respondent and respondent’s spouse), and spouse. This study conducts the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the recipients of support, and support exchanges, and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variate analysis of multivariate analys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support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65-and-over age group. The verification results of research hypothesi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children cohabiting with parents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Second,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children not cohabiting with parents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Third,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parents(of respondent and respondent’s spouse)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Fourth,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spouse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Mose of the elderly are in economically difficult conditions by aging, physical decline, and retirement, and cannot equally exchange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s with their family members. It is not a family but a national and social issue. On the other hand, even the elderly with unfavorable sociological variables(low education, low income, older age) to survival are highly contributable to provide the emotional support for their family members, and provides the emotional support to other family members in the same frequency with them. The elderly cannot be emotionally satisfied by the national and social support as much as by their own family members who have been with them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other family members is the key to the emotional support. The society should provide voluntary helper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emotionally satisfy the elderly who has no family or is in a difficult condition to emotionally communicate with family members. The support for the elderly is already a significant social issue by low birthrate and aging. There should not be an one-way but be a two-way support for the elderly to resolve the social issue and reduce the support burden. 본 연구는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 의해 수집된「2011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차이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는 현 거주지, 성별, 연령, 혼인상태, 가구형태, 교육수준, 취업상태, 연평균 가구총소득 등을 하위변인으로 두었다. 부양 교환의 내용은 정서적 부양 교환, 신체적 부양 교환, 경제적 부양 교환을 하위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부양 교환의 대상별로 동거자녀와 비동거자녀, 부모(본인과 배우자), 배우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부양 교환의 대상, 부양 교환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다원다변량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입한 연구가설의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동거자녀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비동거자녀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부모(본인+배우자)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배우자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노화로 인한 신체적 쇠락과 은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라는 한계로 인해 노인과 가족구성원들 간의 신체적 부양교환, 경제적 부양교환은 대등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는 가정 안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국가와 사회 차원에서의 복지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반면에 정서적 부양의 경우 생존에 불리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저학력, 저소득, 고연령)을 가진 노인의 경우에도 오히려 가족구성원에게 부양을 제공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빈도수를 살펴보아도 부양교환이 거의 대등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가나 사회가 혈연관계로 이어져있고 많은 시간을 함께해온 가족구성원만큼 노인 개개인의 정서적 욕구를 채워주기는 힘들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서적 부양에 있어서는 노인과 가족구성원들과의 교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가족이 없는 노인이나 가족구성원과의 정서적 교감이 어려운 노인의 경우 봉사도우미나 사회복지시설의 도움을 받아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해주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저출산 · 고령화로 인해 노년층의 부양은 이미 사회적 문제가 되었고, 앞으로는 더욱 심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사회문제를 완화시키고 부양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노년층이 일방적으로 부양을 받는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쌍방향으로 부양이 이루어지는 호혜적 부양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전공과 직업일치에 따른 직무만족도

        손정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자료를 이용하여 전문대졸 이상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최종 전공계열과 현재 하고 있는 직업분야의 일치여부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전공과 직업 일치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과 노동시장 특성(고용안정성, 종사상지위), 전공계열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직업 일치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이항 로짓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적 특성과 노동시장 특성, 전공계열, 직업 일치여부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 일치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전공계열, 교육수준 등이 결정요인이 된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인문계열보다 타계열(사회계열, 공학계열) 전공자일수록 전공과 직업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고용안정성, 종사상지위, 직업 일치여부가 확인되었다. 여성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정규직일수록, 상용직일수록, 전공과 직업이 일치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고려한 직무의 특성, 기술, 조직구조, 직무유형, 보상체계, 근무환경 등 직무의 내․외적요인만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교육의 측면에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그러나 분석에 적용한 변수의 수가 적고 설명력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점에서 직업 일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경기침체의 정도와 실업률, 임금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분석틀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job match with regard to the major in college. And it examines the effects of job mismatches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job match, which is analyzed by binomial logit regression. The second step is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jor, personal characters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labor-market characters(job security, employment status) and job match on job match, this i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data used is the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main determinants of job match are majors in college and the level of education. The people majoring in the humanities achieve a lower job match than those with the non-humanities. Second,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re gender, age, the level of education, job security, employment status, and job match.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lower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people with a non-matching job achieve a lower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a matching one.

      • 社會學的 法槪念

        안성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19

        법개념은 법학연구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이다. 법사회학을 연구함에 있어서도 학문의 본질과 기초를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것이 사회학적 법개념을 연구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법개념 들이 등장하였지만 지배적이고, 확립된 법개념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법사회학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법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 사회학적 법개념을 연구함에 있어서 필요한 사회학적 또는 법학적인 전제 논의가 있다.1) 개념을 정의하는 방법과 그것이 법학의 개념 정의에 있어 어떻게 적용되는 지의 문제, 2) 사회학에서는 법도 하나의 사회적 사실로 보게 되는 바, 이와 관련하여 문제되는 법의 규범성과 사실성의 문제, 3) 연구 방법론으로서 실증주의적 방법과 규범주의적 방법 중 어떤 방법에 입각하여야 하는 지의 문제 등이 바로 그것이다. 사회학적 법개념에 관한 제 학설은 종차(種差, differencia specificia)에 의하여 일단 구별이 가능할 것이다. 즉, 법 이전의 사회규범과 법규범이 상이하다는 표지가 무엇인지에 관한 의문을 낳게 한 것이다.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은 오늘날까지도 까다로운 것이다. 막스 베버와 테오도르 가이거는 우리가 앞에서 보아 온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규정에 삽입하게 되는 강제력을 징표로 삼았다. 그에 대하여 에를리히는 인간이 필수 불가결하게 생각하는 규정으로서 인식되어지는 그러한 사회적 규범이 법이라는 승인설을 주장한다. 규범의 현실적, 사회적, 사실적 범례화의 합일성을 법의 표지로 끌어올릴 때 법조문 속에 어떤 異質의 내부적인 표지가 있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법규범이라고 루만은 주장하였다. 그 외에도 기능에 의하여 법규범이 다른 사회적 규범과 구별하려는 견해, 갈등의 조정 또는 지배세력의 정당성을 부여하려는 모든 규범을 법규범으로 보는 견해 등 많은 시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검토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법의 개념에 관하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현안문제가 있다. 그것은 첫째, 특정행위를 의무화하는 법의 구속성의 문제, 둘째, 내용, 개념, 가치에 있어 중복이 있는 법과 도덕의 차이의 문제, 셋째, 사회적 행위 및 법적 행위에 있어서 규칙이 지니고 있는 성질 및 역할이 무엇인가의 문제가 바로 그것들이다. 이중 세 번째의 문제 즉, 법의 기능의 문제가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시 된다. 그러나 종래에 강제설 또는 반응설은 이 점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 그리고 법을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로 "정의"의 관념을 본 논문에서 제시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정의는 상대적 정의를 의미하는 것이지 절대적 정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Eine Studie von Rechtsbegriff steht in nicht nur einer Anfangspunkt sondern auch einer Endpunkt von der Rechtswissenschaft. In einer rechtssoziologisch Untersuchung, ist es n tig, sich mit der Frage zu besch ftigen, was ist Rechtsbegriff. Es sind wohl zahllose Definitionen ber das Recht vorhanden, doch bis jetzt hat noch niemand eine auch nur allgemein berzeugende Begriffsbestimmung dessen, was Recht ist, geben k nnen. Ich bin immer auf dem Weg zur Suche auch einem sachdienlichen Begriff des Rechts. das Theme "Der soziologische Rechtsbegriff" wird in diese Absicht geforscht. Diser Untersuchung ist vorausgesetzt, da es wird rechts- und gesellschaftwissen-schaftliche Vorarbeiten studiert. Es mag wohl in begrifflichen Pragmatismus gelingen, einen Begriff in richtiger Weise zu definieren. In der Rechtssoziologie sollte man nicht eine Rechtsordnung als eines fehlerfrei logisch Normsystem vorstellen, sondern als eines besonderes gesellschaftliches Ph nomen. Wirft diese Feststellung sogleich und logisch zwingend die Frage nach der differentia specifica auf, das hei t nach den Merkmalen, durch die sich Rechtsnormen unterscheiden. Die Antwort darauf bereitet bis heute Schwierigkeiten. Nach Max Weber und Theodor Geiger ist das Recht, wie wir f hrer gesehen haben, durch den Zwang gekennzeichnet, mit dem seine Vorschriften notfalls durch werden. Wir sprechen deshalb von Zwangstheorie. Ihnen steht die Anerkennungstheorie von Eugen Ehrlich gegen ber, wonach Recht diejenigen sozialen Normen sind, die von den Menschen als notwendige Vorschiften anerkannt werden. Auf ein jedenfalls im Ansatz anders geartetes, inhaltliches Merkmal stellt Luhmann ab, wenn er die Kongruenz der zeitlichen, sozialen und sachlichen Generalisierung einer Norm zum Kennzeichen des Rechts erhebt. Au erdem das eigentliche Problem eines soziologischen Rechtsbsgriffs liegt darin, ob dieser pluralitisch oder monistisch gefa t werden soll, d.h. letztlich, ob nur das stattliche Recht diesen Namen ver dient, oder ob daneben auch andere Ordnungsgef ge als Recht bezeichnet werden sollen. In diesem Zusammenhang ist die antropologische Ansicht auch schon von Bedeutung. Am Ende ich habe drei Elementen vorschlagen, damit Rechtbegriff zu bestimmen. 1) Die Abgrenzung des Rechts, wie gesagt, von den anderen Sozialordnungen, d.h. Moral, Sitte, Konvention, Sittlichkeit, Gewohnheit, 2) Die Bindung des Rechts, die auf die wesentlich Frage richten, 3) Die gesellschaftlichen Funtionen des Rechts, n tig, Rechtbegriff zu definieren. Besonders, dritter Element ist f r die moderne Gesellschaft wichtig. In Zwangstheorie oder Reaktionstheorie sind die oben genannte drei Elementen nicht reflektiert. Ich will "die Idee der Die Gerechtigkeit" in meine Rechtsdefinition einbauen. Aber hier bezieht in der Gerechtigkeit nichts Absolutes, sie ist seiner Auffassung nach immer relativ, bezogen auf bestimmte gesellschaftlich Gegebenheiten.

      • 노동자의 불안·공포와 행위의 감정동학 : 외환위기 이후 노동빈민에 관한 감정사회학적 연구

        정수남 韓國學中央硏究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노동자의 행위를 감정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 급증한 비정규직노동자, 노숙인 그리고 신빈곤층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감정경험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노동계급의 행위에 대한 기존의 설명방식, 전통맑스주의적 접근, 합리적 선택이론 그리고 문화사회학적 접근으로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을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감정사회학적 관점은 행위가 합리성/이성이 아닌 감정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합리주의적 전통의 사회학적 접근과 다른 설명방식을 취한다. 본 논문에서는 합리성의 사회학적 시각에서 벗어나 주체의 감정경험을 중심으로 행위를 이해함으로써 행위의 이해지평을 넓히고자했다. 그리고 감정은 사회관계적 맥락에서 표출된다는 사회학적 이해를 발판으로 감정이 행위와 사회구조를 연계하는 매개고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기존의 감정사회학적 연구가 상당한 성과를 거두어왔지만, 이 연구들은 감정을 사회관계적 산물이나 문화적 산물로 여기는 데 그치고 만다. 이는 곧 감정은 매우 유동적이고 상황적이며, 맥락적이라는 사실을 간과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감정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고, 항상 사회관계적 맥락 속에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은 거시적인 사회구조적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여전히 미시사회학적 차원에서 머물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은 감정을 행위와 사회구조를 연결하는 고리로 설정하여 감정의 사회구조적 속성을 밝히고자 했다. 한편 감정은 특정한 대상을 지향하기도 하지만 행위를 연속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특정한 시간성을 배태하고 있다. 감정의 시간적 속성은 감정과 행위를 이어주는 중요한 변수로서 행위의 결과를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노동자의 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전략으로 감정의 사회적 발생메커니즘과 행위의 감정동학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는 감정의 거시사회학적 전략으로서 특정한 감정이 발생하는 사회적 메커니즘과 그것이 형성하는 감정적 분위기를 분석을 위한 개념장치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행위를 유도하는 감정적 에너지와 행위가 연속적으로 가능하기 위해서 감정이 행위의 배후에서 작동한다는 논의를 중심으로 행위의 감정동학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전략에 입각하여, 제3장에서는 외환위기 이후 노동자들의 불안과 공포가 발생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요컨대, 신자유주의의 심화는 많은 노동자들을 불안하고 빈곤한 노동자로 전락시킴으로써 고용불안, 실업공포 그리고 미래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을 이전 시기에 비해 훨씬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자본과 국가의 노동통제가 더욱 합리적인(?) 방식으로 행사되면서 노동자들에게 강압으로부터 오는 공포를 유발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상황은 노동빈민들이 불안과 공포를 개인화함으로써 사회적 압력에 저항하는 경향보다는 사회 속에서 치열한 경쟁을 통해 성공을 추구하는 분위기를 낳았다. 게다가 불안정하고 빈곤한 노동자들에게 미래전망에 대한 신뢰를 부여하는 사회적 안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이들 대부분이 불안과 공포분위기 속에서 삶을 살아가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그런데 이러한 불안·공포분위기가 노동빈민의 삶의 전반을 지배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모두 동일한 행위를 표출하지 않는다. 이들은 계급적 기반을 공유하고 있지만, 이들이 표출하는 행위는 계급적 차원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떤 요인이 이들의 행위를 다양하게 만드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노동자들의 불안·공포가 지향하는 대상(자아/사회)과 시간적 차원(과거/미래) 그리고 행위의 배후에서 작동하는 감정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행위경향성이 나타났다. 우선, 불안과 공포를 사회나 적대자를 상대로 외사함으로써 저항하는 노동자들의 행위의 감정동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비정규직노동자들은 자본과 국가는 물론 정규직노동자들로부터 억압과 차별을 받으면서 권력결핍과 지위박탈에서 오는 불안과 공포를 경험한다. 그리고 이들로부터 받는 사회적 차별과 무시는 인격적인 굴욕감을 증폭시킴으로써 분노를 야기하는 상황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분노는 사회관계적 맥락에서 도출된 감정이기 때문에 특정한 대상을 향한다. 그래서 분노를 공유하는 감정집단으로서 비정규직노동자들은 집합적 저항을 위한 연대를 도모하여 자본과 국가 혹은 정규직노동자들을 상대로 투쟁을 일삼는다. 그리고 이러한 계급분노는 계급 내적으로 노동자들 간의 연대를 해체시키는 감정적 에너지로도 작동한다. 그러나 노동자들의 저항은 분노만으로는 지속되기 힘들다. 노동자들의 투쟁은 단순히 개별적인 이해관계를 관철시키려는 목적을 넘어 동료들 간의 우애, 사랑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작동할 때 지속적으로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투쟁은 궁극적으로 사회적 존재로서 도덕적 정당성을 회복하기 위한 인정투쟁으로 이어지는데, 여기에 강하게 작동하는 배후감정은 바로 도덕감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들은 사회변혁을 기대할 수 있는 감정적 에너지로 작용한다. 두 번째로, 노동자들의 불안·공포가 외부의 대상으로 향하지 못하고 자아의 내면세계로 향하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유형의 노동자들은 자신에게 불안과 공포를 가져다준 외적 대상에 맞서 저항하지 못하고 두려움과 압박감 속에서 살아간다. 이들의 행위는 무력감을 토대로 하여 순응과 예속의 형태로 표출된다. 그러나 이들의 순응은 사회변혁의 차원에서는 소극적이지만 현 체제에 적극적으로 순응한다는 차원에서 개인적 야망이라는 배후감정을 토대로 작동한다. 이 때 야망은 미래지향적이지만 개인적 차원에 머물기 때문에 사회변혁의 가능성을 내포하지 않는다. 이들은 노동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불안과 공포를 내사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무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기계발과 자기이익의 획득에 전력을 다한다. 결국 이러한 행위의 감정동학이 초래하는 사회적 결과는 노동자들의 적극적인 사회순응이라고 볼 수 있다. 세 번째로 노동시장 혹은 사회로부터 배제되어 탈빈곤에 대한 전망을 거의 상실한 노동빈민의 행위의 감정동학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전형적인 노동빈민으로서 노숙인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탈빈곤을 위한 사회적 권력과 자원을 갖고 있지 못하고, 사회적 배제의 영역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빈곤으로부터 오는 불안과 공포를 외사할 수 있는 가능성도 매우 낮다. 따라서 이들은 불안과 공포를 자아에게 투사함으로써 무력한 자신을 발견한다. 그리고 이러한 무력감은 체념을 동반하면서 자신이 처한 상황을 극복하기 보다는 회피하려는 행위로 드러난다. 회피는 무력감과 체념을 배후감정으로 표출되며, 이러한 감정이 연속적으로 작용함으로써 퇴행으로 이어지게 된다. 퇴행은 행위가 과거지향적인 속성을 띠게 되는데, 여기에 강하게 작용하는 감정은 바로 수치심이다. 이들은 자신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수치감을 강하게 느끼지만, 그러한 상황을 초래한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수치심을 내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내사된 수치심은 죄책감을 동반하면서 노숙인으로 하여금 미래지향적인 행위를 어렵게 만들고 행위를 과거에 묶어 둔다. 결국 이들은 과거지향적인 삶을 살아가면서 후회와 자책감 속에 점점 자포자기 상태에 이르거나 구호물자에 의존하는 삶을 습관화한다. 끝으로 수치심을 외사하는 노숙인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자신의 현 상황이 외적 조건 때문에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들은 자신의 개인적 실수보다는 사회구조적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상황이 자신을 빈곤으로 내몰았다고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이들은 사회적 시선 때문에 수치심을 경험하지만, 그 수치심을 부정하기 위한 감정적 행위를 표출한다. 그것은 주로 화를 통해 표출되는데, 이 때 화는 감정적 차원에서만 작동할 뿐, 행위를 이끌어내는 동력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유형을 필자는 비행위라고 개념화하였는데, 이는 ‘행위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은 자활을 통해 사회적응을 시도하려고 하지만 이들의 미래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행위는 미래지향적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대를 하지 않는 현실순응적 혹은 과거지향적인 차원에 머물러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노동자의 행위가 감정을 토대로 발생하는 다양한 맥락들을 살펴봄으로써, 노동자들의 행위를 이해하는 지평을 확대하고자 했다. 신자유주의 시대 불정한 노동자들은 불안·공포분위기 속에서 저항, 순응, 회피, 퇴행 등의 다양한 행위들을 전개해나가면서 사회적 삶을 살아가고 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행위들은 노동자들이 합리적인 판단이나 문화적 상징체계에 토대를 두고 있다기보다는 상황적 맥락에 따라 표출되는 감정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감정사회학은 감정적 전환을 통해 행위를 이해함으로써 합리성의 사회학이 남겨놓았던 영역을 들여다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주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tions of workers in a perspective of sociology of emotion. Especially, this focuses on part-time or non-regular workers, the homeless and the new poor who increased rapidly after economic crisis and understands their emotional experiences. This attempt is likely to explore a new area which cannot be understood by the existing ways such as traditional Marxism, rational choice theory and the sociology of culture, to explain workers' actions.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emotion i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existing sociology of rationality because it believes that actions base on emotions not rationality or reason. This study try to makes it understand actions around emotional experiences of subject beyond sociological perspective of rationality. And based on the fact that emotions are expressed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 this study emphasizes emotions play a important role as parameter linking action with social structure. In spite of a considerable result of the existing works on sociology of emotions, they only regard emotions as the product of social relation or culture. However, it could be seen as the result of ignoring that emotions are so liquid, situational and contextual.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fact emotion is not result but process, and it always exists in social-relational context. And the given studies still stay in the micro-sociological level not by reflecting macro-social structural situation well. To overcome these limits, this study try to make it clear a social-structural attribute of emotion as parameter linking action with social structure. Meanwhile, in a respect that emotion makes action possible to sustain emotions aim at particular objects, but specific temporality is inherent in them. A temporal attribute of emotion as key parameter linking emotion and action is important to predict result of actions. In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mechanism of emotion and emotional dynamics of actions as theoretical strategy to understand worker's action. This means conceptual tool to analyze social mechanism of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 following emotional climate as macro-sociological strategy of emotion. And this study suggested emotional dynamics of actions around the discuss that emotional energy leading to action in the interactional process and background emotions to sustain actions operate. Though the above discuss, we reach the following results. Based on this theoretical perspective, chapter 3 aim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of social emotion of workers in the macro-sociological context. Since the 1997 economic crisis, the neo-liberalism labor market has expanded as a large portion of labor force underwent a transition to become non-regular workers which ultimately led to a fall in their income level. However, to upheaval social change, the social safety system stands at the edge of risk as it creates anxiety/fear because of unemployment, poverty and uncertainty to future for workers. In turn, anxiety/fear arises in the context of uneven power-status relation betwee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s well as uneven class relation between capital/state and the working class. In this process, action resulted in anxiety/fear of non-regular workers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resentment as extrojected fear and the other is conformity as introjected fear. In the former, there is a definite object of resentment and resistance is strong against capital/state with collective force arising out of interaction with background emotion known as the ‘feeling of solidarity as moral sentiment’. Whereas in the latter, the object of resentment is ambiguous and the workers conform to given situation by internalizing their anxiety/fear without organized force. Here, the conformity is based on background emotion of resignation and lethargy. To explain it concretely, chapter 4 assert that not only unstable life and social disrespect due to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capitalism leads to class resentment but also business cycles such as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result in class resentment among the same working class. This will make up the weak points in traditional class theories. we emphasize that class resentment is the emotional dynamics for recognition struggles as well as important motives in human society to acquire social rights and recognition. And class resentment not only maintains the sense of solidarity but also leads to moral justification to be accompanied by background emotions such as fellowship, love, hope, and moral emotions in the process of a class struggle. Second, we explore the case that anxiety/fear of workers is internalized in self not society. This workers live under fear and oppressive feeling without resisting against the external object to give anxiety/fear to them. Their actions are expressed in the form of conformity and subordination based on a feeling of helplessness. But their conformity could be seen passive action in the level of social change but positive action in a sense of conforming to the given regime. And their positive conformity is based on background emotion of personal ambition. This ambition is future-oriented but doesn't have a possibility of social change. They try to survive in the labor market by internalizing anxiety/fear, but ultimately they do their best to survive in limitless competition through self-development. Third, chapter 5 aims to analyze emotional dynamics of working poor to lose vision to free themselves out of poverty. One of representative samples is the homeless. They have no possibility to externalize anxiety/fear without having social power and capital to overcome poverty. Therefore they find helpless self by introjecting anxiety/fear and express action to avoid their own situation with resignation. This avoidance is based on background emotion of resignation, and this emotion leads to regression. Regression has a past-oriented attribute with companying shame. They feel shame on their own situation and tend to internalize shame because they believe that such a situation comes from themselves. Moreover, companying guilty, this introjected shame makes the homeless hard to act future-oriented action. Therefore, they live in past-oriented lives, regrate in guilty and fell into despair. Finally, we explore the homeless who extroject their shame. They believe that their current situation is generated by external environment. They feel shame through social prejudice but express denied shame. This shame is expressed by anger. However, the anger is only operated in the emotional level, but doesn't lead to the energy for the action. We define this action as unaction which means 'cannot act.' Nevertheless, they try to adapt to society through self-support but their future is limited.

      • 고등교육 기회 확대에 따른 여성의 기회 지분 변화 분석 : 1967~2017 서울대학교 전공별 입학 추이 분석

        김영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18

        This study sheds light on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in Korea. Although it is assumed that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 no longer exists in Korea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it can be argued that women do not yet have true equality in education if other measures of equality are considered. This study distinguished between formal equality, which highlights access to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substantive equality, which focuses on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Utilizing the Statistics Yearbook of Education and data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 top-tier university in Korea) from 1967 to 2017, the rate of female college enrollment was reviewed as a measure of formal equality, and the gender distribution within college majors was reviewed as a measure of substantive equality. It was found that formal gender equality has been achieved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The number of women who entered college has increased over the last 50 years, and the evidence is clear that women have equal access to and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omen accounted for over 40% of freshmen in 2017, which is a considerable increase from 13.4% in 1967. However, despite this impressive progress in terms of formal equality, substantive equality appears to have lagged behind . A significant level of gender segregation between college majors was observed, with women tending to major in nursing, human ecology (e.g., consumer science and food and nutrition), and fine arts and to be underrepresented in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In terms of trends over time, it was also found that, from the mid-1960s to 2017, the proportion of women majoring in humanities, social science, pharmacy, law, and business increas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oice of college major by women tends to reflect traditional gender role perspectives. Women appear to preferentially select majors that reflect supposed female characteristics, such as subjectivity, flexibility, uncertainty, and care and avoid traditionally masculine majors, which are characterized as being objective, rigid, and rational. However, some majors exhibited a clear change in gender composition, particularly pharmacy and law. More women are entering these majors because the labor market situation for these fields has improved, and the jobs associated with them have started to be considered equally suited to women. This means that, although more women have the opportunity to gain higher education, their choice of major is still based on socially constructed gender roles. For further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choice of major by the different genders be researched in more detail by investigating social and historical factors in Korea. It is also necessary to discuss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in terms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how to achieve different measures of equality. 이 연구는 고등교육 기회배분의 성 격차에 주목한다. 한국 사회에서 2000년대 들어 교육 연한의 남녀 격차가 줄어들자, 고등교육 기회배분에서 성 불평등은 사라진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여전히 남녀의 교육 경로와 교육 이력이 다르게 나타나고, 고등교육 기회를 발판으로 얻게 되는 생애 기회에서 남녀 격차는 사라지지 않았다. 특히 대학에서의 성별 전공 분리는 아직까지 뚜렷하게 남아있다. 이는 성별 교육 기회 격차가 취학이 아닌 다른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교육 기회를 양적인 차원과 실질적인 차원으로 분류하여 고등교육 기회배분의 성 격차를 논의한다. 이 연구에서 양적인 차원의 교육 기회는 교육 기관에 진입(취학)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실질적 차원의 교육 기회는 교육 기관 진입 후의 교육경험을 좌우하는 전공(학과)으로 규정한다. 1967년에서 2017년 사이 한국 여성이 가져온 고등교육 양적이고 실질적인 기회의 지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대학과 대학, 그리고 서울대학교의 전체 입학생, 계열별(단과대학별), 학과별(전공별) 입학생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를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고등교육 기회가 남녀에게 균등하게 배분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의 고등교육 기회는 양적 측면에서 성별로 균등하게 배분되고 있다. 고등교육 기회의 팽창 과정에서 여성은 전문대학과 대학에서 괄목한 만한 교육 기회의 확대를 경험하였고, 서울대에서도 1967년에 비하여 2017년 여성 입학생 비율이 3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실질적 의미의 교육 기회로서 전문대학과 대학, 서울대학교의 전공기회는 남녀에게 균등하게 배분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대부분의 전공에서 여성 입학생 비율은 증가한 것이 분명하지만, 그러한 변화가 동일한 수준으로 일어나지 않았다. 여성은 계속하여 간호대학, 생활과학대학, 예술대학에서 70%를 넘는 기회 지분을 가져가고 있고,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에서 20% 수준에서 기회를 가져가고 있었다. 셋째, 1960년대 중반부터 2017년까지 여성의 고등교육 기회 지분은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약학대학, 법과대학, 경영대학 등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전문대학과 대학, 서울대학교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여성의 전공 결정 양상은 전형적인 성 역할 인식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여성은 전통적으로 여성성(주관성, 유연성, 불특정성, 돌봄)이 강조되는 전공에 높은 수준으로 진입하였다. 반면 남성성(객관성, 엄격함, 이성적)이 강조되는 전공에서 여성은 계속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전형적인 성 역할 인식에 따른 전공 결정은 같은 계열 내의 학과들 간의 여성 비율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기계공학과 건축학). 남성 중심에서 여성 중심으로 젠더화한 전공(약학이나 법학)은 노동시장에서 남성과의 동등한 경쟁, 육아와 일의 병행 등을 고려한 여성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전공별 남녀의 고등교육 기회배분 실태는, 여성에게 고등교육 취학의 기회가 열렸다고 하여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기회를 누린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확인시켰다. 고등교육 기회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전공 결정 양상은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성 역할 인식(젠더 인식)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사회적으로 인식되는 학문의 위계를 엄밀하게 따지지는 않았으나, 인문학과 예술 분야에 대한 공학과 과학 분야의 상대적 우위를 고려하면 성별 전공 분리의 양상은 고등교육 기회배분에서 성 불평등의 구조가 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남녀가 전공 영역에서 얼마씩의 지분을 나누어 가져야 균등한 상태에 도달했는지에 대해서는 합의된 바가 없지만,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여성이 전형적인 성 역할 인식에서 벗어난 교육적 선택을 하고 있지 않음은 분명하게 알 수 있다.

      • 美國 敎育社會學 發達에 관한 一硏究

        김종무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국내석사

        RANK : 248703

        A knowledge of the development of sociology of education in the historical sense is essential for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many problems that presently confront the field of study, and such knowledge can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s that have been developed within the disciplin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trends of the development of American sociology of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discipline. Conclusions in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America,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had been implicitly guided by a few basic ideas growing out of the more general culture. Chief among these paradigms is Progressivism. The sociology of education, then known as educational sociology, developed and became academically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Progressive era. Founders of the discipline were people such as C.C. Peters, W.R. Smith, C.A. Ellwood, E.G. Payne, R.L. Finney, and D. Snedden. Through the Journal of Educational Sociology established in 1927, they argued for a scientific sociological study of schooling. The discipline competed with the more empirically established educational psychology for academic legitimacy. Gradually it took on the appearance of science and abandoned its explicit tone of social reform, changing its name to the academically more prestigious "sociology of education". The founding of the journal, "Sociology of Education", in 1963 may be seen as an attempt both to integrate the subject with the larger concerns of sociology and to benefit from the growing prestige of the parent discipline. Nevertheless, the basic assumptions in the field during the past forty years have continued to reflect Progressive origins. Work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has centered on these three ideals: equality as meritocracy, bureaucracy for social efficiency, and faith in scientific knowledge. But in the 1970s, conflict theorists have challen ged each of these ideals. They were people such as S. Bowles, R. Collins, and H. Gintis. In the 1970s, conflict theory extended its influence in sociology of education. The past functionalistic work was reexamined and the results of new work continued to appear. Conflict theorists have developed a view of education that constitutes a comprehensive alternative to both functionalism and methodological empiricism and that has made inroads into undergaduate curricula and doctoral programs in the economics and sociology of education. Perhaps now, after the social turmoil of -the past decade, The discipline has changed and begun to reflect more than one side of the social and intellectual conflicts of the present times.

      • 중국의 한류(韓流) 발전추세에 관한 연구

        석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paper aims to study empirically the Korean Wave generation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China targeting the local Chinese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For this, we have rai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rating scale,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untry, gender, family-specific, grade level, expenditure per month) of the Korean Wave? Seco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and the survey,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overall evaluation and changes in daily life for the Korean Wave? Third, what is the overall assessment and changes in the daily lives of Korean Wave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Korean Rating Scale (entertainment industry, music, food, products, changes in everyday life, Korean appearance). We hav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by the hypothesis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First, in the recognition evaluation of Korean Wave, Korean humanities majors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academic majors in all rating scales. And in the case of the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music, local college students living in Korea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hina. In the case of Korea and the evaluation of Korean products for appearance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Second, in the case of the overall evaluation of Korean Wave, Korean women as compared to men, humanities majors were more able to find that each higher rating than social science majors. Compared to women and men in relation to the everyday life-changing, humanities majors have been able to find more compared to the social science majors that experienced a change of life according to the Korean Wave. Third, in the decision of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y and rating scales of Korean Wave, the students in the humanity majors with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evaluate the entertainment industry to a greater degree. And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and majoring in the humanity majors, could be found that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the more they evaluate the importance of music. Fourth, in the decision of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the overall assessments and rating scales of Korean Wave, the person who evaluates the more highly the entertainment industry, musician in Korea, Korean food and products; the more highly evaluates the overall evaluations of the Korean Wave. Finally, in the decision of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the Korean rating scale and changes in everyday life, the student who majoring Natural science Department and the more highly evaluates the Korean music, food, Korean appearance the more experiences the change of everyday life. 본 논문은 중국 현지 대학생과 한국 체류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의 한류 발생과 발전추세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국가별, 성별, 계열별, 학년별, 월지출별)에 따라 한류의 인식평가 척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국가별뿐만 아니라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한류에 대한 총체적 평가와 일상생활의 변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한류평가 척도(연예계, 음악계, 음식, 상품, 일상생활의 변화, 한국인의 인상)가 한류의 총체적 평가와 일상생활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는 연구모형에 따른 가설검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모든 평가척도에서 인문학 전공자들이 여타 학문 전공자에 비해 한류의 인식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음악계의 중요성 평가의 경우 중국 현지 대학생에 비해 한국 거주 유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 상품과 한국인의 인상 평가의 경우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류의 총체적 평가의 경우 여자들이 남자들에 비해, 인문학 전공자들이 사회과학 전공자에 비해 각각 더 높게 평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상생활 변화와 관련하여 여자들이 남자들에 비해, 인문학 전공자들이 사회과학 전공자에 비해 한류에 따른 일상생활의 변화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한류 평가 척도 간 인과적 관련성 검정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으로 인문학계열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연예계를 더 중요하게 평가했다. 그리고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이면서 인문학계열을 전공하며, 월평균지출이 높을수록 음악계를 더 중요하게 평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한류평가 척도와 한류에 대한 총체적 평가 간의 인과적 관련성 검정에서 한국 연예계, 한국 음악계, 한국 음식, 한국 상품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일수록 한류의 총체적 평가를 높게 평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류평가 척도와 일상생활 변화 간의 인과적 관계에서 자연·공학계열 전공 학생이면서 한국 음악계, 한국 음식, 한국인 인상을 각각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일수록 일상생활의 변화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다원주의사회에서 문화자본과 문화성향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영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87

        이 연구의 목적은 다원주의사회를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 개인은 세계시민의식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며, 세계시민의식의 함양을 위해 문화자본과 문화성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에 있다. 연구대상은 사회활동을 앞두고 있는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국내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과 내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국적에 따른 비교를 위해 동아시아, 아프리카 등 여러 지역의 다양한 국적의 학생을 포함하였다. 이 연구는 정량적 연구로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65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문화자본, 문화성향, 세계시민의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계량적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ㆍ인구학적 요인(학년, 전공, 국적)에 따라 문화자본, 문화성향, 세계시민의식의 수준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문화자본의 경우 한국이 포함된 동아시아 그룹이 가장 낮았고, 아프리카 그룹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부생에 비해 대학원생의 문화자본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전공에 있어서는 국제개발 관련 전공자들의 문화자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자본은 교육기간과 내용뿐만 아니라 각 국가의 사회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화성향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개인의 세계관이자 가치관이라 할 수 있는데, 학부생에 비해 대학원생의 수평적 집단주의가 높게 나타났고, 전공에 따른 구분에서는 국제개발 관련 전공자들의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국적에 따른 구분에서는 아프리카 그룹의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문화성향에 있어서 수평적 집단주의와 대비되는 성향은 수직적 경쟁주의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 세계시민의식의 향상을 위해서는 수평적 집단주의와 함께 공동체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수직적 개인주의 성향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분석된 세계시민의식은 좁은 의미에서 개인이 가진 인식만이 아니라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 자격 즉 멤버십과 같은 의미로 세계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격요건과 같은 것이다. 세계시민의식에는 역량(지식, 기술)과 참여(행위)의 요인이 모두 필요하다. 세계시민의식은 학년별 구분에서 대학원생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전공에 있어서는 국제개발 관련 전공자들의 세계시민의식이 높았다. 국적별 비교에 있어서는 한국이 포함된 동아시아 그룹의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세계시민교육을 통해 현 시대가 요구하는 세계시민적 역량과 활동에 대한 교육적 모색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문화자본과 문화성향이 세계시민의식 수준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자본의 하위요인인 태도, 활동과 문화성향의 하위요인 중 수평적 집단주의가 세계시민의식의 네 개 하위요인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문화성향 중 수직적 경쟁주의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은 모두 세계시민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수평적 집단주의를 지향하되, 세계시민으로서 역량강화를 위해 발전을 지향하는 수직적 개인주의도 세계시민의식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문화자본과 세계시민의식의 인과관계에서 문화성향의 하위요인 중 수평적 집단주의 가 세계시민의식의 수준 향상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주목한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이 세계시민의식 수준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타인과의 공존을 기본가치로 두되 동시에 개인의 역량강화를 추구하는 수직적 개인주의도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세계사회를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 각 개인에게 세계시민의식은 필요한 자격요건이며, 문화자본과 문화성향이 세계시민의식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세계사회에 대한 문제의식과 함께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연구로서 다양한 국적의 연구대상을 선정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드물게 나타난 아프리카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저변 확대를 위해서 정량적 연구와 더불어 정성적 연구 또한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정성적 접근에 기초하여 비교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때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론적 규명이 보다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협력과 공존이 요구되는 세계사회에서 세계시민으로서 사람들에게 필요한 요인은 무엇이고, 국제개발협력과 접목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후속연구를 통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