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서비스 욕구와 만족도 관계의 변화궤적 : 네트워크 중심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병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4415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서비스 욕구와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에서 네트워크 중심성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는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출발, 사례관리의 도입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성과가 나타났지만 동시에 문제점도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가 주민의 욕구에 대응하고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런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수행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세 요인의 종단적 관계를 제한적으로만 밝히고 있을 뿐이다. 핵심적으로, 이론적 편향, 정태적 방법론 적용, 단편적인 네트워크 고찰 등이 발견된다. 이런 한계의 대안으로 수요자 입장, 종단적 연구, 관계와 구조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론적으로 욕구이론, 사회 네트워크 이론, 삶의 질과 품질이론을 검토하였다. 연구설계로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잠재성장모형,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중심성을 파악하기 위해 2-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였다. 조사대상은 가구주인 주민이며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5차 년도를 활용하였다. 변수로서 독립변수로 복지서비스 욕구, 매개변수로는 네트워크 중심성, 종속변수는 만족도이다. 자료분석은 SPSS 20.0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UCINET을 활용하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고 AMOS 19.0으로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결과, 복지서비스 욕구, 네트워크 중심성은 5년 동안 약간씩 증가하였지만 만족도는 감소 후 증가추세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에서 욕구와 네트워크 중심성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욕구와 만족도, 네트워크 중심성과 만족도는 낮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세 변수의 종단적 관계에 대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검증한 결과 자기회귀효과와 교차지연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세 변수의 관계에서 선행변수 여부와 종단적인 상호관련성을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세 변수 각각을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유위미한 변화궤적이 나타났다. 욕구와 네트워크 중심성은 지속적인 증가 경향이 나타났다. 다만 만족도의 경우 감소 후 증가 추세가 나타나서 선형적인 변화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욕구와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에서 네트워크 중심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매개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욕구와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에서 네트워크 중심성이 매개하여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으로, 기존 연구와 구별하여 네트워크를 연구함에 있어 종단적, 관계와 구조, 수요자 중심의 관점이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욕구, 만족도,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반면에 비판적으로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철학과 가치의 재성찰을 통해 패러다임의 전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와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을 재검토해야 한다. 실천적으로, 효과적인 네트워크 전략을 위해서 사회복지실천 개입방법의 비판적 검토와 방향 재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복지에서 욕구와 만족도의 과학적 개발과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가 수요자 입장인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지역사회복지 네트워커로서 주민 역량강화의 적합한 방법과 수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방법론적으로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 네트워크 방법의 개발과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정책적으로, 국가와 지방정부에서 실시되는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전략적인 개혁과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혁신이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의 관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diate effect of network centrality with a trajectory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for welfare service and satisfaction in community. Because of changes in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e formation of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and the introduction of case management, the community welfare network has recently expanded in Korea. Although there are outcomes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networks, a problem is beginning to appear at the same time. Based on this viewpoint, investigation into the mediat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and satisfaction in network centrality must be continuously conducted. This study was limited to a review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three variables in the previous study. Mainly, the limitation of existing research is that it holds a theoretical bias, utilizes static methodology, and has an oversimplified consideration of the social network. Alternately, this study suggests an approach with a client-oriented viewpoint, longitudinal research, and holds a perspective of relationships and structure in the social network.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design includes the Auto 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and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 Two-mode network analysis in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network centrality. This study defined a resident as service users of households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06 to 2010. The variables of this study are the need for welfare service as independent, network centrality as mediate, and satisfaction as depende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frequency, descriptive, and correlation with SPSS 20, the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Ucinet, and the latent growth model with AMOS 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need and network centrality rise in five waves, while satisfaction demonstrated a tendency to increase differently after a decrease. In correlation, it was found that need was both highly and positively related to network centrality and need and network centrality correlated negatively to satisfaction.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significant findings were attributed to the auto regressive effect and the cross-lagged 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through the Auto 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is result has proven leading variables and longitudinal interrelations meaningfully. Thirdly, the trajectory of the thre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with the latent growth model. Need and centrality continuous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had a tendency of rising after a period of falling. In this respect, the trajectory narrowly estimated to the linear change of three variables. Lastly, a partial mediate effect of network centrality in relations between need and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as the best-fitting model. In spite of being a significant model, network centrality had a negative mediate effect on satisfaction.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found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below.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constitute meaningful perspectives on relation and structure, longitudinal studies, client- centered approaches for social networks. This research was explained by a theoretical model on need, community welfare network, and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Critically, the author suggests that we need to change the paradigm through reflexivity of value for the social network in the community. The principles on the delivery system and the social network for social welfare have to be reviewed alternatively. The practical statements are related to a critical review and establishment of direction in social work practice to utilize the social network effectively. The study proposed scientific development, management of need and satisfaction in service. Because it was a client-oriented approach in the study, residents as networkers for community welfare, should be empowered through more suitable service. The social network must be applied to systematic intervention in social work practice. This study suggests the adoption of a new research perspective with a two-mode network in the field of social networks, more specifically in areas related to social welfare. The implication on social welfare policy is the strategic reform of the delivery system for social welfare service and innova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e results suggest network management for improvement in the network's effectiveness.

      • 의료사회복지사의 가치, 지식, 기술과 임파워먼트의 관계 : 대인의사소통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지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4399

        최근 사회복지조직을 포함한 건강 및 휴먼서비스 조직에서는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하며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관리가 강조되고 있으며, 조직구성원들에게 높은 이상과 가치관을 심어주고 자율성과 창의성을 고취시키는 동기부여의 전략으로서 임파워먼트가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조직내 의료사회복지사가 임파워먼트를 달성하기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할 전문적 능력, 즉 가치, 지식, 기술의 영향력을 검토하고 전문적 능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개인 역량으로서 대인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지식, 기술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주 효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대인의사소통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전국 9개의 지부에 소속된 의료기관의 의료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3년 2월 1일부터 4월 초까지 진행되었다. 자료수집 결과 전국의 총 117개 의료기관에서 총 323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고 281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은 SPSS 20.0 윈도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기술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요 변수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은 독립변수인 가치, 지식, 기술을 전체로 분석하는 모형과 가치, 지식, 기술을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모형 등 두 가지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 모두 전체 임파워먼트와 임파워먼트의 세 가지 하위요인 등을 사용하여 총 4개의 회귀모형이 구성되었고, 4개의 회귀모형 모두에서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이고 있었다. 가치, 지식, 기술과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임파워먼트에서는 가치, 기술,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자기 임파워먼트에서는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에서는 지식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고,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서는 가치,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가치, 지식, 기술을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체 임파워먼트에 치료기술, 사회정의 가치, 팀 협력 지식,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임파워먼트에서는 치료기술,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고,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에서는 치료기술, 사회정의 가치, 팀 협력 지식이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서는 대인의사소통능력, 사회정의 가치가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고, 기록에 대한 지식은 그 수준이 높아질수록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의 수준이 낮아지는 부적(-)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두 번째, 독립변수인 가치, 지식, 기술과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에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독립변수인 가치, 지식, 기술을 각각 전체로 분석한 모형에서는 대인의사소통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독립변수를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모형에서는 자기 임파워먼트를 제외한 전체 임파워먼트,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서 대인의사통능력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대인의사소통능력은 사회정의 가치와 임파워먼트(전체 임파워먼트/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 기본권 존중 가치와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 팀 협력 지식과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의 관계, 기록 지식과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서 조절효과를 나타고 있었다. 즉, 대인의사소통능력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각각의 변수들이 가진 임파워먼트와의 관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례관리 기술과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는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임파워먼트를 하락시키는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론적인 함의로는 첫째, 기존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을 실천관계 로 확장하고 가치, 지식, 기술 등의 전문적 능력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그동안 개념차원에서 머물러 왔던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지식, 기술을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여 논의함으로써 의료사회복지사의 현실 속에서 적용하고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그동안 피상적인 수준에서 논의되어왔던 대인의사소통능력의 영향력을 실증적인 연구과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실천적인 함의로는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In a recen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cluding the health and human service organizations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to provide high quality of service in an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emphasized. Additionally empowerment is being presented as a strategy of motivation to instill high ideals and values inspiring creativity and autonomy to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competence - values, knowledge, skills and professional capability for social workers to achieve empowerment was examined and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personal capacity delivering and using the effective professional competence was confirmed. For this purpose, there was discussion about the main effect of values, knowledge, and skills of social work practice on empowerment.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was examine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from medical institutions belonging to nine branches all over the country from February 1st, 2013 to early April 2013. A total of 323 participants from 117 medical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281 replie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report. SPSS 20.0 window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is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ze were used to exam data. The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owed for the assessment of the variables’ effect on empowerment. It was conducted by two models; i) analyzing by independent variables, values, knowledge and skills, ii) analyzing by sub-factors, values, knowledge and technology. Two analyses formed a total of four regression models and there were significant explanations.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values, skill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empowerment from the assessment of values, knowledge, skill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a positive impact on self-empowerment significantly.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knowledge on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was represented and value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worker-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significantly. The analysis by values, knowledge, and skills as sub-factors showed tha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erapeutic skills, and social justice values, and knowledge of team performance positively influenced on empowerment significantly. Self-empowerment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rapeutic skill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erapeutic skills, social justice values, and knowledge of team performance had a positively impact on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In addition, worker-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was positively affected b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cial justice values.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of recording and worker-client change empowerment, that is, the higher level of knowledge of recording represented the lower level of worker-client change empowerment.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 values, knowledge, and skills in the study. Two models, analyzing each independent variable as a whole and analyz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sub-factors, also conducted this assessment. As a result,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empowerment,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work-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except for the self-empowerment has been proven the moderating effects in the model of analyzing the sub-factor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on social justice values and empowerment (empowerment,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work-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respect for basic rights values and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team performance and work-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and knowledge of recording and worker-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In other words, a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made an effect on stronger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ment and each variable. On the other h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se management skills and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om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i) the existing perception of empowerment was extended to the practice and the impact of professional ability, values, knowledge, and skills was empirically confirmed, ii) values, knowledge, and skills of social work practice have stayed the level of concepts, however, the study showed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values, knowledge, and skills on empowerment and the applying these to the reality of the medical social worker, and iii)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has been discussed in the superficial level, however,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future research to present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ver the rational study. Additionall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he social work practice fiel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clinical implications are i) social work values as well as knowledge and skills are important factors to accomplish empower

      •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연구

        한상미 가톨릭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34399

        본 논문의 주제는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이다.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사회자본은 관계를 통해 생성되고 관계를 맺는 사람들에 의해 공유되는 특징이 있으며, 그들을 서로 협력하고 응집하게 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도구를 개발하여 실천현장에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구축되어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을 분석하기(연구문제 2) 위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연구문제 1)을 선행하였다.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귀납적, 연역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측정 차원을 설정하였는데, 문헌연구 결과 사회자본의 구성 요소는 구조적 측면의 네트워크와 인지적 측면의 신뢰, 호혜성임을 알 수 있었다. 측정 차원은 교량형․결속형․연계형 네트워크, 호혜성의 비즉시성․비등가성․간접성 그리고 신뢰의 행동․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이 측정 차원을 토대로 2개의 포커스 그룹을 진행하였다. 토의된 포커스 그룹 내용을 분석하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58문항), 전문가들과 포커스 그룹 참여자들에게 피드백을 받아 수정함으로써 예비조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가 낮거나 응답률이 낮은 2개의 문항을 제외하고 본조사를 위한 척도 구성안을 확정하였다. 수도권에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700여명을 유의표집으로 선정하여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 총 43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24문항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문항변별력, 구성타당도, 기준관련 타당도, 변별력 검증 과정을 통해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척도는 사회자본의 구조적 측면 12문항, 인지적 측면 12문항의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문항의 전체 신뢰도 cronbach α는 .87 이다.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분석은 1) 사회자본 구성요소들의 관계 분석, 2) 구축된 사회자본의 유형화, 3) 사회자본 영향요인 분석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형성에 대해 이해하고 현재 구축되어 있는 사회자본의 특징을 파악하며 사회자본의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증진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의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보면, 교량형․결속형 네트워크와 호혜성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모든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조적인 측면․인지적인 측면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얽혀 있으며, 특히 인지적인 측면의 두 요소 모두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연계형 네트워크였다. 즉 연계형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 서로 신뢰와 호혜성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작용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을 균형적으로 발전,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들이 연계형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현재 형성되어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사회자본을 유형화하였다. 사회자본의 구조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유형화하고, 각 유형을 ‘형식적 교류형’(구조+, 인지- : 35.1%), ‘신뢰있는 교류형’(구조+, 인지+ :17.2%), ‘생각만 형’(구조-, 인지+ : 22.5%), ‘나홀로 형’(구조-, 인지- : 25.2%)이라고 명명하였다. 사회자본의 수준이 가장 높은 유형은 ‘신뢰있는 교류형’이고, 가장 낮은 유형은 ‘나홀로 형’이다. 또한 응답자가 가장 많은 유형은 ‘형식적 교류형’이고, 가장 적은 유형은 ‘신뢰있는 교류형’이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의 수준은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님을 유추할 수 있다.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사체 참여 횟수이며, 기관의 네트워크 활동 지원정도 그리고 기관의 최고관리자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의 순이었다. 사회복지사들이 공식, 비공식적인 모임이나 네트워크 참여가 사회자본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결과는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구성원들과 의사소통을 하면서 상대방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신뢰와 호혜성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관과 기관장의 관심과 지원이 사회복지사들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결과는 기존의 사회복지사들의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들과 같은 맥락이다. 이처럼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연구는 기존 네트워크 연구의 구조중심이라는 한계를 보완하고 인지적 축을 추가했다는데 이론적 의의를 갖는다. 그리고 사회자본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어 연역적, 귀납적인 두 가지 접근방법을 병행함으로써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했다

      •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

        송유미 대구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34399

        On the growth of modern society, the need to promote social welfar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modern society shows a tendency that social welfare organs are on the increase in number as well as the number of social workers. However, according to the sharp rise in demand of social welfare, social workers are exposed to job stress excessively due to additional duties, changes in work environment, or accumulated duties. Based on the special qualities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has effects not only on a personal matter, but also on the clients, social welfare centers, and by the large of local social welfare. Because social workers have an important role in kind service for client and increase of the effect and efficiency on social activities, there is the need to manage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From this view poi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by an adequate control of job stress and to manage the job stress effectively. To meet the objectives, role qualities, which are the factors of social worker at social welfare center, are divided into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And then, the effect of role qualities on the job stress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 and coping actions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s moderate effect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rom the study, the followings were obtained as results. First, among the role qualities, role overload and role conflict indicated much effect on the job stress against role ambiguity. Social supports showed much mor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cluding emotional support and means support, and internalizing method and direct action were used as coping actions to job stress. Second, among the role qualities of social workers,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showed much correlation and, between the social supports, emotional support and means support indicated extremely negative correlation. In addition, among the coping actions, role ambiguity showed extremely negative correlation to direct action and internalizing method, and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indicated much correlation to externalizing method. Job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coping actions, job stress indicated much correlation to externalizing method. Besides, job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direct action. Third, among the role qualities of social workers,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had effects on the job stress. Between social supports, emotional support played a role as a quasi moderator between role overload and job stress. However, means support did not play a role as a moderator between role qualities and job stress. Fourth, job stress had an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coping actions, direct action played a role as a pure moderator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externalizing method played a role as a negative quasi moderator. Fifth, role conflict showed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s and coping actions did not played a role as a moderator between role qualities and job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in the study,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to manage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in social welfare center with details. First, to prevent the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an improvement of organizing environment at social welfare center. Second, the management of job stress is desired by social supports of social workers and coping actions against job stress based on the organizing supports. Consequent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even though social supports showed effects on reduc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concerning role qualities, despite social supports, job stress was not reduced and job satisfaction was not increased, either. Therefore, to manage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effectively, improvement in organizing environment should be accomplished including supplement of the personnel and a work responsibility prior to the social supports. 본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사회복지사 346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역할과다가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직무스트레스를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를 포함하여 모두 높았고, 직무스트레스 대처행동은 내재화방법과 직접행동방법을 외재화방법과 회피방법보다 많이 사용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역할특성 중 역할갈등과 역할과다는 직무스트레스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 도구적 지지와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역할모호는 대처행동 중 직접행동방법, 내재화 방법과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역할모호와 역할갈등은 외재화 방법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 대처행동 중 외재화 방법, 내재화 방법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접행동 방법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역할특성 중 역할갈등과 역할과다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는 역할특성 중 역할과다와 직무스트레스간에 유사조절변수로 작용하였고, 도구적 지지는 역할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간에 조절변수로 작용하지 않았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 대처행동 중 직접행동 방법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간에 순수조절변수로, 외재화방법은 유사역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역할갈등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역할특성과 직무만족도 간에 조절변수로 작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 종합사회복지관의 조직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조직적 차원의 지원에 따른 사회복지사 개인의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인 대화 및 타협 등의 직접행동방법 사용, 대처행동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한 직무스트레스 조절이 필요하다. 끝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효과적으로 관리되기 위해서는 역할문제에 있어 사회적 지지 등을 제공하기에 앞서 인력충원, 합리적 업무분장 등 조직 환경의 여건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 취약집단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오봉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4383

        With crimes targeti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surging recently, news reports covering such crimes give vague fear not only to victims of crimes but also to everyone. In addition, many existing studies showed that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groups who are the recipients of maj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are physically and socially vulnerable to crimes, have higher fear of crimes. Given this, this study had interest in ‘fear of crime,' which exerts effect on the life quality of the groups, and ways to achieve community welfare. This study, therefore, tried to suggest community welfare practice intervention and role in order to reduce fear of crime amo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by comparing the groups' level of fear of crim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fear of crime. The study used the source material of Korean Crime Victim Survey in 2012 by Kim Eun-gyeong et al., in 2014, which was jointly carried out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the Statistics Korea as an examination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national life security. Out of date for 13,317 people, data for 7,877 were used for the second data analysis, excluding data for people who had missing value for variables being used by this researcher. Of the 7,877 people, 4,047 were women, 1,382 were the elderly, and 209 were the disabled. In order to find out the major factors affecting fear of crime amo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composed of factors on the levels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As for data analysis instruments, the version of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9.4 and HLM 6.0 for Windows, which is frequently used for multi-level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the highest amo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s well as all the respondents, followed by general fear of crime and concrete fear of crime. Among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women exhibited higher fear of crime, and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showed similar figures in fear of crime by type. Especially, compared with all the respondents and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had a lower average value in altruistic fear of crime. In addition,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by vulnerable social group were examined.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in general fear of crime and concrete fear of crime than men, the non-disabled and the non-elder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truistic fear of crime by gender. The mean difference in fear of crime by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and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was equally significant as the mean differences in the other types of fear of crime. Second, the factors which affect women's fear of crime were examined. Women's general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whether having an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r not and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Women's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whether having an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r not and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Women's concrete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disabled or not,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whether having a spouse or not,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nd participation in unofficial control and policing in residential area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Third, the factors affecting disabled people's fear of crime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results, disabled people's general fear of crime was influenced by gender,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Disabled people's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whether having a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r not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Disabled people's concrete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whether being old or not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policing in residential area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Fourth, the factors affecting elderly people's fear of crime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elderly people's general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gender,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Elderly people's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influenced by whether being disabled or not and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Elderly people's concrete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gender,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from variabl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the number of businesses from variables on the community level. Fif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cluded the disabled, who show social, physical, economic vulnerability, in research subject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fear of crim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n fear of crime among the disabled, who have social, physical, economic vulnerability, using questionnaires containing questions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grade.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ree types of fear of crime―general fear of crime, altruistic fear of crime and concrete fear of crime―among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results from men, the non-disabled and the non-elderly.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e significant result that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o have social and physical vulnerability, exhibited lower fear of crime than the non-disabled and the non-elderly. Sixth, social welfare experts should be aware that various practice services, which have been provided to local residents as a way to practice community welfare until lately, have contributed to preventing crime and reducing fear of crime and have had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Furthermore, in order to better realize the social seriousness of increasing crimes, to prevent crimes in community and to reduce fear of crime, social welfare experts should actively intervene. Moreove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s needed for customized approach to fear of crime, which affects the lif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o have physical and social vulnerability. For wome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 that considers age, level of education,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social disorder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disabled,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 that considers gender, age,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and social disorder need to be conducted. For the elderly,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 that considers gender, being aware of vulnerability and social disorder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as common social welfare approach for wom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practice approach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community safety net through provi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for change in awareness of vulnerability, managing protection according to whether having a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of victimization and combining effort of local residents and police to vitalize community against social disorder. Seventh, in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person-in-environment in social welfare practice, social welfare experts should have interest and intervene in approach on the community level as well as approach on the individual level in order to prevent crimes and reduce fear of crime. In addition, some changes should be made to current intervention in order for community welfare practice and unofficial control activities through community movement and making village project to become more meaningful and expected. Furthermore, social welfare experts need to understand representative crime control strategy of social danger management and carry out practice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vulnerable social groups by preventing crimes and reducing fear of crime. Social welfare experts who work as community welfare experts should cooperate with local police for more aggressive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afety net as part of participation in public safety. 최근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급증하며, 이와 관련된 범죄피해 뉴스보도 등이 범죄피해자 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막연한 두려움을 준다. 또한, 사회복지의 주요 서비스 대상자이자 신체적․사회적 취약성을 가진 치안약자인 여성, 장애인, 그리고 노인이 범죄에 대해 두려움이 높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범죄두려움’과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집단 여성, 장애인, 노인의 범죄두려움 수준과 범죄두려움의 영향 요인을 비교하여 대상자별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개입과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과 통계청에서 공동으로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로 조사된 「전국범죄피해조사(Korean Crime Victim Survey in 2012)」(김은경 외, 2014)의 원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연구자가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결측값이 있는 응답자는 제외되어 총 13,317명 중 7,877명의 자료가 이차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그 중 취약집단인 여성은 4,047명, 노인 1,382명, 장애인은 209명이다. 전체 응답자와 취약집단인 여성, 장애인, 노인간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개인 및 지역수준의 요인들로 구성된 자료에 대해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자료 분석 도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9.4 version을 사용하고, 다수준 분석에 자주 활용되는 HLM 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전체응답자와 취약집단 여성, 장애인, 노인 모두 이타적 범죄두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적 범죄두려움, 구체적 범죄두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약집단 중 여성의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고, 취약집단 장애인과 노인은 유형별 범죄두려움에 있어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특히 이타적 범죄두려움에서 전체응답자와 취약집단 여성과 비교하면 취약집단 장애인과 노인의 평균값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취약집단별 범죄두려움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적 범죄두려움과 구체적 범죄두려움에서 남성보다는 여성, 장애인보다는 비장애인, 노인보다 비노인의 범죄두려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타적 범죄두려움에서 성별에 의한 차이만 유의미하지 않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노인과 비노인의 범죄두려움의 평균차이는 다른 유형의 범죄두려움과 동일하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취약집단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노인여부(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범죄피해 간접경험유무, 일상생활만족,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가 영향을 미쳤다. 이타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노인여부(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범죄피해 간접경험유무, 일상생활만족,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가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장애유무, 노인여부(연령), 배우자유무, 학력, 취약성인식, 일상생활만족,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비공식통제참여, 그리고 거주지역의 경찰활동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취약집단 장애인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성별, 취약성인식, 지역수준변인 중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이타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노인여부(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범죄피해 직접 및 간접경험유무,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노인여부(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 그리고 거주지역의 경찰활동이 영향을 미쳤다. 넷째, 취약집단 노인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성별, 취약성인식, 일상생활만족,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이타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장애유무, 취약성인식,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경우 개인수준변인 중 성별, 학력, 취약성인식,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범죄두려움의 연구대상을 사회적·신체적·경제적 취약성을 가진 장애인을 포함시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차후에는 장애유형, 장애등급 등을 조사하는 설문문항이 포함하여 신체적·사회적 취약성을 가진 장애인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 범죄두려움, 이타적 범죄두려움,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세가지 유형의 범죄두려움에 대해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영향 요인을 밝히고 남성, 비장애인, 비노인과 비교 분석을 통해 나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사회적·신체적 취약성을 가진 장애인과 노인의 범죄두려움이 비장애인과 비노인의 범죄두려움보다 낮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여섯째, 최근까지 사회복지 전문가는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일환으로 지역주민에게 제공한 다양한 실천서비스가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였고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범죄사건의 증가에 대한 사회적 심각성을 제고하고 지역사회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복지 전문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적·신체적 취약성을 가진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범죄두려움에 대해 개별 맞춤식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 학력, 취약성인식, 범죄피해 간접경험, 일상생활만족, 사회적 무질서를 고려한 사회복지적 실천접근, 장애인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취약성 인식, 사회적 무질서를 고려한 사회복지적 실천접근, 노인을 대상으로 성별, 취약성인식, 사회적 무질서를 고려한 사회복지적 실천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공통적인 사회복지적인 접근으로 취약성인식의 변화를 위한 교육과 정보제공, 범죄피해 직접 및 간접경험 유무에 따른 보호관리, 사회적 무질서에 대해 지역주민과 경찰관계자와 연대하여 공동체 활성화 통해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이 될 수 있도록 실천 접근이 요구된다. 일곱째, 사회복지 전문가는 사회복지 실천의 ‘환경속의 인간’이라는 관점을 고려하여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인수준의 접근뿐만 아니라 지역수준의 접근에도 관심을 갖고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 실천과 공동체 운동, 마을 만들기 사업에 의한 비공식통제활동이 보다 의미 있는 실천. 즉 기대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지금과는 다른 변화를 통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 전문가는 취약집단의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켜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 위험관리의 대표적인 범죄통제 전략에 대한 이해와 실천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사회 복지전문가로 활동하는 사회복지 전문가가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참여 치안’의 일환으로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지역 경찰관계자와의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

        조향남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사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 정도와 그 역할 수행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즉, 학교사회복지사의 유형 중 현재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학교상주형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에 있어 장애가 되는 요인을 파악하여 원활한 역할 수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학교사회복지사 151명을 대상으로 학교사회복지 역할 수행 장애요인과 학교사회복지 역할의 특성, 장애요인과 역할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사회복지사 역할 수행의 장애요인은 학교협조, 조직체계, 전문영역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부족, 업무과다, 학교제도개선 관여에의 문제, 전문가로서 책임한계가 모호하고 경험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주로 나타났고, 교사나 상담교사와의 역할설정 갈등,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및 홍보 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사의 연령대가 낮 교사회복지현장경력이 적고 학력이 높을수록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며 학교사회복지 역할 수행의 장애요인은 연구학교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 학교보다 재정, 행정적 지원, 역할설정 갈등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학교는 연구학교에 비해서 시간부족과 업무과다와 같은 어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사는 학생문제에 대한 사정 및 치료, 학생문제에 대한 학업관련 상담, 자원의 활용 및 변화,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연결, 학교와 가정의 연결, 자원의 활용 및 변화 순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학교사회복지사의 고유한 역할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학교보다 연구학교가 더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사회복지사 역할 수행의 장애요인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사가 겪는 장애요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다양한 교육지원체계와 수퍼비전 등이 제공되어야 하며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환경을 개선하고,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양적, 물적 지원을 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역할 수행을 방해하는 요인을 개선함으로써 학생문제와 교육병리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impediments to role performance of school social work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le of school social work, relationship between impediments and role, and the influence on the selected 151 school social workers nationwide, in order to comprehend impediments of role performance of school social workers and thereby prepare strategies for effective role performance, with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cooperation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system, and specialized area in order were found to function as an obstacle to school social workers’ role performance, while most of them were found to have difficulties due to lack of time, excessive workload, involvement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system, vague boundary of responsibility as a profession, and lack of experience, together with conflict about role definition with teachers or counseling teachers, and awareness and promotion about school social work. Second, as they were older, had more experiences in school social work, and held higher education background, they felt fewer impediments. Third, model schools were found to feel more impediments in the areas of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ids and role-definition conflict tha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area program schools, whil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area program schools felt more difficulties in lack of time and excessive workload, compared to model schools. Fourth,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were performed assessment and treatment of problem students, academic counseling with problem students, utilization and changes of resources, link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link between families and the school, and utilization and changes of resources in order. Fifth,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in model schools were more than i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area program schools, while social workers at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area program schools performed more preparatory role in establishing school education policies, compared to those at model schools. Sixth, impediments to role performance of school social worker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role performance of school social worker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following strategies for social work practices are proposed. First,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 centered on therapeutic roles mainly for students. Given that the biggest difference of original role of school social work from other education systems is to link resources of school-family-community surrounding students, positive activities on the part of families and the local community to promote the necessity of school social workers are essential to establish a network linking the school and families as well as the school and local community. Second, various programs for training aids and super-vision should be provided for school social workers, in response to the raised problem in field that many social workers have not been properly treated as a professional, on the basis of education and expertise in school social work, experience, and service years as a school social worker. Finally, extensive studies on concrete strategies for school social work should be made to understand impediments to role performance of school social work on the basi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environments, in order to help school social workers effectively perform their roles.

      • 사회복지사의 특성과 공감유형

        권행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4383

        공감(empathy)은 인간 유대의 본질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실천 행위의 필수적인 요건으로 평가된다. 전 세계적으로 빈곤, 경제적 불평등, 민족 이기주의, 인종차별, 종교적 갈등, 성차별, 경쟁의 심화, 이주의 국제화 등 정치·사회적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타인의 문제에 공감하며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사회복지실천의 담지자로서 갖추어야 할 매우 중요한 실천역량 및 자질로 간주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공감의 차원과 수준을 파악하고 유형화하여,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있는 사회복지사의 공감 유형별 특성과 영향요인을 밝히고, 영향변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의 공감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이론적 · 실천적 논의를 제시함에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총 312부의 표본을 확보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사회복지사의 공감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과 사회적 공감 유형을 확인하고자 이단계 군집분석(two step cluster analysis)과 이를 토대로 K군집 분석(K-means Clustering)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공감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고자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변인과 심리·사회적 특성 변인 간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 카이검정(Pearson Chi-square),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어 끝으로 공감유형들에 대한 특성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최종분석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은 리커트척도 5점을 기준으로 볼 때 3.91과 사회적 공감은 4.18로 공감 수준은 높으며, 사회적 공감이 대인관계 공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과 사회적 공감의 차원과 수준에 따라 공감군집 유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복지사의 공감유형 군집분석결과 규모가 가장 큰 1유형은 대인관계 중 · 사회적 공감 상으로 공감평균집단 명명하였다. 이어 2유형은 대인관계 상 · 사회적 공감 상으로 공감평균 상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끝으로 3유형은 대인관계 중 · 사회적 공감 중으로 공감평균 이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공감 유형 간 일반적인 특성 중 종교가 있고, 학력은 석사이상, 사회복지사 자격증 유형(1급) 등이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력이 높고 종교가 있는 경우와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소지자가 공감이 높은 군집유형에 속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복지사의 높은 교육적 특성이 사회복지사의 공감수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사회적 공감 군집유형의 직무관련 특성으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이 낮은 사회복지사가 공감이 양호한 군집에 속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동료지지가 대인관계·사회적 공감이 양호한 공감평균 이상 군집 1유형에 속한 비율이 높은 반면, 공감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군집 3유형에서는 동료지지와 상사지지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회복지사가 공감이 양호한 유형에 속한 확률이 높은 반면, 공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유형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옹호의 하위요인인 사례옹호가 높을수록 공감수준이 양호한 군집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사례옹호의 유형 간 비교에서는 모든 유형 간 비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사례옹호 수준이 높을수록 공감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2유형과 1유형 순으로 소속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논의는 첫째,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공감이 대인관계 공감수준보다 일관되게 높은 것은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따른 사회복지 교육과 관련이 있다. 둘째, 높은 직무스트레스의 역할갈등은 사회복지사의 공감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평가될 수 있다. 역할갈등은 자신의 직무역할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의 능력을 초과하여 불확실하게 제공하는 업무의 부조화로 개인의 마음이 정상상태에서 벗어나 신체, 심리, 정서적인 긴장과 역기능을 유발하는 상태로 업무의 부조화 상태가 지속될 때 사회복지사의 공감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동료지지가 사회복지사의 공감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공감과 사회적 지지와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에서는 공감의 행위들은 조직의 체계 내에서 발생하고, 조직의 협력체계 내에서 동료의 높은 지지는 종사자의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공감이 높은 유형 간에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감이 높은 유형에 이행될 확률이 높았다. 이는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이 높은 공감역량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옹호의 하위변인인 사례옹호는 사례옹호가 높을수록 공감수준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공감 유형으로 소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는 사례옹호가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주어져 있는’ 고유한 특성으로 공감의 선행변인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실천적 수준에서의 논의는 첫째,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낮고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사회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공감역량을 확대하기 위해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조직 내의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간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자아존중감과 옹호수준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 교육과 실천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빈곤과 불평등, 사회적 권익, 사회적 배제, 사회문제, 인권 관련 교과과목 개설이나 사례옹호나 정책옹호를 높일 수 있는 실습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과 사회적 공감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주기적인 맞춤형 사회복지사 공감훈련프로그램의 필요하다. 사회복지사의 공감수준은 전체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유형 중 상대적으로 공감이 낮은 유형의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실무자가 함께 참여하는 인권관련 멘토링 프로그램이나 현장실습, 실습 심화과정, 학기 중이나 방학을 이용한 인턴십 프로그램, 실천현장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직접 해결해 보는 캡스톤디자인 과목 등에서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을 높일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 기획하거나 평가해보는 것이 공감증진에 유익할 것으로 평가된다. ABSTRACT Social worker's Characteristics and Empathy Types Kwon, Heang-Wo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dvisor : Professor Kim, Yong-Seok Empathy is considered not only as an essential element of human relationship but also as an indispensable requirement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current situation wher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such as poverty, economic inequality, national selfishness, racial discrimination, religious conflict, gender discrimination,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and globalization of migration, are ever escalated all over the world, the effort to sympathize with and understand others’ problems is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practical capability and quality of responsible social workers facing diverse social welfare practice situations. Therefore, various discussions need to be mad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social workers’ empathy capacity and to raise their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tial factors of each empathy type of social workers involved in social welfare practices by grasping and stereotyping their empathy dimensions and levels and to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to develop the empathy capacity of the social workers based on the influential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s in metropolitan areas, and a total of 312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m. As methods of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dentify the empathy level of the social workers, and “Two step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ir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types, and “K-means Clustering” was additionally used.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empathy types, “Cross-table Analysi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social workers. “Pearson Chi-square”, and one way Anova were execut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also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n the empathy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5 points Likert scale, the social worker's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were in higher level at 3.91 and 4.18,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ir level of social empathy is higher than that of interpersonal empathy.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n empathy cluster type according to the dimension and level of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of the social workers. Type 1, which had the largest size as the result of social workers’ empathy type clustering, was named as empathy average group with intermediate interpersonal empathy and higher social empathy. Type 2 was named as higher empathy average group with higher interpersonal empathy and higher social empathy. Lastly, Type 3 was named as lower empathy average group with intermediate interpersonal empathy and intermediate social empathy. Third, it was verified tha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pathy types, religion, academic background higher than master’s degree, and social worker certificate (grade 1)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In addition, the social workers with a religion, higher academic background, and social worker certificate (grade 1) were highly likely to belong to higher empathy group typ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high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empathy level. Fourth, social workers with low role ambiguity,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tress, among the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group type of social workers, were highly likely to belong to good empathy group. In addition, peer support, which is a social support, was highly likely to belong to Type 1, which is a higher empathy average group with good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while in Type 3, a relatively lower empathy average group, the peer support and senior support were relatively lower. Fifth, social workers with high self-esteem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good empathy type, while their self-esteem was low in relatively lower empathy type. Sixth, the higher the case advocacy, the sub-factor of advocacy, the more significant effect the empathy level had on good cluster.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ypes of case advocacy, there was a significance in all types of comparisons. The higher the case advocacy level, the more likely it was for the empathy level to belong to Type 2 and Type 1 with relatively high level of empath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oretical discussion; First, the fact that social empathy level of social workers is consistently higher than interpersonal empathy level is related to social welfare education about the value and accountability of social workers. Second, the role conflict in high job stress can be considered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empathy of social workers. Role conflict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an individual's mind is deviated from normal state and causes physical, psychological, emotional tension and dysfunction due to unbalance of workloads provided inaccurately in excess of the capability of the individual when his job role is not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if the unbalance of the works continues, i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empathy capacity of social workers. Third, peer support,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capacity of social workers. In the study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social support, it was identified that empathy behaviors occur within organizational systems and high support from peers in the cooperative system of the organiz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of the employees. Fourth, the self-esteem could find its influence among the types of high level of empathy,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its transfer to high empathy type, which indicates that people with high self-esteem are highly likely to have high empathy capacity. Fifth, in case advocacy, the sub-factor of advocacy, the higher case advocacy, the more likely it was for empathy level to belong to relatively good empathy type, which indicates that case advocacy can be regarded as a preceding variable of empathy as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has been given’ to social workers. In practical discussion;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ower the job stress and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more positive effect they had on interpersonal and social empathy of social workers.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the empathy capacity of social workers, we need to find a way to reduce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and enhance social support for them within the organizations. Second,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practice that can enhance self-esteem and advocacy level of social workers should be concurrently conducted. To this end, establishment of subjects related to poverty, inequality, social rights, social exclusion, social issues, and human rights as well as practice programs that can enhance case advocacy or policy advocacy are considered necessary. Third, a periodic customized empathy train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interpersonal and social empathy capacity. The empathy level of social worker was high overall, but there was a type with relatively low level of empathy. Therefore, it is considered useful to plan or evaluate the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interpersonal empathy of social workers in human rights related mentoring programs or field practice, intensified practice course, internship programs during semesters or vacations, or Capstone design subjects where students can directly solve the tasks, which should be solved in practice fields, in their classes, with the participation of field staff who can improve the interpersonal empathy capacity of social workers. Keywords: Empathy, Empathy of Social Workers, Social empathy, Interpersonal empathy, Empathy type, Empathy types and characteristics

      • 생활시설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박영준 대구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사회복지생활시설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회복지생활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사회복지생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587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사회복지생활시설의 조직문화는 집단문화가 가장 높고,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는 자기통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직유효성은 직무성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생활시설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는 조직유효성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와 개발문화가 전체 조직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계문화가 조직의 유효성 중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긴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는 전반적으로 조직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 요인 중 자아존중은 직무만족과 직무긴장에, 자기통제와 대인통제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기능의 다양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긴장에, 과업정체성은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직무긴장에, 피드백과 보상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 및 직무긴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생활시설의 조직유효성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면 사회복지사의 업무향상과 자기발전을 위한 직원개발의 기회를 확대·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생각과 의견을 개방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의사결정창구와 통로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하여 공정하고 물리적·정서적 보상제도의 확충을 통한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를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행정부처는 책임자를 대상으로 지도력개발을 위한 변화하는 시설환경과 새로운 제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끝으로 사회복지생활시설의 조직유효성을 위한 실천은 생활시설 고유의 조직문화 유형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를 통하여 능력강화에 대한 실천모형이 개발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접근체계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work institutions. And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fluence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ocial work institutions. Through investigating and analyzing 587 social workers, who are currently by social work institutions, the followings have been found: First, the most represent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social work institutions appears to be collective. Cultures of hierarchy, rationalism, and development follow collective culture in order of their frequency. Second, social workers are found to be most empowered by self-control. As other influential factors of empowerment, functional diversity, interpersonal control, feedback, self-esteem, and professional identity are listed in order of their importance. Third, efficiency of organization appears to be best increased by effectiveness, then comes devotion to organization, satisfaction of profession, and pressures of task, in that order. Fourth, regarding organizational cultures of a social work institution, the status of females is higher than males in terms of the culture of hierarchy. As for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females are higher than females in reward;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efficiency of organiz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Fifth, organizational cultures and empowerment in a social work institution appears 세 be in proportion to year of age; while efficiency of organization is found to have no relation to age. Sixth, with regard to organizational cultures in a social work institution, collective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are more represented in administrators than in fieldworkers; while hierarchical culture is more represented in fieldworkers than in administrators. With regard to empowerment of social worker, interpersonal control, feedback, and reward are more represented in administrators than in fieldworkers. With regard to efficiency of organization, professional satisfaction, devotion to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achievement are more represented in administrators than in fieldworkers; while fieldworkers are more represented in pressure of tasks than administrators. Seventh, organizational cultures in social work institution and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appear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to efficiency of organization. Eighth, regarding organizational cultures in a social work institution, it is found that collective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influence professional satisfaction, devotion to organization, and pressure of tasks in terms of efficiency of organization. Ninth,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s, overall, found to impact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self-esteem has an effect on professional satisfaction and pressure of tasks; self-control and interpersonal control influences professional satisfaction, devotion to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achievement; functional diversity influence professional satisfaction, devotion to organization and pressure of tasks; professional identity influence professional satisfaction, professional achievement, and pressure of task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in crease the efficiency of social work institution are derived: First, opportunities for social workers to enhance self-growth and improve achievement should be given and further, increased. There are currently few program that help employers to acquire updated knowledge or tools in a social work institution. Besides, in that most program such as special speeches or workshops are organized by outside sources, it is of significance that the potential of an individual must be drawn by implementation of employer development program within a social work institution, Second, a pathway for communication, which positively undertakes ideas and opinions of social workers in making decision for an organization, should be enlarged. In that social workers are ultimately empowered by self-decision or self-control, a social work institution must be equipped with this organizational feature of open communication. Thir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 social work institutions should empower social workers by providing equitable rewards in both material and affective aspects. Fourth, the authorities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s should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 through which supervisors of social institutions are able to develop leadership. The program must include training of strategies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mpowerment, as well as education about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and latest policies of the social work institution. Finally, when a practical model for empowerment is developed through empirical studies of idiosyncratic organizational cultures, diverse approaches to in crease the efficiency of a social work institution would be further systemized.

      •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확장된 앤더슨 모형을 적용한 다층모형(HLM) 분석

        송승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438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re known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continuation of a stable life in the community, quality of life, and improvement of social functions. In addition, deinstitutionalization, community integration, community care, and the paradigm shift that focusing on the needs of the consumer is provide justification for expanding housing services. However, the current community housing support service in Korea is very poor and it is remain in a system centered on institutionalization. In this aspect, it is meaningful that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can be reflected in improving the access to services and, furthermore, in expanding housing services that are significantly lacking.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using the expanded Andersen Model, which added community dimensions(Contextual enabling factors) to the existing personal dimensions(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This has a advantage in that it can know who experiences inequality in access to servic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service use by verifying multilaterally and systematic factors affecting housing service use. The Anderson model can also be used to deriv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policies related to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Research on the Statu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in 2017 was used, which was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t the same time, the data of community level(level 2)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extracting national level data, such as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nd The National Mental Health and Welfare Commission. And, logistic hierarchial linear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variables and the service users we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lev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he basic model for verifying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by community showed that the vari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at the use of housing services by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has been shown to be different among communities. Accordingly, as a result of inputting personal level variables, in the predisposing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th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In the enabling factors, employment status, public assistance status, stigma, and in the need factors, housing service needs and family relation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fterwards, controlling the personal dimension factor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then analyzed the community level as a contextual enabling factor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mental hospital beds by region, the welfare budget for the disabled by region, and the ordinances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by reg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analyzed the activation factors and degradation factors of individual level and community level by applying the expanded Andersen model for the use of housing service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igma level plays an important negative factor i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it has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s of the consumer and their family members i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use of community housing services on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by Andersen model, and identified effective practical ways for expanding and promoting housing services. The main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s of the consumer i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was found to play a major role. In view of this, it is necessary to take practical measures for advocacy programs that can guarantee the right to choose the consumer in the services. Seco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should focus on reducing stigma were derived to promote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Third, practical implications to strengthen employment suppor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raised to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Fourth,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was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the use of housing servic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and family support services that positively change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nbers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which are social structures, on housing services. This can lead to the need for policy changes at the community level in order to spread and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e main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and to promote the real independent-living, it is required to shift the policy to reduce the number of psychiatric hospital beds and to expand the housing services. Second, in order to promote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welfare budget for the disabled and to establish a policy-oriented point that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social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ird, policy implications was derived that focusing on legal aspects such as enactment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to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Fourth, a policy alternatives are required to ensure the consum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nalyze future research, including housing services, such as independent housing and supported housing, which is emerging as a recent issue.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reflecting the needs of housing services not only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but also for the family. Third, if the groups of HLM analyses are further subdivided in the later implementation of relevant research, various policy alternatives can be inferr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이 주거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는 지역사회 내 안정적 삶의 지속, 삶의 질, 사회적 기능 향상 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탈원화, 지역사회통합, 커뮤니티케어, 당사자의 욕구에 중점을 두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주거서비스 확대에 당위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는 매우 빈약하며, 시설화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 접근 향상, 더 나아가 현저히 부족한 주거서비스를 확충하는데 반영할 수 있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개인적차원(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에 지역사회차원(맥락적 가능요인)을 추가한 확장된 앤더슨 모형을 활용하여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는 주거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각적이며 체계적으로 검증하여 서비스 이용 결정과정에서 누가 서비스 접근에 대한 불평등함을 경험하는지 알 수 있다는 것에 강점이 있다. 또한 앤더슨 모형을 활용하면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확장 및 촉진 정책과 관련되어 실천적․이론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분석을 위해 개인적 수준(1수준)의 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연구용역 과제를 수탁하여 수행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지역사회 수준(2수준)의 자료는 국립정신건강센터 및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등 국가수준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의 특성에 대응하고, 서비스 이용자가 지역사회 수준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로지스틱 다층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여부를 지역사회별로 검증한 기초모형 결과, 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에 지역사회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개인적 수준 변수를 투입한 결과 선행요인에서는 결혼상태와 교육수준이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능요인에서는 취업여부, 수급여부, 스티그마가, 욕구요인에서는 주거서비스욕구, 가족관계가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차원 요인들을 통제한 후, 지역사회차원을 맥락적 가능요인으로 투입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정신의료기관 병상수, 지역별 장애인복지예산, 지역별 정신건강복지법 관련 조례가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을 확장된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개인적 수준과 지역사회수준의 활성화요인과 저하요인들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여부에 있어 낙인수준이 중요한 부적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도출하였으며, 주거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당사자의 욕구와 가족과의 관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는 이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주거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앤더슨 모형에 따라 검증함으로서 주거서비스 확대 및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실천적 방안을 파악하였다. 주요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욕구는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하여 서비스에 있어 당사자의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는 권익옹호프로그램에 대한 실천적 방안의 강구가 요구된다. 둘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촉진을 위해 스티그마 감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실천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셋째,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 촉진을 위해 취업지원 및 직업재활 서비스를 강화시킬 실천적 함의가 제기된다. 넷째, 가족과의 관계는 주거서비스 이용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 촉진을 위해서는 가족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가족지원서비스 확충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구조인 지역사회 특성이 주거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 확산 및 촉진을 위해 지역사회차원에서의 정책적 변화 필요성을 가져올 수 있다. 주요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 활성화 및 진정한 자립생활 도모를 위해 정신의료기관 병상수의 절감과 주거서비스 확충을 도모하는 정책의 전환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촉진을 위해 장애인복지예산을 확대하고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서비스는 장애인복지정책과 통합되어야 하는 정책적 지향점의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 조례제정과 같은 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넷째, 당사자의 주거서비스 이용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연구 진행 시 최근 이슈로 부상 중인 독립주거 및 지원주택과 같은 주거서비스를 포함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정신장애인 뿐만 아니라 가족이 가지고 있는 주거서비스 욕구를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추후 관련 연구 시행 시 다층분석의 집단을 보다 세분화한다면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