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유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개인특성 요인, 사회복지가치 관련 요인, 다문화 요인, 교육훈련 요인으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199명의 학교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4개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는 사회복지가치 관련 요인이었고, 두 변수는 개인특성요인에서 나왔다.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 감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복지가치 관련 요인 중 인권인식이 이었다. 즉, 인권인식이 높을수록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높은 것이다. 그 다음으로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역시 사회복지가치 관련 요인 중 사회복지가치였다. 사회복지가치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높은 것이다. 개인특성 요인 중에서는 나이와 다른 문화에 대한 경험이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문화를 경험(여행, 유학, 어학연수)한 적이 있는 학교사회복지사가 그렇지 않은 학교사회복지사보다 다문화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나이가 어릴수록 나이가 많은 학교사회복지사보다 다문화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학교사회복지사의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순서대로 다시 한 번 정리하자면 인권인식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복지가치, 다른 문화에 대한 경험, 나이 순서대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다른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 사회복지기관에서의 조직적응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연구 : Q방법론을 적용한 분류

        김성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4383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at the actual appearance of organizational adaptation perceived by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s and what characteristics it has. This is a part that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but understanding what organizational adaptation is perceived by social workers themselves is a part that must be preceded above all.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ategorize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adaptation perception using Q methodology, - which is us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who represent different stances on an issue, by having participants rank and sort a series of statements. To this end, a Q population was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final 88 Q samples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35 subjects to this Q samples, 6 type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adaptation were selected. Mainly, the overall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adaptation is operating as an important frame of recognition whether they are people who focus on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s in the current organizational context or individual growth and work. In other words, 6 types were derived based on the two directions of ‘organization-oriented social worker’ and ‘individual-oriented social worker’.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6 types were named as ‘vocational’, ‘occupational’, ‘collaborative’, ‘competitive’, ‘leading’, and ‘following ’. First, the 'vocational' is a social worker that aims for social welfare value and is internalized. Second, the ‘occupational’ is a social worker whose goal is to achieve tasks and self-survival rather than aiming for social welfare value. Third, the ‘collaborative’ is a social worker who values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s. Fourth, the ‘competitive’ is a social worker with high individualistic tendency. Fifth, the ‘leading’ is a social worker who play a leading part in organization. Sixth, the ‘following’ is a social worker who is passive and learning through trial and error. The main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ategorized the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social workers by using the Q methodology as a new perspective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social workers, and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ach type. Seco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direc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at can support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adaptation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조직적응의 실제 모습은 어떠하며, 어떤 특징을 갖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것은 기존 연구에서는 간과되었던 부분으로, 사회복지사 스스로가 인식하는 조직적응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사의 조직적응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과 심층면접을 통해 Q모집단을 구성하고 최종 88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Q표본에 대한 조사대상자 35명의 응답을 분석하여 사회복지사의 조직적응에 대한 6개의 인식유형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사의 조직적응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현재의 조직 맥락에서 조직과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람인가, 아니면 개인의 성장과 업무를 중심으로 하는 사람인가가 중요한 인식의 틀로 작동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직 지향 사회복지사’와 ‘개인 지향 사회복지사’라는 2가지 방향성을 바탕으로 3요인, 총 6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첫째, ‘소명형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가치를 지향하고 또 그것이 내재화된 조직인으로, 자신을 천생 사회복지사로 인식하고 있다. 이들은 조직을 자신의 가치와 비전을 실현하는 곳으로, 그리고 현재 하고 있는 업무를 의미 있고 가치 있는 활동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 실천을 위해 상호협력 해야 할 존재로서 동료들을 중요시 한다. 이들이 생각하는 조직적응은 사회복지 가치 실현을 위해 자신과 조직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둘째, ‘직업형 사회복지사’는 소명의식이나 사회복지 가치를 지향하기 보다는 자기생존이 중요한 일 자체, 과업 달성이 목표인 직업인이다. 기관 안에서의 직급과 지위가 자신을 표현한다고 생각하며, 조직에 대해 필요한 것을 주고받는 곳으로 생각한다. 업무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일로 생각하고, 관계에 있어 자기중심적이며, 기관이나 상사의 눈치를 본다. 이들이 생각하는 조직적응은 각자도생으로 조직에서 살아남는 것이다. 셋째, ‘협업형 사회복지사’는 조직과 관계를 중시하는 무난한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을 사회복지조직의 한 구성원으로 생각한다. 이들에게 조직이란 조직 구성원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다. 이들은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며, 동료들과 상호 신뢰 가운데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이 생각하는 조직적응이란 서로 협력하여 함께 성장해 가는 것이다. 넷째, ‘경쟁형 사회복지사’는 자기 스타일이 강한 일 중심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을 전문가, 벤처사회복지사로 생각한다. 이들에게 있어 조직은 자신의 역량과 전문성이 발휘되는 곳이다. 일을 통해 자신을 나타내며, 일을 중심으로 동료들과 경쟁한다. 이들이 생각하는 조직적응은 자기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드러내는 것이다. 다섯째, ‘선도형 사회복지사’는 과업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성실하고 모범적인 사회복지기관의 핵심 실무자로서, 자신을 사회복지기관에서 필요한 인재라고 생각한다. 조직에 대해서는 함께 성장하는 곳, 좋은 일터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업무에 있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솔선수범하며, 함께 일하는 동료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크다. 이들이 생각하는 조직적응은 자기 일에 자부심을 갖고 맡겨진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하는 것이다. 여섯째, ‘추종형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라는 과업수행에 있어 아직은 수동적이고 시행착오도 있지만 성장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로서, 직업에 자신을 동일시하고 있다. 그리고 조직을 교육과 훈련의 장으로, 노력하여 적응해야 할 곳으로 생각한다. 이들은 업무를 배우고 익혀야 하며, 관계에 있어 좋은 평판을 위해 노력한다. 이들이 생각하는 조직에 적응한다는 것은 성과를 내거나 인정받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주요 함의는 첫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조직적응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Q방법론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조직적응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과 의미를 해석하였다. 둘째, 이러한 유형별 특성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조직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인적자원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사의 조직적응 인식유형이 실제 현장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진단도구로의 활용과 유형 간에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검증할 수 있는 가설검증을 위한 도구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 지역사회복지협의회 네트워크 거버넌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우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민·민 네트워크를 주요 목적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협의회의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네트워크 활성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의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구조적·상호작용적·기능적 수준으로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관장 역량 특성, 조직 특성, 환경 특성으로 구분하여 세부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시군구 단위에 설치되어 있는 사회복지협의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SPSS 24.0을 이용해 기술 통계, 차이 검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장의 역량 특성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네트워크 태도는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구조주도형 리더십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특성에서 운영인력 수, 회원 수, 조직문화 중 발전문화 유형일 경우 네트워크 거버넌스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데 비해, 집단문화나 위계문화 유형일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 특성의 경우 지역자원 인식을 제외하고는 네트워크 거버넌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도출된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적 네트워크 기능을 하는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네트워크 관리조직’으로서 사회복지협의회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필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수준과 이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요인을 파악하는 첫 연구 결과를 제공하였다. 넷째,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가 네트워크 거버넌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의 발전문화 유형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한 점에서 연구의 함의가 있다. 동 연구 결과 및 함의를 바탕으로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확대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분야의 회원확보를 통해 지역복지 문제해결을 위한 네트워크 중추 기관이 되어야 한다. 둘째, 안정적인 사무국 운영을 위해 재원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협의회만의 고유 특화사업 개발 및 보급이 중요하다. 넷째, 사회복지협의회의 법적 의무설치 명시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사회복지협의회의 네트워크 기능을 중심으로 ‘기본운영 방침’ 제정 및 보급이 필요하다. 여섯째,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위해서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역복지재단, 공동모금회 등 유관기관과의 상생·협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etwork of community welfare councils by focusing on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network governance of community welfare councils, which promote private and private networks as a main purpose project, and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it. For this reason, we analyzed the network governance of community welfare councils as structural, interactive, and functional levels, and identified the factors that could affect this by categorizing them into capability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ead of an institu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social welfare councils established in each region. Technical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carried out using SPSS 24.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network attitude have a positive impact on network governance due to the cap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head of the institution, but structural leadership has a negative impact on network governance has a negative impact. Secondly,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development culture among the number of human resources, memb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network governance, while the type of group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had a negative impact. Third, it is understood th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do not affect the level of network governance except for community resource recognition. The main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e importance of local social welfare councils, which function as legal networks. Secondly, it served as a reminder of the necessity of network governance of the Social Welfare Council as a network management organization. Third, we provided a first step in understanding the level of network governance of the Community Welfare Council and the specific factors that affect it. Fourth, there is implication in the research in that the top-leve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culture types are important for the Community Welfare Council to improve the level of network govern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following are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expansion of the network governance of the Community Welfare Council. First of all, it should become a central organization of the network to solve regional welfare problems by securing members in various fields of the communit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financial resources for stable management of secretariat. Third,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disseminate specialized programs exclusively for social welfare councils. Four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establishment of legal obligations by social welfare council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disseminate the "Basic Management Policy" centering on the network functions of the Social Welfare Council. Sixth, for the network governance of local communities, symbiosis and cooper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such as community security councils, community welfare foundations, and community chest committees, must be provided.

      • 기초지방자치단체들에서 자가점유율과 복지지출의 관계

        서성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복지지출 요인으로 주택자산의 복지효과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자산의 복지효과는 자산가격이 상승하거나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자산소유자는 공적복지확대에 대한 욕구가 낮으며 사적시장을 통해 스스로 복지를 구매하고자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택자산의 복지효과가 있다면 공적복지에 대한 주민의 욕구가 낮을 것이고 그 결과 기초지방자치단체 복지지출도 작을 것이다. 기초지방자치단체 복지지출에 주택자산의 복지효과가 유효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 중 사회복지예산비율과 일반회계 중 자체사회복지예산비율을 종속변수로, 자가점유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더 명료하게 추정 하기 위해 기초지방자치단체 복지지출에 미치는 요인들을 통제변수로 활 용하였다. 그 요인에는 인구수, 1인당 지방세 부담액, 재정자립도, 단체장 소속정당, 기초의회 다수당이 있다. 해당 변수들은 KOSIS, 지방재정365, 선거관리위원회 등을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설정 되었으며, SPSS 프로그램 기술·통계분석, 단순회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분석 결과, 일반회계 중 사회복지예산비율은 평균 37.0%이며, 상위 10곳은 모두 광역시 산하 자치구로 나타났다. 반면 하위 10곳은 모두 비수도권 군지역이었다. 일반회계 중 자체사회복지예산비율은 평균 1.93%로 나타났으며, 광역시 산하 자치구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서울특별시 산하 자치구는 대부분 중·상위권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가점유 율은 평균 64.36%이며, 하위 10곳은 모두 서울특별시 자치구인 반면 하위 10곳은 비수도권 군지역으로 나타나 일반회계 중 사회복지예산비율과 상당히 대조적인 경향이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자가점유율은 일반회계 중 사회복지예산비율 그리고 자체사회복지예산비율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택자산의 복지효과가 기초지방자치단체 복지지출 결정요인으로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런 분석결과는 기초지방자치단체 복지지출 결정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소도시와 군지역 등과 같은 자가점유율이 높은 기초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전반적인 복지지출의 확대보다 지역주민의 욕구에 맞는 타 분야지출을 확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광역시 내 자치구, 경기도내 주요도시 등의 자가점유율이 매우 낮은 기초지방정부는 중앙정부의 노력에 더불어 복지지출 확대를 통한 지역주민의 실질소득을 증대를 도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 welfare effect of housing assets is a factor in the social spending of basic local authorities. The welfare effect of asset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when asset prices rise or assets are owned, asset owners have a low desire to expand public welfare and want to purchase welfare on their own through private markets. Therefore, if there is a welfare effect of housing assets, residents' desire for public welfare will be low, and consequently the social spending of basic local government will be low.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welfare effect of housing assets is effective for basic local government welfare expenditure, this study set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among basic local government general accounts and its own social welfare budget ratio among basic local government general accounts as dependent variables and homeownership-ratio as in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clearly estimate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affecting the welfare expenditure of basic local government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The factors include the number of population, the amount of local tax burden per person, the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the party belonging to the head of the government, and the majority party of the basic council. These variables were based on data obtained through KOSIS, Local Finance 365, Election Commission, etc.,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PSS program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echn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average of social welfare budget ratio among general accounts was 37.0%, and the top 10 were all autonomous districts under metropolitan cities.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10 were all non-metropolitan rural areas. Among the general accounts, the ratio of self-social welfare budget was 1.93% on average, and autonomous districts under metropolitan cities were very low, and most of the autonomous districts under Seoul Metropolitan City were at the middle and upper levels. In addition, the average of homeownership-rate was 64.36%, and the bottom 10 were all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while the bottom 10 were non-metropolitan rural areas, which tended to be quite in contrast to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in general accou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omeownership rate had a negative (-) effect on both the social welfare budget ratio and the self-social welfare budget ratio among general account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welfare effect of housing assets acts as a determinant of welfare expenditure of basic local governments. These analysis resul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effective even after controlling the determinants of welfare expenditure of basic local governments. In basic administrat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homeownership-rate, such as small towns and rural areas in non-metropolitan areas, it may be desirable to expand expenditures in other areas that meet the needs of residents than the total amount of social expenditure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with a very low homeownership rate such as in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and large cities in Gyeonggi-do should try to increase the real income of residents by expanding social spending along with the efforts of the central government.

      •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회사의 태도가 사회복지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중 육아휴직제도의 인식,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회사의 태도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사회복지조직의 육아휴직제도의 인식, 회사의 태도와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하는 20개소의 사회복지기관을 대상으로 총 300명의 사회복지종사자에게 우편과 방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결과 20개의 사회복지기관으로부터 25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 중 202부가 초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조직몰입 수준은 어떠한지 검증한 결과 응답자의 전체 조직몰입 평균이 3.3779(SD=.66299)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종사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육아휴직제도의 인식,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회사의 태도가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회사의 태도 중 육아휴직급여 지급정도, 복직가능정도 높을수록 조직몰입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회사의 태도는 사회복지종사자의 조직몰입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향후 사회복지종사자의 조직몰입향상을 위하여 전문성 인정, 처우개선과 함께 사회복지조직의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회사의 태도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및 사회복지조직에 적합한 복리후생시행 모델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ttitude toward childcare leave system,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ttitude toward childcare leave syst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survey research, 300 social workers from 20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Kwangmyoung city in GeyongGi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questionnaires by visitation and mail, and then 2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0 centers. Among them, 20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 program of SPSS 18.0.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level test of social workers’ commitment to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hows that the average level is 3.3779(SD=.66299). The next, it has no influence on the differenc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awareness of childcare leave system and organization’s attitude toward childcare leave system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s, organization’s attitude, payment level of childcare allowances, degree of reinstatement possi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toward childcare leave system was important dimension to improve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the systematic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induction and settlement of organization’s attitude toward childcare leave syste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it is regarded that the continuo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ideal model for organization’s attitude toward childcare leave system is also important in organization with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better treatment for the social workers.

      • 환자 보호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의료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서비스를 중심으로

        정수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 서비스 제공이 환자 보호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확인하고,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 확인하여 입원환자 보호자의 부양부담에 임상적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2년 10월 1일부터 2012년 12월 14일까지 전국 5개의 2차병원에서 1개월 이상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 사회사업팀으로 의뢰된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2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Pearson's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부담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직업유무와 교대간병유무, 가족 수, 전체가구소득,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간병시간, 이전 입원경험 유무, 일상생활수행능력(ADL)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부양부담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회귀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자원연계서비스의 제공유무가 부양부담을 증가시키는 의외의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서비스를 받을 경우 전체소득에 대한 부양부담이 사라지는 것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의료사회복지사가 제공하는 경제적 지원 또는 각종 자원연계 등의 서비스가 환자를 지속적으로 간병해야 하는 보호자의 상황에 변화를 가져와 보호자의 부양부담이 경감되는데 영향을 미친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이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대간병 유무는 부양부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의료사회복지사는 교대간병 유무에 따른 부양부담감 완화와 효과적인 간병을 위해서 환자 또는 보호자와 초기면담이 진행되는 시기부터 교대간병 유무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여 이 부분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개입하며, 대상자의 기준이 의료급여일 경우에만 가능한 무료간병도우미 서비스의 경우 보호자의 상황과 특성 등을 고려하여 보다 유동적으로 간병도우미 서비스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그 연계의 폭을 넓힐 필요성이 있다. 둘째, 경제적 문제해결 서비스 제공을 통해 가구전체소득에 따른 부양부담의 차이가 사라지는 것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의료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서비스 중 특히 경제적 문제해결 서비스 제공만이 부양부담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난다는 것은 두 가지 사실을 시사한다. 우선, 의료사회복지사가 개입하는 대상자들의 경우 경제적 취약 계층이 많다는 것과 이러한 낮은 소득수준의 대상자에게 경제적 지원과 같은 적절한 자원연계 서비스가 제공 되어 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경제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보호자 일수록 높은 보호부담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의료사회복지사는 경제적 문제해결과 같은 자원연계서비스를 통해 보호자의 경제적 부양부담을 낮추는 의료사회사업서비스를 계획하여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giving burden of Patient Families : Focusing on a Social worker’s Resource Linking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eck the relevancy between medical social worker's resource linkage service and its influence to the caregiving burdens that patient's ward might feel and to find out more clinical intervention plan after checking out other possible variables on them. For profiling, th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wards of the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by the arbitration of social work team for more than a month at five local small and medium hospitals from Oct. 1st 2012 to Dec. 14th 2012, and in total, 120 shee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done with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Pears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8.0. Below is the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e main causes that could be anticipated are occupational status, respite care break status, a size of family, whole house income, physical condition, social support, nursing time, previous hospitalization statu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Secondly, social support appeared to be relevant with caregiving burden, but at the point of analysis regression, it wa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Thirdly, unexpected result came up that offering the resource linkage service raised increase in caregiving burden. Fourthly, the fact was confirmed through the hierarchical analysis that when medical social worker's resource linkage service is offered, the caregiving burden referring to whole income disappeared. In other words, the financial support or various resource linkage that medical social worker offers gave a change to ward's situation that - the ward should nurse patients constantly - influenced the reduction of caregiving burden. The implications that were given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are below. Firstly,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care break status gives big influence to caregiving burden. Consequently, the status about respite care break should be checked when the initial interviews with wards go on, to relieve the caregiving burden and this point should be focused. It is essential to widen the range of free caregiving service considering the ward's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because it is allowed only in the case of medical benefit. Secondly, it was possibly check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the caregiving burden referring to whole income disappeared by offering financial problem solution service. Especially offering financial problem solution service out of various medical social worker's resource linkage services can give meaningful influence to caregiving burden and it implies two facts. First of all, there are many vulnerable social groups among the cases that the medical social workers should involve and suitable resource linkage service is being given to the people with low income level. The ward with financial difficulty can suffer from high caregiving burden, this shows that the need of medical social worker's involvement should be absolutely emphasized in accordance with the ward's financial burd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medical social worker's involvement should carry a plan of medical social services through resource linkage service such as financial problem solution that can lessen caregiving burden.

      •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의 영향력 확인을 중심으로

        변주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8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and agency level indicators factors on client-centered practice of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3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of social workers in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of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it was foud that relig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ient-centered practice. Third, the relevance and extent of client-centered practice, social worker's and agency factors, and control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religion, social welfare value suitability, creativit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client-centered practice. In addition, social welfare qualification criteri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client-centered practic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the higher the religious practitioners, the more appropriate the social welfare values, the more creative the social welfare values, the better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Fourth, as a major problem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jecting demographic, social worker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to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client-centered practice. In the final analysis model 3, 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the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were shown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person in charge.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better the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communication skills, the more significant the client-centered practice, the mor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super vision should be supported to enhance social welfare workers' communication skill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higher the degree of client-centered practice, it suggests the need for experience and leadership education that can promote creativity to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alize flexible thinking and ideas. Third, it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users, ethical attitudes, education and self-development on the identity and responsibilities of social workers, and systematic super vision should be actively attempted based on social welfare values. 본 연구는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이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내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의 평균 차이를 확인한 결과, 종교 유무가 이용자 중심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이용자중심실천, 독립변수인 실무자 요인 및 조직요인, 통제변수 간 관련성 여부와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인 종교와 독립변수인 사회복지 가치적합성, 창의성, 대인의사소통능력,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계, 혁신적 조직문화가 이용자중심실천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제변수인 사회복지 자격기준은 이용자중심실천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종교를 가진 실무자일수록, 1급 사회복지 자격기준을 갖출수록, 사회복지 가치와 적합할수록, 창의적일수록,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수퍼바이저와 관계가 좋을수록, 혁신적 조직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문제로서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이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인구사회학적 요인, 실무자 요인, 조직 요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분석 모델3에서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는 실무자 요인의 대인의사소통능력과 조직 요인의 혁신적 조직문화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무자의 의사소통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수퍼비전을 지원해야함을 시사해준다. 둘째, 혁신적 조직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 정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토대로, 유연한 사고와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창의성이 촉진될 수 있는 경험과 리더십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셋째, 사회복지가치를 기반으로 이용자에 대한 이해, 윤리적 태도,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책무성에 대한 교육과 자기개발, 체계적인 수퍼비전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조해영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현장실습생들이 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그 증상은 무엇인지, 그 수준은 어떠한지,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조사한다. 또한 실습생들이 실습 시 받는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현장실습의 효과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체계적인 실습교육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남, 여 학생으로서 사회복지현장실습과정을 마친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증상을 살펴보면 전체 스트레스 증상이 보통이상으로 실습생들이 실습을 통해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신체적 증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심리적 증상, 행동적 증상 순이었다. 둘째, 독립변인과 전체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개인요인 중 성별이, 실습요인 중 교육환경, 역할모델, 업무부담, 전문지식 및 기술, 대인관계가 전체 스트레스 증상과 정(+)의 상관관계를 유의미하게 보였다. 셋째, 전체 스트레스 증상의 하위범주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신체적 증상에서는 개인요인 중 성별, 사회복지전공 만족 여부가, 수퍼비전요인 중 수퍼비전 횟수가, 실습요인 중에는 업무부담,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행동적 증상에서는 개인요인 중 성별이, 수퍼비전요인 중 수퍼바이저의 경력이, 실습요인 중 업무부담,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심리적 증상에서는 개인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으며 수퍼비전요인에서 수퍼바이저의 경력이, 실습요인에서 업무부담, 전문지식 및 기술, 대인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 본 결과, 개인요인에서는 성별과 사회복지전공 만족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복지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전체 스트레스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요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습요인에서는 업무부담과 대인관계가 전체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업무부담과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전체 스트레스 증상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스트레스 증상을 낮추어 체계적인 실습교육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생들의 스트레스 증상을 낮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실습을 실시하는 기관에서는 실습활동에 대한 계획과 함께 실습을 행하는 실습생의 개인요인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개인의 특성에 따른 실습지도를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실습지도를 통해서 실습생의 스트레스가 낮아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실습성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습생에게 지나치게 많은 업무가 부여된다고 인식됨에 따라 그에 따르는 스트레스 증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보다 질적인 교육을 실시하게 하기 위해 실습이 시작되기 이전에 실습생과 수퍼바이저가 충분한 의견절충을 통해 적정한 실습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실습수퍼바이저의 자격요건 권고안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권고안에 따르면 실습수퍼바이저의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이어야 하는데 조사결과 3년 미만인 경우가 있었다. 실습수퍼바이저에 대한 기본적인 자격요건은 보다 양질의 실습을 실습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에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을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실습에 관련된 기본적인 체계를 갖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 실습을 시행할 때 실습생에게 제공하는 수퍼비전이 지나치게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은 적정한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적정한 수준의 수퍼비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수퍼바이저에 대한 분명한 업무와 역할에 대한 명시를 통해 세부적인 업무가 규정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 experienced by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ts symptoms and levels, and the factors affecting stress symptoms. It is also to seek the systematic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outcome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by efficiently managing the stress that students in the practicum undergo during the training. With this aim, the study targeted 20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social welfare studies and completed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It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SPSS WIN 17.0 program, and then, it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a descriptive analysis, a t-test, ANOVA,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into the stress symptoms of the research targets, all stress symptoms were over the normal level, and students in social work filed practicum were found to feel stress during the social work practicum. When reviewing these symptoms by each sub-category, physical symptom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nd then, psychological symptoms and behavioral symptoms followed. Second, when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ire stress symptoms, gender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 role model, role sharing,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practicum factor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entire stress symptoms. Third, when looking into the factors affecting by sub-category regarding the entire stress symptoms, in physical symptoms, gender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social welfare studies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number of supervisions among the supervision factor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job burden among the practicum factor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Meanwhile, in behavioral symptoms, gender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a supervisor’s career among the supervision factors, the job burde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um 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psychological symptom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individual factors while a supervisor’s career among the supervision factors, and the job burden,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um factors appeared to be significant. Lastly, as a result of discovering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entire stress symptoms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gender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studies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women were found to be higher in entire stress symptoms than men when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studies was low. In supervision factors, there appeared to be no significant result, but in practicum factors, the job burde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affected variables to the entire stress symptoms. That is, the higher the stress level about the job burde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higher the entire stress symptom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tudy may propose the following plans for improving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by reducing the stress symptoms of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acy of social work practicum, the stress symptoms of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should be lowered. With this goal, it is recommended that agencies which perform social work practicum should off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with more accurate information, along with plans about social work practicum curricula. Provided that the students’ stress may be reduced through these training programs, there would appear to be a more effective outcome. Second, as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perceived they are given too many jobs, their stress symptoms went up, accordingly. Hence,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perform the quality education more than quantity, it is recommended that training curricula be made through exchanging opinions between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nd a supervisor before the beginning of training. Third, there were some cases that failed to meet the requirements as a social work practicum supervisor of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 social work practicum supervisor is required to have over 3 years of work experience, but the research result found that there were some supervisors with fewer than 3 years of work experience. Their basic qualifications are to offer more quality social work practicum to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ccordingly, agencies that cultivate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would be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be prepared with the basic system related to training. Fourth, when social welfare agencies provide, supervision given to students in the practicum should be offered on an appropriate level, which is not excessive or insufficient. In order to offer such an adequate level of supervision, the support of these agencies should be taken as a priority. To be more precise, the detailed positions should be defined through the elucidation of the clear duties and roles of a supervisor.

      • 사회복지종사자의 개인-조직간 가치적합성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태화복지재단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오정철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의 개인-조직간 가치적합성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태화복지재단 산하기관의 최고관리자를 제외한 종사자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조직헌신에 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헌신에 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월 평균급여, 결혼상태, 현재직위, 총 사회복지 근무기간, 현재기관 근무기간, 학력, 조직규모에서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조직헌신과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연령, 직위, 월 평균급여, 총 사회복지 근무기간, 현재기관 근무기간, 조직규모, 자율성 가치적합성, 공동체성 가치적합성, 효율성 가치적합성, 역량개발 가치적합성이 조직헌신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복지종사자의 개인-조직간 가치적합성의 하위 변수가 조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율성 및 공동체성 지향 가치적합성의 변수가 조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종사자의 조직헌신에 있어 월 평균급여, 결혼상태, 현재직위, 총 사회복지 근무기간, 현재기관 근무기간, 학력, 조직규모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상이한 조직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직위 및 근무기간, 학력, 조직규모, 급여 등에 따른 특화된 조직관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겠으며, 이 특화된 조직관리시스템은 조직 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정책으로도 확장 적용되어 사회복지 조직만의 특화된 조직관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월 평균급여의 경우 2011년 3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현재까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논의들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고관리자 및 인사담당자를 통해 조직 안에서의 월 평균급여 평준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세울 필요가 있겠다. 둘째, 사회복지종사자의 개인-조직간 가치적합성이 조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가치와 조직가치의 적합성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조직간 가치적합성을 향상할 수 있는 조직 안에서의 가치교육 체계화, 조직구성원이 함께 만들어가는 비전과 미션 등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개인-조직간 가치적합성의 하위변수 중, 자율성과 공동체성이 조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개인의 자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직무역할에 관한 권한부여, 수평적 의사소통 구조 등의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공동체성을 향상하기 위한 전 직원 차원에서의 워크숍, 동료 및 집단수퍼비전, 팀 스터디 등의 전 직원 차원 및 팀과 부서 차원에서의 공동체성을 향상할 수 있는 마련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of social service workers affects organization commitment. For this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on 283 social service workers except top managers in Taiwha Welfare Foundation Affiliated Organiz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searching the difference to the organization commitment as followed by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t is revealed a meaningfully average differences in monthly average salary, marital state, present position, whole social welfare service period, present institution service period, level of education, organization scale. Second, as the result of search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main variables it is revealed that age, position, monthly average salary, the whole social welfare service period, present institution service period, organization scale, autonomy value suitability, community value suitability, competence improvement value suitability have static correlation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Third, as the result of searching the effects the low level variables of social service workers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has on organization commitment in the condition controled with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is revealed that the community orient and the variable of competence improvement value fit affect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I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 it is tried to suggest the social welfare practical proposal as below. First, the fact of the social service workers organization commitment has meaningful average difference on monthly average salary, marital state, present position, the whole social welfare service period, present institution service period, level of education, organization scale is to mean the necessity of different organization management by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needs to build up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position, service period. level of education, organization scale, monthly average salary and etc and this specialized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also needs to build up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s social welfare policy with extended application but not only in inside of the organization. For the monthly average salary it needs to build up the various strategy for equalizing monthly average salary in organization through top managers or human resources managers. Various policy discussions about the improvement of social service workers position have been held continually till now after「the law for improving the social welfare worker’s treatment and position」was enacted in march 2011. Second, as the result of the social service workers person-organizational value fit was revealed as the cause to affe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it is revealed that the suitability of personal value and organization value are the causes to affe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erefore it will need value education systematization in organization that improve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vision and mission in the institution that organization members can achieve together. Especially, in the low variable of the value fit between person and organization while autonomy and communal character are become as the main variable affecting on organization commitment it needs to manage grant of authority on duty role that can maximize personal autonomy, a plan that can improve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horizontal communication structure, workshop in the level of all staffs for improving communal character, coworker and group supervision and team study etc in the level of all staffs, communal character in team and department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