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佛敎 法席儀禮의 變遷樣相 硏究 : 조선시대 법석의례 자료를 중심으로

        박선각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34383

        This dissertation considers the change of the ritual of Beopseok in the Joseon Dynasty, a ritual for reciting the sutra. Before stuying its main topic, I looked at Beopseok in Indian Buddhis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its ritual, the establishment of the ceremonial ritual of Beopseok in Chinese Buddhism and that in Korean Buddhism. It was performed more than 70times, starting with Beopseok composed of the four great material elements from the reign of King Taejo to that of King Jungjong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its related data. The early period is from at the rite of Jakbeob jeolcha(作法節次, 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practice, 1496) in the late 15th century to before Ojongbeomeomjip(五種梵音集, the collecotion of the five kinds of the Brahma voice, 1661), the middle one is to before Jagbeobgwigam(作法龜鑑, the example for the rules of practice, 1826) and the late one is to the pre-modern era. The aspect of the ritual of Beopseok can be divided into ‘Gyegyecheong beopsik(啓請法式, the ceremony of invitation and worship, I-type)’ at the beginning of reciting the sutra and ‘the rite of Jakbeob jeolcha(P-type)’ in Uigwe(the ritual manuals) of Jakbeob jeolcha. Also, the aspect is divided into the first half(IV) of the fixed territory, solemn purity and advocacy, and the second half(V) of the performing ceremony of the beopseok and its closing ceremony, which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irstly, it is the fixed territory. In the early perio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ame aspect as the fixed territory in Gyegyecheong beopsik but there is mantra enshrined in the land(安土地眞言), which can be said to have the built altar and the fixed territory. Jibanmun(志磐文, the ritual program by Giban) of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has its form and its mode in the rite of Jakbeob jeolcha. No special aspect can be found in the middle period nor any specific ceremony for the fixed territory is found in the late one. Secondly, it is solemn purity. In the early period, mantra for purifying the karma of the mouth or speech plays its role in Gyegyecheong beopsik and it is performed by reciting Maha karuna dharani in the ritual of Jakbeob jeolcha. In its middle period, Gyegyecheong beopsik is characterized by the sound of Om at the beginning of mantra for purifying the karma of the mouth or speech in Yukgyeonghapbu(1721) kept in Unheungsa temple and the rite of Jakbeob jeolcha is found in the form of chant with the prone position among the solemn and pure ceremonial practices of Ojongbeomeomjip(1661). The late beopsik has only mantra for purifying the karma of the mouth or speech and its rite of Jakbeob jeolcha centers on the offering ceremony rather than the ritual of Beopseok. Thirdly, it is the advocacy ceremony. In the early period, the 8 Geumgangs and 4 Bodhisattvas are invited and asked for their defense during Gyegyecheong beopsik, and pantheons(神衆) are invited and given the role of protecting the fixed territory(護持結界) and guarding bodhi-mandala(守衛道場) during the rite of Jakbeob jeolcha, In the middle period, the rituals such as Sinjungjakbeop(神衆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the ritual for pantheon) were not found. In the later period, the aspect of defending Beopseok was weakened and it was established as the independent ritual of serving the offerings and guarding bodhi-mandala. Fourthly, it is the ceremony of carrying the main lecturer. It can be said that in the early period, mantras enshrined in the land means this ceremony in Gyegyecheong beopsik, and the rite of Jakbeob jeolcha is performed under the name of Geobul(擧佛, bowing and calling the name of the Buddha in front of the Buddha statues). In the middle Gyegyecheong Beopsik does not have any singularity, and the procedure of carrying the main lecturer appears in its rite of Jakbeob jeolcha. Beomeumsanbbojip(the collection of Brahma voice) has the version of the 17th and that of the 18th century. In the late period, the rite of carrying Gwaebul(掛佛, Buddhist scroll painting) was not conducted. Instead, It is established that the rite of reciting the ritual oration(儀文) in front of Gwaebul after istalling it. Fifthly, it is the rite of reciting the sutra. In the early period, vow, Unhabeom(云何梵) and then Gaegyeongge(Opening chant of the sutra) are conducted in turn during Gyegyecheong beopsik. Geobul, Yeomhyang(拈香, Burning the incense in the incense burner), Gaegyeongge, and mantra are programed in turn and then the master of ceremony explains the title of the sutra followed by reciting it all together during the rite of Jakbeob jeolcha. Gyegyecheong beopsik in the middle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Moongyeon(聞見)' in the 3rd verse of Yukgyeonghapbu kept in Unheungsa temple as 'Gyeonmoon(見聞)'. Between Gaegyeongge and Geobul, asking for Buddha is conducted first. Those in the late period are related to the modern ones. 'Jakbeopguigam'(1826), the material of the rite of Jakbeob jeolcha, contained the Jeongdaege(頂戴偈, Chant for putting Kasaya on the head), Gaegyeongge and Gaebeopjangjineon(開法藏眞言, Opening mantra of dharma-storehouse), Chant of asking for Dharma, and Chant for the Dharma talk in the ceremony of the offering ritual oration in the previous period. But we cannot even find a trace of them. Sixthly, the closing ceremony of Beopseok has three types of Vow in mantras, which as in <Table 11> of the main text. There is no need to discuss the form of Gyegyecheong beopsik. There is no separate mantra found in the two types of Uigwe, that is, Jakbeob jeolcha(1496) and the ritual oration for offerings in Jebanmun(諸般文, Outline of Buddhist Rituals, 1634). But its primitive form of the middle period is found in Yeongsandaehoe Jagbeob Jeolcha(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practice in the Vulture Peak assembly). Regarding the form of mantras and vow at the end of Beopseok in the middle period, the supplementary mantras began to appear before Sugyeongge(收經偈, Chant for praising the teachings when gathering the scriptures). In the late period, mantras and vow at the end of reciting the sutra or sermon follow Sugyeongge without reciting the sutra comopsed of the supplementary mantras. Seventhly, as for the blessing in the closing ceremony of Beopseok, in the early period, Gyegyecheong beopsik contains the meaning of a blessing in ‘prajñā inexhaustible treasures mantra’ or ‘the diamond heart dharani’. The later supplementary mantras means not only replenishing Yeomsong(拈頌, the Evaluation and Odes) but also replenishing a blessing. After the closing recitation of the sutra, they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merits and deeds and specifically, they give a blessing in three stages for the blissful rebirth in the Pure Land of the former kings and their queens, the doner’s deceased parents, each parents and souls in Dharma realm. In the middle period, the blessing of the deceased, three souls is found, but the blessing of the living, three figures is not. In the late period, it can be said that the blessings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universal blessings such as mantras and vow of the Bohoehyangjingon(普回向眞言) and individual blessings such as the forms of blessing of the dead and that of the living. 이 논문은 불교의 경전을 염송하는 의식인 조선시대 ‘법석의례’의 변천양상을 연구한 논문이다. 논문의 연구범위는 조선시대 법석의례의 변천양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먼저 법석의례의 성립과 한국적 전개를 개괄하고, 법석의례 전ㆍ후반부에서 행해지는 주요 의례의 변천양상을 조선시대를 전기ㆍ중기ㆍ후기로 나눠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법석의례의 성립을 원초적인 인도불교의 법석과 의례적인 중국불교 법석의례의 성립 양상을 살펴보았다. 인도불교 법석의 경우 경전 상의 법석과 의궤 상의 법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의례적인 중국불교의 법석의례 성립으로는 과송과 속강, 찬패와 참법, 수륙의 외단 등을 중심으로 역사적, 구조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은 법석의례의 한국적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조선시대 법석의례의 변천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이전 시대인 신라와 고려 및 조선시대 법석의 전개 양상을 개괄하였다. 신라 불교의 법석은 업장의 소멸과 공덕을 닦는 분수(焚修)승의 작법과 오대산의 오대법석, 강경법회 등을 중심으로 법석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고려불교는 법석의 전성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인왕도량은 백좌인왕도량, 인왕경도량, 백고좌도량 등으로 불렸다고 보인다. 고려불교에서 ‘소재법석’이라는 명칭으로 행해진 의례가 147회나 있다고 하지만 사실 의례의 목적으로 보면 여타의 법석도 소재법석의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조선불교의 법석은 조선불교 시대의 의례 자료에 나타나고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되는 양상에 따라 그 시대를 구분하였다. 전기는 조선 초기 15세기 말의 「작법절차」(1496)~17세기 󰡔오종범음집󰡕(1661) 이전까지로 보고, 중기는 전기 이후~19세기 초반의 󰡔작법귀감󰡕(1826) 이전까지로, 후기는 중기 이후 현대 이전 시대까지로 설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조선시대에 행해진 법석은 사대연성(四大緣成)을 법석을 필두로 70여 회의 법석은 태조 때부터 중종 때까지 설행되었다. 법석의례의 양태는 독송 경전들의 서두에 실려 있는 「계청법식」과 「작법절차」라는 의궤에 실린 작법절차식으로 나눌 수 있다. Ⅳ장부터는 법석의례 전반부의 변천양상을 Ⅲ장의 본과에 의지하여 법석의례의 전반부는 결계, 엄정, 옹호의식을 조선시대 전기ㆍ중기ㆍ후기의 의문(儀文) 자료에 나타나는 변천양상을 위주로 기술하였다. 1절은 결계의식을 다루었다. 전기의 계청법석은 외형상으로는 결계와 같은 모습을 찾기는 힘들지만 안토지진언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건단과 결계는 이뤄져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작법절차식은 수륙재 󰡔지반문󰡕에서 그 형식과 양태를 살펴볼 수 있다. 중기의 계청법식은 특별한 양상을 확인할 수 없다. 후기의 구체적인 결계 의식의 모습은 나타나지 않으며, 󰡔작법귀감󰡕(1826)을 보면 법회를 알리는 의식과 엄정의 끝인 참회진언, 정삼업진언 염송 이후에, 결계의식의 ‘결계진언’이 확인되지 않는다. 2절은 엄정의식을 다루었다. 전기의 계청법식에는 ‘정구업진언’이 그 역할을 하며, 작법절차식에는 대비주를 염송하여 정수(淨水)에 가지한 감로수로 도량에 뿌리고, 동참 재자들의 업장을 소멸하고 참회하는 의식으로 구성되었다. 중기의 계청법식에는 1721년 운흥사에서 간행된 󰡔육경합부󰡕의 정구업진언 초두에 ‘옴’자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작법절차식에는 󰡔오종범음집󰡕(1661)의 엄정 의식 행법 가운데 ‘복청대중 운운’하는 협주는 오늘날 재장(齋場)에서 행해지는 복청게 형식이 등장한다. 후기의 계청법식은 정구업진언 정도에 불과하고, 작법절차식은 법석의례보다 공양의례, 곧 재회화(齋會化) 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3절은 옹호의식을 다루었다. 전기의 계청법식은 지송자의 옹호를 부탁하기 위해 8금강 4보살을 계청하며, 작법절차식에는 엄정 이후에 옹호 신중을 청해 ‘호지결계’와 ‘수위도량의 역할이 주어지고 있다. 중기에는 신중작법과 같은 의식이 보이지 않으며, 후기의 옹호 의례는 법석의 옹호라는 형식이 약해지고 공양을 올리고 도량을 옹호하는 독립된 의례의 모습으로 정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Ⅴ장은 법석과 그 후반의 변천양상은 법석의 실행 의식과 법석의 마침 의식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법석 실행 의식을 설주이운 의식과 경전 염송의식을 나눠 살펴보았다. 설주이운 의식을 보면, 전기의 계청법식은 안토지진언이 이를 의미하며, 작법절차식은 거불명(擧佛名)으로 당해 법석의 설주를 칭명하여 모신다. 중기의 계청법식에는 특이점이 보이지 않으며, 작법절차식에는 설주이운의 절차로 등장하는데 17세기 것과 18세기 󰡔범음산보집󰡕의 형식으로 나눠진다. 후기에는 괘불이운의 의례 행위가 이뤄지지 않고 괘불 설치한 후, 괘불 앞에서 의문 염송 방식이 정착되었다. 다음은 법석의 경전 염송 의식이다. 전기의 계청법식에는 󰡔금강경󰡕(1464)이 대표적인데 발원과 운하범(云何梵) 뒤에 개경게가 등장하며, 작법절차식에는 법석의 거불 이후 염향(拈香)과 개경게와 진언 이후에 회주는 당해 법석에서 경전을 염송하거나 해설할 경전의 제목을 풀이하고 다음에 함께 염송한다. 중기의 계청법식에는 운흥사 󰡔육경합부󰡕(1721)에서 확인되는데, 개경게송 3구의 ‘문견(聞見)’이 ‘견문(見聞)’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작법절차식에는 󰡔오종범음집󰡕에는 전기와는 다르게 개경게송과 거불 사이에 청불(請佛)이 먼저 일어나고 있다. 후기의 경전 염송 자료는 현대의 것들과 관련이 있는데, 작법절차식의 자료인 󰡔작법귀감󰡕에는 전 시대의 공양문 의식에 있던 정대게 개경게송이나 개법장진언, 청법게 설법게 등이 흔적조차 보이지 않는다. 2절 법석의 마침 의식은 진언의 발원과 축원으로 나눠 살폈다. 첫 번째, 진언의 발원은 본문 <표 11>에서 밝혔듯이 세 유형이 있다. 계청법식의 경전 염송 이후 진언ㆍ발원 형식은 각각의 시기별로 그 형식을 논의할 필요는 없다. 작법절차식의 형식을 전기의 「작법절차」(1496)와 󰡔제반문󰡕의 ‘공양문’ 두 유형의 의궤에는 동송(同誦) 이후 청불(請佛)을 하므로 별도의 발원을 하는 진언을 볼 수 없으나, 󰡔영산대회작법절차󰡕(1634)에 중기의 원초적인 모습이 보인다. 중기의 법석 마침의 진언ㆍ발원 형태에 대해 작법절차식에서는 보궐진언이 수경게 앞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후기에는 경전 염송이나 설법을 마칠 때의 진언ㆍ발원은 보궐진언으로 충족되는 경전 염송 없이 수경게송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축원으로 전기의 계청법식은 ‘반야무진장진언’이나 ‘금강심다라니’는 축원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후의 보궐진언의 보궐은 염송을 보궐한다는 의미도 되지만 염송과 축원을 보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경전 염송을 마치고 그 공덕을 회향하며 구체적으로, 선왕선후, 연화시주의 선망부모, 각각의 부모와 법계망혼들의 왕생극락을 3단으로 축원한다. 중기에는 법석을 마치며 행하는 축원에는 망자인 삼혼의 축원이 보이지만, 생자인 삼전(三殿)의 축원은 보이지 않는다. 후기의 경우 축원에는 보통축원, 귀의축원, 회향축원의 형식이 전해지고 있는데, 경전 염송 이후의 축원은 보회향진언의 진언ㆍ발원과 보편적 축원으로 망축과 생축의 형식으로 발원되었는데, 조선 후기에는 개별적 축원의 형태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조선 후기 법석의 변천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 조선시대 유·불(儒·佛) 의례의 상관성 연구

        심일종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조선시대 불교의례와 유교의례의 상관성을 다루는 논문이다. 조선사회를 이념적, 실천적으로 떠받치고 있던 성리학적 세계에서 관습적으로 토착화된 불교의례의 대응과 공존의 논리를 규명해 보고자 했다. 유교사회에서 불교의 행위수행과 관행, 행위주체의 재생산과 기능적 사회화에 대한 맥락적 검토가 본 연구의 주제이다. 유·불 의례 연구는 그 하나의 방법론적 접근이다. 유·불 의례 연구는 조선 성리학과 이전부터 전승되어 온 의례문화에 대한 역사철학이 만들어 내고 있었던 추상적 공간과 실제적 공간에서의 실천적 의례형태를 파악하는 일이다. 여기에는 의례 권력이 의례 자원의 분배를 놓고 경합하고 조율하며 실천하던 관계성을 포함한다. 그래서 조선의 ‘유·불 의례’의 상관성을 밝히는 일은 유교의례와 불교의례가 사회의 장(場)에서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문화적으로 체계화, 구조화되어 가는 흐름을 파악하는 일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불 의례 상관성의 분석을 위해 관련된 사료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주지하다시피 상대적으로 조선에서 불교계의 대응을 보여줄 만한 발화나 언어화된 텍스트가 적은 실정이었다. 이것이 방법론적으로 조선시대 불교의례(佛敎儀禮)와 불교의문(佛敎儀文)에 주목하게 된 이유이다. 물론 이를 통해 사회적, 종교적, 경제적 제 맥락을 파악하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러나 의례 텍스트를 다루는 시각에 따라, 그리고 그 자료의 활용에 따라 유교사회에서 불교의 위상 내지는 불교의례를 둘러싼 맥락적 접근이 불가능해 보이지는 않는다고 생각했다. 죽음을 둘러싼 유교의 제사(祭祀)와 불교의 재(齋)에 대한 연구는 그렇게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의 유·불 의례의 상관성을 분석함에 있어서 의례 정치 문제, 의례 인정(認定) 문제, 의례 효험 문제, 그리고 의례 대중(大衆) 문제로 나누어 논했다. 그러면서 시기별로 두드러진 쟁점을 위주로 전개하였다. 아울러 주목한 것은 종교생활에 있어 의례와 신앙적 필요와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문화적 과정의 변화와 변용이라는 측면이었다. 즉 조선사회의 종교철학적 지향과 실천에 관계하는 실제의 의례 관행과 행위주체 간 상관성을 중시하고자 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불교와 불교의례는 조선사회에서 문화체계로서 기능하고 유교와 서로 공진화하면서 조선인들을 위로하고 치유해 온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 특히 개인과 집단의 사회적 고통을 외면하지 않았고, 사후의 종교적 세계를 적극적으로 불교의례에 담아 산자와 죽은자 모두를 위로하는 불교는 당대의 왕실과 사대부 나아가 서인들에게 공효(功效)의 종교였던 셈이다. 칠칠재와 기신재, 수륙재, 영산재 등이 그러했다. 공효로서의 불교의례는 참회(懺悔)와 염불수행, 구복(求福)과 감응(感應) 체계를 두고, 극락왕생(極樂往生)을 약속하며 불교의 사상과 철학을 소통시키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형식에서 불교의례가 성리학적 세계관과 배치되면서도 그 배타성 속에서 유교와의 공공지대를 찾아 내고 있었음을 중시하였다. 조선의 불교 교단이 위기 속에서도 자신들의 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주요한 힘은 대중들에게 유교에서 중시하는 조상(祖上)을 넘어서는 “내세적 보상(reward)”에 대한 감각과 적절한 이해의 장을 마련해 주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조선적 맥락에서 유교의례음식과 대비하여 불교의 음식과 변식의 의미를 규명해 본 것은 그 예이다 학술적으로 본 연구는 유·불 의례의 틀이 조선사회의 의례를 이루는 두 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사회의 종교연구는 20세기 근대 종교 개념에 덧씌워진 시선을 적어도 의례분야에서 교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근대 종교 개념에는 조선과 같은 전통사회의 교(敎)·도(道)가 지니고 있던 광범위한 포괄성의 존재가 없기 때문이다. 현대 한국불교는 조선시대 불교와 연결되어 있다. 의례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의 학술적 성과가 오늘날 불교 의례가 21세기 걸맞는 방향을 찾아내는데 작은 통찰이라도 제공할 수 있었으면 한다. 그리하여 다종교사회인 한국에서 불교와 불교의례의 창조적 전승을 고민할 때 참조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뜻이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interrelation between Buddhist and Confucian ritual in Joseon Dynast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logic behind the response and coexistence of indigenous Buddhist rituals in Joseon society.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a contextual analysis of the performance and practice of Buddhism, examining how these rituals reproduced and socialized ritualized agents functionally. The methodology used is a comparative approach, studying both Confucian and Buddhist rituals. This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ritual delves into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ritual culture in Joseon, prior to the emergence of Neo-Confucianism. This includes the relationship in which ritual power competed, coordinated, and practiced over the distribution of ritual resources. In that sence,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cultural flow of how these rituals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religious life, by explor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Confucian and Buddhist rituals in Joseon. In this study, the interrelation between Confucian and Buddhist rituals was analyzed using relevant materials. Unfortunately, there is limited verbal evidence showing the response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Joseon. As a result, this study focused on Buddhist rituals and texts on Buddhist rituals, as a methodology and research materials, to gain insight into the status of Buddhism in Confucian society and the context surrounding Buddhist rituals. From this, the study of Confucian rituals called “Je-sa(祭祀)”and Buddhist rituals called “Jae(齋)” was able to be conducted.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onfucian and Buddhist rituals in Joseon by dividing it into four aspects: ritual politics, ritual recognition, ritual effectiveness, and ritual audiences[大衆]. The focus was on exploring changes and transformations in the socio-cultural process of rituals and faith in religious life. Buddhism and its ritual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a cultural system in Joseon society. Throughout history, they comforted and healed the people of Joseon while co-evolving with Confucianism. Buddhism, in particular, addressed the social suffering of individuals and groups and offered comfort to both the living and the dead through its religious ceremonies activating the religious after-world. In short, Buddhism was widely seen as a religion of public merit from the royal family, nobles, and even common people alike. This study aimed to find common ground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from the form of communication, despite the fact that Buddhist rituals ran counter to the Neo-Confucian worldview. The main reasons contributing to the persistence of Buddhist community in Joseon dynasty was the belief in “afterlife rewards” that went beyond the ancestors valued by Confucianism. This study examined the meaing of ancestors, guardian deities(神衆), food and the sacred food in Buddhist rituals, compared to Confucian rituals and those food in Joseon, as an example.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is study believes that Confucian and Buddhist rituals should be understood as two crucial elements that comprise the ritual culture of Joseon society. Given that, this study calls for a correction of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on religious life in Joseon,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modern religious concepts from the 20th century. Moreover, this study challenges the dichotomization of male-centered Confucian rituals referred to as “Ka-je(家祭)” and female-centered shamanic ceremonies referred to as “Dong-je(洞祭)”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Such a modern dichotomy fails to fully capture the comprehensive nature of traditional concept of religion[敎] and Tao[道].

      • 한국불교 다비와 49재의 문화콘텐츠화 연구

        김인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51

        오늘의 불교문화는 역사적으로 불교가 사회와 소통한 모든 활동의 결과 물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경제적 구조가 반영된 측면 뿐만 아니라 대중들 이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들이 불교문화에 반영되어 있다. 어느 종교에서도 내세관은 중요하지만, 특히 전생의 업보나 현실의 삶의 과정에서 쌓은 과보 로 사후에 육도윤회의 길이 정해진다는 불교의 내세관은 우리 문화에 깊이 새겨져 있다. 그만큼 불교는 이 땅의 문화적 DNA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적인 삶이 되었다. 특히 불교에서의 지옥과 극락세계는 여러 대중매체를 통 하여 극적으로 표현되었고, 이는 기독교의 지옥이나 연옥 혹은 천당의 모습 과는 다른 얼굴을 하고 있다. 이들 보이지 않는 세계를 소재화하고 물질화 하는 과정이 곧 불교 문화콘텐츠 작업의 시작이자 불교문화를 ‘한국화’하는 일이 되기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불교문화 가운데 다비 의식과 49재 의식을 다루고 있다. 현대 한국불교 의례는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논문에 서는 불교의 죽음의례인 다비와 49재를 중심으로 현대적 콘텐츠화 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지향을 보인다. 첫째, 서론 부분에서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의 문화 환경이 전통문화의 현대화와 아울러 세계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문화의 산 업적 가치가 중시되고 미디어를 통한 콘텐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 다. 따라서 우리의 불교문화를 재조명하고 종교문화를 산업화한다는 관점에 서 불교의례의 콘텐츠화 작업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불교에서 다양하게 설행되는 다비 의식과 49재 의식을 집중 조명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발전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작금의 우리나라 불교문화는 전근대 시대부터 내려오던 관습에 머물러 제대로 된 소통능력을 상실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문화콘 텐츠산업의 가치가 확대되고, 정보통신 인프라가 급속히 확대되는 현상에 부응하지 못하는 현상을 낳았다. 이에 한국불교에서 콘텐츠의 가치가 높은 다비의식을 현대적 시각으로 연구하였으며, 종교를 떠나 일상에 가깝게 다가온 49재의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연구하였다. 셋째, 다비와 49재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고 있다. 다비와 49재는 인간의 죽음과 구원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불교의 경전에 근거한 의식이다. 그러나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부처님 당시부터 현재에 이 르기까지 당시의 이론적 바탕과 경전의 내용을 불교적 이해로 풀어내어 중 생의 고민과 수행자의 회향을 역사적인 사실들이 꾸준히 반영된 하나의 상 징적인 승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피안(彼岸)의 상상적 세계만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고통받는 중생의 현실세계를 극적으로 대비시킨 종교 적 표현으로 성(聖)과 속(俗)이 함께 존재하고 극락과 지옥, 그리고 과거와 현재가 공존되고 있다. 불교는 현재 여러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불교계 는 불자는 물론이고 일반 대중들과의 소통의 폭을 넓히는 지적이고 실천적 작업이 필요하다. 21세기 불교문화는 단순히 종교포교가 아닌 모든 세대가 불교를 향유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적 접근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 시대를 지배하는 이념과 사고들은 항상 변하기 때문에 종교도 현대인의 욕 구에 귀 기울이고 그에 부합하는 수단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의의는 우선 기존의 한국불교상장례의 소재인 다 비의식과 49재의식을 중심으로 콘텐츠화하는 측면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로 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일례로 우리 고유의 불교의례인 다비의식이 시대의 흐름에 맞춰 현대화 된 '(상설)다비장'이 개발되어 일반 수행자의 마지막 회향의 모습이 아름답 게 담을 수 있기를 바란다. 또 49재의식이 칠칠재의 유연한 운영이나 의례 비용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콘텐츠화로 모든 국민이 만족하는 하나의 문화 적 대안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다비와 49재가 한국불교 문화콘 텐츠의 대중화를 이끌고, 인류에게 사랑받는 불교문화재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으면 한다. Today's Buddhist culture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all activities that Buddhism has historically communicated with society. Not only the socio-economic structure is reflected, but also the various aspects of the public's life are reflected in Buddhist culture. In any religion, the view of the afterlife is important, but the Buddhist view of the afterlife, in which the path to the six paths of reincarnation after death is determined by the karma of the previous life or the results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real life, is deeply engraved in our culture. As such, Buddhism has become an indispensable life as the cultural DNA of this land. In particular, the world of hell and paradise in Buddhism was dramatically expressed through various mass media, and it has a different face from the image of hell, purgatory, or heaven in Christianity. The process of materializing these invisible worlds will soon be the beginn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 work and the "Koreanization" of Buddhist culture. This study deals with the Dabi and 49Jae among Korean Buddhist culture. Modern Korean Buddhist rituals are facing a new era of change. Accordingly, in this paper, I tried to study and present modern content methods, focusing on Dabi and 49Jae, the ritual of death in Buddhism.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direction. First, the purpose and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are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part. In the reality that our cultural environment is becoming globalized along wit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e industrial value of culture is emphasized and the importance of content through media is further emphasiz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urgent to re-examine our Buddhist culture and industrialize religious culture. Second, it was examined whether it could develop into new cultural contents by focusing on the Dabi and 49Jae, which are variously practiced in Korean Buddhism.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Korean Buddhist culture has lost the ability to properly communicate by staying in the customs that have been handed down since the pre-modern era. This led to the expansion of the value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nd the rapid expan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ccordingly, in Korean Buddhism, the Dabi which has a high value of content, was studied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the 49Jae which came close to daily life, apart from religion, was investigated and studied in Korean Buddhism. Thir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being attempted for the content development of Dabi and 49Jae. Dabi and 49Jae are the themes of human death and salvation, and are rituals based on Buddhist scriptures. However, it is not just a ritual, but a symbolic sublimation work that consistently reflects historical facts by unravel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contents of the scriptures from the time of Buddha to the present with Buddhist understanding. It is a religious expression that not only expresses the imaginary world of the other side, but also dramatically contrasts the real world of suffering sentient beings. Buddhism is currently making new attempts in many aspects. To this end, the Buddhist community needs intellectual and practical work to expand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Buddhists. Buddhist culture in the 21st century should not just be religious missionary, but a cultural content approach for all generations to enjoy Buddhism. Since the ideologies and thoughts that dominate the era always change, it is time for religion to listen to the needs of modern people and present the means accordingly.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a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spect of content centered on the Dabi and 49Jae,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existing Korean Buddhist funeral. For example, it is hoped that the ‘(Sangseol常設) Dabi-jang(場)’, which is a modernization of our unique Buddhist ritual,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ill be developed. It is also hoped that the 49Jae will be reborn as a cultural alternative that satisfies all citizens with the new content on the issue of ritual costs.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Dabi and 49Jae will lead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establish themselves as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loved by mankind.

      • 생전예수재의 현장론적 이해와 의례의 축제성

        곽성영(승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4351

        The greatest idea of Korean Buddhism is Mahayana Buddhism. The characteristic of Mahayana Buddhism can be said to implement the idea of Bodhisattva through Jariitahaeng (the principle of benefiting both oneself and others) and Mahayana Buddhism was also introduced from China to Korea and has formed the basis of Korean Buddhism for 1,700 years and greatly influenced Korean Buddhism in general. As a result, Amitābha Faith, Avalokiteśvara Faith, Ksitigarbhah Faith and Maitreya Faith were established as representative religions in Korean Buddhism, continuing until now. And rituals and ceremonies of Korean Buddhism are made around the form of combining Pure Land Faith and Esoteric Buddhism Ritual and Huayuan Faith and Beobhwa Faith were added and the complex nature of mountain spirit worship faith which is a folk religion, Chilseong Faith and Taoist faith is revealed. With the acceptance of Buddhism in Silla, Buddhism, which was introduced in the Three Kingdoms era, began with 'Palkwanhoe' and 'Yeondeunghoe’ in the background of Pure Land Faith and the Korean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land defence Buddhism. This can be said to be the beginning of large scale Buddhist ceremonies and festival elements of Buddhism. As Korean Buddhism was inherited to Goryeo through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ed Silla, national Buddhism accreditation has the soil that is inevitable to develop in the ideological and religious aspects. Therefore, Buddhist rituals also have developmental forms of rituals such as ‘Sooryukjae’, ‘Youngsanjae’ and ‘Saengjeonyesujae’. According to the records of『Samgukyusa』,『Samguksaki』,『History of Goryeo』,『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development of these rituals is bound to be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of the ideological faith and especially Pure Land of Amitābha thought is the representative faith of ancestral rites and Avalokiteśvara Faith and Ksitigarbha List Faith were developed together. And despite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Buddhism oppression policy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 various Buddhist practices centering on the royal family have evolved into various beliefs of Buddhism and these belief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supporting the lives of the people since the mid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Pure Land Faith has created a variety of Pure Land ideologies based on the wish to overcome the life of the hard-hearted people and human’s fear of afterlife through the faith of Buddhism. As a result, a ceremony named ‘Saengjeonyesujae’ was born based on Ksitigarbha List Faith and Avalokiteśvara Faith from the perspective of Pure Land. Unlike ‘Youngsanjae’ wishing for Yongsanhoesang of Sakyamuni Buddha or ‘Sooryukjae’ saving all forlorn wandering spirits of water and land, ‘Saengjeonyesujae’ is a ritual for living people. Youngsanjae is based on Sakyamuni Buddha’s Lotus Sutra Philosophy and Sooryukjae is the expression of Pure Land Philosophy based on the salvation of Amitabha. Based on the above two ideologies, however, ‘Ksitigarbha List Ten-king thought’ is added here in ‘Saengjeonyesujae’. Therefore, it is no wonder that the content of the ideological and religious aspects of Saengjeonyesujae is more numerous and diverse than that of Youngsanjae or Sooryukjae. The source of Saengjeonyesujae is the mind which is fearful of post-judgment and was called Buddhism with Korean’s view of death by spreading the value of morality in the society while examining sins during the life and is a ritual that gives an answer and a relief to the question of the death of the old people and the purpose of the ritual is ‘anyone has come from past life and everyone is born with debt owing to the sin of past life and therefore, they mutt pay back debts for the sins of past lives’ by six-realm samsara according to ‘karma’, the central idea of Buddhism. In addition, due to the regional diverse cultures, the composition and procedures of Saengjeonyesujae are also slightly different from the sectarian and regional differences. ‘Jogyesa Temple’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with a slogan of the recovery of original form of Yesujae has a two-day rigual configuration and ‘Bongwonsa Temple’ and ‘Guinsa Temple’ proceeds in one-day ritual configur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Gyeongje Beompae Ritual. And ‘Jagyaksan Mountain Saengjeonyesujae’ in Miryang with 24-hour ritual configuration is evaluated to relatively preserve the original form. The main feature of Saengjeonyesujae is that the general public who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is the main character because it is a ritual for a living person. Therefore, the public’s participation in the ritual is higher than Youngsanjae or Sooryukjae. Therefore, Saengjeonyesujae can be said to be a Buddhist ritual with much festivity and has the festive nature because the public is the main character and each I participates in the ritual as a subject. The festivity of Saengjeonyesujae expresses the desire to escape by relying on the power of the Buddha and the sages from the framework of ‘karma and six-realm samsara’, the fundamental ideas of Buddhism. The act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bo', a result and the act is an act of the past. That is why we cannot help but create good deeds or sins of the past. Especially a sin is an act to pay off. The sins of the present life can pay off for the object, but the sin of the past life has no subject. In Buddhism, this leads to the good deeds of present life ideologically and the concept of debt of the past life is introduced faithfully, creating a ritual where people pay off this debt with the power of the Buddha and ten kings in the list to overcome the fear after death and make it a place of festival. This Saengjeonyesujae allows people to rotate the temple and tower where there is the Buddha by setting Geumeunjeon to pay off the debt of their past life on the head and possessing ‘Hamhapso’, the certificate and the act of promising the comfort after death through the power of Buddhism and the means of movement such as sedan chair and Banya-Yongsun will make them believe that death is no longer a dread. It also makes Saengjeonyesujae a venue of festival with elements of dance and song through Hwacheong. It has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about awareness changes that can sublimate into the field of festivals to the public with prejudice that dancing and singing in a temple that protects Buddhism is a disgrace to the Buddha. Saengjeonyesujae can be said to promote religious thought and faith, and to be a reminder that it is an excellent folk culture. 한국불교는 대승불교를 표방한다. 대승불교의 특징은 자리이타행(自利利他行)을 통하여 보살(Bodhisattva)사상을 구현한다는 데 있다. 대승불교는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되어 천칠백여년 동안 한국불교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한국적 불교의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 결과 한국불교는 미타신앙, 관음신앙, 지장신앙, 미륵신앙 등이 대표적 신앙으로 자리를 잡아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한편 한국불교의 의례와 의식은 대체로 정토신앙과 밀교의식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화엄신앙과 법화신앙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토속신앙인 산악숭배신앙과 칠성신앙, 그리고 도교적인 신앙 등도 포함된 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삼국시대 불교의 전래와 함께 시작된 의례는 정토신앙의 바탕과 호국불교라는 한국적 특징 속에서‘팔관회(八關會)’와 ‘연등회(燃燈會)’를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 이 두 사례는 불교의례가 가지는 축제적 요소와 대규모의 불교의식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 고려시대 국가불교의 전개는 한민족의 사상과 신앙, 문화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이에 따라 불교의식에서도 ‘수륙재’와 ‘영산재’ 그리고 ‘생전예수재’등이 번성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재의식이 바탕에는 미타정토사상을 대표로 다양한 신앙과 사상이 깔려 있다. 즉 관음신앙과 지장명부신앙이 결합된 다양한 의식관련 기록이『삼국유사』,『삼국사기』,『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에 나타난다. 조선초기 억불정책의 정치이념에도 불구하고 불교는 왕실 중심으로 다양한 신행활동이 전개되었고, 일반 민중에 이르기까지 불교는 민족의 전통과 신앙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특히 정토신앙은 고단한 민중들의 삶과 인간의 사후세계의 두려움을 불교의 신앙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바람으로 크게 각광받았다. 생전예수재가 탄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이러한 정토적 관점의 관음신앙과 지장명부신앙이 있었던 것이다. 영산재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영산회상을 찬탄하고, 수륙재는 일체의 물과 육지의 무주고혼을 구원하기 위한 의식이다. 생전예수재는 이와 달리 산사람이 주체가 되는 생전 의식이다. 영산재는 석가모니불의 법화사상을 기본으로 하고 수륙재는 아미타불의 구원을 기본으로 하는 정토사상이다. 그러나 생전예수재는 위의 두 사상에 그치지 않고, 여기에 지장명부시왕 사상이 더해진다. 그러므로 생전예수재의 사상적 깊이와 신앙적 다양성은 영산재나 수륙재 보다 많고 풍성할 수 밖에 없다. 생전예수재는 ‘업(業)’사상을 바탕으로 한다. 행위에는 반드시 ‘업보(業報)’ 라는 결과가 따른다는 것이다. 업은 과거의 행위이기 때문에 모든 중생은 선업(善業)이든 죄업(罪業)이든 만들 수밖에 없다. 특히 죄업은 갚아야 할 행위이다. 현생의 죄업은 대상이 있어 갚을 수 있지만, 전생의 죄업은 대상이 없어 갚을 방법이 없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논리로 현생의 선업을 유도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생 빚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부처님과 명부시왕의 위신력에 의지하도록 한다. 생전예수재를 통해 이 빚을 갚음으로써, 사후의 두려움을 이겨내는 축제의 의식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생전예수재는 지역과 사찰에 따라 짧게는 3~4시간, 길게는 24시간 등 설행 시간이 다양하다. 전통사회에서는 며칠씩 진행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그러나 현대인들에게 긴 시간의 근엄한 종교의식은 지루할 수밖에 없다. 생전예수재의 구심점은 신도들이므로 이들이 흥미와 재미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재가 엄격한 재로 그치치 않고, 하나의 잔치, 축제가 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축제에는 음악이 있고, 노래가 있으며, 춤이 있다. 영산재나 수륙재와는 달리 생전예수재는,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잘 포함하고 있다. 생전예수재의 구성과 절차에서는 종파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예수재의 원형복원의 기치를 내건 대한불교조계종 조계사의 경우 2일 형태의 의식구성이며, 봉원사와 구인사는 경제범패의식의 영향으로 1일 형태의 의식구성이다. 그리고 밀양의 작약산 생전예수재는 24시간 진행하는 의식구성으로 비교적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생전예수재는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의식이기 때문에 의례에 참여한 일반 대중들이 주인공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므로 대중들의 의식 참여가 영산재나 수륙재보다 높다. 대중들이 주인공이기에 각각의 나(我)가 주체가 되어 의식에 참여하기 때문에 축제적 성격을 띠게 된다. 불교의 기본 사상은 수행을 통해 ‘업(業 Karma),’이라는 행위로 인한 결과인 ‘보(報)’에 따른 육도윤회(六道輪廻)를 벗어나는 것이다. 업이란 과거의 행위에서 비롯되는데 그 결과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사람은 무수한 죄업을 짓는다. 우리는 그것을 알든 모르든 이루어지고 있으며, ‘보(報)’에 따라 윤회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업사상과 명부시왕사상의 결합으로 전생 빚이라는 것이 생겨났다. 이 빚을 갚음으로서 전생의 죄업을 조금이라도 씻고자 하는 중생들의 열망은 사후의 두려움에서 벗어나고자하는 신앙적 기원이기도 하다. 자신의 전생 빚을 갚을 금은전을 머리에 이고 그 증서인 ‘함합소’를 소지한 채, 도량과 탑을 즐거운 마음으로 행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마와 반야용선을 타고 사후의 극락세계에 이를 것을 약속받는 행위는 더 이상 죽음을 두려운 대상으로 여기지 않고, 삶의 자연스런 과정일 뿐이라는 믿음을 불러 일으키게 한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생전예수재는 화청과 춤을 곁들여 도량을 축제의 장으로 만든다는 점이 중요하다. 불법을 수호하는 법당에서의 춤과 노래는 부처님에 대한 불경(不敬)이라는 선입관을 가진 대중들에게 축제의 장으로 승화할 수 있다는 인식변화를 가지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이와 같이 생전예수재는 종교적인 사상과 신앙심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귀중한 민속 문화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 영산재의 장엄 미학과 활용방안 연구

        진광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3435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of the 'Yeongsanjae(靈山齋)' and the ‘BeophwaYukseo[法華六瑞, Six auspicious things]’ in the Lotus Sutra and also to try to look into how to apply its cultural contents plans. Today, Buddhist rituals in Northeast Asia are one of the common key words of Northeast Asian Buddhist culture. It is because the 'Yeongsanjae' combined Buddhism from India with Chinese culture to create a very unique religious culture called Buddhist rituals and it also influenced neighboring countries and it was spread widely. The 'Yeongsanjae,' the essence of Buddhist art, is one of the important Buddhist rituals symbolizing ‘Yeongsanhoisang(靈山會上, the Vulture Peak assembly)’ which means a re-enactment of the Buddha’s preaching of the Lotus Sutra on Grdhrakuta in India, in which offerings are made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in attendance. 'Yeongsanjae' is a ceremony that prays for the unity of the living and the deceased in the Dharma throughout the universes. The significance of the 'Yeongsanjae’ lies in raising utmost delight of the participants in the Buddha’s preaching space and also in helping the living and the dead lead to the world of truth through worshipping and admiring the Buddha: the world of emancipation from suffering. Actually, 'Yeongsanjae' was designated as UNESCO’s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of Humanity in 2009. As a preserver and transmitter of the 'Yeongsanjae' (Rep. of Korea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Bongwonsa Temple's Yeongsanjae Preservation Association conducts regular performances for the world peace and national reunification. Above all, 'Yeongsanjae', which has universal cultural values, contains the essence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In other words, 'Yeongsanjae' is referred to as a comprehensive art because it contains various Buddhist majestic elements such as musical elements of Beomeum Beompae, dance elements of butterfly dance, beopgo dance, ostrich dance, and art elements of Gwaebul and Gamrotaeng, etc. In particular, Buddhist music, dances, paintings, and verses(gesong, gatha ) play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Youngsanjae'. Their exquisite combination of performing elements and literary elements shows a greater sense of magnificent and splendid beauty. These series of majestic elements reenact the overwhelminhg moment of the Yeongsan preaching and praise the Buddha’s virtue. In addition, they are the core of the 'Youngsanjae' that enables the spiritual family and the participating public to listen to Buddha's preaching and to attain enlightenment. Especially, ‘Yeongsanjae’ which preserves Buddhist aesthetic as a cultural subject shows the height of majestic aesthetics through various ritual verses, sounds, and gestures that praise Buddha’s virtue and teachings. Also, there are many metaphors and symbols in the process of the ‘Youngsanjae.’ Ritual statements(verses), Beompae, dances that are accompanied by ritual procedures for the 'Youngsanjae' contains the admiration for the Buddha and the desire of communication with Him. This ritual structure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of Buddhist music like Beompae, Buudhist dances like butterfly dance, Beopgo dance, and Buddhist art like aesthetics of Bodhi-mandala majesty(道場莊嚴). In that, ‘Yeongsanjae’ effectively combines the religious rituals with the structure of rituals and attains the artistic functions in the ritual proceedings. ‘Yeongsanjae’ begins with a ritual reception for the Buddha and all the saints: First of all, Sakyamuni Buddha and all the saints were invited to the ritual space, and after worshiping, offering, and admiring all saints and the attendants a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the Yeongsan Hoisang(靈山會上). Through these series of procedures, the virtues created by the spirits of Yuju and Muju are reverted to the spirits of Yuju. Finally, the ritual concludes with a farewell ritual representing manners of the otherworldly realm of the Buddha, with singing, ceremonial adornment and various ritual dances such as the cymbal dance, drum dance and ceremonial robe dance. Above all,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ocess of 'Youngsanjae' is a symbolic expression of bodhi-mandala sanctuary while overlapping repetitions. The magnificent objects such as Gwaebul, banners(幡), flowers, Yeon(輦), etc. reenact the overwheleming-touch moment of the Yeongsan Hoisang, and then praise the virtues of the Buddha. Therefore they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the ritual performance because they promote communication and empathy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participating public. In this vein, I emphasized that these elements are important methods which can sanctify ritual behaviors and majesticize the culture as well. Through repeated ceremonial activities such as cleanliness of Bodhi-mandala, repentance, praise for the Buddha, offerings, and worship etc., Yeongsanjae’s ritual space and time are beautifully decorated and far more sanctified. Moreover, monks and lay people together are immersed in such majestic sanctuary space and time to experience it and return to the Buddhist world. In order to preserve and spread ‘Yeongsanjae’ worldwide, I think that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cultural value of ‘Youngsanjae’ will be urgently needed from various perspectives, especially based on its content application. The global 'Corona 19' crisis was caused by human greed, and the influenza epidemic ha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So the strategies for more efficient content-application of ‘Youngsanjae’ to solace people are required. Until now, books and paper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Youngsanjae’ have been published mainly based on its procedures, composition, but in-dep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with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Youngsanjae’ and ‘BeophwaYukseo’(法華六瑞) is not much to be found. Therefore, I tried to examine ‘Youngsanjae’s acceptance of the elements of the ‘BeophwaYukseo’ in the Lotus Sutra,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and ritual activities of ‘Yeongsanjae’ and I also attempted to look into what magnificent aesthetics they produce, and what message it sends us today. In addition, I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cultural contents of ‘Youngsanjae’ as a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본 논문의 목적은 ‘영산재’ 의식 절차에 내재된 장엄미학과 ‘법화육서’의 관계성 및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다. 오늘날 동북아시아 불교권의 불교의례는 동북아 불교문화의 공통 키워드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인도에서 전래된 불교가 중국문화와 결합하여 불교의례라는 매우 독창적인 종교문화를 탄생시켰고, 또한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쳐 널리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불교예술의 꽃으로 불리는 ‘영산재’는 인도의 영취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법화경』 설법을 듣는 장면을 의미하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을 상징화한 의식이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영산재’는 설법도량에 모인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환희심을 불러일으키고 법열(法悅)에 충만 된 분위기를 극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산 자와 망자가 다 함께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진리를 깨달아 이고득락(離苦得樂)하여 정토에 이르게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영산재’는 1973년 11월 '범패’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가 1987년 11월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로 단체지정 되었다. 그 후로 봉원사가 주축이 되어 운영하고 있는 ‘영산재보존회’에서 ‘영산재’의 원형보존에 노력을 기울여 온 결과, ‘영산재’는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 무엇보다도 인류 보편적인 문화적 가치를 지닌 ‘영산재’는 종합적인 불교예술의 정수를 내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영산재’는 범음 범패의 음악적 요소,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타주춤 등 작법의 무용적인 요소, 불보살의 모습을 그린 괘불과 감로탱화 등 미술적인 요소, 그리고 불보살을 찬탄하는 의식문 등 다양한 불교적 장엄 요소를 내재하고 있어 종합예술로 지칭되고 있다. 특히 ‘영산재’ 설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불교음악과 작법, 회화, 게송 등의 연희적인 요소와 문학적 요소의 절묘한 조화는 장엄하고 화려한 미의식을 한결 잘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장엄 요소는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佛德)을 찬탄하고, 또한 영가와 참여 대중으로 하여금 부처님 설법을 듣고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재의(齋儀)의 핵심적 내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불교적 미의식을 문화적 주체로 보존하고 있는 ‘영산재’는 불덕과 가르침을 찬탄하는 다양한 의식문과 소리, 그리고 몸짓의 표현으로 장엄 미학의 극치를 보여 주고 있다. 아울러 ‘영산재’의 재의절차에는 많은 비유와 상징성이 내포되어 있다. 가령, ‘영산재’ 의식절차에 수반되는 각 의식문[게송]과 범패, 작법무 등은 불덕 찬탄과 소통 기원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의례구조는 범패 등의 불교음악, 나비춤(作法舞), 법고춤(法鼓舞) 등의 불교무용, 그리고 도량장엄 등에 의한 불교미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즉 ‘영산재’는 의례구조를 가지는 신앙의례이나 그 진행절차에 예능적 기능이 효과적으로 어우러져 의례문을 정연한 대본으로 한 가극의 형식을 지닌 예술적 요소의 장엄미를 지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영산재’의 절차는 우선 석가모니 부처님과 성중제위를 영산회상인 재도량(齋道場)으로 초청, 이운해 모시고, 이어 성중제위를 예배, 공양, 찬탄한 후 부처님께서 『법화경』을 설하는 영산회상에 참예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거치면서 조성된 공덕을 유주, 무주의 영가들에게 회향하여 천도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초청해 모신 성중제위를 봉송하고 소대(燒臺)함으로써 마치게 된다. 무엇보다도 ‘영산재’의 진행절차의 기본구조는 중첩적으로 반복을 하면서 도량의 성역화라는 상징적 표현을 하고 있다. 작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의문(儀文)과 괘불, 번, 꽃, 연(輦) 등의 장엄물은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을 찬탄하고, 영가와 참여 대중의 소통과 공감을 고취시키는 재의의 과정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은 의식행위를 신성시하고 도양을 장엄케 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연구자는 강조하였다. 그것은 도량청정과 참회, 찬탄 및 공양, 그리고 예불 등의 거듭되는 의례행위를 통하여 의식공간과 시간은 아름답게 꾸며져 한결 성역화 되고, 승속이 다함께 그러한 장엄한 성역공간과 시간에 몰입하여 그 세계를 체험하고 귀의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류의 보편적이며 세계적인 문화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불교예술의 꽃인 ‘영산재’를 보존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영산재’의 문화적 가치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과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탐욕에서 빚어진 글로벌 ‘코로나 19’의 위기 상황과 이후의 시대[Post Corona19]에 있어 '영산재'의 효율적인 콘텐츠화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산재'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저서와 논문이 주로 영산재의 절차와 구성, 작법을 중심으로 발표되었지만, ‘영산재’의 중요한 특성을 지닌 장엄 미학과 ‘법화육서(法華六瑞)’와의 관계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그다지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영산재’의 『법화경』의 ‘법화육서(法華六瑞)’ 장엄 요소 수용과 그것이 영산재 구성과 의례 행위에 어떻게 투영되어 장엄미학을 낳고 있으며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이며, 또한 인류문화유산으로서의 ‘영산재’의 지속 가능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 佛敎儀禮의 五方 槪念 및 樣相 硏究

        오수동(정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35

        오방과 오방색에 대한 인식은 논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오행사상이 생겨남과 동시에 오방오색의 관념이 생겨났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국의 경우 오방관념이 오행사상에 앞서 출현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방위에 대한 불교 경전은 많다. 『아미타경』에는 서방 정토 사상과 동남서북과 상ㆍ하의 육방에 대해서 등장하며, 『우바새계경』이나 『불설시가라월육방예경』에도 육방 예경에 대해 설명되고 있으며, 『중아함경』이나 밀교계 경전에는 오방에 대한 설명이 등장하고 있다. 『중아함경』의 ‘오방’의 색상을 수행의 관념으로 귀결하고 있으며, 『아미타경』에는 서방으로 가면 극락이라는 세계가 있다고 설하고 있는데, 그것은 해가 떠오르는 동방에 비해 해가 서쪽으로 지는 그곳은 곧 죽음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육방에 대한 불교의 인식으로 육방에 대한 예경 사상과 육방의 불타를 설명하고 있는 경전을 볼 수 있으며, 『우바새계경』에서는 우바새계를 받으려면 육방에 예경해야 하는데, 그 대상은 부모, 스승, 처자, 선지식, 노비, 사문ㆍ바라문이라고 하고 있다. 또 『아미타경』은 육방의 여러 붓다의 명호를 거명하는데, 이는 다불(多佛) 사상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오방불이 현재 이해하고 있는 동방의 아촉불, 남방의 보생불, 서방의 아미타불, 북방의 불공성취불, 중앙의 비로자나불이라고 하는 것들은 대체로 밀교적 색채가 농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오방의 수많은 붓다들의 대표 불이 칭해지면서 오방불 사상은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교의 오방 오색과 관련한 대표적인 한국불교의 신행 문화로는 오대산의 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에 오제(五帝)가 등장하는 대표적인 의례 자료로는 오로단 의식이 있다. 오로단은 오방의 오제와 오군과 그 신기를 초청하여 오방의 길을 열어달라고 부탁하는 의식이다. 그 양상을 확인해주는 자료는 오로소와 오방찬 등이 있다. 오방불은 경전마다 명호의 차이가 보인다. 우리나라 사방불의 경우 동(東) 약사유리광(藥師琉璃光), 서(西) 무량수(無量壽) 혹은 아미타(阿彌陀)로 거의 고정적이나 남(南)과 북(北)은 미륵과 석가 혹은 석가와 미륵 등 일정하지 않으며, 밀교 경전에서의 사방불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당시 고대의 불교 신앙이 독창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또 밀교의 오불부족, 오선정불, 오방불, 오지불, 오지여래도 등장하고 있다. 장례 의식의 오방불번은 망자가 가고자 하는 세계로 인도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방불번(五方佛幡)은 황번(黃幡)ㆍ청번(靑幡)ㆍ적번(赤幡)ㆍ백번(白幡)ㆍ흑번(黑幡)에 오방불(五方佛)의 명호(名號)를 써서 오색(五色) 깃발을 만든다. 오방을 향하여 각 붓다의 명호를 부르는 것은, 오방불을 청해 오늘의 혼령이 극락세계나 천상에 태어나기 위하여 오방세계에 계신 붓다께 고하여 혼령의 접인(接引)을 부탁하는 것이다. 수륙재 의식에서는 오방의 길을 열어달라고 부탁하는 오로단 의식과 망자를 인도하는 오방불이 등장한다. 오로단을 차리고 오방 오제의 위패를 모시고 공양을 올린다. 수륙재 의식에서 오방불번의 역할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데, 오방불을 모시는 목적은 다비의식의 오방불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복장 의식(腹藏儀式)은 불상 등을 조성한 뒤 불상의 배 안에 특정의 신물(信物)을 넣는 의식인데 오방과 관련한 다양한 개념과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복장 의식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의궤(儀軌)로 한국불교에서 성립되었다고 보이는 『조상경』(1824)이 전해지고 있다. 조상경 각 판본마다 그 차이가 존재하고, 복장 의식을 실행하는 제사(諸師, 복장 의식을 실제 행하는 스님들)들은 그것을 통일하기도 하고, 각자 전승 의궤에 의거하여 실행하기도 한다. Scholar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Five Directions and their Five Colors. It is argued that the concepts of the Five Directions and their Five Colors were created with the idea of the Five Elements at the same time. However, Chinese scholars generally accept that the concept of the Five Directions appeared before the idea of the Five Elements. There are a variety of Buddhist scriptures referring to the point of the compass. Amitābha Buddha Sūtra (佛說阿彌陀經) included the idea of the Western Pure Land and the six directions, that is, four cardinal points and two upper and lower parts. The six directions are also explained in Upāsaka Silla Sūtra (優婆塞戒經) and Śṛgālavāda Sūtra (佛說尸迦羅越六方禮經), the Five Directions are in Madhyama Āgama (中阿含經, Middle-length Discourses) and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e color of the Five Directions in Madhyama Āgama is concluded with the idea of meditation. Amitābha Buddha Sūtra says that there is a world called paradise in the west. It is because the sun sets in the west, which may be seen as a symbol of death. Another Scripture explains the idea of worshiping the six directions and the six-pointed Buddha, which shows their perception of Buddhism. Upāsaka Silla Sūtra says that you should worship the six directions when you receive Upāsaka Silla. each of the six directions represents parents, teachers, a wife and children, Seonjisik (善知識, learned and virtuous masters), slaves, Sramana and Brahman. Amitābha Buddha Sūtra mentions several names of Buddhas in the six directions, which can be said to be influenced by the idea of multiple Buddhas. The Five-pointed Buddhas, the most common whose names today are Akṣobhya (阿閦佛) in the East, Ratnasambhava (寶生佛) in the South, Amitābha (阿彌陀佛) in the West, Amoghasiddhi (不空成就佛) in the North, and Vairocana (毗盧遮那佛) in the center, are regarded as the concepts rich in esoteric Buddhist thought. It can be said that the idea of the Five-pointed Buddhas has generalized as the main Buddha has been named among the numerous Ones in the Five Directions. The belief of Mt. Odae is the representative worshiping culture in Korean Buddhism related to the Five Directions and their Five Colors. One of the representative Buddhist rituals where the Five Emperors appear is the Orodan ceremony. Orodan is a ritual that invites the Five Emperors and the Five Kings with their superhumanity to open the way to the Five Directions. The documents confirming their aspect include Oroso, Obangchan, etc. Various sources provide different names for the Five-pointed Buddhas. Bhaiṣajyarāja (藥師琉璃光) in the east and Amitābha (阿彌陀佛) also known as Amitāyus in the west are almost regular among the Four-pointed Buddhas in Korean Buddhism, but Maitreya and Seokgamoni are not determined which of the two is in the south or the north with certainty. They do not coincide with those in the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is is presumably the result of the original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Buddhism. In addition, the Five Buddha Families (五佛部族), the Five Dhyani Buddhas (五禪定佛), the Five-pointed Buddhas, the Five Wisdom Buddhas (五智佛) or Five Wisdom Tathāgatas (五智如来) appear in Esoteric Buddhism. The Five-Buddha Banners (五方佛幡) in the funeral ceremony can be said to lead the deceased to the world he or she wants to go to. They are the Five-color banners each of which has the corresponding name of the Five-pointed Buddhas written on the yellow bannerㆍthe yellow oneㆍthe red oneㆍthe white oneㆍthe black one. Calling each name of them to the Five Directions is to ask the Buddhas in the Five Directions to lead to a departed spirit in the world of paradise or heaven. In the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the Orodan ritual asking to open the way to the Five Directions and the Five-pointed Buddhas guiding the deceased appear. Orodan is set up, and the ancestral tablets of the Five Emperors in the Five Directions are enshrined and offerings are made to them. The role of the Five-Buddha Banners in the Suryukjae is not clear but the purpose of enshrining them is the same as their role in the cremation ceremony. The storage ceremony is one of the Buddhist rituals where the sacred articles are placed in the abdomen of a Buddha statue after creating it. A variety of concepts and aspects related to the Five Directions appear in this ceremony. Josanggyeong (1824) was created and handed down in Korean Buddhism, which is Uigwe (儀軌, the recording in detail for the rituals and ceremonies) presen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orage ceremony. It has different versions and monks performing this ceremony unify them or practice it based on their own traditions.

      • 칠칠재의 방향성 연구

        이연경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현행하는 칠칠재, 흔히 사십구재로 알려진 재회의 전형을 연구하여 전통의 모습을 온전히 전승하며, 현 시대에 부합하는 재회로 거듭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현행 칠칠재는 하루 반나절, 오전 10시부터 약 2시간 남짓 진행하는 형태를 보인다. 또한 칠칠재의 모습도 점차 그 자취를 감춰가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오직 지장보살을 염송하며 진행하는 칠칠재가 과연 그 목적에 부합하는지, 바람직한 칠칠재의 전형은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 등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불교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사유 등 중유사상과 칠칠재의 유래, 정의 및 사상적 배경을 먼저 고찰하고, 현행 칠칠재에 대한 인식 및 구성 등을 연구하였다. 중생이 태어나서 죽음을 맞이하고 이후 다시 태어날 때까지를 네 단계로 나눠 ‘사유(四有)’라고 하며, 이 가운데 중유는 죽은 영(靈)이 다음 생에 태어나기 전 중음(中陰)의 세계에 머무는 기간이다. 경에서는 이 기간 동안 살아남은 가족들이 망자를 위해 공덕을 지어주면 더 좋은 세계에 태어날 수 있다고 설한다. 이러한 중유의 칠칠일 기간 동안 공덕을 닦아주는 의식이 칠칠재로 발전하였다. 신라시대에도 칠칠재와 같은 재회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불교의 본격적인 칠칠재 재회 자료들은 대부분 조선시대 의례로 확인된다. 제3장에서는 현행 칠칠재의 진행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련으로부터 대령 → 관욕 → 신중작법 → 상단권공 → 중단퇴공 → 관음시식 그리고 봉송의 순으로 엮어서 소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는 이미 학계에 보고된 다양한 성과물의 토대 위에 지난 30여 년 동안 논자가 직접 재회에 참여하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전개하였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현재 모습에 불과하므로, 전통 칠칠재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제4장에서 칠칠재의 전형성 그 의례를 다루었다. 칠칠재의 전형성을 밝히고 난 다음, 주요 전형 의례는 법석 유형 의례와 헌공 유형 의례로 일차 분류하고, 법석 유형 의례는 다시 작법절차식과 계청법식으로 나누고, 두 유형을 분석하였다. 헌공 유형 의례는 약례의 시왕청 소청중위와 광례의 「대례왕공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례왕공문」은 도량개계와 설법, 소청상위, 약례소청중위, 광례소청중위, 상중단권공, 화청, 시식, 봉송의 여덟 단계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제5장에서는 이 시대에 활용할 수 있는 전통의 칠칠재의 방향을 찾아보았다. 먼저 혼령이 재회를 위해 사찰에 도착하였을 때 하는 반혼재(영혼식)를 시작으로 경전염송 및 설법의식, 초칠재로부터 칠칠재의 탈상재에 이르는 전 과정을 예시를 통해 제시하였다. 또 새로운 의식응용에 있어 도움이 되도록 「공양의」를 기초로 한 약례 칠칠재가 보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현대에 들어서 장시간에 걸친 재회를 부담스러워 하는 경향이 있다. 의례에 참여하는 신도들 입장에서는 알아듣지도 못하는 의식과 염불을 종일 앉아서 듣기에 부담을 느낄 수도 있다. 그래서 우리말 의식을 보급하고 시간을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한다. 심지어 불교 의식에서 행하는 무용만 중점적으로 보여주거나 신도들의 호응이 좋은 회심곡 위주로 칠칠재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는 신도의 정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승가의 지나친 배려라고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경전을 염송하며 밤을 지새우는 철야기도가 성행하는 것을 보면 단순하게 평가할 수 있는 일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비록 내용은 잘 알지 못해도 본인이 성취하고 싶은 소원을 이루기 위해서라면 철야기도를 하거나 삼천 배나 삼만 배도 마다하지 않고 봉행하는 신심 있는 불자들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전한 칠칠재의 보급은 한국불교 의례를 주관한 스님들의 바람직한 전통의 칠칠재를 설행하려는 의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example of Chilchiljae(七七齋, the weekly ritual for the deceased for seven weeks), commonly known as the Forty-nine-jae(the ritual on the 49th day after a person's death) so that its whole traditions can be transmitted and it may be modernized. The current Chilchiljae is held for about two hours beginning at 10 a.m. and the typical Chilchiljae is gradually disappearing. It is examined whether it meets its purpose only to chant Ksitigarbha Bodhisattva while in progress, and what kind of typical Chilchiljae should be desirable. Chapter 2 examines its origin, definition, and ideological backgrounds and the idea of antarrābhava(中有, the intermediate existence) such as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out death in Buddhism, and studies the percept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Chilchiljae. The period from birth to death and then to rebirth is divided into four stages, called 'the four stages of existence' and antarrābhava means the existence during the period between death and the next life. The sūtras say that if the bereaved make merits for the deceased during the period of antarrābhava, it can help them to be reborn in a better realm. The merit-making ceremony for the deceased was held every seventh-day during 49 days after their death, which developed into Chilchiljae. Although it seems that there was the same ritual as Chilchiljae in the Silla Dynasty, most of the materials for the full-scale Chilchiljae in Korean Buddhism are found in those of the rituals in the Joseon Dynasty. The program of the current Chilchiljae is examined in Chapter 3. Beginning with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it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Daeryeong(對靈, the rite of calling in the soul) → the Ceremony of Bathing → the rule of practice for the ritual for pantheons(神衆作法) → the invitation to offerings in the upper alter → clearing the upper alter down to the middle one → Gwaneum sisik (觀音施食, Avalokiteśvara banquet), and then Bongsong (奉送, the rites of farewell). This procedure, based on the variety of existing researches, was developed with my experienc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rituals over the past 30 years. However, since this is only its current procedure, I can't assert that it is the program of the traditional Chilchiljae. In Chapter 4, the typical Chilchiljae was examined. After identifying its characteristics, the main types of the rituals were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Beopseok(法席, Dharma seat) and those of Heongong(獻供, offering). Again, the rites of Beopseok were divided into Jakbeob jeolcha (作法節次, 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practice) and Gyegyecheong Beopsik(啓請法式, the ceremony of invitation and worship), and they were analyzed. The types of the rite of Heongong (獻供, offering) were divided into Siwangcheong Socheongjungwi(十王請 召請中位, the ceremony of calling the middle class of the Ten Kings of hell) in brief and Daeryewangongmun(大禮王供文, the grand ceremony for the Ten Kings of hell) in full detail. The latter consists of the eight courses and they were compared with one another as fallows; Doryanggyaegye(道場開啓, the ceremony of opening bodhi-mandala) and Dharma talk, Socheongsangwi(召請上位, the ceremony of calling the upper class of Buddha and Bodhisattvas), Socheongjungwi(召請中位, the ceremony of calling the middle class of The multiple divine guardians) in brief, Socheongjungwi in full detail, the invitation to offerings ㅠboth on the upper alter and on the middle one, Hwacheong(和請, Buddhist gospel song), Sisik(施食, banquet), Bongsong (奉送, farewell). In Chapter 5, I looked into the new directions of traditional Chilchiljae that can be used today. First, the whole process is presented with examples starting from Banhonjae (返魂齋), which is the rites for having the soul of the dead over at the temple, leading up to Chanting the Sūtras and Dharma talk, and from the first Chilchiljae to the last one. Also, a plan was suggested for Chilchiljae in brief based on “Gongyangui” so that it will help the new and applicable rituals. These days, the congregation are reluctant to participate in a long buddhist assembly. They seem to feel burdensome with the rituals and chanting that they do not understand. That is why we should popularize the ritual oration in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nd reduce the ritual program. In some cases, only the dances in Buddhist rituals are mainly performed, or Chilchiljae is mainly programed on Hoesimgog (悔心曲, the song of repentance) that they like. However, it can be criticized that the monks are accommodated to secularism and fail to understand the devotees. It is because there are many devotees pray all night and bow to the ground three thousand times or even thirty thousand times while reciting the scriptures even though they do not understand them.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the monks in charge of Korean Buddhist rituals to make a huge effort to distribute and practice Chilchiljae in a desirable tradition.

      • 백파 긍선의 『작법귀감』 연구

        곽묘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35

        본 연구의 목적은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의 불교의례서『작법귀감』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작법귀감(作法龜鑑)󰡕은1826년 장성 백양산 운문암에서 백파긍선의 의해 편집된 불교의례서이다. 이전의 불교의례는 수륙재의문이 중심이었고, 그 위에 시왕권공이나 작법절차를 담고 있는 제반문, 작법절차 등과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이하 범음산보집) 등이 그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그런데 19세기 초반에 간행된 󰡔 작법귀감󰡕은 이전의 의례서와 다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작법귀감󰡕 상하권에 실린 의례의 편제와 구성의 특징을 의례의 편제와 의식의 구성 측면으로 나눠 보면, 상권에 실린 의례 편제의 특징은 일상성과 공통성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하권에 실린 의례 편제의 특징은 수시성(隨時性)과 식전성(式前性)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의식의 구성은, 먼저 의식의 구조상으로 볼 때 상ㆍ하단의 소청과 권공의식(勸供儀式), 중단의 옹호의식(擁護儀式), 이운의식(移運儀式)과 상장의식(喪葬儀式)의 종류가 있으며 그 구조의 차이도 나타난다. 구성의 특징은 상하성(上下性), 광략성廣略性), 연속성(連續性), 전통성(傳統性)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작법귀감󰡕 ‘협주夾註)의 용례(用例)’와 ‘표기(表記)의 특징’을 협주의 용례와 표기의 특징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먼저 협주의 용례는 네 가지로 나눠 보았는데, 1) 구문(句文)의 해석은 삼종선(三種禪)과 기용機用) 및 살활(殺活)과 운운(云云)과 생략이 있고 2)의미의 설명은 대령정의(對靈正儀)를 설명한 협주와 수계의례(受戒儀禮)를 상세히 협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3) 의례의 해설에서는 본 의례 이전의 작법과 이후의 작법을 협주로 설명한 것과 의례의 광략(廣略)을 볼 수 있다 4) 본문의 협주화는 가영(歌詠)과 무상계(無常戒)의 협주화를 들 수 있다. 다음은 표기(表記)의 특징인데, 문법과 음가(音價)의 표기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볼 수 있다. 첫째는 (對句)를 행간의 좌우에 삼각점으로 표시하고 독립어는 행간의 중앙에 삼각점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격금규(擊金規)에서 쉼표와 마침표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고문에서 찾아보기 힘든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 음가의 표기에서도 옴의 여린히읗(ㆆ)의 사용이나 경음의 표기를 사용하는 예는 독특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작법귀감󰡕에서 백파가 한 ‘의례의 해석’과 ‘의문의 교감(校勘)’을 살펴 본 결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의례의 해석은 의례의 이해와 의식의 차서(次序)로 나눠 살펴보았다. 의례의 이해로는 (1) 비구수계는 참회식이라는 것, (2) 전 작법을 ‘삼보통청화(三寶通請化)’한것 (3) 기신(忌晨)과 기일(忌日)을구별한것 (4) 장엄염불을 정토업(淨土業)이라고 명칭한 것, (5) 도인(道人, 수행자의축원祝願)을 드러내고 있는 것 (6) 정중게 (庭中偈)는 예불게(禮佛偈)라고 시정한 것을 들 수 있다. 의식차서(次序)는(1) 대단위 의식의 구성의 순서를 볼 수 있고, 법시(法施) 등에서 (2) 의식 내부 순서를 명확하게 정리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다음은 의문(儀文)의 와전(訛傳)을 교감(校勘)한 것인데, 구문을 교정한 것과 오자를 교정한 것으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구문의 교정에는 ‘誠心眞實相(성심진실상)’을 ‘善心眞實香(선신진실향)’으로 교정한 것, ‘哀降道場(애강도량)’을 ‘哀鑑丹誠(애감단성)’으로 교정한 것, ‘幻來何難(환래하난)’을 ‘喚來何難(환래하난)’으로 교정한 것이 있다. 오자의 교정에는 ‘威鎭江山(위진강산)’을‘位鎭江山(위진강산)’으로 ‘塵墨劫(진묵겁)’을‘塵點劫(진점 겁)’으로 ‘茗香(명향)’을‘名香(명향)’으로 교정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작법귀감󰡕의 의례 해석과 교감(校勘)에는 한계(限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석의 한계와 교감의 한계로 나눠 살펴보면 다음 몇 가지가 언급 될 수 있다. 해석의 한계에는 ‘나모불타부중광림법회(南無佛陀部衆光臨法會)’의 청불(請佛)을 거불화(擧佛化)한 것이 대표적이며 불보ㆍ법보ㆍ승보의 삼보청(三寶請)이라고 할 수 있는 삼청(三請)을 삼편(三遍)으로 이해하여 삼종의 청사를 제시하고 있는 점, 삼보도청(三寶都請)의 삼청(三請)을 하고 가영(歌詠)은 도가영(都歌詠)을 하지 않고 불보가영(佛寶歌詠)을 제시하고 있는 점 이라고 할 수 있다. 교감의 한계에는 구문의 한계와 와전(訛傳)의 한계가 있다. 대표적인 구문의 한계에는 헌좌게 말구에서 ‘회작자타성불인(廻作自他成佛因)’을 종래의 ‘자타일시성불도(自他一時成佛道)’로 그대로 수용한 것, 혼령 가영의 ‘망령한진치신망(亡靈限盡致身亡)’을 종래의 ‘제령한진치신망諸靈限盡致身亡)’ 그대로 수용한 것이 있으며, 와전(訛傳)의 한계에는 ‘향화청(香花請)’을 ‘향화청(香華請)’으로 개악(改惡)한 것과 ‘名茶(명다)’를 종래의 ‘茗茶(명다)’를 채용(採用)한 것들이 있다.

      • 韓國水陸齋儀文의 成立 및 變容 硏究

        박영만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4335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불교 수륙재 의문의 성립과정과 변용을 살펴보았는데 있다. 수륙재는 대본인 의문(儀文)에 대한 연구는 종합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그간의 수륙재 연구는 수륙재 설행 역사에 대한 연구와 설행 양상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수륙재의 대본인 의문에 대하여 그 분류와 그 체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수륙재는 중국 양나라 무제에 의해 505년에 설행되었다고 하지만 어떤 의문에 근거하여 설행되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현재 전해지는 수륙재 의문은 송나라 이후의 것으로, 11세기 후반의 송나라 양악(楊顎)이나 12세기 중반의 금나라 자기(仔夔)가 찬한 『천지명양수륙의문』과 13세기 후반에 원나라 지반(志磐)이 찬한 『법계성법수륙승회수재의궤』가 그것들의 하나이다. 국내 최초 수륙의문은 11세기 말 최사겸이 수륙의문을 수입해왔다고 하는 것을 보면 양악이 찬한 『천지명양수륙의문』이라고 최초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다만 14세기 중엽에 찬요된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중례문』)나 그 편찬 시기를 추정하기 어려운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결수문』)를 보면 자기가 찬한 『천지명양수륙의문』도 곧바로 수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지반이 찬한 『지반문』도 곧바로 수입되었을 것으로 진단된다. 15세기 중엽을 지나 『천지명양수륙잡문』(『배비문』도 설행의 편의를 위해 의문을 수입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후 한국불교 수륙재를 설행하기 위한 교본이 되는 ‘작법절차’나 ‘범음산보집’과 같은 의식집이 별도로 간행되어 수륙의문을 이용하여 수륙재를 설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원 수륙의문에는 보이지 않는 가영이나 소문 등이 별도로 편찬되어 전해지게 되어 전통의 수륙재 의문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2013년 이후 한국불교의 세 사찰-동해 삼화사, 서울 진관사, 마산 백운사 등에서 설행되는 수륙재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 사찰에서는 각각의 수륙재의문으로 수륙재를 설행하고 있다. 세 곳의 수륙재 의문의 계통을 보면 서울의 진관사와 마산의 백운사 수륙재 의문은 『결수문』 계통이고, 동해의 삼화사 수륙재 의문은 『중례문』을 근거로 현실에 맞게 편집되어 있다. 계통이 같은 서울의 진관사나 마산의 백운사 의문도 그 형식은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한국불교 수륙재 의문이 종합화되어 편찬된 양상을 보이는 것은 최근대의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령 1935년에 편찬된 『석문의범』에 실린 수륙재 의문은 전통의 ‘결수문’으로 이 의문만으로 수륙재를 설행하기 어렵다. 그래서 소문이나 가영 등 전통 수륙의문에 실려 있지 않은 의문들을 편입하여 종합화한 의문이 진정한 수륙재 의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의 수륙의문과 소문, 가영 등을 종합한 진정한 수륙의문으로 비교적 선행본은 전북불교연합회에서 1988년에 간행한 『수륙의문』으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받기 이전의 한국 현대 수륙재의 형태와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한국불교 수륙재 의문의 정본화, 수륙재회의 체계의 확립, 바람직한 의문 교감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전북불교연합회의 『수륙의문』(1988)을 중심으로 세 곳의 수륙재의문을 현대의 한국불교 수륙재 의문의 표본으로 삼고, 한국불교 수륙재 의문의 성립과정과 변용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것이다. 전체 1장으로 이뤄진 본 논문 Ⅰ장은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은 수륙재 의문의 성립과 도량 건립 의문을 살펴보았다. 의문의 성립은 전기하였고, 한국불교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도량의 건립은 수륙재를 설행하기 위해 시설 수립이나 물목 이동 등을 의식화(儀式化)하고 있는 점이다. 물목의 이동 가운데 수륙재의 특징인 시련에 대한 인식이 다양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수륙재 시련의 목적은 시주와 시주물의 이운이라고 밝혔다. 한국불교 수륙재의 설단은 진관사수륙재에서 확인되는 상단 중단 오로단 하단 사자단 용왕단 마구단 유나소 시련소 대령소 관욕소 전시식소 봉송소의 7단 5소가 일반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Ⅲ장은 수륙재 의문의 성립과 변용에 대한 고찰로 본 논문 핵심의 시작이다. 1절은 각단의 독립으로 각 위를 통청하여 설행하는 중국불교 수륙재와 달리 각단으로 독립되어 설행되는 특징이 있음을 밝혔다. 각단이 삼단(三壇)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삼단(三壇)은 상중하의 삼단이 아니라 재시ㆍ무외시ㆍ법시의 삼단(三檀)이어야 수륙재의 시식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고 보았다. 2절은 소청의식의 변용을 밝히는 것인데 거불과 향화청, 헌좌게, 복위 등에 대해 전통적인 의미와 이해도 연구 성과를 새로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중단과 하단의 소청 특징의 하나로 소청주가 늘어나는 현상을 밝혔다. 3절은 정화의식을 연구한 것인데, 한국불교 수륙재의 하단 정화의식은 행위의 의식이 추가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중국불교 수륙재와 큰 차이라고 보았다. 또 목욕을 마친 뒤에 마른 목을 축이는 헐욕의식에 대해 그 의미를 드러내 보였다. Ⅳ장은 수륙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시식을 위한 의식인 공양의 변식과 공양을 베푸는 의식에 관한 성립과 변용을 연구하였다. 1절은 본 공양의식 이전에 공양이나 시식을 베풀 대상이 자리에 앉은 이후에 차를 올리는 의식과 의문을 살펴보았다. 헌좌 이후에 헌다의식 또한 중국불교 수륙재 의문에서 찾을 수 없는 의문이었다. 중단의 다약게에 대한 인식이 왜곡되고 있으며, 차와 음식이라는 ‘다약(茶藥)’에 ‘명차는 약’이라는 이해가 있음을 밝혔다. 2절은 변공법식의 연구이다. 〈공불이생의〉, 『결수문』, 〈진언권공〉 등의 변공과 『중례문』식의 변공(變供)을 밝혔는데, 현재 전북본이나 백운사본 진관사본은 『결수문』식 계통이지만 ‘진언변공’은 『중례문』식을 따르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결수문』식이 혼합되어 있었다. 사다라니 변공법식은 『중례문』식 변공 법식으로 한국불교의 전통 변공법식으로 자리하고 있다. 상중하단의 사용하는 단에 따라 진언염송 편수가 삼칠편 이칠편 일칠편으로 나눠졌지만 현재는 삼편으로 통일되었다. 또 헌식법의 작관(作觀) 의식은 몽산 덕이(德異)의 〈증수선교시식의문〉, 『중례문』, 『비밀교』(1784), 『석문의범』(1935) 등으로 이어져 왔지만 현재는 송주의 형식만 일부 남아 있고 작관법은 전승되고 있지 않다. 3절의 공양과 시식의 중복에서는 육법공양, 7법공양 이후에 운심공양진언이 시설되고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운심공양은 밀교의 공양의식의 하나로서 단지 마음을 움직여 공양하는 것이다. 공양물이 준비되지 못하였을 때 마음만으로 올리는 공양의식인데, 육법공양, 혹은 7법공양 이후에 시행하는 것은 중복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전북본이나 백운사본은 공양의 중복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장은 회향 및 봉송 의문을 다뤘다. 1절은 재회를 마무리하는 과정은 공덕 닦기와 회향으로 이뤄진다. 공덕 닦기는 장엄염불로 이뤄지고 있다. 장엄염불의 공덕 닦기와 함께 저승길에서 쓰일 노잣돈을 마련하는 화재수용의식은 예수재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회향을 아뢰는 소문의 특징은 회향의 원만이 강조되고 있으며 무차평등의 정신을 구현한다. 회향게찬과 관행게찬은 한국불교 수륙재의 세 의문에 동일하게 나타난다. 2절 봉송과 회향의 변용에서는 상중하 삼단을 한꺼번에 봉송하는 법식과 각단 배송의 법식이 동시에 제공되어 상황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경신봉송의 후미는 삼왕생게 등 새로운 의례가 추가되고 있다. 각 단 배송을 할 때는 하단 중단 상단의 순서로 이뤄지고 있는데, 이는 소청의 그것과 반대로 이뤄진다. 경신배송은 산화게송으로 이뤄지는데 흩어짐을 상징화하고 있다. 모든 의식이 끝나며 공덕을 회향하고, 자삼귀와 삼회향으로 예경하며 마친다. 결국 한국불교 수륙재 의문은 중국에서 도입되고 편찬되며 시대에 따라 변용을 겪으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현재의 모습이 또 언제까지 이 같은 모습으로 설행될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이는 견기이작(見機而作)하는 한국불교의 의례 정신과 맞물려 있으며, 근래에 들어와 의례 연구가 이뤄지는 것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한국불교 수륙재 의문의 성립과 변용에 대한 본 연구의 성과가 불교의례현장과 의례 편찬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

      • '영산재' 의식문의 게송에 내재된 생명존중 사상 연구

        이만호(진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논문의 목적은 ‘영산재’ 의식의 게송에 내재된 생명존중 사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불교예술의 꽃으로 불리는 ‘영산재’는 인도의 영축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법화경』 설법을 듣는 모습을 뜻하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을) 상징화한 의식이다. 이는 설법도량에 모인 모든 중생들의 환희심을 불러일으키고 법열(法悅)에 충만 된 분위기를 극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살아 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이 함께 부처님이 설한 참 진리를 깨달아 이고득락(離苦得樂)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산재는 한국의 ‘중요 무형문화재 제50호’로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었다. 불교음악인 범음, 범패에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등 무용적인 요소와 부처나 보살의 모습을 그린 괘불과 감로탱화 등 미술적인 요소, 그리고 불보살을 찬탄하는 의식문이 가미된 ‘영산재’는 종합적인 불교예술의 정수를 담고 있다. 이처럼 불교음악과 무용 등 연희적인 요소와 문학적 요소가 잘 조화를 이룬 장엄하고 화려한 의식인 영산재의 식당작법의 게송과 작법무의 게송들은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佛德)을 찬탄하고, 또한 영가와 참여 대중으로 하여금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재의(齋儀)의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도량청정, 찬탄, 공양, 예불, 참회 등의 거듭되는 의례행위를 통하여 의식공간과 시간은 성역화 되고, 여기에서 승속이 다함께 그러한 성역공간과 시간에 몰입하여 그 세계를 체험하고 귀의하게 된다. 아울러 화청의 가사들은 영가들이나 지옥 중생을 천도하여 극락왕생하게 하는 것을 그 주제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지옥중생을 모두 구제하여 성불케 하겠다는 지장사상이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인과응보의 사상과 함께 극락왕생의 정토사상이 함께 깃들어 있다. 영산재의 진행절차의 기본구조는 중첩적으로 반복을 하면서 성역화의 상징적 표현을 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이 방식은 불교적 형식을 갖게 되는데, 그 구성요소는 의식문의 낭송, 의식공간의 장엄, 신체적 표현, 절정에 이르기 위한 긴장관계의 구성 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의식행위를 신성시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으며, 여기에서 불교음악, 불교미술, 불교무용, 불교문학, 불교연극 등의 불교예술이 탄생되며, 이를 전체적 구조에서 보면 다분히 종합예술의 성격을 지닌다할 수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영산재를 보존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영산재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조명과 연구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산재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의 저서와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영산재의 중요한 특성을 지닌 게송의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다룬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영산작법의 게송의 내용은 7언 혹은 5언 시가 대부분이며 또 산문 형식으로 되어있다. 이는 팔만대장경의 경.율.론 삼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골자만 뽑아서 편집된 것이며, 그 외에 정토 및 선사어록 조사법문 등에서 긴요한 부분만을 발취하여 엮은 것으로, 영산재의 미학적 예술요소를 다분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영산재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도입부의 게송, 작법무와 식당작법의 진행과정에서 찬탄되는 게송을 중심으로, 그 게송이 지니는 의미와 시적 미학을 고찰함과 동시에 그 게송들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영산작법에서 이루어지는 게송들의 의미를 불덕찬양, 영가들, 지옥중생 제도, 인과응보 사상과 극락정토 왕생의 정토사상을 중심으로 생명존중 사상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thought of life-respect embedded in the ritual verses of 'Yeongsanjae’, focusing on Jakbeopmu and Sikdangjakbeop. 'Yeongsanjae’ is one of the important Buddhist ritual symbolizing the 'Yeongsanhoisang,’ which means a re-enactment of Buddha’s preaching of the Lotus Sutra on the Vulture Peak in India. The significance 'Yeongsanjae’ lies in raising utmost delight of the participants in the Buddha’s preaching space and also in helping the living and the dead lead to the world of truth through worshipping and admiring the Buddha: the world of emancipation from suffering. Actually, 'Yeongsanjae' was designated as UNESCO’s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of Humanity in 2009. ‘Yeongsanjae’ begins with a ritual reception for all the saints and spirits of heaven and earth and it concludes with a farewell ritual representing manners of the otherworldly realm of the Buddha, with singing, ceremonial adornment and varied ritual dances such as the cymbal dance, drum dance and ceremonial robe dance. The other components of the 'Yeongsanjae’ include a ritual cleansing, a tea ceremony, the dedication of a rice meal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a sermon inviting the audience to the door of truth, and a ritual meal for the dead to congratulate them on their entry into heaven. The ceremony serves as an important space for transmission of values and art forms and for meditation, training and enlightenment. 'Yeongsanjae' is an integrated art, containing Buddhist music, Buddhist painting, Buddhist dance, and Buddhist drama in the perspective of overall structure, which is the very sanctification of ritual activity.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the different verses of the 'Yeongsanjae's rituals implies the life-respect as well as chanting Buddha's virtue, and saving living and dead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