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학과 학생의 학교구강보건사업 인지도 : 불소용액양치사업과 치면열구전색사업을 중심으로

        김해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A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can be defined as a series of process that attain several objectives such as a conveyance of the right oral health knowledge to the school population involving students and the teaching staff, a change of their oral health attitude and behavior, and an encouragement of their rational, concerted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Currently, school nurses are the only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work in school all the time, and they are responsible for school oral health. Under the circumstances, school nurses have the largest impact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care habits of students, and they are major performer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jects. Nursing students who took every teaching course and had the required qualifications serve as school nurses after graduation, and their oral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mselves even after they become school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oral health education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preservice school nurses, and their awar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especially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in an attemp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school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that consisted of three-year-course nursing and dental hygiene students at three different colleges respectively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cheong Province an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a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They included 120 dental hygiene students, 150 nursing students and 60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In addition, 11 courses related to oral health were selected from among 52 nursing courses in the curriculum of one college among the three where nursing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selected cour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x2(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ut of 52 courses of the nursing department, the textbooks of 11 courses were concerned with oral health. Oral healt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0.01 percent of the 11 courses, and the courses mainly dealt with basic dentistry knowledge on the structure of the teeth, the order of baby teeth, names, the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oral nursing and oral diseases. The courses gave few explanations about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which was the cor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nd there were few explanations about topical application of fluoride, pit & fissure sealing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s like oral prophylaxis, either. According to the survey, 90.8 perc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24.0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and 3.3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cquired information on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from the curriculum. And 88.3 perc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15.3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and 1.7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on the fissure sealant program from the curriculum as well. The nursing students were a little ahea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in terms of awareness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rate of approval for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goal of the program, awareness of whether to use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awareness of barriers to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and ability to explain the program. And the former had a slightly mo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an the latter, but they fairly lagged behi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ose regards. As for the fissure sealant program, the nursing students quite fell behind as well in terms of awareness of the fissure sealant program,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rate of approval for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goal of the program,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ability to explain it. Concerning knowledg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including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got a mean of 12.61, the highest score, out of possible 18 points. The nursing students got 5.52,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got 3.4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ndic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who were preservice school nurses received quite a little education about oral health in accordance with the nursing curriculum. As a consequence, the nursing students were slightly better aware tha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but they fairly lagged behi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ho would serve as oral health professionals in terms of it. Moreover, they just had a fragmentary and incorrect knowledge about the programs.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nursing students to grow into responsible school oral health educators who take good care of the oral health of students. In fact, school nurses are originally nurses, and they don't receive any systematic,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 in college before they become school nurses. That's why they are bound to have poor knowledge about oral health, not to be well awar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nd not to have a sense of mission. In our country, some nurses serve as school nurses, and there is no established system to nurture school nurses responsible for oral health. The establishment of an oral-health-related school nurse system is suggested to make every school equipped with an oral health expert responsible for children's oral health, such as a dental hygienist, in order to step up the promotion of children's oral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school oral health. 학교구강보건사업이란 학교 인구 즉 학생과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도모하고 그들의 구강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공동의 조직적인 노력으로 합리적인 추구방법을 전개해 나가는 목적달성과정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에 상근하는 유일한 보건전문인력은 보건교사로써 학교구강보건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들 보건교사는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관리습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효율적인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수행을 위한 중요한 역할자라고 볼 수 있다. 간호대학 학생 중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졸업 후 소정의 자격을 가진 사람이 보건교사가 되는바 간호학과 재학시절의 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지식은 보건교사가 되어서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예비보건교사인 간호학과 학생들이 재학시절 교과 과정을 통하여 어느 정도의 구강보건교육을 받고, 그로 인해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불소용액양치사업, 치면열구전색사업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고 나아가 현 학교구강보건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가지 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3년제 간호학과, 치위생과 학생과 경기도에 위치한 1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여 치위생과 120명, 간호학과 150명, 유아교육과 60명으로 총 3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조사는 설문 조사를 실시한 간호학과 중 1개의 학교의 교과 과정을 바탕으로 52과목의 간호학과 교과서 중 구강보건관련 내용이 있는 11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도와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와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학과 52과목 중에서 구강보건관련 내용은 총11과목의 교과서에 다뤄지고 있었고 그 분량은 구강보건관련 11과목 내에서 약 0.01%을 차지하였고 대부분의 내용은 치아의 구조, 유치 나는 순서, 명칭, 구강의 구조, 구강 간호, 구강질환 등의 치의학 분야의 기초적인 지식들이 많았으며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중심인 불소용액양치사업, 전문가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 치면세마 등의 구강병을 예방하는 지식과 처치에 대한 내용들의 제시가 미미하였다. 설문조사결과 ‘교과 과정’을 통하여 치위생과 90.8%, 간호학과 24.0%, 유아교육과 3.3%의 학생이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정보는 치위생과 88.3%, 간호학과 15.3%, 유아교육과 1.7%의 학생이 ‘교과 과정‘을 통해 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이로 인한 간호학과 학생의 불소용액양치사업 인지율, 사업 시행 인지율, 사업 시행 찬성율, 사업 목적 인지율, 불소함유치약 사용 여부 인지율, 사업의 건강 장애 발생 여부 인지율, 사업의 유용성 여부 인지율, 사업 참여 의사율, 사업 설명 능력 정도는 유아교육과 학생보다는 조금 높았으나 치위생과 학생과 비교 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고 치면열구전색사업의 인지율, 사업 시행 인지율, 사업 시행 찬성율, 사업 목적 인지율, 사업 참여 의사율, 사업 설명 능력 정도 역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불소와 치면열구전색의 지식도를 합한 학교구강보건사업 지식도는 치위생과 학생은 18점 만점에서 12.61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학과 학생은 5.52점, 유아교육과 학생 3.45점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예비보건교사인 간호학과 학생의 재학시절 교과 과정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의 양은 너무나 작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로 인한 간호학과 학생의 불소용액양치사업과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유아교육과 학생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구강보건전문인력으로 양성될 치위생과 학생들보다는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낮은 수준이고 사업에 대한 단편적이고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간호학과 학생들은 간호학과 재학시절부터 보다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구강보건전문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구강보건을 책임지는 학교구강보건교육자로써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나 보건교사는 간호사이며 간호학과 재학시절부터 보건교사로 근무할 때까지 구강보건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구강보건지식과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인식과 사명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에는 간호사 직종의 학교보건교사는 있지만 아직도 학교구강보건교사는 제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에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건강과 학교구강보건의 발전을 위해서 치과위생사 등의 구강보건전문인력이 상주하여 아동들의 구강보건을 담당할 수 있는 학교구강보건교사 제도를 정책적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 보건·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의 의료관광 인식·태도·지식의 차이 분석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안정민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83

        이 연구는 고부가가치 신 성장산업으로 성장하는 의료관광에 대하여 인적자원의 초석이 될 대전·충남 지역의 보건계열학과와 관광계열학과 남녀 대학생들의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태도·지식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의료관광 인식수준에 대한 연구결과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의료관광에 대해 더 높은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관광 태도수준에 관한 연구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4개 영역에서 관심도 및 발전가능성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직·간접 체험과 실무지식습득 부분에서는 두 계열 학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로 의료관광 지식수준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두 계열학과 대학생들이 평균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이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의료관광에 대한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에서 의료관광에 대하여 인식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높지 않은 학생들보다 지식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총 4개 영역에 대하여 관심도 및 발전가능성에 해당되는 지식문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많으며 직·간접체험 및 실무지식습득에 해당되는 문제에서는 정답률이 평균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에서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은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수준에 있어서는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지식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의료관광에 대한 태도수준에서는 두 계열학과 학생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산업인 의료관광산업에 대하여 국가적인 지원과 관심으로 보건계열과 관광계열 대학생들의 학과 교육과정에 의료관광 과목이 필수과목 또는 비교과과정 운영 등을 통해 이 분야의 전문인 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교육에서는 해당 전공 대학생들의 실습의 장을 만들어 실무 참여의 기회를 늘리고 보다 수준 높은 어학교육에도 중점을 두어 의료관광산업의 전문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대학생들의 참여 독려를 위한 다양한 홍보방안과 체계적인 커리큘럼 등을 모색하여 맞춤형 인재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통합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In this study, for medical tourism which is growing as a new high value-added growth power industry, I analysed the department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medical tourism about Daejeon and Chungnam region. Also, analysed awareness, attitudes, knowledge level. Therefore, medical tourism of high-value industry and national support need that attention need to required course department of tourism and health university students training of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compulsory course or non-subject course about medical tourism. Especially, in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y of practice participate in making a place for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of the department. And, the must is to create an environment such that it is capable of emphasis was also placed on language quality education, to train professionals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Also, it is in desperate need of efforts that have been integrated to construction personnel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customized to exploring and systematic curriculum with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교육 실태 조사

        임애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67

        The world develops into one community in pursuit of organic communal interactions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 Korea, since the 1990s, globalization and openness has led the country to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sentiment for homogeneity in favor of a universal multi-cultural society. Yet, racial, national and socio-cultural differences are widened, and health inequality worsens. As an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health inequality,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has been emphasized recently.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mong dental hygienists as oral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investigates their experience of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so, 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state of the curriculu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ovide basic data usable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measures to promote such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81 dental hygienists providing oral health care services in clinics, general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select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March 21 to April 20, 2011. Further, 74 schools running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registered in KDHA(Korea Dental Hygienist Association) and KNA (Korean Nurses Association) and 150 schools running departments of nursing were researched on their home pages in terms of their curriculu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for Windows program. Specifically,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X²(Chi-square) and t-test found the following results.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as high(91.7%), and those who went through college-level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As for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on a scale of 95 points, the overall mean value was 63.3, indicating relatively positive awareness. The question item, ‘Each national culture assumes a relative valu’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st awareness, whereas ‘Disagreeable foreigners need be treated exclusively’ was related to the lowest awareness.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public health care centers or in medical institutions treating fewer than 15 patients a day were found to perceive multiculturalism most positively. Also, dental hygienists aware of multiculturalism, in contrast to those who were not, scored 63.7 on average, indicating a big difference in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The routes to acquire information on multiculturalism included the internet and mass media(TV, radio and newspaper), which took up 82.9%, follow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hospitals, public health care centers and other medical institutions(5.0). 54.1% of dental hygienists experienced multi-cultural families. Age, education and career as well as working in public health care centers were proportional to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Mostly, respondents experienced foreign laborers(29.8%),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 residents like overseas students(38.5%), marriage immigrants(26.6%) and North Korean defectors(8.3%). Dental hygienists who experienced multi-cultural families and education showed rather higher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ith mean scores 63.3 and 65.8, respectively. Dental hygienists who were older and more experienced were found to have provided more medical service for multi-cultural families. Medical services provided were simple treatments covered by health insurance(29.6%), overall care including uninsured items(27.6%), dental screening(19.7%), medical consultation (13.2%) and oral health education(6.6%) in the order named. Difficulties in providing medical services included ‘communication’(49.3%), ‘cost burden patients perceive’(24.1%), ‘cultural differences’(15.1%), and ‘patients lack of interest in oral health’(10.8%). 91.2% of dental hygienists had never been educated on multiculturalism. Among 8.8% of respondents who had been educated on the issue, those who were older than 36 years, university graduates and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ere found to have mor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ound to have been provided through job training(32.0%), school education(24.0%), and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or seminars or special lectures(20.0%). 80.1% of respondents thought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Those who were older, university graduates and professionals in public health care centers and those who had more than 11 years of career considered multi-cultural education necessary. 84.7% of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multi-cultural families and 74.7% of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such families regard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necessary. Regarding subjects requir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n a scale of 30 points, the overall mean value was 22.1, ‘Communication to cope with language barrier(4.08)’, and ‘cultural differences regarding health and illness and understanding(3.66)’ were found necessary by respondents. In view of multi-cultural curriculums provided by the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language, culture and medical customs in major countries' was taught in 8.1% of 74 schools, while the departments of nursing in 18.7% of 150 schools taught ‘international nursing,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and understanding health care culture’ as part of the multi-cultural cours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have insufficient curriculums on multiculturalism compared to their nursing counterparts. Only 20.4% of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relevant to oral health care were found prepared for multi-cultural families. General hospitals and medical institutions treating over 36 patients a day were found well prepared for multiculturalism, whereas dental clinics or medical institutions treating fewer than 25 patients a day were found less prepared for it. Components needed to be prepared for multiculturalism included ‘professional personnel with English communication skills(37.3%) and materials(agreement and informed consents etc, 22.4%)’ and ‘professional personnel with Chinese and Japanese language skills(17.9%) and materials(6.0%)’. 13.4% of institutions were found to have ‘personnel educated on multiculturalism(medical interpreters etc)’ deployed. Based on the findings abovementioned,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nd experi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among dental hygienists and their perception of necess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high, whereas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ual stat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found insufficient. To provide quality medical services for multi-cultural targets,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need developing and relevant measures to promote such programs are also required. 세계는 교통, 통신의 발달로 하나의 사회처럼 상호 유기적인 공동체적 삶을 지향함과 함께 한국사회도 1990년대 이후 국제화, 개방화 되면서 단일민족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가 한 공간에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가 보편화 되면서 인종 간, 국가 간의 사회․문화적 차이와 더불어 건강 불평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 불평등을 줄이는 중요한 요소로서 보건의료인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구강보건의료 종사자인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가정․ 의료서비스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기관의 다문화 교육과정 실태를 파악하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활성화 방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병·의원, 종합병원, 보건(지)소 등 구강보건의료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81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21일부터 2011년 4월 20일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한치위생사협회(KDHA: Korea Dental Hygienist Association)와 대한간호협회(kNA: Korean Nurses Association)에 등록된 치위생학과 74개 학교와 간호학과 150개 학교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다문화에 관련한 교육 교과과정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X²(Chi-square), t-test(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지도는 91.7%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고, 전문대 졸업 치과위생사가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9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63.3으로 다소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문항 중에 ‘문화란 각 나라마다 상대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가 가장 높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외국인들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가 가장 낮은 인식을 보였다. 보건(지)소 근무 치과위생사와 1일 평균 환자수가 15명 이하인 기관의 치과위생사가 가장 긍정적 인식을 보이며,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치과위생사가 그렇지 않은 치과위생사보다 평균 63.7점으로 다문화에 대해 높은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에 대한 정보습득 경로는 인터넷․대중매체(TV, 라디오, 신문)가 82.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교육기관․병원 및 보건소의 의료기관(5.0)을 통해서였으며, 다문화가정을 경험한 치과위생사는 54.1%로 연령과 학력, 경력이 높고, 보건(지)소에 근무자가 다문화가정 경험이 많았다. 주로 외국인 노동자(29.8%)를 많이 경험 하였고, 다문화가정 자녀와 외국인유학생과 같은 외국인거주자를 각각 38.5%, 결혼이민자 26.6%, 새터민(북한이탈주민) 8.3%순으로 경험 하였으며, 다문화가정 경험자는 평균 63.3, 다문화 교육 경험자는 평균 65.8로 다소 높은 인식을 보였다. 다문화가정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 경험은 연령과 경력이 많은 치과위생사가 경험이 많았고, 주로 제공한 의료서비스는 보험이 적용되는 간단한 처치(29.6%)가 가장 많았고, 비 보험을 포함한 전반적인 치료(27.6%), 구강검진(19.7%), 진료 상담(13.2%), 구강보건교육이 6.6%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서비스 제공 시 느끼는 어려움은 ‘의사소통의 어려움’(49.3%)을 가장 많이 느꼈고, ‘환자가 인식하는 의료비 부담’(24.1%),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15.1%),’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부족‘(10.8%)순이었다. 치과위생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교육경험은 91.2%가 없었고, 8.8%의 교육경험자들 중 36세 이상, 대학교 졸업자, 종합병원에 근무자가 다문화교육 경험이 많았고,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로는 직무교육이 32.0%, 학교교육 24.0%, 보수교육이나 학술세미나․특강이 각각 20.0%순이었다. 다문화교육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절반이상인 80.1%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연령이 높고, 대학교 졸업자, 보건(지)소 근무자, 11년 이상 경력의 치과위생사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경험이 있는 84.7%와 경험이 없는 74.7%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문화에 대한 교육 요구과목으로는 30점 만점 중 전체 평균 22.1로 높게 나왔고, ‘언어장벽을 해결하기 위한 의사소통(4.08)’ 과목이 가장 높았고, ‘건강과 질병에 관한 문화적 차이와 이해(3.66)’도 필요한 교과목으로 나왔다.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 중 다문화에 대한 내용의 교육교과목은 총 74개 대학 중 8.1%에서‘언어와 문화, 주요국가 의료관습’등의 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고, 간호학과는 총 150개 대학 중 18.7%에서 ‘국제간호, 다문화의 이해, 보건의료문화의 이해’등과 같은 다문화에 대한 교육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는 치위생학과가 간호학과보다 교육과정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구강보건 관련 의료기관중 국내에 증가된 다문화가정에 대한 대응준비는 20.4% 만이 되어 있었고, 종합병원과 1일 평균 환자 수가 36명 이상인 기관이 다문화에 대한 대응준비가 잘 되어 있는 반면, 치과의원이나 1일 평균 환자 수가 25명 이하인 기관일수록 다문화에 대한 대응준비가 미흡하였다. 다문화에 대한 대응요소로는 ‘영어권 의사소통이 가능한 전문 인력(37.3%)과 자료(동의서, 설명서 등)(22.4%)’가 가장 많았고, ‘중국어와 일본어가 능통한 전문 인력(17.9%)과, 자료(6.0%)’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교육을 받은 전문 인력(의료통역사 등)’을 배치한 곳도 13.4%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치과위생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가정 경험, 교육 필요도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교육경험과 교육기관의 교육실태 결과는 낮게 나타났다. 다문화권의 대상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인을 위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하며, 효과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 또한 필요하다 하겠다.

      •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요인이 구강보건지식, 태도, 실천에 미치는 영향

        이수빈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health related factors of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Health and other departments o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oral care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fter the IRB approval,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5, 2017 to December 1, 2017, to fill the questionnaire with 363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 total of 33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31 cases of unfaithful respon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departments, the number of daily brushing, brushing time, correct brushing method, and interest in oral health care were the highest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respondents,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the Health Department showed 2.00±0.00 points out of 2 points for "to clean the tongue when brushing" and "to brush after dinner(p=0.018), and for the dental health attitude,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was the highest in all 5 oral health attitudes, followed by Dental Hygiene Department, Health Department, and other department(p<0.001) and for the oral health practice,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was high in 8 question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respondents. It showed that he higher the oral health knowledge, the higher the oral health attitude and the higher the oral health knowledge, the higher the oral health practice and the higher the attitude, the higher the practice(r=0.391∼0.741, p<0.00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related factors on oral health knowled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controlled departmen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rushing time(t=2.378, p=0.018) interest in oral health(t=1.914, p=0.049), and experience of brushing education(t=1.803, p=0.047),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n oral health knowledge was 28.0%.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related factors on oral health attitud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controlled department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brushing method(t=2.462, p=0.014) and use of tongue cleaner(t=2.036, p=0.043),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n oral health attitude was 63.6%.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related factors on oral health practi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controlled responden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sence of floss(t=2.432, p=0.016), interdental toothbrush use(t=2.258, p=0.025), and brushing education(t=2.879, p=0.004)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n oral health attitude was 62.3%.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anage the or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rationall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in order to improve or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ational health policy and national university health care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보건계열, 일반계열의 구강건강관련요인이 구강보건 지식, 태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구강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IRB 승인 후 2017년 5월 15일~2017년 12월 1일 까지 부산지역 대학생 3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31부를 제외한 총 332명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자의 계열에 따른 구강건강관련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일 칫솔질 횟수, 칫솔질 시간, 올바른 칫솔질 방법,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관심도는 치위생학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대상자의 계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분석한 결과, 치위생학과와 보건계열은 ‘칫솔질 할 때 혀도 닦아야 한다’, ‘저녁 식사 후와 자기 전 칫솔질을 해야 한다’ 2점 만점에 2.00±0.00점으로 나타났고(p=0.018), 구강보건태도를 분석한 결과, 구강보건태도 5문항 모두 치위생학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위생학과, 보건계열, 일반계열 순으로 나타났다(p<0.001). 구강보건실천을 분석한 결과, 8개의 항목에서 치위생학과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실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실천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도가 높아지면 실천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0.391∼0.741, p<0.001). 구강건강관련요인이 구강보건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계열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칫솔질 시간(t=2.378, p=0.018), 구강보건에 대한 관심도(t=1.914, p=0.049), 칫솔질 교육 경험유무(t=1.803, p=0.047)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지식에 대한 설명력이 28.0%로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련요인이 구강보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계열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칫솔질 방법(t=2.462, p=0.014), 혀 클리너 사용유무(t=2,036, p=0.043)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태도에 대한 설명력이 63.6%로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련요인이 구강보건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계열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치실 사용유무(t=2.432, p=0.016), 치간칫솔 사용유무(t=2.258, p=0.025), 칫솔질 교육유무(t=2.879, p=0.004)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실천에 대한 설명력이 62.3%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하고 향후 나아가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학교의 자발적인 참여와 국가 차원의 대학보건정책 수립 및 대학 내 구강보건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정보화 시대의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 연구

        강정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67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하게 발달한 정보화의 영향은 이미 사회에 미치는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정보의 교류, 획득, 사용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수많은 변화를 안겨 주고 있다. 보건 의료 분야도 이러한 영향으로부터 예외 일 수 없다. 단적으로, 보건 의료 전문인 양성 과정 또한 그렇다. 따라서,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을 위해서는 현 교과 과정의 평가와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행정학과 학부 교과 과정과 대학원 교과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부 교과 과정에서는 전공 교과목에 대한 유용성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0년 10월 27일부터 11월 13일 까지 우편 설문과 그룹 설문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전수는 170명이었으며 응답은 100명이었다. 이외에 1983년도 이후에 학부 과정 개설 교과목 자료와 국내외 대학 개설 교과목 및 교수님 서면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행정학 관련 학과의 교육 목표는 정보화시대에 맞게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보건의료현장에서 건강을 관리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정보기술 활용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자연과학 지식의 관련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섭렵한 인력을 배출하는 것」이다. 2. 학부과정 전공 교과목의 유용성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과목이 보건의료 현장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정보화 시대에 알맞게 교과 과정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3. 대학원 과정의 전공 교과목은 국내외 타 대학원과 비교하여 그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시대에 보건행정학 전공 이수자들이 종사해야 할 분야로는 ‘보건교육자 및 연구원’으로 나타났다. 교과 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1. 학과 차원의 중점 분야 선택하고 장기 발전 계획을 설립, 추진한다. 2. 전공 교과목 선정에 신중을 기하고 필수 과목의 폭을 넓힌다. 3. 컴퓨터 교과목을 확대하여 그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4. 각 교과목의 문제점을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개선한다. 5. 대학원 교과목을 늘려서 다양한 세부 분야를 연구하도록 독려한다. 위와 같은 개선 방안은 교과 과정을 다양한 측면 즉, 학습 시설 및 장비와 기타 교육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전공 교과목 및 설문 조사 위주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Society of Information Age is influenced by interchange, acquisition and use of information related digital. Fields of health care cannot be excluded from this current. It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improve curriculum in the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study, analysis has two par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curriculum. Data was used in this various ways for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tility of subjects wi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gistering and graduates from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n Yonsei university in two ways: mailing and grouping survey. The number surveyed was 170 and 100 of them was used. At same time, curriculum related Health Administration from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was collecte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ducational goal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s modified properly. 2. Utility of major subjects is preferable but respondents answered that curriculum must be improved. 3. Curriculum of graduate courses have a slender number of major subjects relatively to those of other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It will be required to set plans for improving utility of current curriculum as follows: 1. It must be established and driven long-term development plan 2.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select out major subjects. 3. Subjects related computing must be increased and used in practically. 4. Problems found from each subjects must be improved. 5. Increasing to various major subjects in undergraduate courses curriculum will encourage to students in studying major fields in detail.

      • 보건진료원의 직무만족 및 경력개발에 관한 연구

        정은영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51

        본 연구는 보건진료원의 직무만족도 및 경력개발에 대한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들을 밝혀내어 보건진료소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전국의 보건진료소에 근무하는 보건진료원중 연구자가 임의로 500명을 선정하여 우편물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 졌으며 223부가 회수되어 44.6%의 응답율을 보였다. 보건진료원의 직무만족에 미칠 수 있는 구조적 변수(직무의 단순성, 직무의 자율성, 직무의 명확성, 직무의 양, 직장의 지원,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자원공급의 부 적절성, 보상의 공정성, 승진기회, 직무의 중요도, 직업의 안정성, 직무갈등, 업무 규정적용의 공정성, 조직에 대한 기대)와 심리적 변수(긍정적 심성, 부정적 심성)의 군으로 분류하여 SPSS Ver 11.0을 활용하여 분산분석(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및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살펴보면 평균점수가 2.40점으로 보통수준(3점)보다 낮게 나타나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독립변수와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긍정적 심성(.431), 직장의 지원(.371), 조직에 대한 기대(.321), 보상의 공정성(.286), 업무 규정 적용의 공정성(.272), 상사의 지원(.263), 직업의 안정성(.262), 직무의 자율성(.235), 직무의 중요도(.144) 순으로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부정적 심성(-.394), 직무의 단순성(-.222), 직무갈등(-.151), 자원공급의 부 적절성(-.023)에서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보건진료원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인 심성을 가진 진료원 일수록(.256), 조직에 대한 기대가 클수록(.174),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부정적인 심성을 갖고(-.214), 자원공급이 부적절하고(-.177), 직무가 단순하게(-.148) 이루어질수록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있다. 보건진료원의 직무개발 교육 현황을 보면 보건교사과정을 가장 많이 이수하였고, 가정간호사과정, 조산사과정, 정신간호사과정, 보건간호사과정, 사회복지학과정, 호스피스과정, 상담학과정, 보육사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개발을 위한 희망교육으로는 사회복지학과정, 가정간호사과정, 상담학과정, 정신간호사과정, 노인간호과정, 호스피스과정, 보건간호사과정, 보육사 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건진료원의 경력개발을 위한 장해요인으로는 시간, 거리, 나이, 진료소 상주근무로 인한 부담감, 경제력, 체력, 상급기관 및 외부에서 보는 시각, 업무량 및 주민에 대한 부담감, 자녀양육, 정보 및 지식침체로 인한 의욕 저하 등이 지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심성과 조직에 대한 기대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았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러한 변수의 상황을 강화하고 보건진료원의 낮은 만족도를 일으키는 변수를 억제시켜 보건진료원들이 최대한 직장에서의 보람과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긍정적인 심성을 가진 사람이 뚜렷하게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력 관리 차원에서 보건진료원이 현재 하고 있는 일들이 흥미롭고 적성에 맞는지 항상 살펴보고 지속적인 상담 및 관심을 보여야 할 것이다. 보건진료원 또한 자신의 일이 만족스러운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정하여 생동감 있고 활기차게 일할 수 있도록 보건진료원 스스로의 노력도 기울여야할 것이다. 셋째, 보건진료원에게도 경력기회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교육 및 훈련의 기회와 이를 지지하는 조직의 분위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보건진료원의 직무만족 및 경력개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위기관의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법적, 제도적 모든 수단을 통하여 상위감독자 및 행정기관이 적극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the needs of career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CHPs) in korea.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223 CHPs nationwide in korea.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tain two groups of determinant: 14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job routinization, job autonomy, role clarity, workload, supervisory support, coworker support, resource inadequacy, distributive justice, promotional chances, job significance, job security, rules justice, organization expectation, and role conflict), and 2 psychological variables(positive affectivity and negative affectivity).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Ps; positive affectivity(.256), organization expectation(.174), negative affectivity(-.214), resource inadequacy(-.177), and job routinization(-.148)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also found that many CHPs want to get the chance for more advanced education for developing their job-related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the social welfare, home nursing, counseling, psychopathic nursing, geriatric nursing, hospice, community health nursing, child-care, etc. The main obstacles to the CHPs' career development include the time, distance, age, workload, money, health status, child-caring, lack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two implication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CHPs,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s well as to develop the positive affectivity of the CHPs.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CHPs with th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ir receiving advanced education programs around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 보건진료원의 장기근속 동기와 지속성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박혜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35

        연구배경 및 목적 보건인력의 지역별 불균형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특히 절대적으로 인적, 물적인 자원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절대적인 보건인력 부족 현상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만성적인 보건인력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성의 문제가 중요하며,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우리나라 보건진료원에 착안하게 되었다. 보건진료원은 30년 이상 농어촌 지역의 일차보건인력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 왔다. 따라서 이들의 장기근속 경험을 토대로 외적, 내적, 개인적 차원으로 지속성 요인을 도출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년 이상 보건진료원으로서 종사한 이들의 경험을 통해 지속성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근거이론을 차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6명으로 이들은 20년 이상 보건진료원으로서 종사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로 목적적 표집과 함께 눈덩이 표집이 이루어졌다. 지역적 특색을 고려하기 위하여 국내 도 단위를 기준으로 전국에 파견된 보건진료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개방 코딩으로 657개의 개념과 132개의 하위개념, 37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11개의 상위 범주는 간호학과의 지원, 보건진료원의 지원, 환경의 적응, 업무의 적응, 지역사회 동화, 위기감, 대처전략(Coping strategy),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지속 원인, 성찰, 새로운 의미 지향이다. 축 코딩은 구조 분석과 과정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구조 분석 결과 보건진료원의 20년 이상 종사 경험이라는 중심 현상에 해당하는 범주는 환경의 적응, 업무의 적응, 지역사회 동화로 일컬어지는 적응의 과정이었다. 중심 현상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적,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가 도출되었다. 과정분석을 통해서는 보건진료원의 지속성에 이르는 과정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간호영역 진입단계, 직업 선택 및 경험단계, 보건진료원의 적응단계, 성숙 단계, 수행-유지단계, 새로운 의미 지향 단계의 6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선택 코딩에서는 핵심범주로 대처전략, 시간에 따른 변화, 지속 원인을 삼아 16개의 지속성 요인을 도출했으며, 유형별, 차원별로 분류하였다. 논의 본 연구 결과는 첫 번째 연구 질문인 ‘보건진료원의 지속성 요인과 이론과의 차이’에 대해서 16개의 지속성 요인을 제시하며, 지속성 요인은 보건진료원이 환경, 업무, 지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과 위기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대처전략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로 형성되는 개념이다. 이는 기존의 직업 만족도와 지속성의 관계와 달리 대처전략의 형성이 지속성 요인과 연결되는 중요한 개념임을 일컫는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인 ‘보건진료원의 개인적 경험을 기반으로 한 외적, 내적, 개인적 차원의 맥락’은 분석의 과정에서 교차적으로 드러났다. 세 번째 연구 질문인 ‘개발도상국의 보건인력 문제에 대한 시사점’은 차원별로 분류한 지속성 요인 중 내적 차원과 외적 차원을 중심으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적용방안이 제시되었다.

      • 保健所 組織 및 機能活性化에 關한 硏究 : 釜山廣域市 保健所를 中心으로

        박호국 仁濟大學校 2002 국내박사

        RANK : 248719

        목적 : 보건소가 급변하는 보건의료환경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하여는 업무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보건소를 대상으로 보건소 자원투입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함께 보건소직원들의 의식 및 조직 행태, 직무만족도요인등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보건소 기능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자료수집 및 설문조사기간은 2000년 4월 9일부터 21일까지였으며, 설문조사의 응답자는 전체 보건소직원의 79.8%인 487명이였다. 설문 결과의 분석에는 SPSS 9.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결과 : 1) 부산광역시 1개 보건소당 직원수는 평균 38.2명, 총 예산은 1,828,540천원으로 사업비:인건비:행정관리비의 비율이 35:59:6이었다. 시설 및 장비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체로 시설이나 장비 보유수준이 아직은 낮고 보건소별로 장비 및 시설 현황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2)직원들의 의식 및 조직행태에 대한 조사 결과 조직구조에 대한 일반적 인식수준은 중간정도였으나 대다수의 직윈들이 더 많은 재량권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인력·시설·예산등 투입자원의 적정성에 대하여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였다. 조직관리요인중 인사행정의 합리성, 승진·근무평정의 공정성에 대하여는 약간 부정적이었고, 반면 목표량설정방법의 합리성 과 사업·정책의 합리성은 약간 긍정적이었다. 동기요인에 속하는 업무자체가치, 성취감, 인정, 책임감, 자아실현 등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원간 관계, 안정된 직업, 감독의 질, 승진기회, 보수 등의 위생요인은 중간정도였다. 조직분위기에 속하는 변수들 중 우호·협동적 분위기는 매우 높게, 부서간 협조, 직원간 존중, 형식적 규정 등으로일을 그르치는 경우 등도 드물다고 인식하는 등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도 변수들 중 현 직무에 대한 만족은 중간 수준, 업무량은 매우 많은 것으로, 이직의사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위생요인, 조직분위기, 동기요인, 재량권의 필요성의 순이었으며, 이들이 직무만족도 변이에의 설명력(R²)은 25.3%였다. 4) 기타 보건소 활성화방안에 대한 조사결과 향후 진료업무의 방향에 대하 여는 현재보다 대폭적인 기능강화로 시설·장비·인력을 확충해야 한다 (38.8%)고 하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고, 현재 보건소 활성화에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는 예산·시설·장비부족, 행정지원부족 등이 우선순위였다. 한편 보건소개선의 우선순위로는 전문인력보강과 시설설비개선 등을 지적하였고, 질병관리사업중 가장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대상자로는 치매환자를 지적하였다. 결론: 설문조사가 보건소직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직무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요인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전체 보건소를 대상으로 보건소의 투입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및 보건소직원의 조직, 의식행태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보건소 조직 및 기능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Recently, the rapid transition of health care environment makes the constructive and effective development schemes indispensible to health centers-answering demands. In this study, a series of field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data feasible for enhancing function of health centers in Busan. Suggested data prepared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of invested resources, coupled with the personnel survey of organizational consciousness, structure and management, job satisfaction, and their related factors. Methods: 487 members corresponding to 79.8% of the municipal health center personnel had submitted replies to questionnaires from April 9 through 21, 2001. Survey data have been statistically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ies, Descriptives, T-tests, ANOVA, Reliabi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 9.0. Results: 1) Placed on the basis of administrative district, 16 health centers, 8 branches, and 6 clinics are currently at health care service in Busan. Personnel corresponding to 97.7% of full quota is in service and was averaged to be 38.2 per center. As to the figure of 2001, \1,828,540,000 was budgeted for a unit health center and apportioned to business, personnel, and management expenses by 35, 59, and 6 percents, respectively. Overall inventories of facilities are in need yet and quite diverse by individual center. 2)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eral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tructure was ranked around middle, while the lack of discretionary authority was pointed out by a large majority and the optimization of resource allocation such as manpower, budget, institution, and instruments were also reported in considerably negative. In the view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rationality of personnel management, promotion, and performance rating was valued somewhat negative, while the rationality of the target assignment and enterprise policy was rated a little positive. Motivation factors implicating value of duty, idea of accomplishment, acknowledgment, and sense of responsibility were highly approved, while sanitary factors comprising personal relationship, job stability, quality of supervision, chance of promotion, and a wage level were ranked middle. The solidity of organization morale was assured in cooperative atmosphere, and problems among departments and regulation for form's sake were reported to rarely impedes it. Finally, current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middle, while the level of workload and the idea of turnover was high. 3) Statistics resulte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nifested that job satisfac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nitation, organizational culture, motivation, and discretion authority in a decreasing order, whose model explains 25.3% (adjusted R²) of th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4) Concerning the method of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health centers, the majority (38.8%) of members involved in survey replied as "substantial strengthening of health care service functions than now". The shortage of the budget (21.5%), the administrative support (15.5%), and suitable organization structure (15.1%) were enumerated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as the obstacle to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health center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center's condition, they replied in the priority order of the reinforcement of professionals (24.1%), the improvement of institution's facilities (23.3%). and staffs specialized in dementia were recounted as top priority of recruit. Conclusions: This study appears to provide basic schematics about offering systematic data of the invested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consciousness; structure, management, culture, job satisfaction in health centers and their workers. Presumed from incomplete sample size and subjects constrained to the Busan health center personnel, statistical validity of result is somewhat limited as noticed by not-so-large R²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urther study is required for comparison between sample sizes based on the number of health center workers or budgets, or comparison with other cities.

      • 산업보건정책 발전을 위한 연구

        기윤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19

        우리나라의 산업보건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는 정부와 산업안전공단이 주도하고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실제 사업장과 보건대행기관의 보건관리자 및 책임자를 중심으로 정책의견을 수렴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재해 예방정책과 제도, 보건관리자의 역할과 제도, 직업성질환 예방을 위한 화학물질관리제도, 작업환경측정과 특수건강진단등 기업의 산업보건관리 책무 등을 분석 평가하여 정책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합리적 적정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사업장 일선에서 산업보건업무를 직접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 8명으로 포커스그룹(Focus Group)을 구성하고, 외부전문가 2명의 자문을 받아 개발된 자기응답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한국산업위생학회와 기업체 산업보건협의회의 회원 중 중복된 사람을 제외한 1,119명을 설문대상자로 하였고, 설문 참여에 동의한 422명 중 내용이 부실하게 작성된 14명을 제외한 408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 예방제도와 정책에 대하여는 현재보다도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법령을 제정 또는 개정하고, 정부재정 지원프로그램의 확대 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보건관리자에 대한 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는 정부의 보건관리자의 법적직무수행 권한과 책임 강화를 부여함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업주는 보건관리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회사의 인적자원 능력개발계획에 따라 책임자로서 성장해 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보건관리자가 책임지고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셋째, 화학물질 관리제도에 대해서는 정부와 공단주도하에 화학물질관리 관련 연구용역 사업을 강화해 나가고, 매뉴얼을 상세히 작성하여 사업장 활용을 지침화 해야 한다. 또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신뢰성에 대한 주기적 검증 및 MSDS 인증제도의 도입, NGO와 민간 전문단체를 포함한 화학물질감시체계 구축 등 관리체계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검진과 작업환경측정기관 운영에 대하여는 특수건강진단기관과 작업환경측정기관에 대한 질적, 양적부분 평가와 인증제 시행을 통하여 성적불량기관에 대하여는 직무 정지 또는 허가를 취소하고, 반면 우수 기관은 정부의 지도감독 면제와 시설, 장비에 대한 국고 우선 지원 등의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를 조기에 도입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간전문단체로 하여금 작업환경측정기관과 특수건강진단기관에 대한 자율 평가권을 부여하여 자정역할을 하도록 권한을 일부 위임하고, 정부는 감독권을 강화 시행하면 불필요한 갈등과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정부정책과 법 규정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사 협력적 자율 산재예방활동 강화, 맞춤형 보건서비스 제공, 클린사업장 지원금 축소계획의 일시 유보, 취약근로자인 비정규직, 외국인근로자, 고령 및 여성근로자 등에 대한 건강보호대책 강구, 작업환경측정과 건강진단제도 및 화학물질관리체계 문제 등을 노사정위원회에서 주기적 의안으로 다루고, 선진외국의 사례를 참고한 중장기 계획을 구축하여 단계별로 개선토록 하여야 한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 제기되고 있는 산업보건 문제에 대하여 실질적인 정책 우선순위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산업보건정책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reformed to prioritize and suggest the occupational health policies based on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regimes of prevention for industrial accident, function for occupational manager, chemical management, work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special health examinat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the focused group interviews and the consulting of the expert in occupational health and assess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The develop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to 1,119 subjects of the field of occupational health and responded with 442 and analysed with 408 except for 14 showing inappropriate answer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It is suggested that the policy for occupational health be amended toward protection of the right of workers and the financial assistance in the government be expanded. The government have to emphasis the right and duty of occupational manager for the efficient administration of it's regime. The company have to give an occupational manager a role of responsibility for prevention of occupational disease of workers. The regulation for chemical management should be operated by the government with an affiliated organization and be applied to company to reduce the exposure of chemicals to workers. Speaking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MSDS), government should conduct periodic survey for validity and an accreditation scheme and revise chemical surveillance system with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for MSDS. An assessment system is required for desirab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operation in the organization of work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health examination. Also, it is demanded that a right for autonomous assessment be provided to a nongovernmental associ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related organization.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al regulation and policy, it is suggested to prioritize for intensification for autonomous activity of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 suitable occupational health service, reservation of financial reduction for small scale company, and consideration of every avenue for health protection in temporary, foreign, women and aged workers.

      • 보건교육방법이 본태성 고혈압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효과

        손경옥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만성적인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건강행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효과적인 보건교육 방법과 건강행위 이행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다. 보건교육실시에 따른 사전사후통제집단설계에 준한 유사실험설계로 2000년 4월 10일 부터 7월 30일까지 P시에 소재하고 있는 S종합병원에서 내과 전문의로부터 본태성 고혈압을 진단받은 자로 월4회 보건교육을 실시하여 개별면담 교육군 20명, 그룹지도 교육군 20명을 선정하였다. 보건교육의 내용은 동일하게 하고 방법에 차이를 두었고 대조군 20명은 동일한 조건하에 보건교육 없이 동일한 교재를 주어 인쇄매체를 통하여 스스로 건강행위 이행을 하게 하였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3주간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4주 후 건강행위 이행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교육의 효과분석으로 개별면담군과 그룹지도군은 교육없이 인쇄매체로만 전달한 대조군보다 건강행위 이행점수가 높게 나타나 제1가설은 지지되었다. 2. 보건교육 방법에 따른 효과분석으로 그룹식지도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개별면담 방법, 교육책자만 배부한 방법이 가장 효과가 낮아 제2가설은 지지되었다. 3. 건강행위 이행이 따른 효과로 건강행위 이행점수는 그룹식지도군이 높았지만 실지로 혈압감소는 개별면담군에서 크게 나타났고, 건강행위 이행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제3가설은 지지되었다. 4. 대상자의 건강행위이행과 영향요인들간의 상호관계 분석에서는 건강통제위, 자기효능 건강지각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고혈압에 대한 지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도 없었으며 상관관계도 매우 낮았다. 5. 고혈압에 대한 지식, 건강통제위, 자기효능, 건강지각이 건강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다중 회귀분석의 결과는 자기효능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같이 획일적인 인쇄매체로 교육책자만을 배부한 대조군보다는 대상자의 상황에 맞게 자신의 책임감을 높이고 행위의 동기화를 조성할 수 있는 그룹식지도나 개별면담방법으로 건강행위를 유도하면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건강행위 이행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까지 높여 줄 수 있는 교육방법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Acute or infectious diseases were dominant in the past, but they are recently being replaced with chronic or incurable diseases that demand continuous care. However,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n our nation has still focused on acute disease, neglecting health education or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Purpose of this study was, specifically,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ed patients'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who suffered from essential hypertension, to help build a successful strategy to step up their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and to seek effective ways to implement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people selected from among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physicians as essential hypertension in S General Hospital in the city of P from April 10 through July 30, 2000, after health education was provided four times a month. The quasi- experimental design based on a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20 patients each: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to receive education in one-to-one interview, another was an experimental group to receive education in group, and the third was a control group. The two experimental groups learned the same things by different methods, and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he same teaching materials and asked to comply with health behaviors on their own without education. After three-week education was implemented in different ways, their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was measur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aired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s.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wo experimental groups that received health education on an individual or group basis got a higher score in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learned themselves from print media without education did. 2. Concerning the effective type of health education, the group education produced the best results, followed by one-to-one interview and the sole use of print media. 3. Regarding the effect of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the group-education group got the highest score in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but blood pressure lowered more significantly in the individual interview group. And the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 with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4. Parameter that had most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 with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was health locus of control, followed by self-efficacy and health percep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and knowledge of hypertension.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knowledge of hypertension,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health perception on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exercise most influenc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group education or one- to-one discussion would be more effective for health care for hypertension, as they could serve to have patients realize their own responsibility for health and to motivate their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And there was a need to more positively utilize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which could elevate not only compliance with health behaviors but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