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장년층의 자기효능감, 성공적 노화, 헤어관리행동 및 미용실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최지연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4383

        This study researched the self-efficacy, successful aging,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the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of middle-aged people. A self-writte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aged who used beauty salon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final 655 survey copies of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on SPSS 22.0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the use of Verimax),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ost-test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variable input method uses a stepwise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gender was ‘female’, age was ‘40 to 44 years’, education was ‘high school graduation’, marital status was ‘arried’, the number of children was ‘two’, occupation was ‘professional’, monthly income was ‘2 to 3 million Korean won’, economic status was ‘average’, and the health status was ‘healthy’.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self-efficacy, successful aging,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efficacy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successful aging wa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personal growth’, ‘ostentatiousness’, ‘health and economy’, ‘pursuit of meaning’, ‘well-being of family’, and ‘moderate’, hair management behavior derived four dimensions: ‘permanent wave management behavior’, ‘dyed hair management behavior’, ‘styling management behavior’, and ‘haircut management behavior’, and the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were derived in four dimensions: ‘responsiveness’, ‘professionalism’, ‘facility’, and ‘reliability’. Third, the analysis of self-efficacy, successful aging,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the attributes of hair salon sele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emonstrat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Fourth, self-efficacy, successful aging,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correlated with all factors. Fifth, self-efficacy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Sixth,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ir management behavior. Seventh, self-efficacy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ributes of hair salon selection. Eighth, successful aging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hair management behavior. Ninth, successful aging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ributes of hair salon selection. Tenth, hair management behavior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In conclusion, the 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self-efficacy of the middle-aged who use hair salons in Seoul and Gyeonggi area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successful aging and the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self-efficacy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Moreover, the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and the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ir hair management behavior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and each of the influencing factors could also be identified in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d self-efficacy, successful aging,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of the middle-aged to verify their correlations.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so they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hair beauty industry.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자기효능감, 성공적 노화, 헤어관리행동 및 미용실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ㆍ경기 지역의 미용실을 이용하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수집된 최종 655부의 자료를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 기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주성분분석, 베리맥스 사용),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증 Duncan test,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변수 투입 방법은 단계적 방법 사용)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은 ‘여자’, 연령은 ‘40세 이상 44세 이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결혼여부는 ‘기혼’, 자녀의 수는 ‘2명’, 직업은 ‘전문직’, 월평균 소득은 ‘200만 원 이상 300만 원 미만’, 경제상태는 ‘보통이다’,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 성공적 노화, 헤어관리행동, 미용실 선택속성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두 가지 차원으로, 성공적 노화는 ‘개인성장’, ‘과시성’, ‘건강과 경제’, ‘의미추구’, ‘가족의 안녕’, ‘중용’의 여섯 가지 차원으로, 헤어관리행동은 ‘퍼머넌트 웨이브관리행동’, ‘염색관리행동’, ‘스타일링관리행동’, ‘커트관리행동’의 네 가지 차원으로, 미용실 선택속성은 ‘응답성’, ‘전문성’, ‘시설’, ‘신뢰성’의 네 가지 차원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성공적 노화, 헤어관리행동, 미용실 선택속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효능감, 성공적 노화, 헤어관리행동, 미용실 선택속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이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자기효능감이 미용실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성공적 노화가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성공적 노화가 미용실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헤어관리행동이 미용실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해 볼 때, 서울ㆍ경기 지역의 미용실을 이용하는 중장년층의 자기효능감에 따른 헤어관리행동은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기효능감에 따른 성공적 노화와 미용실 선택속성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에 따른 헤어관리행동 및 미용실 선택속성과, 중장년층 헤어관리행동에 따른 미용실 선택속성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요인들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자기효능감, 성공적 노화, 헤어관리행동 및 미용실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를 하여, 학문적으로는 관련성을 규명하고 실무적으로는 헤어미용 산업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과시적 소비 성향과 자기표현 욕구가 미용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유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4383

        The number of users on social networking sites (SNS) has seen a significant increase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IT technology. As a result, the traditional offline flaunting of one's accomplishments or possessions has given way to online self-promotion, where consumers showcase their achievements and products to enhance their perceived value and social status. SNS platforms have thus evolved into multifaceted spac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self-expression, providing individuals with the means to share personal information and narratives. This transformation is closely linked to the improvement of personal living standards, which has expanded the concept of consumption beyond mere acquisition. Nowadays, consumers seek to maximize their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rough not only purchasing but also owning, using, and enhancing their possessions. This shift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various industries, articularly the beauty sector, where consumers' desire for self-expression has become increasingly evident. In response, technology, services, and marketing have all become pivotal factors in meeting these evolving consumer demands. In the modern context, appearance has become a crucial factor in competitive marketing. As a result, beauty consumption has surged, with individuals viewing their physical appearance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a tool for building positive self-esteem. This heightened interest in appearance also significantly influences one's self-percep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ir inherent value. Consequently, many people are motivated to enhance their appearance to look more attractive and appealing. With the rising trend of conspicuous consumption, beauty consumption has emerged as a popular method for self-expression and self-presentation. It is imperativ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and the desire for self-expression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The primary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in the beauty consumption market by examining the effect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and self-expression desires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This study involved the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505 participants aged over 20 across the na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software, incorporating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and self-expression desires. Additionally, the study employ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for factor extraction and rotation, respectively, and assessed variable reliability using Cronbach's α value.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examining the sub-factor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ypes, self-expression desires,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s, three distinct factors were identified with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s: personality-seeking orientation, fashion-seeking orientation, and brand orientation. Self-expression desires were segmented into two factors: sympathy and image management, while beauty management behaviors encompassed three factors: cosmetic plastic surgery behavior, skincare behavior,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Second, the study revealed that brand orientation, personality-seeking orientation, and fashion-seeking orientation among conspicuous consumption types positively influenced cosmetic plastic surgery and hair management behaviors. This indicates that consumers place value on brand recognition, services, and brand identity when making purchases or visiting establishments for cosmetic procedures and hair care. They actively seek to identify unique characteristics or qualities that align with current trends and attract attention. Image management, a component of self-expression desires, had a positive effect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while coordination positively impacted cosmetic plastic surgery and hair management behaviors among beauty management behaviors. This suggests that consumers tend to adapt popular styles or images to their own identity when making purchases or seeking services related to cosmetic procedures and hair care. It also implies that consumers carefully consider how they will be perceived by others when they engage in skincare routin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focused on individuals aged 20 and older, with a significant majority (74.7%) of respondents being women. This skewed demographic distribution may limit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earch findings. Future studies should aim to explore differences based on more balanced age and gender distribu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s limitations include the exclusive focus on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y, which is just one category of consumption tendency. Future research endeavors should aim to examine various consumption propensity categories in greater detail, with the potential to identify valuable marketing insights to drive the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SNS는 사람들과 소통을 하고 관계를 맺는 사회적 공간임과 동시에 자기표현의 공간으로 자신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곳으로 자리를 잡아 오프라인상에서의 과시는 한계성이 사라졌다. 소비자들은 사회적지위를 획득하고 자신의 가치와 우수함을 알리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자신이 구매한 제품 또는 성취한 일을 과시한다. 또한 경제적으로 여유가 증가하면서 단편적인 의식주 소비 패턴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스스로 가꾸고 투자하는 소비로 변화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미용산업에도 반영되어 다양한 고객층의 자기표현 욕구가 뚜렷해지면서 기술뿐 아니라 서비스, 마케팅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외모가 경쟁력이 되는 현대인의 마케팅 요소가 되면서 미용에 대한 소비가 늘었고 외모에 대한 관심도도 자의식에 영향을 주어 외모를 가꾸어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표출하고자 하는 자극제가 되고 있다. 최근 과시소비가 늘어나면서 자기 과시의 한 방법으로 미용소비를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미용관리행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과시적 소비성향과 자기표현욕구가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이 연구의 성과는 미용 소비시장에 고객의 자기표현과 의식소비에 균형을 맞추어 만족을 위한 마케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전국 20대 이상 일반인을 대상으로 최종 505부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고 과시적소비성향과 자기표현욕구가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 방법으로는 주성분 분석법, 요인회전 방법으로 Varimax가 사용되었고 변수의 신뢰도 분석은 크론바흐 알파값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시적 소비유형과 자기표현욕구, 미용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을 알아본 결과, 과시적 소비유형은 개성추구지향, 유행추구지향, 브랜드 지향 3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자기표현욕구는 동조, 이미지관리 2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종속변수인 미용관리행동은 미용성형시술행동,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3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과시적 소비성향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과시적소비유형 중 브랜드지향, 개성추구지향, 유행추구지향은 미용관리행동의 미용성형시술행동과 헤어관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용성형시술행동과 헤어관리행동을 위해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하거나 매장에 방문 시 브랜드의 인지도와 서비스, 아이덴티티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독특한 정체성 또는 특성을 있는지를 확인하고 현재 무엇이 인기있고 주목받고 있는지를 고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기표현욕구가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기표현욕구 중 이미지관리는 미용관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조는 미용관리행동 중 미용성형시술행동과 헤어관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용성형시술행동과 헤어관리행동을 위해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하거나 매장에 방문 시 유행하는 스타일이나 이미지를 자신에게 동화시켜 타인에게 보여지는 자신의 이미지를 고려한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피부관리행동을 위해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하거나 매장에 방문 시 자신이 기대하는 대로 타인에게 보여질 수 있는지를 생각한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은 위의 결과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첫째, 과시적 소비성향을 가진 사람이 미용성형시술행동과 헤어관리행동에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시적 소비성향을 가진 소비자가 미용성형시술행동을 위해 방문하였을 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남들과 다른 개인화된 특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스타일을 제시한다. 과시적 소비성향을 가진 소비자가 헤어관리행동을 위해 방문하였을 때 숙련된 헤어스타일리스트와의 상담을 통해 소비자의 헤어타입과 헤어스타일에 맞는 유명브랜드의 헤어케어 제품을 추천하고, 정기적인 관리를 위해서 헤어관리시기에 맞게 연락을 취해 헤어케어 루틴을 만들어 준다. 둘째, 자기표현욕구 중 이미지관리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미용성형시술행동과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미지관리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가 미용성형시술행동을 위해 방문하였을 때 시술행위로 인해 기대하는 이미지와 고민 등을 충분한 시간을 소비하여 상담을 진행하고 피부관리행동을 위해 방문 시 피부타입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만들어 집에서도 피부를 관리할 수 있게 하며 헤어관리행동을 위해 방문 시 숙련된 헤어스타일리스트와의 꼼꼼하고 충분한 상담을 통해 커스터마이징 헤어스타일을 만들어 소비자 개인에 맞는 헤어 스타일 이미지를 생성해주고 집에서도 연출이 가능하게 스타일링 방법과 케어 루틴을 설명한다. 셋째, 자기표현 욕구 중 동조를 추구하는 사람일수록 미용성형시술행동과 헤어관리행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조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미용성형시술행동과 헤어관리행동을 위해 방문하였을 때 소비자가 타인에게 보여지고 싶은 자신이 기대하는 이미지에 맞게 상담을 진행하여 최근 유명인이 많이 하는 시술이나 스타일에서 소비자에게 어울리는 스타일을 제시해준다.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대 이상 일반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 대상자 중 여성이 과반수 이상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어 앞으로 연구에서는 연령분포,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연구가 더욱 폭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시적 소비성향이라는 소비성향 중 한 가지 종류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앞으로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비성향의 종류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세분화하여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및 소비가치관이 헤어관리행동과 미용실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조현식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4383

        현대 사회에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미용 업계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이로 인한 미용실 수의 급증은 치열한 경쟁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미용실은 고객 만족도와 재방문율 향상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개성과 다양한 경험을 중시하는 MZ세대의 라이 프스타일과 소비 특성은 미용 업계에 맞춤형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의 필 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관이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관의 어떤 요소가 미용 실을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이를 통해 미용실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의 개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MZ세대의 특정한 니즈와 선호도에 맞는 서비스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는 미 용 업계에서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및 서비스 전략의 기반에 실 질적으로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증조사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MZ세대를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2023 년 9월 5일부터 2023년 9월 7일까지 50명의 사전 설문으로 예비조사를 실 시하였고 설문 문항을 보강하였다. 본 조사는 2023년 9월 8일부터 2023년 9월 29일까지 진행 하였으며 총 5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522부를 수거 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 자료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19부를 제외하고 503부가 최종 데이터로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SPSS Ver. 24.0을 사용 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출생연도 1995년생~2004년생(Z 세대)가 가장 많았고, 대학교 졸 및 재학이며, 월평균 수입 200만원 이 상~400만원 미만의 월평균 미용실 지출금액이 4만원~6만원 미만인 헤어 관리행동을 할 때 디자인을 가장 중시하는 사무직 미혼 여성이 가장 많았 다. 라이프스타일, 소비가치관, 헤어관리행동, 미용실 선택속성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라이 프스타일은 건강지향, 경제지향, 외모지향, 관계지향 4가지 요인이 도출되 었고, 소비가치관은 경제적 가치, 타인 인정 가치, 쾌락적 가치, 기능적 가 치 4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헤어관리행동은 시술 관리, 제품 및 도구 사 용, 스타일링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미용실 선택속성은 전문성, 가격 성, 편의성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라이프스타일이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인 가설 1을 검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의 4가지 하위요인 중 건강지향, 외모지향 은 헤어관리행동의 3가지 요인 중 제품 및 도구 사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경제지향은 제품 및 도구 사용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라이프스타일의 4가지 하위요인 중 관계지향요인은 헤어관리행동 의 3가지 하위 요인 중 시술 관리, 스타일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 면, 건강지향, 경제지향, 외모지향은 시술 관리와 스타일링에는 영향을 미 치지 않았다. 라이프스타일이 미용실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인 가설2를 검증한 결 과, 라이프스타일의 4가지 하위요인 중 경제지향은 미용실 선택속성의 3 가지 하위요인 중 전문성과 가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편의 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라이프스타일의 4가지 하위요인 중 외모지향은 미용실 선택속성의 3가지 요인 모두에게 정(+)의 영향을 미쳤 고, 관계지향은 가격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문성, 편의성에 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라이프스타일의 4가지 하위요인 중 건 강지향은 미용실 선택속성의 3가지 하위요인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 았다. 소비가치관이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인 가설3을 검증한 결과, 소 비가치관의 4가지 하위요인 중 경제적 가치는 헤어관리행동의 3가지 하위 요인 중 시술 관리, 스타일링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제품 및 도구 사 용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타인 인정 가치는 시술 관리, 스타일링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제품 및 도구 사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소비가치관의 4가지 하위요인 중 쾌락적 가치는 헤어관리 행동의 3가지 하위요인 중 시술 관리, 제품 및 도구 사용에 정(+)의 영향 을 미치는 반면, 스타일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기능적 가치는 헤 어관리행동의 3가지 요인 모두에게 정(+)의 영향을 미쳤다. 소비가치관이 미용실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인 가설4를 검증한 결과, 소비가치관의 4가지 하위요인 중 타인 인정 가치, 쾌락적 가치는 미용실 선택속성의 3가지 하위요인 중 전문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 격성과 편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는 미용실 선택속성의 3가지 하위요인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관이 헤어 관리 행동과 미용실 선택속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MZ세대는 건강지향, 외모지향, 관계지향을 중시하여 헤어 관리에 긍정적 인 영향을 받으며, 외모지향이 미용실 선택의 모든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 경제지향은 헤어 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미용실 선 택시 전문성과 가격성에만 영향을 미친다. 또한, MZ세대는 소비가치관을 통해 헤어 관리 행동에 대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미용실 선택시 전문성을 중요시하고, 가격과 편의성은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 타낸다. 이에 따라 미용실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미용 업계의 경쟁력 강화와 시장 확대를 도모하는 데에 개선점을 제시한다. MZ세대의 경제적 경향이 헤어 케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에, 제품과 서비스의 맞 춤화 및 가치 전달이 중요하다. 미용실은 이 세대의 경제지향성을 고려하 여 전문성을 유지하고 가격 투명성을 제공해야 하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통하여 미용실 선택을 촉진하고 고객 기반을 확립할 수 있다. MZ세대 의 소비 가치관이 헤어관리행동에 행동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므로, 맞춤형 제품 사용 방법과 헤어관리행동 교육콘텐츠가 필요하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MZ세대의 디지털 행동이 헤어관 리 및 미용실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MZ세대의 특성 을 이해하고, 미용실 운영전략을 개발하는데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다양한 국가의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미 용산업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맥락의 차이를 파악하는 의의있는 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beauty industry by exploring the impact of the MZ generation's lifestyle and consumption values on hair care behavior and salon selection attribute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salon services and marketing strategies tailored to the MZ generation, thereb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se strategies in the beauty sector. In modern society, as interest in appearance increases, the beauty industry is experiencing rapid growth. However, this growth has led to a surge in the number of salons, resulting in intense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has become a crucial objective for hair salons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crease repeat visits to retain their clientele. The MZ generation, valuing individuality within their lifestyles and seeking diverse experiences, demonstrates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necessitate personalized services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beauty industry. Particularly in this 'image-centric era,' this generation tends to improve their self-image through choices in salons and hairstyl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MZ generation's lifestyle and consumption values on hair care behavior and the attributes of salon selection. For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MZ generation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survey, with a preliminary survey of 50 people conducted from September 5th to September 7th, 2023, followed by a refinement of the survey questions. The main surve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8th to September 29th, 2023, distributing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and 522 were collected. After excluding 19 questionnaires deemed unsuitable for analysis, 503 were used as the final data set. For analysis, SPSS Ver. 24.0 was utilized,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birth year distribution showed 51.3% for Z Generation (born 1995-2004) and 48.7% for M Generation (born 1980-1994). The gender distribution was 60.4% female and 39.6% male, with 84.5% single and 14.3% married. In terms of education, 76.3% had a university degree or were currently enrolled, and 13.7% had a college degree or were enrolled. For occupation, 46.1% were office workers, followed by 18.1% in other professions. The monthly income was primarily in the range of 2 to 4 million won (61.2%), less than 2 million won (28.0%), and 4 to 6 million won (9.3%). Monthly hair care expenses were mostly between 40,000 and 60,000 won (49.5%) and 60,000 to 80,000 won (25.6%).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sidered during hair care were design (26.2%) and trend. To ascertai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ifestyle, consumption values, hair care behavior, and salon selection attribute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dentified four factors for lifestyle: health orientation, economic orienta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relationship orientation. For consumption values, four factors emerged: economic value, recognition value, hedon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ir care behavior was distilled into three factors: treatment management, product and tool usage, and styling. Finally, salon selection attribut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expertise, price, and convenienc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lifestyle and consumption values of the MZ gener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hair care behavior and salon selection attributes. The MZ generation, prioritizing health orienta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relationship orientation, shows a positive impact on hair care. Appearance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s all aspects of salon choice. In contrast, economic orient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hair care and influences only the expertise and price aspects of salon choice. Additionally, the MZ generation's consumption values mostly have a positive impact on hair care behavior and place significant importance on expertise while choosing a salon, with less consideration for price and convenience.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salon service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expand the market in the beauty industry. Given the MZ generation's economic trend negatively impacts hair care, customization and value communic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are crucial. Salons should consider this generation's economic orientation by maintaining expertise and providing price transparency.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can facilitate salon selection and establish a customer base. Since the MZ generation's consumption values positively influence hair care behavior, there is a need for customized product usage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 on hair care behavi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should analyze how the MZ generation's digital behavior affects hair care and salon selection, providing insights into their characteristics and aiding in the development of salon operation strategies. Additionally, it proposes significant research to compare and analyze the lifestyle and consumption values of the MZ generation across various countries, identifying cultural, economic, and social contextual differenc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the domestic beauty industry.

      • 인스타그램 특성이 헤어미용콘텐츠 인식,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원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83

        정보화 사회인 현대에 스마트폰 사용이 필수적이게 되면서 소셜 미디어도 활성화되고, 그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발달하게 되면서 사용량은 급증하였다. 이용자들은 SNS를 소통의 창구로 이용자 간의 인맥구축, 소통, 정보공유를 하였으며 3세대 SNS를 대표하는 인스타그램은 텍스트보다는 이미지 중심으로 빠른 상호작용과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마케팅 도구로써 활용도가 높다. 헤어미용 산업에서는 시각적인 감성 요소가 중요하므로 인스타그램의 장점을 활용하면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에게 헤어미용 관련 콘텐츠를 마케팅 적 면에서 더 어필 할 수 있으며 이용자들이 경험 바탕의 정보, 공감, 소통을 통해 공유되는 정보는 소비 활동으로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크다. 헤어미용콘텐츠를 보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목적을 파악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자화 된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헤어미용콘텐츠 인식이 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이론체계를 정립하고 그 결과로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인스타그램 헤어미용콘텐츠 이용 경험이 있는 10대부터 40대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총270명이 설문을 응답하였고 유효한 262부의 설문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스타그램 특성은 헤어미용콘텐츠 인식, 만족도, 행동의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팅퀄리티, 최신상호성은 헤어미용콘텐츠 인식, 만족도, 행동의도에 다 포함되는 요인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인스타그램을 이용할 때 최신 트렌드에 관한 정보를 기본으로 소통하고 공유해야 흥미를 느끼고 수용하며 같은 자료라도 더 완성도가 높고 전달력이 뛰어날수록 이용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빠르게 변화하는 현시대에 맞춰 헤어미용 산업과 다른 모든 분야에서 사회적 흐름과 유행을 파악해 수준 높은 콘텐츠 개발에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헤어미용콘텐츠 인식은 만족도, 행동의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신뢰도, 호감도, 인지도 순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스타그램에서 제공되는 헤어미용콘텐츠에서 허위광고, 진실인 척 거짓된 연출 상황 등과 같은 신뢰가 떨어지는 정보는 이용자들에게 배신감으로 다가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헤어미용콘텐츠 제작 시 진실 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와 공감, 소통하며 유대감을 쌓는다면 충성고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인스타그램 특성과 헤어미용콘텐츠 인식이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헤어 미용과 다른 분야에서도 산업 발전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적인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미용실의 관계 마케팅과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 고객만족 및 구전의도의 관계

        장용운 서경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83

        현대사회는 생활 수준의 향상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비자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고객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다양해진 투자 비용에 대한 대가보다 더 질 높은 서비스를 원하는 추세이다. 미용산업 또한 과거 기술 중심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마케팅을 중심으로한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고, 현재의 미용 서비스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으며 고객들의 선택권이 확장되어 가면서 미용실을 경영하는 경영자들은 독창적인 광고와 다양한 홍보활동 등을 통해 고객 확보에 주력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실의 관계마케팅과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 고객만족 및 구전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미용실의 관계마케팅이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마케팅이 고객만족과 구전의도,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가 고객만족과 구전의도, 고객만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효과적으로 고객을 유치 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경기도 분당 및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미용실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였고, 707부가 최종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증 Duncan test, Pearson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성별은 ‘여자’가 가장 높았고, 결혼 여부는 ‘기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40대, 50대’가 똑같이 높게 나타났고, 직업의 경우 ‘주부’가 월 소득은 ‘500만 원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학사(재학 포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의 관계마케팅,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 고객만족, 구전의도의 차원을 알아본 결과, 관계마케팅은 ‘고객지향성’, ‘서비스 신뢰’, ‘가격’, ‘점포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의 5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는 ‘유사성’, ‘기술성’, ‘호의성’, ‘정보제공성’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고객만족은 ‘디자이너 만족’, ‘가격 만족’, ‘서비스 만족’, ‘시설 만족’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구전의도는 ‘구전의도’ 단일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의 관계마케팅,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 고객만족, 구전의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계마케팅이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관계마케팅은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 요인 중 ‘정보제공성’만 관계마케팅의 5가지 요인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계마케팅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관계마케팅은 고객만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관계마케팅의 ‘서비스 신뢰’ 요인이 고객만족 요인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계마케팅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관계마케팅은 구전의도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서비스 신뢰, 커뮤니케이션, 고객지향성, 점포 이미지, 가격 요인이 높아질수록 구전의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곱째,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는 고객만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수록 고객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는 구전의도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수록 구전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고객만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고객만족은 구전의도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고객만족이 높아질수록 구전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미용실의 관계마케팅으로 인한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를 높이려면 고객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에 대한 신뢰도 요인을 높여야 할 것이며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와 고객만족 요인을 높이면 기존고객 유지와 신규고객 창출, 고객의 재방문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미용실은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이벤트와 홍보를 지속적으로 하며 고객이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관계마케팅을 제시하고 미용실에 대한 만족도와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화된 관계마케팅 전략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와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지아람 서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83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와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최근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문화적 환경의 변화로 미용 산업의 규모는 양적·질적으로 확대되었고, 고객지향적 서비스 산업으로 발전하였다. 헤어 미용종사자들은 고객과의 접점에서 고객 개인의 다양한 요구 수준에 대응하고, 고객에게 밝은 모습을 보여야만 하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정신적으로 스트레스가 높아지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헤어 미용종사자들의 문화예술 관람과 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 유형에 따라 느끼는 생활만족의 차이, 근무 만족에 따른 문화예술 관람동기, 생활만족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여 헤어 미용종사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조사 방법으로는 서울과 경기, 인천을 중심으로 헤어 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517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SPSS 22.0을 통해 빈도 분석과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및 사후검증 Duncan test,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이 사용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본 결과, 성별은 ‘여자’, 연령은 ‘20대’, 결혼여부는 ‘미혼’, 직위는 ‘원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용경력은 ‘5년 미만’, 월 소득은 ‘500만 원 이상’, 1일 근무시간은 ‘8시간 이상∼10시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화관람 참여 유형을 알아본 결과, 문화관람 참여 정도는 ‘주 1∼2회’, 주로 참여하는 문화관람은 ‘연극/영화관람’, 월 평균 문화관람 소비금액은 ‘5만 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문화관람 시 주된 동반자는 ‘친구’, 문화관람이 어려운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 만족에 대해 알아본 결과, 근무 만족 여부는 ‘예’, 근무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급여 및 인센티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근무 만족 여부에서 ‘예’라고 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 이유 ‘근무환경’, ‘아니오’라고 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불만족 이유 ‘급여 및 인센티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 생활만족의 차원을 알아본 결과, 문화예술 관람동기는 ‘심리적’, ‘신기성’, ‘사회성’의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생활만족은 ‘질적 만족’, ‘심리적 만족’의 두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일반적 사항에 따른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와 생활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은 ‘신기성’ 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연령, 결혼여부, 직위, 미용경력은 문화예술 관람동기인 ‘심리적’, ‘신기성’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미용경력, 월 소득은 ‘질적 만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성별, 연령, 결혼여부, 직위는 생활만족인 ‘질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람 참여 유형에 따른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와 생활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월 평균 문화관람 소비금액, 주된 동반자, 문화관람이 어려운 이유는 문화예술 관람동기인 ‘심리적’, ‘신기성’, ‘사회성’ 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참가 횟수, 주로 참여하는 문화관람, 주된 동반자는 생활만족인 ‘질적 만족’, ‘심리적 만족’ 요인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만족에 따른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와 생활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근무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심리적’, ‘신기성’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생활만족인 ‘질적 만족’, ‘심리적 만족’이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문화예술 관람동기의 ‘심리적’, ‘신기성’, ‘사회성’ 요인 모두 생활만족의 ‘질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헤어 미용종사자의 문화예술 관람동기가 생활만족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헤어 미용종사자의 업무는 단순 노동이 아닌 예술행위에 일부임을 인식하며 끊임없이 자신의 기술력 증진과 서비스 개선을 위해 투자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그렇기 때문에 직원의 시간을 잘 조절할 수 있도록 관리자가 정신적, 물리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여준다면 헤어샵의 매출증대 및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 미용전공자의 전공선택동기와 교육만족, 진로결정의 관계

        김지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83

        Today, the beauty industry is developing rapidly and is being recognized in new ways as the society changes. As a field combined with academics and practicality, the beauty major has been segmented. Accordingly, the number of people pursuing the beauty major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y can build competence equipped with technology and theories and a beauty industry worker is becoming a promising occup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s and increased interest. Therefore, before choosing a major, one must carefully decide whether the major truly fits his or her aptitude, to minimize the harms due to major discordance, increase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oward the major, and bring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beauty majors’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on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ncourages beauty major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toward beauty education by carefully choosing their major, make career decisions related to the major field to buil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cultivate the sense of duty and competitiveness as beauty people. As a means to conduct this test, 421 copies of survey questions answered by beauty majors in their 20s and 30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Next,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22.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was the highest or most common: there were more females than males, ‘hair’ as the major, ‘2-year college’ as the place of receiving beauty education, ‘fits my aptitude’ for choosing the beauty major’, ‘practical technique’ for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beauty education, and ‘2-year college graduate’ as the adequate level of education by beauty educators. Second, factors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In the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3 factors including ‘personal vision’, ‘economic stability’, and ‘popular information’ were drawn; for educational satisfaction, 3 factors were drawn including ‘satisfaction with professors’ inclination,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for career decision, 3 factors including ‘research’, ‘certainty’, and ‘finality’ were drawn. Third, Duncan test that was conducted after ANOVA analysis on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certainty’ was the highest factor of career decision; ‘finality’ and ‘certainty’ were the highest factors of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the reasons for choosing the major; ‘research’ and ‘planning’ were the highest difference of career decision factors according to the important items of beauty education; and ‘research’ and ‘certainty’ were the highest difference of career decision factors according to beauty educators’ education level.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of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popular information had a correlation with research and finality; satisfaction with professors’ inclination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luding finality and popular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luding research, certainty, and popular inform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luding finality and popular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tent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luding popular information; the research of career decision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luding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certainty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luding popular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finality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luding satisfaction with professors’ inclination and curriculum; and planning had a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luding popular information. Fifth, when the influence of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examined, all sub-factor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in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Sixth, when the influence of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on career decision was examined, ‘research’ of career decis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sub-factors of the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certainty’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final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personal vision, economic stability and popular information had a positive (+) effect, and ‘plann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sub-factors of the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Seventh,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was examined; ‘research’ had a positive (+) effect in all sub-factor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certainty’ had a positive (+) effect in all factors exclud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inality’ had a positive (+) effect in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tent; and ‘planning’ had a positive (+) effect in all sub-factor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abov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a proper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has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and provides var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choosing the major.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that meets the level of majoring students and motivate the professors, as well as to increase beauty majors’ sense of pride and duty. 오늘날 미용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으며 사회가 변해감에 따라 미용 산업도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미용은 학문과 실용성이 접목된 분야로 전공이 세분화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교육개발과 관심의 증대로 기술과 이론을 겸비한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쌓아가고 있고 유망직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어 미용전공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람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전공을 선택하기 전에 본인의 전공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지 신중하게 결정해야 전공 불일치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되고 전공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도 상승하며 진로결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용전공자의 전공선택동기가 교육만족, 진로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신중한 전공 선택으로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전공분야와 연결된 진로결정을 하도록 하여 전문적인 기초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미용인으로서의 사명감과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검증을 위한 조사 방법으로 20-30대 미용전공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총421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고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의 빈도분석을 한 결과 성별은 ‘여자’가, 전공은 ‘헤어’가, 미용 교육을 받는 곳은 ‘전문대’, 전공 선택 이유는 ‘적성에 맞아서’, 미용 교육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는 ‘실기테크닉’, 미용 교육자의 적절한 학력은 ‘전문대졸’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동기, 교육만족, 진로결정의 각 차원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한 결과 전공선택동기의 차원은 ‘개인적 비전’, ‘경제적 안정’, ‘대중적 정보’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교육만족의 차원은 ‘교수성향 만족’, ‘교육환경 만족’, ‘교과과정 만족’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진로결정의 차원은 ‘연구성’, ‘확신성’, ‘목적성’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의 일원변량분석 후 Duncan test를 한 결과 진로결정요인은 ‘확신성’이, 전공 선택 이유에 따른 진로결정요인은 ‘목적성’과 ‘계획성’이, 미용교육의 중요 항목에 따른 진로결정요인의 차이는 ‘연구성’과 ‘계획성’이, 미용교육자의 학력에 따른 진로결정요인의 차이는 ‘연구성’과 ‘확신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상관관계 검증에서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비전과 경제적 안정은 모든 요인, 대중적 정보는 연구성과 목적성, 교수성향 만족은 목적성, 대중적 정보를 제외한 모든 요인, 교육만족의 교육환경 만족은 연구성, 확신성, 대중적 정보를 제외한 모든 요인, 교과과정 만족은 목적성, 대중적 정보를 제외한 모든 요인, 교육내용 만족은 대중적 정보를 제외한 모든 요인, 진로결정의 연구성은 교육환경 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 확신성은 대중적 정보, 교육환경 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 목적성은 교수성향 만족, 교과과정 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 계획성은 대중적 정보를 제외한 모든 요인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전공선택동기가 교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만족의 하위요인 모두가 개인적 비전, 경제적 안정에서 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여섯째,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의 ‘연구성’은 전공선택동기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확신성’은 개인적 비전과 경제적 안정이 정(+)적, ‘목적성’은 개인적 비전이 부(-)적, 경제적 안정, 대중적 정보가 정(+)적, ‘계획성’은 전공선택동기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일곱째, 교육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연구성’은 교육만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확신성’은 교육환경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정(+)적, ‘목적성’은 교육환경 만족, 교육내용 만족에서 정(+)적, ‘계획성’은 교육만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올바른 전공선택동기로 교육만족과 진로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전공 선택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전공자의 수준에 적합한 이론적·실무적 교육과 교수의 동기부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미용전공자의 사명감과 자긍심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헤어미용 종사자의 개인욕구와 멘토링 기능,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여예빈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4383

        Currently, the job market is in contrast to the job search difficulties of the unemployed and the manpower shortage of SMEs. While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large corporations is increasing, many SMEs are constantly being raised as tasks to be overcome in the face of problems such as manpower shortages and employment safety, and as it is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as well as a corporate problem, various supports and remedies have been prepared at the government level, but the effect is very insignificant. The difficulty in securing human resources is causing productivity and restrictions on business expans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orking conditions and minimum wage increases for beauty workers have improved, but the hair salon is suffering from job seekers' minds to pursue a life with minimal job activities and a tendency to avoid difficulties felt in a professional form that combines service and technology to deal with customers. It is urgent to closely analyze what the personal needs of hair and beauty workers are and how they will be applied to companies in order to solve the job shortage of beauty salons and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beauty companies. Based on the five stages of Maslow needs, data were collected and the overall content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needs, mentoring functions, job satisfaction, and job turnover intentions of hair care workers in their 20s and 40s, and the inspection items were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by referring to the appendices and questionnaires of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and thesis, and for empirical verifica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personal needs and mentoring functions of hair care workers, it is intended to analyz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of hair care worker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reatment, and to help establish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beauty companies, lowering the turnover rate of hair care workers,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through personal needs and mentoring functions. 헤어미용 종사자의 개인욕구와 멘토링 기능,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현재 고용시장은 실업자의 구직난과 중소기업의 인력난으로 대조적인 상황이다. 대기업의 지원자는 늘어가는 반면 많은 중소기업은 인력난과 고용안전 등의 문제에 직면하여 극복해야 할 과제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기업의 문제만이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면서 정부 차원의 다양 한 지원과 구제가 마련되었지만, 효과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서비스 업태인 미용실은 인력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생산성 저하와 업무확장의 제약을 초래하고 있으며, 현재 미용종사자의 근로 조건과 최 저급여 인상 등 환경적 요인은 나아졌지만, 최소한의 직업 활동으로 삶의 여유를 추구하고자 하는 구직자의 마인드와 고객을 직접적으로 상대하는 서비스와 기술을 겸하고 있는 직업적 형태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회피하고 자 하는 경향 등으로 미용실은 구인난을 겪고 있다. 미용실의 구인난을 해결하고 미용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헤 어미용 종사자의 개인적 욕구가 무엇인지, 어떻게 기업에 적용할 것인지 를 분석하는 것이 시급하다. Maslow 욕구 5단계를 바탕으로 20∼40대의 헤어미용 종사자의 개인 욕구와 멘토링 기능,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자료를 수집하여 전반적인 내용을 고찰하였고, 이와 관련된 국내외 학술지 및 학 위논문의 부록과 설문지 등을 참고하여 해당 연구에 맞춰 검사 항목을 설 정하였으며, 실증적인 검증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기기입식 설 문지를 구성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헤어미용 종사자들의 개인욕구와 멘토링 기능을 기반으로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를 분석하여 근무환경 개선 및 처우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조직 관리를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 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로 개인욕구 충족과 멘토링 기능을 통해 헤어미용 종사 자들의 이직률을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며, 미용 기업의 효과적인 인 적 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 여성 소비자의 헤어스타일 선호도, 라이프스타일 유형, 외모관심도

        박채성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83

        20세기 우리나라는 유래 없는 경제 성장을 이룩하였고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여러 과도기를 겪으며, 국민들의 삶의 수준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국민들의 삶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문화생활과 여가시간 활용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고, 자연스럽게 자신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미용 산업 또한 주목받게 되었으며, 미용 산업 현장은 점점 과포화 상태가 되어가고 있는 시점이다. 미용 산업 시장이 점점 규모가 커지고 고급화되는 만큼 미용 현장에서의 서비스 질과 기술력, 마케팅은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미용 산업이 점점 역사가 깊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현재의 트렌드를 다시 한 번 파악하여 현장에서의 상담 자료로써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차별성 있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도록 하며, 이를 활용하여 고객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헤어스타일 선호도, 라이프스타일 유형, 외모관심도를 파악하여, 여성 소비자의 헤어스타일 선호도가 라이프스타일 유형 별 차이를 분석하였고, 헤어스타일 선호도의 외모관심도 요인 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외모관심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외모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미용 산업 현장에서의 마케팅과 상담 자료로써의 활용과, 이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여 미용 산업 종사자들의 경제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미용 산업 종사자들이 증가하도록 하여 미용 산업의 가치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조사 방법으로는 미용실을 이용하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한 후 총 439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고,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요인분석을 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은 ‘리더십 중시’, ‘유행 중시’, ‘미용 중시’, ‘사교 중시’의 네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외모관심도는 ‘자기 관리’, ‘외모 관리’, ‘기초 관리’, ‘이미지 관리’의 네 가지 요인이 도출 되었다. 둘째, 여성 소비자의 헤어스타일 선호도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차이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헤어스타일 선호도 요인 중 헤어 길이 선호도에서는 ‘미용 중시’, 헤어 컬러 선호도에서는 ‘유행 중시’, ‘미용 중시’, 헤어 요소 선호도에서는 ‘리더십 중시’, ‘미용 중시’, ‘사교 중시’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여성 소비자의 헤어스타일 선호도에 따른 외모관심도 유형의 차이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헤어스타일 선호도 요인 중 헤어 길이 선호도에서는 ‘자기 관리’, ‘기초 관리’, 헤어 컬러 선호도에서는 ‘외모 관리’, ‘이미지 관리’, 헤어 요소 선호도에서는 ‘자기 관리’, ‘외모 관리’, ‘기초 관리’ ‘이미지 관리’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외모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외모관심도 요인 중 ‘자기 관리‘에서는 모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 관리‘에서도 모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초 관리‘에서도 모든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미지 관리‘에서는 ’리더십 중시‘, ’미용 중시‘, ’사교 중시‘ 요인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여성 소비자의 헤어스타일 선호도 요인 중 헤어 길이는 미용 중시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여성 소비자에게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헤어 컬러는 유행 중시, 미용 중시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여성 소비자에게, 헤어 요소는 리더십 중시, 미용 중시, 사교 중시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여성 소비자에게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헤어스타일 선호도 요인 중 헤어 길이는 자기 관리, 기초 관리에 해당되는 외모관심도를 가진 여성 소비자에게, 헤어 컬러는 외모 관리, 이미지 관리에 해당되는 여성 소비자에게, 헤어 요소는 자기 관리, 외모 관리, 기초 관리, 이미지 관리의 모든 항목에 해당되는 여성 소비자에게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외모관심도 요인 중 자기 관리와 외모 관리, 기초 관리 관심도가 높은 여성 소비자는 리더십 중시, 유행 중시, 미용 중시, 사교 중시의 모든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미지 관리의 관심도가 높은 여성 소비자는 리더십 중시, 미용 중시, 사교 중시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미용 산업 현장에서 현대의 여성 소비자들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소비의 선택과 집중 현상이 더욱더 진화되고 있다는 것을 정확히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개개인의 세부 시장별 차이를 밝혀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미용 현장에서 여성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과의 상담 시 고객의 충분한 소통을 통해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심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고객이 만족할 수준의 트렌드에 맞는 헤어스타일을 유추하기 위해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미용 산업의 발전을 위해 꾸준히 고객과의 상호작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20th century, the nation achieved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and experienced various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crises, and the level of life in the people's lives soared dramatically. As the standard of living rises, it has begun to focus on enhancing cultural life and leisure time, and the beauty industry that can naturally enhance its value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supersize. As the beauty and sophistication of the hairdressing industry grows, the quality of service in beauty care and marketing is evolving steadily. As the beauty industry becomes increasingly aware of the current tre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trends in the field and utilize them as a counseling material to provide 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and utilize them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female consumers analyzed the hairstyles, lifestyle type, and appearance of the female consumers, and analyzed the style of hairstyle preferences for female consumer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hairstyle preferenc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hairstyle preferences.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life style and appearance of female consumers was analyzed, and the type of lifestyle was analyzed to influence the appearance of lifestyle. The study aims to enhance the value of beauty industry by enhancing the beauty of beauty industry by utilizing marketing and consulting materials at the beauty industry and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levels by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levels. For these verification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questionnaire for female consumers using the questionnaire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using the SPSS 20.0,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turn analysis. First of all,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the Consumer's Consumer Age, which resulted in factors such as ‘ leadership importance ’, ‘ Cross-reference ’, ‘ Beauty Versus Beauty ’, ‘ Attention Credulity ’, ‘ Beauty Management ’, ‘ Beauty Management ’ and ‘ Image Management ’, ‘ Basic Management ’ and ‘ Image Management ’. Second, I notic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s in lifestyle patterns according to the style of female consumers ' hairstyles. Hair length preferenc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ir style preference, hair color preference, hairdressing, hairdressing, hair factor preference, ' beauty tolerance ' and ' importance ' factors in hair style preferences. Third,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styles according to the style of female consumers ' hairstyles. Hair length preferred in hair style affinity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 magnetizing-management ', ' baseline management ', ' image management ', ' image management ', ' image management ', ' image management ', ' image management ' and ' image management '. Fourthly, the type of female consumer's lifestyl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act of visual influences on visual influences. Among factors, " self-regulation " and " self-improvement " showed that all factors had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all factors showed significant effect in ‘ appearance management ’, and ‘ Basic Management ’ indicated that all factors influence ‘ leadership ’, ‘ beauty importance ’ and ‘ importance ’ factors. Given the fact that female consumers ' hair styles are important to women's consumers, hair length is important for women consumers with hair style lifestyles, hair coloring for women with hair styles and beauty lifestyles, hair factors for women with respect to beauty conscious lifestyles, hair quality and beauty lifestyles. Hair length is also important for female consumers with respect to self care, for female consumers with respect to self care, for female consumers with respect to appearance management, for female consumers with respect to image management, and for female consumers with respect to image management, visual management, basic management, and image management. Among the factors, female consumers with regard to self-control and appearance of appearance management and basic management of basic management have found that they have a sense of leadership, fashion, beauty, beauty and all lifestyles of society. Women who are highly interested in image management have found that they have a sense of leadership, beauty tolerance, and lifestyle patterns. Accordingly, it is aimed at realizing that modern women are more likely to evolve and focus on their lifestyles based on lifestyle choices, based on lifestyle choices and lifestyles.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women's consumers, the customer will need to understand the lifestyle and appearance of their custom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hairstyles of their customers, which will require continued interaction with the customer's satisfaction, which will require continued interactions with the customer.

      • 남성의 헤어미용서비스 이용동기 유형에 따른 구매행동과 이용만족도

        송혜정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83

        개인의 물질적 풍요로움과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증대되면서 남성들도 미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민감한 부분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남성들의 헤어미용서비스 소비경향이 점차 변화되어졌다. 본 연구는 남성이 헤어미용서비스를 이용하는 동기와 이용동기 차원으로 집단을 분류하여 구매행동과 이용만족도를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 500부를 SPSS 16.0을 통해 분석되었고, 적용된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교차분석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결과, 20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고정 미용실이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미용실 고려사항으로는 미용기술, 시술사항은 커트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헤어미용서비스 이용동기 차원의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헤어스타일 중시형’과 ‘상황 중시형’과 ‘유행 중시형’으로 명명하였다. 이용동기 차원으로 집단을 분류하여 군집분석과 분산분석 결과, 세 가지 집단으로 도출되었고, ‘이미지 지향형’과 ‘무관심형’과 ‘유행추구 지향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헤어미용서비스 만족도 차원의 요인분석 결과, 여섯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인적 서비스’와 ‘시설 및 환경 서비스’와 ‘신뢰성’과 ‘기술 및 실력’과 ‘직원 친절 서비스’와 ‘오락 및 음료 서비스’로 명명하였다. 넷째, 집단별 헤어미용서비스 구매행동의 교차분석 결과, 이미지 지향형 집단은 고정 미용실이 있으며, 미용기술을 중시하고, 규율적이면서 깔끔한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무관심형 집단은 고정 미용실이 없으며, 교통 및 접근성을 중시하였다. 유행추구 지향형 집단은 고정 미용실이 있으며, 명성을 중시하고, 유행 헤어스타일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집단별 헤어미용서비스 이용만족도의 분산분석 결과, 이미지 지향형 집단은 인적 서비스와 시설 및 환경 서비스에 의해 이용만족도를 가장 높게 지각하였고, 무관심형 집단은 전체적으로 낮게 지각을 하였으며, 유행추구 지향형 집단은 신뢰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게 지각하였다.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하면, 이미지를 지향하는 남성들은 미용기술을 중시하고, 인적 서비스와 시설 및 환경 서비스로 인해 만족을 높게 나타냈으며, 헤어스타일에 무관심한 남성들은 교통 및 접근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을 추구하는 남성들은 헤어스타일의 유행과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남성 소비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 및 요구조건을 수립하고, 보다 남성 고객의 요구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남성 고객 확보의 발판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남성 고객들의 헤어미용서비스 이용만족을 증가시켜 고객유치, 매출 상승과 남성 고객에 대한 정보 및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사 대상자를 서울지역으로 국한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이에 연구 대상을 전 지역으로 확대시켜 지역에 따른 남성들의 구매행동과 이용만족도에 관하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헤어미용서비스에 대한 구매행동과 이용만족도를 남성 고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나, 이를 남성과 여성으로 비교하고, 직업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비교하여 소비자들이 헤어미용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구매행동과 이용만족도의 연구를 통해 성별에 따른 고객유치와 마케팅 전략, 향상을 위한 후속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