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백나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미술치료과정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김아영, 차은정(1996)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의 3개 하위영역으로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자아정체감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박아청(1996)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이승국(1999)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6개의 하위영역이 있고,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으로 구분되어 총 4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질적분석으로는 K-HTP그림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경남소재에 위치 해있고, A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3 여학생이며, B센터에 의뢰가 들어와 상담을 시작하게 되었다. 미술치료를 2014년 8월부터 2015년 1월까지 40분씩 주1회로 총 23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쉬운 것만 선호를 하던 부분, 자신 없어 도전하지 않았던 부분, 어렵게만 생각했던 부분들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발견하고, 스스로 과제난이도 선호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 작업과정에서 완성에 대한 성취감을 획득하게 되면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탐색으로 인해 자기를 이해하고 자신을 수용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여 스스로 목표를 설정,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워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어 자신의 미래, 꿈에 대한 긍정적인 목표와 미래 확신성이 확립되면서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의 중학생에게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쉽게 미술로 표현함에 있어 긍정적인 자아상이 확립되고, 이로 인해 자신에 대한 효능감과 ‘나는 누구인지’에 대한 정체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기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자기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는 연구들과도 일치하는 부분이 많으나,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이고, 경험적 연구의 효과 검증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rt therapy affects on self-efficacy and self-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hat is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the self-identit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ird, What is a change in self-efficacy and self-identity due to the process of art therapy? A general self-efficacy scale(1996) by Kim ah-young and Cha eun-jung was used to grasp the level of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measure consisted of three sub-regions: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he difficulty of the challenge and it had total 24 questions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Tools that were used to grasp the level of self-identity was "Korean-type self-identity Inspection" developed by Park ah-chang(1996) and modified by Lee sung-kuk(1999). This measure had six sub-regions of 48 questions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subjectivity, self-acception, conviction on the future, goal orientation, self-directedness and intimacy. K-HTP was taken not only bef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ut after as well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mong the third grader female students in Gyeongnam middle school A on the request to B center. The Art Therapy Program proceeded 23 times totally, once a week for 40 minutes each from August 2014 to January 2015. First,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e subjects who had a preference of simple easy things over difficult ones, and didn't challenge for lack of confidence went through a remarkable changes. They found a positive energy that they can do anything through the art therapy program and the capability of deciding the level of difficulty with the work was improved. And they could achieve a sense of completion in the workflow, as a result it was found to affect the self-efficacy. Secondly,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identity. By understanding their own self and adopting it through looking within themselves, it was possible to accept their own self, establish a positive self-image, set their goals, make a specific plan for the future. And as a result it had an effects on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These results show us that positive self-image is established in expressing difficult parts to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dolescence by art and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self-identity increase.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identity. Although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preceded research in many part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stagnation, it also has a limit to generalize for all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Therefore, the effect verification of continued application and empirical research for this is required.

      • 시설거주 경증치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회상기반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박혜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As population aging is accelerating, the number of older adults stay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reminiscence- based art therapy in an older adult with mild dementia.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capture a raw portrayal of what the subject is experiencing and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experience. The study participant was an older adult in her late 60s with mild dementia, who has been living in a long-term care facility in E city, for seven years. This study conducted a 50-min art therapy session ten times: three times a week from March 23 to April 19, 2023. Later, the researcher visited the facility and conducted an interview to examine the cognitive and physical conditions of the subject, and the art therapy program was accordingly organize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recordings, photos of artworks, and observation logs to categorize the subject's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program. As a result, six super-topics and 13 sub-topics were identified. The categorie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joy of art therapy in a boring life>, <expressing and resolving negative emotions through reminiscing>, <revealing and re-perceiving the difficult emotions caused by dementia>, <realizing that positive emotions stem from family and hoping to share those emotions with family>, <a new understanding of myself and my life and a perspective of the later life>, and <hoping to lead my life as a happy and healthy person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analyzing the meaning of experiencing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in an older adult with mild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First, the subject expressed unresolved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 process of reminiscing released frustration and anger which oppressed the mind and finally had a sense of emotional stability. Second, the subject reminisced the positive aspect of the past through art and thought about children, internal support resources, who helped endure the hard times, etc. The subject realized the value of leading a busy life and doing the best in the past and reassessed her life as positive. Third, in art therapy, the subject reminisced and concluded her past life as an older sister and a mother. She portrayed a positive future in which she wishes her children happiness and lives for herself. Fourth, the subject reminisced her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of reminiscing using art media, by singing favorite songs and making things related to the past. She then held onto the remaining memories from her unconsciousness and maintained touch with reality. Hence, the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helped the study participant recollect the forgotten past and visualize her emotions. She candidly expressed he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into images and attained psychological freedom by releasing negative emo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she looked dull and complained about how boring and meaningless her life was. However, as the positive reminiscing process progressed, she actively reflected on her life and searched for the meaning of life. Therefore, the therapy helped the subject find a new perspective of the later life with newly perceived self-worth and hopes for a comfortable life, which in turn improved the quality of her life. In conclusion, the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provided the older adult with mild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with a sense of emotional stability an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er life. During the process of reminiscing, the subject discovered support resources and portrayed a positive future, attaining improved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급속한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시설에 있는 치매 노인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이 안에서 회상이론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경증치매 노인에게 어떤 경험을 주며 그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여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E 시의 한 요양시설에서 7년 차 거주 중이며 경증치매를 앓고 있는 60대 후반의 노인이다. 본 사례는 2023년 3월 24일부터 2023년 4월 19일까지 주 3회, 50분간 총 10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미술치료를 진행하기 전 시설에 방문을 하여 개인면담을 통해 연구자의 인지적, 신체적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맞추어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녹음, 녹취록, 작품사진, 관찰일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회상기반 미술치료 안에서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의미를 범주화 하였다. 그 결과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로 의미를 도출해 볼 수 있었다. 분석의 범주는 <무료한 삶 속에 들어온 미술치료가 즐거움>, <회상을 통해 부정적 감정을 충분히 표현하고 해소함>, <치매에 걸린 나의 힘든 감정을 드러내고 재인식함>, <긍정적인 감정 뒤에는 항상 가족이 있고 가족과 공유하고 싶음>, <전반적인 삶 속에서 나를 재발견하고 남은 노년기의 삶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봄>, <미래에는 행복하고 건강한 나로 나아가길 희망함>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설거주 경증치매 노인이 회상기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의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회상작업을 통해 과거 미해결된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여 자신을 누르고 있던 답답한 마음과 분노를 해소하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찾았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로 긍정적인 삶의 회상을 통해 과거 힘들었던 생활에서 버티게 해주었던 내적 지지자원인 자식들에 대해 생각하고, 열심히 바쁘게 살아왔던 자신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해 긍정적으로 재평가하였다. 셋째, 참여자는 미술치료 안에서 과거 누나, 엄마로서 최선을 다해 살아온 삶을 회상하여 정리하였고, 앞으로는 뒤에서 아이들의 행복을 빌어주며 나를 위한 삶을 살고 싶은 바람을 드러내면서 긍정적인 미래상을 구축하였다. 넷째, 참여자는 미술매체를 통한 회상 작업으로 자신의 경험을 연상적으로 떠올리면서 과거 경험과 관련된 추억 노래나 물건을 스스로 만들어 보며 기억을 회상하였고 은연중에 남아있는 잔존기억을 통해 현실감각을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회상기반 미술치료는 시설거주 경증치매 노인이 잊고 있었던 과거 경험을 회상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감정을 이미지로 시각화 하도록 도왔다. 이미지를 들여다보는 작업으로 자신의 생각과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였으며, 부정적인 감정은 해소 작업을 통해 심리적인 해방감을 가졌다. 회기 초반에는 무료한 모습으로 삶의 낙이 없고, 인생이 무의미 하다는 말과 함께 기운 없는 모습을 보였지만 긍정적인 회고 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되돌아보며 삶의 의미에 대해 탐색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새롭게 인식한 자신의 가치와 소망을 가지고 남은 노년기의 삶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데 도움을 주었고, 그 미래에는 나를 위한 삶으로 꽃길이 가득하고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긍정적인 바람을 드러내며 삶의 질 향상을 이끌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회상기반 미술치료는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어 자신의 삶을 들여다 볼 기회를 제공하였고, 그 안에서 자신의 지지자원 발견과 긍정적인 미래상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삶의 질 향상을 이끌 수 있었다.

      •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변화를 밝히고, 향후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변화는 어떠한가? 위와 같이 설정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독립 변인으로, 연구 도구로 측정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실험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A 여자고등학교 학생 자율 동아리 또래 상담부 학생 중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1, 2학년 학생 14명이며, 7명 씩 배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청소년용 회복탄력성 지수(YKRQ-)로 사전 검사를 진행하였고, 사전 검사로 취합된 연구 도구의 지수를 Mann-Whitney U 검정을 수행⋅분석하여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 시간 중 동아리 시간을 통해 주당 1~2회, 90분 씩 총 6차시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 도구는 청소년용 회복탄력성 지수(YKRQ-)이고,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해 SPSS Ver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해 자료를 분석⋅처리하였다.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사전⋅사후 검사 자료는 Wilcoxon 부호순위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고, 연구 도구의 하위 요인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의 반응 자료를 수집해 회기별 청소년의 경험을 정리하였고, 이를 통해 청소년에게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검정통계량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에 회복탄력성 지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에 반해,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기술통계량 측면에서도 실험집단의 회복탄력성 지수 평균은 통제집단에 비해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나며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중재에 효과적임이 통계적으로 입증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낙관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침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검증되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낙관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기술통계적 측면에서 양의 순위가 음의 순위와 동률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통계적으로 뒷받침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회기 분석을 통해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 청소년들은 이미지를 매개로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안에서 주어진 자율성을 통해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부정적 정서의 조절 및 협동을 위한 능동적인 자기 조절과 통제의 경험은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소 중 통제력과 연관 있는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의 통계적 향상을 통해 입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누적된 작품에서 변화된 자신을 발견하고 자신감과 긍정적 사고를 자원 삼아 미래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여자 고등학생의 고유한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낙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 것을 통해 입증되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 개입으로 적용 가능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조화하여 긍정적 영향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서울특별시 교육청과 교육부의 청소년 회복탄력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시, 문화⋅예술과 결합한 회복탄력성 중재 방식의 도입의 효과성을 입증한 실증 연구라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and changes of group art therapy in foster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enabl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be continuously utilized at school . For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in promot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Second, What is the resilient change that adolescents show through group art therapy? To answer the questions set out above, an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using group art therap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as a subordinate variable measured by a research to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sophomore and junior yea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from a girls'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he 1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comprising of 7 individuals each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ior to commencing the group art therapy, the two groups were inspected with YKRQ-27, and the index of research tools collected through a preliminary test was analyzed to confirm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1-2 times per week, 90 minutes per each session, for a total of 6 sessions during the participants’extracurricular activity hour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a post-test was conducted to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research tool utilized in this study was the resilience Index(YKRQ-27) and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to analyze the data to verify study problems was SPSS Ver 26.0. The pre-and post-testing data were analyzed with Wilcoxon singed rank test which was used to verify wheth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research tools. In addition, feedback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o summarize their experiences during each session, which were used to analyze the changes that appeared to these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foster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After analyzing the test statistics of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ilience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ns of the experimental group's resilience index in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an increas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s, Through this study, it was statistically proven that a group art therapy was an effective mediation for foster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it was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at group art therap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use analysis, impulse control, and optimism. Specifically, it had a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usal analysis, impulse control, and optimism in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and in terms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positive ranking was statistically supported with higher values relative to the negative ranking and the same ranking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it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Through the given autonomy within group art therap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xperience of active self-regulation for the control and cooperation of negative emotions, which had been latent inside through given autonomy within group art therapy, was demonstrated through statistical improvement of cause analysis and impulse control related to control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wed a unique characteristic. They were able to use their self-confidence and positive attitude as strength when looking at their future after discovering that they went through a change when they examined their accumulated artworks a characteristic that is usually found in students attending all girls's high school. It was proved thr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optimism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it can be seen that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This study demonstrated a positive effect by structur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foster resilience in adolescents who can be applied through educational intervention in the school settings. Also, in the event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perate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empirical study tha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a resilient arbitration method combined with art areas.

      • 초등학생의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학교 현장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김남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ceiv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pursuing group art therapy (designed to improve peer attachment) and ascertain the implications of such experiences. To this end, the author of this stu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uthor”) employ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analyze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offer insights based on these viewpoi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ird and fourth graders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Four female and two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The author conducted the research from July 25 to August 5, 2022, in the school’s activity room. A total of 10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held five times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100 min. Considering that th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been struggling to build peer relationships due to their lack of diverse social experiences, the author analyzed previous studies deemed to best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erms of cultivating peer attachment. The sessions were organized to allow the participants to benefit from the art therapy activities, foster positive emotional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to build trust, and drive high-quality peer attachments. That is, an intensive short-term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at the school to deliver practical and effective strategies.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artworks, observations, clinical diaries of the author and assistant therapist, recorded files, video recordings, and verbatim reports of the sessions. The author thoroughly reviewed th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e participants’ meaningful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ve communications, including their artistic expressions, to identify qualitative data patterns while employing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verification of categories to reveal context-rich art therapy experiences.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six parent and 14 child topics were derived. The parent topics on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were “Going on an art therapy journey with friends,” “Feeling frustrated due to the inability to express myself properly,” “Establishing safe and stable relationships in art activities,” “Building trust based on enhanced solidarity and cooperation,” “Experiencing shared fun and daily happiness,” and “Growing as one with friends.” Upon delving into the students’ experiences of group artistic activities and ascertaining the implications of such experienc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naturally 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experience social relationships and have stable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thus enabling them to express themselves properly and communicate with their friends effectively. Second, artistic activities helped the participants cultivate their inner strength to successfully navigate various challenges, based on the consistent attitudes that they had developed while engaging in structured art therapy activities, rules set by themselves, and acquired autonomy and internal control. Third, through a series of collaborations aimed to strengthen communal solidarity and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he invaluable opportunity to work together to immerse themselves in creation and exploration, build trusting relationships as mutual supporters, and foster solid camaraderie. In shor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could learn how to discover their inner selves and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their friends, based on a wide rang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By practicing what they had learned through artistic activities, the participants exhibited positive changes: They developed more accepting and cooperative attitudes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ir maladjusted behaviors. Moreover, by deriving inspiration from positive emotional connections with their peers, such as support, encouragement, and consolation, the participants established high-quality relationships,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elevated their confid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positiv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It brought about an improved understanding among the participants, helped them cultivate interpersonal skills, and fostered a sense of belonging in them, thus laying the foundation for ushering in essential attributes that constitute peer attachment, such as communication, trust, and connected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초등학생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입체적으로 살펴보고 심층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울시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아동으로, 여학생 4명과 남학생 2명이다. 집단미술치료 사례는 A 초등학교 활동실에서 2022년 7월 25일부터 2022년 8월 5일까지 2주 동안, 주 5회 100분간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다양한 사회적 경험의 부재로 ‘또래관계 형성’이라는 숙제의 한계점을 맞이하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또래애착 증진을 기반으로 개입에 효과적이라고 기대되는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고 회기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회기의 목표는 참여자들이 미술치료 활동 속에서 정서적 교감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신뢰감을 형성하고 또래와의 관계를 질적으로 맺어 애착을 증진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는 실천적 전략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단기집중적인 집단미술치료 개입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미술작품, 연구자와 보조치료사의 관찰 및 임상 일지, 녹음파일, 화상비디오 녹화본과 축어록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수집한 질적 자료의 패턴을 도출해 내기 위해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과 미술 표현을 정리하였고, 맥락을 풍부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본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상위주제는 <친구들과의 미술치료 동행이 시작됨>,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내가 답답함>, <미술 활동 속에서 안전한 관계를 맺어감>, <한층 더 단단해진 우리들의 관계로 신뢰감을 구축해나감>, <함께하는 재미와 일상의 행복감을 경험함>, <친구들과 하나되는 우리로 성장함>으로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이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하게 된 것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집단 속에서 함께하는 미술작업을 통해 또래와의 자연스러운 사회적 관계와 안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또래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구조화된 집단미술치료 활동 안에서 경험하는 일관성 있는 태도와 서로가 정한 규칙, 획득할 수 있는 자율성 및 내적 통제감을 바탕으로 여러 도전적 상황에서도 어려움을 다룰 수 있는 내면의 힘이 강화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공동체의 감정을 높이는 협동과정을 통해 함께 창조와 탐색에 몰두하고 서로의 지지자원으로서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며 단단한 동료애를 구축해나갔다. 이를 종합하면, 초등학교 아동인 연구참여자들은 학교 현장에서 진행한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집단의 다양한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을 시작으로 개인의 내면 인식과 친구들과의 상호소통 방법을 학습할 수 있었다. 학습한 방법을 적용해보고 실행해 봄으로써 부적응적인 모습들이 줄어들고 점차 수용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만들어가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또래들의 지지와 격려, 위로와 같은 긍정적인 정서적 교감으로 질 높은 관계를 맺고, 그 과정에서 적절한 중재와 습관을 쌓아가며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타인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어울리는 방식을 자연스럽게 배우며 소속감을 경험하는 등 또래애착의 구성요소인 의사소통, 신뢰, 소외(소속감)에 다방면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게 되었음을 발견하였다.

      •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신샛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실시된 탐색적 사례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S시 S구에 소재한 다문화센터에서 양육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호소한 결혼이주여성 여섯 명을 선정하여 2019년 11월 25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 일주일에 2번씩 6주간 11회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변화되는 질적인 측면을 살펴보고자 참여자들의 행동을 관찰하여 녹취, 녹화를 진행하였고 작품 사진 수집과 사후인터뷰를 통해 개인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들은 미술 매체를 이용한 치료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집단 내에서 학령기 자녀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타국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나누며 개개인이 느끼는 양육의 문제가 서로 크게 다르지 않음을 깨닫게 되었다. 이를 통해 집단 내에서 서로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경험하였으며 어머니로써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둘째, 질적인 분석과 사후인터뷰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양육효능감 향상에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집단 내에서 미술 활동을 통한 양육스트레스의 인식과 표현을 통해 스트레스 발산과 감정의 정화가 가능했다. 이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친밀감을 가지게 되면서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서로가 가지고 있는 양육에 대한 문제가 비슷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안도감을 느끼면서 결과적으로는 양육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게 되어 양육효능감이 올라갔다고 보고했다. 자신의 양육 행동을 돌아보는 과정에서 자기 성찰과 자기 이해가 가능해져 이전에는 지각하지 못했거나 받아들일 수 없었던 부분을 깨닫고 수용하게 됨으로써 자녀를 바라보는 관점과 행동도 긍정적이고 수용적으로 변화하여 양육효능감이 향상된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결혼이주여성들은 집단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변화양상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언어로 인한 부담을 낮추어 결혼이주여성에게 높은 접근성을 가지게 되면서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심리중재 프로그램으로서의 집단미술치료의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As a case of group art therapy, this study explores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of how their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change in the course of group art therapy.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6 marriage migrant women, members of a multicultural center located in S-gu, S-si in South Korea. These Women also described having various difficulties on parenting in a foreign setteing. The group art therapy was carried out 11 sessions in total, composed of sixty minutes and met twice a week during the time period of November 25, 2019 to December 30, 2019. Through out the group art therapy, participants’ language and behavior changes were observed which were both audio and video recorded. Also every artworks created by thes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as well as post-interviewed in order to analyze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is cas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self-examine their parenting behavior during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They recognized their own parenting stress, physically and emotionally, which affected themselves. Also, participants were able to share their parenting concerns with those similar circumstances - as parents in foreign country. Due to this common factor, mother experienced full of support and sympathy from their group. Moreover, they had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emotion and reflect as mothers through creating art work.. Second, from qualitative analysis and post interview,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group art therapy alleviated participants’ parenting stress and helped improve their parenting efficacy. Participants relieved parenting stress though creating artwork which acted as a creative outlet to gain a sense of catharsis. Participants were able to build up rapport and develop a special type of social network while sharing information on difficulties of parenting. As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processed, participants realized similarities of parenting issues between themselves. Such realization reassured as created confidence in parenting and thu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ability of parenting efficacy. Also, such recognition resulted in introsepction and self-knowledge which naturally led to understanding their unrecognized and unacceptable parenting traits. This led to changing their point of view and letting them have positive behavior to their own children which were indicators of highly efficient behavior as mot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depicts positive change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to marriage migrant women, The significance of this case is that group art therapy works as an efficient outlet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ndividuals who may have linguistic challenges. As a result, group art therapy should be used in the future for marriage migrant women who suffer from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low level of parenting efficacy.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 연구

        조예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ay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ve conducted non-face-to-face art therapy, describe the experiences through full ‘contemplation’ and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ve to provide non-face-to-face art therapy. it also aim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such experiences. Also, based on this, there will be explorations of specific factors that must be dealt on the very site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which is likely to continue in the future. Also, the aptitudes of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ill be explored. This important study will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the growth of art therapists and make a base for non-face-to-face art therapy.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hat are th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nd what ar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such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subject to in-depth interviews of this study are master’s degree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art therapy in Korea’s graduate schools and include 8 subjects who have experiences with non-face-to-face art therapy. One-to-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March and April, 2021 and data were collected until they were satur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ased on hermeneutic phenomenology of Max van Manen. Eight essential subjects and 23 sub-themes were used to derive the results, which are as follows: <The trainees doubted therapy effects and were worried about technological issues.>, <It was not very difficult to apply technological approaches after treatment unlike the previous worrie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made engagement more difficult due to online screen communication than face-to-face therapy.>, <The trainees had to face the emotions which could not be understood based on the exist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and were exhausted.>, <The trainees understood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The trainees could adapt to non-face-to-face art therapy and realized indirect ways of communication.>, <The trainees felt that it was necessary to make a structure of therapy environments where face-to-face communication would be unavailable.>, and, <The trainees contemplated a therapist’s paradigm who was in an environment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as a course to become a therapist.> Based on the results, writings, and diverse phenomenological data collected by the author were combined to conclude the onsit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ster’s trainees majoring in art therapy are lacking in non-face-to-face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and find it difficult to put into practice. Second, master’s trainees majoring in art therapy experiences expansion of universal recognition of art therapy by supplementing the factors not satisfied in any face-to-face conditions, develop the strengths of non-face-to-face environments and experience the expansion of universal recognition on art therapy. Third,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explore their own inner sides through non-face-to-face art therapy and contemplate the paradigm of therapists. The conclusions help and contribute to master’s students as follow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reduce unforseen accidents on the sites by exploring the essential meanings provided in vivid language of the onsite trainees and providing information that realistically helps with onsite projects. Also, it will help the trainees to inspect their capacity and provide high-quality art therapy based on their various experiences earned while conducting non-face-to-face art therapy. Finally,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id not consider the diversity of non-face-to-face approaches. Second, this study’s main coverage was the experiences of female participants aged 20~40. 본 연구는 비대면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 치료학 석사과정생들의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충만한 ‘사려’ 과정을 통해 체험을 기술하고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으로 미술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 치료학 석사과정생들이 어떤 체험을 하고 있는지, 그 체험의 의미에 대한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추후 지속될 가능성이 큰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에서 다루어야 하는 구체적인 요소와 미술 치료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의 자질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는 미술치료사의 성장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비대면 미술치료의 바탕을 만드는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심층 면담 대상자인 연구 참여자는 국내 대학원 미술 치료학을 전공한 석사생이며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8명으로 구성되었다.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어 자료가 포화할 때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했으며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로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실습생들은 사전에 치료효과를 의심하고 기술적으로 문제를 걱정함>, <치료 실행 후 우려했던 것보다 기술적인 부분을 활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음>, <대면 치료보다 화면으로 소통하며 개입이 쉽지 않아 난항을 겪음>, <기존의 지식과 경험으로 이해할 수 없는 감정을 마주하며 소진됨>, <비대면 미술치료의 환경적 특성으로 난항을 이해하게 됨>, <비로소 비대면 미술치료 방식에 적응하고 간접적인 소통방식을 깨닫기 시작함>, <직접 대면하지 못하는 치료환경의 구조화가 필요함을 느낌>, <치료사가 되기 위한 과정으로서 비대면 미술치료 환경에 있는 치료사의 패러다임에 대해 고민함>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채로운 현상학적 자료들을 취합하여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비대면에 대한 경험과 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실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둘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대면에서 충족할 수 없는 요소를 보완하고 비대면만의 장점을 살려 미술치료에 대한 보편적 인식의 확장을 경험한다. 셋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며 치료사의 패러다임에 대해 고민한다. 이처럼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들에게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나간 실습생들의 생생한 언어로 본질적인 의미를 밝힘으로써 실습생들에게 실제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우여곡절을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습생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미술치료를 시행하며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 체험을 통해 자신의 역량에 대해 점검하며 질 높은 미술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비대면 방식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는 대부분 20~40대의 여성 참여자들의 체험 경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ADHD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강하양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형제를 가진 비장애 아동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DHD 형제를 둔 비장애 10세 남자 아동으로 2022년 8월 9일부터 2022년 10월 29일까지 주 1∼2회, 60분씩 총 25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하였고, 그림검사는 K-HTP 그림검사, KFD 그림검사를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관찰지를 통해서 주제에 따른 단계와 회기별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ADHD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자기표현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자기표현력 척도 전체와 하위영역인 내용적 자기표현, 음성적 자기표현, 신체적 자기표현 모두 상승하였다. KFD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 가족들과 감정적으로 격리된 상태로 그 안에서 소외감과 불안을 느끼며 낮은 자기표현력이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는 가족 간의 우호적인 상호관계를 보이며 자기표현력 향상을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가 ADHD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 척도 전체와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모두 상승하였다. K-HTP 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 심리적인 외상이 있고 정서적 불안감이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는 긍정적인 자아상과 관계성을 나타내며 자아존중감 향상의 변화를 보였다. 셋째, ADHD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회기와 단계별 질적 분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미술 매체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욕구들을 표현하였고, 억압된 감정을 해소 시키면서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의 수용적인 태도와 격려, 지지를 통해 정서적인 불안감과 위축감을 감소시키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점차 감소하였다. 이를 종합해 보았을 때, 본 연구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후에 ADHD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주제어 : 미술치료, ADHD 형제,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art therapy programs affect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ADHD brother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non-disabled 10-year-old male child with ADHD brothers, and from August 9, 2022 to October 29, 2022, a total of 25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s a research tool,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and K-HTP picture test and KFD picture test were used as picture tes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In addition, changes in each session and changes in each topic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papers for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s in self-expression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ADHD brothers. In addition, the entire self-expression scale and sub-areas, items self-expression, speech self-expression, and physical self-expression, all increased. In the pre-test of the KFD picture test, low self-expression was shown while feeling alienated and anxious while being emotionally isolated from the family, but the post-test showed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improved self-expression. Second, art 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s in self-esteem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ADHD brothers. In addition, the overall self-esteem scale and sub-areas itmes of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all increased. The pre-test of the K-HTP picture test showed psychological trauma and emotional anxiety, but the post-test showed a positive self-image and relationship and showed a change in self-esteem improv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positive changes in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each session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ADHD brothers` subject-related art therapy. The subjects of the study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desires through art media, and were able to improv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while relieving suppressed emotions. In addition, through the researcher's receptive attitude, encouragement, and support, emotional anxiety and atrophy were reduced, and fear of failure was gradually reduced. Taken together, this study found that art therapy programs showed positive changes i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ADHD brother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bsequently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non-disabled children with ADHD brothers and providing data to apply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s. * Keyword: Art Therapy, ADHD Brothers, Self Expression, Self Esteem

      • ADHD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경향성에 대한 자기 조절력 향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김지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ADHD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경향에 대한 자기조절 향상 미술치료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학령기 무렵 ADHD를 진단받았으며 중학교 입학 이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 경향을 보이는 만 14살 중학교 2학년 여아의 사례로 2023년 3월 10일부터 4월 11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ADHD 청소년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로 스마트폰이 필수품이 된 현대사회에서 스마트폰 활용에 긍정적 경험과 자기조절의 자원을 획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료 수집은 참여자가 삶 속에서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되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이미지로 촬영된 미술작품과 임상 일지, 축어록, 연구 참여자 어머니와의 심층 면담 자료, 치료사의 고찰을 임상 일지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초기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 단계로 자료의 범주를 발견하고 특성을 이해해 발견된 핵심 경험과 유사한 속성을 반복적으로 분류해나가며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활용의 자기조절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나타난 참여자의 경험과 의미는 <아직은 쉽지않지만, 천천히 마주하는 내 마음>, <미술 활동을 통해 내면에 존재하던 나의 욕구를 알아차림>, <미술은 대체 활동의 동기를 가져다주며 자기조절을 경험하게 해주었음>, <꿈을 위한 스마트폰 활용 방법에 자기조절 의지와 희망을 꿈꾸게 됨>의 4개의 상위 범주와 9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ADHD를 진단받은 청소년이 스마트폰 의존 경향으로부터 자기조절 향상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의미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작품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자기 삶을 통제할 수 있는 자원을 얻었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 작업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와 부정적 경험을 수용해보며 실천 방안과 욕구를 조절해나가는 자신만의 기준을 얻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는 미술을 스마트폰의 대안 활동으로 활용함으로써, 미술 활동에 대한 참여 의지가 고취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힘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조합해 볼 때 스마트폰 과의존에 잠재적 위험군에 해당하는 ADHD 청소년이 자기조절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부정적 상황을 인식하고 불편한 감정들을 안전하게 표출하였다. 이에 스마트폰 사용의 욕구와 마주하고 이를 충족하고 보상할 다른 대안을 발견해 의존 경향에 대응할 기준으로 자기조절에 대한 의지와 긍정적 자원을 얻었다. 이러한 치료적 경험을 통해 참여자는 미술치료가 활동 그 자체만으로 스마트폰 의존의 대체 활동이 되어줌으로써 앞으로의 스마트폰 생활에 유연하게 적응하고, 이미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된 스마트폰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경험과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자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s experienced from improving self-regulation through art therapy in an adolescent with ADHD and smartphone dependency tendency.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was a 14-year-old girl in her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She was diagnosed with ADHD during her elementary school years and exhibited a risk tendency for smartphone dependence upon entering middle school. The case was proceeded from March 10th to April 11th 2023 and art therapy was operated 2 times a week, each one for 60 minutes and 10 times for total. The purpose of art therapy for self-regulation improvement in an ADHD adolescent was to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positive experiences that enable flexible adaptation and appropriate use of smartphones, which have become essential in modern socie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recorded files of art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er’s journals, images of the art works, fil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her mother. All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 and her mother. The repeatable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experience of an adolescent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it.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initial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o identify categories and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Similar attributes were repeatedly classified under the identified core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were analyzed. As a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four categories and nine sub-catagories were derived. The four categories of art therapy experience were <Facing my Inner self slowly but not easily>, <Recognizing my inner desires through art activities>, <Art provides an alternative source of motivation and a means to experience self-regulation>, <Envisioning self-control will and hope for utilizing smartphones with dre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regarding the experiences of an adolescent with ADHD and smartphone dependency tendency in the art therapy process for Self-Regul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gained resources to control her own lives by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in her own unique ways. Second, the participant gained her own standards for controlling her practices and desires by accepting her limitations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 art-making process. Third, by utilizing art as an alternative activity to smartphones, the participant not only experienced an increased willingness to engage in art activities but also gained the ability to positively utilize smartphones. Synthetically, the adolescent was able to perceive art in art therapy as a viable alternative activity to smartphone dependency. This allowed the participant to adapt flexibly to future smartphone use and acquire experiences in using smartphones appropriately, considering them as an integral part of her daily lives. The adolescent also obtained self-regulation resources related to smartphone utilization, enabling them to navigate her smartphone usage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