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석사학위과정 체험연구

        차혜란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0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experiences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had during the master's course to become an art therapist and their meanings and essence, help them adapt themselves to the course of becoming an art therapist,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needed to establish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easily, and give data that could be useful in an art therapy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apply Max van Manen's qualitative research to explo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t a total of 11 stages, including focusing on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empirical research, reflection on hermeneutical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writing, with the objective of getting a deep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A total of 10 students in a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students in the fourth- and fifth-terms and those having finished the course less than five months before―who were not art maj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personal interview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7; one or two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each one lasting 60-120 minute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until data saturation where it was considered that no new data could be obtained, taking the situation and context into account. W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 total of 9 essential themes and 23 sub-themes were extracted. The essential themes for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included 'have got out of my life stagnant with the memory of happy time for art and taken interest in art therapy,' 'have broken wrong ideas about art therapy and started a new life as a major,' 'feel joy in knowing things new to me,' 'encounter with my feelings through art-making in classes,' 'try to be a therapist who understands and faces clients as they are and makes efforts for them,' 'feel the need to understand myself with the aim of helping clients well,' 'have a desire to understand and express art in art therapy,' and 'find myself grow as an art therapy major, instead of clinging to weaknesses.'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students taking the mater's course in art therapy, who are not art majors, may feel joy in learning new art therapy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ir undergraduate major through the course. Second, art therapy majors, who are not art majors, ma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rt, feel they lack knowledge about art of which they have no learning, and make efforts to make up for the lack. They may have a desire to learn art in pursuit of expression as an art therapist. They may understand that in art therapy, art is an inevitable area with which they need to get familiar as an art therapist. Third, they may feel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knowing themselves through self-work with the aim of helping clients ultimately during the process of becoming an art therapist. Fourth, art therapy majors, who are not art majors, may understand the need to have a psychological basis and clinical experiences in addition to full knowledge about art in art therapy through the master's course. These conclusions may make the following contributions to art therapy: Firs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direct experiences to those who are not art majors but want to enter the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and help them choose their career. Second, this study may help all students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ster's course who feel confused in relation to art as well as art therapy majors, who are not art majors, during the course of growing to be an art therapist. Third, this study gave chances to check the meanings of art in art therapy again and reconsider art as an art, as art education, and as art therapy.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However, the interview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had different experiences in art―some took exams in art and others had no experience in art―and that they had somewhat different experiences during the master's cours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a narrower scope of art therapy majors having difficulty with art expression because of unfamiliarity to ar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tir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but found lots of experiences in art through interview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detailed experiences in art-making, which involves self-awareness and self-care in relation to art-making―for art therapy majors who are not art majors. Thir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indirect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 who majored in art as an undergraduate, in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The researcher tried to have no prior understanding; however, the possibility of a prior understanding to have intervened, contrary to the intention, cannot be exclud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은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석사학위과정에서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의미와 본질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함으로써,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이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적응을 돕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미술치료 교육과정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 중 Max van Manen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경험을 체험의 본질에 대한 집중,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를 밟아 탐색함으로써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생을 대상으로, 4, 5학기 재학생과 5개월 이내의 수료생 총 10명을 선정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개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회에서 2회의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인터뷰 시간은 60분에서 120분이 소요되었다. 연구하고자 하는 상황과 맥락에서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자료의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참여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분석한 결과, 총 9개의 본질적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석사학위과정 체험연구의 본질적 주제는 <행복했던 미술에 대한 기억으로 정체되어 있는 나의 삶을 벗어나 미술치료에 관심을 갖게 됨>, <잘못 알고 있던 미술치료에 대한 생각이 깨지고 전공생으로의 삶이 새롭게 시작됨>, <내가 모르던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것이 기쁨>, <수업에서의 미술작업을 통해 나의 감정을 마주보게 됨>, <미술치료사로서 내담자를 그대로 이해하고 마주보며 그들을 위해 노력함>, <내담자를 제대로 도와주기 위해서는 우선 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느낌>,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을 이해하고 표현하고 싶은 열망이 생김>, <부족함에 연연하지 않고 미술치료 전공생으로서 성장하고 있는 나를 발견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생들은 석사학위과정을 통해 자신의 학사전공과 완전히 다른 미술치료를 배우면서 알지 못했던 새로운 배움에 기쁨을 경험한다. 둘째,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은 미술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자신이 배우지 않은 미술 지식에 부족함을 느끼고 그 부족함을 채우기 노력을 한다. 또한 미술치료사로서 표현하는 미술을 배우고 싶은 열망이 생기게 된다. 미술치료에서 미술은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영역이며, 미술치료사로서 미술은 능숙하게 다루고 익숙해져야 하는 부분임을 인식하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궁극적으로 내담자를 도와주기 위해서는 자기작업을 통해 자신에 대해 잘 이해하고 알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경험을 하게 된다. 넷째,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은 석사학위과정을 통해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에 대해 잘 아는 것과 더불어, 심리학적 기반과 임상 경험을 고루 갖추어야 함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고 미술치료 석사학위과정에 진학하고자 하는 이에게 미술치료에 대해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해 주며, 진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생만이 아닌, 미술에 대해 혼란스러움을 겪고 있는 모든 초기 석사학위 과정생들에게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해나가는 과정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미술에 대한 의미를 재점검 해보고, 예술로서의 미술, 미술교육으로서의 미술, 미술치료로서의 미술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제언과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인터뷰과정에서 미술 입시 경험이 있는 참여자, 미술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는 참여자 등 미술에 대한 각기 다른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로 인해 석사학위과정에서의 경험 또한 조금씩 달랐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미술에 익숙하지 않아 미술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미술치료 전공생으로 범위를 좁혀 연구해볼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전반적인 석사학위과정에 대해 다뤘으나 인터뷰과정에서 미술에 관한 다양한 경험들이 많이 나왔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미술작업에 대한 자기인식, 자기 돌봄 등 미술작업과 관련된 세부적인 경험에 대해 연구해볼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자는 미술학사를 졸업하여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석사학위과정을 직접 체험해 보지 않은 간접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연구자의 선 이해를 판단 중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연구자의 의도와 달리 선 이해가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제한점이다.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홍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831

        For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unfamiliar with clinical reality, the particularity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may become the source of mental conflict that may be different from the conflict seen in other clinical scenes. These difficulties cause the practitioners to go through confusion and frustration in the course of developing professional awareness as a therapist but ultimately serve as momentum for their growth to be professional therapists. Considering this, the study focuses on further exploring difficulties that essentially come with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ultimately serving as momentum for professional growth and change for the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ed light on types of difficulties that come with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and the implication which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go through, thereby providing empirical informa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for the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and helping them to take the road to self-care and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 therapist. Furthermore, it aims to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serving as a foundation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supervis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difficulty that the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go through in the course of practicing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hat is the nature of such experience?” The study involves Max van Manen’s analytical and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method to take 11-stage investigation procedures which include a focus on the nature of vivid experience, exploration of such experience as it is, analytical and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analytical and phenomenological writings. The investigational data are gathered from in-depth interviews made twice by comprising linguistic interview and artwork interview, artwork image, daily therapy report, and memos. In-depth interviews involve a total of 6 subjects comprising four domestic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one graduate, and one M.A. The data-gathering process has lasted from Oct. 2021 through Feb. 2021 until the data suffi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eight categories and twenty-tow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eight categories were <Fear and burdensome feeling arising from obligation to take care of patients on the brink of life>, <Emotional burden caused by an obligation to be fulfilled amid the diversity of dynam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y>, <Adversity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art therapy in the scene of unpredictable hospice palliative care>, <Humiliation caused by the shortage of proficiency as art therapist>, <Art work serving as an instrument to brace for separation with dying patient and take care of emotions coming after separation>, <Frustration arising from the reality that hospice art therapy is still being treated as a mere secondary option>, <Rediscovery of the meaning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and <Belief in the power of art therapy being exercised in the face of imminent death being set in the mind of therapi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over the difficulty through which the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go at the scen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come to ponder the value of art therapy and the role of art therapists in the face of difficulty in art therapy intervention caused by the particularity of hospice palliative care fieldwork. In the course of that, they come to learn the need to give up on their desire to exercise their influence through art and instead choose to stay with patients through art rather than any kind of action chosen. Second, they come to go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by staying with patients and sharing the burden of pain on the journey towards death. As art therapists, they express their emotions through artwork, through which they separate themselves from clinical issues to objectively figure out what is going on. In the course of that, they come to experience self-exploration and comfort to a significant degree and thereby learn how to stand on their feet again as a therapist. Third, they, despite the disappointing reality that hospice palliative care is still considered incidental even in the face of growing numbers of interventions of hospice art therapy, choose to utilize such reality as momentum to boost work proficiency. Such experience makes them respect and accept approaches that a variety of experts advocate and realize that hospice facilities are no longer a solemn and intimidating place but a beautiful place where patients may make their remaining life meaningful. Fourth, they may be sure of their ability to work as art therapists by getting over the difficulties in the course of practicing hospice palliative care. These outcomes provide insight into the fact that such difficulty nourishes them to become more mature adults and proficient art therapists in the course of coping with and overcoming difficulty from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as follows.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intrinsic meaning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based on the vivid illustration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and provides empirical information of fieldwork for the students. This is expected to help them to cope with difficulty arising from the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and the resulting emotional exhaustion, self-care and reflection, and growth as a therapist. Furthermore,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essential data that are necessary for hospice palliative care art therapy education and the supervision which are needed to produce professional hospice palliative care, art therapists. Finally,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e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has had limitations in collecting subjects amid the pandemic. This has led the study to not consider the diversity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in which the subjects need to perform fieldwork. Thus, follow-up study needs to research more various facilities based on illustrations of relevant experiences. Second, the study has been limited to hospitalization-type hospice art therapy and failed to touch advisory and household art therapy. Given this, it is necessary to do subdivided follow-up research based on hospice palliative care art therapy type. 호스피스 완화의료 실습 현장의 특수성은 임상 장면에 익숙하지 않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에게 다른 임상현장과는 또 다른 형태의 심리적 갈등을 야기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실습생으로 하여금 치료사 정체성 발달에 혼란과 좌절을 경험하게 하기도 하지만, 성숙한 치료사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에게 변화와 성장의 계기가 될 수 있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어떠한지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힘으로써, 석사과정생에게 호스피스 완화의료 임상현장에 대한 경험적 정보를 제공하고, 자기 돌봄 및 자기 성찰, 치료사 성장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나아가 호스피스 완화의료 실습을 위한 교육 및 슈퍼비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그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생생한 체험의 본질에 집중,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를 따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언어적 인터뷰와 미술작업 인터뷰로 이루어진 총 2회의 심층면담과 미술작업 이미지, 치료일기, 메모 등에서 수집되었다. 심층면담은 국내 대학원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 재학생 4명, 수료생 1명, 졸업생 1명으로 총 6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부터 2021년 12월 사이의 기간 동안 이루어졌으며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해석학적 반성과정 단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2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삶의 끝에 있는 환자들을 돌보기가 두렵고 부담스러움>, <임종 환자와 가족의 다양한 역동 속에서 감당해야 하는 감정의 무게가 버거움>,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 개입에 역경을 겪음>, <미술치료사로서 전문성을 발휘하지 못한 내 모습이 부끄러움>, <미술작품이 환자와의 이별을 준비하고 이별 후 감정을 다루는 매개체가 됨>, <호스피스 미술치료가 여전히 부수적인 영역으로 여겨지고 있어 답답함>,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함>, <죽음 앞에 미술이 발휘하는 힘을 신뢰하며 미술치료사로서 확신의 발걸음을 내딛음> 이상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의 특수성으로 인해 미술치료 개입에 난항을 겪으며 미술치료사로서 어떤 가치관을 갖고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그동안 미술로써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했던 자신의 욕구를 버리고, 어떤 행위가 아닌 미술로 환자와 함께 머물러 주는 치료사로 성장하게 된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죽음으로 가는 환자의 여정에 동행하며 그 고통의 무게를 함께 짊어짐으로써 감정적 소진을 경험한다. 미술을 다루는 치료사로서 미술 작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임상적 이슈에서 분리되어 이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깊이 있는 자기 탐색과 위로를 경험함으로써 치료사로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호스피스 미술치료의 개입이 점차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수적인 영역으로 여겨지고 있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 허탈감을 느끼지만, 이것을 전문성을 채워가는 원동력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경험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방법을 존중하고 수용하며, 호스피스 병동이 더 이상 엄숙하고 무서운 곳이 아닌 환자의 마지막 삶을 의미 있게 만들어가기는 아름다운 공간임을 깨닫게 한다. 넷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호스피스 미술치료 실제를 통해 겪었던 어려움을 배움이라는 방법을 극복함으로써 미술치료사로서 확신을 갖는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 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처하고 극복해가는 과정을 통해 더욱 성숙한 미술치료사이자 인간으로 성장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에게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생생한 경험 진술을 바탕으로 그 본질적 의미를 밝힘으로써,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앞둔 석사과정생에게 임상현장에 대한 경험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그 자체와 이에 따른 소진 대처, 자기 돌봄 및 성찰, 치료사 성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울 것이다. 나아가 전문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 미술치료사가 배출되기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미술치료 교육 및 슈퍼비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으로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는 데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 참여자들이 실습을 진행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못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기관에서의 경험 기술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입원형 호스피스 미술치료에 대해서만 연구를 진행하여 자문형과 가정형 미술치료에 대한 경험을 다루지 못하였다. 이에 호스피스 완화의료 미술치료 유형에 따른 세분화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미술치료사와 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경험연구

        이현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와 예술가가 협업하여 수행한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두 집단이 경험한 것이 무엇인지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문화예술치유란 예술의 치유적 힘을 빌려 인간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극복하는 행위를 말한다. 문화예술치유는 예술교육과 예술치료가 중첩된 영역으로서 창의적 활동과 더불어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자는 두 영역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술치유의 효과를 높이고자 미술치료사와 예술가가 협업하는 미술치유 프로그램을 구상했다. 이어서 두 집단이 경험한 협업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미술치료와 예술교육이 결합한 미술치유 모델의 잠재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문화예술교육 단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2016년과 2017년에 걸쳐 「타인의 자리」 라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바 있다. 이 교육프로그램을 미술치료의 관점으로 재해석해 암환자를 대상으로 2017년 10월 한 달 동안 4회의 파일럿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후 인터뷰를 통해 문화예술교육과 미술치료의 연계성,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요구를 확인했다. 이후 미술치료사와 예술가가 협업하는데 있어 서로 간의 변증법적 상승을 이끌 수 있도록 구체적인 결합방식을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의 미술치유 프로그램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관한 ‘2017년 문화예술치유 기획형 프로그램 시범사업’에 선정되었으며, 본 연구자는 본 미술치유 프로그램의 총괄 및 기획자로서, 그리고 회기 관찰자로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연구를 위한 문헌고찰은 문화예술치유사업프로그램의 등장배경과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치유 활동의 필요성과 미술치료분야의 확장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술치료와 미술교육을 대조하면서 치료적 미술의 개념이 예술치유의 개념모델과 유사함을 밝혔다. 이는 미술치료사와 예술가의 협업을 바탕으로 한 미술치유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있어서 이론적 구조적 틀을 제공했다. 마지막으로 미술치료사와 타 직종 간의 협업이 이뤄진 국내외의 연구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총 4명으로 미술치료사 2명, 예술가 2명으로 구성되었다. 논문의 자료는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본 연구자의 관찰일지, 미술치료사의 보고서, 예술가의 활동일지, 회의록, 사진과 회기 녹음자료가 수집되었다. 인터뷰는 반구조적 방식으로 참여자 한 명당 2~3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고, 연구의 진실성을 위해 Guba와 Lincoln(1985)의 질적 연구의 평가항목을 따랐다.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을 수행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했다. 먼저 두 집단의 협업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다루는 ‘협업의 한계’,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나타난 두 집단의 입장과 태도를 분석한 ‘경계와 차이’, 그리고 앞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두 집단의 차이가 만들어 내는 가능성을 기술한 ‘협업의 가능성’, 프로그램이 끝난 후 협업의 선결과제에 대해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협업의 선결과제’, 총 4가지 항목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후 이 결과들이 제시하는 시사점에 따라 두 집단의 역할과 정체성, 공존과 균형을 중심으로 논의와 제의를 이어갔다. 본 논문은 미술치유분야에 한정되고 연구참여자가 4명에 그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협업의 의미를 예술치유 전반으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학제 간 연구가 부족한 국내 예술치료계의 현실에서 본 연구는 협업의 의미와 가능성을 되새기는 기초 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은 미술치료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발맞춰 더 나은 미술치유의 개념모델을 만드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on exploring what the two groups experienced through the cultural arts healing program that was jointly conducted by art therapists and artists. Cultural arts healing is an area where arts education and art therapy find their coincidental meeting point, aiming at atta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along with creative activities. The literature review of archives for the present research saw it’s beginning through the capsulization of the previous words’ frameworks in regard to the cultural arts healing program as well as the flow of research itself, pondering through both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re this joint collaboration between art therapists and other occupations existed. The latter was the phase that helped us identify the needs for cultural arts healing activities, the potential of expansion the field has in art therapy, as well as the imminent demand for these collaborations with art therapist must happen. Participating test subjects were two art therapists and two artists. Centered arou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earcher 's observation journal, art therapist' s report, artist 's activity journal, meeting minutes, photographs and session recordings were collected for us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of Giorgi (1985)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ereas qualitative research items of Guba and Lincoln (1985) were applied to meas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he results arrived at four elements, Limitations in collaborative work, Limits and differences,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and Preliminaries of the collaboration.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공소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8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nhancing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n field practice for graduate student, institute, and people related to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research process composed of existential experience explora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focusing on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 of “How is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 through during the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what’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For collecting research data, this study conducted a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from September 2018 to November 2018 on 6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course who had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depth interview continued until getting the enough data.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and came up with 6 essential topics and 18 sub-topics. 6 essential topics were as follows. 〈Meeting children without bias of multi-cultural family〉, 〈Reflecting on failing to approach in therapeutic way〉, 〈Feeling regretful for children’s potential restricted by reality〉, 〈Difficulty of therapeutic cooperation from mother who go through a rough life in Korea〉, 〈Art therapy as the valuable space of experience for helping children〉, 〈Becoming a mature and open-minded member of society〉. Based on the above topics,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ce and meaning of fiel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had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learned that their fixed idea about multi-culture may lead to bia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at moderate therapy is available when they are careful about their own bias and prejudice. Secondly, during the field practice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felt confused in lack of understanding in characteristic of client, and communication issues with institute and children’s mothers. Also,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felt the necessity of studying and training on theory and practical affairs. Third, althoug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learned that issu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related to foreign mothers hav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stress in Korean society, they realized that therapeutic cooperation with mother isn’t easy. Four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discovered the resources and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could not be expressed due to lack of educ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exchange at home. Also,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experienced that art can be the important mean and pathway for developing the resources and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f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realized that field practice o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necessary for developing into an art therapist and mature individual respecting the diversity with open attitude. This study covered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after performing art therapy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such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actual information for graduate students who will be meet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ield practice fiel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ield practice. This study also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reducing the trials and errors in preparing for the field practice.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 체험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장실습을 준비하는 석사과정생과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를 실시하는 기관 및 관계자에게 실습현장에 관한 이해와 준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과정에서 어떤 체험을 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체험 본질에의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연구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석사과정생 6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개인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이후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과정을 거쳐 본질적 주제 6개와 하위 주제 18개를 도출하였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이라는 렌즈를 벗고 아동 자체를 만남〉, 〈치료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미숙한 나를 반성함〉, 〈현실에 발목 잡혀있는 아동의 잠재력이 안타까움〉, 〈한국에서의 삶이 힘겨운 어머니와의 치료적 협력이 어려움〉, 〈미술치료는 아동의 날개를 펼쳐주는 소중한 경험의 장〉, 〈열린 사고를 지닌 사회의 성숙한 구성원으로 발돋움함〉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를 통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에 대한 학문적 고정관념이 자칫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신이 가진 편견과 선입견을 경계 할 때만이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각성한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내담자 특성에 관한 이해 부족, 기관 및 아동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문제 등에서 혼란스러운 감정을 느끼며 이론과 실무에 관한 공부와 훈련이 필요함을 깨닫는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가 한국사회 내에서 심리, 정서적 고통을 겪는 외국인 어머니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지만, 아동에 대한 어머니와의 치료적 협력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고민한다. 넷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내 교육적 지원과 정서적 교류 부족으로 인해 잠재되었던 아동의 자원과 역량을 발견하고 키워나가는 데 있어 미술이 중요한 수단이자 통로가 될 수 있음을 경험한다. 다섯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 실습경험이 개방적 태도를 가지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미술치료 전문가이자 성숙한 개인의 한 사람으로서 나아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경험이었음을 깨닫는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 체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며 이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미술치료 실습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접하게 되는 석사과정생들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과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류혜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81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experienced on-site art tr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and the nature of experienced phenomena.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site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ancer, we will adopt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to learn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describe in detail what they experienced and how they experienced it, and find the essential element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children's cancer art therapy experiences by master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nd to use it as data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cancer art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who has experienced on-site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and what is its meaning and essence?" For this study, five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ith field experience i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depth research was conducted non-face-to-face from October to November 2020,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bout two to three times each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and six intrinsic and 17 subtopics were derived. The six essential topics are: ‘I feel new feelings about medical art therapy and children's inner circle’,‘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etting up the structure of art therapy’,‘Not enough as an art therapist for children with cancer’,‘Try various things for better art therapy’,‘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a healer through the changing image of a child’,‘I found myself growing up as an art therapi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is as follows. First,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meets a child cancer child with a special setting called an open studio, unlike other labs, and the trainee suffers from confusion and difficulty in an unexpected changing treatment environment. Second,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can experience the power of healing art therapy through the positive change of children with cancer. Third, a master's degre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feels that he is growing up as an art therapist through art therapy with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area of art therapy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nted to convey vividly the experiences experienced by art therapy master students through on-site practi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rough individual statements. It is meaningful that this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group of inner patient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art therapy targeting children of childhood cancer will be established in the field of medical art therapy by presenting the role and effect of art therapy for children of childhood cancer.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ivid statem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can provide indirect experience in the field to the master's degree trainees who are about to practice pediatric cancer art therapy. Finally, the subjects of art therapy in this study consisted mostly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For follow-up research, we propose various types of research, such as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that conducted on-site art therapy practice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s well as children with cancer. In addition, this study is an experience study o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roughout the study, I learned that familie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cancer also ha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refore, I propose a follow-up study on the field practice of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for parents and siblings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경험한 체험의 의미와 체험된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진행하였다.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이 갖는 공통된 경험에 따라 그 현상에 대한 본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상학적 해석학 방법을 채택하고, 실습생이 무엇을 체험했는지, 어떻게 체험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체험의 본질적 요소와 구조를 찾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소아암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한 것과 그 경험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 것으로, 실습생들의 소아암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을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소아암 아동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연구는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가 포화 수집될 때까지 각 2~3회 정도 면담이 진행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의료미술치료와 아동 내담자에 대해 새로운 감정을 느낌>, <미술치료 구조설정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함>,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사로서 부족함을 느낌>, <더 나은 미술치료를 위해 다양한 것들을 시도해봄>, <변화하는 아동의 모습을 통해 치료사로서 성취감을 느낌>,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해가는 나를 발견함>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른 실습지와 다르게 오픈스튜디오라는 특수한 세팅으로 소아암 아동을 만나게 되고, 예기치 않게 변화되는 치료 환경 속에 실습생은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소아암 아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통해 미술치료 치유의 힘을 경험할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소아암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이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함을 느끼게 된다.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 전공 영역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소아암 아동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겪는 경험을 각 개인의 진술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없는 내담자 그룹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역할과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의료미술치료 영역에서 소아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가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진술을 통해 소아암 미술치료 실습을 앞둔 석사과정 실습생에게 현장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미술치료의 내담자는 대부분 13세 미만의 아동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후속 연구를 위해 13세 미만의 소아암 아동뿐만 아니라 소아암 청소년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진행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연구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이다. 연구를 진행하며 소아암 아동을 돌보는 가족들도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소아암 환자의 부모와 형제들에 대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815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how does work experience of hospice art therapy mean to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and what meaning this experience has, which is to explore the nature of experienced phenomenon. Based on common experience that people have on working for art therapy in hospice ward, I adopted phenomenological metho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and to find out what the students experience, how they experience it in detail, and to check the essential factor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k experience of hospice art therapy of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and to make use of it as material to better understand work experience of hospice art therapy. The issues from this study is “How is the work experience of hospice art therapy of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and what is its meaning and nature?”. For this study, 7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were selected, and they all had work experience in hospice art therapy. 1:1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rom March 2019 to May 2019, and the data was collected with 1~2 interviews until the data was much enough to use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analytical phenomenology method of Max van Manen, and 6 essential themes and 16 sub-themes were drawn. They are as follows: ‘Scared and terrified facing hospice patients and witnessing their death for the first time’, ‘Felt hopeless and frustrated dealing with hospice patients’parting through art therapy’, ‘Tried to overcome the fearful environment of hospice unit’, ‘Felt proud and worth while endeavoring to bring back and dwell on the trace of life of hospice patients’, ‘Was a precious experience made me love my life more through leading art therapy session with hospice patients’, ‘Realized the true meaning of therapy by providing art therapy session to hospice patients as a traine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draw a conclusion for the work experience for hospice art therapy of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as follows: Firstly,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meet patients who’re waiting for death and feel powerlessness and uncertainty because of the environment with different mood. Secondly,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can watch change in Hospice patients’ lives, and art therapy can help the patients to accept death. Thirdly,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can feel change in their value through art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Fourthly,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can find the meaning from hospice art therapy as a student. Therefore,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art therapy as follows: Firstly, it’s meaningful that students who prepare for hospice art therapy can have real and practical information. Secondly, as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face art as media in the workplace of hospice art therapy and experience expressing the art with words, it is expected to provide materials for informing specificity of art in art therapy and necessity of the hospice related theory study. Thirdly, it is helpful for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to write down their work experience. Lastly, for future researches, I suggest a various type of studies not only regarding diverse types of hospice, such as advisory, inpatient, and home care, but also studies like a study of Master candidate who conducted art therapy to hospice patient’s family and another Master candidate’s study about conducting art therapy to medical staffs in hospice unit. Also, since this study did not differentiate the roles of trainees, I suggest future studies which fix the roles of trainees as main and assist.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이 어떠했는지, 그들이 생생하게 경험한 그 체험의 의미를 탐구하고, 체험된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진행하였다. 호스피스 병동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이 가지는 공통된 경험에 의거하여 그 현상에 대한 본질을 알아보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을 채택하고, 실습생들이 무엇을 체험했는지, 어떻게 체험했는지 가능한 상세하게 기술하고 체험의 본질적 요소와 구조를 찾아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한 것과 그 경험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실습생들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 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7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1~2회의 면담으로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처음으로 호스피스 환자를 마주하고 죽음을 바라보게 되면서 두렵고 무서움>, <미술치료를 통해 호스피스 환자들의 이별을 다루면서 막막하고 허탈함을 느낌>, <호스피스 환경이 주는 두려움을 이겨내고 극복해 나가기 위해 노력함>, <호스피 스 환자가 살아온 흔적을 되살리고 곱씹을 수 있도록 애쓰며 뿌듯함과 보람을 느낌>, <죽음을 마주한 호스피스 환자와의 미술치료를 통해 삶을 더욱 사랑하게 되는 귀한 경험을 하게 됨>, <미술치료 실습생으로서 호스피스 미술치료를 통해 진정한 치료의 의미를 깨달음>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른 실습지와는 다르게 죽음의 바로 앞에 있는 환자들을 만나게 되고, 다른 실습지와는 다른 분위기에 무력감과 괴리감을 느낀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미술치료를 통해 호스피스 환자들이 변화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미술치료가 환자의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호스피스 환자와의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가치관이 변화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넷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호스피스 미술치료가 실습생으로서 그들에게 주는 의미를 발견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가 미술치료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앞둔 실습생들에게 실제적인 생생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미술치료 실습현장에서 미술을 매개체로 만나고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체험 하면서, 미술치료에서 미술이 가지는 특수성과 호스피스 관련 이론 연구의 필요성을 알리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현장실습에서 겪는 체험들을 글로 풀어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자문형, 입원형, 가정형 호스피스와 같은 다양한 유형뿐만 아니라, 호스피스 환자의 가족에게 미술치료를 실시한 석사과정생의 연구, 호스피스 의료진에게 미술치료를 실시한 석사과정생의 연구와 같은 다양한 유 형의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연구의 참여자는 실습생 역할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의 역할이 주, 보조로 고정이 되어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여성 암 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김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815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hands-on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the site of group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through their vivid stories. To this e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what the significance and essence of the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experience from the on-site training of group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is, to provide necessary prior knowledge to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who will have on-site training of group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based on this, and to help them grow into professional therapists.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paper are “how the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on-site training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is, and what is the significance and essence of it?”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is the analytical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of Max van Manen.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with on-site training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which were done from September 2020 to November 2020. As an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VID-19 became preval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safely through video confer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6 essential topics and 16 sub-topics were derived. The 6 essential topics are as follows. <Reflection of one’s family through the female cancer patients>, <facing unpredictable variables of the medical art therapy environment>, <difficulty reaching out to female cancer patients due to cautiousness>, <recharge through supervision>, <discovering the therapeutic power of art therapy only possible in a group of female cancer patients>, and <rather receiving a heart-warming present through group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on the on-site training experience of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in group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drawn by the integration of such results, writing and the various data of analytical phenomenology is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face unpredictable variables within the medical art therapy environment, thereby experiencing regret and fear. Second,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y in reaching out to female cancer patients. Nevertheless, they resolve their problems through supervision and earn the strength to go forward. Third,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discover the therapeutic power of art therapy through female cancer patients and rather gain happiness and therapy together with them.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d in-depth the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on-site training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ighten the understanding of on-site training by providing the Art Therapy Master’s students who will encounter female cancer patients on-site with practical information that is understandable from their points of view, and help provide art therapy of higher quality to patients. Finally,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 subsequent study on the Master’s students’ on-site training of group art therapy conducted with the practical training subjects subdivided into groups of single and married female cancer patients is recommended. Second, a subsequent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on-site training of Master’s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not of group art therapy but individual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s and thereby can deeply understand and face female cancer patients is recommended. 본 연구는 여성 암 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무엇을 경험하고 느꼈는지, 그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체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경험한 여성 암 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토대로 앞으로 여성 암 환자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가게 될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들에게 필요한 사전지식을 제공하고, 그들이 전문적인 치료사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여성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며.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암 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2020년 9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이루어졌다. 코로나19과 같은 전염 가능한 질병이 유행함에 따라 안전하게 화상회의를 통해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으며, 그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여성 암 환자를 통해 나의 가족을 생각하게 됨>, <의료미술치료 환경에서의 예측하기 힘든 변수와 마주함>, <조심스러운 마음에 여성 암 환자들에게 쉽게 다가가지 못함>, <슈퍼비전을 통해 재충전함>, <여성 암 환자 집단에서만 가능한 미술치료의 치유적 힘을 발견함>, <여성 암 환자들과의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도리어 마음의 선물을 받음>. 이와 같은 결과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양한 해석학적 현상학 자료들을 통합하여 내린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여성 암 환자를 위한 현장실습 체험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의료미술치료 안에서 예측하기 힘든 다양한 변수와 마주하며 그로 인해 안타까운 마음과 두려움을 경험한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여성 암 환자들에게 쉽게 다가가지 못하고 어려움을 느끼지만 슈퍼비전을 통해 고민을 해소하고 막막했던 고민거리를 해소하며 다시 나아갈 힘을 얻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여성 암 환자들을 통하여 미술치료의 치유적인 힘을 발견하고, 도리어 그들과 함께 행복과 치유를 얻는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여성 암 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의 체험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하고 그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여성 암 환자를 만나게 될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에게 그들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환자들에게는 더 질 높은 미술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 대상자 집단을 미혼 여성 암 환자와 기혼 여성 암 환자를 세분화하여 진행된 석사과정생의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아닌 여성 암 환자 개인을 깊이 이해하고 대면할 수 있는 여성 암 환자를 위한 개인미술치료를 경험한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에 대해 탐구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 연구

        조예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81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ay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ve conducted non-face-to-face art therapy, describe the experiences through full ‘contemplation’ and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ve to provide non-face-to-face art therapy. it also aim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such experiences. Also, based on this, there will be explorations of specific factors that must be dealt on the very site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which is likely to continue in the future. Also, the aptitudes of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ill be explored. This important study will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the growth of art therapists and make a base for non-face-to-face art therapy.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hat are th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nd what ar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such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subject to in-depth interviews of this study are master’s degree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art therapy in Korea’s graduate schools and include 8 subjects who have experiences with non-face-to-face art therapy. One-to-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March and April, 2021 and data were collected until they were satur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ased on hermeneutic phenomenology of Max van Manen. Eight essential subjects and 23 sub-themes were used to derive the results, which are as follows: <The trainees doubted therapy effects and were worried about technological issues.>, <It was not very difficult to apply technological approaches after treatment unlike the previous worrie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made engagement more difficult due to online screen communication than face-to-face therapy.>, <The trainees had to face the emotions which could not be understood based on the exist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and were exhausted.>, <The trainees understood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The trainees could adapt to non-face-to-face art therapy and realized indirect ways of communication.>, <The trainees felt that it was necessary to make a structure of therapy environments where face-to-face communication would be unavailable.>, and, <The trainees contemplated a therapist’s paradigm who was in an environment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as a course to become a therapist.> Based on the results, writings, and diverse phenomenological data collected by the author were combined to conclude the onsit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ster’s trainees majoring in art therapy are lacking in non-face-to-face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and find it difficult to put into practice. Second, master’s trainees majoring in art therapy experiences expansion of universal recognition of art therapy by supplementing the factors not satisfied in any face-to-face conditions, develop the strengths of non-face-to-face environments and experience the expansion of universal recognition on art therapy. Third,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explore their own inner sides through non-face-to-face art therapy and contemplate the paradigm of therapists. The conclusions help and contribute to master’s students as follow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reduce unforseen accidents on the sites by exploring the essential meanings provided in vivid language of the onsite trainees and providing information that realistically helps with onsite projects. Also, it will help the trainees to inspect their capacity and provide high-quality art therapy based on their various experiences earned while conducting non-face-to-face art therapy. Finally,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id not consider the diversity of non-face-to-face approaches. Second, this study’s main coverage was the experiences of female participants aged 20~40. 본 연구는 비대면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 치료학 석사과정생들의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충만한 ‘사려’ 과정을 통해 체험을 기술하고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으로 미술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 치료학 석사과정생들이 어떤 체험을 하고 있는지, 그 체험의 의미에 대한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추후 지속될 가능성이 큰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에서 다루어야 하는 구체적인 요소와 미술 치료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의 자질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는 미술치료사의 성장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비대면 미술치료의 바탕을 만드는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심층 면담 대상자인 연구 참여자는 국내 대학원 미술 치료학을 전공한 석사생이며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8명으로 구성되었다.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어 자료가 포화할 때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했으며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로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실습생들은 사전에 치료효과를 의심하고 기술적으로 문제를 걱정함>, <치료 실행 후 우려했던 것보다 기술적인 부분을 활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음>, <대면 치료보다 화면으로 소통하며 개입이 쉽지 않아 난항을 겪음>, <기존의 지식과 경험으로 이해할 수 없는 감정을 마주하며 소진됨>, <비대면 미술치료의 환경적 특성으로 난항을 이해하게 됨>, <비로소 비대면 미술치료 방식에 적응하고 간접적인 소통방식을 깨닫기 시작함>, <직접 대면하지 못하는 치료환경의 구조화가 필요함을 느낌>, <치료사가 되기 위한 과정으로서 비대면 미술치료 환경에 있는 치료사의 패러다임에 대해 고민함>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채로운 현상학적 자료들을 취합하여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비대면에 대한 경험과 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실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둘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대면에서 충족할 수 없는 요소를 보완하고 비대면만의 장점을 살려 미술치료에 대한 보편적 인식의 확장을 경험한다. 셋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며 치료사의 패러다임에 대해 고민한다. 이처럼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들에게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나간 실습생들의 생생한 언어로 본질적인 의미를 밝힘으로써 실습생들에게 실제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우여곡절을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습생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미술치료를 시행하며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 체험을 통해 자신의 역량에 대해 점검하며 질 높은 미술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비대면 방식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는 대부분 20~40대의 여성 참여자들의 체험 경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이수빈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508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by focusing on how they experience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improving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for field practice for graduate students, institution officials, and people related to group art therapy with children with ASD.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the file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 through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it?“ For collecting research data, the in-depth one-on-one interviews of 8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d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practice for children with ASD were conducted from July 2019 to September 2019. Thereafter,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until they reached a saturation poi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as 7 essential themes and 18 sub-themes. The 7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Struggling and confused by not being able to approach the world of children, Trying various things to understand the world of each child as an individual, Facing my prejudice and mistakes that I would not know if not experienced, Finding clues to communicate with children’s minds, Amazed and joyful by sensing changes of children and me with keeping pace with them, Becoming a bridge to promote communication for children in a group, The fact that I and children have met here now through art therapy comes to us in a meaningful way. Based on those themes, the existential survey of experiences and writ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in this study that aim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n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meets children with ASD in the context of group art therapy feel embarrassed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about the subject. Seco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re confused about art therapy, questioning their identity as therapists in an environment of group therapy where each therapist takes care of one child, but try to understand each child as an individual. Thir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feel the necessity of deeper study to get to know children who are different from themselves. And in the process of doing so, they find a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each child. Four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feel their preconceptions clearly in the process of practice and face emotions such as shame and sorriness, and experience an expanding view of communication and art therapy. Fif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re greatly surprised by the changes resulting from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feel more rewarded to the children who are developing. Six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learn that their role as a facilitator of a group is important, and while constantly promoting communication, they are thrilled to see children trying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group first. Seven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realize that it is meaningful that the children and themselves, who have been strangers to each other, have met here now through art therapy while looking back on their experiences in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is academically meaningful and contributable in that it is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lso, it help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ield practice and reducing trial and error for graduate students who meet children with ASD through group art therapy in the field by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를 진단받은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현상실습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에 집중하고 그 경험을 생생히 밝혀 그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ASD를 진단받은 아동이 참여하는 집단미술치료 실습을 준비하는 석사과정생들과 기관 관계자들에게 실습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준비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ASD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갖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자료 수집 단계에서 ASD가 있는 아동이 참여한 집단미술치료 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8명을 일대일로 심층 면담하였으며, 이는 2019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이후 경우에 따라 추가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7개의 본질적 주제와 18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7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세상에 다가가지 못하고 어찌할 바를 모름>, <아동 각 개인의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를 해봄>, <경험이 아니면 몰랐을 나의 편견과 실수를 마주치게 됨>, <아동의 마음과 소통하는 실마리를 찾음>, <함께 발맞추어가며 느껴지는 아동과 나의 변화가 놀랍고 즐거움>, <집단 속 아동들의 소통을 촉진하는 다리가 되어줌>, <미술치료를 통해 나와 아동이 지금 여기에서 만난 것, 그 자체가 의미로 다가옴>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양한 현상학적 자료들을 통합하여 내린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ASD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공부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ASD가 있는 아동을 집단미술치료라는 환경에서 만나며 대상에 대한 이해와 경험에 부족함을 느끼고 당황스러워한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집단치료지만 치료사가 각자 한 아동을 일대일로 맡는 환경에서 치료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의문을 갖고 미술치료에 대한 혼란을 겪지만, 아동 각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한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자신과 다른 아동들을 알아가기 위해 더 깊은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각 아동에게 맞는 소통법을 발견한다. 넷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실습 전부터 막연히 갖고 있던 자신의 선입견을 실습 과정에서 뚜렷하게 느끼고 부끄러움과 미안함 같은 감정을 마주하게 되며, 소통과 미술치료에 대해 좁았던 시선이 확장되는 경험을 한다. 다섯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대상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변화를 크게 놀라워하고 발전하는 아동에게 더 큰 보람을 느낀다. 여섯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집단의 촉진자로서 자신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게 되고, 지속적으로 소통을 촉진하던 중 아동이 집단 속 타인에게 먼저 소통을 시도하는 것을 보고 감격스러워한다. 일곱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ASD가 있는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실습 경험을 돌아보면서 서로 낯선 존재였던 아동과 자신이 미술치료를 통해 지금 여기에서 만난 것 자체가 의미임을 깨닫는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ASD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그 본질과 의미를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ASD가 있는 아동을 접하는 석사과정생들에게 실천적 정보를 제공하여 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