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교육적 관점에서 본 축제 활용방안 연구 : 대관령 눈꽃축제와 서울 빛축제를 중심으로

        유재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평생학습사회로의 이행으로 그 어느 때보다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생활 속에서 미적 가치를 인식하는 문화 향유자로서의 역량 강화 방안을 주목하고 있다. 축제는 사회적, 문화적, 인적 교류의 장으로서 새로운 공간에서 불특정 다수와 소통하는 풍부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므로 미적 체험의 환경으로 적합하며 또한 지역사회를 알고 문화를 이해하는데 훌륭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 축제가 지닌 이러한 교육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미술교육적 관점에서 축제를 활용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미적 인식능력 강화와 생활 속의 체험공간으로서 축제의 활용 성을 염두에 두고 삶과 연계된 미술교육의 활성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으로는 현대사회에서 축제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문헌고찰 및 선행 연구를 통해 축제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축제의 미술교육적 의의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도출하였다. 관련 이론적 근거로는 존 듀이(J.Dewey)의 경험론적 인식론과 구성주의 교육이론 그리고 미적 체험을 중심으로 전개하였으며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축제에서의 현장체험을 통한 미술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미술 프로그램은 축제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학습자가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 성 측면과 미술과 수업에서 동기유발 및 사전 학습으로서의 축제 활용 성 측면의 두 가지로 나누어 ‘대관령 눈꽃축제’와 ‘서울 빛 축제’에 각각 적용해 보았다. 그 중 대관령 눈꽃축제에서의 미술 프로그램은 ‘큐브드로잉’과 ‘이글루 만들기’의 두 가지 형태로 실행하였으며 서울 빛축제 에 기획되어 있었던 ‘남극체험 및 전시’ 프로그램은 미술과 캐릭터디자인 수업의 사전학습으로 전개되었다. 프로그램의 분석은 설문을 통한 체험자 분석과 본 연구자가 현장에서 체험자의 활동을 관찰한 분석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미술교육적 관점에서 축제 활용방안에 관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의 교육적 활용은 학교라는 공간에서 더 확장된 평생학습사회의 개념으로서 의의가 있다. 축제에서의 경험을 통한 미적 인식의 확장은 학습자에게 미술 향유자로서의 역량을 강화시켜줄 수 있으며 이는 포스트 모던시대에 미술교육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과 일치한다. 둘째, 축제에서의 미술체험 프로그램은 축제의 현장감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관람객과 축제와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이는 경험을 통한 유의미한 학습으로서 통합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미술과 사전학습으로서 축제의 활용은 신선한 동기부여로 작용하여 학습자들의 표현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본시 미술수업에 대한 기대 및 만족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넷째, 교육 관련 전문가와 축제 기획자는 지역의 지리적 환경과 역사, 문화적 현상을 총체적으로 반영하는 축제의 교육적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또한 축제 기획에 있어서도 성인과 더불어 어린 학생들도 축제를 건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나의 교육적 지침서로서 축제의 기획을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축제를 통해 생성된 학습자들의 풍부한 경험이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맥락 안에서 의미 있게 수용되기를 바라며 이에 앞으로도 미술교육적 관점에서 축제를 활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s to strengthen the capacities as culture-entertainers reflecting the temporal trend in which the interest in enhancing quality of life is higher than any other times due to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transition to the society of continuing education. A festival is the place for social, cultural and human interchanges which provides rich and meaningful experiences to communicate with many and unspecified individuals in a new space. Thus, it is suitable for artistic experience and can be used as a field of education to understand the local community and its culture. In spite of these educational elements of a festival,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which the festival is used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to revitalize art education closely linked to life keeping in mind the usability of festivals as the place to strengthen the learner's artistic perceptional ability and to experience art in everyday life. With respect to the study subjects and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values of festivals by reviewing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festivals in modern societ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and derived out the theoretical basis to support th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As the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the empirical epistemology and constructivism-based education theory of John Dewey and aesthetic experienc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ducational process. Based on these, this study made attempts to design, implement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an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field experiences in festivals. The art program was divided into two aspect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at the learners may gain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n the festival field; motivation in art class and usability of the festival as a pre-learning. These two aspects were applied to 'Daegwanryong Snow Festival' and 'Seoul Lights Festival'. Among the two, the art program in 'Daegwanryeong Snow Festival' was implemented in two forms: 'Cube Drawing' and 'Making igloo'. The 'Experience & Exhibition of South Pole' program planned for 'Seoul Lights Festival' was implemented as a pre-learning for art and character design class. The analysis of the programs consisted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rs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of the experiencer's activities. Based on these study procedures and results, the derived conclusions regarding the methods to use the festival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ication of the educational use of festivals can be found in the concept of the society of continuing education that extends the space of school. The expansion of aesthetic awareness through the experiences in festivals can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learners as an art entertainer, which is parallel with the direction that the art education under post-modernism era is oriented toward. Second, the art experience program in festivals can not only maximize the sense of field but also facilitate close interactions between the audiences and festival, which is meaningful learning that allows integrated learning through experiences. Third, the use of festivals as art study and pre-learning functions as fresh motivation to enhance the expression desires from the learners, which is highly likely to lead to expecta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art class. Fourth, the educational experts and festival plann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roles in festivals that represent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history and cultural phenomenon in the local community. They have to also consider in planning a festival that it can be an educational guideline for the young students as well as the adults to be able to enjoy.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the learner's rich experiences from the festivals as examined in this study can be accepted meaningfully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and accordingly the research on the programs using festival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continues in the future.

      • 환경보호 미술교육에서의 통합적 접근방법에 대한 실태 연구 : 서울시 중학교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김한나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83

        오늘날의 환경문제는 이미 사회적, 국가적, 세계적인 고찰을 필요로 하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교육적 차원에서 환경문제는 그 중요성에 비해 가볍게 다루어지거나 아예 지도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환경교과가 선택과목으로 선정되어 있고 이에 많은 학교에서 환경교과를 선택하지 않는 데 따른 문제점이다. 이에 환경교과에서는 여러 교과 내에서 통합 수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대안으로 내놓고 있으며 미술교과에서도 이를 적용할 역할과 책임이 있다. 중학교 미술 교육에서 환경에 관한 내용은 주로 미적 체험과 표현 영역에 국한되어 다루어져 왔으며, 환경문제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자연미에 대한 미적 체험과 자연미를 표현 영역에 응용하는 것으로 환경을 미술에 포함시켰다. 이에 환경이 갖는 아름다움의 인식은 가질 수 있으나 현대에 와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환경문제에는 소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교과에서 환경교과와의 효율적인 통합수업을 이루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서울시 중학교 교사들의 수업 실태를 살펴보고 현대의 환경문제 해결에 적합한 통합수업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미술교과와 환경교과의 통합 수업이 서울시 중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계점과 현황을 알아보고 서울시 중학교 교사들의 통합수업에 대한 인식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환경미술과 환경보호미술로 기존의 환경관련 미술수업과 연구자가 표방하는 환경관련 미술수업을 정의하고 이에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자연환경 및 대지를 이용한 환경관련 미술을 ‘환경미술’ 로 정의하였는데 이는 환경문제 해결에 보다 초점을 둔 ‘환경보호미술’과 차이를 두기 위해서이다. 환경보호미술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깨닫게 하거나 미술 과에서 벗어나 대지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대지미술계의 여러 환경미술과는 달리 환경문제 해결에 목적을 두는 다소 캠페인과 같은 미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환경미술과 환경보호미술은 목적과 주제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보호미술을 미술교육에서 다루고자 할 때 효과적인 교육방법은 통합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환경보호미술 자체가 가지고 있는 환경교과의 비중이 크기 때문이며 환경보호미술 수업을 진행할 때 장기간의 프로젝트 수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미술교과와 환경교과 외에도 다른 필요한 여러 교과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환경보호미술교육의 사례로 든 경우를 보면 통합교육에 의한 체험학습 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환경문제를 체득하고 이를 미술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헌들을 토대로 적합한 통합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자연환경이 부족한 서울시에서 교사들이 적합한 통합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보았을 때, 미술교과에서 환경교과와의 통합수업인 환경보호미술교육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 제언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의 부족한 자연환경을 대체하기 위해 먼저 교사들의 교수방법이 통합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둘째, 미술교과와 다른 교과와의 효과적인 통합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와 교사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셋째, 미술교과에서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합수업 모형의 개발을 위해 직무연수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 지역아동센터의 사회적 배려대상 아동의 미술교육 현황 : 과천시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영미 국민대학교 교욱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미술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전제로, 현재 정부와 민간단체에서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미술교육의 실제를 고찰함으로서 앞으로 지역아동센터 내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자료 수집을 토대로 아동미술교육의 중요성과 복지교육으로서의 지역아동센터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지역아동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교육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현지조사와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병행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과천시내에 소재한 5개의 지역아동센터 중에서 미술교육을 활발하게 제공하는 3개소의 지역아동센터를 기반으로 먼저, 현장 관계자 및 강사들과의 직접 면담을 통해 지역아동 센터 내의 미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다음 단계로 센터 내에서 미술교육을 받고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수업참관을 통하여 그들의 요구와 만족도를 고찰함으로서 지역아동센터 내 미술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빈곤계층의 아동들은 태어날 때부터 무언가 항상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사실 태어나면서부터 거의 항상 무언가 결핍된 상황이나 여건에 놓이게 되고, 어려서부터 그것에 익숙해져서 일반가정의 아동들이 향유하는 미술 문화적 경험들의 혜택을 많이 받지 못하고 있는 그들에게는 무료로 제공하는 국가의 여러 가지 혜택이 고마울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 배려 아동이라고 해서 간단하게 축약된,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기만 한 프로그램 또는 커리큘럼을 제공받아서는 안 된다. 무료수업이기에, 국가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아무런 경제적 이익이 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 비용적으로만 가장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 사회적 배려아동들은 일반아동들이 미술 문화적 경험을 통해 가치를 배울 때, 혼자서 텔레비전을 보거나 컴퓨터 게임을 하는 등의 비생산적이고 비교육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아동복지센터는 이들의 미술문화적 경험을 일반 아동과 동급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미술프로그램 또한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전문적인 교사가 우리나라의 실정과 지역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현재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개발하고 아동들에게 제공하길 바란다.

      • ‘의미 만들기’에 초점을 둔 미술 진로 탐색 : 인터비주얼 과정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정지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34383

        Students in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live in diverse and complex visual cultures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Therefore, interest and interest in visual culture is high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se students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various cultural meanings of visual imag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ractical approach to explore career paths through art education that students discover and construct the meaning of visual culture themselves. To do this, the researcher designed an artistic lesson that uses the intervisual process to explore the learners' career paths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their surroundings. In this class, And the results of how learners constructed their own meaning by making works for searching for a career as well as their contextual meanings. I looked for what it means to the learner himself and his career, and made it a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 's work through the intervisual process, And to what extent it is composed. For this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t the H Welfare Center, Seocho - gu, Seoul, and the 4th class was held from October 020 to November 19, 2017. Through the pre - interview, the learner 's learner was able to select the visual culture by themselves and to find out the meaning of it. Through the post interview, the meaning of the visual culture and the career search was analyzed by the learner. The course search with the intervisual course helped the learner to understand various meanings of the visu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ing the planning of his own career and the preparation of his career. In other words, based on the result visual culture understanding, learner 's self - understanding improved, It gave happiness and healing to learners due to the meaning given to visual culture appreciation and production in contex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confident about the career direction and helped to prepare for the career actively. Therefore, it is a meaningful way to learn art teaching as a process of preparation for a career for a learner. These achievements can be utilized for the free school term and career search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can help students who are worried about career paths connected with other fields.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학생들은 각종 매체의 발달로 다양하고 복잡한 시각문화 속에 살고 있다. 따라서 시각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은 이들 학생들에게 시각 이미지의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문화에 대한 의미를 학생 스스로 발견하고 구성하는 미술교육을 통해 진로를 탐색하는 실제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인터비주얼 과정(intervisual process)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과 주변 상황을 바탕으로 미술 진로 탐색을 해보는 작품 제작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 수업에서 학습자는 스스로 선택한 시각문화를 감상한 후에 그 맥락적 의미와 아울러 진로 탐색을 위한 작품 제작을 함으로써 학습자가 어떻게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였는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습자 자신 및 자신의 진로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찾아보고, 그것을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비주얼 과정을 통해 학생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시각문화 감상과 진로 탐색을 위한 제작 활동이 학습자에게 어떤 의미로 구성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서초구 H 복지 센터에서 중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2017년 10월 20일부터 11월 19일까지 4차 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 인터뷰을 통해 학습자 학습자로 하여금 시각문화를 스스로 선정하고 그 의미를 찾아보게 하였고, 사후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에게 시각문화와 진로탐색이 어떤 의미로 작용하였는지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비주얼 과정을 적용한 미술 진로 탐색 수업은 학습자가 시각문화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주체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진로를 준비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시각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자기 이해가 향상되었으며, 자신의 개인적 맥락 안에서 시각문화 감상과 제작에 부여하는 의미로 인해 학습자에게 행복과 치유를 주었다. 또한, 미술 진로 방향에 대한 확신을 하고 능동적으로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의미 만들기에 초점을 둔 진로 탐색 인터비주얼 과정은 학습자에게 진로를 준비하는 과정으로써 매우 의미 있는 미술 교수학습 방법이다. 이러한 성과들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중학교의 자유학기제와 미술 진로 탐색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타 분야와 연계된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미술감상수업과 세계사교과의 통합교육 지도방안 연구

        이수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83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교육과정 통합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전통적인 분과 위주의 교육에서 각 교과의 특성을 살리며 교과끼리 중복되는 내용을 한 수업시간에 같이 엮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수업이 통합수업이다. 각 과목들은 서로에게 좋은 참고 자료가 되며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더욱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즉, 통합교육은 필수적인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중복되는 내용을 최소화 하며, 시간적, 공간적, 내용영역에 있어 각각 다른 학습 경험들을 상호 관련, 통합하여 전체로서의 학습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전인적인 인간상으로 발달, 변화 하게 하는 교육과정을 말한다. 통합수업으로 이루어지는 미술감상 수업은 미술교과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교과의 활용자료로, 혹은 다른 교과를 미술교과의 자료로 활용하게 되면서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에게 본질적인 경험과 인식을 제공하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미술과에서 미술감상은 감성과 지각을 통하여 미술작품의 가치를 느끼고 이해하는 내면화의 과정이며 인간의 지성과 감성이 함께 반영되는 통합적 활동이다. 미술교육에서 감상수업은 참다운 인격형성과 조화로운 정서생활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그 중요성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미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미술작품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상교육은 필수적이다. 세계사 교과의 역사교육은 미술이 학습 자료의 한 부분으로 제시되면서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역사적 사고력 및 태도를 기를 수 있게 한다. 미술과와 세계사 두 교과는 창의적인 사고력의 확산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교과를 통합하여 중복학습을 피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며, 좀 더 이해를 도울 수 있다고 보고, 미술의 감상 교육을 세계사 교과와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통합 교육과 감상교육, 미술교과와 세계사교과에 대한 이해를 구했으며 미술교과와 세계사교과의 통합 관련성 및 통합적 접근 방법을 구하였다. 범위는 ‘시민혁명과 나폴레옹 시대’로 제한하여 세계사에 나오는 역사적 사건에 따른 회화작품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제 7차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기준으로 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했으며 이에 부합한 미술 감상 분석지를 유형1과 유형2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통합적 수업방안을 통해 기대되는 학습효과와 개선점 등을 찾을 수 있었으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역사에 대한 폭 넓은 연계적 이해를 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줄 수 있다. 셋째, 교과의 반복을 피하여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미술감상에서 다루어지는 회화작품의 이해뿐만 아니라 타 교과, 즉 세계사교과의 학습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를 통해 통합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각 교과의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면서 관련 있는 내용을 통합하여 기존의 관념이나 교과에 얽매이지 않는 융통성 있는 교육을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폭 넓은 이해에 기여함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시대의 숨결이 고스란히 베어있는 미술작품을 감상함에 있어 어떻게 하면 보다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이를 역사의 이해에 어떤 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입시위주의 수업으로 미술수업은 소외되고 있다. 미술교과가 입시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쓸모없는 교과가 아닌 인문학적인 사고체계와 양식을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더욱더 개발되기 위해서는 미술교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적 접근이 적극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발전시키기 위한 보다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점토와 스컬피 비교를 통해 본 입체표현학습에 관한 만족도 연구 : 예술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노성운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34383

        1stgradestudentsfromanArtsHighSchoolsculptureclasswithamultifariousexpressionmedium,engageinthree-dimensionalstructure activity expressions. Among those, the most commonly used medium is the clay. Clay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dium in sculpture learning to be utiliz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for a long time. Especially, in sculpture department’s practical evaluations at Art colleges, for its routinely use, the adept handling of clay has taken up great importance ergo, the students engage in a mélange of practices, handling clay during sculpture courses. Nevertheless, conducting an art class based only on clay had its hardships. The before and after class stages, working with clay, would take up much time, and further rearrangements of the work would require, excessive amounts of work and effort and not to mention the deadlock of storing it afterwards. In other words, it’s inappropriate for the on-site classes. Since the clay is being regularly used for practical examinations from the sculpture department in Art Colleges, in most cases, the Art High School’s sculpture classes are fixated in mastering the techniques that would eventually match the above-mentioned examination. Subsequently, the latter would only mean that the genuine purpose of sculpture education is becoming rather vague, especially with the overheated competi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present study, with the aim to improve these shortcomings, embarked in finding these art high school’s sculpture classes’ a new medium to replace the clay on its usefulness in 3D art expression practices. To illustrate,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application of sculpies, could eventually complement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using clay. To conduct the experimental process of the study, we had targeted as our study subjects, a total of 82 students from an Arts High School located in Gyonggido. The allocation of 20 students into four different groups, handling both the clay and sculpey, while producing an art piece under the same theme for six weeks. Students’ satisfaction quotas were compared in relation to factors such as, curriculum, learning process and the educational outcome from surveys and interview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interviews and surveys, it was discover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sculpey was much higher than the clay’s, within the range of the sub-elements, such as plasticity, adherence, flexibility, pot time and recyclability. For molding element’s sub-elements, the concept of work, usage of tools, manufacturing time, class preparation and the finishing stage, they all returned a higher satisfaction rate for the sculpey. Also for the educational result’s sub-elements,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he physical properties, activation of tactile senses, modeling sense of achievement, understanding of the major, and exploration of the major, showed higher satisfaction rate returns for sculpey. A scanty amount of students demanded the increase in classes centered in preparing them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yet most, believed the usage of sculpey, contributed for ameliorating their understanding of sculptures and also offered an academic nourishment. Second, analyzing what stemmed from the work process, the art pieces showed that when using sculpey as a medium, resulted in works that had a higher degree of completion as well as higher diversity. The class that was conducted for the study, was taken from the 2014 sculpture depart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s admission test, themed: “Les Paroles des Thich Nhat Hanh~ The words of Thich Nhat Hanh”. The students could elaborate in art, a variety of expression after reading the words to create art pieces. The pieces that were created with sculpey, returned higher quotas for the molding element’s sub elements, spatial expression, texture expression, except for volume expression. Moreover, these sculpey based art-pieces showed higher class-preparedness, concentration, production activities, interest and commitment from the students.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we had devised how the use of sculpey had increased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field, and made the lessons more effective than clay, especially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al and temporal aspects within the dainty sculpture education field. It is imperative the sculpture classes can veer towards implementing other mediums, apart from clay, such as sculpey and others, making it indispensable for Art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ollectively develop suited curriculu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advocate for high schools to replace clay with sculpey. With the present research we were able to find, how in sculpture classes, the 3D expressions’ educational features and purpose were better created when using sculpey, returning higher satisfaction rates as well as the sense of achievement. It is important that in the near future, the Arts High School curriculum developers make reference of the findings and actively implement them, that would eventually be conduciv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major, and exploration of the major in students. Second, it is imperative in seeing the replacement of clay into sculpey in sculpture classes, not only at specialized art institutions but for ordinary high schools too. Through the use of sculpey in 3D expression practic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learning experience when tackling specific features of the medium clay, as well as the educational ones. It is important to admi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culpey as a main medium, with the sole purpose of providing an enjoyable and diverse sculpture related experiences. Third, we advocate for the use of sculpey, even on the sites of admission test preparation classes. As we speak, the most widely used medium at practical tests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of Art specialized institutions is clay, suggesting the transition from clay handling based questions into sculpey based ones. Hence, art colleges should earnestly consider having not only sculpey as a medium for academic purposes yet academic assessments. The present research, has its reservations in the emphasis placed in comparing only a specific pool of features between the two mediums, therefore, making room for uncertainties in terms of a broader scope of analysis, therefore, a greater spectrum of focus is needed for future studies. Also, the fact that only a specified pool of subjects for study, the students from a specific school, minimizing the chance to generalize the application of the obtained results. The present study had its purpose set in comparing the satisfaction rate of using clay and sculpey as mediums when engaged in the learning of 3D expression on-site field classes, enabling the de facto results. Keywords Arts High School, School of Sculpture (Sculpture education), Sculpey, clay, medium of expression, satisfaction rate. 예술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조소 시간에 다양한 표현 매체를 가지고 입체 표현활동을 한다. 그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매체는 점토이다. 점토는 조소 학습의 대표적인 매체로서 오랫동안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사용되어왔다. 특히 미술대학 조소과 입시의 실기시험에 지속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점토를 잘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중시되어 왔다. 때문에 학생들은 점토를 가지고 조소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학습활동을 한다. 하지만 점토로 미술수업을 진행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점토작업은 수업 전후의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점토의 재생작업에 많은 힘과 노력이 필요하며 점토 작품의 보관 또한 쉽지가 않기 때문에 조소 수업의 현장은 열악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점토는 미술대학 조소과 입시의 실기시험에 지속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예술 고등학교의 조소 수업에서는 입시에 초점을 맞춘 점토 기법을 답습하는 데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과열된 입시 경쟁까지 더해져 조소 교육 본연의 목적이 흐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예술 고등학교의 입체표현 학습에서 점토를 대체할 만한 새로운 매체에 대한 탐구로부터 출발하였다. 즉 스컬피를 활용한 수업이 점토 사용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보완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예술 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학생 82명이다. 20명씩 4모둠으로 나누어 6주에 걸쳐 점토와 스컬피를 가지고 동일한 작품주제로 각각의 작품을 만들어보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습내용, 학습과정, 학습결과에 대한 만족도 비교를 위해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두 매체를 사용한 학생작품을 분석하였다. 그러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학습내용에서 매체 특성의 하위요소인 가소성, 접착성, 유연성, 가사시간, 재활용성 중에서 유연성을 제외한 모든 요소에서 점토보다 스컬피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형요소의 하위 요소인 양감, 공간감, 질감 또한 스컬피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과정의 하위 요소인 작품 구상, 도구 사용, 제작 시간, 수업 준비와 마무리에서도 스컬피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결과의 하위 요소인 물성 체험, 촉각감각의 활성화, 조형적 성취감, 전공 이해, 전공탐색에서도 스컬피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몇몇 학생들은 입시 관련 수업의 증가를 요구하였지만 대다수의 학생들은 스컬피를 사용하며 조소를 이해하고 학습하는데 도움을 얻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작품 분석을 통해 점토보다 스컬피를 활용한 작품에서 다양하고 완성도 높은 표현과 결과물들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수업에서는 작품의 주제로 2014년 서울대학교 조소과 입학시험의 전공적성 실기 고사 시험문제에서 발췌한 ‘탁닉한의 글’을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글을 읽고 스컬피를 활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다채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 스컬피를 활용한 작품은 조형요소의 하위요소인 양감 표현, 공간감 표현, 질감 표현에서 양감 표현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에서 수준 높게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컬피를 활용한 작품이 학생의 수업 준비, 제작활동, 흥미와 몰입 등에서 높은 참여와 집중력을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점토 사용의 여건이 까다로운 조소 교육현장에서 물리적, 환경적, 시간적인 면에서 점토보다 스컬피를 활용한 수업이 효과적이며 학생들로 하여금 조소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점토 중심의 조소 또는 입체표현 교육과정을 스컬피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화 및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예술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발자와, 교사, 미술대학 등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말하고자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고등학교에서 점토를 대신하여 스컬피를 사용을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연구를 통하여 조소 교육에서 다루어지는 입체표현의 교육적 특징과 교육적 목적을 스컬피를 활용하여 더 만족도 높게 성취할 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향후 예술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조소전공에 대한 이해와 탐색을 하기 위한 수업계획과 과정에서 예술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자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술 고등학교뿐만이 아닌 일반 고등학교에서도 점토를 대신하여 스컬피를 사용을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스컬피를 활용한 입체표현학습을 통하여 점토 사용을 통해서만 학습하던 매체 특성과 교육적 특징을 더 만족도 높게 학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학생들이 즐겁고 다양하게 조소를 경험할 수 있도록 스컬피를 활용한 수업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입시 현장에서도 점토를 대신하여 스컬피의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 우리나라 대다수의 조소과 대학 입시 시험장에서 실기고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매체는 점토이다. 그동안 점토 사용 위주의 시험답안을 스컬피를 활용한 작품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내놓는 다양한 오브제와 함께 채색이 들어간 다채롭고 창의적인 작품들은 해당 대학을 지원한 학생의 조소에 대한 열정과 재능을 보다 더 깊이 있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해주는 좋은 답안이 되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미술대학은 이러한 스컬피를 활용한 작품의 제작과 평가방식을 적극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점토와 스컬피의 매체 비교를 위해 입체표현학습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판단이 되는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비교 분석하였기 때문에 보다 다각적인 교육의 관점에서 비교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정 지역의 한 예술 고등학교의 1학년 재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입체표현 학습에서 점토와 스컬피의 만족도를 비교하고자 학교 현장에 수업을 실행한 후에 실제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주제어(키워드, 핵심어) 예술 고등학교, 조소 교육, 입체표현학습, 스컬피, 점토, 표현매체, 만족도

      • 명화의 패러디를 활용한 수업지도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이선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83

        정보화 세계화 사회인 오늘날 지식과 정보에 대한 유일성의 개념은 사라졌고, 누구나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창조의 개념은 기존의 지식과 정보를 얼마나 잘 활용하여 재구성하는 것인가에 달려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현대미술의 대표적 표현전략인 패러디는 유일성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우리 시대의 모든 예술에 혼재해 나타나는 문화현상으로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패러디 현상은 미술뿐만 아니라 TV, 광고, 영화, 음악, 소설 등 현대사회의 문화예술 전반에서 빈번히 등장한다. 패러디는 의도적 모방을 통해 기존의 텍스트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창작 개념을 변화시키며 독창성보다 재창조에 의미를 두는 표현기법이다. 미술에서 패러디는 차용전략 중 하나로 흔히 알고 있는 우스꽝스러운 조롱조 모방이라는 좁은 의미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표현되는 예술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패러디는 포스트모던시대의 대표적 현상으로 동시대의 미술을 수용하는 미술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다양한 문화 형태에서 등장하는 패러디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용이하며 삶 속에서 미술을 체험하게 할 수 있다. 패러디 활용수업은 과거의 모더니즘적 미술수업에서 탈피하여 현대 미술교육의 요구에 부합하는 수업으로서 의미가 있다. 기존의 미술교육에서 추구하는 모더니즘적 교육형태가 동기유발, 표현, 창의성의 개념이라면 포스트모던 미술교육에서는 의미연결과 현실이해에 있다. 현대미술의 표현은 형식적이고 탈 맥락적인 사고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사회 문화적 맥락 안에서 소통을 더욱 강조한다. 미술수업에서 사회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상들은 미술표현의 주제가 될 수 있으며 사회를 표현주제로 할 경우 사회에 대한 인식력을 높이고 비평능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현대와 같이 대중 매체를 통한 많은 정보와 시각 이미지를 접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술교육은 학생들이 사회 현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하고 안목을 기를 수 있는 수업이 요구된다. 인터넷과 대중매체의 발달은 수많은 정보와 이미지는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는 미디어 속 시각이미지와 정보를 통해 왜곡된 가치관을 형성하게 한다. 우리사회의 잘못된 사회풍조 중 하나인 외모지상주의 현상은 대중매체 대중문화가 만들어낸 사회적 편견과 왜곡된 시각을 보여주고 있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미술수업에서 명화의 패러디를 활용하여 현대미술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잘못된 사회풍조 중 하나인 외모지상주의를 제재로 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사회현상에 대한 비평적 안목과 분별력을 기를 수 있는 수업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명화 패러디를 활용한 수업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패러디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서 패러디의 개념과 방법 유형, 명화를 패러디한 작품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오늘날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패러디 활용의 미술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III 장에서는 좀더 효과적인 수업과 연구실행을 위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미술수업에 대한 인식도, 패러디에 관한 인식도, 주제에 관한 관심도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여 수업방향을 재검토 하였다. Ⅳ장에서는 명화 패러디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대한 계획을 마련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V장에서는 수업 후 학생의 작품과 설문조사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명화의 패러디 활용수업을 통해 명화 속 작품의 이미지 해석과 현실의 문제와 관련지음으로써 미술의 사회적 역할과 표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패러디 수업을 통해 우리 사회의 왜곡된 외모 지상주의 현상에 대해 비판적 안목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패러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와 현대 미술에 대한 이해와 시각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 허버트 리드와 이디스 크레이머의 ‘승화(sublimation)’개념에 대한 연구 : 아동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유보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83

        현재의 교육현장은 지식의 전달과 입시 위주의 교육을 중시하고 있어, 전인적이고 창조적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공교육의 교육과정에서조차 지식의 성장을 위주로 하는 편향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교육환경에서 적절한 자아발견과 성찰을 경험하지 못한 채 성장한 아동·청소년은 감당하기 어려운 학업 양과 경쟁적인 학업 분위기 속에서 정서적 불안감, 스트레스와 함께 자존감의 하락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아동·청소년의 또래 관계나 정서 상태에 악영향을 끼쳐 자살,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과 같은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아동·청소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와 정부는 심리상담 교사와 미술치료사를 학교현장에 배치하고 여러 가지 대안적인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아동의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교육환경이 구축되지 않는다면 당면한 문제만을 수습하는 것에 그칠 뿐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자아의 발견과 내면의 성찰을 통한 정서적 안정 및 발달을 이끌 수 있는 교육 환경의 구축에 있다고 여기고, 이러한 교육환경은 아동·청소년의 일상적인 스트레스나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억압된 감정을 풀어낼 수 있는 미술 활동의 실행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이를 위해서 미술 활동이 본래 지니고 있는 ‘승화(sublimation)’가 중요한 요인이 되리라 확신하여, 승화의 개념을 아동 미술교육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승화는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 이론을 기초로 허버트 리드(Herbert Read)의 예술교육 이론과 이디스 크레이머(Edith Kramer)의 치료적 미술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두 이론은 모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승화를 교육적으로 재조명하고, 미술교육에서 미술 활동이 가지고 있는 치유적 측면을 부각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승화 개념을 바탕으로 미술 활동 속의 승화가 치료에서와 같이 치유적인 기능이 있다는 측면을 강조하여 본래 미술 자체에 내재해 있는 치유적인 힘이 미술 활동을 통해 승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견해를 취하였다. 이는 승화 과정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반항, 무기력, 위축 등의 정서적 문제를 해소하게 하고, 이 시기에 필요한 적절한 자아인식과 내면의 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고찰한 아동 미술교육에서의 승화 개념의 적용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교사의 태도적인 면과 수업지도 방향으로 나누었다. 교사의 태도적인 면에서는 첫째, 교사는 아동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교사의 자질은 아동의 감정과 표현에서 지지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포함한다. 둘째, 교사는 비지시적이며 아동의 감정표현과 조형적 표현에 간섭하거나 왜곡하지 않으면서 상황에 맞는 능동적이고 유동적인 최소의 개입을 통해 활동을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교사의 자질과 태도는 교사와 아동 간의 신뢰감을 형성하면서 아동의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도울 수 있다. 승화의 과정에서 아동이 자신의 억압된 감정을 투영해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자기표현이 가장 필수적인 출발점이다. 교사는 이러한 태도를 갖추고 승화의 경험을 돕기 위한 수업지도 방향을 설계해야 한다. 수업지도 방향으로는 첫째, 교사는 학습계획과 구조를 아동과 수업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둘째, 교사는 미술 활동을 시작하기 전 아동의 심신을 이완시켜 자기표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명상의 시간을 가진다. 셋째, 미술 활동은 과정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미술 활동과 평가에서 경쟁적인 분위기를 배제하고 아동이 작품에 얼마나 몰두하고 자기표현을 위해 노력하였는지에 대해 평가해야 한다. 이는 곧 승화에 대한 평가일 수 있는데, 아동의 미술 활동에서 승화가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평가는 사실상 객관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든 부분이다. 그러므로 승화의 평가는 작품의 결과적인 질로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승화의 평가에 필요한 아동의 몰입 정도와 자기표현의 노력은 교사와 아동 간의 발문과 담화, 아동의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승화 과정의 세 갈래 변화와 두 단계의 사고 변화를 통해 승화가 일어났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미술이 내재하고 있는 치유적 측면에 주목하고, 승화라는 개념이 아동 미술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이것은 교사들이 미술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 아동 미술 교육현장에서 아동들이 억압된 욕구와 심리적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통해 자아를 발견하고 성찰하며 스스로 성장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미술의 치유적 측면은 미술교육의 뿌리를 이루는 중심적 개념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할 것이다. 미술 활동에 내재하여있는 승화의 치유적 기능은 공교육에서 결핍된 아동 내면의 발견과 성찰을 위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치유적 미술교육은 인간소외와 자기 상실을 원인으로 하 As the current education field lays importance in knowledge delivery and focuses only on college entrance exams, ideologically biased education of mainly developing knowledge is being conducted even in the public education course, which aims to cultivate holistic and creative talented individuals.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grew up without experiencing proper self-discovery and introspection in such education environment experience emotional anxiety, stress, and low self-esteem under unbearable academic load and in a competitive academic atmosphere. It makes bad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and youth or their emotional state and causes social problems as suicide,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in group. Schools and the government are assigning psychology counseling teachers and art therapists in school and presenting various alternative policies to resolve such problems of adolescents and youth, but it will just stop at resolving the problems at hand and insufficient to solve the problem fundamentally i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pay attention on inner voice of children is not constructed. Therefore, considering that the fundamental solution for problems of adolescents and youth is in construct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generate emotional stability and development through self-discovery and inner introspection, this study considered such educational environment to be a way of resolving everyday stress or suppressed feelings that adolescents and youth find difficult to resolve on their own through art activity. Also, as 'sublimation' of art activity is convinc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is study suggested to apply the concept of sublimation in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investigated sublimation around art education theory of Herbert Read and therapeutic art education theory of Edith Kramer based on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Sigmund Freud. The two theories shed new light on the sublimation for educational purpose based on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Freud, and gave prominence to the therapeutic aspect of art activities in art education. This study took the view that healing properties in art itself can generate sublimation through art activity by emphasizing that sublimation in art activity has therapeutic function as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ir sublimation concept. In other words, the sublimation process can resolve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and youth as defiance, lethargy, and emotional withdrawal, and can realize proper self-perception and inner introspection that are much needed in this period. This study classified the application method of sublimation concept in children's art education into two large categories of attitudinal side and instructional method of teachers. First, for attitudinal side of teachers, they need to understand and embrace children. Such quality of teachers includes supportive and receptive attitude towards emotion and expression of children. Secondly, teachers need to be indirective, should not interfere or distort emotional expression and formative expression of children, and need to promote activities through appropriate active and flexible games. The quality and attitude of teachers can establish a sense of trust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and help free self-expression of children. Free self-expression is the most essential starting point for children to project their suppressed emotion and express them symbolically in a process of sublimation. Teachers need to have such manner and design teaching methods to help children to experience sublimation. First, teachers need to design study plan and structure flexibly to make changes according to the children and class situations. Secondly, teachers need to relax mind and body of children prior to the beginning of art activity for them to have a moment of meditation that can help self-expression. Thirdly, art activity needs to be conducted around evaluation of the process. It is important to exclude competitive atmosphere but evaluate how children buried themselves in their work and put effort in self-expression in art activities. This may be an evaluation on the sublimation, but it is actually difficult to objectively evaluate how sublimation was realized in art activity. Therefore, evaluation of sublimation should not be evaluated with resulting quality of work. The degree of immersion and effort for self-expression of children that are needed in the evaluation of sublimation can be identified through question and conversa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and explanation on children's work. Also, whether sublimation occurred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tripartite changes of sublimation process and two levels of change of thought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herent therapeutic aspect in art and investigated suggestions of sublimation on children's art education. It is considered to expand recognition of children on art, relieve repressed desire, psychological burden, and stress through free self-expression, find identity, and grow on their own through introspection. This therapeutic aspect of art needs to be established as a central concept that becomes the root of art education. The therapeutic function of sublimation in art activity can realize education of discovering the inside world and introspection of children in public education, and such therapeutic art education can play a considerable part in preventing and decreasing problem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aused by human alienation and loss of self. Currently, research on sublimation is nonexistent in domestic art education sector. This study is intended to apply the sublimation concept of Read and Kramer which is based on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Freud on art education of children tha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being the only research on sublimation in domestic art education.

      • 국내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미술교육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다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34383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which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early 2000s, has developed for 17 years, appearing in various forms including academic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mong them, studies published in journals clearly show how theories and action research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have developed. This study, therefore, aimed at facilitating the invigoration of studies on visual cultural art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and presenting the trends and present conditions of the studies published in journal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16 studies about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Korean art education journals from 2001 to October 2017. The studies were analyzed by year, the subject of study, theme of study and method of study to examine their research trends.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studie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y year, average 4 percent out of a total of 116 studies were published before 2007, and about 12 percent were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09, showing the biggest increase. The number of studies published has decreased rapidly since 2009, recording average 4.7 in recent times. When the tendency of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published is shown, the term of visual culture first appeared in curriculum.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and term of visual culture have been maintained even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udie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hould be illuminated agai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studie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y the subject of study, the studies were largely divided into studies whose subjects were human beings and studies whose subjects were not human beings. Studies whose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and‘ordinary people’among studies with the subjects of human beings and studies whose subjects were ‘miscellaneous’ among studies whose subjects were not human beings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entire period, accounting for most of studies published. Except for studies whose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ies with the subjects ‘middle and high schools’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studies with the subjects of middle schools,’ studies with the subjects of‘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tudies with the subjects of kindergartens.’Meanwhile, studies whose subjects were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were published intensively when the curriculum was being revised. All this indicates that the subjects of studies should become more various. Especially, studies whose subjects are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carried out more often and studies whose subjects are teachers should receive more attention. Third, the research trends of studie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were analyzed by the theme of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ories and philosophy’ and ‘teaching and learning’ were the themes covered most frequently. Studies whose themes were ‘educational psychol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were evenly distributed though they were small in number. Among the rest themes, the theme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basic study,’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ory of teacher.’ The themes of studies tended to become limited. Moreover, the limited themes were researched by a limited small number of researchers. Therefore, more various researchers should carry out studies on more various themes regard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studie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y research method, ‘content analysis research’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in most of studies. ‘Case research’was also constantly used. Compared with these methods, ‘survey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nd ‘action research’were used far less frequently. Therefore, quantitative research which uses objective and empirical methods should be invigorated. Furthermore,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used together to use research methods which enable various interpretations. Based on suggestions acquired fro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 up studies. It is hoped that practical turn in studies will help to reestablish art curriculum system and enhance teachers’ practical effor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tudie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published for past 16 years. It has an academic value in that it presented a direction for the balance of studie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2000년대 초반부터 국내에 도입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지난 17년간 학술 연구와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반영되는 등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면서 발전해왔다. 그 중에서도 학술지에 실린 연구들은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천적 연구가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뚜렷하게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들을 분석해 동향과 현황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의 활성화를 촉진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2001년부터 2017년 10월까지 국내 미술교육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시각문화 미술교육 관련 연구논문 116편이며, 이러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들을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로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에 나타난 연도별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116편의 전체 연구에서 평균 4%의 연구가 2007년 이전에 발표되었고 2007년과 2009년 사이에 약 12%에 이르는 가장 큰 증가 추세를 보였다. 그 후 급격하게 감소하여 최근까지 평균 4.7%의 수치로 나타났다. 증가 추세가 나타난 시기는 교육과정에 시각문화 용어가 처음 출현한 시기와 겹쳐진다. 그러나 현 2015 개정 교육과정에까지도 시각문화의 개념과 용어가 유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가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에 나타난 대상별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크게 인적 대상과 인적 대상을 다루지 않은 연구들이 있었는데, 인적 대상 연구 중에서는 ‘초등학생’과 아울러 ‘일반’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인적대상을 다루지 않은 ‘기타’ 연구가 모든 시기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연구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초등학생 다음으로는 ‘중·고등학교’, ‘중학교’, ‘초·중·고등학교’, ‘유치원’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반면, ‘예비교사·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교육과정이 개정되는 시기에 집중되어 발표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 대상으로의 전환이 필요한데 특히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가 요구되며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셋째, 국내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에 나타난 주제별 연구 동향을 분석 한 결과 ‘이론·철학’과 ‘교수·학습’을 주제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교육심리’와 ‘교육공학’에 관한 연구도 적은 수이나마 고르게 분포하였고 그 외 ‘교육과정·교과서’와 ‘기초연구’, ‘교육환경’, ‘교사론’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주제는 특정 항목에 편중된 경향이 있으며, 그마저도 소수의 한정된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의 층이 확산되어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다채로운 주제의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에 나타난 방법별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내용분석연구’가 대부분의 연구 방법으로 선택되었고 ‘사례연구’ 또한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이와 비교해 ‘조사연구’, ‘실험연구’, ‘실행연구’는 지나치게 부족하였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의 양적 연구를 활성화 하고 질적 연구와 함께 통합하여 다양한 해석을 이끌 수 있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위의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 실천적 전환은 다음과 같다. 미술과 교육과정 체계의 재설정과 교사와 학교의 주체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지난 16년간의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의 동향에 대한 분석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했다는데 의의를 지니며 균형 있는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미술 교과 중심 인성교육 연구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김귀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83

        현시대는 경쟁사회에서 생겨난 이기주의와 같은 부정적인 요소가 심해짐에 따라, 지적인 능력뿐만이 아니라 도덕적인 측면을 함께 갖춘 인격적으로 훌륭한 인재를 필요로 한다. 2014년 12월 제정된 인성교육진흥법은 인성교육을 통해 올바른 인성을 갖춘 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 교사의 개별적인 학급 경영 및 생활지도에 의존하거나 교과서를 통해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아동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기 어려우므로 활발한 교육적 도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교육연극이 자신의 의식과 행동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경험을 준다는 점에서 인성교육과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미술 교과 중심 인성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기 위해 먼저, 인성교육의 개념과 목적, 인성교육을 위한 미술 교과의 필요성과 미술과 교육과정안의 인성교육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다음에는 교육연극의 개념과 목적, 유형, 교육연극의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알아본 후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연극의 인성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여 교수-학습을 실제로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5월 2일부터 5월 4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서울시 ○○구 A 미술학원에서 3학년 2명, 6학년 4명 총 6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미술 교과 중심 인성교육은 이주연(2011)이 제시한 미술 교과 중심 인성교육 요소 7가지 중에서 심미성, 공정성, 존경, 배려, 책임 5가지 요소를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 제작된 학생 작품과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위의 수업이 심미성, 공정성, 존경, 배려, 책임과 같은 인성요소 5가지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교육연극이 무엇인지 몰랐던 학생들이 위의 수업을 통해 교육연극을 경험함으로써 교육연극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가 향상되었다. 셋째, 위의 수업은 미술 교과 중심 교육연극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었으며, 그들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켰다. 교육연극을 통한 교육적 효과로 기존의 미술 교과 선행연구들에서는 인성 능력 향상에 대해 언급하고 있었지만, 언급만 할 뿐 이를 구체화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미술 교과 영역에서 구체화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총 6명의 여학생에게만 적용되었으며, 60분으로 수업이 구성되었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연령대와 많은 연구 대상, 초등학교 정규 수업시간 40분에 맞춘 교육연극을 활용한 미술 교과 중심 인성교육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