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작가의 聖化에 관한 연구 : 김현승·조성기의 경우

        이기종 백석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4287

        This study thesis is designed to apply the life and literary works of Kim Hyun-seung(1913∼1975) Christian Poet and Jo Sung-ki Christian Novelist, into soteriology and sanctification, shedding light on them throughout entire career. In particular, skepticism for the pessimistic period in his 50s, differs from disputes to underestimate his religion and literary works. According to him, it is the God that leads the life of trust. The life and fruit of priest deserves to be illuminated by bible. In order to approach the life and literary true meaning of Kim and Jo, it is worth while to be illuminated by bible. To do it, it needs to apply soteriology, and especially, sanctification. As the salvaged priests, Christian literary men take the responsibility for cultivating the life of soteriology through literature, and delivering gospel to readers through literary works. Also, they play a role in leading readers to have interests in sanctification. In this vein, this research thesis is meant to review such theories. Kim Hyun-seung Poet created his works throughout the four quarters. The first quarter during 1934∼1945 is relation to the period of 'embracement' by God. This ranges from the beginning when he entered the literary circle to the end of "Liberation Day" on August 15th 1945. Kim, who was the author in combination with Protestant religion and poetic talent, was called by God and started to create the works under the theme of the agonies from the Japanese imperialistic colonization and his religious view of ego. The second quarter during 1946 ∼ the early 1960s, is relation to the period of 'fulfillment' by God. This ranges from the post-period of "Liberation Day" On August 15th 1945, until 『Supporters' Song』, his second poem, was published. Looking back on those days, Christian inner essence including happiness for life, and love for nation were mainly sung. The third quarter during the mid- 1960s∼1972 is relation to the period of "Patience" by God. This ranges from the time when Kim Poet created solitary poems, bearing skepticism for God, until he fainted for a high tension. The period is the one of "Patience" by God, who led Kim to become salvaged. The fourth quarter during 1973∼1975 is relation to the period of " Embracement" by God. In other words, Kim Poet, who fainted for high tension recovered his health and belief thanks to the embracement by God, throughout the period. And, he took the comfortable rest in God's arms, at those time. Now, let's classify the life and literatures of Jo Sung-ki Novelist, into the four quarters. The first quarter during 1950∼1971 is relation to the period when he was called a literary man. This ranges from the time when he was born until his work,『Kaleidoscope』 was selected in spring literary contest During his college days, he came to have Christian religion, and combine religion with literature. The second quarter during 1972∼1982 is relation to the period when he was provided a wide range of literary works. This ranges from the time when he decided not to write his novels, shortly after he served his military service, until he began to rewrite with the completion of 『Liberty Bell』. Throughout the period, he strengthened his belief through his military service, missionary and college activities, and he got married. The third quarter during 1983∼1995 is relation to the period when he was rehabilitated his physical and psychological power. This ranges from the time when he attended Theology Graduate School until he had the narrow escape from death. Throughout the period, he wrote and published the book series four volumes, 『God's Night』, and series seven volumes『Lightening of Eden』. The fourth quarter during 1995∼ is the period when he was led as the pastor missionary. Since he experienced narrow escape from death, he has started to work for pastor missionary, and today, he is taking activities as a clergyman, in Sanwool Church. Kim Hyun-seung and Jo Sing-ki, the Christian literary men, accomplished the dignified religion, by sublimating their sense of pessimism, agonies and solitudes, from literary review from literary expression to sanctification. This work shows that the image which the speaker or the main character gradually becomes sanctified leaves the strong sentiments, bringing into classic elements. The above-mentioned two authors are the mediators to put up with their sufferings and agonies at those time. And, they are the ones who respected the contemporary literary fields, by thoroughly materializing religion. Kim Hyun-seung respected literary fields by crucifying the sufferings at the Korean past dark days during 1920 ∼ 1970. Also, Jo Seung-ki respected pastor missionary activities and literature, by crucifying the agonies of the nation and neighbor, from 1950 to now. 문학은 인간의 삶의 고결한 승화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문학을 통해서 절대자 앞에 그의 삶의 총체적인 모습을 드러내며 노래하며 때론 울부짖으며 하나님이 제시하는 이상향을 향하여 전심으로 전인격을 다하여 나아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시인 김현승(1913∼1975) 그리고 목사이자 기독교 소설가인 조성기(1950∼)의 삶과 문학 작품을 기독교의 구원론 및 聖化論을 적용하여 전생애에 걸쳐 조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김현승의 50대의 회의기간에 대해서 부정론을 주장하여 그의 신앙과 문학을 격하시키는 논조들과는 입장을 달리한다. 그의 믿음의 삶을 주관하시는 이는 하나님이다. 성도의 삶과 그 열매는 성경에 의해 조명되어야 마땅하다. 김현승과 조성기의 삶과 문학의 진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조명을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구원론, 특히 聖化論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기독교문학가는 구원받은 성도로서 문학을 통해 구원의 삶을 책임 있게 경작하며 그들이 남긴 작품들은 독자들에게 때로는 복음을 알게 하고 때로는 聖化에 협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런 모습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김현승 시인은 4기에 걸쳐서 작품을 창작하였다. 제1기(1934∼1945)는 기독교 작가로 부르신 기간이다. 문단에 진출한 때부터 8.15해방 때까지이다. 이때 그는 프로테스탄트 신앙과 시적 재능을 구비한 작가로서 하나님 앞에 부르심을 받아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의 아픔과 신앙적 자아관을 내용으로한 작품을 창작했다. 제2기(1946∼1960년대초)는 채우심의 기간으로 8?15해방 이후부터 두 번째 시집, 『옹호자의 노래』를 출판할 때까지이다. 이때는 기독교 신앙의 내면적 본질과 생명의 기쁨, 민족애 등을 노래하였다. 제3기(1960년대 중반∼1972)는 참으심의 기간이다. 김현승 시인이 하나님 앞에 회의를 품고 고독의 시편들을 창작한 때로부터 시인이 고혈압으로 졸도한 때까지이다. 이때는 하나님의 백성 김현승을 구원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참으심이 있었던 기간이다. 제4기(1973∼1975)는 붙드심의 기간이다. 고혈압으로 쓰러진 김현승 시인이 하나님의 붙드심으로 건강이 회복되고 신앙도 회복하여 聖化가 아름답게 이루어진 기간이며 하나님의 품에 안식한 기간이다. 조성기 소설가의 삶과 문학을 4기에 걸쳐 구분하여 보기로 한다. 제1기(1950∼1971)는 문학가로 부르신 기간이다. 출생에서부터 『만화경』으로 신춘문예에 당선된 때까지이다. 대학 생활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고 신앙과 문학을 접목하게 되었다. 제2기(1972∼1982)는 다양하게 공급하신 기간이다. 군대에 입대하면서 소설을 쓰지 않기로 작정한 때부터 소설『자유의 종』을 완성하여 다시 글쓰기를 회복한 때까지이다. 이 기간에는 군대 생활과 선교 단체, 대학 생활 등을 통하여 신앙의 확장을 이루고 결혼을 하게 되는 기간이다. 제3기(1983∼1995)는 영육을 부흥하신 기간이다. 신학대학원에 진학 한 때부터 죽을 위험에서 살아나는 체험을 한 때까지이다. 이 기간에 4부작『야훼의 밤』과 7부작『에덴의 불칼』등의 역작을 출판하게 된다. 제4기(1995∼ )는 목회자로 세우신 기간이다. 죽음으로부터 생명으로 이어지는 체험 이후 본격적인 사역에 임하여 현재까지 산울교회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중이다. 기독교문학가 김현승과 조성기는 그들이 겪은 회의(懷疑), 고통, 고독 등을 문학의 밭에서 聖化로 바꾸어가며 신앙의 고결한 승화를 이루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작품에서 주인공(화자)이 성화되어 가는 모습은 감화력이 강하여 고전을 낳는 요소가 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두 작가는 자기 자신의 아픔은 물론, 그 시대의 아픔까지 십자가를 지는 중보자들이다. 그들은 철저한 신앙의 육화를 통해 당대에 맡겨진 문학의 밭을 섬기는 사람들이다. 김현승은 1920∼70년대의 한국의 시대의 고통을 십자가 지고 문학으로 섬겼고, 조성기도 1950∼ 현재까지의 나라와 이웃의 시대의 고통을 십자가 지며 목회와 문학으로 섬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白石詩의 分析的 硏究

        양근옥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34271

        이 논문은 시인 白石(1912- ?)의 시세계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그의 시형성에 주요한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보이는 몇가지 측면, 즉 시어의 개념적 유형, 문채상의 기법, 그리고 시세계의 지향점을 중심으로 하여 시의 성격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백석에 대한 연구는 시집 「사슴」이 1936년 출간된 이래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 지다가 본격적인 연구는 1988년 해금이후라 할 수 있다. 재북 시인이란 이유로 잘 알려지지 못했면 백석의 시는 다른 누구의 시보다 특이하여 다양한 연구 방법의 원용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석의 시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앞의 세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① 택석의 시어는 시공간적 배경을 주로 하여 시의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소 어두우며 외로움과 서러움이 기본 정서를 이루고 있었다. 방언으로서의 시어 문제에 주목했는데, 백성 시에서의 방언은 시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근간이 되며, 방언의 집요한 애착은 표준 문법질서에 대한 거부로 일제에 대한 항변으로 이해했다. 또한 방언의 빈번한 사용은 진실성과 시적 리얼리티를 돕고 있다고 보았다. ② 시의 표현과 구성에서는 백석 시의 특징을 묘사적 서술 양상에서 찾았는데 특정한 관념을 주장하기 보다는 선명하게 보여줌으로써 시적 정황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았다. 구성과 수사법적 특성으로는 이야기 중심의 담론 질서에 주목했는데 일종의 독백과도 같은 서술의 체계로 이해했다. ③ 시의 주제와 그 지향점에 대해서는 무엇보다도 식민지 현실에 주목했다. 산골과 밤이 주무대로 둥장하는 백석시의 적막하고 쓸쓸한 분위기는 시대 상황의 반영이라 보았다. 백석의 시가 시적 기법과 기본 정서에서 별 다른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는 것은 시인 스스로 감정의 절제에 성공한 것으로 이해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Basket's poetry. Baeksuk is a post composing people's emotion through his peculiar style and material for poetry during toe darkest period of our national modem history. Toe study of Baeket's poetry was begun by a master's thesis in 1980s, but a real study was after lifting of a ban in 1988. To disclose Baeksuk's poetry, a divided toss dissertation as follows; Baeksuk's poetic word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dialect Jung-ho, Pyung-An Do is heavily used. Therefore, I examined Baeksuk's intentional use of toe native language and toe refrain revealing in choosing and ordering toe poetic words involved with a verbal characteristic In studied toe subject system, toe internal structure of a writing, keeping pace with toe choice and technique of poetic words. Hs took various stories which bring us traditional familiarity into poems, and operated many poetical installations such as the narrative structure of repetitious utterances, the symbolic worlds, the sensuous images and so forth, which corresponded to thoes stories. Baeksuk assert the unique expression styles in shaping a poem. One is am objective statement and the other is a security of narration. The expression styles are to make readers feel a sentiment and mood by themselves by showing the subjects like that without exposing his emotions. The desire was able to be realized by the cognitive mechanism functioning in the form of going back to the past and awakening the past in the present space, and by the poetical method giving shape to all sorts of idea with concrete and familiar sentiments. The emotion shown in Baeksuk's poems are almost solitude and Loneliness from wandering Life. As we seen, Baeksuk wanted very much the national restoration which must be under the violent colony of Japan's imperialism, and as a result of it, I can say that he intsrgradsd his poetic outcome by clear recognizing of reality of colony.

      • 정지용 시의 이미지 연구

        황성윤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34271

        현대적 서정 시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정지용의 작품 활동은 1926년부터 시작된 다. 그의 시는 새로운 방법론의 도입 - 감각적으로 세련된 언어의 발굴, 현대적 감수성과 참신한 이미지 제시 - 이라는 점에서 현대 한국 시단에 새로운 충격을 준다. 본고에서는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이미지 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정지용의 시를 주제별로 구분하여 바다의 이미지, 산의 이미지, 땅의 이미지로 나눈 다음 각 시에서 이미지의 구조를 세워 각각 이미지의 상호 관계와 공간성을 찾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환기하는 의미와 정서를 통하여 지용이 추구한 시 세계를 밝혀 보았다. 분석 결과 정지웅의 '바다'의 상상력은 '열린 바다'와 '닫힌 바다'라는 대립적 양상으로 나타났다. 희망의 세계인 '열린 바다'의 상상력은 바다의 모성적 이미지와 무한성을 인식하고 시적 자아의 내면 공간을 확대하였다. 따라서 '열린 바다'는 밝고 희망찬 공간으로 동경의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정지용의 상상력에 '닫힌 바다'는 어둠과 소별의 세계로 외롭고 어두운 모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다는 시적 자아와 갈등의 대상이 되며,시인의 상호 몰입되지 못하고 외경의 대상으로 나타났다. '산'의 세계는 고요와 신비가 살아 있는 세계로 그 색채는 흰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 흰색은 죽음과 관련이 있으며 이 죽음은 시인의 고통스런 세속을 탈출하고자 하는 상념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정지용의 '산'의 세계는 자연과 동화하는 무욕, 허정, 청정의 탈속의 세계가 된다. '땅'의 이미지는 고향과 타향으로 나타난다. 고향은 타향에 존재하는 화자의 그리워하는 이상적 공간이 되지만 막상 돌아와서 고향을 보니 실재하는 고향은 가난과 황폐화된 부정적 공간이었다. 타향은 조국을 상실한 망국민의 비애의 공간이었다. 정지용은 이국적인 현상들과 자아와의 사이에 거리감을 느끼며 소외감을 안게 되었다. 따라서 지용의 고향으로의 회귀 의식은 상실된 조국을 찾으려는 의지를 반영한다. 정지용이 '바다'와 '산'의 세계를 지향했던 원인은 현실의 공간인 '땅'에 기 인한다. '땅'에서 망국민의 비애를 느껴 상상력 이 드러내 보이는 열린 바다로 나아 갔으나 그 곳에서 패쇄된 닫힌 바다를 발견하였다. 그래서 정지용은 정신적 안식처로써 탈속의 세계인 '산'의 세계로 나아가 그 곳에서 침잠하게 되었다. The Work Activity Of The Poet,CHUNG, JI YONG whom should be called as a contemporary lyric poet begins from 1926. his poem has been induced by means of a new mythology presenting contemporary sensibility and up-to-date image such a point was a great shock to the contemporary Korean poetical circle. In this thesis, analyzed the image formation which was shown in CHUNG, JI YONG's poem. firstly, upon dividing CHUNG, JI YONG's poem into by different main subject, analyzed while seeking the mutual relation of the each image after formation of image from each of the poem and extensive after dividing into the image of sea, image of mountain and image of earth. Then made the poem circle clear which was pursued by CHUNG, JI YONG through image and emotion significance and emotion which was roused from it. As a results of analysis, it showed up an opposing aspect as is CHUNG, JI YONG's imagination of the 'sea' is so called 'Opened SEA' and 'Closed SEA'. The imaginative power of the 'Opened SEA which is the world of hope has extended the inner space of poet ego upon recognizing maternal image infinity of the SEA. Accordingly, the 'Opened SEA was recognized as a bright hopeful space and yearning object. Louver, the 'Closed SEA' of the CCHUNG, JI YONG's image were shown in lonely and dark feature in a world of dark and extinguishment. Accordingly, the SEA has becomes the object of poetic ego and complication, and shown as an object of reverence nor becoming poet's lyrics and mutual immersion. The world of "Mountain' is a world of client and alive mystery and its color is being mostly occupied with the white color. This white color is related with death and shown in notion of poet's suffering to escape this mundane world. In such a way, the world of 'Mountain' by CHUNG, JI YONG may become the world of unworldliness which is generosity, vacant and purity that assimilate with the nature. The image of 'Earth' is shown as a native place and foreign land. The foreign land is a denial space of sadness ruined nation those have lost their father land. CHUNG, JI YONG feels the sense distance between the darting land phenomenon end ego end becomes to be a sense of alienation. Therefore, CHUNG, JI YONG's sense of revolution reflected his will to seek for the father land lost. The reason for heeded to the world of 'SEA' end 'Mountain' caused by the 'EARTH' which is a current space. Although he has forwarded to the opened sea, but discovered the closed sea which was closed there. Therefore, he has to be settled down there where the world of 'Mountain' where to find the spiritual place to find peace which is mundane world.

      • 李箱 詩의 構造的 特性 硏究

        구미리내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34271

        본고는 이상 시의 구조적 특성을 고찰하여 이상 시의 문학성을 총체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이상 시의 문학성을 총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이상 시의 주된 특징인 이원성을 당시의 시대상과 관련시켜 살펴 보았다. 또한 이상 시에 나타난 언어의 자기 반영성, 자의식을 바탕으로 한 내면의식, 그리고 전통성을 해체시킨 이상 시의 실험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상 시의 구조를 반복, 상징, 대립, 유추로 압축하여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이상 시가 어떻게 전통성을 해체하고 있는가 그 실험성을 살펴 보았다. 이상은 전통성의 해체를 요구하는 20세기에 당당히 자신을 희생시키며 해체된 주체의 불안을 작품 속에 표현하였다. 이상은 이것을 자존심과 자학으로 발전시켜 전통적인 것을 거부하고 파괴하였으며 한국 시문학에 현대성을 불어넣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상의 문학은 불안이 바탕을 이루는데 이러한 불안은 그가 어릴 때부터 겪어야 했던 가난과 가족적 환경, 시대적 환경을 비롯한 신체적인 결함 때문이었다. 이것이 시로 투사되어 그의 작품은 자의식적이고 내향성이 강하다. 그래서 한국 근대 시인 중 유일하게 현실에서 소외된 인간내면을 깊이 있게 표현하고 있다는 평을 받는다. 3장에서는 이상 시의 구조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상은 해체된 자아의식을 작품에 투사하여 다양하고 파격적인 기법으로 구조화하고 있다. 그러한 구조적 특성은 이상 시의 문제성이자 문학성을 찾을 수 있는 하나의 열쇠이다. 이상 시의 구조 중 첫 번째로 반복구조를 살펴보았다. 이상은 여러 작품들속에서 반복의 효과를 살리고자 노력한 흔적이 엿보였다. 같은 말을 반복적으로 되풀이하며 얻는 효과는 주술성인데 독자들은 그 주술성에 혼란되어 이상의 작품 속으로 동화된다. 또한 독자들에게 낯설음을 주며 화자의 판단과 상황에 대하여 쉽게 공감하거나 이해할 수 없게 한다. 혼란과 이해의 이원성을 지닌 이상 시의 구조는 여러 가지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시대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이상의 내면적 심리불안이 작품의 구조 형성에 끼치는 영향은 다양한 측면에서 그 효과가 설명된다. 그리하여 그의 문학에 있어서 가족적 갈등에 대한 의식은 가족은 곧 전통이라는 식으로 발전되었다. 이상의 문학은 전통적 문맥의 발전과 관계되는 가치를 거의 파괴함으로써 전통시의 양식을 자기해방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숫자를 뒤집거나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다거나 특히 같거나 비슷한 말을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하여 작품의 형태나 구조에 심리상태를 많이 반영하였다. 두번째, 상징구조를 볼 수 있다. 상징에서는 은유와는 달리 원관념, 즉 불가시적인 관념이 완전히 감추어져 있다. 이상의 시 들 가운데 의미성을 지향한 작품들은 대개 상징적 구조를 빌어 표현된다. 이상 시가 난해한 중요한 요인의 하나도 바로 이 상징성이다. 상징과 같은 맥락에서 병치구조도 고찰해보았다. 이질적 이미지들의 병치는 난해성을 유발하는 현대시의 중요한 특징이다. 즉 이질적 요소들의 폭력적 결합을 새로운 존재의 창조행위로 본다. 이는 '무의미시'의 출발인데 한국의 현대시에서 이러한 경향이 최초로 나타난것은 이상의 작품에서부터이다. 세번째로 살펴본 대립 구조에는 이상의 자아분열이 관여한다. 이상의 내면깊이 자리잡고 있는 불안은 그를 자의식의 세계에 유폐시키며 그 속에서 지향의 대상을 잃은 그의 자아는 분열을 일으킨다. 그의 많은 시 작품은 이러한 자아분열의 양상을 되풀이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분열된 자아는 서로 대립된다. 이상의 시 작품들에서 드러나는 기본적인 세계에 대한 태도는 은닉적인 생활과 그 때문에 자신을 곧바로 드러내지 못하고 거울에 비추어 모든 것을 바라보고 인식한다. 이는 현실의 어떤 방패막에 의지해서 자신을 보호하는 한편 현실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유추 구조를 살펴 보았다. 유추는 감각적 사물들, 곧 현상계의 본질을 수학적 질서나 이데아의 세계와 관련시키면서 인식하는 원리이다. 이상시에서 유추의 구조는 또 다른 난해성을 불러일으키는 요소이다. 유사하지만 다른 두 사물의 등장이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애매모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상의 시는 특이하고 이질적인 방법으로 시를 완성했으며 그렇게 완성된 시의 구조 또한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상은 전통적인 시적 관습에 대한 거부와 파괴로 이전의 전통성을 해체하였다. 그러한 실험성은 한국 현대시사에 현대성을 불어넣었다. 그러나 발표 당시엔 그 실험성이 갖는 난해성 때문에 독자들에게 이면을 받기도 하였지만 현대 시문학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즉 현대의 정신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파격적으로 제시하여 한국 모더니즘 문학을 출발을 앞당기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반복, 대립, 상징과 병치, 유추 등의 시적 구조를 통하여 시적 효과를 살리고 있다. 즉 주술적 효과로 정서를 혼란시키는 반복 구조, 의미성을 지향하는 상징 구조, 자아분열의 대립성을 강조한 대립 구조, 독자들을 애미모호함에 빠뜨려 난해성을 일으키는 유추 구조 등은 그의 시가 갖는 독특한 미학이다. 이러한 구조의 해체성과 견고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이상의 시가 한국 시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그의 시가 난해하고 그 기법이 독특하다는 이유로 피상적으로만 논의하거나 그의 시적 특질을 어느 하나의 외래 문예사조로 추상화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 이상의 문학세계는 좀 더 새로운 방향으로 연구되어 그의 문학사적 위치 규명을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Lee sang's poetic world close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ing Less's poetic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At fist, for Lee's poetic world closely, examining his dualistic with at that phases of the time. and examining self-reflection, self-consciousness in his inner consciousness, violated-tradition Lee's poetic, an experiment. and they appear lee sang's works. At examining Lee-sang's poetic structure repetition, symbol, confrontation, analogy. In the chapter Ⅱ, at examining Lee sang's poetic how violate tradition. Lee sang contributed, modernization in Korean poetry. His works emphases self-consciousness, inner-mind because Lee-sang's works is composed of anxiety. Indigence, home environment, period environment, a defect the person cause anxiety. In the Chapter Ⅲ, examining Lee's poems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Lee-sang made broken self-consciousness by it project his works. his poetic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is key that can final literature. At the first, examining repetition structure, this repetition structure made sorcery property reader was assimilated by this in the Lee-sang's works. He write poet method of Turn over number, no write leaving space. The Second, symbol structure. Lee-sang's poet hardness is due to symbol property. Sudden diaphor of strange image has same critical view about its difficulties and contributes solecism and renovation of conventional consciousness of poetry. Third, examining confrontation structure. Lee-sang's self-dissolution existed in the confrontation structure. This united-self was com out selfness directly in poems. Finally, examining analogy structure. This structure brings about hardness. He was insulted because of his hardness when his works presented. but Lee-sang contributed modernization in Korea poetry. Status of Lee-sang's poem will be considered in Korea literature history. And Lee-sang's literature will be study of new method in the future.

      • 尹興吉 小說 硏究

        박규현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34271

        윤흥길은 1970년대 한국문학계에서 크게 부각된 소설가의 한 사람이다. 특히 중편<장마>는 그의 대표작인 동시에 70년대 한국문학계의 기념비적역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한국문학작가상, 한국창작문학상, 현대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러한 수상 경력은 그의 높은 예술적 성취도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입증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에 대한 문학 연구는 미진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문학적 성과에 대한 체계적 정리가 요청되는 것과 비교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출발하여 윤흥길 소설의 기법적 특질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여러 가지 자료를 활용하여 인물, 플롯, 시점, 배경의 네가지 측면에서 윤흥길 소설의 기법적 특질을 밝혀내기 위해 소설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조적 접근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의 구조를 분석함에 있어서는 윤흥길의 중·단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몇 가지 결론에 도달 할 수 있었다. 윤흥길 소설에는 희화적 인물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었다. 그들은 단순한 해학적 요소 이상으로 현실을 풍자하고 있었으며 주제를 극대화하고 있었다. 또한 윤흥길은 상감기법을 통해 이야기를 복선적으로 전개하려고 하였으며 에피소드 자체를 묘사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아이러니를 통해 현실을 풍자함으로써 주제를 극대화하고자 한 점도 윤흥길 소설의 특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윤흥길 소설에는 역행적 시간 구조로 된 작품들과 순행적 시간 구조로 된 작품들이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시점 전개의 양상은 지속적인 외적시점이 여타 시점보다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걸 통해 윤흥길 소설의 서술 방식이 매우 객관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배경의 역할에는 여러 기능이 있지만 특히 윤흥길 소설에 있어서의 배경은 상징적 기능과 요약적 전망 기능을 하고 있었다. 이것은 윤흥길 소설의 배경이 단순한 장소나 공간의 차원을 뛰어넘어 주제를 심화시켜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Yoon, Heung Gil is one of the novelist who is famous from the Korean literary world. Especially, his medium length story "Jangma" - which means the rainy season - was not only the most important work but also unforgettable masterpiece from the Korean literary world in 1970s. He was awarded the Korean literary artist's prize, the Korean literary award, and the Modem literary award. His career made people set a high value on his artistic achievement. Despite of that, the study of his work has not been completed yet. It is necessary to make all his literary works in order systematically. This motive made this study get started, and furthermore this study will find out all the feature of his literary techniques. It makes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his novel with various sources, focusing on character, plot, point of view, and background. So it approaches the point by analyzing the structure. Mr. Yoon's medium length strories and shor stories were used as the sources for this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made some conclusion from his works. There lots of characters of a caricature are coming out in his novels. He developed his topics creatively through satirizing the realities beyond just a simple comic factor. Also he developed the stories foreshadowing a coming event, and he is inclined not to describe all the episodes in themselves. It would be a special character that he tried to develop his subjects creatively through satirizing the realities. There is an aspect of that his novels show both progressive time structure and retrogressive time structure. External point of view was mostly used in his novels. This tells us that the way of his description is so objective. Background has much of functions. As for his novels, there are symbolic functions and summarizing functions. It does not mean that the background of his novel is just simple places and dimensions of space. Background is playing an important part in strengthening the topics.

      • 열린 텍스트로서의 李箱 詩 硏究

        우현주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34271

        한국 현대 문학사의 독보적인 존재인 李箱의 시는 그 난해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시각의 접근을 요구하며, 또 그렇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李箱의 시와 서구 아방가르드 작가들과의 유사점을 생각할 때, 그의 시를 열린 텍스트로 보고 게노텍스트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크리스테바는 '글쓰는 주체'의 문제에 대하여 시적 언어란 단일 의미가 지닌 언술이 아니라, '과정 중에 있는 주체' '시련에 처한 주체'를 무의식의 논리에 의해 다의미적으로 무한한 부정성의 충동으로 구축하고 허무는 기호화의 과정으로 본다. 인간은 거울 단계를 거쳐 상징계로 진입할 때, 큰 타자의 언술체계 - 부권 중심적 언어질서 속으로 들어가 자기 주체성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때 무의식이 생기고 결핍이 생긴다. 여기서 자의식이나 주체 분열 이후의 모더니즘에 대한 글쓰기를 시도하는 일련의 시인들에게 문제가 야기된다고 보는 것이다. 우리 문학사에서 그런 '과정에 있는 주체'를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준 시인이 李箱이다. 李箱의 시는 일상적인 어법으로 읽히지 않는 시니피앙의 흐름, 혹은 연속적인 의식의 흐름 같은 전 주체로 돌아가려는 끊임없는 운동(이를 크리스테바는 코라라고 한다) 같은 것들로 충만해 있다. 이는 李箱의 텍스트가 단일하고 통일된 의미보다 난해성과 여러 가지 실험성으로 인한 다양하고 풍부한 내포를 지닌 열려진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즉 유동하는 기호적 코라가 억압되지 않고 드러난 게노텍스트로 볼 수 있다. 거울상 단계에서 상징계로 들어가면서 억누르고 참아야 했던 전-외디푸스적 어머니와의 일치, 상상계의 담론이 욕망과 충동의 힘에 의해 표면화되었을 때 그것이 텍스트의 차원에서는 게노텍스트로 불리며, 의사 전달을 위한 상징계의 언어 질서로 구성된 폐노텍스트와는 구별된다. 거울 단계란 인간의 주체성을 나 아닌 것, 즉 영상이라는 타자를 통해서만 허구적 구축을 할 수밖에 없는 숙명성을 보여주며, 그 거울 단계에서 李箱은 통합성 발견/분리, 자기 발견/자기 소외, 나/타자라는 이중성을 인식한다. 또한 상상계의 부정적 특성인 분리, 자기 소외, 나의 타자성을 부정하려는 욕망을 보이면서 분리 이전, 정립 이전의 전 주체, 거울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려는 욕망을 나타낸다. 그것이 李箱 문학의 주요 테마인 죽음 충동, 의식 절멸에의 욕망, 분리화, 차이화, 언어화 이전 세계인 어머니 몸으로 돌아가기라는 테마를 생산하는 기호 생산의 원형적 심리 체계이다. 육체의 의미 작용은 상징계가 가장 금지했던 '어머니 몸으로 돌아가기'를 강화하면서 로고스 중심주의가 가장 많이 위협당하는 카니발적 언술과 초현실주의적, 다다적 언술을 생산한다. 李箱의 시에 나타난 기존의 통사체계의 거부에서 볼 수 있는 '부정성'은 그의 시를 형성하는 원동력으로서 몇 개의 서로 다른 모티브로 변주되어 텍스트 속에서 드러난다. 요약해보면 1. 성스러운 것과 비속한 것의 경계 장벽을 파괴하고 그렇게 분리된 두 편을 결합시키는 신성모독, 또한 흔하게 시적 주제나 대상이 되지 않던 신체 기관의 시적 형상화 등으로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의 경계를 허물고 혼융시킴으로써 기존의 가치 체계를 거부하는 것이다. 2. 아버지를 뛰어넘음으로써 가부장제에 대해 부정한다. 이것은 李箱의 경우에는 19세기 유교 이데올로기에 종속된 김해경과 20세기 한국 최고의 모더니스트 李箱이라는 분열된 자아의 틈새 위에 위치한 동강난 주체이기 때문에 상징적 질서가 정립시킨 에고에 대한 반란은 모든 텍스트 안에서 작용하고 있다. 3. 일상적인 것, 당연한 것을 의심하고 반복하는 '낯설게 하기' 이항대립으로 파악되는 일상 세계에 대한 관찰 등으로 기존의 언어질서와 사유 체계에 대한 부정이 가지는 효과는 교란과 움직임의 힘으로 볼 수 있다. 문학이나 예술이 사회 변화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변화를 예측하고 촉진시킨다. 이것은 굳어진 세계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사고의 다양성을 부여함으로써 가능하다. 시적 언어, 문학 텍스트의 전면적인 새로움을 시도했던 아방가르드 작가들을 이런 관점에서 다시 평가 해보고자 할 때 李箱 시의 중요성은 되새겨 볼만한 것이다. 李箱이 아방가르드에 대해 스스로 알았던지 아니면 일본을 통한 굴절된 근대성의 이해자였던지 간에 그는 열린 텍스트의 대표적인 작가임에는 틀림없다. When we recognize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as the most essential and final phase to readers and scholars who read and study them, it is valuable thing before everything else to interpretate works to be able to approach the author's world. Numerous researcher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worked on his poetry mainly due to the hardness of interpretation. The trends of study are roughly divided into three: Literary analysis of decoding, the aspect of importing process of, so called, 'Surrealism' and the study of material bases which have produced literary works. analysis of decoding, the aspect of importing process of, so called, 'Surrealism' and the study of material bases which have produced literary works. He is such a unique poet that it is not easy to name other poets equal to him, in Korean literary culture and history. Almost everybody agrees that he is a representative surrealist or modernist. But no study has focused on the nature and power of the 'writing' itself. Here, I start in the belief that human 'language' go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ne step earlier than social Revolution. Depending on Kristeva, 'subject' is not a unitary, consistent one, but a split one between instinctive desire and social sensorship. 'The semiotic'and 'the symbolic' correspond to the former and to the latter one by one. when we turn into the text, The former makes 'genotext', the latter 'phenotext' 'genotext' contains 'semiotic chora', which permits anything plural and heterogeous Lee sang destructed the syntactic structure while he makes 'genotext' Structuralism itself is a methodology in the fields of studies rather than philosophical implicity. We should accept it as methodology. The structuralistic method is proceeded towards basic purpose by nature not indulging in its methodology. Its concrete means is based on linguistic one, and include stylistic, rhetoric approach, linguistic statistics in its details. Studying the literature is started from faithful and clear reding and ended in what is the peculiarity of the signs of language and the relation between meanings. And on the base of the concretization of implications, studying the literature is aimed at defining they structure of the poetic statements by revealing the system of the statements, not constructing the poetics through these discourses. In short, His poetry showed 'negativity' in various ways. 'Negativity' came out by the form of 'making it strange', 'rejection of patriarchy' and 'carnivalistic motives.' Especially the last one means destructing the barrier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He introduced into his poems 'human organs', 'sex', 'urinating'. He did not want to follow the fixed rule or prejudice of the society, instead, he tried to subvert the very structure it by 'writing' as the word 'Avantgarde' itself means. Any exclusive society or ideology, so called 'doxa' does not permit otherness. It is new language based on 'the semiotic' which makes it change toward an 'openness'. Lee Sang was the first and the best who recognized the fact in Korean literary culture. Through the present study, it is intended to clarify and refine how it is generally revealed that an intellectual, a poet, has lived in a desperate situation of an era of colonialsm and had expressed his awareness of tragic life, and what aesthetical value such expression through his poems forms.

      • 李陸史 詩의 이미지 硏究

        최승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4271

        시에는 시간과 공간을 가리키는 시어가 있다. 본고에서는 육사시에 나타난 시어의 공통된 이미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시간적인 시어는 긍정적 의미의 이미지와 부정적 의미의 이미지로 나눌 수 있다. 긍정적 이미지로는‘새벽'‘봄’등을 들 수 있다. 새벽과 유사한 시어로는‘새벽’, ‘닭울음 소리’를 들 수 있다. 육사의 시에서‘새벽’은 믿음 속에서 암흑을 찬란한 빛으로 바꾸어 주는 희망의 전달자의 이미지이다. 육사의 시에서‘봄은 겨울을 지내고 생명의 탄생을 기원하는 이미지다. 부정적 이미지로는‘밤’,‘겨울’등을 들 수 있다. 밤은 육사 시에 자주 등장하는 시어이다. 주로 초창기기의 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시어이며, 일반적으로 어둡고 절망적인 상징이다. 이육사의 시에서 밤이라는 시어가 자주 등장하는 것은 시대적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육사가 인식한‘겨울’은 생명적 전개를 거부한 한계상황이다. 둘째, 공간적인 시어로는 긍정적 의미의 이미지와 부정적 의미의 이미지로 나눌 수 있다. 긍정적 이미지로는‘별’,‘내고장’,‘고성’,‘광야’가 있다. ‘별’은 삶의 자세와 의지를 구체화하여 상징한다. 그의 삶이란 현실과의 대결에서 물러섬이 없고 계속적인 전진뿐이다. 이러한 자세가‘별’이 지니는 불굴의 생명력과 맺어져 그의 시에 표현되어 있다. <靑葡萄>에 담겨져 있는 ‘내고장’은 생명의 풍요와 평화가 담겨져 있는 이미지이다.‘내고장’은 어둡고 억압받던 고향이 아니라 회복되어 돌아가야 할 생명의 이미지이다. ‘고성’은 단순히 유폐된 단절의 공간이 아닌 끊임없는 시련의 이미지이다. 그 시련은 신념과 희망이 있기에 결코 버릴 수 없는 공간이다. 따라서 시적 자아는‘고성’이라는 고립된 공간에 머물르려 하지 않는다. ‘광야’는 시인이 노래의 씨를 뿌릴 곳이며, 백마타고 오는 초인이 목놓아 부르게 할 곳이다. 따라서‘광야’는 시적 자아가 이상을 꿈꾸는 공간으로 이 공간은 신성한 이미지이다. 부정적 이미지로는‘무지개',‘하늘’,‘항구’,‘동굴’,‘무덤’,‘골방'이 있다. 육사는 절망적인 죽음의 극한경을‘무지개’로 형상화함으로써, 환상적이지만 정서적 진실을 통한 감정적 초극의 통로를 마련하였다.<節頂>에서‘무지개’는 강철과 결합되어 굳은 의지와 동경이 효과적인 긴장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하늘’은 일반적으로 신 또는 초월적인 존재를 상징한다.<節頂>에서의 하늘은 끝난 고원이 있어 높음의 희망일 수도 승화일 수도 없다. 그것은 절망의 꼭대기, 포기의 이미지이다. ‘항구’는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불안정한 공간이다. 이런 불안정한 공간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나 시인의 심경을 표현하기에는 좋은 소재이다. 따라서,‘항구’라는 공간은 어둡고 황폐한 이미지이다. <편복>에서의 박쥐는 궁극적으로 육사가 직면하고 있는 모순을 함축하고 있다.‘동굴'을 벗어나기를 원하며, 벗어나야 하지만 자기를 은폐하기에는 최적의 공간이기도 하다. ‘무덤’은 일제시대 문학작품에 자주 거론되던 상징 중의 하나이다. 주로 폐허가 된 조국의 모습을 의미하며 육사의 시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黃昏>에서의‘골방'은 고립된 공간의 이미지이다. 육사는 그 시대의 한 인간으로써 현실을 살아가는 것이 곧 골방 속에 유폐되어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육사의 시에서 보이는 상징적 시어들을 시간과 공간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그러나 육사의 시가 모두 철저하게 상징의 기법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초기의 작품은 다소 직설적이며 감정이 절제되지 않은 영탄이 드러나고, 직유와 같은 단순한 비유법에 의존하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그의 시는 대체적으로 1939년을 경계로 하여, 원숙한 경지에 이르게 되고 기교면에서 고도의 상징성을 획득한다. Poetry has poetic diction indicating time and space.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common images of poetic diction shown in Yook-sa's poems. First, I divided the time diction into positive images and negative images. For positive images, we can see the words, 'spring' and 'dawn'. The similar words to 'dawn' are 'dawn' and 'the crow of a rooster.' In Yook-sa's poems, 'dawn' is the image of the carrier who brings hope changing darkness into shining light based in belief. In Yook-sa's works, 'spring' is the image of praying the birth of the life after a winter. For negative images, we can see the words, 'a night' and 'a winter.' 'A night' is often shown in Yook-sa's poems and mostly his early works. 'A night' is generally the symbol of darkness and despair. The circumstances of the period when Yook-sa lived, called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related with that 'a night' often appears in his works. 'A winter', in his consciousness, is the limited situation not allowing to expand his life. Second, I divided the image of space into positive images and negative images. For the positive images, there are 'a star', 'my hometown', 'a old palace' and 'a wide plain.' 'A star' symbolize the living behaviors and the will in detail. Yook-sa lived in the way to advance, never to back in faced to the hard actualities. This manner of his life is reflected in his works with the strong power of star's life. 'My hometown' in one of his poems <chung-po-do> is the image of the affluent and peaceful life. 'My hometown' is not the space of dark and suppressed but the image of the life that should be recovered and back there. 'A old palace' is the image of the continuous trials, not interrupted space from the world.. These trials are never thrown away due to belief and hope. As the result, poetic self in his poems would not stay at isolated space, 'a old palace.' 'A wide plain' is the space where the poet seeds and the superman coming on white-horseback sings loudly, therefore, 'a wide plain' is the space where the poetic self is seeking idle and this comes to be the sacred space. For negative images, there are ' a rainbow', 'sky', 'a port' 'a cave', 'a grave' and 'a back room' Yook-sa made up the emotional transcendental path through the fantastic and more emotional truth by making a form, from the limit of the desperate death to 'rainbow.' In <jyu-jyung>, by 'rainbow' uniting with steel, the strong will and longing form the efficient tension system. Generally 'sky' symbolizes the god or the transcendental existence. The sky, shown in <jyul-jyong>, is neither the hope for higher nor the sublimation because it has the ended plateau. That is the image of the top of despair or abandonment. 'A port' is the space where a lot of people move in and out so it is unstable. The unstable space like a port is a good space for expressing Yook-sa's emo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at period when Yook-sa lived. As the result, 'a port' is the image of darkness and devastation. A bat, shown in one of Yook-sa's poem <pyun-bok>, ultimately implicated the inconsistencies which Yook-sa was faced. He wanted to escape a cave and should do, but the cave is the best space for hiding himself. 'A grave' is one of the common symbols that were said to many literature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A grave' means, mostly, our devastated country and it is not except for Yook-sa's works. 'A back room', shown in <hwang-hon>, is the image of the isolated space. Yook-sa was definitely conscious of that living during that time is the same with being confined in a back room. Upon this analysis, we studied the symbolic poetic words by classifying into space and time. However, not all Yook-sa's poems are made up by symbolizing.. It is true that early Yook-sa's poems are seen uncontrolled and direct feelings and depended on plain expressions, like a simple. On the point of in 1939, Yook-sa's poems are completed fully and acquired high symbolism techn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