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기 은퇴자들의 선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동현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35

        This is a “study on the activation way of mission by early retire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mportant for mobilizing early-retired professionals and pastors as missionary resources. The life of a Christian, whose whole life should be devoted to worship and mission work, should not be wasted after retirement from work or pastoral ministry; rather, they should dedicate the second half of their lives to the mission of God. In this vein, this study covered the BAM(Business As Mission), a mission strategy attracting attention in modern missionaries; the BAM considers early retired professionals and pastors, whose strong points are with strengths such as professionalism, financial independence, and spiritual maturity, as important mission resources and the subjects who will implement the missio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and surve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BAM of early retirees,” and collected and organized the retiree’s mission cases. Chapters 2 to 6 consist of the body of this paper, and the following is described. Chapter 2 reviewe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the definition, the necessity and current situation, and the subject of laity mission. Chapter 3 examined the recent perception and trend of retirement and the age of retirement,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missionary work for early retirees. Chapter 4 reviewed literature regarding the definition, mission theology, and biblical basis of the BAM, as well as understanding and current status of BAM training. Chapter 5 suggested occupation-tailored missions, missions of the platform, and application as vitalization strategies for BAM, which specialize in early retirees. Chapter 6 covered the BAM mission strategy; it presented the ministry-tailored mission, overseas mission work, and village pastoral ministry miss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contents that each chapter highlighted. Chapter 2: Above all, chapter 2 noted the necessity of conducting missionary training for laypersons in each church, religious body, missionary organization, and missionary graduate school so that laymen can professionally equip themselves with missionary-related capabilities. Chapter 2 especially asserted that the necessity of a Christian worldview in lay mission work cannot be too emphasized. If the Christian worldview of the lay is properly established, he or she will be able to properly deal with a myriad of problems that will arise in the mission field as the word of God ushers and conduct themselves in good ways and purposes. Chapter 3: Modern people tend to value work-life balance and pursue a value-oriented life; this paper examined newly coined words related to this trend, such as YOLO (you only live once), Hygge, Freeter, Well-Being, Work-life Balance, Fire(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 Quiet Quitting, etc. Accordingly, this study challenges lay to retire early after cultivating a specialty at work and have a missionary vision that pleases God and lives a worthy life in the second half of their lives. Moreover, the result of summarization regarding the movement to abolish the pastoral retirement system per God's sovereignty and the Bible in Christian perception of retirement and retirement age emphasized once again that man must live for the Lord and die for the Lord throughout his life according to the mission he was called to for the glory of God. Chapter 4: BAM refers to “Business as Mission”; it was explained that BAM suffices the spiritual and economic needs of local people as well as corporate activities; moreover, BAM transforms the country and its people using business as a medium. Business as a mission has existed in the past it has not recently embodied; BAM has solidified its position and has become a tren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quick information exchange across the world is possible. The paper could expect that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BAM would be further emphasized afterward. Chapter 5: Regarding the occupation-tailored mission, its necessity, the method that God selected before the occupation-tailored mission, and the direction of the mission were examined. In particular, in the platfor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issions, the necessity of platfor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issions was referred to in missions with the pace of the development trend of modern IT (inform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o this, along with GMS-level platfor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issions, examples of platfor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issions that are practically in progress were briefly summarized as well. Chapter 6: This chapter asserted the following: when early retirement pastors carry out ministry-tailored BAM, the direction and goal of missions must follow the vocation of the calling; he or she must specialize in the gifts and talents that God endowed and in mission; retirees must conduct contextualized missions per the environmental and temporal changes. In this chapter, cases of early retiree pastors working in the fields of social mission, church reform movement, the special ministration of family ministry, publishing, and coaching-related ministry were examined; on top of the abovementioned, the early retiree pastor cases regarding the conduction of overseas missions and village pastoral work were collected and described. The mission to preach the Gospel to the ends of the earth must transcend age itself and the worldly-set age to work. Therefore, the chapter emphasized that the atmosphere that encourages and exhorts pastors to do missionary work in various fields after early retirement should spread more widely than before. In conclusion, the horizons of BAM will be broader in the future, if the church well trains, systematically educate, and used early retirees as missionary resources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strong points of early retirees, such as professionalism, maturity of faith, and economic independence. Social changes such as “early retirement,” “YOLO” and “quiet quitting” are subverting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views; due to the post-COVID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pastoral paradigm of the Korean church, studies on additional positions and ministry transition of pastors are being discussed. This is a high time to mobilize early retirees as mission resources;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ology of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 that the BAM, the mission strategy, and the main axis of the worldwide mission, is a desirable mission paradigm that all churches should comply with. God wants every Christian to be involved in the mission, through his or her profession, enterprises, and business. It is hop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BAM by Christians who inherited the life of Jesus Christ will expand; more early retired laymen and pastors will be dispersed throughout the world to fulfill their missionary vocations. 본 연구는 ‘조기 은퇴자들의 선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조기 은퇴한 전문인과 조기 은퇴한 목회자들을 선교 자원으로 동원하자는 데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삶 전체가 예배요, 선교가 되어야 하는 크리스천들은 은퇴 후 그들의 직업이나 목회적 사역을 중단하고 허송세월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후반기를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헌신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문성과 재정적 자립, 영적 성숙성과 같은 강점을 지닌 조기 은퇴한 전문인과 조기 은퇴한 목회자들을 현대 선교에서 주목받고 있는 선교 전략인 BAM 선교의 중요한 선교 자원이자 선교를 실행할 대상으로 보고, ‘조기 은퇴자들의 BAM 선교 활성화 방안’에 대해 문헌연구와 조사를 실시하고 이들의 선교 사례들을 취합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본문은 제2장부터 제6장까지이며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제2장은 평신도 선교가 무엇인지, 평신도 선교의 필요성과 현황, 평신도 선교의 주체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였다. 제3장은 은퇴와 정년에 대한 최근 인식과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한 조기 은퇴자들에 대한 선교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BAM 선교가 무엇인지와 BAM 선교의 선교신학과 성경적 근거와 BAM 훈련의 이해와 현황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였다. 제5장은 조기 은퇴 전문인 BAM 선교 활성화 전략으로 직업 맞춤형 선교와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를 제안하였다. 제6장은 조기 은퇴 목회자 BAM 선교 전략으로, 사역별 맞춤형 선교와, 해외선교 사역, 마을목회 사역을 제시하였다. 본문의 각 장에 나타난 강조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 : 무엇보다 평신도들이 보다 전문적인 선교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각 교회와 교단, 선교 단체, 선교대학원에서는 평신도를 대상으로 하는 선교 훈련을 실시해야 함을 주지하였다. 특히 평신도 선교에 있어 기독교 세계관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평신도들에게 기독교 세계관을 바르게 정립함을 통해 선교지에서 일어날 제반 문제 사항을 하나님의 말씀이 인도하는 대로 바르게 처리할 수 있고 선한 방법과 목적 하에 잘 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제3장 : 현대인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고, 가치지향적 삶을 추구하는 경향에 따라, 그와 관련한 신조어, 욜로(YOLO), 휘게(Hygge), 프리터(Freeter), 웰빙(Well-Being), 워라밸(Work-life Balance), 파이어족, 조용한 퇴직(Quiet Quitting) 등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평신도들이 자신의 직장에서 전문성을 기른 뒤 조기 은퇴하여 인생의 후반기를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선교의 비전을 가지고 가치 있는 삶을 살기를 도전한다. 또한 은퇴와 정년의 기독교적 인식과 동향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성경에 따라 목사 정년제를 폐지하자는 움직임을 정리한 결과, 이를 통해 인간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부르심을 받은 사명대로 일생을 주를 위해 살고 죽어야 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제4장 : BAM 선교는 ‘선교로서의 비즈니스’이며 기업의 활동뿐만 아니라 영적인 필요와 경제적인 필요를 현지인들에게 동시에 채워주며 사업을 매개로 하여 그 나라와 국민들을 변화시켜주는 활동임을 설명하였다. 비즈니스 선교는 오늘날 새롭게 생겨난 선교 형태가 아니라 과거부터 이어져 내려온 선교로서, 전 세계를 무대로 빠르게 정보교환이 가능한 4차 산업 혁명시대에 더욱 대세로 자리 잡은 선교 전략이다. 앞으로 BAM 선교는 역사적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제5장 : 직업 맞춤형 선교는 직업 맞춤형 선교가 왜 필요한지와 맞춤형 선교 이전에 하나님이 선택하신 방법을 알아보고 직업 맞춤형 선교에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에서는 현대 IT(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추세에 발맞춰 선교에 있어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GMS차원의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와 함께,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의 예시들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제6장 : 조기 은퇴 목회자가 사역 맞춤형 BAM 선교를 할 때, 그 방향과 목표는 부르심의 소명을 따라 선교하고, 하나님께 받은 은사와 재능을 특화 시켜 선교하며, 선교의 환경과 시대적 변화에 따라 상황화 선교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기 은퇴 목회자들이 사회 선교와 교회개혁 운동, 가정사역 특수 목회, 출판 및 코칭 사역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례들을 알아보았고, 해외 선교와 마을 목회를 하는 조기 은퇴 목회자들의 사례를 취합하여 기술하였다. 땅 끝까지 복음을 전하는 사명은 나이를 초월하고 세상이 정한 일할 수 있는 나이를 초월함으로 목회자의 조기 은퇴 후 여러 분야에서 선교를 감당하는 것을 독려하고 권면하는 분위기가 더욱 널리 확산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조기 은퇴자들의 전문성과 신앙의 성숙도, 경제적 자립의 이점을 고려하여 앞으로 이들을 잘 훈련하고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선교 자원으로 삼는다면, BAM 선교의 지평이 더욱 넓어질 것이다. ‘조기 은퇴,’ ‘욜로,’ ‘조용한 퇴직’과 같은 사회 변화와 맞물려 전통적인 직업관이 바뀌어가고 있고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의 전통적인 목회 패러다임의 한계로 인해 목회자들의 이중직에 대한 연구와 목회자들의 사역 전환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조기 은퇴자들을 선교 자원으로 동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AM 선교는 세계선교의 주축이 되는 선교전략으로써 온 교회가 따라가야 할 바람직한 선교 패러다임이라는 사실을 본 연구의 문헌 연구 고찰과 사례 연구 방법론의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하나님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이 가진 직업과 사업, 비즈니스를 통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기를 원하신다.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소유한 그리스도인들의 BAM 선교 실천이 확장되고 더 많은 조기 은퇴한 평신도들과 목회자들이 전 세계로 흩어져 그들의 선교적 사명을 감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21C 바람직한 목회자상에 관한 연구

        문동근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땅에 교회를 세우신 하나님께서 교회를 돌보도록 목회자를 불러 사역을 감당하게 하셨다. 그러므로 목회자는 교회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회자가 바로 서지 못한다면 교회는 교회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게 될 것이고, 또한 이 땅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가 바로서지 못한다면 사회는 더 더욱 부패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대에 바람직한 목회자상이 오늘 우리에게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금까지 본 논고를 통해 21세기에 하나님이 원하시는 바람직한 목회자상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2장에서는 목회자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목회자의 어원적 의미와 목회자의 자격, 그리고 성경에 나타난 목회자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올바른 목회자상이 확립 될 수 있는 것이다. 3장에서는 목회자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경에 나타난 목회자의 역할과 목회 현장에서의 목회자의 다양한 역할, 그리고 21세기 사회에서의 목회자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목회자가 성경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아는 것은, 결국 오늘날 목회자들이 어떤 역할에 충실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의 목회자에게 가장 중요하면서도 부족한 것이 바로 성경에 나타난 목회자의 역할이다. 예언자로서의 역할, 종으로서의 역할, 목자로서의 역할이 그것이다. 이러한 역할이 가장 기본적인 목회자의 마음가짐이 될 때, 비로소 목회현장에서의 목회자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 할 수 있는 것이다. 4장에서는 목회자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는데, 목회자의 문제점으로 영성의 문제, 학문성의 문제, 목회윤리의 문제, 권위의 문제, 목회 성공주의-출세 제일 주의를 살펴보았다. 이 문제들은 가장 시급한 문제이자 일반적으로 지금도 많은 목회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이다. 5장에서는 바람직한 목회자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바람직한 목회자상에 대해 영성을 가진 목회자, 전문성을 갖춘 목회자, 섬기는 자로서의 목회자, 그리고 컴퓨터 활용과 목회자로 정의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바람직한 목회자가 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준비와 훈련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으며, 더불어 개인적으로도 너무도 많은 부족함을 느끼고 있으며 더 많은 훈련이 절실함을 느꼈다. 이 시점에서 모든 목회자들이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하나님의 신실한 종으로서의 바람직한 목회자상을 정립함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즉 교회가 원하는 목회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시는 목회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주님이 기뻐하는 목회자가 되기 위해서는 주님께서 친히 자신의 제자들에게 요구하셨던 것처럼, 자기를 날마다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라야 한다. 헛된 명예욕과 경쟁심, 성공주의, 출세지향적인 태도를 모두 버려야 한다. 오직 주님께서 맡겨주신 양떼를 돌보는데 최선을 다하며, 겸손히 성도들을 섬김으로써 성도들을 바르게 이끄는 '섬기는 자로서의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 사도바울처럼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고 성도들에게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습관을 좇아 기도하신 주님을 본받아 기도에 온 힘을 기울이는 무릎 꿇는 목회자가 되어야 한다. 목회자들은 철저히 자신을 쳐서 영적, 지적 훈련을 통해 잘 준비될 때, 교회를 교회되게 하며 성도들을 올바르게 인도하고 양육하는 하나님의 신실한 종으로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바람직한 목회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老人牧會를 통한 敎會成長 硏究

        서혜영 安養大學校 神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오늘날 대부분의 노인들은 한국사회가 근대화되고 산업화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도시화, 핵가족화로 인해 사회 속에서 외면당하고 있고 질병과 가난과 고독 속에서 불행한 노후를 보내고 있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들이 가지는 문제는 극단적인 경우에 노변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살을 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노인들이 삶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선처하는 노력이 범사회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21세기 초반은 선진국 경험에서 나타난 시행착오를 잘 검토하여 고령화 사회와 고령사회를 대비하는 정책이 장기적인 안목에서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개발도상국에서 후반 선진국으로 진입하게 될 우리사회는 이미 고령화 사회를 거쳐 고령사회 깊숙이 진전한 선진국의 노인복지정책의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시행착오를 거울삼아 우리 사회에 적합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유리한 역사적 발전 단계에 있다. 노인복지정책은 노인문제와 욕구에 대응하는 국가정책인데 대체로 4가지(소득 보장, 의료보장, 주거보장, 사회 서비스보장)분야로 생각할 수 있다. 최소한 생계유지와 상당한 정도의 여유 있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득 보장, 큰 부담이 없이 안락한 주택에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주거의 보장(주거보장), 질병에 대한 치료와 간호보호를 경제적 부담 없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보장, 신체적 독립과 심리 사회적 자기발전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 보장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 복지 정책의 4가지 분야 중에 소득보장과 의료보장 분야는 기본적인 틀을 갖추었으나 아직도 상당히 미흡한 상태에 있다. 선진국의 경험과 우리사회의 전통을 살려 21세기 초반 약 5년 간에 있어서 4가지분야의 노인복지정책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되어야할 것이다. 즉 소득보장과 의료보장과 같이 경제적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국가가 1차 적으로 책임을 져야하고 가족은 다만 노인의 여유 있는 생활과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위해서 필요한 비용을 보완해주는 의미에서 책임을 지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산업사회에서 가족이 부모의 생활비와 의료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경제적 보장은 국가의사회보장제도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주거보장도 국가가 가능하면 임대 주택 등을 많이 공급하여 노인개인과 가족이 재산의 많은 부분을 주택에 묶어 두지 않고 주거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노인에 대한 수발과 보호는 국가, 지역사회 및 가족이 같이 책임을 분담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책방향은 노인 개개인의 책임을 면제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개인의 노력은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한다. 또 국가는 노후를 위해 개인적인 준비가 필요함을 인식시키고 이를 위한 사회적 여건을 마련해주도록 하는 것도 중요함을 명심하여 야할 것이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로 노인의 인구변화는 급증하고 있는 것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러기에 노인문제도 여러 가지 사회문제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이러한 환경에 처한 노인들을 위하여 노후를 보람 있게 지낼 수 있도록 교회적 차원에서 그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최대한 마련하고 노인목회에 진력하여야할 것이다. 실제로 지금까지의 교회들은 노인문제에 그다지 관심을 두지 못했다 따라서 우선 목회자들이 노인목회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회의 목회적 사명을 외면하지 말아야할 것이다. 노인은 소외의 대상이 아니라 목회의 대상이며 섬김의 대상이 되어야하며 그들의 인력을 사장시킬 것이 아니라 유효하게 사용하는 유효인력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혼구원의 차원에서도 노인이야말로 심각한 목회의 대상이 되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노인들은 죽음에 임박한 대상이다. 그들은 임종하기 전에 주님을 만나야하며 여생을 주님과 함께 평안하고 의미 있게 살아야하는 대상인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이제노인들을 향하여 눈을 돌려야함을 강조하고 싶다. 교회는 노인목회를 위한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많은 자원을 매장시키고 있다. 이제 교회의 모든 시설과 인력은 노인목회를 위하여 과감하게 투자되어야할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목회자들은 노인목회를 위한 지혜로운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노인에 대한 사회적인 이해와 신학적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 또한 개인차원에서의 노인이해와 교회차원에서의 노인이해 그리고 지역차원에서의 노인이해를 바탕으로 노인들을 품에 안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노인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이는 노인들에게 접근할 수도 없을 뿐더러 그들을 감동시킬 수도 없으며 지속적인 노인목회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누구나 늙으면 나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불안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노인목회에 대한 확실한 사랑의 열정과 계획이 세워진 교회라면 안정적인 목회를 할 것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노인목회는 어느 한사람의 노력으로 되어지는 것이 아니며 또한 인위적인 힘으로 되어지는 것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목회는 노인에 대한 교회전체의 이해와 하나 됨에서 시작되어야 옳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 가운데 정착되어 가리라 믿는다.

      • 알코올중독자의 크리스찬 가족들의 목회적 돌봄에 대한 연구 : 자존감에 대하여

        김경동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교회내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자존감에 대하여 이론적 근거와 조사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가족들이 목회적 돌봄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자존감에 관한 상관관계 분석과 아노바(ANOVA)분석을 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알코올중독자 가족으로 인해 낮아진 자존감이 목회적 돌봄(말씀, 기도, 찬양, 구역예배)을 통하여 높은 자존감으로 회복하도록 돕는데 유익을 얻고자 하였으며, 알코올중독자 가족으로 고통 받는 많은 현대의 사람들에게 목회자들이 준비해야 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배경으로는 알코올중독과 그 가족들의 겪는 아픔에 대한 이해, 자존감에 대한 이론과 목회적 돌봄에 관한 자료를 문헌 연구를 하였다. 선행된 문헌 연구를 기초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본 논문의 실제적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자료의 분석 결과를 보면, 알코올중독자 가족들에 대한 목회적 돌봄을 통하여 자존감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신앙생활이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먼저 목회적 돌봄(말씀, 기도, 찬양, 구역예배)을 통해 그들의 영성과 신앙생활의 깊이를 더해 가도록 도우며, 자존감을 회복하도록 돕는 가운데, 알코올중독자 가족들의 아픔이 치료되고 회복되어 하나님께 더 큰 영광을 돌려 드리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astoral care for the Christian families of the alcoholics affecttheir self-esteem based on theoretical review and survey through the methodologie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correlation analysis of self-esteem of the alcoholic family and ANOVA. Thus,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mission of church is to restore the low self-esteem of the alcoholics’ family to higher level through pastoral care (Scripture, pray, praise, cell worship)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pastors to get prepared with for the modern people suffering as a family member of the alcoholics. As for the background, this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views on the alcohol dependence and alcoholic, suffering of their family, theories of self-esteem, and pastoral care.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 affecting the restoration of self-esteem of alcoholic family through pastoral care for them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faith.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alcoholic’s family should deepen their spirituality and faith through pastoral care (Scripture, pray, praise, and cell worship), and it is needed to forward the glory back to God when the sufferings of the alcoholic’s family is healed and recovered.

      • 지역사회와 소통을 지향하는 교육목회의 한 모델 : 광양대광교회의 아쿠아, 아로마, 아가페 사역을 중심으로

        김병곤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19

        교회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들의 원인에는 소통의 단절에서 오는 문제들이 많다. 그러한 소통의 부재는 교회 안에서, 교회의 조직과 조직, 목회자와 교인, 교사와 학생 등 다양한 관계 안에서 일어난다. 그동안 교회교육은 이러한 관계에 집중해서 문제를 다루어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그러한 관계를 지역사회와 교회라는 새로운 장으로 인도한다. 교회가 교회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들의 대한 대안을 교회 안에서만 찾으려고 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왜냐하면 교회란 원래 지역사회 안에 존재하고, 교회의 문제들은 지역사회의 문제들과 관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회교육의 문제도 마찬가지 이다. 따라서 교회는 교회와 지역사회라는 관계성 안에서 교회교육의 문제도 다룰 필요가 있다. 이는 단순히 교회가 지역사회를 위해 교육한다거나, 지역사회의 교육프로그램을 교회 안으로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누가 누구를 위하는 것이 아니고, 누가 누구의 도움의 받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서로를 존재론적으로 인정하면서 방법을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지역사회와 교회의 필요와 역량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교회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 후에, 그 구체적인 교육목회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소통은 자원, 인력, 시설, 재원, 경험, 프로그램, 비전 등 지역사회나 교회가 가지고 있는 모든 역량의 상호교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소통을 통하여 교회와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필요나 문제 해결의 열쇠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교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아쿠아, 아로마, 아가페 사역을 분석하고, 이 사역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통한 교육목회 을 분리, 조사, 보완한 후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통한 교육목회의 한 모델을 제시하려한다.

      • 칼빈의 목회사역에 관한 연구

        홍옥봉 계약신학대학원 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주지하다시피 칼빈은 개혁교회의 기초를 놓았으며 우리에게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하나님의 은혜라는 귀중한 신앙의 눈을 열어 주었다. 칼빈의 이러한 이신득의 사상의 저변에 깔려있는 그의 신앙철학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말씀중심의 목회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었다. 그래서 먼저 본 연구자는 프랑스 신학자이자 교회정치가이고 또 16세기의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도자들 가운데 한사람이었으며 서양의 근대 자본주의 정신의 형성에 공헌했던 사상가 칼빈의 생애, 그리고 사상, 신학, 정치, 사회면에 걸쳐 고찰해 보았다. 칼빈 사상의 복합적이고 정치적인 특성을 인식하는 것이 결국 그 자신의 시대에 그의 이름을 붙이게 되는 그 운동이 성공한 것과 전혀 다른 상황에 있던 다음 세대들에게 그 운동이 지속된 것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 후의 칼빈주의자들은 그에게서 이 불안정한 혼합을 상속했다. 대립적이고 변화하는 충돌들 사이에서의 불확실한 균형인 칼빈주의는 중세 후기교회와 동일한 방식으로 철저하게 와해되게 되었다. 그러나 또한 그는 그리스도인이 흔들림 없고 검소한 생활을 하도록 생활규범으로 제시하여 권면하고 교훈한다. 또 신학적 측면에 있어서 칼빈은 우리가 본받아야 할 역사의식을 보여 주었다. 그는 교부들의 기독론을 알고 있었고, 또한 그는 니케아 회의와 칼케톤 회의의 가르침을 이해하고 있었다. 너무나 많은 오늘날의 신학도 들은 역사적 계류가 결핍되어있다. 칼빈은 기독교 교리의 역사에 대한 지식을 함양할 것을 우리에게 권면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목회자로서의 칼빈을 살펴보았다. 그는 형이상학적인 목회철학을 가지고 오직 하나님 중심의 목회를 하였다. 이러한 그의 신앙 때문에 그가 성경 중심, 말씀 중심의 목회로 일편단심 나아가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또한 그에 의하면 목회자는 순수해야 하는데 이는 오로지 설교자로 설 때에 가능 하다고 했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단순히 성경지식을 전달하는 자로서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는 인격으로서 그들 회중에게 설교하고 교육해야한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칼빈의 교회관을 바울의 교회관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는데 칼빈의 교회관은 로마 카톨릭 교회의 교황중심, 교권중심에 대하여 어머니로서의 교회를 이야기하되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를 나누어 설명하면서 가시적 교회의 회원이 꼭 불가시적 교회의 회원이 아님을 이야기하였다. 단지 가시적 교회의 표지로서 우리가 미루어 짐작 할 뿐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러면 가시적 교회의 표지는 무엇인가? 칼빈은 말씀의 선포와 성례의 정당한 시행 뿐 이라고 했다. 지상에 있는 교회를 규정짓는 다른 요소를 성경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가 없다는 것이다. 교회의 건물이 있든 없던 그들이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신앙을 고백하고 그 고백 위에 세례를 받으며 성찬을 행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교회라고 부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를 중심으로 한 그의 말씀사역은 교회사역에 국한 되지 않고 세속정치와 경제 문화 등의 전반에까지 나아가도록 한 것이 그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성만찬에 대한 의식과 공예배에 대한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한국교회의 샤머니즘적 기복적 신비주의적 경향에서 탈피할 수 있는 출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한마디로 칼빈은 위대한 종교 개혁자였으면서도 실제 목회사역에 종사했던 자로서 그의 신학사상이 이론에서 끝나지 않고 오늘의 목회 현장에서 사역하고 있는 목회자들에게 실제적인 안내와 길을 인도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인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것이다.

      • 한국교회 목회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희정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한국사회 안에서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우며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나가는 목회자에 대한 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목회자의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과 사회심리학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와 영향력을 검증하여 목회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혀내어 더 나은 목회와 교회 회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10년 11월 8일부터 26일까지 18일간 진행되었고 연구 대상은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의 63개 전체노회 중에서 무작위 표집방식으로 선정된 560개 교회의 담임목회자와 부교역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자료 13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평균비교분석(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결과 남자 목회자가 123명으로 93.9%로 절대 다수가 남자목회자임을 보이고 있었으며, 평균연령은 51.6세로 매우 높은 연령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98.5%가 기혼이라고 응답하였고, 신대원만을 졸업한 목회자가 34.4%, 신대원 졸업 후 대학원을 졸업한 목회자도 33.6%의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또한 목회연수는 11-20년이 35.9%, 결혼연수는 21-30년이 37.4%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고, 자녀수는 2명인 목회자가 66.4%의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가족수입은 16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목회자가 32명으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교인수는 45%의 목회자가 50명 미만의 교인인 교회에서 목회하고 있었으며, 지난 6개월간 교인수의 변화에 대한 질문에 증가가 71.0%가 정체 또는 감소를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37.4%의 목회자가 현재 교회 시무기간 5년 미만이었으며, 응답자의 84%가 담임목사였다. 그리고 교회의 지역위치는 읍,면(농어촌)이 44명, 시·군(중소도시)가 44명, 대도시(광역시이상)이 43명으로 비슷한 빈도를 보였다. 둘째, 분산분석결과 교회의 지역위치가 목회자의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즉 도시지역에 위치한 교회의 목회자들이 읍,면(농어촌) 지역에 위치한 교회의 목회자들보다 정서적 스트레스를 높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심리학적 요인 즉 소명감과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의 회귀분석에서는 소명감과 자아존중감 모두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립변인 전체와 스트레스와의 회귀분석에서는 소명감은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P값이 0.071로 근사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이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소명감은 대부분의 목회자에게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자아존중감에는 많은 차이를 보이면서 목회의 특수한 상황과 환경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목회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명감보다는 자아존중감이 낮은 목회자일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립변인들과 스트레스와의 회귀분석결과는 자아존중감이 가장 음(-)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그 다음으로는 교회의 지역위치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는 높게 나타났으며, 도시지역일수록 목회자의 정서적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목회자의 스트레스 요인의 감소를 위한 제언과 함의를 논하였다.

      • 牧會者 리더십 類型別 分析을 通한 地域敎會 리더십 活性化 方案

        김재환 總神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ABSTRACT A Plan of Activation of Local Church Leadership through Analysis of Pastoral Leadership by Type Jae-Hwan Kim Major in Church Growth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Pastoral Theological Chongshin University The significance of leadership can not be too emphasized. For the leadership can affect greatly depending on its degree. It is applied as the same to any communities, groups, enterprises, or churches. To which direction a church or a group would be flowing relies on the role of a leader who represents the group. The destiny of a community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ort of leadership that will be exerted. Especially in the case of church, as the leadership tends to be inclined to an individual minister, the aftermath is beyond imagination. The healthy leadership of a minister helps members of the church live healthy life and presents the cause of healthy growth of the church. Therefore, it is urgent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pastoral leadership and to make efforts to grow a healthy church.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activate and apply the leadership that is matched with the reality of local churches and how to be able to have a sound effect, seeing the ever confused local churches because of absence of leadership, though there have so far been lots of discussion of leadership. Accordingly, now in the situation that Korean church fell in the uncontrollable troubles due to the issue of leadership after seeing considerable growth, it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o present a model of how the pastoral leadership has a proper effect on the community. Concerning the effect that the leadership by situation or by the type of local churches has on church growth, the biblical theory is well grafted to the examples of each local church. It is the value of this study that is available as a practical resources to churches and ministers who are confused due to the absence of leadership. This study is composed of 6 chapters. The theme of each chapter is as follows ;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understanding of pastoral leadership by each field, chapt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pastoral leadership and the growth of local church, chapter 4 case studies of church growth through pastoral leadership, chapter 5 a plan of activation of local church through pastoral leadership, and chapter 6 conclusion. Chapter 1 the introduction emphasized the influence of leadership in the situation that the church lives in the exposed era, pointing out that the most urgent necessit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a leader, mentioning that to which direction a church or a group would be flowing relies on the role of a leader who represents the group. In addition, it urged to make an alternative for leadership development by any means, mentioning various discussions of leadership so far. It also raised questions about activation of leadership and presented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Chapter 2 researched theoretically of the understanding of pastoral leadership by each field. Paragraph 1 investigated the general flows of leadership for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pastoral leadership concerning 'what is pastoral leadership?' Paragraph 2, concerning biblical understanding of pastoral leadership, discussed types of leadership appearing in the Pentateuch, the History books, the prophets, the Gospels, and the Epistles. Paragraph 3, concerning historical understanding of pastoral leadership, discussed transition of leadership appearing in the Early church, the Mediaeval church, the Reformation era and the Modern church, in terms of background of era. Paragraph 4 described the importance of servant leadership through understanding of Jesus' leadership that can be said as the model of leadership. Paragraph 5, concerning understanding of modern church on pastoral leadership, investigated John Maxwell's law of unchangeable leadership, Henry Blackaby's spiritual leadership, Rick Warren's purpose-oriented leadership, and Stephen Covey's principle-oriented leadership. The direction of pastoral leadership was presented through leadership theories covering the bible, the history, and the modern church. Chapter 3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astoral leadership and the growth of local churches. As leadership can appear variousl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sposition and the given circumstances, paragraph 1 analyzed the pastoral leadership by type. The 5 types by Robert Clinton, a professor of leadership a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were investigated. Paragraph 2 researched the situation of local churches on which the pastoral leadership has an effect by dividing into planted churches, small churches and middle & big size churches. It was emphasiz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leadership appropriate for each situation. Paragraph 3 presen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local churches and the pastoral leaderships. It was asserted that a pastor should have an excellent spirituality, present vision to the church members, exert the leadership to grow and stand men, and be prepared with professionalism in ministry. Paragraph 4, concerning the leadership required for the growth of local churches, discussed the leadership required from the rural area, urban area and redevelopment area. It was found out that an efficient leadership should be exerted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Chapter 4 conducted case studies of churches grown through pastoral leadership. Paragraph 1 investigated how much the stable leadership change is related to church growth, with the case of Bujeon Church i 【국문초록】 목회자 리더십 유형별 분석을 통한 지역교회 리더십 활성화 방안 리더십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리더십은 그 정도에 따라 엄청난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것은 어느 공동체나 단체, 기업, 교회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 교회나 한 단체가 어디로 흘러가느냐는 그 단체를 대표하는 리더의 역할에 달려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리더십을 발휘하느냐에 따라서 공동체의 운명이 달라질 수 있다. 특별히 교회는 목회자 개인에게 리더십이 편중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잘못된 경우에는 상상하기 힘든 일이 일어나게 된다. 목회자의 건강한 리더십은 교인들의 건강한 삶을 살아가도록 돕고, 교회가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한 원인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목회자가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갈수록 리더십의 부재로 인하여 혼란스러운 지역교회를 보면서 현실에 맞는 리더십을 활성화하여 적용시키고 어떻게 건강한 영향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한국교회가 어느 정도 성장한 이후에 목회자 리더십의 문제로 인하여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 목회자의 리더십이 지역의 상황에 맞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모델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지역교회의 상황별, 유형별 리더십이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성경적인 이론과 지역교회별 실제 사례를 잘 접목하여 리더십의 부재로 인하여 혼란을 겪고 있는 교회와 목회자들에게 실제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논문이라는데 그 가치를 둘 수 있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별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목회자 리더십에 대한 분야별 이해, 제3장 목회자 리더십 유형과 지역교회 성장과의 관계, 제4장 목회자 리더십을 통해 성장한 교회 사례연구, 제5장 목회자 리더십을 통한 지역교회 활성화 방안, 제6장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은 서론적 연구로서 기독교가 여러 면에서 노출된 시대를 살아가는 상황에서 리더십의 영향력을 강조하며 이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한 교회나 한 단체가 어디로 흘러가느냐는 그 단체를 대표하는 리더의 역할에 달려있으며 그 역할의 중요성을 말하였다. 그리고 그동안의 목회자 리더십에 대해 언급하며 리더십 계발을 위해서 대안을 만들도록 촉구했다. 그리고 리더십 활성화에 대한 문제 제기와 선행 연구, 연구 목적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목회자 리더십에 대한 분야별 이해에 대해서 이론적 연구를 하였다. 제1절에서 목회자 리더십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목회자 리더십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위해 리더십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보았다. 제2절에서는 목회자 리더십에 대한 성경적 이해에 대해서 모세 오경에 나타난 리더십, 역사서에 나타난 리더십, 선지서에 나타난 리더십, 복음서에 나타난 리더십, 서신서에 나타난 리더십을 논하였다. 제3절에서는 목회자 리더십의 역사적 이해에 대해서 초대교회에 나타난 리더십, 중세교회에 나타난 리더십, 종교개혁 시대에 나타난 리더십, 근․현대교회에 나타난 리더십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리더십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제4절에서는 리더십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예수님의 리더십 이해를 통해서 섬김 리더십의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제5절에서는 목회자 리더십에 대한 현대 교회의 이해에 대해서 존 맥스웰의 리더십 불변의 법칙, 헨리 블렉커비의 영적 리더십, 릭 워렌의 목적 지향적 리더십, 스티븐 코비의 원칙 중심의 리더십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성경과 역사와 현대교회를 아우르는 리더십 이론을 통하여 목회자 리더십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목회자 리더십 유형과 지역교회 성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리더십은 개인의 성향이나 주어진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제1절에서는 목회자의 리더십을 유형별로 분석해 보았다. 풀러 신학교 리더십 교수인 로버트 클린턴의 5가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2절에서는 목회자 리더십이 미치는 지역교회의 상황에 대해서 개척교회와 소형교회와 중·대형교회의 리더십으로 나누어서 연구하였다. 또한 유형별로 상황에 맞는 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제3절에서는 지역교회 성장과 목회자의 리더십의 유형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제시하였다. 목회자는 탁월한 영성을 소유해야 하고, 교회 구성원들에게 비전을 제시해야 하며, 사람을 키워서 세워주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며, 목회의 전문성을 갖추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제4절에서는 지역교회 성장에 요청되는 리더십에 대해서 농촌 지역과 도시지역과 재개발 지역에서 요청되는 리더십에 대해서 논하였다. 각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목회자 리더십을 통해 성장한 교회를 사례별로 연구하였다. 제1절에서는 안정적인 리더십 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