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입양을 통한 교단의 미래 선교정책 방안 연구

        이진수 총신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34319

        <국문 초록> 입양을 통한 교단의 미래 선교정책 방안 연구 이 진 수 지도교수 성남용 우리나라의 현대 입양은 해리(Harry Holt)에게 닥친 큰 고난(심장병)으로 시작되었다. 6개월을 투병하며 받은 치유는 서원의 선물이었다. 마침내 1955년 6월 3일, 해리 홀트는 한국 땅을 밟았다. 여행하는 동안 두려운 마음을 달래기 위해 펼쳤던 하나님의 말씀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순간이었다.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하여 네 자손을 동쪽에서부터 오게 하며 서쪽에서부터 너를 모을 것이며, 내가 북쪽에게 이르기를 내 놓으라. 남쪽에게 이르기를 가두어 두지 말라. 내 아들들을 먼 곳에서 이끌며, 내 딸들을 땅 끝에서 오게 하며, 내 이름으로 불려지는 모든 자 곧 내가 내 영광을 위하여 창조한 자를 오게 하라. 그를 내가 지었고, 그를 내가 만들었느니라.”(사43:5-7) 교회로 회집하는 모든 권속들은 하나님께 입양된 자들이다. 이미 그들은 허물과 죄로 죽은 죄인들(엡2:1)이었지만 이런 사람들을 하나님은 자기의 피로 값 주고 사신 교회에 불러 들이셨다.(행20:28) 그런 고로 성도들의 자기 정체성은 하나님께 입양된 죄인이다.(롬8:15) 매년 요보호아동은 만 여명정도 발생한다. 입양아동은 한부모가정이나 시설에서 성장한 아동보다 인지, 신체, 정서, 사회 등 모든 발달 측면에서 우수하고, 정상적인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과 비교해 볼 때 통계적인 차이가 없다고 한다. 하지만 국내입양은 아직도 어렵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인구는 줄고 있으며, 고령화로 가는 시기에 해외입양은 인구 감소의 또 다른 이유가 된다. 그래서 해외입양 쿼터제를 2007년부터 시행하게 되었지만 국내입양도 줄게 되는 역풍을 맞았다. 이제 2012년 8월부터 입양특례법이 시행되면 입양 절차엔 가정법원이 개입하게 되기 때문에 입양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아우성들이다. 요보호아동은 일정하게 발생되고, 입양 등의 보호조치는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목회자들은 선교적목회(Missional Pastoral Ministries)를 통해서 교회가 세상에 대한 책임을 감당해야 한다. 선교적목회(Missional Pastoral Ministries)는 선교적 교회론(Missional Church)의 시각으로 접근∙시행하는 모든 목회 활동(목회적 돌봄, pastoral care)을 말한다. 이제 교회는 대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 할 때가 되었다. 본 연구는 (공개)입양을 주제로 접근한다. 교회의 대사회적인 사명을 위해서 목사후보생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이들이 목회현장에서 사역할 시기를 준비하는 것으로 연구의 흐름을 잡았다. 그 결과로 볼 때, 목사후보생들의 입양의식은 일반적이었다. 입양할 의향이 있고, 입양의 필요성을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 입양할 동기도 건전하고 입양하는 것에 대한 장애 요인도 잘 알고 있었다. 또한 자녀가 있지만 선교적 마음으로 입양하는 자세나 입양에 대한 성경적인 입장도 분명했다. 하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입양과 선교적 사역과는 다소 연결이 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선교적입양은 선교적목회를 실천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선교적입양을 위해서 선교적목회는 문화목회와 복지목회로 접근해야 한다. 입양을 문화 혹은 복지로 접근하면서 선교적인 시각으로 대안을 찾는 것이다. 입양을 홍보하는 것도 처음 입양에 대한 피상적인 홍보는 CF 등으로, 이제 입양을 이해하는 분들에게는 다큐멘터리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홍보하며 마음의 문을 열어야 하고, 이런 사역을 지속화시키기 위하여 교단은 정책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노회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총회 복지법인을 중심으로 선교적입양 사역을 지속화 시켜야 할 것이다. 목사후보생들의 입양 의식을 높이면 선교적입양과 성경적 입양관을 공고히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기에 입양에 관한 동기부여가 되도록 교단의 입양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 Vision 2020 實踐運動을 中心으로 한 韓國 軍宣敎의 宣敎學的 分析 : 入隊 前 信仰人으로 2000年 以後 陸軍에 服務한 司兵들을 對象으로

        남송현 總神大學校 牧會神學專門大學院 2007 국내박사

        RANK : 234319

        한국 군대의 진중에서 예배가 시작된 지 약 년이 되어가는 60 지금 한국의 군선교는 매우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1995년 태동된 비전 2020 실천운동과 그 운동을 중심으로 한 한국 기독교 군선교 연합회의 사역이 10년의 결실을 수확하였다. 그동안 한국 교회는 미래 한국 교회의 소망이자 세계 선교의 소망인 젊은 청년들을 향한 선교 사역의 중요성을 인식해 한국기독교 군선교연합회와 마음을 같이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0년 간 매년 평균 16만 명이 넘는 젊은 청년들에게 세례를 베푼 것은 세계 선교사에도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놀라운 일이었다. 그동안 한국기독교 군선교연합회는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제자가 되었고, 설사 당장은 믿지 않더라도 세례를 받았기 때문에 예수를 믿게 될 것이라고 한국 교회에 보고해 왔다. 그렇게 세례를 받은 청년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다면 훈련소를 중심으로 집단 세례를 베푸는 것은 분명 전략적인 선교로서 가장 탁월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13년 동안 현장에서 사역을 진행해 오면서 집단세례의 결과가 보고와 많이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세례를 받은 대다수의 형제들이 세례의 의미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고, 체계적인 세례 교육을 받지 못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혜를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사병들이 통제된 사회에서 진행되는 행사에 여러 가지 다른 목적들을 가지고 참석하여 세례를 받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비전 2020 실천운동을 중심으로 한 한국의 군선교에 대해 선교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는 시도가 없었다. 집단 세례를 중심으로 한 군선교에 대한 분석은 세례의 신학적 측면을 다루는 선교신학과 군대를 선교지로 이해하는 선교문화인류학과 집단세례의 전략적 측면을 다루는 선교전략의 분야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모든 측면을 다루기 위한 선교학적 분석이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비전 2020 실천운동의 훈련소의 집단 세례식에 대한 선교학적 분석을 사회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했다 먼저 훈련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집단 세례식과 선교전략에 대한 바른판단을 할 수 있는 연구대상을 설정했다. 비전 2020 실천운동이 정상궤도에 오른 2000년 이후에 육군에 복무한 사병들 중 입대하기 전부터 10년 이상 신앙생활을 한 184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별했다. 연구도구로 설문지를 만들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가치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연구 결과는 지난 10년 간 진행되어 온 비전 2020 실천운동의 이제까지의 보고와는 달리 선교의 동기로부터 전략적 목표와 방법에 이르기까지 전면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훈련소에서 실시되는 집단 세례는 회개하여 믿음으로 구원받은 사람들에게 베풀어지는 성례로 인식되지 않고 있고, 군선교 사역자와 기관에 의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도 않고 있으며, 2년 간 군생활을 통해 세례를 받았기 때문에 기독교 신자가 되는 경우도 거의 찾아볼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육군에 복무한 사병들은 군선교가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선교사로서 사역자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자대 교회들에서 장병들에게 맞는 말씀이 선포되고 체계적인 양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본 논문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드리는 바른 군선교가 진행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연구 성과물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완성은 아니다. 군선교를 선교학적으로 분석해 본 처음 시도라고 하는 것이 옳다. 아직도 학문적으로 연구해야 할 부분들이 많이 있으며, 그 연구들을 통해 얻어진 현실 상황에 근거한 성과물들을 가지고 체계적인 분석과 종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지금부터라도 한국 교회와 한국기독교 군선교연합회와 선교현장에서 헌신하는 모든 사역자들이 열린 마음으로 진지하게 선교학적 논의를 진행하여야 한다. Almost 60 years after Christian worship began in the South Korean military, the ministry stands at a crucial turning point. The Vision 2020 Movement and military ministry centered around it have now reaped 10 years' harvest. Throughout this time, the Korean Church,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young people's ministry, provided generous support. It is a wonderful unprecedented event even in the history of world missions to have over 160 thousand young people being baptized annually for the last 10 years. And it has been reported to the Korean Church that those young people baptized in the military became Christ's disciples through faith, and even if a few of them did not accept Christ immediately, they would at some point because of the baptism they had received. If this report were true, mass baptism in military training centers around Korea would be a strategically excellent way of evangelism. However, the author of this paper, having ministered in the military for 13 years, recognized that the result of mass baptism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has been reported. The large majority of those baptized did not even understand the meaning of baptism, did not receive systematic pre-baptismal teaching, and eventually failed to know Christ's saving grace. Despite this being the actually situation, there has been no study of military ministry centered around Vision 2020 that analyzes it from a missions perspective. Military ministry centered around mass baptism is closely related to mission theology which deals with the theological aspect of the baptism, to mission cultural anthropology which helps define military ministry as missions, and to mission strategy which deals with baptism's strategic aspect. A study analyzing all these aspects from a mission perspective is clearly in need. In response, this paper offers an analysis from a missions perspective regarding mass baptism currently being practiced in the Korean military by the Vision 2020 Movement. The study uses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It asked 184 young people who had been Christians for over 10 years before serving in the Korean Army after the year 2000 when the Movement became fully active. Based on the survey data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Vision 2020 Movement which began 10 years ago needs a complete revision, in areas ranging from mission motive to strategic objective and method. Currently, mass baptism in the military is not being perceived as a holy practice for those who have repented and accepted Christ. There is no systematic Christian education being offered by military chaplains, and it is hard to find those who became Christian from receiving baptism during their 2 years' time in the military. Based on the feedback from enlisted soldiers, it is clear that chaplains who are specialized as missionaries are needed, and that preaching needs to be more targeted toward the audience's needs, and that systematic teaching and care is needed. This paper's findings are important for military ministry to be more pleasing to God. It is arguably the first study to analyze military ministry from a missions perspective. Yet this study's findings are only the starting point for many more areas to be researched. Above all, this paper calls the Korean Church and those serving as military chaplains to begin a sincere discussion about the necessity for a missionary approach to military ministry.

      • 개혁주의 선교신학의 입장에서 본 Missio Dei에 대한 비판과 선교적 교회론

        장정훈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34287

        1910년 에딘버러에서 열린 선교대회를 통하여 선교개념은 획기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선교방식이 급속하게 퇴색하기 시작한 것이다. 에딘버러 선교대회는 WCC의 교리적 기초를 놓은 대회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주장은 모든 기독교 교파가 서로 화해하고 단합해야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면서 성경의 무오설과 절대성을 부인하면서 오히려 기독교가 분열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 에딘버러 선교대회를 통하여 반세기 동안 선교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개념이 Missio Dei다. 이 개념이 초기에는 주로 진보적 개신교 진영에 의해 수용되었지만 잇따라 동방정교회과 가톨릭교회 그리고 복음주의자들 조차도 수용하기에 이르렀다. 결국은 이 Missio Dei 개념이 거의 모든 기독교 교회에 의해 수용되었으며, 교회들의 선교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데이비드 보쉬(David J. Bosch)는 그의 책 “Transforming Mission”을 통하여 지난 반세기의 선교신학에서 가장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개념이 Missio Dei였다고 말했다. 이러한 Missio Dei 선교개념은 결국 심각한 선교신학의 갈등을 유발했다. 개혁주의적인 전통적 선교개념이 심각하게 공격을 받게 된 것이다. 선교의 주체는 교회이고, 교회의 확장이 곧 선교라는 교회의 선교(Missio Ekklesiae)라는 개념이 약화되어 버린 것이다. 선교가 영혼 구원만이 아니라 인간을 포함한 전피조 세계로 넓혀진 것이다. 호켄다이크(Hoekendijk)는 선교의 목적이 “교회 설립”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종교개혁자들이 고전적인 선교와 복음전파에 대한 개념이 지나치게 시간에 제한을 받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복음전파와 선교의 목적을 개인의 구원에 두기 보다는 땅위에 샬롬을 건설하는데 있다고 역설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Missio Dei의 개념이다. 호켄다이크는 개종자를 얻기 위하여 선교사를 파송하는 것이 선교가 아니라 역사에 일하시는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것을 선교로 간주하면, 사회참여, 정치참여 등 사회적 행동에 중점을 두었다. 즉 교회의 모든 활동이 다 선교활동이라는 Missio Dei 개념은 전 세계 교회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문제에 직면하면서 필자는 Missio Dei의 개념을 바르게 정립하면서 선교적 교회론을 모색하였다. 개혁주의 선교신학은 칼빈의 선교론에서 찾았다. 필자는 우선 Missio Dei 개념이 WCC 선교 역사에 미친 영향들을 고찰하였다. 가장 먼저 교회론을 연구하였다. 데이비드 보쉬의 “Transforming Mission”을 통하여 태동하게 된 Missio Dei의 선교개념은 칼 바르트(Karl Bart)의 교회론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교회는 세상을 위한 Missio Dei에 참여하고 봉사해야 할 하나님의 도구라는 선교개념을 가졌다.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교회론은 교회는 타인을 위해 존재할 때만 교회답다고 했다. 몰트만(Jürgen Moltman)의 희망의 신학에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위한 교회와 세상을 새롭게 하기 위한 교회 이외에 다른 것일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반하여 개혁주의 교회론으로써 칼빈주의 교회론을 비교 연구했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Missio Dei 이론의 역사적 신학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데이비드 보쉬의 “Transforming Mission”은 Missio Dei 이론의 배경을 이루는 것이므로 이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선교학자들이 보쉬의 “Transforming Mission”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간과해서는 안되는 것이 그의 책으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 개신교 선교신학 정립에 심각한 도전을 하게 되었고, WCC의 비성경적 선교개념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Missio Dei 이론적 배경을 연구와 함께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 배경을 연구했다. Missio Dei는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를 통하여 구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작년 부산에서 10차 회의까지 살피면서 Missio Dei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WCC 선교신학은 삼위 하나님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하나님과 성령님을 약화시키고 인간 예수만을 강조하는 성향을 보았다. 기독교가 영혼 구원을 통한 영생을 주는 종교가 아니라 인류 공통의 선과 윤리를 실천하는 윤리적 종교로 전락시키는 결과인 것을 역사적 대회들을 살피면서 제시하였다. 또한 신학적인 배경으로서 Missio Dei에 영향을 끼친 리츨(Albrecht Ritschl)과 칼 바르트 그리고 비체돔(G. F. Vicedom)과 호켄다이크의 주장을 고찰했다. 이들의 신학을 통하여 Missio Dei 선교개념의 발전과정을 연구했다. 이와같은 Missio Dei 선교개념의 발저과정을 살펴보고 WCC 선교사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를 했다. Missio Dei 개념을 통하여 선교에 미친 영향으로써 해방신학과 희망의 신학, 세속화 신학, 민중신학을 그리고 다원주의와 포괄주의를 살펴보았다. 전통적 선교의 개념에서 점차적으로 사회복음이 등장하게 되고, 타종교와의 관계가 대두되면서 Missio Dei가 부각되었다. 그리고 선교의 목표를 인간화로 규정하고, 현세의 복락이 구원이라는 주장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사상이 발전하면서 지상 복락을 위한 공해, 자연에 대한 문제가 다루어지게 된 것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보수적 장로교회 Through the Mission Conference which was held in Edinburgh 1910, the idea of mission began to flow into an epoch-making direction. It means that the mode of traditional mission began to decline. We can say that the Mission Conference in Edinburgh was the conference which laid a doctrinal foundation of WCC. Speaking of WCC argument, since WCC strongly insists that all Christian denominations should live in harmony and strengthen the unity and they also denies the inerrancy and absoluteness of the Bible, WCC's insistence provides the cause of division against Christianity, instead. Through the Mission Conference of Edinburgh, the idea of Missio Dei has become a idea which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mission for a half century. In the beginning this idea was mainly accepted by the group of progressive Protestant Church, but even the Eastern Orthodoxy Church, Catholic Church, and evangelists came to accept the idea of Missio Dei one after another. Eventually, the idea of Missio Dei has been accepted by almost all Christian churches, and it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mission of the Churches. David J. Bosch, through his book "Transforming Mission," says that the idea which has brought the most crucial change in the theology of mission for a half century is the idea of Missio Dei. Such missiological idea of Missio Dei lead to the serious conflict in the theology of Mission in the long run. It means that the traditional missiological idea of reformed church is under serious attack. Through this attack, the idea of church mission(Missio Ekklesiae) in which the main body of mission is a church and extending the church is the mission itself has died down, As a result, the church mission is extended to the boundaries of saving human soul as well as those of all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Hoekendijk points out that it is wrong to define the goal of mission as "Planting the church." Moreover, as he points out that in the religious reformers the idea of classical mission and gospel spread is restricted in the time excessively, he stresses that the goal of spreading the gospel and the goal of mission is to establish the shalom on this earth rather than to set on the personal salvation. This is the very idea of Missio Dei. As Hoekendijk thinks that mission is not to dispatch the missionary to convert a person Christianity, but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God who is working in the history, he puts emphasis on the social action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etc. That is, the idea of Missio Dei in which all activities of the church are included in the mission activities has tremendous influences on the church of the whole world. Being faced with this problem, this dissertation explores ways toward the missiological ecclesiology as this dissertation establishes the idea of Missio Dei correctly. For a start,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influences in which the idea of Missio Dei has effect on the missiological history of WCC, and this dissertation studies the ecclesiology first of all. The missiological idea of Missio Dei which has its earliest beginning through Bosch's "Transforming Mission" has in common with Karl Barth's doctrine of Church(ecclesiology). Karl Barth has a missiological idea in which the church is God's tool which has to participate in and serve the Missio Dei for the world. According to Bonhoeffer's doctrine of church, the church will be the church worthy of name only when the church exists only for others. In the book of the theology of hope, Jurgen Moltmann says that there is nothing else the church for the kingdom of God and for transforming the world newly. On the contrary to this, as the reformed doctrine of the church, this dissertation makes a comparative study on Calvin's doctrine of church. Based on such research,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theory of Missio Dei. Since D. Bosch's "Transforming Mission" forms the background of the theory of Missio Dei, this dissertation concentrates on it. Bosch is accepted uncritically, but we must not overlook this fact that the idea of Missio Dei originated on his book causes a serious problem today. Therefore,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Missio Dei with the study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Missio Dei. Missio Dei has taken its form through the Mission Conference of Edinburgh in 1910; and this dissertation has studied the transition process of Missio Dei as it investigates the Missio Dei until the 10th conference in Busan. Missiological theology of WCC emphasizes God the Trinity; however, as a matter of fact, theology of WCC has shown the inclination to weaken God and the Holy Spirit as it only emphasizes Jesus as human being. This dissertation, as it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onferences of WCC, suggests that in the missiological theology of WCC, Christianity has been reduced to an ethical religion which only practices the common human good and ethics rather than Christianity offers an eternal life through saving the soul. Moreover. this dissertation, as a theological background, examines the ideas of Albrecht Ritschl, K. Barth, G.F. vicedom, and Hoekendijk, which have an effect on the Missio Dei. This dissertation, through the theology of those theologians, also studi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issiological idea of Missio Dei. Likewise,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issiological idea of Missio Dei, and studies the elements which has an effect on the missiological idea of WCC. As the influences transmitted by the idea of Missio Dei,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theology of liberation, theology of hope, theology of secularization, theology of peopl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religion. The idea of Missio Dei among the traditional ideas of missiology is gradually highlighted as the social gospel appears and the relation wi

      •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 연구

        정충길 총신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34271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 연구 정 충 길 지도교수 성남용 한국교회 초창기 선교사들은 ‘선교하지 않는 교회는 장로교회가 아니다’라고 할 정도로 선교에 대한 강한 도전을 주었다. 1907년 첫 선교사를 파송한지 100년이 넘은 지금 한국은 해외선교 2위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더 감당할 사명이 많음에도 다소 침체되거나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이 선교임을 감안할 때 선교의 열정은 더욱더 증가해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사명에 부응하는 길이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 활성화를 이루는 길이다. 한국교회의 7~80%의 작은교회들이 선교의 열정은 가지고 있지만 어떻게 선교해야할 지에 대한 바른 로드맵이 주어지게 된다면, 홀로 감당할 수 없는 선교를 네트워킹을 통하여 협력으로 이루어 나아간다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음을 바라보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인 요청에 의한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에 동참과 협력을 이루기 위한 노력의 일환인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회의 선교 현황을 살펴보며, 작은교회의 개념, 역사 및 현황 그리고 작은교회 선교 동원의 실제를 살펴 보았다. 필자는 본 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첫째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에 대한 의식과 참여실태, 둘째 작은교회들이 해외선교에 참여할 때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 셋째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 활성화를 위한 협력방안이라는 세가지 질문을 통해 접근하였다.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에 대한 의식은 선교에 참여함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실상은 제대로 된 선교활성화에 대한 척도가 없이 형성된 의식이었다. 선교사의 보고로부터 시작된 선교의식이 실제적인 선교의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제약에 부딪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선교를 위해서 물질적인 후원을 가장 앞세웠지만 현장에서는 재정적인 부담으로 선교의 제약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다. 선교는 돈이다. 그러나 무릎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인식부터 새롭게 세워나가야 한다. 더 나아가 작은교회가 힘써 해야 함에도 홀로 할 수 없는 부분을 네트워킹을 통하여 협력관계로 새롭게 도전해 나아가야 한다. 특히 작은교회들을 담당하는 목회자들을 위한 선교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목회자의 의식이 교회를 세우고 교인들을 일깨우는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이 한국의 7~80의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에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작은교회들의 해외선교 활성화를 위한 노력은 이제 시작되었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사역이기 때문에 분명 작은교회들은 적극 협력할 것이다. 누군가 이 협력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것이 오늘 우리의 몫이며 사명인 것이다.

      •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와 사역에 나타난 선교 접촉점 연구

        고창덕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34271

        <국문 초록>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와 사역에 나타난 선교 접촉점 연구 고 창 덕 지도교수 최명근 17세기에 영국과 미국에서 일어난 청교도 선교 운동은 초기 개혁가들이 가졌던 상황적 제한을 뛰어넘어 개혁주의 신학 속에 이미 내포되어 있는 선교 신학의 열매를 맺으며 구체적인 선교의 결실로 나타났다. 이러한 청교도들의 선교 사상은 그대로 18세기의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와 데이비드 브레이너드(David Brainerd, 1718-1747)에게 전달이 되고 인디언 선교 사역뿐만 아니라 위대한 선교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19세기에 전 세계 오지를 향한 선교의 기폭제 역할을 하는데,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가 편집한「데이비드 브레이너드(David Brainerd)의 일기」가 18세기에 현대 선교의 아버지라 불리는 윌리엄 캐리(William Carey)를 비롯한 후대의 선교사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향력을 연구하는 일은 현재 위기에 봉착해 있는 한국선교의 지난 발자취를 돌아보고 선교사로서 가져야 할 진정한 자질이 무엇인가를 다시 점검해 보게 하는 의미 있는 일이다. 또한 이미 다문화사회로 접어들어 국내외적으로 선교를 감당하고 있는 한국교회가 폭넓은 선교의 접촉점을 마련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와 사역, 선교 접촉점을 알아보기 위해 생애사적인 특징과 인디언 선교사역의 특징,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선교사역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조나단 에드워즈 목사가 편집한「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일기」를 중심으로 연구하되, 먼저 선교사로서의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삶을 조명해 보고 평가였으며, 17세기 아메리카 인디언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처한 선교환경을 살펴보고, 사역자로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주고받은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삶을 통해서 얻게 되는 도전에 온갖 육체적인 환경적인 역경 속에서도 하나님을 진지하게 찾으려 몸부림치는 사람이었고 그런 영성의 배후에는 깊은 기도가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에게 하나님은 조나단 에드워즈라는 영적 거장을 준비하셨고 그와의 교제를 통해서 더욱 영적으로 성숙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셨다. 어떤 고난과 환경 속에서도 하나님의 뜻과 섭리를 찾으려 했던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삶이 하나님의 푯대를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야 하는 우리에게 큰 울림이 된다. 그가 사역의 대상으로 삼았던 북아메리카 인디언은 기원전 23,000년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유럽인과 인디언의 초기 관계는 북미 대륙에 도착한 식민지인의 배경과 그들이 만난 인디언들의 특성에 따라 우호, 또는 갈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유럽과 인디언 문명의 만남의 최전방에는 선교사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인디언들과 선교의 접촉점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북미의 역사는 북아메리카에 건너온 백인과 흑인 그리고 토착 인디언의 역사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런 관점에서 접촉기와 식민지 건설 시기 그리고 초기 미국 역사시기의 선교 사역들을 새롭게 조명해 봐야 한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인디언 사역은 카우나우믹(Kaunaumeek), 펜실바니아주의 델라웨어(Delaware), 뉴저지 크로스윅성(Crossweeksung) 세 곳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크로스윅성의 사역은 미국의 대부흥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고 있으며,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사역이 가시적으로 열매를 맺어 많은 인디언들이 하나님의 위로를 맛보고 교회를 세우는 능력을 체험하게 되었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소박하지만 과장되지 않은 헌신적인 사역의 모습은 오늘날 선교사들 뿐 아니라 하나님을 감당하는 모든 사역자들에게 도전을 주고 있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오늘까지 존경받는 인물로 회자되고 있는 것은 그가 가졌던 인디언 선교를 향해 가졌던 열정과 선교사로서의 본질적인 자세를 잃지 않고 사역했던 모습이 오늘까지 귀감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영향을 받은 인물은 리처드 백스터(Richard Baxter), 조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 에베너저 펨버튼(Ebenezer Pemberton), 존 서전트(John Sergeant)와 그의 아내 아비가일(Abigail) 등과 같은 청교도 신앙에 뿌리를 둔 사람들 사람들이다. 그리고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영향을 준 인물들은 주로 조나단 에드워즈가 집필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를 통해서 영향을 받은 사람들로 그 대표적인 사람은 근대 선교의 아버지라 불리는 윌리엄 캐리(William Carey), 영국 켐브리지 대학 출신으로 수학 천재인 헨리 마틴(Henry Martin), 스코틀랜드에서 목회했던 로버트 맥케인(Robert M. McHeyne), 존 파이퍼(John Piper) 등이며,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향으로 설립된 대학으로 프린스턴 대학, 다트머스 대학등이 있다. 이처럼 신앙의 영향력이 대(代)를 이어 영향력을 미치고 계승된다는 것은 참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교회의 선교가 새

      • 교회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이 교회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최형석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34271

        한국교회의 성장과 발전은 초기 선교사들의 순교와 헌신과 눈물, 그리고 이름 없이 한국교회를 위해 눈물로 기도하며 섬긴 수 많은 성도들의 수고의 열매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성장을 이루었지만 영적 성결과 도덕적 소양이 뒷받침되지 못하였고, 한국교회 전체가 매도되는 열악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개척교회를 준비하는 자들로 하여금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 어려움에는 적어도 두 가지 문제가 있는데 첫째는 개척을 하여 복음을 전해야 할 대상들의 교회를 향한 부정적인 시각이며, 둘째는 개척 설립 비전에 충실한 사역전략이 없고 영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준비되지 못한 채 개척을 하는 데서 오는 어려움이다. 어려운 상황에도 계속해서 교회 개척을 하여야 야 하는가? 당연히 계속 돼야 할 것인데 어디서 해답을 찾을 것인가? 사도행전 1장 8절이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 초대교회에 있었던 교회개척의 뜨거운 바람이 다시 불어,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복음전파에 힘을 낼 때,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하나님의 나라 확장은 이루어지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도래가 앞당겨질 것이라 확신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는 한국교회가 성장을 멈추고 감소하는 상황에서 건강한 교회 개척은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법임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교회개척을 기피하는 목회자들과 교회 개척 중에 성장 성장을 원하는 목회자들에게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의 외적인 성장요소와 영성의 내적 성장요소가 조화를 이룰 때 성장이 확실함을 보여 주고, 건강한 교회 개척에 필요한 비전과 실제적인 사역전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 설립 비전은 무엇인가? 둘째, 교회 개척의 성공과 실패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교단의 개척 및 미자립교회 지원정책이 교회 개척에 도움이 되었는가? 넷째, 개척 교회 성장을 이끄는 사역 전략은 무엇인가? 이다. 본 논문은 총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고찰, 제3장 연구 설계, 제4장 자료 분석, 제5장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 문제제기, 연구목적, 연구제한범위, 연구방법, 연구질문, 연구의 중요성, 연구 절차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선행연구로서 교회개척에 대한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들과 출간된 저서들을 이론, 실제, 사역 전략적인 면을 조사하였다. 교회에 대한 이해와 사명, 교회 개척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 이론적 기초를 설명한다. 한국교회의 개척역사 개관과 교단의 개척 교회 지원을 위한 정책시행과 활동을 타교단의 활동과 비교하였다. 개척 사역자가 가져야 할 성경적인 비전, 비전정립의 필요성과 유익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전략에 대해서는 사도 바울의 선교 전략을 표본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비전과 전략에 따라 개척한 사례는 총회전도국에서 추천 받은 3개의 교회들을 살펴보았고, 사역 전략의 예를 제시하였다. 제3장은 연구설계로서 4개의 연구 질문에 대해 검토, 연구 대상에 대한 설명, 연구 도구, 자료 수질 절차를 서술하였다. 제4장은 자료 분석으로 2006년 개척하여 2014년 현재 계속 개척한 교회를 섬기고 있는 17명의 사역자들과의 면담에서 교회 설립 비전, 개척 사역 중 겪은 성공과 실패, 교단 지원의 정책의 개척사역에서의 도움 여부,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회 성장을 이끄는 사역전략에 대한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이 영향을 미치기는 영향에 대한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요약, 연구결론, 적용위한 제언, 다음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성장의 비결은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에 따른 교회 개척에만 달려 있을까? 아니면 다른 다른 요소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하였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한국교회의 개척역사를 살펴보았고, 성경적 비전과 바울의 사역 전략을 살펴보았다. 실제로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으로 개척하여 성장하고 있는 3개의 교회들을 살펴 본 결과 비전과 사역 전략이 성장에 영향은 미치나 절대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본 논문의 면담 대상에 속하여 현재 성장중인 교회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교회 성장을 좌우하는 것은 영성에 있었다. 개척 비전과 사역 전략은 외적인 성장요소, 영성은 내적인 성장 요소로 영성을 토대로 비전과 사역 전략이 펼쳐질 때 비로소 성경적인 성장이 이루어짐을 확인한 가운데 다음과 같이 본 논문의 결론을 내린다. 첫째, 개척을 준비하는 사역자는 반드시 자신에게 개척의 소명이 있는지를 먼저 점검 확인하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적극적으로 사모해야 할 것이며, 이미 개척되어 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사역자라 할지라도 위의 사항은 필수적으로 점검 확인할 것은 강력히 제안한다. 설립 비전에 따른 사역 전략을 확실히 기도하며 세우고 진행하

      • 선교정책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제시하는 21세기 GMS 선교정책

        조영래 총신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34271

        <국문 초록> 선교정책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제시하는 21세기 GMS 선교정책 본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GMS(총회세계선교회, 이하 GMS)가 지향해야할 21세기 선교정책에 대해 연구하였다. 선행 연구에 있어서, 먼저, 조선 땅에 우리가 속한 "합동"이라는 교단이 세워지기까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는 해외 장로교 선교부의 선교정책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는 존 로스와 네비우스의 선교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우리 교단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GMS가 지금까지 진행해 왔던 선교정책의 변천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역사적으로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여러 교단 가운데 우리와 뿌리가 같다고 할 수 있는 장로교 교단들(합동, 통합, 고신)의 선교 정책과 국내외 선교 단체들 가운데 몇몇 단체들(SIM, WEC, GP, GBT, 인터콥)의 선교 정책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의사결정구조, 사역정책, 재정정책 및 복지정책이 선교의 방향을 결정짓는 선교정책의 핵심이라 생각하게 되어서 이것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지금 현재 GMS가 일관되고 체계적인 선교정책을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는 올바른 의사결정구조를 갖추고 있는지, 그리고 여러 선교정책 가운데 사역정책, 재정정책 및 복지정책을 선교 상황에 맞게 수립하여 선교하고 있는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급변하는 21세기에 GMS가 어떻게 정책을 수립하여 선교할 것인가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GMS의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선교사들을 후원하고 돕는 GMS 이사들과 현장에서 선교 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GMS의 선교사들에게 GMS의 의사결정구조, 사역정책, 재정정책과 복지정책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GMS의 의사결정과정, 사역정책, 재정정책 및 복지정책에 관한 GMS 이사들과 선교사들의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특히 위의 사안들에 대하여 이사와 선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있었는데, 선교사들이 이사들보다 더욱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음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론은 GMS의 의사결정구조, 사역정책, 재정정책 및 복지정책이 변화하는 선교 상황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현장에서 사역하고 있는 선교사들이 더욱 빠르고 크게 체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급변하는 21세기에는 선교 현장의 필요와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고, 이것을 선교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과 보다 현실적인 사역정책, 재정정책 및 복지정책의 개선방안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21세기 GMS의 선교정책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먼저, 의사결정구조에 있어서, 첫째, GMS 이사와 선교사 사이의 동반자적 의식 공유, 둘째, GMS 이사회, 선교 본부, 선교사의 삼권 분립, 셋째, GMS의 선교정책에 대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전문기구나 시스템의 설립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사역정책에 있어서, 첫째, 사역정책에 대한 교육, 둘째, 선교 지부 권한의 극대화, 셋째, 네비우스 선교정책과 협력의 재인식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재정정책 및 복지정책에 있어서, 첫째, 재정 시스템의 현실화, 둘째, 은퇴 선교사를 위한 제도적인 도움, 셋째, 선교사의 자녀교육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접근을 제안한다. 본 논문이 21세기에 GMS가 지향해야 할 선교정책 수립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Abstract 21st Century GMS`s Mission Statements suggested through the Research of Historical Mission Statements Young Rae. Joe This study provides the orientation of GMS (Global Mission Society) for the 21st Century Mission Statement. In previous studies, we belong to the land of Korea "Hapdong" totally erected a church was the most significant impact to the mission of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the foreign policy. This gave the greatest impact could be from John Ross and John Livingstone Nevius examined mainly in the missionary policy. Next, our denomination i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GMS Mission Statement have been proceeding so far separated by time and the vicissitudes of the studied historically. Finally, the denomination of the current number of country and roots, we can say right of the Presbyterian Church (Hapdong, Tonghap, and Kosin) and the foreign missionary organizations were shown in the Mission Statement of the few organizations (SIM, WEC, GP, GBT, and InterCoop). Ministry policy, fiscal policy, and welfare policy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mission is at the core of missionary policy-oriented research in the researcher’s decision-making process. Now, GMS based on researchers is consistent and systematic missionary policies and practice in the correct pseudo-crystalline structure. This paper is being described in several missions’ policy of the ministry, fiscal policy, and welfare policy for missions based on personal mission interested. In addition, how the GMS is changingin the 21st century by establishing a policy for what mission desirable to seek alternative, GMS might have the decision-making and help missionaries. GMS-sponsored missions in the field cover the directors and the survey about the mission of GMS decision making structure, ministry policy, fiscal policy, and welfare policy. GMS director and missionaries were a very negative perception of the missionary about GMS decision-making process, ministry policy, fiscal policy, and welfare policy. Particularly on issues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rectors and missionaries, there was a more negative view in missionaries than GMS director may have been to pay attention to. This conclusion was based on decision making structure of the GMS, ministry policy, fiscal policy, and welfare policy. It isunable to keep up with the changing situation, mission, and working in this field for more quickly and dramatically. Therefore, the mission field needs the voice to listen and to reflect r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during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More improvement of realistic ministry policy, fiscal policy, and welfare policy are needed to come to the conclusion. Based on these conclusions of the Mission Statement for the 21st century, GMS is proposed as following view in decision-making process. First, GMS director has to share the sense of mission partnership with missionaries. Second, GMS Board, the mission headquarters, and the missionaries of the separation of powers are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together. Third, GMS missionary policy decisions about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re required to establish of the system. Additionally, GMS is proposed as following view in the ministry policy. First, training for ministry policy is required. Second, the mission branch of the maximum authority is considered. Third, offering new understanding of cooperation in Nevius Mission Statement is needed. Finally, three important things are required to establish in fiscal policy and welfare policy; the realization of the financial system, assistance schemes for retired missionaries, and a missionary children's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fundamentally multipronged approach. This paper is to strive towards the 21st century missions in the GMS as a policy has been useful to South Korea in the church.

      • 선교사 멤버케어를 통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

        이정배 총신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34271

        <국문 초록> 선교사 멤버케어를 통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 이 정 배 지도교수 성남용 한국의 선교는 한국교회의 부흥과 더불어 놀라운 성장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현재 한국교회와 선교지의 상황은 이전에 없었던 총체적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교회의 침체와 신뢰도 하락, 그리고 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선교지의 위기상황 등은 한국선교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한국선교의 미래를 위한 다각적인 연구와 대안 제시가 요청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제적 요구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선교사 멤버케어이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선교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선교사와 후원교회 및 선교단체들에게 공통의 질문을 던져 선교사 멤버케어에 대한 인식과 입장 차이를 파악하고, 서로가 가지고 있는 고충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연구와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연구의 대상을 선교관계자들로 정하고 선교사의 영성과 관계, 선교사의 장기적인 사역, 선교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멤버케어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멤버케어에 관한 일반적인 고찰로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멤버케어와 선교사 멤버케어에 대해서 다루었다.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멤버케어는 사회보장제도에 따른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이며, 그 대상은 공직자와 근로자들이다. 또한 노후준비를 위한 연금은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개인연금과 주택연금이다. 선교사가 보장받을 수 있는 연금은 노후준비를 위한 연금이므로 그 개념과 현황,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선교사 멤버케어에 관한 고찰로는 선교사 멤버케어의 개념과 성경적 기초, 그리고 영역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선교사 멤버케어의 영역 중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7가지 항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의 선교사 멤버케어에 대한 조사로는 한국의 선교사 멤버케어 현황 파악을 위해 국내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선교사 멤버케어 연구 상황과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멤버케어 기관들, 한국에서 선교사 멤버케어가 어려운 현실적인 이유를 살펴보고, 한국의 선교단체와 교단선교회, 지역교회의 정관과 운영규정을 중심으로 명시되어 있는 선교정책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로 작성된 설문지를 수도권 인근에 있는 교회와 선교단체, 해외 파송선교사들에게 배포하였고, 수거된 설문지를 선교사 멤버케어 영역별로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교사 영적침체 원인에 대한 연구와 영적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둘째, 선교사들에게 사람에 대한 이해와 관계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선교사 자녀에 대한 관심과 정책을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이 있어야 한다. 넷째, 본국사역(안식년)에 대한 선교관계자들의 인식의 변화와 효과적 멤버케어의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선교사 은퇴에 대한 준비와 은퇴 재정정책이 있어야 한다. 여섯째, 디브리핑의 주안점은 예방적 차원에서 영성회복이 되어야 한다. 일곱째, 계속교육은 선교사 사역주기에 맞추어 실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중심으로 선교사와 파송교회와 선교단체의 관점에서 각자가 감당해야 할 일들을 제안하고,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선교사 멤버케어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교사 영성훈련이 강화되어야 한다. 영성은 삶의 모든 문제의 원인임과 동시에 결과이므로 선교사의 멤버케어 영역 중에 가장 비중 있게 다뤄야 하며, 영성 케어는 작은 교회들도 동참할 수 있는 영역이므로 선교연합운동에도 유익한 것이다. 또한 선교사 영성을 위한 자가점검 매뉴얼의 방향도 제시하였다. 둘째, 선교사 멤버케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멤버케어는 재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관심과 작은 배려로 하는 것이다. 본국사역의 기간을 활용한다면 중도탈락을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선교사 멤버케어의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책이 있어야 계획이 실현될 수 있다. 선교정책 및 운영규정, 선교사 멤버케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통합매뉴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넷째, 효과적인 선교사 멤버케어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선교관계자들이 연합과 작은 교회의 연합, 또한 타 선교단체와 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선교가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한다. 선교사 맴버케어를 연구하며 갖게 되는 마지막 결론은 선교는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선교에 있어서 선교사와 교회, 선교단체 각자에게 주어진 독특한 사명과 역할이 있다. 특히 선교사 멤버케어는 서로 짐을 지고 함께하는 사역(갈 6:2)이다. 선교사는 선교책무의 관점에서, 파송교회는 선교에 대한 인식변화의 관점에서, 선교단체는 선교전문가의 관점에서 함께 협력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선교사 멤버케어에 접근해야 한다. 선교관계자 모두가 서로의 역할을 잘 감당하는 건강하고 성숙한 한국 선교가 되기를 소망한다. <Abstract> Effective Support Strategies through Missionary Member Care Jung-Bae Lee Supervisor Dr. Yong Sung(Ph.D.) The Korean World Mission of Christianity, along with the Korean Church’s revival, has experienced tremendous growth. However, the Korean Church and the situation on the mission fields are now facing an unprecedented crisis on the whole.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Korean Church, a significant drop of its credibility and difficult situations on the mission fields, the Korean Mission is going through a rough period of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diversified researches and create alternative plan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Mission. Among these practical demand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s to be dealt with is the member care issue of the missionaries, for the effective Mission is inseparable from the effective member care of its worker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ission, those who are involved in it need to understand one another better: the differences on the perception of Mission and the member care and the positions each one takes, and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each one has. This research aimed to promote this understanding among the Mission personnels and find out some effective supporting strategies for missionaries through the effective member care. The population of this research was the Mission personnel in general, including missionaries and supporting churches and Mission organizations. The specific focus of the study was put on finding out what makes the member care more effective to promote the missionaries’ spirituality,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ir long term ministry, and their continuous growth. To have a broad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member care performed by the government first. The one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cludes generally the social insurance and the public assistance based on its social security system. Their target people is the public officials and the laborers. The pension for preparing for the old age includes the national pension, a retirement pension, a personal pension and a housing reverse mortgage. The pension is what missionaries need for the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so this study looked into its concept, the current state, problems and some possible directions for improvement. For the general view of the member care of the missionaries, this study frist looked into the basic concept of the missionary member care, its biblical basis and areas. Then it went further examining its severn categories which have become major issues. As for the Korean member care of the missionaries, first to investigate its current state, this research looked into academic dissertations on the topic written in Korea and some member care organizations operating in Korea. It looked for reasons why it is currently challenging to provide an effective member care for missionaries in Korea. More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ission policies of Korean Mission organizations and the Mission departments of Church denominations and local churches, around their articles of association and management regulations. As the major research tool,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churches near Seoul, Mission organizations and missionaries abroad. Those responded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the following was concluded: 1) There is a strong need for more research to discover the causes of missionaries’ spiritual depression and to set up programs for their spiritual recovery. 2) Missionaries need to acquire more understanding about human beings and improv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3)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missionary kids and some specific policies and plan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m. 4) In regards to the sabbatical furlough of the missionaries at homeland, Mission personnels’ perception needs to be changed and an effective member care system for that matter should be established. 5) There should be policies for retired missionaries in regards to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and finance management. 6) The emphasis of debriefing should be put on the missionaries’ spiritual recovery as a preventive measure. 7) Continuing education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missionary’s term of ministry.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is dissertation proposed a list of things that need to be done by missionaries, home churches and Mission organizations. And an applicable alternative plan for more effective member care was also suggested. The application and sugg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spirituality training of the missionaries should be reinforced. Spirituality is related with all the problems in life. It can be both the cause and the result of them; therefore, this area of the member care should be dealt with great importance. Since the spiritual care is an area that even small churches can easily participate, it is good for the cooperation of the churches for Mission as well. 2) A renewal in the perception on the missionary member care is highly required. The member care is not just done by finance, but also by showing one’s concern and small care. If the time of furlough at home is made good use of, it will help to prevent missionaries from dropping out. 3) The member care policies for missionaries need to be established because plans cannot be carried out without the policies supporting them. Thu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integrative manual that concisely states the policies and the management regulations of the missionary member care. 4) A network system for the effective member care should be set up, which can lead to unified cooperation among missionaries, churches and Mission organizations. Mission should be revitalized through the system. The last thought of this research is that Mission should be carried out in cooperation. Each group

      • 창의적 접근지역을 위한 대안으로서의 평신도 전문인 비즈니스 선교전략 연구 : 카자흐스탄,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황주영 총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34271

        창의적 접근지역을 위한 대안으로서의 평신도 전문인 비즈니스 선교전략 연구 -카자흐스탄,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황 주 영 지도교수 김 성 욱 비즈니스 선교는 최근 세계 선교의 상황이 변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이슬람권을 비롯한 전 세계 창의적 접근지역인 미전도 지역은 교회 개척이나 신학교 사역이 제한받고 있고, 목사 선교사들도 체류가 어려워지면서 이에 대한 돌파구로 소개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국 선교사의 7%만이 미전도 지역에서 활동 중이며 나머지는 이미 교회가 존재하는 지역에 몰려 있는 불균형을 타파하기 위해서라도 비즈니스 선교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전도 종족”이 90%이상 분포되어 있는 곳은 북위 10/40창(10/40Window)에 걸쳐있는 지역이다. 이 10/40창 안에 약 26개의 이슬람 국가가 있고 인구는 약 8억 5천명 정도 된다. 또한 8개의 불교국가로 인구수는 약 3억명 정도가 있으며, 인구 7억 정도의 2개의 힌두교 국가가 있다. 그 외에도 정령을 숭배하는 지역이 인구 수는 약 2억명 분포로 5천여 종족이 있다. 또한 6개국의 이전 공산국가가 약 14억의 인구가 있다. 따라서 이 10/40창은 창의적 접근지역으로 불린다. 목사 선교사의 신분으로는 들어갈 수가 없는 이슬람과 불교 그리고 정령숭배 사상과 공산국가가 10/40창 안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같은 창의적 접근지역은 전략적으로 평신도 전문인선교사가 필요하다 생각되었고, 이와 같은 인식은 창의적 접근지역을 위한 대안으로서의 평신도 전문인 비즈니스 선교를 연구하는 동기가 되었음을 밝힌다. 연구자는 먼저 비즈니스 선교가 무엇인가를 고찰하였다. 가장 먼저 비즈니스 선교의 바탕이 되어주는 평신도와 전문인 선교에 대한 성경적, 역사적인 배경을 살폈다. 또한 비즈니스가 일종의 직업과 관련되기에 성경적 직업관과 우리 신학의 토대가 되는 종교개혁자들의 직업관을 문헌적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비즈니스 선교의 역사와 유형을 연구하여 비즈니스 선교가 통전적 선교 원리에 근거하며, 지상 대 명령을 이루는 것임을 밝혔다. 또한 비즈니스 선교가 어떠한 성경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를 신구약을 통하여 연구하면서 비즈니스 선교의 역사를 초대교회에서부터 윌리엄 캐리까지 연구하였고, 그 이후에 대한 연구는 로잔신학에 나타난 비즈니스 선교를 연구하여 결론에 이르도록 뒷받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즈니스 선교가 지상 대 명령을 이루는 방법인 것을 확인하는 동시에 비즈니스 선교를 이루어 가는 전문인 선교사의 유형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위해 페트릭 라이(Patrick Lai), 크리스티 윌슨(Christy Wilson), 최바울 선교사, 김태연의 전문인 선교사 유형을 비교하였으며, 문화인류학적 분류도 시도하였음을 밝힌다. 비즈니스 선교는 10/40창 즉 창의적 접근지역에 특화된 선교이므로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할 창의적 접근지역을 연구하였다. 10/40창은 이슬람, 힌두교, 공산지역임을 고찰하면서, 한국교회의 비즈니스 선교현황을 연구하였다. 2014년 한국선교사 파송현황과 함께 비즈니스 선교의 현황을 다루었으며, 비즈니스의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인 기독경영의 핵심원리를 고찰하면서 결론을 향했다.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창의적 접근지역에서의 비즈니스 선교전략 네트웍 형성을 해야 한다. 비즈니스 선교 사역은 국경, 인종, 이데올로기, 종교 등을 뛰어 넘을 수 있으며, 비지니스를 통해 창의적 접근지역에 일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배 공동체, 훈련 및 삶의 공동체 등 총체적 신앙(삶으로 증거되는)의 공동체가 세워질 수 있다. 비즈니스 선교를 통해 지상대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합(엡 2:15)이 반드시 필요하다. 직업적 전문성과 사역적 전문성의 연합, 비즈니스 사역자와 복음사역자의 연합, 전방 사역자들과 후방 사역자들 간의 네트웍, 비지니스 사역자들 간의 네트웍, 각 영역 사역자들 간의 네트웍, 선교단체들 간의 네트웍, 한국교회와 세계교회 간의 네트웍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2. 창의적 접근지역의 비즈니스 선교를 위하여 신앙훈련 및 비즈니스 경영과 전문성을 심화하는 기술훈련이 준비되어야 한다. 한국교회 모든 세대에게 열방을 회복하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비전과 아버지의 뜻을 알고 이 땅에 오신 예수그리스도의 마음을 흘려보내는 훈련들, 예를 들어서 비전스쿨, 전문인선교훈련, LMTC(Local Missionary Training Course) 등에서 비즈니스 선교에 대한 훈련의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래서 평신도들의 비즈니스 선교 열정이 각처 각 분야에서 왕성하게 일어나야 할 것이다. 선교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이 땅의 모든 일터에서도 하나님의 영광과 예수그리스도의 향기가 나타날 수 있도록 평신도 전문인 사역자들을 세우는 훈련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별히 선교현장으로 나가고자 하는 평신도 전문인 사역자들에게 비즈니스 경영과 관련된 창의성, 전문성 및 영적자본 등을 심어주는 심화훈련 및 농업, 무역업 등 선교현장 어디서나 적용이 가능한 특정 분야

      • 미얀마 種族의 神觀·人間觀·來世觀에 對한 基督敎 宣敎戰略

        강능희 總神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34271

        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길이 더 나은 한 가지 길이 아니라 유일한 길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영혼에 대한 뜨거운 사랑과 구령의 꿈을(빌2:13) 품은 자에 의하여 하나님의 뜻이 펼쳐지는 것이다. 그러나 동남아 국가 중 미얀마는 복음의 불모지로 복음화 율 1%를 넘지 못하는 세계에서 8번째로 큰 미전도 종족중 하나로 남아 있다. 따라서 미얀마의 복음화를 위한 연구는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특히 미얀마는 북서쪽으로는 방글라데시와 인도, 북동쪽으로는 중국, 동쪽으로는 라오스, 남동쪽으로는 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리적 요건과 불교를 신앙하는 종교적 특수 요건을 갖추고 있다. 이는 미얀마의 불교가 강력한 만큼 미얀마의 복음화는 곧 주변의 다른 국가와 민족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성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얀마의 주 종족인 미얀마 종족의 복음화를 위하여 그들의 신관과 인간관 그리고 내세관을 연구함으로써 밝혀진 그들의 세계관을 통하여 기독교 선교의 접촉점을 찾아 가장 효과적인 선교전략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질적 연구를 하게 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하였다. 첫째, 미얀마 종족의 신관에 대한 기독교 선교전략은 무엇인가? 둘째, 미얀마 종족의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 선교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미얀마 종족의 내세관에 대한 기독교 선교전략은 무엇인가? 그 결과 미얀마 종족에게 있어서의 신관은 창조주나 절대자의 신이 아니고 또한 이방 종교에서 나타나는 자신의 신격화로 스스로 고행과 수도를 통하여 자신이 신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오직 붓다만이 신이며, 붓다는 신뢰의 대상이고 선한 것을 가르쳐주는 선한 본으로 믿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신이 자신의 현세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오히려 자기 스스로의 노력 여하에 따라 삶이 달라진다고 믿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그들의 인간관은 불교의 원리에 근거한 ‘연기법’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인간에게 있는 고(苦)의 원인은 전생에서의 잘못된 행동으로 인한 인과응보로 믿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셋째, 그들의 내세관은 죽음이란 인간에게 피할 수 없는 일로 전생에서의 생을 이생에서 마감하는 날로 믿고 있으며 죽은 후의 세계에 관해서는 이생에서 행한 보응을 따라 동물이나 귀신으로 환생한다고 믿는 윤회사상을 가지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이 발견된 미얀마 종족의 세계관을 접촉점으로 하는 선교전략은 다음과 같이 세울 수 있다. 첫째, 신관에 대한 신의존재를 접촉점으로 하는 선교전략을 비롯하여 10가지, 둘째, 인간관에 대한 가치관 정립을 접촉점으로 하는 선교전략을 비롯한 10가지, 셋째, 내세관에 대한 죽음을 접촉점으로 하는 선교전략을 비롯하여 10 종류이다. 모두 30종류의 전략을 통한 접촉점이다. 앞에서 밝혀진 사실과 결과를 토대로 기독교의 복음이 전파되므로 미얀마의 복음화가 신속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본 논문이 미얀마에 대한 선교의 비전을 가지고 있는 선교사와 선교사 후보생과 한국교회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Christian mission is not the idea that Jesus is the better way, but that Jesus is the only way and that it is the will of God which can be achieved by committed people with enthusiasm and love for saving souls. Only 1% of the population of Myanmar in the South-East of Asia, is Christian. It remains the eighth largest country in the world that is unreached by the gospel. It is therefore very urgent and necessary to extend the evangelization of Myanmar. Myanmar is located in a very important area, particularly in terms of mission strategy. Myanmar borders on Bangladesh and India in the North-West, on China in the North-East, Laos in the East, and shares a boundary with Thailand - another strong Buddhist country in South-East Asia. Buddhism in Myanmar is very strong. This means that evangelization of Myanmar can also influence those countries bordering on Myanmar. Therefore, in order to evangelize the Myanmarese, which is the dominant tribe in Myanmar, the research attempts to find out what is the Myanmar people's world view of God, mankind and the afterlife, and from these perspectives derive Christian mission strategies. Some questions are raised to address the purpose of, and help focus the research. Firstly, what is the Christian mission strategy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view of the Myanmarese about God? Secondly, what is the Christian mission strategy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view of Myanmarese about the mankind? Thirdly, what is the Christian mission strategy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view of Myanmarese regarding the afterlife? Firstly, there is no concept of a Creator or an absolute being in the spiritual world of Myanmarese. They also have no idea of deification, nor of self - asceticism or celibacy, which often appears in other religions. Buddha is the only god and an object of belief and the one who teaches what is good and what is a good example. However, it is proved that their lifestyle is not influenced by gods, but can be changed by efforts. Secondly, it is proved that there is not a clear concept of the origin of humanity. It is proved that they believe that the origin of suffering comes from sin committed in one's previous life, being the law of cause and effect. Thirdly, According to their point of view of the afterlife, death is not inevitably the end for man, and nor is the day of finishing, death is the beginning of another life in the next world. They thus believe in the cycle of reincarnation Therefore, as a consequence of the above research, a mission strategy based on the worldview of Myanmarese can be established: Firstly, 10 methods of mission strategy can be established based on their concept of their god’s existence or spiritual being. Secondly, 10 methods are established on the values and worth of the human being. Thirdly, 10 methods are established dealing with the concept of death and the afterlife. As has also been previously surveyed, this research can assist Korean churches and missionaries, who have a vision of mission to the Myanmar. It is my prayer that the gospel could be proclaimed to Myanmar so that they may come to the L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