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팝아트의 표현적 특성을 적용한 실내디자인 모형 연구 : ‘D' 영화관을 중심으로

        강혜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35

        20세기 중반부터 부각되기 시작한 소비 지향적인 문화 현상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팝아트 발원의 한 축이 되었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사회 전반에 걸쳐 형성된 거대한 상업주의적 문화 위에 상업예술로서 팝아트의 역할이 재조명 받고 있다. 팝아트는 일상적인 소재들을 미술 속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이라는 이분법적 위계 구조를 불식시키고, 산업사회의 현실을 미술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중반 무렵 유행했던 예술의 한 경향이며, 동시에 현재에도 꾸준히 거론되고 있는 팝아트의 사회·문화적 성립 배경 및 그 특성을 분석하고, 최근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팝의 양상을 연구하여 현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공간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팝아트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수행하였으며, 팝의 표현특성에 관하여 분석하고 공간 표현 사례를 분석하여, 최종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팝아트에서 중요한 것은 표현의 형식성보다는 무엇을 나타낼 것인지와 어떤 방식으로 나타낼 것인가의 문제이며, 팝아트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시대가 요구하는 소재와 기법으로 유연하게 재탄생 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둘째, 팝 아티스트들은 다양한 표현으로 산업사회의 대중·소비문화를 찬양하거나 비판하였으며, 팝아트는 그 어느 때보다 물질적이고 세속적인 삶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진지한 인식과 성찰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셋째, 상업 공간 디자인에 있어 팝아트의 도입은 이용자와의 친밀성과 교감이라는 측면에서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적절한 접근이라고 판단되며, 팝아트의 강렬한 색감과 다채로운 표현들은 공간의 심미적 완성도를 증가시켜 준다. 팝아트를 디자인에 접목함으로써 대중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회·시대·문화적 합의를 반영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팝아트가 끊임없이 삶과 예술의 접목을 시도했던 것처럼, 디자인과 팝아트의 접목은 지속적으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라고 생각된다. Consumer-oriented cultural phenomenon has been highlighted since the mid-20th century. This results in the pop art has become an instrument. In the current commercialism, the role of pop art is emphasized as commercial art. The pop art got rid of distinction between pure art and popular art. The pop art actively tried to accommodate the art of industrial society in reality. This research proposed design of small theater by introducing characteristics of pop art. To this end, theoretical study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the pop art. Then, the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pop art and it's expression cases were analyzed. And finally, the experimental design was proposed. The below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he type of representation is not important in pop art. The will to represent is more important. The pop art has unlimited potential what is flexible reborn by using required materials and techniques. Second, The pop art provides a opportunity to think about serious awareness to us. Last, The pop art helps common people with approaching art. The intense colors and diverse representation in pop art improve aesthetic perfection of space. We can get a great design by appl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 art. The combination of a design and the pop art is worth of researching continuously.

      • 기업 전시장의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김선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35

        본 논문은 현대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삶의 변화가 주거환경의 인식 변화로 이어지며 단순한 거주만을 위한 주거 공간이 아닌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휴식과 재충전 및 취미와 취향을 고려하여 만족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주거공간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2020년에 약 41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국내 인테리어·리모델링 시장은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50%는 이미 20년 이상 된 노후 주택이며 향후 5년간 15년 이상 된 주택은 30만 가구씩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며 그에 따라 장기적으로 주택 리모델링 시장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된다. 이와 같이 점차 확대 되는 주택 리모델링 시장과 소비자의 주거 환경 변화에 대한 관심에 따라 인테리어 제품 및 소재를 생산하는 건자재 기업과 인테리어 자재를 유통하는 기업에서는 소비자와의 거리를 좁히고 시각화 되어진 공간을 제안할 수 있는 전시장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주거공간 디자인을 제안하고, 선택되어진 인테리어 스타일 및 제품으로 시공에서 사후관리까지 진행 할 수 있는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기업은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운영에 대한 전체적 측면에서의 전략이 필수적으로 필요로 되며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이 확대되어 지는 현 시점에서 기업 전시장의 주거공간 디자인에 대한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을 통하여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전략 연구 분석을 통하여 전략적 관점의 중요도가 높은 순서에 맞추어진 항목으로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및 전시장 운영을 계획하는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 하에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연구된다. 1장은 본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연구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의 차별성을 파악하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2장은 이론적 고찰로서 문헌조사를 토대로 추출된 관련 용어들은 전략의 분석과 전략사례 분석 연구의 토대가 되어 활용된다.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에 및 대한 구성 및 필요성, 주거공간 인테리어 디자인의 일반적 가치, 개념 및 중요성과 주거공간의 구성요소와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는 가장 기본이 되며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의 분석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기업 전시장의 개념과 필요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기업 전시장의 주거공간 구성을 정의하고 전략 문헌 연구를 통하여 기업 측면의 디자인 전략과 전략의 목적 및 구성을 조사한다. 전략이론에 따라 추출된 항목들은 전략 분석 연구의 1단계로 사용되며, 전략 분석 연구에 활용될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계층적 의사결정방법)분석의 기법과 활용가치 및 분석에 대한 고찰을 한다. 3장은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계층적 의사결정방법)를 활용한 전략 분석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의 1단계 문헌 고찰에서 추출된 전략적 항목들을 토대로 전문가 집단의 1차 조사를 통하여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에 적합한 항목으로 분류하는 2단계 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통한 AHP계층구조 분석모델을 구축한다. 분석 모델은 전문가 집단 23인의 2차 조사를 통한 전략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3단계를 거쳐 전략 분석결과를 도출해 내며 이를 통하여 사례분석에 사용할 연구모형을 구축한다. 4장은 기업 전시장의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 사례분석을 위하여 선정된 7곳의 기업을 대상으로 3장의 전략 분석 연구에서 구축된 연구모형을 토대로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7곳의 기업에서는 21개의 공간 디자인 제안(17개의 스타일 제안과 4개의 일반 공간제안)에 대한 토탈 인테리어 제품 및 운영 전략의 사례분석과 디자인 전략의 스타일 구성, 실내 공간구성, 실내 공간요소에 대한 사례분석 조사를 진행하여 소결을 맺는다. 5장은 전략 종합분석으로 3장에서의 전략 분석 연구의 결과와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의 중요도와 우선순위 기준의 7곳 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한 기업의 전략분석을 통합하여 종합분석을 하여 현재 기업의 전략적 제품 및 운영 전략과 디자인 전략의 현황을 확인하고 전략 종합분석 결과를 통하여 기업 전시장을 통한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을 준비하는 기업에 필요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기반한 전략 체크리스트를 제안한다. 6장은 본 연구의 전체 내용에 대한 결론으로서 종합고찰을 통한 결론과 기업 전시장의 주거공간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 전시장의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전략적 측면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AHP분석프로그램을 통하여 확인한 뒤 현재 운영되는 기업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전략적 측면의 요소를 제품 및 운영과 디자인에 필요한 항목에 맞추어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에서 중요도와 선호도가 높은 전략에 현재 기업의 해당부분을 알 수 있었으며, 전략적 중요도가 높은 항목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의 각 항목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기반한 제품 및 운영전략과 디자인 전략은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기업이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의 세심한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 연구를 통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및 전시장 운영을 계획하는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전략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체크리스트는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준비하는 기업에게 필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영화의 내러티브 구성기법을 적용한 메모리얼(memorial) 공간디자인 연구 : 임진각 평화누리 공원을 중심으로

        임화경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19

        There is usually a memorial in society that has a long history or well-kept historical archives, which is constructed in commemoration of a specific historical fact. A lot of memorials have already been built or are under construction to keep providing historical facts that are symbols of the past and worth researching. However,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memorials is gradually on the wane with the lapse of time, and our recollection of the past history are increasingly being vague, which results in making us learn less profound lessons from history. Basically, history repeats itself, and the question is what historical facts we remember amid the repetitiv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history. It's a shame that memorials are reduced to outdated, old-fashioned and ugly buildings over time without having a great impact on the reproduction and memory of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cinematic narrative construction technique to the spatial design of a memorial in an effort to motivate visitors to confront forgotten historical facts to take history seriously. And it's additionally meant to find out the structural problems with memorial spaces and to select the kinds of spatial elements that could successfully stimulate them to keep memorable things in mind. Chapter 1 discussed the problems with the state of memorials, the overal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related to environmental design. And the scope and process of the study were described. Chapter 2 made a definition of narrative, which was a superordinate concept, and discuss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a memorial. A cinematic space of narrative construction was analyzed, and what image it could produce was analyzed as well. Chapter 3 made a case analysis to generate a framework of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a memorial space. Chapter 4 mapped out a feasible draft of design to iron out problems with existing memorials, and suggested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Chapter 5 pieced together what's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s, and describe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spatial design draft of a memoria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historical memory from the past that may last as far as the history of mankind continues shouldn't merely be viewed as something memorable, and it's needed to take a deeper look at it in more detail, instead. As a result of applying a cinematic narrative construction technique to the spatial design of a memorial, it's found that this method could serve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visitors to let them perceive the symbolicity of the space. A space whose symbolicity is naturally represented is of great value, and then visitors will be able to see cultural values in a new light. To resolve the problems with existing memorial spaces, a holistic approach should be taken to the spatial design of a memoria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design plan to boost the utility of memorial spaces as places of historical memory. This study is expected to pave the way for future research efforts on how memorial spaces could contribute to opening a new chapter for historical awareness instead of simply being inundated with lots of commercialized symbolic images.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거나 역사적 기록이 잘 보관 된 사회에는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기억하기 위한 '기념의 산실' 로 서 의 메모리 얼(Memorial)이 존재한다. 메모리 얼은 과거를 거쳐 현재에도 생성되고 있으며, 그 곳에서는 역사적 사실이 지속적으로 연결되어져 다양한 형태의 보존에 대한 의지와 연구적 가치, 상징으로 사회와 대면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메모리 얼의 역할은 점점 상징을 잃어가고 또한, 역사에 대한 우리의 기억은 차차 희미해져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역사의 깊이는 얕아지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과거의 역사는 다양한 형태에 담겨 순환되고 있지만, 실제로 우리는 그 끊임없는 생산과 재생산의 반복 속에서 어떠한 역사적 사실을 기억해 내고 있는 것일까? 현재의 메모리 얼은 단순히 이미지를 통해 과거를 재현하고, 기억하고 있는 것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채 시간이 흐를수록 지역의 흉물이 되거나, 낡고 구시대적인 모습으로 남아 아쉬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의 내러티브 구성기법을 대입한 메모리 얼 공간을 통해 관람자로 하여금 일상에서 잊고 있던 역사적 기억과 대면하게 하여 그에 대한 역사적 문제의식을 가지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그것이 보여주고자 하는 상징성을 획득하게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 현재 메모리 얼 공간이 가지고 있는 구성적 문제점에 대해 정확히 인식을 하고 ‘기억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들’을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관람객에게 전달 할 수 있는 공간 요소를 추출해 내는 것이 주된 논문의 내용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제 1장에서는 현재 메모리 얼의 현황에 대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한 전반적인 연구의 배경과 환경 디자인적 관점의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범위와 연구과정의 체계를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상위개념인 내러티브를 정의하고, 메모리 얼에 대한 개념 및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영화 내러티브 구성 공간에 대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공간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제 3장에서는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메모리 얼 공간의 내러티브 성 확립 방안의 종합적 틀을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기존 메모리 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제 적용 가능한 디자인 적용 안을 도출하고 개선점에 대해 평가하였다. 제 5장에서는 앞선 논의들을 정리하고, 메모리 얼 공간 디자인 적용 안의 기대효과와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를 통해 우리는 과거에서부터 시작되어 인류의 역사가 지속되는 순간까지 연결되어 질 수도 있는 역사적 기억을 그저 '기억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보다, 구체적으로 인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구체적 방법으로 영화의 내러티브 구조가 가지고 있는 표현기법을 공간에 대입한 결과, 그 방법이 공간과 관람자의 매개 역할을 하여 관람자들에게 상징성을 인지시키는 표현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상징성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가치를 인식하고, 문화적 가치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고, 또한 기존 메모리 얼 공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총체적인 관점의 디자인적 접근이 필요하며, 앞으로 메모리 얼 공간이 현재보다 더 적극적인 역사적 기억의 장소가 될 수 있는 디자인 적용 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주체의 시각을 지배하는 범람하는 상업화된 상징적 이미지들로부터 메모리 얼 공간이 새로운 역사 인식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에 일익을 담당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비물질적 특성을 적용한 전시 공간 디자인 : 경계의 소멸과 공간 확장의 측면

        안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19

        The modern society has become more homogeneous and virtual one as the concept of time-space has transformed to the one of time-space-information, and the problem of reality has been raised as a result of facing information age. The modern society has also become more nonmaterial as the importance of personal emotion has increased, for example, the image of a thing is more valued than the thing itself. Those trend of nonmaterialization occurred in the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pace reflecting a characteristic of modern time which is mobile and changing continuously, not the fixed concept of past, based on the above characteristic of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The current exhibition space is a cultural space opened to public as well as a educational space and provides communication with history and various cultures. It plays also the role of local land-mark and a place of experience, therefore, induce participation of public and provides not only exhibition but also various programmes and events, resulting make it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characteristic of complexity. This study was also to propose a design for cultural space which is capable of showing various programme and mobile flow of space using disappearance of boundary and expansion of space represented by immaterial characteristic, and of accepting various function of modern exhibition spac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nonmaterial characteristic and space, however the application of nonmaterial characteristic to the exhibition has not been activated because of the spacial characteristic of public non-routine architectural space and of various limitation according to exhibited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exhibition space as a cultural continuum in which the function of exhibition is enhanced and culture is contained, by applying the nonmaterial characteristic of space to the exhibition space. The brief contents and forma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ection,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e second section, the nonmaterial trend, and the concept and emerging background of nonmaterial are investigated by theoretical review on the concept of nonmaterial and exhibition space. There are another reviews on how the concept of space has been changed from past to modern age using the immaterial characteristic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space concept, and on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exhibition space in change. In the third section, the immaterial characteristics of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were reviewed and the types are summarized. The immaterial characteristics in exhibition space were analyzed based on cases and the application methods of those characteristics to space are summarized. In the fourth section, the immaterial characteristics drawn from previous processes are applied in selected site in order to propose a plan and design for a exhibition space in which more specific nonmaterial characteristic. In the fifth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the significance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proposed. It was concluded, based on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onmaterial characteristic provides an opportunity of experiencing more various space to space users, by eliminating boundary of space, expanding space combining various function of space organically, and creating diversity and newer imag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n exhibition space provides an opportunity of experience to audience using various inner and outer factors of exhibition, and the audience perceive and recognize the space on the whole by using inner space, exhibition and program, and various events as well as inner and outer environmental facto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xhibition effects are enhanced and more varioius experiences of space is provided to audience as a complex cultural space accepting complex functions when the nonmaterial characteristics of space are applied to exhibition space and the various functions of exhibition are accepted more harmoniously This study is a provision of a design of exhibition space in which the immaterial characteristic of space is applied, and is expected to propose a way of enhancing the effect of exhibition and of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to users visiting a space by applying nonmaterial characteristics to exhibition space. 현대 사회는 시간-공간개념에서 시간-공간-정보의 개념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점점 더 균질화 되고 가상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정보화 시대를 맞아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실재성(reality)의 문제가 대두되게 되었다. 또 현대 사회는 개인의 감성이 중요시 되면서 물체 자체보다 그 물체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중시되는 등 점점 비물질화 되어 가고 있다. 현대의 건축공간에서도 이러한 비물질적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현대 건축공간의 특성을 반영하여 과거의 고정적인 개념의 건축이 아닌 유동적이고 끊임없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의 특성을 반영한 공간을 제안 하고자 한다. 오늘날의 전시 공간은 대중에게 개방된 열린 문화공간으로서 교육의 공간이며 역사 및 다양한 문화가 소통하는 공간이다. 또 지역의 랜드 마크적 역할을 하며 대중의 참여를 유도하는 체험의 장소로서 전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과 이벤트 등을 통해 복합적인 성격을 띠는 복합 문화공간이다. 비물질적 특성을 통해 나타나는 경계의 소멸과 공간의 확장으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의 유동적 흐름을 보여주며 현대 전시공간의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문화 공간을 디자인하며 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비물질적(nonmaterial) 특성과 공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전시 공간은 공공(公共)의 비일상적 건축공간이라는 공간의 특성과 전시물에 따른 여러 제약 때문에 비물질적 특성의 적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간의 비물질적 특성을 전시 공간에 적용하여 전시의 기능을 강화하고 문화가 흐르며 소통하는 문화의 연속체로서 전시 공간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서술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밝히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 비물질의 개념과 전시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현대 사회의 비물질적 경향과 공간에서 비물질의 개념 및 발현배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오고 있는지 공간 인식의 변화에 따른 비물질적 특성을 살펴보며 변화하는 현대 전시 공간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현대 건축공간의 비물질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유형을 정리한다. 또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례를 통해 전시 공간에서의 비물질적 특성을 분석하고 공간에 적용 방안을 정리한다. 제 4장에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한 비물질적 특성을 공간에 적용하여 보다 나은 비물질적 특성이 적용된 전시공간의 계획과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 5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고 본 연구의 의의 제시 및 결론을 도출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비물질적 특성은 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공간을 확장하며 공간의 다양한 기능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다양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해내어 공간 사용자에게 보다 다채로운 공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알았다. 둘째, 현대 전시공간은 공간 내·외부의 다양한 요소를 통해 관람자에게 경험을 제공하며 관람자는 내부 공간과 전시 및 프로그램이나 각종 이벤트 뿐아니라 내․외부의 환경적인 요소 들을 통해 공간을 총체적으로 지각(perception)·인지(cognition) 하게 한다는 것을 알았다. 셋째, 공간의 비물질적 특성을 전시공간에 적용하여 현대 전시 공간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원활하게 수용하며 전시의 효과를 높이고 복합기능을 수용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관람자에게 보다 다양한 공간의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본 연구는 공간의 비물질적 특성을 적용한 전시 공간 디자인 제안으로 비물질적 특성을 전시 공간에 적용하여 공간을 방문하는 관람자에게 전시의 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이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 중국 서점의 체험디자인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연구

        양민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19

        오늘날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온라인 쇼핑은 소비자의 소비 패턴을 바꾸고 있다. 특히, 온라인 서점과 전자책의 보급에 따라, 소비자들은 새로운 독서 습관을 갖게 되었으며, 오프라인 서점은 위기에 대응하여 기존의 공간과 기능을 변화시키면서 도서를 판매하고 열람하는 단순한 공간에서 다양한 운영 모델을 갖춘 복합적인 문화 공간으로 전환을 이루어내고 있다. 체험경제(Experience Economy)는 소비자들의 소비 관념을 변화시켰을뿐만 아니라, 체험 소비를 기반으로 하는 서점 디자인에 새로운 요구를 제시하고 있다. 현재 중국 서점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는 주로 서점 공간 구조, 기능, 미학, 분위기 조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브랜드 기획 및 디자인 개발 전략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서점 체험디자인을 좋고 나쁨에 대한 통일된 평가 기준이 없고, 체험을 중심으로 중국 서점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연구할 이론도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서점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출발하여 중국 서점의 역사와 공간적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재 중국 서점의 발전 방향에서 연구 방향을 모색해, 현재의 중국 서점 공간은 체험디자인을 위주로 하여 체험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는 여전히 증가하고 세분화되고 있음을 확정했다. 따라서 학자들의 체험에 대한 이론적 요약에 따르면, 현대 서점 공간 구성을 바탕으로 ‘체험경제'에서의 체험 요소 이론(4Es)을 결합시켜 종합적인 체험 서점 공간 구성 형태를 최종적으로 확정한다. 체험경제의 체험 요소 분석에 따르면 서점 공간은 서적 공간, 문화 활동 공간, 교육 공간, 커뮤니티 공간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체험 서점 내의 체험 수요를 연구하기 위해 인간의 수요 단계 이론을‘체험 마케팅'에서 체험 요소 이론(SEMs)과 결합하여 사용자가 체험 서점 공간에서 전면적인 체험에 대한 수요 표현을 정리하고, 이후의 체험 평가지표의 개발에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다. 선행연구와 현황 조사를 통해 중국 서점의 체험 평가항목 관련 세부지표를 제시하고 디자인 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서점 체험디자인의 평가지표를 구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주성분 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 6개와 앞서 살펴본 서점 공간 관련 체험 이론을 바탕으로 감각, 감정, 행동, 브랜드, 문화, 사회 체험 6가지 상위 지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각 요인 지표의 가중치에 대한 계층적 분석 방법(AHP)을 통해 문화 체험(0.2102), 사회 체험(0.1776), 브랜드 체험(0.1703), 감각 체험(0.1612), 감정 체험(0.1593), 행동 체험(0.1214) 등 지표의 항목별 중요도 순위를 분석하며 중국 서점의 체험디자인에 적합한 체험 평가지표 체계를 개발하였다. 체험 평가지표 체계를 기반으로 중국의 가장 아름다운 서점 15개와 해외 가장 아름다운 서점 12개를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연구 가설을 유추함과 동시에 개선 제안에 사례의 이론적 참고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실증 분석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체험 평가지표를 중국 서점 10개에 적용하고 체험 평가지표에 근거하여 중국 서점의 사용자 평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용자 평점을 이용하여 6개 상위 평가지표, 체험 종합만족도, 행동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체험 평가지표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높고 낮은 사용자 평점의 결과에 따라, 체험 평가지표의 세부 항목을 기준으로 우수 사례의 디자인 방식과 결합하여 평가지표 항목에 대응하는 감각, 감정, 행동, 브랜드, 문화와 사회 체험에 대한 해당 개선 제안을 모색하며, 향후 서점의 체험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지도 및 건의를 제공하였다. 개선 제안 결과는 감각 측면에서 공간 주제 간의 관련성에 따라 기능 구역을 나누면 공간적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다. 공간의 색채는 부드럽고 밝은 것을 위주로 하고, 대비적인 기법으로 시각적 체험을 향상시킨다. 재료 선택은 디자인 주제에 부합하고, 조명의 장식 기능을 강조하며, 악센트 조명과 자연 채광을 결합하여, 독서 분위기를 조성한다. 운율의 곡선 형태를 사용하면 규범적인 형태보다 빨리 감지하기 쉽고, 비교 심리의 지도에 인해 공간의 척도를 만들어 공간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감정 측면에서는 자연으로 돌아가는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장소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독서 분위기를 형성하며, 디자인 기호 언어를 강조하여, 스타일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 요소를 활용한다. 공간에서 스토리 내러티브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공간에 대한 흥미, 옛것과 새것, 역사와 현대 대조적인 요소를 증가하여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인상과 이해를 깊이 있게 한다. 행동 측면에서 주소 선택은 사용자 특성을 기반으로 한다. 실내는 게임과 오락성으로 행동 노선을 형성하고 노선 주변에 흥미로운 인터랙티브 체험이 배치된다. 독서와 휴식이 일체화된 책장 디자인으로 서서 읽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결한다. 다기능 책꽂이의 디자인을 강화하고, 인터랙티브한 체험을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추가하고, 음악 재생을 지능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행동에 영향을 주고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브랜드 측면에서 서비스 수준의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고 회원 제도를 개선하며 브랜드화된 디자인 기술을 사용하여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공간 색상에 따라 시각적 사인 시스템을 만들어 공간과의 연계성을 형성한다. 브랜드의 특징을 돋보이게 하고, 개인 공간의 디자인에 주목하며, 자체 서점의 특징을 살려 브랜드의 장점을 나타낸다. 문화 측면에서, 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환경적 요소를 추출하고, 지역문화의 연결을 구축한다.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주제 활동을 하고, 역사적 공간이나 설치물을 최대한 활용하여 문화적 기억을 형성하며, 전통문화 추억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정서적 연결을 구축한다. 글로벌 문화 상품의 선택에 중점을 두고, 시공간을 초월한 세계 문화 교류를 창조하며, 고품질의 문화생활을 형성한다. 사회 측면에서는 구심적 집합체의 형태로 응집력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교류를 추진하고, 실외 환경을 도입하여 건물과 환경의 장애물을 약화시키며, 삶의 미학을 중심으로 한 장면을 구축하여 대비된 시각적 장면을 연출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공간에 대한 탐색에 흥미를 가지도록 유도한다. 서적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교육 분위기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서점의 교육 분위기에 대한 감지를 강화한다. 본 연구는 현재 중국 서점 체험디자인에 실질적인 가치가 있으며, 종합적으로 체험 평가지표의 개발과 개선 제안은 앞으로 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서점 디자인에 중요한 디자인 방법을 제공하고, 중국 서점 공간의 체험디자인 이론을 더욱 전면적으로 보완할 것이다.

      •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치유환경연구 : 여성전문병원 실내공간디자인

        정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19

        현대의학 기술이 점점 발달하면서 경제성장에 따른 문화수준의 향상과 과학적 의학 기술의 발달로 여성의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여성들의 삶의 질적 향상과 기술적 진보를 가져왔으며, 여성의 결혼연령 변화와, 건강에 대한 의식변화 등 여성 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여성병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즉,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많아지고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출산이 늦어지고 있으며, 경제성장에 따른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의 고급화로 자신의 몸 즉, 의료에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출산에 있어서도 많은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최근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색채 및 가구, 고급소재 등의 사용변화에 있어서 여성 건강 전반에 관한 의료 환경의 성격으로 볼 때 출산이 치료, 처치 등의 단순한 의료행위가 아닌 여성의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 기초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서비스의 차별화와 환자중심의 병원환경 개념으로 흐름이 바뀌고 있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여성전문병원들은 여성을 위한 병원인데도 불구하고 의료진의 기능적 업무에 중점을 두고 감성적인 면이 무시된 체 디자인 되어 왔으며, 여성 전문병원 환자 즉,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건강하지 못한 여성이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그리고 출산준비와 산후조리를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의사와 간호사 및 직원에게는 업무 공간이 적용 되고 환자에게는 치료와 안정의 공간이 된다. 그러므로 기능적 공간보다는 감성적인 공간의 의료시설증대가 요구되고 있는 현대사회는 디자인이 소비를 주도하는 만큼 공간에서도, 장식적인 기능은 물론이고 감각적인 즐거움과 인간의 감성을 상호 소통시켜주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으로 발전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감성디자인의 적용을 들 수 있다. 감성은 외부의 자극을 수용하는 능력이며, 감각을 매개로 하여 인간이 어떤 대상과 감각이나 지각 등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감각과 정보자극을 통해 느끼게 되며, 감수성과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렇듯 인간과 세계를 잇는 원초적 유대로써 인간생활의 기본적 영역을 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 전문병원이란 몸이 아파서 찾는 병원이라는 다른 진료과목에 비해 분만의 준비와 새로운 생명탄생을 준비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모든 진료가 이루어지는 공간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세심하고 감성적인 공간 연출이 필요하다. 특히 입원공간은 환자의 거주공간이자 치유의 촉구를 목적으로 안정되고, 안전하며, 온화한 공간으로 병원 내 타 공간과는 차별화된 치유환경으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여성전문병원 입원환경의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 그를 토대로 여성전문병원의 향후 보다 나은 감성적 실내 치유환경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정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한정한다. 제 2장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감성디자인의 개념과, 감성표현요소, 요소로서 공간적용 방법, 치유공간의 개념, 치유환경에서의 디자인 요소 등을 알아본다. 제 3장에서는 여성전문병원의 개념 및 특성, 현장 방문을 통해 수도권 내 여성전문병원의 입원 공간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여성병원 환자의 입원환경을 조사, 분석함으로서 여성전문병원 내 입원공간의 감성적 디자인 적용방안을 강구한다. 제 4장에서는 사례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인간의 감성 표현요소인 오감의 요소 (시각, 후각, 촉각, 미각, 청각)를 통해 감성적 치유환경을 연출하도록 접근하여 우리나라 중소규모 여성전문병원 병동부 치유환경 디자인을 계획하고 보다 나은 감성디자인의 적용방법과, 여성전문병원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여 연구 내용을 종합해 결론은 맺는다. 제 5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이에 따른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첫째, 잘 디자인된 물리적 환경이 사람에게 행복감과 안정감을 주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관계가 성립된다고 보고 있다. 둘째, 감성적 치유환경의 요소는 두려움과 위압감을 느끼는 여성 환자에게 치료와 출산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키며 여성 환자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치료의 보조수단이 된다. 셋째, 감성적 디자인을 적용한 병원공간은 단순히 미적인 공간이 아닌 환자의 정서적으로 안정된 측면에서 삶의 풍요로움을 더할 수 있는 장소로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한 치유환경이 된다. 따라서 이외에도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감성 디자인의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현재의 병원환경과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건축가나 디자이너에 의해 실제 적용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연구의 결과물인 정보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좀 더 감성적 치유환경을 세부적으로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의료시설에 요구되는 치유환경 요소들의 분석과 감성적 디자인방향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women’s life-span ha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economic and cultural standards, which have brought progress in the quality of life, technical skills, marriage age, and a change in attitude toward their health, all of which have resulted in an increasing attention toward women’s hospitals. Thus, women have delayed childbirth as they become more active in society, and as their levels of consumption increase. Also, as their lifestyles have become more luxurious through increasing economic growth, their level of expectations regarding medical healing and child delivery has also increased. To respond to such demands, there have been changes in how interior colors and furniture and luxurious locations are used, and a change in attitude from merely providing medical healing or health management, but as providing a service to assist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a woman’s life cycle. As a result, the hospital environment concept has been taking into account the need for customer service and the considerations of the patient. However, most women’s hospitals, despite catering to women, have stressed the importance of healing capacity and have largely ignored emotion elements in their design. As a result, the interior of the hospital has become a place for the physical and mental rehabilitation of women as well as a place for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where for doctors, it is a place of business, and for patients, a place of treatment and safety. Thus, current social demands emotion environments over merely functional spaces. Therefore, interior must have the communicative capacity to interact with the user by providing a decorative environment as a basic goal but also to encourage enjoyment and evoke human feelings. To achieve these goals, emotional design must be applied. Emotional design must pacify external discomforts, and mediate the senses so that no matter what the person is feeling, or what the person may feel from external discomforts, it will compensate for those distractions, and will make the user experience through their both their senses and the information of their surroundings, and should ultimately act to reduce their sensitivity toward discomfort. In sum, it acts to unite the human and the world and to assist in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human life. Thus, a woman’s hospital is not only a place for women to heal their bodies, but is a place of special meaning where a woman is center of all care in preparing a new life to be delivered to the world,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an emo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admission area is the domain of the patient where there is a focus on healing, so a stable, safe and calming space is needed to differentiate this space from other areas of the hospital. Consequently, the admission environment of domestic hospitals will be analyzed in this thesis to recommend design directions and to use the findings as a foundation to improve the existing environment of women’s hospitals by proposing the use of emotional design in interior medical environments. This paper is divided into 5 sections, and a brief summary of the contents are as follows. Section 1 is the introduction, where the research background and aims will be established, and the scope and research methods will be defined. Section 2 details past research and an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 will be carried out to examine the design elements, in particular,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methods of using space using those elements, the concept of healing spaces and medical environments. Section 3 explores the concept of a women’s hospital and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will detail site inspection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admission areas of women’s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patient’s environment will study the use of emotional design in the admission areas of women’s hospitals. Section 4 contains a case study through which the five human senses (taste, smell, touch, sight, hearing) will be investigated to find ways to produce emotional healing environments, with the aim of finding ways to improve the wards and healing rooms of domestic women’s hospitals, and will conclude by summarizing research findings to suggest a path for the progress of women’s hospitals. Section 5 will provide a synopsis of the research,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his paper. First, a well designed physical environment provides happiness and the feeling of stability by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mind, and society. Second, the core element of emotional design is to reduce and minimize the fears women may feel about healing and childbirth, becoming a supplementary asset in the psychological healing of women. Third, hospital space that uses emotional design should not only be aesthetically pleasing, but a safe space where life is celebrated and medical treatment capacity is established considering the emotions of the patients as well.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use of emotional design since the concepts and results discussed here are not actively considered by who manage hospital environments such as architects and designer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findings in the current research, there may be a need for the wide application of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In summar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actors behind the demands made on medical treatment facilities in the current social environment and provides evidence to support the use emotional designs as a future direction.

      • 데 스틸의 표현 특성을 적용한 1인 주거공간 디자인 계획 연구

        우소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19

        To investigate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origin of single-room living space can be found in the Iroquois LongHouse of the Indians and puebloatwaipi in Arizona.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structure such as reinforced structure, De Stijl apartments are especially suitable for modern people's life mode. Piet Mondrian (1872-1944) was representative of De Stijl. He, together with Rembrandt and Van Gogh, was a representative painter of cold abstraction art in the history of Dutch art. His works and theories of Neoplasticism caused a great impact on western modern art movements in the 20th century. The influence is everlasting, extending from painting to architecture, handicraft, clothing and other fields in design. In his works, the basic elements of painting, such as straight line, right angle, three primary colors, achromatic colors among other limited patterns, are combined with abstract things, symbolizing the power of nature and nature itself. The Rietveld Schroder House, in particular, is a modern residential space that combines Mondrian's concept of Neoplasticism with residential design from a new perspective. It i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wo-dimensional lines and surfaces, the application of colors, and the combination of the internal spatial components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istory of modern design. Therefore, based on the two-dimensional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Mondrian's paintings, as well as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Schroder House, this study designs and develops the one-person living spac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De Stijl are applicable. The study is of important practical significance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modern living space. Based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one-person living spac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De Stijl are applicable, the results of the present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elements of the space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use of line and surface in modern residential space, the line still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horizontal or vertical and dividing the surface with vertical lines. In terms of the use of surface, its most widely applied characteristic is the composition of rectangles of various lengths, dividing the surface and changing sizes. Rectangles are more widely used in space. Different rectangles make the space more multi-layered, and extend the space further outward visually. In the composition of modern residential space, asymmetric composition is applied to achieve balance, making the space more rhythmi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push-pull partition and folding partition increases the variability of space, so as to meet the changeable needs of modern residential life. As for the use of color in modern residential space, the three primary colors are no longer frequently used, while black, white and gray are still major achromatic colors. In terms of the use of furniture in modern residential space, unity is ensured by furniture with simple geometric shape which is compos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consistent with lines, making the space more complete. Interior design based on De Stijl in modern residential space streamlines the design to the essence and emphasizes the internal appeal. It is reflected in the creation of a beautiful home environment with very little decoration.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topic can serve as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and comments of residential space. 네덜란드의 미술사에서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은 렘브란트, 반 고흐와 함께 네덜란드의 차가운 추상예술의 대표적인 화가이다. 그의 신조형주의 작품과 이론은 20세기 서양 현대예술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회화에서부터 건축, 공예, 의상 등의 디자인 분야까지 그의 영향은 지금도 남아 있다. 그의 작품 속에는 회화의 기본 요소인 직선과 직각, 3원색, 무채색 등 제한된 패턴의 의미와 추상적인 것이 서로 결합하여 자연을 구성하는 힘과 자연 그 자체를 상징하게 되었다. 특히 리트벨트의 슈뢰더 하우스는 몬드리안의 디자인 신조형주의 이념과 데 스틸 건축의 표현방법을 적용한 현대 주거공간으로써 2차원적인 선과 면의 구성, 색채의 적용, 그리고 3차원 공간에 내재된 공간구성 요소들 간의 결합에 의해 탄생된 주거공간으로 현대 디자인사에도 큰 영향을 끼친 공간이다. 본 연구는 몬드리안 회화의 특징, 색채 특징, 슈뢰더 하우스의 데 스틸 건축의 3차원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1인 주거공간을 디자인 개발함으로써 현대 주거공간의 구성요소 활용에 있어서 중요한 실천적 의미를 가진다. 데 스틸의 표현 특성을 적용한 1인 주거공간의 디자인 개발을 통해 공간의 각 요소에 대한 표현방법과 특징의 활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현대의 주거공간에 선과 면의 적용에 있어서, 선은 여전히 수평선과 수직선이 적용되었고, 수직선으로 평면을 분할하는 특징이 유지되었다. 면 요소에서 가장 많이 적용된 특징은 다양한 길이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면을 분할하고 크기를 변경하여 공간 속 직사각형의 사용을 더욱 넓혔다. 서로 다른 직사각형은 교차되기 때문에 공간을 더욱 계층화하였고 시각적으로 공간을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했다. 주거공간의 구성면에서 가장 많이 적용된 특징은 비대칭 구도를 통해 균형을 이루었다는 점이다. 비대칭적인 배열구조는 공간을 더욱 리듬감 있게 만들 수 있다. 주거공간에서 색채 적용의 경우 삼원색은 빈번하게 사용되지 않았으며, 무채색은 여전히 검정, 하양, 회색을 사용하였다. 주거공간의 가구 사용에서는 단일성을 유지하였다. 즉 수평, 수직으로 구성된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가구는 선의 요소와 통일되어 공간의 완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었다. 현대 주거공간에서 신조형주의 실내디자인은 디자인의 본질로 간소화하였고 내재적인 감화력을 강조하였다. 즉 최소한의 장식으로 아름다운 주거환경을 조성하였다.

      • 장소성 개념을 도입한 폐산업유산의 복합문화공간 재생에 관한 연구 : -한·중 재생사례를 중심으로-

        화화설 상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19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산업 구조에 큰 변화가 생겼고 도시 구조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과 중국은 산업유산 폐기 및 유휴에 따른 환경오염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일부 가치가 있는 산업유산 역시 제거되거나 방치되어 사회 각계각층의 주목을 받고 있다. 폐산업유산은 근대 지역사를 직접 보여주는 물리적인 공간으로서 해당 지역 주민의 라이프 스타일과 거주 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장소다. 따라서 근대 산업화 시대의 대표적인 지역산업유산인 폐산업유산에 가치와 새로운 기능을 불어넣기 위해 폐산업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폐산업유산 유휴공간을 도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것은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가치 활용은 쇠퇴한 산업유산의 유휴공간에 단순한 재생이 아닌, 특정한 의미와 가치가 포함되어야만 진정한 재생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 폐산업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재생가치를 극대화시키고 폐산업유산에 정체성을 부여함으로써 지역 문화와 특징을 훼손하지 않게 재생 및 개선을 추진한다면 지역 주민이 문화를 누릴 수 있게 된다. 각국이 취하는 재생 방식과 정책이 다르긴 하지만 적극적으로 폐산업유산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이유는 똑같다. 디자인 측면에서 재생가치를 장소성과 결합시키면 장소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대한 주민의 인정을 받을 수도 있다. 본 논문은 폐산업유산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가치를 분석함으로써 복합재생공간의 ‘재생 가치’와 ‘장소성’ 간의 관계를 검증했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소성을 제고하기 위해 한중 양국의 재생가치에 부합한 평가 기준과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위와 같은 배경 및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이 논문을 구성했다. 먼저 이론적인 검토를 진행했다. 폐산업유산이 형성된 과정을 정리해 폐산업유산의 개념과 범위, 이에 따른 유휴공간에 대해 설명했다. 문화공간 및 복합문화공간을 분석함으로써 폐산업유산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원인과 해당 공간의 구성을 설명했다. 또한 재생문화복합공간의 가치와 특징을 소개하기도 했다. Christian N. Schulz의 장소성 이론과 Edward Relph의 장소정체성 이론을 분석하고 폐산업유산 재생 중에 나타나는 장소성의 구성 요소와 활용을 논의했다. 또한 폐산업유산 재생 중에 나타나는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가치에 대해 분석했다. 장소성의 형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재생복합문화공간 가치의 측정 목표를 세웠고 ‘문화, 사회, 경제’라는 3가지 재생가치를 평가했으며 한국과 중국이 재생복합문화공간을 재생하는 현황과 보존하는 수준 및 차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재생복합문화공간의 가치가 폐산업유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폐산업유산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가치와 장소성 간의 관계를 검증했다. 결과는 재생가치가 장소성에 미치는 영향, 재생가치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장소애착이 장소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장소애착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폐산업유산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가치가 높을수록 장소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사례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을 제고하기 위해 한중 양국의 재생가치에 부합하는 가치척도와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유럽의 성공한 재생사례를 ‘재생복합문화공간 가치 척도’와 ‘재생 디자인 개선방안’에 포함시켜 논의하기도 했다. 향후 재생 디자인하는 데에 도움을 줌으로써 폐산업유산 재생에 대한 사람들의 정체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실증 분석의 결과가 보여주듯이 한국과 중국이 폐산업유산을 복합문화 공간으로 재생시키고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합리적으로 활용한다면 폐산업유산의 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생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을 제고할 수 있다.

      • 폴드(Fold)의 표현특성에 의한 감성적 디자인 연구 : 도시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를 중심으로

        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19

        Currently, domestic city development is focused on growth, and as a result, people are becoming increasingly alienated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environment is getting larger. Open spaces in complex cities with overpopulation and over stratification issues provide a unique environment which gives citizens stability in their mind and body and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feeling of nature. Thus, open spaces are demanded, where the importance of humans and interactions are stressed.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se the emotion concept of open space to not only provide comfort, but to provide emotional safety, and to change a previously hard and bleak city environment to an environment that can communicate with humans. To accomplish these goals, 1) the importance of open spaces in overcrowded and over stratified cities are stressed; and 2) space should be reorganized into a form that communicates with humans by using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 concept as an alternative to the past industrial view.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thesis are as follows. Section 1: The research question, aims, scope and the methods are described. Section 2: Contains an analysis of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and examines the meaning of emotional space, the fold concept and its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Also, Fold’s modeling characteristics and its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through a case study, which resulted in the analysis of emotional spaces possible through the Fold concept.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modeling principles of the Fold concept which focuse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s, into topology and soft transformations. In particular, topology transformation was analyzed in detail, in terms of the dimensions of continuity, the ambiguity of boundar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Section 3: Organized and presented the standard understanding of the open space concept in urban environments a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problematic issues, provided the reasons for the need for and the meaning of open space. Finally, an appropriate target for this research was selected and after presenting problems facing the target,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 concept was used to form a plan and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space, and a solu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design was presented. Throug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an be demonstrated. First, it can be shown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ity, through open spaces, can provide emotional safety and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than merely providing a functional space. Second, it can be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plan a space which considers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spa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ehavior of the people of the target area and its current condition, and consequently, it can be expected that progress will bring spaces which can communicate with humans. Third, through topological transformation in the Fold concept, not only can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c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s and people can be increased, and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 concept can cause enjoyment and interest in users and change their experience from merely being in a space to an emotional experience of space. Fourth, through smooth transformation in the Fold concept, it is possible to have natural and dynamic elevation transformations, and through this, give not only functional satisfaction to users, but give visual enjoyment, and change their experience from merely being in a space to an emotional experience of space. The value and meaning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its aim to improve city environments, and aim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focusing on human considerations, specifically, emotional safety and an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image of the city’s environment. 현대의 우리나라 도시 개발은 도시 성장에 초점을 둔 개발 방식으로 인해 인간 소외 현상이 심화 되어 정신적·심리적 거리감이 커지고 도시 환경은 삭막해져 가고 있다. 이러한 과밀화·고층화 되어 있는 복잡한 도시 내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는 많은 도시민들에게 심신의 안정을 주고, 자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유일하게 제공되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오픈 스페이스는 인간과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둔 공간 계획요구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에 감성적 개념을 적용하여 그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편리함 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딱딱하고 삭막한 도시 환경으로부터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 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수행하기위해 1) 과밀화 고층화로 인해 삭막해진 도시 환경에서의 오픈 스페이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2)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재구성을 위한 방법으로 과거 기계론적 세계관의 대안으로 나타난 비선형의 특징 중에서 폴드(fold)의 조형적 특징을 이용하여 감성적 공간디자인을 연구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본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 : 연구의 문제 제기, 목적, 범위 그리고 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제 2장 : 감성적 디자인의 개념과 감성적 공간의 의미를 분석하고 일반적인 Fold 개념과 건축적 특징을 알아보고, Fold의 조형적 특징에 따른 감성적인 특성들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fold를 통한 감성적 공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폴드(fold)의 조형적 원리들 중에 인간과의 관계성을 높일 수 있는 조형원리를 초점을 두어 토폴로지 와 부드러운 변형들로 분류하였다. 특히 토폴로지 변형은 세부적으로 연속성, 경계의 모호성, 내·외부 관계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제3장 : 도시환경에서의 오픈 스페이스의 일반적 고찰을 통한 개념을 정리하고 그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서 공간을 통한 감성적 접근이 갖는 의의와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적합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폴드의 조형적 특성을 적용하여 감성적 공간의 구체적인 공간 계획과 분석, 디자인 적용의 작업을 통해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시의 물리적 환경은 오픈 스페이스의 역할에 따라 단순히 기능적인 공간을 넘어 사용자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간 계획 과정 시 대상지 주변 현황과 대상지 사용자들의 행태 분석을 통해 공간과 인간의 상호 관계성 중심으로 공간 계획이 가능해짐으로써 보다 더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 할 수 있었다. 셋째, 폴드(fold)의 위상 기하학적 변형(topological transformation)을 통해 공간과 공간의 관계 뿐 아니라 공간과 사람의 관계성을 높일 수 있었고, 폴드의 조형적 특성은 공간 이용자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켜 공간을 보다 감성적으로 느낄 수 있게 유도하였다. 넷째, 폴드(fold)의 부드러운 변형(smooth transformation)은 공간의 자연스러운 변화와 다양한 입면(elevation)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이로 인해 단지 공간이용자들에게 기능적 만족뿐만 아니라 체험을 유도하고 시각적인 즐거움을 줌으로써 공간을 보다 감성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한으로 인간의 감성을 초점으로 하여 디자인을 함으로써 도시 환경을 질적으로 높이는 데 기여를 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인간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도시 환경 이미지 개선을 위해 그 연구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부산시 문화거리 조성을 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 : 피프(PIFF)거리를 중심으로

        김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19

        Since Korea's urban policy was promoted centering around economic growth and function and didn't have any time to turn their eyes to citizens lives or cultural aspects, cities in Korea came to be lacking unique individuality so despite their long histories, no one could feel their histories and traditions and they don't have any marked images with standardized looks wherever we go. So recently star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Korea has tried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such as urban development thoughtless for the environment through culture, to find cities' identities which have been vague, to grant chances of balanced local developments for stagnated provincial cities and to improve poor urban environments, etc. For this purpose, construction projects of ‘culture streets’ were set up for the key objective, creation through urban design and various projects have been done, and Korea that had neglected these issues now is adjusting itself to the world trend. This study analyzed mainly the PIFF street among the culture streets in Busan. The ultimate goal of it was to grasp the value of urban culture streets which face various changes a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nvironment were brought into relief and it has significance in that this allow them to become better culture street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PIFF street from various angles centering around design perspective, it drew out problems of the street and suggested a plan for application of design as a plan of improvement. This study was progressed in the following process: Chapter 1 suggested comprehensive background of the study and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from environmental design perspective based on current projects of creation of culture streets in the world and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of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city of Busan and described the range of the research and the system of research process. Chapter 2 defined a super ordinate concept, urban cultural environment and summed up the concept and necessityof culture streets. In addition,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of Busan and Busan cultural spaces, and analyzed the images only Busan had. Chapter 3 researched and compared the representative culture streets in Korea through related bibliographical surveys and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drew out a comprehensive frame. Chapter 4 analyzed the PIFF street, the target of the specific case of this study, and starting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n which the PIFF street was formed,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PIFF street. Also, it drew out problems of the PIFF street and described an improvement pla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street. Chapter 5 drew out an actually applicable design pla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IFF street and estimated the points of the improvement. Chapter 6 summarized the previous discussions, and revealed the effects expected with the plan of design application to the PIFF stree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Through a research on the problems of the PIFF street and the plan of design application drawn out from the process of survey and analysis of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streets PIFF, the researcher was able to summarize the conclusion as follows: Cultural environment has constantly changed and developed. Streets, parts of the environment also have been through various changes. As a part of policy and a part of history an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they have changed. However, streets are not spaces approachable with purpose and intent but everyday spaces faced upon leaving doors. When various activities and independent characteristics such as spaces where to stay not pass through, of observation and speculation, participation and entertainment, and leisure and pleasure, streets was able to become spaces as parts of cultural environment which can add to cultural value of cities. Therefore, it could be known that this study had validity in that it drew out standard for analysis by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recognizing the various values of culture streets and looking at cultural values through which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PIFF street. In addition, to solve the problems, a design-oriented approach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is necessary, and the study may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a plan for design application by which the PIFF street can become a better culture street compared to the present. I hope that this study can play a role in securing competitiveness of the city in the creation of the culture street and making the citizens' lives prosperous. 우리나라의 도시정책이 경제성장과 기능위주로 추진되어 시민들의 삶이나 문화적 측면에 눈을 돌릴 틈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독특한 개성이 결여되어 오랜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와 전통을 느낄 수 없었고 어디를 가나 획일화된 모습으로 뚜렷한 이미지를 갖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 우리나라는 21세기 전후를 기점으로 문화를 통해 도시의 난개발을 극복하고, 모호한 도시 정체성을 찾고, 침체된 지방도시에 지역균형발전의 기회를 부여하고, 열악한 도시환경의 개선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문화거리’ 구축사업이 핵심 목표로 설정되어, 도시디자인을 통한 조성 및 다양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동안 이러한 문제를 등한시하던 한국도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 문화의 거리 중 PIFF거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궁극적인 목적은 문화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변화를 맞고 있는 도시 문화거리에 관한 가치를 파악하고 더 나은 문화의 거리가 될 수 있게 하는데 이의를 두고 있다. 또한, 디자인관점을 중심으로 다각적 각도에 의해 PIFF거리를 분석함으로써, 거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 개선방안으로 디자인 적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제 1장에서는 현재 세계적인 문화거리 조성사업과 부산시의 현황에 대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한 전반적인 연구의 배경과 환경 디자인적 관점의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범위와 연구과정의 체계를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상위개념인 도시문화환경에 대해 정의하고 문화의 거리에 대한 개념및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부산 도시의 특성과 부산문화공간에 대해 분석하고, 부산만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제 3장에서는 관련 문헌조사와 실제 현황 분석을 통해 국내 대표 문화거리 사례를 조사·비교하고 분석의 종합적 틀을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본 연구의 특정한 사례의 대상지인 PIFF거리를 분석하고, PIFF거리가 생겨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시작으로, 현재 PIFF거리의 현황이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또한 PIFF거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거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서술하였다. 제 5장에서는 PIFF거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제 적용 가능한 디자인 적용안을 도출하고 개선점에 대해 평가하였다. 제 6장에서는 앞선 논의들을 정리하고, PIFF거리 디자인 적용안의 기대효과와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자는 문화거리의 역할과 특성에 대한 조사·분석 과정을 거쳐 도출한 PIFF 문화거리의 문제점 및 디자인 적용안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정리할 수 있었다. 문화 환경은 끊임없이 변화·발전 해왔다. 그 환경의 일부인 거리 역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정책의 일환으로, 역사의 일부로, 사용자의 편의 데로 변화 되어왔다. 그러나 거리는 목적과 의도를 가지고 접근하는 공간이 아니라, 문을 나서면 마주치는 일상적인 공간이다. 통과하는 공간이 아닌 머무는 공간, 관찰과 관조의 공간, 참여와 오락의 공간, 여가와 즐거움의 공간으로써 다양한 활동과 독자적인 성격이 부여될 때 거리는 문화 환경의 일부로 도시의 문화적 가치를 더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거리의 다양한 가치를 인식하고 문화적 가치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분석의 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PIFF거리의 현황 및 문제점을 비교·분석하는데 타당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총체적인 관점의 디자인적 접근이 필요하며, 앞으로 PIFF거리가 현재보다 더 나은 문화의 거리가 될 수 있는 디자인 적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 거리 조성시 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도시민들의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이익을 담당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