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품디자인 교육과정과 실무연관성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석혜주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823

        인간의 일상적인 삶의 질을 더욱 윤택하게 하는 디자인의 역할에 대해 지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그 수준은 날로 발전하여 이러한 디자인 산업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중 지식기반서비스산업에 포함되어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제품의 질을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수준이 향상되어야 하고, 디자인 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인력육성정책이 요구된다. 오늘날 사회 현상을 볼 때 대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졸업 후 산업체로의 취직으로 이어져야 하는 과정 속에서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 문제점을 대학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 현재 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에 대한 현황 파악과 디자인진흥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재교육 및 연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산자부와 디자인진흥원에서 공동으로 진행한 ‘2006 디자인인력양성사업 수요조사 보고서’를 참고로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현황 파악을 위해서 대학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인식, 기업의 인력 채용, 제품 디자이너 능력 일반, 산학협동에의 참여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또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여러 가지 디자인교육 및 연수가 시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역할은 학교가 담당해야 할 몫이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학교 정규 교과과정이 실무와 좀 더 연계된 내용을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디자이너를 배출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실무 유용성을 높여야 한다. 즉, 실무에 바로 적응 가능한 교육과정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 대학중 2001 디자인대학평가에서 최우수평가를 받은 대학(덕성여대,한양대 제외)과 카이스트대학의 교과과정을 조사,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 교육과정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은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기회가 적은 것이다. 국내 교육과정이 발전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 해외 우수 디자인 대학의 장점을 조사하였다. 해외 우수 디자인 대학 교육과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영국의 대학 교육과정과 미국의 대학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의 교육은 확연히 다르게 구분된다. 영국은 3년 수료 형식으로 세부 전공에 관련된 교과목만을 교수하고 깊이있는 교육을 통해 한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체제라고 한다면, 미국은 4년제로 교양수업을 겸비한 다학제적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통해 졸업 후 전공과 관련된 다른 다양한 분야에 적응할 수 있는 사회인을 양성하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국내 디자인대학의 교육과정이 실무와 좀 더 연계되어 취업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위해서는 디자인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디자인 커리큘럼 지침이 제정되고, 산학협력형 교육사업이 진흥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시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현장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확대와 디자인 교육과 산업체 연계의 체계화 유도로 나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행정 절차의 중요결정을 담당하는 자문위원의 구성, 학점교류형 산학협력 프로젝트, 다학제적 교육과정 마련 및 시범 설치, 전공의 세분화, 차세대디자이너 인턴 지원 사업, 재학생 현장실습 학점인정제 시범 실시 및 지속적 확대, 디자이너 QC(Quality Control)제도 운영 등으로 말할 수 있다. 교육과정 속에서 산업체와 연계되어 실무 적응력이 뛰어난 디자이너를 양육할 수 있고 이는 졸업 후 실무로 바로 적응 가능한 인력 능력을 함양시켜 요즘의 취업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ese days many people show interests in roles of design for polishing ordinary human life qualities, and as the standard raising, design industries are in the limelight of mass communication as the next generation's core industries including knowledge based service industry among the next generation powerful growing industries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ies of goods all over the fields of industries and raise the national competitive power, the level of design should be improved and need differentiate fostering human power policy for raising the level of Design. In these days, many students have difficulty in employment toward industries after graduating universities' curriculum. This master's thesis includes reeducation and training carried out in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and grasp of the present status of current curriculums of design Univ for groping the solution of mentioned problems focusing the problems. Grasp of recognition about cooperative system's participation and general industrial design ability, and employment of human power by enterprises, and recognition about education of design department of Univ for grasping of present status of current curriculums by consulting 'Demand research Report of fostering Design Human Power Industry in 2006 ' progressed by Ministry of Commerce and Korean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School should take a share in design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progressed in Korean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We can find that current curriculums should be organized connecting practical affairs through this research. Executive utilities must be raised for fostering designers need for industries, namely improvements for curriculums of applying to practical affairs. This master's thesis presents the plan for solving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employment by cultivating human power ability for available after graduation in practical affairs. Examining and analysizing first class university's(except Duksung woman Univ. and Hanyang Univ.) among the internal universities and Kaist's curriculum for grasping developments of internal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of excellent design Department Univ. all over the world.

      • 디자인.공예 특성화고등학교 운영 방안 연구 : 경주지역 공예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기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91

        우리나라의 현행 고등학교 교육체제는 학생들의 다양한 적성과 흥미, 능력 개발 및 신장에 미흡하고,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취업보다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어 조기 진로결정의 의미가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정부는 실업계 고등학교 진학을 기피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과열되어 있는 대학 입시 문제도 완화시킨다는 취지 하에 실업계고등학교를 특성화 고등학교로 전환함으로써 기존의 실업교육의 질을 보다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라는 의미는 특정 전문 분야에 대한 소질과 적성, 관심이 있고 그 분야로 진로를 조기에 결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정산업과 연관된 전문분야에 대한 직업교양교육을 실시하는 직업교육 기관으로서, 특성 있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학교를 말한다. 만화·영상, 디자인, 공예 등의 전문분야의 소질을 계발하기 위한 디자인·공예 특성화 고등학교는 전국에 5개교가 있다. 이들 특성화 고등학교는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하기 때문에 학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디자인·공예 영역에 적성과 흥미를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여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공예 특성화 고등학교의 현황을 토대로 특성화 교육의 체제와 운영의 미흡 등으로 가장 많은 문제를 나타내고 있는 경주지역 공예 특성화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공예 교육의 특성화와 다양화를 통한 우수한 공예디자인의 기초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경주지역 공예 특성화 고등학교 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주지역 공예 특성화 고등학교의 운영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현재 디자인·공예 특성화 고등학교 운영 현황을 알기 위해 관련문헌 및 학교 교육계획서 등을 통한 자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둘째, 교원들의 의견수렴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경주지역 공예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으로 현재 개설되어 있는 학과와 유사한 계열 및 동일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인근 대학을 선정, 개설 빈도율이 높은 과목을 분석하였다. 넷째, 이를 토대로 경주지역 공예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형과 공예 교과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현재 경주지역 공예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기존의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처럼 학생의 적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학교 전체 정원을 선발하여 1지망 우선 순위에 따라 성적순으로 학과를 선택하게 되어 특성화 고등학교의 취지와 학생의 재능 및 흥미가 무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 고등학교를 선호하는 풍토와 실업계고등학교와의 차별성을 뚜렷이 제시하지 못함에 따라 신입생 모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과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도 지역 사회의 여건이나 학교 여건에 맞추어 다양한 영역의 직업분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전공교사 부족 현상의 교원 문제와 진로지도의 체계성 부족 현상, 행·재정적 지원상의 문제 등이 교육의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신입생 선발 방법 개선, 학과 개편안,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형 및 공예교과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교원 대책, 진로지도, 각 지역 기관의 역할과 기능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고, 지역 문화상품으로서 기능과 가치가 인정될 수 있는 제품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경주지역 공예 특성화 고등학교 운영의 개선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 선발은 학과별로 정원을 모집하거나 코스제를 도입하여 성적보다는 학생들의 재능과 적성, 흥미와 관심 분야 등이 우선시 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대부분 선호하고 있는 가장 인기 있는 학과의 학급 수를 늘리고 비 인기학과를 통합하여 전공별로 세분화하여 나누는 방안과 학과제보다는 그 직무에 관련된 다양한 코스를 개설하여 운영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여건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영역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영역의 교육과정을 지역산업체와의 협의회를 구성하여 산업체의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 공예 특성화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의 연계(2+2), 산업대학, 4년제 대학간의 연계(2+4)체계가 구체적으로 설계 운영되어야 하고 그 방법에 있어서 교육과정 및 교재의 공동 개발, 교원의 공동 활용 등이 가능하도록 운영해야 한다. 현장실습의 다양화와 체계적인 운영을 통해서 학생들 스스로 현장실습의 시기, 장소, 방법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현장 실습 전담 부서를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부족교사에 대한 대안 등을 위해 도입한 산학겸임교사 운영이 적극 활용되어야하고, 진로지도 방안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적정한 배치, 다양한 체험학습 방법, 재량활동 시간에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 등이 요구된다. 앞으로 지역사회의 특성과 학교의 실정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과 지역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꾸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Now the real situation is that Korean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is unsatisfactory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various aptitude, interest, and ability of students, and that especially in industrial high school the purport of early determination of course is being weakened as the students desiring to enter a school of high degree rather than to get a job are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plan for this problem,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xisting industrial education by transforming industrial high schools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to the purport of relieving the unnecessarily excessive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and at the same time resolving the problem of avoiding entering to industrial high school. Specialized high school means the school that is run with autonomy and trait as a vocational and cultural education institute on specialized field related to specific industry for the students who have temperament, aptitude and interest about specific specialized field and decided their course early. There are five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design and craft in the whole nation for developing temperament of specialized fields like animation, image, design, craft and so forth. As these schools are inviting their students who have aptitude and interest in design and craft field from the whole nation, they are running distinctiv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is study based on the spo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craft selected that kinds of schools in Kyeongju, which have the most problems in their systems and school running, and suggested the improved running plans for them to develop basic ability of excellent design by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quality of craft education. This study demonstrated followings in order to improve running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craft in Kyeongju. First, investigated data through references and school plans in order to know the running situation of current design and craft specialized high schools. Second, investigated interviews with teachers for gathering opinions. Third, selected nearby colleges which opens similar or same courses as the schools' and analysed the subject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opening as a plan to improve the organizing and running of the schools' curriculums. Fourth, suggested the models for organizing and running of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design and craft in Kyeongju and teaching models of craft cla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current design and craft specialized high schools selected the students to the full strength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ir aptitude and place arrange them according to their first choice and grade, and so are neglecting the purport of the schools and the abilities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And also they have difficulties in inviting new students as they can't show a difference from industrial high school and there are tendencies preferring academic high schools, but some courses are very popular and others are not. In running of curriculum, they can't run curriculum of various fields in accordance with regional society capacity and school condition, and the shortage of specialized teacher, the shortage of the system of course guidance, the insufficient execu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so forth were proven as the education problem.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 suggested the improved method of selecting new students, a proposal of department reorganization, models for organizing and running of curriculums and for craft class, the resolution plans for teacher problem, course guidance, the role and function of each regional institute and so forth, and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the goods to be recognized the function and value as regional culture good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suggest the improved plans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craft in Kyeongju are as follows. First, selecting new students should be made to the full strength by departments or courses and take more account to the students' talents, aptitude and interest than their grades. Second, the number of the classes of the departments the students prefer should be increased, and less preferred departments should be unified and subdivided according to majoring and the schools should open and run various courses related to the functions not to present departments. Third, curriculum fields should be determined with a consideration of regional society condition , the demand of industry should be accepted by constituting conference with regional industry about the determined curriculum fields. The connection(2+2) between craf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olleges, and the connection(2+4) between industrial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be planned and run particularly and the connection method should be run so that joint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the joint utilization of teachers, the attending of lecture in higher school and so forth are possible.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practice in field and the systematic running, the department in charge of field practice should be organized and run so that students can select by themselves the time, place, method and so forth of filed practice. Fourth, the actual spot centered curriculum, hiring instructors taking their position at work concurrently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program for the shortage of teachers should be actively applied, the proper arrangement of counselors as a method of course guidance, various experience learning plans, applying course guidance programs in discretion class are required. From now on, the steady research upon developing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gional trait and school situation and developing regional culture goods is required.

      •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전문계 고등학교의 디자인 특기 적성 수업의 조형 분야를 중심으로

        정성교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objectives of the study lies in examining problem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design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seeking the activation plan. Study questions to achieve abov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examine and analyze the selection motives of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design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Second, examine and analyze the selection goal of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design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ird, examine and analyze the understanding on plastic arts as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design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Method of study to achieve objectives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First, various literatures including reports on specialized high school education, domestic education statistics, dissertations and journals on specialized high school, operating plan for high school, etc were collected as the literature analysis. Second, students from two specialized high schools in Gyeonggi-Do were randomly selected for survey as survey analysis. Field of survey analysis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fields. It was divided so that questions of Field 1 inquire about the selection motiv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Field 2 inquire about the selection goal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Field 3 inquire about the understanding on plastic arts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nclusion and proposal based on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First,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all develop talent and aptitude of student and assist future decision on career selecti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all be performed more productive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It shall be developed as education that designs the future of students together with role of education by providing not only the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elect major suitable for their aptitude but also the opportunities to select career. Second,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all have association with practice subject of plastic ar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When it is achieved in association with design practice related subjects among regular subjec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efficiency of class will be higher. When theory and practice can be progressed simultaneously by practicing knowledge learned in regular plastic arts class through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efficiency will be much higher. Therefore, system of plastic arts class shall be established where teacher of regular plastic arts and instructor of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are classes together. Third, theoretical and practical class regarding the observation ability for form of object and use of color shall be given simultaneously to improve basic ability of students in plastic arts. Practice centered class has problems in aspect of design application although expression can be improved with repetitive learning. Although design is created with sensibility, simultaneous establishment of theory and practice shall be performed prior to forming that sensibility. Therefore, the effect is amplified when theory and practice is performed simultaneously. Fourth, improvement in environment is necessary to improve formative ability of students through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Various activities for plastic arts requires vast space. Great piece of plastic arts can be created when students can freely work in well created space. In case of foreign countries, it can be noticed that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is created very well. Form is the structure of space. Therefore, it is critical to solve issues regarding environment for activities of plastic arts since it demands space whether it is two dimensional or three dimensional space. Fifth, quality of instructors shall be improved for development and qualitative improvement in plastic arts field of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first started as a part plan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were welcomed by many parents. However, problems regarding the qualification of instruc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raised by some parents. Anyone who graduates college with a degree in related major can become an instructor for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refore, it becomes a factor to lower the quality of class. Person with professional education is in demand for instructor of desig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refore, quality of instructor shall be increased by providing certain education so that true education can be realized. Sixth, program shall be researched and developed so that students can take interest in plastic arts activities. Exciting plastic arts activities shall be developed to break bias that plastic arts activities are difficult. Program to help student understand the forms themselves shall be developed rather than rigid class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특기·적성 교육활동 활용에 대한 문제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전공 학생들의 디자인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선택 동기에 관하여 조사 분석한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디자인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선택 목적에 관하여 조사 분석한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디자인 특기·적성 교육활동으로 조형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 분석으로 전문계 교육 관련 연구보고서, 국내 교육 통계,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계 관련 논문 및 국내 학술지, 고등학교 운영계획서 등 다양한 문헌 자료 수집 분석하였다. 둘째, 설문 조사지 분석으로 경기도내 2개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임의로 선정하여 조사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조사 분석 영역은 크게 3영역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였다. 제1 영역은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선택 동기, 제2 영역은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선택 목적, 제3 영역은 특기·적성 교육활동으로 조형에 대한 이해에 관한 사항을 묻는 문항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제언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특기·적성 교육활동은 학생들에게 특기와 적성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며, 향후 진로선택 결정에 도움을 주어야한다. 둘째, 디자인 특기·적성 교육활동은 전문계 고등학교의 조형 실습과목과 연계성을 가져야한다. 셋째, 학생들의 기초 조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물의 형태 관찰 능력 및 색채 사용에 대하여 이론적 학습과 실기수업이 동시에 교육되어져야 한다. 넷째, 디자인 특기·적성 교육활동으로 학생들의 조형능력 향상을 위하여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디자인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조형 분야의 발전과 질적 향상을 위하여 강사진의 자질이 향상 되어야한다. 여섯째, 학생들이 조형 활동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해야 한다.

      • 디지털미디어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고아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91

        새로운 기술이 발전되면서 그에 따른 생활양식도 변화하고 있다. 모든 정보화 양식이 숫자로 정보를 처리하는 디지털 기술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방송 통신과 통신기술, 커뮤니케이션 도구들이 일반화되고 다양화되었다. 이러한 사회변화 속에서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은 디자인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한다.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미디어디자이너는 학교교육에 의해 육성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행 고등학교의 디자인교육은 체계적인 교육과정 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디자인 교육이 아니라 기술 중심의 사설학원에서와 같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등학교 내에서의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미디어 산업의 확장에 따른 디지털미디어 산업의 새로운 분야로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디지털미디어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디지털미디어디자인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는 서울과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 중 정보, 미디어, 애니메이션 등의 용어가 들어가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3개교의 교육과정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여 2003학년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교육은 대학에서의 전문교육의 가장 기초가 되며, 대학교육을 위한 준비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첫 번째 단계로 고등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교육과정이 대학교육과 얼마나 연계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두 번째 단계로 각각의 교과목들이 실무교육과 이념교육으로 연결되는 지식의 난이도 중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교과 난이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 분석 결과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대학교 교육과정은 대체적으로 교과목의 연계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등학교에서의 디지털미디어디자인 교육은 표현의 창의성 개발과 발상, 표현적 전개의 효율성, 디자인과 예술과의 관계에 대해 학습하는 시각 영역과 색채의 이론과 자율적 실기 습득으로 예술을 보다 넓게 인식하는 색채 등 디자인 교육에서의 근원적 영역인 창의성과 지각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영역이 없어 이러한 과목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 단계의 교과 난이도 연계성 분석 결과 고등학교 교육은 주로 실무실행능력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영역의 교육은 창조적인 감각 교육 및 이념 철학 교육의 과목들로서 이는 교과 난이도의 연계성 분석 결과와 같은 맥락에서 생각되어야 한다. 감각 지각 교육이나 이념 철학 단계의 디지털미디어디자인 교육은 처음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을 접하게 되는 고등학생들에게 반드시 소개되고 올바르게 이해되어야 하는 교과목으로 대학교육과의 연계성 있는 교육을 추구하고자 할 때 교육과정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국내 고등학교의 디지털미디어디자인 교육과정은 대학교육과는 다소 연계성이 있으나 실무위주의 교육이 주가 되는 편향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Our lifestyle is changed with a new technology development. Every information types accept digital technology expressing in figures. And so, it is coming a variety of broadcasting communications, technologies,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se social transformation, digital media design occupies a significant area of design. Digital medea designer that society needs is brought up by school education. But, because our high school design education has not a systemic curriculum, most design educations are performed by practice-focused private institut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ic design curriculum in high school. This study's purpose is to identify digital media design education situation in high school. This research is survey study. Subjects are 3 curriculums of specialized high school performing digital media design education in located Seoul and National Capital region. These schools are selected including information, media, animation by these name. And curriculum in 2003 is analyzed. A high school digital media education is based on a professional education in university or college and a preparation for university or college education. In this points, a high school curriculum is analyzed by two stages. The first stage, it is analyzed that how much digital media design curriculum in high school is linked with university or college digital media design curriculum. The second stage, it is analyzed that how much each subject of curriculum is hard. This knowledge hardness is connected from practice to philosophy education. This results are to identify that digital media design curriculum in high school is mostly linked with university or college digital media design curriculum. But, digital media design curriculum in high school does not have subjects for creation and perception that. As knowledge's hardness was analyzed, it was to identify that digital media design curriculum in high school mostly have subjects for practice. The subjects to perception and philosophy education in high school are not linked with subjects in university curriculum. This results are looked upon as similar view. Digital media design education for perception and philosophy need to students for correct understanding to design. And so, digital media design curriculum in high school is altered for linked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y or college. This study's results are identify to digital media design education in high school is mostly linked but is leaned to practice education.

      • 문제표상을 통한 형태발상 교육에 관한 연구

        조금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91

        연구의 시작은 '디자인 조형 활동에 있어서 창의적 사고의 동기는 과연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전공 학습을 설계하면서 꼭 고려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창의성에 관한 동기이론에 따르면, 창의적 사고는 창의적 과정에 대한 순수한 즐거움이거나, 문제를 해결하려는 개인의 욕망으로부터 비롯한다고 했다. 이것이 사회적 역사적 정당성을 입증 받았을 때야 비로서 창의적인 결과물로서 인정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발상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원리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조형발상 학습모형을 설계, 실험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창의력은 문제해력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보다 엄밀한 의미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은 다소간의 의미차이를 내포하고 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문제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필요로 하지만, 문제에 따라 정확한 사실만을 요구하는 문제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 상황을 접하게 되었을 때, 문제를 이해하고 도출하며 그 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인지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문제표상(problem representation)'이라 한다. 문제표상이란 '문제를 이해하는 인지과정'을 말하며, 문제를 구성하는 정보를 찾아내고 이것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문제를 풀 수 있는 단서, 혹은 실마리를 찾아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학자에 따라, 더욱 풍부하고 더욱 정선된 문제의 표상을 계속적으로 확립해 가는 '표상의 확장과정'을 곧 '문제해결의 과정'으로 볼 만큼, 문제해결에서 표상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렇다면, 디자인 전문영역과 디자이너라는 전문가집단에 있어서 문제와 문제표상, 문재해결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그 개념 및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디자인 전문영역에서 문제란, 디자인 대상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변수간의 관계 속에 성립되는 것이라 볼 수 있으며 문제표상이란, 문제의 이해 및 해결을 위해 여러 가지 상황을 머리 속에 형성해 보는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디자인 관점, 혹은 디자인 개념(concept)이 성립된다고 보고 있다. 이는 디자인 전 과정 중,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디자인 관점이나 개념의 성립이 바로 디자인철학으로 발전할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디자인영역에서 문제해결은 곧 디자인 조형언어인 형태나 색상, 재료 등의 조작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일반적 인지과정으로서 문제해결과 디자인 전문영역에서의 문제해결에 대한 개념의 이해를 통해 디자인 조형발상 학습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쟁점이 제시되었다. 그것은 바로 디자인 관점의 형성이며, 이것은 다름 아닌 문제표상이라는 인지과정을 통해서 형성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창의적 발상을 위해, 전적으로 학습자의 체험이나 경험에 의존해온 기존의 학습방법은 변화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창의적 발상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면서 정작, 발상을 위한 학습시간이나 학습도구 등은 고려하지 않은 채, 학습자의 자료조사나 관찰학습과 같은 체험이나 경험에 의존해온 디자인 전공 학습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문제해결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조형 발상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문제표상력의 증진을 위해 활용한 구체적 학습방법은 교육방법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러 방법 중, 학습자의 다양한 사고훈련을 유도한다고 판단된 쉐마훈련(schema)이다. 쉐마훈련은 교수자의 다각적인 질문을 통해,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한계와 관습에서 벗어나 보다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사고를 정교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 중 발생한 한계성을 인지하며, 본 연구와 함께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The research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is a motive for creative thinking in art and design activities. That question seems to be a very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to develop art and design education based on creative thinking. According to the motive theory with respect to creativity, creative thinking is stimulated by pure pleasure gained from creative process or by personal desire to solve a problem. Only if the creative thinking is justified socially and historically, it is recognized as the outcome of creativity. Based on the concept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tudy creative thinking as problem-solving approach. Ultimately, it is intended to design and experiment learning model for creative thinking in art and design in order to improve creativity of learners. Generally speaking, creativity is regarded the same as problem solving ability. However, in a narrow sense, creativity is slightly different from problem-solving ability in terms of meaning. The reason is that although most of problems require creative ideas, some problems require only accurate facts. Therefore, when an individual encounters a problem, it is vital for him or her to identify, understand the problem and look into its structure. According to Cognitive Theory, this process refers to the problem representation. The problem representation means a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a problem. It is the process of fording and analysing information that constitutes a problem, establish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of the problem, and identifying a clue for solving the problem. Some scholars said that the process of expanding representation, in which representation of more abundant and more carefully selected problem is constantly established, is a problem-solving process. As such, representation is important in problem solving. Then, we need to look into the concept of a problem, problem representation, problem solving, and their relations in design context to understand what they are meant to the field of design and expert group of designers. In design, a problem is constitu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object for design and its surrounding variants. The problem representation is the process of creating several situations in mind to understand and solve a problem. Going through this process, a design perspective or concept is created. Among design processes, it is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process because the established design perspective or concept is likely to evolve into design philosophy. Moreover, problem-solving in the field of design is actualized by handling forms, colors, and materials that are art and design language. Looking into problem-solving as a general cognitive process, and problem-solving in design context, an important issue to consider arises. It is the formation of design perspective. The design perspective seems to be created during the cognitive process, that is, the problem represen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xisting learning method totally depending on experience of learners to facilitate creative thinking. Especially, change is needed in design education that depends on leaner's experience gained through data research or observations and does not consider learning time or tools for creative thinking although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is emphasized. This paper sets out to provide creative design teaching program through problem-solving approach based on the theory mentioned. Among education pedagogy, teaching method applied to enhance the problem representation is Schema training that induce learners to practice various thinking skills. The Schema training seems to help learners move beyond their limits and usual practices, and sophisticate their thoughts in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with the questions of a teacher asked in various aspects. The paper acknowledges limitations identified during the research, and points out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 중등 디자인·공예교원 임용시험의 출제경향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2005~2009년 1차 전공 필기시험 중심으로

        박선영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91

        We need to promote quality of education in order to survive in the environment being changed rapidly. Quality of teacher is most important factor although there are various factors to promote that. This kind of work should be taken carefully and strictly because the nation’s future depends on appointing excellent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eachers by analyzing a change of an appointment system, training for design and teachers, and examinations of an appointment from 2005 to 2009. As a result that the recent examinations for 5 years to appoint middle school teachers for design and industrial arts, there are a few problems. Possibility of an appointment is low so that the mind of evas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is spreading out. The figure of an appointment is small although the number of people having a teaching certificate is increasing. by <table Ⅱ-1,2,5>, the people acquiring the certificate are 556 but only 9 is appointed as middle school teachers for design and industrial arts in 2007, 12 people are appointed among 836 in 2008, and only 5 appointed among 862 in 2009. The contents of questions in examinations of an appointment are not equally set at various andthecontentsleansuponspecial. Pedagogy is getting increasing and Major is decreasing so that the portion 1:3 is desirable. But Teaching-Learning which wasn’t set at all in Major in 2005 occupied 17points among 80points. This state also comes out at Major. Visual design was the highest portion as 38.57% in 2005, environment design was 32.81% in 2006, portion of visual design and environment design is 21.66% in 2007, environment Sample questions and performance tools by appropriate standards and valuation tools which applied to the administration competition examination should be developed because of incongruity of present appointment’s standard and present valuation tools. The result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mprove the appointment better are following. The figure of teacher who teaches desi gn and industrial arts at middle school should be extended. The number of the appointment is small even though the people having the certificate are a lot Design, industrial arts teacher and art teacher should be classified definitely. Expertise of design is corrupting like design and industrial arts are under art. The expertise and characteristic of design are recognized in developed countries but not in Korea. The questions should be more objective and improved. This study presents sector of fundamental valuation and distribution of valuation contents’ detail to develop the standard and valuation tools. Contents and method of study in Design and industrial arts field should be related to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and the study subject should be accomplished by expert appointed by standard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 according to the first examination. Therefore, if the second and third examinations are analyzed, this data will be more objective. 급격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질적 제고가 필요한데 교육의 질을 높이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교사의 자질이 으뜸이라 자타가 공인하지 않을 수 없다. 훌륭한 교사를 임용하는 일은 국가의 장래 존망을 측정하는 가늠자와도 같기에 매우 신중하고도 엄격하여야 하리라 본다. 이에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교원 신규임용제도의 변천과정과 디자인&#8228;공예교원의 양성교육 현황, 2005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의 디자인&#8228;공예교원의 임용시험 출제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임용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교사들이 참고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함은 물론 향후 출제 방향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2005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 최근 5년간에 걸쳐 시행된 우리나라 중등 디자인&#8228;공예교사 임용시험의 출제경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임용 가능성에 대한 기대 저조로 인하여 교직 회피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교원자격증 취득자가 양산되고 있음에 반해 임용 숫자는 적은 실정이다. <표 Ⅱ-1,2,5>에 의하면 중등 디자인&#8228;공예교원의 배출수가 2007학년도는 556명인데 반하여 임용의 숫자는 9명에 불과했고, 2008학년도는 836명 배출에 12명을 임용하였으며, 2009학년도는 862명의 배출에 5명만 임용하였다. 둘째, 임용시험에 출제되는 문항의 내용은 다양한 요목에서 균등하게 출제되지 않고 특정한 요목에 편중되고 있었다. 교과교육학이 점차 상향되고, 교과내용학이 점차 하향되어 그 비율이 25%와 75% 즉 1:3의 비율 분포로 출제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교과교육학에서 2005학년도에는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던 교수학습분야가 80점 만점에 17점 즉 21.25%의 높은 출제율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교과내용학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2005학년도에는 시각디자인이 38.57%로 가장 높은 출제율을 보였으며, 2006학년도는 환경디자인이 32.81%, 2007학년도는 시각디자인과 환경디자인이 21.66%, 2008학년도는 환경디자인이 22.95%, 2009학년도 또한 환경디자인이20.51%로 가장 높은 출제율을 보였다. 이와 같이 특정요목에 편중되어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출제문항의 다양성과 균등성에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중등교원 임용자격 기준과 평가도구 등의 부적합성에 따라 이를 극복하고 앞으로 시행될 선정경쟁시험에서부터 적용할 적합한 기준과 적정한 평가도구에 의한 예시문항과 수행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나아가 질 높은 임용시험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등학교 디자인&#8228;공예를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교사수를 늘려야 한다. 교원자격증 취득자가 양산되고 있음에 반해 임용 수는 턱없이 적은 실정이다. 둘째, 디자인&#8228;공예교사와 미술교사는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 디자인&#8228;공예 교과는 마치 미술교과의 하위영역에 배치된 것처럼 디자인의 전문성을 흩으려 놓고 있다. 디자인의 전문성과 고유함을 선진국은 인식하나 산업국가로 발 돋음 나는 우리나라는 아직도 미술과 안에서의 디자인&#8228;공예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출제문항으로 거듭나야 한다.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사자격기준과 함께 임용고시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서 기본적인 평가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상세화의 방향성을 제시하여야 한다. 디자인·공예분야에서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한국공예학회를 중심으로 관련학회와 연대하고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고지한 평가영역을 기준으로 전문가를 위촉하여 연구과제를 수행하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8228;공예 신규임용과 관련된 선발현황과 1차 전공영역 기출문제에 따른 결과가 분석되어 있다. 향후 2차와 3차 시험까지 확대 연구된다면 디자인&#8228;공예교사를 선발함에 보다 더 객관성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실태와 개선방향 : 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정루비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importance and value of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are underestimated as it is treated poorly as a curriculum without connection and unequal relative importance as a part of art curriculum, and it is the reality that most of the art teachers majored in pure art so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them to create and re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design field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lso, guide books for teachers are distributed as data necessary for guidance at the field of art education, but most of then handle only the field of pure art and even the design related contents are partial towards pure art. So the guide books for teachers in terms of design field are not being used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was made to activate use of guide books for teachers as true educational data at schools by suggesting an efficient improvement solution to the guide book for teachers based on the research of teachers’recognition of guide books for middle school art teachers in the field of design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nd reality and problems of using such books. To provide a direction for improvement by making an analysis of requirements from teachers, problems and reality of using guide books for middle school art teachers in the field of design based on surveys, I sent e-mails to 180 randomly selected middle school art teach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Excluding 3 that were clearly insincere responses among 154 surveys that were recovered, 151 survey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t the final stage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analyzing surveys for the direction of improvements and reality of using guide books for middle school art teachers in the field of design a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utilization is extremely low as a result of responses for the recognition of teachers in general remarks, so they answered tha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direction to editing guide books and text books for the field of design’ must be supplemented or emphasized most especially in general remarks in terms of teaching in the field of design. Such results are a response to the lowest response rate in results of teachers’recognition for general remarks, which proves that the design education system is not yet established blocking a proper academic approach towards it. Second, as a result of responding to teachers’recognition to the particulars, the level of utilization was comparab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remarks, but the field that must be most supplemented and emphasized were ‘reality of field practice guidance (interpretation of study contents)’. So the part of ‘reality of field practice guidance’ among the contents of guide book for teachers must be researched and developed most of all, and diverse plan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are actually helpful to classes needs to be suggested. Third, a lo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interpretation of study contents and activities’, which is a field most used in actual classes among the categories that correspond to the actuality of field practice guidance of the particulars, is not helpful, due to the fact that the interpretation in the guide book for teachers are mainly of excessively unified products, and they lack to stimulate interest and motivation from students from insufficient data for actual guidance that provide reference to learning in the era of rapidly changing designs. Therefore, the teachers must understand fash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nd the direction of trends, and record new and diverse examples and reference data into the guide book to educate students more accurately in advance. So the guide book should be reconstituted so the teachers can understand the contents of design more easily, and professionally guided in the field of design by providing ways to easily prepare or create learning materials and data and reference books. Forth, as a result of making research for the acknowledgement of the need to have guide books for teachers, the teachers turned out to feel the need but rather find them unhelpful due to low functionality as a guide book for teachers compared to its original purpose. Especially most of the teachers turned out to use the guide book for teachers for divers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classes and make reference to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necessary in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but there were also many problems and improvements that must be made. Fifth, the source teachers most frequently use to prepare for classes were in the order of ‘Internet, ‘visual material’, and then followed by ‘guide book for teachers’ in the last, which shows that the level of using guide books for teachers is the lowest. Most illustrations in guide books for teachers have difficulty to cause interest and motivation from students as they carry illustrations of art pieces requested by professional associations or works made by professional artists, and it is the reality that interesting teaching and learning is most difficult due to lack of diverse learning materials and insufficient explanation for works and the creation process. Moreover, the design structure and academic system are not clearly established in the field of design in guide books for art teachers so the contents and explanations for the design terms are described differently by every publishing firm. Since unclear definition for design concepts, inaccurate use of design terms,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can give confusion or wrong value system for design to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nt use of design terms and description is in demand. Sixth, in terms of policies that must be qualitatively improved in the field of design in guide books for art teachers, the results showed in the order of ‘establish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design curriculum’, ‘relaxation of regulations related to systematic standards’, and ‘negotiation system with actual teachers to edit teaching materials’. Seventh, considering improvement that must be made in the field of design in guide books for art teachers, there were opinions such as ‘rich data must be provided to cause interest of students reflecting trend’, and ‘system for design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Also, there were also opinions such as ‘the guide books used in classes must have concrete descriptions for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received most attention, which demands that the contents of design be handled more in details and accurately in guide books for teachers as most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majored in pure art and have difficulty in teaching design to the students. 중학교 디자인 교육은 미술교과의 일부분으로써 불균형적인 비중과 연계성 없는 교육과정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그 중요성과 가치를 평가받지 못하고 있으며, 미술교사 대부분의 전공이 순수미술 중심임에 따라 디자인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을 전문적인 지식으로 구성하고 연출 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미술 교육 현장 지도에 필요한 자료로서 교사용 지도서가 보급되어 있으나 대부분 모두 순수미술 영역으로 다루어져 있고 디자인 관련 내용도 순수미술 영역에 치우친 내용으로 구성 되어 있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디자인 영역에 대한 교사용 지도서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실태 및 활용상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용 지도서의 효율적 개선안을 제공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참된 학습 자료로서의 교사용 지도서를 활성화 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에 대한 활용 실태와 문제점 및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미술 교사를 임의로 선정하여 총 180명에게 이메일을 발송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54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이 명백히 드러나는 3부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여 총 151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최종 통계 분석하였으며 조사 자료의 통계 처리를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의 활용실태와 개선방향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응답 결과 그 활용도는 매우 미비하며 디자인 영역을 지도함에 있어 '교수-학습 방법'과 '디자인 영역 교과서와 지도서의 편찬 방향'이 특히 총론 부분에서 가장 보충되거나 강조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결과에서도 가장 응답률이 낮게 나온 것으로써, 디자인교육의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그 학문적 접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각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응답 결과 총론에 비해 그 활용도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보충되거나 강조되어야 할 영역은 '차시별(次時別) 지도의 실제(학습내용해설)'로 나타났다. 이에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중 '차시별(次時別) 지도의 실제' 부분이 집중적으로 연구·개발되어야 하며 수업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수·학습과정안의 제시가 요구된다. 셋째, 각론의 차시별(次時別) 지도의 실제에 해당하는 영역 중 실제 수업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영역인 '학습 내용 해설 및 활동'이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학습 내용의 해설이 지나치게 획일화된 결과물 위주로 제시되어 있으며 급속도로 변하는 디자인의 시대에 학습 내용을 참고할만한 실제적인 지도 자료가 부족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에 따른 유행과 트렌드(Trend)의 방향을 먼저 교사가 이해하고 사전에 치밀한 계획성으로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예시작품 및 참고 자료 등이 지도서에 충분히 수록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보다 쉽게 디자인 영역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되어야 하며, 학습 자료 및 소재를 쉽게 구하거나 제작하는 방법 및 참고 도서 안내 등의 제공으로 디자인 영역의 전문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사용 지도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필요성에 비해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이 낮아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다수의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를 학습 내용 및 활동에 필요한 교수·학습과정의 참고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용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사항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들이 수업 준비 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자료가 '인터넷', '시청각 자료', '교사용 지도서' 순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도는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용 지도서 도판은 전문협회에 의뢰한 작품이나 전문 작가작품 등을 수록하고 있어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 자료의 부재, 제작 과정 및 작품에 대한 설명 부족으로 흥미로운 교수·학습 전개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에서는 디자인의 구조 및 학문적 체계가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디자인 용어의 내용과 설명이 출판사마다 다르게 기술되고 있다. 정확하지 않은 디자인 용어 사용과 상이한 해설들은 디자인 개념이 명확하게 서지 못한 중학생들에게 디자인에 대한 혼란 및 잘못된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는 원인이 되므로 일관성을 갖춘 디자인 용어 사용 및 해설이 요구된다. 여섯째,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 사항으로는 '디자인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체계도 정립', '체제 기준에 관한 관계 규정의 완화', '교재 편찬 시 현장 교사와의 협조 체제' 순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나타났다. 일곱째, 미술 교사용 지도서 디자인 영역의 개선점으로 '트렌드(Trend)를 반영한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풍부한 자료가 제시 되어야 한다', '디자인 교육 체계도가 정립 되어야 한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서의 교수-학습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라는 의견이 많았는데 이는 현재 중학교 미술교사 대부분의 전공이 순수미술임에 따라 디자인 영역을 교수·학습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교사용 지도서에서 디자인 영역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다루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 캘리그래피(Calligraphy)수업에 있어 재료의 활용이 수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중심으로

        이범주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and the speed of development has also appeared rapidly. In these changing times, changes of design are occurring together in the various areas. It can be seen that the desig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Recent design trends pursue "Emotional Design" of soft feeling with human senses in the various areas. In the rapid social chang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esign is increasing in schools. It is trend that 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design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are increasing, and it shows importance of design education. If so, the process of school education needs to change for the changed social flow. The emotional design was positioned which attaches important to emotion of human being in the recent design flow. Therefore, the emotional design education is necessary to express emotion of human being in school education. The design education of schools must change in the social change which pursues emotional design, and the variety of classes must be acquired for the students to express themselves with rich emotion. Namely, education of school needs to conduct education following social change.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students don't satisfy in the classes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ough the classes following design change of modern society is conducted, but it can't be appeared effectively, so the concentration in the class loosen and the students don't satisfied in the subject so they will lose interest. This study aims to increase result of classes for the students to feel interest and satisfaction by expression of the student's emotion in the practical curriculum of design subject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and aims to comprehend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effective classes on the completion of work. To achieve this goal, experiment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rehend effect of the student's interest on the concentration in the classes and completion of their works by application of the various materials with emotional expression methods through the Calligraphy with subject of emotional expression which is easy to meet in the modern design. For this study, four kinds of the guidance plan of classes were created and it was conducted based on two classes, and the model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ing group were design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the variety of materials to frame a hypothesis which induces the student's interest and the classes using general materials was applied to the controlling group. The result of the research by application of experiments is as follows. 1. The choice of the various materials has not a significant impact on concentration. 2. The pre-training about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materials is important for learning the various materials. 3. The student's application ability must be developed by the relevant classes in the class. Through this study, a variety of materials as subject was used to induce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class bu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of interests by using the various materials in the design related classe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oncentration and comple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se experiments, the motivation of works is important in order to induce the student's interest and to increase concentration of the clas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class with active participation for performance of works. Prior to ongoing classes, the teacher will be needed to constant research and efforts.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발전의 속도도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 디자인의 변화도 다양한 분야에서 함께 일어나고 있다. 그만큼 디자인은 사회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에 볼 수 있는 디자인의 경향은 인간의 감성을 담은 부드러운 느낌의 “감성디자인”을 추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볼 수 있다. 이처럼 급속한 사회 변화 속에서 학교에서도 디자인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계 고등학교의 디자인과의 신설과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통해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학교의 교육과정도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디자인 흐름을 보면 사람의 감성을 중요시하는 감성디자인이 디자인 문화로 자리매김이 되었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도 사람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감성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감성디자인을 추구하는 사회의 변화 속에서 학교의 디자인 교육도 변화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풍부한 감성을 가지고 자신의 자아를 표현할 수 있도록 수업의 다양성을 보상, 확보해줘야 한다. 즉 학교의 교육에서도 사회 변화의 흐름에 맞는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학교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이 수업 내용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현대사회의 디자인 변화에 맞는 수업이 이루어지더라도 효율적으로 나타나지 못하기 때문에 수업시간에 집중도가 떨어지고, 자신의 교과목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게 되며, 흥미를 잃게 된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흥미와 만족을 느끼고 수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연구로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교과 실기수업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여 수업의 흥미를 높이고, 효율적인 수업시간의 활용과 함께 작품의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현대 디자인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며, 감성표현을 주제로한 캘리그래피(Calligraphy)수업을 통하여 감성적인 표현방법과 함께 다양한 재료를 활용함으로써 나타나는 학생들의 흥미를 살펴보고, 이러한 흥미가 수업시간의 집중력과 자신의 작품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4차시의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2개의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모형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재료의 다양성을 제공하여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가설을 세우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재료의 사용을 통한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적용 결과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재료의 선택이 집중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다양한 재료를 학습할 때에는 재료의 특성과 성질에 대한 사전교육이 중요하다. 3. 수업을 진행할 때에는 연관성 있는 수업으로 학생들의 응용능력을 키워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기 위해 재료의 다양성이라는 소재로 수업에 접근하였으나 학생들에게 있어 폭 넓은 재료의 사용이 디자인교과 수업에서 흥미의 차이가 크게 없었으며, 집중도와 완성도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며 수업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동기가 중요하며, 사전교육의 중요성을 가지고 자신이 직접 자신의 작업 수행에 적극적인 참여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업 진행에 앞서 교사도 수업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