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악성종양에 사용되는 천연물약재의 항암효과에 대한 대체보완의학적 문헌고찰
오선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본초에 관한 각종 문헌을 대상으로 선발된 418종의 천연약재를 1차적으로 항암활성 작용기전에 부합하는 암 종류로 분류하였으며, 2차적으로는 천연약재의 생리활성 물질 및 유효성분 등을 연구하였다. 총 418종류로 선발된 천연약재 중에서 111종류(26.55%)가 항암생리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폐암에 관련된 천연약재는 13종류(3.10%)로 가장많았고, 간암은 8종류(1.90%), 유방암은 7종류(1.67%), 자궁경부암, 백혈병, 전립선암, 위암은 5종류(1.20%)였으며, 대장암, 난소암, 고형암 등이 각각 4종류(0.95%)로 나타났다. 2014년 현재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은 암(악성신생물),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04년 이후로 매년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암에 대한 현대의학은 꾸준하게 발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구 사회에서의 보완대체의학은 문화적, 교육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용 또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대의학의 체계적 한계와 암 치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에 대한 반발에서 우리나라에서도 보완대체의학의 존재감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으나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민간요법의 부작용 실태도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보완대체의학 차원에서 본 연구는 2차 암으로의 전이를 예방할 수 있는 식이요법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천연약재 활용에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원지의 효능 연구
조윤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원지의 효능 연구 조윤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한의학전공 지도교수: 류재환, 맹성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는 극도의 스트레스성 경험 이후 지속적인 고통과 공포감을 느끼며,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질환으로 현재 심각한 문제로 알려져 있다. 다른 스트레스성 질환과는 달리 PTSD는 원인규명이 명확하여, 공포가 형성되고 소거되는 과정에서 공포기억의 응고와 재응고를 억제, 공포기억의 소거를 촉진, 공포기억의 재설립 또는 재생억제를 통해 공포기억을 경감하거나 소거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으로 다뤄진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신경과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약물치료와 정신치료요법이 사용되어왔고 비교적 안전하게 병행 가능한 약물개발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약물은 미비한 상황이여 동서의학분야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원지는 동양의학에서 신경계를 안정시키는 약물로써, 현대의학에서는 신경보호효과, 학습능력 개선 효과, 항우울〮•항불안 효과제로 사용되어진다. 특히 PTSD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과 관련된 행동학적 변화들을 감소시킨 보고는 원지가 공포감정과 관련된 스트레스성 질환에 효과적인 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지가 공포기억의 형성을 감소시킨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원지가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조건화 공포 패러다임 이용하였으며, 무조건적 자극(전기충격)과 조건적 자극(백색소음)의 조건적 자극에 따라 형성된 공포기억 형성기전에서 기억의 응고, 재응고, 소거, 재설립, 재생과정에 제어하는 원지의 효과를 단계별로 관찰하였다. 재응고 과정은, 맥락과 소리단서에 3분간 노출하여 생쥐의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공포기억의 소거 효과는, 소리단서에 30회 반복노출 하거나 맥락에 30분간 노출한 후 생쥐의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1회 전기충격으로 공포기억이 재생되어 발현이 되는 재설립 과정은, 30회의 조건적 자극으로 공포기억 소거 후 다른 맥락의 소리단서에 노출하여 측정하였다. 공포기억 형성기전의 과정별로 원지의 제어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1회 원지투여로 진행된 맥락과 소리단서의 반복적 노출에 의한 공포기억의 재응고, 소거에 대한 원지의 제어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원지는 맥락과 소리단서의 반복적 노출에 의한 공포기억 소거를 촉진하지는 않았지만, 공포기억 소거 후 공포기억이 재설립 되거나 새 맥락에서 재생되어 발현되는 정도를 감소시켰다. 위의 결과에 따르면, 원지는 공포기억이 재응고되는 과정을 감소시키거나, 공포기억 소거를 촉진 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지만, 공포기억이 재설립 되고 재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 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원지가 PTSD로 인한 기억의 흔적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공포기억이 재생되어 발현되는 것을 억제하며, 공포가 다시 재설립 되고 재생되는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정확한 투여 시점을 찾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고, 기존의 다른 치료들과 병행하여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천연약재임에 의의가 있다.
歸脾湯엑스제제와 철분비타민복합제가 cyclophosphamide로 유발된 쥐의 골수 억제에 미치는 효과
<초록> 歸脾湯엑스제제와 철분비타민복합제가 Cyclophosphamide로 유발된 쥐의 골수 억제에 미치는 효과 김 민 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한의학전공 지도교수 유재환 목표 Sprqgue Dawley Rat을 이용하여 익기보혈의 대표적인 처방인 귀비탕을 골수억제로 인해 조혈작용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철분제제와 병용투여하였을 때 혈액학적 지표 및 체중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실험에서 사용한 귀비탕은 경희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약제과에서 만들어진 한방엑스제제약을 사용하였으며, 철분과 엽산이 함께 포함된 철분보충제와 병용투여하였다. 5주령 수컷 SD rat을 2주간 사육하였으며,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철분보충제투여군(I group), 한약철분보충제병용투여군(GI group)으로 나누어 각 군당 8마리씩 배정하여, 정상군을 제외한 세 실험군은 cyclophosphamide를 복강투여하여 골수억제를 유발하였다. 주 2회 체중, 실험 종류 후 생화학 및 혈액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1. 초기 체중에는 네 군이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정상군의 체중이 다른 세 실험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무거웠다. 2. 혈액학적 검사 상 정상군에 비하여 나머지 실험군의 white blood cell과 red blood cell의 수치가 유의하게 낮게 확인되었으며, 실험군 간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 외의 수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는 않았다. 3. 생화학적 검사 상 AST와 ALT수치가 Control group에 비하여 I group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Vit B12수치는 Control group에 비하여 I group(p<0.05)과 GI group(p<0.001)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I group 과 GI group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는 않았다. 결론 한약 및 철분보충제 병용 투여가 Vit B12의 수치 상승에 영향을 주었으나, 귀비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귀비탕을 단독으로 투여한 새로운 연구 모델 설계가 필요하다. 키워드 골수억제, 조혈작용, 귀비탕
虎杖根 Ethylacetate 층의 소염 진통효과 연구
국문초록 虎杖根 Ethylacetate 층의 소염 진통효과 연구 慶熙大學校 東西醫學大學院 東西醫學專攻 韓 鍾 賢 指導敎授 金 聖 勳 일반적으로 虎杖根은 항혈관효과 및 항균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지금까지 虎杖根의 진통 소염효과에 대한 연구 및 증거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虎杖根 ethylacetate 층(EARE)의 진통 및 소염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진통 소염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rats을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농도는 100 mg/kg과 200 mg/kg 두가지로 하였으며, 실험방법은 Acetic acid writhing 및 Hot plate에 의한 진통 효과, Tail-flick 시험, 초산 유발 혈관 투과성 항진의 억제효과, Serotonin으로 유발한 rats의 소염 효과, Carrageenin으로 유발한 rats의 소염 효과, FCA로 유발한 흰쥐의 소염 효과, 혈청 중 RA test 및 CRP test의 판정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虎杖根 Ethylacetate 층(EARE)의 소염진통효과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여 虎杖根 EA층은 Hot plate법 및 tail flick법에 의한 진통실험에서 200 mg/kg에서 유효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2. 虎杖根 Ethylacetate 층(EARE)은 serotonin처리 12 min 부터 유의하게 부종억제효과를 보였으나, carageenin부종법 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虎杖根 Ethylacetate 층(EARE)은 두 농도에서 Freund's complete adjuvant를 처치 후 5일부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부종억제 효과를 보였다. 4. 虎杖根 Ethylacetate 층(EARE)은 RA 및 CRP test에서 대조군에 비해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5. 虎杖根 Ethylacetate 층(EARE)은 소염진통효과에 있어 100 mg/kg 농도보다 200 mg/kg 농도에서 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虎杖根 EA층의 소염진통효과를 확인할 수 있지만 보다 심도있는 기전연구와 유효물질 분리는 향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ABSTRACT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acetate layer of Reynoutria elliptica Jong-Hyun Han Department of East-West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supervised by Sung-Hoon Kim Although Reynoutria elliptica was known to have antiangio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s, there was no evidence on the effect of Reynoutria elliptica on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ynoutria elliptica. Thu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nfirm the analgesic and antiinflamatory effects of ethylacetate layer of Reynoutria elliptica (EARE). EARE significantly exerted analgesic effect using hot plate and tail flick methods at 200 mg/kg. In addition, EAR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dema in paws from 12 min after serotonin treatment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but did not affect Carrageenin edema in the hind paws of the rats. Similarly, EAR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dema in hind paws of the rats induced by Freund's complete adjuvant. Furthermore, EARE effectively suppressed the positive responses of CRP and rheumatis arthritis (RA) test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E can be usefully utilized for arthritis including RA as a chemopreventive agent.
한약이 간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가: 한약 관련 간손상에 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고찰
서론 한약의 안전성은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쟁점 중의 하나이다. 한방과 양방으로 이원화된 의료체계로 인해, 상용양약과 한약, 민간요법, 건강기능식품 등을 동시에 복용하게 되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에 한약 안전성을 평가하는 일은 더욱 복잡해진다. 그동안 현대의학계와 한의학계에서는 각각 한약 안전성에 관해 연구를 수행해 왔으나, 그 결과는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약인성 간손상과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물질 중의 상용 양약, 한약, 민간요법, 건강기능식품 등의 비율을 추정해 보고, 한약 복용이 간기능검사에 미치는 영향과, 간손상 발생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의 주요한 3개의 데이터베이스(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 의학학술지 종합정보시스템, 국회도서관)와 한국전통지식포탈 등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였다. 종설논문과 개별 증례보고는 제외하고, 분석 내용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 임상연구들을 선택하였다. 문헌을 빠짐없이 포함하기 위해서 초록, 연구보고서, 석박사 논문, 미발표자료도 모두 포함시켰다. 관찰연구에 대한 질 평가 도구를 참조하여 선택된 논문의 질 평가를 시도하였다. 결과 약인성 간손상에 관해서는 21편의 논문이 선택되었다. 21편 중 7편의 연구만이 전향적 연구였고, 학회지에 공식적으로 출판된 것은 7편 뿐이었다. 약인성 간손상 증례 전체에서 상용 양약으로 인한 것은 연구에 따라 15.8%-83.3% 의 비율로 연구 간의 차이가 매우 컸다. 한약을 따로 구분하여 표시한 경우, 한약이 간손상의 원인이 된 비율은 28.9%-44.7%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한약의 정의가 불분명했고, 동시 복용한 약물들이 충분히 조사되지 못한 한계점들이 있었다.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관해서는 40편의 논문이 포함되었다. 40편 중 전향적 연구는 16편이었으며,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5편이었고, 입원한 뇌졸중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한약 관련 간손상을 보고한 것은 8편이었고, 보고된 19 증례는 모두 간기능검사 수치의 상승이 높지 않고, 가벼운 증상을 보였다. 모든 증례에서 양약을 동시 복용하고 있었고, 간손상의 원인 산정이 적절하게 수행되지는 못했다.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들로부터 한약 복용 후의 간손상 발생률이 대략 0.59% - 0.76%로 추정되었다. 한약 복용 후에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와 total bilirubin (TB) 수치의 증가 혹은 감소에 대해서는 논문들의 결과가 상반되어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고찰 및 결론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 물질 중에서 한약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는 연구들이 있었으나, 대부분 원인산정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못했고, 원인물질의 분류가 부정확했다. 반면에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간손상의 발생률이 낮았으나, 연구의 제한점들로 인해 결론을 내리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현대의학계와 한의학계에서 별개로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의 객관성이 높지 못한 한계들 때문에 한약의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약인성 간손상을 예방하고, 한약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한의학계와 현대의학계의 공동연구를 통해 보다 질 높은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Introduction The safety of Korean herbal medicine (KHM : herbal medicine prescribed and made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doctor) i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It is more complicated because of the dualistic medical system, the concomitant use of conventional western drug and KHM, folk medicine and food supplements. Although both the western medical doctors and traditional Korean medical doctors have been studied on the safety of herbs, their results were not concordance with each other.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rug induced liver injury (DILI) and the influence of KHM on liver function in Korea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he proportion of causative materials - conventional western drug, KHM, herbal products, folk medicine and food supplements - and the change of liver function test (LFT) data and the incidence of liver injury after use of KHM. Method Systematic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on 3 main databases in Korea. Screening and selection of the articles and the extraction of data were performed. There were no restrictions on the types of publication including grey literatures. Results Twenty-one articles were included from the studies on the DILI. Only 7 studies were performed prospectively and 6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peer reviewed journals. The proportion of conventional drug associated hepatotoxic injuries in all DILI ranged from 15.8% to 83.3%. The proportion of herbal medicine associated hepatotoxic injuries was from 28.9% to 44.7%. However, the criteria for herbal medicine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concomitant medications were not fully investigated in most studies. Forty articles were included from the studies of the influence of KHM on LFT. Sixteen studies were performed prospectively and 15 studies collected data from outpatients. Only 8 studies reported the occurrence of liver injury after use of KHM. Nineteen cases of liver injury showed mild or no symptom and elevation of LFT was not high. All liver injury patients took conventional western drug concomitantly and causality was not assessed properly. The incidence of liver injury after use of KHM was estimated as 0.59% - 0.76% from all articles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conflicting on the change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total bilirubin (TB) after use of KHM.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re were some studies reporting high proportion of herbal medicine as cause of DILI, but the causality assessments were not performed properly and causative materials were misclassified in the most of included studies. Otherwise KHM resulted in a low rate of liver injury, analyzing the studies of the influence of KHM on LFT. But the results are not powerful enough to make the safety issue clear. These limitations and lacks of objectivity of the studies make the safety issue still ambiguous. More rigorous studies are required for answering accurately this conflicting issues with the cooperative investigation between traditional Korean and western medicine.
심리적 유형 분석 즉 MBTI(Myers - Briggs Type Indicator)는 융의 유형 기준에 근거하여 성격 유형을 16가지로 구분한 성격분석 도구이다. MBTI의 16가지 성격 유형은 에너지의 방향, 인식 기능, 판단 기능, 행동양식 등의 4가지 선호 지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MBTI는 자신이 타고난 성격유형을 발견함으로서 자신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는 정보와 긍정적인 자기인식의 자료를 통해 긍정적인 자아 개념과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사상체질이란 동무 이제마가 창안한 한의학 고유의 체질 이론이다. 이에 따르면 인체의 장부는 체질적으로 그 기능의 허(虛)와 실(實)함이 있으며 체질 별로 체형의 다양함과, 성격, 특성, 취미 등을 가지고 있다. 사상체질에 따르면 인간의 체질은 인체 장부의 상대적 편차에 의거하여 크게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등 네 가지로 구분된다. 이러한 체질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건강과 질병 예방, 치료에 있어 기존 의학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사상체질의 기본 개념이다. 본 연구는 심리적 성격 유형과 사상체질에 관한 문헌 연구이다. 즉 2000년 이후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을 주제별로 분석하여 기존 연구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연구 방법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우선 심리적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해보면 다 음과 같았다. 즉 MBTI와 자존감 또는 자기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연 구, MBTI와 대인관계를 살펴본 연구, 학업과 관련된 연구, 스포츠와 관련 된 연구, 영성에 관한 연구, 측정도구 개발을 다룬 연구, 직무와 관련된 연구, 점성학/사주학과 관련된 연구, 기타 연구 등이 있었다. 한편 심리적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편수는 총 138편이었다. 이를 주제 별로 통계를 내보면 다음과 같았다. 자존감 또는 자아만족도 관련 연구는 16편(11.594%)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관련 연구는 12편(8.695%), 학업 관련 연구는 10편(7.246%), 스포츠 관련 연구는 14편(10.144%), 영성 관련 연구는 12편(8.695%)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측정도구 개발 연구는 14편 (10.144%), 직무 관련 연구는 28편(17.391%), 점성학/사주학 관련 연구는 8편(5.797%), 기타 24편(17.391%)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상체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았다. 즉 사상체질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 신체/건강/양생 관련 연구, 사상체질을 한의학/임상의학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 측정도구 관련 연구, 학업 관련 연구, 직무 관련 연구, 사상체질과 스포츠/간호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기타 연구 등이 있었다. 한편 사상체질에 관한 연구 편수는 총 76편이었다. 이를 주제별로 분 류하고 통계를 내보면 다음과 같았다. 사상체질의 철학적 배경 12편 (7.894%), 신체/건강/양생 32편(21.052%), 임상의학 18편(11.842%)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측정도구 18편(11.842%), 학업 8편(5.263%), 직무 10편 (6.578%), 스포츠 28편(18.421%), 종교 12편(7.894%)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유형 분석과 사상체질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총 3편이었다.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Kaejadan
윤정제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2014 국내석사
Rheumatoid arthritis (RA) is an intractable autoimmune disease with systemic inflammation and joint or muscular pain. Though Kaejadan (KJD), a hebal cocktail of three medicinal plants, has been traditionally applied to RA and muscular pain as a folk remedy, its scientific evidence is not examined until now. Thus, in the present study,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mechanism of KJD were evaluated in vivo. KJD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number of writhing syndrome in acetic acid treated mice and showed anti-noceptive effect in rats by tail-flick test. Also, KJD significantly abrogated serotonin or carrageenan or Freund’s complete adjuvant (FCA), reduced vascular permeability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rats. Furthermore, KJD effectively reduced the positive responses for RA test and C-reactive protein (CRP) test in FCA treated rats. Of note, KJ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evel of lipid peroxide, malondialdehyde (MDA) and also enhanced the level of superoxide dismutase in the liver tissues of FCA treated rat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KJD exerts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via inhibition of serotonin, carrageenan and FCA mediated inflammation and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류마티스 관절염이 염증과 관절 및 근육통을 특징으로 한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이다. 3종의 한약으로 구성된 계자단이 민간에서 류마티스관절염과 통증에 활용되어 왔어도 아직까지 그 과학적 증거는 아직 미흡한 실태인 바, 본 연구에서는 계자단의 진통 소염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고 하였다. 또한 계자단은 세로토닌, 카라기닌 또는 Freund’s complete adjuvant(FCA)를 처리하여 유발된 부종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에반스 블루에 의한 혈관투과성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테스트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계자단은 RA 및 CRP 테스트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더욱 흥미롭게 계자단은 FCA를 처리한 흰쥐의 간조직에서 지질과산화 물질인 MDA를 억제하고SOD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계자단은 세로토닌, 카라기닌, FCA의 억제와 염증억제와 항산화 증진을 통해 진통과 항염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사려된다.
Chlorogenic acid의 일시적 뇌허혈 흰쥐 모델에서의 신경보호 효과
Chlorogenic acid의 일시적 뇌허혈 흰쥐 모델에서의 신경보호효과 민경윤 동서의학과 동서의학대학원 경희대학교 (지도교수: 류재환) 뇌졸중을 뇌혈관 장애로 인하여 갑자기 국소 신경학적 장애 또는 의식장애가 발생하여 24시간 이상 지속하는 경우이며, 단일질환 사망원인 1위의 질병으로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질병이다. rtPA이외에 별 다른 치료제가 없고, rtPA를 이용한 치료제 자체도 한계가 있어 뇌졸중 치료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임상시험을 통해 커피의 뇌졸중에 대한 치료 및 예방 효과가 밝혀지면서, 커피의 구성 성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성분 중에서 주요 성분 으로 알려진 Chlorogenic acid (CGA)가 기본 화학적 성질이나 혈관계에 대한 약리 효과들로 비추어 볼 때, 커피의 뇌졸중에 대한 효능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이며, 뇌졸중에서 중요시되는 혈관 관련 인자들에 대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GA를 급성 중풍 흰쥐 모델에 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GA 3, 10, 30 mg/kg을 뇌허혈 유발 후 0 및 2시간에 복강투여한 결과 각각 용량의존적인 뇌경색 감소를 보였다. 특히 CGA 30 mg/kg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신경보호효과를 보였다. 2. CGA는 용량의존적인 감각운동기능 증진 효과를 보였다. 특히 CGA 30 mg/kg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진효과를 보였다. 3. 중풍모델에 대하여 CGA 투여군에서 각각 TBARS levels을 용량별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각각 CGA 10과 30 mg/kg 투여군에서는 유의성 있게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보였다. 4. 중풍 유발 후 뇌부종과 관련된 뇌내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CGA 투여군에서 용량의존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CGA 30 mg/kg를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5. 중풍 유발 후 BBB 손상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CGA는 용량의존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CGA 30 mg/kg를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6. 기전 연구에서 BBB 손상에 대표적인 효소로 알려져 있는 MMP-2와 -9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CGA는 mRNA 및 protein 발현에 대하여 용량 의존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in vitro zymoraphy를 통하여 MMP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GA는 뇌경색에 대한 뇌손상 보호효과 및 운동기능 증진 효과가 있으며, 뇌경색으로 유발되는 BBB 손상 및 이에 따른 뇌부종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 기전은 항산화 및 MMP-2, MMP-9의 억제효과였다. 따라서 CGA가 뇌경색질환에서 한약재, 커피 등 천연물의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내는 데 있어 주요 활성 물질 중 하나라는 것을 시사한다. 핵심어: Chlorogenic acid; 신경보호; 뇌졸중; 뇌부종; MMP-2, MMP-9. Neuroprotective effects of chlorogenic acid on transient cerebral ischemia rat model Kyoung Yoon, Min Department of East-West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Advised by prof. Jae-Hwan Lew) Stroke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and the principal cause of adult disability in the world and the risk is increasing. Control of oxidative stress and edema is important in protecting the brain when ischemic stroke has occurred. Recently, coffee was reported to have preventive effects on ischemic stroke in human. Chlorogenic acid (CGA), a major effective compound of coffee, is reported to have various beneficial effects on cardiovascular and central nervous syste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CGA could show the protective effects on brain damage in stroke animal model and whether the effects were due to brain edema-related vascular factors. In the current study, we injected CGA 3, 10, 30 mg/kg t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on (MCAo) rat model and investegated the effects on infarct volume, sensory-motor functional deficits, brain water contents (BWC), Evans Blue (EB) extravasation and its mechanisms of action. 1. CGA (3, 10, and 30 mg/kg) dose dependently reduced brain infarct volumeat 24 h after MCAo. 2. CGA (3, 10, and 30 mg/kg) dose dependently improved sensory-motor functional deficits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22 h after MCAo. 3. CGA (3, 10, and 30 mg/kg) treatment dose dependently reduced TBARS levels at 24 h after MCAo. 4. CGA (3, 10, and 30 mg/kg) dose dependently reduced BWC and EB extravasation in the ipsilateral hemisphere at 24 h after MCAo 5. CGA dose dependently down-regulated MMP-2 and MMP-9 mRNA and protein expression as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group. Moreover, CGA inhibited MMP-2 and MMP-9 activities in in vitro zymography ass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GA reduced brain damage and sensory-motor functional deficit throug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meliorating effects on BBB damage and brain edema formation by inhibition of MMP-2 and MMP-9. Key word : Chlorogenic acid; Neuroprotection; Cerebral ischemia ;Brain edema; MMP-2, MMP-9.
구강내장치를 이용한 단기 자세훈련이 턱관절 동적 자세에 미치는 효과
최근욱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ABSTRACT> Effect of short term postural training with intraoral appliance on temporomandibular motion. by Geun-Wook Choi, K.M.D Dept. of Major in Alternative & Complementary Medicine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Seoul, Korea (Advised by Professor. Jae-Hwan Lew, Chang-Shik Yin K.M.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of the range of motion (ROM) in mouth opening with respect to the temporo mandibular joint (TMJ) exercise while wearing the intraoral appliance (TMJ balancing appliance, TBA) for 10 minutes. Methods: A total of 34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each participant was subject to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intervention, thereby serving as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TMJ exercise with intraoral appliance for 10 minutes.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intraoral appliance only for 10 minutes. Main outcome measure was ROM of mouth opening. Secondary outcome measures were left and right weight distribution and head neck posture. Comparison between groups were performed by paired sample t-test (P<0.05).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OM of mouth ope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i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distribution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of head neck posture in the angle of the mentum to the tragus line and the tragus to the spinous process of the 7th vertebra line (p<0.05) and the angle of the mentum to the tragus line and the tragus to the manubrium sterni line (p<0.01).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TMJ exercise is essential for intraoral appliance therapy to improve ROM of the mandibule. 국문초록 최근욱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대체보완의학 전공 Objectives: 이 연구는 구강내장치를 10분간 착용하면서 턱관절운동을 할 경우 하악의 개구운동 범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지를 관찰하고자 한다. Methods: 총 34명의 연구참여자가 모집되었고 각각의 참여자는 중재과정을 거쳐 실험군과 대조군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10분 동안 구강내장치와 턱관절운동을 병행하였고 대조군은 구강내장치만 10분 동안 착용하였다. 주요지표는 개구운동 범위이고 이차적 지표는 좌우 다리체중 분포와 머리-목 자세이다. 그룹간의 비교는 paired t-test를 하였다. (P<0.05). Results: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개구운동 범위가 유의미하게 늘었다. 좌우 다리체중 분포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고 머리 목-자세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Conclusions: 이 연구에서 턱관절운동은 하악의 개구운동 범위를 개선하기 위해 구강내장치요법에 필수적이라고 제안되었다.
암 치료에 대한 기대감 및 만족도 조사도구(CTSQ)의 한국어 번역본 개발 및 검증
ABSTRAC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NCER THERAPY SATISFACTION QUESTIONNAIRE (CTSQ) Soo Min An Department of East-West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translation of the English Cancer Therapy Satisfaction Questionnaire (CTSQ) for use in Korea to assess expectation, satisfaction, and feelings about side effects with the treatments of cancer, and to validate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o evaluate the conceptual equivalence and consistency of the items and scales, forward translation, reconciliations, backward translation, and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performed. After completing translation procedures, a pilot test was conducted for cognitive testing. For field test, a total of 98 cancer patients were recruited consecutively, and the Korean translation of CTSQ was self-administered. RESULTS: The mean (+/-SD) age was 51.88(+/-12.42). Most patients were stage 4 (88.9%). Mean scores of Expectations of Therapy(ET), Feelings about Side Effects(FSE), and Satisfaction with Therapy(SWT) domains were 80.8+/-15.7, 80.4+/-22.6, and 75.7+/-14.6. Cronbach’s alpha’s of three domains, (ET, FSE, SWT) were 0.85, 0.78, and 0.73, respectively. Construct validity by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method loaded three domains and items for each domain identical to that the original CTSQ. CONCLUSIONS: The results support the Korean CTSQ to be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assessing satisfaction, expectation, and side effects with the therapy. KEY WORDS: Cancer Therapy Satisfaction Questionnaire (CTSQ), validity, Expectations of Therapy(ET), Feelings about Side Effects(FSE), Satisfaction with Therapy(SWT). 초 록 암 치료에 대한 기대감 및 만족도 조사도구(CTSQ)의 한국어 번역본 개발 및 검증 안 수 민 경희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목적: 국내에서 암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기대감, 만족도 그리고 부작용 평가를 위해 영어로 개발 검증된 CTSQ의 한국어 번역본 개발과 이 번역본의 신뢰도∙타당도 평가를 통해 임상심리학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원문이 영어인 CTSQ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검증하기 위해 총 2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CTSQ의 한국어 번역본을 개발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어버전 CTSQ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외래 방문한 환자에게 총 98부의 CTSQ 설문지가 본 조사의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내적 신뢰도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는 0.73에서 0.85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타당도는 원문인 영문CTSQ의 3개 영역(Expectations of Therapy, Feelings about Side Effects, Satisfaction with Therapy)과 동일한 개수의 영역과 동일한 영역의 문항을 한국어 버전 CTSQ에서도 확인하여 주었다. 결론: CTSQ의 한국어 번역본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증명된 설문지 (도구)로 검증되었다. 키워드: CTSQ한국어 번역본, 신뢰도, 타당도, 암치료의 기대감, 만족도와 부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