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 백자를 재해석한 현대도예작품의 표현기법 연구

        추현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전통’이라는 단어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역사적·문화적 개념과 요소들을 떠올린다. 조선 백자도 이런 전통과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여러 문화 요소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현대 도예계에서도 전통과 조선 백자는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주제로 자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그 맥이 끊길 뻔 했던 우리 전통의 조선 백자를 부흥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해방 이후부터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였고, 2000년대부터 본격화되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시간으로 쌓아 올린 가치와 정체성으로 가득한 전통이라는 소재는 현대 도예 작가들에게도 큰 자극을 주고 있다. 단순한 전통의 재현이나 계승할 요소로서가 아니라, 무한한 영감의 원천으로 작용하며 도예가들의 창작의 밑거름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백자의 특징과 이를 재해석한 현대도예작품들을 살펴보고 현대 도예계에서 조선 백자가 가지는 가치와 의미를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미의 정수로 여겨지며 ‘자연스러움’, ‘넉넉함’, ‘간결함’ 등의 미적 특성을 가진 조선 백자는 작가의 조형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소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전통을 기반으로 제작된 현대도예작품들이 같은 조선 백자를 재해석하였지만 작가마다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어떠한 창작의도를 가지고 제작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연구를 통해 오늘날 조선 백자가 많이 재해석되고 있는 현상과 이유를 되짚어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 백자를 개성적인 표현으로 재해석한 작가 29인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그 표현적 특징을 크게 형태, 재료, 장식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한다. 2000년대 이후 현대도예작품과 작가들의 창작의도, 표현기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예가들의 창작에 기여하고자 하며, 현대 도예계에서 조선 백자와 전통이 가진 의미, 앞으로의 발전가능성과 확장성,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e word 'tradition', people come up with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concepts and elements. Joseon white porcelain is well known as one of the various cultural elements representing tradition and the Joseon Dynasty. Tradition and Joseon white porcelain are also important topics in the contemporary ceramic art world. The movement to revive the Korean traditional white porcelain, which was almost cut off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began to be seen little by little after liberation, and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2000s and continues to this day. The theme of tradition, which is full of values and identity accumulated over time, is also giving great impetus to contemporary ceramic artists. It is not just an element to reproduce or inherit tradition, but serves as a source of infinite inspiration and is the basis for the creation of ceramic art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white porcelain and contemporary ceramic works that reinterpreted it, and to seek the value and meaning of Joseon white porcelain in the contemporary ceramic art world. Joseon white porcelain, which is considered the essence of Korean beauty and has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alness’, ‘generosity’, and ‘simplicity’, is used as a material to express the artist's formative language. Contemporary ceramic works based on tradition reinterpreted the same Joseon white porcelain, but by examining how each artist appears differently and with what creative intentions they were produced, we look back on the phenomenon and reason why many Joseon white porcelain are reinterpreted today.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and analyzes 29 artists who reinterpret Joseon white porcelain as a unique expression, and considers its expressive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types: form, material, and decoration. Since the 2000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able to confirm the meaning, future development, scalability, and importance of Joseon white porcelain and tradition in the contemporary ceramic art world by comparing and analyzing contemporary ceramic works and artists' creative intentions and expression techniques.

      • 韓國 現代陶藝의 形成과 展開에 關한 考察

        김태전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719

        서양에서 현대도예 태동에 근원적으로 작용한 요인으로 산업혁명을 들수 있다. 기술의 발달에 따른 대량생산 체제로의 전환은 전통적인 수공예품의 몰락을 가져왔으며,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사이에 메울 수 없는 간격이 벌어졌다. 이에 공예부흥운동의 선각자인 작가 죤 러스킨과 디자이너 월리엄 모리스는 기계를 맹렬히 배척하고 창조적인 수공예를 통해서만 인간의 행복은 증진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1919년 창설된 바우하우스는 미술공예학교의 후신으로서 교육이념은 순수·응용미술간의 구분을 없애고 현대 산업사회에 적합한 조형원리와 재료를 다양하게 실험하여 대학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지표를 제공해 주었으며 예술과 공업 기술의 새로운 동참이라는 명제를 내세워 예술가의 수공예에 대한 재인식을 요청했다. 한편 미국은 50년대 중반이래 서부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일련의 새로운 현대도예 운동을 일으키면서 세계 도예의 흐름을 주도하는데, 추상표현주의, 오브제, 미니멀아트 등 동시대의 미술사조와 연관을 맺으면서 다양하게 전개된다. 한국현대도예의 출발은 대략 1960년대를 전후한 시기로 볼 수 있다. 우리 민족의 유구한 도예전통의 바탕 위에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된 대학도예교육의 실시로 인하여 1970년대의 한국도예의 1960년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도예인구의 급격한 증가, 각종 도예단체들의 창립 활발, 많은 대학에서의 도예과목설강, 국내 작가의 각종 초대전, 개인전, 단체전, 해외 작가전 등 그야말로 질적·양적인 팽창을 보인 시기다. 그러나, 이 시기의 작품의 내용은 60년대와 마찬가지로 전통공예의 기능, 형태, 문양 등을 바탕으로 한 물레성형의 기물이 대부분이었고 소수작가들만이 작품의 형식이나 기법 면에서 실험적이고 다양한 새로운 흙작업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사실, 도예는 "흙", "불"이라는 두가지 요소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그 성격이 좌우되므로 짐짓 그 표현 가능성에 있어서의 제약을 생각하게 되나, 생명과 에너지의 원천인 바로 이 "흙", "불"이야말로 가장 순수하고 원초적인 그 재료적 특질을 보유함으로써 다양하고 변화무쌍한 특유의 표현 잠재력을 내포하는 것이다. 1980년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시기는 이러한 도예의 순수한 조형적 탐구가 진전화된 시기이다. 많은 개인전과 그룹전, 공모전과 미국 현대도예의 본격적인 국내 소개, 해외유학, 서적 등을 통한 정보의 증가로 현대도예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시각의 적극적 수용과 정착이 이루어진다. 특히, 이 시기에는 세계적인 미술추세로 다양한 매체와 기법의 실험이 이루어지면서 예술 각 쟝르간의 구분이 없어지고 상호 영역이 침투하는 脫장르 현상이 도예부분에도 뚜렷이 나타나 도예와 조각의 구분이 불분명한 오브제, 도조, 설치, 환경도예 등의 작품들이 제작된다.전시에 출품된 작품을 보더라도 1960년대는 기물일색이며, 1970년대는 기물이 오브제, 도조작품의 두배 정도의 비율인데 반해, 80년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시기는 역으로 오브제, 도조작품의 기물이 세 배를 넘고 있다. 1990년대에 이르면서 설치작품도 현격한 증가를 보인다. 한국 현대도예의 형성과 전개에 있어 현대미술의 다변화된 양상에 따라 공예 역시 다양화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공예의 개념과 정의에 영역이 각각 변모하게 되고 이에따라 정통성의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에따라 도예활동의 영역을 어떻게 정의하고 질서와 체계를 수립할 것인가? 그 기초작업으로서 해방이후 최근까지 한국도예계의 흐름을 주도해 온 도예단체나 도예가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현대도예의 전개양상을 사진과 글을 통해 일별하면서 한국 현대도예의 전개에 있어 핵심적 과제로 부각되어왔던 도예의 개념정의, 영역 등은 다시 생각해 보고 일제 치하에서의 일방적으로 '주어진 것'에서 벗어나 문화의 주도자로서 주체성을 회복하고, 실용적·장식적·표현적 어느 분야에서든간에 현대라는 시대에 맞는 전통을 재발견하여 인간의 정서가 깃든 창조적 작업을 할 때 한국의 현대도예는 '세계화', '국제화'의 주역으로 발돋움할 것이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modem birth of western ceramic art can be traced back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shift toward mass production expedited by science and technology has led to the collapse of traditional hand crafted are pieces and helped widen the spiritual and material gap. John Luskin and William Moris, each a pioneer of renaissance movements in idustrial art and a designer, criticized machinery claiming that happiness of human beings could be attained only through manual arts and crafts. Established in 1919, Bauhaus, the former fine arts and industrial arts academy urged a renewed recognition of handiwork by aritists. Meanwhile, the U.S. has led a series of blobal modem ceramic art movement centering in the West Coast since the 195O's, and the movement has made a great advance along with contemparary art trends, such as abstract expressioniosm and minimal art. Korean modern ceramic art is thought to have been born around the 1960's. Though, like other areas of modem art in Korea, it also lacked any continuous and consistent movement and philosophy in it, Korean, modem ceramic art in the late 1950's saw a wave of new force through ceramic art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artists who studied in the U.S. based on our time-honored ceramic art traditions. During which korean ceramic art saw a relatively enormous increase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60's and 70's in the ceramic art population, activities of organizations concerning ceramic art and various kinds of exhibits by domestic artists. However, during this period, the contents were mostly about household dishes made with the potter's wheel and based largely upon traditional functions and shapes of the 1960's and only a few artists were trying to explore a possibility of various kinds of experimental clay work in terms of function and method. In fact, ceramic art is in large part characterized by two elements, clay and fire, so it easy to think, of ceramic art's ability to express itself as limited. To the contrary, clay and fire have a unique potential in expressing the art from thanks to their basic and pure characteristics. Until now ceramic art's this very pure modeling exploration has made great progress since the 1980's. Numerous private and group exhibits, introductions of overseas modem ceramic art, people who studied abroad, and increased information through books have helped us better understand the new concept of ceramic art, accept and naturalize the new viewpoint. Especially, through this period, with the introduction of global fine art trends and various methodical experimentations of the arts, the distinction between each genre has become obscure and a post-genre phenomenon started to prevail, producing such art pieces as object, ceramic sculpture, installation, and environmental ceramic art works. Art pieces displayed in exhibits in the 60's were dominated by pottery, and the 70's the ratio of pottery against object and ceramic sculpture was 211, while it was now exceeded by them by three times in the 80's. The 1990's saw a great increase in number of installation art piec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modem ceramic art,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aspects of modem fine arts, in dustrial art has also entered into a new era. In the process, industrial art has seen a change in both concept and definition and has become on orthodoxical problem; how to define the domain of industrial art activities, how to establish an order, and how to organize it. Thus, the ground work for this matter could be done when we look at the development of korean recent ceramic art trends through pictures and writing s along with ceramic art related organizations and artists who have led korean ceramic art trends so far, recover our cultural independence away from what we one-sidedly had gotten under the Japanese, rediscover the tradition that goes hand in hand with the modern era in whatever areas pertaining to pragmatism, modeling, or expresssion, and finally commit ourselves to creative work containing human sentiments. By accomplishing all of those mentioned above, korean modern ceramic art will be able to play a major role in this globalization era.

      • 환경도예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여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환경도예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는 환경도예와 공간의 관계 및 역할, 그리고 중요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현재 환경도예는 아직 도자예술의 비교적 작은 분야에 위치하고, 이 분야에 종사하는 예술가는 많지 않다. 게다가 작품 또한 도자조형 이나 도자 디자인 작품처럼 많지 않다. 환경도예는 도자예술과 공공예술이 결합하여 나타난 비교적 새로운 종류이기 때문에, 환경도예에는 아직도 많은 의제가 논의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공간성이다. 본문에서는 환경도예의 성질과 범위를 분석함으로써 환경도예가 어떻게 현대인의 생활공간에 영향을 미치는지, 현대인의 생활은 환경도예 창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환경도예와 관련된 공간은 미학적 의미에서의 공간일 뿐만 아니라, 사회학적 의미에서의 공간이기도 하다. 주요 방법은 미학과 사회학 현상을 결합하여 환경도예와 공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환경도예는 무엇인지, 무엇이 아닌지를 분석함으로써 환경도예의 정의를 확정하는 것이다. 환경도예는 종합적인 예술로서 공공예술의 일부이자 환경예술의 일부이며, 도자예술이고, 조각과 회화 등과 같은 순수예술(Fine Art)의 일부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환경도예란 순수예술과 공예의 창작기법을 접목하여 공공환경에 전시하므로 사회 전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자 작품이다. 환경도예의 설치원칙은 예술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닌 사용자를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환경도예는 예술가 개인의 사상과 심미적 정취일 뿐 보다, 구체적인 장소를 위해 창작된 작품이라는 것이 결정되고, 감상자는 모든 사람이기 때문에 공공예술의 특징도 갖고 있다. 이 또한 환경도예는 현대 예술과 도자 설치예술, 그리고 도자 조각 예술과의 주요한 차이점이다. 즉, 예술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닌 모든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환경도예는 공공장소로의 역할과 관계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공공장소의 주연도 될 수 있고 조연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도예는 공공건축 공간에 많이 설치되었지만, 모든 건축 도자가 환경도예인 것은 아니다. 오직 예술가의 두뇌를 통해 해당 건축이나 지역사회를 위해 전문적으로 디자인되어지고, 심미성을 갖춘 도예만 환경도예라 할 수 있다. 환경도예에 있어서 작품이 예술가의 개인적 의지가 표현되지 않았다고 해서 예술성이 감소한 것은 아니며 예술성은 공공성만큼이나 중요하다. 하지만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은 환경도예에서 내세우는 대중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예술가의 개인적 의지 예술가가 선택한 대중에 관한 관념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예술가 개인의 심미적 취향만을 표현하는 것이 아닌 설치한 지역의 지역사회 문화와 전통 풍습 등도 표현해야만, 모두가 받아들이고 좋아할 수 있는 환경도예 작품을 구현시켈 수 있다. 본문에서는 환경미학과 도시미학, 그리고 생활미학을 연구함으로써 환경도예 공간성과의 관계를 탐구하였고, 이러한 미학이 어떠한 방식으로 환경도예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는지와 사람들의 생활에 어떠한 주거공간을 만들었는지를 탐구하였다. 환경미학은 주로 사람이 공업화의 영향을 받은 환경 속에서 생존하는 상태를 연구하는 것이고, 도시미학은 소비문화의 영향을 받은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심리상태를 연구하는 것이며, 생활미학은 어떻게 해야 사람이 예술과 결합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공간은 환경도예 작품을 활용하여 건축의 풍격을 명확히 하였고, 사람들이 편안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생활환경을 미화하므로 미래의 공공장소에 도 지숙 되어져야 할 것이다. 공공장소는 기능성, 주체성, 심미성 등의 특징을 지니며, 이 4가지 특징으로 작품의 크기, 색채, 양식, 주제 등을 디자인하고 공간에 적합한 작품으로 제작한다. 이를 통해 공간에 사람의 온도를 부여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사람으로서의 자신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하며, 예술적인 생활공간을 창조하여 예술을 생활화하고, 생활을 예술화한다. 환경도예는 앞서 서술한 3가지 측면에서 창조적인 역할을 하고, 공간의 미감과 실용성을 높여 사람들이 시적인 생활을 지낼 수 있도록 한다.

      • 현대 도예작품에 나타난 물성에 관한 연구

        채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점토는 인류가 물리적 성질을 변형시킬 수 있었던 최초의 물질이다. 오랫동안, 기 능적 특징을 지닌 기물로 간주되고 사람들의 일상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자의 기형, 유약의 선택, 소성 등의 제작 과정에서 실용성을 고려한다. 이로 인해 도예는 오랫동안 예술 분야로 인식되었다. 1950년대 현대 도예 운동이 발생하여 과거의 도자 창작과 심미 형식을 철저히 무 너뜨렸다. 현대 도예는 도기와 자기의 독특한 재료 및 형식 언어를 통해 현대 예술 의 트렌드에 융합되어 전통적인 “기능성”과 “공예성”의 제약을 극복하였다. 즉, 흙 을 순수미술(Fine Art)로 표현하는 일종의 새로운 매개와 대상으로 간주하여 전통 도예의 현대적 전환을 실현하여 새로운 조형 예술로 만들어 현대 예술 분야에 자리 를 잡게 하였다. 그 결과 도예는 현대 예술 체계의 한 분야가 되었고, 현대 예술 사 상은 도예 분야에서 독립적이고 특수한 예술 표현 형식이 되었다. 현대 도예의 등장과 발전은 서양 현대 예술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현대 예술 의 지속적인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뚜렷한 현상은 바로 추상물, 폐기물, 설치 형식 과 사물의 배치 등과 같은 “물(物)”의 연속적인 등장이다. 예를 들면 추상 회화의 색채 표현, 다다이즘의 기존 사물에 대한 이용과 폐기물에 대한 콜라주, 미니멀리즘 의 사물 배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서의 물체에 대한 다양한 이용 등이 독특한 효과를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촉진된 “물성의 부각”은 현대 예 술에서 감성의 자아 확정의 일부이고, 감성과 “물체”이 서로 교감하는 분야이다. 20 세기 현대 예술의 발전과 “물성” 관념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예술 작품과 물질의 성질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념의 영향에 의해 현대 도예는 “물성” 을 중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20세기 현대 예술의 발전과 2차 세계대전 후 현대 도예의 태동을 시간 범위로 하고 문헌 연구와 형식 분석의 방법을 통해 먼저 현대 서양 예술에서 “물 성” 관념의 발생을 연구한다. 그리고 현대 예술 비평가인 클레멘트 그린버그 (Clement Greenberg)의 모더니즘 회화에 대한 비평과 마이클 프리드(Michael Fried) 의 미니멀리즘에 대한 비평 등 두 가지 측면에서 현대 예술의 “물성”과 관련한 미 학 사상을 연구한다. 또한 20세기 이후 유럽, 미국, 일본, 한국, 중국의 현대 도예운 동 발생과 그로 인해 초래된 관념의 혁신, 그리고 도예 “물성”의 현대적 해석을 서 술한다. 특징적인 각 예술 작품 그리고 선봉적인 사상이 현대 도예 관념의 전환을 촉진하여 도예를 “실용에서 예술로 확장”으로 표현한 사실을 고찰한다. 또한 현대 도예작가와 도예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자 재료와 공예, 도자 장식 언어, 도자 촉각적인 물성표현 등 측면에서 현대 도예의 “물성”에 대한 표현 형식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현대 도예의 물성적 표현이 도자예술의 재료와 프로세스를 독립된 객관 적 실체로 해체하고 있으며, 물질적 현상을 통해 세계를 투영해 내려는 현대 도예 의 변모된 방법과 지향을 드러내는 중요한 표현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 현대도예의 공예성과 미니멀리즘적 표현 연구

        이반디 단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현대도예의 전개 후 다소 위축되었던 공예성에 대한 조명과 미니멀리즘 미술의 특성이 도자에 표현되어 나타나는 양식에 대한 연구이다. 20세기 중반에 미국에서 시작된 현대도예의 전개양상과 우리나라의 전개양상을 고찰한 결과 양국이 공통적으로 전후(戰後) 혼란기인 상황에서 현대도예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미국에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1950년대 말부터 대학에서 도예교육이 시작되어 본격적으로 전통계승과 함께 창작을 하는 현대도예의 작가양성이 이루어졌다. 공예는 대학교육을 통한 작가양성이 이루어지기 이전인 1932년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미술로 편입하게 되었고, 독자적인 예술 노선으로 주체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당시 우리나라는 일제의 식민치하에서 주체성을 갖기 힘들었고, 미술계도 일본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공예는 예술로 인정을 받았으나 사실상 그 수준은 전승에 머물러 있는 상태였다. 또한 우리나라 도자는 전통도자의 성격이 강하고 깊어 미국에 비해 현대화가 쉽지 않았지만 전통의 계승과 현대의 창작 사이에서 많은 작가들의 고민과 실험들이 다양한 표현으로 이어졌고, 공예적 범주를 넘어 예술로 승화하게 되었다. 현대 공예도자의 사례 분석에서는 현대도예 중 전통적 공예성을 계승하여 현대적 감성에 맞게 승화시킨 사례들과 공예도자의 규모를 확장하여 대형 조형물의 기능을 갖고 있는 조형화 사례를 통해 공예도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가능성과 확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또 하나의 주제인 미니멀리즘에 대해 개념과 배경을 살펴보고 미니멀리즘의 철학적 배경인 현상학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상학의 본질인 환원성과 지각경험의 강조는 미니멀리즘의 작가들이 지향하는 방향과 부합하였다. 순수 조형예술에서 표현되어지는 미니멀리즘은 사물성, 간결성, 반복성에 의거하여 표현되었고, 연극적이라는 비판도 함께 제기되었다. 또한 서양에서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특성이 한국적 미니멀리즘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한국미술의 미니멀리즘은 서양 미니멀리즘의 비인격성과는 상반되는 작가의 정신세계가 강조되고 지배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미니멀리즘 미술은 재료의 본질을 드러내어 관객의 지각현상을 유도하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도자는 점토를 대상으로 주체자의 인위적인 노동활동과 화학적 반응을 가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미니멀리즘 미술에서 주장하는 재료의 본질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도자 미니멀리즘은 미니멀리즘 미술의 외형적 특성을 도자에 접목하여 나타내는 구조인 미니멀리즘적 표현의 도자로 정의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자의 미니멀리즘적 표현으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물성에 의한 표현, 기능이 배제 된 사물성, 그리고 단위 개체의 모듈을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집합성이 갖는 파급효과 연출을 목적으로 하는 군집과 반복이다. 또한 미니멀리즘적 도자의 특성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표현은 형태와 표현의 간결성, 기하학적 표현과 건축적 구조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대도예의 공예적 특성과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각기 분석하고 두 양상의 성격이 동시에 나타나는 세 명의 선행 작가를 선별하였다. 네덜란드의 거트랩(Geert Lap)은 명료하고 객관성 있는 작품 연출을 위해 재료의 연구와 분석을 했고, 그로 인해 작업에 대한 진정성과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었다. 일본의 마사미치 요시카와(吉川正道)는 건축적 구조와 물성표현, 간결한 미니멀적인 작업을 통해 자연의 현상과 문화를 직·간접적으로 보여주며 현대 도예의 전위성과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한국 현대도예의 1세대 작가인 원대정은 조선백자의 미감을 바탕으로 표면의 각(角)처리를 통해 보다 간결하고 명료한 미니멀리즘적 감성을 드러냈다. 또한 공예적 범주를 지키고자 용기(用器)를 통해 공예적 주체성을 드러냈다. 현대 공예도자의 미니멀리즘적 표현이 앞서 제시한 세 명의 선행 작가를 통해 동일한 개념과 성격이 작가의 개성과 시대적 배경에 따라 각기 다른 조형언어로 표출 되었고, 세 명의 작가 모두 본 연구자의 작품과 공통적으로 특별한 용도 부여 없이 최소한의 기능적 요소만 나타냈다. 본 연구자의 작품 분석은 세 번의 개인전에서 발표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전통성과 기능성을 갖춘 백자 용기의 범주에서 면(面)과 각을 통해 기하학적 형상과 건축적 구조들을 표현하여 미니멀리즘의 간결성과 명료함을 나타냈고 공예적 주체성을 동시에 표현하였다. 또한 수직·수평에 의한 경직된 구조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최소한의 장식과 불규칙한 면을 적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도자의 본질인 공예성을 재조명하여 공예의 가치와 정체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미술사적 양식인 미니멀리즘을 고찰하여 실용적 도자용기와 미니멀리즘 양식을 접목한 미니멀리즘적 표현의 공예도자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실용적 개념으로만 인식하었던 공예도자의 확장성과 조형성을 확인하였고, 이것을 바탕으로 현대도예의 지향점은 시대성을 갖춘 ‘동시대적 공예도자’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현대도예가 시대를 선도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조형예술의 한 파트로 구분되어 경쟁하기 보다는 독자적인 도자문화가 형성되어 도예 작가들과 도예 이론가들이 공존하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담론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현대 도예에 나타난 ‘꽃’의 미메시스에 관한 연구

        펑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미메시스는 ‘모방(Imitation)’, ‘재현(Representation)’, ‘표현(Expression)’ 등 여러 의미를 지녔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대표로 하는 미메시스 이론은 서양 철학과 예술의 수 천 년간의 역사를 지탱하고 있는데, 이때 미메시스는 모방과 재현의 의미에 제한되었다. 근대에 이르게 되어서 미메시스는 다시금 표현과 은유 등 의미가 새롭게 부여되었다. 예술이 자연을 미메시스하고 즉, 자연은 미메시스의 대상이라는 의미로 미메시스는 오늘날까지 학술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대도예의 시작은 1950년대 미국의 오티스 운동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도예 분야를 지탱하는 미학에 관련된 이론은 적은 편이 다. 본연구는도예를창작하는데있어새로운미학이론의근거를넓히는데의미를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분석법 등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전통 미미메시스 이론을 탐구하는 동 시에 미메시스 이론의 범주를 확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방과 재현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플라톤은 예술이 자연물의 외형만을 모방하고, 사물에 대한 모사라고 생각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이 현실을 미메시스하면서 현실 생활을 객 관적으로 반영해야 하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미메시스해야 한다고 여겼다. 바꿔 말하면, 작 가는 예술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생활을 원형으로 삼아 자신의 주관적 능동성을 발휘하여 예 술을 창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예술에 대해 재현론을 주장했다. 현대 미학자 아도르노와 벤야민은 미메시스가 모방과 재현만이 아니라고 주장하였으며, 미메시스를 순화 -i- 혹은 동화의 개념으로 이해하였고, 이로써 음악 등 비재현성 예술을 해석하였다. 그럼으로써 이 두 사람의 미메시스설은 표현하는 의미에서의 미메시스이다. 미메시스의 개념은 원상의 존재 여부를 바탕으로 성립되었고, 모방의 개념은 원상과 예술작품 간의 유사성에 의해 성립 되었다. 그리고 미메시스의 범위는 모방보다 넓으며, 모방은 많은 의미 중 하나이다. 미메시스를 창작이론으로 하는 현대도예 창작에서 모방은 일반적으로 구상적인 표현방법을 사용하여 원상을 사실적으로 복제하는 것이고, 재현과 표현은 추상적인 표현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자는 재현의 미메시스 이론과 표현의 미메시스 이론을 결합하여 꽃을 주제로 현대도 예의 예술 분야에서 꽃의 형태, 색채, 문양 등의 미메시스 종류를 분석하였고, 꽃의 미메시스 대상의 외적 형식과 내적 은유는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중국과 서양 예 술가의 예술적 성향에 따라 자연을 표현하는 형식이 있어 예술가가 객관적 사물이 주는 느 낌, 또는내적사상에대한묘사를표현하고, 내부의주관적세계에대한표현에비중을두 었다. 주관적 세계를 통해 간접 혹은 왜곡하는 방식으로 외부의 객관적 사실을 주관적으로 표현하였다. 자연의 구상적 재현, 자연의 추상적 재현, 그리고 표현의 교차 등 3가지 유형으 로 분류하여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창작 사상과 창작 방법을 분석하였고, 창작에 대한 느낀 점을 결합하여 새로운 창작 이론과 개념을 도출하였다. 자연을 표현하는 형식이 있어 예술가 가객관적사물이주는느낌, 또는내적사상에대한묘사를표현하고, 내부의주관적세계 에대한표현에비중을두었다. 주관적세계를통해간접혹은왜곡하는방식으로외부의객 관적 사실을 주관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의 작품은 재현주의에 치우쳤으면서도 표현주의에 치우쳐졌지만, 동양의 특징도 지녔다. 주로 추상적인 표현방법을 통해 자연을 재현하였고, 이렇게 재현한 자연은 자연물과 유사하면서도 보는 사람에게 향유와 사랑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처럼 자연물의 객관적 사 실만이 아닌 자연의 동적인 느낌을 추상적인 표현방법으로 내적 생명 정신을 나타냈다. 객관 적 사물을 묘사하는 동시에 주관적 사상과 감정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도자기 조형에서 동 양 미학의 목적인 창작하는 과정에서는 주관적 의지를 배제하여 망아의 경지에서 자연과 동 화함으로써 자연 생명의 이치를 표현하였다.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미메시스에서 자연을 재 현함에 있어 예술가의 주관성이 더해져 비가시적이고 원상을 찾아볼 수 없는 예술작품이 되 었는데, 이러한 표현성 미메시스는 작가의 내적 수요를 중심으로 표현하였다. 미메시스 개념을 바탕으로 추상적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자연 속 꽃의 형상을 미메시스 대 상으로 삼아 도자기 재료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창작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내적 형태를 표 현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드러난 외적 형태도 나타냈다. 또한 4개 시리즈의 도예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이 작품들은 모두 꽃의 형태를 재구성한 후, 연리문의 제작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을 확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예 조형의 창조성도 개척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메시스는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작가의 감정과 표현을 담을 구상적 이미 지와 추상적 이미지에서 표현이라는 예술의 세계가 더해짐으로써 현대도예의 이론적 지평을 확장시킬 것으로 확신한다.

      • 운동성을 주제로한 도자작품 제작연구

        레이위통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Artists use various means of art to create a sense of movement in the mind of the viewer, in other words, a static figure, which makes one feel dynamic.In view of the development of art history, there are approximately the following methods:。 First, choose a specific time point of action.Pottery is a static entity, which can only be cut off and expressed at some point in the process of motion development.But it can show the movement and development of things at every moment and does not make the viewer feel the movement of things.Because this moment is very tense, people's perception makes up for the cause and effect of motion. form the movement of things The exercise process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sequence of activities of the second object appear simultaneously to represent the movement.When different, but continuous scenes occur, it can express a process, a movement process.People always organize many shapes according to order.Only then can the images of different images be seen as movement stages of the same image." Third, the conversion process appeared in the same shape.This means that the same shape will have the same shape and the changed shape before it was changed.form a kind of athletic suit。Also, there are early signs of a backward attitude, i.e. it shows a transition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feel a sense of movement in the form of a fourth movementIn the pottery format, you can feel something in some parts of the sphere.You can feel the dynamics of the screen, which are rich in static images, through clever construction.The pattern of motion is a good form of exercise. This method i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formal color and character and psychological response to human psychology. The main form of motility in my pottery is line.The sense of motion of the line is determined by its shape.introduce a diagonal line into a sphereThis sense of movement also increases.It is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a slope and a downward movement, or it is an uphill mo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Except for straight lines, the shape of the curve in the sphere can also produce tension.Thus, the body structure of the shape shows the sense of motion is placed in the shape of the parabola.A person who watches easily feels a parabolic impassioned rhythm.That's why I have a sense of movement. Also, spiral shape is an element that highlights athletic sense in the structure.。The helix is a force line of rotation.The construction of the spiral may become more and more dense from the bottom up, creating a sense of radiation.The spherical shape creates another spiral-shaped motility as the distribution from top to bottom increases. 조형예술은 일정한 물질적 재료와 수단을 가지고 만들어 낸 가시적인 정적 공간 이미지, 또는 사회생활을 반영하고 예술가의 사상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예술형태이다. 그것은 공간을 재현한 예술이여. 일종의 정적인 시각 예술이다. 주로 회화,조각,사진,서예 등이 포함된다. 18세기의 독일 철학자 레싱은 《라오콘》에서 이 명사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도예는 중국 전통의 오래된 문화와 현대 예술이 결합된 예술 형식으로 역사의 발전으로 복잡하고 기나긴 발전 과정을 겪은하나의 종합 예술이다. 그것은 회화, 조각, 설계, 그리고 기타 공예미술 과도갈라놓을 수 없는 관계가 있다. 현대 도예는 일반적으로 관념 도예·생활 도예·환경 도예로 나뉜다. 현대 도예는 도자기가 일정 단계까지 발전한 산물이다. 환경도예란 주로 도시계획구역 내의 광장, 공원, 녹지, 도로, 경관명소, 주거지역, 공공건물 및 다른 행사장에 설치된 도예를 말한다. 이것은 공공 예술로는 환경 예술의 공공성 원칙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도자기 예술 자체에 함유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환경 도예는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전통적인 의미의 실외 조형물과 유사하다. 환경도에는 추상적인 도예와 구상도예로 나어진다. 세계는 끊임없이 운동 변화 발전하고 있다. 조형예술의 표현 대상은 객관적인 세계전체는 게속 변화하는 세상과 적응해야한다. 형태 속에 대량으로 존재하는 사물과 인물은 조형 예술의 표현 주제이다. 조형예술은 고정된 형태의 한계를 깨지 못하면 안 된다. 인간의 심미적 욕구는 매우 풍부하기 때문에 조형 예술에 있어서 사람들은 형상에 대한 정적인 감상에 만족하지 않는다. 조형예술은 관중의 심미적인 심리에 부응하기 위해 운동성표현하다. 사람의 심미심리는 끊임없이 발전한다. 예술은 오직 자기 자신을 완벽하게 하고, 자신을 초월하며 부단히 창조되어 지다,그래서 운동성을 주제로 한 조형 예술이 생겼다. 동태적도예를 표현하기 위해 정지한상태의 한계를 깨야 한다. 조형예술에 대한 운동성의 표현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객관적인 세계를 풍부하게 표현하고 사람들의 심미적 심리에 부응하며 예술 도전에 대한 당연한 요구이다. 도예 작품 속에서, 사람들은 많은 표현 방법을 창조하였다. 정적인 이미지에서 운동성을 드러내기 위해. 여러 가지 유형의 도예가 자신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하고, 또 자신의 한계를 깨려고 애쓰고 더욱 자유로운 방향으로 나아간다. 예술가들도 조형예술의 정지한상태적인 속박에서 벗어나 운동성의 표현을 추구하고 있다. 운동성은 다양한 예술 방식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사진, 그림, 조각, 음악등 우리에게 각종 학문을 연구하는데 방향을 제시하였다. 창작중 작품의 리듬감, 유동성을 체득하고, 이러한 우수한 작가들의 운동 감각에 대한 표현 방법과 방식을 분석하여 이해해야한다. 자신의 장래에 대한 조형 작품 창작에 있어서 현실적 의의가 있다. 운동성 작품을 만들 때 여러 가지 선형 표현 방법을 응용하다. 선은 디자인과 예술작품에서 널리 응용되는 표현이다.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조형 예술 요소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관찰 추출한 선을 조형 예술에 응용한다. 선은 예술의 운동성을 유감없이 발휘할 뿐만 아니라 생명 정신을 부여하다. 세계 각지의 관련선작가들의 평면작품과 입체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조형예술에서의 라인 표현 방식과 기법을 좀 더 잘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선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운동성을 논하는 것은 좋은 연구 방향이라고 할 수 있고. 운동성의 표현 수법과 운용 방식을 연구하는데 더욱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 내화갑 소성을 이용한 도자 기(器) 표현연구

        이재원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195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한 현대도예의 발생은 예술계에서 ‘기능성’의 문제로 외면당해왔던 기(器)를 조각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본질적인 정서를 다루고 있는 조형적 표현수단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우리나라 현대도예는 1960년 전후가 기점이 되며 이후 모색기라 할 수 있는 60년대를 지나 70년대에 전통의 계승과 현대화 작업이 이루어지지만, ‘전승도자’와 ‘현대도자’ 양분화 현상 속에서 기(器)작업은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후 1980년대 다양한 형태와 실험적 제작기법들이 도입되면서 기(器)의 전통적? 기능적 역할 이외에도 새로운 미적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후 기(器)작업은 하나의 예술언어로서 고유한 주체성을 확립해 나가면서 현재까지 그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Ⅰ장 서론 부분에 이어서 Ⅱ장에서는 현대도예에서의 기(器)의 조형성을 파악하고, 그 필요성을 알리고자 현대도예에서의 기(器)의 개념과 다양한 표현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더불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내화갑 소성의 개념과 기법을 조사하고 다양한 작품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서 내화갑 소성방법이 흙에 불어넣어 주는 생명력과 조형성에 대해서 이해하고, 본 연구의 이해와 감상을 돕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본인의 조형의지를 토대로 기(器)라는 매체와 연결지어 작품으로 표현 제작하였으며 아울러 작품제작 과정과 해설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시대의 상황과 배경을 바탕으로 그 시대의 일반적인 기(器)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지한 후, 그 간접적 경험들을 바탕으로 본인이 직접적으로 경험한 지성, 직관, 감각들을 통하여 기(器)에 대한 현재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The generation of the modern ceramic art centering around the United States in 1950s serves as a momentum that people recognize the vessel which was being turned their faces away because of the problem of the function as the formative expression way dealing with the human's fundamental feelings like the sculpture. Korea's modern ceramic art becomes the starting point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1960, and afterward, through the 1960s when we can call the groping period, at the 1970s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and modernization process get accomplished, but in the bisection phenomenon of the traditional ceramic art and the modern ceramic art, the vessel making process is not appreciated properly. Subsequently at the 1980s various forms and experimental making processes introduced, the new recognition of the aesthetic possibilities was spread out, and after this, the study about the possibilities of the change on the vessel is being continued, the vessel's unique identity as a artistic language being established. In succession of the chapter Ⅰ, in chapter Ⅱ this study analyzed the vessel's concept in the modern ceramic art and various expres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essel's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inform you of the necessity. With this, this chapter examined the concept and technique of the saggar fire, dealed with many works, and through this, this chapter intended to make you understand the vitality which the saggar fire animates the clay with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thus help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n this study. In chapter Ⅲ, we expressed and produced in connection with the medium, vessel on ground of the theoretical surroundings and the subject's formative volition. Together, we described all the things centering around the process of making works and explanation. I hope this study-process will be able to be reborn as a creative formative language corresponding to epoch like today.

      • 과학기술 진보와 도예발전의 추이에 관한 연구

        진은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19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날이 갈수록 새롭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일상생활의 기본적인 수요를 개선하고 충족시키는 동시에, 예술의 창작 아이디어가 과학 기술과 융합되어 더욱 다양한 예술 작품 구현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역사를 살펴보면, 과학기술이 매번 크게 변화할 때마다 예술 분야에서는 혁신이 동반되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터 인공지능 등의 방면에서 신속한 발전을 이루었는데, 이러한 기술의 혁신은 예술가의 창작에 새로운 영감과 새로운 작품을 실현하게 만드는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도예는 예술의 한 분야로서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자연스럽게 영향을 받게 되었고, 과학기술은 도예의 발전과 전파에 사고의 공간을 넓혔을 뿐만 아니라 도예의 전승과 혁신에 더 많은 가능성을제공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은 도예와 끊임없이 상호 융합하는 과정을 통해서 전통적인 예술이 새로운 시대의 심미 수요에 부합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의 발전이 현대도예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도예의 역사적 발전 맥락을 배경으로 삼았으며, 도예의 제작 방법, 도구, 설비, 운송, 전파 방식 등의 변화 과정을 착안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이 현대도예의 특징과 가치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도예 창작과 전파의 역사적 흔적을 서술함으로써 과학기술이 현대도예에 미친 영향과 현대도예의 미래지향적 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회가 발전하게 되면서 나타난 필연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현상은 현대도예의 발전에 영감을 제공하고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에 있다. 예술가에게 있어서 과학기술은 예술가의 창작을 합리적으로 보완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의 개선을 가능하게 한 밑거름이 되었다. 하지만 산업발전은 많은 문제를 야기했고, 그중에서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가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져야할 과제도 대두되었다. 도자공예가 갖고 있는 현실 속에서 변화의 돌파구를 과학기술 도입에 해결책으로 두었다. 또한 급변하는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시대에 현대도예가 적음할 수 있는 가상공간 NFT 기반의 온라인 기대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 하였다. 과학기술은 현대도예에 있어서 창작 형식이라는 방법에 속하고, 그 창작의 핵심은 형식과 내용의 통일 즉, 제작자의 사상을 표현하는 데 있다. 현대도예는 무엇보다도 현실과 삶에 관심을 두어야 하고, 현대도예의 수공예와 진실성을 중시하여 시대에 부합하는 인문적 정신을 지닌 예술을 창작해야 한다. 과학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끊임없이 앞을 향해 발전해 나아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대예술 분야 역시 미래에도 새로운 도전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혁신적인 과학기술 시대에 직면하여 현대예술의 혁신을 위해 과학기술의 힘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운용하여 예술을 건강하게 발전시키면서 시대와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인지는 예술가들이 고민해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