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호흡 수련의 목적과 수단으로서 기(氣) 탐색

        김정애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뇌호흡 수련에서 수단이자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 에 (氣) 대한 고찰이다. 기(氣)는 모든 생명의 원동력이며, 동양의 수련체계에서 인간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이해되었다. 뇌호흡 수련에서 기(氣)는 바탕이 되는 질료로써의 성격의 ‘기(氣)’와 에너지적 차원의 ‘기 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질료로서의 기(氣)는 인간 자체를 다양한 종류의 기(心·氣·身, 性·命·精)로 이루어진 존재로 인식한다. 두 번째 에너지로서의 기(氣)는 활동을 가능하게하는 힘의 요소의 기(氣)이며, 이것을 ‘기 에너지’라고 한다. 논문의 제 Ⅰ장에서는 현대사회에서 기(氣)의 사용 범위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동양에서는 기(氣)가 만물을 이루는 요소이며 생명을 유지하는 에너지의 기본 개념이며, 특히 뇌호흡 수련에서 사용하는 기(氣)의 종류는 학습적인 측면을 가진다. Ⅱ장에서는 기(氣)의 개념과 기(氣)의 학습에 대한 이론적배경과 뇌호흡 수련의 개념과 뇌호흡 수련의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뇌호흡 수련에서 기(氣)는 목적과 수단으로 사용되는 학습의 요소이다. 제 Ⅲ장에서는 ‘뇌호흡 수련에서 기(氣)의 목적적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뇌호흡수련에서 기(氣)의 목적은 다양한 기(氣)로 이루어진 인간을 높은 수준의 기(氣)상태로 변화시켜 인간완성에 이름을 의미한다. 제 Ⅳ장에서는 ‘뇌호흡 수련에서 기(氣)의 수단적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선도수련을 전통을 이어 받은 뇌호흡 수련의 목표는 인간완성이며, 인간완성에 이르는 원리는 세 가지(지감·조식·금촉) 수행방법을 사용한다. 세 가지 수행방법도 실질적으로 기에너지의 축적과 기 에너지의 조절과 기 에너지의 활용을 통해서 실현된다. 인간을 이루는 요소로써 기(氣)를 단련시키는 원리는 삼일신고의 ‘진리훈’에 잘 나타나 있다. 사람은 원래 하나(一氣)인데 그것은 세 가지(性命精)로 나누어진다. 인간은 태어날 때 참의 상태로 태어나지만 현실에서 나타나는 모습은 심기신(心氣身)의 상태로 드러난다. 몸과 마음과 기(氣)로 이루어진 인간은 여러 가지 감정과 느낌을 가지고 살아가는데, 다시 본래의 상태인 성명정(性命精)을 회복하는 것이 선도수련의 목표이다. 이러한 선도수련의 원리를 뇌호흡 수련에서도 현대적으로 계승하였다. 에너지 차원에서의 기 는 몸과 마음을 연결시키는 새로운 매체로써(氣)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학교에서 말과 글을 통해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듯이 뇌호흡 수련에서는 기(氣)의 양적·질적인 변화를 통해서 몸과 마음과 정신을 통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집중을 통해서 터득되는 기 에너지(眞氣)는 다시정기신(精·氣·神)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정기신은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요소로 정(精)에서 기(氣)로 기(氣)에서 신(神)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뇌호흡 수련의 원리는 육체의 건강(精充)과 정신의 건강(氣壯)과 영적인 건강(神明)을 추구하는 실질적인 교육의 측면을 가진다. 이에 근거하여 뇌호흡 수련에서의 기(氣)는 통합 교육적인 측면, 자기교육적인 측면, 뇌개발적인 측면에서 교육적인 함의를 논하였다. 끝으로 기(氣)는 전인교육의 실질적인 대안으로 몸과 마음의 건강과 삶의 목적을 이루고 실천하려는 영적인 건강을 이루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인간을 이루는 기(氣)의 질료적인 변화는 자아를 찾아가는 현대인에게 좋은 목표가 되며, 기 에너지의 터득과 다양한 활용은 심신의 건강과 삶의 목표를 찾는 좋은 수단이 된다.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Ki(氣) , that is used method & purpose for Brain Respiration training. For a long time people think Ki(氣) is the motive of all creatures, a constituent factor of human being in the oriental ascetic practice. Ki(氣) of the Brain Respiration training is the matter, the substance from which all l things are made, Ki( ) energy of energy dimension. The first concept of Ki( ), 氣氣the matter, the substance from which all things are made, is human being is the existence who is made up of various kinds of Ki(氣) : (mind 心․energy氣․body身, divinity性․life命․essence精). The second concept of Ki(氣) as the energy is one factor of the power that is be able to act. The Ⅰ chapter of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using range and possibility of Ki(氣). Ki(氣) of the orient is the factor that is composed of all l things and the basic energy concept that sustains of life. Especially, Some kinds of Ki(氣) used for Brain Respiration training has the aspect of study. The Ⅱ chapter introduces the concept of Ki(氣), academical background of Ki(氣) study, the concept of Brain Respiration ends and the means of Brain Respiration training. The Ⅲ chapter express the purpose concept of Ki(氣) in the Brain Respiration training. The purpose concept of Ki(氣) in the Brain Respiration training is human being who is made up of various kinds of Ki(氣) attains the In-Gan-Wan-Soung(human completion) with turning oneself into the highest level of Ki(氣). The Ⅳ chapter express the method concept of Ki(氣) in the Brain Respiration training. The aim of Brain Respiration training ,which is originated from korean traditional tao ; Seon-do(仙道), is In-Gan-Wan-Soung. To reach In-Gan-Wan-Soung(human completion), three training method, JiGam(止感: stop emotion)․JoShik(調息: controlled breathing)․KeumChok(禁觸:stop contact), is used in Seon-do(仙道). three training method is realized by storing, controlling and using Ki(氣) energy. The principle of training Ki(氣), a constituent factor of human being, is mentioned in Jin Li Hun(眞理訓) of 『Sam il Sin Go(三一神誥)』. Originally, human being is the one(一氣), and the one is divided into three(divinity性․life命․essence精). when human being have a birth, the one(human being) is the truth (the original nature). As human being lived in the world, human being has changed into mind(心)․energy(氣)․ body(身). Human being is composed of mind(心)․energy(氣)․body(身) lives with feelings and five senses. The aim of Seon-do(仙道) is Human being living with feelings and five senses turns into original state ; divinity( ) life( ) essence( ). The Brain Respiration trainin性․ 命․ 精g succeed to the aim of Seon-do(仙道) through modern pattern. Ki(氣) energy of energy dimension have possibility as a new media that links body and mind. As school delivers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language and character, Brain Respiration training integrates brain, mind and spirit through quantitative, quality change of Ki(氣) energy. Ki(氣) energy comprehend by concentration divided into Joung(精)․Gi(氣)․Sin(身). Joung(精)․Gi(氣)․Sin(身) are the constituent factor of human body, Joung(精) changes Gi(氣) into Sin(身) in the serial process. The principle of Brain Respiration training has aspect of practical education in pursuit of physical health(Joung-choong精充), mental health(Gi-jang氣壯), spiritual health(Sin-myung神明). On the basis ofthat, Ki(氣) of Brain Respiration training has an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is aspects of Main Streaming, Self Education, Brain Development. In conclusion, Ki(氣) is a great help to physical health(Joung-choong 精充), mental health(Gi-jang氣壯), spiritual health(Sin-myung神明) that is complete and practice the purpose of life in reality (Seong-Tong-Gong-Wan性通公完) as practical alternative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erefore material change of Ki(氣; constituent factor of human being) is a good purpose for modern people coming up with self consciousness. Comprehending and various applying of Ki(氣) energy are good method in pursuit of physical health (Joung-choong精充), mental health(Gi-jang氣壯), the purpose of life.

      • 청소년 대상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최근 연구동향 및 뇌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김도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청소년의 비행이 사회 문제로 부각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사회각계각층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청소년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이런노력의 일환으로서 충동성과 공격성을 가진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분노정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주로 심리학 및 교육학 관점에서 청소년기 분노조절과 관련된 방법 및 프로그램들이 제시되어있다.여기에 청소년기 행동의 근원적 원인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뇌교육’관점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연구가 활성화 된다면 많은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정서조절에 효과가 입증된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함께 내용요소들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최근 국내외 분노조절 관련 연구 중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국내외 최근 연구들의 구성 내용요소 및 대상집단, 실험기간 및 결과, 참고프로그램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요소를 분노인식과 인식변화에 따른 인지적 요소, 자신 및 타인의 정서이해를 다룬 정서적 요소, 그리고 행동적인 분노조절훈련을 위한 행동적 요소로 분류하고 각 요소가 차지하는 차수를 함께 프로그램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유발 흥미요소와 각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 및 주목할 만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하는 차별적 특성 등의 분석결과를 통해 분석항목별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청소년 뇌교육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뇌파활성도와 정신력 및 자기조절능력의 변화

        고병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청소년 뇌교육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뇌파활성도와 정신력 및 자기조절능력의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된 남자고등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전산화 뇌파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배경뇌파와고차인지기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질문지를 이용한 정신력과 자기조절능력검사를실시하였다. 뇌파활성도 분석은 배경뇌파와 고차인지과제 수행에 따른 유발뇌파의절대파워와 상대파워에 의한 집중력 수준과 주파수 대역별 8채널(Fp1, Fp2, F3,F4, T3, T4, P3, P4) 영역의 뇌파활성도 및 두 채널 쌍 사이의 상호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10주간 주 4회, 회당 50분간을 ‘뇌교육 5단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청소년 뇌교육프로그램에 따라 훈련을 실시하였다.

      • 뇌교육 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교육변혁의 문제가 오랫동안 제기되어 오면서 교사의 일과 역할에 대해 재고하고 교사들에게 반성적 실천인 ‘ ’으로서의 자세가 요구되는 한편 교사가 보유하는실천적 지식에 대한 탐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실천적 지식의 형성에 주목하는 현상은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변혁과 실천을 통하여교육의 질을 보다 향상하고자하는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 중에서도 특히 뇌교육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과정을 구체적인 맥락 안에서 이해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이 연구를 위하여 유아, 아동, 청소년의 뇌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뇌교육 교육원의교사 두 명을 제보자로 선정하고 뇌교육 현장에 대한 참여관찰과 함께 심층면담을 통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 초등학생의 뇌교육 지감명상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기초연구

        권동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오늘날 교육현장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의 개선을 위한방법모색에서 비롯되었으며 초등학생들이 , 뇌교육 지감명상을 하면서 겪는 여러가지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며 그 속에서 뇌교육 지감명상의 교육적 의의를 찾아보고 교육현장에서의 실행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첫째, 뇌교육 지감명상이란 무엇이며 선행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들의 뇌교육 지감명상은 어떠한 맥락에서이루어지는가? 셋째, 초등학생들은 뇌교육 지감명상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그러한 경험은 교육현장에서 어떤 교육적 의미를 지니는가? 로 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뇌교육 지감명상은 뇌교육의 준비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서 감정에 동요됨이 없이 깊은 집중을 통해 에너지를 느끼는 것을 말한다. 명상에는 내적과정에 초점을 두면 크게 집중명상과 통찰명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실시한 지감명상은 주로 신체의 한 부분에 집중하면서 기운을 느끼는 방법으로집중명상에 해당한다.본 연구를 위하여 P시 외곽지역의 5학년 아동 25명을 대상으로 뇌교육 지감명상을 실시하였으며, 활동 후 아동들이 작성한 기록물과 연구자의 참여관찰, 참고문헌 조사와 심층면담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류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아동들이 지감명상을 통해 마음이 편안해지고, 몸에 흐르는 기운의 느낌을 느끼며, 집중력의 향상, 언어순화, 교우관계 개선 등의 긍정적인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뇌교육 지감명상이 학교현장에서 실행된다면 아동들의 신체적 건강 도모, 긍정적인 정서의 함양, 집중력의향상을 통한 학습력의 신장, 사회성의 발달 등의 총체적인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뇌교육 지감명상이 내포한 교육적 의미는 학교 현장에서유용한 학습프로그램으로 적용 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초등학생 대상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19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과 이를 뒷받침하는 철학 및 내용이 변화되어 왔다. 체육과 교육과정의 철학은 신체의 단련을 목표로 하는 신체의 교육, 신체를 통하여 바람직한 행동 변화를 추구하는 신체를 통한 교육, 신체활동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신체활동 가치 중심으로 변화되어 왔고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뉴스포츠가 활동가치 중심의 새로운 위상 정립을 위한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뉴스포츠는 체육과 교육과정의 게임 영역에 해당하며, 게임 영역이 전체 체육 교육과정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뉴스포츠 수업은 다양한 게임 상황에 필요한 전략을 잘 수립하고 수행해야만 상대 팀을 이길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전략 수립에는 두뇌를 활용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고 전략의 성공적인 수행에는 강한 체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뉴스포츠 수업을 통해서 다양한 게임 상황에 만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두뇌활용능력 향상과 체력 및 운동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더욱이 초등학생 시기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뇌세포의 작은 가지들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과잉생산 상태이기 때문에 초등학생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경험이 두뇌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초등학생 시기에 어떠한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두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능력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뉴스포츠 수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써, 초등학생의 체력 향상은 물론, 두뇌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스포츠와 두뇌활용능력과의 관계 분석을 하고 뇌기반 뉴스포츠 원리와 전략을 탐색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먼저, 초등학생 대상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은 교수설계모형 중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를 5단계로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안채윤, 2016). 분석단계에서는 요구분석, 학습자 분석, 과제분석을 실시하였고, 설계단계에서는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 개발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뇌기반 뉴스포츠 체육수업의 영역별(지식, 기능, 태도) 수행목표를 진술하였다. 또한 평가도구를 선정하고 뇌기반 교수전략을 수립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고 예비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를 거쳐 본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수정·보완하여 최종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D광역시 B초등학교 3, 4학년 남, 여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으로 나누어 임의 배정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2017년 5월 8일부터 6월 21일까지 주 3회, 회당 40분씩 총 20회에 걸쳐 진행되었고, 프로그램의 효과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뇌파를 반복 측정하였다. 부가적으로 체력검사(사전, 사후)와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들에게 수업 만족도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파검사결과에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불안과 긴장상태의 Gamma 파는 낮게 나타났고, 이완된 상태에서의 집중력을 나타내는 SMR 파는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뇌활용능력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인지강도, 인지속도, 집중력은 향상되었고, 두뇌스트레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력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지구력과 유연성은 많이 향상되었고 순발력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만족도 검사에서는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에서 불만과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즐거움과 만족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불만과 스트레스는 감소시키고 집중력을 나타내는 뇌파를 활성화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속도를 향상시키고, 체력과 수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의의를 프로그램 구성 측면, 프로그램 운영 측면, 프로그램 활용 측면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구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은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원리 및 전략을 토대로 체계적으로 구조화, 조직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은 1차시가 40분으로 조직․구성되었기 때문에 초등학교 체육교과 수업 시간이나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도 운영할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램 활용 측면으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은 뉴스포츠를 전혀 모르는 교사라도 교수-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실제 수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효과를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 진행과정에서의 제한점과 발전적인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 적용 학년이나 적용 지역을 확대하고 대상에 맞게 내용을 수정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을 적용할 연구 대상을 늘여서 본 연구의 타당성을 지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신체․심리과정의 개인차를 고려한 다각적인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초등학생의 두뇌활용능력과 체력 향상, 수업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검증하였으므로 향후 뇌기반 체육교육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 고등감각인지(HSP) 능력 개발 효과에 대한 성인 훈련자의 인식 탐구

        최성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의 주제인 고등감각인지(이하 HSP) 훈련은 뇌교육 5단계에 입각한 기본 훈련과 눈을 감거나 안대를 쓰고 뇌간으로의 고도의 집중을 통하여 색깔이나 모양을 인지하는 훈련으로, 오감 넘어의 감각과 뇌의 잠재력을 깨우는 훈련이다. 2004년 이래로 현재까지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이 HSP 훈련을 체계적으로 받고 있으며, 2013년 이래로 100여명의 성인이 HSP 훈련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어떠한 성인들이 이러한 HSP 훈련을 받고 있으며, 이 HSP 훈련으로 어떠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 가장 큰 연구의 목적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HSP 능력 개발 훈련을 받고 있는 성인 훈련자 100명중 주기적으로 훈련에 참가하는 5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HSP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5점 만점의 Likert Scale 선다형 설문지가 제작되었다. 즉 HSP 훈련의 효과로 제시된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을 조사함으로서, 성인 훈련자들의 HSP 훈련 후 개발되는 능력의 효과에 대한 그들의 인식정도를 탐구하였다. 서술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설문조사의 주관식 문항이 활용되었고, 훈련과정 중에 훈련자의 SNS상에 올리는 나눔 자료, 훈련의 효과에 대한 23명의 서면 인터뷰 자료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HSP에 대한 선행 연구, HSP와 관련한 뇌체조와 뇌호흡 선행 연구, 국제 브레인HSP올림피아드 대회 출전 대상 수상자들의 인터뷰 내용, 연구자의 참여적 관찰자로서의 훈련 경험, 훈련자들의 SNS상의 실제 훈련 나눔을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측정 도구인 설문지가 제작되었다. 설문에서 알아 보기위해 도출된 기본 요인은 신체와 정신 건강, 긍정적 성격, 타인과의 관계, 통찰력과 창의력, 집중력, 메타인지력, 실행력, 정서조절, 힐링능력의 9개의 요인이다. 부가적으로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하여 묻는 7문항을 제시했고, 보완 자료를 위하여 HSP 훈련 동기, 효과, 실생활에서의 변화를 묻는 주관식 3문항을 설문지에 포함 하였다. 서술 자료로 한 HSP 훈련자(LSH)의 훈련 나눔과 서면 인터뷰로 진행된 23명의 성인 HSP 훈련자들의 힐링 체험에 대한 나눔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HSP 훈련자의 인구학적 특성, HSP 훈련의 효과 9 요인에 대한 훈련자의 인식정도, HSP 훈련 효과 요인에 따른 상관관계, HSP 훈련 과정 중에 훈련자가 경험하고, 체험하고 자각하는 요소들에 대한 4가지 연구 문제에 대하여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인 HSP 훈련자의 연령의 경우, 20세부터 60세 이상까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중학교졸업 이하부터 대학원졸업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대학졸업 이상이 70%를 차지하였고, 고등학교졸업 이하가 약 25%가 되었다. 과거 직업의 경우, 학생, 교사, 교직원, 개인사업, 전기기사, 건축설계사, 은행원, 사무직, 영업직등 다양한 직업군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한 점은, 과거 직업과 현재 직업의 차이에서 거의 일치하나, 현재 직업에서 뇌교육강사와 브레인트레이너의 직업이 나타났으며, 이는 이러한 훈련을 하는 중에 뇌교육 관련 분야로 직업이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HSP의 훈련 효과는, 최종적으로 신체와 정신 건강(평균 4.44), 긍정적 성격(평균 4.50), 타인과의 관계(평균 4.34), 통찰력과 창의력(평균 4.37), 집중력(평균 4.26), 메타인지력(평균 4.49), 실행력(평균 4.47), 정서조절(평균 4.36), 힐링능력(평균 4.43)이 평균 4.26~4.50에 이르는 점수로서 연구에서 제시된 9개의 훈련 효과 영역에서 모두 개발 되는 것으로 연구대상자들이 인식 하였다.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 준 4영역은, 첫째, 긍정적 성격이 되었고, 둘째, 자신을 바라보는 메타인지력이 상승되었으며, 셋째, 일을 처리하는 실행력이 높아졌고, 넷째, 타인을 힐링하는 능력이 높아졌음을 보여주었다. 상관관계의 결과로는, 모든 9요인들의 상관관계가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요인들 중 신체와 정신, 건강과 타인과의 관계가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신체와 정신이 건강해질수록 타인과의 관계도 함께 좋아진다는 매우 높은 관계성을 보여 주었다. 다음으로는 긍정적 성격이 될수록 타인과의 관계가 좋아지고, 신체와 정신이 건강해 질수록 긍정적 성격이 되며, 정서조절이 될수록 실행력이 좋아지고, 메타인지력이 좋아질수록 정서조절이 더 잘되고, 실행력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물론 상호관계가 선순위가 바뀌어도 마찬가지 정(+)의 관계이다. HSP 전체 점수와 신체와 정신 건강, 메타인지력, 정서조절, 타인과의 관계 순서로 모두 r=.80(p.<01)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여주면서, HSP 개발 훈련이 신체와 정신을 건강하게 하고, 메타인지력을 높이며, 정서조절과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신체와 정신의 건강 요인에서, 1년~2년, 3년 이상 훈련한 연구 대상자들이 1달~6달, 6달~1년, 2년~3년 훈련한 연구 대상자들보다 유의미하게 신체와 정신이 더 좋아졌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보여 주었다. 또한, 훈련의 더 높은 단계의 그룹인 상단전트레이너와 예비특수공능력자인 훈련자 그룹이 다른 그룹(상단전 스폐셜 과정, 상단전 어드밴스 과정) 보다 힐링 능력이 뛰어나다고 스스로 인식했음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보여주었다. 집중력에서 일주일에 5회 이상, 거의 매일 훈련하는 연구 대상자들이 5회 미만으로 훈련하는 다른 그룹보다 집중력이 높아졌다고 스스로 인식함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보여주었다. 서술 자료의 분석 결과에서도, HSP 훈련자들은 제시된 9영역 중에서 긍정적 성격 외의 8영역에서 그들이 HSP 개발을 하고자 하는 동기를 보여주었고, 모든 9영역에서 효과를 보았으며 실생활에서 변화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예비)특수공능력자와 상단전 트레이너들의 힐링 체험에서, 진단, 투시, 치유 등에서 힐링 능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HSP의 개발 프로그램으로 개인의 건강과 긍정적 성격, 현대인에게 가장 필요한 정서조절과 타인과의 관계 및, 집중력, 통찰력과 창의력, 메타인지력, 실행력이 좋아졌으며, 나아가 타인을 힐링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됨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HSP 훈련이 개인의 건강(Health), 행복(Smile), 평화(Peace)를 찾을 수 있는 하나의 훈련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타인을 힐링 할 수 있는 뇌의 영역도 개발됨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내면의 심층적인 변화를 다루는 부분이므로, 보다 깊이 있는 질적 연구가 후속으로 필요하며, HSP 훈련의 결과로서 뇌의 변화에 대한 뇌과학적인 연구의 접근 방법도 필요하다.

      •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교육관 및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효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부모교육의 대안으로서 뇌교육 프로그램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모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세웠다. 첫째,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한 학부모는 그렇지 않은 학부모보다 자녀교육관에 유의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한 학부모는 그렇지 않은 학부모보다 양육태도에 있어 유의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중앙학부모교육원 두뇌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부모와 무분별 모집한 일반 학부모 총 44명이었으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개월 동안 12시간의 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에는 이원영(1983)의 자녀교육관 검사척도와 장영진(2000)의 부모양육 태도 검사지가 사용되었다. 결과 자료 분석에서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의 쌍별 t-검증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 결과 점수를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에 의하면, 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 비교 결과,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 성인중심 교육관에서 유아중심의 교육관을 지향하며, 흥미 및 경험, 놀이 중심의 교육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자율적-통제적 태도, 의도적 무관심-과잉 보호적 태도, 일관성-비일관성 태도의 부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뇌교육 프로그램이 자녀교육관 및 자녀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의 긍정적 성장을 돕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서 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주남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의 목적은 뇌교육을 적용한 인성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은 신체·정서·인지·사회 등 다방면으로 급격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생애발달의 중요한 시기에 해당하며, 이 시기의 아동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개념을 형성하고 정서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가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이를 위해서 아동에게 총체적이고 직접적인 인성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자는 기존의 뇌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재구성하고, 서울 시내 S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처치는 2013년 3월 4일부터 5월 10일까지 주 1회, 회당 40분간 총 10주간에 걸쳐 진행되었고, 실험집단 27명에게는 뇌교육 인성프로그램, 비교집단 24명에게는 자기주도 학습프로그램을 처치하였으며, 통제집단 25명에게는 특정 프로그램의 이수 없이 일상생활을 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이전에 세 집단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동질성을 확인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χ2 검증,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전체 및 하위요인(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에서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전체 및 하위요인(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의 집단과 측정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 자아존중감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사전-사후, 사전-추후의 측정 시기 간의 변화도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집단과 측정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와 추후검사 점수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요인 자신감에서는 실험집단의 추후검사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자기조절효능감에서는 실험집단의 사후점수와 추후점수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집단의 측정시기 간 점수의 변화는 전체 자기효능감 및 하위영역(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사전-사후, 사전-추후의 변화가 유의하였다. 셋째, 정서조절능력에서도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의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정서조절능력 전체와 하위요인(자기조절능력, 타인조절능력)의 집단과 측정 시기의 상호작용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추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에서도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높았고, 추후검사 점수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타인조절능력에서는 실험집단의 추후검사 점수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보다 높았다. 정서조절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에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사전-추후의 점수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타인조절능력에서는 사전-사후의 측정 시기 간 점수의 변화가 유의하였다. 넷째,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능력 전체에서 집단과 측정 시기별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집단유형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으므로, 측정시기에 따른 집단의 효과와 집단에 따른 검사시기별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 및 자기효능감 전체에서 집단유형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고, 정서조절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집단유형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은 뇌체조, 뇌호흡, 뇌명상 등 아동이 자신의 내면을 탐색·이해하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활동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활동은 신체·정서·인지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도록 도와주며, 가정과 학교에서 더 원활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발달시켜갈 기회를 제공한다. 앞으로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실행이 이어져서 아동들에게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적 조건이 더 풍부해지고 교육 연구와 실천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박순녀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이 연구에서는 기업마다 요청하는 교육 중점 요구가 다른 현실을 적극 수용하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를 분석하였고, 직장교육의 목표인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을 도출하였으며, K사에 적합한 1박2일(12시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K사 생산직 771명을 대상으로 7개월 동안 13차수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김창대(2002)의 체계적 개발모형을 적용하였다. 우선적으로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에 대한 분석과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모듈을 구안하였다. 각 모듈은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으로 선정된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3번에 걸친 파일럿 과정 실시 후 K사 맞춤형 명상프로그램을 확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 개선작업을 거쳤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은 Tyler의 목표중심평가모형과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에 따라서 객관적 효과평가, 주관적 효과평가, 현업적용도 및 경영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객관적 효과평가를 위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 및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및 삶의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공분산분석을 통한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도 통제집단은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서 별 차이가 없는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희망, 낙관주의에서 집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과 환경통제력에서 집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효과에 대한 집단비교 결과, 연령별로는 K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40대 집단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연수별로는 사전점수에서 교육을 통한 멘탈헬스 증진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던 10년 이상~15년 미만 집단이 모든 하위요인에서 점수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효과평가에서는 전반적인 교육 만족도가 5점 척도 기준으로 4.7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특히 강사만족도가 4.78로 아주 높게 나타나서 고객맞춤식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의 노력이 교육생들에게 잘 받아들여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프로그램 만족도도 4.5이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나서 모듈마다 전하고자 한 핵심메시지가 잘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체험기와 재이수자 면담, 기업교육 및 인사노무 관련 잡지, 노사 임금협상 결과 등의 질적 자료를 통해 현업적용도와 경영기여도를 확인해 본 결과에서도 교육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업교육에서 한국의 명상을 체계화한 뇌교육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는 점,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이라는 뚜렷한 교육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 그리고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맞춤식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국내 기업교육에서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램이 개발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교육방법상으로도 한국적 명상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개발은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인의 정신건강수준이 크게 나빠졌다고 보고된 40대 중반~50대 중반의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명상프로그램의 개발은 상당히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효과 또한 검증되었기에 추후 조직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대한민국의 기업 및 관공서의 인적자원개발에 큰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