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기록관리 사이버교육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나경원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50815

        이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 사이버교육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 기록관리 사이버교육의 교육 품질을 강화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중앙행정기관, 특별지방행정기관, 정부산하공공기관에 근무하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2021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중앙행정기관 48개, 특별지방행정기관 112개, 정부산하공공기관 38개 총 198개 기관)을 통해 이루어졌다. 응답의 결과(107명)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 Mann-Whitney검정, Kruskal-Wallis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이다. 유의 확률이 0.05 수준으로 ‘성별’에서 여성(3.15)이 남성(2.74)에 비해서 학습동기 요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기관유형’에서 정부산하 공공기관(4.00)이 중앙행정기관(2.92)과 특별지방행정기관(2.91)에 비해서 학습동기 요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학력’에서 석사졸업자들이 학부졸업 후 교육원졸업자들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강한 교육과정’에서 학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는데 입문 과정이 교양 과정보다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과정별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입문과정, 심화과정, 교양과정(최대 세 과정까지 응답)에 대한 분석결과는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한 3개 요인 중 학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모수 검정의 사후분석을 위하여 Bonferroni 검증방법을 사용한 결과, 입문 과정 수강생들이 교양 과정 수강생들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결과 학습만족도는 입문과정(3.0211), 심화과정(2.8553), 교양과정(2.6605)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됨으로써 가설(가설1-3)이 검증되었다. 교육과정의 학습만족도는 신규강의 개발, 기존강의 개편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기록관리 사이버교육 ‘학습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모형에서 공차는 0.1 이상, VIF는 10 이하이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다고 판단되었다. 분석 결과 태도적극성, 이용환경, 조직지원의 요인이 탈락한 모형4(내용구성의 타당성, 상호작용, 학습동기)가 채택되었다. 독립변수인 내용구성의 타당성에 해당하는 계수는 0.258,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에 해당하는 계수는 0.393, 학습동기에 해당하는 계수는 0.387이었으며 이에 따른 영향력이 상호작용, 학습동기, 내용구성 순으로 나타났다. R²는 0.558로 회귀선에 대해 55.8%의 설명력을 가지며, 독립변수와 표본을 고려해 수정된 R²는 0.545이다. Durbin-Watson 수치는 1.937로 2에 가까워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가설2-1, 가설2-2, 가설 2-3)는 회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됨으로써 채택되었다. 그러나 ‘학습태도’, ‘이용환경’, ‘조직의 학습지원’정도는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내용구성의 타당성’ 3가지 요인을 중점적으로 높일수록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연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록원은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학습자 맞춤형 전문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는 수강 환경을 보장해야한다. 셋째, 국가기록원은 ‘내용구성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강의를 개발하고 제공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ment cyber educat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quality of records management cyber education and to increase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rom July 1 to 31, 2021 at 48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special 112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38 government-affiliated public agencies, a total of 198).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response results (107 person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re summari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as 0.05, and in 'gender', female (3.1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2.74) in learning motive factors. In 'Institution Type', government-affiliated public institutions (4.0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earning motivation factors than centr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2.92) and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2.9190). In terms of 'education', it was found that master's graduates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after graduating from the undergraduate school.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course taken', and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ory course had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than the liberal arts course. Second, it is a factor that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for each cours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troductory course, the intensive course, and the liberal arts course (response to up to three cours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factors subjected to the Kruskal-Wallis test. As a result of using the Bonferroni test method for the post-hoc analysis of the nonparametric test,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in the introductory course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cours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introductory course (3.0211), the intensive course (2.8553), and the liberal arts course (2.6605), and the hypothesis (hypothesis 1-3) was verified. It seems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new lectures are developed or existing lectures are reorganized.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f ‘learning satisfaction’ in records management cyber educ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all models, since the tolerance was 0.1 or more and the VIF was 10 or less,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no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del 4 (relevance of content composition, inter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 was adopted, in which the factors of attitude activeness, usag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support were elimin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validity of the content structure was 0.258, the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as 0.393, and the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motivation was 0.387. That is, (Hypothesis 2-1, Hypothesis 2-2, Hypothesis 2-3) was adopt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it was found that 'learning attitude', 'us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more the three factors of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relevance of content composition’ are increased, the learning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record management professionals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be able to provide specialized counseling services tailored to learners that can increas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Seco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ensur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the 'learning motivation'. Thir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develop and provide various lectures that can enhance the 'validity of content composition'.

      • 주민등록표의 기록관리 방안 연구

        오승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83

        주민등록은 주민의 거주관계 등 인구의 동태를 명확하게 파악하여 주민생활의 편익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로써, 주민등록 관련 기록물은 우리의 사회생활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일상적인 증빙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공문서(Official Document)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등록 관련 기록 중 가장 기초가 되는 자료인 주민등록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 국가에서는 디지털화 과정을 통하여 디지털화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활용과 컴퓨터 결합 기술을 통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주민등록관련 기록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주민등록표는 전산처리조직(Computation Management System)으로 생산되어 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전자기록화(Electronic Archiving) 되었다. 그러나 전자기록화는 기술적으로만 진보하였을 뿐, 주민등록표의 기록 관리적(Records Management) 측면에서는 어떠한 진보도 이루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민등록 관련 기록물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주민등록표를 중심으로 주민등록표의 기록학적 가치를 살펴보고, 주민등록표에 나타난 기록물의 세 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이들의 기록학적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주민등록제도에 관한 역사적 변천과 주민등록 업무의 처리 관계와 주민등록표 서식의 변화를 정리하면서 주민등록 제도에 관한 이해를 통해 주민등록표의 기록학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둘째, 주민등록표의 기록물 유형을 주민등록법에 규정된 종이 주민등록표, 이미지 전산화된 주민등록표, 전산정보처리조직으로 작성되는 주민등록표로 구분하고, 이들 기록물의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셋째,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주민등록표의 관리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제도는 점차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등록은 기록으로써의 관심은 높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주민등록 관련 기록물의 지속적인 활용과 보존을 위해 기록학적인 관리로써 이들 기록의 영구적인 활용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Resident registration is a system to increase benefits of residents in their lives by grasping status of population clearly as their dwelling relation. Records related to resident registration are an official document used as daily documentary evidence in almost all the parts of our social life. The study examined on the basis of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the most basic data out of resident registration related records. Currently the government manages resident registration related records more easily and efficiently through application of digitalized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 fusion technology over the process of digitalization. In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all the processes from production of computer processing organization to its management were made of electronic records. However, electronic records were not advanced in the side of record management in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though they were advanced in the side of technology.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record value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on the basis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the most basic data out of resident registration related records, and proposed plans for record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ree kinds of types of records in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the study examined record value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through understanding about resident registration system by arranging historical changes of resident registration system, business processing relation of resident registration and changes of a form in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Second, the study classified records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into paper resident registration card prescribed by resident registration act, image-computerized resident registration card and resident registration card drawn up by computer information processing organization and analyzed managem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records. Third, the study proposed management plans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system is being developed gradually. However, people don’t take a lot of interests in resident registration as a record. Therefore, permanent utility of its record should be secured by record management for continuous utility and preservation of resident registration related records.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기록물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정영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83

        This study aims to seek the plan to provide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manage records systematically in public institutions without records centers.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in this study is the only trial excavation of underwater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performing work such as excavation of underwater cultural properties, scientific preservation, research, restoration, and exhibit. Records created in the process of this work have high value in academic research, and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cords center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records. However, due to lack of awareness about records management, establishment costs, and employment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record center. Thus, this research studied the plan f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to systematically manage records as well as search and use records in reality. First, the distinct work performed i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is divided into underwater excavation investigation, scientific preservation, Maritime Cultural Heritage research, and exhibit/publicity, in order to examine each process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created. And through surveys of each person in charge, interviews with records management staff, and data organized by participating in inventory arrangement and inventory, it grasped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analyzed data, it proposes improvement plans in three perspectives: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organization of create․declare․classification scheme, and development of finding aid. This study presented improvement plans to systematically manage records suitable f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is actually possible in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and records created in work process can be declared without omission or loss through cyclic education in create․declare. And users can efficiently use the records by developing subject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finding aid. This study grasped the actual state of records management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e. The subject functional classification propos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enable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at perform tasks of exhibition, research, and administration such a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and also to enable users to efficiently search and use the records. 본 연구는 기록관이 설립되지 않은 공공기관에서 체계적으로 기록물을 관리하고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국내에서 유일한 수중문화재발굴기관으로 수중문화재의 발굴과 과학적 보존처리, 연구, 복원, 전시 등의 고유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고유 업무 수행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물은 학술연구적으로 가치가 높기 때문에 기록관을 설치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기록물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록물관리에 대한 인식 부재, 설치비용, 전문 인력 채용 등의 문제로 인해 현재 기록관 설치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실을 감안하여 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기록물의 검색과 활용을 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수행하는 고유 업무를 수중발굴조사, 과학적 보존처리, 해양문화재 연구, 전시․홍보로 나누어 각각의 업무 수행과정과 생산되는 기록물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기록물목록정리 작업과 정수점검에 직접 참여하면서 정리한 자료, 기록물관리 담당자와의 인터뷰와 면담, 각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 기록물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렇게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인력과 시설, 생산․등록․분류체계의 정비, 검색도구의 개발의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해양문화재연구소의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기록물을 관리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인력과 시설의 경우 현실적으로 추진이 가능하며, 생산․등록은 주기적인 교육을 통해 업무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이 누락이나 망실없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주제별기능분류체계와 검색도구를 개발하여 이용자들이 효율적으로 기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기록물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주제별기능분류체계는 해양문화재연구소와 같이 행정업무기능과 연구업무기능, 전시(박물)관업무기능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의 체계적인 기록물관리가 가능하고, 이용자들이 효율적으로 기록물을 검색하고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 구축방안 연구

        기병권 목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에서는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향후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걸맞는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발전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실태 및 문제점과 이러한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활용 확대 및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두 가지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먼저 선행 연구자료 검토 및 문헌연구를 통해 교정기록물 관리 실태와 정보공개 관련논의를 검토하였고, 관련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구축 전제조건인 요구사항과 내용적․기술적 조건, 서비스의 고려사항, 기록정보서비스의 체계 등 구체적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선행연구, 현장실태 및 문제점을 중심으로,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구축방안을 제시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 구축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교정기관 내 기록정보서비스 교정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구축 정책 수립이다. 둘째,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법제도 및 기타 요구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교정기관 내 ‘수용자’와 같은 국가와 ‘특수한 신분관계’에 있는 국민의 정보공개청구권 오·남용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명확한 규정을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교정기록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 구축에 관한 통일적인 법령의 정비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록관리의 전문성을 위하여 기록관리 전담조직을 설치하고, 기록관리법 제41조에 의한 전문인력이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 교도관의 인식 측면에 대한 개선도 필요한데, 특히 비밀행정주의 타파 측면에서, 교정공무원의 공개행정주의 의지와 정보공개청구권의 주체인 수용자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교정시설 내 정보화도 중요한 환경적 요건이며, 정보공개법이 적용되지 않아서 비공개되는 사항의 내용은 명확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구체적인 구축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본 연구가 지향하는 정보공개 및 이용자 중심 기록정보서비스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기반하의 기록정보 서비스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교정기관의 민원업무, 정보공개, 기록정보서비스의 One-Stop화를 위해서는 부서간의 중복되는 기능의 통합이 필요하며, 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이용자가 실시간 검색으로 가능한 많은 정보와 기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소장 기록물에 대한 전자화노력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넷째, 결국 본 연구는 기존의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행 기록정보서비스의 합리성을 평가하는 선행과정으로서 의의가 있으며, 고객 지향적인 교정기관 기록정보서비스로 나아갈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시사점을 둔다.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way to establish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fi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demand of the time and society in the future. This study mainly consists of two part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ways to establish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o expand its use. Firstly,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were carried out to discuss the actual status of correctional records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levant problems were deduc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requirements that are 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 specific ways of establishment such as content and technical conditions, consideration of services, and recording information system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proposed method of establishing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discussed in this study. First, the first thing to be done in establishing the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is to come up with an establishment polic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Second, as for the legal system and other requirements of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first of all, attentions should be paid to the problem of misusing information disclosure right of the people who are in a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country such as ‘prisoners’. In addition,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correctional records,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s about the improvement of uniform legisl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For the professionalism of records management, a special organization for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specialized personnel should be placed according to Article 41 of the Records Management Ac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prison guards.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eradicating secret administrative practices, it is necessary for correctional officers to have the will for open administration, and for prisoners, the main agents of the right to information disclosure, to have positive attitudes. Informatization within correctional institution is also an important environmental requirement, and the details of the items that are not covered by the information disclosure law need to be clarified. Third, in terms of the concrete plan to establish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to achieve the information disclosure and the user-centered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that this study is pursuing, it is essential to have internet-based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redundant functions between departments in order to a make one-stop service for the civil service,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record information database, efforts should be continuously made to digitize the records so that users can access as much information and records as possible from real-time searches. Fourth, in the en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precedent for evaluating the rationality of the existing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in order to rationally improve the existing record institution information services and offers implications for searching ways to improve the customer-oriented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of correctional institution.

      • 교회의 체계적인 기록관리를 위한 기록관 설립 및 운영방안 : N교회를 중심으로

        허은정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83

        한국 개(個)교회의 기록물 관리는 기록관리에 대한 낮은 인식과 필요성에 대한 부재로 인하여 증거적, 역사적 가치 등을 갖는 교회기록물이 체계적인 절차와 방법을 통해 보존, 관리되지 못하고 미정리기록물(backlogs)로 방치되거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폐기되고 있다. 그 결과 개교회의 중요 기록물이 역사와 함께 유실되거나 변질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논문은 한국 개교회의 올바른 역사정립과 더불어 교회 기록물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의 일환으로서, 기록관 설립을 통한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개교회 차원의 기록관 운영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례대상이 되는 교회에 수정, 보완하여 재적용함으로써 기록관 설립의 방향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시스템 구축을 모색해 보았다. 기본적으로 교회라는 기관이 갖는 기록관리 상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사례대상 교회만이 갖는 역사와 특성을 반영하여 기록관리 실태와 문제점들을 분석했다. 오래된 전통과 역사에 반해 남겨진 기록물의 종류와 양이 적은 것과 훼손도가 높은 물리적 상태 및 기록의 열화와 산화를 극대화시키는 보존환경, 비체계적인 정리형식, 기록의 활용측면에서의 한계 등의 문제점을 통해 기록관 설립의 필요성이 절실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조직의 체제 개편, 운영 규정 제정, 전담 독립 공간 확보, 전문 인력 배치의 기본적인 운영 체계를 마련하고 교회기록관의 기능과 설립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기본적인 토대가 되는 수집, 이관, 정리, 기술, 보존 등의 관리기능과 열람 및 서비스 기능까지 단계별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교회기록관을 체계적으로 설립하고 조직적으로 운영할 때 창출되는 효과는 세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교회조직 내의 행정상의 투명성과 운영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가능케 한다는 점이고 둘째는 교회의 일부 구성원만이 공유하던 교회사적 기록들이 대내외적으로 일반인들에게까지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고 셋째는 교회가 지역사회와의 연계 속에서 지역문화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회 차원에서 좀 더 기록관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교회 실정에 맞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들이 있어야 하겠다. 이상과 같이 실현된다면 분명 교회는 올바른 기록문화가 정착이 되고 이는 개교회의 역사를 규명하고 정리해 나가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Church records which have testimonial and historical value are not stored, managed in systematic procedures and method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for records management by individual Korean churches and backlogs are neglected or destroyed by arbitrary decisions. As a result, important records of individual churches are at the verge of being lost along with the history or changed. Thus, this study wishes to present operation pla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as a part of systematic and scientific management on church records along with the uprighting of histories of individual Korean churches.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analyzed the examples of archive operations at the level of Korean churches and reviewed the direc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and sought specific system construction by reapplying through modifying, complementing according to churches subject for consideration based on the above. It analyzed the statu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problems by reflecting uniqu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that only the subject church has based on the problem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hat churches basically have. There are strong needs for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caused by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types and quantity of records left behind compared to the long tradition and history and physical status with high damage and archiving environments that maximize deterioration and oxidation, unsystematic archiving methods, the limit of utilizing records. Thus, the study prepared basic operation system such as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enacting operation regulations, securing independent exclusive space, allocating specialists and presented step-by-step improvement plans starting from collection, description,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which become the base for clarifying the func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hurch archives. We can think of 3 effects generated by systematically establishing and systematic operation of church archives. Firstly, it enables transparency in administration of church organization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and economy and secondly churches' historical records which were only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hurch can be widely utilized by general public internally and externally. Thirdly, church can contribute in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by linking with local communities. To gain these effec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re should be various efforts from churches to establish systematic system corresponding with the state of churches through continued studies and positive interests on archives from the church level. It these can be realized than the church will have correct culture of recording and this will be a big help for closely examining and reasoning with the history of individual churches.

      • 과거사 관련 위원회의 기록물 활용 방안 연구

        이인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83

        현대사의 과정 속에서 세계 각국에서의 과거청산 요구는 필연적으로 발생했으며, 한국사회 역시 마찬가지였다. 현재 국내의 과거청산 업무는 세계 각국의 진실위원회 성격의 과거사 관련 위원회가 담당하고 있으며 진상규명, 명예회복, 보상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이러한 과거사 관련 위원회의 활동은 모두 정부기관의 공적 업무이므로 기록화해서 보존되어야 한다. 과거사 관련 위원회의 기록물들은 업무의 특성상 다른 공공기관의 기록물과는 다른 성격을 나타낸다. 또한, 방대한 양의 수집기록은 역사적 가치를 지니는 귀중한 사료적 성격을 갖기도 한다. 현재 국내 과거사 관련 위원회들은 빠르면 2009년부터 업무가 종료된다. 개정된 공공기록물법에 의하면, 기관이 폐지되어 그 승계기관이 없을 시에는 소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과거사 관련 위원회의 기록물에 대한 소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정확한 실태 파악이나 기관 폐지 이후의 이관계획 등은 고려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련 기록물에 대한 이후 활용 역시 불투명하다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독일의 경우, 과거 독재정권의 중심적 역할을 해왔던 ‘국가안전부’의 해체 과정에서 발생한 막대한 양의 기록물들에 대한 공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작업은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되어 20여년 동안 지속되고 있다. 문서 공개 작업을 전담하는 독립적 기구와 법령을 통해 수많은 성과들을 만들어 냈으며, 공개된 문서는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국민적인 역사교육에 적극 활용해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내오고 있다. 국내 과거사 관련 위원회들의 기록물 활용을 위해서는 첫째, 현재 각급 과거사 관련 위원회 내에 있는 기록관리전문요원을 비롯한 기록관리 인력들의 역할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위원회가 소장하고 있는 수많은 수집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향후 역사교육 자료로 적극 활용 해야 한다. 또한 위원회의 업무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관련 기록들의 체계적 평가와 분류, 이관을 위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파견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법령에 명시된 사항이며, 이렇게 해야만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된 이후에도 해당 기록에 대한 열람과 활용을 지속할 수 있다. 둘째, 독립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의 과거사 사료관을 설립해 관련 기록물들을 관리해야 한다. 과거사와 관련한 업무는 위원회의 업무가 종료되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며, 자칫 잘못 마무리했을 때에는 사회적 갈등을 야기시킬 수 있다. 과거사와 관련한 기록의 관리 역시 마찬가지이다. 계속되는 과거사 진상규명의 요구와 그에 따른 기록의 활용을 위해서는 독립적 성격의 사료관이 필요하다. 또한 과거사 관련 위원회 업무의 특성상 나타나는 몇몇 유사성을 정리해볼 때 관련 기록들에 대한 통합적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현재 관련 위원회들의 설립 근거인 특별법에 제시된 사료관 건립의 조항을 근거로 하는 독립적이고 통합적 성격의 사료관이 필요하다. 독립적이고 통합적인 과거사 사료관을 통해 관련 기록들의 체계적 관리를 이루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사교육 등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우리 사회의 올바른 역사인식 형성과 직결될 수 있으며 과거 역사에서 나타났던 동일한 실수를 또다시 범하지 않는 진정한 의미의 사회적 과거청산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ourse of contemporary history, there has inevitably risen requirement for liquidating the past in the most of the countries in the world, not to mention in Korea society. At present, the task of liquidating the past is in charge of Truth Committee that has the same feature as many countries’ truth committee of the world, and is progressing through several stages including examining the truth, restoring the honor, and compensating the victims. These activities of the Committee are the official ones of government bodies. That’s why the activities should be documented and preserved. The documents of committees related to the past liquidatio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other governmental bodies because of the unique feature of the task. In addition, the abundant data are precious historical records of historic importance. The tasks of present domestic Truth Committees are finished one by one from the year of 2009. According to revised Official Records Act, when there are no successive organs of extinct organs, the records should be transferred to related permanent documents administrative bodies. But at present there are no considerations about bodies to receive the records of Truth Committee, and about plans for transferring the records. That’s why the use of the records is not secured for now. In Germany, they are opening a great amount of records emerging from the course of dismantlement of ‘MfS’, which played a central role for the past dictatorship. This task is now being performed on national level, and has been so for about 20 years. There have come a lot of remarkable results by designated independent bodies and regulations, and the results have been utilized among various social fields. In particular, they are used for national education of history with a great deal of fruits of researches. For the good use of records of domestic Truth Committee, the following measures are required : First, the human powers for administration of records in various levels of Truth Committees should be given much more authorities than now. Through this measure, the affluent records collected by the Committees should be administered systematically, and utilized for future history education. In addition, at the time when the Committees’ tasks are finished, expert agents must be dispatched from related organs to the Committees for the records’ systematic evaluation, classification, and transference. This is actually provided in the acts and regulations expressly, by which the inspections and uses of the records can be continued after the transference to permanent preservation bodies. Second, independent and integrated past historical records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for administering the records. The task about the past must not be finished when the Committees stop to exist. The wrong end may cause unnecessary social tension and conflicts in the country. The issue of past has complicated nature, so historical records archives must have independent nature. Only those archives enable us to demand clarification of the past and to utilize them for the good purpose. Furthermore, integrated administration is required, taking into account the similarities of the natures of the various Truth Committees. We already have the base for the independent and integrated archives, on the basis of the provision to establish historical records archives in the special act, on which present Truth Committees have been founded. The systematic administration through the archives and education with the records probably make it possible for us to develop righteous forming of historical recognition, and to prevent repeated failures we did at the past, which means true social past liquidation.

      • 러시아 기록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 근대기록관리제도의 형성과정과 동인을 중심으로

        주은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83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pin point the prime driving factor which had enabled the Imperial Russia to have modern archives in the late 19th century. Many a scholar have thought that the Western Modern Archival System was the ultimate model for the russian archives and it was the very help of the western scholars that made the modern archives possible in the Russian territory. But to the contrary, it was not the western influence but the internal russian technologies developed by the russian archivists which made the modern archival system possible in the Russia. In the first chapter, the author describes the purpose of this paper as 'to reveal the real driving force' which made the Russian Modern Archival System possible about 100 years ago. In the second chapter, the author sets the logic of this paper to understand what modernity is in the archival field. To admit historical values of the archives is the first factor which can make a real modern archival system. To have a free access to the archival fonds and to let all the members of the society to use the archives are the second condition to make a modernity accomplished in the archival field. To have the proper law foundation to manage the archives is the third fact which can define modern archives.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s before Peter the great. The author points out the Prikaz archives of the Ivan IV were the dividing places of the old church archives(10-15 centuries) and prikaz archives(16-17 centuries). In the forth chapter, the author explain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archival system with the archival decrees of the Perter I in the years of 1711 and 1712. And after that the author shows a set of russian archivists who had contributed the building of modern archival system. It was the Kalachov who finally had made the russian modern archival system at least in a form of pure theory in the late 19 century. The author devotes more than 12 pages to explain the activities of the archivist, Kalachov in detail. The author thinks that the archival systems of the Soviet Union and Russian Federation in the 20th century was the continuations of the modern archival system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author thinks that the Russian Federation gets the direct inheritance of the Imperial Russian Modern Archives Heritages of the 19th century. In the conclusion, the authors stresses that the two developments of modern archival systems in the Soviet union and Russian Federation are not more than the two different faces derived from the heritage of the 19th century modernity in the imperial russian archives. The study of the russian archives helps to find the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Korean History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