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라틴아메리카 사회적연대경제의 유형화와 특성

        이정화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87

        본 논문은 사회적연대경제가 국제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에서 대안으로 논의되는 많은 연구 중 하나로 사회적연대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확장의 과정을 라틴아메리카 사례를 통 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라틴아메리카 사례는 유럽과 더불어 사회적연대경제의 이론과 실천, 그리고 제도화와 관련하여 연구되었고, 라틴아메리카 사회적연대경제의 다양한 역사 적 배경이 이 지역 사회적연대경제의 특수성을 낳았다. 그리고 20세기 이후 여러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연대경제의 제도화는 국가마다 다른 배경과 과정을 거치면서 조금씩 상이한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라틴아메리카 사회적연대경제의 특수성을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라틴아메리카 사회적연대경제의 발생 배경으 로 사회 운동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라틴아메리카 사회적연대경제 문화적 배경으로 노동자, 원주민, 도시 및 농촌 빈민을 포함한 풀뿌리 집단이 주요 행위자로서 개인과 사회의 문제 를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는 자발성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주요 요소로 하였다. 이 에 정치적 차원에서 영향력을 가지게 된 라틴아메리카 사회적연대경제가 어떤 방식과 과정 을 통해 제도화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지금의 사회적연대경제의 사회적 위상과 운영 방식이 지속가능성의 논의를 불러올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화된 개념적 연구와 각국의 특성 조사 차원을 넘어 라틴아메리카 권역에서 공통성과 특수성을 가진 사 회적연대경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 해 이 논문은 세 가지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국가 개입 강도에 따른 유형 분류로 강한 국가 개입과 느슨한 국가 개입으로 분류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사회적연대경제와 자본주의 시장 경제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분류로 독립 시장론, 시장 보완론, 시장 대체론의 주장을 토대로 분류하였다. 세 번째 유 형은 사회적연대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사회운동의 두 가지 성격인 사회경제 운동과 사회연 대 운동의 맥락에 따라 유형을 분류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라틴아메리카 사회적 연대경제 유형 분류는 국가가 사회적연대경제의 필요에 의해 개입하게 되었을 때, 사회적 연대경제가 국가별 특성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전제하였다. 또한 각 국 가의 성격이 사회적연대경제 제도화와 역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라 생각하는 동 시에 사회적연대경제의 본질과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적 시각도 검토하였다. 그리 고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라틴아메리카 사회적연대경제 연구가 라틴아메리카 사회와 문화 를 연구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is one of many studies in which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is discussed as an alternative in the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ttempted to analyze through the Latin American case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it has expanded and grown with persistence. The Latin American case, along with Europe, was studied in relation to the theory, practice,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However, various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Latin American social solidarity economy gave rise to the peculiarity of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in this region.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which has been progressing in various countries since the 20th century, has taken on a slightly different form over different backgrounds and processes from country to countr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lassify the specificity of the Latin American social solidarity economy into types, and presents the theory of social movement as the background of the Latin American social solidarity economy. This cultural background of Latin America's social solidarity economy saw the spontaneity of grassroots, including workers, indigenous people, urban and rural poor, to solve problems by themselves as major actors and their main factors. Accordingly, we analyzed the method and process through which the Latin American social solidarity economy, which became influential at the political level, was institutionalized.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whether the current social st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can lead to a discussion of sustainabil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that is common and specific in Latin America beyond generalized conceptual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paper classified three types. The first type was classified into strong state intervention and loose state intervention in a typ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state intervention. The second type was classified based on the arguments of independent market theory, market supplementation theory, and market substitution theory, and was classifi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olidarity economy and capitalist market economy.The third ty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ocio-economic movement and the social solidarity movement, which are the two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movements that make up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The classification of Latin American social solidarity economy types presented in this paper presupposes that when the state is interested in the social role of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and intervenes,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can have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dditionally, we considered that each country's character would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role of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and at the same time reviewed the critical view that it could undermine the nature and value of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And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the study of Latin American social solidarity economy will be presented as a new perspective on Latin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 빈민의 주체적 공간재생산을 통한 주거 안정성 확보: 필리핀 마닐라 바세코(Baseco)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박누리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this thesis, the housing stability of the poor was analyzed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urban poor area Baseco Compound in Manila, Philippines. Baseco is an area facing the risk of continuous demolition, and it can be said that housing is unstable. Even though the government provide a relocation site, but the poor won't leave Baseco. In this paper, I began by exploring reasons behind this situation. Therefore, research questions are why there is a constant risk of demolition in baseco, why residents do not leave despite the risk of demolition, how residents respond to demolition orders, and how we, third parties, should view demolition orders and residents' responses. The research methods is to analyze various documents such as announcements released by the Philippine government or Manila City, interviews with Baseco residents in the media, Philippine NGO reports, reports from Korean and foreign NGOs visiting Baseco, and self-produced materials. As a theoretical framework, Henri Lefevre's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was formded. The theory is that social relations can produce spaces and produced spaces affect social relationships again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each other. There are three momentos of spatial production; at first, representation of space, which is planning and arranging spaces according to the ideas, knowledge, and ideology of groups such as governments and urban planners, at second, the representational space, which is experienced as images, symbols, and atmosphere in their daily lives and at third, the living space, which is repeated in people’s daily lives. Therefore,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three momentos of space, I analyzed Baseco explaining the situation in which capitalism caused space exploitation and exclusion. In addition, various opportunities were used to reverse the logic of existing spaces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producing their own space, especially residential space. First, the government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and activities and carried out media reports to create symbols and images that the residents of Baseco are illegal occupied, polluting environment, or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And the government provided the relocation site with demolition orders. However, the government's actions were actually not only to blame for the residents, but also to acquire a Baseco for a reclamation project. This act can be said to be a government’s abstraction of space focused more on profits from reclamation projects than on the value of a residential area for the poor.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s representation of the space is the process of justifying demolition orders and producing abstract spaces. In the next chapter, I focused on how residents experienced and recognized Baseco during various events. First, they got the opportunity to plan their ideal village by participating in a local plan called People's Plan. This later becomes a spatial imagination that motivated a movement from contradictory space to differential space. Second, the government continues to build various facilities (schools, health centers and disaster shelters) on the largest streets of Baseco, making it a place for residents to experience government power. The poor has experienced alienation by the lack of prevention facilities for natural disasters and basic infrastructure. Finally, in the absence of such a government, multinational companies supported Baseco so that the poor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Baseco. In the next chapter, the poor practically acquired space in response to the demolition order and further showed the spatial practice of residents to produce space as a "genuine residential space." The poor sought help from transnational and religious organizations which supported Baseco before, engaged in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asigning on the convention with presidential candidates. This is a strategy only for the poor in the Philippines, which has a large role in civil society, and the transnational network formed by multinational private companies in Baseco. In addition, the poor further developed their own identity, ownership, and sense of belonging not only to simply acquiring space, but also participating in garbage collection and PRRC Programme to make a living environment better and operating livelihood programmes with private cooperation. First of all, I were able to identify the phenomenon in which space was interpreted values as capitalist and was abstracted. The government issued demolition orders for capitalist values, after providing the relocation site as a solution to demolition. And the demolition was seemingly the reclamation project. This was the process of abstracting the value of the residential space called Baseco. Secon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specific spatial practices of residents producing their residential space, which is a kind of differential spaces. In addition to acquiring physical property such as land and houses, the poor were making their living space better by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alleviating poverty through livelihood programs, and improving structures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The Philippine government encourags the poor to move into an empty area, the relocation site or simply lays the roads and build houses for local development rather than reducing housing poverty. However, it only raises the resistance of the poor and does not help to solve serious urban problems. Therefore, the Philippine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spatial production of residents to improve housing condi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pecificity of space and the spatial practice of the poor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poor. If the relocation is inevitable, various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whether in the relocation site people can live with enough livelihood, educ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NGOs should also support and encourage residents to produce their own space, not disrupting the production of residential spaces, thus true residential spaces can be produced by residents. And finally, we, who consume cities and live in cities, should not simply see conflicts between the people of Baseco and the Philippine government as a matter of land ownership. This is because the space of the city has a history and meaning beyond ownership. Therefore, we need a position to embrace and to understand the poor so that they can live together, rather than simply look them as monstrous. 본 논문에서는 필리핀 마닐라의 바세코라는 대표적인 빈민 지역을 사례로 하여 빈민의 주거 안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바세코라는 공간은 지속적인 철거 위험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주거가 불안정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주거 불안정에도 빈민들은 바세코를 떠나려 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의문을 가져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 질문은 왜 바세코에서는 지속적인 철거 위험이 발생하는지와 왜 철거 위험에도 주민들이 떠나지 않는지, 주민들은 철거 명령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그리고 제 3자인 우리는 철거 명령과 주민들의 대응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 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필리핀 정부 또는 마닐라시에서 발표한 여러 보도 자료, 그리고 언론에 나온 바세코 주민들 인터뷰, NGO 보고서, 바세코 지역을 방문한 한국/외국 NGO 단체의 보고서, 주민단체가 자체적으로 생산한 자료 등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으로는 주로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활용하였다. 공간생산론은 사회적 관계가 공간을 생산하고 생산된 공간은 다시 사회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으로, 공간생산의 3가지의 계기로서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반복되고 공간을 전유하는 것인 공간적 실천, 정부나 도시 계획자와 같은 집단이 가진 관념, 지식, 이데올로기 등에 따라 공간이 기획되고 배열되는 공간 재현, 공간의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이미지, 상징, 분위기 등으로 체험하는 일상의 공간인 재현 공간을 언급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간의 3가지의 계기에 따라 바세코라는 공간을 분석하고 그사이에 자본주의로 인해 공간 착취와 배제가 일어나는 상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속에서 다양한 계기로 기존의 공간의 논리를 뒤집고 자신들의 공간을, 특히 주거 공간을 생산하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정부는 바세코 거주민들은 불법 점유했고, 오염시켰고 또는 재해 위험이 있는 곳이라는 상징과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과 활동을 시행하고 언론 보도를 하였다. 그리고 철거 명령과 함께 이주 단지를 제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행위는 사실 주민들에게 잘못이 있거나 주민들을 위해서가 아닌 바세코라는 공간을 획득하여 원활한 간척 사업을 위함이었다. 이러한 행위는 정부의 공간 재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빈민 거주지로서의 가치보다 간척 사업을 통한 이익에 치중하여 발현된 추상화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여러 사건으로 주민이 바세코를 어떻게 체험하고 인지하는가에 집중하였다. 다음으로 주민들은 철거 위험 속에서 피플스 플랜이라는 지역 계획에 참여하면서 자신들의 이상적인 마을을 계획하는 기회를 얻었다. 이는 훗날 모순공간에서 차이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기가 된 공간적 상상력이 된다. 반면 정부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생계나 기초 인프라 시설이 아닌 다양한 시설(학교, 헬스 센터, 재난 대피소) 등을 바세코의 가장 큰 거리에 지속적으로 건설하면서 주민들은 바세코가 정부의 권력을 체험하는 공간이 된다. 하지만 더불어 계속 일어나는 화재와 부족한 자연재해의 예방 시설과 기초 인프라 시설 건설로 정부의 소외를 체험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부의 부재 속에서 다양한 계기로 다국적 기업들이 바세코에 지원하게 되면서 주민들은 바세코의 발전을 경험했다. 특히, 민간 협력에 있어서 주민과 주민 조직의 역할이 컸다는 점으로 민간 단체의 협력을 체험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주민들이 철거 명령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공간을 획득하고, 더 나아가 ‘진정한 주거 공간’으로서 공간을 생산하기 위한 주민들의 공간적 실천을 보았다. 주민들은 정치 활동을 하고, 대통령 후보와 약속을 맺고, 위기 때마다 바세코에 지원했던 초국적 민간단체와 종교 단체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시민 사회의 역할이 큰 필리핀의 배경과 바세코에 다국적 민간 기업이 지원하면서 형성했던 초국적 네트워크를 이용한 빈민만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빈민들은 단순한 공간 획득에 그치지 않고 주체적으로 쓰레기 수거, 마닐라 정비 사업에 참여하면서 주거 환경을 가꾸고, 민간의 협력으로 생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더 나아가 미래 세대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자신들의 주체성과 주인 의식, 소속감 등을 키워 진정한 주거 공간을 생산하고 있었다. 이 사례를 통해서 첫 번째로 우리는 공간이 자본주의 가치로 해석되어 추상화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는 자본주의 가치를 위해 철거 명령을 내리고, 철거의 해결책으로 제공된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거지인 ‘이주 단지’를 제공했다. 그리고 철거는 원활한 간척 사업의 일환이었다. 이는 바세코라는 주거 공간이 가지고 있던 가치를 추상화하는 과정이었다. 두 번째로는 차이 공간인 주거 공간을 생산하는 구체적인 주민의 공간적 실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민의 토지와 집이라는 물리적 재산의 획득에 그치지 않고, 주거 환경 개선, 생계 프로그램을 통한 빈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구조 개선 등으로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주거 공간을 더 나은 공간으로 만들고 있었다. 한편 필리핀 정부는 주거 빈곤을 퇴치하기보다는 허울뿐인 주거 단지로의 이주를 장려한다거나 지역 개발을 위해 단순히 도로를 깔고 집을 지어주고 있다. 하지만 이는 주민의 반발을 불러올 뿐이고 앓고 있는 도시 문제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필리핀 정부는 주민의 공간생산에 집중하여 실질적인 주거 빈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간이 가진 특수성과 빈민의 공간적 실천에 집중하여 실질적으로 빈민의 필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주 명령이 불가피하다면 이주 단지가 여러 사람이 생계나 교육, 공동체 활동 등 다양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인지 등 다양한 요소를 확인해야 한다. NGO와 같은 민간단체에서도 주거 공간생산에 개입하는 것이 아닌 주민이 공간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독려하여 주민에 의한 진정한 주거 공간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시를 소비하고 도시에 거주하는 우리는 바세코 주민과 필리핀 정부의 갈등을 단순히 토지 소유권의 문제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도시라는 공간은 소유권을 넘어선 역사와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빈민을 단순히 흉물스러운 것으로 바라보지 말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그들을 보듬고 이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ODA 초청연수사업의 성과지표와 현업적용도 측정 개선방향 연구 : KOICA-부경대 석사학위 연수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슬기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ases of KOICA scholarship program currently operated b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ts effect and performance idicators through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and literature studies. In ODA fellowship program, achievement is a significant result when trainees apply their learning to their jobs after graduation, and the actual effects of the work and society have been shown. An case analysis of KOICA's scholarship program showe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dividual competency, but the training process was not always linked to positive results because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rainee's current application and the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country to which the trainee belongs, but also the effect derived in developing countries can be involved.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performance indicators set by KOICA to manage the performance of the scholarship program. First, focusing on quantitative assessments, makes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outcomes that cannot be quantified such as trainees’ personal competency. The second is simplifying assessment factors, excluding various factors that may intervene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exposure, such as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cul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by country. Third, the long-term tracking system after the graduation is not established as an indicator.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urvey to colleagues and direct supervisors within the organization to track the trainee's performance in the long term and assess the trainee's competence and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Moreover, the indicators should be diversified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 in developing countire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its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development process and seek ways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ject. 이 연구는 현재 부경대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참여연구를 통해 KOICA 연수사업의 효과성과 성과관리체계를 분석했다. ODA 초청연수사업은 개발도상국의 내생적 발전을 도모하고 원조사업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연수생이 연수내용을 업무 현장에 적용하여 개발도상국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연수를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연수생의 자국에 적용하는 개념을 “현업적용”이라 하며, 연수사업의 성패여부를 결정하는 성과로 볼 수 있다. 학위연수사업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분야별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핵심 전문인력의 학위취득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연수사업에서 가장 규모가 크지만,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여전히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부경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성과를 설문조사, 에세이, 심층면담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 연수사업은 연수생 개인역량과 연수생이 속한 조직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성과관리 체계는 연수사업 성과를 단기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에 집중하고 있으며, 성과도출에 개입되는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배제한 채 평가요소를 단순화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에, 연수사업의 성과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수사업 환류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연수사업의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ODA 사업으로서의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체계에 질적조사 방법을 확대하여 연수생 개별사례를 수집하고, 졸업한 연수생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플랫폼과 성과관리 전담부서신설이 필요하다.

      • A Study on Korean Tourist Behavior : Focus on Tourism in Hoi An, Vietnam

        Phi Thi Hoang Thom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지난 몇 년 동안 한국은 베트남 관광산업의 중요한 파트너였다. 베트남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수는 중국인 관광객에 이어 두 번째로 많으며, 2019년 1월에는 한국인 관광객 수가 중국인 관광객 수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었다. 한국과 베트남 간 협력, 문화교류, 항공편 개통 등의 조건을 기반으로 베트남 관광산업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산업은 떠오르는 시장이 되고 있다. 2015년 베트남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은 백만 명을 넘었다. 이후 한국인 관광객의 수는 계속해서 빠르게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 이후 증가하는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하였다. 한국인 관광객의 증가속도가 더뎌진 이유 중 하나는 베트남, 특히 다낭 지역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의 성장 속도가 정점에 도달하여 포화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베트남 다낭 인근 문화유산 도시 호이안에서의 한국인 관광객 행태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적인 도시인 다낭과 달리 호이안은 오래된 역사와 문화를 지니며 관광객을 이끌 수 있는 가치 역시 풍부하며, 한국인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도시이다. 본 연구는 호이안에서 한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호이안을 여행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과 베트남 현지인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였다.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 호이안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의 경우 여행사의 패키지여행보다 개인적인 여행을 하는 관광객의 수가 월등히 많으며 노인들은 패키지여행을 선호하는 반면, 가족 또는 친구, 연인과 함께 여행하는 경우 개별여행을 선호한다. 개별여행을 하는 한국인들은 주로 네이버 블로그나 인스타그램을 통해 여행 정보를 얻고, 여행지에서의 독특한 경험을 공유한다. 인스타그램에서 호이안에 관련된 해쉬태그를 검색한 결과 한국의 젊은이들은 호이안의 고급호텔에 머무르며 휴양을 즐기는 사진, 이국적인 배경에서 찍은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올려 친구들에게 공유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여행을 하는 한국인의 경우,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인스타그램 해쉬태그 검색을 통해 관광지, 숙소, 맛집 등의 정보를 얻으며, 여행지에서는 자신만의 여행경험을 사진에 담아 공유하는 것을 즐긴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관광객을 호이안으로 유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기존의 관광지 개선뿐만 아니라, 소셜네트워크에서 나타나는 한국인의 여행 트랜드에 따라 호이안의 이미지를 새로운 방식으로 구성하고, 홍보하는 것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산업 발전에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호이안 관광산업 발전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베트남 관광산업의 발전 그리고 한국과 베트남 간의 관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ver the last few years, South Korea has always been a key tourist market of Vietnam tourism industry. The number of Korean visitors to Vietnam is only behind the Chinese market, even it surpassed China in January 2019. Korean guest market becomes a potential market for Vietnam tourism with favorable conditions for cooperation, cultural exchange, aviation connection, etc. In 2015, the number of Korean visitors to Vietnam exceeded one million, marking an important milestone in Vietnam’s tourism industry. The number continued to increase rapidly in later years. However, this increase began to show a sign of reduction in proportion.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growth of Korean tourists in Vietnam, especially in Da Nang market, has reached its peak, approaching saturation. On this basis, the study was taken to investigate Korean tourist behavior in Hoi An, a cultural heritage city near Da Nang. Unlike Da Nang, a modern city, Hoi An with its centuries-old history and culture is extremely rich in tourism value. The study was done by data gathered from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tourists and local people. The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 travelers tends to outweigh the number of travelers using agency’s package tour. While elderly people often book tours through agencies, small groups like families, friends or couples prefer traveling individually because of its freedom and convenience. Korean visitors who travel individually usually get information through Naver blogs or Instagram, and share their experience on the tourist sites. According to hashtags about Hoi An searched on Instagram, Koreans’ popular social network, young people prefer entertaining in quality hotels in Hoi An, and sharing moments regarding Hoi An’s exotic backgrounds with their frien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attract Korean tourists to Hoi An. Besides focusing on improving existing tourism, organizing and promoting the image of Hoi An in a new way will b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tourism industry forward Korean tourists, depending on their travel trends on social networks. Through this, it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Hoi An tourism but also to the development of Vietnam’s tourism indust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Vietn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