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손상된 심사데이터를 이용한 선별급여 예측모델개발

        배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Korean health-care service is run by the NHI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hich guarantees UHC (Universal Health Coverage) for the citizens based on the universalism of social welfare. But, non-benefit items increased the financial burden of health-care on the citizens and their livelihood became threatened. Hence,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reinforcement policy to convert non-benefits into benefit items to strengthen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on Aug. 17th 2017. As the conversion policy was executed, the financial health of the NHIS became an issue and the need for an efficient (effective?) application plan of the healthcare resources was brought up in the process. So,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limited, complementary system which promoted the conversion by priority of needs and eventually, announced the selective health security system which allowed benefit conversion only when a non-benefit treatment was recognized to be medically necessary. MRI scanning is one of the medically-recognized non-benefit items.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ective benefit policy allows non-benefit MRI scanning to be converted into selective benefits or full benefits depending on patient symptoms, reduces the financial burden of healthcare on the citizens, prevents the abuse of the MRI scanning as the increase of the MRI scanning is expected, and encourages the improvement on the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 Now, the medical treatment of MRI scanning is applied to the medical-treatment section as selective welfare. The specific scoring criteria on MRI scanning are declared and the application of high-cost treatments in the NHIS is expanded. When healthcare providers of medical care institutions prescribe MRI scanning, many numbers of cases must be considered based on the previous assessment data because of the frequency restriction depending on patient’s major symptoms and diseases. If the stored data is damaged or lost, insurance application and prescriptions can go wrong causing confusion. Thus, the need for consistent standardized prescription and recovery of damaged data was reared up in the medical institutions in order to establish the selective benefi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nsistent prescription practice in medical care institutions by recovering damaged data in order to prescribe the selective benefits. It’s also a literature study to confirm the forecasting model to find out if the selective benefit policy can be used effectively through the brain MRI selective benefit notification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about 48,000 patients from Apr. 2020 to Mar. 2022 and 922,175 cases of selective benefit were collected from their claims data.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literature and notification details and formed data structure including 23 variables from 4 categories and predictive modeling. Exploratory data analysis was done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ith the use of the algorithms of random forest, Light GBM and DNN from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ethodology. The performance indexes of 3 algorithm models were evaluated on accuracy, AUC, recall factors, precision and F1 Score. When the data was used in the study, the ratio of response variables were considered to be imbalanced data and the accurate performance comparison index of the model was carried out with F1 score. The results showed random forest model (F1 Score=0.93) & Light GBM (F1 Score=0.92) & DNN (F1 Score=0.94) confirming DNN’s excellent performance. The model of study is helpful in providing effective prescriptions for it can predict appropriate prescriptions through systemic recovery of damaged data in the assessment data for the selective benefits. 우리나라 의료서비스는 건강보험제도를 운영하여 사회복지의 보편주의제도를 바탕으로 국민에게 보편적 의료복지를 보장하며 운영되고있다. 하지만 비급여 항목으로 국민들의 의료비부담이 높아지며 국민들의 생계를 위협에 이르게 된다. 그로 인해 정부는 2017년 8월 17일에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계획을 발표하며, 이 정책을 통해 비급여항목을 급여화 과정에서 건강보험공단의 재정건정성 문제로 의료자원의 효율적 운용방안이 이슈화되었다. 이를 문제점을 상호보완하면서 정부는 비급여를 필요순위가 높은것부터 제한적으로 급여화를 추진하는 제도를 시행한다. 비로서 정부에서는 보건제도에도 선별적 즉, 선택적 의료보장제도로 의학적으로 필요성이 인정되는 행위에는 급여화를 선언하며, 비급여 의료행위 중 MRI 검사항목도 포함된다. MRI검사도 증상에 따라 본인부담률이 달라지는 선별급여로 시행하는 것으로 단계적 급여전환을 선택한다. 선별급여 시행으로 비급여 MRI검사도 환자의 증상에 따라 선별급여 및 급여로 확대되어 국민이 의료비의 부담이 줄고, 검사 이용량 증가를 예상하여 따라 MRI 검사의 오남용을 줄이고 의료서비스 질향상을 기대하였다. 이로써 MRI검사의 의료행위 또한 선택적 복지를 의료행위부분에 적용하면서 MRI세부산정기준고시를 공표하여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시행하고 있으나, MRI검사를 처방시 환자의 주된 호소 및 상태에 따른 다양성, 질환에 따른 횟수제한 등으로 많은 경우의 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전 심사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야 하지만 데이터 보관 중 손실되어 그로 인하여 보험적용이 오류 및 처방착오 혼란을 야기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선별급여제도화를 구축하기위해 일관성 있는 표준화 처방 및 손상된 데이터복원이 의료기관에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별급여 처방을 위해 손상된 데이터 복원을 통하여 요양기관의 일관성있는 처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brain MRI선별급여고시를 통하여 선별급여정책의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예측 모델을 확인한기 위한 문헌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 4월부터 2022년 3월동안 청구데이터를 약 48,000명 해당하는 선별급여 922,175건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헌 및 고시사항을 분석하여, 4개의 범주에서 23개의 변수를 포함하여 데이터 구조를 구성하여 예측 모델링을 하였다. 탐색적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머신러닝 및 딥러닝 방법론 중 random forest, Light GBM, DNN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3가지의 알고리즘 모델의 성능지표는 정확도, AUC, 재현율, 정밀도, F1 Score로 평가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는 반응변수의 비율이 불균형인 데이터(Unbalanced Date)인 점을 감안하여,정확한 모델의 성능 비교 지표는 F1 Score로 시행한 모델비교결과 random forest모델(F1 Score=0.93)과 Light GBM(F1 Score=0.92), DNN(F1 Score=0.94)로 DNN이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심사데이터를 통해 선별급여의 체계적인 데이터 손실복원을 통하여 적정한 처방을 예측하여 모델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처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통합적 인지강화프로그램 훈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개선 연구

        심숙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In order to demonstrate the intervention effect of an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primary dementia screening test and secondary examination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of dementia) at the Seoul Middle School ** Dementia Relief Center Results 16 people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declin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June 2021 to February 2021. The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ages: initial, intermediate I, intermediate II, and final, and was conducted 12 times for 4 weeks, each 60 minutes each. To confirm the program effect, cognitive level and depression-related factor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Dementia Screening Test and the Korean Depression Scale for the Elderly, and analyzed according to a statistical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mean (M=22.3, SD=4.24) and post-mean (M=25.06) of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in the change of the mean valu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22.3, SD=4.24) , SD=3.17),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 was identified.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 was confirmed between the pre-mean (M=6.63, SD=2.87) and the post-mean (M=8.44, SD=2.06) of memory.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change was found i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because it was conducted on some elderly members of the Seoul Middle and ** Dementia Relief Center members. Second, since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and compared changes in related variables through experiment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discussions on qualitative dimensions such as the subject's experience and perception were excluded. Third, although this study consisted of a program of 12 sessions for 60 minutes per session,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extend the period and to analyze the continuity of the program participation effect. Fourth, as this study is a single-group study design, comparable comparison groups are excluded. Although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OIVD-19 and the study subject are elderly and there are restrictions on public relations related to program participation, it is desirable to discuss the differentiation of program effects by setting up various comparison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follow-up study. Fifth,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so far are different for each study.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absence of a unified program development principle and mod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an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and model validation in a follow-up study.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증 개선을 위한 통합적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서 서울시 중** 치매안심센터에서 1차 치매선별검사와2차정밀검진(신경심리평가와치매임상평가)결과에서 경도인지저하로 진단받은 1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2021년 1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관련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통합적 인지 훈련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Ⅰ, 중기Ⅱ, 종결 네 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회기 당 60분씩 4주간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효과를확인하기위해서한국형치매선별검사지와한국형 노인우울척도 단축형을 사용하여 인지 수준 및 우울증 관련 요인을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증상 개선을 위한 통합적 인지훈련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평균 값 변화에 있어서, 인지기능 전체의 사전 평균(M=22.3, SD=4.24)과 사후 평균(M=25.06, SD=3.1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p<.01)가확인되었다.또한,기억력도사전평균(M=6.63, SD=2.87)과사후평균(M=8.44,SD=2.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우울증 개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시 중** 치매안심센터 회원으로 구성된 노인 일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관련 변인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 및 비교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대상의 경험과 인식 등 정성적 차원의 논의는 배제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셋째,본연구는회당60분12회로프로그램을구성하였으나후속 연구에서는 기간을 늘리고, 프로그램 참여 효과의 지속성을 살피기 위한 추후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단일집단 연구 설계로서 비교할 만한 비교 집단이 배제되어 있다. COIVD-19와 같은 환경적 요인과 연구 대상이 고령이며, 프로그램 참여 관련 홍보 등에 제약이 있었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비교 집단을 설정하여 프로그램 효과의 차별성을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현재까지 선행연구 등에서 보고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통합적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경우 그 내용과 운영이 연구마다 상이하다. 이것은 통일된 프로그램 개발 원칙과 모형의 부재가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통합적 인지 훈련 프로그램 개발 원리 및 모형 타당화 논의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 연령과 성별에 따른 우울과 비만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최하원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를 세분화하여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비만과 우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자료는 질병관리청에서 시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년, 2016년, 2018년, 2020년 총 4개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 총 대상자는 남성 9,373명 여성 12,254명으로 총 21,627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체질량 체질량지수에 따른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4단계의 교란변수를 보정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고 체질량지수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20-39세 BMI<18.5 남성 OR=0.819(95% CI:1.066-3.102) 여성 OR=1.282(95% CI:1.001-1.642)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고, 20-39세 23<=BMI<25 여성 OR=0.766(95% CI:.599-.979), BMI>=30 여성 OR=1.583(95% CI:1.130-2.216)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40-59세 BMI<18.5 남성 OR=2.431(95% CI:1.269-4.654)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60세이상의 BMI<18.5 남성 OR=1.677(95% CI:1.029-2.735), 여성 OR=1.889(95% CI: 1.158-3.080), 23<=BMI<25 남성 OR=0.677(95% CI:.514-.891), 여성 OR=0.755(95% CI:.624-.914), 25<=BMI<30 남성 OR=0.704(95% CI:.543-.913) 여성 OR=0.806(95% CI:.676-.961) BMI>=30 여성 OR=0.619(95% CI:.439-.875)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본 분석 결과 체질량지수에 따른 우울의 관련성은 남성과 여성 및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은 저체중군에서 모두 정상 체질량지수 보다 우울할 가능성이 크고, 여성의 경우 20-39세 청년 집단은 2단계비만에서 정상체질량지수 보다 우울할 가능이 크지만, 60세이상 노년 집단은 저체중일수록 우울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장 흥미로운 결과는 60세 이상 노년 집단이다. 60세 이상 노년 집단은 정상 체질량지수 대비 저체중일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우울할 가능성이 크지만, 과체중 및 비만일수록 우울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비만과 우울을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하여 체질량지수에 따른 성별과 연령을 세분화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추후 비만과 우울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고, 저체중군 및 고도비만군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by subdividing the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gender and age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to prepare primary data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and depression.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2016, 2018, and 2020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used for the research dat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4 confounding variables corre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classifying age and sex and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BMI <18.5 male OR = 0.819 (95% CI: 1.066-3.102) female OR = 1.282 (95% CI: 1.001-1.642) 20-39 years old 23<=BMI<25 female OR=0.766(95% CI:.599-979), BMI>=30 female OR=1.583(95% CI:1.130-2.216)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40-59 years of age BMI <18.5 male OR = 2.431 (95% CI: 1.269-4.654)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MI<18.5 male OR=1.677 (95% CI: 1.029-2.735) over 60 years old, female OR=1.889 (95% CI: 1.158-3.080), 23<=BMI<25 male OR=0.677 (95% CI:. 514-0.891), female OR=0.755 (95% CI:.624-.914), 25<=BMI<30 male OR=0.704 (95% CI:.543-.913) female OR=0.806 (95%) CI:.676-.961) BMI>=30 Female OR=0.619 (95% CI:.439-.875)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was different for men and women and for various age groups. All men underweight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the average weight group. In the case of women, the 20-39 year old group wa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the average weight group in obesity stage 2, but the underweight group wa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e most interesting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group over 60 years old, when underweight compared to the regular weight group, both men and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ed. Still, overweight and obese were less likely to be depressed.

      • VDT작업 사무직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작업자세습관과의 관계

        신윤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2020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수진자수 증가율이 높은 근골격계질환은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VDT(Visual Display Terminal; 이하 VDT) 증후군인 ‘근육통’, ‘경추통’등으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질환의 연간 총 진료비는 7조 4599억 원으로 전체 건강보험 의료기관 총 진료비의 10.9%를 차지했다. 특히 사무직 근로자들의 장시간 컴퓨터 사용과 좌식 근무 형태인 비대칭적인 움직임은 척추만곡 유지를 힘들게 하고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근로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증진과 직장생활에서 질 높은 삶의 영위, 근무만족도와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의 발병 위험성이 높은 VDT작업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그리고 작업자세습관과의 정도를 확인 하고 이들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추후 근골격계질환에 특화된 예방 프로그램, 캠페인 등의 개발과 지속적인 정보전달 및 제공 노력을 지지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에 근무하고 있는 VDT작업 사무직 근로자139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여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 조사 방법을 통한 단면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를 수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건강행동 및 업무 특성,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지식,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태도, 작업자세습관으로 총 5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R(ver. 3.6.3)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VDT작업 사무직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지식 수준은 10점 만점에 7.63점,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태도 수준은 50점 만점에 4.17점이었다. 작업자세습관에 대한 수준은 60점 만점에 2.83점으로 앞서 본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수준에 비해 실제 실천의 행위인 작업자세습관의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업자세습관에 대해서는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지 식과 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VDT작업 사무직 근로자의 작업자세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1회당 30분 이상 운동 일수’와 ‘지난 1년간 느꼈던 통증 부위’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VDT작업 사무직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을 위해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부족한 지식과 태도 등을 향상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나아가 실천의 행위인 작업자세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 스스로 운동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제공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2020, musculoskeletal disease, which has a high rate of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over the past decade, is VDT syndrome caused by the use of computers and smartphones, which has been shown to be "myalgia" and "cervical pain", and the total annual medical expenses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amounted to 7.4599 trillion won, accounting for 10.9 percent of the total medical expenses for health insurance medic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office workers' long-term computer use and asymmetric movement, which is a sedentary form of work, can cause musculoskeletal diseases by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vertebrae, office workers themselves need awareness and efforts to improve their health, quality of life in their work lives, work satisfaction and work skill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examine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the working postural habits in VDT office worker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oth sides to support future develop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specific prevention programs, campaigns.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online survey of 139 VDT office workers 66 working in enterprises, public institutions, and medical institutions. A total of five areas of data were collected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work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usculoskeletal symptoms, knowledg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ttitudes to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working postural habits.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based on the R(ver. 3.6.3) program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VDT office worker's knowledge of musculoskeletal disease was 7.63 out of 10, and the attitude toward musculoskeletal disease was 4.17 out of 50. The level of working postural habits was 2.83 out of 60,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working postural habits, which is an act of practical practice,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knowledge and attitude. Second, Knowledge and attitud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have been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ut for working postural habits, both knowledge and attitud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have been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orking postural habits of VDT workers were "more than 30 minutes of exercise per session" and "the pain areas that they have felt over the past year.".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of office workers working at VDT, it should not only improve insufficient knowledge and attitud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but also improve working postural habits, an act of practice. In addition,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that can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exercise on their own need to be provided steadily rather than just one-off.

      • RISS 인기논문

        코로나19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련성

        윤세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compare the job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who nurse patients diagnosed with the COVID-19 and nurses who nurse patients not diagnosed with the COVID-19 during the COVID-19 epidemic.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social networking services and messengers and underwent convenience sampling for untact prgressing. 142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nd with the removal of 8 copies that failed to meet the inclusion criteria, 134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Data were assess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6.0 Versi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D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Mean and SD was calculated to assess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burnou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job stress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urses who did not nurse patients with COVID-19 reported significantly high exhaustion(p=0.008) and disengagement from work(p=0.001). Nurses who nursed patients without COVID-19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adequacy of rewards(p=0.034) and fairness of the organization(p=0.016) among other subtypes of occupational resources. 2. An assessment of the occupational stress and exhaustion of nurs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females report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isengagement from work(p=0.001), while males report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p=0.041) in non caring COVID-19 patients nurses. Nurses whose work experience was less than 5 years reported significantly high exhaustion(p=0.025) and disengagement from work(p=0.020), and those with 5 or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reported significantly high disengagement from work(p=0.011) in non caring COVID-19 patients nurses. Nurses who had no experience of nursing novel infections reported higer in exhaustion(p=0.018) and disengagement from work(p=0.002) in nurses who nursed patients without COVID-19. Night shift nurses reported higher in exhaustion(p=0.010) and disengagement from work(p=.002) in nurses who did not care COVID-19 patients. Single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in exhaustion(p=0.002) and disengagement from work(p<0.001) turned out to be higher in nurses who did not care COVID-19 patients. 3. The odds ratio of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nd by 2.4 times higher in nurses with 5 or more years of experience than those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OR=2.39, 95% CI=1.00-5.68). The odds ratio of occupational demand turned out to be 3.0 in the group with 5 or more years of experience than those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OR=3.00, 95% CI=1.21-7.39). The group with experiences of nursing infectious diseases reporte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by 2.8 times than those with no experiences (OR=2.81, 95% CI=1.10-7.17). Nurses who nursed patients with COVID-19 reported a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 of exhaustion by 0.2 times than nurses who did not nurse patients with COVID-19(OR=0.23, 95% CI=0.08-0.66), while nurses reporte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f 9.3 than supervising nurses(OR=9.29, 95% CI=1.75-49.39). Supervising nurses reporte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f emotional exhaustion by 4.5 times(OR=4.57, 95% CI=1.01-20.59). Those who did not nurse patients with the COVID-19 reported a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 of disengagement from work by 0.2 times than those who nursed patients with the COVID-19 (OR=0.24, 95% CI=0.09-0.61).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nurses who nurse patients diagnosed with COVID-19 reported lower levels of exhaustion than those who did not. As such, programs to resolve the job stress and burnout of all nurses must be developed, not to leave out improvements on preventive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simulation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disasters and situational protocols. Strengthening human resources, along with improvements in the political and regulation instruments are also called forward.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코로나19 확진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와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아닌 일반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간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을 비교하는 단면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SNS와 메신저 오픈 채팅방을 통한 게시물 배포로 참여를 희망하는 대상자를 편의 표집으로 조사하였고, 총 142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8부를 제외하고 총 134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6.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일반적 특성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코로나19환자를 간호하지 않는 간호사가 코로나19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보다 소진(p=0.008), 심리적 이탈(p=0.001)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코로나19환자 간호여부에 따라 직무자원의 하위요인 중 보상의 적절성(p=0.034), 조직의 공정성(p=0.016)이 일반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 코로나19환자 간호 여부에 따라 일반적 특성별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분석한 결과, 여자 집단에서 일반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심리적 이탈(p=0.001), 남자 집단에서 감정적 소진(p=0.041)이 유의하게 높았다. 근속년수 5년 미만 에서 소진(p=0.025), 심리적 이탈(p=0.020)과 근속년수 5년 이상에서 심리적 이탈(p=0.011)이 일반환자를 간호하는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신종 감염병 간호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코로나19환자를 간호하지 않는 집단의 소진(p=0.018), 심리적 이탈(p=0.002)이 유의하게 높았고, 야간근무를 하는 집단에서 소진(p=0.010), 심리적 이탈(p=0.002)이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가 미혼 집단에서 소진(p=0.002), 심리적 이탈(p<0.001)이 유의하게 높았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코로나19환자를 간호하지 않는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3. 직무스트레스의 오즈비는 근속년수 5년 미만에 비해 근속년수 5년 이상에서 약 2.4배 유의하게 높았다(OR=2.39, 95% CI=1.00-5.68). 직무요구는 5년 미만에 비해 근속년수 5년 이상에서 오즈비가 3.0배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OR=3.00, 95% CI=1.21-7.39), 이전 감염병 환자 간호 경험이 없는 군에 비해 있는 군에서 오즈비가 2.8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OR=2.81, 95% CI=1.10-7.17). 코로나19환자 간호여부에 따라 소진은 환자를 간호하지 않은 군보다 간호한 군에서 오즈비가 0.2배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OR=0.23, 95% CI=0.08-0.66), 책임간호사에 비해 일반간호사에서 오즈비가 약 9.3배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OR=9.29, 95% CI=1.75-49.39). 또한 감정적 소진은 책임간호사에 비해 일반간호사가 오즈비가 4.5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OR=4.57, 95% CI=1.01-20.59), 심리적 이탈은 코로나19환자를 간호하지 않는 군이 간호하는 군보다 오즈비가 0.2배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OR=0.24, 95% CI=0.09-0.61).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코로나19 확진 환자를 간호하는 집단이 간호하지 않는 집단보다 소진이 낮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모든 간호사별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며 감염병 및 재난 예방 관련 시뮬레이션 강화, 다양한 상황별 프로토콜 강화 등 예방적 중재 및 전략 개발과 인력 역량 강화, 정치적, 제도적 장치의 개선을 실시해야한다.

      • 성인 장애여성의 성과 재생산권리에 대한 인식 분석

        안희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여성 당사자 관점을 반영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 중 심층 면접방법을 사용하여 성과 재생산권리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대해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장애여성에 대한 사업 및 제도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생명윤리법상 성인 기준 만 18세 이상 성인 장애여성으로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유형 15가지(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정신, 지적, 자폐성, 안면, 신장, 심장, 간, 호흡기, 뇌전증, 장루 요루)을 포함하여 중증 장애인 8명을 눈덩이 표집 방법을 통해 연구참여자로서 선정하였다. 우리나라 장애여성의 성과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가 전무하기에 이를 이해하는데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채택하여 장애여성 당사자의 관점에서 수집된 성과 재생산권리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고자 Giorgi 현상적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여성은 미디어 매체를 통해 재생산권리의 의미를 파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출산한 장애여성 대부분 양육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각 장애유형에 따라 재생산권리의 침해사례가 달랐으며 현재 재생산권리가 완전히 보장되지 못하는 사회에서 낙태죄, 모자보건법 제 14조항에 근거하여 장애여성이 받는 차별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여성의 성과 재생산권리에 대한 장애여성당사자의 주관적인 인식을 분석할 수 있었고 장애여성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가 가지게 되는 시사점은 국가가 장애여성의 성과 재생산권리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성과 재생산권리 관련 법, 제도, 서비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이러한 토대는 향우 장애여성의 건강, 고용 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기존 장애여성 관련 미약한 문헌을 연구하여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성과라 본다. 연구자는 인간이라면 누구에게나 인정되는 보편적인 권리를 위해 이러한 연구들이 지속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by analyzing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gender and reproduction rights using a deep interview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at can reflect the perspective of women with disabilities. By proposing national policies, we will present the concrete future direction of public works and institution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study participants, the adult standard under the biothics law is that women with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18 have 15 types of disabilities based on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by the method of snowball sampling. Performance reproduction rights data coll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with disabilities, adopt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ies to understand this, as there is no research on the sex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he Giorgi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in an attempt to study i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f all,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gender of women with disabilities showed a negative position of the gender of women with disabilities from the non-disabled people. Second, women with disabilities often learned the meaning of reproduction rights through media, and most of the disabled women who gave birth had difficulty raising children. Each type of disability had different cases of infringement of reproduction rights, and in a society where reproduction rights are not fully guaranteed, abortion charg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ith disabilities under Article 14 of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Act there were.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women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he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o gender and reproduction rights,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situation in which the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are not properly guarante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tate needs to be interested in the gender and reproduction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establish laws, institutions, and services related to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Furthermore, this foundation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and employment of women with disabilities. Finally, it is a great achievement in that it can present data by researching not much literature related to women with disabilities. Researchers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continue for universal rights that are recognized by all human beings.

      • 파키스탄의 한 가정 내 영유아 발육 부진 및 모성 비만의 이중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87

        전 세계적으로 2018년 기준 대략 5명 중 1명의 5세 미만 영유아에게서 발육 부진이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영유아의 21.9%에 달하는 1억 4천 900만명에 해당하는 숫자이다 (UNICEF, 2019). 2018년 기준 5명 중 2명의 발육 부진 영유아는 남아시아에서 발견되었을 정도로 남아시아 내에서 영유아의 발육 부진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많은 국제 기구에서는 협력을 통하여 빈곤을 종식시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5세 미만 영유아의 주된 사망 원인은 영양 결핍이다. 또한 식습관의 서구화, 도시화 등으로 인하여 사회 문화적 요인, 생활 양식 등이 바뀜으로 인하여 성인 비만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하여 개인, 가정, 인구 집단 내에서 한쪽은 영양 결핍으로 고통을 겪고 있을 때 다른 한쪽은 비만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이른바 이중 부담 현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 대상지인 파키스탄은 남아시아 내에서도 5세미만 영유아의 발육 부진이 심각한 수준이며, 특히 여성 비만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키스탄의 한 가정 내 이중 부담이 일어나는 현상과 관련한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처음 만들어졌고 2013년도 수정된 UNICEF의 영양실조 (malnutrition) 모델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근거하여 본 연구에 맞게 기본적, 근본적, 즉각적 요인들의 변수를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선 기술 통계량을 이용하여 변수값의 분포를 확인하였고, 이어 이항 (binary)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후 영향 요인을 조금 더 면밀히 살펴보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p-값이 0.05 이하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확인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 요인으로는 거주 지역 (Balochistan, FATA에 거주할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증가), 거주 환경 (시골에 거주할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감소), 모성 교육 수준 (중등 교육까지 마쳤을 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증가), 모성 직업 유무 (모성이 경제적 활동을 할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감소)가 있었다. 근본적 요인으로는 모성 신장 (모성의 신장이 증가할 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감소), 영유아 출생 당시 신장 (평균 이하일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증가), 영유아 나이 (영유아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증가), 출생 순서 (영유아의 출생 순서가 뒤에 있을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증가), 모유 수유 여부 (모유 수유 실시 하지 않은 모성일수록 이중 부담 가능성 증가), 국립 병원 방문 (영유아의 발열 증상이 있어 국립 병원을 방문한 경우 이중 부담 가능성 증가), 개인 병원 방문 (영유아의 설사 증상이 있어 개인 병원을 찾은 경우 이중 부담 가능성이 증가)이 있었다. 즉각적 요인에는, 영유아의 최근 질병 발현 여부 (영유아가 설사 혹은 발열 증상이 지난 2주안에 있던 가정일 경우 이중 부담 가능성 증가)이 있었다. 정책 입안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각 거주 환경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도시 환경에 거주하는 거주민을 대상으로 건강한 식생활과 신체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계몽 시키기 위하여 보건 및 영양 교육을 실시하며,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농촌의 생활 여건과 고용을 개선하여 이중 부담의 요소 중 하나인 영유아 발육 부진을 감소시키는 노력도 필요하다 (Mahmudiono, Nindya, Andrias, Megatsari, & Rosenkranz, 2018). 또한 사회적 진출 기회가 심각하게 결여되어 있는 파키스탄의 여성들의 인권 신장을 위하여 여학생들이 학업을 마칠 수 있게 하는 제도 마련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로 할 것이다. 이중 부담의 영향 요인 중 하나인 모유 수유율을 높이기 위하여 교육, 상담 등 효과적인 캠페인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로 할 것이다. 이중 부담의 요소 중 하나인 발육 부진을 일으키는 설사로 사망하는 파키스탄 영유아가 16%에 달하는 만큼 이에 대처하는 정책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파키스탄 내의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에 대한 접근뿐만 아니라, 설사와 합병증의 사례 관리를 위한 연구 및 정책 수립을 필요로 한다. 또한, 설사를 일으키는 로타 바이러스 예방 접종과 같은 새로운 건강 개입 (health intervention)을 개발하며, 지역 사회 수준에서 보건 종사자들의 역량을 강화해야한다 (WHO, 2017). 따라서 파키스탄 내 영유아 발육 부진 및 모성 비만의 이중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각종 정책 및 프로그램 수립 시 파키스탄의 지역적 특성과 맥락 및 각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등을 충분히 반영하고 현재 수립되어 있는 발육 부진 및 비만 정책 및 프로그램들을 수정 및 보완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파키스탄과 같이 남아시아 내 한 국가를 대상으로 접근하여 지역적 맥락에 맞게 변수를 설정하였으며 기존에 있는 다 국가 이중 부담 비교 분석과 비교하여 세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밝혀낸 파키스탄 한 가정 내 이중 부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실제로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하여 지역 내 사회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누락된 변수들을 대체 변수를 통하여 재구성하여 보고 포커스 그룹 등의 질적 연구 및 혼합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One in four children under 5 years old suffer from stunting. This equates to 149 million, or 21.9% of children in the world (UNICEF, 2019). This problem is even more severe in South Asia as two in five children there experience stunting. M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cus on eliminating poverty, but child stunting remains as a primary cause of death among children. Simultaneously, however, due to sociocultural and lifestyles changes from the westernization of dietary patterns and urbanization, adult obesity continues to rise not only in developed countries but also in developing countries. Dual burden of malnutrition, in which one group experiences malnutrition while the other suffers from over nutrition, is constantly increasing. Pakistan, the target country of this study, is experiencing a severe level of child stunting even within South Asia in adjunct to an increasing number of obese women. Thu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DBML) within same Pakistan household. In this study, basic, underlying, and immediate causes were set by modifying the prior research in 2013 using the malnutrition model of UNICEF, first created in 1990. The distribution of variables were identified at first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n,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After tha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see the associating factors more precisely.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shows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p-value less than 0.05. Basic factors included areas of residence (households in Balochistan or FATA may have a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living environment (households in rural areas may have a low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maternal education attainment (households in which the mother finishes secondary education may have higher chance of DBML), and maternal occupation (households in which the mother performs economic activities may have a low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Underlying factors included maternal height (households in which the maternal height increases may have low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size of child at birth (the households with lower average birth sizes may have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the age of children (households with older children may have a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the birth order (households with a higher birth order may have a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breastfeeding practice (households in which the mother never practices breastfeeding may have a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visiting governmental hospital ( households that visit government hospitals due to fever may have a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visiting private hospital (households that visit private hospitals due to diarrhea from children may have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Immediate factors included recent disease outbreak (households in which children experience diarrhea or fever may have a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DBML). Through this study, policy makers may develop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healthy eating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for residents living in urban environment.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healthy living.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child stunting rate,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by improving rural living conditions and employment (Mahmudiono, Nindya, Andrias, Megatsari, & Rosenkranz, 2018). Various efforts will be needed such as making a system to allow female students to complete their studies in order to enhance the human rights of women in Pakistan, which are seriously lacking. Furthermore, efficient campaigns such as education and counseling will be needed to raise breastfeeding rate, which is one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BML. As 16 percent of Pakistan’s children die from diarrhea, which is one of the factors of DBML, the government needs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policy to tackle the problem by not only providing safe drinking water and enhancing hygiene but also developing new health intervention such as the rotavirus immunization. The program also needs to help to train health workers, especially at the community level (WHO, 2017). Therefore, in order to alleviate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in Pakistan,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akistan as well as socioeconomic factors of families, and to modify current policies and programs of child stunting and maternal obesity. This study thoroughly explores only a single nation in South Asia by setting covariates to fit the regional context. Significantly, a detailed analysis was made to compare the existing cross-country comparative study of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In the subsequent studies, an effort should be made to reconstruct the missing variables through alternative variables to verify tha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in same household in Pakistan from this study are actually significant. Furthermore, qualitative and mixed studies such as focus group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