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일전쟁과 중국 · 한국 · 일본 국제질서 관계

        학리리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China was the center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before the Chinese-Japanese War. The pre-modern North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was spread in Korea and Japan centering on Chinese culture. The international order of Qing Dynasty-Joseon-Japan, three countries were friendly under the tributary system before the modern era. Such Sinocentric tributary syste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hanged dramatically before and after the Chinese-Japanese war. Nevertheless, the Chinese-Japanese war can be considered as the transition phase from pre-modern to modern international order,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background of international relations just before the war. This paper re-examines the relation of three countries- China, Korea and Japan- especially focusing on the background of the Chinese-Japanese War. In chapter 2, the tributary system and its change,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of Qing Dynasty is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Qing Dynasty. First of all, it examines the various forms of traditional tributary relation and Northeast Asia’s international relation, followed by introduction to the tributary relation between Qing Dynasty and Japan before the Chinese-Japanese war. (1) After forceful subjugation of Joseon(1392~1910) by Qing Tae Jong in 1636, Joseon became one of the important countries for Qing Dynasty, and Joseon Dynasty had to receive the appointment of Qing Emperor and regularly send envoys to Qing for tribute. In return, Qing sent back gifts with higher values than that of tributeand became a military fence. Nonetheless, Qing and Joseon were politically independent. However, this tributary relationship was completely changed after Imo Mutiny in 1882. Qing Dynasty started to interfere in the domestic politics of Joseon and over her sovereignty, which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previously mutual tribute and non-interference political relation. (2) On September 13, 1871, Chinese-Japanese Friendship and Trade Treaty was signed which brought China and Japan in equal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order. Previously, Japan, like Joseon, had tributary relations with Qing Dynasty. However, due to the conversion into modern order, China and Japan became equal in status. (3) In 1860, Self-Strengthening Movement was initiated in Qing Dynasty. This was the beginning of China’s modernization reform. Although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failed, it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Chinese modern age.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of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was the establishment of. Qing’s military capacity increased and also gained some resistance to foreign invasion to some extent. However, the conservatives within the Qing government blindly boycotted the west and was hostile to all the foreign matters. This movement was exercised for 30 years. Under the slogan of “Self-Strengthening”,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of West was introduced, which is as an inevitable result of the breakdown of the old international order. As a result, Qing Dynasty was incorporated into the modern unequal international system despite the efforts of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In Chapter 3, domestic rebellions in Joseon and international situation is examin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Joseon. Joseon underwent various rebellions and reforms, and also there was change in the relationship with Qing Dynasty and Japan. (1) On February 26, 1876, Joseon and Japan signed the Joseon-Japan Treaty or Treaty of Ganghwa Island at Ganghwa Island. This treaty seriously undermined the sovereignty of Joseon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foreign invasive forces to invade Korea. (2) The traditional army upraised the Imo-rebellion on July 23, 1882, because they were not paid for one year and the antipathy towards the Japanese new-style army. Although this rebellion was suppressed by the Qing army very soon, it caused Qing and Japan to leave Joseon at the same time and simultaneously lead to interference of both countries. On July 17, 1884, with the help of Japan, the reformists upraised a coup in effort to escape from Qing influence, and demanded to reform the cabinet of Joseon government. In result, Qing’s Yuan Shikai (袁世凱) intensified the interference which brought change in the relationship of Joseon and Qing Dynasty. (3) The Donghak Revolution (1894) was rebellion led by the followers of Donghak religion, Jeon Bong Joon, etc, as leaders and peasants together, which had political and religious characteristic. On May 31, 1894, Joseon requested Qing army for reinforcement and Qing army landed in Asan Bay on June 8. Japan also decided to dispatch the army on June 7 as an excuse to protect people under the pretext of Tianjin Treaty. The Donghak Revolution, was not only suppressed by Qing and Japan army dispatch at the same time, but also became an excuse for the Sino-Japanese war. In chapter 4, the gyorin relationship of Japan-Joseon, tributary relationship of Qing-Japan, and Meiji Restoration is examin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Japan. (1) Originally, Japan was also in a tributary relationship with China just like Joseon. And the relationship with Joseon was gyorin or sinocentric relation. However, Japan oppressed Joseon and forcibly signed unequal Joseon-Japan Treaty on February 26, 1876. The sovereignty of Joseon was destructed and started to be colonized by Japan. (2) Japan was in a tributary relationship with Qing Dynasty. However, on September 13, 1871, Qing and Japan signed the Chinese-Japanese Friendship and Trade Treaty. This was the first modern treaty signed by Qing-Japan. After this, the modern Sino-Japanese relation was also established. (3) Meiji Emperor, after establishing new government in 1868, began modernization political reform in Japan. And adapted to the constitutional monarchy structure prevailing in Britain. Education system was developed in a large scale and the people accepted the west civilization fully. In addition, capitalist economy was developed and Japan’s industrial sector was remodeled. Japan became the first industrialized nation in East Asia through Meiji Restoration. Also, due to the rapid modernization, the desire for expansion became stronger. As the economic power of Japan increased, the military power also strengthened rapidly. Chapter 5, Conclusion, is the summary and evalu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countries changed greatly immediately after the Sino-Japanese war. Qing lost the war and signed the Treaty of Shimonoseki, due to which Qing had to cede the territory, compensate and lost partial sovereignty. As a result, Anti-colonialism deepened in China and also the international position had fallen. For Joseon, the tributary relationship with China was formally terminated. Joseon began to fall under the Japanese influence. Although Meiji Restoration made Japan stronger, it promoted militarism. The method of invasion of other countries and developing Japan brought extreme disaster to the countries in the East Asia. Before the Chinese -Japanese War, the Chinese -Korean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was negotiated in 1882 which plundered the economy of Joseon. This treaty led to establish full-fledged trade relations between Qing and Joseon. In addition, the Qing government strengthened control over the sovereignty of Joseon. At the same time, Qing Dynasty took the advantage of this treaty to gain privilege of trade in Joseon, which resulted in economic competition between Qing and Japan in Joseon. Immediately after the war, Japan signed the Treaty of Shimonoseki on April 17, 1895, emphasizing the independence of Joseon. Japan acknowledged Joseon as an independent state. This was not for the sake of Joseon but for gaining rights in Joseon which could be only possible by separating Joseon and Qing. Qing has no right to intervene further. On September 11, 1899, Qing and Joseon establish new diplomatic relationship by signing China-Korea Trade Treaty.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and Japan also basically changed. Through Shimonoseki Treaty, Qing ceded Liaodong Peninsula to Japan. However, Russia, Germany and France interfered in the invasion of Qing, causing Japan to abandon the invasion of Liaodong Peninsula. However, Japan became more invasive towards Qing. In 1900, the allied forces of eight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 Sino-Japanese war and invaded Qing. From 1904-1905, Japan ignored the sovereignty of Qing and proceeded with the imperial war with Russia in the Northeast of Qing and again in 1937 there was full-scale invasion of China. 청일전쟁 전까지 동북아의 중심국가는 중국이었다. 근대 이전 동북아 국제질서는 중국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되었다. 청국-조선-일본 삼국의 국제질서는 근대 이전에 조공질서를 중심으로 우호적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중국중심의 조공질서 및 국제관계는 청일전쟁을 전후로 큰 변화가 일어난다. 청일전쟁은 전근대국제질서와 근대질서로의 이행계기이기도 했던 만큼 전쟁 직전의 국제관계 배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특히 청일전쟁을 중심으로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의 삼국관계를 재검토하였다. 제2장에서 청국의 상황과 국제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조공관계 및 그 변질과 청국 국내정치상황을 검토하였다. 먼저 전통적인 조공관계와 동북아 국제질서의 여러 가지의 형태를 논술하고, 그 다음에 청일전쟁 직전 청국과 일본 양국 간의 조공관계를 소개하였다. 1636년 淸太宗이 강제로 조선(1392~1910년)을 굴복시킨 이후에 조선은 청국에게 가장 중요한 조공국이 되었고, 조선의 왕은 청국 황제의 책봉을 받아야 하고 정기적으로 청국으로 사신을 보내고 조공을 해야 했다. 대신 청은 조선에 대해 回賜했고 군사적 울타리가 되었다. 그리고 청국과 조선은 정치적으로 독립적이었다. 그러나 1882년 임오군란을 계기로 이 조공질서는 완전히 변질됐다. 청이 조선에 대해 국내정치와 주권을 간섭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은 조선과 마찬가지로 청국과 조공관계였다. 그러나 1871년 9월 13일 청일수호조규의 체결을 통해서 중국과 일본은 동등한 국제지위를 받았다. 하지만 근대적 질서로 전환된 일본과 청국은 동등한 지위를 가졌다. 또 1860년부터 청국은 양무운동을 시도했다. 이것은 중국 근대화 개혁의 시작이었다. 양무운동은 비록 실패하지만 중국 근대에 영향을 강하게 미쳤다. 양무운동중에서 가장 큰 성과는 북양수사를 설립한 것이다. 청군의 전투력이 높아지고 외국의 침략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저항력이 생겼다. 하지만 청정부 내부의 보수세력은 서방을 맹목적으로 배척하고 일체 외래 사물에 대해 적대시하였다. 양무운동은 30여년간 진행했다. “자강”의 구호 하에, 서방의 선진적인 과학기술을 도입했고, 이것은 낡은 국제질서의 와해를 가속화시키는 필연적인 결과였다. 그래서 그 결과 청국은 양무운동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대적 불평등 국제질서 체제에 편입되었다. 제3장에서는 조선의 상황과 국제관계를 보기 위해 조선의 국내정변과 국제상황을 검토하였다. 조선은 여러 가지의 정변과 개혁을 겪었고 청국과 일본의 관계에 변화가 생겼다. 1876년 2월 26일 조선과 일본은 강화도에서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했다. 이 조약은 조선의 주권을 심각하게 훼손했고 외국 침략세력이 조선을 전면적으로 침략하는 계기가 되었다. 구식 군대는 1년 동안 급료를 못 받고 일본인의 신식 군대 별기군에 대한 반감 때문에 1882년 7월 23일의 임오군란을 일으켰다. 이 군란으로 인해 청국과 일본은 조선에 동시 출병하게 되었다. 또 갑신정변은 1884년 7월 17일 일본의 협조를 받아서 개화당이 정변을 일으켰는데, 청국을 벗어나기 시도하고 독립자주, 조선에 대한 내정 개혁이 요구 되었다. 결과적으로 청의 위안스카이(袁世凱)의 간섭을 강화해서 조선과 청국의 관계가 변질하였다. 1894년 동학혁명은 전봉준 등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종교적 성격과 정치개혁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조선은 1894년 5월 31일 청국에 원군을 청했고 6월 8일 청국군이 아산만에 상륙하자 일본 역시 천진조약에 의거해 거류민 보호를 구실로 6월 7일에 출병을 결정했다. 제4장에서 일본의 상황과 국제관계를 대해 살펴보기 위해 청국과 일본의 조공관계 및 메이지유신을 검토하였다. 원래 일본은 조선과 마찬가지로 중국과 조공관계였다. 그리고 조선과의 관계는 교린 혹은 소중화 관계였다. 그렇지만 1876년 2월 26일 일본은 조선을 핍박하고 조선과 불평등〈조일수호조규〉를 강제로 체결하였다. 일본과 청국은 원래 조공관계였다. 그러나 1871년 9월 13일 청국과 일본은〈청일수호조규〉를 체결했다. 이것은 근대 청국-일본 양국이 체결한 첫 번째 조약이었다. 메이지 천왕은 1868년 새로운 정부를 건립한 후에 일본의 근대화 정치개혁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영국이 사용했던 입헌 군주제의 정체를 수용하였다. 교육을 대대적으로 발전시키고 민중들은 전면적으로 문명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외에 자본주의경제도 발전시키고 일본의 공업화 개조를 진행하였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때문에 일본이 동아시아 국가들 중에 처음으로 공업화를 진행시킨 국가가 되었다. 일본은 경제력이 커지면서 군사적인 힘도 쾌속으로 강화된다. 일본은 전후하여 “정한론”을 제기했고 청국과 조선의 주권을 쟁탈하기 시작했다. 제5장 결론에서는 요약과 평가를 행하였다. 청일전쟁 후 중한일 삼국간의 관계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 패배한 청국은 일본과 시모노세키조약을 체결하여 영토를 할양하고 배상을 하고 일부의 주권까지도 상실했다. 따라서 중국의 반식민화 정도도 깊어졌고 국제지위도 떨어졌다. 조선에게 있어서 중국과의 조공관계는 정식으로 종결되었다. 조선은 노골적으로 일본의 영향력 하에 놓이기 시작하였다. 메이지유신은 비록 일본을 강대하게 만들었지만 군국주의로 나아갔다. 청일전쟁 전 1882년 체결한 〈조청수륙무역장정〉을 통해 청국이 조선의 경제권을 약탈했다. 이 조약은 청국과 조선이 근대적 통상관계를 수립한 것이었으나 청이 조선의 경제를 근대적으로 수탈한 것이었다. 또 청정부는 조선의 주권을 통제 하고 간섭하였다. 동시에 청국은 이 조약을 이용하여 조선에 대해 무역상에서 특권을 받았고 청국과 일본은 조선에서의 경제경쟁을 벌였다. 전쟁 직후 1895년 4월 17일, 시모노세키조약을 체결한 일본은 조선의 독립자주를 강조했다. 그러나 이것은 조선을 위한 생각이 아니라 일본이 조선에서의 권리를 필요로 했기에 반드시 조선과 청국을 분리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청국과 일본의 관계도 근본적으로 변화했다. 시모노세키조약으로 랴오동 반도를 일본에게 할양했다. 그렇지만 이 때문에 러시아, 독일, 프랑스 삼국은 청국에 대한 침략에 간섭하여 일본이 랴오동 반도에 대한 침략을 포기하게 만들었다.

      • 시진핑 시기 중국의 "新국제질서" 구축시도에 관한 연구 : "신형대국관계" 제기의 배경과 전망을 중심으로

        이돈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8831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fine foreign policies of great powers in the modern international society, suggesting and actively pursuing their own goals and policies in advance are limited phenomena perceived as their attributes regarding foreign policies. Both U.S., the superpower and China which has revived possess resources and competence enough to reality their world views and strategies, and the Korean peninsula is affected by changed in two powerful countries' foreign policies and interests. Strategies toward U.S. and China are, therefore, very important for Korea which needs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neighboring great powers in promoting peace, stability and common development of the Korean peninsula. Hence, an analysis on an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S. and China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prerequisite requirement for examining China, based on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fluctu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 issue, 'what an implication does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has for Korea?' emerging from China's revival. Of course, China's own speciality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puts a limit on deriving a valid theory from an analysis on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It has been, however, more necessary to make an analysis of how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is developed and whether Chine continuously argues for it or promotes a new policy toward U.S., given the importance of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n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searcher, therefore, attempts to simultaneously examine both offensive and cooperative aspects of Xi's foreign policies based on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dual terms, the particularity and the generality of them. In addition, Korea bound by effects of two great powers' foreign policies and interests is also considered. Hence, this study would entirely investigate huge potential and a threat of China and consider what an implication a change in Chinese foreign policies based on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has for the Korean peninsula. China has achieved highly developed economy, since it launched the reformation and open policy in 1978 and the second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with its GDP of about 11394.7 billion dollars in 2015. With its rising international status, Chinese foreign policies have been also changed based on core agendas such as Taoguangyanghui(Hide Your Strength and Bide Your Time), The Rise of Great Nations, Peaceful Development, Great Power Relationship and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In particular, China which has designed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suitable for changed international situation, its status and role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Xi administration intends to perform a role matching with its status as G2 together with U.S.. The idea of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s mentioned above would act as an important variable setting the future relationship between U.S. and China, and the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ay influence East Asia in whole and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Korea which has made much effort to keep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current Chinese leaders offered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a new relationship between two great powers, U.S and China)' based on the common security for building more equal relationship with U.S., in order to overcome U.S.'s network to encircle China. This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absolute security which is likely to lead to conflicts and confrontation based on a zero-sum game should not be pursued and the cooper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U.S and China would be sufficiently feasible, if U.S acknowledges the revival and power of China. There is, however, a definite difference between viewpoints regarding this, of two great powers. Above all, U.S posits that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rgued by China cannot be recognized, as it is doubtful whether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means a secrete debate about Asian or other issues between U.S and China. Neighboring nations including Japan as well as Korea and Vietnam seem to be somewhat nervous about the Chinese argument for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since Asian countries are reminiscent of Japan in 1930s. At that time, Japan often announced that Monroe Doctrine should be applied to Asia. In other words, Japan argued that it would serve as an Asian spokesman, so other countries such as U.S and so on must not intervene in Asian affairs. This was interpreted as the message that all Western great powers including U.S should recognize Japanese overwhelming superiority in Asia. As argued by professor Walter Russell Mead(2014) in Bard College, U.S and Asian neighboring countries suppose that there are similar factors between the Chines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nd the Japanese militarists' argument in 1930s. U.S. has expressed negative opinions about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suggested by China and two countries have conflicting interests with the status and role of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Specifically, U.S has asked China to take the 'responsibility of a big power' suitable for two countries(G2), while China has stressed a dream of Asian-Pacific Dream based on the rise of China, so confrontational atmosphere between U.S and China has been formed. The Chines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may result in very serious controversy, if it is suggested with an intention that is the same as that of Japanese militarists. Korea also cannot accept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if it is similar with 'Monro Doctrine in Asia' argued by Japan in 1930s. In June, 2013, Xi had a summit meeting between U.S and China at Rancho Mirage, Sunnylands, after visiting Mexico, Trinidad And Tobago and Costa Rica. Although it was the first summit meeting between them, held in the land of U.S. after the inauguration of Xi, the level of protocol was lowered in the form of visit on his way home, implying the great power's idea that he would just display minimal courtesy, as president Obama asked for meeting. At the summit meeting, Xi proposed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based on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The proposal was not different from the notification that U.S as one of main countries(G2) should respect China, since China became No.2 in terms of GDP in the world, suggesting that U.S should recognize Chinese hegemony in Northeast Asia, even if not in the international stage. U.S rejected the Chinese demand, arguing that 'it is too outdated concept'. Rather, it strongly pushed 'Pivot to Asia (shift of the central diplomatic axis to Asia)'. In October, 2015, the offensive attitude Xi showed in the state visit to U.S two years ago could not be found. Although U.S stated that sanctions for Chinese cyber hacking were prepared, China strived to consistently show a friendly attitude. Chinese will to reach a consensus by setting aside sensitive issues and extending economic cooperation and mutual investment between them. On Xi's way to U.S. about 100 great men in the economic circle, including CEO Ma Yun, were unprecedently mobilized to promote cooperative climate. As Chinese national power has increased, Chinese diplomatic lines have been gradually fluctuated and U.S's containment is also strengthened. The core thought of Deng Xiaoping's diplomatic line, 'Taoguangyanghui(Hide Your Strength and Bide Your Time)‘ has been changed into Yusojakwi(work of necessity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era of Jiang Zemin; Hwapyeonggulgi(stand up peacefully) in the era of Hu Jintao; and 'Chinese Dream' in the era of Xi who asserts the great revival of Chinese people. This means that China openly reveals its ambition to compete with U.S, the only hegemony under the international society. Such Chinese offensive movement, however, provoked U.S.'s containment. The Obama administration elucidated the 'Pivot to Asia' strategy and announced that it would contain China by using the trigonal alliance of Korea, U.S. and Japan. In this situation, wider collisions between U.S and China, including the trading conflict have occurred, as the era of president Trump who argues for 'America First' began. In 2017, the new type of new power relations has been less frequently mentioned,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which includes the Chinese intention to ask U.S. to recognize that China becomes a big power, a rival for it as G2 may be an 'empty' claim, if the Trump administration does not accept it. Chinese internal problems are also accumulated. In particular, there is imbalance between fast economic growth and suppressed freedom of citizens.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n and how the demand for democracy, which was frustrated in the 1989 Tiananmen massacre, would be erupted again. The extension of inequality may also trigger a backlash among people. The quality of life between cities and farm villages is seriously polarized and urban residential instability is also increased due to the surge of real estate market prices. As shown in the long-term pro-democracy movement against China in Hongkong, 'Ilgukyangje(One Country, Two Systems)' is fundamentally challenged, which has been maintained by China for about 20 years, after the return of Hongkong, 1997. Xi is seriously checked, different from his idea of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It is therefore supposed that he may has a secret plan for realizing his idea based on 'the new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 kind of camouflaged strategy, by somewhat changing the course. The current Chinese leaders determin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mote diplomatic policies suitable for China's new status and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given that its economic growth and effect on the international society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19th CCP National Congress Report held in October, 2017, 'Socialism Specific to China for New Era' was formulated as the plan for Xi's Chinese foreign strategy. As such, China implies the promotion of a new foreign policy, by exhibiting its strategic ideas and strong will for realizing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socialism and emerging as a regional great power. This is the declaration of 'the new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Consequently, the slogan, 'From a Poorest Agricultural Country in the World to Global Main Two Countries(G2)' has properly expressed the most dramatic change in the Chinese history over 70 years, after Mao Zedong declare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October, 01, 1949. The Chinese changes over 70 years can be coined as 'the rise of China'. China which began with the motto, 'socialist China' after winning the civil war against the National Party, which had continued about 30 years underwent reformation and opening in the late 70s and now emerges as the sole country which can threaten the power of U.S. What will happen next? The future course is not supposed to be even, as expected by China.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such as the full-scale trading war against U.S, the extrem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intense object to the undemocratic state-controlled society may disturb Chinese leap. China aims to, however, realize 'Chinese Dream' signifying the great revival of Chinese people based on the economic growth it has already achieved. It primarily plans to achieve ’Xiaokang Shehui Society' in which all of people enjoy convenient and affluent life better than that of middle class in 2021, the centenary year of Chinese Community Party formation, establish the ground for the socialist modernization by 2035 and become a great power with modernized socialism by 2049, the centenary year of the founding of China. It is an ambitious plan to become the sole great power in the world or at least have the national power equal to that of U.S. by surpassing the latter's economic power in the mid-21th century, It puts an emphasis on 'Great Revival' of Xi who advocates 'Chinese Dream'. The state councilor in charge of foreign affairs and the Chinese foreign minister Wang Yi remarked 'China would play a leading role in reorganizing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interview with People's Daily, a Chinese Community Party's journal. He showed the Chinese ambition to change the current U.S-led international order and thereby create the global order dominated by China. Xi remarks that leaders with obvious vision and strong leadership are required to successfully finish the military reform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end of 2015, pointing out complicated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faced by China. Likewise, they should be prepared to successfully achieve 'Chinese Dream' in 2049. In particular, he would emphasize the postponement of power transfer, based the logic that he is the only alternative for China to stand as a superpower by overcoming U.S.'s economic pressur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at has been more fiercely competitive. An analysis on such a tendency shows that China does not completely abandon 'power of G2',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which is temporally implicit, but would again began the contention for hegemony with U.S, based on the ambition of 'Chinese Dream', after developing its strength. In order to predict changes in Chinese foreign polic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background from which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has evolved into 'the new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China plans to use the new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s a temporary measure designed to extend Chinese effects on Free Trade Agreement,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and foreign aids of President Trump who advocates 'America First'. The Chines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does not expected to be defensive but offensive, given that Chinese internal demands for 'spreading out economy, diploma and military sectors, rather than shrinking them' shower like hail. This study aimed to help Korea prepare policies for effectively coping with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it. It is, however, difficult to predict outcomes of the Chines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s it is a currently progressive policy. The dispute between U.S. and China just begins. Deeper considerations and more times will be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and analyze the future direction and outcomes of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essence of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rgued by China seems to change the current U.S.-led East Asian order. This implies that the existing order in the Korean peninsula cannot be maintained. It is, however, impossible to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various circles to continue researches and follow-u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U.S. and foreign policies, for enhancing Korean core interests and establishing its peace regime. Finally, the researcher expects follow-ups to focus on where Korea exists in a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China and U.S and how to cope with challenges to Korea. Now, the new international order,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Xi administration seems to temporarily be settled down due to changes in Chinese foreign policies, but it is expected to be revived again someday, so more elaborate and deeper studies should be continued. 현대 국제사회에 있어 강대국의 대외정책을 명확히 정의 내리기는 쉽지 않으나 자국의 목표와 정책을 사전에 제시하고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강대국이 가지는 대외정책의 속성으로 파악되는 한정된 현상이다. 초강대국인 미국과 재부상중인 중국은 자신들의 세계관과 전략을 실현할 수 있는 자원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반도는 두 강대국의 대외정책 및 이해관계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다. 북핵 문제의 해결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및 공동발전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주변 강대국들의 지지와 협력이 필요한 한국의 입장에서 대미·대중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미·중 관계 변화의 추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미·중 관계가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대중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선행요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부상을 통해 등장한 「신형대국관계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그리고 한반도에는 어떠한 함의를 지니는가?」는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물론 국제관계에 있어 중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수성은 ‘신형대국관계’를 분석함에 있어 타당한 이론을 찾는 것에 한계성을 지니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반도에 미치는 중·미 관계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향후 신형대국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그리고 앞으로 중국이 신형대국관계를 계속 주장할 것인가, 아니면 미국에 대한 새로운 정책을 추진할 것인가에 대한 국제관계학적 분석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신형대국관계’를 중심으로 한 시진핑 시기의 중국 대외정책이 가지는 특수성과 보편성이라는 이중적 측면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공세적인 측면과 협력적 측면을 동시에 검증해보고자 한다. 또한 두 강대국의 대외정책과 이해관계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한국이 처해진 상황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이 가진 거대한 잠재력과 위협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신형대국관계’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대외정책의 변화가 가진 한반도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한 이래, 고도의 경제발전을 이루었고 2015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약 11조 3,847억 달러로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변화된 국제적 위상에 따라 중국의 대외정책 역시 도광양회, 대국굴기, 평화발전, 대국관계, 신형대국관계 등을 핵심내용으로 하면서 변화되어 왔다. 특히, 시진핑 정부의 출범 이후 변화된 국제정세와 자국의 위상 및 역할에 맞는 신형대국관계 구상을 내세우고 있는 중국은 향후 미국과 더불어 G2로서의 위상에 어울리는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중국의 중·미 신형 대국관계 구상은 미래 중·미 관계를 설정하는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며, 동시에 중·미 관계의 향방이 동아시아 전반과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려는 한국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현 중국 지도부는 미국의 대중 포위망에 맞서기 위해 미국과 보다 더 대등한 양국 관계 설정을 위해 공동안보에 기초한 ‘신형대국관계(新型大國關係: 새로운 미·중 강대국 관계)’ 구축을 제시했다. 이는 제로-섬(zero-sum)사고로 충돌과 대결로 치달을 수 있는 절대 안보를 추구하지 않으며, 중국의 부상과 영향력을 미국이 인정해주면 미·중간 협력과 공조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입장은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도 미국은 중국이 제안한 신형대국관계론이 아시아 문제나 다른 문제를 밀실에서 중·미 간에 논의 하자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요구하는 신형 대국 관계론을 인정해 줄 수가 없는 입장이다. 신형대국관계에 대한 중국측의 주장에 대해서 주변국인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 베트남 등도 중국이 미국에 신형대국관계를 제안한 것에 대해 다소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배경에는 1930년대 일본에 대한 기억(reminiscent)이 있기 때문이다. 당시 일본은 아시아에서의 「먼로 독트린」을 원한다는 말을 하곤 했다. 즉, 일본이 전세계에 아시아 대변인과 같은 역할을 하겠으니 미국 등 다른 나라들은 관여하지 말라는 이야기였다. 이는 미국 등 서방의 모든 강대국은 아시아에서 일본의 압도적 우위를 인정하고 아시아 문제에 개입하지 말라는 메시지로 해석되었다. 미국 바드대학교의 워터러쎌 교수(2014)의 주장처럼 미국이나 주변국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중국의 신형대국관계는 1930년대 일본 군국주의자들의 주장과 유사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미국은 중국이 주장하는 신형대국관계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으며, 양국은 신형대국관계의 위상과 역할을 놓고 물밑 갈등을 빚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주요 2개국(G2)에 걸맞은 “대국의 책임”을 중국측에 요구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대국 굴기에 기초한 “아태의 꿈(亞太夢想)”을 역설하고 있어, 미·중 관계의 대립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만약 중국의 신형대국관계 제안이 과거 일본의 군국주의자들과 같은 입장에서 제기된 것이라면 매우 심각하다. 중국의 신형대국관계가 일본이 1930년대 주장하던 ‘아시아에서의 먼로독트린’과 유사한 것이라면 한국도 이를 수용하기가 어렵다. 지난 2013년 6월 시진핑 주석은 멕시코와 트리니다드토바고, 코스타리카 방문 후 마지막으로 서니랜즈 랜초미라지에 들러 미·중 정상회담을 가졌다. 시진핑 주석 취임 후 미국 땅에서 갖는 첫 미·중 정상회담임에도 불구하고 의전의 격을 귀국길에 들르는 형식으로 낮춘 것인데, 그 기저에는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만나 달라고 하니 귀국길에 잠시 인사나 하겠다는 식의 대국주의적 발상이 드러난다. 이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은 상호존중과 상생협력의 ‘신형대국관계론’을 제안했다. 말이 제안이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세계 2위가 된 만큼 미국은 주요 2개국(G2)으로서 중국을 대접하라는 통보나 다름없었다. 국제무대에서 까지는 아니더라도 동북아에서만큼은 미국이 중국의 주도권을 인정해줘야 한다는 요구인 것이다. 이에 대해 미국 측은 “웬 구시대적 발상이냐”며 일축했다. 오히려 ‘Pivot to Asia(아시아로의 외교중심축 이동)’ 정책을 더 강하게 밀어붙였다. 이후 2015년 10월 시진핑 주석의 미국 국빈방문에서는 2년 전에 보였던 공세적 태도를 찾아보기 힘들다. 미국 측이 중국의 사이버해킹 행위에 대한 제재조치를 준비 중이라고 밝혀도 중국 측은 애써 우호적 태도로 일관했다. 외교안보 민감 사안은 뒤로하고 양국 간 경협과 상호투자를 확대해 공감대를 확대하겠다는 중국의 의지가 곳곳에서 드러났다. 당시 시진핑 주석의 미국 방문길에는 이례적으로 마윈(馬雲) 알리바바 회장 등 경제계 거물 100여 명이 총출동해 협력 분위기를 돋우었다. 중국의 국력이 커지면서 중국 외교 노선은 점점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고, 미국의 견제는 강화되고 있다. 덩샤오핑 외교 노선의 핵심인 ‘도광양회(韜光養晦·빛을 감추고 어둠 속에서 힘을 기름)’는 장쩌민 주석 시기에는 ‘해야 할 일은 적극적으로 나서서 이뤄낸다’는 유소작위(有所作爲)로, 후진타오 집권기에는 ‘평화롭게 우뚝 선다’는 화평굴기를 거쳐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외치는 시진핑의 ‘중국몽’에 이르렀다. 현 국제사회의 유일한 패권국인 미국과 겨루겠다는 야심을 공공연히 드러낸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공세적인 움직임은 미국의 견제를 불렀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Pivot to Asia’ 전략을 천명하고, 한·미·일 3각 동맹을 앞세워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여기에 ‘America First’를 주창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기가 겹치면서 미·중은 무역갈등을 비롯해 전방위적으로 부딪치고 있다. 2017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등장한 이후 신형대국관계에 대한 언급이 사라지고 있다. 중국의 입장에 있어 중국이 과거와는 달리 세계주요 2개국(G2)로서 미국에 필적하는 대국이 되었으니 그것을 인정해 달라는 요구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는 신형대국관계에 대한 요구를 트럼프 행정부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공허한” 요구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국 내부의 과제도 산적해있다. 특히 비약적인 경제성장과 억압받는 시민의 자유가 불균형을 빚는 상황이다. 1989년 톈안먼 사태 때 좌절된 민주화 요구가 언제, 어떻게 또다시 터져 나올지 예단하기 어렵다. 불평등 확대 문제도 화약고다. 도시와 농촌의 생활 격차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도시에서도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주거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있다. 홍콩의 반중 민주화 시위 장기화에서 보듯,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20여년 유지해온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도 근본적인 도전을 받고 있다. 최근 시진핑은 초기 신형대국관계의 구상과는 다르게 심한 견제를 받고 있다. 이에 약간의 궤도수정을 통해 “신형국제관계”라는 위장된 전략을 통해서 자신의 구상을 실현하고자 숨은 계략을 갖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현 지도부는 자국의 경제 발전과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는 판단 하에 새로운 위상에 맞는 외교정책과 국제질서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2017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9차 당대회 업무보고를 통해 소위 ‘중국식 대국외교’를 시진핑 주석의 ‘시진핑 신시대 중국특색사회주의 사상’으로 중국의 대외전략 구상을 공식화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식 사회주의 현대화 강대국을 실현하며 역내 강대국으로 부상하겠다는 전략적 구상과 강한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대외정책 추진을 시사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신형국제관계’ 선언이다. 결론적으로 ‘전 세계 최빈 농민 국가에서 글로벌 주요 2개국(G2)으로’라는 슬로건은 지난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毛澤東) 주석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한 뒤 지난 70년간 중국의 가장 극적인 변화를 잘 드러내는 표현이다. 지난 70년간 중국의 변화를 한 단어로 축약하면 ‘중국의 부상’이다. 30년 가까이 이어진 국민당과의 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이 ‘사회주의 중국’을 내걸며 시작된 중국의 역사가 1970년대 후반 개혁·개방을 거치면서 이제는 미국의 국력에 위협을 가하는 유일한 국가로 떠올랐다.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남은 길이 중국의 기대대로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미국과의 전면적인 무역전쟁, 심각한 빈부격차, 반민주적 통제사회에 대한 극렬한 반대 등 안팎의 상황이 중국 도약의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이미 이룩해 놓은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뜻하는 ‘중국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차적으로는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2021년 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중류 이상의 생활을 하는 ‘샤오캉(小康)사회’ 달성과 2035년까지 사회주의 현대화 기초 확립, 중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49년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을 꿈꾸고 있다. 21세기 중반에는 미국의 경제력을 뛰어넘어 세계 유일 강국, 적어도 미국과 동등 수준의 국력을 갖겠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중국몽을 주창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위대부흥’에 가장 방점이 찍혀 있다. 왕이(王毅)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중국 공산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에 “중국은 국제질서를 재구성하는 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발휘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를 중국이 앞장서 바꿔나갈 것이고, 이를 통해 중국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를 만들겠다는 야심을 드러낸 것이다. 시진핑 주석은 향후 “중국이 처한 복잡한 국내·외 상황을 제기하면서 2015년 말 시작된 군사개혁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뚜렷한 비전과 강력한 지도력을 갖춘 지도자가 필요하다. 2049년에 ‘중국의 꿈(中國夢)’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특히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경제를 뚫고 중국이 초대강국으로 우뚝서기 위해서는 내가 유일한 대안이다.”라는 논리로 권력이양 연기를 역설할 것이다. 따라서 이 같은 흐름을 분석하여 보았을 때 중국은 현재 물밑으로 잠시 잠겨져 있는 ‘G2의 힘’ 즉 ‘신형대국관계’를 완전히 폐기한 것이 아니라, 힘을 기른 뒤 ‘중국몽(中國夢)’ 야심 속에 미국과의 패권다툼을 다시 시작할 것이다. 향후 중국의 대외정책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신형대국관계’가 ‘신형국제관계’로 진화하는 배경과 과정에 대해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 중국은 신형국제관계를 통해 미국 우선주의를 주장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자유무역협정, 기후변화 협약, 대외 원조 분야에서 중국이 영향력 확대를 꾀하는 일시적인 대응책으로 삼고자 한다. 중국 내부에서도 과거와 다르게 “이제 중국은 더 움츠리지 않고 경제, 외교, 군사 분야에서 외부로 뻗어나가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중국의 신형국제관계는 수세적이 아닌 공세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신형대국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서 한국이 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했다. 그러나 중국의 신형대국관계는 현 중국 지도부의 현재진행형인 정책으로 향후 결과예측에 한계성을 내재하고 있다. 중국과 미국의 분쟁은 이제 시작되었을 뿐이다. 본 연구의 주제인 신형대국관계에 대한 향후 방향성 및 결과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와 분석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더욱 깊은 고찰과 시간을 필요로 할 것이다. 중국이 주장하는 ‘신형대국관계’의 본질은 현행 미국 주도의 동아시아 질서를 바꾸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것은 바로 한반도의 기존질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한국의 핵심이익과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중·미 관계 및 대외정책에 대한 각계의 지속적인 연구와 추적조사가 계속되어야만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자는 후속연구를 통해 우리는 중·미 간 이해충돌에 있어서 어떤 위치에 있어야 하며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 것인가에 관심을 집중하여야 할 것을 주문한다. 현재는 중국의 대외정책변화에 따른 시진핑 주석의 집권 이후의 새로운 국제질서 즉, 신형대국관계가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든 것처럼 보이나 언젠가는 다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에 대한 연구를 보다 세심하고 심층적으로 지속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피력하고자 한다.

      • 해외파병활동과 한·미 관계

        오병석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한․미 동맹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한․미의 협력체제하의 동맹관계에서 한국의 역할과 이와 관련된 부수적인 주요 현안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이 얻을수 있는 국익을 연구하는 것이다. 특히 PKO 및 이라크 파병활동을 통한 한․미동맹 관계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하여 한국이 얻을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동맹은 국가의 생존이나 국익의 보호와 같은 국가 목표를 자국의 힘으로만 달성할 수 있는 국가는 거의 없다고 하여 국가의 생존과 국익 보호를 위해 강대국들과 동맹관계를 수립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되었다. 하지만 동맹은 어떠한 조건과 배경, 그리고 관련 국가들의 의도에 따라 동맹이 형성되든, 한 국가는 동맹에 참여함으로써 바라던 이익을 취함과 아울러 그에 대한 대가로서 비용도 치루게 된다. 모든 국가들은 이러한 비용을 사전에 충분히 평가하여 동맹 참여의 득(得)과 실(失)을 따져보고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미국은 한국을 6․25전쟁이후 적극적으로 미국 봉쇄정책의 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하지는 않았지만, 범세계적 냉전전략의 틀 속에서 자신의 세계전략 또는 대 아시아 전략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한국과의 동맹을 체결하게 되었고, 한국은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는 북한의 군사적 재도발을 억제하고 국제사회로부터 외교적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미국과의 동맹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러한 동맹관계가 한국의 경제발전과 국제관계의 영향력 증가로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주한미군의 관계변천을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 주한미군의 철수와 감축은 주로 미국의 국내상황과 세계전략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과거에는 미국의 일방적인 통보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2000년 이후 초강대국의 위상이 9․11 테러와 아프카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치루면서 미국도 동맹국의 지원을 적실히 실감하며 일방적인 통보가 아닌 세계질서와 안보환경을 고려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한․미 양국간의 안보 전략적 인식과 판단에 차이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미국의 대외정책은 힘에 기초한 평화구축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공세적 현실주의에 기초한 힘을 통한 평화 전략’이라는 새로운 안보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테러와의 전쟁을 선언으로 테러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대량살상무기의 확산을 억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미국은 최근의 전쟁에서 동맹관계의 변화를 중시하여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이는 아프카니스탄 전과 이라크 전을 통하여 ‘군사적 승리보다 평화의 회복이 더 멀고 험난하다’는 교훈을 얻었으며, 이에 따라 동맹 및 우방국의 책임 분담은 물론 국제적 다자주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가장 잘 반영한 것이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정책변화를 보여주는 『4년 주기 국방태세점검』(QDR: Quadrennial Defense Review)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9․11테러이후 2001년 발표된 QDR이 미국의 힘에 의한 평화전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지만 이제는 국제환경을 고려하여 2006년 QDR을 발표하였다 2006년 QDR의 특징과 주요 내용을 알아보면 이번 QDR은 지난 4년간의 반테러전 경험과 교훈이 반영되고, 향후 미군의 전반적 군사태세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2006 QDR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현재 미국이 처한 상황인식과 목표에서 잘 드러난다. QDR은 향후 미국의 국익에 대한 주된 위협이 과거와 같은 국가가 아니라 극단적 테러 네트워크라고 정의하고 테러와의 전쟁을 ‘장기전(long war)’으로 규정하였다. 이 위협의 본질은 단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것이라서 국방부와 타 정부 부처와의 협력은 물론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안보환경의 불확실성과 불가 예측성이 QDR 상황인식의 근간이 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 외교정책의 변화가 의미하는 바는 한미동맹이 과거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고, 현재 진행 중인 동맹 재조정이 더욱 추진력을 얻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전략적 유연성은 동맹의 성격이 변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미국의 동북아 정책도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북한 핵 문제에 대한 강력한 제재 조치나 다자회담을 통한 핵문제 포기활동, 또한 주한미군의 재배치 등은 한․미 동맹관계의 재편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해외파병은 과거에도 주변국의 요청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는 우리민족의 적극적 의지라기보다는 주변국과의 관계를 고려한 어쩔수 없은 선택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집권층은 대외명분과 국익을 전제로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국가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현대에 와서 베트남의 파병은 우리의 국익을 위해 집권층의 노력이 있었다. 한․미 동맹관계의 발전을 추구하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최대한의 성과를 요구하였다. 하지만 60년대 한․미 관계는 제한된 모습으로 발전되었다. 이후 걸프전, 동티모르 등의 파병은 우리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고양시켰고, 일방적인 한․미 관계를 동반자적인 협력관계로 발전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1993년부터 시작된 다양한 PKO 활동은 한반도의 안보문제와 한․미 관계, 한국의 국제사회 인식 등이 변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PKO 역사를 통해서 PKO가 변화해 온 추세는 크게 6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PKO의 양적 증가이며, 둘째, PKO 임무의 질적 변화이다. 셋째, PKO 재정지출의 폭발적 증가, 넷째, UN의 기능 강화 추세이다. 다섯째, 강제집행 조치의 허용확대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PKO 상시준비체제(PKO stand- by arrangements) 구축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국제사회의 평화유지활동도 유엔을 통한 국제사회의 입김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PKO 활동은 15여년 지난 지금 11개 지역 13개국 3,500여명이 활동중이다. 1996년 9월에는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되는 등 국제사회에서의 한국의 지위나 국가이미지가 발전되고 있으며,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증가되고 있다는 결과이다. 한․미 관계의 발전도 이러한 이익과 득실속에서 발전되었고, 우리는 물리적인 군사력의 지원인 해외파병활동이라는 다양한 형태의 제공으로 동맹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는 우리의 국가이익과 안보현실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의 다양한 PKO 활동과 특히,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이라크 파병은 우리의 국익과 한․미 동맹관계 발전에 크게 기여한 부분이다. 우리의 이라크 파병은 크게 4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첫째, 한 ․ 미 동맹 공고화를 통한 한반도 안보를 제고한다. 둘째, 중동지역 경제 진출 보장을 통하여 중 ․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셋째, 이라크 평화 정착 및 재건지원을 통한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여 향후 국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넷째, 중동지역 정세 안정으로 석유자원의 원활한 공급을 보장받아 에너지 수급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목적 아래 파병시 다양한 활동으로 ‘아르빌의 천사’라는 별명을 부여받았고, 다양한 지원활동 및 민사작전은 동맹군의 모델이 되었고, 이라크 북부지역의 현지 지방정부는 파병연장 동의안 제출시 한국정부에 적극적인 파병연장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또한, 정부에서는 향후 국가 기업의 진출을 통하여 제 2의 중동붐을 고려하여 이라크 파병 범정부 파병지원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용하였고, 현지에서 건설교통부, 해외건설협회,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 등은 직접 담당자를 파견하여 민사협조본부(CIMIC)와 함께 재건지원활동을 지원하였다. 국제사회의 해외파병활동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더욱 적극적이고 열성적이다. 일본은 자신들의 ‘PKO 협력법’, ‘테러대책 특조법’ 등 법률을 개정하면서까지 이라크에 자위대를 파병하여 미국과의 관계를 증가시키며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는 자국의 영향력 확대와 이익을 위해서 어떠한 법적 조치도 취할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호주는 미국과의 동맹으로 미국의 2006년 QDR 발표시 미국의 동맹국중 모델이라고까지 하였다. 호주는 최근 소리 없이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으며 중동에서 아시아, 남태평양까지 여러 분쟁 지역에 병력을 파견해 입지를 넓혀 가는 중이다. 풍부한 자원과 넓은 국토에 걸맞은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는 게 목표로 보인다. 이처럼 호주도 자신들의 동맹관계를 효율적으로 활용으로 국제사회에서의 인지도를 증가시키고 국가이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발전된 국가이미지, 국제위상은 다양한 PKO 활동과 해외 파병을 통하여 극대화 시켜야 하며, 종국에는 북한의 현실적인 위협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한․미 관계도 협력적 동반자로 역할이 전환되는 것이다.

      • 國際關係理論과 東北亞 多者主義

        최정혁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815

        신현실주의, 신자유제도주의적인 일관적인 논조를 통해서는 동북아에서의 다자적 협력체를 이끌어내는 것이 매우 제한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인 모태가 되는 주장들이 불비함에도 2003년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마리로 다자적 해결을 모색하려는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국제관계 이론의 시각으로 본다면 이러한 시도들은 매우 비관적으로 볼 수밖에 없다. 이는 유럽의 CSCE의 성공과 ARF의 미진한 성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나타났다. 실제로 한반도에서 서로 다른 진영간 다자적 안보협의체의 첫 번째 시도였던 4자회담이 불발로 끝나자 동북아 다자주의에 대한 미래는 매우 불투명한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David Kang과 Henry Nau의 주장처럼,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제도주의, 그리고 구성주의와 같은 대표적인 국제관계 이론들의 절충을 통해서 오히려 다자간 협력의 가능성을 높게 타진할 수 있었다. David Kang은 동아시아의 역사적인 배경과 신현실주의, 제도주의적인 접근을 접목하면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구조가 "계급적 구조(hierarchic structure)"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중국 중심의 오래된 중화 문화권의 성립은 수 백년 간 진행되어 왔던 조공 제도, 근세의 정치적 혼란과 외세의 침입이라는 공통적인 문화적 이해를 통해 중국을 중심으로 한 다자적 협의체의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적극적 개입을 통해 중국의 영향력을 봉쇄하려는 것은 오히려 이 지역의 불안정 요인만 증가시켜 분쟁으로 치달을 수 있는 위험 부담을 안고 있다는 논지를 통해 미국의 점진적인 철수를 주장하였다. Henry Nau는 세력분배와 무력사용에 있어서 지배권력 통제력의 유무에 따라 국제관계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의 주장을 바탕으로 동북아는 매우 "제국적 구조(imperial structure)"라고 주장하였다. 즉 중심국과 주변국의 관계에 있어서 중심국의 군사력이 다른 주변국들 보다 월등히 앞선 반면 정치적으로 주변국들과 대립하게 되는 구조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에서 협력은 중심국이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추진하느냐에 따라 다자적, 또는 양자적 관계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에서의 중심국인 미국은 이러한 구조적인 성격을 극복하기 위해 양자적인 협력관계를 확대해 나감으로써 복잡하게 얽힌 쌍무관계를 통한 다자적 협력을 이끌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두 주장을 기존의 4자회담과 6자회담에 적용하면, 각 국가들은 서로 다른 이해관계로 인해 자신들의 국익을 염두에 둔 상대적 이익에 치중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현실주의적인 접근방법을 가지고 다자적 협의체에 참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4자회담에서의 한반도 영구 평화 정착 및 6자회담에서의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공통된 의제를 가지고 접근할 때는 다자적인 틀을 유지한 상태에서 동북아 안보 상황의 안정이라는 절대적 이익의 실현을 위해 각국은 협력할 것이라는 가정이다. David Kang의 주장대로 중국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계급적 구조를 적용하면 동북아는 모든 국가가 중국의 중심적 역할을 인정하여 안보적으로 안정된 분위기에서 미국의 충실한 세력균형자 역할을 통해 역내 협력은 용이하다고 한다. Henry Nau는 동북아의 제국적 특성과 미국의 주도적인 위치를 인정하여 다자적인 협력은 중심국인 미국의 의지에 달려있다고 한다. 미국이 다자주의를 원하는 만큼 북핵문제 해결은 다자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라는 것이 압도적이다. 이는 미국이 2003년 현재 당면한 아프간 및 이라크 전역으로 인해 또 다른 지역에서의 긴장 상황을 혼자의 힘으로 감당할 수 없는 입장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결론적으로 북핵문제 해결에서의 다자주의가 전면에 나선 까닭은 역내 중심국인 미국의 의지 및 주변 강대국들의 한반도 안정이라는 절대적 이익 및 상대적 이익들의 혼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이러한 틀을 유지한 체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인 협상 당사자들인 미국과 북한간의 불가침 협정을 6자회담 참여국들이 설득 및 보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투명한 핵 폐기 절차와 이에 상응하는 내용의 대북 지원 사업의 추진 제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논지의 핵심이다. 즉 지역 내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간 신자유제도주의적인 틀을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 각국의 신현실주의적인 성향을 견지한 상태에서, 구성주의적인 상호간 교류를 통해 일정 수준의 제도 및 규범, 그리고 상호주관적인 정체성을 형성하여 지역 내 사안들을 해결하자는 절충적인 방법을 모색하자는 것이다, Previous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such as Neorealism and Neoinstitutionalism have asserted constantly that multilater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can be achieved in a very limited fashion. However, the current security situat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regarding to the North Korean nuclear stand-off, is leading the region into a multilateral framework to resolve the existing threat, whether the constituents like it or not. Based on a single perspective of the aforementioned theories, expectations for success ends up in a pessimistic mentality.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former research conducted, covering down the extensive comparison between the European style of multilateral security organizations such as the CSCE, and the Asian efforts of establishing the ASEAN Regional Forum. The successful accomp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European model and the embryonic and still nascent form of the Asian model leave people no chance but to anticipate the possibility of success in the current multilateral talks to end up in a frustrating and disappointing way. The depressing results of the 4 party talks, which concerned installing perpetual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one very good reason to lead people think on this line. However, eclectic approaches towards these matters, combining theories scrutinizing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marginal limits of independent theories and supplementing each other has become a very useful dialect to interpret and practice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n a more practical and constructive manner. David Kang and Henry Nau advocates this framework of combining and supplementing these theories and later extracting the method how to induce multilateralism and cooperative security in East Asia. Kang assert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ast Asia, in a certain retrospect of collectively recognizing China as the central state and maintaining this relationship through institutionalized tributary exchanges, helped East Asia to stay in a stable condition with its security. This understanding also bounds culturally in the modern era when almost every country in the region experienced external imperial invasion and the deprivation of state sovereignty by these nations. This formed a common ground and a certain identity shared between the East Asian states that generates the anxiety of mutual cooperation in a slightly different way compared to the European model of collective security. The US intervention into the Asian region is therefore demanding a gradual disengagement and the US playing the role of balancing power between emerging regional powers is the key to this issue. Henry Nau has advocated the inter-state structure in East Asia has a "imperial" nature where the central state far exceeds the peripheral states in its military capability. However, due to the relatively stronger status of the opposing states, such as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also with the lack of an institutionalized system that can control military actions, the peripheral states are most likely to challenge the central power politically. In this case, multilateral cooperation depends on the intention of the central state, whether it will pursue a collective resolution or coercive action. Therefore the central power, in this case the US, will continuously expand its bilater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in the region, which will later form a complex network of mutual cooperation with other states. This will perhaps lead into multilateral cooperation in the long run. As we apply these two assertions to the 4 party and 6 party talks, each state will focus on their relative gains based on their different interests. A multilateral approach is a Neo-liberal attempt, while each country's intentions can be understood through a realist thinking. However, detailed practices can be executed in a constructivist fashion. Neorealism is perhaps the most persuasive approach to explain each country's traits. On the other hand, the common agenda, such as installing permanent peace in the Peninsula during the 4 party talks, and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a peaceful/multilateral framework can be explained as absolute gains in terms of Neoinstitutionalism. Also, each country expanding its bilateral arrangements with one another will form a complex interdependence which will later most likely conceive formal types of norms and identity, based on a Constructivist window. As each state maintains its support of the multilateral framework and achieve their absolute gains, chances for cooperation between each state will be easier.

      • 韓·中 修交以後 中國의 對北韓 外交政策

        황정일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815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불과 보름정도 앞둔 시점인 2000년 5월말 이루어진 김정일 위원장의 전격적인 중국방문은 한·중 수교이후 냉각되었던 중·북한관계의 복원이 시작됨을 알리는 동시에 북한에 대한 중국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새삼 일깨워준 사건이었는 바, 본 연구는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대북한 외교정책의 변화추세와 새로 복원된 중 북한관계의 특징 및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 살펴보려고 하였다. 중국은 1970년대말이후 지난 20여 년간 연평균 9.8%라는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을 뿐만 아니라 2008년 북경올림픽 유치 및 WTO 가입실현 등으로 국제적 위상이 크게 제고되었는 바, 냉전종식후 미국을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하는 다극화된 국제질서 하에서 중국이 유일 초강대국인 미국에 필적하는 잠재적인 경쟁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개혁·개방정책을 통한 현대화 건설을 기본 국가정책 목표로 설정하여 이의 달성에 필요한 평화로운 국제환경 확보를 대외정책의 기조로 변함없이 유지해오고 있으며, 따라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유지를 추구하는 현상유지 정책이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기조가 되어오고 있다. 중국의 세계인식 변화 및 실용주의 노선 채택에 따른 개혁·개방정책으로의 방향 전환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에도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결국 1992년8월24일 역사적인 한·중 수교로 이어졌다. 한·중 수교 이후 중·북한관계의 일시적 냉각, 한·중 관계의 제 분야에서의 괄목할만한 발전 이어서 중·북한 관계의 복원 등으로 이어지는 동안 한국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중국의 남북한에 대한 태도는 미묘한 변화추세를 보여주었다. 한·중 수교이후 중·북한간 대외인식 및 발전전략의 차이가 증대하고 있음에 따라 양국 입장과 이해가 충돌하는 경우도 있으나, 중국을 체제생존의 마지막 안전판으로 여기는 북한의 이해와 북한의 동요를 막고 미국을 견제할 필요성이 있는 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중·북한관계는 과거 혈맹이나 동맹관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략적 협력관계로 전환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중국-북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국내 정치·경제·사회적 요인 및 국제환경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중국은 21세기 중엽까지 사회주의 현대화를 실현한다는 국가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임을 천명하고 있어 향후 상당기간 평화로운 국제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현행 대외정책 기조를 계속 견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북한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유지·발전시켜 나간다는 대북한 정책기조에도 별다른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한반도를 위요한 주요 관련국가간 관계진전 여부 등 국제적 요인과 중국, 북한의 자체변화 여부 등 국내적 요인이 향후 중 북한관계 진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국제적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한·중 관계의 "전면적 협력 동반자관계"로의 급속한 진전은 중·북한관계를 상당한 정도로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둘째, 중국은 현재 미·북한수교를 지지하는 입장이나, 미·북한관계가 중국 측이 용인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설 경우 중국은 이를 견제하려 할 것이다. 셋째, 21세기의 향후 수십 년간 국제질서의 전반적인 흐름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미·중 관계에는 갈등과 협력의 요소가 혼재하고 있는데, 미·중 관계가 개선될 경우에는 미·북한관계에 대한 관용도가 증가할 것이나 미·중 관계가 갈등을 빚을 경우 중국에 대한 북한의 중요성이 증대할 것이다. 한편, 국내적 요인과 관련, 첫째, 중국의 개혁·개방이 진전될수록 중·북한간 정책적·이념적 차이가 확대됨으로써 결속력이 점차 약화될 것이다. 둘째, 북한의 개혁·개방속도 및 정도문제와 관련, 소규모경제, 외국투자유치의 불리한 환경 및 이념적 경직성 등 북한이 처한 여러 제약요인을 감안할 때 체제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이고 신중하게 추진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증대되는 한편 양국간 경제관계의 중요성은 더욱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적으로 향후 중·북한관계는, 단기적으로는 중국의 사회주의이념 및 공산당 일당체제 유지필요성과 시장경제 체제로의 이행에 어느 정도 시일이 소요될 것이기 때문에 동맹적 관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국내·국제환경적 요인과 기존의 새로운 전략적 이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개되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The unexpected visit of late May in 2000 by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which took place just two weeks ahead of the first historic Inter-Korean Summit, once again reminded us of the significant influence China has on North Korea, while signaling recovery of China-North Korean traditional ties temporarily frozen due to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eks to analyze and forecast China'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following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ROK and PRC in 1992. Chin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with annual growth rate of as high as 9.8% in the past two decades, together with it's successful bid for the 2008 Olympic Games and long-cherished accession to WTO, has greatly raised it's international status, thus rising as the most potentially strong competitor for the United States, the sole remaining superpower in multipolar international order in the post-Cold War era. Needless to say, the enhancement of China's international status and prestige will result in strengthening it's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1980's, China has made strenuous efforts to carry out the policy of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 side world to attain the goal of national moderniz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o secure peaceful international environment favorable to economic development has formed the firm basis of China's foreign policy, which is naturally reflected in it s policy to secure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hift in Chinese leader's perception of world affairs and it s subsequent decision to pursue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has brought about drastic changes in it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which finally led to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ties with South Korea in 1992. Since then, China has managed to keep neutral and balanced approach to North and South Korea. However, fast-growing bilateral relations in all field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as led to subtle changes in China's attitude in favor of South Korea. Despite increasing differences in terms of both their perception of world affairs an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basic interests of China and North Korea coincide with each other; China is regarded as the last safety valve for survival of North Korean regime, while North Korea's stability is considered essential to China in order to avoid its border unrest and check the spread of the US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regard, China-North Korea relationship has gradually been transformed from that of blood-tied alliance to that of strategic cooperation since 1992. There are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futur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s China has repeatedly proclaimed it s firm resolve to continue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aimed at fulfilling national modernization by the mid-21st century, it's basic foreign policy to secure peaceful international environment will remain unchanged for a considerably long period of time. In the short term, no fundamental changes in Chinese leader's perception of world affairs are expected to occur since they are firmly determined to stick to and carry out their current socialist market economy. Accordingly, China's current policy to pursue the relationship of strateg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will be maint ained too. In the mid and long term, however,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ill be affected by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in both direct and indirect ways; First, in view of the fact that economic factor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bilateral relations, China-North Korea relations will be, to a consider able degree, affected and weakened by the fast-development of China-South Korea relations. Second, China, for the time being, is in favor of normalization of US-North Korea relations. However, it will certainly seek to intervene and check them in case that the degree and scope of development of their ties exceeds the limits where it can tolerate. Third, there exist mixed factor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in the US-China relations dominating the formation of new international order in the first decades of the 21st century. China's tolerance of better US-North Korea relations will be increased if US-China relations is improved, while North Korea will stratigically be more important to China in case that the US and China is in conflict. Fourth, further intensifying of reform and open-door policy will certainly bring about enormous changes in China's political and social system, which will result in widening differences in both development policy and ideology, and weakening the very basis of China-North Korea relations. Fifth, though there are conflicting views about the pace and degree with which North Korea will pursue it's reform and open-door policy in the future, North Korea is certain to be extremely cautious in carrying out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in the light of several factors such as it's relatively-small-size economy, unfavorable environment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deological rigidity. Therefore, the more dependent North Korea is getting on China's aid, the less import ant China-North Korea economic relations will become. In conclusion, China-North Korea relationship has undergone tremendous changes as a consequence of historic events such as the collapse of socialist camp and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last decade. In this context, their future relations will develop under the combined influence of sever al factors such as change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 an existing inertial force of alignment between them and their own new strategic interests.

      • 克林賴第一任期美國的對華自由主義霸權戰略 : 中美關系不穩定之原因探討

        김형진 北京大學 國際關係學院 2005 해외박사

        RANK : 248815

        클린턴 1기 시기 (특히 클린턴 초기 1-2년간) 중미관계는 왜 그렇게 기복이 심했는가? 본 논문은 미국의 對 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 (및 문제점)과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전략의 관점에서 위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현 패권국 미국과 부상하는 강국 중국간의 “비대칭적 관계”라는 구조적인 시각을 기초로 하여 중미 양국간 전략의 상호작용이라는 각도에서 클린턴 1기 중미관계 불안정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다시 말해, 현 패권국 미국과 신흥대국 중국간의 비대칭적, 즉 주동-수동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 중 주동위치에 있는 미국의 대중 자유주의 패권전략이 여러가지 문제점을 드러내었는데, 언급하였듯이 중미관계 속에서 미국은 주동적, 중국은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위치에 있으므로 미국 대중전략상의 문제점들은 중국의 대미국 전략에 더 큰 영향을 주었고, 중국의 미국에 대한 의혹 및 부정적 대응을 초래하여 결국 이 시기 중미관계의 불안정을 초래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장은 서론인데, 문제제기, 연구현황, 연구방법, 분석틀, 연구의의 그리고 논문구성을 포함하고 있다.제2장은 미국의 자유주의 패권전략과 그 이론기초에 대한 논의이다. 제1절은 미국의 자유주의 패권전략의 정의, 미국 세계전략 상에서의 중요성과 위치에 대해 논하였다. 제2절은 미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의 내용과 발전과정이다. 본 논문은 미국의 자유주의 패권전략의 발전과정을 제1차대전 후, 제2차대전 후, 그리고 냉전종식 후의 3가지 시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3절은 클린턴 제1기시기 미국의 대 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의 이론기초이다. 클린턴 1기 미국의 자유주의 패권전략은 미국의 對중국 “접촉전략”에 잘 반영되어 있고,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 중에서 레짐이론과 초국가주의이론이 이 전략의 이론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을 기초로 하여 클린턴 1기 대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의 이론기초를 고찰하였다.제3장은 클린턴의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이 클린턴 제1기시기 對중국 전략 및 중미관계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났으며, 당시 클린턴 정부는 이를 위해 어떤 정책조처들을 채택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1절부터 제5절까지 각각 클린턴의 對중국 공화자유주의 전략, 상업자유주의 전략, 경제상호의존 자유주의 전략, 제도자유주의 전략, 그리고 사회자유주의 전략을 분석하였다.제4장은 클린턴1기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의 실천이다. 본 논문은 이 시기 클린턴의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의 실천을 두 시기로 나누어서 논하였는데, 제1절은 클린턴 취임 초기의 “압력으로 변화를 추동한다” 전략 위주의 시기로, 여기에는 클린턴의 취임과 그 자유주의적 성향, “확장전략”의 출현, 인권과 민주영역에서의 압력, 그리고 1993년5월 對중국 최혜국대우와 인권을 연계시킨 대통령의 행정명령의 발표를 포함한다. 그러나, 1994년5월 최혜국대우와 인권의 연계 철회를 전환점으로 하여 클린턴정부의 자유주의 패권전략은 좀더 실용적인 방향으로 선회하기 시작하였다. 1995-6년에 이르면 미국 국내에는 중국을 국제사회로 편입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對중국 “전면접촉전략”에 대한 컨센서스가 형성되었고, 미국의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 전략도 이러한 큰 틀 속에서 집행되기에 이른다. 제2절은 바로 클린턴 정부가 최혜국대우와 인권에 대한 연계 철회를 결정한 이후의 실용주의 시기를 논하였다. 여기에는 1994년 5월의 연계철회 결정, 클린턴의 경제우선 정책 및 “중국을 국제사회로 편입"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전면접촉전략”의 형성 등이 주요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제5장은 클린턴 제1기 시기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에 존재하는 문제점 및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전략을 분석하였다. 클린턴의 자유주의 패권전략에 존재하는 문제점 및 모순은 두가지 방면, 즉 전략구상에서의 문제점과 전략집행에서의 문제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외, 5장의 주요내용은 클린턴1기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전략이다. 여기에서는 먼저, 클린턴 초기 압력위주의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 전략이 중국으로 하여금 점차 對미국 “의혹”의식을 형성하도록 하였고, 중국정부는 미국의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에 대해 “ 그 수단은 수용하되, 그 목적은 절대 수용하지 않는다”는 기본입장을 취하였음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미간의 인권 분쟁을 예로 들어 클린턴1기시기 미국의 對중국 인권정책에 대한 중국내의 인식과 대응전략을 다루었다. 제6장은 결론부분으로, 미국의 對중국 자유주의 패권전략과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전략이 중미관계의 안정적 발전에 주는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本論文以美國的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爲切入点, 考察克林頓第一任期中美關係起伏不定的原因. 本論文, 以現有覇權國(美國) 和新興大國(中國)之間 “不對稱關係” 的結構成解釋爲基礎, 從中美兩國之間戰略的相互作用角度來 闡釋克林頓第一任期中美關係不穩定的原因, 就是說, 在現有覇權國(美國) 和新興大國(中國)之間的 “不對稱關係” 下, 相互作用時處于主動地位的美國基自身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顯示出種種問題和矛盾: 因爲中美之間存在美國主動, 中國相對被動的局面, 所以這些問題和矛盾會給中美的對美戰略施加更大的影響力, 引起了中國對美國的, “疑慮’ 和消極應對, 從而導致中美關係的起伏不定. 爲此, 本論文有六章組成. 第一章是導論, 指出問題的提出與硏究現狀, 硏究方法, 分析框架, 硏究意義和全文結構. 第二章是美國的自由主義覇權戰略及其理論基礎. 第一節探討美國自由主義覇權戰略的界定. 第二節是美國自由主義覇權戰略的內容與硏過程, 本論文把美國自由主義覇權戰略的演變過程分成三個時期, 卽一戰后, 二戰后和冷戰后. 第三節是克林頓第一任期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的理論基礎, 克林頓第一任期美國自由主義覇權戰略主要體現在美國對華接觸戰略上, 自由主義國際政治理論中的机制理論和跨國主義的理論是這一戰略的理論基礎. 因此, 本論文從自由主義國際政治理論着手探討克林頓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的理論基礎. 第三章將探討克林頓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在克林頓第一任期對華戰略和中美關係中的體現以及克林頓政府采取的政策措施等, 本論文分別探討克林頓對華共和自由主義戰略, 商業自由主義戰略, 經濟相互依存自由主義戰略, 制度自由主義戰略以及社會自由主義戰略. 第四章是克林頓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的實踐. 本論文將克林頓第一任期自由主義覇權戰略的實踐分成兩個時期. 第一節將探討克林頓上台初期的 “以壓促變” 爲主的時期, 包括克林頓的就任及其自由主義取向, “擴展戰略” 的出台, 在人權和民主領域的施壓以及 1993年 5月有條件延長對華最惠國待遇的行政命令. 不過, 以 1994年人權一最惠國待遇 “脫구”的決定爲轉折点, 克林頓政府的自由主義覇權戰略開始采取更爲務實的辦法. 到了 1995-6年, 美國國內終于形成了以融入中國爲目標的對華“全面接觸戰略”, 美國的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開始被放到這一個大的框架中來執行. 第二節就探討克林頓政府做出 “脫구” 決定后的實用主義時期, 包括 1994年 5月 延長對華MFN的決定, 克林頓的經濟優先政策和以“融入中國”爲目標的對華 “全面接觸戰略”的形成. 第五章將探討克林頓第一任期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中存在的問題及其引起的中國的應對戰略. 克林頓自由主義覇權戰略存在的問題分爲兩個部分, 卽戰略構想上的問題和戰略執行上的問題. 第一節是戰略構想上的問題, 包括 “自由民主國際主義” 只是一種意向, 對華接觸戰略缺乏政策優先, 理想和國家現實利益之間的矛盾, 對美國式自由民主主義世界普遍活用性的自信以及美國例外論導致對外自由主義的暴力性 : 第二節是戰略執行上的問題, 包括悤統領導力的缺乏, 政府內閣的不協調, 國會的介入和利益集團的介入, 第三節是中國對克林頓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的認識與應對戰略. 第一部分首先將指出克林頓初期以 “施壓” 爲主的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給中國逐漸形成了對美 “疑慮” 意識, 對于克林頓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 中國采取了 “接受其手段, 但不接受其目標”的基本立場. 然后第二部分將以中美人權斗爭的例子爲個案來分析中國對克林頓對華人權政策的認識與應對戰略. 第六章是結論部分, 將探討美國對華自由主義覇權戰略和中國的應對戰略對中美關係穩定發展的含義.

      • 국제갈등에 있어서 다국적 군사활동에 관한 연구 : UN평화유지활동과 미국주도 다국적군활동을 중심으로

        박태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99

        We expected that various tensions threatening world order would come to an end and that we would be able to have peace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Possibility of issues such as world wars and tensions among different states and regions did, in fact, decrease. However, we have witnessed an increase in tensions of different sorts terror, religion, race, territory, resources, etc. Keeping this issue in mind,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s, 'How did world order change after the Cold War and what kind of military activities have been pursued to soothe these tensions? How are the U.S. and its allies participating in these activities and what is the background in South Korea''s participation? Are there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military involvement in face of the changing international security, to identify the types of international tension that is causing multinational military involvement and to analyze activities of U.S. and its allies(South Korea in particular) thus finding a direction in South Korea''s multinational military involvement.To obtain the information above, the paper analyzed various cases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in mind. First, what is UN peace-keeping operation and common security that tries to preserve peace by interfering in sovereignty of other nations? Second, why have multinational military activities increased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How are nations such as the U.K.(which is tied to the U.S. through NATO), Australia(through ANZUS), Canada(through NATO and NORAD) and Japan(through bilateral ties) participating in these activities? Finally, why and how is South Korea participating in these activities and are there any improvements to be mad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The paper analyzed previous cases of UN peace-keeping operation and U.S. lead multinational activities that had been implemented to relieve international tensions after the Cold War.The following is a summery of the research.Issues regarding territory, religion, resources, environment and race have erupted with th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have crystallized in the form of international tensions. Especially after the September 11 attacks, world security has become unclear and it has become possible to conduct wars on the basis of religious, ideological and racial tensions thus making national security and ever more important issue.Shift in international order has also influenced multinational military activities. The New World Order established free democracy and capitalism as the universal value of mankind with the U.S. leading in military affairs and cooperating with other countries. Although this uni-multipolarly system has eliminated system-based conflicts, it has increased lower level conflicts thus pushing up the UN''s role in peace-keeping. In addition, the September 11 attacks were used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status of the U.S. as the only superpower and resulted in the Afghanistan and Iraq wars.The U.K., Australia, Canada and Japan, which are in alliance with the U.S., are participating in peace-keeping events in response to multinational terrorism and the shift in international order thus contributing to world harmony and raising their international status Their goal of multinational military activity is to preserve the peace of not only their own countries, but also that of the entire world.South Korea has embarked upon its peace-keeping operation since 1993 when it dispatched an engineering company to Somalia after joining the UN in 1991. Until today, it has contributed in 10 different regions with the service of more than 5,000 people and is still active in 6 different regions. After the September 11 attacks, it has participated in multinational military activities led by the U.S. and currently has its Dongui medical support group and Dasan construction-engineering support group in Afghanistan. In addition 3,400 men and women are serving at the Zaitun Division in Iraq supporting reconstruction activities such as operating vocational training schools, conducting civilian support activities, providing peace preservation training and constructing facilities, etc. The purpose of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multinational military activity is to give back what it owes from the Korean war, preserve national sovereignty, maintain combat readiness, internationalization of the military and preparing for future operations, maintain international status and credit in case of future inter-Korean conflict, practice political neutrality, strengthen ROK-U.S. alliance, fulfill humanitarian duties, secure sources for future energy and strengthening the domestic economy.In conclusion, considering international order and the security of the world, UN, as a non-government organization, will participate in various types of disputes thus increasing its peace-keeping efforts. The U.S. having proved its supremacy in the war with Iraq, will also continue its efforts to prevent acts of terrorism and dissemination of WMDs. Therefore, the development course for South Korea to achieve effective multinational military activities is as follows.First of all, strengthen UN peace-keeping activities to secure an atmosphere favorable to national interest. Second, establish laws and policy concerning dispatch of troops to foreign areas to efficiently respond to participation requests. Third, actively participate in UNSAS to maintain international esteem. Fourth, establish an agency handling dispatch affairs and develop an education system. Fifth, encourage dispatch to foreign areas through promotions 본 연구는 냉전체제가 종식되면 국제 안보와 평화를 위협했던 각종 갈등들이 사라지고 안정될 것으로 생각되었던 국제안보환경이 냉전시대의 핵심적인 안보위협이던 세계대전이나 지역차원의 전쟁, 국가간 전면전 등이 일어날 가능성은 줄어들었으나 민족, 종교, 자원, 영토, 테러 등의 갈등으로 오히려 다양한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안보현실에서 ‘탈냉전 후 국제갈등이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국제질서변화 속에서 이러한 국제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군사활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미국과 동맹관계에 있는 나라들은 이러한 군사활동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가 이러한 군사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배경과 의의 그리고 효과적인 활동을 위해 발전시킬 사항은 없는가?’ 라는 의문을 갖고 그 해답을 찾고자 하는데서 시작되었다.본 연구목적은 국제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군사적 차원의 개입에 대한 기본개념을 고찰하고 군사적 활동이 발생하는 원인인 국제갈등의 변화와 다국적 군사활동 유형별 전개과정, 미국과 동맹관계에 있는 나라들의 활동과 우리의 참여활동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우리의 다국적 군사활동에 대한 발전방향을 도출하는데 있다.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중점을 두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첫째, 주권과 개입 그리고 국제분쟁을 억제하고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UN의 평화유지활동과 집단안보가 무엇인가? 둘째, 왜 냉전종식이후 다국적 군사활동이 증가하는가? 셋째, 미국과 NATO를 통해 집단안보동맹 관계에 있는 영국, ANZUS로 삼각동맹관계에 있는 호주, NATO와 NORAD로 집단안보동맹 관계에 있는 캐나다 그리고 쌍무동맹관계에 있는 일본 등은 이러한 군사활동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가? 넷째, 한국은 이러한 군사활동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으며, 그 참여 의의는 무엇이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발전시킬 사항은 없는가?본 논문은 탈냉전 후 국제갈등의 변화와 이를 해소하기 위해 수행된 다국적 군사활동인 UN 평화유지활동과 미군주도하 다국적군 활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로 문헌조사에 의한 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본 논문의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탈냉전 후 국제갈등은 국제질서 변화에 따라 냉전시 잠재되어있던 영토, 종교, 자원, 환경, 민족문제 등이 분출되면서 다양한 유형의 국제분쟁으로 나타났으며, 2001년에 발생한 9․11테러는 전 세계에 안보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종교, 이념 및 종족 등에 의한 갈등이 동기가 되어 테러와 같은 예측불허의 초국가적 위협이 전쟁행위의 주체가 될 수 있어 국가안보차원에서 더욱 중요시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국제질서변화는 다국적 군사활동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즉, 탈냉전 후 신국제질서(New World Order)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가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확산되면서 군사적으로 미국이 주도하고 정치․경제면에서 다른 나라와 공동으로 협력하는 단․다극체제(uni-multipolarly system)로 체제수준의 분쟁위협은 사라진 반면 체제하위 수준의 분쟁, 분규는 증대를 가져오고 이에 따라 무정부 체제하에서 세계평화와 안전유지를 목적으로 창설된 UN의 역할과 위상이 한층 높아져 다양한 유형의 평화유지활동 증가로 이어졌다. 또한 9․11테러는 국제질서에 있어 탈냉전 후 세계 유일의 최강대국인 미국의 일방주의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對 아프간전쟁과 對 이라크전쟁의 발발로 이어졌다.이러한 국제질서변화에 따른 다국적군 활동에 대해 미국과 동맹관계에 있는 영국, 호주, 캐나다, 일본은 평화유지활동 참여 등 세계평화와 안전유지에 기여하고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며 대미동맹관계를 통해 자국의 안보는 물론 지역안보협력을 강화한다는 목표아래 적극적인 다국적 군사활동을 실시하고 있다.한국의 다국적 군사활동은 1991년 UN가입 후 최초로 1993년 소말리아에 공병대대를 파견함으로써 평화유지활동을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10여개 지역에서 5,000여명이 활동하였고 현재에도 6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9․11테러 발생에 따라 미군주도하 실시된 다국적군 활동에도 참여하여 현재까지 아프간에 의료지원단인 동의부대와 건설공병지원단인 다산부대가 활동하고 있고 이라크에도 직업훈련학교운영, 대민지원활동, 시설공사 등에서부터 치안인력교육까지 광범위한 임무를 수행하는 자이툰사단 3,400여명이 활동하고 있다.이런 한국군의 다국적 군사활동에 대한 의의는 한국전쟁에 대한 국제사회에 대한 보은, 헌법의 기본정신 및 국방목표 구현, 평시 전장 적응력향상, 작전경험 축적, 군의 국제화 기반 및 미래작전 대비, 국가위상제고 및 국제적 공조체제 유지로 유사시 한반도 지원 명분 축적, 중진국 외교를 실천할 수 있는계기, 한․미동맹 강화,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국제사회의 의무수행과 에너지 안정적 공급체제 확보로 경제성장과 발전의 여건 조성 등에 있다.결론적으로 국제질서와 세계안보정세를 고려해 볼 때 UN은 무정부체제하의 정치현실 일부로 그 위상이 확대되어 다양한 형태의 분쟁에 적극 개입하여 UN의 평화유지활동은 더욱 증가할 것이고 이라크전을 계기로 사실상 패권국가로 명실상부해진 미국의 대 테러전 및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를 위한 활동 또한 계속해서 수행될 것이다. 따라서 국제적 공조체제를 유지하며 장차 한반도 유사시 지원명분을 축적하고 국제사회에서 국가위상을 제고시킴과 동시에 한․미동맹관계를 더욱 확고히 하며 군내부적으로 다국적군과의 해외 연합작전 능력을 배양하고 군세계화를 추진시킬 수 있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한국군의 효과적인 다국적 군사활동의 발전방향은 다음과 같다.첫째, 국익에 부합되는 평화유지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대 UN 평화유지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다국적 군사활동 참여 요청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국민적 합의에 의한 파병관련법 및 제도를 정립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제적 위상을 고려한 UN상비체제(UNSAS) 적극 참여이다. 넷째, 해외파병에 관한 모든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관을 설립하고 교육체제를 발전시켜야 한다. 다섯째, 해외파병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이다.

      • 부시 행정부의 등장과 한반도 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북한 핵문제를 중심으로

        곽병관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99

        부시 행정부의 첫 번째 대외정책 기조는 ‘힘을 통한 평화’라고 할 수 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공화당의 전통적 외교이념인 ‘현실주의적 국제주의’ (realistic internationalism), 즉 힘(strength)을 통한 평화를 강조하고 이를 위해 군사력을 중시하는 외교정책을 표방한다. 부시 대통령은 이를 ‘미국적 국제주의’ (American internationalism)로 명명하였다. 부시 행정부의 외교 이념은 민주당의 전통적 외교이념인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liberal internationalism), 즉 미국의 국가이익을 넓게 정의하여 양자간 동맹뿐만 아니라 국제기구, 다자주의, 인권을 중시하는 대외정책 기조를 강조하는 전임 클린턴 대통령의 외교 스타일과 차이점을 보여준다. 부시 행정부는 국제문제에 대한 ‘선택적 개입’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인도적 사태 발생 시 미국의 리더십 발휘를 강조하는 클린턴 대통령과 달리 부시 대통령은 지정학적 우선 순위에 따라 미국의 개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부시 대통령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미국의 국가이익과 별 관련이 없는 지역에 미군을 보내서는 안되며, 이들 지역의 국민들이 직접 해야 할 소위 ‘국가건설’ 작업에 미군을 참여시켜서는 더욱 곤란하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부시 행정부는 인도적 군사개입보다는 사활적 이해관계가 걸린 지역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국제문제에 개입해 왔다. 부시 행정부는 ‘동맹우선주의’를 표방한다는 것이다. 클린턴 행정부와 비교할 때 부시 행정부는 국제문제 해결을 위한 유엔의 역할을 경시할 가능성이 크다. 부시 대통령은 “유엔의 관료체제가 개혁되고 불공평한 미국의 부담이 줄어들어야만 유엔 분담금을 납부할 것이며, 국제적 행동(international action)이 필요할 경우 유엔의 동의를 얻기보다는 유럽과 아시아의 민주주의 동맹국들과 협조하여 문제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 결과, 부시 행정부는 클린턴 행정부보다 유엔을 더 경시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미국과 유엔간의 관계가 더욱 소원해지고 유엔을 중심으로 미국의 ‘독주’에 대한 개도국들의 반발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시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은 현재 재검토 작업이 진행 중에 있으나 이미 피력된 입장을 종합해 볼 때 세 가지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첫째, 대북 개입정책(engagement policy)의 지속이다. 미국은 남북화해에 대한 지지를 표명함과 동시에 “북한이 개방으로 가는 한 이를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함으로써 북한의 변화를 전제로 한 개입정책의 지속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기존의 대북정책에 대한 총체적인 검토 작업이 행해지는 동안 미국은 제네바 합의를 준수할 것임을 천명하였다. 둘째, 엄격한 상호주의의 적용이다. 미국은 “상호주의 원칙하에 북한과의 관계를 설정해 나가겠으며, 북한이 정치·경제·안보문제 등에 관해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할 경우 대북 개입정책은 지속될 수 있다”고 함으로써 엄격한 상호주의 원칙하에 대북정책이 집행될 것임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대북관계에서 검증절차를 강화해 나갈 것이다. 부시 행정부는 “북한과의 어떠한 협정도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하여 향후 북한의 변화를 반드시 확인(verify)하면서 대북관계 개선에 나설 것임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정책 기조 하에서 부시 행정부는 북한의 핵ㆍ미사일 문제 해결에 역점을 둘 것이며, “핵ㆍ미사일 문제에 대한 북의 태도가 관계개선의 가장 중요한 요인(ticket to the stadium)이라고 함으로써, 북미관계 개선을 위해선 북한이 핵ㆍ미사일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공화당 관계자들 중 다수가 북한의 미사일 ‘핵포기’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점, 그리고 부시 행정부가 NMD 추진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는 점 등으로 미루어볼 때 부시 행정부는 단기적으로 북한과의 핵․미사일 협상에 소극적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이 미국의 대북정책 재점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적극적으로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어 기존의 북·미관계 모멘텀을 살리려고 하는 노력이 미국에 의해 받아들여질 경우 북·미관계는 점진적인 개선의 과정으로 들어설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북한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변화’ (verifiable change)를 요구하고 북한이 이에 대해 ‘방어적 자세’를 취하게 되면 북·미관계는 답보상태로 진입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볼 때 남북한과 미국이 엮어내는 삼각관계의 모습은 다음 네 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첫 번째는 ‘윈윈(Win-Win)’ 시나리오로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가 함께 개선되어 3자 모두가 만족하는 상황이다. 두 번째는 ‘북·미진전/남·북답보’ 시나리오로서 북미관계는 진전되나 북한의 대남관계 경시로 인해 남북관계가 답보상태에 머무르는 경우를 가리킨다. 세 번째는 ‘남·북진전/북·미답보’ 시나리오이다. 이는 남북관계는 진전되나 북미관계는 답보상태에 머무르는 경우로서 한미관계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상황이다. 네 번째는 ‘네가티브섬(Negative-Sum)’ 시나리오로서 한·미·북 모두 불만족스런 상태를 가리키며, 특히 중·러·북 對 한·미·일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될 경우 상황을 개선하기가 무척 힘들어 진다. 가장 바람직한 시나리오는 첫 번째 시나리오이고, 가장 피해야 할 것은 마지막 시나리오이나, 두 번째 시나리오의 경우 남북관계의 긴장이 해소되지 않고 한반도 문제에서 한국이 배제되는 상황이 될 것이며, 세 번째 시나리오의 경우 남북간의 화해협력은 증진되나 북미관계의 부진으로 한미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 역시 피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향후 최대의 정책적 과제는 첫째, 우리의 대북 햇볕정책과 부시 행정부의 상호주의 정책이 충분히 조화될 수 있다는 점을 대내·외에 보여주는 것이다. 남북한이 서로 잘 지내려고 하는 것을 미국이 반대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북한의 변화 속도가 더딜 경우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이 강경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북한측에 강조함으로써 미국의 상호주의 원칙을 북한의 ‘진정한 변화’를 촉구하는 수단으로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한미간의 책임분담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한반도 문제는 남북경협, 이산가족, 재래식 무기 통제 등과 같은 남북차원의 문제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주한미군 문제 등과 같은 국제적 차원의 문제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남북차원의 문제는 한국이 주도하고 국제적 차원의 문제는 주로 미국이 주도하는 방향으로 역할을 분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에 대처해야 한다. 부시 행정부는 주한미군 감축(37,000에서 30,000명으로 감축)이 주한미군 전력 약화를 초래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감축이 단행될 경우 한국내 주한미군의 필요성에 대한 불필요한 논쟁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주한미군을 둘러싼 논쟁은 한국 내 국론 분열은 물론 한·미·일 대북 공조에도 차질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부시 행정부의 신중한 접근을 촉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재래식 군축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파월 국무장관이 강조한 한반도 재래식 무기 위협 제거 필요성이 구체화될 경우 한국의 입장과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신뢰구축조치의 실천, DMZ 북측의 야포 및 방사포 제거 및 전진 배치된 북한병력의 재배치 등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측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한미양측이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므로, 성공 여부는 결국 한미관계에 달려있다. 마지막으로, 부시 행정부의 대 한반도 정책 재검토 작업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현재 진행중인 미국의 대 한반도 정책 재검토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기보다는 이 과정에 우리가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한반도 정책 관련 의회 청문회 개최시 우리측 담당자가 입장을 개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부시 행정부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 어렵게 집권한 정권인 만큼 행정부보다 의회의 발언권이 상대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보이므로 대한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회 주요 인사들에 대한 외교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중앙아시아 에너지에 대한 지정학과 주변국간 국제정치·경제 관계

        이경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99

        Настоящая диссертация посвящена проблемам пост-советской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и перспективам роста евроазиат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Особое внимание уделяется вопросам, связаным с добычей нефти и газа, а также с развитием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и трубопроводных сетей в Центральноазиатском регионе. В диссертации также высказывается несколько предположений о тенденциях развития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в ближайшем будущем. Диссертация начинается с расмотрения проблем региональной идентичност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В первую очередь в работе ассматривается история тесных связей между государствами и Россией в результате их длительного существования в составе СССР. Эта общая история по-прежнему немало влияет на ситуацию в регионе, который очень зависит от России. Центральноазиатские государства остро нуждаются в иностранной экономической и политической помощи, без которой у них нет шансовдобиться стабильности и процветания. Немалые проблемы создаются существующей экономической структурой, которая некогда создавалась как часть общесоветской экономики. Представляется, что этнические конфликты и этнонационализм в различных формах в обозримом будущем останутся главной внутренней проблемой для стран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Кроме эт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региона сталкиваются с такими проблемами как слабость правительственных учреждений, отсутствие правовых норм, всепроникающая коррупция, нехватка легитимности правительств, социально- экономическая отсталость, масовое недоверие к официальным институтам. В государствах Цунтральной Азии наблюдается рост авторитарных тенденций, что также может привести к внутренним конфликтам. Важно, что изменения в геополитическом положени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в последние годы часто являлись результатами не столько их собственного развития, сколько перемен в общей международной ситуации. Особое влияние на судьбы региона оказало обострение проблемы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терроризма, а также устойчивый рост цен на нефть, который продолжается с конца 1990-х годов. Этот рост вызван сильным спросом на нефть, который является результатом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американской экономики и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бума в Китае и Индии. Немалое влияние на рост цен оказывает и нестабильная политическая ситуация на Ближнем Востоке. В подобных обстоятельствах нефть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становится особенно привлекательной для главных мировых потребителей энерго-носителей. Разведка и разработка нефтяных ресурсо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требует диалога и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с Россией. Тако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о необходимо несмотря на то, что нерешенными остаются такие важные вопросы как разграничение акватории Каспийского моря и маршруты магистраль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В силу исторических, культурных и экономических причин, Россия по-прежнему пользуется большим влиянием в регионе. Недавнее российское решение присоединяться к CACO (Central Asian Cooperation Organization) приведет к непрерывному укреплению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между Россией и государствам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в ситуации, когда цены на нефть продолжают расти. Американская заинтересованность 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вызвана более сложными причинами. До известной степени, она является отражением глобальной амери- канской политики, нацеленной на ограничение влияния радикального ислама, который представляет опасность для США. Кроме того, США проявляют немалый интерес к планам развития нефтяных ресурсо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Как известно, США обладают большими нефтяными запасами на Аляске и в Мексиканском Заливе, но этого недостаточно, чтобы удовлетворять огромный американский спрос на энергоносители. В США надеются, что месторождения нефт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заменят истощающиеся месторождения Северного моря. Также ожидается, что нефть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и Каспия окажет стабилизирующее влияние на международный нефтяной рынок, и поможет гасить ценовые колебания, вызванные изменениями объемов добычи в странах ОПЕК. Таким образом США проявляют большой интерес к нефти региона. Соединенные Штаты сотрудничают в этом отношении со странами НАТО и поощряют развитие связей между странами НАТО и государствам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Такие страны как Азербайджан, Казахстан и Узбекистан были приглашены стать «странами- партнерами в Евроатлантическом Совет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Euro-Atlantic Cooperation Council), который работает в составе структур НАТО. Представляется, что со своей стороны Китай будет широко использовать структуры 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чтобы развивать сотрудничество со странами региона в области добыч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энергоносителей. Для китайского подхода особенно характерно повышенное внимание к вопросам внеше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внутренней политической стабильности стран региона. Япония также активно действует в Средней Азии, используя в основном дипло-матические методы и стремясь ограничивать китайское и российское влияние. Есть причины полагать, что Япония будет широко использовать «дипломатию помощи», особенно в пределах структуры «Центральноазиатского общего рынка», созданного в 2004. Очевидно, что между Китаем и США, а также между Китаем и Японием суще-ствует немалая конкуренция. Чтобы сократить риск прямого конфликта между великими державами, необходимо развитие многостороннего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В заключительных главах диссертации рассматривается подход Кореи к проблемам «политики энергоносителей» в Средней Азии. Корея, которая серьезно зависит от импорта энергоносителей, должна найти свое место в новой структуре отно-шений, которая складывается в регионе в результате американских усилий. Однако, все эти планы не могут стать действительностью без развития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во всех областях, включая культуру, экономику и проблемы безопасности. ABSTRACT Geopolitics of the Central Asian Energy Resources and Relations between Countries of the Region : the analysis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major pipeline routes Kyoung Hee, LEE Dept. of International Relations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problems of the emerging power structure in Central Asia and growth of Euroasian cooperation. It puts special emphasis on the possibilities of cooperation which are created by the development of interconnected energy and transportation network in the Central Asian region. The dissertation also suggests the probable direction of changes in Central Asia in near future. The dissertation begins from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of Central Asia and its regional identity. It reviews the history of close relations between Central Asian states and Russia and their prolonged existence within the same state. This shared history still exercises profound influence over those societies which heavily rely on interaction with Russia. The Central Asian states need foreign economic and political assistance, since without such assistance their chances to achieve stability and prosperity are small. Special problems for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economies are produced by the existent industrial and economic structure which once was deliberately created to act as a part of larger Soviet economy. One of the long-term tasks of the Central Asian economy is to solve these structural problems. In the domestic politics, it appears that various ethnic conflicts stimulated by the nationalist feelings will remain the major internal challenge for the Central Asian countries. Apart from this, after 13 years of independence such states are still plagued by manifold social problems: weakness of the government institutions, absence of the rule of law, rampant corruption, lack of the government's legitimacy, social and economic underdevelopment, low level of democracy, distrust of the official institutions. In recent years, the states of Central Asia have demonstrated the growing authoritarian trends, and this might also lead to internal wars and civil conflicts. The recent violent events in Uzbekistan are yet another example of this dangerous trend. It is important that the changes in the geopolitical environment of Central Asia have often been results of th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rather than product of the local development and initiative. Especially after the 9/11, the US and Russia as well as various international agencies work together to create and develop the cooperation network aimed at the improvement of the situation in this region. The major task of the region is to get rid of the excessive economic dependence on Russia, and to create a multilateral network of partnerships which will be able to efficiently deal with problems of security,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e 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since it not only emphasize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countries of the region, but also includes Russia and China. It is aimed at creating a cooperation network which would prevent the emergence of ethnic violence and terrorism. This and other organizations will provid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more active cooperation between Russia and Central Asian states if the US will insist on promoting liberal politics and increase pressure on Central Asian authoritarian governments. In the world after 9/11 the United States strive to diversify the sources of oil supply, and this leads to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oil and gas deposits in Central Asia. Central Asian states hope to use these new opportunities to achieve a breakthrough in thei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s, but such activity also requires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growth of oil prices from the late 1990s onwards has increased such expectations. This remarkable growth is driven by strong international demand, which is due to the recovery of the US economy and economic booms in China and India, as well as by continuing political instability in the Middle East. This situation makes Central Asian oil especially attractive for all major international energy consumers. The development of oil resources in Central Asia requires discussions and cooperation with Russia. Even if such important questions as territorial rights in the Caspian Sea and pipelines routes remain unresolved, it is important to develop such cooperation. Due to historic, cultural and economic reasons, Russian presence still shapes many developments in the region. Russian decision to join the CACO (Central Asian Cooperation Organization) will become a major factor since this will lead to the continuous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between Russia and Central Asian states in the situation when the oil prices continue to grow. The US involvement in the region is driven by more complex considerations. To a certain degree, this is an extension of the US policy aimed at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radical Islam movements which might present a danger to the US, but the US is also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oil resources of the Central Asian region as a part of their plans of re-arranging the Middle East. The US possesses large oil deposits in Alaska and Mexico Gulf, but these deposits are not sufficient to meet American demands. Since attempts to develop alternative sources of energy have not been successful so far, the US interest in overseas oil supply remains high. It is hoped that the oil fields of Central Asia will replace the oil of the North Sea where the output is decreasing.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oil from Azerbaijan and Kazakhstan will have stabilizing effect on the international oil market, countering the price fluctuation produced by changes in the OPEC production. Thus the US express great interest in the oil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the pipeline network in the region. The United States cooperate in this regard with countries of NATO and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connections between the NATO countries and newly independent nations of the region. Thus, such oil-rich countries as Azerbaijan, Kazakhstan and Uzbekistan have been invited to become partner countries in the Euro-Atlantic Cooperation Council which is operating within the NATO framework. It appears that China will widely use the 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the regional security organiz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cooperation with the countries of the region in the energy field. Chinese approach especially emphasizes questions of political and domestic security in the region. It appears that Japan will also be active in Central Asia, developing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countries of the region and using largely diplomatic means to restrain the Chinese and Russian influence. There are reasons to believe that Japan will continue to pursue those long-term goals through the wide use of the aid diplomacy, especial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entral Asian Common Market, created in 2004. It is possible to say that China and US as well as China and Japan will compete for the available resources in this and other regions. Since China is becoming a great military power, the US will see the increasing Chinese involvement with the oil-producing countries of the Middle East as a grave potential threat. Thus, in order to control and reduce such competition and clashes between great powers, a multilateral cooperation is highly desirable. In the final parts of the dissertation, the researcher analyzes the possible approach of Korea to the problems of the energy politics in Central Asia. Due to many factors, including the increasing influence of China and continuing Russian presence, US policy experiences some difficulties with gaining influence in this region, but Central Asia is definitely an important part of the US international strategy. Korea which is seriously dependant on foreign energy supply, should re-adjust itself to the new power structure which emerges in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US efforts. One of the attractive possibilities is participation in the TAR-NC railroad project. If this railroad is connected to the much-discussed plan of linking the Transsibirian railroad and TCR, it will contribute towards the growth of cooperation between the countries of Central Asia. However, all these plans cannot become reality without development of cooperation in all fields, including culture, economy and security issues. Such cooperation is not possible without persistent efforts of all participants. But in a long run it will make possible the creation of Euroasian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