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규원 문학과 문예창작교육 시스템의 연관성 연구

        세스 챈들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35

        In a poetic career spanning forty years from the 1970s until his death in 2007, Oh Kyu-won displayed a diverse set of poetic tendencies while constantly seeking to renew his methods of composition through his writings on poetic theory. He is also known as an accomplished educator for his commitment to the teaching of poetic composition as a professor in the creative writing program at Seoul Institute of the Arts, which began in the 1980s. This thesis sets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h Kyu-won’s literary activities and his work as an educator of creative writing. I first consider his ambivalent attitude towards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s an institution in relation to his social criticism of the 1980s, and then explore how the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system which he created at this tim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is ‘living image’ poetics during the 1990s. The concerns that Oh Kyu-won expresses about the institutions of creative writing and higher education while employed i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during the 1980s are an element of the self-criticism he displays in his middle-period poetry, in which he had earlier composed poetry critiquing consumer capitalism while working in the marketing department of the Amore Pacific makeup company during the 1970s. The effect that his work i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had on his later poetry and poetic theory can be recognized with reference to Mark McGurl’s theory of ‘autopoetics,’ the self-(re)production mechanism of the creative writing program as a system. The change in Oh Gyu-won’s poetry during this period, specifically the formation of his ‘living image’ poetics, is difficult to explai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oems or works of poetic theory, but can be more fully understood when examin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s a system. In Chapter 2, I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to consumer society and consider Oh Ky-won’s thought o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in the context of his middle-period poetry’s self-criticism and his ambivalent attitude towards popular culture. Oh Kyu-won also displays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s higher education and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s institutions. As a part of the larger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contributes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in the sense that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commodifies literary works and the experience of writing, it can be viewed as a part of consumer society. From Oh Kyu-won’s perspective, this sort of institutionalization and commodification constrains the autonomy of literature as an art and degrades the literary imagination, which is capable of realizing a system of values that confronts the existing reality. However, Oh Kyu-won also argued that the university and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have an obligation to protect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art. Thus he maintained a self-critical attitude towards his own work in the institution of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Next I analyze the relationship of Oh Kyu-won’s interest in the social role of literature, a core interest of his middle-period, to the student movement, which formed a part of the 1980s social movements, and the poetry of his students, which dealt with social issues as well. Here Oh Kyu-won can be seen criticizing student passion directed towards radical literary ‘practice’ or ‘literature as activism’ because it damages the artistic value of the poem, but he also compliments the literary value of works for sharp perceptions of reality based in observation and the senses. This relates to his later recommendation to students to use ‘description’ based on observation as opposed to directly expressing thoughts through ‘statement,’ and also to his interest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system of perception through ‘description’ rather than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his own later poetry. In Chapter 3 I employ McGurl’s concept of autopoetics to examine how Oh Kyu-won created his own system of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through research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experience as an instructor, and later in the textbook Methods of Modern Poetic Composition (Hyeondaesijakbeop). I show that the 1980s, which has been left as a gap in previous periodizations of his poetic theory, was in fact a period of intensive research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Oh Kyu-won’s research during this period primarily took three forms. First, after receiving a grant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in 1985, he undertook an extensive study of the pedagogy,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of creative writing departments. Among the various projects of this period of exploration into creative writing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 study titled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of Creative Writing Departments at Technical Colleges (Jeonmundaehak Munyechangjakgwa Gyoyukgwajeongui Gaebalyeongu), is particularly important. The fact that Oh Kyu-won had conducted this study is mentioned by several previous researchers, but because the its exact source was unknown, my analysis of it here is the first time it has been examined directly. Second, after the above thesis was published, Oh Kyu-won began research on ‘poetic discourse,’ attempting to systematize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expression. A great deal of this research was edited and gathered in Methods of Modern Poetic Composition. Third, during this period Oh Kyu-won focused less on the work of other poets than on that of his own students, attempting to classify the problems they displayed. The central issue for Oh Kyu-won during this period of research was whether or not creative writing education is in fact possible. Here he argues that ‘creativity’ cannot be the direct object of education, but his exploration into how creative writing education as a whole can be made possible lead him to the concepts of ‘composition theory,’ which later became his research on ‘poetic expression,’ and the ‘composition process,’ through which his students creativity could be fostered.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system that Oh Kyu-won establishes in this process thus centers on the dynamics between an unteachable ‘creativity’ and a teachable ‘composition theory’ and ‘composition process.’ In Oh Kyu-won’s creative writing textbook, Methods of Modern Poetic Composition, his theory of ‘poetic expression’ takes full shape, and his explorations into the ‘composition process’ of his students results in the detailed studies of examples of student poetry(saryeyeongu) which ar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text. Here ‘creativity’ is regarded as the essence of poetry or literature and becomes connected with a sort of ‘new perception’ or ‘realization,’ but still cannot be the object of direct education. In Chapter 4 I explain Oh Kyu-won’s ‘living image’ poetry and poetic theory as a product of the autopoetic process established by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system Oh Kyu-won created through his education research and creative writing textbook. First, I identify the points at which the boundary between Oh Kyu-won’s educational or composition theory and his poetic theory begins to blur in relation to his ‘living image’ poetics. For example, I show that the imperative to ‘change perspectives’ from his ‘living image’ poems was also advice that he gave students. In addition, I connect the origin of his ‘living image’ poetics’ methodology, which involves eliminating ‘poetic statement’ and ‘metaphor,’ to his assertion that observational ‘description’ is a more effective composition strategy for young students than contemplative ‘statement.’ Next I link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living image,’ - which leads the reader, like a student, towards a new ‘poetic imagination,’ - to his concerns about the teachability of ‘creativity,’ ‘new perceptions,’ and ‘realizations.’ This educational character can also be found in his poetic theory written on the ‘living image.’ Just as the workshop method(happyeong or gangpyeong) used in the creative writing classroom and the study of specific student works consist of a process of pointing out the problems in a work and undertaking its revision, in his ‘living image’ theory Oh Kyu-won reveals the revision process of his own poems and engages in happyeong with readers and critics. Finally, I explain a change in Oh Kyu-won’s attitude toward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s an institution, which is apparent in his late poetry, focusing on his exploration of a new system of perception in which the system, rather than the subject, takes the center position. 오규원은 1970년대부터 2007년 작고까지 40년에 걸친 시작활동을 통해 다양한 성향의 시세계를 펼치는 한편 시론에서 지속적으로 시적 방법론에 대한 자기갱신의 의지를 보여준 시인이다. 또한 1980년대부터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창작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시창작 교육에 전념을 한 탁월한 교육자로 알려져 있다. 본고는 이러한 오규원의 문학과 문예창작교육 활동의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1980년대 사회비판과 관련해서 문예창작학과 제도에 대한 오규원의 태도의 이중성을 먼저 살펴본 다음에 그가 창안한 창작교육 시스템이 1990년대 ‘날이미지’ 개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밝혔다. 1980년대 문예창작학과에서 재직하면서 문예창작과정 혹은 고등교육 제도에 대한 문제의식을 보여주었던 것은 1970년대 태평양화학의 홍보실에서 일하면서 소비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을 시로 담긴 그의 중기 문학의 자기비판과 일맥상통한 것으로 보았다. 문예창작학과 시스템의 자기(재)생산 메커니즘인 ‘오토포에틱스’에 대한 맥걸(Mark McGurl)의 설명을 유비적으로 오규원의 시와 시론에 비추어 설명했을 때, 오규원의 문예창작학과 재직 경험이 그의 후기 문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볼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 개별적인 시론이나 작품의 특징만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웠던 변화의 양상, 구체적으로 말하면 ‘날이미지’의 형성과정을 문예창작학과라는 시스템의 특징과 아울러 고찰함으로써 오규원 시와 시론을 본격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의 2장에서는 문예창작학과와 소비사회의 관계를 살펴보며 문예창작학과에 대한 오규원의 생각을 그의 중기 문학의 자기비판과 대중문화에 대한 이중적 태도의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오규원의 시에서 고등교육과 문예창작학과라는 제도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가 보인다. 고등교육제도의 일부로서 문예창작학과는 문학의 제도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문예창작학과는 문학 작품과 글쓰기의 경험을 상품화시키는 면에서 소비사회의 일부로 보인다. 오규원의 입장에서 이러한 제도화∙상품화는 자율적인 예술로서의 문학을 구속하고 기존의 현실에 대응하는 가치체계를 현시할 수 있는 문학의 상상력을 전락시킨다. 그런데 동시에 그는 대학과 문예창작학과는 문학 혹은 예술의 자율성을 지켜야 되는 의무가 있다는 주장도 내세웠다. 이러한 문예창작학과 제도에서 재직하는 자신에 대해 그는 자기비판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다음으로 본고는 문학의 사회적 역할이라는 그의 중기 문학의 핵심적인 관심사가 사회 문제를 다루는 시를 창작하는 제자와 1980년대 사회운동의 일부인 학생운동과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분석했다. 여기서 그는 ‘운동으로서의 문학’ 또는 문학의 급진적 ‘실천성’을 향한 학생들의 열정을 작품성을 낮추는 것으로 비판했지만 관찰과 감각에 바탕을 둔 예리한 현실인식을 가진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예찬했다. 이것은 나중에 학생들에게 생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진술’보다 관찰을 통한 ‘묘사’를 권고하는 것과 자신의 후기시에서도 현실의 재현보다 ‘묘사’를 통한, 새로운 인식 체제의 정립에 관심을 가진 계기와 상관이 있다. 3장에서는 맥걸의 오토포에틱스 개념을 차용하여 오규원의 문예창작교육 연구서 및 교육활동과 이후로 󰡔현대시작법󰡕에서 그의 문예창작교육 시스템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살폈다. 지금까지 시론의 공백기로 남아 있던 1980년대는 실제로 창작교육에 대한 연구와 치밀한 모색의 시기였다는 사실을 밝혔다. 1980년대 창작교육 연구와 모색의 시기에는 오규원의 작업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그는 1985년 문교부 연구조성비를 받아 문예창작학과의 교육 이론과 운영방식, 커리큘럼 등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작교육 탐구 시절의 작업 중에서 이 연구의 결과물을 별쇄논문집으로 엮어서 발표한 「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육과정의 개발연구」가 주목되었다. 오규원이 이 연구를 진행했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자에 의해 언급되어 왔으나 이전까지 자료의 명확한 출처가 확인되지 못했기 때문에 본고에서 처음으로 다룰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이 논문집이 나온 이후로 그는 시적 표현의 특징을 체계화하고자 하는 ‘시적언술’ 연구를 집행했는데 이 연구 중에서 상당부분이 수정되면서 󰡔현대시작법󰡕에 수록되었다. 셋째 이 시기에 오규원은 다른 시인의 작품보다 제자가 쓴 시에 주목하여 그 문제점을 유형화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연구의 시기에 창작교육의 가능성 여부가 핵심적인 문제가 되었다. 여기서 ‘독창성’이 직접적인 교육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으로 규정되었으나 창작교육 전반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것에 대한 모색은 ‘시적언술’을 체계화하는 ‘창작이론’과 제자의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는 ‘창작과정’의 교육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다. 따라서 오규원의 창작교육 시스템은 가르칠 수 없는 ‘독창성’과 가르칠 수 있는 ‘창작이론’과 ‘창작과정’의 역학을 중심으로 성립되었다. 󰡔현대시작법󰡕에서 ‘시적언술’의 이론은 체계화되었으며 ‘창작과정’에 대한 탐구는 ‘사례연구’로 이어졌다. ‘독창성’은 시 혹은 문학의 본질로 간주되며 문학작품이 제시해주는 ‘새로운 인식’이나 ‘깨달음’과 연결되어 여전히 직접적인 교육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 4장에서는 오규원의 ‘날이미지’ 시와 시론이 창작교육 연구와 󰡔현대시작법󰡕을 통해 완성된 창작교육 시스템의 오토포에틱 과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했다. 먼저 ‘날이미지’ 시와 시론에 있어서 창작이론과 시론의 경계가 흐릿해지는 현상을 성찰했다. 이를테면 ‘시각을 바꾸자’는 ‘날이미지’ 시의 명제는 제자들에게 주는 조언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적진술’과 ‘은유’를 배제하는 ‘날이미지’ 시 방법론의 근원을 젊은 제자들에게 ‘진술’의 관조보다 ‘묘사’의 관찰이 더 효과적인 창작 방법이 된다는 오규원의 지적과 연결시켰다. 다음으로 독자를 학생처럼 새로운 ‘시적 상상력’으로 인도하는 ‘날이미지’의 교육적인 성격은 ‘새로운 인식’이나 ‘깨달음’, 즉 ‘독창성’에 대한 문제의식과 연결시켰다. 이러한 교육적 성격은 또한 ‘날이미지’의 시론에서 찾아졌다. 창작실습의 수업진행방식인 ‘합평’ 혹은 ‘강평’과 󰡔현대시작법󰡕의 ‘사례연구’가 작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작과정을 보여주는 과정인 것처럼 ‘날이미지’ 시론에서 오규원은 자신의 시의 개작과정을 보여주며 독자 또는 비평가와의 ‘합평’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그의 후기시에서 보이는 문예창작학과 제도에 대한 태도의 전환을 주체 대신 시스템을 중심에 놓는 새로운 인식 체제의 탐구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 한국현대문학의 중국현대소설 수용사 연구 : 해방이후부터 한중 수교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엄진주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1945년부터 1992년까지 중국현대소설의 국내 수용 양상을 밝히고 한국현대문학과의 영향관계성을 탐구했다. 해방 이후시기 한국과 중국은 남한과 북한, 중국과 대만으로 분단했고, 국가 통치의 기본 사상 역시 자유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체제로 양분되었다. 문학은 사회 이념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만큼 중국현대소설의 국내 수용 역시 상당 부분 이념의 영향권 속에 놓이게 되었다. 중국문학의 수용은 근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기로 오는 과정에서 많은 변곡점을 거치며 발전해왔으며, 해방 이후 시기에는 한국과 중국의 정치적 이념과 담론 차이로 인해 시대에 따라 상이한 수용 양상이 표출되었다. 연구는 동시대를 배경으로 한국, 중국, 대만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통시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국내 번역장에 수용된 중국현대소설의 사상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 이입 의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한국문학 및 독자층과의 상호영향성을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중국현대소설은 1917년 문학혁명 이후의 新文學부터 신중국 수립 이후의 新時期문학을 포함하며, 국내 수용 시기는 1945년 이후부터 1992년까지로 규정하였다. 시기는 다시 해방이후 국내외 정세 변화와 주요 사건의 맥락에 따라 분기점을 설정하여 47년의 전체 수용 기간을 사분할 했다. 연구의 첫 번째 기간은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 발발 전까지시기로, 이 시기 중국현대소설 수용의 특징은 魯迅, 老舍, 茅盾, 巴金, 蔣光慈, 郭沫若, 葉紹鈞 등 신문학 초중반기에 문단을 주도했던 주요 작가의 작품이 소개된 점이다. 김광주와 이명선은 이들 작가의 초기현대소설을 소개하며 중국과 한국의 항일투쟁의 역사를 기억하고 또한 조선의 해방을 기념했고, 이와 동시에 과거 피지배의 굴레에서 벗어날 것과 국가 재건을 위한 실천적 역할을 할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魯迅이 갖는 계몽자적이고 혁명적 이미지를 해방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이상향으로 제시했다. 중국현대문학을 대표하는 1세대 작가군의 작품 소개는 한중 양국 간 일종의 연대 구축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제·항일운동, 피식민지배의 역사, 그리고 해방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중국의 근대사는 유사한 궤적을 그리며 발전해 왔다. 그 과정에서 제한적으로 수용될 수밖에 없었던 역사, 문학, 인문교류, 사회문화의 교류의 시간을 부각하고, 항일투쟁을 통해 공고해진 상호 연대감을 재인식하고자 했던 것이다. 한편 독립운동가이자 초대 국방부장관직을 역임한 이범석은 본인의 항일투쟁을 제재로 하는 중국소설을 통해 자신의 정통성을 입증하고 항일운동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여 권력을 공고히 하려고 했던 의도가 확인된다. 이는 해방기에 이루어진 번역의 정치성을 입증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연구의 두 번째 시기는 1951년부터 1969년까지로 구분되며, 이 시기 수용 양상은 중국문학의 축소, 대만문학의 확대, 그리고 반공소설 수용 및 반공담론 재생산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국은 전쟁을 겪으면서 반공사상과 자유민주주의 실현의 열망이 커졌고, 중국은 신중국 수립 후 사회주의 노선을 견지하며 강력한 사상 통치로 정국을 운영했으며, 대만은 강제 천거 이후 중국본토수복을 위한 강력한 반공·항소의 정책을 펼쳤다. 한국전쟁 발발 및 반공이데올로기 강화의 여파로 중국 공산당의 정책과 폭력성을 규탄하는 ‘반공소설’이 전후 가장 먼저 한국 번역장에 수용되었다. 대만, 홍콩, 마카오 등지에서 이입된 반공소설은 한국과 미국 정부 당국의 기획을 통해 출간된 것이 확인된다. 반공소설을 통해 공산주의의 모순과 체제의 모순성을 폭로하고 이를 독자와 공유하려고 했던 의도가 확인되며, 또한 궁극적으로 반공담론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반공소설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방 직후까지만 해도 5·4문학 혁명의 기수이자 개혁지식인으로 인식되었던 魯迅은 이후 수용 시기에 따라 다른 이미지로 규정되었다. 그의 혁명적 이미지는 마오이즘의의 대표 표상이 되었고, 이에 한국에서는 그의 좌경적 이미지를 문제 삼아 번역장에서 부각하지 않으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결과적으로 전후 중국문학 번역장에서 魯迅의 비중은 대폭 축소되었다. 魯迅 및 중국소설의 축소를 대체한 것은 대만문학과 林語堂의 소설이었다. 대만과 미국을 무대로 활동하면서 자유민주주의를 대표하는 동양의 지성인으로 인식된 林語堂은 국내에서 열풍을 일으키며 魯迅 대신 크게 부각되었다. 林語堂과 함께 대만문학의 부상 역시 이 시기의 큰 특징이다. 대만문단은 중국에서 유입된 작가군을 통해 중국문학의 정통성을 유지할 수 있었고, 또한 한국사회와는 이데올로기를 공유했다. 정부당국과 아시아반공연맹의 주도로 1957년부터 한국과 대만 간 상호 문학교류가 시작되었고 선집 및 단행본이 상대국에서 각각 출간되면서 교류의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한국사회는 과거 지식과 문화 제공처로서의 역할을 했던 중국을 공식적으로 접할 수 없게 되면서 그 대안으로 대만이라는 창구를 통해 중국문학을 간접 체험했다. 연구의 세 번째 기간에 해당되는 1970~1987년 시기는 중국의 UN 가입, 미중수교, 개혁개방 등 새로운 대외 정치·외교 및 경제·무역 정책이 실시되면서 소설의 수용 양상에 변화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70년대 들어 더욱 강화된 반공이념 속에 중국소설은 단독으로 수용되기보다는 세계문학전집의 구성 항목으로서 세계문학의 변두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국의 개혁개방이 시행된 1980년대 이후 중국 문학의 세계진출이 추진되고 세계문학으로서의 입지가 높아지면서 국내 세계문학 번역장은 중국문학과 일본문학 중심으로 재편되기 시작했다. 또한 중국문학만을 수록한 다양한 선집 및 한 작가의 단독 단행본 출간이 잇따라 기획되었고, 1985년 시점부터는 새로 발굴된 新文學 작품 및 문화대혁명 이후 출현한 新時期 소설이 대거 유입되면서 중국문학 시장과 학계는 전환점을 맞이했다. 대만문학은 이 시기 단행본과 선집을 통해 꾸준히 수용되었지만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점차 축소되었다. 물론 黃春明과 瓊瑤 등 작가의 작품이 성공적으로 국내에 수용되었고 지속성을 유지했지만 이들을 제외하고 번역장에서 부각된 작가나 작품이 나오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대만소설의 호응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더해 중국소설이 본격적으로 재수용되기 시작하면서 林語堂의 비중 역시 축소되었고 그 결과 대만소설의 전반적인 하향세를 이끌었음이 확인된다. 마지막 연구 시기는 1988년부터 1992년까지이며, 이 시기 시행된 해금조치와 북방정책은 중국소설이 한국 번역장에 전면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이 되었음이 확인된다. 특히 해금조치를 통해 기존의 금서처분을 받은 중국소설이 다시 수용될 수 있게 되면서 중국현대문학 全시기의 대표 작품이 독자와 만날 수 있게 된 사실도 알 수 있다. 또한 제재와 이념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면서 보다 다양한 중국 최신 소설이 국내에 수용될 수 있었다. 이 시기에 출간된 선집 출간의 특징은 중국현대소설이 세계문학전집에서 독립하여 중국작품만으로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선집에 수록되어 소개되는 방식이 점차 보편화되었다는 점이다. 아울러 중국현대소설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방식도 다각화되었다. 중국 내 우수작품상 수상작, 베스트셀러 등의 번역 출간이 연속적으로 기획되었고, 또한 중국 조선족번역가들이 출판기획에 참여하면서 중국문학 번역장의 내실을 강화했다. 이와 같은 변화에 힘입어 1990년대에 진입한 이후 중국현대문학의 2세대 주요 작가의 작품이 전면적으로 수용되었고 그 결과 내용과 형식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산업적 측면으로는 국내 시장에서 중국대중소설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고 또한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등 세계문학의 주축으로서 확고부동한 입지를 굳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현대소설이 한국의 번역장에서 현재의 입지를 굳히기까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왔는지 추적하는 시도였다. 이를 추적하기 위해 중국소설수용의 분기점이 되는 해방기를 시작으로 한중수교가 이루어진 1992년까지의 소설 수용의 양상을 대내외적 사적 맥락과 함께 분석했다. 본 연구 성과를 통해 일제강점기와 한중수교 이후시기에 집중되어 있는 국내 중국문학수용 연구의 공백을 메꾸고, 근대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전체적인 중국소설수용의 계보를 포괄적이고 유기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larifies the domestic translation patterns of Chinese contemporary fiction from 1945 to 1992 and explored the influence relations with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Korea and China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and China and Taiwan. The basic ideas of state governance were also divided into liberal democracy and socialist systems. As literature is inextricably linked to social ideology, the domestic translation of Chinese contemporary fiction has also been largely under the influence of ideology. The translation of Chinese literature has developed through many inflection points in the process of coming to the liberation period through the moder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During the period after liberation, different aspects of translation we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times due to differences in political ideology and discourse between Korea and China. The study contemplates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of Korea, China, and Taiwan in a contemporary setting, and analyzes the ideology, content, and intention of translating Chinese contemporary fictions accommodated in domestic translations. After all,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literature and readership was conducted. The Chinese contemporary fictions to be studied include New Literature after the Literary Revolution in 1917 to New Times Literature after the establishment of New China, and the domestic translation period is defined from 1945 to 1992. The period was set agai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the context of major events after the liberation to divide the total 47 years of period of translation. The first period of the study is from the liberation period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contemporary fiction translation of this period is that the work of major authors who led the literature in the early to mid New Literature period such as 魯迅(Lu Xun), 老舍(Lao She), 茅盾(Mao Dun), 巴金(Ba Jin), 蔣光慈(Jiang Guangci), 郭沫若(Guo Moruo), 葉紹鈞(Ye Shaojun), and etc was introduced. Kim Gwang-ju and Lee Myung-sun introduced the early contemporary fictions of these authors reminding the history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of China and South Korea, and also commemorated the liberation of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they also emphasized to get out of the past subjugated mind set and play the practical role to rebuild the country. Also, they suggested the enlightened and revolutionary image of Lu Xun to be ideal for the liberated society. The introduction of the works of the first generation artists representing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can be interpreted as part of efforts to build a kind of solid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South Korea and China. From the anti-imperialism and anti-Japanese movements, the history of colonialization, to the liberation, modern history of both South Korea and China has developed in a similar trajectory. During the process, they tried to emphasize the exchange of history, literature, humanities, and social culture, which had to be accommodated in a limited way, and recognize the mutual solidarity strengthened through the anti-Japanese struggle. On the other hand, it is confirmed that Lee Beom-seok, an independent activist and the first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had intention to solidify his power by proving his authenticity and establishing an image as a leader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Chinese novels describing his anti-Japanese struggle. This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demonstrating the political nature of translati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second period of the study is clasified from 1951 to 1969, and can be summarized as the reduction of Chinese literature, the expansion of Taiwanese literature, and the translation of anti-communist fiction and reproduction of anti-communist discourse. Undergoing the war, South Korea's desire for anti-communism and realization of liberal democracy has gotten bigger, China established a new China while maintaining a socialist line, and operated a political regime with strong ideological rule. Taiwan led a strong anti-communism and appeal policy in order to reclaim the mainland China after the forced expropriation. As the aftermath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reinforcement of anti-communist ideology, the anti-communist fiction, which condemned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policies and violence, was first translated in the field of Korean Translation after the war. It is confirmed that anti-communist fictions imported from Taiwan, Hong Kong, and Macau were published through the planning of Korean and the U.S. government authorities. It is known that through the anti-communism fictions, their intention was to expose the contradiction of the communism and the system and to share it with the readers.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anti-communism fictions were ultimately used as means to strengthen anti-communist discourse. Even shortly after the liberation, Lu Xun, who was recognized as a leader of the 5·4 Literature Revolution and a reform intellectual, was later defined as a different image according to the time of translation. His revolutionary image became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Maoism, and in Korea, they tried not to highlight his leftist image in the translation field.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Lu Xun in the post-war Chinese literature translation field was greatly reduced. It was the Taiwanese literature and Lin Yutang's novels that replaced the reduction of Lu Xun and Chinese novels. Lin Yutang, who was recognized as an Asian intellectual, representing Liberal Democracy while working in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was a big hit in Korea and replaced Lu Xun. Along with Lin Yutang, the rise of Taiwanese literature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The Taiwanese literature was able to maintain the legitimacy of Chinese literature through a group of authors that were flowed from China, and also shared ideology with Korean society. With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authorities and the Asian Anti-Communist Federation, mutual literature exchange between Korea and Taiwan began in 1957 and continued the Exchange when the books and collections were published in each countries. As Korean society became unable to officially encounter China which served as a source of knowledge and culture in the past, they experienced Chinese literature indirectly through a window called Taiwan as an alternative. During the period of 1970~1987, which is the third period of the study, it is shown that the novel's translation pattern changed as China implemented new foreign politics, diplomacy, economic and trade policies such as joining the United Nations, US-China diplomacy, and reform and opening up. In the 1970s, amidst the strengthened anti-communist ideology, Chinese novels were located on the outskirts of world literature as part of the collection of world literature rather than being interpreted alone. However, since the 1980s, when the reform and opening of China was implemented, Chinese literature the world advancement of Chinese literature's expansion to the world became propelled and its position as world literature increased. Hence, the domestic translation field of world literature began to be reorganized around Chinese literature and Japanese literature. In addition, a variety of books containing only Chinese literature and were planned one after another. As of 1985, the newly discovered novels and new generation novels that appeared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were introduced, and the Chinese literature market and academia were at a turning point. Taiwanese literature was steadily translated through books and collections during this period, but the market share gradually decreased. Of course, the works of authors such as 黄春明(Huang Chun ming) and 瓊瑤(Qiong Yao) were successfully translated in Korea and maintained persistence, but it was difficult to expect continuous attention to the Taiwanese novels without having any authors or novels highlighted in the translation field. In addition, as Chinese novels began to be re-translated in earnest, the percentage of Lin Yutang was also reduced. As a result, it is shown to lead the overall downward trend of Taiwanese novels. The last period of study was from 1988 to 1992, and it is shown that the lifting of the embargo and northward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is period served as a policy-level basis for Chinese novels to be fully translated by Korean translation field. In particular, it shows that the readers were able to encounter the representative writings of all the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as the Chinese novels that had been previously forbidden were dispossessed and translated again. In addition, as it was not restricted by novel sanctions and ideologies, more recent Chinese novels could be translated in Korea. The characteristic of book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of time is that the method by which Chinese contemporary fictions were introduced in various types of books composed of Chinese works independently from the world literature collection has become more common. In addition, the method of discovering and introducing Chinese contemporary fictions has been diversified. Translation publications of award-winning works and best-sellers in China were continuously planned, and the participation of translators with the ethnic background of Koreans living in China in publication planning strengthened the quality of Chinese literature translation field. Thanks to these changes, second generation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major authors' works have been fully translated ever since entering the 1990s, and as a result, they have made great progres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On the industrial side, it is noted that Chinese popular novels in the domestic market succeeded commercially and became the best-sellers, thus establishing a firm position as the main role of the world literatu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trace how Chinese novels have gone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ir current position in the Korean translation field. In order to trace this, the aspect of literature translation was analyz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historical context from the liberation period, which was the turning point of Chinese novel translation until 1992, when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o fill the gap of the study on Chinese literature in Korea which is concent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ization period and post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I also wish that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and organically view the genealogy of Chinese novels from the modern time to the present.

      • 외국인을 위한 문학 교육 방법 연구

        나정선 단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50719

        본 논문의 목적은 다양한 학습 목적을 가진 외국인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문학 작품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특성, 문화적 특성, 문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언어 ∙ 문학 ∙ 문화 통합 중심 한국어 문학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는 데 있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범위는 매우 넓고 다양하다. 그러나 문학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문화 교육을 목적으로 한 문학 작품 활용 연구나 시, 소설, 수필, 설화 등을 활용한 문학 교육에 대한 부분적인 논의만이 계속되고 있으며, 언어 기능의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부차적인 자료로 문학 작품이 활용되는 등 좀처럼 문학 교육의 틀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언어 교육에서 문학의 당위성을 찾아 교육으로 실천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학 작품은 언어 학습에 있어 실제적이고 비중이 있는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에 비해 소홀히 취급되어 왔다. 언어 교육에서의 문학 작품은 독해 능력만을 향상시켜줄 뿐 의사 소통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며, 문학에서 취급되는 문화는 과거의 문화이고, 학습자에게 통사적인 복잡성과 어휘의 비중, 담화 조직과 관련된 언어적인 어려움과 새 어휘에 대한 부담감만 줄 뿐이라는 일부 학자들의 부정적인 견해는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 작품의 입지에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학습 목적이 다양해지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게 되면서 교육 방법은 자연스럽게 교사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이런 변화는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이 교수-학습에 적절히 반영되어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해 높은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도 유학을 오거나, 취업, 결혼 등으로 한국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고, 자연스럽게 학습의 기간도 단기에서 장기로 전환되어 그 수준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학습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점차 교육용으로 만들어진 교재에서 벗어나 실제적이고 통합적인 자료를 원하게 되었다. 문학은 문맥을 통해 한국어 지식과 언어 수행 능력을 키워 줄 뿐만 아니라, 비유나 상징 등을 통해 문학의 속성을 보여준다. 일상의 언어가 문학의 언어로 전환되었을 때 학습자는 의미 파악을 하기 위해서 사전만을 의존할 수 없게 되고, 작품의 배경과 인물의 성격, 문맥, 상황 등을 총동원한 자신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스스로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학습자는 문학 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자신들의 학습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일상 생활을 하기 위한 실용적인 한국어교육에서 벗어나 보다 학문적인 한국어교육을 희망하고 있다. 문학 작품은 언어와 문화를 통합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원리와 문학적 상상력에 따른 표현력 훈련을 함께 할 수 있어 좀더 고급스러운 한국어 학습을 요구하는 학습자와 한국어 교육계의 상향조정된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좋은 언어 자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학 작품은 시대와 학습자 요구의 변화에서 자연스럽게 선택되어질 수밖에 없는 최상의 언어 자료로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 목적이 다른 학습자들을 위해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언어 ∙ 문학 ∙ 문화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한 통합 중심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수업 방법은 학습 목적별로 학습 시 중점을 두어야 할 측면에 대해 중점적으로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학습 목적 중심 문학 교육 방법이다. 즉, KFL/KSL 학습자들에게 있어 문학 수업은 언어 학습과 더불어 학습자의 상황에서 요구되는 측면을 좀더 세심히 고려하는 수업이다. 유학생, 결혼이민자, 직업 목적 학습자 등 양적으로 많아지고 질적으로 높아진 학습자들의 요구 변화와 그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의 필요성은 통합 중심 문학 교육의 목표로 부합된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교육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논의하고 한국어교육과 문학 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다루고 있는 문학 작품을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특수 목적 한국어 교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장르별, 주제별 분포를 살펴보았다. 통합 중심 문학 교육의 문학 작품을 선정하기 위해서 초등 ∙ 중등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중에서 건국기와 제7차 교육 과정을 거치면서 세 번 이상 반복 수록된 작품을 조사하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 교육을 위한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자국인을 위한 국어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문학 작품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 작품으로 선정할 수 있는 이유를 높아진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수준을 자국인의 수준까지 상향조정하여 작품의 동질성을 갖게 되는데 이르렀다는 상관성을 제시하여 논의하였다. 한국어 학습의 목적이 다양해지면서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가 다양해졌고, 목표 설정에 대한 변화도 불가피해졌다. 이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국어과 교육 과정과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들의 교육 목표와 내용,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관련된 주제의 연구를 살펴 이를 바탕으로 문학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문학 교육의 목적과 목표 설정에는 언어 ∙ 문학 ∙ 문화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기본 목적을 세우고, 초급 ∙ 중급 ∙ 고급의 문학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보편적인 성격의 목표를 설정하고 각 학습 목적에서 요구되고 있는 부분에 대한 추가 목표를 제시하였다. 성공적인 한국어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기존의 언어 기능 습득 위주의 교수-학습에서 벗어나 언어와 문화, 문학과 문화를 통합 학습하여야 하며, 통합 중심 문학 교육은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문화 능력, 문학 능력을 함께 길러줄 수 있어 요구가 다양해진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는 통합 중심 한국어교육의 원리와 형식은 목표 설정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위해서 문학 작품의 한국어 교육적 효용성과 문학 작품 목록의 선정 원리를 논의한 후에 국어 교과서를 바탕으로 선정된 한국어 문학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목록을 학습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선정된 문학 작품 중에서 통합 중심 수업 방법을 위해 고급단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토끼전>과 <소나기>를 선택하여 언어 중심 교수-학습 방법, 문학 중심 교수-학습 방법, 문화 중심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문학 작품의 활용은 교수법에 따라 얼마든지 통합의 수업이 가능하다. 문학 작품을 통한 작품 속의 다양한 삶을 간접 체험함으로써 학습자는 더 넓은 시각을 갖고 자신의 삶에 대하여 능동적인 고찰을 해볼 수 있게 된다. 다양한 문학 작품을 통해 목표 문화를 경험할 수 있고, 이것을 지식이 아닌 자신의 삶, 생활 자체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될 때 비로소 진정한 언어 학습의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즉, 문학 작품을 통한 간접 경험은 학습자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통합 중심 한국어 문학 교육은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a language-literaryculture immersion learning method of Korean literary education which contributes in improving foreigners' Korean language ability with various intention of studying. The extent of literary education is very wide and various in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Given the fact that literary education has not been discussed fully and only partial study is making progress on the researches of using literary works as materials for culture education, using literary works themselves such as poem, novel, essay and tale etc, or using literary works as secondary linguistic materials, literary education doesn't seem to be formed groundwork yet. Accordingly, I introduce some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solutions on them. Being practical and significant materials for learning language, literary works have been given little attention for their importance. Some scholars argue that literary works little help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while they could help to improve reading skills. Other scholars asserte that culture in literature is just culture in the past days and stressful to students because of syntactic complexity, linguistic difficulty of colloquial structure and new vocabulary. These negative views may cause literary works not to be placed in their position. The method of education, however, has changed from teacher-centered education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learning purpose of student got various. This change stimulates leaners' motive and reinforces their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variables being reflected in teaching-learning method properly. Foreign Korean learners are getting reach a sense of accomplishment at a high standard, because their learning period gets longer by studying, working and marriage in Korea. Therefore they need more practical and integrated materials rather than simple educational textbooks. Literary not only fosters Korean learning and linguistic performance ability by grasping the meaning of a word from the context, but also shows nature of literary by metaphor and symbol. As ordinary language has changed to literary language, learners can not depend on dictionary to find the meaning anymore, and they have to elaborate the meaning expanding their imagination by applying background of works, characters, context and situations. Following this course, the literary ability of students comes up high. Foreign Korean learners want to experience more academic education rather than pragmatistic education for daily life to accomplish study goal successfully. Literary essays looks proper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for whom request more advanced education and for whom try to reach level of higher goal in studying Korean. Consequently, literary works will be selected as the best linguistic materials according to the change of learner's demand natural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ethod considering all situation of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by using various literary works for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goal from each other. This kind of methodology of teaching is known as a learning goal centered methodology focusing on giving classes classified by distinctive studying purpose. Namely, the class of literature takes own situation of learners in KFL/KSL into consideration more carefully. The goal of integrated education of literature corresponds to increasing demand of foreign students, immigrants or migrant worker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above reasons, I deals with basic matters including true meaning of education of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First of all, I classify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foreigners by general textbooks and textbooks with special purpose and analyze distribution according to genre and subject. For a reliable and objective analysis, I examine and select essays which listed more than three tim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rom national foundation era throug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s a literary works in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For selecting literary works in Korean learning for foreigners, I examined textbooks not for foreigners but for Korean students. The reason is, as I argue, that the learning standard of foreign students would be adjusted upward equivalent level with Korean students. At recent times when the goal of Korean language study has been diversified, learners demand also began to be various and need for the change of setting up became inevitable. For establishing goal of literary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 research education goals and contents of major Korean education institution which is charged with Korean education and curriculum. I set up basic goals first after due considering of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and then establish education goals of prim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respectively. Furthermore, I create general goals first and then additional and concrete goals as each learning goal is divided into details. For setting up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I base my arguments on the principles and forms of integrated Korean education. To develop one's language ability, integrated study of literary and culture is essential to avoid established teaching-learning methods focusing on acquiring linguistic skills only. The integrated literary education seems to be most effective methodology to learners who have diverse requirements for learning, for it can foster ability of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I also propose usefulness of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works for literary education. Then I suggest a list of literary works se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y learning steps. Among proposed works, "The Story of Rabbit" and "A Shower" were selected to propose 'linguistic 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culture 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literature 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tudents with advanced level. Using literary works makes integrated class possible depending on teaching method. Students can investigate their lives actively with broad point of view, experiencing various life in literary works indirectly. They achieve desired effect of language study when they experience specific culture through various literary works and accept it into their lives not as just knowledge. The indirect experience through literary works is valuable in motivating students.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integrated Korean literary education will be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which helps learner to achieve each learning goals and objectives.

      • 한국 근대시 형성과 漢文脈

        정기인 서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719

        본 논문은 한국 근대시 형성에 기여한 주요 문인들이 한문맥(漢文脈)의 자원을 활용하여 근대시를 창안했다는 데에 주목하여, 한국 근대시 형성과 한문맥의 연관성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한문맥’이란 한문이 속해있는 맥락, 즉 한문을 포함하여 그것이 속해 있고 나타내는 사고, 감각, 세계관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한 시인의 시에 나타나는 한시적 특성, 시론에 나타나는 유학적 사유, 그들이 쓴 한시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선택된 개념이다. 근대시 형성기 시인들은 표면적으로는 한문에 배타적이었지만, 그들은 이를 활용하면서 자신의 시론과 시를 썼고, 한시를 읽고 번역했으며 한시를 직접 쓰기도 했다. 특히 근대문학 형성기 문인들은 유년기에 한학을 학습하고 한시를 읽었기 때문에, 서구나 일본 근대문학을 수용할 때 이러한 한문맥의 관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구적 근대에 비추어 한국 근대시의 ‘근대성’을 추출하거나 언어 민족주의적 전제에 따라 ‘조선(어) 전통’만을 부각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근대시의 실상에 비추어 한국 근대시의 독특한 ‘근대성’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거의 주목되지 못했던 한문맥과 한국 근대시 형성이라는 주제에 주목이 필요하다. 근대시 형성기 한문맥은 단지 조선의 한문전통만이 아니라, 식민지 조선이라는 상황 속에서 일본의 한문맥까지 포함하는 매우 복합적인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한문맥이라는 중층적이고도 거대한 맥락을 제한된 분량 속에서 모두 서술할 수 없으므로, 구체적으로 첫째는 시론(문학론)에서 어떻게 한문맥적 개념들이 논리적 계기로 전제되어 있고 활용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둘째로는 그들의 국문시가 한문맥의 이미지나 한시적 특성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고, 이들에게 한시는 무엇이었는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근대시 형성에서 한문맥적 요소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실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제II장은 근대시 형성기에 한문맥 문화관습이 어떻게 지속되고 활용되었는지를 해명하려 했다. 이의 배경으로 당대 한문 교육의 비중과 그 의미를 설명하고, 한시가 융성했던 상황을 밝혔다. 이를 통해 한문맥은 박제된 전통이 아니라, 한편으로는 구문맥을 수용하고 번역하면서 갱신되는 중이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문으로 번역되면서 국문을 풍요롭게 만들었던 사정을 검토했다. 제III장은 최남선과 이광수의 문학과 한문맥의 관계에 대해서 해명하였다. 최남선과 이광수는 한문맥의 이념을 활용했다. 최남선은 ‘입지(立志)’나 ‘성(誠)’과 같이 한문맥의 존숭받는 개념을 사용하고 과거의 권위를 공개적으로 이용하면서 계몽의 논리를 펼친다. 그는 어수와 구수의 정형을 인식하면서 어수를 고정한 채 4행씩 2연이나 8행씩 2연 구성으로 대부분의 국문시를 쓴다. 특히 근체 한시를 본격적으로 <<청춘>>에 게재하기 시작하면서, 그의 국문시 또한 4행 4연 7·5조를 기본형으로 하는 국문 정형시로 수렴된다. 그는 시를 ‘읽는 시’와 ‘노래하는 시’로 구분하면서, 노래하는 시는 창가나 시조형식으로 썼다면, 읽는 시는 다양한 음수율과 운을 한시 번역을 토대로 실험했다. 최남선은 한시의 형식을 강하게 의식한 신체시 형식을 창안하지만, 조선적 특수성에 대해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지는 않는다. 그는 “인자요산(仁者樂山), 지자요수(知者樂水)” 그리고 “서자(逝者)로서의 물”이라는 한문맥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국문시를 창작했다. 이는 최남선이 지속했던 ‘문(文)’의 이념하에서는 당연한 귀결로, 열심히 수양하자는 계몽적 의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문맥의 이미지와 상상력을 활용한 것이었다. 이는 일제의 국권침탈 이후, “인자요산”을 바탕으로 한 준비론적 수양론의 상상력을 토대로 조선의 특수성을 강조할 수 있는 산의 이미지로 변화된다. 이광수는 표면적으로는 기존 한문맥과의 단절을 주장했지만, 근본적으로 ‘사(士)’의 이념을 지속했다. 그는 ‘광이충지(擴而充之)’ 등의 한문맥의 개념을 그대로 사용했지만, 이들의 권위를 공개적으로 이용하지는 않는다. 또 기존 한문맥에서 배척당한 ‘정(情)’을 주장했지만, 실상 그 논리는 기존의 ‘양성(養性)’의 내용이었다. 즉 최남선은 적극적으로 한문맥을 다른 문맥들과 병치하면서 다른 문맥들을 한문맥을 바탕으로 이해하려고 하였다면, 이광수는 표면적으로는 한문맥을 거부하였지만, 그 거부의 논리 속에는 한문맥이 계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광수는 한시 형식을 차용한 언문풍월을 쓰고, ‘송(頌)’, ‘송(送)’, ‘악부시(樂府詩)’ 등 한시 형식을 국문시로 실험했지만, 이 실험은 지속되지 못하고 조선어의 특수성에 대한 이론적 인식도 개진하지 못한다. 그리고 “문장보국(文章報國)”을 내세우면서 기존의 ‘士’와 ‘文’의 이념을 자신의 한시에 담으며, 자신의 국문시에도 표출했다. 최남선과 이광수의 시는 개인적인 내면의 고백이나 풍경의 발견이 아니라 선재해있는 문의 이념을 바탕으로 형상적(figurative)인 물의 이미지를 그리거나(최남선), 사의 이념을 바탕으로 시적 자아를 구성하고 있었다(이광수). 즉 이들은 개성적인 자아의 내면이 아니라, 선재한 이념을 표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제IV장은 김억의 문학과 한문맥의 관계에 대해서 해명하였다. 김억은 개성적인 문학을 옹호하며 언어 자체의 심미성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다는 점에서 문이재도론(文以載道論)을 벗어나며, 서구 낭만주의적 문학론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 그럼에도 그는 ‘천리(天理)’나 ‘사무사(思無邪)’와 같이 한문맥에서 존숭받는 개념을 전유하며 논증했다. 김억은 개인적인 서간에는 한시를 써서 지인들에게 보내며, 한시의 형식을 그대로 국문시로 전유해서 썼고, 한시를 번역하는 것이 낙이라고 고백했다. 그는 800여 편에 달하는 한시 번역을 하면서 이것이 어떻게 하면 조선(어)에 적합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여, 한시에 강력한 영향을 받은 ‘조선적 근대시’ 형식인 격조시형을 창안했다. 김억은 근체시의 언술 구조인 대장(對仗)구조를 그의 초기 시부터 1920년대 시까지 반복하며 이러한 대의 구성으로 개인의 내면을 포착했다. 앞서 최남선과 이광수의 시에서는 선재하는 문과 사의 이념이 시에서 나타난다면 이제 김억의 시에서는 그러한 선재하는 이념이 자아를 굳건하게 지탱하지 못한다. 그의 시적 자아는 “지평의 상실”로 인해 ‘해파리’처럼 의지할 곳 없이 유랑할 뿐이다. 아무런 방향성 없이 외부의 힘에 몸을 맡기는 해파리라는 상징은, 정체성을 굳건히 지탱하던 기존의 외부적 가치 지평 상실에 따른 정체성 혼란의 이미지를 포착한 것이다. 그럼에도 그러한 내면은 여전히 한문맥적인 대의 구성과 특히 자연과 인간의 대비를 통해서 포착된다. 제V장은 김소월의 문학과 한문맥의 관계를 해명하였다. 그는 ‘정성위음(鄭聲衛音)’과 같이 기존 한문맥에서 부정되던 개념을 오히려 긍정적 의미로 사용하며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고, 「시혼」에서 한문맥을 심층적으로 구문맥과 국맥과 결합하여 변형했다. 소월 또한 한시를 번역하면서, ‘정성위음’적 성격을 강화하려고 노력했고, 한시의 형식을 바탕으로 국문시를 실험했다. 또 유배객의 심정을 담은 한시를 번안하고 이에 기반을 둔 국문시를 써서 망국민의 설움을 유배객이라는 한문맥의 주요한 전통에 기대어 표현했다. 김소월은 영원한 것과 변화하는 것, 그리고 빛과 그늘이라는 각기 구문맥과 한문맥 그리고 국맥이 상징하는 핵심적인 세계관의 충돌을 동력으로 삼아서 시를 썼다. 그의 국문시에는 한시의 영향이 세계관의 차원에서 하나의 원천으로 작용했다. 또 김억이 형식적인 대의 구성을 통해 개인의 내면을 드러냈다면, 소월은 심층적으로 영원한 것과 변화하는 것의 대립을 통해서 개인의 내면을 드러냈다. 본 논문은 기존의 한국문학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근대시 형성과 한문맥의 관련성을 고찰했다. 이렇게 근대시 형성과 한문맥의 관계를 해명한 작업은 한반도의 문학사가 한문 문학과 국문 문학의 상호교섭으로 이루어졌다는 장기적 안목을 근대 이후로까지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다. 이러한 한문맥, 구문맥, 일문맥, 국맥을 뒤섞으며 이를 원천으로 삼아 풍요로운 시들을 창출해 낸 것이야말로, 한국 근대시의 ‘근대성’을 특징짓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사상과 문학을 소개하면서도 문과 사의 이념에 근거해서 시를 썼던 최남선과 이광수, 낭만주의적인 개성적 문학을 옹호하기 위해 한문맥의 개념을 전유한 김억, 구문맥, 한문맥, 국맥의 세계관의 긴장과 갈등을 샤먼이라는 국맥의 방법론과 노래의 정신을 바탕으로 풀어낸 김소월, 이러한 특징들은 한국 근대시의 ‘근대성’과 그 풍요로운 맥락들을 잘 보여준다. 한문맥을 방법으로 하여, 구문맥과 한문맥을 상대화하고, 내재적으로 한국 시사를 재구성하며, 잊혔던 실험들을 복원하는 것, 이를 통해서 한국 시사를 서구중심주의나 조선(어) 민족주의를 넘어서 복수의 근대를 복원하며, 나아가 동북아 한문 문화권의 유사와 차이를 견줄 수 있는 길이 생길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 현대문학사의 시대구분 비교 연구 : 남한과 북한, 중국조선족 문학사를 중심으로

        전월매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통해 남북분단의 불구성을 진단하고 치유하고 극복하며 이데올로기의 건강성을 가능한 한 세워보는 작업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를 지나 광복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사 시대구분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미천한 상태이다. 그동안 다양하게 논의되지 못했던 이유는 일제 강점기와 분단 이데올로기 속에서 이에 대해 연구하는 것 자체가 경계되고 억압되었기 때문이다. 분단 이데올로기 속에서는 편파. 왜곡, 축소되는 기형성을 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남북한 사람들이‘공존할 수 있는 땅’인 중국조선족의 터전인 만주벌에서 태어나 수십 년 민족문화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민족교육을 받아온 본인은 남북한간의 문화적인 이질성과 동질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지리적인 위치에 있어 중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정체성으로부터 출발하여 삼국의 대표적인 한국문학사를 선택하여 시대구분의 비교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저술된 문학사들을 통합하여 시대구분의 근거로 되는 왕조교체과정, 이데올로기 변동, 구조적변이 등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왕조교체는 문학과의 큰 연관성이 없이 외부적 조건인 왕조 변동과 역사교체, 사회발전단계에 따라 일반적인 사회정치적 관점으로 획분된 시대구분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김사엽, 권영민, 김병민을 들 수 있다. 왕조교체에 의한 시대구분론은 왕조교체에 따른 것이기에 시대경계를 분명히 해두는 데 번거롭지 않고 편리하기에 아직도 큰 권위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문학과 큰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설득력을 가지기 어렵고 고전문학에는 적용이 많이 되는 반면에 현대 문학에는 어려우며 더불어 동일한 시대에 분단된 국가에 대한 문학기술에 대한 난제를 안고 있다. 이데올로기의 변동에서는 당 정책의 입장과 이념적 편향이 그대로 문학사에 관철되는 북한의 문학사와 김윤식과 김현의 문학사가 여기에 해당된다. 북한에서 나온 문학사의 경우 문학사가 씌어질 당시의 당 정책의 입장과 이념적 지표가 문학사 기술에 선명하게 반영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것은 물론 문학창작과 문학비평 및 문학연구가 철저히 당 정책에 복속되어 있는 북한문학의 특수성 때문이다. 김윤식, 김현은 이제까지의 시대구분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지니는바, 문학사를 고전과 현대로서 다루던 이원론적 관례를 청산하고 근대의식의 성장에 따라서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하였다. 과거 문학사의 한계인 서구화 논리를 근본적으로 문제를 삼는 진지한 성찰과 날카로운 시각을 겸비하고 있다. 구조적 변이에서는 조동일의 문학사를 들 수 있는데 그는 첫째, 둘째, 셋째 등으로 순서를 정해주고 원시, 고대, 중세전기, 중세후기,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근대로 구분하였으며 각 시대의 특징과 문학이 시작된 기점을 분명하게 드러내였다. 시대구분에 있어서 문학을 문학행위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 문학과 사상, 문학과 사회를 함께 이해할 수 있는 통괄작업으로 시간, 담당층, 갈래의 세 가지 축을 입체적으로 생각해보자는 제안에 기초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어 시대구분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현대문학의 기점설을 분석하였다. 백철은 1924년 신경향파의 등장이후를 현대문학으로 파악하고 현대문학의 성격을 프로레타리아 문학으로 규정하였다. 조연현은 순수문학을 현대문학의 성격의 중심으로 설정하여 현대문학을 1930년대 초부터 출발시키고 있다. 그들의 현대문학 기점설은 모두 설득력이 없으며 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오세영과 김용직은 한국 모더니즘 시로부터 현대문학의 기점을 잡아 1930년으로 보았다. 권영민은 해방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응하여 1945년을 굵은 선으로 그었다. 문학사 서술에서 개인이 주체가 되는 남한의 경우, 대부분 한 개인의 착상에서 시작되는바 학자들은 논쟁이 분분하고 그 견해차이도 많아 시각이 다각적이고 학문적 깊이도 있지만 서로서로가 설복하지 못하고 통합된 의견을 모으기 어려운 딜레마 속에 빠지기 쉽기에 기본적으로 계급결정론이나 사회학주의적 경향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것이다. 북한의 사회과학연구소에서 나온 문학사를 보면『조선문학통사』(1959)는 사회 경제 구성상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1945년을 현대의 기점으로 잡고 있고『조선문학사』와『조선문학개관』은 1926년 10월 17일, 김일성이 공산주의적 혁명조직인‘타도제국주의 동맹(ㅌㄷ)결성을 현대문학의 기점으로 잡았는데 이는 현재 북한의 공식입장이 되고 있다. 조직적 토론을 통해 집단적으로 저술되는 북한의 경우, 현대문학의 1945년으로부터 1926년으로의 시점변화는 사학계의 이론을 충실히 적용하고 있는 셈이다. 북한의 문학은 당의 정치적 방향에 따라 지침에 따라 완전히 굴복되어있다. 중국조선족인 박충록은 현대문학의 기점을 1926년으로 잡았고 김병민은 현대문학의 기점을 1919년으로 규정하였다. 중국의 교육정책 하에 중국 땅에서 민족문학교육을 하고 있는 중국조선족의 경우, 이념적 친화성으로 1980년대까지 북한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으나 수교이후 최근에는 남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점을 설정하게 된 이유나 이론이 충분하지 못하고 학문적 심도가 깊지 못하다. 두 모국의 문학사 영향을 많이 받아 그대로 계승하거나 수용하는 억지도 없지 않다. 끝으로 이러한 시대구분론이 갖는 중국조선족에서의 한국문학 교육적 의의와 금후 한국문학방향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그동안 중국 조선족이 기술한 시대구분은 연대기로서 10년 단위의 역사적설정안에서 문학은 작품의 변모를 살피는 것으로 지식전수의 목적으로 나열된 시대구분이어서 문학사의 내적인 변모와 사회사와 문학사의 상호 관계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의 문학사의 시대구분은 효과적인 문학작품의 이해와 감상을 위한 배경지식 뿐만 아니라 문학의 시대적 변화를 설명하는 지식으로서 학습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 문학사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라보는 관점을 확립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금후 중국에서 한국현대문학 교육은 한반도의 우수한 현대문화와 문학을 광범위하게 소개하고, 중국조선족문학사도 남북한 통합문학사의 한 각론으로 삼으며 문학교수를 통한 민족정체성확립을 진행해야 할 것이라는 과제를 제기하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처음에 필자는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남북한과 중국조선족을 아우를 수 있는 현대문학사의 통합적 시대구분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으나 본인의 역량부족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게 되었음을 아쉽게 생각하며 차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 현대소설의 기독교 사상 연구 : 해방전 작품을 중심으로

        최재선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박사

        RANK : 250703

        본 논문은 해방 이전 현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을 연구하여 그 내용적 특성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해방 이전 기독교문학의 특성과 의의를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기독교문학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 의도이다. Ⅰ장에서는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기독교문학의 개념과 범주를 정리하고, 연구방법을 제시했다. Ⅱ장에서는 해방 이전 기독교 사상의 특징을 정리하여 작품 이해의 배경으로 삼고, 신소설 이후 기독교를 수용해 작품화한 현대소설을 통시적으로 정리하여 한국 기독교소설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해방 이전 현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의 제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소설의 작가와 주제와 담론을 연계적으로 고려하여 작품을 해석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연구 대상 작가들은 이광수, 김동인, 전영택, 박계주 등의 순문예주의 작가들과 경향파 작가들 가운데 기독교 관련 소설을 창작했던 박화성, 주요섭, 이기영, 김남천 등이었다. 이들의 작품을 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주제의식을 검출하고 그것을 통해 작가의 기독교 인식 및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의 특징을 구명한 후 기독교문학으로서의 의의를 살펴 보았다. 작가의 기독교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광수의 기독교 소설에는 인도주의적 기독교 사상이 나타나고 기독교를 통해 자아의 각성과 민족의 계몽을 추구하고자 하는 작가정신이 나타난다. 김동인의 기독교 소설에는 실존주의적 기독교 사상과 귀의의 욕망이 나타난다. 전영택의 경우 신앙의 인격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평등과 사랑을 추구하는 인격주의적 기독교사상과 참다운 신앙을 추구하는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박계주의 작품을 통해 발견되는 것은 神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신비주의적 기독교사상이며, 이러한 경향은 작품 속에서 아가페적 절대의 사랑을 실천하고 있는 주인물들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경향파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은 왜곡되거나 부정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들은 기독교 사상과 교리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여 작품화하기보다는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기독교의 모순과 부패의 일면, 직접적으로 현실을 개혁하지 못하는 모습 등을 비판한다. 이는 그들이 기독교를 종교로 인식하기보다는 사회주의 사상에 반대되는 이데올로기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 중에서 카프의 이론가인 김남천이 기독교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작품화한 것은 의미있는 것으로, 작가의 체험이 문학의 형상화에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Ⅳ장에서는 지금까지 고찰한 작가·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종합하여, 해방 이전 현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의 특징과 기독교문학으로서의 작품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해방전 기독교 소설 가운데에는 기독교 사상이 부분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그러한 것들은 기독교만의 독점적이고 고유한 것이라기보다는 기독교 이외의 다른 종교의 철학·사상·윤리관을 함께 포함하고 있어서 엄밀한 의미에서의 기독교문학이라고 규정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광수 문학이 이에 해당되며 김동인의 작품에서도 해당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한국적 상황을 고려할 때 그러한 작품들 역시 한국기독교문학 형성기의 과도기적 모습으로서 의미를 부여하고 각각의 작품 속에 담겨진 기독교 사상을 추출하여 한국기독교문학의 사상적 특징으로 이해하는 것이 통전적으로 문학사를 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전영택의 경우 기독교적 사유를 바탕으로 작품을 창작했기 때문에 기독교 사상이 비교적 온전하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기독교적 상징의 모형이 작품의 주제의식을 심화시키고 있다. 박계주의 소설도 플롯 상의 우연성과 구성의 미흡함이 있지만 기독교 사상이 작품의 주제를 형성하고, 작품의 원형으로 성경적 모티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기독교적 언어가 성서에 전거(典據)하고 있어서 기독교문학으로서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기독교문학의 창작은 작가의 종교적 신앙과 함께 이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 방법이 갖추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검토하고, 해방 이전 한국현대소설의 기독교문학으로서의 가능성과 의의 및 한계를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의의와 한계밝히면서 마무리 한다. 해방 이전 한국현대소설에 있어서 기독교문학의 가능성과 한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한국문학과 기독교와의 관계에서, 기독교가 한국사회와 문화적 측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과는 달리 한국의 신문학에 미친 영향은 미미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창작된 기독교 소설들은 기독교문학의 본질을 이루는 기독교 사상의 심화과정을 밝힐 수 있는 단초가 되며, 나아가 한국기독교문학의 始原을 이루는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부족하지만 한국문학의 주제를 형이상학적인 세계로 승화시키고, 인간과 신의 문제, 죄와 구원의 문제 등을 문학의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문학이 이루어야 하는 문학과 신앙의 조화가 미약하고, 언어의 깊은 상징성이 부재하며, 문학적 기교가 부족한 면이 이 시기 기독교문학 형상화의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ontents and literatary features of Christianity expressed in the Korean Modern Novels written before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help set up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 Literature. In chapter I, have examined the concept and boundary of Christian Literature and studied whether the works studied in this thesis are included in the case to the point or not. In chapter Ⅱ, as a preliminary knowledge for main study, I have studied the chatacteristics of Christianity before the year of 1945 and diachronic investigation of Korean Christian novels. In chapter Ⅲ, I have studied various aspects of Christianity described in novesls written by Lee Kwang-soo, Kim Dong-in, Chun Young-taek, Park Gae-joo and such a few tendency writer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Park Hwa-sung, Joo Yo-sub, Lee Ki-young, Kim Nam-chun. The first part of each section is a biographical sketch of each writer for the purpose of right comprehension of his christian novels. The second and third part deal with the contents and literary formation of novels. The method used in this thesis is doing a relational study of novelist, theme and discourse for the comprehension of novel.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ity expressed in each writers novel are as follows: In christian novels of Lee Kwang-soo, humanitarian Christianity appeares and the self-realization through christianism and the spirit of writers which was in pursuit of national enlightenment are expressed in his novels such as {Moojung}, {Jaesang}. In his novels, Christianity is considered as a new thought for the individual and national development. He understands Christianity in the respect of Pan-religion. Thus Christianity in his consciousness does not collid with Buddhism and folk belief. So in his novels, Christianity appeares mixed with the form of uddhism and the main character of novel expresses his desire for becoming a believer in Buddhism in the face of inner crisis and conflict. In Kim Dong-ins christian novels, existential Christianity and the desire for embracing Christianity appeares. His personal circumstances are related with Christianity. He grew in christian family. His christian novels dealt with inner conflict of christian character and the conflict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or tradition. He often quoted from the Bible, but sometimes twisted the meaning of the biblical passage for the purpose of satirizing corrupt Christianism. In 1930s, however, he wrote changing aspect of personal faith in relation with ultimate problems of human existence. He concealed his sub-consciousness of embracing Christianity in the back of persona as a novelist. Above all, he recognized christianism as an important subject for Korean novels and described various christianlike or christless characters in his christian novels. Such novels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christian Literature. Chun Young-taeks christian novels expressed Christianity of personality and he showed writers mind of pursuing true christian life. As a novelist and minister of a methodist church, he wrote novels on the basis of Christianity. The themes of his novels were like these: love, sacrifice, forgiveness, etc. He wrote true christian life by means of describing characters and used christian symbolic language. But as his most novels are short-story, they couldnt develop theme. In spite of this fault, it was very significant to find authentic element of Christianity in his novels. Park Kae-joos christian novels expressed mystic Christianity and he showed writers spirit of pursuing christlike love. In his novel, {Soonaebo}, christlike love was expressed by a few protagonists and antagonist and showed renewed life through the repentance of sin. As the language of this novel, blood-giving motif and the symbolic meaning of redemption are based on the Bible, this novel was one of the representitive christian novels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In addition, this novel inspired patriotism into the heart of people by means of revealing the unjustice of Japanese invade of Korea and criticized Japanese colonial policy. I have studied tendency writers view points of positive or negative comprehension of Christianity through the novels. They looked upon Christianity as a certain ideology in the respect of socialism and criticized it on the ground that Christianity couldnt improve the conditions of colonial reality and exploit the people. They quoted the verses of the Bible only to satire hypocritical christians and corrupted Christianism by dint of allegoristic and paradoxical tone. The subject matter for criticizing Christianity was various from taking a skeptical view of divine providence and unbelief of Christianity to christless faith of christian who had a certain position in church. To my surprise, Kim Nam-chun who represented KAPF expressed positive viewpoint on Christianity and positive influences of Christianism which gave rise to civilization of Korea and of foreign missionary in the memory of his childhood. In chapter Ⅳ,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ity expressed in Korean Modern Novels before the year of 1945. And studied the meaning of them as a christian Literarture. In chapter Ⅴ, I could reach the conclusion. Above all, as the influence of syncretism in Korean religious tradition, it was hard to find genuine Christianity in Korean novels. Also, as christianty was accepted as a ideology to be able to improve national circumstances and to develop the state fo Korean people, there was no concret and deep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in the true sense of the religious meaning. For this reason, christian novels in those times didint show profound thought of Christianity. In addition to this conditions, since Christianity was not accepted as a writers sense of value and the view of the world, there had much to be desired to write a Christian Literature, christian arcytype, symbol, and allegory. Nevertheless, these christian novels written in this times played important roles to show the process of forming the Christianity which formed the thematic charateristics of Christian Literature. Such christian novels studied in this thesis had a few significant meanings in that they could cultivate, multify and magnify the theme of Korean literature into the metaphysical problems of God and human beings, and of the sin and salvation.

      • 『문학과지성』의 이론적 기반과 미학적 실천

        인아영 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theoretic basis and literary practices of Moonhak-kwa Jisung (Moonji) (Literature and Intelligence), one of the leading Korean literary magazines of the 1970s. The first step of this thesis is to focus on the standpoint regarding Moonji as the coherent embodiment of literarism or aesthetic autonomy, based on the mistake accrued in preceding researches that resolves the theoretic root of Moonji in French structuralism. This point of view not only results in 1970s literature reverting to the 1960s literary controversy between Changbi and Moonji , or “participation literature” and “pure literature,” but also overlooks that Moonji was a dynamic field in which diverse stances struggled with one another.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theoretic basis of Moonji as composed of various foreign theories, such as French structuralism,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and literary sociology. In addition, this work attempts to examine the theoretic basis that contributed to forming the intrinsic aesthetic standard of Moonji connected to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middle and late 1970s. Restoring theoretic basis would help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period. To achieve these ends,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focuses on the meaning of Moonji accepting Western Europe theory in the context of 1970s Korean literature. The increasingly vocal critics of the 1970s criticized the existing literary circle for their impressionist criticism and accepted foreign literary theory as the inevitable measure that enabled objective reflection on the problems in the Korean literary field. For Moonji, the meaning of “foreign” signified “Western Europe,”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a spiritual homeland, in contrast to “the United States,” which was considered materially wealthy, with a culture of consumption. Although French structuralism and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have developed respectively in the Western history of intellectual movements, Moonji accepted the two in the same period because the critical mind must introspect and analyze Korean society and Korean literature objectively. Additionally,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fact that French structuralism was accepted as the scientification of literary study or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rather than the method of literary criticism, and it was applied to Kim Yoonsik and Kim Hyun’s Korean Literary History (1972–1973), the literary practice of Moonji that was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texts regarding structuralism in early Moonji were the main writings that criticized Sartre’s existentialism. Meanwhile, in the middle and late 1970s, writings increased remarkably in Moonji that emphasized structuralism not as a literary trend, but an objective methodology of literary criticism. However, structuralism was barely applied to literary criticism individually.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Moonji’s involvement with structuralism was not only related to aesthetic autonomy along with the French literary field, but also, more importantly, to the literary,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in Korea at the time. Moonji accepted structuralism not as a methodology for literary criticism, as Moonji ostensibly insisted, but as a sort of modernization discussion alongside terms such as “objectivity” or “literary science.” It was an abstract discussion for a literary theory, but it had an opportunity to take concrete shape when connected to Lucien Goldmann’s genetic structuralism applied to Kim Yoonsik and Kim Hyun’s Korean Literary History (1972–1973). The fourth chapter of this work analyzes the fact that Moonji’s interest in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originated from the attempt to introspect regarding the status and the meaning of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from Marxist social criticism or the resistance to the dictatorial government. As of the late 1970s, a mid interest in an industrial society and mass culture in the academic world, Moonji accepted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in earnest. Among the critics and writers of Moonji, they easily agreed on an industrial society; however, their perspectives on mass culture was different, since the mass culture served as momentum to contemplate the status and role of Korean literature in an industrial society. It appeared in Kim Hyun’s The Evolvement and Coordinate of Korean Literature, which defines “real” literature as critically reflecting the suppression of society, creating distance from both “participating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This standard became the grounds on which critics such as Kim Byung-ik, Kim Chi-soo, and Oh Sang-geun spoke highly of the literature, which criticized an industrial society. 이 논문의 목적은 1970년대 문학 계간지 『문학과지성』(이하 『문지』)의 이론적 기반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당대의 문학 장 속에서 어떠한 문학적 실천으로 이어졌는지 밝히는 것이다. 본고는 『문지』가 문학주의 혹은 언어의 미적 자율성을 일관적으로 옹호했다고 보는 시각이, 『문지』의 이론적 뿌리를 프랑스 구조주의로 환원하는 오류에 근거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러한 시각은 1970년대 문학 장을 『창작과비평』 대 『문지』 혹은 정치성 대 문학성으로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문지』가 여러 필진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길항하는 역동적인 장이었다는 사실을 간과하게 한다. 따라서 본고는 『문지』의 이론적 토대가 단지 프랑스 구조주의라는 단일한 요소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 및 문학사회학 등 여러 이론적 입장과 상호작용하였다는 사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문지』의 고유한 미학적 기준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형성된 문학관이 1970년대 중후반의 소설비평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지』의 외국이론 수용에는 1970년대 비평가들의 고유한 사상적·문학적 지향 및 한국문학에 대한 문제의식이 짙게 깔려있기 때문에 이를 복원하는 것은 1970년대 문학의 실체와 그 문학사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고의 2장에서는 1970년대 문학 장 속에서 『문지』가 외국이론, 그 중에서도 서유럽의 이론을 수용한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1970년대 신진 비평가들은 1950-60년대에 월간지를 중심으로 권력화된 기성문단이 주관적인 인상비평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그 극복방안으로써 외국의 문학이론을 수용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있었던 『문지』 역시 「창간호를 내면서」부터 한국사회 및 한국문학의 병폐로 ‘패배주의’와 ‘샤머니즘’을 제시하며 문학에 대한 객관적인 성찰과 분석을 가능케 하는 외국이론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때 『문지』에게 있어 ‘외국’이란, 당대에 물질적인 풍요와 소비문화라는 이미지로 수렴되었던 미국과 달리 정신적 고향이자 비판적 이성(理性)의 현현으로 여겨졌던 서유럽이었다. 서구지성사에서 프랑스의 구조주의와 독일의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은 거의 교류를 맺은 바 없이 각각 발전해왔지만, 『문지』는 한국사회와 한국문학을 객관적으로 성찰해야 한다는 문제의식과 그 극복방안으로 여겨진 비판적 이성에 대한 지향 아래 두 이론을 동시기에 수용했던 것이다. 3장에서는 『문지』에서 구조주의가 문학비평의 방법론이라기보다는 문학연구의 과학화 및 근대화담론으로서 수용되었으며, 이것이 1972-1973년에 연재되었던 김윤식, 김현의 「한국문학사」(7-14호)를 통해 근대문학사 서술이라는 문학적 실천으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문지』에 제출된 구조주의 관련 텍스트들은 초기에는 롤랑 바르트를 통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를 직접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1970년대 중후반에 이르러 구조주의가 사조가 아닌 방법론으로서 수용되었다는 입장으로 선회한다. 그러나 『문지』에서 구조주의는 문학비평의 형태로 거의 실현되지 않았다. 그 까닭은 구조주의가 문학연구를 객관적인 과학으로 자리매김하려는 기획, 그리고 당대의 근대화담론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문지』의 구조주의 수용은 내재적 발전론과 함께 문학사에 대한 관심이 대두된 1970년대의 분위기와 조우하여, 김윤식과 김현의 「한국문학사」로 결산되었다. 「한국문학사」는 루시앙 골드만의 발생론적 구조주의라는 방법론을 통해 한국만의 개별적인 근대문학사를 서술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주변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골드만의 구조주의는 『문지』가 한국근대문학이라는 개념을 1970년대식으로 설정하기 위한 일종의 조주(助走)였던 셈이다. 본고는 이를 통해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언어화해야 한다는 『문지』의 고유한 미학적 기준이 태동했다는 점 또한 밝히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에 대한 『문지』의 관심이 마르크시즘적인 사회비판 혹은 당대 독재 정권에 대한 저항적인 인식에서 비롯하였다기보다는 한국문학의 위상을 성찰하기 위한 시도에서 비롯하였다는 점에서 『문지』가 구조주의를 수용한 이유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가설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 수용을 통해 정리된 ‘문학’의 정의 및 외연이 1970년대의 구체적인 문학작품에 대한 현장비평으로 이어졌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산업사회와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인문사회학계 전반에 고조되면서 『문지』도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 이때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는 필진들이 비교적 뚜렷한 합의점에 이르고 있는 것과 달리 대중사회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는데, 이는 그만큼 대중문화가 『문지』의 촉수를 건드리는 주제였기 때문이다. 대중문화는 산업사회 속에서 존재하는 한국문학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서 새롭게 고찰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김현의 「한국문학의 전개와 좌표」(22-28호)로 이어졌다. 이 글은 참여문학과 대중문학이라는 두 영역과 비판적 거리를 둠으로써‘사회의 억압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문학’을 ‘진짜’문학으로 새롭게 정의한다. 문학이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억압을 반성케 해야 한다는 입장은 1970년대 후반 김병익, 김치수, 오생근 등의 비평가들이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보인 문학을 고평하는 근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1970년대 문학 장에서도 통용되는 비평적 기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한국 근대 퀴어 서사의 계보학

        백종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tore the emotion and desire of queer existence within modern Korean literature not yet fully dealt with in treatments of its literary history. By capturing the original moment when the Korean literary field was reorganized heterocentrically, this thesis focuses on proving that the heteronormativity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is not natural. Through this, this thesis will (re)invigorate the politics of Korean literature and make the act of reading Korean literary works of the past into a political act (again). With the recent social visibility of the queer community, the longing of queer people to find “a sample” to prove their existence within literary works of past grows increasingly more intense. In response to this desire to discover traces of past queer existence, this thesis attempts to write a new “history of Korean queer literature” by recovering the rightful voice of queer people represented in narratives from the 1910s to the 1940s. This thesis seeks to redefine the period from the 1910s to the early 1920s as “The Era of Queer Narrative.” The male youth of this period was represented as a pioneering spirit of the times, leading Joseon into a civilized society, as an emblem of hope pushing history constantly forward. In addition, a “love” among male youth, a form of sympathy, was actively demanded by society. At the time, on the argument from many intelligentsia-literati that civilization was differentiated from barbarism depending on the non/existence of sympathy towards others, male youth possessed the potential to become pioneers of civilization and emblems of futurity (only) by exchanging a “sympathy=love” with each other. Male youths from “The Era of Queer Narrative” confirmed their “sympathy=love” towards each other with physical contact such as hugging and kissing, on the basis of which they constructed an Emotional-Community. The Emotional-Community was a community formed by male youth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through the exchange of “sympathy=love,” in order to continue to provide emotional momentum for progress towards a civilized society. In addition, literary form, such as novels and epistolary texts, performed the role of teaching the codes of “sympathy=love” to male youth. In particular, the explosion of epistolary texts in “The Era of Queer Narrative” greatly influenced the spread of the notion that expressing “love” among friends of the same sex adhered to the correct writing convention. In the process of these repetitive citations of “love,” however, “love” could be cited against its original intention, and “love” among male youth always had a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converted into romantic love, that is, queer emotion. In this way, if there is a close continuity between the “love” among male youth and queer emotion, the foundation of the Emotional-Community was indeed queer emotion, therefore the Emotional-Community of “The Era of Queer Narrative” might be defined as a Queer Emotional-Community. And through this, all texts expressing a male’s “love” towards another male can also be placed provisionally within the genealogy of the queer narrative. However, while the Emotional-Community of “The Era of Queer Narrative” required a male-oriented same-sex “love,” it also forbade male youth from expressing their romantic love, namely, queer emotion, to another male. It was because constructing this Emotional-Community required “loves” as a plurality, with many members within the community, not a singular and exclusive “love” with only one person. Thus, this “love” was a contradiction in terms: in the face of such a command to “love,” yet not romantically, the male youth had to control their desires in order not to “deviate” into queer desire. Novels from “The Era of Queer Narrative,” which did demonstrate a same-sex intimacy, performed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letter, while also revealing the cracks in its façade. Meanwhile, after the mid-1920s, Western sexology and discourses on homosexuality were introduced to Colonial Joseon via Japan. The trends in sexology of that time held the belief that heterosexuality was the foundation for social progress, and it described sexual practices such as sodomy as a sign of racial inferiority to define primitive and barbaric existence. As a result, this assemblage of heterosexuals as civilized and homosexuals as barbaric began to take effect even within the single country of Korea. The behaviors of holding hands or rubbing cheeks between men became regarded as a token of the “homosexual=barbarian.” In other words, in “The Era of Queer Narrative,” physical contact among men, which had been a bodily act meant to arouse the will to progress towards a civilized society, now became a bodily act that put men at risk of being stigmatized as a “barbarian” without a future, that is, an outsider within, with an acceptance of the current discourses on homosexuality. Thus, the status of literary representation of same-sex intimacy was reversed: from “civilization” to “barbarism,” after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international discourses on homosexuality. As a result, to avoid any “misunderstanding” that they represented homosexuality, and not to be “misconceived” as homosexuals themselves, writers consciously endeavored to exclude a depiction of same-sex intimacy. Furthermore, this necessity was closely related to a longing of the intelligentsia-literati for occupying and retaining their status as a transmitter of knowledge and a disseminator of thought. The long-standing belief in the “politics”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that they could and should transform society through literature, solidified the position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as homophobic. From the mid-1920s to the 1940s, after the discourse against homosexuality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in Korea, the queer narrative was repressed, refracted or concealed into three different forms. These were (1) queer narrative as a personal and historical reminiscence looking “back” on the situation where one’s desire was perfectly fixated on heteronormative institutions, (2) queer narrative as a token of decadence that premised queer desire as pathological, and (3) a hidden “queer narrative” within a heterosexual narrative that concealed queer desire, in order not to be read as a queer narrative. These three aspects of “queer narrative“ clearly show certain limitations, but at the same time, it is noteworthy that they testify to the presence of queer emotion and desire within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the will of writers. In “The Era of Queer Narrative,” male bonding between male writers and male readers had taken a central position on the literary field, and therefore queer narratives focused primarily on portraying desire among men. However, literature representing queer relationships between women has also existed persistently, despite being marginalized. Therefore, in order to write a new history of Korean queer literature, it is also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queer relationship between women. Of particular interest is that, after the importation of the discourse against homosexuality, the number of narratives representing the desire between men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narratives representing the desire between women increased. The first reason for this phenomenon was that, through the complete desexualization of homosexual women, female homosexuality was represented as a “safe” sexuality which did not threaten the heteronormative social order. Often, female homosexuality was defined as a preparatory stage for heterosexuality, and it was understood as an object which could “safely” satisfy the voyeuristic desire of readers and, as a result, literature depicting a queer relationship between women increased rapidly. What should be emphasized here, however, is that every woman, regardless of sexual preference, was forced to follow a heterosexual life script in institutions of “compulsory heterosexuality.” In order to break down patriarchal oppression and achieve women’s liberation, women also constructed an Emotional-Community of women based on sympathy, and many stories about “women loving women” emerged from this community of “women promoting the interests of women,” which had existed since “The Era of Queer Narrative.” But as censorship and the pathologization of homosexuality became even more intense in the late 1930s, narratives depicting queer relationships between women likewise began to appear in highly refracted and concealed form. Thus, the shuttering and distortion of female queer narrative would be the final destination of Korean queer narrative until the 1940s. The current homophobia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would later be shaped at two points of inflection: first, in the 1950s when the making of the nation-state was proceeding in earnest, and then in the late 1980s when the AIDS panic would incite more flagrant homophobia.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미처 다루지 못했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들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 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본고는 한국문학의 정치성을 (재)활성화하고, 과거의 한국문학을 읽는 행위 자체를 (다시) 정치적으로 만들고자 한다. 최근 퀴어가 사회적으로 더욱 가시화되면서, 과거의 문학 작품에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 줄 “견본”을 찾고자 하는 퀴어들의 갈망은 더욱 강렬해지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퀴어 당사자들의 욕망에 응답하는 한편, 1910~1940년대까지의 서사에 나타난 퀴어한 존재들에게 정당한 발언권을 되돌려줌으로써, 새로운 ‘한국퀴어문학사’를 쓰는 시론(試論)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남성 청년들 사이의 ‘사랑’은 동정(同情)의 한 형태로서 사회적으로 적극 요청되었다. 당시 지식인-문인들은 동정의 유무를 기준으로 문명과 야만을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던바, 남성 청년들은 서로 ‘동정=사랑’을 나눔으로써(만) 문명의 전위이자 미래의 기호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하나의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감정-공동체란 조선의 문명화를 위해 당시 남성 청년들이 ‘동정=사랑’의 교환을 통해 형성했던 공동체로서, 문명한 사회로의 진보를 위한 감정적 동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했다. 또한 문예적 글쓰기로서의 서간체 텍스트나 소설 등은 바로 이러한 ‘동정=사랑’의 코드를 남성 청년들에게 가르치는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퀴어 서사 시대’에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온 서간체 텍스트는 동성의 벗들끼리 서로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야말로 올바른 글쓰기 관습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처럼 ‘사랑’을 반복적으로 인용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의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마련이었고, 남성 청년들 사이의 ‘사랑’은 연애에 가까운 낭만적 사랑, 즉 퀴어한 감정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늘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남성 청년들 간의 ‘사랑’과 퀴어한 감정 사이에 긴밀한 연속성이 존재한다면, 감정-공동체의 근간 자체가 퀴어한 감정이라고도 할 수 있는바, ‘퀴어 서사 시대’의 감정-공동체란 기실 퀴어한 감정-공동체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남성에 대한 남성의 ‘사랑’을 표현했던 모든 텍스트 역시 잠정적으로 퀴어 서사의 계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퀴어 서사 시대’의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적 사랑을 표현하는 것은 금지했다. 이는 감정-공동체의 구축을 위해서는 오직 한 사람과의 단수적이고 배타적인 ‘사랑’이 아니라, 여러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복수적인 ‘사랑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정-공동체의 이율배반적인 명령 앞에서 남성 청년들은 퀴어한 욕망으로 ‘변질’되지 않게끔 자신의 욕망을 끊임없이 조절해야 했다. 동성 간 친밀성을 재현한 ‘퀴어 서사 시대’의 소설들은 이러한 감정-공동체의 명령을 적절히 수행하기도 했고, 또한 그 명령의 균열 양상을 현시하기도 했다. 한편 192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을 경유해 서구의 성과학 및 동성애 담론이 식민지 조선에 수용·정착되었다. 당대의 성과학은 이성애에 기반을 둔 성도덕이 사회 진보를 위한 토대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색(男色)과 같은 성적 실천을 원시적이고 야만적인 존재를 규정하기 위한 인종주의적 기표로 동원했다. 이에 따라 한 국가 내에서도 이성애자를 문명적 존재로, 동성애자를 야만적 존재로 배치하는 효과가 작동하기 시작했다. 또한 남성들끼리 손목을 잡거나 뺨을 비비는 등의 행위가 ‘동성애자=야만인’을 나타내는 일종의 징표로 의미화되기도 했다. 즉 ‘퀴어 서사 시대’에는 문명한 사회로의 진보를 향한 의지를 추동하는 몸짓이었던 동성 간의 신체 접촉이, 동성애 담론의 수입과 함께 미래가 없는 ‘야만인’ 즉 내부의 타자로 낙인찍힐 위험이 있는 몸짓으로 변하게 된 것이다. 환언하자면 동성애 담론 수입을 기점으로 동성 간 친밀성에 대한 문학적 재현의 위상이 ‘문명’에서 ‘야만’으로 역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작가들은 동성애를 재현했다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나아가 작가 자신이 동성애자로 ‘오인’되지 않기 위해, 동성 간 친밀성에 대한 묘사를 의식적으로 배제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는 지식의 전달자이자 사유의 전파자라는 지위를 점유·유지하려던 지식인-문인들의 갈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문학을 통해 사회를 변혁할 수 있다는, 나아가 사회를 변혁해야 한다는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한국문학(장)의 오랜 믿음이 한국문학(장)을 동성애혐오적으로 구성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동성애 담론이 수용·정착된 1920년대 중반부터 1940년대까지의 퀴어 서사는 서로 다른 세 가지 양상으로 억압·굴절·은폐되어 나타났다. (1) 자신의 욕망을 이성애규범적 제도에 완벽하게 안착시킨 상황에서 ‘뒤’를 돌아보는 개인적·시대적 회고담으로서의 퀴어 서사, (2) 퀴어한 욕망을 병적인 것으로 전제하는 데카당스의 징표로서의 퀴어 서사, (3) 퀴어 서사로 읽히지 않게끔 퀴어한 욕망을 적절히 숨기는 이성애 서사로 은폐되는 ‘퀴어 서사’가 그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양상의 ‘퀴어 서사’는 분명히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지만, 동시에 한국문학의 전통 속에 퀴어한 감정과 욕망이 존재해 왔음을 (작가의 의지와 무관하게) 증명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한편 ‘퀴어 서사 시대’에는 남성 작가와 남성 독자로 이루어진 연대가 문학장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에 따라 퀴어 서사 역시 대체로 남성들 사이의 욕망을 그리는 데에만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여성들 사이의 퀴어한 관계를 재현한 문학은 주변화되었을지언정 끈질기게 존재해 왔다. 따라서 한국퀴어문학사를 새롭게 서술하기 위해서는 여성들의 퀴어한 관계에 대해서도 반드시 주목해야 한다. 흥미로운 점은 동성애 담론의 수입 이후, 남성 간의 욕망을 재현한 서사가 점차 감소했던 반면, 여성 간의 욕망을 재현한 서사는 오히려 증가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일차적으로 여성 동성애자가 완벽하게 탈성화(desexualization)됨으로써, 여성 동성애가 이성애규범적 사회 질서를 위협하지 않는 ‘안전한’ 것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즉 여성 동성애가 이성애를 위한 준비 단계 정도로 규정되면서, 독자들의 관음증적 욕망을 ‘안전하게’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대상으로 이해되었고, 그 결과 여성들의 퀴어한 관계를 다룬 서사가 급증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보다 강조되어야 할 사항은 성적 선호와 무관하게 모든 여성이 “강제적 이성애”라는 제도 속에서 이성애적 생애 각본을 강요당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가부장제적 억압을 타파하고 여성해방을 쟁취하기 위해 여성들은 동정(同情)을 기반으로 여성들의 감정-공동체를 구축했고, ‘퀴어 서사 시대’부터 존재해 온 이 ‘여성의 이익을 증진하는 여성들’의 공동체 속에서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의 이야기가 다수 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이후 동성애에 대한 검열 및 병리화가 한층 더 심해지면서, 여성의 퀴어한 관계를 다룬 서사 역시 몹시 굴절되고 은폐된 형태로 나타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1940년대까지의 한국 퀴어 서사가 맞닥뜨린 종착지와도 같았다. 이후 한국문학(장)은 국민-국가 만들기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던 1950년대와 AIDS 패닉과 함께 동성애혐오가 더욱 노골적으로 광범위하게 드러나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이라는 두 개의 변곡점을 지나, 지금의 동성애혐오적 모습으로 구성되게 된다.

      • 1950~1960년대 남북한 SF 연구

        김민선 동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87

        이 논문은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에 발표된 남북한SF의 주요 텍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에서 SF가 본격적으로 창작되었던 조건을 비롯하여 남북한 초창기 SF의 내용과 형식을 검토하였다. 한반도에 SF가 수입된 것은 1900년대 초였으나, 한국어로 창작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부터였다. 이는 남북한의 문학이 동시적으로 하나의 장르를 구축한 매우 희소한 사례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한반도 안팎의 맥락을 고려하여, 남북한의 SF를 하나의 필드에서 독해하였다. 이 논문이 Science Fiction의 약어인 SF를 주요 단어로 활용하는 것은, 각기 과학소설과 과학환상소설로 번역되었던 남북한의 SF를 한국어문학의 시야에서 동시에 포착하기 위한 것이었다. 특히 스푸트니크 쇼크에서부터 촉발된 1960년대의 우주경쟁(Space Race)와 남북한의 과학담론 및 과학기술계의 변화는 SF의 장르 구축에 주요한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마술적 환상으로 이해되었던 ‘우주’와 ‘달’을 과학적 지식으로 새로이 지각하게 하여, 인간의 인식 지평을 세계에서 우주로 확장시켰다. 또한 냉전의 구도는 남북한 SF의 서사와 테크놀로지 형상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은 1950~1960년대의 남북한 SF에 주목하였다. 이 시기 한반도에서 SF가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던 정치사회적 맥락에 주목하는 한편으로, 남북한의 SF 장르가 자리잡는 과정 및 텍스트의 세부사항을 검토하였다 스푸트니크 발사 성공에 대한 남한과 북한의 반응은 대조적이었다. 남한이 우주 폭격과 제 3차 세계 대전의 불안과 동시에 ‘선진’한 과학기술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고 있었던 것과 달리, 북한의 매체들은 ‘평화의 사절’로 인공위성을 표상화하고 사회주의 승리의 상징으로 이를 선전하였다. 스푸트니크 쇼크에 남북한의 문학 또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응답하였다. 남한의 문학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할 삶의 양태들을 가늠하는 동시에 문학이 무엇을 써야 하는가에 관한 근원적인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에 비해 북한의 반응은 좀 더 직접적이었다. 1950년대 후반의 북한의 문학 텍스트들은 소련이 로켓의 발사를 성공시킬 때마다 시와 수필을 통하여 소련 과학기술에 대한 찬탄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 감격의 감정적 에너지를 노동 현장에서의 생산 증진으로 이어가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1950년대 후반의 모든 북한의 문학 텍스트가 소련의 우주과학을 찬탄의 시선으로만 포착하였던 것은 아니다. 박태영의 단편소설 <인공위성과 시인>은 과학의 성취를 어떻게 형상화하여야 하는가에 관한 고민을 징후적으로 노출한다. 이는 1950년대 후반 북한문하기 당면해 있던 정치적 선도와 예술적 형상화 사이의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다. ‘스푸트니크 쇼크’는 한반도에서 ‘SF’라는 새로운 장르가 창작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우주로의 인식과 감각의 확장은 과학적 환상을 활용한 새로운 서사에 대한 대중적 요구로 이어졌다. 남한에서는 독자의 요청에 의해 한낙원의 중편 SF가 연재되기 시작하였으며, 북한에서는 더 많은 SF를 바라는 독자의 글이 잡지에 실렸다. 이러한 독자의 요청에 남북한 문학은 SF의 본격적인 창작으로 응답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에 창작된 남북한의 SF는 그 환상에서부터 당대의 현실을 은유하고 있었다. 이 시기 남한의 단편 SF는 원자력에 의해 탄생한 ‘원자괴수’와, 거인으로 표현된 화성인들을 등장시켰다. 이는 숭고의 대상이 자연에서 과학기술의 결과물로 전환되는 장면이자, ‘평화로운 거인’의 이미지로서 당시 남한 사회가 가지고 있던 강력한 우방국에 대한 시선을 확인하게 한다. 남한의 텍스트에서 괴수와 거인이 등장한다면, 1950년대 후반에 발표된 북한의 SF는 테크놀로지의 집약체인 기계들을 전시하는 한편으로, ‘달’을 ‘조선’의 새로운 영토화 하려는 열망을 표출하고 있었다. 이러한 스펙터클은 김동섭의 <소년우주탐험대>(1960)에서도 등장한다. 이 텍스트는 비슷한 시기 남한에서 발표된 한낙원의 <금성탐험대>(1962)와 함께 냉전을 초월한 인류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들 텍스트는 캐릭터들 사이의 냉전 구도를 ‘인류’라는 키워드로 연합하게 하며, 이데올로기를 초월하여 연대가 가능한 공간으로서 우주를 형상화하고 있었다.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의 남북한 SF가 다양한 방식의 서사를 실험하고 있었다면,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SF의 미학적 방법론과 관습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남한의 SF작가들 SF를 ‘허황된 상상 소설’로 보는 일반적 편견에 대항하는 동시에 과학 지식의 전달과 미래 과학자 양성이라는 계몽적 요구에 대한 압력을 겪어야했다. 계몽과 예술성(과학성) 사이의 긴장은 북한에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북한의 ‘과학환상문학에서의 과학 환상 논쟁’은 과학 환상이 과학적 지식과 고증에 충실하여야 한다는 논자와 사회주의 현실의 진실한 형상화를 우위에 두는 논자들 사이에서 벌어졌다. 이 논쟁은 자연히 SF 텍스트들의 창작 방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서광운의 <북극성의 증언>은 대화와 지문으로 과학 지식을 전달하는 한편으로, 문학적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문윤성의 <완전사회>는 사회 구성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던지고 있었으나, 동시에 양성화해를 계도하고자 하는 욕망이 작용하고 있었다. 북한에서도 계몽과 문학적 형상화 사이의 고민과 긴장은 계속되고 있었다. 특히 1960년대 중반부터 북한이 독자적 노선을 택한 이후, SF는 우주에서 지구로 주요 배경을 전환한다. 그리고 1967년 이후 주체사상의 대두와 항일혁명문학의 전통화 과정을 거치면서 SF는 북한문학의 주요한 관심의 뒷면으로 밀려났다. 1970년대의 남한에서 SF 선집이 발간되는 것과 달리, 1970년대 북한의 SF는 발표된 텍스트의 수가 이전에 비해 확연히 줄어들었다. 1960년대 중반 남한과 북한 SF의 창작 편수 및 문학적 관심의 차이는 한문학과 북한문학 너머의 ‘한반도문학’을 고민할 때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비대칭적이지만 동시적인 장면이다. 2017년 이후 북한이 보여주는 이러한 변화의 조짐은 ‘핵무기’로 대표되는 북한 과학기술의 숙원 사업이 완료되었음을 반증한다. 그리고 이는 동시에 한반도에서 과학기술은 국가 부강을 위한 방편이었으나, 동시에 시국에 따라 불러내어지는 위기론의 기반이었음을 보여준다. 1950~1960년대 남북한에서 창작된 SF는 현재까지도 남북한 문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과학기술에 대한 기대와 열망, 그리고 위기의식을 쌓아 올리기 시작한 시작점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한반도에서 하나의 문학 장르가 동시에 구축된 맥락을 고려하여, 남한/북한으로 나뉘어 있었던 남북한의 문학을 ‘한반도의 문학’의 시점에서 조망하였다. 분단 이후, 남북한의 문학과 개념은 각기 다른 이념과 역사적 맥락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었다. 그러나 남북한의 SF는 1950년대 후반의 시작점과, 1970년대 이후의 소강기를 거쳐, 1980년대 후반~1990년대부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흐름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반도라는 공간적 배경에서 ‘한국어문학’의 현상을 동시적으로 포착하게 하는 시작점으로서 1950~1960년대의 남북한 SF는 그 의미가 충분하다.

      • 백석의 동시와 동화시 연구

        신익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고는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의 동시와 동화시에 대한 연구이다. 해방공간 이후에 발현하는 남북분단과 6·25의 참화, 4·19, 5·16, 12·12, 광주민주항쟁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한국현대시문학 역사에서 백석이 겪은 독특한 시대상황과 연관 지어 당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을 둘러보면서 백석 동시와 동화시를 아울러 살펴보았다. 해방 전에 발표한 백석의 시집『사슴』에서부터 촉발되는 ‘동화와 전설의 나라’는 분단 이후 백석을 아동문학 활동으로 이끌어준 근원이었다. 따라서 백석의『사슴』시집 시편에 수록되어 언급한 ‘아이’의 서사적 구조를 제외한 백석의 현대시 논의는 논외로 한다. 그를 원용하면서 남북분단 이후의 백석 동시와 동화시를 고찰하여 봄으로써 백석의 아동문학 세계를 포함한 총체적인 백석 동시와 동화시의 새로운 지평을 궁구하였다. 주지하다시피 당시 백석의 동시는 북한 아동문학계에서 생소하고 새로운 시도였다. 교훈과 사상과잉의 교시나 노출에 편중된 북한 아동문학계의 도식주의와 기성의 정형화된 세계를 지워 없애는 것이야말로 아이들이 배워야 될 교훈이라는 것에의 암시가 백석의 동시였다. 이런 동시 창작기법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이 일이었다. 매우 새로운 시도이기도 했다. 한편, 동화시는 시의 형식에 이야기를 담은 것이다. 형식적인 면에서 시적인 짜임새를 가지고 있으면서 거기에 동화적인 내용을 담은 시를 말한다. 즉 동화시는 시와 이야기의 두 가지 내용이 한데 어우러진 작품을 통칭한다. 동화시의 특장은 이야기의 전개, 곧 서사의 내밀한 울림과 파장이 장편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여기서 백석은 동화의 두 가지 요소를 특히 강조했다. 이른바 ‘과장과 환상’이다. 백석은 “동화에 이 두 요소가 없을 때 그 동화는 이야기이며 오체르크(실화문학)와 펠레톤(사회의 부정적 현상을 야유하거나 조소하는 방법으로 비판하는 일)으로 떨어진다”고 했다. 문학이 인간의 정신 영역을 새로이 가꿔 품격 높은 삶의 행복과 존귀함을 깨닫게 하는 효용가치의 관점에서 보면 백석의 초기 동화시들은 그 당시 북한문단에서 거의 독보적인 순수예술을 지향하는 문학성을 평가받았다. 이를 원전으로 본고는 이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발굴된 백석의 동화시 전편을 수록하여 한 편 한 편을 분석해 보았다. 본고는 특히 백석 동시와 동화시와 백석과의 견련성 궁구에 주목하였다. 결론적으로 백석의 동시와 동화시는 다른 말로 대체하면 백석 시문학이 동시와 동화시로 변모하는 문학전이, 혹은 생명전이 현상이었다. 백석에게 있어 동시와 동화시의 탐구와 실행이야말로 당시 생명보존이 위태로운 극악한 당대 현실에서 백석의 영혼이 살아 숨 쉬는 유일무이한 숨구멍이었다. 철저하고 처참하게 숙청하여 목숨을 앗아간 문인들의 전철을 밟지 않고, 감시와 통제가 심했던 현대시 대신 새로이 동시와 동화시를 내세워 문학의 틀을 새로 짠 것이다. 기존의 낡은 교훈이나 도덕을 취하지 말고 아동에서 솟아나야 할 가슴 벅찬 그 무엇에의 형상화를 백석 스스로가 자신의 아동문학 요체로 삼기 시작하였음을 연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