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원 전문형 석사학위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개설 방안 연구

        YI JING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99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master's degree progra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the goal of enhancing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1992,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demand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both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However, the current availability of master's degree programs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ina is still at an early stage, and there is a lack of academic discourse on this subject.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establish a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system within China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educate teachers who can specializ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etermine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study identifies the essential competencies required, including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al understanding competence, pedagogical knowledge competence, and teaching competence. It also recognizes that these competencies are influenced by variou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within the diverse Korean language education settings in China.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study conducts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surveys among 31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or have worked in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n China, including universities, overseas education institutes, international high schools, gener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private Korean language academies,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ompetence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ir demands for a teacher training master's degree program.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iring managers from five different Chinese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overseas education institutes, international high schools, online & offline private Korean language academies, which employ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purpose was to explore the competencies that are prioritized during the hiring process and the actual job responsibilities and challenges faced by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e proposed competency framework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study set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program as follows: "To cultivate professionals who possess not only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al understanding competence but also pedagogical knowledge competence and teaching competence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The program is structured into three main components: Subject Learning, Teaching Practice and Thesis/Report Submission.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proposed competency framework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of the survey and interview participants, it is significant in proposing a framework for the competencies of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uggesting the establishment of a master's degree progra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catalyst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competence framework of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for both non-native and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contributing to the profession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China.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 개발을 위한 중국 대학원 전문형 석사학위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개설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1992년 중·한 수교 이후로부터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의 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교사에 대한 수요도 양적·질적으로 상당히 높아졌다. 하지만 현재 중국 내 한국어 교사 양성 석사학위과정의 개설은 아직 출발 단계에 있음에 불과하며 이에 대한 학술적 논의도 매우 드물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학 관련 학문을 체계적으로 깊이 배우고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중국 내의 한국어 교사 양성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중국 현지의 다양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수 활동에 종사하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의 양성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로서 필요한 역량은 언어 능력 및 문화 이해 역량,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역량, 교수 능력 역량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여러 외적·내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중국 내 다양한 한국어교육 현장 속에 한국어를 가르치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대학원 전문형 석사학위과정으로서의 '한어국제교육' 전공과 학술형 석사학위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학'을 대상으로 자료 조사, 수강생 인터뷰를 통해 기존 석사학위 교육과정의 기본 윤곽을 파악하였고,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지향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4년제 본과대학 한국어학과, 3년제 전문대학 한국어학과, 대학 해외교육원, 국제 중고등학교, 일반 초중고등학교, 사설 한국어학원 등 다양한 유형의 중국 현지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거나 근무한 적이 있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이들이 중국인 한국어 교사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교사 양성 석사학위과정 개발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또 한편으로, 중국인 한국어 교사를 채용하는 중국 현지 교육기관 가운데 4년제 본과대학 한국어학과, 대학 해외교육원, 국제 고등학교, 온라인 사설 한국어기관, 오프라인 사설 한국어기관 총 5개의 교육기관 채용 담당자와 인터뷰를 함으로써 실제 채용 과정에서 중점으로 보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 또한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실제 업무 내용 및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앞서 제시한 중국인 한국어 교사 역량 체계에 따라, 본고는 '중국 내 한국어교육에서 필요한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언어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교사로서 알아야 할 한국어교육 교수학적 내용 지식, 한국어 교수 능력을 기른다'는 것을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로 설정하였다. 인재 양성 시스템은 크게 '과목 학습', '교육 실천', '학위논문/보고서 제출'로 구성하였다. '과목 학습'에 있어 언어 능력 및 문화 이해 역량을 지향하는 '한국어 언어문화 과목',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역량과 교수 능력 역량을 지향하는 '한국어교육 핵심 과목', 중국인 한국어 교사 역량을 통합적으로 심화시키는 '한국어교육 실천 과목'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교육 실천'에 있어 '수업 참관'과 '현장 실습'을 설계하였다.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은 분명히 원어민 한국어 교사와 달리할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들의 역량 체계 구성 영역을 새로 조명하였으며 이에 기반한 양질의 중국인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해 중국 대학원 전문형 석사학위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개설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고가 제기한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 체계 구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없어 이런 역량 체계 설정의 타당성이 검증되지 못하였다는 점, 또한 현황 조사와 요구조사에서 다루어지는 기존 교육과정, 조사 참여자 수가 적어서 이로부터 얻은 결과는 일반성이 부족하다는 점, 제시한 교육과정 개발 방안의 효과와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계기로 앞으로도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 체계와, 이에 기반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교육, 중국인 한국어 교사 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중국 내의 한국어 교사 교육도 나날이 점차 전문화·체계화되기를 기대한다.

      • 국어의식의 향상을 위한 국어교육의 방안에 관한 연구

        김시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현상의 이면에 있는 국어의식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국어교육적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해 국어의식의 이론은 철학, 심리학, 사회과학 등의 의식 이론을 다학문적으로 접근하여 국어의식의 구조, 구성요소, 개념, 형성 과정, 기능을 밝혔고 국어교육적 향상 방안은 국어의식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였다. 국어의식은 그 의식적 성격에 따라 인지적(認知的) 요소, 정의적(情誼的) 요소, 의향적(意向的) 요소로 구분된다. 국어의식의 인지적 요소는 국어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국어가 무엇이다’ 또는 ‘국어가 무엇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표현될 수 있는 개념적 정보와 국어와 인식하는 주체인 ‘나(self)’와의 관계에 대한 견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서적 요소는 ‘국어의 인식에 수반되는 감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감정이란 대상에 대한 느낌과 호(好) · 불호(不好)의 평가를 포함하는 정의적 판단이다. 마지막으로 의향적 요소는 ‘국어에 대한 행위의 의향’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의향이라는 범주로 설정한 의식의 요소는 의지와 방향성을 모두 포함한다. 국어의식의 교육은 국어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는 관점에서 접근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국어의식 교육의 내용은 심도 깊은 국어인식을 위한 내용, 국어의 심미성과 정서의 함양을 위한 내용, 국어 사용의 실현 방식이나 원리 습득을 위한 내용, 국어공동체의 발전상과 당면 상황의 이해를 위한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국어의식 교육은 방법은 4단계의 교수 ․ 학습 모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모형은 국어 개선 행위의 실천을 목표로 하여 ‘국어 개선 상황의 민감도 부여’, ‘국어 개선 상황의 방안 마련 및 공유’, ‘국어 개선의 의지 형성’, ‘국어 개선 행위의 강화’라는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

      • 중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원리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오은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중점을 제시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개발 원리와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어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충분히 탐색한 후, 각의 범주에서 요소를 도출하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원리와 전략을 개발하였다. 2007년, 교육과학기술부는 과학·영어 디지털 교과서를 2013년에 개발하고, 2014년부터 상용화시키겠다는 ‘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방안’을 발표하였고, 디지털 교과서 개발 인력 구성원 중 70%가 교과 전공자여야 함을 명시하였다. 이는 곧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상용화가 더 이상 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교육과학기술부와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2008년부터 실시한 ‘디지털 교과서 효과성 연구’에 따르면 과학 디지털 교과서와 사회 디지털 교과서에 비해 국어 디지털 교과서의 사용 효과가 낮게 나왔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국어 전문가의 깊이 있는 연구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알 수 있다. Ⅰ장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교과별 디지털 교과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각각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시적·공시적으로 분석하여 학계의 연구 동향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디지털 교과서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은 있어왔으나 교과별 디지털 교과서나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물은 없는 실정이다. 선행 연구의 동향에 대한 탐색은 현재 연구의 상태를 점검하고, 진일보한 연구를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교과별·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연구의 현 상태를 점검하고, 후속 연구의 디딤돌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국어과의 성격과 목표에 기반하여 디지털 사회(정보화 사회)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를 커뮤니케이션학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텍스트의 개념 확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텍스트학 측면에서 논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인간의 사고방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연구자는 이를 디지털적 사고라 명명하고 이해·표현의 통합적 사고 기능 체계와 접합하고자 하였다. 그것을 기준으로 2011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영역 통합적 사고 유형으로 분류하고 디지털적 사고에 기반한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국어교육학적 요소를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서책형 교과서와 비교되는 디지털 교과서의 특징을 멀티미디어적 측면과 하이퍼미디어적 측면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분석된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이 시범 개발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얼마나 반영·개발되었는지를 분석해 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 후 Ⅱ장의 논의와 종합하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이론적 기저를 탐색하고 개발의 두 축을 설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앞 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중점을 제시하였고, 중점을 기준으로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재구조화하여 1차적으로 원리 및 전략을 도출한 뒤, 전문가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의 평점과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원리 및 전략을 설정하고 그에 따르는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원리는 다음과 같고, 모든 원리는 2011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내용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첫째, ‘텍스트 제시 방식과 내용의 다양화 원리’이다. 이것은 ‘텍스트의 해석적 수용과 비판적 수용’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사실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풍부성, 다양성, 실제성, 총체성’이라는 특성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텍스트의 종류를 고려한 텍스트 생산의 능동화 원리’이다. 이것은 ‘텍스트의 능동적 생산’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추론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역동성, 조작성’이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주제, 목적, 상대를 고려한 자기 점검 활동의 원리’이다. 이것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조정’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초인지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비선형성, 탈맥락성’이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넷째, ‘학습자 상호작용 활동 부여의 원리’이다. 이것은 ‘세상과의 주체적 소통’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소통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쌍방향성성, 공유 가능성’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현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개발되고 있는 수준이다. 이에 연구자는 국어 교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어 교과와 디지털 교과서의 이론적·실제적 연관성을 탐색하여 디지털 교과서에서 국어과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였다는 점,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원리, 전략을 제시하여 국어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지침을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mph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s, and thereby to establish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s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and then develops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factors from the respective categories. In 200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announced "A Pla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Digital Textbooks", which addresses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the subject of Science and English from 2014, and regulates 70% of the developers should be a specialist for the subject. This indicates that in the near future the development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Korean Language would set to work. Moreover, according to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Digital Textbooks" undertaken by MEST and KERIS since 2008, the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 appears to be lower than that of Science or Social Study. A series of the movements above shows the necessity of the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on Korean Language and further of a in-depth study on it performed by the Korean Language majors. In the section Ⅰ, I analyze the academic research trend and characteristics by searching both in synchronically and daschronically for the preceding researches on Digital Textbooks,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s, and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respectively. However, there have currently been analyses of the research trend just on Digital Textbooks, not on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s or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Reviewing the preceding researches should be helpful to check out the current status on the subject and to gain a foothold to improve the researches. In this section, therefore, I intend to check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es on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 and in Korean Language, and thereby to establish a foothold to the succeeding researches. In the section Ⅱ, I examine the changes of the way of communication in digital society in terms of communicolog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and then discuss the effects the changes has on the conceptual extension of text in terms of textwissenschaft. The digital literacy in digital society, including these changes, brings about the conversion of human thoughts. The researchers designated it as Digitalized Thinking, and have been in pursuit of integrating it into the system of comprehensive thinking o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 hereby, based on the system, classify the contents system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chool as a type of area-integrating thinking, and analyze the standard of the curriculum achievement based on the digitalized thinking, which establis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factors for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In the section Ⅲ,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books, by comparing with the printed ones, in perspective of multimedia and hypermedia, and then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with the trial version of the digital textbooks in practice, and confirm the differences and the problems. Afterward, by integrating with the discussion performed in the prior section I, I researc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and set up the 2 pillar for the development. In the section Ⅳ, based on the prior sections, I suggest the emph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s, and draw primary principles and strategies by restructuring the contents factors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corging to the emphasis, and then carry out the expert validity analysis. By reflecting the expert grades and discussions, I set up the ultimate principles and strategies and suggest the detailed guidance accordingly.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is as below, which are based on the content system and factors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chool. Firstly, a principle of diversity in the way of text presentation and content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interpretive and critical accept of a text. It intends to improve the realistic thoughts and the critic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affluence, diversity, reality and totality in the digital textbook. Secondly, a principle of activeness in text production considering a variety of a text.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active production of a text. It intends to improve the inferenti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dynamism and manipulation. Thirdly, a principle of self-directed checkout and appreciation considering topics, objectives and counterpart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learners' self-directed arrangement. It intends to improve the metacognitive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de-context and non-linear. Finally, a principle of authorizing the activity of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indipendant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It intend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interactivity and sharability. At the moment, the level of the development in the Korean Language's digital textbooks is nothing but applying the technical factors into the existing printed textbook.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researchers realized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sc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n have kept making continuous progress. This study, therefore, has an implication on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in the digital textbooks by searching for the theoretic and practical connectivity, as well as setting up the guidance on developing the digital textbooks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sc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suggesting the direction,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s digital textbooks.

      • 국어과에서의 미디어 문식성 교육 연구

        이재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35

        우리의 언어생활은 날로 발전하는 미디어로 인해 큰 변화를 맞고 있다. 국어교육의 목적을 언어사용 능력의 신장이라고 보았을 때, 이미 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국어과에서 중추적으로 담당해야만 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 국어교육 현실에서 미디어 문식성에 대한 교육은 그리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미디어 문식성도 국어과에서 달성해야 할 거시적 의미의 문식성 안에 자리잡고 있지만, 국어과에서 달성해야 할 문식성이 과연 어떤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아직도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식성 개념을 전통적 관점, 인지주의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본 후, 국어교육에서는 궁극적으로 비판적 문식성을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접근하여야만 국어과에서의 미디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최근 국어교육학계에서 새로운 언어기능으로 논의되고 있는 '보기'영역의 설정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미디어는 사회·문화·정치적인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간과한다면 미디어 문식성 교육이 자칫 미디어를 '활용'하는 수준의 기능적 문식성 교육으로 그 범위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와 권력 관계에 주목한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국어교육적으로 활용해 보았다. 이성을 지닌 주체들의 합리적이고 적극적인 의사소통 공간으로서의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은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공론장은 권역의 크기에 따라 미시적 공론장, 중범위적 공론장, 거시적 공론장으로 분화되는데, 이는 약간의 위계성을 띠고 있으나 단순한 선조적 관계가 아닌, 상호 유기적으로 교통하는 관계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각 공론장을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학습자의 언어발달단계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적용하여 문식성 발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로 미디어를 '활용'하는 차원에서 논의되던 국어과에서의 미디어 문식성 교육에 관련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미디어 문식성 교육을 통해 비판적 문식성을 기르기 위한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re are many changes in our language life because of media that is developing day by day. If we said that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extension of using language ability, it would be clear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take charge of education about media. But we don't make importance of dealing with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reality of our Korean education until now. Although media literacy take part in the microscopic meaning of literacy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achieve, there are severe discussion that is still on progress about literacy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achieve.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look about the concept of literacy in the traditional viewpoint, recognition viewpoint, and sociocultural viewpoint, and emphasiz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deal with critical literacy finality. Because the positive investigation about literac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possible when we approach in this point. So there are reference about the necessity of setting up the class of 'viewing' that is on discussion for new language ability i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it is true that media in the capitalism have special social·cultural·political meaning. So if we passed over the deep understanding about this, it would be possible that the scop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would shrink to the level of functional literacy education which just 'utilize' the media. So in this study, I used the public sphere concept of Habermas tha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authority in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blic sphere concept of Habermas for rational and positiv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reasonal subjects suggests many things fo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This public spheres are divided into micro·meso·macro public spheres according to the size of scope. It is a little hierarchical, but it is not linear relationship but mutual co-operational communication relationship. So in this study, it emphasizes that we can make literacy development to the greatest, applying these public spher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arners' language development stage in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ve meaning over the past study abou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mainly discuss about the 'utilize' media, and it makes theoretical foundation to improve critical literacy through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교수학적 내용 지식 기반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양세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35

        성찰적 글쓰기는 작문 전략의 학습을 강조하는 작문 교육의 경향 속에서 교육 현장과 학계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있었다. 이러한 환경은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내용 없는 형식과 의의만 남은 수업으로 만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의 대안을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서 찾았다. 본 연구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적용 방안 탐색하고,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 적용 양상 확인을 목적으로 한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은 미국의 교육학자 Shulman이 처음 제안한 개념이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교사만이 가지는 전문 지식으로,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과 내용 지식, 일반 교수 지식, 학습자 지식, 교육 맥락 지식 등의 교사 지식을 수업으로 변환시키는 지식을 말한다. 본 연구는 Shulman이 처음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개념을 제시한 이래 제시된 여러 교육학자들의 후속 연구를 통해 제시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구성 요소와 제반 요소들을 통해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특수성을 살폈다. 교사의 인지에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이 작용하는 과정은 Shulman의 ‘교수학적 추론’과 Chevallard의 ‘교수 변환’을 통해 파악하였다. 교수학적 추론의 과정은 ‘이해’, ‘변환’, ‘교수’, ‘평가’, ‘반성’, ‘새로운 이해’의 여섯 단계의 순환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국어교육에서의 성찰의 개념은 주체인 ‘나’와 다른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의미의 상호 교섭 행위이다. 성찰의 다른 대상은 외부의 대상뿐만이 아닌 내부의 자신도 포함이 된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성찰적 글쓰기를 ‘친교·정서 표현’의 하위 유형으로 구성한다. ‘친교·정서 표현’은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에 기반한 분류로, ‘자기 표현’의 의미를 고려할 때 성찰적 글쓰기가 국어과의 표현적 글쓰기의 중심 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명시적인 지식을 다루는 수학, 과학 등의 타 교과에서는 활발히 연구되는 영역이지만 국어과는 명시적인 지식보다는 활동 중심의 교과라는 이유에서 그렇지 못했다. 적지만 국어과에서 다루어진 국어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연구들을 통해 국어과와 작문 영역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확인하였다. 내용 표상(Content Representation; CoRe)은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쉽게 표상하기 위해 개발된 교수학적 내용 지식 표현 도구이다. 기존 과학과 수업 설계에 이용되던 내용 표상에 교사의 수업에 대한 지향의 내용이 더하여 국어과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개량된 국어과 내용 표상을 통해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기반한 국어과 수업 설계가 가능하다. 본 연구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기반으로 한 내용 표상 수업 설계를 적용하여, 수업 설계의 양상을 확인하고 수업 설계의 과정에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포착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인 교사들을 수업 설계에 사용하는 교수 설계 방법을 내용 표상 설계와 일반 교수 설계로 나누어 성찰적 글쓰기 수업 지도안을 시범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지도안 구성 후에는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수업 구성에서의 교사의 인지와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확인하였다. 일반 교수 설계를 이용한 교사들의 수업은 교과서에 높은 비중으로 의존하는 성찰적 글쓰기 수업 구성을 보였다. 내용 표상 설계를 통해 수업을 설계한 교사들의 수업은 학생 주도의 글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수업이 구성되는 모습을 보였다. 두 수업이 다른 양상을 보인 것은 정의적 요인이 중시되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특성에 의한 영향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지향점을 명시적으로 설정하였는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육 연구

        이재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국어과에서 지향해야 할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을 밝히고,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 학습의 원리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석학적 이해 이론의 검토를 바탕으로 국어과에서 논의되고 있는 비판적 문식성 개념을 고찰해봄으로써 국어 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비판적 문식성이란 궁극적으로 실천적․해방적 주체를 지향하는 문식성이 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어떻게 문식성 관련 내용이 선정되고 배열되었는지를 살펴본 후 진정한 의미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읽기 교수 학습의 원리를 제안하였다. 문식성의 개념은 크게 기능적 문식성과 비판적 문식성으로 나뉘는데, 기능적 문식성은 주로 인식론적 객관주의와 주관주의가 결합하여 사회․문화적인 거시적 맥락에 유리된 주체를 양성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비판적 문식성은 인지적 문제해결 전략으로서의 비판적 문식성,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행위로서의 비판적 문식성, 실천적․해방적 주체를 지향하는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여야 할 비판적 문식성은 실천적․해방적 주체를 지향하는 비판적 문식성이라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비판적 문식성 개념이 어떠한 양상으로 지금까지의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현재까지도 여전히 기능적 문식성 담론이 국어교육 현장을 지배하고 있는 가운데, 1차~4차까지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는 기능적 문식성이, 5차~7차까지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는 인지적 문제해결 전략으로서의 비판적 문식성이,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행위로서의 비판적 문식성이 특징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를 대화 중심의 활동 강조, 학습자의 문화자본을 고려한 읽기 제재 선정, 이해-표현의 통합 지향, 생태주의적 활동의 강화, 맥락을 향한 원심적 읽기 실천 지향의 5가지로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먼저 국어과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비판적 문식성은 궁극적으로 실천적․해방적 주체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밝혔다. 또한 이 연구에서 논의한 비판적 문식성 관련 내용을 교육과정 개발시 개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안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 학습의 원리는 읽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국어과 교과서 개발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생태학적 변인이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국어과 교육에서의 학업성취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도 중요하지만 가정 환경, 사회 환경, 학교 환경 같은 환경 변인들 역시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국어과 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효율적인 국어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최근 국어과 교육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교실은 작은 생태계이며, 평가 또한 교실생태계의 일부로서 교수·학습 과정과 통합되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태학적 평가는 획일적이고 결과중심적인 평가보다는 다양하고 능동적이며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로의 전환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3 수험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국어과 학업성취도를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3 학생들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생태학적 변인들과 고3 남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상, 중, 하)에 따른 관계와 영향은 어떠한가? 3. 생태학적 변인들과 고3 여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상, 중, 하)에 따른 관계와 영향은 어떠한가? ?U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초가 되는 학업성취도의 의미와 평가, 국어과에서의 생태학적 평가에 대한 이해,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V장에서는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생태학적 변인들과의 상관성을 살피기 위한 연구 방법 및 과정을 기술하였다. ?W장에서는 결과를 분석하여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생태학적 변인들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X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과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각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에서 남학생은 자아탄력성, 부모애착, 가족건강성이 높았으며, 여학생은 학교생활만족도, 학업동기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의 차이와 국어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여학생(M=66.31, SD=14.34)이 남학생(M=57.54, SD=18.24)보다 높은 국어과 학업성취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는 학업동기(??=.50), 가족건강성(??=.24) 순으로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학업동기(??=.38), 학교생활만족도(??=.26), 자아탄력성(??=.21) 순으로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남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상, 중, 하)의 차이에서 학교생활만족도(F=7.40, p<.01), 학업동기(F=28.02,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에서 상위권 남학생 집단에서 학업동기(.44)가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 학업동기(??=.23)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중위권 남학생 집단에서 학업동기(.35)가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 학업동기(??=.29)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하위권 남학생 집단에서 학교생활만족도(.10)가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학교생활만족도(??=.16)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상, 중, 하)의 차이에서 자아탄력성(F=4.43, p<.01), 학교생활만족도(F=13.33, p<.001), 학업동기(F=24.40, p<.001)의 세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에서 상위권 여학생 집단에서 학업동기(.30)가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 학업동기(??=.39)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중위권 여학생 집단에서 가족건강성(.20)이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가족건강성(??=.27)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권 여학생 집단에서 학교생활만족도(.09)와 학업동기(.09)가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학업동기(??=.12)와 가족건강성(??=.12)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활동들과 그에 따른 결과를 통해 성별에 따른 국어과 학업성취도 격차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과 부모의 소득 격차에 따른 불평등한 교육기회나 교육과정을 보완하기 위한 정책의 수립과 시행이 요구된다. 또한 국어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재정적인 지원, 교육기회의 보장과 같은 제도의 도입으로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도적 장치와 함께 학습자와 부모의 인식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도 요구된다. 즉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자녀교육 프로그램, 학습자들의 자아정체감향상 프로그램, 부모 자녀나 교사 학생간의 의사소통프로그램 등의 도입이 국어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arts, skills and efforts of the individual are important but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he home, social, school environment play an important rol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e environment in which korean language arts takes place should be examined concretely. So a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the effective learning of korean language arts,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should prevail. The discussion about considering the korean language arts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is conducted vigorously. Classrooms are a little ecosystem, and assessment as part of classroom ecosystem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eaching and learning. This ecological assessment has highlighted the transition from a uniform, result-centered assessment to a varied, active, process-centered one. Accordingly, in this study, what ecological factors influence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and how influential these variables are to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will be examined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to raise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ssessment in a constructive and positive wa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third year high school students? 2. How related and influential are ecological factors to male third yea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3. How related and influential are ecological factors to female third year high school students's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In chapter ?U, as the basis for this study, the meaning and 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 understanding of ecological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art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were examined. In chapter ?V, the ways of study and process of looking into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and ecological variables were described. In chapter ?W,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and ecological factors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results. Finally, in chapter ?X,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Through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obtained. First, in general tendency of each variable by gender, in male students self-resilience, parental attachment, and family health rank high and female students show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academic motivation than average. Female students(M=66.31, SD=14.34) show higher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than male students(M=57.54, D=18.24) in the relation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It is revealed that of the influences of variables affecting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on mal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ϐ=.50) is the strongest variable, followed by family health(ϐ=.24). As for femal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ϐ=.38)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llowed by school life satisfaction(ϐ=.26) and self-resilience(ϐ=.21).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difference of mal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high, medium, low) in Korean language arts according to school life satisfaction(F=7.40, p<.01) and academic motivation(F=28.02, p<.001) shows statistical meaningfulness. In the relation of the individual variables in high rank male students group, academic motivation(.44)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motivation(ϐ=.23) is most powerful factor by regression analysis. In mid rank male student group, academic motivation(.35)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motivation(ϐ=.29) is most influential by regression analysis. In low rank male student group, school life satisfaction(.10) is a main factor affecting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bu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y regression analysis, school life satisfaction(ϐ=.16) is most influential but doesn't show factors representing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Third, it can be said that the difference of femal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high, medium, low) in Korean language arts in three variables, self resilience(F=4.43, p<.01), school life satisfaction(F=13.33, p<.001), academic motivation(F=24.40, p<.001) shows statistical meaningfulness. In the relation of the individual variables in high rank female student group, academic motivation(.30)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motivation(ϐ=.39) is most influential by regression analysis. In middle rank female student group, family health(.20)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ffecting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but doesn't represent any meaningful correlation and family health(ϐ=.27) is most influential but there is no variable representing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by regression analysis. In low rank female student group, school life satisfaction(.09) and academic motivation(.09) a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ffecting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but doesn't show any meaningful correlation and academic motivation(ϐ=.12)and family health(ϐ=.12) are most influential but there is no variable representing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by regression analysis. Through activities and consequences from those activitie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o reduce disparity in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by gender and policy-making and enforcement of it to supplement un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due to the parents' income gap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such as financial support, guarantee of education opportunities to improve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can resolve problems related to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Besides these institutional strategi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o change the attitudes of students and parents are required. That is, the introduction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target children, the program to improve learners' self-identity and the parent-child or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program is necessary for enhancement of korean language arts academic achievement.

      • 우리말 순화어의 수용 실태와 교육 방안 연구

        변지현 단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reception and settlement of “61 Handy Refined Words” announc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2011 and seek a plan for the education of purified words for the successful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In other words,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s to be purified and the purified word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ettlement of the purified words and suggesting a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purified words that can be achieved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curriculum system based on the factors of the settlement of them. Chapter Ⅱ looked into the concept of the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the history of the policy on the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he method of the formation of purified words. The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began by cleaning up the vestiges of Japanese language mainly by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and currently, it takes the purification of foreign words and loan words indiscriminately introduced from the West as a key subject. Purified words are formed broadly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words to be pur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ing them. The subject of study, the 61 recommended purified words were formed in an interactive method of purification by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Website, ‘Urimal Dadeumgi(http://www.malteo.net/)’ since 2004, unlike previous one-sided purification mainly by experts. This change in the method of purification was significant in that it reflected the actual use of language in life by the public in the work of purification and considered the consciousness of the public reception of purified words to some extent. The 61 recommended purified words were announced to induce smoother communication by overcoming the gradually increasing problem of using loan words. However,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the 61 recommended purified words were not clearly suggested,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the purified words are the ones that should still be recommended now, three years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m. Thus, Chapter Ⅲ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to be purified and the purified wor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reception of the 61 recommended purified words, and based on this, it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number of uses and the examples of the words to be purified and the purified words through news search on portal sites. Whether purified words have been settled was checked by classifying them into very successful ones, transitional ones and failed ones, based on the number of uses, the result of a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reception. Most of the 61 recommended words failed to be settled, and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at included: unreasonable purification which would not win the sympathy of the public and no continuous examination of the purified words already formed. Based on this, Chapter Ⅳ sought a plan for the education of purified words for successful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since a basic understanding of purified words and education of the method of forming them are needed for a m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Considering the goal of today’s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the inducement of smooth communication, the education of purified words should be conducted in the speech section as well as the grammar section. In addition, and class hour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linked to them should be actively utilized, so that students can select words to be purified through a process of exploratory learning and actually attempt to purify them. Successful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ntinued interest of the public in purified words and the proper method of forming them. Thus, in the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future, a systematic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along with continuous examination under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purified words.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에 국립국어원에서 고시한 『요긴하게 쓸 만한 다듬은 말 61개』의 수용 및 정착의 실태를 조사하고, 성공적인 국어 순화를 위한 순화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즉, 본고는 순화 대상어와 순화어의 특징과 순화어의 수용 실태를 파악하여 순화어 정착의 요인을 바탕으로 현 중학교 교육과정 체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순화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제Ⅱ장에서는 국어 순화의 개념과 국어 순화 정책의 역사, 순화어 생성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어 순화는 정부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일본어의 잔재를 없애는 데서 시작하였고, 현재는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서구 외국어·외래어를 순화하는 것을 중심 과제로 삼고 있다. 순화어는 크게 순화 대상어를 선정하고, 순화어 생성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다. 연구 대상인 권장 순화어 61개는 이전의 전문가 중심의 일방적인 순화 방식이 아니라 2004년부터 ‘우리말 다듬기’ 사이트를 통해 일반 국민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쌍방향적인 순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러한 순화방식의 변화는 언중들의 실제 언어생활을 순화 작업에 반영하고, 순화어에 대한 언중들의 수용 의식을 어느 정도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권장 순화어 61개는 갈수록 높아지는 외래어 사용을 극복하여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유도하기 위해 고시되었다. 그러나 권장 순화어 61개가 선정된 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고, 해당 순화어들이 고시된 지 3년이 지난 지금도 권장할만한 대상인지 재고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제Ⅲ장에서는 권장 순화어 61개의 수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순화 대상어와 순화어의 특징을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포털 사이트의 뉴스 검색을 통해 순화 대상어와 순화어의 사용건수와 용례를 조사하여 비교해보았다. 순화어의 정착 여부는 순화어 수용 실태 조사의 결과인 사용건수를 기준으로 크게 성공한 순화어, 과도기 순화어, 실패한 순화어로 유형화하여 파악해보았다. 61개 권장 순화어의 대부분이 정착에 실패하였고, 그 근본적인 원인은 언중들에게 공감을 얻지 못하는 억지스러운 순화와 이미 만들어진 순화어에 대한 지속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데에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Ⅳ장에서는 성공적인 국어 순화를 위한 순화어 교육 방안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국어 순화가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순화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생성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국어 순화의 목표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유도하는데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순화어 교육은 문법 영역뿐만 아니라 화법 영역에서도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 학습의 과정을 통해 순화 대상어를 선정하고 이를 순화해볼 수 있도록 교과 시간과 교과 시간과 연계한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성공적인 국어 순화는 언중들의 순화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올바른 생성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국어 순화는 순화어에 대한 관심과 이해 아래 체계적인 교육 과정과 지속적인 검토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에 대한 연구

        란페이페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어휘 자료 중에 한국어능력시험의 출제 기관으로서 국립국제교육원(2009)이 제공하는 TOPIK 초급 어휘와 국립국어원(2003)이 제공하는 한국어 학습용 초급 어휘를 분석하여 두 기존 어휘 자료와 한국어능력시험 기출 어휘와의 일치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일치율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어휘 학습에 있어 학습하여야 할 어휘 자료나 어휘의 수량을 정하는 제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간략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이 연구의 연구 목적,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선행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제2장에서 초급 어휘의 정의와 기존 어휘 자료의 선정, 언어 평가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 국립국제교육원(2009)과 국립국어원(2003)의 초급 어휘를 살펴보고 공통 어휘와 차이가 나는 어휘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제4장에서 한국어능력시험 기출 어휘를 분석하고 이와 국립국제교육원(2009)의 TOPIK 초급 어휘, 국립국어원(2003)의 한국어 학습용 초급 어휘와의 일치율을 살펴보았다. 그 일치율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초급 어휘 학습에 있어 학습하여야 할 어휘 자료나 어휘의 수량에 있어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한계가 있다. 첫째, 국립국어원(2003)의 한국어 학습용 초급 어휘의 보조 용언은 초급과 어울리는지를 살펴보지 못한다. 둘째, 학습자가 초급 어휘 학습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품사를 학습하여야 할지를 살펴보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 29~33회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표현 영역에서 많이 출제된 ‘말다03’, ‘못하다’, ‘보다01’, ‘않다’, ‘있다01’, ‘주다01’은 학습자가 초급 단계에서 파악하여야 할 어휘라고 판단하였는데 이에 관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연구는 추후 학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This dissertation was based on the primary vocabulary provided by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in 2009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2003. It analysed the coincidence rate of these two vocabulary books and the primary testing vocabulary i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n it provided following suggestions on how to choose vocabulary and its number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primary vocabulary for learners. The following was the summary of the dissertation. Chapter1 listed the research purpose and methods, and made brief analysis for the previous researches. Chapter2 discussed the definition of the primary vocabulary and the selection of the vocabulary data. Chapter3 analyzed the same vocabulary and the different vocabulary of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in 2009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2003. Chapter4 focused on the coincidence rate of these two vocabulary books and the primary testing vocabulary i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n it provided following suggestions on how to choose vocabulary and its number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primary vocabulary for learners. There were two defects in the study. 1. When the primary vocabulary for Korean learning offe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ere analyzed, whether the compliments were primary was not confirmed. 2. There was no study about what kind of words primary Korean learners should learn in the beginning. The study just regarded frequently appeared compliments as primary vocabulary i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primary test. Effort is still needed for more exact and reliable study of the scholastic.

      • 2009 개정 초등학교 3,4학년 『국어활동』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활용 연구

        권지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보조교과서로서 『국어활동』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국어활동』은 『국어』교과서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교과서로서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2014년에 처음 시행된 2009 개정 초등학교 3, 4학년 『국어활동』 교과서를 교사와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서 인식과 활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국어활동』의 바람직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앞으로의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3, 4학년 교사 79명, 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09 개정 3, 4학년 『국어활동』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으로 구성 요소를 나누었고, 그 요소 안에서 보조 교과서 측면, 자기주도 학습 측면, 『국어활동』전반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교사와 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먼저 『국어활동』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국어활동』의 보조 교과서로서의 기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국어』에서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생활과 연계하여 실천, 적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발음, 글씨 쓰기와 같이 한 단원에서 마무리 할 수 없는 내용들의 꾸준한 연습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점을 『국어활동』의 장점으로 꼽았다. 둘째, 교사들은 『국어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자기주도 학습을 돕기 위한 학습도움장치에 대해 그 기능과 역할을 정확히 인식하고 활용하는 비율이 높지 않으며, 또한 일부에서는 초등학생 수준에서 자기주도 학습은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국어활동』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활용의 질적 측면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활동을 하지 못하고 넘어가거나, 활동을 하더라도 수업시간을 추가로 마련하여 사용해야하는 점에서 활용상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많은 수의 교사들은 『국어활동』의 기능 및 내용 구성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학습량이 과도하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국어활동』이 학생 개별학습으로 활용하도록 개발된 보조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학생들의 자율적 활용에 일임할 경우 교과서가 활용되지 않을 것임을 우려하여 대부분의 경우, 학교에서 수업시간 또는 수업 외 시간을 이용하여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국어』에 더하여 『국어활동』까지 가르쳐야 하는 부담을 갖고 있었다. 『국어활동』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활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국어활동』의 활용이 국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학생들은 『국어활동』에 실린 다양한 읽기 자료를 통해 독서활동을 할 수 있는 점에 있어 상당한 만족감을 나타냈고 또한 국어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심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활동』이 국어 학습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습도움장치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낱말학습, 날개질문, 보물 주머니, 되돌아보기 등의 학습 도움 장치는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보조하는 장치로써 학생들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혼자서 공부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상당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국어활동』을 대체로 국어학습에 활용하고 있었다. 단원구성체제 요소별로 활용을 조사하여 본 결과 공부하지 않는 비율은 극히 낮았다. 학교에서 선생님의 지도하에 학습을 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개별적으로 『국어활동』을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들은 『국어활동』에서 놀이 요소가 포함된 부분에 있어 흥미를 보였다. 흥미도 조사에서 ‘놀며 생각하며’에 대한 흥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뒤이어 ‘더 찾아 읽기’를 통한 독서활동에 대하여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어활동』 학습량의 적정화와 더불어 활용상의 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많은 교사들이 『국어활동』의 내용 구성의 우수성 및 보조 교과서로서의 기능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데에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국어 교과서의 단원의 수를 줄이고 『국어활동』의 학습량을 조절하여 『국어활동』을 정규차시로 편성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요구가 많았다.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어 교과서 편성의 변화가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활동』 교과서는 초등학교 국어교과에서 처음 시도되는 보조 교과서로서 국어 교육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국어활동』에 관한 연구는 『국어활동』의 활용 및 새 교과서의 개발에 시사점을 주고 있어, 관련된 연구가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