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등학교 교과서의 구강보건관련내용에 관한 조사분석 연구

        문양미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35391

        The author has analyzed 117 textbooks of primary school in Korea, in order to suggest the proper contents of oral health education materials for school children.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were selected from all textbooks and analyz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Total amounts of oral health contents in the textbook were calculated as 0.1%, otherwise 2.0% for general health. 2.Oral health contents were included only in the textbook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of primary school children, otherwise general health contents, in all grades. 3.Oral health contents were mainly in the textbook of physical training or Korean language forcussing on the tooth function, toothbrushing time, etiology of dental caries, caries prevention and toothbrushing method. 4.It was examined that eleven items school be changed and nine items would be partially changed, in the textbooks. 5.General health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of physical training(21.3%) and a little part of(3.8%) general health were oral health contents, so it was recommended that general health contents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physical training and included more for oral health contents, to promote the oral health for primary school children in Korea. 6. On production of an elementary textbook, oral health specialists should participate and organic cooperation should be necessary on the planning stages. 저자는 초등학교 학령기에 구강건강향상을 위한 학교구강보건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현행 사용중인 국내 초등학교교과서 117권의 내용 중 구강보건관련내용을 발췌하고, 구강보건관련 내용 양, 일반보건과의 양적 비교, 수정․ 보완해야 할 내용들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초등학교 교과서 전체 내용 중 구강보건관련내용은 0.1%로 집계되었고, 일반보건관련내용은 2.0%이었다. 2.학년별로 내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일반보건은 모든 과목에서 내용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반면, 구강보건관련내용은 1,2,3학년인 저학년에 국한되어 있고, 고학년에서는 구강보건관련내용이 거의 전무하였다. 3.현행 초등학교 교과서 중 구강보건관련내용은 3학년 체육과 국어 읽기에서 치아의 역할, 잇솔질 시기, 충치의 원인과 예방법, 올바른 잇솔질 방법 등 구강질환예방에 대해서 주로 게재되어 있었다. 4. 현행초등학교 교과서 내용 중에 반드시 수정/보완해야할 부분이 11개 항목에서 조사되었고, 부분수정을 요구하는 부분이 9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5. 현행초등학교 체육교과서중 일부가 보건단원으로 편성되어있고(21.3%) 그 중 극소수부분(3.8%)이 구강보건관련내용으로 포함되어 있기에 향후 구강보건교육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육교과목과 보건교과목의 분리가 필요하며, 구강보건내용은 초등학생 구강보건교육안의 기준에 부합하는 내용을 추가하고, 구강보건교육은 해당 전문가가 담당토록 하는 방안이 요망되었다. 6. 초등학교 교과서 제작 시 기획단계에서부터 구강보건관련내용에 대한 올바른 검토를 위하여 구강보건 전문가들의 참여와 이들과의 유기적 협조 및 전문적인 상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초등학교 구강보건사업실태 및 평가방법 개발

        엄기향 단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35391

        저자는 전국 보건소의 학교구강보건사업 담당자와 학교 보건교사의 협조체재로 수행되고 있는 학교구강보건사업을 각 사업별로 평가할 일정한 기준 항목을 개발하고, 해당 시, 군, 구 보건소 단위에서 수행하고 있는 관할 지역의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한 표본 조사를 통한 평가 및 자체평가를 수행해 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학교구강보건사업 추진과정의 문제점들을 보완함과 아울러, 학교구강보건사업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학교구강보건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초자료 마련과 국민구강건강향상에 기여하고자, 학교구강보건사업별 평가항목으로 개발된 자체평가서를 전국 251개 시,군 보건소와 분소 56개소의 학교구강보건사업 담당자와 각 관할 학교의 보건교사에게 우편설문지를 발송하고 그 중 회신된 설문지 141매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난 1년간 보건소가 실시하였던 학교구강보건사업으로 학교구강검진사업, 학교구강보건교육사업,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은90%의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었고, 학교집단이닦기 및 학교불소도포사업은 78%의 보건소에서 실시하였으며, 학교구강보건실운영사업은 전국적으로 약 10% 미만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이번 자체 평가대상에서는 우선적으로 참여하여서 75%의 학교가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특수구강보건사업은 18%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2. 학교구강보건사업 중 이닦기사업, 불소용액양치사업 등을 하기 위한 수도시설이 36%정도 더 보완되어야 하고 수도꼭지수는 현재의 2배정도 더 늘려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닦기 도구를 보관하는 개인사물함 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각 학교구강보건사업별 종합 평점은 5점 만점에 2.96±0.42점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구강검진사업이 3.46±0.90점, 학교구강보건교육사업이 2.57±0.81점, 학교집단이닦기사업이 2.42±0.63점,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이 2.78±0.70점, 학교불소도포사업이 2.76±0.78점, 학교치면열구전색사업이 3.33±0.83점, 학교구강보건실운영사업이 3.44±0.65점, 기타 특수구강보건사업이 2.80±0.65점으로 나타났다. 학교구강보건사업이 보건복지가족부에서 보건소 담당자를 통한 지휘감독체계와, 교육과학부에서 지방교육청을 통해 보건교사에 전달되는 지휘감독체계의 이원화로 인한 비협조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요구되었다. Even though such school dental health programs as the oral exam, oral health education, school toothbrushing, fluoride mouthrinsing, fluoride topical application, pit & fissure sealing, school dental clinic and or the other special school dental projects have been done for a long time in Korea, not so much reports were found, studied on the appraisal for such programmes or comprehensive appraisal for school oral health programs, in national wide by governmental level. The data of the survey on the appraisal for the school dental health programmes in this study will serve the informations of the problem points for the school dental health programmes as well as to provide the guideline and the suggestion for better project on the school dental health programmes in the next years. The items for appraisals for each program were decided through the seminar in several times and an workshop, with the officers of the school dental health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and the school health teachers. 141 schools and public health centers were participated for the appraisal study by self-appraised method with the question are styled appraisal sheets, be sent to each more than 307 counties. The data were collected to calculate the average scores for each items of each school dental health programmes, and those were drawn as the histogram as the star-diagram by use of the R-program on computer, in order to compare the data from each school as well as each programs for school dental health, performed by each school and each public health center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 1. It revealed the high score for the performing rate in such programmes as school oral exam, dental health education and fluoride mouthrinsing program, otherwise, low in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and the special school dental health program. 2. It was needed to construct the piped water supply system more, in order to performing the toothbrushing program and fluoride mouthrinsing program effectively in each school. 3. It was calculated that the average 3.46 point in school oral exam, 2.57 points in school oral health education, 2.40 in toothbrushing project, 2.78 in fluoride mouthrinshing, 2.76 in fluoride topical application, 3.33 in sealant program and 2.80 in special school dental program, with the 5 point scale. 4. The most serious problem to be solved on the school dental health program was considered as the 2 lane administrational and from the educational office at each local government, So it was recommended to control and to harmonize the administrational system between the two organization first, in order to perform the school dental health programs effectively. Through th results of this study, it might be achieved the standardization or the average scores for each items of school dental programs, as well as to compare the score for appraisals on the performing the school dental programmes at each schools and each public health centers. Moreover the data will be a good reference to establish the next plan for the future school dental programs in Korea.

      • 철강업 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허진숙 원광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7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를 조사하여, 근무형태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업장에서의 구강건강관리제도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연구방법은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 조사법이었으며,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광양시에 소재하는 제철소 내 근로자 894명이었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보건의식행태이었다. 연구성적 :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다’라고 응답한 근로자가 65.7%로 근로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주관적인 구강건강수준은 높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수준이 89.2%로 높았다. 직장구강검진 수검율은 20.9%로 낮게 나타났으며 최근 1년간 노동손실일수는 결근일수 0.03일, 조퇴일수 0.15일, 결근 및 조퇴일수 0.18일 이었고 구강질환으로 인한 직장업무 지장경험율은 21.8%로 나타났다. 사무직 근로자에서 노동손실일수와 직장업무 지장경험율이 다른 근무형태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는 평균 2.92회로 나타났고 사무직에서는 3.07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기적인 잇솔질은 67.6%의 근로자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기적인 잇솔질을 하지 않는 이유는 ‘귀찮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감지구강보건상태는 치은출혈경험자의 비율이 37.8%, 치아동요증상보유자율이 17.6%, 지각과민증상보유자의 비율이 54.8%이었다. 치과질환지각율은 49.7%, 치과치료필요자율은 55.6%, 구호흡경험자는 29.1%의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92.8%는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근로자의 13.8%만이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사업장 구강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또한 대부분의 근로자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 근로자는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으나 자신의 구강건강수준이 낮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해 염려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병으로 인한 업무지장을 경험한 근로자가 많았다. 그러나 직장구강검진 수검율이 낮고 구강보건행태의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의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근로자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장 구강보건사업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s :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conduct of dental health according to working type of workers, to help understanding the effect of working type on dental health,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to dental health management system at workplace. Subjects and methods : Research method is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as the respondents filled in them.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894 workers in a steel mill, which is located in Gwangyang-si, Jeollanamdo.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terms of sociology of population and conduct and awareness of dental health. Results : Workers who answered that they are highly interested in dental health were 65.7%, which shows that their interest in dental health was high. They did not think that their subjective level of dental health was not high, and the level of their concern on dental health was 89.2%, which was high percentage. 20.9% of respondents received oral examination, which was law. For the last one year, the days of loss of labour was 0.03 days for days of absences, 0.15 days for days of early leaves, and 0.18 days for days of absences and early leaves. The ratio of experiencing difficulties of working at workplace because of dental diseases was 21.8%. Office workers' days of loss of labour and ratio of experiencing difficulties of working at workplace because of dental diseases were higher than other working types. Workers' average number of toothbrushing daily were 2.92 times on average and for office workers, it was 3.07 times,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67.6% of workers perform brushing teeth regularly and the reason why workers do not brush their teeth regularly was because they feel tiresome,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responses. For workers' subjective dental health condition, the ratio of workers with gingival bleeding experience was 37.8%, the ratio of workers with tooth mobility symptoms 17.6%, and the ratio of workers with hyperesthesia symptoms 54.8%. The ratio of being aware of dental diseases is 49.7%, and the ratio of those who are needed dental care 55.6%, and the ratio of workers with mouth respiration experience 29.1%. 92.8%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need dental health training, but only 13.8%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have received dental health training. Most workers think that they need a dental health improvement project for workplace. Conclusion : There are many workers who think that they are highly interested in dental health but the level of their dental health is low, and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dental health. In addition, many work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working because of dental diseases. However, the ratio of workplace dental examination is low and there are less opportunities of dental health training to improve dental health conduct, which means that we need to develop a dental health project for workers' dental health improvement as soon as possible.

      • 전라북도지역 임부의 구강건강행태에 대한 실태조사

        김미정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75

        연구목적 : 임산부라는 특수한 구강환경에 있는 대상자의 구강건강관리실태와 구강건강교육정도를 파악하고 임신과 출산에 관련한 구강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된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 임산부 및 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 총 206명을 대상으로 조사방법은 우편 및 방문에 의한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법이었다. 연구성적 : 임산부의 구강건강 인식 및 실천점수는 평균 2.97이었다. 임신 전 구강관리와 태아의 건강의 연관성에 대해 ‘매우 그렇다’11.7%, ‘그렇다’50.2%로 나타났고, 임신 전 ‘스케일링 및 기타 구강진료를 한 가지라도 받은 군’(67.2%)이 ‘하나도 받지 않은 군’(52.1%)에 비해 긍정적 응답이 많았다(P<0.05). 임신기간 중 치석제거 및 기타 구강진료를 받지 않은 응답이 각각 79.1%, 84.0%로 임신 중 구강진료에 부정적견해가 많았지만, 임신 중 구강관리와 태아건강의 연관성에 대해서 74.8%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여 인지도와 행동의 차이가 있었다. 임산부 구강보건교육경험은 28.2%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고, 교육을 받은 후 86.2%가 생활태도의 변화가 생겼다고 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지 않은 임산부 64.9%가 ‘임신 시 변화되는 구강환경상식’에 관한 교육내용을 우선시 생각하였다. 결론 : 임신 중 잘못된 인식으로 구강진료 행위에 제약이 있고, 임산부 구강보건교육정도도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성을 갖춘 교육기관과 인력배출에 대한 방안이 개선되어야 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care of pregnant wome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6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Jeollabuk-do in korea. They were at the Western ages of 20 and up. As for the post-partum women, it had been less than six months since their childbirth.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nd in person. Results : The pregnant women got a mean of 2.97 in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Concerning the links between pre-pregnancy oral health care and the health of unborn babies, 11.7 percent replied there would b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50.2 percent answered the two would be related to each other. The group of women who got calculus removed or received any other dental treatment(67.2%) gave more positive replies than the other group of women who didn't(52.1%)(P<0.05). The respondents who got calculus removed during pregnancy(79.1%) and who received no dental treatment during the period(84.0%) took a more negative view of dental treatment during pregnancy, but 74.8 percent gave positive repl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care during pregnancy and the health of unborn babies. Thus, there were gaps between their awareness and behavior. Regarding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during pregnancy, just 28.2 percent had received that education, which was a low rate. 86.2 percent answered there was a change in their life attitude after they received that education. 64.9 percent of the women who received no oral health education gave top priority to education on common knowledge of changing oral environments during pregnancy. Conclusion : It was not easy for the women to receive proper dental treatment due to their wrong awareness during pregnancy, and they didn't receive sufficient oral health education during that period, either.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s required, and the current way to nurture necessary human resources should be improved.

      • 전라북도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보건 인식 및 행태 조사 연구

        김수진 원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75

        색인 : 구강보건,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행태, 대학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보건 행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한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대학생 292명(남:186명, 여:106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성적 :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여부는 남성(71.0%)의 사용률이 높게 나타났고, 자취(69.1%)를 하는 대학생의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월 평균 용돈 41~50만원을 받는 대학생에서 72.0%로 높게 나타났고, 흡연자(81.5%)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보조구강위생용품 선호도는 구강세정액(43.3%), 치간 칫솔(26.6%), 치실(18.7%), 기타 용품(5.9%), 전동칫솔(5.4%)의 순서로 나타났다. 구강 질환으로 인한 활동 제한 경험 유무에 대해서 생활 지장 경험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41.8%로 나타났고, 학업 지장 경험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17.5%로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 문제는 우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92.5%로 신경을 쓰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구강건강의 중요도가 덜 중요(70.2%), 중요하지 않다(10.6%)가 중요하다(19.2%)보다 높게 나타났다. 치과 진료가 필요하나 받지 못한 이유로는 시간적 이유(46.4%)가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 교육 경험 유무는 교육을 받은 응답자가 45.2%로 나타났고, 장소로는 학교(39.4%)가 높게 나타났다.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 인지 여부 및 찬반 여부에서는 모르거나 처음 듣는 대학생이 78.8%로 높게 나타났고, 사업실시 찬반 여부는 모르겠다가 53.8%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들의 구강보건 인식 및 행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구강보건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낮으므로 그에 대한 교육도 강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 oral health, oral health recogn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s, college student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in those asp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college students. Method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8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colleges in Joenbuk. They included 186 male students and 106 female student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Results : As for th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the male students(71.0%) made mor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among those who lived alone and cooked their own meals(69.1%), among the students whose monthly mean allowance was between 410 and 500 thousand won(72.0%) and among the smokers(81.5%). Their favorite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was mouthwash(43.3%), followed by interdental brush(26.6%), dental floss(18.7%), other products unspecified (5.9%) and electronic toothbrush(5.4%).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ether they ever had any difficulties in getting around due to oral diseases, 41.8 percent replied they did. 17.5 percent answered that their studies were ever disturbed by oral diseases. In terms of subjective oral health problems, dental caries were identified as a common problem with their oral health, and many were concerned about their own oral health, as 92.5 percent replied they were.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e students who considered oral h ealth less important(70.2%) or not important(10.6%) outnumbered the others who deemed it important(19.2%). Time constraints(46.4%) were cited as a dominant reason that they couldn't receive dental treatment though it was necessary. Concerning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45.2 percent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and schools(39.4%) were common places where they received that education. In relation to awareness of the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and being for or against it, as many as 78.8 percent didn't know about that or heard about it for the first time, and 53.8 percent replied they had no idea whether it should be implemented or not. Conclusion :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more education about the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should be offered as they weren't well aware of the program.

      • 전북지역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구강보건행태,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한은정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75

        연구목적 :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구강보건행태와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이들의 구강건강 인식개선과 구강건강증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된 전라북도 군산시 및 익산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군산시 소재 교회 다문화부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244명이었다. 조사방법은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와 직접면접법을 병행하여 시행하였고, 설문조사 참여자 중 구강검진에 동의한 122명에 대하여 구강검진을 시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성적 :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는 성장국가와 이주기간에 따라, 구강보건 교육경험은 성장국가, 교육수준,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지난 1년간 치과내원 경험은 이주기간과 교육수준 및 직업에 따라, 잇솔질 횟수는 이주기간과 직업, 월 평균가구 수입, 동거가족에 따라, 구강관리용품사용은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사회적 장애가 가장 높았고(4.52), 신체적 동통이 가장 낮았으며(4.14), 일반적 특성에서는 이주기간과 동거가족에 따라 높고, 구강보건의식행태에서는 전신질환이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한 경우, 1년간 치과내원경험이 없는 경우, 지난 1년간 필요하였으나 진료를 받지 못한 경험이 없는 경우,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간식섭취를 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p<0.05).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충전치와 보철물이 없는 경우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p<0.05).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한 경우, 전신질환이 없는 경우,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잇솔질 횟수가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 :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한 경우, 전신질환이 없는 경우,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잇솔질 횟수가 증가할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따라서 이들의 구강건강과 삶의 질에 관심을 갖고,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들이 구축되어야 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fluential factors for thei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their oral health awareness, promote their oral health and boost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4 im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North Jeolla Province. The selected women participated in programs provid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the cities of Gunsan and Iksan and by the division of multiculture in a church in the city of Gunsan. As for research methods, a self-administered survey and direct interviews were both implemented. Among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122 women got a dental checkup after their consent was obtained. Concerning data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SPSS 12.0 was employed to m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sults : In regard to self-rated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sparities among the im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ormer according to countries where they grew up and the length of immigration, and in the latter according to countries where they grew up, education and occupation(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visiting a dental clinic over the past year according to the length of immigration, education and occupation, in toothbrush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ength of immigration, occupation, monthly mean household income and family living together, and in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according to occupation(p<0.05). As to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ocial barriers led to the best quality of life(4.52), and physical pain led to the worst quality of life(4.14). In relation to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immigration and family living together. As for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the respondents who had no systemic diseases, whose self-rated health status was better, who didn't visit any dental clinics over the past year, who had no experience of not receiving treatment when it was necessary, who didn't use oral hygiene supplies and who didn't eat between meals were better in these regards than their counterparts(p<0.05). In terms of oral health status, the respondents who had no filled tooth and wore no dental prosthesis led a better quality of oral health-related life(p<0.05). W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grasp what factors would affec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is quality of life was better among the respondents whose self-rated health status was better, who had no systemic diseases, who didn't use oral hygiene supplies and whose toothbrushing frequency was larger(p<0.05). Conclusion :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better when they found themselves to be in better oral health, when they had no systemic diseases, when they didn't use any dental hygiene supplies and when they brushed their teeth more often. Therefore it'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ecessary policies should be formulated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대안학교 학생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

        이재라 원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75

        색인 : 대안학교, 학생, 구강보건의식행태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학교구강보건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일부지역 대안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의식행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남지역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초, 중, 고등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성적 : 연구대상자의 잇솔질 시기는 ‘저녁식사 후’에 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점심식사 후 잇솔질을 하지 않는 이유는 ‘귀찮아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15.3%로 가장 많았다. 1일 잇솔질 횟수는 3회 실시가 가장 많았으며, 보조구강위생용품으로는 학년이 높을수록 사용비율이 높았다. 채소반찬 섭취 횟수로는 고등학교 학생이 중학생 및 초등학생 보다 섭취 횟수가 높았으며, 자택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이 높았다. 우식예방을 위한 설탕함유 음식 섭취 제한여부는 절반정도가 ‘그렇지 않는 편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경제적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구강보건지식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는 이웃, 가족이 72.0%로 가장 높았다.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는 고등학교 학생이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도는 여학생에서 ‘신경 쓰인다’가 69.4%로 남학생보다 높았다. 최근 치과에서 치료를 받은 시기는 ‘6개월 ~ 12개월’이 57.6%로 가장 많았으며, 치과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미루게 된 이유로 ‘다른 문제에 비해 덜 중요하다고 여김’이 가장 많았고, 중학생 및 초등학생에 비해 고등학교 학생이 진료를 받지 못한 경험이 많았다. 결론 : 대안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체로 학년, 경제적 상태이었으며,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과 구강위생의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는 학교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 Alternative school, Student,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of alternative school students in some districts in order to utilize it as basic data of school oral health program. Methods :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32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alternative school in Jeonnam area. Results : Research subjects' toothbrushing period was the largest in students of doing 'after dinner.' A reason for toothbrushing after lunch was the largest with 15.3% in students who responded as saying of 'for being troublesome.' Toothbrushing frequency per day was the largest in execution with 3 times. As for the oral hygiene auxiliary supplies, the higher school year led to the higher ratio of using. As for the frequency of taking vegetable side dishes,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higher intake frequency than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who live in private residence were high. The restriction of taking food of containing sugar for preventing caries was responded as saying of 'tending to be not so.' There was difference depending on financial status. A path of acquiring information on oral health knowledge was the highest with 72.0% in neighbor and family. As fo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ratio in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 as saying of being 'moderate' was high. A worry level about oral health was higher with 69.4% as saying of 'bothering' in girl students than boy students. Period of whom their teeth having been treated recently at dentistry was the largest with 57.6% in ‘6 months ~ 12 months’. A reason for having come to postpone even if needing to receive dental treatment was the largest in 'being less important compared to other matter.' Compared to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larger in experience of having failed to receiver medical care. Conclusion :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upon alternative school students' oral health behaviors, were mostly school year and financial status. They can be known to be lacking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ygiene. Therefore, the school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n line with students' characteristics will need to be developed.

      • 보건소 기반 순회 구강건강관리 요구에 관한 연구

        정윤주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는 ‘제2차 구강보건 사업 기본계획’에서 보건소 중점사업으로 선정된 순회 구강건강 관리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보건소를 기반으로 하는 순회 구강건강 관리를 수행하기에 앞서 사업 수행자를 대상으로 사정이 필요한 항목을 알아보고, 직무수행 관련한 자가 수행 능력 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관련 교육의 필요도를 도출하여, 사업 활성화를 위해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보건복지부 전달 체계를 활용하여 전국 258개 보건소의 구강 보건 담당자에게 설문을 발송하였으며, 그중 자발적으로 참여한 84명의 설문을 통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도출된 연구 결과 및 고찰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건강 방문 진료의 시행률(64.3%)에 비해 관련 교육의 이수율(28.6%)은 낮다. 이것은 시행자에게 관련 교육의 이수가 철저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둘째, 시행하고 있는 대부분의 순회 구강건강관리 내용은 예방적인 처치에 그치며, 치료적인 치과 처치의 시행률은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셋째, 감염성 질환은 사정 시 매우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분야의 사업인 만큼 철저한 감염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구강건강 방문 진료 관련한 직무수행 능력 인식 정도에서는 대체로 ‘할 수 있다’의 응답 수치가 높았으나, 서비스 관리 및 통계 관리 부문에서는 ‘보통이다’의 수치가 높았다. 또한 직무교육 필요도 항목에서는 대체로 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업 수행자들에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적절한 인력 배치가 중요하며, 실질적인 교육을 위한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근무 경력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한 후, 직무 수행 능력 인식도 및 교육의 필요도를 분석하였다. 직무 수행 능력 인식도에서는 4가지 항목에서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p<0.05), 필요도에서는 5가지 항목에서 그룹 간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p<0.05). 예방 중심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 맞게, 취약계층에 주기적인 예방적 구강 관리를 전달할 수 있는 순회 구강 건강관리의 수행 현황, 교육필요도, 수행능력의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근무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 확인을 통해 업무연차별 필요 교육의 정의와 수행능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순회 구강건강관리 직접수행을 위한 후속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보건소 구강보건실과 구강보건센터의 업무실태 현황 및 발전방안

        권정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5375

        보건소의 구강보건센터에서 수행하는 사업들의 내용과 기존 운영 하고 있는 보건소별 구강보건실과 비교 분석하여 두 기관의 사업효율성 및 개선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향후 발전방향으로 제시하고 구강보건센터와 구강보건실의 사업운영을 더욱 더 전문화, 체계화하여 구강건강증진사업을 효율적으로 활성화 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전국 보건소 245개 중 구강보건센터 39개소와 구강보건실 80개소 대상으로 구강보건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무자를 연구대상으로 2012년 3월1일부터 2012년 5월30일까지 설문지와 사업실적 조사 했고 구강보건실과 구강보건센터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우편 또는 메일로 배부하고 수거하였으며 연구대상자 자신이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문지를 작성 하였다. 자료가 제 때 도착 하지 않은 지역 보건소는 담당자와 직접 전화통화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현재 구강보건실 및 구강보건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사업의 항목을 조사하고 운영실적결과를 집계하였다. 구강보건실과 구강보건센터에 대한 집계는 각 사업실적 항목에 따라 배점된 자체실적 항목의 표준편차와 전체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사업실적 자료조사에 대한 비교는 항목별 실적 결과와 비교하여, 증감율 및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Microsoft Exell 2007 버전을 이용하여 조사문항을 정리하여 분석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version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운영과정의 인식도, 이동치과버스운영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구강보건센터와 구강보건실에 차이가 없었고 불소도포, 스케일링, 포괄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에서는 연령군에 따라 구강보건센터와 구강보건실의 차이가 다수 있었다. 2. 장애인, 근로자, 청장년 , 임산부, 노인 대상에 대한 구강보건사업 및 불소도포, 스케일링, 포괄계속구강관리사업은 구강보건센터에서 구강보건실 보다 더 좋은 결과로 나타났었다. 3. 학교구강보건실과 방문 구강보건사업은 구강보건센터가 구강보건실보다 기타 사업이 좋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기본적인 학생 근로자, 청∙장년층에서는 구강보건실과 센터에서는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었다. 4. 시설과 장비의 투자는 구강보건센터가 구강보건실에 비해 많았으나 사업 내용과 운영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이에 향후 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생, 근로자 등 기본적인 지역사회 인구에 대한 구강보건사업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되었다. 또한, 기존 구강보건실에서는 센터가 사업비 인건비 명목의 운영비지원으로 유휴 보건인력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지역사회 구강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민의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해야 한다. 향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구강보건 실무교육에 있어 임시방편적이고 일반대상자에게 국한된 교육은 전문적인 교육반 구성으로 교육방향이 전한되어야 한다. The Another has surveyed the management activity for oral health clinic and center system through the guestionaire method during on March to May in 2012, in order to compare the management efficiency. 49 clinic systems among 85 and 36 center systems among 39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ch items as the workforces, recognition on the proc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activities, the financial support, the equipment utiliz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 clinic system and the center syste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statistically between at clinic system and center system, in the item of the recognition and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dental bus, in all items of the guestionmaire, (p>0.05) otherwis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 in such item of the activity records as in scaling, fluoride application and the comprehensive dental cares, (p<0.05) according to age distribution. 2. The higher scores for the evaluation in center system than in clinic, in such item of the oral health program on the disabled, industrial workers, pregnant woman, and senile. 3. The better results were revealed in center system than in clinic system, in the program of the school dental clinic and the home visiting dental care. 4. The financial support and the equipment were remarkably supported in the center system but not so much in cost-benefit effect because of no distinct different in the management effect or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with the clinic system. 5. It needed to develop the new and distinct oral health programs as the prevention oriented incremental dental care system performed by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 to contribute the effective center system in korea.

      • 초등학생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효과 평가 연구

        유상이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75

        저자는 학교 구강보건사업의 일환으로 구강보건교육이 학생들의 태도 습관 및 인식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치면세균막의 산 생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 소재 중곡 초등학교 3학년 223명을 대상으로 3학년용 학교구강보건교육 목표와 주제 및 내용을 정하고 이에 따라 구강보건교육을 일인당 3회씩 받도록 교습한 후 교육 효과 및 항 산 생성도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교육 후 구강보건 태도 및 습관에 관한 변화는 식사 후 잇솔질에서 61.1%로 증가되었고, 일일 3회 이상의 잇솔질 횟수는 58.8%로 비교적 높았으며, 회전법 방법의 실천과 혓솔질에서 각각 15.5% 및 27.2%로 다소 낮았다. 2. 구강보건교육 후 피교육자의 인식도 변화는 불소와 치면열구전색에 관하여 알게 된 점이 높게 나타났고 치아에 좋은 음식에 대한 지식변화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었다. 3. Plaque check pH를 이용한 산생성도 검사의 분포는 교육 전에는 각 산생성도 군 별로 비슷하게 고루 분포되었으나 교육 후에는 녹색군이 41.3%로 가장 많았으며 적색군이 4.9%로 가장 낮게 나타났었다. 4. Plaque check pH를 이용한 항 산생성도 검사는 교육 전. 후 모두에게 남.녀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P>0.05) 구강보건 교육 전 1.75 ±0.76 점인데 비해 교육 후에는 2.67±0.91로 높았다 (P<0.01). In this study, the auther would like to deliver the result and the clinical trial regarding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This oral health education executed to find out that how the oral acid rate could be changed along with such awareness and the level of acidic bacteria cell in student’s oral. The result was obtained from a junior school located in Seoul along with total 223 students at the 3rdyear. As the dissertation focused on current educational level for student's oral health care along with executing the educational course of ‘Brushing the teeth three times per day’ along with checking student’s oral acid rate. 1. After performing the oral health educaion 61.1% of children have done toothbrushing after the meal and brushing teeth three times a day also increased up to 58.8%. Rolling method and Tongue brush activity indicates as 15.5% and 27.3%. 2. Subjects It revealed the increasement one awareness regarding the oral care education about fluoride and the sealant awareness by oral thealth education.on the other hand, the awareness of healthy food for teeth was appeared as quite limit level. 3. The experimental distribution of plaque check pH, the appearance of the acid spread indicated as similar the before/after the education. However, after the educational section, green category shows highest rate up to 41.3% which overcome the red category indicated as lowest rate 4.9%. 4. The experiment focusing on degree of acid formation using Plaque check pH shows that not much differences between pre/after and male/female’s educational section(P>0.05). The degree of acid formation shows as 1.75 ±0.76 before the oral care and after the educational section it shows as 2.67±0.91 (P<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