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 대학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황치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50783

        학점은행제는 1995년 5.31교육개혁의 일환으로 고등교육에서의 열린학습사회 · 평생학습사회 건설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1998년에 시행하여 7년 동안 9만여 명의 학습자가 등록하였다. 학점은행제는 대학 정규과정 외의 다양한 교육(훈련)기관에서의 교육과 경험학습을 학점으로 인정하여 성인학습자의 대학학위 기회를 확대한 점에서는 상당히 긍정적이다. 그러나 학습에 대한 사회적인 인지도가 낮아 학점은행제 운영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은 질적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교육기관은 정규과정화 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훈련)기관 간의 공공성과 자율성의 문제가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점은행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제 교육의 수혜자인 학습자의 제도운영에 대한 만족도 연구를 통해 개선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고찰하기 위하여 학점 은행제 학습자에 부합한 만족도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서 학습자의 만족도를 고찰하고 그 개선점을 찾는 것이다. 만족도 도구제작을 위하여, 성인학위학습자와 학점은행제에 관한 선행연구와 학습자와의 면담과 질문지를 통해 예비질문지를 작성하여, 7인의 전문가에게서 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친 질문지로 63명의 학습자에게 설문하여 요인분석을 하고 신뢰도 검정과 확인적 요구분석을 거쳐 최종 만족도 도구를 제작하였다. 최종 만족도 도구의 최종만족도 도구로 7개 교육기관에 750부를 배포하여, 최종 69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평가모형으로 CIPP모형에 따라 상황변인, 투입변인, 과정변인, 결과변인을 설정하였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변인을 찾기 위해, 국내외 성인학습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또한 연구자가 직접 교육기관을 방문하고, 학습자의 면담을 통해 학점은행제의 특성에 부합한 변인을 설정하였다. 상황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변인과 교육기관 득성변인을 설정하였다. 개인적 특성변인으로는 성, 연령, 직업상태, 결혼상태, 학력, 전공, 수입, 이수한 학점, 경험학습인정학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기관 변인으로는 지역, 교육기관, 프로그램, 학점이수 방식, 학위수여기관, 강의건물을 주요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잠정적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설문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주성분분석을 하여 6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중복되거나 점수가 낮은 요인은 삭제하여, 총 38개의 만족도 문항을 확정하였다. 각 요인에 대해서는 제도목표 요인, 운영기관 요인, 교육재정 요인, 교육기관 요인, 학사관리 요인, 교육결과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만족도의 값은 각 문항 당 5점 측도로 1점에서 5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의 값이 높으며, 가운데 점수는 3점이다. 연구의 분석은 만족도의 영역별로 개인적 특성과 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방법은 t-test와 ANOVA이다. 그 결과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제도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중 제도목표면에서는 학습자들이 만족도가 높았다. 특히 남성과 30세 이상의 학습자와 전문대 졸업자가 제도목표 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들이 제도목표 측면에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도목표의 취지대로 수능시험 없이 입학이 용이하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용이하며, 다양한 교육기관에서의 학점이수, 경험학습의 학점인정과 생애에 걸친 학습을 통한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는 제도로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특히 학점은행제는 원래의 제도목표 취지대로 25세 이상의 기혼자, 전일제 직장인이나 전업주부 성인학습자에게 부합한 제도로 운용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운영기관의 제도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보통수준이었다. 특히 21-24세의 학습자와 특별과정 학습자, 예체능계열의 학습자들이 낮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직업훈련원 학습자와 자격증 학점인정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받는 학습자들이 운영기관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즉 다양한 교육기관에서의 학점이수, 경험학습의 학점인정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수강신청시의 상담, 계절학기의 활용, 교수요목의 활용성, 군입대 연기, 과정 이수 후 취업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표준교육과정을 통한 학점신청의 용이성과 홈페이지를 통한 장기적 학점이수에 대해서는 보통이었다. 또한 직업훈련원에서 학점을 이수하는 학습자들은 운영기관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더 선호하였다. 셋째, 학사관리 측면에서도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남성이, 25세 이상의 학습자가, 연령이 올라갈수록, 인문사회 이공계열 학생들과 직업훈련원에서 전공과목을 이수하는 학습자가 학사관리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는 학점운영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이 학사관리인 성적과 출석의 학점인정에 대하여 사후 관리를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으며, 교육기관에서도 수업 시 수의 엄수와 학사관리에 대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도 학사관리의 엄격성에 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재정 면에서는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특히 여성과, 정시제, 예체능계와 무형문화제, 학원과 국가기관의 학습자가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즉 학비가 저렴한 것에는 비교적 만족하나, 정규학생 들에 비하여, 학비대출이나, 직장에서의 학비지원, 세제감면 혜택 등이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생학습비 지원과, 학비대출의 기회를 확대할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소득수준이 월 100만원 이하인 자가 무려 30%가 넘고 있으며, 상당수의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61.3%가 개별학습자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평생학습비 지원을 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육기관 면에서는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특히 21세-24세 학습자, 40점 이하의 학점을 이수한 학습자, 국가기관과 학원에서 전공 과목을 주로 이수하는 학습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받는 학습자가 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았다. 학습자들은 학생증 부여와 교육기관의 도서관 이용, 상담실 활용과 상담, 학교시설 이용 및 동아리 활동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교육기관에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시설이용과 정보이용 및 상담이 용이하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지역별 거점대학의 도서관에 평생교육사를 두어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학습지원과 이용이 용이하도록 국가적인 재정지원과 행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섯째, 교육결과 면에서도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여성이, 25세 이하의 학습자, 미혼, 정시제나 직업이 없거나, 고졸의 학습자가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40세 이상 기혼 전업주부, 전문대 졸업자, 직업훈련원 학습자가 교육결과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가장 큰 불만은 학위에 대한 사회적인 인정이 낮다는 것과 대학생으로서의 소속감의 결여, 정규과정과 심리적인 이질감, 편입이나 대학원 진학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위에 대한 사회적 인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법적 행정적인 홍보와 대학의 자율권을 확대하여 대학 장의 학위를 부여하는 권한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들이 학위를 받기를 원하는 기관으로는 대학의 장의 학위를 원하는 학습자가 약 70%에 달했다. 서울의 정규과정을 제외한 향후 학위를 받고 싶은 기관으로는 서울의 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의 학위를 이수하기를 원하는 학습자와 수도권 정규과정을 원하는 학습자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기관에 따라 학사관리 및 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개별학습자에 대한 평생학습비의 지원과 교육기관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정보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별 대학 도서관을 지정하여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평생교육사를 두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넷째, 여성인력개발 차원에서 여성 성인 학습자를 위한 Re-entry센터를 두어 학점이수나 재정지원 복지혜택에 대한 정보와 장기적인 학업계획과 학위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담지원, 그리고 과정 이수 후의 취업과 관련한 종합적인 지원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예체능 계열 학습자에 대한 행 · 재정적인 지원과 강사조건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여섯째, 학점은행제 학위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제 학위에 대한 홍보와 정규과정과 동등한 법적 행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전문대학이나 대학을 졸업한 학습자의 경우 대학의 장의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완화해 주어야 한다. 여덟째, 대학위기 극복과 세계대학의 대학의 평생교육화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정규대학과 평생교육원의 권한을 강화하여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정책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서울 수도권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점과 주로 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점이다. The Credit Bank System (CBS) is an educational system introduced by the May 31 Educational Reform of Korea in 1995, CB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realize Open Learning Society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Higher Education. Although the CBS has been highly evaluated as a possible substitute for bachelor degree & associate degre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KEDI) is considering revision of supervision system of the CBS due to its low public acknowledgement. Problems in supervision system have even gellerated disputes over whether the roles of administrative institutes and autonomy educational institutes are well balanced and respected. Hence, analyz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CBS and finding the resolution is of great importance in improv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CBS. One possible way of improving CBS may be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of adult learners following the CB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ating system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BS, to adopt this rating system and to suggest possible directions in implementing the CBS in the futur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of adult learners under the CBS by interviewing them. This questionnaire was handed out to students and was also evaluated by seven experts in the field for its validity. 750 copies of the finalized satisfaction rating syste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ven educational institutes and, overall, 693 subject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for assessing satisfaction level was set up according to the CIPP model which takes the following factors into account: Context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 Korean and international adult learners' satisfaction levels were studied. In addition, the variables that coincide with the CBS characteristics were chosen by visiting the education institutes and interviewing the adult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s and education institute characters were chosen for the context variables. Individual character variables included sex, age, occupation, marriage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income, credits acquired and points accepted as an experience, whereas, for education institute character, variables included region, educational institute, type of program, credit acquisition system, academic degree institute, and the environment of study. In order to ascertain the potential factors drawn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Principle Components Analysis was adopted to extract six factors in this study. Factors that overlap or with lower impact scores have been excluded and, overall, 38 items were finalized to be included in the satisfaction rating questionnaire. The six factors were denominated as system objective factor, CBS institution factor educational expense factor, educational institute factor and educational matters administration factor, and outcome of education factor respectively. Each item in the satisfaction rating questionnaire was rated on 1-5 scale; with higher score indicat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vice versa.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individual character and educational institution character could influence the satisfaction level in each category, T-test and ANOVA were adopted as the statistical analytical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objective of the CBS was high. This was the case especially for adult learners aged over 30, community college graduates and male adult learners. Adult learners older than 30s generally showed positive acknowledgement of objective of the CBS. Secondly, adult learners showed medium satisfaction rate on the administration of KEDI, educational institutes of the CBS. Especially, for adult learners aged between 21 and 24, in special courses of College, and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s showed low satisfaction rate. On the contrary, adult learners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s, certificate point accepted adult learners, and adult learners with Ministry of Education certified degree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 Thirdly, adult learners showed the highest rate of satisfaction on educational matters administration. Higher satisfaction rates were observed in male adult learners aged over 25. In addition, human, social sciences and engineering degree adult learners as well as those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s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s. Fourthly, satisfaction rate in education expense was the lowest. This was observed in female adult learners, part time workers,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from private institute and government.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funding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and expansion of loads for tuition is in need. Fifthly, adult learners showed low satisfaction rate on the educational institutes. This was especially apparent in adult learners aged between 21 and 24, those completing less than 40 credits, those from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es, and adult learners for Ministry of Education certified degree. Administrative supports for adult learners to utilize facilities, information and counseling are in need to increase satisfaction. Finally, adult learners showed low satisfaction on outcome of the education. Female adult learners aged below 25, the unmarried, part time workers or with no occupation and those with high school degrees were accounted for the low satisfaction rate. However, adult learners aged over 40, the married, housekeepers, those with community college degree and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 on the outcome of the education. To raise public recognition on the CBS degree, administrative institute needs to improve on public awareness of the CBS and to grant head of university and college more self regulation in award degrees.

      • 평생교육 프로그램참여자의 학습을 통한 성장에 관한 연구 : L라인댄스 프로그램참여자를 중심으로

        이경희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자, 즉 라인댄스 프로그램참여자들의 학습을 통해 학습의 지속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거치면서 성장해 가는지를 초기(입문기: 1-2년), 중기(성장기: 3-4년), 후기(성숙기: 5년 이후)로 나누어 학습자 초점에서 살펴보고 그들이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참여의미의 변화는 어떠한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성장의 모습은 어떠한지를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연구, 사례연구, 참여관찰 방법으로 접근하여 자료를 수집,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이들이 라인댄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성장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프로그램 참여적 특성은 어떠한가, 프로그램 참여 초기의 모습과 참여 중기의 성장과 변화는 어떠하였는가, 참여 후기의 성장과 변화는 어떠하였는가, 그리고 성장의 요인과 성장을 위한 노력은 어떠하였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의 연구자가 출강하는 문화센터의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5년 이상 참여하고 있거나 이전에 참여하였던 학습자들로서 총 7명을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접법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심층 면접에 비중을 두었다. 이들의 참여 동기나 목적을 보면 대부분이 여가·취미활동 및 건강을 위한 운동과 스트레스 해소는 기본적으로 있었으며, 지역사회활동, 즉 봉사를 위한 역량향상과 직업적인 역량향상의 목적도 있었다. 일부는 우울함이나 무료함을 벗어나기 위한 일상의 탈출이 필요한 경우와 같은 심리적인 이유도 참여 동기로 작용하였는데 복합적인 동기를 가진 참여자가 많았다. 연구결과를 보면 이들은 초기에는 발동작을 따라 하기에도 급급하였고 자세나 전문용어에는 관심을 둘 수 없을 만큼 어려웠으나 참여가 지속되고 시간이 경과 하면서 전문용어를 습득하게 되면서 동작을 익히기도 점점 쉬워졌다고 하였다. 무엇보다 점차 높은 레벨의 동작까지도 소화해 낼 수 있게 되면서 성취감과 자신감이 증대되었다. 또한 지역사회 공연 봉사를 위한 연습과 훈련의 과정에서 신체적 기능의 향상은 물론 자존감이 높아지고 내가 가진 재능으로 타인을 위해 베풀 수 있다는 점에서 참여자들에게 크나큰 심리적 만족감과 행복감을 안겨주었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봉사(재능기부)를 다짐하게 되는 등 지역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자격증 도전을 통한 전문적인 내용의 교육과 학습 과정에서 이론 및 장르별 이해와 표현력 등 신체 기능적 면에서도 많은 성장이 이루어짐은 물론, 라인댄스지도사로서 교수자의 길에 입문하는 등 삶의 전환기를 맞는 학습자도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성장을 위한 요인으로 자신의 열정, 개인적 노력(연습), 동료나 교수의 칭찬, 강사의 적절한 교수법, 사회봉사(공연) 경험, 가족의 지지, 재교육 참여와 같은 요소들을 성장의 요인으로 거론하였으며, 유튜브를 활용한 연습, 나보다 나은 동료를 통한 학습의 공유, 강사의 티칭 영상을 활용한 노력 등은 각자 나름의 방식으로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교수자의 길에 입문하였거나 입문을 준비하고 있는 프로그램참여자 그룹과 학습자로서 만족하는 프로그램참여자 그룹이 명확해지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라인댄스 프로그램참여자 모두가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주장은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그 시간이 너무나 즐겁고 행복한 순간이었으며 기다려지는 시간이라는 것이다. 지식이라든가 직업적 성취감을 얻기 이전에 흥미나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거기서 얻는 행복감이 클 때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의 지속성을 유지 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평생교육 및 평생학습의 궁극적 목표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체활동은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건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그 상호작용의 효과로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김석일, 2004)’라는 이론과 같은 맥락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자면, 본 연구에서 시기별로 단계를 나누어 검토하였으나 실제 프로그램참여자들의 참여 시점에서의 모습이 각 개인의 신체적 활동능력이나 배경에 따라 시작점이 같지 않았을뿐더러 성장의 속도 역시 일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기별 논의의 애로점이 있었다. 또 평생교육 프로그램참여자의 학습을 통한 성장의 의미를 밝히기에는 연구참여자가 7명으로서 연구대상이 제한적이었기에 전체 프로그램참여자를 대표하거나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차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더 다양한 연구참여자를 통해 좀 더 심도 있고 다양한 관점의 후속 연구가 시도되었으면 한다. 또한 관련 평생교육 기관에서도 성장단계별 맞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한다면 학습자의 성장이나 사회 기여도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프로그램참여자, 학습자 성장, 라인댄스 프로그램, 라인댄스, 학습자 성장의 요인, 프로그램 참여동기 This study examines how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is, participants in line dance programs, grow through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learning by dividing them into early (introductory period: 1-2 years), mid-term (growth period: 3-4 years), and late (maturity period: 5 years later) from the learner's focus, and then approach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narrative research, case studie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to collect, review, and analyze data. These are research questions to analyze the meaning of growth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line dance program, and what ar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hat were the growth and changes in the early and mid-term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hat were the growth and changes in the late participation period, and the factors of growth and efforts for growth were set as research ques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earn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line dance program of the cultural center taught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a total of seven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Looking at their motivation or purpose for participation, most of them basically had leisure, hobby activities, and exercise and stress relief for health, and there was also the purpose of improving capacity for community activities, that is, service, and professional capacity. In some cases, psychological reasons such as the need to escape from depression or boredom also served a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many participants had complex motiv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y were in a hurry to copy foot movements in the beginning, and it was difficult to pay attention to postures and technical terms, but as participation continued and technical terms were acquired over time, it became easier to learn the movements. Above all, as they were able to gradually digest even high-level movements,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increas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ractice and training for community performance service, self-esteem increased, and I could give it to others with my talent, which gave participants a great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It was found that this had a good influence on the community, such as pledging more service (talent dona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fessional content through certification challenges, a lot of physical and functional aspects such a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by theory and genre were achieved, and some learners were in a transitional period in their lives, such as entering the path of instructors as line dance instructors. As factors for their growth, they cited factors such as their passion, personal effort (practice), praise from colleagues or professors,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of instructors, social service (performance) experiences, family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retraining as factors for their growth. Practice using YouTube, sharing learning through colleagues who are better than me, and efforts using the instructor's teaching video were each seen making efforts for growth in their own way. In the latter stages, the group of program participants who entered the instructor's path or were preparing to enter the program, and the group of program participants who were satisfied as learners, became clear. And the argument that all participants in the line dance program emphasize in common is that the time to participate in the line dance program was a very pleasant and happy moment and a time to wait. It can be seen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when you can feel interest or pleasure before gaining knowledge or a sense of professional achievement and the happiness you get from it is great, and it can be seen that i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e ultimate goal of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It is in the same context as the theory that 'physical activity not only affec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but also induces social interaction and positively affects mental health through the effect of that interaction (Seokil Kim, 2004).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eviewed the stages by period, but there were difficulties in discussing each period because the starting point of the actual program participants at the time of participation was not the same depending on the physical activity ability or background of each individual, and the speed of growth was not constant.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in representing or generalizing the entire program participants as there were seven study participants in order to reveal the meaning of growth through learning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In future studies, it is hoped that these limitations will be overcome and follow-up studies from more in-depth and diverse perspectives will be attempted through more diverse research participants. In addition, if rela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develop and implement customized programs for each stage of growth, it will help learners grow or contribute to society. Keywords: Program participants, learner growth, line dance programs, line dance, factors of learner growth,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 우리나라의 정부시기별 평생교육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최경미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정부시기별 평생교육 정책 방향과 내용, 그리고, 성과와 한계에 대하여 분석하여 향후 평생교육 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의 연구이다.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관하여 살펴보고, 주요 연구문제와 연구방법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평생교육, 평생교육정책 평생교육제도, 선행연구 분석 내용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각 정부시기의 평생교육 정책변화를 살펴보았다. 즉, 김영삼의 문민정부의 평생교육의 주요정책 비전과 정책목표는 평생학습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교육개혁위원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개혁안을 도출하였다. 교육개혁안으로 전문기술인력의 육성과 사회교육의 개혁과 민주시민교육의 강화와 소외계층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지원을 제시하였다. 주요정책 내용으로는 학교교육체제에서 평생학습체제의 구축이라는 정책적 기초를 마련하고, 5·31교육개혁의 신자유주의적 정책의 추진, 신한국창조의 새로운 교육비전 제시, 교육개혁위원회 설치와 교육개혁안 마련 등을 들 수 있다. 김대중 정부시기의 평생교육 정책의 비전과 목표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적자원개발을 강화하고, 직업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법률의 개정을 통한 사업 추진을 강화하였다. 주요정책 내용으로는 실업대책, 재벌개혁, 수요자중심 교육의 강화, 노동기본권 신장, 노동시장 유연성제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정책 강화 학점인정 등에 관한법률의 제정, 학점은행제 활성화, 평생교육법 제정, 원격대학설치 관련 법률제정 등이다. 노무현 정부시기의 평생교육 정책의 이념과 방향은 소외된 계층의 교육강화, 평생교육진흥종합계획의 수립, 교육과 복지의 연계, 평생교육 DB구축, 평생교육정보인프라 구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 소외계층의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평생교육지원, 고령자, 등 소외계층의 평생교육지원 등이다. 평생교육의 주요 정책내용으로는 고용가능성 증진 직업교육의 강화, 평생교육법 전면개정, 문해교육 강화 등이다. 이명박 정부의 평생교육 정책비전은 교육과학기술부 설치, 교육부의 평생교육 담당부서의 강화, 학교교육체제의 평생직업능력개발 체제로 개편, 창조경제의 실현, 평생학습사회의 구현 등이다. 이명박정부의 주요정책 내용은 인재정책의 강조, 생애단계별 평생교육진흥 체제 구축, 고용가능성을 증진하기, 사회적 포용과 통합을 위한 부모교육의 강화, 가족갈등해소를 위한 교육의 강화, 세대 간 통합교육의 강화, 평생학습결과의 인정, 평생학습계좌제운영, 평생학습중심대학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박근혜 정부시기의 평생교육 정책 지향은 창조경제를 이끄는 인적자원의 개발, 대학중심 평생교육체제 구축,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교육지원, 온오프라인 평생학습종합지원체제 구축, 지역과 학교를 연계한 지역사회 평생학습역량의 강화, 지역평생학습공동체 확산, 학습동아리 육성, 농어촌 평생학교운영 등이다. 주요 평생교육 정책내용은 인적역량의 강화, 교육과 경제의 연결, 소외계층의 지원, 생애주기별 평생학습기회 제공, 교육혁신, 행복과 창의교육 등이다. 문재인정부 시기의 평생교육 정책비전과 목표는 교실혁명으로 공교육 활성화, 국가교육회의의 강화, 기초학력 보장체제 구축, 소외계층의 맞춤형 교육시행, 교육격차 해소, 사회적 취약계층의 교육증진, 고졸취업자 지원 강화 등이다. 이 연구와 같이 각 정부는 해당 시기의 국제적 환경의 변화의 국내의 환경의 변화 등을 반영하여 평생교육 정책이 수립하였다. 각 시기의 평생교육 정책의 성과에 대한 체계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한계점이다. 한편, 국가평생교육 정책의 수립에 있어서 각 정부시기에 공통적으로 전개되어야 하는 평생교육의 기본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과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직업교육체제의 수립이라면, 이 같은 직업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기본방향과 관련제도의 일관된 정립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향후 정부에서는 평생교육정책의 기본적인 방향을 마련하고 이에 기반하여 평생교육정책이 수립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direction and conten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by government period in Korea.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reviewed, and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nd research methods were described. In this chapter,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policy,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were described. In Chapter 3, the change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in each government period was examined. In other words, the main policy vision and policy goals of Kim Young-sam's civilian government for lifelong education derived various educational reform plans centered on the Education Reform Committee to build th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As a plan for education reform, it proposed fostering professional technical manpower, reforming social education, strengthen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actively supporting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As for the main policy contents,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 policy foundation, the promotion of the neo-liberal policy of the May 31st education reform, the presentation of a new educational vision for the creation of a new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Reform Committee and the preparation of education reform plans. etc. can be mentioned. The vision and goal of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during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include the strengthening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projects through the revision of various law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Major policy contents include unemployment countermeasures, chaebol reform, reinforcement of consumer-centered education, promotion of basic labor rights, improvement of labor market flexibility, enactment of laws related to reinforcement of consumer-centered education policies, credit recognition, vitalization of credit bank system,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law, distance colleges Legislation related to installation, etc. The ideology and direc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ere to strengthen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establish a comprehensiv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lan, link education and welfare, establish a lifelong education DB, establish a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operate adult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nd operation of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nd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such as the elderly. The main policy details of lifelong education include strengthening vocational education to improve employability,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strengthening of literacy education. The policy vision for lifelong education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rengthening of the ministry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the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into a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 the realization of a creative economy, and the realization of a lifelong learning society. The main policie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clude emphasis on talent policy,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by life stage, promotion of employability, strengthening of parental education for social inclusion and integration, strengthening of education to resolve family conflicts, and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generations. Reinforcement of lifelong learning, recognition of lifelong learning results, operation of lifelong learning account system, operation of lifelong learning-centered university, etc.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orientation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as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leading the creative economy,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centered lifelong education system,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social integration,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online and offline lifelong learning support system, and the local community linking schools and regions. These include strengthening lifelong learning capabilities, expanding local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fostering learning clubs, and operating lifelong schools in rural areas. The main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policies are strengthening human capacity, linking education and economy, supporting the underprivileged, providing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by life cycle, educational innovation, and happiness and creative education.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vision and goals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were to revitalize public education through classroom revolution, strengthen national education conferences, establish a system to guarantee basic academic ability, implement customized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narrow the educational gap, promote education for the socially vulnerable, and support high school graduates. reinforcement, etc. As in this study, lifelong education policies were established for each government period by reflecting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domestic environment at that time. The limitation is that there is no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lifelong education policies in each period. On the other hand, in establishing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and projects to establish the basic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which should be common in each government period. For example, in the case of establishing a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stently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 and related systems for the establishment of such a vocational education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future government to prepare the basic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to establish lifelong education policy based on this.

      • 평생교육강사의 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 노인평생교육 교‧강사를 중심으로로

        권영옥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연구는 노인평생교육 영역의 주요 교수자인 교‧강사가 노인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현장에서 실천교수법을 통하여 강사들의 교수역량이 향상되어 과정을 입문기, 수련기, 숙련기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에서 노인평생교육 현장에서 교‧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강의 경력 5년 이상의 강사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을 하였다. 실제로는 현장경력 9년~20년의 강의 경력이 있는 강사들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였다. 즉, 반 구조화된 인터뷰 질문지를 개발하여 연구대상자와 내러티브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평생교육 강사는 강사 입문기, 수련기, 숙련기를 거치면서 강사로서 교수역량을 스스로 계발하여 역량이 향상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평생교육 강사로서 입문기, 수련기, 숙련기를 직면하면서 어려운 점과 좋은 점은 대부분 공통적이었지만, 비공통적이고 개인적인 측면도 있었다. 공통적으로 입문기의 강사로서는 무대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 물론 아닌 강사도 있었다. 수련기에는 무대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면서 자신감이 생기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이 생겼고, 숙련기에는 자신감 향상과 함께 현장 상항에 맞는 맞춤형 강의를 할 수 있는 노하우가 생겼다는 것이다. 노인평생교육 교‧강사들은 자신들의 부족한 교수역량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의 학습을 통하여 계발하고 성장하고 있었다. 노인평생교육 강사들이 자기계발 및 역량을 향상 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노인관련 교육에 참여 하고, 전문서적을 많이 보고, 선배강사들에게 배우고, 반복적으로 몸이 기억할 수 있을 때까지 연습하고, 교육현장에 직접 참여하고, 자격증을 취득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 대화를 많이 하고, 현장에서 사용할 기자재를 직접 만들고, 학원을 다니고, 평생교육 관련 대학교와 대학원을 다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면서 역량을 향상 하면서 성장하고 있었다. 강사들은 인성, 지식, 기능, 태도,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좋은 강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입문기의 강사들을 대상으로 강사다운 강사를 배출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수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노인평생교육 교‧강사들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교수역량 강화를 위하여 사회적‧제도적 차원에서 공적 평생교육기관에서 체계적 강사연수과정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민간 평생교육 단체에서도 강사연수과정을 체계적으로 적극적은 개발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평생교육강사, 노인평생교육, 노인평생교육 교‧강사, 평생교육 교‧강사, 평생교육 교‧강사 역량, 역량향상, 역량계발, 평생교육강사역량 This study examines how teachers and lecturers, the key educators in geriatric lifelong education, enhance their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pragmatic teaching methodologies. This progression is analyzed through the stages of commence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astery. To facilitate this, the research involved six educators from Daegu and Gyeongbuk regions, each with at least five years of lecturing experience in geriatric lifelong education. These lecturers had between nine and twenty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research method mainly consisted of qualitative interviews, which utiliz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and adopted a narrative approach.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structors of geriatric lifelong education could augment their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self-improvement during each stage, thereby enhancing their skills. The challenges and benefits during these stages were mostly common, although there were some personal differences. Stage fright was a common issue for instructors in the initiation phase, though not universally. As stage fright diminished dur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hase, instructors gained self-confidence and began creating unique instructional programs. In the mastery phase, improved confidence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tailored lectures suitable for specific field situations. Educators in geriatric lifelong education were found to be improving their teaching skills and growing professionally through a variety of learning strategies. These strategies included participating in geriatric-related educational programs, extensive reading of professional literature, learning from experienced lecturers, repetitive practice to achieve embodied memory, active engagement in educational sites, acquiring professional certificates, networking and engaging in conversations with various individuals, crafting field equipment, enrolling in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ttending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specializing in lifelong education. The instructo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tegrity, knowledge, functionality, attitude, and communication. They strongly advocated for systematic training for novice instructors to cultivate high-quality educator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ers and lecturers in geriatric lifelong education and promote the enhancement of their teaching competencies, there needs to be a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instructor training courses and operational programs in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rivat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should also proactively develop and administer comprehensive instructor training courses. Keyword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Geriatric Lifelong Education, Geriatric Lifelong Education Teachers and Lecturers, Lifelong Education Teachers and Lecturer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Competencies, Competency Enhancement, Competency Development,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Proficiencies.

      • 지역학습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 G군의 ‘마을평생교육지도자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숙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To make lifelong learning city initiatives successful within local communities, substantial support is necessary. The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s’ are increasingly fostered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to motivate local residents to engage in lifelong learning voluntarily. This aims to nurture the talents and facilitate educational activities essential in the region. Despite variations in nomenclature across local governments, a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 is essentially a resident who propels voluntary learning and invigorates lifelong education within the village. After undergoing local government training, these leaders initiate activities either individually or by forming and participating in various organization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functionality of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s’ within actual communities, explore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at enable their roles, and understand the kind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 they provide. Previous research on these aspects remains sparse. This study focuses on instances where residents voluntarily form civil organizations and support everyday learning at the village level upon completion of the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 training course in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The research subject is the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s Council’ (VLELC) of Gyeongbuk G County. A decade post-establishment, the VLELC in G County is ripe for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local learning communities. In G County, the VLELC is fostering the training process for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s’, with residents passionately participating in and creating educational activities. These leaders, having undergone the local government training, constitute the VLELC. The study considers the ‘VLELC’ as the research unit, outlines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s in which its members participate, and analyses the lifelong educational significance of ‘VLELC’ activ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were the origins and initial activities of the ‘VLELC’? Second, how is the formation of the loc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VLELC’ education taking place? Third, how do th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of the ‘VLELC’ impact the loc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urth, what is the lifelong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VLELC’ activities? A narrative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approach, was chosen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d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interviews, G County’s homepage, ‘VLELC’ Band, photo media, press releases, and more. Firstly, G County’s ‘VLELC’ was established in June 2012, following the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 training course completed by 20 people in 2011. These residents were instrumental in forming and activating the ‘VLELC’, thanks to their cre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Secondly, the evolution of the loc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VLELC’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organizing-activating-specializing’ stages. The ‘organizing’ phase was primarily influenced by individuals in key positions. These individuals actively participated in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spearheaded lifelong education projects at the village level to promote harmony among ‘VLELC’ residents. The ‘activating’ phase was marked by ‘VLELC’ activities stimulating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s to identify and address their village’s education issues and voluntarily create educational projects. The ‘specializing’ phase underlin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ith the ‘VLELC’ continuously producing cohorts of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s’. At the village level, ‘VLELC’ activities have expanded residents’ learning opportunities by including those previously excluded due to time, space, and personal circumstances. At the regional level, the ‘VLELC’ has acted as a mid-level support organization, bridging G County and the entire village. The studied ‘VLELC’ has positioned itself within the framework of civil-government cooperation. Maintaining independence as a private organization, it identifies issues in nationally and provincially implemented projects without distancing itself from the government.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residents’ actual learning processes within the region necessitates follow-up studies on the educational practice field. Keywords: Community Education, Local Learning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Lifelong Learning, Lifelong Learning City, Village Lifelong Education,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 Council.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지역사회에서 자리 잡기 위해서 많은 지원 세력이 필요하다. 지역민들이 평생학습에 관심을 갖고 자발적인 참여로 더 나아가 지역에 필요한 인재 양성 및 교육 활동을 조성하기 위해 주민참여로 ‘마을평생교육지도자’ 양성이 추진되고 있다. 지자체마다 명칭은 다르지만 ‘마을평생교육지도자’의 역할은 마을의 주민이면서 자발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마을 단위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마을의 평생학습의 리더자이다. 지자체의 기초과정, 양성과정을 거친 평생교육지도자는 개별 활동을 하거나, 조직을 구성하고 활동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평생교육지도자’들이 실제 지역에서 어떤 학습경험을 통해 활동하는지, 활동하면서 어떤 전문성(역량 강화)교육을 하고 있는지, 그 과정을 탐색한 연구는 미미하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에서 ‘마을평생교육지도자’ 양성과정을 수료한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민간조직을 구성하고 마을 단위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학습을 지원하는 사례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북 G군의 '마을평생교육지도자협의회' (이하 마.평.협)이다. 연구는 G군의 '마평협' 구성한 지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지역학습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G군은 평생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교육 활동을 조성하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에서 '마평협'에서 ‘마을평생교육지도자’ 양성과정이 추진되고 있다. 지자체마다 명칭은 조금씩 다르지만 ‘마을평생교육지도자’는 마을주민이면서 마을의 학습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마을 단위 평생교육활성화를 이끌어가는 마을학습의 리더자이다. ‘마평협’ 구성은 지자체에서 이루어지는 양성과정을 거친 마을평생교육지도자들로 구성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마평협’을 연구 분석 단위로 삼아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평생학습프로그램을 기술하고, ‘마평협’활동의 평생교육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마평협'의 출발배경과 초기 활동은 어떠한가? '마평협' 교육과 교육을 통한 지역학습공동체 형성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 '마평협' 활동내용과 상호작용은 지역학습공동체 활동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 ‘마평협’ 활동이 갖는 평생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질적 접근의 하나인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택하였다. 자료수집은 문헌조사, 개별면담, G군 홈페이지, ‘마평협’밴드, 사진매체, 보도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첫째, ‘마평협’의 출발 배경과 초기 활동으로 G군 ‘마평협’은 2011년 ‘마을평생교육지도자’ 양성과정(20명)을 수료 후 2012년 6월 G군 ‘마을평생교육지도자협의회’를 구성하여 평생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교육 활동을 조성하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프로그램 활동을 적극 참여하였다. 둘째, ‘마평협’교육과 교육을 통한 지역학습공동체 태동단계로 ‘조직화-활성화-특성화’로 구분할 수 있다. ‘조직화’시기는 주요직책을 맡은 분들의 역할이 컸다. ‘마평협’에서 주민들간의 화합을 위해 마을단위 평생교육사업을 추진하고 지속발전 가능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적극 찾아서 참여하였다. ‘마평협’에서 주민들간의 화합을 위해 마을단위 평생교육사업을 추진하고 지속발전 가능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적극 찾아서 참여하였다. ‘마평협’ 주요직책을 맡은 분들 모두 마을을 찾아다니며 노력하였기에 주민들의 참여도와 마을 단위의 사업이 활성화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활성화’시기는 ‘마평협’활동을 하면서 마을평생교육지도자들이 자기 마을의 교육에 대해 문제의식하고 관심을 기울이면서 자발적으로 교육사업을 만들어내면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성화’시기는 ‘마평협’활동을 계기로 ‘마을평생교육지도자’들이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조직 차원은 교육 봉사단체로서 ‘마평협’의 위상은 마을 단위에서 활동하는 ‘마을평생교육지도자’ 그룹을 계속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마을 차원은 ‘평지협’의 활동을 통해 시간과 공간, 개인적 여건으로 인해 학습 기회에서 소외된 주민들이 생활권에서 배움에 참여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처럼 주민들의 학습 기회를 양적으로 확장한 것이다. 지역 차원에서 ‘마평협’은 G군과 마을 전체를 연결하는 중간지원조직으로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인 ‘마평협’은 국가적인 시·도 하에서 시행된 사업에서 문제의식을 느낀 민간조직이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관과 거리를 두고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민·관 협력의 틀 속에서 자리를 찾아 나간 조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에서 참여하는 주민들의 학습 과정의 실제를 이해하는 현장에 기반을 둔 연구라는 점에서 교육 실천 현장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키워드 : 지역사회교육, 지역학습공동체, 평생교육, 평생학습, 평생학습도시, 마을평생교육, 마을평생교육지도자, 마을평생교육지도자협의회

      • 장구연주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스트레스 해소효과

        류인겸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연구는 대구시, 경상북도 청도군에 거주하는 연구대상 노인 200명(남성 25명, 여성 175명)에게 연구자가 구안한 노인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장구연구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교수·학습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참여형태와 만족도,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정도 차이, 연구대상자의 장구연주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형태와 만족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차이 순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면 장구연주 평생교육이 노인의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노인들이 장구연주를 평생교육으로 인지하지 않고 여가선용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평생교육차원에서 장기적이고 적층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안 구성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건강과 이웃, 친구, 친척사망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지만, 자녀와 같이 살지 않기 때문에 가정불화 및 집안 결정권 스트레스는 없으며, 의외로 경제 스트레스가 없었다. 또한 학력이 낮은 집단과 종교에 시간을 많이 투자하는 대상자 순으로 스트레스가 많았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연주자가 구안한 노인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장구연주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장기간의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핵심주제어 : 노인,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만족도 This study is an analysis In the order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participation type and satisfaction, stress level, stress level difference, and stress leve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participation in the Janggu perform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ter teaching and learning the Janggu Research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signed by the researcher to 200 elderly people (25 men and 175 women) living in Daegu and Cheongdo-gun, Gyeongsangbuk-do, through a survey.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t is the same that lifelong education for Janggu performance has significant results on the stress of the elderly, but the elderly did not recognize Janggu performance as a lifelong education and recognized it as a leisure progra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as a long-term and stacked educational program at the level of lifelong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a lot of stress on health and death of neighbors, friends, and relatives, but because they did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there was no family discord and family decision-making stress, and surprisingly no economic stress. In addition, there was a lot of stress in the order of low-educated groups and subjects who invested a lot of time in religion. In addition, in this study, the Janggu perform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signed by the performer to relieve stress for the elderly does not have a long-term effect, so improvement is needed. Keyword : Elderly, Stress, Stress coping behavior, Life satisfaction

      •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가 학습형태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손미경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대구시 달성군 여성문화 복지 센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 고령보건소 건강마을 만들기 학습자, 합천 농어촌개발공사, 대구과학 대학교 노인건강관리지도사과정의 성인 학습자(남성 34명, 여성 147명)에게 양적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가 학습형태선택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 하는데 목적을 가졌다. 지금은 평생교육이 필수가 되었다. 그러나 평생 학습장의 현실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주어 지지만 접수과정에서 동일한 학습자들이 여러 가지 교육을 신청하는 일들이 생긴다. 과연 그들이 학습에 참여하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원동력으로 교육의 만족도를 높이는지에 대한 학습 동기가 궁금했고 어떠한 학습형태를 선호하고 있는지에 대해 궁금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양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서는 학습 동기를 평가하기 위해 자기 결정 이론과 성취목표이론을 기반으로 한 동기 척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학습 형태와 학습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척도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 동기와 학습 형태, 학습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 학습자의 동기가 학습 형태와 학습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재적 동기와 성취 목표지향적 동기가 학습 형태와 학습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형태가 학습 만족도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 현장에서 학습 동기를 증진 시키고 학습 형태를 개선하여 학습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및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제언을 제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향후 연구 에서는 보다 다양한 학습 동기와 학습 형태 요인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포괄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교육 동기가 학습 형태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주제어: 성인학습, 평생학습참여동기, 학습형태,학습만족도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antitative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adult learners (34 males and 147 females) participating in various programs at the Women's Cultural Welfare Center in Dalseong-gun, Daegu, the Healthy Village Development Program at the Elderly Health Care Center, Hapcheon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the Elderly Health Care Leadership Course at Taegu Science University. The primary aim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earners' motivation on their selection of learning styles and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In an era where lifelong education has become crucial, it's observed that the same learners often enroll in different programs offered by lifelong learning centers.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learn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activities, whether this motivation serves as a driving force for their engagement and ongoing efforts, and their preferences in learning styl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incorporated motivation scale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chievement goal theory to assess the participants' learning motivation. Additionally, these scales were used to evaluate the learners' preferred learning styl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ers' educational choices and their consequent satisfaction in lifelong learning contexts. This study delv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adult learners.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it was found that learners' motiv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shaping both their choice of learning styles and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Specifically,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oriented motivation emerged as key predictors of positive learning styles and high learning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search revealed that learning styles serve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se insights are invaluable in educational contexts, suggesting that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and tailoring learning styles can significantly boost learners' satisfaction. This study thus lays a solid foundation for developing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educational programs and learning outcomes. ​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 diverse range of motivational and learning style factors for more accurate and comprehensive results in future research. Consequently, this study not only sheds light on the dynamics of adult learning but also opens up avenues for practical enhancements in educational methodologies and programs, with the potential to positively impact adult education. ​ Keywords: Adult learning,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Learning styles, Learning satisfaction

      • 평생교육기관 평가척도에 관한 관련집단의 인식비교 연구 : 경상북도 소재 평생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김민희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연구는 오늘날 평생교육기관에서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평생교육기관의 평가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의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으로 평생교육기관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집단들이 평생교육기관 운영 평가척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의 연구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에 위치한 평생교육기관 7개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평생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평생교육기관 경영자, 평생교육기관 실무자, 평생교육기관 강사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하고,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수강생 집단을 하나의 집단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 두 집단의 평생교육기관 평가 척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평가척도 인식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평생교육기관의 평가척도로서 평생교육시설 항목에 12문항, 평생교육 프로그램 항목에 7문항, 교·강사 항목에 7문항, 기관의 행정서비스에 6문항, 기관평가에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기관 운영자들의 기관평가 척도에 관한 중요도 인식은 교육시설은 수강생 방문편리성, 냉난방 시설 양호성, 주차시설 준비, 교육기자재 준비, 시설 청결성, 시설 안전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종류의 다양성, 프로그램의 타 기관과의 차별성, 프로그램 품질의 우수성, 프로그램의 충실성 등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기관의 행정 서비스에 대한 평가척도에 대해서는 기관의 행정직원의 친절성, 기관의 강의와 관련된 수강등록 등에 대한 안내 원활성이 중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기관 운영자들의 평생교육기관의 학습비와 재정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기관 예산의 충분성, 기관 강사료의 적절성 등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의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요소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수강생 방문편리성, 냉난방, 교육비품 준비성, 교육 기자재 준비성, 주차시설 등에 대한 응답비율이 높았다. 수강생들은 프로그램의 평가요소에 대하여 거의 동일하게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공부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는 것,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갖추는 것, 프로그램 종류의 다양성, 프로그램 운영의 충실성 등에 대하여 모두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수강생들은 교·강사의 평가척도에 대하여 교·강사의 전문성, 프로그램 운영의 성실성, 교·강사의 수강생에 대한 친절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수강생의 기관 행정서비스에 대한 평가 척도에 대한 중요도는 행정 직원의 친절성과 강의와 수강등록 등의 안내에 대한 원활성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기관 평가척도에 있어서 기관평가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는 기관의 교·강사 평가,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등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집단 간 차이에 대한 비교는 교육시설에 있어서 교·강사 휴게실은 평생교육 운영자 집단이 높았다. 다른 기관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운영자집단이 학습자집단보다 높았다. 교·강사의 용모가 단정하다는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원이 학습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관에서 온라인과 SNS를 통한 안내가 잘 이루어진다는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원이 학습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관평가에 관한 요소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how various group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erceive the evaluation scale fo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s a basic research to develop the evaluation scal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research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argeting seve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manager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practitioners,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structors working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s one group, and the group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s one group.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research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argeting seve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manager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practitioners,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structors working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s one group, and the group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s one group. And the perception of these two groups on the evaluation scal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scale was analyzed. Th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previous research. As an evaluation scale fo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12 questions were included in the lifelong education facility category, 7 questions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category, 7 questions in the teacher, instructor category, 6 questions in the administrative service of the institution, and 5 questions in the institution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 operators' perception of institutional evaluation scale was found to be important for educational facilities such as convenience of student visits, good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facilities, preparation of parking facilities, preparation of educational equipment, cleanliness of facilities, and safety of facilities. Regard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y answered that the diversity of the program type, the program's differentiation from other institutions, the excellence of the program quality, and the faithfulness of the program were important. Regarding the evaluation scale of the institution's administrative services, they answered that the kindness of the administrative staff of the institution and the smoothness of information on course registration related to the institution's lectures were important. Second, regarding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factors for learners' educational facilities, the response rate for student visit convenience, air conditioning, heating and cooling, preparation of educational equipment, preparation of educational equipment, and parking facilities was high.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almost equally important to the evaluation elements of the program. They answered that it was important to have a program they wanted to study, to have a program suitable for their level, to have a variety of program types, and to be faithful in program operation. For the students, the teacher-instructor's professionalism, the sincerity of program operation, and the teacher-instructor's kindness toward the students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actors for the evaluation scale of the teacher-instructor. As for the importance of students' evaluation criteria for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services, the kindness of administrative staff and smoothness of lectures and course registration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evaluation in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cale, they responded that the institution's teacher-instructor evalua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survey were important.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showed that,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 lifelong education operator group was higher in the common room for teachers and instru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that operated a program differentiated from other institutions, and the operator group was higher than the learner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that the appearance of teachers and instructors was neat, and the number of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learn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that guidance through online and SNS was good in the institution, and the number of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learn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elements of institutional evaluation.

      • 지역성에 기반을 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D군의 생태관광농업대학 과정을 중심으로

        김영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locality is shaped at each level from planning to evaluation in the community. In modern society, it is enhancing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as a means of community development. Especially,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akes up the large part in so much that it is considered as lifelong education itself.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locality has more significance than the analysis of the community environment which is done in the planning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Because of the value that education itself has, locality is likely to be treated merely as a component of geographic, economic, social, cultural, administration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terpreted as a past-ward tendency which is made among the people in the community with the other environmental component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cludes not only past but also present and future. Therefore, the locality in this study is not only a regional component but also the concept that includes all the regional traits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of all the environmental components and the governance values. The cas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aimed to train the community leaders to develop the community. The program was operated in the rural small city where the main industries were agriculture and tourism. Developing competitive local contents to make the brand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livelihoods of the community members who strongly influence the community development. Though it was a small city, the administrative agency of the cit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and tried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the citizens as 'the lifelong learning city'. It attempted to find developmental change that the community required in lifelong education and to train the community members into the active leaders. The case program of this study had been operated for 4 years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with the best use of the local traits. Compared to the comm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usually end in a year, it was a large-scale and important one with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It was the program based on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members were the main agents and targets of the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was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regeneration.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were the current issues of the community and they were delivered to the learners strategically by analyzing the local traits. The hallmark of this program was that, through the application of locality, the educational courses corresponded with the local problem solving process. Taking this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community members could face the problems of their community and search for the solutions for themselves. The partnership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that designed the program, the learners (the community members) and the instructors (the experts) was established systematically. During the education courses, consistent networking was constructed between the community members and the administrative agency to resolve conflicts.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practiced by the community has both diversity and universality in its type and management. And developing it follows a certain procedure. However applying locality to the program can make a difference. There are many programs that are not influenced by locality. But the lifelong education that was approached from the view of community regeneration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And locality is stronger in small city than big city. Appling locality to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can improve the educational resources. Locality isn't limited to the analysis of the local environment but interacts consistently with all the courses until the program ends. After the program ends, the evaluation needs the interpretation from the various view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input and output. A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the education based on locality can make us find the inner change of the community members, way of thinking, values, potential of the community that can be overlooked easily with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Locality makes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perceived as the social phenomenon of community, not as a simple education course. It is important to spread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quantitatively. Bu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connect its best effects to the community development by taking a qualitative approach involved the use of locality. Therefore, it is very meaningful to find various cases that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locality interact and produce the dynamic values. For this, it should be examined how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s shaped in the context of the community and various aspects in the process. Locality is an educational resource and an important element to consider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 local elements interact and influence each other to have their specific traits and the potential to use them fo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s limitless and the results are various. This study offers indirectly the empirical result of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operated variously in the future and, thus, has a signification to suggest the direction toward the local competence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with special purpose by analyzing the case on the use of locality.

      •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경험을 통한 변화에 관한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수필교실 참여 중장년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은주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수필교실에 참여하는 중장년 여성들의 학습경험이 개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수필교실 프로그램에 6년 이상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중·장년 여성 50여 명 중 수필작가로 등단한 중·장년 여성 6명과 그들을 지도한 교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수필교실 프로그램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설문조사, 사례연구, 문헌연구 등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참여자들의 학습경험과 그로 인한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필교실 프로그램의 참여는 학습자의 자기표현 능력향상과 사회적 관계 네트워크 확장 그리고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성찰 및 정서적 안정과 성장,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범위와 활동 체계의 변화, 전문성의 발달 등과 사회적 연결이 증진되고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 증진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중장년 여성이 자신의 인생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를 돕고, 새로운 열정과 취미를 발견하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수필 쓰기는 갱년기와 같은 전환기적 위기를 맞이한 중장년 여성들에게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의 역량은 수필교실 프로그램 참여 이후에도 다양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며 참여자들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고, 일상생활로 학습활동을 확장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배경인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수필교실 프로그램은 각기 다른 목적의 성인학습자와 성인교수자가 만나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을 통해 구현되는 그 의미가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은 평생학습 현장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경험적으로 드러나게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와 함께 교수자도 프로그램의 참여자로 보아야 한다. 수필교실 프로그램 참여자의 이러한 긍정적 변화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발달과 평생학습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경험이 중·장년 여성의 개인적, 사회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음을 시사하며,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에 있어 교수자와 학습자를 위한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제도적 지원 방안과 다변화된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학습자 친화적 교육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an essay classroom program at a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 on individual chang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6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who became essaymakers out of 50 middle-aged and senior women who have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the essays classroom program at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6 years or more, and the professors who supervised them. The research method was an in-depth analysis of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and resulting chang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rough observation of participation in an essay classroom program, in-depth interviews, surveys, and case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tion in the essay classroom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learners'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expand social network relationship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positive effects such as self-reflection and growth, social interaction, changes in activity systems, development of expertise, emotional stability, promotion of social connection, and promotion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played a major role in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and discovering new hobbies and passions. In addition, writing essays had a positive impact o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facing a transition crisis such as menopause, improv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ducing depression. The professors' competencies created various and positive chang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essay classroom program,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participants achieve their educational goals through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expand their learning activities into everyday life. You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ssay Classroom Program at th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Center that is fully implemented only when adult learners and professors meet for different purposes and engage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within a program, along with the learners, instructors should also be viewed as program participants. This course empirically revealed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n the field of lifelong learning. This change in participants in the essay classroom program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creasing the sustainability of lifelong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ers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and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