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외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컴퓨터과학교육 고찰

        김조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19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역점을 둬야 할 분야가 바로 정보기술 분야의 핵심 인력 양성이다. 이런 국가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보기술 분야의 핵심 인력을 양성하고 소프트웨어 중심의 산업체질을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초·중·고등학교의 정보기술교육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단순한 컴퓨터 활용이 아닌 컴퓨터과학교육으로의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행 초·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실태와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해 여러 모델을 연구하여 시행하고 있는 미국의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후 2007년에 발표된 개정교육과정을 점검하여 우리나라 컴퓨터교육이 컴퓨터과학교육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했다. (1) 국민공통 기본교과로 지정 초등학교부터 컴퓨터교육이 대부분 재량활동과 선택과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교와 개인 간 수준차가 크다. 각 학교 및 지역별로 수준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컴퓨터교과를 필수교과로 하여 모든 학생들이 적절한 수준에 올 수 있도록 배울 필요가 있다. (2) 수업 시수 확보 학교에 따라서 중학교에서 배우지 않고 고등학교에서 컴퓨터과목을 배우거나 아니면 자칫 컴퓨터과목을 한 번도 배우지 않고 초․중․고등학교를 졸업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수업시수의 확보가 불분명하다면 건실한 정보교육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3) 충분한 교사 확보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정보통신기술 소양교육’이 담임의 재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문지식이 없는 교사들은 교수자료를 이용하여 수업을 하기 보다는 타자연습이나 게임 등으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다. 진정한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한 기반으로는 먼저 전문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전담교사의 확보가 필요하다. (4) 연계성과 다양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선 단위학교별 여건이 다름에도 교과내용의 지나친 구체적 진술로 교육현장의 다양성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적발달수준을 고려한 포괄적 서술이라든지 연계성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방안이 필요하다. (5) 컴퓨터 교육 환경 개선 컴퓨터실의 운영과 컴퓨터보급은 어느 선진국에도 뒤떨어지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관리가 소홀하거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컴퓨터 교육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질 높은 교육내용, 방법 평가의 실현 가능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While we are taught simple computer applications in Korea, other developed countries focus on teaching computer systematically even in elementary schools. To stay competitive with other nations we have to emphasis on preparing people for the profess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have to develop an industry standard centered in software. For this, we need to look back at our education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know the problems of it and make improvements to focus more on computer “science”. This research is on the computer “science” program in America which has a variety teaching models for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educ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compares our 2007 computer program revision with an American computer science program and how this comparison can improve our computer program to become a computer “science” program. 1) To have required computer science program for all schools There are different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s between students since the computer program is an elective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eliminate these drastic differences, we need a required computer science program so all students will have the same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2) To have enough class time Some high school students did not have a computer class in middle school and some did not have any sort of computer class from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It is hard to expect to have valid educational information if there is not been enough class time. 3) To have enough qualified teachers Since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termine the class struc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Literacy Training’, which most of them do not have a strong computer background, they only have their students spend class time practicing typing or playing games instead of teaching essential computer skills. To have a “real” computer science class foundation, we need to have specialized computer teacher. 4) To have improved related content and the variety of content in textbooks Even though each school has a different environment, the textbook has too many details so there is less opportunities to learn the entire content. Therefore, we need to have a variety of educational plans related to the educational levels of each student or an overall introduction to computer course. 5) To have improved computer class environment Even though managing computer lab and providing computers are better in Korea than other developed countries, but there is a great neglect of taking care of computers and inefficient use of computers. There is a less possibility to achieve high educational methods if there is no improvement in computer educational environment.

      • 사이버 교육과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오프라인 모임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

        윤시내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19

        오늘날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달은 사회, 문화, 경제, 교육 등의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와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PC의 빠른 보급과 폭발적인 인터넷 사용자 수의 증가 및 고속 통신망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전통적인 교육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실제 존재하는 캠퍼스가 아닌 가상의 공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편리한 시간과 장소에서 온라인이나 기타 원격매체를 통해 강의와 학습활동을 진행해 가는 열린 교육의 형태인 사이버 교육을 출현시켰다. 기존의 면대면 수업에서의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충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임을 감안할 때,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이버교육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은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매력적인 학습전략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교육과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가 사이버 교육의 학습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적 방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사이버 교육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냄으로써 앞으로 진행될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오프라인 모임, 동영상 수업, 전자우편, 학부게시판, Q&A게시판으로 분석하고, 이 요인들이 학습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대표적인 사이버 교육 기관인 사이버대학교 중 서울디지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웹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이 실험으로 수집된 총 111부의 설문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요인들이 실제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유의미했는지를 밝혀내는 다중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관련된 결과로, 오프라인 모임 참여 빈도와 동영상 수업 사용빈도, 학부게시판 사용빈도, Q&A게시판 사용빈도는 학습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오프라인 모임 참여와 학부게시판의 사용빈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오프라인 모임 참여의 증가가 학부게시판에서의 참여 증가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전자메일의 사용빈도는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극히 미비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 동기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 학습 동기는 학습 성취도와 학습 유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요인은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학습 동기는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기존의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호작용 요인을 활성화한다면,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sulted in thorough transformation and growth in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ducational fields. Also, rapid supply of personal computers, explosive increase of internet use and rapid spread of a speed communications network made the tradition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be changed. Such changes caused a virtual learning, which is a kind of open education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make progress lectures and learning through online and remote media in their convenient time and place. In view of the fact that restrictions applied for time and place in existing face to face course cause a difficulty in ample interactions, the interaction in virtual learning using computer network would be attractive learning strategy which improves the quality of lecture and lea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virtual learning and learners and to make sure whether these factor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motivation of learning and to find out how leaner's motivation influences on effects of virtual learning by means of positive research. As we can find out the factors to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virtual learning and learners by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ill provide a guiding principle that improves the interaction in further virtual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 analysed the factors to affect the interactions between virtual learning and learners through off-line meeting, on-line video lectures, e-mails and Q&A boards and diagnosed whether the factor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effects of learning. This research was advanced by using an on-line survey which was executed by the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in Seoul digital university, a representative cyber institution of learning. On the basis of 111 pieces of survey, I tried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make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lso, I conducted a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to make out whether the derived factors was useful in actua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First of all, it was shown that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off-line meeting and of using on-line video lectures and boards of department and Q&A boards influenced meaningfully on motivation of learning. Among other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off-line meeting and of using boards of department had an potent influence on them since the increased frequency in off-line meeting has led the increased use of boards of department. However, the influence of frequency of using e-mails was insufficient. Secondly,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learner's motivation on effects of learning, it was shown that the learner's motivation have an effect on achievement and usefulness of learning. As we can see above, we will be able to improve effects of learning efficiently if the factors of interactions in off-line and on-line is revitalized since the factors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motivation of learning that influences on effects of learning.

      • 실과교과서 기반의 컴퓨터수업에 관한 코스웨어 개발 : 초등학교 5학년 실과교과서 중심

        권정인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21C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제 컴퓨터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과목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필수 교과서인 실과 교과서의 컴퓨터 단원은 실습 과정을 단순한 서술로만 기재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의 동기유발 측면이나 학습효과 상승면을 고려한다면 새로운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 지면의 한계와 출판과정의 취약성으로 교과서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이나 컴퓨터 전반에 걸친 내용이 실습실의 컴퓨터 환경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학습자뿐만 아니라 컴퓨터 전공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초등학교 교수자에게도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초등학교 실과교과서의 컴퓨터 단원에 학습 내용을 코스웨어로 개발하여 학습자에게는 수업 환경의 안전성과 학습목표를 높일 수 있고 교수자에게는 수업의 질적 향상을 꽤할 수 있다는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코스웨어를 개발하게 되었다. 실험방법으로는 실과 교과서에 기반을 둔 코스웨어를 개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눠 교과서와 코스웨어를 병행한 수업을 한 실험집단과 교과서만을 가지고 수업을 한 통제집단이 학습 후 형성평가를 통해 받은 점수를 통계 처리해 본 결과 실과교과서와 코스웨어를 병행한 실험집단 쪽의 학습자들이 학습목표에 대한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과교과서의 컴퓨터 단원을 학습할 때 실과 교과서와 함께 컴퓨터 실습부분에 대한 코스웨어를 함께 제공한다면 학습자에게 보다 높은 학습목표 달성을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컴퓨터 전공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초등교사의 수업에 질을 높일 수 있고, 컴퓨터와 교과서 내용의 불일치로 오는 학습 환경 취약성 극복의 가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Learning computer has become a required course rather than an elective course in the 21st century called an information -oriented era. However, the current unit of computer course included in the practical course textbook just deal with simple description about exercitation course. New changeover is needed when consider learner's motivation and learning effects. Also, because of limited volume of the book and vulnerability of folio publishing they show differences from description at textbook and general computer system from configuration at computer lab and they are giving inconvenience not only learners but teacher at elementary school where few are working with majored in compute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Courseware which includes the contents in the computer class unit in practical course textbook, aiming to provide a stable class environment, to make higher learning goals, and eventually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lass. For experimen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called experimental group, took a computer class using both the textbook and the Courseware. On the other hand, the other group, called controlled group, took a class using only the textbook. The scores obtained from statistical analysis were compared. The result reveals that the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the class using both the textbook and the Coursewar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Thus, it is believed that, if the developed Courseware were provided in the computer class, through aid of the Courseware learners may reach higher learning goal and at the same time teachers can provide high quality class and correct learning environment vulnerability which comes from disagreement of computer system and textbook contents.

      • 학교 Lan system 구성 및 효율적인 활용 방안

        홍성두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34351

        2l세기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변화와 더불어 학교 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활용, 교육의 질을 개선함으로써 지식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학습 능률의 중진, 학교 업무의 효율적인 정보와 인프라 구축을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학교 전산망을 구성한다는 것이 개념상으로는 잘 알려져 있지만 교사와 학생의 에듀넷, 인터넷등의 학교정보화 인프라 구축을 위해 Client/Server 환경의 학교 전산망을 구성해 보고 또한 교수-학습자료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용 LAN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교 전산망이 갖추어야 할 기능을 제시하고 국내의 전산망 구성 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학교 전산망 구성요소에 따른 네트워크 모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Client/Server 형 학교 전산망을 채택하여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고 전산망의 LAN 기술의 발전 정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전산망 구성도는 소속 학교를 대상으로 구 체적이고 발전적으로 구축해 보았으며, 교육 정보화를 체계화하고 이를 통하여 공유 정보를 교환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For facing 21C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we have to form new paradigm in school education with rapid change of Information Network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IT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making the best use of Information Network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we are able to train the creative talents who can lead the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and bring the 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school IT infra for school affairs. This study proposed active use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make a school networks based on school IT infra using for teachers-students Edunet, Internet. And I also proposed the applicable plan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irst, the main context of this study investigate the traits of Educational LAN system and analyze national networking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And I presented the functions that school network needs to possess and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network construction. Second, using contrast-analysis method, I analyzed network model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constituents of school network, I provided for the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in adopting the school network of Client/Server type. And I analyzed the developmental degree in LAN technology of network. Third, I made the school network into classroom units and systemize the information infra using school networking. Therefore I prepared the plans that can change and manage the information.

      • 사회 교과 연구회를 위한 웹 기반 심화ㆍ보충형 수준별 학습 시스템

        복권병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전산교육전공 2003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사회과에 적용되는 심화ㆍ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하여 고찰하고 군 지역 단위로 조직된 사회 교과 연구회가 운영하는 웹 기반 심화ㆍ보충형 수준별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이 학습자에게 수준에 맞는 교육내용을 제공함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둘째, 군 지역을 단위로 조직된 교과 연구회가 시스템을 운영함으로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가능하다. 셋째, 웹 기반 학습으로 학습 시간과 학습자 수의 제한이라는 교실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넷째, 교사들의 역할 분담 및 공동 연구로 학습 내용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교사들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다. In this system, an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applied for social studies is considered and a web-based, in-depth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learning system is operated by voluntary teacher's association (that is a society for research of the social curriculum). This is composed of regional groups realized according to the seventh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can be effectively administered, because the system provides learners with education suitable fo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2. A curriculum suitable fo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s possible, because the system is operated by a regional teacher' association. 3. With web-based Instruction, the limits of both learning time and student numbers which are drawbacks in classroom teaching will diminish. 4. It will be possible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o decrease work loads of instructors via a more effective role and joint research in social studies.

      •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효율적 운영 방안 : 교무업무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용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4335

        교육부에서는 21세기 지식 정보화사회에 대비하여 초·중등교원의 순수 교육 활동 외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학사, 교무, 행정업무 등을 종합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초·중등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1999학년도부터 초·중 고등학교에 보급하고 있다. 기존의 s/a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개념의 교무업무지원시스템의 보급으로 모든 자료를 전산화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정보화의 일환으로 1999학년도부터 보급된 교무업무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학교업무의 효율적인 전산화 및 교사의 업무 경감,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여건의 개선 및 교육활동의 극대화가 가능할 것인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교무업무지원시스템을 활용하여 교무업무를 전산화함에 있어서 기반조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무업무지원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교원의 연수 및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등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현 단계의 문제점을 발견해 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교무업무지원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보급으로 일선학교의 교육환경은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교무업무지원시스템은 교수-학습활동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막중한 학사업무에서 해방시켜 교사 본연의 업무인 교수-학습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 나아가 교육 정보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을 가능케 하였다. 아울러 학교의 학사 업무 및 교무업무의 전산화를 지속적으로 촉진하게 되었다. 이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것은 지속적인 시스템의 발전 및 전국적인 일반화이다. 이를 위해 현재의 프로그램이 부분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부분들을 보완해야 하며 시스템 운영상의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아울러 현재 구축된 DB의 중요한 데이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들은 이 시스템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의지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지속적인 교사 연수도 병행되어야 한다. 향후 과제로는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하위 시스템간의 효율적인 통합운영 방안 및 초·중·고등학교간의 상호 연계 방안과 일선 교사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상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developed the School To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can deal with all the school affairs (which occur regularly in addition to the pure education activities of the teachers) synthetically in order to be ready for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n 20.C , and has provided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all over the nation with them since 1999. Through the spread of the Teaching Assistance System of the new concept which makes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S/A system could computerize all the data and manage them effectively.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tudy and suggest the new solution on how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chieve the best educational activities - such as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education materials,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e stabiliza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based on the Teaching Assistance System which has supplied to the middle, high schools since 1999, as a part of the Education Information, and how to form the foundation in computerizing the school affairs. The spread of the School To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Teaching Assistance System help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improve. What's more, the Teaching Assistance System lightened the teachers' burden from heavy responsibility of the school affairs regardless of their own affairs-teaching and studying, and made the education condition improve and made the education information materials manage more effectively. But, what now needs in order to run this system effectively is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nationwide generalization of it. For this, the weak points of the present program must be repaired. The counter plan which can prevent outflows of existing database will have to be considered, and teachers themselves need their firmly will and continuous research attitudes to manage this system effectively. Accordingly, in the future, the research of the programs such as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systems of the School To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 mutual relations of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 that is in accord with the teacher's request will also have to be continued.

      • WBI에 기반한 고등학교 정보산업 교육용 전자교과서 설계 및 구현

        김세월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4319

        7차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과서는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질 높은 교과서'로서 그 속성은 '창의력과 사고력 및 탐구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교수·학습 과정 개선에 기여하고 쉽고 재미있고 친절하며 활용하기에 편리한 교과서'를 제작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자기 학습을 관리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인간을 형성하기 위한 교과서를 말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지도하게 될 일반계 고둥학교 '정보산업'을 사이버 학습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자 교과서를 설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초 조사를 하였다. 첫째, WBI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원리 및 WBI설계를 위한 일반적 교수설계 원리에 대하여 알아본다. 둘째, WBI의 특성과 교육적 효과 및 발전과제에 대하여 알아본다. 셋째, 자신의 학습에 대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동시에 학습에 대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책임을 지는 구성주의적 학습이론의 기본 개념과 유형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구성주의 교수-학습 설계와 전망에 대해 조사한다. 다섯째, 구성주의 활용 수업방법에 대해 조사한다. 여섯째, 전자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본다. 일곱째, 전자 교과서 개발의 이론적 원리인 온라인 학습과 하이퍼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조사한다. 여덟째, 전자 교과서의 유형 및 전자 교과서의 설계 모형을 조사한 후 전자 교과서가 갖추어야할 가능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아홉째, 7차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해 조사 분석한 후 이를 재구성한다. 이들 원리를 바탕으로 한 고등학교 '정보산업' 전자 교과서는 현장 수업을 위해 매우 적절히 사용될 것으로 예상하며 차후 학습자들과 전자 메일을 통해 내용을 수정 보완한다면 더 요긴한 학습자료로 활용되리라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 설계 구현된 전자 교과서는 학습자가 회원으로 등록한 후 필요한 내용을 학습하고, 학습 후에는 형성평가를 통해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학습한 내용을 이해하였는가는 학습평가 결과에서 결정된다. 단원학습에 대해서는 과제물을 제출하고 지도교사의 첨삭지도에 의해 부족한 학습을 보충할 수 있다. 학습 도중 의문사항은 항시 게시판을 이용해 질문할 수 있으며 동료 학습자들의 과제물 제출에 의해 해결할 수도 있다. 매 단원 학습에 필요한 중요 용어는 컴퓨터 사전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최신의 컴퓨터 상식을 위한 NIE학습자료는 학습에 참여하는 모든 학습자가 엮어갈 수 있다. 형성평가의 경우 학습집단의 수준에 맞게 관리자 모드에서 수시로 문제를 변경할 수 있으며, 형성평가에 대해서는 적절한 참고사항을 첨삭할 수 있다. 기존 교과서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해줄 전자 교과서를 활용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은 수동적인 소비자에서 능동적인 생산자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며 멀티미디어를 통한 상호작용과 다른 학습자들과 협동을 통해서 기존의 것과는 다른 형식의 학습 경험을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전자 교과서 제작은 교사가 교육과정에 맞추어 재구성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업계획의 재조정과 자료의 재구성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탐구가 필요하다. 전자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은 전통적인 수업과는 지도 내용 및 방법이 매우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의 학교 단위의 연구와 자기 연수, 지역단위의 협의회나, 민간업체와의 협의체 구성을 통해서 전자 교과서가 정착되어 교수-학습방법 개선에 일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rompted by the some traits in the seventh curriculum. The textbooks in the seventh curriculum, being learner-centered, should have varieties and excellent qualities in the contents. They should be easy, fun, convenient to use. and full of the contents which can help the student lead to study on his own, helping the student develop their creativity, thought, and the spirit of inqui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WBI-based electronic textbook of computer education which can meet such demands of the new curriculum and be used in the cyber space in the high school of the seventh curriculum. This electronic textbook is based on 「information industry], a textbook of the computer education at the academic high school. Various aspects were considered to develop a effective electric textbook Because the emergence of the WBI made it possible to implement such a material, first of all, the WBI was investigated in the characteristics, its educational effects, and the principals of design in teaching through it Secondly, as this study considers constructivism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tructivism, which is a recent the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was studied in its concept, its types, teaching-learning by it, etc Thirdly, it was about the electronic textbook itself. The things studied on it contained its concept, its characteristics, the principals in developing it, on-lined learning, hypermidia, and the user's interf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were also analyzed and the contents were reconstructed The general learning model using the electronic textbook is as follow:(1)The learner should be registered as a member. (2)The learner studies what he wants. (3)After studying, he has a formative test, by which he decides whether he move to the higher step or not. (4)During the learning of each unit, the learner should submit assignment and can be helped by the teacher's correcting (4)When the learner has questions, he can ask thorn through the bulletin board or use the classmates' assignment. (5)When the learner meet the new terms, he can look up them in the dictionary in the computer. Major findings or expec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It is expected that the electronic textbook based on the textbook 「information industry」 will be used a lot by the teacher because it gets rid of the shortcomings in the ordinary print-based one. 2. The electronic textbook will bring changes in the learner. In the knowledge and ability, for example, he will be a active producer instead of being a passive comsumer 3. It will be easier for the learner to learn at the right level because this electronic textbook give him individualized feedbacks and the teacher can know the learner's level in real time. 4. This kind of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because the teaching through the electronic textbook is new and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lass.

      • 중학교 스마트교육 실태 분석 및 내실화를 위한 개선방안

        노영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활동에 대한 인식 실태를 알아보고 중학교 스마트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경기도에 소재한 8개 중학교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문지를 작성 및 배포한 후, 결측값(인구통계학적 특성 미기입,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641부를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별(학년, 성별, 스마트교육 관심여부)로 스마트기기 이용 인식실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실태, 스마트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각 문항별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폰’ 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스마트기기를 하루 평균 ‘1시간이상-2시간미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기기로 주로 하는 일은 ‘SNS(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이용, ‘인터넷 검색’, ‘게임하기’였으며, ‘집’에서 스마트기기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동 중 혹은 여유시간에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며, 스마트기기의 활용 능력으로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을 알고 활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활동에 대한 분석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활동을 이용해 본 경험이 적었으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활동의 이용과목이나 분야로 ‘학교공부관련’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활동을 하는 이유로 ‘공부할 수 있는 장소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다’와 ‘사용방법이 쉽고 흥미롭다’라고 하였으며, 스마트기기를 앞으로 학습활동에 활용하거나, 계속 사용할 의도가 있는지에 대해 중립적인 생각이 많았다. 또한, ‘학습한 내용을 게임식으로 확인하는 서비스’를 학교 수업에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교육으로 받고 싶다고 하였다. 셋째, 중학교 스마트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분석 결과 학생들은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스마트교육은 문제해결과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 > 다양한 매체와 자료를 적절히 활용 > 성적 향상에 도움 > 학습에 필요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 획득에 도움 >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효율성과 다양성을 제공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을 위한 스마트기기 및 관련 시설 확충이 필요 > 스마트교육을 위한 다양한 학습자료 개발이 필요와 스마트교육을 위해 기존 학습자료의 질적 수준 향상 필요 > 교과 및 단원별로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교사의 분석 및 안내가 필요 > 스마트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전문가 및 보조 교사가 필요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use on smart devices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on the status of awareness on the learning activities utilizing these smart devices to search for improvement methods on substantializing the Sm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ccordingly,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distributed to the students in 8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641 results excluding missing values (Non-entry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insincere responses) were utilized as the valid samples. In addition, SPSS 21.0 Program was utilized, and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ross-analysis for each question on the status of awareness on using the smart devices, status of learning by utilizing the smart devices, and improvement method for substantiality of Smart Education for each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grade, gender and interest on Smart Educa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n using the smart devices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st possessed device by the students was the ‘smartphone’, and daily average use amount of the smart device was shown to be ‘1 hour or more – less than 2 hours’. In addition, smart devices were mostly used for ‘SNS(KakaoTalk, Facebook, Instagram, etc.)’, ‘Internet Search’ and playing ‘games’, and the smart devices were mostly used at ‘home’. Moreover, smart devices were mostly used during ‘movement or to relieve the boredom during spare time’, and the application capability of the smart devices was shown to be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basic functions required in learning’. Second, the analysis result on the learning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showed that students had low percentage of utilizing the smart devices for learning activities, and the subject or field for the learning activity utilizing the smart devices was ‘related to school work’. Also, reasons for utilizing the smart devices on learning activities were because ‘smart devices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possible for studying’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mart devices are easy and interesting’, and there were many neutral thoughts on whether the students had intentions for utilizing the smart devices in the future for learning activities, or have the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There were also responses on receiving the ‘service of checking the study contents in a game mode’ as the education utilizing the smart devices in the school cla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rovement methods for the substantiality of the Sm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students responded that Smart Education currently provided in schools provide the following benefits in order; Helps improve problem-solving and learning abilities > Various media and data are utilized appropriately > Helps improve the academic records > Helps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learning > Provides efficiency and diversity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responses on requirements for improvements were shown in the order of the following; More smart devices and relevant facilities are required for Smart Education > Various learning materials must be developed for the Smart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existing learning materials must be improved for the Smart Education > Analysis and guide by the teacher are required on the useful APPs for each curriculum and unit > Professionals and teaching assistants are required for helping the Sma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