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이지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한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 개론을 수강하는 예비 중등교사 1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인식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로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 전과 수강 후의 인터뷰, 개별 과제 및 조별 과제를 수집하였다.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대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 이들은 통합교육의 대상인 장애학생을 일반학생과 같은 학생으로 느꼈으며, 장애학생의 특성 및 그와 관련된 내용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또한, 통합교육의 대상인 장애학생의 또래 관계 및 학업 수행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였다. 이들은 통합교육의 개념을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으며,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교사에 대하여 실천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들은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전문가인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 관계를 다짐하였다. 넷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실행에 대하여 다양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들은 모든 학교급을 통합교육의 적기로 인식하였으며, 또래 관계 및 학업 수행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섯째,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을 통해 예비 중등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들은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도 많은 이점을 준다고 인식하게 되었으며, 통합교육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감소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비 중등교사들은 특수교육학 개론 수강을 통해 통합교육의 대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통합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였으며, 통합교육의 교사에 대하여 실천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통합교육의 실행에 대하여 다양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고, 통합교육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특수교육학 개론의 수강은 예비 중등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 연구동향에 대한 학사적-서지학적 연구

        마은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총신대학교를 대상으로 기독교 교육학 연구동향에 대한 학사적-서지학적 연구를 통해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의 현황을 고찰하여 한국의 기독교 교육학의 발전방향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교육학의 학사적 고찰과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은 보수적인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학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이러한 기독교 교육학은 신학이 기독교 교육학을 인도하는 응용신학의 형태를 띄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 교육학의 학문적 자명성 확립을 위해서는 신학과 교육학의 응용학문이 아닌 신학과 교육학을 중재하는 독자적인 학문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문적 성격을 통해 드러난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학사적-서지학적 문헌 분석을 통해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연구문헌을 통해 김득룡은 주일학교 교육과 칼빈 교육을, 정정숙은 가정 교육과 여성 교육을, 정일웅은 카테키스무스와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을, 김희자는 정보화 교육을, 한춘기는 교육신학과 교회교육에 대한 연구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연구의 관심속에서 드러나는 공통점은 교회교육 중심으로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은 교회의 신앙 교육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기독교 교육학은 상대적으로 사회적인 차원에 대한 교육적 탐구를 소홀히 하게 되었다. 학문적 자명성의 차원에서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학은 교회교육을 위한 신학에 강하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독자적인 학문이기보다는 응용신학적인 성격을 띄었다. 따라서 기독교 교육학이 독자적인 학문이 되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신학의 방향에 따라 적용하는 응용 학문에서 벗어나, 이론과 실천이 상호작용하는 종합학문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spect the direction of advancement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by speculating present state in Chongshin University through science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about christian education of Chongshin Univers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the characteristic of christian education in Chongshin University was examined by mentioning about sciencehistorical speculation and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education. Through speculation of scientific characteristics in Chongshin University's christian education, it was founded that christian education in Chongshin University had the tendency of conservative and evangelical christian educational pedagogy. This christian educational pedagogy has the aspect of applying theology which leads christian educational pedagogy. So,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christian educational pedagogy must be independent from applying science of theology and pedagogy. It has to arbitrate theology and pedagogy. Second, the researcher had examined trend of the christian education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f science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treatise. In bibliographies, the following studies were examined : Kim Deuk Yong : Sunday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al thought of Calvin. Chung Chung Sook : Family and female education. Jung Il Woong : Catechism and educational thought of Comenius. Kim Hee Ja : Information education. Han Choon Ki : Theology of education and church education. Through the above studies, it was possible to confirm interests about christian education. Totally, the christian educational pedagogy of Chonghshin University attributed much to teaching for faith in church. However, oppositely, this christian educational pedagogy had put little emphasis on educational research of social dimension. In the dimension of scientific selfunderstanding, the christian educational pedagogy in Chongshin University had to depend on theology for church education and had tendency of applying science instead of peculiar study. So, the christian educational pedagogy must escape from applying science directed by theoretical theology. It must be independent and mutual-operating total science of theory and practice.

      • 교육학 전공 학부생들의 전공교육과정 경험과 진로탐색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교직 외 진로를 선택한 비사범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정의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직 외 진로를 선택한 교육학 전공 학부생들의 전공교육과정 경험과 진로탐색과정을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하는 내러티브 탐구과정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교육학 전공교육과정과 진로탐색과정을 포괄하는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경험을 그들 각자가 구성해가는 생생한 삶(lived experience)의 과정으로 바라보았다. 이는 교육학 전공교육과정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그 개선안 마련을 목적으로 하여 공식적 교육과정 자체를 분석하거나, 이와 같은 문서화된 교육과정과 비교하는 차원에서 제한적으로 학습자 경험을 고찰한 것과는 다르다. 더불어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으로서 교육학 전공교육과정의 기능적 역할이 강조되어 온 진로 관련 선행연구의 경향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경험 자체에 주의를 기울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 전공 학부생들은 전공교육과정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둘째, 이들의 전공교육과정 경험은 어떠한 진로탐색과정으로 이어지는가? 셋째, 전공교육과정 경험과 진로탐색과정을 통해 바라본 교육학 전공 학부생들의 경험은 어떠한 교육적 의의를 지니는가? Ⅳ장에서부터 기술되는 교육학 전공 학부생들의 대학생활은 ‘안개 서린 바다 항해하기’의 비유로 정리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 다른 기대를 안고 교육학과생이 되었다(Ⅳ-1). 그러나 교육학 및 진로에 대한 막연함이 쉽게 걷히지 않아 그들은 낯선 길에서 짙은 안개를 마주한 것과 같은 어려움에 놓이곤 했다. 그럼에도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찾아 적극적으로 교직 외 진로를 찾아 나서고 있었다. 이하 연구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교육학과생으로서 그들의 경험은 드넓은 바다 위 안개를 헤쳐나가는 탐험가의 여정으로 묘사된다. 첫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한 교육학 전공 학부생들의 전공교육과정 경험은 ‘알쏭달쏭한 지도(Ⅳ-2)’와 같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손에 쥐어진 지도로 비유될 수 있는 교육학 전공은 그들이 나아갈 길에 대해 명확히 알려 주지 않았다. 그들의 경험에서 드러난 교육학 전공교육과정의 특징은 모호한 정체성, 교과목 계열성 부족, 하위영역 간 소통 부재, 학교교육 및 교직 중심, 현실적 진로 길잡이 되지 못함이라는 다섯 가지 의미를 담아 서로 다른 하위목차에서 비유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짙어진 안개와 마주하다(Ⅳ-3)’를 기점으로 두 번째 연구문제인 그들의 진로탐색과정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진다. 졸업이 가까워질수록 그들은 “망망대해”의 오갈 데 없는 “돛단배”가 되었으며‘짙어진 안개’는 이와 같은 막연함을 대변한다. 교육학 전공 학부생들의 진로탐색과정은 ‘안개를 가르는 탐험가(Ⅳ-4)’의 비유로 나타난다. 연구 참여자들은 정해진 항로를 따라가던 초보 선원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자신의 길을 개척해나가는 탐험가로 자리매김해 간다. 먼저, ‘잃어버린 조각 찾기(Ⅳ-4-1)’는 그들이 교육학 전공교육과정이라는 지도를 여전히 놓지 않고 그를 완성해 내기 위해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는 모습을 상징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점차 상경계열 복수전공과 교직과정 이수를 비롯하여 안정적인 미래를 위해“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던 진로선택에 대한 압박감에서 벗어나고 있었다. 그들은 “하고 싶은 것”을 향해, 진정한 자신이 될 수 있는 소신 있는 길을 택하게 되었다. 이어, ‘새로운 항로 그려보기(Ⅳ-4-2)’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교육학으로부터 일구어내는 새로운 의미가 드러나며 이러한 가치를 품고 그들은 각자의 진로를 탐색해 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학을 “결코 사람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그리고 “사람이 먼저 되는” 학문으로 바라본다. 교육학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교교육의 맥락에 적용되는 단순한 방법론으로 존재하는 것을 넘어 자신을 되돌아보고, 스스로 그리고 함께 새로운 생각을 만들어가는 학문이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응답으로서 Ⅴ장은 교육학 전공 학부생들의 경험을 다시 이야기함으로써 두 가지 교육적 의의를 고찰한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진로탐색에 있어 부단한 시행착오를 겪으며 스스로 어려움을 헤쳐나가야 했던 이유는 교육학과 내부 차원을 넘어, 학생들의 심층적인 진로탐색과 준비를 위한 지속적 지원이 결여된‘대학 내 진로지도의 한계’와 관련한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공교육 밖 교육의 모습을 상상하며 일상 “언제 어디서나” 끝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존재로서 우리 자신을 바라보며 ‘교육 개념에 대한 시각의 확장’을 일구어내고 있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understanding an experienced curriculum and a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the undergraduates who major in education especially those who pursue their career outside the teaching profession. This study regards an education experience including both the experienced curriculum and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as a “lived experience” that each research participant continuously constructs during their campus life. Therefor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most of preceding studies which focused on analyzing an official curriculum itself or considered a learners experience restrictively in comparison to the written curriculum. Moreover, unlike the most of career related preceding studies that highlight a functional role in training student teacher, this study tri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students’ experience itself.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the undergraduates majoring in education experience their major curriculum? Second, how this major curriculum experience carry over into their career exploration process? 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se experiences? From Chapter Ⅳ, the campus life of research participants is compared to ‘Sailing in sea fog’. Each research participant became an education major student having different expectations(Ⅳ-1). However, They ran into a thick fog as what they experienced in education major remained vague. Neverthel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ctively exploring their aptitude and interest to find their career outside the teaching profession. The education experience as education major students is described as a voyage of an explorer who sails through a fog over the vast ocean. In Chapter Ⅳ-2, th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aboout the major curriculum experience of undergraduates majoring in education was revealed as ‘The inexplicit map’. The major curriculum was compared to the map in students’ hands, as it does not actually show them a career path. The fi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major curriculum were presented figuratively in different sub contents. Each symolizes an ambiguous identity, unsystematic course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sub-domains, a predominance of schooling including teacher training, and an ineffective career guide.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garding a career exploration process, starting from ‘Running into a thickened fog(Ⅳ-3)’. As getting near to the gradu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became “the sailing boats” with nowhere to go in “a boundless ocean”. “A thickened fog” reflects such a vagueness.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undergraduates majoring in education is expressed as ‘The explorer sailing through a fog(Ⅳ-4)’. Each research participant was working their way up from a novice sailor that follows only a designated route to an pioneering explorer that actively makes his own way to take. Although the research participants didn’t choose the teaching profession, they are exploring their career remaining as education major students. First, ‘Finding the lost pieces(Ⅳ-4-1)’ symbolizes a constant effort of research participants in completing the puzzle map which indicates the education major curriculum.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gradually getting free from a social oppression considered as “must to do” for a secure future. It includes going through a teacher training course or double majoring in business department. They started to find who they really are, heading for what they “want to do” high-heartedly. Next, in ‘Drawing a new path(Ⅳ-4-2)’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eking their career through new senses which they could discover from education. The education was not a mere methodology of school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have a chance to self-examine and come up with new ideas themselves and with others. In Chapter Ⅴ, the third question is answered. The researcher reveals the two different educational values by re-telling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First, the reason why research participants had to go through the difficulties by themselves in career exploration is linked with ‘The limitation of career guidance in university’ that does not provide an ongoing support for student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rawing a new picture of the concept of education which goes beyond schooling and came to believe that we constantly learn and grow “whenever and wherever” we are, which led to ‘The expanded views about the concept of education’.

      • 다선일미(茶禪一味) 사상과 다도교육의 교육학적 탐색

        허인영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다선일미(茶禪一味) 사상과 다도교육의 교육학적 탐색 허 인 영 충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사 및 교육철학 전공 지도교수 서 범 종 본 논문의 목적은 초의 선사(草衣禪師, 1786~1866)의 다선일미 사상과 이로부터 파생된 다도교육의 교육학적 의의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초의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전남을 중심으로 활동한 선사로서 본명은 장의순이다. 그는 대흥사에서 선차를 복원하여 총림의 끽다거 전통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간 불교계와 철학계 등에서는 초의 선사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이어왔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동다송』을 중심으로 선 수행과 다도의 경지가 동일함을 밝혀왔다. 교육학계에서는 실용적 차원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다도교육 프로그램이 인성의 향상이나 정서적 안정에 큰 효과를 준다는 점을 밝혀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도교육의 교육학적 의의를 노작교육‧인성교육‧생태교육에 견주어 살펴보았다. 이들 담론을 논의의 대상으로 잡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20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인간의 활동이 지구의 환경을 심각하게 파괴함에 따라 인류세 문제가 대두하였다.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라 극심한 더위와 가뭄 그 반작용으로서의 홍수와 폭우 등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심각한 자연재해가 거주민의 삶을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서구 사상가들은 이를 ‘취약성, 붕괴 가능성’ 등으로 개념화하였다. 이들은 인류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본주의적 사고와의 대결 끝에 생태적 사고를 내세우기에 이르렀다. 서구 사상가들의 문제의식이 자본주의와의 대결이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제기된 데에 비해, 선문의 다선일미 사상은 차를 마시는 일상적 행위 속에 생태적 사고가 들어있음을 보여준다. 이 특성에 주목한 교육가와 실천가들은 다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초의 선사의 대표작인 『동다송』에 나타난 ‘화‧경‧청‧적’의 정신을 다도의 과정인 ‘채다-제다-행다-팽다-음다-장다’에 맞춰 재해석하고 그 교육학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먼저 ‘화‧경‧청‧적’이란 자연과 인간의 조화(화),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공경(경), 모든 생명체의 생존의 바탕인 맑고 깨끗한 환경(청),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는 고요하고 안정된 삶(적)을 가리킨다. 이들 개념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생태적 사고를 지향한다. 다도 과정에서 채다란 차를 재배하고 찻잎을 따는 행위를, 제다란 차의 잎새로 차로 만드는 행위를, 행다란 형식을 갖추어 차를 준비하는 일을, 팽다란 차를 달이는 행위를, 음다란 차를 마시는 행위를, 장다는 차를 보관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일련의 행위들은 씨를 뿌리고 재배하고 거두며 차를 만들고 우린 후 음미하고, 보관하는 자연의 순환 주기를 상징하는 바 본 연구는 『동다송』에 나타난 ‘화‧경‧청‧적’의 정신에 견주어 그 의의를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는 초의 선론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9세기 신라 도의(道義) 선사가 조사선을 받아들였고, 홍척(洪陟)에 의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선종은 고려시대에 이르러 구산선문(九山禪門)으로 꽃을 피운다. 특히,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이 간화선을 보급하면서 참선의 전통이 확립된다. 이러한 유구한 전통을 이어받은 초의 선사는 백파긍선(白坡亘璇, 1767~1852)과의 선 논쟁에서 선과 교의 융합 및 차를 통한 기와 체의 통일을 기반으로 일심을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초의는 당대의 명사인 다산 정약용(1762~1836), 추사 김정희(1786~1856) 등과 교류하면서 차 문화를 보급하였다. 비록 일제의 무력으로 전통 차 문화가 일본 차 문화에 밀려났으나 사찰을 중심으로 오늘날까지 그 원형을 보존해 오고 있다. 다음으로 『동다송』에 나타난 ‘화‧경‧청‧적’의 이념을 살펴보았다. 『동다송』은 68구 7언의 고시체 송시로서 17송으로 단락이 구분되어 있다. 이 중 남국가수(제1송), 취금설(제2송), 천인구애(제3송), 운간월(제9송)은 ‘화’에, 수재전가(제8송), 미약겸양(제10송), 팔질환동(제11송), 구난사향(제12송)은 ‘경’에, 해성소면(제4송), 개황의뇌(제5송), 백진준영(제6송), 일염실진(제7송)은 ‘청’에, 총명사달(제13송), 녹아운근(제14송), 모분체신(제15송), 신상청경(제16송), 청한심성(제17송)은 ‘적’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동다송』의 교육학적 의의를 노작교육‧인성교육‧생태교육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차를 재배하는 일과 차를 모으는 채다는 노작교육의 경험을 반영한다. 둘째, 차를 준비하는 행다와 차를 끓이는 팽다는 인성교육의 경험을 반영한다. 셋째, 차를 마시는 음다와 차를 보관하는 장다는 생태교육의 경험을 반영한다. 먼저 노작교육의 대표자인 존 듀이가 노작과 일반 노동의 차이를 구별하면서 그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주력했고, 발도로프 교육학에서 노작이 단순한 외적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넘어 영혼의 세계로의 입문을 위한 수단으로 쓰여왔음은 잘 알려져 있다. 우리는 차를 모으고 재배하는 채다라는 노작을 통해 이러한 정신 모두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다음으로 전통사상은 유학에서의 ‘심법’(心法)을 활용하여 ‘지금-여기’를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을 추구해 왔다. 다도교육의 지향 또한 다르지 않다. 그러나 최근 「인성교육진흥법」을 필두로 한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는 인성을 측정가능한 사회성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이는 인성교육의 본질인 인간상에 대한 논의를 간과하고 있다. 우리는 차를 준비하고 끓이는 경험을 통해 전통적인 인성의 의미를 되새기고 선 수행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인간에 대해 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를 마시고 보관하는 음다와 장다를 통해 생태교육이 추구하는 생태성을 이해할 수 있다. 2010년대 이후 대두된 세계적인 차원의 문제인 난민, 전쟁, 재난 등은 자연을 관리 대상으로 본 기존의 생태학이 가진 한계를 통렬히 지적하면서 인류세 논의를 점화하고 있다. 티머시 모턴을 비롯한 서구 사상가들이 이 문제를 돌파하기 위해 자본주의적 사고와의 대립 속에서 생태적 사고를 추구한다면, 다선일미 사상에 담긴 생태성은 일상에서 접하는 행위의 생태성을 깨닫게 해준다. 이상과 같이 『동다송』에 담긴 ‘화‧경‧청‧적’의 정신은 다도교육으로 구체화 되어 왔다. 우리는 이를 교육학적 지평 속에서 탐색할 수 있다. 생태적 위기, 전 지구적 위기를 맞은 오늘날 인류가 가꾸어 온 차 문화는 단순한 쾌락을 넘어 이처럼 생명 존중 사상과 자기 수양과 심신 안정, 나아가 인류 평화를 위한 염원을 담아 전개되고 있다. 이것의 의미를 교육학적으로 고찰하는 일은 서구사상에 침윤된 우리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교육적 가능성을 여는 계기가 될 것이다. 주제어: 초의 선사, 다선일미, 『동다송』, 화‧경‧청‧적, 다도교육, 교육학적 의의, 생태적 사고. Abstract An Educational Exploring on Daseonilmi Thought and Tea Ceremony Lesson Heo In Young Major in History of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eo, Beom-jo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Tea Ceremony lesson derived from the thought of Daseonilmi of Zen Master Choui (草衣禪師, 1786-1866). Choeui was a Seonian who was active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early 19th century, mainly in Jeollanam-do. His real name is Jang Eui-soon. He is known for restoring Seoncha at Daeheungsa Temple and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drinking tea in Chongrim. In the meantime, the Buddhist and philosophical worlds have continued to study Choui Seonsa. In particular, centered on his representative work 『Dongdasong』,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state of Seon practice and tea ceremony are the same. In the field of education, many pract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tea ceremony lesson program has a grea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Based on these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tea ceremony lesson in comparison with labo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The reasons for choosing these discourses as subjec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Starting from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Anthropocene problem emerged as human activities seriously destroyed the earth's environment. In particular, serious natural disasters such as extreme heat, drought, and floods as a reaction to global warming have threatened the lives of residents. Western thinkers conceptualized this as ‘fragility, possibility of collaps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nthropocene, they came to put forward ecological thinking after a confrontation with capitalist thinking. While the critical mind of Western thinkers was rais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onfrontation with capitalism, the idea of ​​Daseonilmi shows that ecological thinking is included in the daily act of drinking tea. Educators and practitioners who paid attention to this characteristic hav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ea ceremony lesson program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reinterprets the spirit of 'hwa·gyeong·cheong·jeok' in Choui Seonsa's representative work 『Dongdasong』 in line with the process of tea ceremony, 'picking-jeda-doing-plowing-eumda' and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was derived. First of all, 'hwa·gyeong·cheong·jeok' means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s (hwa), human respect for the ecosystem (gyeong), a clear and clean environment that is the basis for the survival of all living things (cheong), and compliance with the order of nature (jeok). It refers to a quiet and stable life. These concepts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aim for ecological thinking. In the course of the tea ceremony, the act of cultivating green tea and picking tea leaves, the act of making tea from green tea leaves, the act of preparing tea in an orderly manner, the act of brewing fresh tea, and the act of brewing green tea The act of drinking refers to the act of storing tea. This series of actions symbolizes the cycle of sowing, reaping, appreciating, and preserving nature, and this study interprets their significance in comparison to the spirit of 'hwa·gyeong·cheong·jeok' shown in 『Dongdasong』.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Seonron. In the 9th century, Seonsa Doui of Silla accepted Josa Seon. and Seon, which began to develop in earnest by Hongcheok, blossomed into Gusan Seonmun in Korea. In particular, the tradition of Seon was established as Bojojinul spread Ganhwa Seon. Seon Master Choeui, who inherited this long tradition, saw that one mind could be achiev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eon and doctrine and the unification of flag and body through tea in the Seon debate with Baekpa Geungseon. Choeui spread tea culture while interacting with prominent figures of the time, Dasan Jeong Yak-yong and Chusa Kim Jeong-hui. Although traditional tea culture was pushed aside by Japanese military force, the original form has been preserved to this day centered on temples. Next, I looked into the ideology of 'hwa·gyeong·cheong·jeok' in 『Dongdasong』. 『Dongdasong』 is a synchronic ode of 68 phrases and 7 words, and is divided into 17 paragraphs. Among them, Nam Guksu (Song 1), Chwigeumseol (Song 2), Courtship of a Thousand People (Song 3), Unganwol Song 9) are to 'hwa', Song of Sujae (Song 8), Poor humility (Song 8, Song 10), Palgwan Dong (Song 11), Rescue Musahyang (Song 12) to 'gyeong', Haeseong Somemyeon (Song 4), Gae Hwang's Brain (Song 5), White Jin Jun-Young (Song 6), Il-Yeomsiljin (Song 7) to 'cheong', Chongmyongsadal (Song 13), Nokungeun (Song 14), Mobunchesin (Song 15), Shinsangcheonggyeong (Song 16), Cheonghan Simseong (Song 17) was interpreted as corresponding to 'jeok'.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ongdasong』 was examined in terms of labo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First, growing tea and collecting tea reflect the experience of labor education. Second, Haengda preparing tea and Pengda boiling tea reflect the experience of personality education. Third, drinking tea and storing tea reflect the experience of ecological education. First of all, John Dewey, a representative of labor education, distinguished the difference between labor work and general labor and concentrated on understanding its social meaning. It is well known that it has been used as a means. We can learn all of these spirits naturally through the labor of collecting and cultivating tea. Next, traditional thought has pursued an ideal human image that pursues 'now-here' by utilizing 'simbeop' in Confucianism. Tea ceremony education is no different. However, the recent discussion on character education, led by the 「Act on the Promo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seeks to replace personality with measurable sociality. This overlooks the discussion of the human image, the essence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preparing and brewing tea, we can reflect o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ersonality and discuss the ideal human beings pursued by Zen practice. Finally, we can understand the ecology pursued by ecological education through drinking and storing tea. Global problem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2010s - refugees, wars, disasters, etc. - are igniting the Anthropocene discussion by sharply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cology that views nature as a management object. If Western thinkers, including Timothy Morton, pursue ecological thinking in confrontation with capitalist thinking in order to break through this problem, the ecology contained in the idea of ​​Daseon-il-mi makes us realize the ecological nature of the behavior we encounter in everyday life. As mentioned above, the spirit of 'hwa·gyeong·cheong·jeok' contained in 『Dongdasong』 has been embodied in tea ceremony lesson. We can explore this in the pedagogical horizon. Faced with an ecological crisis and a global crisis, the tea culture cultivated by mankind goes beyond simple pleasure and is being developed with the ideology of respect for life, the spirit of self-cultivation, and the desire for peace among mankind. Pedagogically examining the meaning of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open up new educational possibilities beyond our limits infiltrated by Western thought. Key Words: Choui, Daseonilmi, 『Dongdasong』, Hwa·Gyeong·Cheong·Jeok, Tea Ceremony Lesson, Pedagogical Significance, Ecological Thought.

      • 한국 평생교육연구의 최근동향 분석 :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최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최근 1995년부터 2004년에 걸쳐 국내에서 이루어진 평생교육 학술지를 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학 각 영역의 추이와 연도별·학술지별 차이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한국 평생교육 연구동향의 특징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평생교육학회의 『평생교육학연구』와 『사회교육학연구』, 한국교육학회의 『교육학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의 Andragogy Today에 게재된 논문 368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 평생교육연구의 동향을 해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틀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되, 중층구조를 체계화하고 메타영역을 세분화 하였으며, 학습자에서부터 출발하여 한 단계씩 개념과 범위를 확장하는 모형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1) 평생학습자 및 학습자집단, 2) 평생교육자 및 평생교육 담당자, 3) 평생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4) 평생교육 기관 및 현장, 5) 평생교육 제도·정책 및 시스템, 6) 평생교육 국가 비교연구, 7) 평생교육 패러다임 및 이념성, 8) 평생교육 이론 및 개념, 9) 평생교육 철학 및 역사, 10) 평생교육학문에 관한 연구 영역으로 분석기준을 정하였다. 위의 기준에 따라 한국 평생교육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 열 개의 주제 영역 중에서 평생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영역에 해당하는 논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 다음으로 평생교육 패러다임 및 이념성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 제도·정책 및 시스템 연구, 평생교육학습자 및 학습자집단 순서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평생교육자 및 평생교육 담당자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 철학 및 역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에 관한 연구들은 매우 미약한 연구 영역으로 나타났다. 학술지별 동향을 살펴보면, 『평생교육학연구』와 『사회교육학연구』는 전반적으로 평생교육 기관 및 현장 영역과 평생교육 제도·정책 및 시스템 영역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Andragogy Today는 평생교육 패러다임 및 이념성 영역, 평생교육 이론 및 개념 영역, 국가 비교연구 영역이 다른 학술지에 비해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한국 평생교육연구의 동향을 영역별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자 및 학습자집단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가장 활성화되는 영역으로 주로 학습자의 특성 및 참여요인 등 학습 실태와 태도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학습자의 경험이나 삶에 대한 의미를 분석한 질적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자 및 평생교육 담당자 영역은 중간에 잠간씩 집중적으로 연구되었으나, 꾸준한 연구가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연구가『평생교육학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영역은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였으나, 이론적인 접근보다는 실천지향적인 연구가 더 많았다. 그러나 내용분석 결과,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새롭게 구성된 프로그램들이 제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평생교육 기관 및 현장 영역은 연도별 변화량이 가장 적어 지난 10년간 꾸준히 연구된 영역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거의 연구보다는 비율이 적어, 점차 기관 및 현황에 대한 연구가 줄어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방법적인 면에서는 단순한 조사연구에서 벗어나, 문제점을 도출하고, 평가하는 연구가 많으며, 간혹 현장에 대한 참여관찰연구도 등장하였다. 다섯째, 평생교육 제도·정책 및 시스템 영역은 그다지 많은 연구들이 나오지 않다가 1999년 이후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1999년 평생교육법 제정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과거와 달리 최근의 연구들은 정책과 제도의 쟁점을 확인하거나 평가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여섯째, 평생교육 국가 비교연구는 대부분 인적자원개발과 정책 및 제도에 관한 것이었고, 연구목적도 외국 연구를 통해 한국의 평생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함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곱째, 평생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이념성 영역은 세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지구화,’ ‘지역화,’ ‘정보화’와 같은 사회 패러다임의 관점에서 평생교육을 바라보는 동향이 있고, 둘째, 평생교육학 내에서 기존의 관점을 전환시키는 연구동향이 있으며, 셋째, 평생교육의 이념적 지향성에 대한 논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덟째, 평생교육 이론 및 개념은 상당수 학습에 대한 이론과 개념이 주를 이루었으며, 문해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논의가 있었다. 아홉째, 평생교육 철학 및 역사 영역은 전반적으로 매우 저조한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철학보다는 역사연구가 조금 더 많고, 내용도 다양했다. 열째, 평생교육학문에 대한 연구 영역은 모든 영역 가운데서 가장 취약한 부문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가장 많이 논의 되었던 내용은 평생교육의 학문적 전문성에 대한 영역이었고,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적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동향을 바탕으로 한국 평생교육연구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한국 평생교육연구는 아직까지 실천지향적이다. 그러나 연구의 수준이 단순한 조사에서 연구의 수준으로 변화하고 있다. 분석결과에서도 확인했듯이, 평생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제도 및 정책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 상위에 위치되어 아직까지 한국 평생교육연구는 실천지향적임을 나타냈다. 그러나 그 못지않게 평생교육 패러다임과 이념성에 대한 고민도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최근에는 학습자 연구도 급증하고 있다. 평생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제도 및 정책에 대한 연구도 점차 평가와 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문제점을 도출하여 쟁점을 확인하는 작업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연구주제와 연구문제가 구체화·다양화되고 있다. 초창기 논문 중에는 그다지 구체적이지 않은 연구주제를 가지고, 현장 접근으로 시작하여 이론 접근으로 논리를 전개한 후, 정책제안으로 결론을 맺는 연구들이 종종 있었다. 그러나 해를 거듭할수록 연구주제가 구체화되고, 주제에 대한 문제의식이 뚜렷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주제들이 등장하고 있다. 셋째, 2000년도 이후로 ‘학습’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학습자 및 학습자집단 영역의 연구 비중 또한 2001년도 이후 급증하고 있으며, 패러다임과 이념성의 영역에서도 ‘학습’ 패러다임이 변하고 새롭게 도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이론 및 개념 영역에서 학습이론과 학습에 대한 개념 연구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깊이있게 다루지는 못하였으나, 연구방법 상의 한계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학습자 연구나 현장연구에서 참여관찰법과 면담조사기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극히 적은 사례이다. 다섯째, 학술지가 논쟁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평생교육 패러다임과 이념성 영역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평생교육 이념성에 대한 연구들이 일련의 논쟁 줄기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술지의 특집을 통해 특정한 주제에 대해서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진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여섯째, 평생교육‘학(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현재 사회적, 국가적으로 평생교육에 대한 수요는 상당하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만한 학문적 역량은 부족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평생교육학에 대한 연구는 가장 하위에 머물렀다.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 평생교육의 학문적 제반영역에 대한 논의, 타 학문과의 관계성 등에 대해서 더 많은 논의들이 필요하며, 평생교육학적인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papers in domestic lifelong education journals from 1995 to 2004, and to ultimately provide characters of Korea lifelong education research and its directions.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analyzes 368 literatures published in Korea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Korea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Andragogy Today, and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and based on its results, interprets the research trends of Korea lifelong education. Regarding to the preceding studies, the framework used in this thesis is developed in way to expand the conceptual range of each area. Accordingly it is categorized into 10 different research areas: 1) lifelong learners and learners` group, 2) lifelong educators, 3)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process, 4)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field, 5)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system, 6) 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lifelong education, 7) lifelong education paradigm and ideology 8) lifelong education theory and concept 9) lifelong education philosophy and history, 10) study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is framework, studie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process occupy the largest percentage. And then, there are mainly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paradigm and ideology,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system,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field orderly.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out that the areas such as lifelong educators, lifelong education philosophy and history, study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are very weak research areas. Summarizing the research trends of Korea lifelong education in brief, it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on lifelong learners and learner's group is the most activated area in recent and it mainly focused on the actual state such as a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ng factors. On the other hand, it appeared that the qualitative studies on learner's experiences or life wasn't found. Second, the area of lifelong educators was intensively researched at interval but consistent study couldn't be made. Most of studies were centered upon Korea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Third, as for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process which in general occupy the largest percentage, most studies were concerned about program development. It indicates that in this area, practice-oriented studies were more than theoretical approach. Fourth, even though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field are keeping consistent study but compared to the past, its percentage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In addition, some studies deduct and evaluate problems besides a simple investigation and occasionally the participation study appears. Fifth,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system has been remarkably increasing since 1999. It was affect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law in that year. Sixth, the national comparative studies of lifelong education mainly focused on HDR(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and system of other countries, because most studies have a purpose to gain suggestions about Korean lifelong education. Seventh, in the areas of lifelong education paradigm and ideology, there were many studies providing new sights about 'learning' and furthermore, there were arguments about ideological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Eighth, the studies on the theory and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were mainly composed of learning theory and notions about learning. Ninth, As for the areas of lifelong education philosophy and history, it shows very low percentage. The studies on history have been performed more frequently than philosophy studies. Tenth, the study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was proved to be the weakest part among all areas. Nevertheless, the study topic discussed mostly was the academic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methodology study was very few.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as the abov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could be acquired as following. First,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study is still practice-oriented. But the level of study is making progress from just a research to the deeper study. As the result of analysis, studies on program & educational process, system & policy and, institutions &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re mostly placed on higher ranks so that it showed that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study is still shown to be practice-oriented. But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study content of each area attempts not only to research simply but to analyze and evaluate, so that it makes an issues of the problems. Second, topics and problems of study become more specific and various. As researchers have an plain and distinct consciousness of the study problems, its topics become concrete. Third, a interest in 'learning'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2000. In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theory and concept, the studies on learning theories and learning conceptions occupied considerable importance and the studies of the learners and leaner's group has been also increasing rapidly since 2002. In addition, it could be realized that the 'learning' paradigm has been changing and newly challenged in the areas of paradigm and ideology. Fourth, even though it was not deeply handled in this study, it is apparent that research methods is still weak. In recent, participation and interview method have been used but it is very rare cases. Fifth, scholarly journals function as a place for arguments.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ideology have built up a series of arguments and in the special editions of journals, different perspectives sights for the specific topic have been proposed. Sixth,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study are deficient. Though lifelong education is greatly demanded in society, the academic capacity to support it is not sufficient. Eve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stayed at a lower rank. It requires to make discussion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lifelong educati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areas of pedagogy and methodology of lifelong education.

      • Joh. Fr. Herbart의「일반교육학」의 표상심리학적 기초 연구

        구희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Herbart가 쓴 1806년 「일반교육학」(allgemeine Pa¨dagogik)의 표상심리학적 기초를 연구하는 데 있다. Herbart는 학문으로서의 교육학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실천철학과 심리학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교육학은 독립된 학문으로 정립될 수 없고 다른 학문의 기초 위에 세워져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당시 교육학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심리학이 없었으므로 Herbart는 심리학 연구에 몰두하였고, 그의 노력은 표상심리학을 만들게 되었다. 따라서 Herbart의 「일반교육학」의 심리학적 기초는 곧 표상심리학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런데 Herbart는 당시 교육에 대해 오늘날의 독립된 학문으로서 이해하는 것과는 달리, 교육을 철학의 일부로서 이해했고, 심리학도 철학의 일부로서 간주했다. Herbart는 철학의 일부인「일반교육학」의 표상심리학적 기초를 통해서 아동의 의식 내 표상활동을 수업에 의해서 형성시켜주는 것을 교육이라고 설명하고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Herbart에 의하면 아동들은 학교교육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아 의식 안의 표상덩어리를 형성하게 되고 결국 표상형성을 통한 인간됨(Menschwerden)에 이른다고 보았다. Herbart의 이 같은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통한 인간됨의 강조는 오늘날 학교교육을 소홀히 하려는 교육현실에 비추어볼 때 재고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더군다나 교육학을 학문으로 정립하는 시점에서부터 이미 인간됨의 의미와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했었다는 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단지 문헌연구라는 차원을 넘어서 교육의 현실적인 당면 과제에 대답을 암시해 주는 연구라고 볼 수 있다. Herbart의 「일반교육학」의 표상심리학적 기초의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교육학」에서 표상심리학의 기본개념들을 직접적으로 고찰할 수 없을지라도, 「일반교육학」은 표상심리학의 원리를 전제로 세워진 학문이다. 표상심리학이 원리라면 「일반교육학」은 활용에 해당된다. 이런 근거로 Herbart의 「일반교육학」과 표상심리학은 별도로 독립되어서 존재하는 학문이 아니라, 서로서로 관련을 맺고 하나의 통일체를 이루는 학문임을 알 수 있다. 「일반교육학」이 표상심리학적 기초 위에 세워진 학문이라는 점은 Herbart가 「일반교육학」에서 설명한 세 가지 교육활동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수업, 관리, 훈련이라는 세 가지 교육활동은 의식 안에 표상작용과 표상형성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그 중에서도 수업활동은 본래의 교육목적을 달성하도록 한다. 교육목적은 단지 질서유지만 지키려는 관리에 의해서 도달되지도 않으며, 자연적인 방법으로 의식 안에 표상이 형성되는 경험으로 도달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보다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아동의 의식 안에 표상덩어리를 크게 만드는 일이다. 즉 교육의 근본 목적은 아동의 의식 안에 새로운 표상이 많이 생길 수 있도록 교육활동을 인위적으로 형성하는 일이다. 그런데 이런 교육목적은 수업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특히 수업을 통해서 교육활동이 가장 인위적으로 아동들의 의식 속에 많은 표상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수업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수업을 통한 아동의 의식 안에 표상은 항상 후천적으로 형성된다. '가소성'의 의미도 아동의 후천적 표상형성을 의미한다. 아동들의 의식상태를 이루는 표상들은 모두 후천적 획득에 의한 것이므로, 아울러 아동들이 풍요로운 정신적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 새로운 표상이 많이 생기도록 교육해야한다. 새로운 표상을 형성하는 방법은 수업이며, 수업과 같이 의식 안에 새로운 표상덩어리를 형성시키는 표상형성방법에 따라 도덕성도 형성되고 자아도 결정된다. 그러므로 수업을 통해 아동들에게 의식 안에 형성시켜주는 표상덩어리는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일반교육학」에서 Herbart는 아동의 표상덩어리는 선험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표상활동의 표상작용과 표상형성과정을 통해 모두 후천적으로 획득된다는 점을 설명한다.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die psychologische Begru¨ndung der 「Allgemeine Pa¨dagogik」 bei Johann Friedrich Herbart zu betrachten. Wie Herbart behauptet, daβ die Pa¨dagogik nicht nur von der praktische Philosophie abha¨ngig, sondern auch von der Psychologie sei, ist es fu¨r Herbart no¨tig der praktische Philosophie und die Vorstellungspsychologie, um die Pa¨dagogik als Wissenschaft zu begru¨nden. Herbart versucht, 「Allgemeine Pa¨dagogik」 wissenschaftlich aufzubauen. Daher hat Herbart's Gedanken, daβ die Vorstellungspsychologie die Grundlagen der Pa¨dagogik ausmacht. Aber gab es damals noch nicht genu¨gende Psychologie, die Herbart braucht. Als Herbart lebte, gab es keine Pa¨dagogik und Psychologie wie heutige. Deshalb hielt Herbart die Pa¨dagogik fu¨r einen Teil der Philosophie, und die Psychologie auch. Fu¨r die Psychologie leitet Herbart ein mit eine Kritik der Vermo¨genspsychologie seiner Zeit, in der eine umfangreiche Aufza¨hlung angeborener Vermo¨gen der Seele gefunden wird. Herbart lehnt sie ab, geht von der Selbsterhaltung der Seele aus, die man die Ta¨tigkeit der Vorstellung nennt. Von der Hypothese der Vorstellung als Kra¨fte mit der Selbsterhaltungsta¨tigkeit leitet Herbart aus seine Vorstellungspsychologie ab. Mit der Vorstellungspsychologie behauptet Herbart, daβ alle Menschen keine angeborene Anlage der Seele haben, sondern aus der Seele Vorstellung werden, indem sie Gegenstand durch Eindru¨cke trifft. Keine angeborene Vorstellung haben wir, sondern eine spa¨ter gewordene Vorstellung. Die Erziehung heiβt fur Herbart ein Bildung der Vorstellung im Bewuβtssein. Im Bezug auf die Bildung der Vorstellung gibt es im Ganzen drei Erziehungsta¨tigkeiten : Regierung, Unterricht und Zucht. Die Regierung will aber eigentlich sie nicht bilden, sondern sie will nur Ordnung halten. Die Zucht hat die bestimmte Richtung, wonach der Zo¨gling erzogen wird. Die Unterricht, die Herbart in der 「Allgemeine Pa¨dagogik」 als die Wichtigste gesehen hat, hat erziehende Ta¨tigkeit. Die Unterricht ist der Bildung der Vorstellungsmassen des Bewuβtssein von dem Zo¨gling wirksam. Die Unterricht heiβt der jenige Teil der Erziehung, die Erfahrung und Umgang erga¨nzt. Durch die Unterricht soll der Lehrer dem Zo¨gling zum Menschweden erziehen.

      • 교육대학원 전문화 방향에 관한 연구

        김성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개설을 위한 현행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현행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성격을 규명하고,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요건과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개설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요건은 무엇인가? 넷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을 개설할 교육전문대학원의 장기발전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 7개 대학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도구는 조경원 외(2000)의 「교육전문박사(Ed.D) 학위과정 모델개발 방안 연구」의 질문을 토대로 연구자가 개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별 빈도(frequency)와 백분율(%)을 산출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은 현직교원과 교육관련직 종사자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제안되었고, 현재 다섯 가지의 개발모형이 제시되었다. 둘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들의 인지정도는 높지 않았다.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필요성에는 대부분의 교육대학원생들이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이 개설될 교육대학원이 기존의 교육대학원과 차별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전문화'와 '전임교수 확보'가 우선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행·재정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영역은 전임교수 확보 부문이었고, 현장연구프로젝트 지원확대 와 신규교육과정 개발지원 등이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교육프로그램은 '변화하는 세계와 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육연구방법론', '교수학습방법 개발 프로그램'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범계학부와 일반대학원, 교육전문대학원간의 관계정립은 각 대학의 실정에 따라 다양성과 차별성을 갖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교육대학원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사범계학부와의 긴밀한 연계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대학원의 교육학석사과정과 일반대학원의 교육학전공 석·박사과정을 통합한 교육전문대학원 체제구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행 교육대학원의 교육학석사과정을 교육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고 그 토대 위에 교육학전문박사(Ed.D) 학위과정을 설치한다. 장기적으로는 일반대학원의 교육학전공 석·박사과정을 교육전문대학원으로 통합함으로써 단일의 교육전문대학원 체제를 구축하도록 한다. The establishment of the Doctor of Education(Ed.D) degree is an impending issue. The Ed.D is a professional degree intended for practitioners who desire advanced academic preparation at the doctoral level and who are pursuing professional care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irections in professionaliz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GSE) for opening the Ed.D. The specific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hat are the backgrounds that the Ed.D should be appeared? Second, how many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e functions of the Ed.D? Third, what are the essential conditions of the GSE for launching the Ed.D? Finally, what are the long-term plans of th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PGSE) for opening the Ed.D?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documents and surve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was suggested that school teachers and professionals concerned in education upgrade their specialities by the Ed.D. Recently, five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establishing the Ed.D. Second, half of the graduate students have never heard of the Ed.D. However, most of them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 Ed.D. Third, it was very import ant to employ full-time professors and provide professional curricula for setting up the successful Ed.D. Finally, opening the Ed.D, the individual GS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its own situations seriously.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the GSE to advertise the Ed.D, to employ full-time professors, and to design professional curricula. The executives of the GSE need to take time to think about its differences from the other GSEs, and make an effort to reinforce it s strength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should build the supporting systems for setting up the successful Ed.D. The GSE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upgrading the teachers abilities, but also in retraining the professionals concerned in education. For enhancing its competency and running successful programs, the GSE needs to open the Ed.D in the form of integrate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PGSE).

      •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이은숙 건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과학적지식, 교수효능감 및 과학교과교육학지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이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조절효과를 갖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에 위치한 유아교육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유아교사 450명이다.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활동을 토대로 유아교사가 가져야 할 과학적 질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고, 과학교수효능감 검사 도구는 Enochs와 Riggis가 제작한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urment)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는 박성혜(2003)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고,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인 과학적지식은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학적지식과 과학교과교육학지식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과교육학지식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과학적지식,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차이 분석 결과 전문대 졸업자보다 대학원 이상인 경우 과학적지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에서 과학관련 과목이수 여부와 연령에 따라 과학적지식은 과학관련 과목이수를 한 경우가 하지 않은 경우보다 과학적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근무유형, 최종학력, 교사경력, 최근 과학관련 연수참여 여부에 따라서 과학교수효능감에 차이를 보였고,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이 높을수록 과학교수효능감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구체적으로 과학적지식이 높을수록 과학교수효능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인 개인효능감과 결과기대감 모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과학적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 사이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효능감간의 관계에서는 6가지 하위변인 모두에서 조절효과를 확인 하였고 과학적지식과 결과기대감간의 관계에서는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과학적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과학적지식이 높을수록 과학교수효능감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과학적지식과 과학교수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영향력을 강화하는 조절변인으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Moder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ir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Lee, Eun Suk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u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relations between their scientific knowledge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raised to achieve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teaching efficacy or thei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3. What ar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4. Does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ve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ir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50 teachers who are currently teaching at early child educational institutions distribu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a scientific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used for them to take home to complete based on the scientific on-site activities, and their scientific efficacies were analyzed using STEBI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Enochs and Riggis. For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instrument originally developed by Park Seong-hye (2003) target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further adapt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sed.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ere verifi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 knowledge, a major variable, seeme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also with thei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as also proven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y background variables proved that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seems to be higher for teachers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than those with a college degree, a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completed science-related subject(s) in college and age proved that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was also higher in teachers who had finished the science-related subject(s) in college than those who had no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depending on age, type of work,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 in teaching, and their recent participation in science-related training programs, however, the differences in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ere not significant. Third, higher level of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was linked to higher level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especially to the level of sub-variables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Fourth, the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ed the statically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with the mediating effects observed in all 6 sub-variables on its relations with Self-Efficacy, but there were no mediating effects of thei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un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ir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outcome expect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ing higher level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with higher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ight be a significant factor as a moderator variable that strengthens the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 몬테소리 교육학파를 통한 유아영성연구

        김영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문의 첫 부분인 Ⅱ장 유아의 기본 이해에서는 먼저 유아의 분류 및 용어해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유아의 기준을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그리고 교회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장로교(통합)교단 분류 내용인 2세-6세를 유아기로 규정하며, 고대 희랍어, 라틴어, 영어, 한글 등 다양한 용어해설을 통하여 유아에 대한 개념을 살펴볼 때, 유아는 아직 성인기 이전의 인간을 말하며, 미성숙한 상태에서 변화되어 가고 있는 존재로 보며, 유아의 존재는 그를 낳아준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규정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통적 유아이해와 현대적 유아이해 그리고 성서의 유아이해에 대한 내용을 통하여, 유아는 ‘성적 유희물,’ ‘인격적 권리가 없는 불완전한 존재’라는 극소화된 존재와 ‘독립적 인격체,’ ‘권리주체’라는 극대화된 존재로 보기보다는 ‘하나님의 형상,’ ‘죄성을 가진 존재,’ ‘교수와 지도를 필요로 하는 발달하는 존재’라는 것을 살펴보았다. Ⅲ장 유아발달 이론의 고찰에서는 유아의 신체·운동, 심리·사회, 인지,도덕, 신앙 발달에 대한 특징들과 그에 대한 교육적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체, 운동발달은 유아의 생활에 중요하면서, 절대적인 것으로서 유아의 영양상태, 자율성과 주도성, 지적, 사회성, 자아개념발달 등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발달로 볼 수 있다. 둘째,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은 인생 전체를 두고 각 단계에서 일어나는 대인관계와 사회관계의 변화, 그리고 그 속에서 자아의 변화와 발달에 대한 포괄적인 통찰 이론으로서 유아발달과 양육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주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지발달은 인위적인 노력만으로는 기대할 수 없고, 다만 유아와 그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을 나타하며,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가 찾는 것이므로 학습은 능동적인 발견의 과정임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골드만의 종교적 사고 발달은 유아가 이해할 수 있는 한계를 넘는 사상을 지도하는 가르침은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낭비 되는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유아가 너무 어려워서 이해할 수 없는, 너무나 어려운 개념들을 가르치는 수업은 피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넷째, 도덕성발달 이론은 유아의 도덕성발달을 증진시키며 양육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임을 살펴보며, 도덕적 행동이 단순한 관습이나 감정적 요소에 의해 이루어지기보다는 깊이 내면화된 인지적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도덕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신앙발달 이론은, 타인을 모방하는 단계로서 유아는 자기와 가장 깊은 관계성을 가진 어른들의 신앙의 본보기들, 분위기, 행동, 이야기들에 의해서 매우 강력하고 영속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유아발달 이론에서는 유아의 영적 발달과 유아의 종교적 경험이 간과되는 한계를 나타내었다. Ⅳ장 몬테소리 교육학파를 통한 유아영성 연구에서는 Ⅲ장에서 간과된 유아의 영적 발달과 종교적 경험에 대한 연구, 즉 유아영성 연구를 몬테소리와 까발레티, 베리만의 몬테소리 교육학파를 통하여 현대까지 계속 그 맥을 이어왔다는 내용들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몬테소리의 유아영성연구에서, 유아는 민감기를 통하여 내적 감수성과 흡수정신 그리고 작업을 통한 정신집중의 반복과 독립심 등의 전이과정(Transforming System)을 통해 변화되며 성장하게 된다. 또한 유아의 삶이 자신의 내적 질서감의 확립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차원적 의식수준과 사회적인 수준으로 확장되어 사회적 응집력과 세계관을 확장시키며, 비정상적인 태도나 행동을 하는 일탈(deviation)된 유아들이 정상화된 유아, 곧 신체적, 영적(정신포함), 그리고 도덕적 통일을 이룬 전인적 존재로서 내적인 평형을 이루고, 자신이 지니고 있는 영적-신체적 총 에너지를 조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게 하는 유아로 산출되는 것이다. 이때 자유가 부여된 준비된 환경과 교육 방법 및 교구, 잘 훈련된 교사는 전이과정의 촉진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까발레티의 유아영성연구에서, 까발레티의 교육사상은 몬테소리의 교육사상보다 한 단계 나아가 성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내용을 교리교육, 예배, 성찬, 세례, 기도, 하나님 나라 등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선한 목자의 교리문답을 통하여 유아가 하나님과의 관계성 안에 있을 수 있는 전인적인 환경(Atrium)을 만들고자 했으며, 유아들을 관찰함으로써 유아들에게서 볼 수 있는 기쁨(Joy), 존엄(Dignity), 본질(Essentiality)에 대한 핵심적 가치들을 발견하여 영적인 삶을 통하여 무엇이 본질적인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베리만의 가들리 플레이는 하나님의 본성과 인간의 본성이 공통으로 소유하고 있는 유희적인 기질, 즉 “놀이” 라는 중간 영역에서 자유롭게 만나게 됨을 보여주며, 유아는 그 “하나님과의 놀기”에서 더욱 자발적인 기쁨으로, 자신과 세계와 타인의 관계를 재창조할 수 있게 되며, 하나님의 더 큰 사랑에 진입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런 의미에서 가들리 플레이를 “놀이를 통한 기독교교육” 이라 명명할 수 있으며, 가들리 플레이는 유아영성 연구에 있어 새로운 신학적 관점을 보여주는 교육과정으로 떠오르게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Ⅴ장 몬테소리 교육학파 연구에 대한 종합적 논의에서는 몬테소리 교육학파가 제시한 연구 내용, 즉 유아이해, 영성이해, 교육과정, 공통점과 차이점, 특징, 기독교적 조명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보며, 몬테소리 교육학파연구의 역사적 흐름과 변화 그리고 한국의 기독교 유아교육에의 영향 등에 관한 내용들을 정리하며 살펴보았다. Ⅵ 장 몬테소리 교육학파를 통한 기독교 유아영성교육 모색에서는 그동안 제시된 몬테소리 교육학파의 모든 이론들을 토대로, 먼저 기본이 되는 교육 원리, 즉 삼위일체 하나님 중심의 원리, 성경 중심의 원리, 관계 및 상호작용의 원리, 경험 및 자발성의 원리를 제시하며, 교육 목적(삼위일체 하나님과의 관계가 형성되는 교육,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피조물로서의 깊은 정체성을 발견하는 교육, 전인적 성장과 변화된 삶을 통하여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는 교육), 교육 내용(성서를 통한 삼위일체 하나님 알기, 하나님의 속성과 내면의 실재를 통한 내적 삶의 가치 확립, 삶의 자리를 통한 하나님나라 구현), 교육 방법(예배를 통한 교육, 교회력을 통한 교육, 놀이를 통한 교육, 준비된(교구, 교사)환경을 통한 교육, 가정(부모)과 연계된 교육), 교육의 장(유아와 관계된 모든 삶의 영역들)에 대한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미셸 푸코의 ‘주체’ 개념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 : 후기 연구에 나타난 ‘자기 배려’ 개념을 중심으로

        이주호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the mid 20th century, Postmodern Education emphasizing on autonomy and individuation of students has a strong influence on educational theory and field. At that time, Education based on the Enlightenment promoted individuation castered for talent, ability, aptitude, energy, interest, and tendency of individuation and educated universal human who can actively participate in movement to rational and voluntary society. But,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Education means a process of educating universal human internalized effective and functional value and knowledge by government and teachers. In this process, individuation of students was ruled out, and students, who were not internalized value and knowledge which government and teachers needed, were branded as a juvenile delinquent and failed students. Because of criticism about general education?, Postmodern Education, focused on developing and respecting individuation of individual students, come up. Because individual students can actively show their own individuation by communication with others, teachers’ role was also alter ego and forwarder. Because of this, intervention and interference of teachers about individuation and freedom of individual students are taboo in Postmodern Education. But, recently there are some controversial issue. Too much regarding freedom and individuation of students causes neglecting internalization of human’s common sense?, which is another purpose of education. There are some reports say that there is need to reconsider accepting Postmodern Education, which Because Neglecting The Enlightenment, which is a root of Education, also means neglecting Education. Also it’s not good to return to the Enlightenment Education. It’s the present question that there is no right answer. In this report, I’d like to explore the answers to this matter. First, I Considered the essence of Education that Education aims at raising students who have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The core of matter is that recently Education aims at just one aspects. Despite Education was started aims at harmony of two aspec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Education lean toward internalizing common sense. Criticizing this situation, Postmodern Education only insists respecting and developing of individuation. Considering the essence of Education, I could have opportunity to reconsider this philosophical. Second, I considered ‘Subject’ intensively. The Subject i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in pursuing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at the same time. The Transition from Modern Education to Postmodern Education was caused in this context.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the Subject could not be free from this context, because the concept of Subject was changed from common sense to individuation. Considering both of them, I’d like to explore answer of this current issue around the concept of Subject pursuing of harmony of two aspect,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Studying the concept of Subject, Michel Foucault mention both individuation centered Subject and common sense centered Subject. In 1980s Foucault found out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concept of Subject. At first, the Subject mean discipline Subject. After suggesting the definite criterion of normal or abnormal by using knowledge, Power gives it names like abnormal person, madman, or insane person who cannot come up to the criterion, and justifies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On the other hand, after 1980s, through the concept of active Subject, Foucault suggest the concept of individuation centered Subject. Analysing history of sexuality in the Middle and Modern times, he figured out that sexual identity was commonly created by religion, nation, and power. So he tried to find out ancient figure when there is no need to have sexual identity. Despite there were specific law or convention, Ancient Greeks and Romes tried to control their sexual desire themselves. It was impossible by not being a slave to sexual desire but individuals’ wills and efforts to achieve true freedom and individuation, In other words, Ancient people thought that the sexuality was closely related to true freedom and individual’s own life. For this reason, they practiced Self Care, like meditation, reading, and self writing to reflect theirselves for turning the spotlight on inner self from desire and ourself. After all the Self Care means efforts to live free and valuable life by practicing wills and efforts thoroughly. Through the Foucault’s latter concept of Subject, the concept of Subject, which consist of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could works well. The fundamental matter in modern Education is looking upon it as a dichotonomy between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If one aspect is too much stressed, the other aspect is neglected repeatly and the essence of Education could be forgotten. I reconsidered the essence of Education for this reason. Different from view point that two aspect are opposite, the Foucault’s latter concept of Subject explain the essence of Education by suggesting two aspect could be harmonized. The community consists of individuals, and common sense the community needs could be formed. Finally the Subject who internalize the common sense is also individual. So, if individuals live their own lives with controlling their desire, the community virtue could be improved and common sense could be internalized naturally. The individuation considered or reflected is prerequisite for this. Previously, I mentioned that internalization and development of common sense is based on individuals. But, It means all individuation could be permitted. Despite, the center of Postmodern Education was change from the common sense to individuation, by not limiting individuation, it makes the common sense neglected. Foucault’s Self Care stresses on individuation but denies all individuation could be considered. Because individuation which could not control itself is not true individuation. As a result, suggesting considered individuation, the Self Care was presented the alternative of Postmodern Education. The role of Education is raising and helping for revelation of considered individuation. The Foucault’s Self Care means a change of attitudes and a specific practice that could raise considered individuation. That is, simple conveyance of knowledge or stress on methodology are not the Education of the Self Care. The Education of the Self Care means fostering a change of the attitude for reflecting on one’s own life and help one practice writing, meditation ,and reading. Above all, like Socrates who Foucault said a master of the Self Care, Teachers need to not only raise the Self Care, but practice the Self Care as a role model of students. If Students practiced the Self Care, they could live their valuable life and grow into the Subject who can internalize common sense naturally. 20세기 중반 이후 현재까지 학생의 자율성과 개별성을 중시하는 포스트모던 교육학이 교육 이론 및 현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학은 근대 계몽주의를 토대로 성립하였으며, 당시 교육의 역할은 자신의 재능·능력·소질·힘·관심 그리고 성향에 맞춰 개별성을 고양시킴과 동시에 합리적인 사회로 발전하는 데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보편적 주체 양성이었다. 그러나 근대가 지속되면서 교육은 국가와 교사가 요구하는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가치 및 지식을 일방적으로 학생에게 내면화하는 보편적 주체 양성 과정을 의미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이 갖고 있는 개별성이 철저하게 배제되었고, 국가·교사가 원하는 가치 및 지식을 내면화하지 못한 학생에게는 ‘문제아’·‘낙제아’ 등의 낙인이 찍혔다. 이러한 보편성 위주의 교육을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학생 개개인의 개별성 존중과 계발에 초점을 맞춘 포스트모던 교육학이 등장하였다. 학생은 타인과의 능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개별성을 발현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교사는 또 하나의 타자로서 이를 촉진하는 역할만을 담당하며, 이에 따라 포스트모던 교육에서는 학생의 자유와 개별성에 대한 교사의 개입과 간섭을 금기시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포스트모던 교육학에 대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지나치게 학생의 자유와 개별성을 존중함으로 인해 교육의 또다른 목적인 보편성의 내면화가 소홀해지는 모습들이 자주 목격되기 때문이다. 교육학의 뿌리인 근대 계몽주의를 부정하는 것은 곧 교육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대 계몽주의를 비판하면서 정립되기 시작한 포스트모던 교육학의 수용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이론적 연구들도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획일적 인간만을 양산한다는 비판을 받은 근대 계몽주의 교육학으로의 회귀를 주장하기도 쉽지 않다. 포스트모던 교육학은 이러한 한계에 직면해 있으면서도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이것이 현대 교육학이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이 문제의 대안을 탐색하고자 두 가지를 고려하였다. 첫째, ‘교육은 개별성과 보편성의 조화를 이룬 인간의 형성을 목적으로 함’이라는 교육의 본질을 고려하였다. 문제의 핵심은 교육의 목적이 개별성과 보편성 중 어느 한 측면만을 집중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학은 개별성과 보편성의 조화로운 형성을 목적으로 태동하였지만 근대가 지속되면서 보편성의 내면화를 위한 교육에 치우치기 시작하였다. 이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포스트모던 교육은 개별성 존중 및 계발을 위한 교육만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의 본질을 고려하면서 이러한 교육철학적 시소(Seesaw)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주체(Subject)’ 개념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주체 개념은 개별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교육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특히 근대 교육학에서 포스트모던 교육학으로의 변화는 주체 개념 자체의 사상사적 전환과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즉 주체 개념이 보편성에서 개별성 중심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주체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학도 이와 같은 변화의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다. 이 두 가지를 종합해서 본 논문은 ‘개별성과 보편성의 조화로운 형성을 의미하는 주체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 교육학이 당면한 문제의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푸코가 후기 연구를 통해 제시한 ‘자기 배려적 주체’는 개별성과 보편성의 조화로운 형성을 잘 드러낸다. 그는 1980년까지 초기 연구를 진행하면서 ‘훈육적 주체’개념을 중심으로 권력에 의해 보편적으로 형성되는 주체 형성 과정을 낱낱이 밝혀냈다. 반면 푸코는 1980년 이후 후기 연구를 진행하면서 고대 그리스·로마 시민들이 자기 배려를 통해 참된 자유와 개별성을 누리기 위해 노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자기 배려의 본래 의미는 성적 욕망을 스스로 조절하기 위한 태도의 변화와 실천 방식을 의미한다. 즉 고대 시민들은 성적 욕망을 스스로 절제함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더 나아가 그들은 자기 배려를 실천하면 공동체 전체의 덕을 해칠 수 있는 욕구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내적 힘을 기를 수 있고, 이러한 사람들이 모인 국가 전체의 덕은 자연스럽게 증진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결국 푸코는 자기 배려 개념을 중심으로 개별성과 보편성이 조화롭게 형성되는 주체 개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푸코의 후기 주체 개념을 통해 개별성과 보편성이 조화롭게 형성된 교육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 교육학의 근본적인 문제는 개별성과 보편성을 대립되는 가치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 쪽 측면만을 중시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다른 측면을 경시하게 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교육의 본질은 망각되어 버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체 개념과 교육의 본질을 함께 고려한 것이다. 푸코의 후기 주체 개념은 두 측면을 대비되는 것으로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과는 다르게 두 측면이 조화롭게 형성될 수 있음을 제시하면서 교육의 본질을 설명한다. 공동체는 개별 인간들이 모여 구성되기 때문에 그 공동체가 요구하는 보편성을 내면화하는 주체도 결국은 개별 인간들이다. 따라서 개개인이 스스로 욕구를 다스리며 자신만의 고유한 삶을 영위하게 되면, 공동체의 덕이 증진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보편성을 내면화할 수 있다. 배려된 혹은 성찰된 개별성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 조건이다. 앞서 보편성을 내면화하고 증진하는 주체가 개별 인간임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이것이 인간의 모든 개별성이 허용됨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포스트모던 교육학은 보편성에서 개별성으로 교육의 중심을 변화시켰지만, 개별성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결국 보편성을 소홀히 하는 교육적 결과를 초래하였다. 반면 푸코의 자기 배려 개념에서는 기본적으로 개별성을 중시하면서도 인간의 모든 개별성이 존중되는 것은 부정한다. 자신의 욕망을 제어하지 못한 개별성은 참된 개별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자기 배려 개념은 ‘배려된 개별성’을 통해 포스트모던 교육학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의 역할은 개별 학생들이 ‘배려된 개별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촉진하는 것이다. 푸코의 자기 배려 개념은 ‘배려된 개별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태도의 변화 및 구체적인 실천을 의미한다. 즉 단지 지식을 전달하거나 방법적 측면에 치중하는 것은 자기 배려적 교육이 아니다. 자기 배려적 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도록 태도의 변화를 촉진하고 자기 글쓰기와 명상·독서를 실천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교사는 푸코가 자기 배려의 거장으로 평가하는 소크라테스처럼 자기 배려를 촉진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모델로서 스스로 자기 배려를 실천해야만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 배려를 실천하며 ‘배려된 개별성’을 발현한다면, 자신만의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하며 자연스럽게 보편성을 내면화할 수 있는 주체로 성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