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애착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선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 능력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애착, 심리적 안녕감,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 능력, 정서표현양가성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정서조절 능력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넷째, 정서표현양가성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S지역 초등학교 5~6학년 남·여 학생 245명이다. 부모애착을 알아보기 위해서 옥정(1998)이 번안하여 수정 및 보안한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 개정본(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 IPPA-R)을 사용하였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는 Ryff(1998)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 PWBS(Psychological Well-being Scale)를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가 한국판으로 번안된 것을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정재찬(201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정서인식의 명확성 척도는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및 Palfai(1995)가 개발한 특질 상위 기분 척도(TMMS-Trait Meta-Mood Scale)를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번안하여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정서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문용린(1999)이 개발한 정서 지능검사의 하위 척도 중 정서조절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표현양가성 척도는 King & Emmons(1990)가 개발한 정서표현 양가성 질문지(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를 최해연 외(2007)이 번안·타당화한 AEQ-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심리적 안녕감,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 능력 및 정서표현양가성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부모애착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정서조절 능력은 부모애착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넷째, 정서표현양가성은 부모애착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즉 부모애착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을 더 명확하게 하고 정서조절 능력이 높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을 낮게 느낄수록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은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달적 과도기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 능력 및 정서표현양가성이 부분매개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애착이 정서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교육 현장에서 정서교의 필요성을 밝혔으며, 학교 상담자나 교사 역시 아동의 정서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해야 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심리적인 건강을 유지하는데 정서 변인의 역할이 크므로 가정은 물론이고 학교 현장에서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방법과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정서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체계적인 정서교육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학교 교사나 상담자 역시 대상으로 학생들의 정서 능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정서교육 및 연수를 주기적으로 받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서인식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정서교육이 첫 단계이며, 정서조절 능력은 학교 현장이나 상담에서 교육을 통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방법이므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초등학생용 용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송옥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용서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학생들의 용서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용서 정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10개 반을 대상으로 Enright's Forgiveness Inventory(EFI, 1991)를 박종효(2002)가 번안하여 사용한 용서 심리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용서 정도가 낮은 두 개의 학급을 선정하였다. 이 중 한 학급으로 구성된 36명은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의 36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Enright(2004)의 용서의 단계를 바탕으로 구안되었으며,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용서교육 프로그램(정지윤, 2005), 인지 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이미경, 2006), 공감을 통한 용서교육 프로그램(이지영, 2006),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용서교육 프로그램(하요상, 2006), 용서상담 프로그램(김광수, 2008) 및 Enright(2004)와 Luskin(2003)의 용서를 촉진하는 전략적 기법들과 KBS 다큐멘터리 마음의 동영상 자료 등을 본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검사도구로는 Enright's Forgiveness Inventory(EFI, 1991)를 박종효(2002)가 번안하여 사용한 용서 심리 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Window 12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용서 정도 증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분석에서도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용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용서 정도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대인관계에서 아직 깊은 상처 경험이 적은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예방 프로그램을 통하여 용서를 경험해봄으로써 자신의 내적 상처 치료뿐만 아니라 앞으로 더 자주 용서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의미한 용서 작업 활동을 위하여 용서를 이해하고 선택하는데 차이를 보 이는 아동들을 위한 용서를 이해시켜 줄 수준별 자료 준비가 필요하다. 둘째, 용서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구성되어 실시된다면 예방적 차원의 용서교육으로 더욱 효과가 있을 것이다.

      •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 연구동향 - 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

        박재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성취동기이론을 바탕으로 제안된 기대-가치 이론은 초기에 기대 신념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Eccles와 Wigfield(2002)에 의해 주관적 과제가치의 중요성이 제안되었 다. 이후 가치의 하위변인인 비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Barron과 Hulleman(2015)에 의해 기대-가치-비용 모델이 제안되었고, 이후 세 구성 요인을 세 분화하여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과 관련된 교육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 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연구물의 경우 학 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 한국학술정보서비스(KISS), 한국과학기 술정보센터(NDSL), 구글학술검색(Google Scholar) 등을 통해 분석 대상 연구물을 추 출하였다. 수정된 현대 기대-가치 이론(Eccles & Wigfield, 2002)이 제안된 시점부터 2023년까지로 연구 시점을 제한하였으며, ‘기대-가치(expectancy-value)’, ‘기대-가치- 모델(expectancy-value model)’, ‘과제가치(task value)’, ‘가치(value)’, ‘비용(cost)’을 한 국어와 영어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간 중복, 원문 사용 불가, 교육학 이외의 영역(예.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등)에 해당하는 연구물을 제외하고, 학위논 문이 학술논문으로 출판된 경우는 학술논문으로 집계하여 국내 연구물 130편과 영 어로 발표된 국외 연구물 57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사한 분야에서 수행 된 연구동향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의 시기, 대상, 적용범위, 방법, 구성요인을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다.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과 관련된 교육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물 총 187편을 분 석하여 다음과 같은 동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시기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초기에는 국내연구가 국외연구가 더 적었 으며 국내연구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점은 2008년 이후이고 2010년에 국외 연구 물 수보다 많아졌고 2016년부터 2022년까지는 계속 국내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특히 2015년에 기대-가치-비용 모델 이 소개된 이후 구성 요인이 3개로 확장되었기 때문에 연구물의 수도 증가하였을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 연구자의 복수 연구 성과가 출판물의 수를 증폭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경향도 볼 수 있었다. 둘째, 대상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국내연구는 중학생 대상이 가장 많은 반 면, 국외 연구는 대학생 대상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연구 수행을 위한 사회·제도적 여건의 차이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셋째, 적용범위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거의 모든 연구가 학교 교과목을 적용하였으며 그 중 국내연구는 수학과 체육이 다수를 차지했지만, 국외 연구물은 수학과 과학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이 애초에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수학 학습동기를 연구하기 위해 시작된 배경이 반영된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그러나 국내연구 중 체육교과 대상 연구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체육교육분야에서 동기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 집단의 연구성과가 반영된 현상으로 해석하였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변인 간 상관을 기초로 하는 분석과 척도 개발 연구가 국내·외 공통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동향은 다변량분석을 할 수 있는 정교한 통계분석 기법들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론의 구성요인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로 국내·외 모두 기대-가 치 2요인 연구물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대-가치-비용 3요인 모델이 2015년에 제안되었기에 관련 연구물의 비율도 상당한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동향분석을 바탕으로 Eccles의 기대-가치 이론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 의하고 본 연구가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기능할 수 있음에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주제어: Eccles, 기대-가치, 과제가치, 과제비용, 기대, 가치, 비용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소진,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지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소셜커뮤니티 및 역량강화연수에 참석한 전문상담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척도, 상담자 소진 척도,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 Scheffé검정, 독립표본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경력 단계 및 근무기관에 따라 직무환경 위험요소, 소진,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ANOVA)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한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경력 단계에 따라 직무환경 위험요소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소진과 하위요인 중 무능감,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하위요인 중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라 직무환경 위험요소, 소진,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직무환경 위험요소의 하위요인 중 부적절한 도전기회,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자기걸졍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절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경력 단계 중 저경력 단계를 제외한 중경력, 고경력 단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절효과가 있었고, 전문상담교사의 근무기관인 Wee 클래스, Wee 센터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 학교 숲 기반 생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병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학교 숲 기반 생태교육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학교 숲 기반 생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가설 2. 학교 숲 기반 생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폭력태도 점수를 낮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으로 실험 집단은 경기도 오산시 G초등학교 24명, 통제 집단은 같은 학교 24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한 회기 당 40분씩,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실험집단에 주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SPSS/WINDOWS 18.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으며, 통계 방법으로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숲 기반 생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격성 점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공격성의 하위 영역 중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부정성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학교 숲 기반 생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폭력태도 점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교폭력태도의 하위 영역 중 폭력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 가해자 및 피해자에 대한 태도, 학교폭력이 발생 하였을 때 대처하는 태도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 때, 학교 숲 기반 생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 및 학교폭력태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안운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재적 동기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 내재적 동기는 서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는 매개효과를 갖는가? 이 연구는 전국단위 지역교육청 및 학교에 근무를 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Counselor Self-Efficacy Scale; CSES), 내재적 동기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18.0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 내재적 동기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전문상담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은 더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교상담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심리적소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과, 이를 완충해줄 수 있는 내재적 동기의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논의되길 바라며,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연수를 활용하여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학교폭력 실태 및 예방에 관한 연구 : D교육청 학교폭력 가해자 특별교육기관 'S센터'를 중심으로

        노연순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학교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대구중학교 자살사건에 이어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의 자살이 언론에 연일 보도됨으로써 우리 사회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경악을 금치 못하게 되었다. 우리 사회의 폭력에 대한 민감도가 만성화 되어 가는 가운데 미래의 우리 사회를 지탱해나가야 할 학생들 간의 학교폭력이 더욱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최근 들어 학교폭력이 불량서클을 중심으로 집단화, 흉포화 되고 있으며, 일부 음란 폭력성 영상물을 모방한 충격적인 일탈행동은 위험 수위를 넘어서 조직폭력 수준이 되었다. 학급 친구들로부터 집단 폭력의 고통에 시달리다가 자살을 하는 학생, 왕따를 당한 학생이 친구를 칼로 찔러 숨지게 한 사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여 외국 유학을 떠나는 학생 등 불행한 사건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현실이 된 것이다. 하지만 그 심각성이 이미 1980년대 후반부터 제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상에 대한 주장과 논의만 무성할 뿐, 이에 대한 대처방안은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더 이상 아이들끼리의 사소한 다툼이고 커가는 과정이라고 묵과하기에는 문제의 심각성이 너무 커진 상황이고 다양한 방법과 제도적 차원의 개입이 시급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의 학교폭력 변화 모습은 연소화‧집단화‧광역화되고 있으며 그 양상도 성인범죄를 모방하고 있어 해가 갈수록 더욱 흉포화‧교묘화‧지속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현실에 처해 있는 우리 학생들이 안전한 교육환경 속에서 보다 편안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줘야할 당면과제를 가지게 되었다. 이에 필자는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을 선행 한 후 보다 실효성 있는 해결방안과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이러한 목적 하에 학교폭력의 원인과 대책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서론 부분으로 서술된 Ⅰ장은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였고, 그 뒤로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연구방법을 사용했는지에 대해 기술하였다. Ⅱ장은 이론적 배경에 대한 서술로 학교폭력의 개념 및 경향 그리고 학교폭력이 일어나는 배경들에 대한 제반 관계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을 가정․ 학교․ 사회에서 폭력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과 매체를 통한 폭력의 간접 경험, 그리고 학생들의 문화시설과 여가 프로그램 부족, 교우관계의 불만, 개인과 집단의 대립에서 오는 소외감 등으로 파악을 하고자 한다. Ⅲ장은 학교폭력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였는데 기초적으로 교육부에서 시행한 전국 학교폭력의 연도별 피해 및 가해현황을 파악하고, D교육청 학교폭력 가해자 특별교육기관 S센터에서 교육을 받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파악한 학교폭력 가해자의 실태를 통해 구체적으로 폭력피해 원인별 실태와 폭력피해 유형별 실태를 분류하고 학교폭력방지의 문제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Ⅳ장은 학교폭력의 예방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였는데 먼저 지금까지 학교폭력에 대해 어떻게 조치가 이루어졌는가에 대해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학교 폭력에 대한 예방대책을 가정 내 차원, 친구 및 청소년 문화 활동 차원, 학교차원, 지역사회차원에서 예방대책들을 제안하였다. Ⅴ장은 연구의 결론부분으로 지금까지 진행된 전체연구의 요약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하고자 한다.

      • 초기 청소년의 주도적 참여와 기본심리욕구 충족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련성

        이선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실 수업에서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와 심리적 욕구 충족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 더불어 기본심리욕구 충족 사이의 관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42명을 대상으로 약 6주의 한 단원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총 4회에 걸쳐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도적 참여와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충족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련성에서 주도적 참여와 유능성 충족 사이에서 정적인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시점의 주도적 참여가 2차 시점의 유능성 충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그렇게 충족된 유능성은 다시 3차 시점의 주도적 참여의 증가로 이어졌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충족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자율성 충족과 유능성 충족 사이에서 정적인 상호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능성 충족은 세 가지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원인이 되어 유능성 충족이 높을수록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모두의 충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도적 참여와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종단적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이전 시점의 주도적 참여와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각각 이후 시점의 주도적 참여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있어 시간에 흐름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기가 수업참여를 예측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수업참여를 통해서도 동기를 높이는 서로의 원인과 결과로서 작용하는 것을 말하며, 학생들은 주도적 참여를 통해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동기를 높이기 위해 의도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능성은 초기 청소년기 학생들의 동기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실수업에서 학생들의 유능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낙관성의 매개효과

        김수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낙관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대구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박상균(2007)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한미현(1996)의 도구를 토대로 한 하현수(201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Rosenberg가 제작한 Self-Esteem Scale(SES)을 수정, 보완한 강나정(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초등학생의 낙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국내 아동의 낙관성 측정을 위해 제작한 CLOT(the Children’s Life Orientaion Test)를 수정, 보완한 전수현(201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활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바에 따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후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둘째, 낙관성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즉,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때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도 마찬가지로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과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면서,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담임교사의 인식 개선과 협조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동시에 이에 따른 상담적으로 개입하는 것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심리적 안녕감은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있고 행복한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와 관련되는데, 초등학교 시기의 학생들에게 심리적 안녕감은 성장, 발달을 촉진하고 성인기 이후의 삶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즉, 초등학생들이 긍정적인 정서를 키우고 행복한 삶을 누리는 방법을 배운다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고, 이는 곧 초등학교 때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가정과 학교 현장에서 부모와 학생, 친구와 친구, 교사와 학생 사이의 공감하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상담적 개입을 하며, 또한,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다각도로 접근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自己成長 集團相談 프로그램이 敎育福祉對象 兒童들의 自己效能感 向上과 社會性에 미치는 效果

        안성숙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11

        自己成長 集團相談 프로그램이 敎育福祉對象 兒童들의 自己效能感 向上과 社會性에 미치는 效果 안 성 숙 지도교수 조 경 덕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자기 효능감 향상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성장 집단프로그램이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의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들을 찾아보고 분석해보며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복지대상 자기성장프로그램은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대전소재 교육복지대상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매주 1회씩 40분간 10회기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검사척도(김아영, 1977)와 사회성 검사척도(정범모, 1971)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프로그램실시 전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해서 회기별 소감문 분석을 통해서 내용을 더 요약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연구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검사 차이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발견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적용으로 교육복지대상아동들에게 변화를 불러왔음을 알 수 있다. 대전은 동서부의 지역적인 격차가 어느 정도 내재되어 있는 곳이다. 프로그램을 운용하면서 교육복지대상으로 선정된 아동들의 현실적인 상황 속에서 오는 열등감이 존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 부분에 대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이 마무리되면서 자기효능감부분과 학교생활 부분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와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점은 교육복지대상자라는 선정이 아동들의 교육복지프로그램 참여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로인해 아동들이 학교생활적응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제공되는 서비스의 효과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두며 좀 더 조심스럽게 접근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on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 Efficacy Improvement and Sociality Sung-Sook An Department of Consulting and Psycholog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yung-duk 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on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 efficacy improvement and social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up the hypothesis as follows. First,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influence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efficacy improvement. Second,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influence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is, previous researching studies are explored and analyzed then the program is performed by reconstructing and integrating with previous and new studies.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s performed from March 2013 to October 2013 in this study. Daejeon of the target school children, education and welfare of children in the target area of the Children's Center 40 minutes once a week program is divided into 10 sessions were conducted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n schools and local children’s centers located in Daejeon are set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the program is conducted once a week as a format of 10 sessions with 40 minutes. The examination papers for this study use ‘the generally measure self efficacy examination measurement’ (Kimahyoung, 1977) and ‘the sociality check measurement’ (Jeongbeommo, 1971). The data analysis is divided with before performing the program and after performing the program then arranged. In order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analyzing and summarizing of the researcher’s impression essays in every term are perform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analy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to the self efficacy improvement, the verification of pre-post examin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t the significance level, P<.01. Second, the effect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to the sociality of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s revealed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brings a positive change to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The East-West Daejeon is the region where has some local differential to some extent. As operating the program with three groups, the senses of inferiority of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are detected occurred from their realistic situa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s positively not only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adaptation of their school life but also their self-efficacy improvement. As proved by previous research and this study, the selec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 could be the obstacle to children’s educational welfare program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selecting process may bring some negative impacts to targeted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service give them a help rather than negative impacts, therefore the accessing to the target selection needs more cautious in th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