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평생교육 참여와 공동체의식의 관계에 대한 혼합연구 : 세종시 사례를 중심으로

        장수정 한국교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54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Sense of community and to explore in-depth the changes in the lives of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d in the process. A Sense of community is often suggested as a solution to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mong local residents and the personalization of life, related precedent research suggest that Sense of community can be developed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among local residen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 attention is paid to the possibility of solving community problems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but discussions 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Sense of community are very rare. In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Sense of community?’ and ‘How is a Sense of community expressed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Sense of community in depth. To measure Sense of community, the sub-elements of Sense of community were set up as ‘sense of satisfaction, solidarity, sense of belonging and membership, consciousness of mutual influence, emotional intimacy, and settlement of place’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 a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that enabl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research issues by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quantitative research. 127 Sejong City resi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After providing statistical results us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epth interviews with intentional sampling of 4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to confirm the middle problems of the survey participants for in-depth exploration of the derived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A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Sense of communit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value of Sense of community was high,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rived fro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particular, for emotional closeness and place-settlement in the analysis over the period of residence, the post-analysis did not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F values produced significant figures. These results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the length of residence affects the emotional closeness of feeling intimate with community members, such as creating dependable and trusted neighbors within the community, and the long-cherished settlement of places in the region.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ere identified. In general,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period, the higher the Sense of community, especially the sense of belonging and membership and the sense of mutual influence. This can be seen as a rebuttal to the continued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reby increasing interest and attachment to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xpression pattern of Sense of community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the migration area during the initial migration, but experienced the growth and life changes of individuals who were given new names and become the main agents of educa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they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continuously interact with their neighbors in the course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is, They created a reliable neighbor in the unfamiliar community and formed a sense of political order through a positive change in our perception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will be responsible for sharing their experiences in the community, paying attention to community problems, and independently exploring ways to solve them. This is because the environment was provided for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o gather together, which led to the reconnection of exchanges with their disconnected neighbors.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formed an emotional intimacy, stability,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among the local residents, leading to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the local community, thereby creating a Sense of commun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framework of the spatial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 Active interactions were made in various spaces in the daily lives of local residents, and lifelong education could be found in areas close to their lives.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a Sense of community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daily life should be more active. Second, in terms of policy, the formation of a Sense of community not only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but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gional settlement of the influx of local residents in terms of raising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local community, and furthermore, it can be suggested as a way to resolve local problem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gram design and operation authority of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sites and to link them to community activities. These course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more people engaging in lifelong education and increasing their interest and attachment to the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참여와 공동체의식 간 관계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주민들의 경험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구해보는 것이다. 공동체의식은 이웃 간 소통의 단절, 생활의 개인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대사회문제의 해결방안으로써 종종 제시되고 있으며,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지역주민들 간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체의식이 발달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평생교육 연구 분야에서는 평생교육 참여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으나, 평생교육 참여와 공동체의식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참여와 공동체의식 간 관계는 어떠한가?’, ‘평생교육 참여 경험을 통해서 공동체의식은 어떻게 발현되는가?’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평생교육 참여와 공동체의식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식의 측정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하위 구성요소를 ‘충족감, 연대감, 소속감 및 구성원의식, 상호영향의식, 정서적 친밀감, 장소 정주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와 더불어 질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문제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케 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설계방법은 양적 연구 수행 후 질적 연구를 후속 진행하는 ‘순차적 설명 혼합연구 설계방법’을 활용하였다.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세종시 주민 127부의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통계 결과를 산출한 후, 도출된 양적 연구 결과의 심층적인 탐구를 위해 설문조사 참여자 중 연구문제 확인에 적합한 4명의 연구 참여자를 의도적 표집한 심층 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생교육 참여와 공동체의식 간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도출하지 못하였지만 공동체의식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거주 기간에 따른 분석에서 정서적 친밀감과 장소 정주성의 경우, 사후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지는 못하였지만 F값은 유의미한 수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거주 기간이 지역사회 내에서 의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웃을 만드는 등 지역사회 구성원에 대한 친밀한 감정을 느끼는 정서적 친밀감과 지역에서 오래 거주하고자 하는 장소 정주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둘째, 평생교육 참여 기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체적으로 참여 기간이 길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소속감 및 구성원의식과 상호영향의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도출하였다. 이는 평생교육 참여를 통해서 지역사회 구성원끼리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애착이 증가한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평생교육 참여를 통한 공동체의식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은 최초 이주 시 이주지역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경험하였지만, 평생교육 참여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새롭게 부여받고 교육의 주체자가 되는 개인의 성장과 삶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평생교육 참여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웃과의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이를 통해 낯설게만 느껴졌던 지역사회 속에서 신뢰할 수 있는 이웃을 생성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통해 정주의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평생교육 참여자들끼리 지역사회에서 겪은 경험을 공유하며 지역사회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주체적으로 모색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사람들끼리 모일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됨에 따라 단절된 이웃과의 교류를 다시 잇게 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즉, 평생교육 참여는 지역주민들 간 정서적 친밀감, 안정감, 지역사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 등을 형성하여 자신과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 공동체의식의 발현 계기가 된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연구 분야에서 평생교육의 공간적 개념의 틀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 속 다양한 공간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으며, 생활과 밀접한 공간에서 평생교육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상생활 속 평생교육 참여를 통한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가 더욱 더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 둘째, 정책적인 측면에서 공동체의식의 형성은 지역주민 정주여건 만족도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일원으로써 소속감을 가지고 정주의식을 높인다는 것에서 지역 유입인구의 지역정착의 가능성에 대해 시사하며, 나아가 지역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셋째, 평생교육 현장의 측면에서 평생교육 참여자의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권한을 확장하고 지역사회 활동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평생교육에 참여하게 되고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애착이 증가할 가능성을 나타낸다.

      • 다원적 능력주의 개념의 탐색과 평생교육적 함의

        김현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439

        본 연구는 기존의 학계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능력주의 개념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다원적 능력주의’개념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평생교육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능력주의가 비판 받는 이유는 무엇이며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둘째, 기존의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으로부터 도출된 정책들이 사회적 봉쇄를 통한 지위 세습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셋째, 기존 능력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원적 능력주의의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다원적 능력주의가 갖는 평생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 각 연구문제는 논리적 단계를 이루고 있다. 첫 번째 문제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능력주의 비판론을 분류,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고, 두 번째 문제는 기존의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출현한 정책들이 오히려 사회적 봉쇄를 실천함으로써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 것이다. 세 번째 문제는 첫 번째 문제와 두 번째 문제에 대한 탐색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수용하고 기존 논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네 번째 문제는 새로운 능력주의 개념인 다원적 능력주의의 실현을 위해 평생교육적 관점이 필요한 이유를 밝히고 평생교육의 철학 및 실천이 갖는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은 이상적 능력주의와 현실적 능력주의의 관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실적 능력주의의 관점으로부터는 시사점을 얻을 수 없었으나, 이상적 능력주의의 관점으로부터 능력주의에 은폐된 비능력적 요인 및 능력주의의 부작용인 인식의 불평등을 극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둘째, 기존의 능력주의에 대한 문제의식 및 시대의 요구에 의해 인지적 능력 대신 비인지적 능력을 강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였고, 이에 입학사정관제나 법학전문대학원과 같은 정책들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 대한 접근성을 가진 특수한 직업 집단이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게임의 규칙을 바꿈으로써 여타 집단을 배제하는 사회적 봉쇄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또한 대입 추첨제나 대학 평준화와 같은 능력주의 해체에 대한 논의 역시 유학 등의 특수한 수단을 갖지 못한 이들을 배제하는 사회적 봉쇄의 실천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능력주의의 변형‧확장 및 해체를 위한 실천은 기존의 능력주의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없으며, 여건의 세습이라는 더욱 심각한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의 근거인 결과의 평등관은 경쟁이 필요 없을 만큼 생산력이 극대화될 것을 전제하므로 현실성을 결여하며, 한 가치가 다른 가치를 지배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그러나 다원적 평등은“어떠한 사회적 가치 x도, x의 의미와는 상관없이 단지 누군가가 다른 가치 y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y를 소유한 사람들에게 분배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비능력적 요인의 작동 및 인정의 불평등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다원적 능력주의’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는 비능력적 요인을 최소화함으로써 능력주의의 본래 의미인 ‘재능+노력’의 이상향에 좀 더 다가가는 한편 능력 개념의 확장을 통해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인정을 지향함으로써 인정의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넷째, 다원적 능력주의는 기회의 차원과 인정의 차원에서 평생교육적 함의를 갖는다. 기회의 차원에서는 민주 국가 교육의 원칙에 근거하여 확장된 교육 기회의 평등의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평생교육적 실천이 가능하다. 인정의 차원에서는 다양한 능력의 가치에 대한 인정을 위해 하나의 대학 간판 아래 여러 가치가 수렴되는 기존의 대학 교육 체제를 다양한 능력이 그 자체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평생교육 체제로 개편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해 볼 수 있다.

      •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

        김민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5423

        본 연구는 평생학습시대를 맞아 양적으로 팽창한 평생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인적자원개발을 위하여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자기주도성, 가치지향성)와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위한 조사대상자 선정은 설문가능성 및 용이성을 고려하여 편의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사용하였으며, 대구 내에 있는 평생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5일부터 2016년 2월 1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 온라인 설문과 오프라인 설문을 병행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한 조사도구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주요변수에 해당하는 총 44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설문지는 총 450부를 배포하여, 그 중 391부(회수율: 86.9%)를 회수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3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58부(유효 자료율: 79.6%)의 설문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22.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Baron과 Kenny의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변수 자기주도성과 종속변수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네트워킹 행동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자신의 경력을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관리하는 태도를 가진 사람일수록 자신의 경력에 더욱 몰입하게 될 것이고 활발한 네트워킹 행동이 시장성 확보를 위한 경력 확장활동으로서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변수 가치지향성은 종속변수인 경력몰입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매개변수 네트워킹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매개효과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학문적 시사점의 경우,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경력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평생교육강사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변수인 자기주도성은 네트워킹 행동을 통해서 경력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하여 평생교육강사의 네트워킹 행동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의 경우, 첫째, 평생교육강사의 경력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강화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평생교육강사의 네트워킹 행동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평생교육강사에게 경력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해 주어야 한다. 넷째, 평생교육강사의 처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고용안정성을 확보하여 체계적으로 경력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diated effect of networking behaviors practically in the effect to career commitment with protean career attitude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structors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human resources at the sites of life-long education which has been expanded quantitatively in the era of life-long education. The following study subjects were established to do so. How about mediated effect of network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 of protean career attitudes including self-initiative and value oriented ones and career commitment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structors.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considering feasi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and they were the instructors who were working in the institutions of life-long education in Daegu.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on and offline questionnaires from January 5 to February 1, 2016 for about 4 weeks. With respect to the survey tool, totally 44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demography and main variables. 450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and 391 were collected (collection rate of 86.9%), and 358 (effective data rate of 79.6%) were analyzed excluding 33 sheets that the answers were not sincere.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med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Korean version of PASW Statistics 22.0. Additionall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bootstrapping.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tworking behavior which is the mediated variable in the relations of self-initiative attitude, the sub-variable of protean career attitude, and career commitment that i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partial mediated effect upon the test for networking behavior in the relations of protean career attitude and career commitment. That means the person will commit his or her career more as the person has the attitude that he or she manages the career more actively, and it was proven that the active networking behaviors would work positively as the career expansion activity to secure the marketability. Second, value orientation which is the sub-variable of protean career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dependent variable, career commitment positively, while it did not impact to the networking behavior of mediated variable, which did not result in the mediated effect.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can be proposed. In terms of academic implication, protean career attitude was confirmed to influence to career commitment positively so as to seek the direction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structors. Second, self-initiative attitude which is the sub-variable of protean career attitude showed the positive impact to career commitment by networking behaviors, therefore, the efficacy was proven for the networking behavior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structors. In case of practical implications, it is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strengthen protean career attitude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career commitment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structors. Second, the policies and resources are required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structor to strengthen networking behaviors. Third,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to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structors considering their career stage. Fourth,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treatment fo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structors and the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manage their careers systemically by securing job security.

      • 성인 학습자를 위한 호주의 고등교육 및 훈련체제

        박정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5423

        이 연구의 목적은 호주의 성인학습자를 위한 고등교육훈련 체제를 탐색하여, 다양한 성향을 지닌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학습욕구 충족을 위한 국가차원의 성인고등교육정책과 고등교육수준의 전문 직업교육훈련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첫째, 호주의 성인학습자를 위한 평생학습체제 탐색. 둘째, 호주의 성인을 위한 교육 및 훈련과정 모형을 근거로, 성인학습자를 위한 고등교육기관 특히 대학의 교육 및 훈련과정, 그리고 성인을 위한 고등교육기회 확대 정책인 국가자격증관리기구(AQF)와 선행학습인증제(RPL) 등의 고찰. 셋째, 호주 TAFE의 교육훈련과정 체계 및 재정확보과정과 지원. 넷째, 호주의 고등교육 및 훈련체제 탐색을 통하여 한국의 성인고등교육정책 개선 방안에 필요한 시사점을 탐색·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수집을 통하여 수행하였고, 주요 활용문헌은 2002년에서 2009년도 사이에 발간된 호주의 학회지와 학술지, 인터넷 포털 사이트 그리고 한국의 성인교육 및 평생교육관련 학술지와 국가기관인 한국 직업능력개발원과 교육개발원의 정책보고서 그리고 국내 평생교육관련 전문서적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및 청소년 대상 각 단계별로 운영 되고 있는 학교교육체계를 평생교육체계로 변환을 통하여, 대학교육을 마친 성인기 이후에도 지속적인 학습활동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인대상 각종 직업교육, 전문대학, 4년제 대학의 영역과 학제 간에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교육프로그램의 공유, 산ㆍ학 협력, 학제간의 연계와 교육ㆍ훈련ㆍ고용의 연계가 가능한 평생학습체제가 필요하다. 셋째, 성인의 평생학습이 가능하도록 비형식, 무형식의 학습 결과까지도 공식 인증이 가능한 사회적 기제의 확립과 학문자격과 직업자격을 포괄하는 학점기반의 통합적 국가자격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성인의 정규 대학입학 기회 확대를 위하여 성인대학입학 특별전형 제도의 시행과 성인 대학입학 상담창구가 각 지역사회 및 대학 내에 개설될 수 있도록 대학과 국가는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호주의 TAFE대학과 유사하도록 한국의 전문대학은 보다 많은 성인과 지역주민 그리고 청소년들의 입학기회 제공, 우수 인적자원 개발, 국가 경쟁력 제고 등을 위하여, 산업체 요구가 적극 반영된 교육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여섯째, 전문대학과 정규대학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일과 학습의 병행이 가능하도록 다 학기제, 주말학위과정, 정시제, 다양한 비 학위 단기과정 등 유연한 교육과정도입과 운영이 필요하다. 일곱째, 각 대학과 지자체의 평생학습도시 등은 성인학습자에 대한 행·재정적인 과감한 지원, 전담 교수 배치, 정규 학생들과 성인학습자간의 교류를 통한 세대 간의 갈등 해소 등이 가능하도록 대학문화의 변화와 평생학습사회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호주의 고등교육 개혁은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과감한 재정지원으로 가능했던 것처럼, 모든 계층 간의 차별이 없도록 성인 모두가 학습을 원할 때 일정부분 학습비지원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학습재원 마련에 국가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ustralian’s higher education training system for adult learners so that it can give a government level of policy suggestions on adult higher education, university culture improvement plan, and professional job training at higher education level to satisfy the learning desire of Korean adult learners with various propensitie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the following subject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Australian’s lifelong learning system for adult learners. Second, based on the Australian adult education and training model, this study considered higher education institutes for adults including university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as well as AQF (Australian Qualification Framework) and RPL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which are Australian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policies for adult learners. Third, this study looked into Australian TAFE education training process system as well as financial guarantee and support. Fourth, it also looked into ACE (Adult Community Education), WEA (Workers’Educational Association), and New apprenticeship which are unofficial educational institutes for local residents’ adult education training. Finally, this study examined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 for Korean adult higher education policy based on Australian higher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The documents and data were mostly from Australian journal articles, internet portal sites, Korean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related journal articles, the policy report of national institutes includi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professional books on lifelong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should try to ease entrance formalities for adults and improve exchange with higher job training institutes. More specifically, higher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formed to actualize lifelong education system by connecting job training, technical college, and university. Second, universities should improve a qualification system that combines academic and job qualifications as a learning system that adult learners can continuously participate in learning process. By doing so, they should design an education system that can connect educational institute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y recognizing preceding learning or credit transfer. In addition they should also induce higher quality education by opening up education training market of higher education for competition. Therefore, flexible opening of university entrance process as well as exchange between higher job training institutes are necessar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human resources by systemizing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into lifelong job ability developing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adaptation of experimental training system such as apprenticeship system in Australia. Schools and industries should have organic cooperation so that people can experience about the field they are interested as they learn theories at school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application at companies or official training institutes. Fourth, considering the changed demographic background of adult learners who wish for university entrance, there should be a separate window that supports adult admission.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and to combine the society throug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n adult education, allocation of professors fully responsible for adults, and exchange between regular students and adult students, university culture is required to be changed so that adults can experience free academic researches and specialized job training system. Fifth, The government needs to give substantial and equal support including tuition grant to the adult learners and the underprivileged.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in building lifelong education system is financial difficulty. It was the increased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that made educational renovation possible in Australia.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renovation was the result of direct financial support for learners.

      • 도시형과 도농복합형의 노인복지관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

        이기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5423

        이 연구는 노인복지관의 노인학습자 평생학습 참여욕구와 참여동기를 파악하여 지원방안을 수립하고, 노인학습자들이 원하는 교육프로그램, 교육시설 및 교육환경, 교ㆍ강사, 교육실무자의 자질과 역량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노인복지관 평생교육 운영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주 연구내용은 경기도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위탁 운영하고 있는 노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프로그램별 참여 동기와 교육프로그램, 교육환경, 교ㆍ강사,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경기도 내 18개 지자체에서 설치․위탁운영하고 있는 전체 30개 노인복지관 중 경기남부 지역의 12개 지자체 19개의 노인복지기관을 대상으로 도시형 4개 기관과 도농복합형 3개 기관을 선정하여 질문지를 개발․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노인교육 프로그램 운영 노인복지관의 문제점은 노인복지관이 지역사회의 노인복지 증진과 평생학습 욕구 충족을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지역노인의 인구에 비례하여 대상층이 제한적이다.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한 충분한 프로그램도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홍보 부족 그리고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 교육프로그램이 일관성 있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대부분의 교육프로그램이 건강증진, 사회교육 및 취미교실에 치중되어 있고 노인의 문화, 여가, 복지후생 및 소득 창출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노인들의 성별, 연령별, 학력수준, 건강상태, 생활수준 등과 같은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참여 노인들의 다양한 교육욕구 또한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노인복지관이 이용노인들의 평생학습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노인복지관내에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학습자의 프로그램 참여 목적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목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지역 특성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들이 선호하는 교육프로그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노인들의 건강증진과 지역사회 봉사, 소득 창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이 우선적으로 개발․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 교육기관과 운영자들은 프로그램 내용의 다양성과 질을 향상시켜야 하며, 각 지역노인들의 욕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프로그램의 내용선정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준을 마련해야 하며,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다양하고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재원과 시설 및 설비, 기자재, 공간, 전문 인력 등이 확충되어야 할 것이며, 노인들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인문화와 여가를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적극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노인교육기관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거나 유료와 무료와의 적절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재정지원 정책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desire of elderly learners and have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running elderly welfare center. This includes participative motivation by each program and satisfaction level about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al environment, lecturers, and practicing professionals in continuing education of elderly welfare center. The results show several problems. Although various programs are provide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for elderly learners are limited in proportion to the local population now. Lack of promotion, regardless and inconsistent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also problems. Additionally, most programs are focused on health promotion, social education, and hobby classes, and programs about culture, leisure, welfare, and income generation do not go far enough. Especially, genders, ages, academic ability, physical condition, and standard of living are not considered for elderly learners. There are several solutions to promote these problems. First, modular courses should be developed because purposes of participation are totally different along with learners' personal characteristics. Second, developing programs about health promotion, community service and income generation preferentially will get active and enthusiastic participation from seniors. Third, chiefs and officials charge in senior centers have to rise the quality and variety of programs. Forth, resources, facilities, materials, spaces, and professionals should be expanded to provide high-quality service. Finally,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is necessary fairly.

      • 성인 중도중복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진현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542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인의 평생교육 중 직업 교육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경험을 통해 중도중복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의 현장에 대한 이해, 현장의 어려움, 개선사항을 중심으로 현장전문가의 인식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중도중복장애인에 대한 교육 및 지원 경험이 있는 장애인 평생교육 현장전문가들이 성인 중도중복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또, 평생직업교육은 운영하는데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어떤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현장 중심의 심도있는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중도중복장애인 평생교육 문헌을 바탕으로 개발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 평생교육기관의 사회복지사, 장애인 직업훈련기관 종사자를 포함하여 6명의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별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인을 선행 연구의 정의를 바탕으로 중도의 단일 장애가 있거나 지적 기능의 제한을 포함하여 두 가지 이상의 장애를 중복으로 가지고 있는 상태로 학습, 정서행동, 운동, 감각, 의사소통, 적응행동, 일상생활, 진로직업, 건강과 안전 등의 여러 영역에서 높은 수준의 전반적 지원이 필요한 자로 정의하여 다루었다. 또, 평생직업교육은 개인이 직업생활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표현함으로서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전 생애에 걸쳐 개인의 능력개발을 지원하는 교육으로 중도중복장애인의 생애 어느 시점에서든지 그들의 특수교육요구에 따라 희망하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으로 정의하여 다루었다. 현장전문가의 인터뷰 내용의 분석 결과, 현장전문가의 평생직업교육에 대한 이해, 평생직업교육 운영에의 어려움, 평생직업교육 현장에서의 요구사항 세 파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평생직업교육에 대한 이해는 평생직업교육의 의미, 현장전문가에게 필요한 전문성, 평생직업교육에서의 보호자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로 구분하였다. 평생직업교육이 성인 중도중복장애인 당사자뿐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도 긍정적 영향을 갖는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동시에 대부분의 현장전문가가 중도중복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의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평생직업교육을 접근하는데 중도중복장애인의 교육의 구체적인 목적과 방향의 설정과 더불어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중도중복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협력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현장전문가의 평생직업교육 운영에의 어려움은 성인 중도중복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구성하는데 있어 일상생활기술과 직업교육 사이에서의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혼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당사자의 장애 특성과 인프라 부족 등에서 오는 교육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과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편견 등에서 오는 현장전문가의 어려움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현장전문가의 평생직업교육에 대한 목표와 방향을 개인의 삶과 행복이라는 철학적인 물음을 통해 재정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중도중복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의 철학적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현장전문가의 교류와 균형있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현장전문가의 평생직업교육 현장에서의 요구사항은 성인 중도중복장애인의 취업연계 경험을 통해 실패 또는 성공의 경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관련 부처와 협업과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 가족에 대한 지원, 장애인 당사자의 정서행동 지원, 직무개발에 대한 연구 등이 요구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현장전문가의 개별 역량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전문가의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하며, 운영매뉴얼을 통해 프로그램을 내실있게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성인 중도중복장애인 평생직업교육에서 현장전문가가 어떻게 현장을 이해하며 더 나은 평생직업교육 현장을 위해 현장전문가의 전문성의 보완과 협의체의 구성, 평생직업교육 교육과정 및 매뉴얼의 개발, 관련 부처의 마련과 확대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중년여성을 위한 평생교육 연구동향 탐색 : 국내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전미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5423

        The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in Korea have achiev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since the 1990s. Recently, the learning and lives of various adult learners including marriage migrant women, cyber-lecture attendants, and the elderly people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However, there was no specific trend on research that only targeted middle-aged wome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multi-dimensional orientations of the relevant studies based on the thesis analysis of middle-aged women who occupied high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content analysis on lifelong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from 2001 to 2015 in Korea. The research targets were 73 thesis in total including 14 doctor’s thesis and 59 master’s thesis searched with the keywords of ‘lifelong education’ and ‘middle-aged women’ in Riss, Dankook University Online Library, and National Assembly Online Library. The analysis frameworks included the research year, the researcher‘s major, the regional distribution, the research topic, and the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of lifelong education-related studies. Also, the research top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ntent analysis: the mo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ternal and external_, the level of program satisfaction and activ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assessment, theory and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 majors corresponded to 26 majors and 9 departments including education (49.3%), associated with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education engineering, and counselling psychology. In terms of the number of publish per regions, it was found that the publication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39.73%) and Gyeonggi(11%) was active. In terms of research topic, the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motivation’ and ‘its influence’ had the highest rate of 41.09 in both Master’s thesis and Doctor’s thesis, and the themes became more diverse after the discussion of multiculturalism-related lifelong education began in 2012. In terms of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studies occupied 79.4%,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thod. In the case of quantitative studies, ‘exploration with measurement tool’ accounted for 47 thesis(64.3%) among total 73 thesis.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such method was able to present effective outcomes regarding time and cost.. When comparing 14 doctor’s thesis and 59 master’s thesis among 73 thesis from 2001 to 2015, the majority of studies centered on middle-aged women were published fro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r special graduate school at the master’s degree.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 changes or revisions of the operation system linked the doctor’s degree to foster exper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since quantitative studies mainly depended on program effectiveness measuring tool, a variety of studies (qualitative) on topic, teaching method, and program development should be followed to suggest alternatives and strategic plans for educational needs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enhancement of middle-aged women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although the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education of middle-aged women increased in the research process of lifelong education activity, it was revealed that research outcomes and research topics that satisfy their expectations and interests were not yielded, which showed the necessity of more diversified themes and fields of lifelong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in the future.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중년여성을 학습대상자로 발표된 석․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자배경,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연구동향을 분석해 봄이 그 목적이다. 또한 이를 근거로 중년 여성의 평생학습을 독려해야 하는 이유와 중년여성을 위한 평생교육 전문가 및 행정가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향후 학위논문 연구주제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함에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한국 중년여성 평생교육 연구 동향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방법은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의 석‧박사 학위논문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중년여성을 위한 평생교육 연구에 대해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에서는 Riss 및 단국대 전자 도서관, 국회전자도서관을 통해 검색어를 ‘평생교육’, ‘중년여성’으로 하여 검색된 박사학위 논문 14편과 석사학위 논문 59편, 총 73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대상 분석 준거는 평생교육 관련 연구들의 일반적인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연도, 연구자 전공, 지역별 분포,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또한 내용분석별에 따라 연구주제를 평생교육 동기(외부, 내부적), 프로그램 만족도 및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평생교육 이론 및 인식도, 평생교육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 세부전공은 교육학(49.3%)과 평생교육학과가 과반 수 이상 이었으며, 그 외 사회복지, 상담심리 등등 관련 9개영역 26전공에서 발표되었다. 지역별 학위 논문 발표 편수는 서울(39.73%) 및 경기(11%) 지역 소재지 대학에서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석‧ 박사 학위 논문에서 모두 ‘평생교육동기’ 와 ‘영향’ 에 대한 연구가 41.09%로 가장 많았고, 2012년 다문화 관련 평생교육 논의가 시작된 이후 연구주제가 다양해졌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79.4%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연구의 경우 ‘측정도구를 활용한 조사연구’가 전체 73편중 47편(64.3%)을 차지하였다. 이는 측정도구를 활용한 연구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줄 수 있어서 선호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73편의 학위 논문 중 박사학위논문 14편, 석사학위 논문 59편에서만 비교해 보면 중년여성 대상의 학위 논문 대부분이 석사학위 수준의 그리고 교육대학원 및 특수대학원에서 발표된 논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전문가 배출을 위한 차원에서 박사학위 과정이 연계될 수 있는 운영시스템의 변화, 또는 개편이 요구되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평생교육활동 연구과정에 있어서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증가하고 있으나, 기대와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연구주제와 대상관련 연구결과물이 산출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중년여성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좀 더 다양한 연구 주제, 방법, 대상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좀 더 중년여성의 특징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의 역량모델 구축

        김유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407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competency for teachers of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s the competency role model, and then, helps them properly operate the education which they want. In Korea Society, since 90s, discussion on the 'multiculturalism' was increased. The Korea Society which had been lasted for a long time, made a rapid economic growth, and by this growth, immigrant women by marriage have been increased for solving single rural youth's marriage problem come from staffing shortage focussing on 3D type work, immigrant workers, counterurbanization, unbalance of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 Most educations for them are organized with assimilationism aiming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now, because of policy excluding immigrant labor,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n't had diverse educations for adjust to Korea with self-esteem and cultural background. It's the starting point of recognition. Study Results First, the educations for multicultural learner are mainly organized with Korea culture and Korean education, but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from now, there will be a strong possibility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by multicultural learners. Seco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teachers for their education will be increased than before, and another competency which has not been seen in the general lifelong education teachers, will be needed. Third, multicultural idea that understands other cultures and has a recognition-every person should be equal- will be work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competency. For drawing a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study was progressed by 10 persons nominated by teachers having a teaching experience for multicultural people from March 2, 2010 to March 21, 2010. Method interviewing the main event was used, and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course after recording. Total 20 competency elements were extrac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5 competency type elements-learner centered thought, cultural flexibility, teaching professionalism, general professionalism, social connection promotion-. First, learner centered thought competency type as an ability of teacher on the basis of learners involves "learner comprehension", "directivity for learner", "respect for learner" Second, "cultural flexible competency type" similar to a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y means social ability needed in gender, other culture, generation, and religion. And this includes "openness", "generos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Third, "teaching professionalism competency type" as teaching method of teachers or collection of epistemic competencys, contains "teaching ability", "class progress capability", "professionalism", "foreign language ability/body language ability", "motivation", "comprehens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Fourth, "general professionalism competency type" as collection of teaching abilities, involves "volunteer activity", "relation development", "information competency", "sense of duty", "challenging sense", and "flexibility" Lastly, "social connection promotion competency type includes good relationships with sympathy and solidarity, also cooperates with others for solving and managing conflicts. And this type covers "learner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trouble control and solution" as some of various competences.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대상자가 받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인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역량모델을 구축하여 향후 이들이 원하는 교육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에 대한 담론이 늘어난 것은 90년대 이후부터였다. 오랫동안 단일민족으로 살아온 한국사회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인력부족 현상으로 3D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이주노동자와 이촌향도 현상과 남녀성비 불균형으로 인한 농촌총각 결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혼이주여성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정책에 의한 교육이 대부분이며, 이주노동자의 경우 배제정책으로 인해 교육을 받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아 결혼이주여성이나 이주노동자 모두 그들의 자존감이나 문화적 배경을 존중받으며 한국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인식의 출발점이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한국문화와 한국어교육이 주를 이루지만 향후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다문화 출신 학습자가 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둘째, 이들의 교육을 담당하게 될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는 더욱 늘어날 것이며, 일반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와는 다른 역량을 필요로 할 것이다. 셋째, 타문화를 이해하고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인식을 가져 다문화주의적 사고를 가지는 역량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론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3월 2일부터 3월 21일까지 다문화 교육대상자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추천을 받아 10명의 강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주요사건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은 녹음 후 전사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20개의 역량요소를 추출해내었는데, 학습자 중심사고, 문화적 유연성, 교수 전문성, 일반 전문성, 사회적 연계촉진 5개의 역량군으로 구분하여 분류되었다. 1, ‘학습자 중심사고 역량군’은 강사가 학습자를 중심으로 사고할 수 있는 역량으로 ‘학습자 이해’, ‘학습자 지향성’, ‘학습자에 대한 존중’이 포함된다. 2,‘문화적 유연성 역량군’은 문화적 역량과 유사한 개념으로 성별 ․ 타문화 ․ 세대 ․ 종교 속에서 필요한 사회적 역량을 뜻하며, ‘개방성’, ‘관용’, ‘다문화 역량’. 3‘교수전문성 역량군’은 교수자의 교수 방법이나 지식 측면에서의 역량들의 집합으로 ‘교수능력’, ‘수업전개력’, ‘내용 전문성’, ‘외국어능력/신체언어능력’, ‘동기 부여’, ‘다문화 정책 이해’가 포함, 4 ‘일반전문성 역량군’은 교수자의 자질 측면에서의 역량들의 집합으로 ‘봉사’, ‘관계형성’, ‘정보역량’, ‘사명감’, ‘도전의식’, ‘유연성’. 마지막으로 ‘사회적 연계 촉진 역량군’은 다른 사람과 공감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 위해 관계를 원만하게 맺고, 협력해 일하면서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해나가는 역량군으로 ‘학습자 관계 확산’과 ‘갈등조절․해결’이 역량으로 포함되었다.

      •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김영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5407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과정의 일반사회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경제교육의 효과성 극대화와 민주시민생활 준비 및 직업적 가치관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친사회적 행동 함양과 바람직한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과 그 효과를 탐색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적정성과, 경제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친사회적 행동 및 진로의식 형성에 미치는 효과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은 경기도 성남시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연구로 진행하였으며, 경제기본개념 검사지, 친사회적 행동 검사지, 진로의식 형성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절차는 경제교육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학교 경제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분석, 현장 교사와 중학생의 경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 검토를 거쳐 총 10차시의 프로그램으로 수정ㆍ보완하여 개발·적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경제기본개념, 친사회적 행동, 진로의식 형성에 대한 사전ㆍ사후검사 결과에 대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일변량 공분산분석(ANCOVA) 및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경제기본개념 습득, 친사회적 행동 향상, 진로의식 형성에 위한 중학생의 경제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경제교육프로그램 교육은 학교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가 및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경제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를 검증할 수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경제기본개념 향상에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점수는 집단 간 차이가 크게 상승되어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경제기본개념은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는 집단 간 차이가 매우 크게 상승되어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도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의 하위요인인 보탬주기, 동감하기, 협동심 갖기, 나눠주기, 관용 베풀기의 모든 행동 영역은 경제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의 친사회적인 행동 성향에서 모두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의식 형성에도 전체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 또한 집단 간 차이가 크게 상승되어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을 위한 경제교육프로그램은 진로의식 형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진로의식 형성의 5개의 하위 영역, 즉 진로결정성, 진로참여성, 진로독립성, 진로준비성, 진로협상성의 모든 행동 영역에서 경제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의 진로의식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연구대상을 경기도 성남시 B지역에 소재한 1개 중학교 1학년 학생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중학생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과 진로의식 형성의 성과로 일반화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중학교 사회교과에서의 효과적인 경제수업 방안과 중학생 수준에 적합한 경제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한 후속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 economic educational program through social stud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forming prosocial behavior and good career awareness and search the effect to maximize the effect of economic education and establis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areer. The research inquirie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s were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of econom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after applying it for them. Fifty six students in a middle school, Seongnam, Gyeonggi Province were studi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and participated the test of the basic notion of economy, prosocial behavior, and career awareness. The precedent study related to the economic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contents of economy in school were analyzed, and the recognition and requirement of economic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were surveyed to develop the program. With experts review, the program was corrected, enhanced, developed and applied for tenth round. And the results of the pre-assessment and post-assessment in research came from technology statistics analysis, ANCOVA tests, and MANCOVA test. The research revealed the following outcomes as below. First, the economic program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generally positive.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was helpful in growing the basic notion of econom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ing scores between the pre-assessment and post-assessment in research. Third, that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prosocial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showed help, compathy, cooperation, sharing, and tolerance in process. Forth, the program developed for establishing career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positive overall. They also showed the positive effect in their career decision, participation, independence, preparedness, and negotiation. Lastly, there was a limit to generalize for every middle school students from one set of results of one class of a middle school. Therefore, further studies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conomy in social studies, and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ppropriate economic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 전문직 은퇴노인의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클래식 음악프로그램 참여 경험의미 탐색

        김택환 단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5407

        본 연구는 전문직을 은퇴한 후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 등록하여 취미 및 특기활동의 일환으로 예술분야인 클래식 음악프로그램에 성악교실을 참여한 노인 학습자의 경험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의 표집(purposeful sampling)으로 경기도 소재의 D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클래식 음악프로그램에서 성악실기를 8학기 이상 수강한 5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재구성하여 전체인식하기, 의미단위 구분하기,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기, 중심의미의 구조적 통합 및 기수인 4단계의 연구절차로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2월 19일부터 2018년 7월 1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1차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연구 참여자의 내용이 충분치 못한 부분들에 대해 추가적으로 2차-3차례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인 연구결과는 3개의 구성요소와 6개의 하위구성요소 및 13개의 주요 의미단위로 도출되었다. 첫째, 전문직 은퇴노인이 대학 평생교육원 클래식 음악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는 배경은 배움의 틔움으로 배움에 대한 의식 변화와 배움의 실천을 하게 된다. 다양한 음악활동의 경험과 기회를 통해 자신에게 부족한 용기와 더불어 사회적으로도 다양한 심리적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전문직 은퇴노인을 위한 교육의 목적은 높은 학습 열망을 이해하고 거기에 맞추어 제2의 인생으로 자아실현과 자아완성 및 삶의 의미를 가지고 참여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전문직 은퇴노인의 클래식 음악프로그램 참여로 인한 경험의 의미는 근본적으로 은퇴노인에게 학여역수(學如逆水)의 삶이자 채움의 태동으로 정신적인 의미를 찾으려고 한다는 것이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음악교육은 은퇴 후 직장 공동체에서 벗어 난 은퇴노인에게 동료 노인과의 인간관계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기에 노년기의 삶에서도 위축되지 않고 떳떳하게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대학 평생교육원 전문직 은퇴노인의 클래식 음악프로그램 참여경험 후 삶의 변화는 회귀로의 전환이자 배움의 지속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는 곧 정신건강과 행복추구이다. 클래식 음악프로그램에서의 음악활동은 전문직 은퇴노인에게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도록 하고, 대인관계의 유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정서적인 안정감을 되찾게 된다. 또한 문화와 예술을 통한 재능기부 및 사회봉사로도 이어지기에 클래식 음악프로그램들이 많이 개설되어 학습자들의 많은 참여가 가능하도록 국가와 대학의 적극적인 유지와 변화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다양한 은퇴노인의 학습욕구 및 사회참여 욕구에 따라 학습시설 또한 변화할 필요성이 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음악프로그램의 은퇴노인 참여는 대학과 지역사회가 함께 특성화된 문화로 더 밝은 사회, 더불어 사는 사회로 이끌어 주며 지역뿐만 아니라 국가 발전에도 이바지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D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클래식음악프로그램 연구 참여자로 한정시켰으나 앞으로 전문직 은퇴 노인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음악프로그램의 후속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retired professionals’ participation in classical music programs at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 Study participants are the 5 learners who have taken more than eight semesters of vocal performance in the classical music program at the continuing education center of D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research methodology is the qualitative research that reorganiz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e methodology is comprised of the 4 steps of study process: 1) understanding of the whole process, 2) classification of semantic units, 3) converting them to academic terminology, 4) structural integration of central meaning. The final results can be extracted in the form of three components, six subcomponents and 13 major semantic units. First, the major motivation for retired professionals to participate in the classical music programs at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is to awaken the dormant thirst for learning, to change the old-fashioned ideas on learning, and to put the learning into practice.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the retired professionals is to understand their strong desire for learning and to allow them to get self-fulfillment and self-perfection through participations in the suitable programs. Second, retired professionals’ participation in classical music programs is intended to seek the spiritual meaning of “Hak You Yeok Su”(the chinese saying ‘學如逆水’ can be translated in English as “Continuous learning is very important.”) And, therefore, the music education at the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 should provide a high-level service to the retired professionals who are isolated from the workplace community after retirement. Third, taking the classical music program brings the changed life to retired professionals. The changed life is the driving force to continuous learning. Therefore, this learning is a key to mental health and happiness. More classical music programs are to open. Government and university authorities should show a special interest in the area. In conclusion, the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need to reconstruct the existing learning facilities, which cannot satisfy the retired professionals’ desire for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Retired professionals’ participation in the music program at the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 contributes to building the brighte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