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연구 : 대학로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이종원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5375

        The performance places in Korea are concentrated in Daehangno, and domestic and foreign performances are held throughout the year, including dramas, dances, musicals, etc. Daehangno, known as the Mecca of Korean performance art, has led the trend of our performing arts. Thus, it has also been known to domestic and foreign producers as the market place of performing arts and as the area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erforming ar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local economic impact of Daehangno's performing arts in order to contribute to making a better policy of performing art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s the local economic impac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with the model of 'Economic Analysis and Vitalization on Art and Culture (1996)' by the Institute of Industry Research. Since there were no preceding empirical studies, the actual running of Daehangno's performances and the average consumption of audiences must have been assumed with the survey. The local economic impact has been analyzed with the induction coefficient of input·outpu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mount of consumption per capita is ₩50,611 on average. Among the gross consumption, 81.9% is spent on the admission fee and a meal. The survey on performance halls shows that at this moment there are 121 performance halls in Daehangno, which are usually furnished with 161 seats, and the gross annual spectators is 3,241,860 peop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economic impact, the direct economic impact is estimated at ₩221,000,000,000, the indirect impact of production induction is ₩393,400,000,000, and the induction impact for added value is ₩196,700,000,000. The whole induction impact will be ₩196,700,000,000 in total and the induction impact for employment is also estimated at 4,949 people, according to the survey. This study expects to help in making better policies for performing arts in that it will suggest the economic impact on this particular area with the measuring analysis and without the use of alternative figures, and it will suggest the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mpact through the empirical survey and analysis. The aim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suggest a new approach, or model of evaluation, analysis of various art performances. To become the first case of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of performing arts. To reach the amount of audience's average consumption. To measure the economic impact of a certain area causing performing arts. To motivate the impact analysis of performing arts. To make the first inductive analysis and output." One of the limits of this study is the difficulty in practically collecting the data involved in the operating costs of performance halls and the production costs of performanc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t and the art policy,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at large, analyzing Daehangno's phenomenon and how it changes.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and shoul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gencies in Daehangno, how to raise the cost of production and operation for performing arts, the contents of the employment induction impact, etc. The analysis which applie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of unmarketable goods such as the social and also the cultural value of performing is left as a future task to be solved. 대학로는 서울연극제, 서울무용제, 서울국제공연예술제, 현대무용 축제, 신춘단막극제, 젊은 연극제 등 다양한 국내외의 공연예술 축제와 연극, 무용, 뮤지컬 등이 연중 개최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물 정도로 공연장이 밀집해 있고, 다양한 공연예술이 존재하는 대학로를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메카로 불리며, 공연예술의 조류를 주도해 오고 있다. 따라서 대학로는 국내외의 제작자들에게도 공연예술의 마켓으로 창작과 유통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의 공연예술 축제나 대학로와 유사하게 공연장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브로드웨이의 공연예술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연구되고 있으나 대학로의 경제적 유발효과에 대한 실증적 선행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로 공연예술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여 공연예술정책 수립에 기여하게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산업연구원의 ‘문화예술의 경제적 효과분석과 활성화 방안(2006)’ 을 연구모델로 하여 산업연관분석(IO 분석)에 의한 직?간접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임상오 교수의 ‘예술의 가치평가분석’의 연구에서 시도한 CVM을 활용하여 대학로의 사회적, 문화적 가치 등 비시장적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있어 선행된 실증연구가 없으므로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로 공연장운영 실태와 관람객의 평균 소비지출액을 추정하고, 산업연관분석의 유발계수를 적용하여 대학로 지역의 경제적 간접파급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소비지출액은 50,611원, 지출용도는 총 지출비용의 81.9%를 공연관람과 식사비용으로 지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연장 운영조사결과는 2009년 11월 현재 121개 공연장, 총 객석 수 19,667석, 평균 객석수 162석, 연간 총 관람객수는 3,241,860명으로 조사되었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직접파급효과는 2,210억 원, 간접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3,934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967억 원 등 총 6,144억 원의 유발효과와 4,949명 의 취업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체계수 사용을 지양하고 실증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경제적 직?간접의 파급효과를 연구함으로써 특정한 지역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 지역에 대한 공연예술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이며, 여타의 예술축제 평가분석에 새로운 방법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연예술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에 있어서 실증적 연구의 첫 사례라는 점, 실증연구에 의해 대학로 공연관람객의 평균 소비지출액을 도출한 점, 공연예술에 의해 유발되는 특정지역의 경제적 효과를 계량화 하였다는 점, 공연예술에 의한 파급효과분석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 공연예술정책이나 지역경제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최초의 실증적 분석과 산출액을 도출했다는 점 등은 유의미한 연구결과이다. 연구의 한계와 과제로는 공연장 운영비용, 작품제작비용의 실 지출액을 확보하여 보다 더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경제적효과 연구가 일정기간을 간격으로 지속되어 대학로 현상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구를 연속해야 한다. 또한 대학로 공연기획사의 특성, 예술단체의 작품제작과 운영비용 조달에 관한 연구, 취업유발효과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등 미시적 측면에서의 연구도 계속해야 하며, 공연예술의 사회적 가치, 문화적 가치 등 비 시장적 재화에 대한 가치평가를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긴다.

      •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윤용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5375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극장은 1950년 설립 이후 장르별 전속단체와 함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하여 꾸준하게 노력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문화정책의 변화에 부응하여 국립발레단 등 3개 전속단체를 법인화하여 독립시킨 후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체제를 변경하였다. 2010년도에는 국립극단도 법인화하면서 국립창극단 등 전통예술 장르 중심의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립극장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고 미래에도 공연예술부문의 대표 극장으로서 위상과 아울러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되었다. 국립극장이 설립된 이후 관료 중심의 유연하지 못한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효율성과 책임성에 중점을 둔 책임운영기관으로의 변경은 기존의 관료주의적 운영에 변화를 주어 경영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여전히 문화예술기관으로서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적잖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만족할만한 운영체제로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전속단체를 포함한 국립극장의 운영 전반에 걸쳐 심층적인 분석과 아울러, 해외의 주요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립극장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환경과의 교류와 수용으로 고객 우선과 미래 지향적인 입장에서 국립극장의 운영에 관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립극장의 다양한 환경변화를 감안하면서 연관성이 긴밀한 분야인 조직 운영, 공연 진흥사업과 프로그램, 예술감독과 전속단체 등을 분석하여 쟁점과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해외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쟁점과 비교 분석사항으로 SWOT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션과 개선전략을 설정하고 고객 지향의 장기적인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국립극장의 미션으로는 문화예술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 예술성 높은 작품 제작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민의 문화향수 증대를 위한 사업, 국내외 문화예술의 교류 협력사업, 공연예술 자료수집 및 연구기능 강화, 문화예술에 관한 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전략으로서는 극장과 전속단체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활성화, 작품의 창작과 연구 그리고 활발한 교류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공연예술 진흥을 위하여 정보화와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하고 풍부한 예술교육을 제안할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운영과 구조개선 그리고 극장과 전속단체의 관계 재설정과 함께 재정 체계의 경직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과 경영관리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극장장을 비롯한 직단원의 인사정책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립극장이라는 명칭을 공연예술분야를 포괄적으로 상징하는 것으로 변경과 함께 국립극장 무대에 올리는 공연예술 작품에 대하여 질적 수준을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진입로를 이설하는 방안과 함께 새로운 국립극장의 건립 방안도 검토하며, 문화예술 창작기관으로서 국민이 골고루 문화예술을 향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과 더불어 지역 국립극장이나 분관의 설립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장르별 전용 공연장으로 특성화와 함께 무대미술 제작 및 보관창고를 마련하며, 관객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을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접근성도 높여야 한다. 예술 창작의 지원을 위한 자문위원회의 개선방안이 있어야 하며, 민간 지원을 위하여 설립한 발전기금과 후원금에 대한 투명성과 객관성을 높임과 아울러, 후원회와 회원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로서 잠재적 능력과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인간을 형성할 수 있는 예술교육과 관객개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속단체의 기획 역량과 예술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레퍼토리시스템과 시즌 공연제 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국립극장 무대에 걸맞은 작품을 발굴하고 선정하기 위하여 레퍼토리개발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극장장과 예술감독의 역할과 책임성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간 역할의 범위를 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예술감독에게 제작과 공연에 관한 권한의 위임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예술적 성과와 정체성을 위해서는 극장장에게 운영과 프로그래밍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총감독으로서 경영부문과 예술부문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 복지를 위한 예술향수의 확대와 함께 공연 창작사업의 전문화를 위하여 프로그램의 선택과 집중, 홍보 마케팅 역량 강화, 해외 초청공연의 특성화라는 원칙을 제안할 수 있었다. 전속단체와 단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작품 제작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며 창작 중심의 예술조직으로 전환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제

      • 창극 공연양식의 현대화 연구 : 국립창극단 활동을 중심으로

        이재성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5359

        국문요약 창극 공연양식의 현대화 연구 - 국립창극단 활동을 중심으로 - 世宗大學校 大學院 公演․映像․애니메이션학과 公演藝術專攻 李 在 晟 본 연구는 우선 창극의 발생 배경과 요인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공연 양식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관점에서 창극의 태생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어 창극 역사 110년 동안의 대표적 양식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금까지의 창극양식을 주요 유형별로 정리함과 동시에 각 유형별 창극 양식화 과정에 나타난 의미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의 주제인 창극 공연양식의 현대화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국립창극단의 창극 현대화 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1962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립창극단의 공연활동을 양식적 변화에 따른 주요 기점별로 5단계로 구분하여, 대표적 작품들을 창극의 공연양식 전반에 걸쳐 분석하고 창극 공연양식 현대화의 성과를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토대 위에 본고는 창극의 발생에서부터 현재에 이르는 창극공연양식 현대화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미래 창극의 발전을 위한 올바른 방향과 진로의 설정을 위하여 창극 공연양식 현대화의 향후 과제와 방안을 모색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의 창극이 고유한 공연양식을 정립하여 오페라나 뮤지컬 또는 경극과 가부키와 같이 동시대의 세계적 음악극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에 토대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창극의 발생 과정을 고찰하였다. 창극의 발생 배경은 판소리의 내재적 연극성, 당대의 사회적 기반의 변화, 외국 극양식의 수용과 영향, 서구식 무대와 근대극 문법의 도입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판소리가 창극으로 발전 가능했던 것은 판소리에 내재되어 있는 극적 특성 때문이다. 판소리의 표현요소는 이미 연극이 지닌 언어적 행동 요소(창, 아니리)와 신체적 행동요소(발림)와 일치한다. 또한 판소리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함으로써 연기예술의 목표인 인물창조를 통하여 청중들에게 연극적 환영(theatrical illusion)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 즉 판소리는 사설과 음악, 연기가 상관관계를 맺어 진행되기에 문학성과 음악성, 거기에 연극성이 동시에 표현되는 복합적인 성격의 총체적 예술성을 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판소리가 분창화되면서 창극이라는 공연양식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를 맞이할 즈음이었다. 봉건주의의 해체, 자본주의 경제원리, 동시에 서구에서 들어온 실내극장의 설립으로 전통적 연희의 연행이 무대화되기 시작하였다. 더불어 창극은 청나라의 창희라는 공연문화의 영향과 서구 사실주의 극적 양식을 수용하면서 서구식 실내 무대 공연양식으로 변모한다. 이어 본 연구는 창극의 양식적 변천과 발전과정을 다루었다. 창극 초창기 양식은 판소리의 분창을 통한 입체창 양식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실내극장이 생겨남으로써 창극은 곧 무대 공연양식으로 자리 잡아 갔으나, 초창기에는 판소리를 몇 사람이 배역을 맡아 앞과장과 뒷과장으로 나누어 불렀던 것이 전부였다. 차츰 연극이 갖는 무대장치, 소도구, 의상, 효과 등을 도입하였다. 창극의 본격적인 형성과 부흥에 기여한 단체는 조선성악연구회이다. 1930년대에 들어와 조선성악연구회의 창극운동을 통해 창극의 기본적인 틀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성악연구회는 창극의 무대 형상화에 있어서 매우 큰 변화를 주었으며, 기존 전승 판소리 작품을 창극화할 뿐 아니라, 유실된 레퍼토리를 발굴하여 복원하고 나아가 창작 창극까지 시도하였다. 창극은 조선성악연구회의 이러한 노력으로 대중들로부터 인기를 얻게 되어 부흥기를 맞이하게 된다. 1950년대의 창극 공연양식은 무엇보다 당대의 대중예술로서 화려하게 번성한 여성국극의 양식으로 대표할 수 있다. 여성국극은 기존의 창극이 남창 중심의 소리 위주의 공연양식이었던데 비해 소리 외에 춤과 연기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일종의 총체극 양식의 공연예술이었다. 당대의 여창으로만 구성된 창극, 즉 여성국극의 출발은 단순히 새로운 양식의 시도라는 것을 넘어 남성 중심의 당시 국악계와 공연예술계에 대한 여성 국악인들의 도전이자 시대적 자각에 따른 것이었다. 창극공연의 양식화 측면에서 여성국극의 작품들은 기존의 판소리 계열의 창극 작품에서 벗어나 설화나 역사를 바탕으로 창작하기도 하였으며, 나아가 외국작품을 번안하여 당시로서는 전혀 새로운 극적 서사를 중심으로 하는 창작 작품을 선보였다. 이외에 무대미술과 의상 등의 시각화 부분에서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도약을 보여주었다. 궁극적으로 여성국극은 기존의 창극과는 다른 레퍼토리를 개발하고 새로운 연출문법과 화려한 무대장치 등을 통해 자신만의 공연미학을 정립해 가면서 당대를 대표하는 공연예술로 극찬을 받았다. 하지만 여성국극은 전통의 뿌리에서 성장하여 화려한 열매를 맺은 대중 음악극이면서도 궁극적으로 고유한 공연예술 양식의 정립과 발전에는 실

      •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 연구 : <호두까기 인형>(2005)을 중심으로

        차태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5327

        논문 요약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 연구 - <호두까기 인형>(2005)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의 제반 요소를 실제 작품 연출과정을 토대로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뮤지컬 공연시장의 3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어린이 뮤지컬의 현황에 따른 문제점을 제기하였고, 또한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출 총보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출 총보는 뮤지컬의 연출 작업 방식으로 드라마의 플롯(plot)과 음악(기악), 연기와 가창, 음악과 무용 및 각종 무대기술을 종합하여 악보화 한 것을 말한다. 연출자는 음악(기악과 가창)과 배우의 연기, 코러스의 무용 및 작품에 필요한 모든 요소들을 디자인하고 연습시켜 공연에 이르게 하는 전 과정을 지도하며,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출과정에서 정리된 연출 총보는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드는 지휘자의 악보로서 공연의 일관성을 유지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연출 콘셉트를 기록해놓은 것이다. 어린이 뮤지컬 연출 총보는 1단계로 제작사와 연출가의 작품 만들기의 기본 계획에서 시작된다. 2단계는 극작과 연출의 작품설계 작업, 3단계는 극작과 음악(작곡), 4단계는 음악과 무용, 5단계는 연기와 가창, 6단계는 무대미술과 각종 디자인의 결합, 7단계의 공연 연습을 통해 만들어진다. 연출 총보는 작품의 예술성을 담보하며,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드는 지휘자의 악보로서 매년 장기간의 공연과 지방공연에 반드시 필요한 연출자의 기록이다. 이러한 연출 총보에 맞추어 연구의 본론, 첫째 장에서는 어린이 뮤지컬의 개념과 특징을 연구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어린이 관객의 특징에 맞는 극 구성 연구를 다루도록 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연출 총보를 통해 작품 만들기의 설계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네 번째 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연출 작품인 <호두까기 인형>(2005)의 연출 총보 를 통해 구체적인 어린이 뮤지컬 만들기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론에서 제시한 어린이 뮤지컬의 연출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관객은 이야기 진행순서에 따라 작품을 이해한다. 대부분의 어린이 뮤지컬은 1막 구조이지만, 그 안에 시작, 중간, 끝이라는 드라마의 기본구 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어린이 관객은 박자나 구성에 대한 식별력보다는 강, 약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음악배치와 장면배치를 통해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들어야 한 다. 셋째, 작품의 전개과정과 극적 갈등을 보여주는 무용의 기능을 통해 어린이 관객 들이 극적 상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넷째, 노랫말과 연기는 반드시 악보 속에 존재하여야 하며, 극의 흐름에 어긋나 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연출 방법론은 연출 총보의 기준이 된다. 본 연구는 어린이 뮤지컬이 어린이들에게 예술지향적인 미적 감흥과 미적 체험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는 전제 아래 연출의 기술적 측면들을 고찰, 검토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해외 단행본 및 국내 단행본, 각종 자료 및 설문조사 통계와 본 연구자의 어린이 뮤지컬 연출 작업을 바탕으로 하였음을 밝혀둔다. 이 연구를 통해 어린이 뮤지컬이 일반 연극, 또는 성인 뮤지컬과 다른 독특한 개념과 목적이 있음을 밝히고, 또한 ‘어린이를 위한’ 뮤지컬 작품 만들기 과정의 구체적인 연출방법을 ‘연출 총보’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어린이 뮤지컬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주제어 : 어린이 뮤지컬, 연출, 연출 총보, 도덕, 교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