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렌조 피아노 미술관에 나타난 다중적 장소성과 공간 설계 특성에 관한 연구

        우은영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75

        미술관은 지역과 장소를 초월하여 도시 활성화와 관광자원으로 큰 역할을 하며 도시기능의 중심이다. 현대 미술관에 있어서 렌조 피아노는 장소성과 예술 작품을 고려한 최적의 환경을 창출한 건축가로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인지도보다 국내·외 연구 사례는 극히 드물어 연구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가 설계한 미술관은 장소와의 맥락 연계 방법이 무엇인지, 다중적 장소 특성이 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여 미술관의 다중적 장소성과 공간 설계 특성의 고유한 의미가 무엇인지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 건축가들의 특성을 정리하여 설계 개념을 도출하였다. 거대한 무주 공간을 연출하고 콘텍스트를 연계한 건축 형태를 구성한다. 이는 추상과 구상적 장소를 구현한다. 그가 설계한 미술관은 가로의 맥락을 연계, 피아차를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하여 장소와의 맥락을 연계하고 있다. 장소와 상호작용을 통한 관계를 형성하는 미술관은 구상적 장소를 구현한다. 미술관 유형별로 도시 맥락을 중심으로 공간 배치, 장소를 반영한 건축 형태, 주위 환경과 상호 연계하는 전시공간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그가 설계한 미술관은 추상과 구상이 공존하는 다중적 장소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거대 판인 지붕을 설치하여 도시 안의 인위적인 새로운 장소를 먼저 구축하고 거대 지붕과 기둥은 무주 수평 공간을 만들며 추상적 장소를 형성한다. 장소축과 연계한 가로축을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 주변 가로를 연계하여 공간을 배치하고 내·외부에 가로와 보행로를 구성하였다. 가로는 각 공간의 연결로로 보행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며 장소와 연계하여 공간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피아차는 모든 공간의 구심점으로 중심공간을 형성하며 사람, 장소, 공간 간의 상호작용과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 가능한 구상적 장소를 구현한다. 전시공간은 추상과 구상적 장소가 동시에 발생한다. 무주 공간으로 구성한 전시공간과 가벽으로 인하여 작품만 관람 가능한 곳은 추상적 장소를 형성한다. 지속적으로 장소와의 연계를 인지할 수 있는 전면 유리창과 로지아 공간은 시간의 흐름과 주변 환경을 시각적으로 체험하며 구상적 장소를 구현한다. 다중적 장소성에 근거한 피아노 미술관의 설계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소 맥락을 통한 도시적 예술 공간 형성은 일단 대지에 거대한 판을 설치하여 장소를 구축한다. 이는 미술관을 하나의 피아차로 설정하고 접근하는 방법이다. 거대 판은 대부분 지붕으로 영역을 구축하며 도시 구조의 연속으로 장소의 구심점을 형성한다. 장소와의 연계를 통한 공간 경험의 변화와 다양화는 열린 중심공간을 구성하고 풍경과의 관계를 위한 공간적 장치를 만든다. 그는 예술과 장소 체험의 연계를 통한 공간 경험의 극대화를 연출하는 고유한 설계 방법을 확립하였다. 그는 사람들을 위한 장소인 미술관을 건축하면서 도시 안에 도시를 디자인한다고 할 수 있다. 동선을 유도하는 장치는 공간을 경험하는 동안 의외의 장소 시퀀스를 발생, 미술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의미를 발견하며 장소성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미술관을 통해 사람, 공간, 장소를 연계하여 도시 안의 새로운 도시를 형성하고 사람·공간·장소의 역사와 이야기를 담은 세월의 켜를 쌓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미술관 내의 공간과 변화하는 장소와 어우러져 사람·장소·공간의 관계성을 통하여 새로운 장소를 구축하는 미술관으로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한다. 또한 그만의 고유한 미술관 설계의 궁극적 목적은 사람을 위한, 예술을 위한 공간이며 예술, 건축, 장소를 통합한다. 특히 공간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빛, 장소와 연계한 예술체험을 유도하는 전시공간은 그가 설계한 미술관만의 고유함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현재 및 미래의 미술관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피아노 미술관 특성을 이론으로 정립하여 후대 연구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국내 미술관의 공간 계획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Art museums hold a central status in urban spaces, playing a significant role as tourism resources, and for urban vitalization transcending regions and places. In modern art museums, Renzo Piano is evaluated as an architect, who created an optimal environment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placeness and works of art. In comparison to his international profile, however, related research at home and abroad are extremely scarce. Thus, this study began with the judgment that Renzo Piano’s works are worth in-depth stud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rt museums deigned by Renzo Piano in terms of what methods of contextual connection with place are adopted and how multifaceted plac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space in order to determine the unique meaning of multifaceted placeness and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in his art museum design. To this end, the design concepts of Renzo Piano were deduced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s who had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him. Renzo Piano produces enormous column-free space and constructs architectural forms connected with the context. This approach embodies abstract and figurative places. The art museums he designed connect the context with the place by connecting the street context and organizing space around a piazza. Thus, an art museum forming a relationship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place embodies a figurative place. For each type of art museum he designed,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d the space arrangement around the urban context, the architectural form reflecting the place, and the exhibition spaces interconnect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rt museums he designe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multifaceted places where abstraction and figuration coexist. An artificial new place in a city is first constructed by installing a roof, which is a huge plate, and the huge roof and pillars form an abstract place creating a column-free horizontal space. Organizing space around the horizontal axis connected to the place axis, spaces are arranged by connecting the surrounding streets. Thus, streets and walkways are constructed inside and outside. As access paths between respective spaces, the streets generate pedestrian movement and continuously maintain the flow of space through connecting places. In addition, the piazza forms a central space as the central point of all spaces and embodies a figurative place where interactions between people, places, and spaces and various events may take place. The exhibition spaces simultaneously generate abstract and figurative places. The exhibition space constructed as a column-free space and the places where only art works can be viewed due to fake walls form abstract places. The all-glass facade and loggia spaces, which allow continuous recognition of their connection with place render visual experience of the passage of tim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embody a figurative place. The characteristics of art museum design by Renzo Piano based on multifaceted placenes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of an urban art space through the place context involves the construction of place by installing a huge plate on the site. This is a method of assuming and approaching an art museum as a piazza. A huge plate forms a central point of the place as a continuation of the urban structure constructing the area of the roof in general. Variation and diversification of spatial experiences through connection with the place compose an open central space and create a spatial device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landscape. Piano established a unique design method that produce maximized spatial experience through the connection of art and place experience. It can be said that he designs a city within a city while building an art museum, a place for people.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device that induces movement generates an unexpected sequence of places during spatial experience, allow people to discover new perspectives and meanings for an art museum, and forms placeness. Through art museums, Piano forms a new city within a city by connecting people, spaces, and places, and builds up layers of time that contain the history and stories of people, spaces, and places. In other words, the harmony between spaces within an art museum and changing places forms a unique identity of art museum that builds new plac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places, and spaces. In addition, the ultimate purpose of his unique art museum design is a space for people and art, and the integration of art, architecture, and place. The exhibition spaces that induce art experience connected to place and light forming the atmosphere of space, in particular, is a unique quality only found in art museums Piano designed. This suggests the direction art museums should take today an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enzo Piano’s art museums theoretically established in this study provide useful data to future researchers and used as basic data for suggesting direction in future spatial planning of art museums in Korea.

      • 건축 설계도구로서 모형에 관한 연구

        한승엽 嘉泉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9775

        모형은 건축설계 과정에서 개념설명, 프로그램 전개, 2차원의 도면작성, 프레젠테이션, 그리고 건축물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설계자의 표현 의도가 전달되는 도구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만큼 설계과정에서 모형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설계자의 주관적 판단이나 정성적 판단으로 인식되어, 지금까지 모형의 이론적인 체계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과정에서 단계별로 제작하는 모형과 프레젠테이션 및전시를 위한 모형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건축모형의 개요와 역사, 그리고 역할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데이터베이스 구축한다. 또한 모형에 대한 분석의 틀을 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건축가의 모형에 대한 유형을분석하고, 실무에 적용되는 모형의 활용 요인 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마지막으로, 이런 분석 결과로 얻어지는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건축교육과 건축실무 환경에서 설계도구로서의 모형에 대한 활용의 효율성을 재인식하고 표현 및 판단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통시적 관점에서 설계과정을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모형의 역할과 활용 및 표현, 그리고 스케일의 비교와 평가 기준을 마련할 수있도록 문헌을 통하여 이론을 고찰한다. 이어서 설계과정에서의 건축모형 유형 분류, 프레젠테이션 모형 및 전시 모형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단계별 모형의 특성 및 활용 범위를 도출해낸다. 마지막으로 건축모형의 분석 틀을 설정 하고, 근대시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건축가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문헌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모형의 유형별 변화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설계과정에서의 모형의 역할 및 공간의 재현, 자유연상의 발현과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활용 및 표현, 스케일을 바탕으로 한 비교와 평가에서 목적, 의미, 그리고 시간성을 분석의 틀로서 정하고 있다. 둘째, 건축모형 분석을 통해, 설계과정에서 아이디어의 생성 및 확장이 모형제작의 목적에 부합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설계과정에서 종합화하는 표현 도구로서 모형을 분류하였다. 국내의 프레젠테이션모형과 전시모형의 표현 재료의 발전 및 기술적 변천을 정리하여, 각 시대별 모형의 특징을 고찰하고 장래 모형의 활용에 대한 방향을 고찰하였다. 셋째, 근대시기 이후 건축가 22인의 건축모형 유형 분석을 통해, 건축가들이 건축설계 단계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모형을 공유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모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여부에 따라, 실체 해석형, 과정 발전형, 그리고 개념 도출형으로 진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국내외 건축실무자들이 모형을 활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건축모형의 표현 방법과 도구적 성격의 차이점이 발생되는 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모형 활용의 중요 요인으로, 지역적 특성의 고려, 아이디어 검증의 구체화,시간과 비용 측면의 고려, 제작과 기술, 하드웨어의 활용 가능성, 정보체계구축, 그리고 의사소통의 향상 및 자료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이 건축가의 작업에서 모형이 설계과정에서의 도구뿐만 아 니라 실무에서 다양하게 영향을 주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또한 건축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초고층 건축의 설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유석윤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초고층 건축은 인류역사의 초기부터 인간의 꿈이었다. 이러한 초고층 건축은 강철과 엘리베이터, 고강도 콘크리트, 새로운 구조시스템, 재료, 시공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실화 되고 더욱더 발전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이전의 초고층 건축은 오피스 건축에만 적용되었으나 이후 최근에는 50~60층이 넘는 초고층 주거용 건축이 생겨나면서 도시의 스카이 라인을 변화 시키고, 도시의 랜드마크 등의 도시 형태를 형성하는 도시의 기능 체로서 특별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초고층 건축은 건축디자인, 기술공학, 도시계획,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 및 여러 연관된 전문분야 등을 고려하여 총괄적으로 계획 및 설계되고 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관리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그 중 설계관리는 전체 프로젝트의 원가, 공기, 품질 등이 결정되는 사업초기 설계 전 단계와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관리 기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된다. 그러나 국내 실정은 설계관리를 설계사의 관리 정도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설계단계의 원가, 공기, 품질, 공법 및 시공성에 대한 검증과 각 공종 간 Coordination의 결여는 설계단계의 의사결정 지연과 시공단계에서의 설계변경을 유발하고 설계의 완성도와 비용효과의 저하에 따른 원가상승 및 사업기간의 지연 등 수많은 문제들을 끊임없이 야기 시키고 있다. 또한 초고층 건축의 경우 사업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고도의 기술력과 관리능력을 전제로 하는 Fast Track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기법을 이해하지 못하고 마치 Fast Track이 도면 없이 공사를 진행하는 것처럼 잘못 인식되어 있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을 계획적, 기술적, 시공적 측면과 설계과정에서 단계별 관리방안에 대하여 이해하고, 초고층 건축의 설계관리에 있어서 필수적인 사항들과 설계관리방안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고층 건축과 같은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는 사업은 각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설계관리를 실시하고, 특히 Pre-Construction단계의 설계관리는 더욱 중요하다. 아울러 초고층 건축 설계관리의 주요내용에 대하여 이해하고, Fast Track기법을 적절히 적용하여 전체 사업기간을 단축시키는데 기여하고, 그러기 위해 현장통합설계실의 운영을 적극 검토 한다. 적절한 설계관리는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원가, 공기, 품질, 공법, 시공성과 요소 기술력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도시풍경에서 나타나는 'Fade-in', 'Fade-out'의 현상에 관한 연구 : 마포구 서교동 무허가 일대 설계안

        김인자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59

        홍대 site의 기존 도시 상황은 "질서가 없다는 말이기보다는 관련 없는 개별 질서들의 충돌인 것이다." 이러한 개별 질서들의 충돌은 무작위적 분포와 동떨어져 그 물질의 구성하는 배열이나 질서는 더 낮고 내적 질서의 수준은 더 높아지는 것이 이곳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 질서들의 충돌은 입면의 데이타를 구축하게 되며, 입면 데이터는 흔적을 남기며 계속해서 도시의 풍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특징을 본 설계에 도입하여 현대 도시-풍경(Urban-Scape)의 관점을 중심으로 도시와의 관계와 사람들의 생활방식이 바뀜으로서 요구되는 다양성에 대응하는 입면 데이터를 통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이다. 영화적 기법인 'Fade-in', 'Fade-out'의 입면 Image 작업을 통해 좀더 구체적인 'Fade-in', 'Fade-out'의 도시적 풍경을 설정하고 입면 데이터에 의해 공간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풍경(Scape)이란 자연과 대상에 刻한 인간의 인식방법의 총칭이라 이야기 할 수 있다. 현대건축에 있어서 '풍경'이란 자연 그대로의 자연속의 건축이 아닌, 혼잡한 도시의 양상 속에 단편화된 모습을 은유하는 한계적 상황에 놓여져 있는 문제를 지닌다. 18세기 풍경식 정원은 르네상스 이후 유럽 대륙에서 유행한 기하학적인 구성 방식을 갖는 정원을 탈피하고, 자연을 끌어들이고자 하는 방식으로, 의식적으로 축 구성을 피하고, 자연을 풍경화처럼 보이기 위해 토지를 조성하고, 나무를 배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다른 예술 분야에 이르기까지 픽춰레스크(picturesque)개념이 퍼지게 되었으며, 랜드스케이프와 픽춰레스크 개념을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픽춰레스크 개념은 자연의 거칠음, 뜻밖의 예기치 않음, 불규칙성 등을 그대로 却현하려 했다는 점과 크리스토퍼 허시(Christopher Hussey)의 관점처럼 '회화적인 조형의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라, 화가가 사물을 인식하는 주관성'에 관한 개념처럼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시간의 변화라는 개념을 포괄한다는 점에서는 현대의 랜드스케이프 개념과 맞닿는 부분이 있다 하지만, 픽춰레스크 개념은 건축을 전체와의 관계가 아닌 자연 속의 단편화된 요소로 여긴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20세기에는 자연은 의미 그대로의 자연이 아닌 '풍경'을 통해 인식되는 자연이었고 '풍경'은 현대도시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단편적 현상에 의한 풍경의 강요가 아닌 우리의 주변 환경 즉, 도시와의 관계와 인간의 삶이 주변과의 관계를 맺어가는 하나의 '풍경'으로 이해하고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즉 본 설계 다루고자 하는 풍경'Scape'은 도시 속에서 삶을 살아가는데 주(住)의 공간과 쇼핑상가를 통해 접근하려 한다. 그 접근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풍경은 고정된 의미로 환원될 수 없는 무한한 의미하는 것들의 짜임으로 이루어져있는 지역의 특성의 분석을 통해 의미생산이 가능한 열린 공간으로 접근한다. 둘째 'Fade-in', 'Fade-out'은 이미지와 사유, 형태의 반응하고 대응을 통해 끊임없이 변동하고 불균등한 부단한 움직임을 무대화한다. 이는 수 많은 모습들을 만들어 내고, 그 내부요소들을 재해석하여 공간을 구축, 해체해 가는 과정을 '간섭'을 통해 접근한다. 그 예로써 도시와의 관계에 치중하여 주거공간과 쇼핑상가의 공간을 계획하러 한다. 이에 주거와 쇼핑상가의 요구조건에 맞는 대지의 간섭과 기억의 간섭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도시의 다양성에 대응하는 공간을 제공하려 한다. 계획 대상지로는 마포구 서교동 무허가 일대를 선정하였고 기본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풍경은 단지 조경에서 말하는 경관이나 경치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도시 Context들과의 관계를 맺어가면서 건축은 刻욱 도시의 요소들인 콘크리트, 건물에 빼곡히 붙어있는 간판들, 시간이 흘러 변화되어지는 색채 모두 하나하나의 요소들은 '풍경'의 성격이 강해짐을 알았다. 둘째 인간의 삶이 주변과의 관계를 맺어가는 하나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그 형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빈 공간은 생활의 흔적과 때를 담아나간다. 항상 변화하는 빛과 그림자처럼 빈 공간은 자기 나름대로의 이름을 가지기 시작하며 변화해 나아간다. 때로는 이 빈 공간이 공간 속의 공간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이 공간 속에서 우리가 잃어버리고 살아가는 것은 흐름을 따라가는 움직임과 시각적, 물리적 변화 속에서 느껴지는 공간의 의미이다. 이런 일상화된 주변상황과의 접촉 속에서 건축은 'fade-in', 'fade-out'이라는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을 알았다. 범위설정은 기존 건물의 정보의 간섭을 통해 시간의 변화, 형태의 변화, 대지의 변화, 흐름의 변화로 설정하였다. 이를 근거로 간섭의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대지의 간섭과 기억의 간섭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풍경을 만드는데 있어서 단순히 나무가 있고 물이 있는 한적한 분위기의 낭만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문제가 아니라 과거의 건축을 변화되지 않는 고정되어 梨는 것에서 'Fade-in', 'Fade-out'을 적용함으로써 항상 변화되는 것을 가정하며 인간의 일상적인 삶을 풍경으로 만들어가는 것을 이야기한다. 이때 소비적-추상적인 공간 대신 생산적-구체적인 공간이 창출된다. 물리적이고도 감각적인, 대지의 간섭, 기억의 간섭 등의 나열 속에 공간도 갑자기 증폭되어지거나 소멸되어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으로 제시된다. Hongick University website's existing urban city shows that the order was not lost but individual orders having no relations had a conflict. The individual orders' conflicts are separated from a random distribution, so that the arrangements and orders of those materials are lower and internal order's levels are higher. The conflicts can construct an elevation data that produces traces and makes urban scenes continuously. The paper examined space construction through the elevation data that corresponds to varieties when not only relations with urban cities but also people's living styles change from a point of view of urban-scape. The study aims to set urban scene by concrete 'Fade-in' and 'Fade-out' through elevation imaging of 'Fade-in' and 'Fade-out 'of movie technique, and to design a space by elevation data. Scape can be said to be a general term for the methods of human recognition about nature and object. However, in modern architecture, 'scape' has the problem of lying in the limited situation of comparing the shape fragmented in the aspect of a crowded city, not natural architecture in nature. However, the scape-style garden in the eighteenth century prior to the twenty-first century called the modern times evaded the garden with the method of geometric construction after Renaissance, adopted the method of drawing nature, avoided axial construction and used the method of reproducing nature as it is. Through it, the concept of 'picturesque' spread up to other fields of art at that time. The concep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modern concept of landscape in that it tried to reproduce natural roughness, unexpectedness, irregularity and so on as they were and in that like Christopher Hussey's viewpoint it includes 'not the concept meaning the beauty of picturesque plasticity' but the concept of temporal changes in recognizing surrounding environment like the concept about 'subjectivity in which an painter recognizes things'. However, the concept of 'picturesque' has a difference in that it regards architecture as a fragmented element not in relation with the whole but in nature. Here, in the twentieth century, nature was not one true to its meanings but one recognized through 'scape' and 'scape' consists of fragments in modern city. That is, it will have to be understood and approached not as scape forced by fragmentary phenomena but as one scape where we have relation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as, that is, the city and where human life has relation with the circumference. The study approached 'Scape', that is, a scene of the design through dwelling space as well as shopping centers where citizens live their lives. The methods of approach are as follows. 1. Urban-scape is composed of a compound of infinite meanings that cannot be reduced to a fixed sense and is approached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2. 'Fade-in' and 'Fade-out' incessantly change through responding to images, thinking and forms and stage unequal constant movement. This makes numerous shapes, reinterprets the internal elements and approach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disorganizing space through 'interference'. As the example, I try to plan living space and the space for a shopping center focusing on the relation with a city. I try to provide the space corresponding to urban diversity by applying the concepts of the interferences of ground and memory fit for the requirements of residence and shopping center. I selected the unlicensed area at Seogyo-dong, Mapo-gu, as the site planned and presented basic design plan for it.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such study are as follows. 1. 1 have known that scape does not mean just scene or landscape stated in landscape architecture, but that architecture had the stronger character of "scape" in relations with the context of surrounding city. Secondly, human life makes appearance in a form having relations with neighborhood. In accordance of time elapse, a vacant space accommodates the traces and time of living life. Like light and shade changing all the time, a vacant space starts to have its own name and makes a change. Sometimes, the vacant space exists as a space. The ones which people lose at the space and live their lives are not only the movement following a flow but also the space that they think at visual and physical changes. The scope is set up by the changes of time, form, ground and flow through interfering with the information of existing buildings Based on it, I derived the methods of interference. As the result, I derived the concepts called interferences of ground and memory. The paper describes not production of a quiet and romantic atmosphere having trees and water to make a scene but ordinary human life that applies 'Fade-in' and 'Fade-out' of unchangeable things of past architecture to make a change all the time. At this time, productive-concrete space is created instead of consumptive-abstract space. In the enumeration of interference of physical and sensible ground, Interference of memory and so on, space is also suddenly amplified or extinguished, which is presented as space with a new possibility.

      • 지하공공주차공간 개발에서의 환경생태적 설계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성남시 중동 주거지역내 대원공원 경사지를 대상으로

        이기완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59

        지구환경문제 뿐만아니라 국부적인 도시환경문제가 인간에게 직접적인 피해로 나타나면서 건축과 도시에 있어서도, 환경파괴의 주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21세기를 접어들면서 과거 개발성장 시대의 반성과 함께 건축.도시분야에 대한 환경과의 관계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이루어졌다. 이에 환경생태건축이라는 새로운 시도가 시대적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환경생태 중심주의적 자연관으로써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써 환경과 건축, 인간을 하나로 보는 관점에서 새로운 시대의 건축관 형성에 가장 중요한 방향이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속에 도시화, 산업화된 기성 도시에서의 심각한 주차공간 부족의 문제를 지하공간 개발로 확보하고 환경생태적 개념을 건축설계에 도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지하주차 공간계획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건축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생태적 설계기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국의 생태건축, 환경공생건축, 그린빌딩, 지속가능한 건축등 환경친화적 건축의 개념 원리는 환경부하의 저감, 자연과의 조화, 건강과 쾌적성 향상의 3가지 주요설계 원리로 함축 되어진다. 이러한 환경생태 건축의 원리를 통해 실제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를 사례로 도시적측면, 환경생태적측면, 건축.공학적측면에서 계획요소를 적용하여 지하공공 주차공간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약하면 환경생태적 설계기법은 다음과 같으며 프로젝트의 계획요소로 적용하였다. 첫째, 도시적 측면은 7가지의 계획요소로 분류하여 적용하였다. - 기후를 고려한 배치 - 지형 및 지세의 활용 - 공간의 연계 - 차도와 보도의 분리 - Open Space의 극대화 - 녹지네크워크 조성 및 창출 - 지역성/특수성 고려 둘째, 환경생태적 측면은 9가지의 계획요소로 분류하여 적용하였다. - 토양 - 녹지 면적 증대 - 생물다양성 보호 - 생태 녹화 - 친수공간 조성 - 우수침투유도 - 수자원 절약 - Biotop 조성연계 - 홍수방재 및 순환활동 셋째, 건축.공학적 측면으로 24가지의 계획요소를 분류하여 적용하였다. - 자연 에너지 이용 - 태양열 이용 - 자연채광, 통풍유도 - 열완층 공간 조성 - 외피면적 최소화 - 고효율 절약형 기기 - 고단열, 고기밀 - 건물외피 녹화 - 온도조절 - 소음 - 위생적 상수공급 - 축열성능이 우수한 내장재 - 인체에 무해한 내장재 - 전자기장 차단 - 유니버셜 디자인 - 실내정원조성 - 환기유도 시스템 - 환경부하 저감 건설공법 - 고내 구성 및 공법화 공법 - 저에너지 자재사용 - 자연소재 활용 - 건설 자재의 유효이용 - 해체, 수리가 용이한 공법 - 폐열회수 이와같이 도출되어진 환경생태적 건축을 위한 계획요소와 구체적 방법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건축.도시공간 계획에 적용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제도 및 설계의 가이드라인(Guide Line)으로 활용한다면 더 이상 자연훼손과 도시적 맥락성 없이 난 개발되는 개발행위가 감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와 현실에서 적용된 사례를 통해 도출된 각각의 계획요소와 방법을 보다 체계화되어 발전적으로 연구하여 건축.도시구성에 있어 손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Prototype으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 지속가능하고 공간적 깊이와 배려가 풍부한 아름다운 건축과 도시가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도시환경 및 경관 개선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생태주거의 개념과 설계적용에 관한 연구

        진용팔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59

        현재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이에 관한 대안으로 녹색도시, 생태도시, 환경친화적인 도시에 대한 주장과 새로운 도시개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기반 기술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생태건축이나 생태적 설계개념 역시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해 나온 대안으로 지속가능한 건축, 유기적 건축 등의 개념과 맥락을 같이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생태건축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외국보다 10여년 늦게 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연구가 건축 에너지 이용 및 설비측면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반해 외국에서는 자국의 전통을 기반으로 지역적 풍토와 기후에 맞는 생태주거를 연구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자국의 전통을 기반으로 한 생태건축을 연구하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생태건축의 개념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성이다. 이와 같은 점을 생각할 때 한국적 생태주거는 환경과 인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우선적으로 문화적 배경에 관한 이해를 토대로 개념을 설정하고 생태적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활용해야 한다. 현재의 주거건축을 이해하는 그 첫 번째 작업으로 생태적인 요소가 풍부하다고 인정되는 전통주거에서 그 생태성이 어떤 문화적인 배경하에서 유지 발전되었는지를 고찰한다. 두 번째로 이러한 생태적인 요소가 근대주거에서는 어떠한 모습으로 변화되었는지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현대주거의 문화적인 배경과 원류를 파악하여 현재 논의되고 있는 생태적 관점에서 현대주거의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문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한 현대주거의 이해는 결국 한국적인 생태주거의 설계요소와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그 밑거름이 된다고 확신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를 바탕으로 한 주거변천 과정을 고찰하여 현대주거의 문화적인 배경과 원류를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적 생태주거의 설계기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로서 조선말까지의 전통주거 생태성의 문화·사회적인 요인과 근대주거 변천요인과 그 과정을 언급하고 필요에 따라 그 이후의 것도 서술하겠다. 현대주거는 최근 10년간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각 장의 연구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2장. 생태건축의 일반적인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고, 생태건축의 패러다임의 대두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 전통주거에서의 생태요소를 사회문화적인 요소로 파악하고, 근대시기 생활의 변화와 사회의 요구에 따른 주거형태와 생태환경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현대주거의 생태환경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 국내와 생태건축의 사례를 조사하여 현재 진행중인 생태주거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적 생태주거에서 적용할 수 있는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주거환경의 변혁요소와 그 배경을 분석하여 한국적 생태주거의 개발을 위한 설계요소와 기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제5장. 한국적인 생태주거의 계획기준과 설계적용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의 환경에 맞는 생태주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전통적 자연재료인 흙이나 나무 등의 시공기술에 현대적 공법을 접목시켜 개선하고, 둘째, 재생가능하며 에너지 소비가 적고 무독성인 생태건축소재를 활용하여 새로운 건축시스템으로 개발하며, 셋째, 건축물의 공급처리시스템을 생태계의 순환처리체계를 응용하여 순환시스템을 구축하고, 넷째, 외부공간 및 건물외피를 '생물서식이 가능한 공간(Biotope)'으로 조성하고 이를 자연경관과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며, 다섯째, 생태학적 개념을 적용하여 내·외부 공간구성 및 건축과정 전체에 거주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궁극적으로 사회적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체적 주거단지를 건설한다. 우리나라에서의 미래 환경친화형 건축은 자연과 기계문명의 인간화를 지향함과 동시에 이러한 환경구성의 주요부분들을 시스템화하여 통합해야 한다. 또한 형태화하고 구조화할 수 있는 자연형 생태건축의 창출에 초점 을 맞추어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s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 problem has been raised, the claim that green-city, ecological city and environment-friendly city have to be made and concrete foundation and technique to develop new city is needed has been also increased across the world. Ecological-architecture and Ecological-design is alternative to this and it is the same concept to continuous architecture and organic architecture. Now various argument on the Ecological-architecture is in the process in Korea. But, it is started to study ten years later than other countries and most of this studies just focus on architecture energy use and its equipment in Korea. Ecological-architecture which is based on their tradition and local climate is studied in many foreign countries. At this, we should attend to study ecological-architecture based on our tradition. Locality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ecological-architecture. In this consideration, korean Ecological-architecture should be based on not only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environment but also cuteal background. At first, to understand current residence architecture, We should examine residence consisted of much ecological element have kept and developed under which cuteal background. Understanding of modern residence based on culture and history found in developing design and technique of korean ecological-residence.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design and technique of korean ecological-residence by understanding process of residence-transition and cuteal background of modern residence. The scope of this study is social-cultual factor of traditional architecture until late Cho-sun and change factor and process of modern residenc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2 General meaning and traits of the ecological-architecture is stated and emergence of the ecological-architecture's paradigm and its development is considered. ch3. Social-cultual element is considered as ecological one in traditional residence and change of residence form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need for change of life style and society. Also echo-environment of the modern residence is analyzed. ch4. example of ecological-architecture is examined, traits of the ecological-architecture in the process is understood and factors which can be applicated in korean ecological-architecture is extracted. Change element of traditional resident environment and its background and design element and technique to develope korean traits of the korean ecological-architecture is argued. ch.5 Planning and design of korean ecological-architecture is argu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 process should be preceded to make korean ecological-architecture suitable to our environment. First, modern technique and traditional natural materials such as soil and wood be combinated. Second, recyclable and less consuming energy and innoxious materials should be used. Third, circuit system applied circuit process system to supply process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Fourth, outside of the building should be made Biotope and linked with natural scene. Fifth, resident complex which reflect resident's need in space construction and whole process of architecturing should be based on ecological side. In the future,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in korea should be directed to combination nature and machine oriented-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major part of this environment construction should be systematized and integrated. In addition to, study to make ecological-architecture with natural-type is required.

      • 자연 환경 보존지역에 인접한 도심 속 미술관 계획안

        김지영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759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놀라울 만큼의 속도로 진화하는 기술력과 매일매일 쏟아져 나오는 정보로 넘쳐나고 있다. 이런 수단들이 좋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 환경에 대한 심각성은 끊임없이 되풀이 되고 있다. 기계적인 기능성만을 강조했던 지난시대의 건축이론은 인간 환경의 획일화를 초래하였다. 하나의 표준화된 형태가 모든 형식의 건축에 적용됨으로써, 건축은 인간을 위한 공간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인간이 환경에 지배 받는 모순을 낳게 되었다. 결국 오늘날 우리는 장소는 사라졌다고 말한다. 우리의 일상적인 삶은 여전히 ‘장소’에 근거를 두고 있다. 거주를 위한 주거공간, 노동활동을 위한 작업공간, 상품구입을 위한 구매공간, 여가활동을 위한 문화공간, 그리고 그 공간들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도보길이나 도로 및 철로도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 일상의 모든 일들의 바탕이 되는 이러한 공간들은 분명 장소라고 지칭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장소 및 이와 관련된 개념들을 분명하게 규정짓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설계의 시작은 설계대지인 종묘의 경계(Boundary)인 담과 율곡로를 끼고 창덕공원을 마주하고 있는 850평의 삼각형 대지의 장소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고찰로부터 시작하게 되었다. 논자는 본대지의 성격을 역사적 경관, 정체된 도시의 Node. 생태적 경관이 복합된 대지로 이해하였다. 이런 이해를 통하여 새롭게 해석된 도시의 Context를 담은 도심 속의 미술관 설계로 인하여 도시의 문화적 인프라의 확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어 진다. 미술관 설계에 있어서 단일 문화 공간과의 차별성을 두고 전시와 타 장르와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일반 대중들의 문화적 체험을 증진 시키는 방안을 적극 활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첫 번째로, 장소의 본질적 내용 탐구를 통하여 우리가 통시적으로만 알고 있던 환경의 의미와 장소의 의미를 되짚어 보았다. 두 번째로는 자연과 건축의 탐구를 통하여 건축을 하나의 오브제로 보기 보다는 환경을 구성하는 하나의 인자로 보고, 건축과 건축, 건축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더 주목하여 인간과 환경의 연관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2장에서는 1장에서의 이론을 바탕으로 본 Site Analysis와 도시의 Mapping을 통하여 도시의 Context룰 읽으면서 본 대지의 소규모 미술관이 새로운 영역의 확장과 문화적 Node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앞장에서 과정들을 기반으로 도심 속 미술관이 미술관의 기능으로써 문화적인 Node가 되면서, 도시의 Context를 담은 건축적 표현으로써 본설계의 결론을 내렸다. Nowadays, the world we live in is overflowing with the technology evolving at a surprising rate and the informations coming out day by day. In spite of these means improved, the seriousness about human environment is repeated ceaselessly. The architecture theology of the past emphasizing only the mechanic functionality has brought about a uniformity of human environment. The architecture could not be a space for men, rather Men are contradictorily ruled by the environment. After all, today we say that the space has gone away. Our daily life is still based on "the place". there are many spaces like the residing space for residence, the working space for labor activity, the buying space of purchasing goods and the cultural space for leisure activity, and the path, the road and the railroad to move between the spaces compose a space. These spaces which can be a basis of all things of daily life can be surely called a place.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gulate and understand the place and its related concept clearly. This design begins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identity of the place of 850 pyong triangle ground which is the designing ground and is located opposite of Chang Duk Park along with the wall which is the boundary of Jong Myo and the Yul Gok Road. I understood the character of this ground as the ground combined with a historic scene, a node of congested city and an ecological scene. I think it very meaningful to have the expansion of the cultural infra of the city due to urban gallery designing containing the context of the city newly interpreted through this understanding.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ctively utilize the plan promoting a cultural experience of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active exchange between exhibition and other genre in designing a gallery with a difference from the single cultural space. In the chapter 1, firstly, I re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environment and the place, which we know just commonly, through the intrinsic content study of the place. Secondly, I discussed about the connectiveness between men and environment with more attention to the relations between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architecture and the environment, regarding architecture as one factor composing the environment rather than as one object through the study of nature and architecture. In the chapter 2, 1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small scale ground gallery to become the new domain expansion and the cultural node, reading the context of the city through the site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chapter 1 and the mapping of the city. In the chapter 3 and 4, I concluded this design, with the urban gallery becoming a cultural node by the function of gallery and with the gallery becoming an architectural presentation containing the context of the c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processes.

      • 建築設計過程에서 槪念因子 導出과 重要度 適用方法

        류임우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9759

        Designers usually feel so disappointed and satisfied at the same time, especially at the point of setting up the concept. Apparently designers are so much concerned about these initial ideas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for projects. However, very similar design solutions are founded in different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for example sites, functions, uses, and context. It could b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designers often face with difficulties in using proper design language for the certain project and deciding which concept should be applied for the current project. Even professional designers don't feel so confident of fixing concept that they just adhere to using some familiar design expressions. Moreover designers are discouraged and confused by uncertain criteria of judges for a design competition. Thus, there needs to develop design alternatives according to systematic concept establishing process.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take opinions about concept determinants from design-related members into consideration, to figure it out what the difference is, if there is, between judges and applicants of competitions in preference of design concepts determinants, and finally to apply them to the design process according to weights of them. The recommendations proposed in this research will also be useful for designers in practice on how to establish and apply concept systematically. For this purpose,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investigating design concepts and design process theories through papers and sample cases to list concept determinants, and then 1st questionnaire about concept determinants for a factor analysis to categorize them by hierarchy. Second, hypothesiz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reference about concept determinants between judges and applicants of competition, and that causes the problem in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 Analyzing sample cases on the preference of concept determinants to verify this hypothesis and suggesting a conference stage in competition procedure for sharing opinions about proper design concepts for the project to solve the problem. Third, quantifying the difference among design concepts, and investigating weights on concept determinants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fter two times of questionnaire. Finally, comparing judges with applicants by a questionnaire on what phase of design process they choose to apply concept determinants, and verifying the process of applying weights of design concepts based on thi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study proposes a new scientific design process applying design concept to it (through conceptual approach to architectural design and literature research upon design process theories) <Fig. 2-5>. 2. The survey on literature and sample cases resulted in extracting concept determinants<table 3-8>. Concept determinants are classified by hierarchy and set up as a frame for an analysis<table 3-10>. 3.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design works attended to competitions is shown in the <table 4-1 ∼ 4-6>. It shows that 'building-uses' and 'site-characteristics' are two main variables on establishing concepts. So, a premise is possible that design concept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m. 4.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concept determinants between judges and applicants of competitions<table 4-10 ∼ 4-12>, especially with 'residential dimension' and 'expressional dimension'. It's resulted from a lack of collecting opinions about design guide, evaluation criteria, and concept determining process. 5. A conference stage is suggested in competition procedure for sharing opinions about proper design concepts for the project.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to calculate weights of concept for a systematic decision-making process. 6.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shows that designers in architectural firm would choose to put the weight on similar concept determinants for the project with clear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use and the site. Also, it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preference depending on interviewees. 7. It suggests that designers should consider weights on concept determinants and applies them to a new design process emphasizing the side of concept establishing and development.<Fig. 6-2> 8. Both judges and applicants agree on the design process recommendation this research through the sample study, however, there is some difference in the application process for the concept determinants between them. 9. The application process is verified by the simulation, which applies weights of concept determinants to design processes by synthesizing weights of the concept determinants, the result of alternative evaluation, and application phase<table 6-13>.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as a guideline for designers to establish the concept easily at the initial phase of design, but also as criteria to decide which concept they would choose during the design process. This study provides concept descriptions to use as a checklist for initial ideas. All creative concepts, however, are not covered which designers might choose to us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rojects.

      • 에셔의 판화분석을 통한 反事實 건축공간설계의 연구 : 『Hand with reflecting sphere』 분석을 중심으로

        김유경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43

        불가능한 공간의 구현은 인간의 끝없는 도전이다. M.C. Escher는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 불가능한 공간을 이차원의 회화에서 존재 가능한 공간으로 구현하였다. 이는 무한히 반복되는 공간의 지각사이에서 특유의 공간감을 자아낸다. 본 연구는 에셔가 판화에서 보여주는 이러한 공간 분석에서 출발한다. 에셔의 판화에서 이차원 공간은 이전의 회화들과는 다르게 삼차원 공간으로 보이는 다양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에셔는 실제 공간을 회화로 재현함에 있어 이전의 회화에서의 원근법이 아닌 자신만의 해석과 방법으로 공간을 구성한다. 에셔는 자신의 판화에서 인간이 습득되어 알고 있는 사실의 한 부분을 도전하고 인간의 인식체계를 공격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에셔의 방법과 인간의 인식체계를 공격하기 위해 사실의 부분을 치환하여 판화의 면을 구성한 공간을 설계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에셔의 판화 중 「Metamorphose」「Three worlds」 「Hand with Reflecting Sphere」의 분석은 에셔의 수학적인 방법론과 철학적인 공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재현해 내는 공간의 다양한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에셔의 판화의 특징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에셔가 주로 사용한 석판화라는 회화의 기법과 석판화의 재료의 속성 둘째, 화폭에서 왜상 제작방법의 이용과 Tessllation의 공간기표방법, 세 번째, 무한공간과 반사실, 거울상 공간 등 철학적 공간인식이다. 이 특징들은 공간형성과 긴밀한 연관을 가지고 건축설계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회화에서 이차원 공간이 삼차원 공간으로 보이기 위한 시도들이 실재 공간으로 구축되려면 많은 해석과 디자인 방법론이 연구된다. 에셔의 방법론의 특징중, 특히 「Hand with Reflecting Sphere」 공간의 구체적인 분석를 통해 프로그램과 대지를 선정하여 에셔의 판화에서 보여지는 인식체개의 공간과 실재 구현 되는 삼차원 공간의 특성들을 파악 실재공간으로 디자인 하고자 한다. 이 결과 관객과 배우의 공간이 혼재하는 원형극장이라는 프로그램을 선정하였고 대지는 극장이라는 프로그램에 알맞은 정동 부지를 선택하며 지표공간은 보행자의 녹지공간으로, 하부 공간은 극장으로 설정된다. 하부 극장공간 중 무대는 절토된 단면과 지표공간의 Sunken Garden으로 인해 내부 공간이나 외부 공간이 되는 특성을 가지며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관계가 모호한 공간이 Seat과 Foyer 사이에 설정되어 에서의 회화에서 보여지는 인간의 인식체계를 허무는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에셔의 판화에서 보여지는 무한의 공간 공간의 외부와 내부의 변용을 통해 틈을 만들어 낸다. 틈에 의한 이면공간은 프로그램을 통해 변용하며 이 공간은 반사실의 공간이 된다. The Design of Archiectural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Hand With Reflecting Sphere』 Embodiment of impossible space is human being's endless challenge. M.C. Escher has embodied the space which made imaginary and impossible space to exist on the two-dimensional pictures. The Result is the infinity repeating perception between the real ansd the imaginary.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analysis of the space in Escher's lithograph. Unlike other former works, two-dimensional space in Escher's lithograph's has special characteristic which could be showed in three-dimensional space. Escher composes with his distinctive analyse and methods. Escher defies a part of everyone's leaned 'real'. In this way, Escher attacks the human system of perception. This research purposes to desig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real is substituted to collaps the human system of recognition. Among Escher's lithographs, 『Metamorphose』, 『Three worlds』, and 『Hand with Reflecting Sphere』 have been analyzed for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embody the methodological and philosophical spaces. Peculiarities of Escher's lithograph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 the materiality Escher's painting method and the peculiarity in the lithograph's technique; second, the sequence for anamorphosis and locations of tessellation-space; third, the recognition of philosophical space such as Non-Real space in the reflecting mirror. These peculiaritie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mbodiment of space and show the possibility that this could be utilized in Architecture. The three-dimensional space can be designed with the space of recognition and the embodiment of three-dimensional space in Escher's prints for architectural space. The program of amphitheater was chosen for the Chong-dong site since it is suitable for the amphitheater program. The program has the reflective characteristics of having the actors the audiences in the seeing and being-seen relationship. The ground plane is set as a garden for pedestrians and the space under of the ground is set as an amphitheater which has the section which was made by geological stratum and sunken gardens. The resulting would confuse space perception of inner spaces from outer spaces. The fragile relationship between the one who sees and the one who is being seen will be set between the seat and the foyer, The space would make human perception collapse like Escher's lithographs do.

      • 영화에서의 몽타주기법을 이용한 전시관 설계에 관한 연구 : Sergei Eisenstein의 『전함 포템킨』의 충돌 몽타주 기법을 중심으로

        백미진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43

        영화에서의 몽타주(Montage) 기법은 숏(shot)과 숏을 결합해 새로운 숏을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편집과정을 말한다. 에이젠슈테인(Eisenstein)은 기존의 연역적인 몽타주 구성에 시각·청각 극적요소를 포함하여 "의도적인 충돌"을 표현함으로서 관객의 창조적인 연상 작용을 통해 영화가 완성되는 몽타주 이론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예저는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기법이 집약되어 있는 영화 『Battleship Potemkin」을 분석함으로서 의도적 충돌을 일으키는 기법들을 알아보고 현대영화 『Sin City」에서 나타나는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기법과 같은 맥락의 효과를 가져 오는 요소까지 범위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요소와 기법들을 이용해 건축 디자인에 적용시켜 보았다. 분석 방법은 영화 『전함 포템킨』의 5장을 구성하는 많은 요소들 증에서 그 배치 과정에서 건축요소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는 '음악, 숏의 각도와 크기, 복선·대위적 요소'와 공간에서 직접적으로 적용·표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명암, 시점, 동선'등의 요소들로 구분하에 장면(scene)을 나열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명암과 동선이 각각 극적으로 충돌되는 방법과 수평적으로 높이를 대비시키는 방법, 연상 작용을 이용한 대위법과 상징성을 통한 복선, 중심에서 벗어난 촬영구도, 불필요한 요소들의 삭제, 그리고 존재하지 않는 시점, 라이트모티프를 이용한 관계적 편집 등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기법들을 알게 되었다. 디자인에서는 공간 조각을 몽타주하는 방법으로 시작, 정사각형의 도형들이 각 공간 조각으로 엮어질 수 있는 위치와 방법,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시관이라는 프로그램을 선정, 빛이 필요한 어두운 공간과 에에 대비되어 빛에 노출되는 공간을 설정, 이 두 개의 매스사이에 공간 조각들이 삽입되는 3가지의 공간을 설계하였다. 각각의 공간을 media전시와 text & object전시, space 자체를 경험하는 공간으로 설정된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선구조는 포템킨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배치구조의 특징을 응용하여 설정하고 이와 함께 영화의 분석을 통해 알게 된 요소들을 공간화 시키는 작업과 병행하여 3가지의 다른 성격을 가진 공간들이 몽타주 되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전시의 성격이 극적으로 대비되는 두 개의 커다란 매스가 흑과 백의 성격이 부여되어 위치와 프로그램 간의 갈등을 이루며 하나의 매스처럼 보이는 형태를 갖게 되었고, 각각의 공간 조각은 전시관의 중요한 건축요소인 바닥, 벽, 계단, 천정을 변화시켜 두 개의 매스에 끼어드는 형태로 몽타주 되었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의 동선 구조에 변화를 주어 main으로 설정된 하나의 동선이외에도 관람자가 창의적으로 선택·관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각각의 공간을 선택하는 순서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공간 경험의 관계에 있어 다양성을 제안한다. 이로써, 회화와 영화의 범위에서 "편집"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던 몽타주가 동선과 공간의 의도적인 충돌적 구축을 통하여 "구성"이라는 원리로 건축 설계에 적용이 가능하였다. In film making, montage means the creative way to combine a shot with another shot in other to design an effect. By analyzing the film 『Battleship Potemkin』 --which is Eisenstein's best montage art-- this paper endeavors to search the montage methods which result in intentional collisions. The analysis is expanded by including the methods in the modem film 『Sin Cityd』 which are similar to the Eisenstein's montage art. This analysis was then applied to architectural design.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the focus on the music, camera angle, foreshadowing shot; techniques such as light and darkness, a points of view, and circulation. were considered as the factors that can be applied to space design. Through this, an analysis, the relative arts of editing such as light and darkness, the movements collisions dramatically, scenarios with progress of association, the shooting angle out of the center, erasure of the unnecessary factors, nonexisting point of time, and leitmotif were found. The program for an exhibition space was chosen; a black box and a light box were created with the third space where small boxes are inserted between the two. The black box exhibits works of light and its space while the light box contains exhibits such as text and object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montage with three different spaces was experimented; the analysis of the music in Potemkin gave the clue to program organization and circul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experiments was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where the circulation weaves among three different spaces in infinitely various ways. The study of basic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floors, walls, stairs, and ceilings resulted in the unique spatial experience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effects of film montage. This suggests the endless possibility of experiencing spaces depending on the taste of each person to select a path. From this, we found out that montage which was used to edit the films and paintings could be us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as the method of "composition" with which intentional crash between movement and space becom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