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의 大學 建築敎育制度 改善 모형 개발

        朴漢哲 전남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48767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중국·대만 및 외국의 건축교육의 교육목표, 교육체제, 교과과정 및 건축사 자격제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우리 한국의 이상적인 대학 건축교육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우리 나라 건축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국제적 건축교류 확대 및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건축교육제도 개선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건축교육 모델은 건축대학 내에서 크게 건축학과와 건축공학과로 분류한 후 건축학과의 세부전공은 설계·의장과 역사·건축론으로 구분하고, 건축공학과에서는 건축구조공학, 건축시공 및 재료, 건축환경공학, 건설경영의 세부전공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교육년한은 건축학과 5년, 건축공학과 4년으로 구분하고, 건축공학과 졸업생이 다시 건축학과 분야의 학습을 원하는 경우 2년의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도록 한다. 국제적으로 상호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건축사를 양성하기 위한 건축학과는 160학점 이상, 건축공학과는 현행의 140학점 또는 그 이상으로 교과과정을 구성한다. 소정의 과정을 이수한 후, 건축학과는 졸업설계를 통한 작품발표를 원칙으로 하여 교수의 심사를 통과한 학생, 건축공학과는 각 전공분야의 졸업논문을 작성하여 교수의 심사를 통과한 학생은 졸업을 할 수 있다. 수여하는 학위의 종류는 5년의 과정을 이수하는 건축학과는 건축학사 그리고 4년이 걸리는 건축공학과는 공학사를 수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architectural education in the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China, Taiwan, U.S., England, France, Germany, Japan. The study focuses especially on the areas of educational goals and structure, curriculum and the architect licensing system Based on this analysis, I have put forward some possible directions and models of tertiary architectural educational systems, which are suitable for Korea's educational environment. I hope this model will not only improve the quality of our architectural education, but also enhance international architectural association. The suggestions have I made for architectural education within a college of architecture include defining two broad segments of study : a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one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The degree taken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would specialize in design, decoration, architectural history and theory of architecture. The degree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would specialize in architectural structure, building construction and materials,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he course duration for architecture is five years, and four years for architectural engineering. Those who graduate with a Bachelor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will need to take an additional two years of graduate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should they want to become an architect. In order to foster internationally qualified architects, the minimum grade attained should be 160 for architecture and 140 for architectural engineering. Curriculum in the dept. of architecture and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s also suggested. The graduating procedure for architecture students would be to complete the basic course after which they would get approval for "graduate projects" from their respective professors. Meanwhile,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students would need to prepare the "graduate thesis" of their majors for their professor's approval. Those who complete the five-year course in architecture will receive a Bachelor of Architecture, and the Bachelor of Engineering degree is awared to those who complete the full four-year cours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 메타버스 공간 사례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가상건축 설계 연구

        이종섭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35

        메타버스 공간 사례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가상건축 설계연구이 종 섭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지도교수 : 이 경 훈 요약문 본 연구는 메타버스 공간설계에서 필요한 검토 요인 도출 및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공간설계를 제안하기 위한 연구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제Ⅰ장에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방법을 밝히고 본 연구와 관련한 분석 준거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연구 진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례와 범위를 세부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확보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메타버스 공간설계의 아이디어를 얻은 후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 중심의 메타버스 공간 실제 설계안을 제안할 논거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Ⅱ장은 본 연구와 관련된 의미 있고 중요한 선행연구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메타버스 개념과 관련하여 2007년 미국 코넬 대학 교수 로버트 블룸필드(Robert Bloomfield)를 참고하고 그가 분류한 메타버스 4가지 유형의 플랫폼을, 증강현실, 라이프로깅, 미러월드, 가상세계, 본 연구의 핵심 분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의 적용이 가상현실의 발전을 압도하고, 일부에서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가상세계가 인간의 실제 경험을 확장하고 현실을 더 이해하기 쉽고 흥미롭게 만들어 궁극적으로 일상에 대한 여러 문제를 개선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인 가상공간 설계를 모색하였다. 제Ⅲ장은 본 연구의 목적을 논거하는 사례 선정 및 분석 기준의 서술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 중에서 가상세계에 해당하는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한 사례분석은 물리적 환경,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 초월성, 현전감(Presence), 자율성을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실제 사례 분석으로 국내 사례 2개와 해외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 사례인 로블록스 서울시 ‘따릉이 교육장’은 서울시설공단과 2021년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가 2021년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가상교육장을 구축한 것이다. 이는 주로 10대가 주로 이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에 3D 콘텐츠의 따릉이 안전교육장와 홍보관을 구현한 것이며 사용자의 접근성을 무엇보다 고려한 것이었다. 그러나 가상세계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그들과 함께 있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경험하는 지속적인 가상 환경이다(Schroeder, 2008). 가상 환경과 가상 현실 기술이 "사용자(또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이 아닌 다른 환경에 존재하는 느낌을 갖도록 허용하거나 강요하는 컴퓨터 생성 디스플레이"로 정의된다는 점에서 자율성이 강조된다. 하지만 ‘따릉이’ 사례에서는 사용자의 능동적인 경험이 극히 제한적인 분석결과가 나왔다. 다음 국내 사례는 가상전시 공간 ‘믐(MEUM)’이다. 가상전시공간 ‘믐’은 물리적인 제약을 해소하고 개인의 고유 전시공간을 향유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된 프로젝트이다. 코로나19로 다양한 오프라인 문화예술공간에 방문객의 발길이 끊기면서 많은 전시관, 갤러리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때 ‘주식회사 믐’은 예술 작가들이 창작물을 전시하고 홍보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를 이용한 온라인 3차원(3D) 전시장을 운영하였다. '믐' 사용 작가는 기본으로 작품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으며, 그 이상 작품을 설치할 경우 ‘포도’를 통해서 인벤토리를 확장해야 한다. 이러함에 '믐'은 소비자가 만들어가는 전시가 주목표로, 비용 없이도 전시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가 작가가 되고 또 소비자가 되는 순환과 공유 목표를 지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해외 사례는 ‘제페토 월드’을 1차와 2차로 분리하여 사례분석하였다. 이유는 제페토 월드 1차와 2차가 많은 점에서 그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었다. 제페토 월드 내 시각적 세계는 현실에서의 월드와 동일하다. 서울에서 개최된 전시공간을 그대로 구현하여 물리적 공간, 3차원 구현과 현실감이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지녔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구찌의 제페토 월드는 1차와 2차의 성격에서 차이가 발생하는데, 1차는 게임과 아바타 장식, 구매 등의 활동에 초점을 맞춘 반면 2차는 전시공간의 체험에 중심을 두었다. 1차의 경우 물리적 환경, 공간 컴퓨팅, 초월성, 현존감, 자율성 모두에서 극단적으로 치우친 경향보다, 고른 특징을 보여준다. 다만, 시각적 기술력이 높고 사용자의 즐거움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채우는 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몰입감을 높여 현존감으로 연결될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2차의 경우 오프라인에서 개최한 전시를 그대로 가상에 구현하여 초월성을 높였다. 사용자는 현실과 가상공간을 넘나들며 초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제Ⅳ장은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타버스 건축‧설계의 계획과 실제를 서술한 장이다. 본 연구가 특히 주목하는 바는 ‘증강현실’이다. 증강현실이란 외재적 세계의 증강 형태로, 위치 인식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개인의 현실공간을 확장한다(Smart, Cascio, & Paffendorf, 2007). 인간이 인식하는 현실공간에 가상의 2D/3D 물체를 겹쳐 보이게 하여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GPS를 활용한 위치정보에 마커(marker)와 시스루(see-through) 등을 활용한다(Aladin et al., 2020; Kim et al., 2020). 이러한 가상공간의 건축‧설계는 각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양태로 전개되고 있다. 실제 공간설계 계획안은 가장 최근의 흐름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2022년 12월 현재, 메타버스는 이제 시대의 대세이며 필이다. 이러한 시대 흐름 속에서 본 연구가 목표하는 건축공간은 ‘재택근무를 통한 업의 공간’이다. 여기서 ‘협업’이란 반드시 모든 구성원들이 모여서 함께 작업을 해야 하는 업종이 아니다. ‘독립성’을 기반으로 하여 한 회사의 구성으로서 협업을 해야하 디자인 관련 업종이다. 이에 관한 본 연구의 상세 서술을 위하여 먼저 본 연구자가 각하는 메타버스 건축‧설계에 반드시 검토되어야 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메타버스 구현의 미래 가능성을 논의한 Dionisio와 Gilbert(2013)에 따르면 가상공간 설계의 중심 구성 요소는 네 가지 기능에 집약된다. 즉 리얼리즘, 유비쿼티(Ubiquity), 상호 운용성, 확장성을 갖추어야 한다. 나아가 효과적인 가상공간 건축‧설계를 위한 핵심 요인 지표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첫째, 가상공간 주 사용자 연령대의 니즈를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둘째, 가상공간 안에서 사용자가 현실을 대체할 목표를 세분화해야 한다. 셋째, 메타버스 가상공간 내 ‘비즈니스 생태계’ 중요성을 검토해야 한다. 넷째, 메타버스 내 가상공간 건축 설계 점검표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Ⅳ장 3항에서 ‘증강현실(AR)’을 바탕으로 한 가상공간 실제 건축‧설계 계획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가장 먼저 ‘테마’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검토한 가상공간 내에 필요한 검토 요소를 작성하였다. 테마는 코로나19 팬데믹 확산으로 불가피하게 확산되는 비대면 근무환경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설정하에 원격 재택근무의 개념을 넘어, 가상공간에서 보다 효율적인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해당 비대면 조직구성원들의 효율적 업무 완수를 목표로 가상공간 건축‧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메타버스 가상공간 설계 계획안은 본 연구의 Ⅲ장 사례 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사무환경 구축’이다. 물론 비대면 사무환경 구축은 기존에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기존에 구축된 비대면 사무환경 구축은 Ⅲ장 사례 분석의 가상공간 설계환경과 대개 동일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Ⅲ장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증강현실(AR) 글래스를 착용한 확장현실(XR) 환경의 비대면 사무환경’이라는 가상공간 설계 구축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와 관련 문준식(2014)은 가상현실(VR)을 “컴퓨터로 구현한 환경, 상황을 모의실험(simulate)하는 것 이외에 실질적으로 구축될 공간의 사용자가 가상으로 구현된 공간에서 마치 실제 상황이나, 환경에서 경험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그는 가상현실 헤드셋 적용과 그 가능성에 관하여 연구하면서, 설계 도구로써, 다양한 대안들을 기존에 물리적 모델과 동일하게 간접적으로 체험해볼 수 있어, 설계 시간은 물론 기존 비용에 비해 경제적으로 훨씬 더 감소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또한 건설회사에서 모델하우스, 시공단계에서 설계도면의 이해를 증진, 클라이언트의 공간에 대한 이해증진, 디자인 과정에서 협업을 위한 도구로서도 활용가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문준식(2014)의 예측처럼 현재 증강현실(AR) 글래스 기술은 매우 비약적이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2022년 9월, 중국 스타트업 기업이자 ‘AR 글래스’ 분야 세계시장에서 선두를 달리며 한국 시장 “AR 글래스 점유율 81%”를 확보한 <Nreal>이 ‘Nreal Air’ 제품을 출시했다. 2022년 12월 현재 자사 홈페이지와 쿠팡 등 쇼핑업체들을 통해 대중에 판매하고 있다. 이것으로 본 연구가 실제 계획하는 증강현실(AR)의 기술적 토대는 기본적으로 마련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는 실제 건축‧설계를 하기에 앞서 먼저 테마를 설정하였다. 테마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메타버스 가상공간 비대면 사무 환경 구축’이다. 이러한 테마 설정은 2022년 12월 현재도 코로나19의 위력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또 기존에 코로나19로 인하여 재택근무 및 원격근무를 시행하였던 글로벌 기업들의 경우 그 장점이 우수함을 이해하고 그 업무 범위를 더욱 더 확장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가상공간 건축‧설계의 목표를 ‘200명 규모의 1인 전용 가구(家具) 디자인 회사’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공간설계에 있어 회사의 사무실은 물론 그 회사 구성원이 생활하는 편의공간으로까지 그 공간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현재 대한민국 가구의 약 1/3이 1인 가구이다. 그리고 이것은 비단 한국만이 아닌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1인 가구(家具)는 매우 다양한 제품에 걸쳐 그 수요가 급증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디자인’ 업종의 특성상 각 디자너이들이 굳이 한 회사의 한 사무실에 머물며 공동작업을 해야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그것은 비효율적이다. 각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설계와 계획에 따라 회사 밖은 물론 세계 곳곳을 방문하여 실태를 조사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자신이 설계한 가구를 입체적으로 회사 구성원들에게 시연하여야 할 필요도 있다. 그러므로 디자인 업종 회사의 경우, 실제 몸은 어디에 있든 불문하고, 가상공간의 사무실 그리고 사무실을 중심으로한 부대시설 등이 설계된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사무환경에 효율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단지 2D 화면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닌, 3D 화면, 즉 확장현실(XR) 환경 속의 가상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특히 몰입감 및 현전감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보다 능동적인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상기 계획안은 현재의 기술력으로도 충분히 실현가능한 사례이며 효율성 및 투자 대비 이윤 창출 면에서도 그 효과가 충분하리라 예상된다. 현재 시대는 MZ세대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기술을 중심으로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또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IT 기업들은 메타버스 활용 및 투자에 매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향후 이러한 메타버스 건축‧설계 시장에 치열한 경쟁과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 것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미래 산업인 메타버스 산업기반 조성과 미래의 가치 창출을 위하여 기업은 물론 정부 차원에서도 전폭적인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메타버스가 성숙함에 따라 메타노믹스의 경제 규모는 커지며, 현실 공간에서 제조업과 마케팅까지, 가상공간에서 엔터테인먼트와 다중정체성의 일반화까지, 현실과 가상의 융합에서 교육과 여행까지 확장될 것이다. 이는 도시와 도시의 연결, 도시와 국가의 연결, 나아가 지구의 연결로 확장될 것이다. 그럼에도 아직 완벽한 몰입을 유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 웨어러블 기기의 기술력 등에 대한 한계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공간 설계뿐 아니라 기술, 프로그래밍, 사용자의 감각 및 심리적 반응 등 다각적 차원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각 학문 분야 간 융합 연구가 요구된다. 핵심어 : 메타버스, 가상건축설계, 증강현실(AR), 확장현실(XR), 재택근무, 원격근무 A Study on Effective Virtual Architecture Design through Metaverse Space Case Analysis by Jong Seop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under the supervision of Professor : Kyung Hoon Lee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riving review factors necessary for metaverse space design, analyzing actual cases, and proposing more effective space design through thi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larified the purpose and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in Chapter 1, and prepared a framework for analysis related to this study. In addition, the following cases and scopes were selected in detail for the progress of the study. Based on the case analysis obtained, the idea of ​​effective metaverse space design was obtained, and based on this, the basis for the argument to propose a user-centered metaverse space design was prepared. Chapter Ⅱ theoretically reviewed meaningful and important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Regarding the metaverse concept, refer to Robert Bloomfield, a professor at Cornell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in 2007, and classify four types of metaverse platforms he classified: augmented reality, lifelogging, mirror world, virtual world, and the core classification of this study. used as a criterion.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 reality (MR) overwhelms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and in some cases, the virtual world implem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s It is expected to expand experiences and make reality more comprehensible and interesting, ultimately improving many problems of everyday life. Therefore, this study sought a more effective virtual space design based on 'augmented reality'. Chapter III describes the case selection and analysis criteria that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case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world were analyzed. The cas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used physical environment, spatial computing, transcendence, presence, and autonomy as criteria. Based on these concepts, this study targeted two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s an actual case analysis. In the case of Roblox Seoul’s ‘Dtareungi Training Center’, a domestic case, the Seoul Facilities Corporation and the 2021 metabus platform Roblox built a virtual training center for the public bicycle ‘Dtareungi’ in 2021. This is a metabus platform mainly used by teenagers, Roblox, which implements 3D contents of the Ttareungi safety training center and PR center, and considered user accessibility above all else. However, virtual worlds are persistent virtual environments in which people experience others as being present and able to interact with them (Schroeder, 2008). Autonomy is emphasized in that virtual environments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are defined as “computer-generated displays that allow or force the user (or users) to have the feeling of being in an environment other than the real one.” However, in the case of ‘Ttareungyi’, the active experience of users was extremely limited. The next domestic case is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EUM’.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eon' is a project presented with the goal of relieving physical limitations and enjoying an individual's unique exhibition space. Due to COVID-19, many exhibition halls and galleries suffered difficulties as visitors stopped visiting various offline cultural and art spaces. At this time, ‘Meon Co., Ltd.’ operated an online 3-dimensional (3D) exhibition hall using metaverse so that artists could display and promote their creations. Artists who use 'Myeon' can upload up to 20 works by default, and if more works are installed, the inventory must be expanded through 'Grape'. In this sense, 'Beon' is aimed at the circulation and sharing goal of consumers becoming artists and consumers again by making exhibitions made by consumers as the main goal, allowing them to use the exhibition space without cost. Meanwhile, for overseas cases, 'ZEPETO World' was analyzed by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ases. The reason i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1st and 2nd ZEPETO World. The visual world in ZEPETO World is the same as the real world. By implementing the exhibition space held in Seoul as it is,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space, three-dimensional realization, and a very high sense of reality. More specifically, Gucci's Zeppetto World differs in the nature of the 1st and 2nd. The 1st focused on activities such as games, avatar decorations and purchases, while the 2nd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the exhibition space. In the case of the first order, it shows even characteristics rather than extreme biases in al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spatial computing, transcendence, presence, and autonomy. However, since the visual technology is high and the focus is on filling the content that can arouse the user's enjoyment and interest, it is judged that there is room for it to be connected to a sense of presence by increasing the sense of immers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exhibition, the exhibition held offline was implemented virtually as it is, enhancing transcendence. Users could feel transcendence by crossing the real and virtual space. Chapter Ⅳ describes the plan and practice of metabus architecture and design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hat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is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is an augmented form of the external world, which uses a location recognition system and network to expand an individual's real space (Smart, Cascio, & Paffendorf, 2007). It provides an interactive environment by superimposing virtual 2D/3D objects on the real space recognized by humans, and utilizes markers and see-through for location information using GPS (Aladin et al., 2020; Kim et al., 2020). The architecture and design of these virtual spac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The actual space design plan reflected the most recent trend. As of December 2022, when this study is being conducted, the metaverse is now the trend and feel of the times. In this trend of the times,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this study aims for is 'the space of work through telecommuting'. Here, ‘collaboration’ is not necessarily an industry in which all members must gather and work together. It is a design-related industry that needs to collaborate as a composition of a company based on 'independence'. Fo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study, the elements that must be reviewed in the metabus architecture and design that this researcher rejec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Dionisio and Gilbert (2013) discussing the future possibilities of metaverse implementation, the central components of virtual space design are concentrated in four functions. In other words, it should have realism, ubiquity, interoperability, and scalability. Furthermore, as key factor indicators for effective virtual space architecture and design,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four factors. First,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needs of the age group of the main users of virtual space. Second, within the virtual space, users should subdivide the goal to replace reality. Third, the importance of the ‘business ecosystem’ with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should be reviewed. Fourth, to create a virtual space architectural design checklist in the metavers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ctual architecture and design of virtual spa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was planned in Chapter IV, Paragraph 3. To this end, this researcher first set up a 'theme'. In addition, necessary review elements were created in the reviewed virtual space. The theme set a non-face-to-face working environment that inevitably spreads due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Under these setting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more efficient work environment in virtual space, beyond the concept of remote telecommuting, and present a virtual space architecture and design plan with the goal of efficiently completing work for the members of the non-face-to-face organization. The design plan for the metabus virtual space proposed by this study is the ‘establishment of office environmen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case analysis in Chapter Ⅲ of this study. Of course, the non-face-to-face office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to some extent. However, the existing non-face-to-face office environment construction is mostly the same as the virtual space design environment of the case analysis in Chapter Ⅲ.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in Chapter Ⅲ, this researcher set the goal of constructing a virtual space design called 'a non-face-to-face office environment in an extended reality (XR) environment wearing augmented reality (AR) glasses'. Moon Jun-sik (2014) related to this study describes virtual reality (VR) as “a computer-implemented environment and situation, in addition to simulating a situation, the user of the space to be actually constructed looks like a real situation in a virtually implemented space. However, it is defined as “to have the same feeling as experienced in the environment”. In addition, while studying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headsets and their possibilities, as a design tool, he can indirectly experience various alternatives in the same way as existing physical models, which will reduce design time as well as economically compared to existing costs. predicted. It is also predicted that construction companies can use it as a model house, to improve understanding of design drawings in the construction stage, to improve the client's understanding of space, and to be used as a tool for collaboration in the design process. As predicted by Jun-sik Moon (2014), the current augmented reality (AR) glass technology is very rapid and developing at a rapid pace. In September 2022, <Nreal>, a Chinese start-up company and leader in the global market for ‘AR glasses’ and securing an “81% share of AR glasses” in the Korean market, launched the ‘Nreal Air’ product. As of December 2022, it is selling to the public through its website and shopping companies such as Coupang. With this, it is judged that the technical found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AR) that this study actually plans is basically prepared. In this study, the theme was set prior to actual architecture and design. The theme is ‘establishing a non-face-to-face office environment in the metabus virtual space due to the spread of Corona 19’. This theme setting is because the power of Corona 19 is still present as of December 2022. In addition, in the case of global companies that have previously implemented telecommuting and telecommuting due to COVID-19, they understand that the advantages are excellent and are further expanding the scope of their work. Next, this study set the goal of virtual space architecture and design to be a single-person furniture design company with 200 employees. In addition, in space design, the scope of the space was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the office of the company but also the convenience space where the members of the company live. Currently, about one-third of households in Korea are one-person households. And this is a global trend, not just Korea. Therefore,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see a surge in demand across a wide variety of products. In this process, due to the nature of the ‘design’ industry, it is not necessary for each designer to stay in one office of one company and collaborate. Rather, it is inefficient. Depending on the design and plans of each designer, it is necessary to visit not only outside the company but also around the world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monstrate the furniture designed by oneself to company members in three dimensions. Therefore, in the case of companies in the design industry, regardless of where the physical body is located, it can be said that it is much more efficient to use the space where the virtual space office and auxiliary facilities centered on the office are designed. Furthermo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such an office environment, it is very efficient and more active in terms of immersion and presence to utilize a 3D screen, that is, a virtual space in an extended reality (XR) environment, rather than just participating in a 2D screen. because it can lead to. The above plan proposed by this study is a case that can be fully realized with the current technolog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will be sufficient in terms of efficiency and profit creation compared to investment. The current era is changing and spreading very rapidly, centered on the MZ generation and metabus technology. Global IT companies are very active in utilizing and investing in the metabus. It is a clear fact that in the future, there will be fierce competition and development in the metabus architecture and design market. Therefore, there should be full interest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s well as companies in order to create a foundation for the new future industry, the metabus industry, and create future value. As the metaverse matures, the economic scale of metanomics will grow, expanding from real space to manufacturing and marketing, from virtual space to entertainment and generalization of multiple identities, and from the convergence of real and virtual to education and travel. This will expand to the connection between cities, cities and countries, and furthermore, the connection of the earth.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there are still limits to display technology and wearable device technology to induce perfect immersion. In addition to space design,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dimensions such as technology, programming, and users' sensory and psychological responses, and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each discipline is required. Key words: metaverse, virtual architectural design, augmented reality (AR), extended reality (XR), telework, remote work

      • 건설 사업관리 표준교과과정 모형에 관한 연구

        강호문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는 최근 국내 건설환경의 변화에 따른 건설사업관리의 활성화 방안으로 전문직능인 국가 간 상호 인정제도를 대비하기 위하여 국내 건축공학과 세부전공에 건설사업관리 전공을 개설하고, 건설사업관리분야의 특성화 방향을 위하여 ABEEK 과 ABET의 국제 교육기준에 맞춘 실무 적응력이 중시되는 건설사업관리 표준교과과정모형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BEEK와 ABET인증기준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국내ㆍ외 대학 및 교육기관의 건축공학 및 건설사업관리 교과과정의 특성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교과목을 건설사업관리에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실무업무에서 요구되는 교과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현 대학에서 강의를 하시는 교수님들과의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여 ABEEK의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건설사업관리 표준교과과정 모형(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ㆍ외 대학 및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국내대학의 건축에 관한 교육과정이 대부분 계획, 설계위주의 교육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계획, 설계분야에 대한 교육과정의 개편은 꾸준하게 진행되어져 왔으나, 건축공학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반면 외국의 경우 꾸준하게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교과과정 프로그램을 발전시켜왔으며, 보다 실무중심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국내 건설사업관리 실무사례분석을 통하여 건설사업관리 업무에 요구되는 지식기반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수학?기초과학 및 전산학, 공학이론 및 건축공학기반, 건설사업관리 교과목에 대하여 전문가 면담을 수행한 결과 제시된 총 64개의 교과목이 다소 중요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실무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설문조사 결과 설문응답자들은 현행 대학 건축공학 교육이 실무에서 요구하는 교육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건설시장의 수요 및 건설환경의 변화에 따라 건설사업관리 및 건설사업관리 학과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하지만 국내 건설사업관리 교육 현실상 교육기회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실무에서 요구되는 교과목에 대한 설문을 통해 수학ㆍ기초과학 및 전산학 분야에서는 인터넷 및 컴퓨터 활용에 관한 교과목과 확률통계에 대한 교과목이 중요시되었으며, 공학이론 및 건축공학기반 분야에서는 건축시공관리, 건축법규 및 행정, 경제성공학 과목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건설사업관리 분야에서는 전반적으로 중요했으며 그 중에서도 건설생산성관리, 건설사업관리일반, CM프로젝트 사례연구가 중요과목으로 나타났다. 5) 건설사업관리의 목표 및 교과과정 모형을 파악하기 위해 일선 건설관리 전공 교수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면담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교육목표와 교과과정 모형제안 및 건설사업관리 학습성과에 관한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교과목 및 교과과정 프로그램 기준, ABEEK인증기준에 부합하는 이수 학점체계, 교과과정 구분, 교과목 대비 학습성과의 연계성을 구축하였다. 6) 건설사업관리 표준교과과정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건설사업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구성방향을 설정하였고, 교육프로그램의 수립절차를 수립하였다. 또한 공학이론 및 건축공학관련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건설사업관리의 교육목표에 따른 교과과정 유형 안을 제안하였고, 그에 부합하는 학습성과 및 기준을 설정하여 건설사업관리 표준교과과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 공동주택 재건축 초기사업단계에서의 건설사업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안경환 檀國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이후 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대량 공급된 주택들이 노후화됨에 따라 이들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정비하기 위하여, 현재 재건축제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복잡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는 재건축사업의 주요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이를 보완하는 건설사업 관리 전문가의 역할과 도입의 중요함을 재건축 건설 사업관리 경험을 통해 재건축사업의 초기단계인 조합설립단계, 사업계획단계의 사업기간 단축 및 사업비용의 절감을 위한 CM(Construction Management)의 적용에 관한 연구를 사례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전개방법은 첫째, 주로 사업초기에 설정되는 과정의 의사결정에 대한 사례 및 기존연구의 고찰을 근거로 나타나는 주요 문제점을 단계별로 비교 분석하고 둘째, 공동주택의 재건축 건설사업관리의 필요성과 초기단계의 발주자의 필요한 전문성 확보 및 VE(가치공학)의 적용, 프로세스적용 등의 방안을 통해 사업비용 및 사업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로 공동주택재건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 초기단계에서의 전문성을 갖춘 건설사업관리자의 선정은 정확한 정보, 의사소통 기회 등을 제공함으로 재건축 사업의 각 주체들의 신뢰성 확보를 통해 사업추진이 원만하게 진행되었음을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합리적인 의사결정, 발주자로서의 전문성확보로 사업기간단축, 비용절감 등의 효과를 사례적용을 통해 확인하였다. 셋째, 계획단계에서의 건설사업관리자의 역할은 사업의 손익으로 나타나는 부분에 대한 원인을 사전 예방함으로써 비용 및 공기의 절감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기술자가 초기 단계에 접근하여 초기의사결정의 참여자 구성이 부족한 가운데 이루어짐으로서 시행 시 불합리한 설계변경 등이 자연적으로 자주 발생하도록 하는 요소를 원인제거 하는데 제도적인 뒷받침이 바람직하며, 초기사업단계에서의 의무적인 전문가 선정 기준 수립 및 선정을 통해 체계적인 재건축 사업의 경제성 및 합리적인 관리시스템을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요구된다. 건설사업관리자의 선정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며, 건설사업관리의 초기단계에서 완료단계에 이른 복잡한 과정을 체계화하여 프로세스를 작성하고, 인력배출에도 힘을 써야할 것으로 보며, 무질서하게 난립하는 재건축사업의 미비한 CM제도를 악용하고 CM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체계적인 건설사업 관리를 통하여 우수한 공동주택을 건설하고, 궁극적으로 조합원의 이익에 이바지하는 새로운 페러다임을 만들어 나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After 1970's, the housing been mass provided through the process of urbanization. Therefore, the law of residential environment consolidation was force. However, many problems are been happen because of inadequacy of expertly re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present the CM application plan for reduction of duration and cost in initial phase of reconstruction project.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study about the problem for decision-making process of reconstruction project in initial step through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Second, we present the necessary of CM application to apartment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and plan.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mitment of CMer in initial step of reconstruction project was possible to accurate communication within multiple participant. (2) We confirmed the effect, which of reduction of duration etc. through rational communication and expert on project management as order. (3) The role of CMer in planning step of reconstruction project is prevent cost loss through analysis the occurrences factor of project loss, therefore enhance reduction ratio of cost and duration.

      • 조선시대 상류주택 건축과 명청시대 사합원의 외관이미지비교 분석에 관한연구

        Chen, Lu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연구 배경 사회의 급속한 발전으로 현대의 사람들은 서양의 생활방식과 문화에 적응되어 자국문화와 전통을 소홀히 하였다. 21세기 경제,문화의 중심은 아시아로 이동될 것이다. 중국과 한국은 아시아의 나라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나라 있다. 중국은 아시아권에서 문명의 시발점이 된 국가경제 속도 발전을 하고 국제지위를 많이 올린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과 중국 두 나라 경제,문화적 세계교류는 더욱 필요가 있으며, 양국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 두 나라 사람들이 대부분 서영화 문화와 생활방식을 많이 관심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 두 나라 사람들이 민족자부심이 많은 높을 때문에 양국 중에서 민족적 문화를 관심이 있는 사람이 더욱 많습니다. 그 생활에는 고건축에 대한 바른 이해와 적용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자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 문화와 생활이 담겨져 있는 전통건축에 대한 이해 또한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한국의 조선시대 상류주택건축과 중국의 명청시대 북경사합원은 전통주거건축 중에서 대표건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그 형성의 바탕이 되었던 배경, 자연환경과 생활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연구 목적 조선시대 상류주택과 명청시대 북경 사합원의 이미지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는 외관 이미지는 이용하고 두 나라는 외관 이미지 평가를 하고 분석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한국 조선시대 상류주택 과 중국 명청시대 북경 사합원 주택의 외관 이미지를 통한 구체적인 형용사 어휘 도출과 분석기법을 사용하고 한-중 두 나라의 전통문화가 담겨져 있는 주거건축의 외관이미지분석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접근을 돕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 본 연구는 구체적인 4 단계 연구 진행 고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는 조선시대 상류주택과 명청시대 사합원건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가대상을 수집하였다. 제 2 단계는 외관 이미지 어휘수집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1 단계 수집한 평가대상을 자유 연상기법에 의해 어휘를 추출하여 빈도분석 이용하고 평가어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제 3 단계는 어휘 평가단계이다. 7단계로 구성된 평가표를 설문조사를 실시하다. SPSS에 의한 통계처리 방법 중에서 하나 요인분석을 통해 이미지 표현 어휘의 요인구조를 파악하였다. 제 4 단계는 요인분석 및 요인득점 플로트도분석을 통해 두 건축의 외관이미지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4 단계의 연구를 통해서 조선시대 상류주택과 명청시대 북경 사합원 이미지 어휘를 도출 할 수 있습니다.두 종류 건축 외관이미지 어휘를 비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통합설계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개방형BIM기반의 LOI별 건축설계정보 운용 및 관리에 관한 연구

        박승화 慶熙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8719

        Architecture, a form of spatial as well as public art, is transforming itself into a technology/capital-intensive industry. Along with this change, buildings and spaces are becoming larger, higher and more complex. BIM, o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was proposed as a way to manage these buildings and spaces in a comprehensive manner. With expansion of its applications, as well as integration of highly advanced architectural information, use of BIM has expanded to include such fields as design, construction, facilities management, virtual construction and virtual simulation. Such advancement came with its own issues, however, which included low consistency between BIM data generated at different stages of architectural design. This inconsistency made it difficult to reuse the BIM model in subsequent design stages. Despite various efforts to improve BIM information and ensure consistent use of the model, the use and management of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in integrated design process environments are still affected by the following difficulties. LOD, which has been proposed by a large number of guidelines, is often interpreted in an arbitrary manner before being applied to a project since the stages are not clearly articulated due to obscure or abstract expressions. And the timing and method of information input required by LOD is not clearly specified, which may cause omission of information or erroneous input when transferring the model to the next stage, thereby rendering the BIM model unreliable. And it does not clearly specify who entered the required information, making a room for the responsible party to avoid taking the responsibility for improper management. Lastly, the suitability of the required information cannot be verified, since there is no basis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information entered at each of the LOD stages. To address these issues and construct an integrated design process based on openBIM, the follow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1) Identification of the relevant issues through case study, and organization of standards related with openBIM (2) Analysis of architectur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s, such as COBie (3) Proposal of specified level of BIM model information for each architectural design stag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LOD and LOI (4) Specification of the information type required, timing of input and the party responsible, through the newly proposed LOI (5) Proposal of the method of inputting and expanding valid information, to ensure buildup of reliable architectural information (6) Proposal of verification method for spreadsheet to which LOI stages are applied (7) Proposal of applications of BIM model accumulated and constructed through each stage This Study seeks to propose LOI for different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BIM model for concept design, schematic design, design development, construction documents, post-management and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thereby constructing integrated design processes through reli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BIM model.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allows for verification of who entered information at different stages, as well as when each information was entered, since the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next stage at the completion of works pertaining to the previous stage. This also makes it clear who entered the information, making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party responsible for BIM information. This enhances the reliability of BIM information entered. This enhanced reliability in turn elevates the authority related with BIM model, and allows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model using the accumulated information. Such BIM information with improved reliabilit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remuneration for BIM works, and more efficient integrated design process can be expected through consistent use of BIM data. This allows us to achieve the “3 R’s” of architectural information: Reuse, Refurbish and Recycle. In addition, since LOI Pre-checker module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review the validity of information entered at each LOI stage, we can expect more efficiency in managing the information, as well as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 of BIM information accumulated, such as the Life-cycle Checker module. Lastly, we can expect easier and faster expansion and application of the model by using spreadsheet as the platform for BIM model operation, management and expansion, compared with the existing IFC schema expansion method or user-defined PSet expansion method. 건축은 공간예술, 공공예술임과 동시에 기술, 자본 집약적 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더 나아가 건물 및 공간의 대형화, 초고층화 및 복합화 되어가는 추세이며 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제안되었다. BIM 적용분야의 확대뿐 아니라 고도화된 건축정보의 통합에 따라 BIM의 활용범위는 설계분야, 시공분야, 설비분야, 유지관리, 가상건설 및 가상 모의시험 등으로 확장되었다. 하지만, 건축설계 단계별로 생성된 BIM 데이터 사이에 일관성이 떨어지는 문제들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이후 설계단계에서의 BIM 모델을 재사용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관적인 모델의 활용을 위해 BIM 정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통합설계프로세스 환경에서 건축설계정보의 운용 및 관리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많은 지침서를 통해 제안되고 있는 LOD의 경우, 모호하거나 추상적인 표현으로 인해 단계별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프로젝트에 반영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LOD에서 요구하는 정보에 대한 입력시점 및 입력방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다음단계로 BIM 모델을 이관할 때 정보의 누락이 발생하거나 잘못된 입력정보로 인해 BIM 모델을 신뢰할 수 없게 된다. 더불어 요구정보의 입력주체가 명확하지 않아 부적합한 BIM 모델의 관리에 대한 책임회피가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LOD 단계별 입력된 정보의 유효성에 대한 판단의 근거가 없어 요구정보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개방형BIM기반의 통합설계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1) 사례연구를 통한 문제점 파악 및 개방형BIM 관련표준 정리 (2) COBie 등 건축정보교환(information exchange) 체계 분석 (3) LOD와 LOI의 비교, 분석을 통해 건축설계단계별 BIM 모델정보 상세수준 제시 (4) 새롭게 제안된 LOI를 통해 요구정보의 종류, 입력 시점 및 책임의 주체 정리 (5) 신뢰성 있는 건축정보 구축을 위해 유효정보 입력방안 및 확장방안 제안 (6) LOI 단계가 적용된 스프레드시트에 대한 검증방법 제안 (7) 단계별로 축적되어 최종 구축된 BIM 모델의 응용방안 제안 본 연구를 통해 기획설계, 계획설계, 중간설계, 실시설계, 사후설계관리 및 시공, 운영 및 관리를 위한 BIM 모델에 따른 단계별 LOI를 제안하고 이에 따라 신뢰성 있는 BIM 모델 관리 및 운영을 통한 통합설계프로세스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단계별 정보입력주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단계별 업무 마감을 기점으로 다음 단계로의 정보 인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요구정보의 입력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입력주체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BIM 정보에 대한 책임 여부의 판단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입력된 BIM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향상된 BIM 정보의 신뢰도로 인해 BIM 모델에 관한 권한이 높아지며 축척된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모델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 BIM 정보의 신뢰도가 높아짐에 따라 BIM 업무에 따른 대가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일관성 있는 BIM 데이터의 활용으로 보다 효율적인 통합설계프로세스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설정보의 3R(reuse, refurbish & recycle)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LOI 단계별로 입력된 정보들에 대한 유효성 검토를 LOI Pre-checker 모듈을 이용해 자동으로 시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정보관리가 가능해지며, Life-cycle Checker 모듈과 같이 축적된 BIM 정보의 다양한 응용방안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BIM 모델의 운용, 관리 및 확장의 플랫폼으로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IFC 스키마 확장이나 사용자정의 Property Set 확장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쉽고 빠른 확장 및 응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 준공업지역 상업화에 따른 재생건축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연남동과 성수동 비교분석을 통하여

        이초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제 소비공간은 과시적인 물건을 구매하는 쇼핑 공간으로 해석되지 않고 문화를 소비하는 문화소비공간으로 변화되면서, 문화적 가치와 감성적 소비를 중심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소비공간은 주거지역, 준공업지역의 상업가로 중심으로 문화소비공간의 변화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상업가로의 예술적인 집적에 따른 문화 상업가로가 재활성화되면서 재생공간의 문화소비상점화로 공간적 다양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문화소비공간이 재활성화되는 지역적 특성과 역사, 문화자원, 건축 인프라 등과 연계된 장소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문화소비상점의 공간 재생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서 준공업지역의 상업화를, 재활성화된 주거지역의 문화소비상점의 변화 요인과 비교 분석하여 재생건축물의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큰 목적에 있다. 특히 재생건축물의 물리적인 변화를 성수동의 상업화에 의한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공간의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상업화 의한 건축물의 특성은 첫째, 연남동의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소비상점의 업종 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수직적인 공간 확장이 가능한 상점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성수동은 공장 건축물을 중심으로 재생형 소비상점의 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건축물의 공간변형은 기존 용도의 건축적인 특성을 이용한 수평적인 공간 확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상업화에 의한 용도별 입면 변화는, 외관의 변형방법, 저층부 입면의 변화, 기존 입면의 보존 여부를 공간적 특성으로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건축물의 폐쇄적인 경관을, 입면 투명화와 외장재료의 물성을 보존하는 경관적 변화로, 연남동, 성수동 두 지역의 입면 변화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경관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두 지역의 입면 변화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연남동은 주택 입면을 일부 변경하여 기존 도시조직과 공간의 질서를 재구성하는 반면, 성수동 일대는 경관적, 재료적 특성이 변형되지 않고 보존되는 입면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수동은 도시 기억을 유지하는 공간 재생적 특성을 가지고 업종 및 공간이 변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주거지역의 문화소비상점화에 의한 공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재생건축물의 소비업종을 분석한 결과는, 재생건축물을 통한 카페 용도와 문화적 업종의 복합화 현상을 두 개 지역의 문화적, 공간적 업종의 차이로 변화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남동은 라이프스타일 문화를 중심으로 소규모 주택 공간을 복합화되는 문화소비상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수동은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유휴 산업시설인 공장 건축물과 복합화되는 재생형 문화소비상점의 공간변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용도의 복합화를 통해 밝혀진 문화소비상점의 물리적 변화는, 입면 투명화 및 마감 재료에 의한 외부경관의 보존방법, 내, 외부공간의 변형방법, 새로운 공간 도입, 입면재료의 변형 등으로 나누어서 변화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주거지역 외부경관의 보존 방법은 주택의 구조적인 변형 없이 일부 마감재를 변경하여 외부 입면이 재활성화되는 보존방식이다. 하지만 준공업지역 외부경관의 보존방법은 입면 재료적 물성을 보존하는 경관적인 특성으로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공장 경관을 입면투명화에 의한 시각적인 개방감과 콘크리트를 노출 시키는 재료적인 대비는 문화소비상점의 경관적 상징성으로 표출되고 있었다. 두 번째는 내, 외부공간의 변형은 오픈스페이스의 변화로, 이 공간은 상업행위를 직,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심리적인 활동공간이다. 연남동의 내, 외부공간의 변형은 전면공지, 외부출입구 변형, 반지하 공간의 지상화 등 상업화에 의한 오픈스페이스를 가로변으로 확보하기 위한 수직적인 공간변형이 일어나고 있다. 반면 성수동의 내, 외부공간의 변형은 가로변 건축물의 외관을 보존하면서, 내부 잉여공간 및 하역공간을 이용한 내부 오픈스페이스 공간의 변화는, 수평적인 연남동 오픈스페이스의 공간변형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오픈스페이스의 확보는 문화소비상점 공간의 프로그램이 다각화되면서 공간을 연결하는 중심 공간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세 번째는 새로운 공간 도입은 재생공간의 상업화로 시간적 흔적이 남아있는 공간을 활용한 문화적 예술 행위로, 연남동의 새로운 공간 도입은 1980년대 단독주택의 공간유형을 드러내면서 라이프스타일 문화와 복합화된 공간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연남동 문화소비상점화는 외부 물리적인 요소의 변형과 내부 상점공간을 구획하던 벽과 일부 슬래브를 현재의 상점 기능과 문화적 목적에 부합하는 공간의 변형이다. 이는 주택의 공간유형이 새로운 문화소비를 제안하는 공간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반면 성수동의 새로운 공간 도입은 문화예술적 배경이 되는 공간의 변화와 재생건축물의 공간적 요소를 소비하는 특징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산업시설의 물리적인 요소인 하역공간, 높은 천장, 산업시설의 마감재료 등을 공간 소비적 요소로 재해석하여, 소비상점 기능과 문화적 기능이 복합화된 소비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산업화 시대의 물리적 요소를 유지하는 문화적 재생으로,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이 공존하는 새로운 문화소비공간의 형태로 나타나면서 성수동만의 공간적 정체성이 유지하는 도시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네 번째는 재생공간의 입면재료 변형은 기존 도시가 가지고 있는 건축 재료적인 물성이 변화되면서 가로공간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연남동의 입면 재료적 변형은 기존 주택의 조적, 타일 등이 일부 변형되면서, 1980년대 단독주택의 건축유형이 유리를 통한 개방된 입면을 재현하고 주거지역의 좁은 가로변을 시각적으로 개방감을 주는 공간적 특성이 도출되었다. 성수동 역시 연남동과 유사하게 공장 건축물의 폐쇄된 입면이 상업화에 의해 시각적으로 개방되는 입면 투명화와 기존공장의 입면 재료인 붉은벽돌, 거친 콘크리트면, 페인트 등의 재료적인 물성은 변화되지 않는 준공업 도시의 경관적인 특성이 유지되고 있었다. 또한 대형 외벽 면을 이용한 스트릿아트적 예술 행위는 문화적 공간과 소비공간이 복합화로 변화되고 있었으며, 오프라인 소비상점의 문화적 복합화로 설명할 수 있다. 연남동 상업화는 문화소비공간의 재활성화에 의한 공간적 변화이고, 성수동 상업화는 문화소비공간의 지역적인 특성에 의한 도시공간을 재정비하는 보존방식의 공간적 특성이 지역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변화이다. 본 연구는 준공업지역에서 재생건축물의 변화는 문화소비공간의 지역적인 업종 및 공간을 보존하는 자생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지역적인 공간 정체성을 밝히는 것에 그 의미를 두었다. Today, places of consumption are no longer perceived as places for extravagant shopping. They have turned into places of cultural consumption, where consumers look for cultural values and emotion-driven consumption. Many of these places of cultural consumption have formed around residential areas and commercial streets in semi-industrial district. These changes led to the intensive revitalization of commercial streets into cultural-commercial streets, which has been accompanied by the diversification of regenerated urban spaces led by stores offering opportunities for cultural consump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ores as regenerated spaces showing changes driven by place-specific characteristics including history, cultural resources, and architectural infrastructure. This study is ultimately aimed at deriv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daptive reuse architectur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 commercialized semi-industrial district and the cultural stores in a revitalized residential area.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physical and spatial changes in adaptive reuse architecture in Seongsu-dong by focusing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driven by its commercialization and the area’s cultural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reuse architecture in the commercialized a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tores set up in detached houses in Yeonnam-dong are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degree of changes in business types, and structures allowing for vertical expansion. On the other hand, adaptive reuse stores in Seongsu-dong are mostly based on factory buildings. Spatial changes in these buildings mostly take the form of horizontal expansion utilizing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existing building. Second, changes in facades driven by commercialization were identified in three aspects: how the exteriors have been changed; how the facades of the low level sections of the buildings have been changed; and whether the existing facades have been preserved. These changes in facades change the buildings’ exteriors by introducing transparent facades and preser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cade material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facades were identified between buildings in Yeonnam-dong and Seongsu-dong In Yeonnam-dong, partial changes to house facades l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existing urban organizations and spatial order. On the other hand, facade changes in Seongsu-dong preserved the exterior and materi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s. As such, space regeneration and changes in spaces and business types have been taking place in a way that preserves the area’s urban memori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business types of adaptive reuse architecture set up in existing houses. This study identified diversification of coffeehouses and cultural businesses set up in adaptive reuse architecture, based on the differences in business types between the two areas. Cultural stores in Yeonnam-dong were set up in small housing spaces and focused on lifestyle businesses. Regenerative cultural stores in Seongsu-dong were set up in unused industrial facilities and focused on culture and art businesses. These changes also shed light on physical changes in cultural stores, including preservation of exterior landscapes through transparent facades and finishing materials; changes in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introduction of new spaces; and transformation of facade materials. First, the exterior landscape of the residential area was preserved by partially changing the finishing materials of facades without structural changes to the houses. On the other hand, in the semi-industrial district, the exterior landscape was preserved by preser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cade materials. The landscape of the cultural stores in this area is represented by the contrast between the openness of transparent facades and the exposed concrete. As for changes in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they represent changes to the psychological area offering direct and indirect commercial experience. Such changes in Yeonnam-dong took the form of vertical transformation aimed at securing open spaces on street sides by changing front yards and external entrances, and elevating semi-underground spaces. The changes in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in Seongsu-dong is distinguished from the changes in open spaces in Yeonnam-dong by horizontal changes in spaces using unused internal spaces and unloading areas while preserving the exterior of street side buildings. These open spaces play a central role in connecting different spaces, which accompanied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s in cultural store spaces. Third, the introduction of new spaces represents a cultural and artistic movement accompanying the commercialization of regenerated spaces that utilizes unused spaces that preserve the traces of the times past. The movement in Yeonnam-dong combines the lifestyle culture with the preserv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detached houses in the 1980’s. As suc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stores in Yeonnam-dong is characterized by the adaptation of physical exterior elements and internal partitions and slabs to the current functions and cultural purposes of the stores. The changes resulted in spaces that represent new forms of cultural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the introduction of new spaces in Seongsu-dong is characterized by changes in spaces that form the spaces’ cultural and artistic background and the consumption of spatial elements of the adaptive reuse architecture. As such, various physical elements of industrial facilities (unloading areas, high ceilings, and finishing materials) have been reinterpreted as elements for the consumption of spaces themselves, resulting in spaces of consumption combining commercial functions and cultural functions. Such cultural regeneration preserves the physical elements from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nd creates spaces of cultural consumption where the old co-exist with the new, resulting in urban phenomena that preserve the spatial identity unique to Seongsu-dong. Fourth, the changes in the facade materials of regenerated spaces represent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titudinal spaces. The changes in Yeonnam-dong involve partial changes to the tiles and masonry of existing houses. It is characterized by the replication of the open glass facade characteristic of detached houses in the 1980’s, and the visual openness of the narrow street sides of the residential area. The same changes in Seongsu-dong also involve transparent facades that provide visual openness to previously closed spaces of factory buildings, while preser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used in old factory facades such as red bricks, rough concrete surface, and paint, as well as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semi-industrial city. In addition, the street artworks on large exterior walls represent the combination between cultural spaces and commercial spaces, and the transformation of offline stores into mixed-use cultural spaces. The commercialization of Yeonnam-dong is characterized by spatial changes driven by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commercial spaces. On the other hand, the commercialization of Seongsu-dong is characterized by preservation/rearrangement of urban spaces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commercial spaces, which creates the local identity of the area.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elucidation of local spatial identities by analyzing the business types of local commercial/cultural spaces and the spontaneous changes found in adaptive reuse architecture that preserve the identity of local spaces.

      • 도시주거지 내 오브제적 개념의 공동주택 제안

        김영재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주거란 오랜 옛날부터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필요하고 필수적인 것으로 오늘날의 거의 모든 사람은 자신이 소유하거나 가족과 같은 자신이 속해있는 공동체가 소유한 주거를 중심으로 그곳에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는 역사와 함께 계속 변화되어 왔고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거는 배치, 단위평면, 공용공간에 이르기까지 모든 방면에서 변화되었고 모든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유형의 주거들이 발생되었고 사려졌으며, 오늘날까지도 새로운 것들이 생겨나 유지되거나 변형되며 사라지고 있다. 우리나라 주거는 현재 아파트와 같은 고층화되고 편리화되며 사업성의 극대화와 같이 합리주의적 성향이 강한 공동주택이 늘어나면서 이와 반대로 선택받지 못한, 과거 주택 부족으로 주거를 보급하기 위해 지어졌던, 혹은 사람들이 모여살며 이전엔 그 빈도가 지금의 아파트보다 우세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한 단독주택이 주를 이루는 주거지역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떠나가거나 소외계층이 모여살며 낙후되어버린 채로 남아있다. 이런 낙후된 주택단지들은 지역의 사회·경제가 확산되고 많인 지역들이 재개발되는 상황에서 같이 변화되거나 새롭게 정비되면서 이전의 주택을 허물고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으로 새로이 재건축하기도 하지만, 새로운 주택들은 위의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은 배제되었으며 낙후된 지역의 치안이나 암울한 분위기에는 관심이 없는 비윤리적인 대처였다. 결과적으로는 분명 일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과거의 주택난의 해소를 위해 주거의 양적 부분에서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공공시설 부족과 커뮤니티 공간의 부재, 도시 그 자체의 분위기 개선에 대한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 반쪽짜리의 정비라 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과거에 계획된 단독주택들이 주를 이루는 주택지역들은 낙후되어 버리고 열악한 환경과 더불어 거주하는 사람들은 소외계층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과밀화되고 고층화된 새로운 주거단지와는 사뭇 다른 환경과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비교적으로 사회적 약자들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치안과 방범에 관한 문제도 최근의 아파트 단지보다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거 환경을 재정비하거나 단지 자체를 재건축하기도하지만 이 역시 건물주들의 거주자들의 주거환경이나 편의를 배제하고 기능성이나 사업성과 같은 양적 부분만 고려하는 이기적이고 물질적인 생각이 빠지지 않는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새로운 건축물들이 기존의 낙후된 모습을 벗어날 수 없고 이어나간다는 것이다. 새로 정비된 단지나 새롭게 지어진 건축물들은 당시에는 경관에는 잘 어울려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경관이 주위 환경에 어울리는 것을 넘어 아예 동화되어 다시금 소외된 분위기로 다시 돌아갈 뿐이다. 주거의 외관이나 건출물 자체는 개선되었을지도 모르지만 심각한 치안 문제와 빈약한 방범의 낙후되고 어두운 환경의 주거지 자체의 분위기는 해결되지 않고 여전하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의 계획되어 발생한 도시 내 주거지 중 낙후된 일부 지역을 선정하여 현황과 환경,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선례로 낙후된 지역에 적용되어 새로운 변화를 의도하였던 모포시스의 공동주택 계획에 대하여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 위의 분석한 지역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주거건축유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1동 일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곳의 낙후성을 극복하도록 단독주택지의 변화에 적용 가능한 주거건축유형의 대안을 제시하며, 더 나아가 낙후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그곳의 환경과 치안, 방범, 주민들의 소통의 부재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써 활용가능하기를 기대해본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우리나라 낙후된 도시주거지 중 계획된 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둘째, 분석대상지의 현황과 환경,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셋째, 모포시스의 공동주택에 대한 사상과 계획의 특성을 고찰하고, 넷째, 이를 토대로 계획대상지에 실제 실현 가능한 설계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범위에서 먼저 분석대상지로 선정한 지역은 도시주거지 중에서 단독주택이 주를 이루는 지역으로 주거환경과 단지 내 분위기 등에 대한 개선이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더 절실한 지역이다. 경제 성장에 따라 계획되었지만 현재는 낙후되어버린 단독주택지를 직접적인 답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과거 계획되어 현재에 와서는 낙후되어버린 단독주택지역의 특징과 분위기를 잘 유지하고 있으며, 연구의 방향 등에 가장 적합한 ‘의정부1동’ 일대의 단독주택지역을 분석대상지로 선정하였고, 이 지역을 분석대상지로써 공간적 범위를 한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오래 전에 계획적으로 형성된 주거지는 단지조성과 그 형태의 기원에 대하여 현재로서는 추적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현황과 배치와 도로, 지형과 같은 물리적 분석(Physical Analysis)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석대상지를 공간적 범위로 한정하고 위성사진, 수치지형도, 과거 및 현행 지적도, 항측도, 토지대장, 일반건축물대장, 토지 및 건물의 등기부등본 등 기본 자료와 문헌 고찰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분석대상지에 대한 물리적 분석의 이후에는 오브제적 개념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LA학파의 대표적인 건축가인 모포시스(Morphosis)의 지역과 환경, 건축에 대한 접근방식과 공동주택 건축계획에 한정하여 건축개념과 방법을 추출하고 이를 통하여 분석대상지에 제안될 새로운 공동주택을 계획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는 먼저 기초자료에 대한 분석, 문헌을 통한 고찰, 현장조사을 통하여 분석대상지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기초자료는 관련기관을 통한 분석대상지의 토지대장, 건축물대장, 수치지적도 등을 확보하여 분석을 진행할 것이며, 현장조사와 함께 분석대상지의 최근 혹은 현재의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주민들의 생활환경이나 주거환경의 분위기 등을 파악하려한다. 이러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첫째, 의정부 단독주택지의 총체적인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어 분석대상지의 현황과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대상지가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분석대상지의 배치, 도로 및 주변환경, 지형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셋째, 분석대상지의 계획 및 규모, 법규를 검토하고 제안될 계획을 전제하고 모포시스의 공동주택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여 건축개념을 설정한다. 이어 2장과 3장에서 분석한 자료를 통하여 제시된 현재 분석대상지와 같은 도시주거지 내의 단독주택지를 대신하여 적용 가능하며 새로운 개념의 지속가능한 공동주택 주거건축유형을 제안한다. 넷째,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결론을 도출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낙후된 분위기의 지속과 주민들의 주거생활을 저해하는 요인들이 있으며 향후 난개발의 위험이 있는 이전의 계획 도시주거지에 대한 분석과 새로운 개념의 주거단지로써의 제안을 통하여 문제점과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향후 낙후된 도시주거지의 문제점과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를 통한 새로운 도시주거지를 기대하는 바이다.

      •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소규모 블록 단위 건축 계획 연구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일원을 중심으로-

        한정현 조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As South Kore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60s, the housing shortage has intensified with cities at the center. The new concept of multi-family housing in 1984 and multi-family housing in 1990 was adopted to solve the housing shortage through the high density of housing sites. However, it has developed into a policy and a social one, focusing only on the quantitative supply of housing. Rapid development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and regions has caused many problems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Quantitative developments in a uniform form, exclud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living conditions suitable for residents' lives, revealed weaknesses such as the occurrence of gentrification and the dissolution of communities. In addition, high-rise apartments and multi-generation and multi-family houses were spread in single-family housing complexes, resulting in lack of parking space, lack of green space and invasion of privacy as single-family housing complexes were developed that were not considered along with qualitative factors and land use. Although the national housing supply rate has exceeded 100% since 2010, measures have been needed due to aging as the ratio of elderly housing units over 20 years has exceeded 57%. Especially, as social conditions have changed greatly, such as changes in values, income improvemen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need for various housing readjustment has begun to emerge. As a result, in 2017, the government announced a bottom-up New Deal policy. The New Deal project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urban renewal techniques and improve living conditions for local people, not large-scale redevelopment. In this study, we inte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with the small block unit master pla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agreement, raise the need for a gradual and sustainable small block unit master plan for residents, and explore way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lockage unit development obstacle elements in the study site, to propose the alternative of small block unit master plan, and to propose new possibilities for small block development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and verification. Therefore, the chapter of this study consists of: Chapter 1 first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scope, method, composition and flow of this study. Second, based on the pre-survey review, it is derived from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status of aged and defective dwellings and the need for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small block units. Chapter 2 investigates laws and systems related to old residential areas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to identify trends in residential development and to understand current understanding of obstacles to housing regeneration projects and autonomous building activities in self-development or readjustment in old residential areas. Second, taking into account the theory of block-by-block housing development,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block-by-block housing development to improve old residential areas and restore communities. Third,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architectural convention that can overcome the obstacles of autonomous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old residential area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building agreement are derived and the limitations and complementary points through case analysis are reviewed. Chapter 3 analyzes the status of the target site, and reviews the regulations of written units to deriv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block units. Chapter 4 sets out assessment items to objectively evaluate the direction of planning and alternatives of housing plans for each block based on the need for housing development by block as derived in Chapter 3. In addition, three types of block-unit master plan alternatives are proposed and three kinds of alternatives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existing status and assessment items. Chapter 5 draws a comprehensive conclusion from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