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ffects of Digital-Based Anatomy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윤영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43

        전통적인 카데바 해부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최근 몇 년 동안 기술 발전으로 의료 교육 분야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 소프트웨어가 생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디지털 기반 해부학 교육의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연구로 진행되었다. 첫번째 연구에서는 2019년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으로 의료 교육과 의료 시스템이 약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의 도입과 3차원 해부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수정된 일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부학 교육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3개의 하위단위(상하, 몸통, 머리와 목)로 나뉘었다. 온라인 강의를 제외한 카데바 해부와 필기 및 실기시험은 각각 50여명씩 3개의 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3개의 하위 단위에서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고, 수정된 해부학 일정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점수는 대부분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크게 떨어졌다. 다만, 가상해부학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몸통 세션에서는 2020년 실기시험 점수가 2019년보다 월등히 높았다. 70% 이상(팔다리와 몸통 세션)과 53% (머리와 목 세션) 학생들이 대면 실습에서 해부학을 공부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고 보고했다. 또한, 50% 이상의 학생들이 모든 세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상당한 도움을 받았다. 두번째 연구에서 오늘날의 모든 의학 분야는 디지털 전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본 연구는 의학교육에서 디지털 역량의 통합 필요성을 설명하고, 학부 교육에서 이러한 역량의 구현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디지털 기반 해부학 교육 커리큘럼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교차 무작위 대조 시험이었다. 인체해부학과 신경해부학 실습은 3분반 (A반, B반, C반)으로, 1학년 의대생은 가상 해부 집단 (가상 해부 --> 카데바 해부)과 카데바 해부 집단 (카데바 해부 --> 가상 해부)으로 무작위 분류되었다. 가상 해부실습은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태블릿, 실물 크기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했다. 퀴즈 1은 첫번째 가상 해부실습 또는 카데바 해부실습 후에 해부학 지식을 비교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퀴즈 2와 설문조사는 모든 가상해부실습과 카데바 해부실습이 끝날 때 수행되었다. 인체해부학 실습의 경우, 퀴즈1의 평균 총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C반에서는 가상 해부 교육이 카데바 교육보다 월등히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디지털 기기들 중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태블릿 기반 학습이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신경해부학 실습에서는 가상 해부 교육이 카데바 교육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여주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3차원 디지털 기반 학습이 시체 해부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켰다고 보고하고, 디지털 실습 기기를 통한 가상 해부학 실습 경험에 가장 만족했다. 본 연구는 의학교육에서 디지털 기반 해부학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디지털 기반 해부학 교육은 전통적인 카데바 교육을 강화하는 혁신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cadaver dissection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for various reasons, and technological advances in recent years have produced a variety of digital devices and software in medical education. This thesis was conducted in two studies to develop curriculums applying digital technologies and compare digital-based anatomy education with traditional anatomy education to find out the learning efficacy and satisfaction. In the first study,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utbreak weakened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ystems. Therefore, the effect of the modified schedule with the introduction of online classes and a three-dimensional anatomy applic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as analyzed. Anatomy education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al units (the upper and lower limbs, trunk, and head and neck) due to COVID-19. The schedule was mixed with simultaneous and rotating schedules. Except for online lectures, cadaver dissections, and written and practic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in three classes of approximately 50 students each. Furthermore, students' performance was assessed using three sets of written and practical examinations, and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modified anatomy laboratory schedules. Most of the written and practical examination scor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2020 compared to 2019. However, in the trunk session that used the virtual anatomy application, the score on the practical examination in 202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2019. Over 70% (upper and lower limbs and trunk sessions) and 53% (head and neck session) students reported no significant difficulty in the face-to-face anatomy laboratory. In addition, over 50% of students received considerable help with the anatomy application in all sessions. In the second study, the digital revolution has impacted all medical disciplines. Therefore, the need for digital competencies in medical education and how to incorporate them into undergraduate training using a digital-based anatomy curriculum was addressed. This was a crossov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both Human Anatomy and Neuroanatomy laboratories, there were three classes (class A, B, and C) in the first year of the Department of Medicine, and stud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he virtual group (virtual dissection --> cadaver dissection) and the cadaver group (cadaver dissection --> virtual dissection). The virtual dissection laboratory was conducted via head-mounted displays, tablets, and a life-sized touchscreen. Quiz 1 (Q1) was tested following the first virtual or cadaver dissections. Quiz 2 (Q2) and a survey were conducted at the end of the final procedure in each training modality. Regarding the Human Anatomy laborato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1 mean total score. However, in class C, virtual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cadaver education. Most students felt tablet-based learning was an effective study method among the digital lab resources. Regarding the Neuroanatomy laboratory, virtual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 Q1 than cadaver education. Most students reported that digital-based learning enhanced their understanding of cadaveric anatomy. Stu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experiences of virtual anatomy education through digital lab resources. These studies demonstrate the potential for digital-based anatomy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Digital-based anatomy education can provide innovative learning experiences augmenting traditional cadaver education.

      • 사체를 활용한 의료술기 교육의 적용 가능성 및 유용성

        박재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279

        본 연구는 의과대학 학생들과 수련의 및 전공의를 대상으로 사체를 통한 의료술기를 교육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과 효과를 설문조사 하였다. 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본 결과, 사체를 활용한 의료술기를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질문에 있어 105명(61.7%)으로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수련의(47.6%)와 의과대학 4학년 학생(58.1%)보다 전공의(80.8%)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체를 이용하여 의료술기를 시행하는데 동의하는 물음에는 95명(62.1%)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부분도 수련의(56.7%)와 의과대학 4학년 학생(56.6%)보다 전공의(74.5%)에서 동의하는 응답의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료술기 중 가장 도움이 될 만한 것으로는 봉합술(15.7%)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으며, 다음으로는 기관절개술, 기관삽관술 순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사체를 활용한 술기교육에 가장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 봉합술을 사체와 모형을 이용하여 술기능력을 10명의 학생에서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모형에서는 사체를 이용한 학생그룹과 모형을 이용한 학생그룹사이 봉합술의 술기능력이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사체에서는 모형을 이용한 학생그룹에서 사체를 이용한 그룹에 비해 술기능력이 현저히 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사체를 활용한 의료술기 교육의 적용 가능성 및 유용성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의과대학 학생 의료술기 교육뿐만 아니라 수련의와 전공의 수련과정에서도 이용되어지면 의료술기 수행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For this study, medical students, intern physicians, and resident physicians, were surveyed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medical procedural training using cadavers. In this survey, with a target population of 170 individuals, 105 individuals (61.7%) gave positive responses to learning medical procedures using cadavers. The resident physician group had relatively positive responses (80.8%) compared to fourth-year medical students (58.1%) and intern physicians (47.6%); however, this did not account for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cadavers to medical procedural practices, 95 individuals (62.1%) gave positive responses. Resident physicians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positive responses (74.5%) compared to intern physicians (56.7%) and fourth-year medical students (56.6%). This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Suturing (15.7%) was ranked the most suitable medical procedural to be practiced on cadavers; tracheotomy came second and intubation, third.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two groups of students (10 individuals) practiced suturing on cadavers or models. When they were given mode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turing ability between the model group and cadaver group. However, the model group showed a decrease in suturing ability, compared to the cadaver group, when they encountered actual cadavers. This research confirmed the applic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cadavers for medical procedural training, and an improvement in general medical procedural ability is expected if cadavers are used not only in medical schools but also in intern and resident physician training.

      • 무릎동맥 분지양상의 해부학적 연구와 임상 적용 : Anatomical Study of the Genicular Artery Branching Patterns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양기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279

        The total knee arthroplasty for older patients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standard treatment option, and the number of these surgeries has increased substantially. Although the vascular complications in total knee arthroplasty occur continually, precise studies are scarce. In this study, a cadaveric study of the genicular artery was performed. The atypical branching patterns of the genicular artery were 23.81%. The branching patterns of the genicular artery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The superior lateral and medial genicular arteries were located at + 38.17 ± 3.10 mm and + 32.68 ± 3.83 mm, the middle genicular artery was located at + 7.57 ± 3.98 mm and the inferior lateral and medial genicular arteries were located at - 18.46 ± 2.63 mm and - 24.09 ± 3.52 mm. When the middle genicular artery was combined with the other genicular arteries, the superior lateral genicular artery was located at + 23.77 ± 6.61 mm and branched separately, + 42.82 ± 3.13 mm. In addition, the middle genicular arter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ferior medial genicular artery and the inferior lateral genicular artery, respectively. Its embryological mechanism and effect should be confirmed with larger cases. In this study, the topography of the genicular artery and its anatomical association wer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Knowledge of the topography of frequent variation would be useful for safe surgery and clinical procedures. Moreover this data encourages further development of this concept of variation study. 무릎수술을 진행하는 외과의사에게 주변 구조물들을 얼마나 잘 보존을 하였는가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이것은 환자의 수술 후 예후나 합병증과 바로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무릎수술 중 하나인 무릎관절 전치환술은 한국에서 최근 10년 사이 4배정도 증가하였지만 무릎 주변의 혈관의 변이나 위치 관계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릎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의 위치와 그에 따른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무릎 동맥은 총 6가지로 안쪽위무릎동맥, 가쪽위무릎동맥, 중간무릎동맥, 안쪽아래무릎동맥, 가쪽아래무릎동맥, 내림무릎동맥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저자는 이들 중 내림무릎동맥을 제외한 나머지 5가지 동맥의 해부학적 위치와 동맥 분지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시신 22구, 총 42쪽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릎의 중심을 기준으로 안쪽위무릎동맥은 + 32.68 ± 3.83 mm, 가쪽위무릎동맥은 + 38.17 ± 3.10 mm, 중간무릎동맥은 + 7.57 ± 3.98 mm, 안쪽아래무릎동맥은 - 24.09 ± 3.52 mm, 그리고 가쪽아래무릎동맥은 - 18.46 ± 2.63 mm에 위치하였다. 가쪽위무릎동맥이 단독으로 분지된 경우에 + 42.82 ± 3.13 mm에서 분지되었고 다른 동맥과 함께 분지된 경우에는 + 23.77 ± 6.61 mm에 위치하여 동맥의 분지양상에 따라 위치 차이가 존재하였다. 중간무릎동맥은 안쪽아래무릎동맥, 그리고 가쪽아래무릎동맥과 상관관계가 각각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과의사들에게 동맥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수술과 시술을 시행 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변이에 관한 연구 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 및 학생들의 골학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박재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3279

        기초의학 분야 중 하나인 해부학은 다양한 보건의료관련 직종에서 필수과목으로 배우고 있다. 해부학에서 골학은 단순히 뼈의 명칭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각 뼈의 세부구조 및 임상적 지식을 함께 배우는 되는 학문이다. 따라서 각 뼈에 붙은 근육 및 신경, 혈관의 이름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뼈에 대한 완벽한 이해가 필요하며, 더욱 정확하게 인체의 기본 구조와 기능을 기억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맨눈해부학 경험이 있는 의과대학 학생과 의사를 대상으로 골학 학습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묻고, 골학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하였다. 총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골학 강의와 시험 및 성적 반영에 대해 의과대학 학생보다 의사에서 긍정적인 의견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골학 실습에 대해서도 의과대학 학생보다 의사에 있어 긍정적인 의견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 골학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동문골학(41.8%)을 선택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강의부족 및 모형부족, 공부시간부족, 시험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골학 공부에 있어 어려운 부분을 신체계통별로 파악하고 적정 수업시간 및 공부시간에 대해 알아본 결과 팔, 다리, 척추, 가슴의 경우 학습에 어려움은 적었으나 골반과 특히 머리의 경우는 학습에 어려우며 많은 학습시간이 필요함을 볼 수 있었다. 모든 계통에서 의과대학 학생보다 의사에 있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골학 학습에 있어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세 그룹으로 나누어 학습한 후 골학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을 때 교수강의, 팀기반학습, 자기주도학습 순으로 결과가 나왔으며, 교수강의 그룹에서 성적이 높았지만,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세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골학 교육에 대한 정규교육과정 필요성과 효과적인 골학 교육에 있어 이론 강의뿐만 아니라 실습을 병행한다면 해부학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제언한다. Anatomy is being taught as a compulsory subject in various health care-related occupations. In anatomy, osteology is learning the names of bones and offers detailed structure of each bone and clinical knowledge. Therefore, understanding of bones is needed to learn the names of muscles, nerves, and blood vessels attached to each bone, and helps to remember the basic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 for osteological learning and conducted a survey on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with experience in anatomy to identify the problems of osteolog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n 186 people, doctors showed higher positive opinion on lectures, exams, and grades of osteology than medical students bu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octors showed higher positive opinions about osteological practice than medical students,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nior teaching (41.8%) was selected as the biggest problem in osteological education today followed by a short lecture, lack model, lack of study hours, and examination. Also, students had little difficulty in learning chest, spine, and limbs but showed difficulty in learning pelvis especially the head and required a lot of learning time. It was identified that more time is needed for doctors than for medical students in every system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ree different learning methods were performed and the record of osteology examination was in the order of instruction by lecturing, team-based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group of instruction by lecturing got high grades but showed a large standard deviatio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formal education for osteology education and that combining lecture on theory and practice can raise learning effect of anatomy in effective osteology education.

      •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의 3차원 재구성 기법에 기반한 조선시대 미라 내부장기의 해부학적 형태 및 위치 추정

        고은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279

        조선시대 미라는 수백 년 전 우리 조상들의 건강 및 질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해부학적 연구 대상이다. 최근까지 수백 구의 미라가 우리나라 고고학적 발굴 조사 중 확인되었지만 그 중 의과학적 연구가 제대로 수행된 것은 수십 구에 불과하다. 특히 조선시대 미라의 후손이 아직도 존재하는 경우 조상인 미라에 대한 침습적이거나 파괴적인 검사를 기피하여 연구자가 원하는 대로 검사를 끝까지 수행할 수 없이 미라에 대한 파괴적 검사가 회피 되어 정확한 결론 없이 조사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방법의 일환으로 조선시대 미라 연구자들 사이에는 비 파괴 검사-특히 방사선학적 연구에 대한 기대가 컸다. 하지만 임상 의학 지식에 기반해 살아 있는 환자에 대한 방사선학적 진단 과정에서 축적된 방사선 검사 방법으로 회곽묘 안에서 오랜 시간 변형이 이루어진 조선시대 미라 내부 장기의 보존 상태를 파악해 병리적 소견을 진단-예측하는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다만 임상의학에 기반한 방사선학적 분석법의 직접 적용은 어렵다 해도 조선시대 미라 장기들이 방사선 영상에서 서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면 이러한 경향을 파악하여 미라 연구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 방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파괴적 분석이 불가능한 미라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되겠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들은 미라의 단면 영상 소견만 활용한 것이 대부분으로 내부 장기의 보존 및 변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쉽지 않았다. 따라서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기법을 조선시대 미라 체강 내 장기의 해부학적 형태 및 위치 추정하는데 이용해야 할 필요성이 관련 연구자 사이에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병리학적 부검을 수행하여 방사선 소견과 실제 장기의 확인 대조가 가능한 조선시대 미라에 대해 먼저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분석을 수행하여 이 기법의 기술적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어 기왕에 유족의 반대로 부검이 수행되지 못했던 조선시대 미라 1례에 대해 방사선 영상 소견 분석 만으로 내부장기의 보존 상태를 최대한 추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 중 후자는 구미에서 발견된 조선 중기의 유명 학자 고응척 선생의 미라로서 조사 당시 시신에 대한 파괴적 훼손을 염려하여 부검을 못하고 후손에게 반환했던 경우이다. 이 미라는 비록 부검을 하지는 못했지만 당시 촬영한 방사선 영상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분석 기법이 신뢰성 높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면 이를 통해 파괴적 검사 없이도 고응척 선생 미라 내부장기의 보존 상태와 병리적 소견에 대해 검토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부검 결과를 기 확보하고 있는 사례에 대해 수행한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분석에서는 재구성된 심장과 간이 부검 당시 관찰된 실물과 거의 비슷한 모양을 보여 이 기법의 신뢰성 높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동일한 기법을 고응척 선생 미라 방사선 영상에 대해 적용한 결과 선생의 심장과 간의 3차원적 구조를 성공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는데 그 중 간으로 보이는 구조물은 다른 미라에서 확인 가능한 간 보다 크기가 커서 우상복부에서 좌상복부까지 채우고 있을 정도로 비대의 정도가 심하였다. 방사선 영상에서 간으로 보이는 구조물의 비대 원인을 규명하기는 쉽지 않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임상적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간비대의 원인을 함께 고찰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조선시대 미라 연구에서 부검 등 파괴적 검사의 적용이 어려워 방사선 영상 촬영 등 비파괴적 검사에만 의존해야 하는 사례는 점점 증가할 것이라 본다. 하지만 살아 있는 사람의 경우와 많은 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미라의 특성상 임상적 지식만을 근거로 미라 장기의 보존 상태를 추정하는 것은 문제가 많은 일이므로 보다 확고한 이론적 근거를 가진 방사선 영상 기법 분석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런 면에서 본 연구는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기법이 실제 보존 상태를 어느 정도로 잘 반영하고 있는지 우선 확인하였으며 그 후 부검을 수행하지 못하고 방사선 영상 결과만 남은 사례를 동일 기법으로 분석하여 성공적으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성과는 향후 미라 연구에서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기법으로 내부장기 보존상태 및 병리적 소견의 관찰 등의 분석에 이용하는데 기술적 토대를 이룬다는 점에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본다. 주요어: 미라,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간 비대, 조선시대, 심장 The mummy of the Joseon Dynasty is a valuable anatomical research object that can determine the health and disease state of our ancestors hundreds of years ago. Hundreds of mummies have been identified in archaeological excavations until recently, but only a few dozen of them have been medically and scientifically studied. In particular, when descendants of mummies of Joseon Dynasty still exist, invasive or destructive investigation of the ancestral mummy is avoided, so that the researcher cannot carry out the investigation as desired, and the investigation is stopped without an accurate conclusion. As a way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for non-destructive examination - especially radiological research among the Joseon Dynasty mummy researchers. However, predicting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mumm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radiographic examination was not as easy as expected. Because the mummy organ preserved in the tomb for a long period of time was severely deformed, so it is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judgment only by simple application of clinical and medical knowledge accumulated for the diagnosis of the living patient. However, even if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 radiological analysis method based on clinical medicine, if the mummy organs of the Joseon Dynasty showed similar patterns in the radiographic images, it would be possible to identify these trends and use them for mummy research. If such a task is successful, it will be of great help to the study of mummy, which cannot be destructively analyzed, but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grasp the preservation status of internal organs using only cross-sectional imaging findings of the mummy. Therefore, the need to use the 3D computed tomography technique, which has been rapidly developing in recent years, to estimate the anatomical shape and location of organs in the body cavity of the mummy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increased among related research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tried to confirm the technical effectiveness of this technique by performing 3D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on the Joseon Dynasty mummy, where radiological findings and actual organs could be confirmed and contrasted by performing postfactum autopsy. Conversely, we tried to estimate and report the preservation state of internal organs as much as possible only by analyzing radiographic findings of one mummified case of the Joseon Dynasty, for which an autopsy could not be performed. The latter is the mummy of Mr. Go Eung-cheok, a famous scholar of the mid-Joseon Dynasty, discovered in Gumi, and was returned to descendants after the autopsy was discontinued due to concerns about destructive damage to the body at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Although this mummy did not reach an autopsy, the radiographic images taken at the time were still available. Therefore, if the 3D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technique can produce reliable results, it was expec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review the preservation state and pathological findings of the internal organs of mummy of Mr. Go Eung-cheok. First of all, in this study, the 3D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performed on cases for which autopsy results were already obtained showed that the reconstructed heart and liver showed almost similar shapes to the real thing observed at the time of autopsy, indicating that this technique shows reliable results. Next, the same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radiographic image of Mr. Go Eung-cheok's mummy, and as a result,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heart and liver was successfully observed. The degree of enlargement of guessed as liver structure was severe enough to fill not only right upper quadrant of the abdomen but also the upper left upper quadrant of abdomen. Although it was not easy to ascertain the cause of the enlarged structure of the liver on the radiographic image, in this paper, we considered various causes of hepatomegaly that can be suspected clinically.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apply destructive tests such as autopsies in research on Joseon Dynasty mummies, so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cases where only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such as radiographic imaging should be used will increas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mummy, which differs in many respects from that of a living person, it is problematic to estimate the preservation status of the mummy organ based only on clinical knowledge. So, the need for an interpretation of radiographic imaging techniques with a firmer theoretical basis is increasing more and more. In this regard, this study first checked how well the 3D computed tomography technique reflects the actual state of preservation, and then successfully derived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case where an autopsy could not be performed and only the results of the radiographic image remained with the same technique. This achievement is considered to be of academic value in that it forms a technical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mummies using 3D computed tomography for analysis of internal organ preservation status and observation of pathological findings. Keywords : 3D CT, hepatomegaly, Joseon Dynasty, he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