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김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교직과목 「교육행정」이 예비교사에게 갖는 의미를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 수강 이유와 기대는 무엇인가?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통한 경험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가 속한 교사양성기관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대상으로 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분석을 통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한 학기 동안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서 진행한 참여관찰과 14명의 예비교사와 교수자와의 심층면담,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 70명이 제출하는 자기 성찰 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수강하게 된 이유와 수업에서 기대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들의 수강 동기, 교직과목 「교육행정」에서 무엇을 배울 것 같은지와 수업을 듣기 전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대한 생각을 파악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수강 동기는 ‘임용시험을 준비하기’ 위하여와 별 생각 없이 ‘학점을 채우기’ 위해가 주된 이유였으며, ‘교육행정에 대해 배우기’ 위해 수강한 예비교사들은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이 교사와 학교의 ‘행정 업무를 배우며 이론 중심의 수업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수업을 듣기 전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대해 ‘생소하고, 거리감이 느껴져서 필요한지 의문이 드는 과목’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통한 경험과 그것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예비교사들은 각 교수요목에 대해 거시적 교육행정 이론을 단편적, 수박 겉핥기식으로 다루는 것보다는 실제와 연계된 이론이 더 유익하고 공감이 된다고 하였으며,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전반적 수업 내용에 대해서는 거시적이고 체계적이지만 용어가 어렵고 방대한 내용을 학습하였다고 하였다. 수업 초·중기, 예비교사들은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 의문을 가지고 ‘가질 것은 가지고 버릴 것은 버리는’ 태도를 취하다가 수업 후기, 교직과목「교육행정」이 교사에게 관심을 갖는 ‘유용한 과목’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업에서 얻게 된 점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최종적으로 ‘이상적인 교육에 대한 고민’을 해볼 수 있었다는 경험의 의미를 찾았다고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교직과목 「교육행정」이 ‘교사의 주체성을 신장’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과목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셋째,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았다. 예비교사들은 ‘실제적인 교육행정을 배우기’를 원하고 있었고, ‘교사의 사례를 듣고 배운 내용을 학교 현장과 연결하기’를 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예비교사들은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하며 궁극적으로는 교육 현상을 교육행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성찰적, 교육행정적 사고 함양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이론을 배우는 이유를 알고, 서로의 생각 공유하기’를 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 대한 성찰적 사고와 교육행정적 사고 함양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향후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예비교사, 교수자, 교육행정학 연구자, 그리고 교원양성기관 차원에서의 고민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의 교수자와 교육행정학 연구자는 교육행정학의 내용이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맞게 연계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지난 수업에서 부족했던 점을 강의평가에서 교수자에게 요구하고, 교수자는 이를 적극 수용하여 다음 수업에 반영하며, 교원양성기관에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수자를 제도적으로 독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교육행정을 일찍부터 자주 접하며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대한 공감대를 미리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수업 초기 연구를 진행하며 발견한 사실은 대다수 예비교사들이 생소한 교육행정에 대해 거리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과, ‘수업이 행정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까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이 교육행정이라는 학문에 거리감을 넘어서서 거부감을 가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행정을 수업과 관련된 다른 과목처럼 친숙하게 만들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수강 대상을 확대하거나, 교육행정 관련 교양 강좌를 개설해 안내함으로써 교육행정을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방안이 교사양성기관 차원에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교직 준비에 적합한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 내용 재구성 및 방법 마련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대상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용어가 어렵고 다루는 내용이 많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는 교직과목「교육행정」이 과연 교직 준비에 적합한지에 대한 지속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수업 내용을 교직을 준비하는 예비교사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재구성하고, 수업 방법 또한 그에 맞게 고안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가수준 중심의 교육행정이 주가 되는 내용에서 학교경영이나 학급경영 등의 학교수준 교육행정의 내용을 확대하여 분량을 조정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육행정 이론을 실제 교육과 연계하여 교직을 준비하는 예비교사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수업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단위학교 주도 혁신학교와 교육청 주도 혁신학교의 초등교사 직무만족 차이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윤승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단위학교가 주도하여 자발적으로 학교 혁신을 추진하는 학교와 교육청 주도로 지정 운영되는 혁신학교의 초등교사 직무만족 차이를 비교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 주도 혁신학교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둘째, 교육청 주도 혁신학교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셋째, 단위학교 주도 혁신학교와 교육청 주도 혁신학교의 초등교사 직무만족은 어떤 특징적 차이가 있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범위는 혁신학교를 추진하고 있는 시, 도교육청 중 가장 먼저 시작한 경기도 그 중에서도 G지역 초등 단위학교 주도 혁신학교와 교육청 주도 혁신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제한점은 첫째, 초등학교 중 단위학교 주도 혁신학교 1개교와 교육청 주도 혁신학교 1개교만을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모든 단위학교 주도 혁신학교와 교육청 주도 혁신학교 직무만족의 차이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연구자 자신 미숙으로 제3자적인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에 따라 얻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 주도 별빛초등학교 학교장은 교사 의견을 잘 반영하려 노력하였고, 우쿨렐레, 배드민턴 활동을 매개로 소통하려는 것을 교사들은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장의 자기 방식, 가치관 등을 강요하는 경우가 있고, 여러 활동 진행 과정에서 추진력이 과하다는 측면도 있었다. 동료교사 간에는 상호 편하고 친밀한 인간관계 속에서 자주 대화 진행하고, 서로 도움 주고받는 의사소통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행정실무사와 행정직원이 교사 업무를 많이 지원, 처리해줌으로써 학생 교육에 더 열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었다. 교육청 주도 달빛초등학교 학교장은 혁신학교 운영 전에는 교사와 의사소통하려는 노력이 많이 부족하였으나, 혁신학교를 운영하는 현재는 교사와 소통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장과 교사 간에 편하게 대화하거나 의사소통하지 못함으로 인해 나타나는 인간관계의 불편함은 여전히 있었다. 교육청 주도 혁신학교 추진 과정에서 학교장과 교사, 교사 상호 간 인간관계 측면에서 갈등이 있었다. 이러한 갈등 상황 속에서 일부 교사들이 학교를 떠나고 새로운 교사들이 전입해 오는 과정을 거쳤다. 교사와 행정실무사 및 행정직원과의 인간관계는 불편함 없이 잘 지내고 있었고, 교사의 업무를 많이 지원, 처리해주고 있었다. 둘째, 단위학교 주도 별빛초등학교는 교사 간 업무 희망에 대한 중첩을 막기 위해 교사들이 사전에 모여 서로 조정하고 업무를 희망하였다. 이로써 교사들이 원하는 업무가 거의 그대로 이루어지는 편이었다. 학교 자체적으로 잡무를 발생시키지 않는 업무 처리로 학교 내에서는 잡무라고 생각하는 것은 거의 없었으나, 교육청이나 외부기관에서 다양하게 요구하는 자료 제출이 상당 부분 잡무의 성격을 가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관행적, 행정상 불필요한 것, 보여주기 식 일 처리 등이 거의 없어 학교 업무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업무가 상호 협조적으로 잘 이루어지는 배경 요인은 교사 간 양보, 배려, 협동의 토대 위에 학교관리자의 지원이 더해지고 있었다. 교육청 주도 달빛초등학교는 교부부장과 혁신연구 부장 두 교사가 학교 업무를 집중적으로 많이 처리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혁신학교에서 업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누군가는 그 업무를 책임져 처리해야 하므로 교무부장과 혁신연구 부장에게 업무가 많이 이관되어 처리되고 있었다. 혁신학교 운영 중간에 혁신학교를 어떻게 추진하고 있고, 교육적 효과는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에 대해 계속 교육청에 보고하는 것이 업무 처리 비효율성을 초래한다고 했다. 혁신학교 운영 시 기존 업무를 줄이지 못한 상태에서 혁신 업무가 새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고 했다. 셋째, 단위학교 주도 별빛초등학교 교사는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 연극 및 음악 관련 특색 교육 활동, 스포츠클럽 활동 통해 학생 간 학교 폭력 줄어들고, 학생들이 변하는 모습 보면서 성취감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담임배치, 업무분장, 승진가산점 관련 업무 조정은 교사의 특성과 기호에 맞게 효율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중첩되는 부분이 있으면 사전 대화로 불만 없도록 업무 조정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 교사들은 창의적인 제안이나 아이디어가 학교 경영에 매우 잘 반영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교육청 주도 달빛초등학교의 교사는 프로젝트 학습을 운영하면서 수업한 것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교사들과 의견 나누고 배우는 과정 속에서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었다. 농어촌 지역 학교라 승진가산점 관련해 민감할 수 있는데 2015년 3명 신규 교사들이 전입하면서 승진가산점 현재 필요한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가 반반으로 나누어지고, 교사수가 많지 않아 서로 과도하게 경쟁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관련 업무와 승진가산점 조정 과정은 개개 교사들의 업무 희망을 받고, 교감 면담과 교장 결정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고 했다. 교육청 주도 혁신학교에 있으면서 교사는 교과서보고 수업하면 편할 수 있는데 어렵게 연구하고 수업 적용하는 것, 일반학교에서 하는 업무보다 플러스알파를 더해야 하는 부분에서 오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주로 회의나 교육과정 반성 통해 교사 요구 및 제안하면 서로 의견 나누고, 그 필요성에 대다수 교직원이 공감하면 학교 경영에 반영되어진다고 했다. 이상과 같이 단위학교 주도 별빛초등학교와 교육청 주도 달빛초등학교 교사 직무만족을 인간관계 측면, 담당 직무 측면, 교사 전문성 신장 측면에서 질적 사례 연구로 살펴보았다. 어느 한 측면도 단위학교 주도 별빛초등학교에 비해 교육청 주도 달빛초등학교 직무만족이 높다고 분석, 해석할 수 없었다. 단위학교 내에서 학교장,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가 혁신 주도의 주체가 되어 자율성과 민주성을 기초로 개개의 특성, 상황, 여건에 맞는 혁신학교를 점진적으로 만들어 가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와 가치가 있다.

      • 동학년 협의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남윤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년 협의회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기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나아가 이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로는 첫째, 현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동학년 협의회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동학년 협의회는 교사들에게 어떤 기능을 하며 교사들은 개인배경(성별, 직위, 교직경력, 학교규모)에 따라 동학년 협의회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동학년 협의회를 저해하는 요인과 촉진시키는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동학년 협의회를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울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설문지 전체를 전체 분석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되는 성별, 교육경력, 학교규모, 직위별 변인에 대해 x²검증을 하였으며 SPSS Win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의 대부분은 동학년 협의회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내자율장학에서 교육활동과 교육과정 개선의 목적을 최우선으로 두었으며 이를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장학은 동료장학이라고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다. 이러한 동료장학의 한 형태인 동학년 협의회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배경변인별로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상당수의 교사가 시간의 확보를 필수조건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가장 직접적으로 개선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은 교육활동과 교육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활동 및 학교생활을 위해서 가장 도움을 받고 싶은 상대로는 동료교사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여 대다수의 교사가 여러 장학 중에서 동료장학을 부담 없이 느끼고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현재 동학년 협의회는 대부분 주2~3회 이하로 운영되고 일과 중 수업을 모두 마친 후에 운영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때에 논의되는 주제로는 학교업무 전달이 51.5%였고, 교육과정 지도와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이 그 뒤를 이었다. 동학년 협의회가 이루어지는 방식은 주로 다과를 곁들이면 안건 준비 없이 자유롭게 실시한다는 의견이 57.5%로 가장 많았다. 이것으로 보아 현재 학교현장에서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여러 교육활동이 논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체계적이거나 준비된 형태가 아닌 다과회의 형식을 빌어 운영되고 있는 학년이 많았으며 학교 차원의 지원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교사들이 동학년 협의회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동학년 협의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많은 교사들이 과도한 학교 업무와 잡무로 인해 시간의 확보가 어려움과 학교차원의 재정적인 지원 및 시설확충 등의 여건 조성이 미흡함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학년 협의회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저해요인의 제거와 더불어 관리자들의 인식 변환 및 물리적인 환경 조성과 교사들의 적극적인 태도 및 구성원들 간의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초등교사로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간의 래포 형성 및 협동적인 교사 관계 형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목적의식 및 기대를 갖고 동학년 협의회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나온 제안 및 건의안을 학교교육과정 수립과 운영에 반영하고 학기 초에 동학년이 구성될 때 교사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금보다 의도적이고 계획적이며 체계적인 동학년 협의회가 전개되어야 하며 학년 연구와 동학년 단위의 다양한 연수를 실시하고 각 학년마다 동학년 협의실을 마련하여 주며 필요한 기자재 등을 제공하여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after examining the condition of same grade councils, problems related to the counci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issues include; firstly, this study explored how same grade councils were managed in an elementary school. Secondly, the study examined how same grade councils worked for teachers and how teachers recognized same grade council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such as genders, positions,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size of schools). Thirdly, the factors that retarded same grade councils and the factors that promoted same grade councils were examined.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concrete plan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by applying same grade councils. A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study issues, who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x² test was conducted for the variables of genders, educational experiences, the size of a school, and positions that were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SPSS Win program was used to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firstly, a majority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ame grade councils. They agree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urses were priority in inner school self-supervision and peer-supervision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ey thought that a same grade council, as one of peer-supervision types, was important,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believed that securing time was necessary although some differences in background variables were observed, and they recognized that a same grade council had a direct effect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courses. Most teachers recognized that peer-supervision among various encouragements was the most effective and easy method, peer teachers claimed overwhelming majority to ask help in teaching activities and school life. Secondly, based on the answers, most same grade councils were held after school and two or three times a week. School work delivery was 51.5% as a discussed subject followed by the guidance for educational course,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57.5% of respondents replied that a same grade council was held, offering refreshments and free discussion without any preparation of agenda. Based on the results, although a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are discussed through a same grade council at a school, most same grade councils has not been established systematically or well prepared. They have been held like a meeting with refreshments and had no supports from school. Therefore, although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 same grade council, it has not been vitalized yet. Thirdly, it is recognized that the factors that retard a same grade council were the difficulties in securing time due to excessive school works and the lack of sufficient financial supports from school and the expans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growth of a same grade council, the efforts to eliminate negative factors mentioned earlier, changes in recognition, physical environment, teachers' active attitudes and two-way communication among members are required. Lastly, in order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through a same grade council, the establishment of Rapport among teachers and cooperative teacher relations should precede. In addition, they should participate in a same grade council with a sense of purpose and expectation, reflect suggestions and proposi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courses and management, and consider th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in the early semester when same grades are form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a same grade council be held deliberately and systematically, a variety of training courses for grade studies and same grades be conducted, a council room be prepared for each grade, and necessary tools and materials be offered.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연구

        장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이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담당교사의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과 방과후학교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점을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어떠한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포커스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포커스 인터뷰는 충청남도에서 근무하는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포커스 인터뷰에 사용된 질문은 교육과학기술부의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 및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정책이 정규 수업을 보완하는 다양한 교육경험을 사교육기관에 비해 저렴하게 제공하여 학교의 교육기능을 보완하고 소외계층 학생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적인 지원, 예산의 융통적인 사용, 업무의 경감, 실질적인 인센티브 제공, 운영에 관한 교육청의 행정적 지원 등에 관한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ews that teachers have about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extracurricular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my research will address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what ar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for elementary students? Second, what are some teacher's ideas on improving these programs? In this study, focus interviewing w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The subjects were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the Chungchengnamdo school district. The instruments used were questionnaires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is after-school program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eachers have a positive perception about after-school programs. These programs supplement the regular education students receive, at little or no cost to the families. This makes it very affordable for low-income families, and offers the various experiences to every student. It is mandatory to thank the education offices for having a flexible budget that supplies the equipment and money needed to support these after-school classes. Overall, it is this positive outlook of teachers and education offices that make these programs possible.

      •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조미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이 연구는 도시화 및 저 출산현상으로 농 · 어촌 초등학교의 소규모화가 가속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공주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의 학교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 실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의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주시 소재 25개 소규모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182부를 배부 하였으며, 160부 회수, 최종 분석 자료로는 총 150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는 소규모 초등학교에 과한 일반적인 사항과 운영 실태,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으로 총 3개 영역의 3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처리는 SPSS WIN 12.0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효율적인 소규모 학교 운영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소규모 학교 관련 교육 및 연수 경험에 대해 대부분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학교는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업무의 분업이 이루어 질 수 없는 조직 구성상의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소규모 학교에는 신규 임용되는 교사들이 주로 배치되고, 학교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교장 역시 소규모 학교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을 가진 자가 배치되지 못하고 있으며 직전 교육 과정에서도 소규모 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적인 양성·공급해 내지 못하고 있어 소규모 학교는 그 운영 과정 면에 있어 현대 조직에서 볼 수 있는 고도의 객관성 및 과학성을 기하기 어려워 효율적인 학교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둘째, 소규모 학교 교사의 업무 경감을 위해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점점 소규모화 되어 가는 농 · 어촌 지역 초등학교에 대한 통 · 폐합에 대해서 다소 지지한다는 긍정적인 견해는 과중한 업무 부담이 원인임을 알 수 있다. 학교 규모에 따라 업무의 양에는 별 차이가 없으므로 소규모 학교 교사의 업무량은 실로 심각한 문제이다. 셋째, 소규모 학교 교육 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소규모 학교 교육 과정 운영에 있어 교과 지도, 계발 활동, 교내외 행사 활동 대해서 대해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 소규모 학교는 복식 수업으로 인해 아동의 기초 학력이 부진하고, 소인수 · 복식 학급에 알맞은 교육 과정이 없으며, 과중한 업무로 교재 연구 시간이 확보되지 않고, 교과 전담 교사도 없는 실정이라 학생들의 교과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교사와 학생 수 및 다양한 특기를 지닌 교사가 부족하여 계발 활동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학교 규모를 배려하지 않는 각종 행사와 실적 위주의 운영으로 행사 활동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소규모 학교 교사들의 복지 차원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후생 복지 차원에서 원거리 통근, 낡은 사택, 잦은 당직 근무, 학교 버스 차량 탑승 등 업무와 더불어 교사들이 겪어야 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소규모 학교는 지리적으로 농촌 벽지에 위치한 학교가 많아 원거리 출근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낡은 사택이 많아 생활상의 불편을 겪고 있다. 또한 조직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학기 중뿐만 아니라 방학 동안에도 자주 당직 근무를 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소규모 학교 통 · 폐합으로 인해 학생들의 등하교의 버스를 탑승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농 · 어촌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나아가 소규모 학교의 특성에 맞는 학교 운영 체제를 마련해 소규모 학교의 운영의 효율화를 기하도록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downsizing of rural and fishing village is accelerated due to urbanization and low birth, the following questions are made for seeking the effective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issues and operational status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First, what is the teachers's cognition toward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 Second, what is the issues of operational status of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 Third, what is the improvement in operation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 To solv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bout 18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at 25 elementary schools of Kongju. About 16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5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tool was composed of 32 questions in 3 field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operational status and, issue of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and transacting the collected data and Cross tabulation(Chi-square) was conducted to seek a difference between frequency analysis and the related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ined for solving issues of the study. First, the active measure is necessary for the effectual operation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Most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no experience in small-sized school 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The small-sized school has a speciality in the organizational constitution that division of works can not be made due to small size. Moreover, newly appointed teachers are mainly positioned in the small-sized school, a principal with any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small-sized school is not positioned and the professional teachers who are able to operate the small sized school are not trained in a curriculum. As a result, the effectual school operation is not conducted in the small-sized school because the superior objectivity and science are not pursued in aspect of operational process. Second, the active measure is necessary for reducing teacher's works of the small-sized school. The positive opinion on unifying and abolishing the elementary school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that is being gradually downsized is likely to be a cause of excessive workload. Teacher's workload of the small-sized school is, in fact, serious problem because workload is unrelated to school size. Third, a strive to normalize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cess in the small-sized school is necessary. Issues of course guidance, development activity and event activity inside and outside a school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cess of the small-sized school were cognized. As double class in the small-sized school is conducted, the foundational study capability of the children is insufficient, there is no suitable educational process for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double class, the sufficient time is not provided for a study of textbooks due to excessive workload and undergo a lot of difficulties in guiding a course of study because there are no the course responsible teachers. Besides, undergo a lot of difficulties in development activity due to insufficient number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teachers with a variety of special ability. Undergo a lot of difficulties in event activity due to several event and results-centered operation without considering school size. Fourth, considering welfare for the teachers in the small-sized school should be made. long distance commute, being often on-duty, taking school bus and works in an aspect of welfare are serious problems that the teachers will suffer. Long distance commute arises quite often because the most of small-sized schools tare geographically located in rural area and suffer inconvenience in life due to old school residence. Besides, often duty is required during semester period and school break due to small size of organization and taking students's bus due to unification and abolition of the small-sized school.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mprove the issues of operation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and further, strive to raise the operational effectuality of the small-sized school by preparing the suitable school operation system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small-sized school.

      • 초등학교의 예비교사 교육실습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백승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실습의 운영 체계를 분석하고 이에 참여하는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가 어떠한 행동방식과 의식을 보이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교육실습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마음초등학교의 교육실습 체계는 어떠한가? 둘째, 한마음초등학교의 교육실습 과정에서 교육습생과 지도교사들은 무엇을 경험하며 어떻게 활동하는가? 셋째, 한마음초등학교의 교육실습 과정에 참여하는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의식과 태도 등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구시 소재 한 공립초등학교의 교육실습 과정에 참여하는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면담을 병행한 문화기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교육실습생의 실습록, 교육실습 관련 공문 등의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실습 수행을 분석한 결과 교과지도와 학급경영 및 행정업무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교과지도와 관련하여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이를 교육실습의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수업 전문가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었다. 둘째, 학급경영과 행정업무에 있어서는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학교의 생생한 실상과 마주하며’ 직접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배우고 가르치고 있었다. 교육실습 과정의 여러 현상을 분석한 결과 참여 태도, 어려움과 해결, 인간관계로 특징지어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참여 태도 부분에 있어서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는 ‘초심으로 돌아가 당당하고 열정적으로’, ‘나는 교사다’라는 자부심을 키워 나가고 있었다. 둘째, 교육실습 중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는 ‘부담스럽고 생소한’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를 ‘부딪쳐서 이겨내는’ 모습도 보였다. 특히, 교육실습생은 교수·학습안 작성과 수업 실행에 상당한 부담을 가졌으며, 지도교사는 수업 공개 및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으로 어려워했다. 이에 시행착오를 겪고 실전에 부딪쳐보며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모습이었다. 셋째, 교육실습 과정 중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학교 내 구성원 간에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었다. 관계를 맺는 대부분의 주체들과 ‘친근하게 가까이’ 지냈으며, 동료 교육실습생과 동료 지도교사에 대해서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서로 진심으로 도와가며 지냈다. 교육실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실습생의 경험과 수행 등은 학교생활 중 교과지도 영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실습을 통해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긍정적인 교직 의식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의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의 과정을 밝혀주고, 교육실습의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 예술계 고등학교 예술교과 전임교사 직무만족도의 공?사립 간 비교

        이내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예술계 고등학교 예술교과 전임교사의 공·사립 간 직무만족도 차이를 비교하고 이를 통하여 전문예술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과 사립 예술계 고등학교 예술교과 전임교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공립과 사립 예술계 고등학교 예술교과 전임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직무만족도 설문지를 활용하여 양적연구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가지고 질적연구를 실시하는 설명적 혼합연구를 사용하였다. 양적연구대상은 전국의 공립 6개교 사립 17개교 총23개교의 예술계 고등학교의 음악, 미술, 무용교사이며 배포된 설문지는 총 271부로 그 중 회수된 239부를 통계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차이검증은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과 통계처리는 SPSS ver.18.0을 사용하였다. 질적연구대상은 공·사립 예술계 고등학교 교사 각각 4명 총8명으로 개인면담을 진행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립 예술계 고등학교 예술교과 전임교사의 배경변인은 전공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공·사립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사립 예술계 고등학교 예술교과 전임교사 직무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발전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립예술고(M=3.54)가 공립예술고(M=3.37)보다 직무만족도 측정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보상, 근무환경, 업무부담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질적연구 결과 공·사립 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해 현장교사들은 사립이 공립보다 행정지원, 교육환경면에서 배려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사립이 공립에 비해 학교운영의 자율성이 발휘되기 쉬우며, 공·사립 간 인사제도의 차이에서 비롯된 업무의 효율성과 일관성 역시 사립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문예술교육기관이 늘어나면서 우수학생들의 명문 사립으로의 쏠림현상이 심화되어 공립 예술고의 경우 우수학생 유치와 학생교육활동에 대한 어려움이 표출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예술계 고등학교 예술교과 전임교사 직무만족도는 공립이 사립보다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전문예술교육의 양적확대라는 성과 이면에 공립 전문예술교육기관의 내실화가 강구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공립 예술고등학교 예술교과 전임교사 직무만족도의 향상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과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교무행정사 도입에 따른 전라남도 공립 중학교 교사의 업무경감에 대한 인식 조사

        최태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학교에서 교사가 가르치는 일과 학생들을 보살피는 일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교무행정사제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으로 교무행정사제도 도입에 따른 전라남도 공립 중학교 교사의 업무 경감 정도와 제도 운영의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무행정사제도 운영에 따른 전라남도 중학교 교사의 업무 경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무행정사제도 운영의 개선 방안에 대해 중학교 교사들은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설문지 문항을 설계하였고 지도교수의 지도를 통해 설문지 문항을 제작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소재 60개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358부이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ver.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과 χ2검증, F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무행정사제도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고 느끼는 정도는 부장교사 집단과 교무부서, 정보부서에 속한 집단이 상대적으로 높고, 0~4년 경력에 해당하는 집단과 19학급 이상의 규모에 속한 집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무행정사제도 도입에 따라 업무 경감을 느끼는 정도는 비 담임교사, 19학급 이상의 규모에 속하는 교사, 교무부서와 학생부서 및 정보부서에 속한 교사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무행정사제도 운영을 개선하기 위해 교무행정사 배치 인원 증원, 급여 및 수당 지급 수준 개선, 전 교사에 의한 평가로 변화, 교무행정사 선발 및 배치 주체 변화가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업무경감을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업무 명확화는 매뉴얼이나 지침 또는 막연한 짐작으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확화 해야 할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당사자 사이에 얼마나 자주 접촉하며 협력하여 업무를 처리하느냐에 달려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교무행정사가 지원할 수 있는 업무의 분야와 책임 및 권한의 한계로 인해 교사 배경 변인별로 업무 경감을 인식하는 정도가 다르고, 학교 규모에 따른 특성이 분명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이고 산술적인 논리에 의한 배치 기준으로 학교 규모별로 업무 경감을 인식하는 정도가 달라서 올바른 제도 정착을 위해 지속적인 제도 개선의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교무행정사제도 도입에 따른 전라남도 공립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업무경감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며, 바람직한 방향으로 학교가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교육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무행정사 배치 인원을 점차 증원해야함을 보여준다. 넷째, 학교 구성원 모두를 만족시키면서 교무행정사제도가 바르게 정착하기 위해 교무행정사에대한 처우는 조금씩 개선되어가고 있으며, 추가로 교무행정사의 급여 및 수당 지급 수준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교무행정사제도 개선을 위해 업무 내용을 실제로 공유하고 협력하여 처리하는 일선 교사들의 의견이 배제된 현재의 평가 방식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여섯째, 교무행정사를 선발하고 배치함에 있어서 주체가 달라짐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여 차이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대안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중학교 신규 교사의 교직 적응 사례 연구

        송유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중학교 신규 교사들이 부임하여 교직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과 교직 적응 과정 중 겪는 어려움, 그리고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과정, 마지막으로 교직 적응력 향상을 위한 신규 교사들의 목소리를 듣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직에 적응하기 위하여 신규 교사들은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둘째, 교직 적응 과정에서 신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신규 교사들은 교직 수행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 해 나가고 있는가? 넷째, 신규 교사들은 교직 수행 과정에서 어떤 도움을 받기를 원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직 적응 영역을 5가지(교과 지도, 학급 경영, 생활 지도, 업무 분장, 관계 맺기 영역)로 나누어 전라북도 내 중학교 신규 교사 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교사가 학교에 부임하여 교직에 적응하기 위해 교과 지도 영역에서는 ‘학생들이 살아있는 수업 만들기’, ‘수업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배우고자 하는 마음과 행동’, ‘같은 교과 교사 또는 교사 동아리에서 도움 받기’를 통해 질 높은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 하였으며 학급 경영 영역에서는 ‘학생들과 눈높이 맞추기 그리고 긍정적인 학급 분위기 형성하기’, ‘목표와 기준이 있는 학급 운영과 학생들에게 역할 분담하기’를 하며 담임교사로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생활 지도 영역에서는 ‘학생과의 거리감 없애기’와 ‘단호하고 일관되게’ 학생 생활 지도를 하였다. 업무 분장 영역에서는 ‘해야 할 업무 기록하고 우선순위 정하기’, ‘기존 자료 활용하기 또는 선배 교사에게 도움 요청하기’로 신규 교사가 처음 맡은 업무에 적응해 나가고 관계 맺기 영역에서는 관리자, 동료 교사, 지역사회와 행정실 직원과의 관계를 적절하게 형성하며 업무적으로 도움을 받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신규 교사가 교직에 적응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 교과 지도 영역에서는 ‘수업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오는 두려움’, ‘학급 분위기 또는 학생마다 다른 반응’과 ‘가르쳐야 하는 과목의 지식의 부재’로 인해 곤란함을 겪었고 학급 경영 영역에서는 ‘학급 경영 기술 부족’과 ‘교사와 학생 간의 친밀감과 통제 사이의 괴리’를 맛보기도 하였다. 생활 지도 영역에서는 ‘모범 답안이 없는 생활 지도’와 ‘상담 기술의 부족’, ‘가정교육과의 차이’로 인해 일관성 없는 생활 지도로 난감하다고 하였고, 업무 분장 영역에서는 ‘업무의 생소함’, ‘업무 처리 시간 부족’과, ‘학교 교직원과 협조 부족’으로 교직 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렵다고 하였다. 관계 맺기 영역에서는 관리자와의 신뢰와 믿음이 깨짐으로써 관계의 회복성이 어렵고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서로 다른 가치관과 업무 분장에 대한 불만과 갈등이 심화된다고 하였다.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는 나이가 어린 신규 교사에게 ‘무시성 발언을 하는 학부모’와 거절하기 어려운 부탁을 하여 힘이 든다고 하였다. 또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서는 각 기관의 설립 목적이 다름에 따라 오는 차이, 행정실 직원과의 관계에서는 업무 분장의 애매모호함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셋째, 신규 교사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많이 도움을 요청하고 기대는 사람이 관리자와 동료 교사라고 말하였다. 이밖에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과 지도 영역에서는 ‘다양한 자료 활용하기’와 ‘교사 동아리 참여’를 통해 수업 방법을 개선해 나갔고, 학급 경영 영역에서는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모습을 보였다. 생활 지도 영역에서는 학부모님의 협조를 받아 학교 내․외에서 ‘일관되게 생활 지도’를 할 수 있게끔 하였고 교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립심을 기르기도 하였다. 관계 맺기 영역에서는 갈등이 있는 관리자와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모습과 교사와의 경우는 다른 교사들 간의 갈등 사이에서 중립성을 유지하였고 자신과 문제가 발생 시, 솔직한 마음을 보여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기도 하였다. 학부모와 행정실 직원과의 관계에서도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넷째, 신규 교사가 교직 수행 과정에서 바라는 요구로는 실질적인 연수를 통한 자기 성장의 기회 마련, 수업 연구시간 확보 요구와 교과 협의회 또는 교사 동아리 활성화, 보다 자세한 업무 매뉴얼 개발 요구, 교육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학급당 학생 수 조정, 일관성 있는 생활 지도 교육과 지역사회 협조 요구, 마지막으로 학부모와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정기적인 학부모 교육 실시에 대해 언급하였다. 대체로 신규 교사들은 낯선 환경으로 인해 처음에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주변의 도움을 받거나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교직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중학교 신규 교사의 교직 적응 과정을 밝혀주고, 교육청 또는 학교에 신규 교사가 교직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주제어 : 신규 교사, 교직 적응 ※ 이 논문은 2016년 8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교육행정)학위 논문임.

      • 복잡계 이론을 적용한 교원성과급제 변화 분석

        황규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교원성과급제의 변화 속에서 나타난 복잡계의 특성과 행위자들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원성과급제의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즉, 기존의 양적 연구 중심의 정책분석 연구보다는 추론과 은유를 통해서 정책형성 과정, 정책형성을 위한 환경, 정책 변화를 위한 행위자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입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복잡계 이론을 활용하여 교원성과급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교원성과급제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의 추론과 은유적 분석을 활용한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방법을 통해서 국내에 발표된 연구논문들과 교육부 정책발표자료, 언론의 보도자료 등을 중심으로 교원성과급제를 분석하였다. 또한, 복잡계 이론을 토대로 교원성과급제의 정책과 현상을 다양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원성과급제의 변화 속에서 나타난 복잡계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교원성과급제의 도입 이후, 관련 행위자들 간의 어떠한 상호작용들로 인하여 교원성과급제가 변화되어왔는가? 셋째, 복잡계 이론을 적용한 교원성과급제 변화 분석이 향후 교원성과급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얻어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 중 나비효과는 1997년 IMF 경제위기였고, 정치적으로 진보성향을 가진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권)의 등장은 끌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의 비선형성은 처음 도입될 때부터 지금까지 정책관련 집단들의 대립과 갈등이 시스템 내부의 엔트로피를 증가시켜 시스템을 무질서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교원성과급제가 언제 어떻게 어떤 모습으로 시행될지 알 수 없었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둘째,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의 공명장은 2002년 교원성과급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로 외부적으로는 교원성과급제의 시행과 폐지에 대한 논의, 내부적으로는 성과에 대한 평가기준이나 평가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 중 임계점은 교육부가 어느 정도 합의된 교원성과급제를 발표한 2002년 9월로 볼 수 있다. 그 임계점을 통과하면서 2005년까지 교육부를 비롯한 교원단체 등의 각 행위자들 간 팽팽한 논의의 과정을 거치면서 시스템은 점차 창발적인 변화가 시작되었다. 셋째,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의 비평형성은 2001년 성과급이 도입된 이래로 점차적으로 제도가 안정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1년 학교성과급의 도입으로 인해 또다시 정책 관련 행위자와 다양한 집단 간 긍정·부정의 되먹임이 혼재하고 있는 무질서의 상태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두드러지게 되었다. 급변기에 각 행위자들과 클러스터들은 활발한 긍정·부정의 되먹임을 통해서 서서히 새로운 질서를 형성해가고 있었다. 각 행위자들과 클러스터들은 자신들의 패턴을 유지하면서 시스템의 창발적 변화를 위해 노력하였고, 2005년 시스템이 임계점을 지나면서, 그리고 2011년 학교성과급제가 도입되면서 되먹임 작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시스템 변화의 가능성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고 교원성과급제 변화와 관련된 각 행위자들은 고유의 패턴을 유지하면서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행위자들끼리 선호적인 링크를 통해 클러스터를 형성하였다. 넷째, 교원성과급제는 급변기를 거치면서 긍·부정의 되먹임을 통해 프랙탈 구조를 형성하였고, 자기조직화를 위하여 교육부가 교원성과급제를 2016년 개인성과급으로 일원화하고, 2018년 차등지급비율을 50%로 낮추는 등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함과 동시에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모든 시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던 정부가 2017년 갑작스럽게 교체되면서 교원성과급제 또한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다음으로, 교원성과급제 변화 속에서 나타난 정책관련 행위자의 특성과 복잡계 네트워크의 동태적 변화과정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정기는 1995년 11월 중앙인사위원회에서 ‘성과급지급 지침’을 발표하면서부터 2001년 1월 공무원수당규정을 개정하기 전까지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정책결정 관련 주요 행위자는 교육부로서 교원성과급제의 실행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성과급과 관련하여 평가 기준과 방법 등이 정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함에 따라 평가결과에 대한 불복 및 조직원 간의 갈등문제 등 부작용을 우려하여 첫 시행에 앞서 성과급 지급대상을 확대하고 지급률 격차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했다. 교육부의 이러한 논의에 대해 학부모 및 언론사들은 긍정의 패턴을 보였지만, 현장 교원과 교원단체들은 반대의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혼돈기는 2001년 교원단체들의 반대로 지급이 유보되었던 것부터 2002년~2005년 교원성과급제의 초기시행 모델이 적용되기까지이다. 이 시기 각 행위자들은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교육부를 중심으로 하는 정부 클러스터, 학부모단체를 중심으로 하는 학부모 클러스터, 전교조와 한국교총을 중심으로 하는 교원단체 클러스터가 그것이다. 특히 교육부가 중심이 되는 정부 클러스터가 가장 강력한 정책실행 의지를 가진 클러스터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급변기는 2006년 7월 성과급의 차등지급비율이 10%에서 20%로 확대되는 것을 시작으로 차등지급비율이 2010년까지 50%로 확대되었으며, 2011년에는 학교성과급이 등장했다가 2015년을 마지막으로 사라진 시기까지이다. 이 시기 주요 행위자인 교육부는 교원단체의 지속적인 반발에도 불구하고 성과급의 차등지급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이면서 제도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부는 교직사회에 경쟁체제를 도입하여 교사들의 동기유발을 도모하고, 이를 통하여 공교육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어 교원성과급제의 취지와 목적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시기는 가장 많은 제도적인 시도와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신안정기는 2016년 교원성과급제 중 학교성과급을 폐지하고 개인성과급으로 일원화된 것부터 2019년 현재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차등지급비율이 점차 축소되거나 유지되는 형태로 바뀌고 있으며, 교육부에서 지고 있던 부담을 학교단위로 옮기고, 학교의 자율성을 확대하여 각 학교별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교원성과급제는 복잡한 상황 속에서 수많은 정책관련 행위자와 메타 행위자들이 새로운 질서를 창발하는 하나의 계로서 복잡계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안정기, 혼돈기, 급변기, 신안정기의 단계를 거치며 점차 안정화되는 시스템이란 것을 알 수 있다. 교육현상에 대한 복잡계적 인식은 교육정책 관련 행위자들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정책의 실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 교원성과급제를 안정적인 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정책 관련 행위자들의 패턴을 이해하고 되먹임 작용을 통한 대화와 타협, 토론과 협의라는 민주적 과정을 통해 정책이 형성되고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은유하고 있다. ※ 이 논문은 2020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교육행정)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