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後期 群盜談의 下位主體的 性格 硏究

        XUE XIAOSO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1999

        《朝鮮後期群盜談的下位主體的性格研究》 这篇论文的主要研究对象是朝鲜后期野 谈中的群盗谈。 。 本文由五章构成 第一章主要介绍了本论文的研究主题,研究目的和研 究方法。首先通过对迄今为止关于朝鲜野谈研究中群盗谈的研究史及下位主体的研究史 进行了探讨和整理。并且对于群盗谈产生影响的中国古典名著《水浒传》 的研究史也进 行了整理,为群盗谈的研究提供新的观点和方向。本论文的研究对象是记录在《李朝汉 文短篇集》中的17篇群盗谈。并且本文将以这 篇群盗谈为主,对其内容进行简述和分 析,从而论证其特征和本质。对群盗谈所具有的文学意义及其中所蕴含的有关下位主体 的色彩进行研究探讨是本论文的研究目的。 第二章对群盗谈的类型进行了分类。首先为了分类,介绍了《李朝汉文短篇集》 中 出现的"群盗" 的故事,简要的介绍了故事梗概及内容。摘要以故事的登场人物,成为群 盗的理由、群盗行为以及故事的结局为中心进行,以此来确认以各个故事的主体为中心 展开了什么样的故事。由于下位主体是一个相对的概念,所以在分类时以故事主体的身 份为中心进行分类,同时也总结出了对故事主体提出了帮助或是与其敌对的人物。从分 类结果来看, 根据故事主体的身份高低对群盗谈分类时,其地位高的情况有9篇,低的 情况有3篇,未知的情况有5篇。由此可以看出,引导故事的主体身份不一定固定在社会 的上流层或是下流层。当然,根据故事的主体所处的情况 特别是身份地位方面的差 异,与故事的构成存在着关系。在这种情况下,当时知识阶层把成为群盗这一行为工具 化来表示其所受到的挫折。这不得不让人怀疑民众的抵抗和面貌。 本文在第三章中确认了能够体现出群盗具有下位主体性质的故事和句子。然后对各 个故事中不是以主体而是以下位主体的存在来登场的情况进行了确认,并讲述了他们在 故事中的具体体现。正如对于下位主题的研究所揭示的那样,下位主体在故事中的分量 被隐匿。即使登场, , 其分量也很小 并且与故事所具有的主题没有太大关联。对此,对 下位主体的探索, , 或是对各个故事进行细致的探索 并确认登场的下位主体在故事展开 过程中与主导人物有着怎样的关系是必要的。 第四章从确认故事中的下位主体性质的角度上,讨论了群盗谈的特征和意义。由于 下位主体的相对性, , 选择当群盗头目的人对世界来说属于下位主体 群盗对于良民来说 属于下位主体。虽然选择了群盗这一素材, , 但从结果来看 至少在《李朝汉文短篇集》 中, , 群盗谈与群盗的结果无关 更大意义上具有拥护现存体制的特性。甚至在那些故事 中,群盗们也屈服于所现存的体制中。 通过以上细节的剖析,得出了以下结论。并不是在说群盗谈中反抗的面貌有所减 少,或者是否定其存在。 。 但是在群盗谈中也有屈服于现有体制的一面 虽然在群盗谈中 登场的群盗和民众在故事中看似是获胜的一方,但《群盗谈》 中确实隐藏着下位主体的 面貌。 The main research object of this thesis is the Gundodam which is a part of in Yad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mainly introduces the research topic,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on Gundodam among the existing Yadam studies and the researchers on subordinate subject have been reviewed and summarized. Besides, the research history of the Chinese classic 《Water Margin》, which influenced the Gundodam is also sorted out that can provides a new perspective and direction for the study on Gundodam.The research object of this thesis is 17 Gundodam stories recorded in lee Dynasty 『 Chinese character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And this paper will be based on 』 these 17 Gundodam stories. Its content is briefly described and analyzed, thus demonstrating its characteristics and ess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Gundodam stories and the color of the subordinate subject contained in it. Chapter two classifies the types of Gundodam stories. First of all, in order to classify the types, the story of group thieves appearing in lee Dynasty Chinese character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was introduced, and the plot and contents 』 were summarized. In order to confirm what kind of story is unfolding around the main body of each st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s of the story, the reason why they become gang robbers, the behavior of gang robbers and the ending of the story. Since the subordinate subject is a relative concept, the classification is centered on the identity of the story. It also summarizes the characters who help or antagonize the main body of the 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sults, there are 9 stories with high status, 3 stories with low status, and 5 stories with unknown status.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identity of the story is not necessarily fixed in the upper or lower strata of society. Of course,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subject of the story,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status, there will be an impact on the composition of the story.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intellectuals used the act of becoming a gang thief as an instrument to express their frustration. This makes one wonder about the resistance and appearance of the people. In the third chapter, this paper identifies the stories and sentences that can reflect the subordinate subject of group thieves. And then confirm that each story is represented not by a subject but by the presence of a subordinate subject and tells the concrete embodiment of them in the story. As the research on the subordinate theme reveals, the subordinate subject's weight in the story is hidden. When it does appear, it carries little weight and has little to do with the theme of the story. The fourth chapt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Gundodam from the perspective of confirming the subordinate subject of the story. Because of the relativity of the subordinate subject, the person who chooses to be the leader of the bandit belongs to the subordinate subject to the world, and the bandit belongs to the subordinate subject to the good people. Although the material of group theft is chosen,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 that, at least in 『lee Dynasty Chinese character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group theft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sult of Gundodam, and is more characteristic of supporting the existing system. Even in those stories, the bandits are subservient to the existing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bove detail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This is not to say that there is less resistance in bandit talk, or to deny its existence. However, there is also a side to the Gundodam that succumbs to the existing system. The gang bandits and the people who appear in the Gundodam seem to be the winners in the story, but the subordinate characters in the Gundodam are hidden 朝鮮後期 群盜談의 下位主體的 性格 研究는 조선후기 야담의 군도담을 대상으로 한다. 본고는 총 5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주제,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다루었다. 먼저 현존 야담 연구 중의 군도담에 대한 연구사와 하위주체에 대한 연구사를 검토하고 정리했다. 또한 군도담에 영향을 끼친 중국 <수호전>에 대한 연구사 검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확인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이조한문단편집』에 실려 있는 17편의 군도담이다. 17편의 군도담을 대상으로 내용을 분석한 후, 그 특징과 성격을 서술할 방법을 택하였다. 군도담이 가진 의의와 그 속에 포함된 하위주체적 성격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2장은 군도담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우선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이조한문단편집』에서 ‘군도’가 등장하는 이야기를 소개하고, 줄거리와 내용을 요약 제시하였다. 요약은 이야기 속 등장인물,군도가 된 이유, 군도 행위와 결말을 중심으로 하였다. 각 이야기의 주체를 중심으로 어떤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하위주체는 상대적인 위치를 생각할 수 있어서 이야기 주체의 신분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이야기 주체와 연관된 그를 돕는 인물과 적대적인 인물도 열거하였다. 분류한 결과로 볼 때 이야기 주체의 신분 고하에 따라 이야기를 나눌 경우에는 높은 경우가 9편, 낮은 경우가 3편, 알 수 없는 경우가 5편이다. 이에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이야기 주체의 신분이 반드시 상류층과 하류층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야기의 주체가 처한 상황, 특히 신분이 이야기의 구성에 차이를 두고 있음은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런 경우 당시 지식인층의 좌절을 군도행을 도구로 삼아 이야기하고 있다. 민중의 저항과 면모를 보인다는 것에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제3장에서 군도가 하위주체적 성격을 가진 이야기와 구절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이야기 속에 주체가 아닌 하위주체들의 등장 양상을 살피고, 그들이 이야기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에 대해서 다루었다. 서발턴 연구에서 드러났듯이 하위주체들에 대한 이야기는 적극적으로 은닉되어 있을 것이고, 등장한다고 해도 그 분량이 소략하며 이야기가 가진 주제와 큰 연관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제4장은 이야기의 하위주체적 성격을 살펴 확인할 수 있는 지점에서 군도담의 특징과 의미를 논하였다. 하위주체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여기서 군도대장을 선택한 대장이 세상에 대한 하위이고 군도들이 양민에 대한 하위이다. 군도라는 소재를 택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적어도『이조한문단편집』속 군도담은 군도의 결과와는 무관하게 체제를 옹호하는 특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그 이야기에서조차도 군도들은 현존의 체제에 굴복하였다. 이상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서 결론적으로는 군도담에서의 저항적인 면모를 감소하거나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군도담 속에서 현존 체제에 굴복하는 면모도 없지 않다. 그러나 군도담에 등장하는 군도, 혹은 민중이 이긴 것처럼 보이지만 군도담 속에 하위주체들의 모습은 숨겨져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