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玄齋 沈師正의 繪畵硏究 : 산수화를 중심으로

        이현열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14

        Hyon-jae, Sim Sa-jong was a literati painter who contributed to Korea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Southern School of painting, which had been imported from China,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spired by the literati spirit, he enhanced the spirituality of this painting by emphasizing grace and elegance, and established a new style through his unique and individual expression. Being also open to accept a new foreign style, he imported the method of Zhitou hua which prevailed in the Ching Dynasty, a way of drawing pictures with fingertips. He applied it to his own work, producing a lot of creative paintings and related documents. The genre he concentrated on most was landscape painting. His landscape paintings can be divided into the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in terms of the style. The first period(1720-50), which formed the basis of his artistic creation, he not only assimilated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Zhe School which was popular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through both his father’s and mother’s family, but also studied the Southern School as a disciple of Kyom-jae, Chong Son. During this time, he created "Watching a Waterfall in a Boat(舟遊觀瀑)", "Scenes of Waryong Temple(臥龍庵小集圖)", and "Night Scene of the Upper Reaches of a River(江上夜泊圖)", modeling on prototypes transmitted from China. In his middle period(1750-60), he started to show his individuality by attempting to integrate the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and that of Zhe School, or to specify, Fupicun, or Axe-cut strokes. This change seems to have been caused by the fact that he was unfairly dismissed from the position of Gamdong to draw the king’s portrait in 1748. "A Pavilion in the Woods(疎林茅亭)", "Landscape after Shen Shitian(倣沈石田山水圖)", "Summer Landscape” are the representative works in this period. The late period was the high point of his artistic career. As a result of learning after the exemplary works and styles of many ancient Chinese masters, he could complete his eclectic style which had been continued since the previous period. Therefore, he formed his own fashion of landscape painting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tyles coexisted in a natural composition, which means the establishment of the Chosun Southern School. "Pyo and Hyonyon Picture Album(豹ㆍ玄聯畵帖)", "Landscape after the Ancient Masters(倣古山水帖)", "Scenes on the Way to Xishu(蜀棧圖)" were the creations of that time. Nevertheless, as Pyoam, Kang Se-hwang commented, Sim’s best subject was flowers and birds. Especially, his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showed three styles: the traditional one which had been popular since the middle Chosun dynasty, realistic one which was defined by fine brush-strokes, and the one which followed the Chinese prototype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these paintings is that various styles are applied simultaneously in a same picture plane as was seen in his "A brace of pheasants". Besides, their minute description and clean, light colors produced a unique atmosphere. This is clearly revealed in his "Flowers and Birds"(1758) and his other paintings of flowers and insects. By actively accepting Zhitou hua, an innovative technique in the Ching dynasty, he could also impart great originality in his portrait paintings. And, the research of his contemporaries’ estimates of him, which was conducted in the last part of this thesis, enables us to understand his aesthetic view and his influence upon his own and next generations. It also leads to the reconsideration of his position in Korean art history. In conclusion, I think this investigation on his art world will facilitate our approach to the varied aspects of the painting circle of the late Chosun dynasty.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은 문인 출신의 전문적인 화가로 조선후기 화단에서 남종화가 정착하고 유행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文人的 기질의 발로로 그림에 品格과 고상한 韻致를 중요시하여 남종화에 정신성을 재고하였으며 독자적이며 개성적인 표현으로 새로운 화풍의 성립을 이룩하였다. 또한 청대에 유행했던 指頭畵法을 받아들여 개성적이며 독창적인 지두화를 제작하였는데 많은 작품과 기록을 남기고 있어 새로운 화풍에 대한 수용태도를 보여준다. 그가 가장 주력했던 분야는 산수화로 그림에 입문하여 여러 화풍의 섭렵과 수련을 거친 이후 초기에 습득된 각 화풍에 대한 새로운 변화의 모색기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자기화하는 단계로까지 시기적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초기(1720~1750)는 그의 회화적 기반을 닦았던 시기로 친가와 외가로부터 조선중기 浙派畵風을 습득하였고 謙齋 鄭敾의 문하에서 南宗畵의 이해를 넓혔다. 또한 畵譜의 충실한 반영을 보여주는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舟遊觀瀑>, <臥龍庵小集圖> 그리고 <江上夜泊圖>등이 대표적이다. 중기(1750~60)는 남종화풍에 절파화풍인 부벽준(斧劈 )을 접목해 절충화풍을 모색하던 시기이다. 이는 화보의 충실한 모방을 바탕으로 자기화로의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던 때로서 그의 회화전반을 살펴볼 때 개성적인 면모가 드러나기 시작하는 기점이라고 할 수 있다. 외적 변화요인으로 1748년 어진모사(御眞摸寫) 감동직(監董職) 파출(罷黜)사건을 들 수 있으며 이 시기 중요작품은 <疎林茅亭>과 <倣沈石田山水圖>, <夏景山水圖>등이 있다. 말기(1760~69)는 그의 회화적 역량이 결집되어 나타나는 시기이다. 중기에 시도되었던 절충화풍의 완성을 이루었는데 시대가 올라가는 名家들의 各體를 배워 소화해낸 결과였다. 단지 각 화풍의 형식적인 절충이 아니라 그에 맞게 새로운 변형을 가하고 화법을 개발하여 독특한 화풍적 성격을 가진다. 다양한 화풍의 특징이 한 화면 안에 자연스럽게 배치되고 소화되어 가히 조선남종화라 할 수 있는 산수화의 전형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그의 산수화는 조선중기 산수화가 후기로 이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조선후기 화단에 남종화가 정착하고 유행하는데 선구적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나 산수화만큼 많은 수의 작품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양한 화풍의 시도가 보여 지는 분야는 花鳥畵이다. 시기적으로 구분 가능한 산수화와는 달리 화조화는 양식적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다양한 화풍적 특징이 그의 기년 초기작부터 몰년작까지 두루 보여 지고 있어 시기적으로 구분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의 화조화는 조선후기 화조화의 새로운 경향이던 조선중기의 화조화의 전통양식과 섬세한 필치가 특징인 寫生風의 화조화, 그리고 화보를 통한 畵譜양식 등 세 가지 화풍을 모두 보여 주목된다. 한 화면 안에 여러 양식적 특징이 같이 나타나는 점이 심사정 화조화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雙雉圖>같은 그림은 그 대표적 예이다. 또한 그의 화조화는 사생풍의 세밀한 표현과 아울러 깨끗한 淡彩를 사용하여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1758년 작 <花鳥畵>와 그의 畵卉草蟲圖 형식의 그림에 잘 나타난다. 그리고 그는 인물화에서도 청대의 파격적인 화풍이었던 지두화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개성적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끝으로 현재 심사정에 대한 당대의 평가를 통해서 그가 살았던 시대의 심미관과 동시대, 후대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어 그의 위치를 재고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회화를 살펴봄으로서 조선후기 화단의 다양한 성격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Extending Density-Corrected Density Functional Theory to Large Molecular Systems

        심민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4

        The study of large molecular systems remains a challenge in the field of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The primary issue is computational cost, but there are also concerns like numerical stability and accurate representation of dispersion interactions.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in density-corrected density functional theory (DC-DFT), a framework that isolates and corrects density-driven errors to improve energy predictions. This study aims to extend one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DC-DFT, Hartree-Fock DFT (HF-DFT), to large molecular systems by employing dual basis method. I first demonstrated that using the dual basis method for HF-DFT can reproduce reliable large basis results with small errors, while reducing the computational cost by more than an order of magnitude for a variety of systems, from small to large. I then conducted tests on large system benchmarks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using dispersion correction that considers three-body contribu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its provision of a starting point for extending successful DC-DFT to large systems. 대형 분자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전자 구조 계산 분야에서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계산 비용이지만 수치 안정성과 분산 상호작용에 대한 적절한 표현과 같은 문제도 있다. 최근에는 밀도기인 오류를 따로 분리하고 보정하여 에너지 예측을 향상시키는 밀도보정-밀도범함수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중 기저 법을 활용하여 밀도보정-밀도범함수법의 실용적인 응용 중 하나인 하트리폭-밀도범함수법을 대형 분자 시스템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HF-DFT 계산에 이중 기저 법을 사용하면 소형 시스템에서 대형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스템에서 더 신뢰할만한 대형 기저 결과를 작은 오차로 재현하면서도 계산 비용을 수십 배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후 대형 분자 시스템 벤치마크에서 테스트하여, 3체 기여를 고려한 분산 보정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성공적인 DC-DFT를 대형 시스템으로 확장하는 데 있어 출발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New graduate nurse transition into practice: Psychometric testing of sims factor h assessment scale

        Sims, Caroline E Indiana University 2012 해외박사(DDOD)

        RANK : 247391

        Factor H is a newly identified phenomenon which describes a constellation of attributes of the new graduate nurse reflecting personality traits, intellectual abilities, and clinical judgment. In a previous pilot study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nurse managers and experienced Registered Nurse (RN) preceptors described characteristics demonstrated by new graduate nurses demonstrating Factor H and the new graduate nurse's ability to transition quickly and successfully into the RN role in the acute care environment. There is currently no instrument available to measure this phenomenon. The specific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psychometrically test a scale designed to identify the presence of attributes of Factor H in the new graduate nurse. The Sims Factor H Assessment Scale (SFHAS) was developed and piloted with a sample of one hundred one new graduate nurses within three months of completing the their nursing program at one of three nursing schools in central and south central Indiana. Evidence of content validity was demonstrated through the use of the Content Validity Index conducted with a panel of four experts. Evidence of face validity was demonstrated through interviews with a group of new graduate nurses, nurse managers, and experienced RN preceptors. Principle Axis Factoring with Varimax rotation was used to demonstrate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and the scale was found to have a single component which was identified as nursing personality. Evidence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demonstrated utilizing analysis of the SFHAS and the criterion scale for personality traits (NEO-FFI). Evidence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demonstrated through analysis of inter-item correlations, Cronbach's coefficient correlations, and item-total correlations. Test re-test reliability using interclass correlation was also conducted to demonstrate stability of the scale. The SFHAS was found to be reflective of nursing personality and not general mental ability or clinical judgment. Use of the SFHAS will allow organizations to evaluate the nursing personality of the new graduate nurse for fit into the work environment.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gain clarity around the attributes which support successful transition of the new graduate nurse into practice in the acute care environment, also known as Factor H.

      •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nal electron donors on Ziegler-Natta catalysts and ethylene polymerizations : by Tristan James Sim

        Sim, Tristan James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91

        The Ziegler-Natta (ZN) catalyst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al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catalysis because of its ability to meet the enormous demands of polyolefin production. Research on ZN catalysi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plethora of synthetic methods for fabricating highly-active catalysts capable of producing polymers with desired properties. For instance, the addition of Lewis bases known as internal electron donors is one of means by which polymerization performances of ZN catalysts can be enhanced. In this study, ZN catalysts containing internal donors were synthesized from a magnesium alkoxide precursor. All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ICP, FT-IR, XPS, EA, and SEM. Results revealed a reduction in titanium contents, considerable changes in relative Ti/Mg and Mg/Al molar ratios in general, and alterations in the electronic environments of surface Ti. Introduction of internal donors also decreased catalyst particle size. Varied polymerization behaviors have also been observed from all screened catalysts, performing poorly, comparably, or strongly than the donor-free catalyst. ZN/DIET gave the highest activities with respect to homo- and copolymerization at a 1-hexene feed concentration of 0.3 mol/L. On the other hand, ZN/PES exemplified an enhanced comonomer response based on the thermal analysis. 13C-NMR analysis of its copolymer further confirmed the affinity of ZN/PES to 1-hexene incorporation. 지글러-나타(ZN) 촉매 시스템은 촉매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응용이며 이는 엄청난 폴리올레핀 생산 수요를 이 촉매를 활용하여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ZN 촉매 연구를 통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진 중합체를 생산할 수 있는 고활성 촉매를 제조하기 위한 수많은 합성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내부전자공여체로 알려진 루이스 염기의 도입은 ZN 촉매의 중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 알콕사이드 전구체와 내부전자공여체를 이용하여 ZN 촉매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촉매는 ICP, FT-IR, XPS, EA, SEM 으로 분석하였다. 티타늄 함량의 감소, Ti/Mg 몰 비 및 Mg/Al 몰 비의 큰 변화, 표면 Ti 의 전자 환경 변화 등이 관찰되었다. 내부전자공여체의 도입으로 촉매 입자 크기가 감소하였다. 또한 합성된 촉매로부터 다양한 중합 특성이 관찰되었으며, 내부전자공여체가 없는 촉매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거나, 동등하거나, 향상되는 특징을 보인다. ZN/DIET 는 단일 중합과 0.3 mol/L 1-hexene 농도의 공중합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반면, 열분석결과 ZN/PES 에서만 코모노머 반응성이 향상되었다. 13CNMR 분석을 통해 ZN/PES 가 1-hexene 삽입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 Structural behavior of post-tensioned precast concrete beams with corroded strands

        Sim, Chhengty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수 년에 걸쳐 공용 기간 동안의 교량의 구조물 손상은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다. 교량의 유지 및 보수 시 몇 가지 문제와 오류가 발생하며, 그 중에서 특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강연선 손상 감지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종류의 교량 구조의 부식을 감지하려면, 강연선과 콘크리트의 기계적 특성이 구조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식 강연선에 따른 PSC 보의 거동을 조사하기 위해 부식 정도 및 부식의 위치 조건을 달리하여 PSC 보 부재 실험에 대한 추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거동의 해석 시뮬레이션을 조사하기 위해 파라메트릭 비선형 유한 요소법 (FEM)을 수행하였다. PSC 보의 해석 모델은 ABAQUS 상용 소프트웨어 (2017)를 사용하여 실험 결과를 검증하였으며 분석 및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하중-변위 거동 측면에서 일치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입증된 분석 모델을 사용한 파라메트릭 연구는 부식의 위치 및 부식된 강연선의 정도에 따라 부식된 강연선 거동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기 위해 수행되였다. Over the years, the damages of bridge structures are significantly concerned and taken care of, particularly during the operation period. For prestressed concrete beams, it i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detect invisible damages such as strand corrosion. In order to assess the prestressed concrete beams with corroded strands, it is necessary to quantify the corrosion in terms of section loss, mechanical properties, and its influence on structural behavior. In this research work, an experimental program on PSC beam members with corroded strand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ehavior according to corrosion levels and locations. A parametric nonlinear finite element method (FEM)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alytical simul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PC) bridge beam behavior. An analytical model of the PC bridge beam is verified with the experimental test result by using ABAQUS commercial software (2017). The analytical and experimental test results are compared and showed a good agreement in terms of load-displacement behaviors. A parametric study using the verified analytical model is conducted to enlarge the study on corroded strand behavior with multiple locations and levels of corrosion strand.

      • (A) study on ion behavior control for stable lithium growth in lithium metal battery

        Sim, Woohyeong Sungkyunkwan University 2024 국내박사

        RANK : 247359

        차세대 기술 개발에 따라 전기자동차나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과 같은 고 에너지 밀도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하여, 높은 이론적 용량 (3,860 mAh g-1)과 낮은 전기화학 환원 전위를(표준수소전극 기준 -3.040 V) 가지는 리튬금속전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리튬금속음극의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리튬 증착이 제어되지 못하고 전극 표면에 나뭇가지 모양으로 자라는 리튬 수지상이 형성 된다.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리튬 수지상은 내부 단락을 일으켜 화재나 폭발을 야기하고, 효율 및 수명 저하를 수반한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형태의 보호층을 적용하거나 다공성의 전극을 활용하여 수지상 성장을 억제하려는 연구가 진행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리튬 수지상 성장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지연 시킬 수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는 없었다. 이를 위해 리튬 이온의 거동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리튬 성장을 유도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있다. 본 학위 논문에서는 리튬 친화성 요소나 키네틱 촉진이 가능한 구조적 특이성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를 활용하여 리튬 이온 거동을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리튬금속전지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개념적 방법 및 실험적 예시를 제시하였다. 챕터 1에서는 리튬 친화성 소재인 바이피리딘 계열의 리간드를 포함하는 금속유기골격체를 활용하여 전극 위에 리튬 친화성 요소를 고르게 분포 시키고, 결과적으로 리튬이온을 전지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유도하였다. 그 결과, 균일하게 분포 된 리튬이온으로부터 수지상이 억제 된 등방성의 리튬 성장이 유도됨이 확인 되었다. 추가적으로 반쪽셀, 대칭셀 분석을 통해 리튬이온을 균일하게 분포 시키면 전극 표면에 안정적인 SEI층이 형성 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리튬금속전지의 수명 및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전극 구조를 제어하면 전기장 중첩이나 전기적 삼투압 반응 등을 유도 할 수 있어 반응 키네틱을 촉진 시킬 수 있다. 챕터 2에서는 전기장 중첩을 유도하고 틈 내부로 리튬이온을 유도할 수 있는 2~8 nm의 틈 공간을 가지는 탄소소재를 합성하여 리튬이온거동을 제어하고 리튬금속전지의 성능을 향상 시켰다. 전기화학 분석을 바탕으로 2~8 nm의 틈을 가지는 탄소소재의 경우 전기장 중첩으로 인해 틈 공간 내부로 안정적으로 리튬이온이 저장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 소재의 강한 층간인력으로부터 유도되는 느린 키네틱이나, 넓은 표면적으로 인한 팁이나 엣지로부터 형성되는 불안정한 수지상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챕터 2에서는 구조적인 요소에 적용을 통해 리튬이온이 제어 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으며, 이를 활용해 리튬금속전지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챕터 2에서는 소재 구조에 따라 리튬이온이 제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챕터 3에서는 에너지 밀도 극대화를 위한 무음극 형태의 전지를 구성하기 위해 구조제어기반 집전체에 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그 결과, 1 nm이하의 틈 간격을 가지는 소재에서 전기장의 중첩으로 인해 리튬이온의 틈 내부로의 유도가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지상이 억제 된 리튬 성장을 이루었다. 또한, 틈 간격이 최적화 되지 않은 소재와의 전기화학 비교를 통해, 반응 키네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틈 간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어 된 리튬을 바탕으로 무음극형태의 전지를 구성하였으며 높은 성능을 유도할 수 있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technologies, demand for high energy density energy storage devices such as electric vehicles (EVs) and energy storage systems (ESSs) is increasing. Accordingly, interest in lithium metal batteries(LMBs) from high theoretical capacity (3,860 mAh g-1) and low electrochemical reduction potential (-3.040 V versus standard hydrogen electrode), which replace existing lithium ion batteries (LIBs), is growi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lithium (Li) dendrites grow on the electrode surface due to the high reactivity of Li metal. Li dendrite not only reduces efficiency and lifespan, but also induces internal short circuits, ultimately causing fire and explosion. From this perspective,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suppress dendritic growth by applying several types of protective layers or using porous electrodes. However, while these strategies can delay the problems caused by dendritic growth some extent, they cannot prevent fundamentally. Therefore,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stabilize Li dendrite growth by controlling ion behavior rather than slowing it down. In this dissertation, we presented a conceptual method and experimental example that can control lithium ions (Li+) behavior and ultimate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LMBs by utilizing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Li affinitive materials or structural specificity capable of kinetic promotion. In Chapter 1, a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containing a bipyridine-based ligand, was utilized to evenly distribute Li affinitive sitess on the electrode, resulting in even distribution of Li+. As a result, isotropic Li metal growth was confirm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Li+. Additionally, through half-cell and symmetric cell analysis, Therefore, stable SEI layer formation is achieved through evenly distributed Li+. Based on these properties, the lifespan and efficiency of LMBs were improved. Controll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improves the kinetics of the battery by promoting electric field overlap or electro-osmosis. In Chapter 2, we controlled Li+ behavior and improved the performance of LMBs by synthesizing a carbon material with a gap space of 2 to 8 nm which induce electric field overlap and Li+ accumulation into the gap. Based on electrochem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carbon materials with gaps of 2 to 8 nm, Li+ are stored spontaneously inside the gap space from EDL overlapping. Additionally, high Li storage overvoltage and unstable Li deposition were confirmed when the gap distance is not optimized. As a result, Chapter 2 confirmed that Li+ can be controlled solely by applying them to structural elements, and this was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MBs. In Chapter 2, spontaneous Li control was confirmed by the electrode structure only. In Chapter 3, research was conducted on structure control of current collector to construct an anode-free type battery to maximize energy density. As a result, when the electrode had a gap of less than 1 nm, the kinetic improvement was maximized through an increase in electric field overlap. Based on the promoted kinetics, Li+ were accumulated into the gap and Li dendrites were suppressed. Based on this controlled Li with optimal gap distance, an anode-free type battery was constructed and high battery performance was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