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 세기 초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혁신과 근대적 성격 비교 연구

        LIAN HUIQI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99

        This study examines women's costumes in modern China and Vietnam through the mass media of the time and focuses on the new dresses of cheongsam and ao dai, which were born in China and Vietnam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addition, the complex factors behind the changes are explored to clarify the birth of the two costumes and their significance in their time. This study aims to approach modern women's dress through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nd to uncover the hidden side of the costume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1920s-1940s Shanghai-style Cheongsam and the original modern ao dai, Lemur Ao Dai. Both costumes were born and developed after the 1920s. Both costumes became popular in the 1920s and became representative national costumes for women in modern China and Vietnam. Entering the Second World War period,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d Vietnamese costumes was almost at a standstill, and with the change of political policy direction, the cheongsam and ao dai were regarded as symbols of the bourgeoisie, and their development was restricted. Chapter 2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cheongsam and ao dai, depicting the birth of the cheongsam and the ao dai through the activities of costume reformers. Then, analyzes the urban cultural background and modernity of modern China and Vietnam. Chapter 3 focuses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dress culture. First, the material and color changes of cheongsam and ao dai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aesthetic concepts and the development of textile technology are specifically examined. Then, through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cheongsam and ao dai,  analyzed the politics of the female body as projected by the dress reform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female image in modern times. Chapter 4 builds on the above analysis by describing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two dress reforms. Under the impact of Western culture and aesthetic concepts, the reform of cheongsam and odyssey broke through the traditional cultural defense in the collision of old and new ideas, opened up the road of modern dress with humanized design and practicality, and became the symbol of modern clothing concept gradually towards openness. But the process of reforming the cheongsam and the ao dai is rife with male gazes and national messa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China and Vietnam seemed to have eliminated the class nature of feudal dress and women had the right to dress freely, but in essence, women's every move was still under the control of men and the state government. The reform of the cheongsam and the ao da was ultimately a dress reform in which women failed to become the subject. In conclusion, the birth of the two women's costumes in the 20th century was a symbol of the modernity of the dominance of Western powers over the China and Vietnam. The popularity of cheongsam and ao dai, an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femininity standards were driven by the common social actors (the national government, men) and the mass media in both countries at the time. The cheongsam and the ao dai, born in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described as "the contest between the ancient feudal society and the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renaissance, they became the "oppression of the female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le elite" and the resulting "violent modern historical product". In summary, this study examines women's clothing in modern China and Vietnam through media materials of the time, focusing on the new dresses of cheongsam and ao dai, which were born in China and Vietnam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omplex factors behind the changes in dress and their significance in the time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hidden meanings of modern women's dress changes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levels. 20世纪初,中国和越南从传统农业文明向现代化工业文明转型。近代中国与越南服饰变革便发生于这一动荡变革的时期,与西风东渐的背景密不可分。在这场服饰变革中,中国和越南的近代女性民族服饰,即旗袍和奥黛诞生了。本研究旨在从社会和文化层面接近中越近代女性服饰,揭开服饰变革背后的复杂动因。   本文的研究对象是20世纪20年代至40年代的海派旗袍和雷穆(Le mur)奥黛。这两种女性服饰在20世纪20年代开始流行,成为近代中国和越南妇女的代表性服装。第二次世界大战期间,中国和越南的服饰发展进入停滞期,随着政治政策导向的转变,旗袍和奥黛被视为资产阶级的象征,其发展受到限制。 论文包括三个主体部分:第二章从梳理了旗袍和奥黛诞生的历史背景,通过两国服饰改革家的活动勾勒出旗袍和奥黛的诞生过程,分析了两国的都市文化背景和近代性。第三章从服饰造型要素变化和当时的社会文化背景出发分析了旗袍和奥黛变革中体现的服饰文化的 "表" 与 "里"。首先,具体考察了随着西方审美观念的引入和纺织技术的发展,旗袍和奥黛的布料和色彩的变化。通过旗袍和奥黛的造型,审美理念的变化分析了服饰改革过程中投射于女性身体的政治性,以及近代中越女性形象的重构。第四章在上述分析的基础上,讨论中越近代女性服饰改革的成就和局限。在西方文化和审美观念的冲击下,旗袍和奥黛的改革在新旧观念的碰撞中突破了传统文化的防线,以更加实用性的设计开辟了近代服饰之路,成为中越服饰观念逐渐走向开放的标志。但旗袍和奥黛的改革过程却充斥着男性凝视和国族话语。20世纪初,中国和越南消除了封建时期传统服饰的阶级性,女性看似有了自由着装的权利,但实际上,女性的一举一动仍在男性精英和国家政府的控制之下。旗袍和奥黛虽然是近代女性服饰改革的产物,但女性却没能成为这场改革的主体。 20世纪初,旗袍和奥黛的革新可以说是西方文化理念之下投射出的中国和越南近代性的象征。旗袍和奥黛的流行以及近代女性审美标准的建立是由当时两国的共同社会主体(国家政府、男性精英)和近代舆论媒体所推动的。20世纪初旗袍和奥黛的诞生,可以说是一场 “古代封建社会与近代工业化社会的角力”,在民族复兴的背景下,二者成为 “男性凝视和国族话语对女性身体的规训的具象物" 以及由此产生的 "暴力的近代历史产物”。可以说旗袍和奥黛迈出了中国和越南近代女性服饰的第一步。综上所述,本研究通过当时的新闻报刊资料考察了20世纪初旗袍和奥黛的诞生过程,剖析二者造型变化背后的复杂动因,揭示了服饰变革与社会文化变革的内在联系和时代意义。ᅠ 본고의 연구 범위는 1920~1940년대이며,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하이파(海派) 치파오와 현대 아오자이의 초기 형태인 르 뮈르(Le mur) 아오자이다. 이 두 복식은 모두 1920년대 이후 나타나고 발전된 복식이다. 두 복식은 1920년대에 유행하기 시작했고 근대 중국과 베트남의 여성 국복(國服)이 되었다. 2차 세계대전 시기에 들어, 중국과 베트남의 복식 발전은 거의 정체하게 되었으며, 정치적 정책 방향의 전환으로 치파오와 아오자이는 부르주아계급의 상징으로 여겨져 발전이 제한되기에 이른다. 본론 제2장은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등장 배경, 즉 복식 개혁가들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탄생 양상을 그려냈다. 또한 두 복식 등장 배경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제3장은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근대적 성격을 복식 문화의 '안’과 '밖’으로 분석했다. 우선 서구 심미 관념의 도입과 방식 기술의 발전으로 이루어진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구체적인 재료 변화를 살펴봤다. 다음은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형태 변화로부터 출발하여 복식과 몸의 변화, 복식 개혁으로 투사한 여성 신체의 정치성, 그리고 여성 이미지의 재정립을 발굴했다. 제4장은 전술한 분석을 바탕으로 두 복식의 성취와 한계에 대해 다루었다. 성취에 대하여 서양 문화와 미적 관념의 충격으로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개혁은 신구 사상의 충돌 속에서 전통적인 심리 경계선을 뚫고, 인간적인 디자인과 실용성으로 근대 복식의 길을 열어서 근대 시기 복장 관념이 점차 개방으로 나아가는 징표로 변모되었다. 그러나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혁신은 남성적 시각과 국가적 메시지를 강력하게 담았다. 20세기 초 중국과 베트남에서 여성들은 자유롭게 옷을 입을 권리를 갖게 된 것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 여성의 일거수일투족은 여전히 남성과 국가 정부의 통제 아래 있었다.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개혁은 결국 여성이 주체가 되지 못한 복식 개혁이었다. 결론적으로 20세기 초의 두 여성 복식의 혁신은 중국과 베트남이라는 동양에 대한 서구 열강의 지배라는 근대성이 투사된 상징물이자, 양국 근대 여성 복식의 시발점이었다.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유행과 근대 여성성 표준의 확립은 당시의 양국 공통적인 사회적 주체(국가 정부, 남성), 그리고 대중매체의 추진으로 형성된 것이다. 치파오와 아오자이는 ‘고대 봉건사회와 근대 산업화 사회의 각축’이자, 민족부흥이라는 국가적 배경 아래 ‘남성 엘리트적 시각 중심 여성 신체 관념의 억압’을 상징하며, 그에 따른 ‘근대 중국과 베트남 여성복의 첫걸음’이며 ‘폭력적 근대의 역사적 산물’이 되었다. 정리하자면, 본고는 20세기 초 중국과 베트남에서 탄생한 새로운 복식, 치파오와 아오자이를 중심으로 당시의 매체 자료를 통하여 근대 중국과 베트남의 여성 복식을 살폈다. 더하여 변혁 이면에 존재하는 복잡한 요인을 탐구하고, 두 복식의 탄생과 그 시대적 의의를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고는 근대 여성 복식 변혁 속에 숨은 뜻을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돌아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