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a Microwave Plasma Burner for Gasification Power Plants : 가스화 파워 플랜트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버너의 연구

        SANG JU LEE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0

        이 연구의 목적은 가스화 발전 플랜트에 적용 가능한 전자파 플라즈마 버너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가스화 실험은 석탄, 목질계 바이오 매스와 유기 폐기물을 가스화 에너지 원으로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에 가장 큰 문제점은 높은 타르 생성이며 극복해야 할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일반적으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발전, 연료 전지, 및 암모니아 또는 메탄올 합성을 위해 사용 될 수 있는데 타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문제를 야기한다. 합성가스에서 타르를 개질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촉매 개발에 노력하고 있지만, 타르-제로 가스화는 아직 실현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가스화 발전소에 분류층 전자파 플라즈마 가스화기를 적용하여 타르 문제와 가스화 발전 가능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chapter I 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동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존 상용 가스화 발전 플랜트와 프로세스 동향을 조사하였다. 기존 상용화 플랜트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자파 플라즈마 가스화 기술을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의 가스화기는 고온의 플라즈마 화염과 화화적 반응을 유발하는 라디칼이 많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석탄, 목질계 바이오매스 및 유기 폐기물을 가스화 하였다. 전자파 플라즈마 가스화의 장점은 상용 가스화 장치와 비교하여 플라즈마 토치에 의한 빠른 반응 속도, 저렴한 비용, 안전하고 쉬운 공정이다. chapter II 에서는 미분화된 석탄을 전자파 플라즈마에 공급하여 높은 온도의 연소 화염을 생성할 수 있는 전자파 플라즈마 버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플라즈마 버너의 구성요소는 석탄 공급장치와 플라즈마 반응기와 2.45GHz 전자파 플라즈마 토치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파 플라즈마는 공기와 산소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생성하였다. 풍부한 라디칼과 고온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전자파 플라즈마 버너의 가능성 테스트를 위해 미분탄을 플라즈마 화염안으로 주입하였고 이때 발생하는 화염의 온도 프로파일, 발광 스펙트럼, 가스 조성 등을 분석하였다. chapter III 에서는 2.45 GHz 의 전자파를 이용하여 스팀과 공기 플라즈마 토치를 생성하고 이를 가스화 연구에 사용했다. 스팀 플라즈마 토치에서 발생하는 풍부한 라디칼은 화학 반응의 속도를 높여 재료 처리에 있어 촉매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또한 고도 산화를 유도할 수 있다. 미분탄은 평균 입자 크기가 70 μm 이며, 회분이 22.46 wt.% 이고 수분의 함량이 10.71 wt.%인 인도네시아 갈탄을 미분탄 공급기를 이용하여 4 kW 의 전자파 전력의 플라즈마 토치에 직접 분사하였다. 석탄의 비율 대 합성 가스 종의 상대 농도를 나타내는 실험으로, 석탄과 스팀의 비율이 1.36 인 상태에서 합성 가스의 상대 농도는 H2 48 %, CO 23 %, CO2 25 %, CH4 4 % 였다. 석탄과 스팀의 비율을 증가시켜도 CO2 의 농도는 크게 줄지 않았으며, 이는 저급 석탄이 스팀과 공기 플라즈마 토치에서 가스화가 잘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바이오매스 가스화는 발전 플랜트 및 화학 산업에서 합성가스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2.45GHz 의 전자파 플라즈마 버너에서 EFB (Empty Fruit Bunch) 의 공급량을 늘렸을 때 화염 길이와 온도 프로파일은 각 각 439 mm - 924 mm, 1,236 K 에서 1,531 K 로 증가하였다. EFB 의 가스화 실험에서, 합성 가스의 조성은 수소 20.8%, 이산화탄소 35.8%, 일산화탄소 41.5%, 메탄 1.9%, 그리고 산소 0%로 측정되었다. 합성 가스의 단위 부피당 발열량은 5.44 MJ/Nm3 이며, EFB 의 가스화를 위한 최적의 과잉 산소 비는 약 0.48 이고 타르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합성가스는 정제 공정 없이 가스 엔진이나 환경 대기 오염 방출 기준을 만족한다 (NOx : 39 ppm 이하, H2S : 7 ppm, SO2 : 10.7 ppm, NH3: 10 ppm, 및 C6H6 : 검출되지 않음). chapter IV 에서는, 가스화 플랜트를 위한 전자파 플라즈마 버너의 적용성을 연구하였다. 결과로써, 25 kW 합성 가스 엔진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화 발전 플랜트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915 MHz 의 전자파 플라즈마 버너를 적용하여 1.5 MWth 가스화기를 설계하였다. 가스화 원료는 신화탄, 톱밥, 하수슬러지, 수피, EFB, 커피 찌꺼기 및 계분 등을 실험하였고 가스화에 적합한 원료로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열중량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일곱 가지 원료는 가스화를 위한 접선 원통형의 가스화로의 측벽에 설치된 네 개의 전자파 플라즈마 버너를 통해 가스화 하였고 실험 결과 분류층 전자파 플라즈마 가스화기에서 상기 원료 모두 가스 엔진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였다. 상기 가스화기를 이용하여 냉가스 효율 및 탄소전환율은 각각 78%와 99.7%를 달성하였다. 분류층 전자파 플라즈마 버너가 적용된 상업 플라즈마 발전소 효율은 37.4%로 기대되어 결과적으로, 국가 전력망이 쉽게 도달 할 수 없는 농촌과 소외 지역에 적용 가능한 경제적인 소형 재생 에너지 발전소로 매우 접합하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icrowave plasma burner for a gasification power plant to produce electricity. Gasification producing synthesis gas (syngas)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methods to use coal, ligneous biomass, and organic waste for a clean and renewable energy source. Biomass gasification, however, has an obstacle to be overcome - high tar content production during the gasification process. In general, the tar should be removed through an additional cleaning process before using the syngas for a gas engines, fuel cells, and ammonia or methanol synthesis, since it decreases the efficiencies of syngas applications.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strived to develop post-refining or catalytic reforming of the tar, the zero-tar-gasification has not yet been realized. For this thesis, I have studied an entrained-flow microwave plasma gasifier for a gasification power plant. In chapter I, a motiva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are briefly introduced for the commercial gasification power plant and processes. A gasifier with four microwave plasma burners for gasifying coal, ligneous biomass, and organic waste as gasification feedstocks makes high temperature and a bunch of radicals. Advantages of microwave plasma gasifier are a fast reaction speed, a cheap cost, a safe and easy process due to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 microwave plasma burner comparing with existing commercial gasifiers. In chapter II, an apparatus to generate a plasma flame, more particularly, a microwave plasma burner for a large-volume high-temperature plasma flame is designed by a coal injection into the microwave plasma. The plasma burner was mainly composed of a coal feeder and a stainless steel tube, as the exit for the plasma flame, in series with a 2.45-GHz microwave plasma torch. The plasma torch using a mixture of Oxygen and air can immediately burn the pulverized coal because of high number of Oxygen radicals and high temperature.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to implement the microwave plasma burners for power plants, a feasibility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coal plasma burner with the optical emission lines of the plasma torch, the coal plasma flames, the temperature profile along the axis of the flame, gas compositions at different coal-injection rates etc. In chapter III, an atmospheric-pressure pure steam and air plasma torch was generated by 2.45 GHz microwave energy and was utilized for the investigation of coal gasification. The steam plasma torch generates also highly active species, enhancing the chemical reaction and therefore, eliminating the need for catalysts to enhance the chemical reaction. Fine coal powders, namely pulverized coal,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of 70 μm were delivered through a feeder in the experiment. The brown coal from Indonesia with 22.46 wt. % ash and 10.71 wt. % moisture content was injected to a steam torch with microwave power of 4 kW. At a ratio of 1.36 of a coal to steam and 4 kW microwave power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synthesized gases was 48% of H2, 23% of CO, 25% of CO2, and 4% of CH4 in N2 free basis. The further increase of coal to steam ratio did not much reduc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2), which means that a low-grade coal can be well gasified in a steam and air plasma torch. In this chapter, the 2.45 GHz microwave plasma burner tests the biomass gasification since it can play a pivotal role in producing syngas for power plants and chemical industries. As the injection rate of empty fruit bunch (EFB), which is a waste of a palm tree, is increased, the flame length and temperature of a microwave plasma burner are also increased from 439 mm to 924 mm and 1,236 K to1,531 K, respectively. In the case of EFB gasification, the syngas composition is about 20.8, 35.8, 41.5, 1.9, and 0 % volume for H2, CO2, CO, CH4, and O2, respectively. The heating value of syngas is 5.44 MJ/Nm3 and the optimum excess O2 ratio for gasification of EFB is about 0.48. Furthermore, a tar is not detected. The requirements of a gas engine and the national air pollution standards are satisfied without the help of an extra purification process (results being NOx: 39 ppm, H2S: 7 ppm, SO2: 10.7 ppm, NH3: 10 ppm, and C6H6: not detected). In chapter IV, a microwave plasma burner was carried out for the scale up to gasification power plant.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gasification power plant using a microwave plasma burner generate the electricity using a 25 kW syngas engine generator. An 1.5 MWth gasifier is designed and applied utilizing coal and biomass feedstocks in an atmospheric 915 MHz microwave plasma burner. Pulverized coal and biomass, which are Shenhua coal, Sawdust sluge, Bark, EFB, Coffee waste, and Fowl droppings, were tested to choose the suitable fuel for gasification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derivative thermogravimetric (DTG) analysis. The seven feedstocks were injected to four microwave plasma burner systems installed tangentially to the cylindrical gasifier sidewall for gasific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quirements from a gas engine are satisfied by employing the entrained-flow microwave plasma gasifier and the electricity was generated with 22% total efficiency using a gas engine generator. Cold Gas Efficiency (CGE) and Carbon Conversion Ratio (CCR) are achieved 78 % and 99.7 %, respectively. I expect that a commercial plasma power plant with an entrained-flow microwave plasma burner system and a better gas engine can achieve an efficiency of about 37.4% even for the economically feasible small renewable energy power plants in rural or sparsely populated areas where the national power grids cannot reach easily.

      • Death, cardiac event and acute liver injury of bedaquiline and delamanid in patients with multidrug resistant tuberculosis : a nationwide cohort study

        Kim, Juhwan Sungkyunkwan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5

        Background: Bedaquiline and delamanid are newly approved drugs indicated for multidrug resistant tuberculosis (MDR-TB), yet there is a paucity of their safety data beyond experimental setting. Bedaquiline carries a black box warning of increased risk of death compared to the placebo arm, and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magnitudes of additive QT interval prolonging effect and hepatotoxicity of bedaquiline and delamanid.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isk of all-cause death, long QT-related cardiac event, and acute liver injury among MDR-TB patient treated with bedaquiline or delamanid in South Korea. Methods: Individuals aged 18 years or older diagnosed with pulmonary MDR-TB and received at least 4 second-line anti-TB drugs were identified in the South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database between 2016 and 2019. Bedaquiline and delamanid groups included those who initiated treatment with bedaquiline- or delamanid-containing regimen, respectively. Comparator group included those who received a standard regimen that included aminoglycosides and/or fluoroquinolones and other second-line anti-TB drugs. Study follow-up began on the day after treatment initiation. Primary outcome was all-cause mortality at 12- and 24-months, and secondary outcomes were long QT-related cardiac event and acute liver injury assessed until the earliest date of discontinuation of index drugs, death or end of study period (December 31st, 2020). I computed stabilized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sIPTW) based on propensity score for receiving bedaquiline or delamanid by fitting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measured prior or on the date of MDR-TB diagnosis. Then, I estimated sIPTW hazard ratios (HR)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bedaquiline and delamanid, compared with standard regimen group, adjusted for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Results: Among 1,998 MDR-TB patients, 315 (15.8%) and 292 (14.6%) received bedaquiline and delamanid, respectively, and all baseline characteristics were balanced after applying sIPTW. Primary analysis showed non-significant mortality risk reduction in both bedaquiline (sIPTW-adjusted HR 0.73 [95% CI: 0.42-1.27] at 12-month and 0.90 [0.57-1.43] at 24-month) and delamanid groups (0.77 [0.38-1.55] at 12-month and 0.89 [0.50-1.60] at 24-month). sIPTW-adjusted HRs of long QT-related cardiac events and acute liver injury were 1.41 (0.57-3.48) and 1.76 (1.31-2.36) for bedaquiline, and 2.10 (0.95-4.67) and 1.14 (0.81-1.61) for delamanid, respectively. Conclusions: My study addresses the limited data on comparative safety of bedaquiline and delamanid, supporting their use in MDR-TB treatment. Null association between bedaquiline and all-cause death reaffirms its safety and refutes the current black box warning. The risk of serious adverse events with bedaquiline and delamanid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due to limited number of outcomes observed in the study population. 베다퀼린과 델라마니드는 2012년과 2013년 다제내성 결핵 치료를 위해 임상허가를 받은 의약품으로써, 임상시험을 통해 객담배양 음전률 촉진의 효능을 입증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임상시험 대상 외 일반인구집단에서의 두 의약품에 대한 안전성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베다퀼린은 임상 2상 시험에서 위약군 대비 높은 사망률을 보여 미국 FDA에서 약물에 대한 심각한 약물유해반응 또는 주의사항에 대해 경고하는 Black Box Warning이 발표된 바 있으며, 또한 베다퀼린과 델라마니드 복용에 따른 QT간격 연장 및 급성 간독성 이상반응에 대한 위험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제내성 결핵 코호트를 구축하여 베다퀼린과 델라마니드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 국민을 포함하는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청구자료를 활용하여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2016년부터 2019년 사이 다제내성 폐결핵을 진단받은 18세 이상 환자로 정의하였다. 베다퀼린 또는 델라마니드를 포함하는 다제내성 결핵 치료요법을 받은 환자를 베다퀼린 또는 델라마니드군으로 정의하였으며, 두 약제를 포함하지 않는 치료요법을 받은 환자를 표준치료군으로 정의하였다. 치료요법을 시작한 날로부터 추적관찰을 시작하였으며, 1차 결과변수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으로 정의하였고, 2차 결과변수는 약제 복용기간 내 QT연장으로 인한 심실 부정맥과 급성 간독성 이상반응으로 정의하였다. 신약 복용군과 표준요법군의 비교성을 확보하고 잠재적 교란요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를 활용한 표준화 역확률가중치(stabilized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sIPTW) 방법을 적용하였다.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활용하여 각 결과변수에 대한 위험률(hazard ratio; HR)과 그에 따른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를 산출하였다. 총 1,998명의 다제내성 결핵환자 중, 315명(15.8%)과 292명(14.6%)이 각각 베다퀼린과 델라마니드를 포함하는 치료요법을 받았으며, sIPTW방법을 적용 후 치료군 간의 기본특성이 균형을 이뤘다. 치료 시작 후 12개월 및 24개월 시점에서 베다퀼린 치료요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사망 위험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sIPTW-adjusted HR 0.73 [95% CI: 0.42-1.27] 및 0.90 [0.57-1.43]), 델라마니드 치료요법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0.77 [0.38-1.55] 및 0.89 [0.50-1.60]). QT 연장으로 인한 심실 부정맥의 위험률은 베다퀼린 치료군에서 1.41 (0.57-3.48), 델라마니드 치료군에서 2.10 (0.95-4.67)로 나타났다. 급성 간독성의 위험률은 베다퀼린 치료군에서 1.76 (1.31-2.36), 델라마니드 치료군에서 1.14 (0.81-1.61)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일반인구집단에서 베다퀼린과 델라마니드의 안전성에 대한 실제임상근거를 생성하였다. 베다퀼린 치료요법은 다제내성 결핵 환자에서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이는 현재 미국 FDA Black Box Warning을 반박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두 약제 복용에 따른 심실 부정맥 및 급성 간독성 위험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대상자를 확보하여 위험성 평가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 Innate host defense of the fish mediated by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s

        장주혜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4 국내박사

        RANK : 247615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s (PGRPs) are innate immune molecules that are structurally conserved through evolution, but their functions in innate immunity are different in invertebrate and vertebrate anima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unctions of PGRPs in the innate host defense of the fish against bacterial infection because fish are the earliest vertebrates that developed adaptive immunity, but they depend more heavily on innate immunity compared to the endothermic vertebrates such as mammals due to the temperature constraint on fish metabolism. We identified and cloned five PGRPs (SsPGRP-L1, -L2, PoPGRP, OmPGRP-L1, and -L2) from various fish species (Sebastes schlegeli, Paralichthys olivaceus, and Oncorhynchus mykiss). Fish PGRPs contain the conserved PGRP domain and the four Zn2+-binding amino acid residues required for amidase activity. In addition to peptidoglycan-lytic amidase activity, recombinant fish PGRPs have broad-spectrum antimicrobial activity. Fish PGRPs are widely expressed in the tissues that come in contact with bacteria. To extend the functions of fish PGRPs, we examined whether they have immunomodulating activity in fish cell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bacterial pathogen. In rainbow trout hepatoma cell line RTH-149, OmPGRP-L1 expression was increased by bacterial stimulation. Loss-of-function and gain-of-function experiments indicated that OmPGRP-L1 is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ilencing of OmPGRP-L1 in RTH-149 cells challenged with Edwardsiella tarda dramatical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L-1β and TNF-α. In contrast, overexpression of OmPGRP-L1 or its amidase-inactive mutant OmPGRP-L1(C472S) resulted in down-regulation of IL-1β and TNF-α expression. When overexpressed in RTH-149 cells, OmPGRP-L1 inhibited NF-κB activity with or without bacterial stimul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mPGRP-L1 has an anti-inflammatory function, independent of its amidase activity, possibly via NF-κB inhibition in liver cells. Next, we examined the regulation mechanism of OmPGRP-L1 expression in RTH-149 cells upon stimulation with bacterial ligands. Among the tested ligands, γ-D-glutamyl-meso-DAP (iE-DAP) and muramyl dipeptide (MDP), which are agonists of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containing protein (NOD)1 and NOD2, respectively, marked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OmPGRP-L1. Silencing of NOD1 and NOD2 specifically inhibited the upregulation of OmPGRP-L1 expression induced by their cognate ligands. Suppression of 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RIP)2 or NF-κB activation prevented the induction of OmPGRP-L1 expression induced by iE-DAP and MDP. In silico analysis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revealed that the promoter of OmPGRP-L1 has NF-κB binding sites suggesting that OmPGRP-L1 is produced through NODs-RIP2-NF-κB signaling pathway. Loss-of-function and gain-of-function experiments indicated that OmPGRP-L1 down-regulates the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duced by iE-DAP and MD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ainbow trout liver cells may modulate the excessive inflammatory response to bacterial infection by producing OmPGRP-L1 through NODs. Overall, our data demonstrate that PGRPs exert diverse host-defense functions in the innate host defense of the fish both through direct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rough indirect modulation of inflammation. 펩티도글리칸 인식 단백질(PGRP)은 자연멱역체계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곤충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진화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으나,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PGRP에 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곤충과 포유동물에서 이루어졌는데, 변온동물인 어류는 자연면역체계와 획득면역체계를 둘 다 가지고 있지만 차가운 수중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자연면역체계에 대한 의존도가 포유동물보다 크기 때문에 다른 척추동물에 비해 PGRP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균감염에 대한 어류의 생체방어에 있어 PGRP의 기능을 규명하였다. 먼저 3종의 어류(조피볼락, 넙치, 무지개송어)로부터 5개의 PGRP(SsPGRP-L1, -L2, PoPGRP, OmPGRP-L1, -L2)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류 PGRP는 C-말단 부위에 PGRP domain과 amidase 활성에 필수적인 4개의 Zn2+-binding 아미노산 잔기들이 보존되어 있었으며, amidase 활성뿐만 아니라 항균활성도 함께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어류 PGRP의 감염신호전달 단백질로서의 기능을 세포주 감염 모델을 통해 규명하였다. 어류 PGRP 중 하나인 OmPGRP-L1은 세균과 접촉하기 쉬운 조직에서 주로 발현되었으며, 무지개송어 간 세포주(RTH-149)에서 세균 감염에 의해 그 발현이 증대되었다. 유전자 결실과 과발현 실험 결과, 이렇게 발현된 OmPGRP-L1이 amidase 활성과 무관하게 NF-κB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균성 리간드 처리에 따른 OmPGRP-L1의 발현분석을 통해 OmPGRP-L1의 상위 조절인자로서 NOD1과 NOD2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NOD 유전자 결실, inhibitor를 이용한 신호전달경로 하위 인자들의 억제, 프로모터 분석 등을 통해 OmPGRP-L1이 NODs-RIP2-NF-κB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생성됨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류 PGRP는 직접적인 항균활성을 통해 세균을 제거하거나, 세균감염에 따른 과도한 면역반응을 간접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어류의 생체방어기작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지금까지 척추동물에서 항균단백질 혹은 amidase로서만 알려진 PGRP가 어류에서 항균활성, amidase 활성, 항염증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다기능성 패턴 인식 단백질로써 생체방어에 이용된다는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 Validity of the SwingVision Application In Recreational Adult Tennis Players

        최주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4

        Abstract Chapter 1. Validity of the SwingVision application in recreational adult tennis players By Choe Ju-Pil Master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Advised by Dr. Lee Jung-Mi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SwingVision application by comparing SwingVision’s data to criterion data. Also,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recording angles of SwingVision (optimal and suboptimal). Six college students played four matches, and every match was recorded from two different angles. After the data collection, recorded videos were analyzed by SwingVision and human analysts (criterion). A total of 1065 strokes were analyzed in the agreement of SwingVision and human analysts. Cross-tabulation with a column proportion test, Cochran’s Q test, and Kappa statistics were utilized to demonstrate the association of categorical variables (stroke, hit depth, hit zone, bounce depth, bounce zone, spin, result) between the three data (i.e., optimal, suboptimal, and criterion).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to compare speed data. SwingVision data in most variables showed high proportional similarity and percent agreement with criterion data. Additionally, the optimal angle data had much more similar results to the criterion data than the suboptimal data. Therefore, this present study documented that SwingVision is trustworthy, and users should be aware of possible errors derived from angle differences. Abstract Chapter 2. When do individuals get more injured?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intensity, duration, participation mode, and injury By Choe Ju-Pil Master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Advised by Dr. Lee Jung-Mi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PA) participation modes (i.e., family, friends, club members, and alone), PA volumes (i.e., intensity and duration), gender, and injury. 9,000 Koreans aged 10 – 89 years participated in the Korean Survey of Citizens' Sports Participation project. However, participants who did not respond to a question regarding PA participation modes (n = 2429) and those under 18 years old (n = 489)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Analysis of variance (ANOVA) used to compare the groups’ characteristic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PA participation modes and injury was demonstrated by conduct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of inju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riend and club member group than in the alone group. In addition, PA intensity and gender were critical risk factors for injury, while PA duration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PA participation modes, PA intensity, gender, and injury, and an interesting finding is that more injuries derived from the higher intensity of PA, not from the longer duration of PA. Therefore, this present study directly documented that considerable attention should be placed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juries, such as gender and PA intensity, to prevent unpredictable injury and encourage potential participants to exercise with diverse participation modes and appropriate intensity. Published in Oct 2021

      • (A) study on the direct effect of European Union Law

        Lee, Dongju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7

        국문초록 EU법의 직접효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 effect of European Union Law EU법의 직접효력은 EU법의 우위와 더불어 EU법의 가장 핵심적인 원칙이 되 었다. EU법이 국제법과 구분되는 특징은 바로 EU법의 직접효력과 EU법의 우위 에 있다고 할 수 있다. EU법의 직접효력과 우위는 조약에 명시되지 않았으며, 오직 EU 사법재판소의 판결에 의해 형성된 원칙이다. EU 사법재판소는 1963년 Van Gend en Loos 사건에서 직접효력의 원칙을 형성하였으며, 1964년 Costa 사건에서는 EU법 우위의 원칙을 확립하였다. EU 사법재판소는 Van Gend en Loos 사건에서 EU법이 ‘새로운 법질서(a new legal order)’를 형성하였음을 천명하고, EU법의 직접효력을 조약의 ‘정신, 전반적 구조 그리고 자구에 기 반을 두어 도출하였다. EU 사법재판소는 Van Gend en Loos 판결과 특히 EU법 의 우위를 확립한 Costa 판결로 많은 비판을 받았으나, 현재까지 이와 같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U법의 직접효력과 우위의 형성과정에 대해 추적해보고, 최 근 각 분야의 최신판례를 분석해보고, 이러한 판례들이 직접효력이나 우위의 원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EU법 우위의 원칙은 회원국들로부터 반발을 초래하였으며, 특히 독일을 위 시한 여러 국가들은 EU 사법재판소의 입장에 저항해왔다. 독일 헌법재판소는 그간 Solange I, Solange II, Maastricht, Lisbon 판결 등을 통하여 EU법의 우위에 저항해왔으며, 최근 일부 학자들이 Solange III라고 명명한 판결에서 는 EU법이 독일 헌법상의 기본권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EU법의 우위가 적용되 지 않는다고 판시함으로써, 다시 한 번 EU법의 우위에 저항하였다. EU 사법재판소는 직접효력에 관하여도 수많은 판례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직접효력을 구분하게 되었다. 특히 준칙의 직접효력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 의 직접효력이 생성되었다. 일례로 수직적 직접효력과 전도된 수직적 직접효 력, 수평적 직접효력이 그 예이다. 또한 EU 사법재판소는 수평적 직접효력을 부인하였는데, 이로 인해 개인의 권리 구제가 어려워지자, 부수적 효력, 국가 책임, 간접적 효력과 같은 원리를 통하여 개인의 권리 구제를 보다 용이하게 하였다. EU 사법재판소의 최근 판례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국가와 국가기관 간의 수평적 직접효력에 대하여 긍정적인 시각으로 해석을 하였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판결로 새로운 형태의 직접효력이 생성되었다고 결론짓기는 이르 나, 동 판례는 향후 이와 유사한 사건에서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EU법의 직접효력과 EU법의 우위에서 EU사법재판소의 최근 판결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EU법이 변화하는 경향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핵심 되는 말: EU법의 직접효력, EU법의 우위, 독일 헌법재판소의 저항, 새로운 형태의 직접효력 ABSTRACT A Study on the direct effect of European Union Law LEE, Dong Ju Department of Law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principle of direct effect of EU law has become together with the principle of the primacy of EU law, a principle characteristic of the European Union. The principle of direct effect is not stipulated in any treaty, but has been developed by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In 1963, the Court has established the principle of direct effect in its Van Gend en Loos case, and in 1964 the principle of primacy in the Costa case. In the Van Gend en Loos case,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has declared that EU law has formed “a new legal order”, and has based its reasoning to deduce the principle of direct effect on the “spirit, the general scheme and the wording” of the treaty. The Court has been criticized for the before mentioned cases, but has nevertheless continued to elaborate those principles. In this context, this thesis tracks the development of the elaboration of the principle of direct effect and primacy, and analyzes the recent case-law in those areas.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has defined and categorized various types of direct effect through an abundant jurisprudence. Especially for the direct effect of directives, the Court has created several types of direct effect, like vertical direct effect, reversed vertical direct effect or horizontal direct effect. In the highly criticized Marshall case, the ECJ has denied the horizontal direct effect, on the grounds that individuals can’t control the implementation of directives. As the means to protect the rights of individuals had been blocked, the Court has invented several remedies to guarantee the rights of individuals. In a recent case, the Court has shown a possibility to define a new type of direct effect. This thesis will analyze this case and the impact that it will have on the direct effect. The principle of primacy of EU law has triggered resistance of the Member States. Especially,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has contradicte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in cases like Solange I, Solange II, Maastricht, or Lisbon. In a recent case which some commentators have named the Solange III case,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has decided, that in cases where principles of German Constitution and EU law collide, the primacy of EU law can be limited.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ack the evolution of the principles of direct effect and primacy and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recent changes to those principles. Keywords: direct effect of EU law, primacy of EU law, resistance of the Bundesverfassungsgericht, new type of direct effect

      • The analysis of metabolite and biological activities to explore the biodivers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Ju, Hyun Ju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407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Pfc) is a medicinal herb belonging to the mint family (Lamiaceae) that is widely cultivated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It has been used as an herbal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and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arthritis properties. It serves as a raw material for therapeutics and functional foods. Here, three main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five genotypes of Pfc essential oil (EO). The genotypes were classified by their main chemical component: Pfc 4 and 5, containing perillaldehyde, were classified as type PA; Pfc 1 and 2, containing dillapiole, as type PP; and Pfc 3 as type 2-acetylfuran. Accordingly, type PA showed intensive antimicrobial activity, followed by type PP. PCA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re related to each other. Overal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fc may differ depending on its chemical components. We suggest that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can be a robust strategy for selecting Pfc resource of EOs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dditionally, eight Pfc genotypes were extracted with ethanol (EtOH), an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for antioxidant, anti-melanogenic,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cytoprotective effects against EtOH toxicity. As a result of the antioxidant analysis, the specific antioxidant effect of Pfc 1 was confirmed in a DPPH assay using the single electron transfer (SET) and hydrogen atom transfer (HAT) mechanism. It exhibited a superior effect compared to the synthetic antioxidant BHT. The cytoprotective effect against EtOH toxicity was markedly stronger for Pfc 3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In the case of anti-melanogenic activity, Pfc 5 showed significant melanin suppression in B16F10 cells in which melanin was excessively induced by α-MSH and IBMX, which was caused by direct inhibition of tyrosinase. In addition, Pfc 5 exhibited particularly strong cytotoxicity against A549 cells relative to the other samples, with an effect that was dose-dependent. This effect was considered to be attributable to the necrotic or autophagic pathway. Pfc 2 exhibited noticeable anti-inflammatory effect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Gene expression of various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ors, including iNOS, COX-2, TNF-α, IL-18, IL-12-p-40, IL-6, was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Pfc 2.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caused by inhibition of the gen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The eight genotype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based on genotyp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y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for each classification criterion.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ssification results according to chemical composi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ose based on biological activity;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selecting genotypes for specific applications. In addition, the multidisciplinary data from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selection and breeding of Pfc varieties. 차조기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는 박하과에 속하는 약초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예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항암, 항 염증, 관절염 치료제 등 다양한 효능이 밝혀져 천연 치료제, 음식, 건강 기능성 원료로 각광 받고 있다. 5 가지 유전자형에 대한 차조기 에센셜 오일에서 3 가지 주요 성분이 확인되었다. 주성분에 의한 화학형 분류 결과, perillaldehyde를 함유하는 Pfc 4, Pfc 5는 PA 유형, dillapiole을 함유하는 Pfc 1, Pfc 2는 PP 유형, 2-acetylfuran을 함유하는 Pfc 3은 2-acetylfuran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반적으로 PA 유형은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PP 유형이 다음으로 높은 효능을 보였다. 화학 성분과 항균 활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CA 분석을 하였으며, 상호 간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항균 활성은 화학 성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화학 성분 분석이 항균 활성에 대한 차조기 에센셜 오일 우수 자원 선발의 훌륭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8 가지 차조기 유전형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다양한 생리 활성을 분석하였다. 생리 활성은 항산화, 미백, 항 염증, 항암 및 에탄올 독성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에 조사되었다. 항산화 측정 결과 단일 전자 이동 및 수소 원자 이동 메커니즘에 의한 DPPH 분석에서 Pfc 1의 뛰어난 효능이 확인 되었으며, 이는 합성 산화 방지제인 BHT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에탄올 독성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는 다른 시료에 비해 Pfc 3에서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미백 활성의 경우, Pfc 5에서 α-MSH와 IBMX에 의해 멜라닌이 과도하게 유도된 B16F10 세포에서 유의한 멜라닌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티로시나아제의 직접적인 억제에 의해 나타났다. 또한. Pfc 5는 A549 세포에서 특히 우수한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세포 독성은 괴사 또는 자가 포식 경로 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Pfc 2는 LPS로 염증 반응이 유도된 RAW 264.7 대식 세포에서 항 염증 효과를 나타냈으며 iNOS, COX-2, TNF-α, IL-18, IL-12-p-40, IL-6 등 다양한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매개체의 유전자 발현 억제에 기인한 것이다. 유전형, 형태학적 특성 및 생리 활성에 따른 분류는 다 변량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각 분류 기준에 대해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화학 성분에 따른 분류 결과는 생물학적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차조기의 우수 자원 선발 기준 선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차조기의 우수 자원 선정 및 육종의 기초 데이터가 될 것이다.

      •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of the bone surrounding orthodontic mini-screws according to root proximity

        Hyun-Ju Oh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390

        Abstract in Korean 치근 근접도에 따른 교정용 미니 스크류 주위 골에 대한 조직형태계측학적 평가 오 현 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지도: 황 충 주 교수> 본 연구는 성견의 하악 구치부의 치근사이공간에 식립된 미니 스크류 주위 골을 인접한 치근에의 근접도에 따라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6개의 교정용 미니 스크류 (총 24개)를 각 성견 (총 4마리)의 하악 구치부의 치근사이공간에 자가 드릴링 방법으로 식립하였다. 성견의 하악골에 식립된 미니 스크류들 중 좌, 우측의 각 1개씩은 부하를 가하지 않았고 (비 부하군), 하악골의 좌측에 식립 된 미니 스크류 2개는 식립 즉시 100-200g의 부하를 가하였으며 (즉시 부하군), 우측에 식립된 미니 스크류 2개는 식립 3주 후에 같은 크기의 힘으로 부하를 가하였다 (지연 부하군). 골 조직의 형광현미경 관찰을 위해 식립 4주 후에 실험동물에 테트라싸이클린을 정맥내 주사하였다. 식립 6주 후에 실험동물을 안락사 시킨 후, 미니 스크류를 포함하는 조직을 채취하여 연마 조직표본을 제작, 관찰하였다. 염색된 조직 표본을 이용하여 인접 치근에서 미니 스크류까지의 거리에 따라 미니 스크류를 3개의 군 (높은 치근 근접도군, 낮은 치근 근접도군, 안전 거리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미니 스크류 당 BIC (%, 골-임플란트 접촉)를 산출한 후, 치근 근접도 군들과 부하 시기 군들에서 군 간에 BIC (%)의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조직표본 관찰 결과 미니 스크류 나사산이 bundle bone을 건드렸을 때, 인접 치주인대의 위축성 변화가 관찰되었고 미니 스크류의 나사산이 bundle bone을 침범한 경우, bundle bone 내에서는 골-임플란트 접촉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인접 치근의 흡수가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미니 스크류의 첨단 부위가 인접 치근에 접촉된 경우 치주인대 폭경의 현저한 증가와 인접 치조골의 흡수가 관찰되었다. 평균 골-임플란트 접촉 (%, BIC)은 3개의 치근 근접도 군 중 높은 치근 근접도 군에서만 유의하게 낮았고 나머지 2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 부하군, 즉시 부하군, 지연 부하 군들 간에서 BIC (%)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나타내는 것은 교정력의 부하 시기에 상관없이, 교정용 미니 스크류의 안정성은 인접 치근과 접촉된 경우뿐만 아니라 bundle bone과 접촉된 경우에 감소한다는 것이다. 또한, 임상가는 교정용 미니 스크류를 치근사이공간에 위치시킬 때 스크류가 인접 치근으로부터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bundle bone과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 핵심 되는 말: 미니 스크류, 치근 근접도, 골-임플란트 접촉, bundle bone Abstract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of the bone surrounding orthodontic mini-screws according to root proximity Hyun-Ju Oh Department of Dentistr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ung-Ju Hwa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erform histomorphometric evaluations of the bone surrounding orthodontic miniscrews according to their proximity to the adjacent tooth roots in the posterior mandible of beagle dogs. Four male beagle dogs were used for this study. Six orthodontic miniscrews were placed in the interradicular spaces in the posterior mandible of each dog (N = 24). The implanted miniscrews were classified into no loading, immediate loading, and delayed loading groups according to the loading time. At 6 weeks after screw place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issue blocks including the miniscrews were harvest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s. After analysis of the histological sections, the miniscrew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dditional groups according to the root proximity: high root proximity, low root proximity, and safe distance groups. Differences in bone–implant contact (BIC, %) among the root proximity groups and among loading time groups were determined using statistical analyses. No BIC was observed within the bundle bone invaded by the miniscrew threads. Narrowing of the periodontal ligament was observed in cases where the miniscrew threads touched the bundle bone. BIC (%)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 root proximity group than in the low root proximity group and safe distance groups. However, BIC (%)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loading time groups. In conclusion, regardless of the loading time, the stability of an orthodontic miniscrew is decreased if it is in contact with the bundle bone as well as the adjacent tooth root . Key words: Miniscrew, Root proximity, Bone–implant contact, Bundle b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