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determinants of dropout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Rwanda

        Havugineza Bonaventure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21 국내석사

        RANK : 23196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dropouts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Rwanda especially in Ngororero Distric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sample size of 300 respon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ainly the category of 150 parents of dropped out students and 150 parents of current students. The non-probability sampling (Convenient) was used in selecting the study sample; the data collected was from primary data that consisted of constructed questionnaires, SPPS software was used to generat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ulation,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methods of data analysis. The study mainly focused on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arents’ involvement variables to find out the study objective. The results show that the age of a child, number of children per household, distance from home to school, the parent education level, communication with child after school and parents’ attendance of school meeting influenced students to dropout school. Through this study, it is remarkable that the role of parent’s involvement in student education is important, the more parents participate in children education, the lower the number of school dropout as a result of parents involvement in children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policy suggestions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overcoming the student’s dropout. 본연구의 주요 목적은 르완다의 초등학교 중퇴, 특히 응고로 지역에서의 중퇴 결정 요인을 알아내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중퇴생 학부모 150명과 재학생 학부모 150명을 중심으로 2개 항목으로 나누어 응답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표본크기를 설정하여 진행됐다. 비확률적 표본추출(편의)은 연구 샘플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었고, 수집된 데이터는 만들어진 설문지로 구성된 1차 데이터에서, SPPS 소프트웨어는 기술 통계를 생성하는 것에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 방법으로 교차표, 상관관계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이번 연구는 주로 사회경제적 특성과 부모의 참여변수에 초점을 맞춰 학습목표를 파악했다. 그 결과 자녀 연령, 가구당 자녀 수, 가정부터 학교까지의 거리, 학부모 교육 수준, 방과 후 자녀와의 소통, 학부모 모임 참석 등이 학생들의 자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학생교육에 학부모가 참여하는 역할이 중요하고, 학부모가 자녀교육에 참여할수록 학교 중퇴자 수가 줄어든다는 점이 눈에 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학생의 중퇴를 극복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 제안을 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