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Method of Reducing Dimensionality of Dissimilarity for Pattern Recognition

        Gao Jian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375

        요약 논문제목: 패턴인식을 위한 비유사도표현의 차원축소방법 본 논문에서는 비유사도기반 식별기(DBC)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였다. DBC는 Duin교수팀에 의해 제안된 식별 방법으로, 패턴을 구성하는 특징으로 식별하는 대신에 패턴들 사이의 비유사도를 측정하여 클래스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DBC 식별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전체 학습 데이터를 대표할 수 있는 적은 규모의 프로토타입을 추출하여야 한다. 그런데 최적의 프로토타입을 선정하기가 어렵고, 또한 선정과정에서 식별에 유용한 정보를 상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학습 데이터를 프로토타입으로 선정한 다음, 차원축소 방법(DRS)을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학습 데이터에서 소수의 프로토타입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대신에 전체 데이터로 비유사도 행렬을 작성한 다음 기존의 DRS를 적용하여 차원을 축소하는 방법이다. 두 종류의 실생활 벤치마크 데이터베이스로 실험한 결과, 제안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식별율을 개선하였다. Abstract Title: A Method of Reducing Dimensionality of Dissimilarity for Pattern Recognition Author: Jian Gao Supervisor: Professor Sang-Woon Kim, PhD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strategy by which a new philosophy for pattern classification pertaining to dissimilarity-based classifiers (DBCs) can be efficiently implemented. Proposed by Duin and his co-authors, DBCs are a way of defining classifiers among classes; they are not based on the feature measurements of individual patterns, but rather on a suitable dissimilarity measure among the patterns. The problem with this strategy is that we need to select a representative set of data that is both compact and capable of representing the entire data set.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optimal number of prototypes and, furthermore, selecting prototype stage may potentially los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discrimination. To avoid these problems,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alternative approach where we use all available samples from the training set as prototypes and subsequently apply dimensionality reduction schemes. That is, we prefer not to directly select the representative prototypes from the training samples; rather, we use a dimensionality reduction scheme after computing the dissimilarity matrix with the entire training samples. Our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chanism can improv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conventional approaches for two real-life benchmark databases.

      • 한국어 ‘누르다’ 계열과 중국어 ‘황(黃)’ 계열 색채어 대조 연구 : 은유 의미 대비 중심으로

        GAO YUXU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59

        Color words are words that describe the color of things and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language. Through such words, it is possible to describe not only the color of an object but also express a person's feelings or sensations. Accordingly, color words reflect the culture, customs, psychology, habits, mindse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a country or nation. Korea and China are geographically close to each other and have a history of frequent exchanges. Both countries are part of the Confucian and Chinese cultural circles and have many cultural similaritie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culture, religion, and ways of thinking, which result in different metaphorical meanings and cultural connotations in Korean and Chinese color words. In this study, the Korean and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a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study. From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in Korea and China,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research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olor words, but it has mainly focused on the study of the five color words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In-depth analysis of single color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and comparative studies of color words are limited to selected dissertations. In addition, the scope of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morphology of color words, and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comparison of metaphorical meanings. Therefore, the Korean and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are selected for this study, as they are the most diverse of the color words and are the most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from traditional society to the present. After understanding the basic meaning and morphology of the color words in both countries,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metaphorical meaning. Firstly, this study provides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grasps the concept of color words an , d organizes the basic color words in Chinese and Korean. The morphology of the Korean and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are also compared and contrasted. Then,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words suggested by Korean dictionaries and Chinese dictionari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yellow" are collated. By comparing the metaphorical meanings of the Chinese and Korean yellow-related color words, this study summaris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anings and analyses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eight basic Chinese color words were chosen: "white, black, red, yellow, green, blue, grey and purple", and five basic Korean color words were chosen: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The Korean yellow-related color words are divided into inherent color words, Chinese color words and foreign color words, and their meanings are analysed. The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are divided into single color words, synthetic color words and overlapping color words, and their meanings are analysed. The negative metaphorical meanings of the Korean yellow-related color words are: (1) decline, despair; (2) ill health; (3) warning; attention (4) earthly (5) death; netherworld (6) stinginess (7). The masculine metaphorical meanings are: (1) important, precious; (2) mature. The negative metaphorical meanings of the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are: (1) sensational, (2) death, netherworld (3) decline, despair (4) failure (5) warning; attention (6) ill health (7) ugly (8) children (9) false, illegal. Positive metaphorical meanings: (1) important, precious; (2) pure; (3) emperor's power; (4) peaceful; (5) old age; (6) mature; (7) courageous. Neutral metaphors have the following meanings: (1) long time (2) wine (3) gold (4) land (5) yellow river (6) emperor. The similarities in the metaphorical meanings of the Korean and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show that they have common features of negative metaphorical meanings such as "decline and despair", "bad health", "warning, attention", "death, netherworld" and "sensationalism". Yellow is arguably the color word most influenced by Western culture, and in its negative sense it has an 'erotic' connotation due to this influence.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same positive meanings, like 'important, precious' and 'mature'. As can be seen, in both Korea and China, yellow is used as a metaphor for something valuable and precio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taphorical meanings of the Korean and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shows that the Korean yellow-related color words have inherent derogatory meanings of "mundane" and "miserly". In contrast to Korean, the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have derogatory meanings such as "failure", "ugly", "child", "false" and "illegal", as well as positive meanings such as "pure", "power of the emperor", "peaceful", "old age" and "courageous", and even neutral meanings such as "longevity", "gold", "land", "yellow river" and "emperor".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show that the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are richer in metaphorical meaning and have more positive meanings. The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have more positive meanings than the Korean color words, arguably because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yellow and imperial power and land. Yellow is the centre of the five colors according to the five elements of yin and yang, and in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ies, yellow land was very important to the Chinese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meaning of the Korean yellow-related color words is more prominent than in Chinese. According to the judgement,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concept yellow and actual yellow , and that Koreans a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and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s color in general. The Chinese yellow-related color words also contains negative connotations, as the positive connotations perceived by traditional societies have faded with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portraying a lustful image. This study compares the basic and metaphorical meanings of yellow-related color words in China and South Korea, and analyz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yellow-related color words in Korea and China.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hinese learners of Korean to understand and learn the Korean yellow-related color words.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provide help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and learn the Korean yellow-related color words. 색채어는 사물의 색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로서 언어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색채어를 통해 객관적인 사물의 색채를 묘사할 뿐 아니라 사람의 감정이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색채어는 한 국가 혹은 민족의 문화, 풍속, 심리, 습관, 사고방식, 심미적 의식을 반영한다.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있어 역사적으로 교류가 빈번하게 일어났으며, 양국 모두 유교 문화권, 한자 문화권에 속하여 문화적으로 유사한 면이 많다. 그러나 문화와 종교, 사고방식 등에 차이가 있어 한국어와 중국어의 색채어에 담긴 은유적 의미와 문화적 함의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한국어 ‘누르다’ 계열 어휘와 중국어 ‘황(黃)’ 계열 색채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기존연구를 분석한 결과, 한중 색채어 비교에 관한 연구는 이미 다수 진행되었으나 오색(푸르다, 붉다, 누르다, 희다, 검다) 색채어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단일 색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색채어 비교 연구도 일부 학위논문에 국한되어 있다. 또 연구의 범위도 색채어의 구조와 형태를 분석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은유적 의미 비교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중 색채어에서 가장 다양한 분포를 보이면서 전통 사회부터 현재까지 일상에서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한국어 ‘누르다’ 계열의 단어와 중국어 ‘황(黃)’ 계열의 색채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양국 색채어의 기본적인 의미와 형태에 대해 파악한 후, 은유적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색채어의 개념과 한중 기본 색채어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누르다’ 계열과 중국어 ‘황(黃)’ 계열 색채어의 형태도 정리하여 대조하였다. 이어서 한국어 사전과 중국어 사전에서 제시하는 어휘의 뜻을 바탕으로 ‘누르다’와 ‘황(黃)색’과 의미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명도, 채도, 순도, 설명 대상 등 다양한 관점에서 ‘황’ 계열 색채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누르다’ 계열과 ‘황(黃)’ 계열의 은유 의미 비교를 통해 둘의 의미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요약하여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본 연구는 중국어 기본 색채어를 ‘백·흑·홍·황·녹·남·회·자’ 여덟 가지로 선정하였으며, 한국어 기본 색채어는 ‘푸르다’, ‘붉다’, ‘누르다’, ‘희다’, ‘검다’ 다섯 가지로 선정하였다. 한국어 ‘누르다’ 계열 색채어는 고유 색채어와 한자 색채어, 외래 색채어로 구분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중국어 ‘황’ 계열 색채어는 단일 색채어, 합성 색채어, 중첩 색채어로 구분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한국어 ‘누르다’ 계열 색채어의 긍정적인 은유 의미는 (1) 중요, 귀중 (2) 성숙이 있다. 부정적인 은유 의미는 (1) 쇠퇴, 절망 (2) 건강 안 좋음 (3) 경고, 주의 (4) 속세 (5) 죽음, 저승 (6) 선정적 (7) 인색이 있다. 중국어 ‘황’ 계열 색채어의 긍정적인 은유 의미는 (1) 중요, 귀중 (2) 순결 (3) 황제의 권력 (4) 상서로움 (5) 노년 (6) 성숙 (7) 용맹이 있다. 부정적인 은유 의미는 (1) 선정적 (2) 죽음, 저승 (3) 쇠퇴, 절망 (4) 실패 (5) 경고, 주의 (6) 건강 안 좋음 (7) 못생김 (8) 어린아이 (9) 허위, 위법이 있다. 중립적인 은유 의미로는 (1) 오랜 시간 (2) 술 (3) 황금 (4) 토지 (5) 황하 (6) 황제가 있다. 한국어 ‘누르다’ 계열 색채어와 중국어 ‘황’ 계열 색채어 은유 의미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쇠퇴 절망’, ‘건강 안 좋음’, ‘경고, 주의’, ‘죽음, 저승’, ‘선정적’이라는 부정적인 은유의 의미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는 특징을 보였다. 황색은 색채어 중에서 서양문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색채어라고 할 수 있다. 부정적인 의미 중 ‘선정적’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된 것도 서양문화의 영향에 기인한다. 한편 긍정적인 의미에서는 ‘중요, 귀중’, ‘성숙’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에서 모두 황색은 가치 있고 귀중한 것을 비유하는 데 사용된다. 한국어 ‘누르다’ 계열 색채어와 중국어 ‘황’ 계열 색채어 은유 의미의 차이점을 살펴 보면, 한국어 ‘누르다’ 계열 색채어의 경우 ‘속세’와 ‘인색’이라는 고유한 부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어 ‘황’ 계열 색채어의 경우 ‘실패’, ‘못생김’, ‘어린아이’, ‘허위, 위법’이라는 부정적 의미, ‘순결’, ‘황제의 권력’, ‘상서로움’, ‘노년’, ‘용맹’이라는 긍정적 의미, ‘오랜 시간’, ‘술,’ ‘황금’, ‘토지’, ‘황하’, ‘황제’라는 중립적 의미에서 한국어 색채어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어 ‘황’ 계열 색채어의 은유 의미가 더 풍부하며 긍정적인 의미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어 ‘황’ 계열이 한국어 색채어보다 긍정적인 의미를 많이 가지고 있는 이유는 황색이 황권, 토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음양오행에 따르면 황색은 오색의 중심이며, 전통 농업사회에서 황색 토지는 중국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 기인한다. 한편, 한국어 ‘누르다’ 계열 색채어의 부정적인 의미가 더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관념적 노란색과 실제 노란색의 차이가 크고, 한국인들이 유교의 영향을 받아 전반적으로 색채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중국어 ‘황’ 계열 색채어도 부정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서양 문화가 유입되면서 전통 사회에서 인식되던 긍정적인 의미가 퇴색되고 선정적인 이미지가 각인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누르다’ 계열과 중국어 ‘황(黃)’ 계열 색채어의 기본적인 의미와 은유적 의미를 비교하여 한중 ‘누르다’ 계열 색채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누르다’ 계열 색채어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광지 이미지에 따른 중국관광객 시장세분화 : 서울지역 중심으로

        GAO FENGBO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359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view data, which is atypical text data on - line,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ique, rather than a quantitative study using structured survey method, which was used for a long time in the hospitality industry. In order to strategically image marketing of tourism destinations in the changing ecosystem of tourism,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perception of tourist destinations perceived by tourists not only offline but also online. It has become possible to measure the image of tourist destination through the evaluation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the actual tourist destination without going through the questionnaire. We have systematized the procedure of this analysis method and it will be an important research methodologically meaningful in analyzing the unstructured text data Can be. The Big Data used in this research collected 14,406 online reviews through a dedicated web crawler program called 'Python'. The actual number of words used in the analysis was 34,624. In addition, the top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are the Myeongdong (3795), Gyeongbokgung (3690), Samcheongdong (1072), Namsan N Seoul Tower (3453) and Bukch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ree components of tourism image through the text mining analysis technique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concurrent frequency of online review data collected through the Python web crawler. We extracted 50 frequently used top keywords for tourist destinations in Seoul. Second, the extracted 50 keywor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actors of tourism imag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infrastructure', 'social environment', 'natural resource', 'information resource', 'comfort', ' And 'specific activities for tourism'. Third, the weight of the components of tourist image classified using TF-IDF technique wa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collected by Ctrip and Ma-Fung si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ata effectiveness was secured . Fourth, we used three scales of 'cognitive image', 'emotional image', and 'behavioral image',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eight constituent factors in order to analyze the extracted online review data. Fifth, the emotional tendency of extracted online text was analyzed and the potential emotional tendency of online text was grasp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social environment' 2 outline perceived a high positive image, but the negative tendency toward 'natural resources' was the high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twork data collected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was verified to be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network data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the tourist imag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tourist image in Seoul. Based on the online review using the Gephi program,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structure and correlations of the factors that form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The connection between each of these factors has a complex network structure, and the elements forming the image of sightseeing spot in Seoul have close connectivity and high density. The importance of the Chinese tourist 's pursuit factors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the constitutional relations of tourist destination images was segment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number and size of nodes of each factor. In other words, the first stage subdivided core market is pursuing specific tourism activities and can be ident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est in the atmosphere of the tourist destination. The second stage of the subdivided tourism market can be guessed that Chinese tourists were driven by infrastructure, social environment, natural resources and information resources of tourist destinations. The three - tiered tourism market is a specific group of Chinese tourists seeking a genuine, authentic character and a dynamic and personal feeling that represents historical and traditional emotions and attractions. There are few studies that combine data mining techniques with exist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results and to double the value of the application. Market segmentation is a management technique that groups consumers wh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identifies their needs and establishes and implements a marketing strategy tailored to the target group. Applying text mining technology to market segmentation can yield more effective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tourist image, and to present a different methodological approach from previous studies using the existing survey method using the big online data.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not only a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Chinese tourists but also as meaningful data for the measurement of tourism image and the development of scale. 본 연구에서는 오래동안 환대산업분야 선행연구에서 주로 쓰였던 구조화된 설문조사 방식을 통한 계량적 연구가 아닌 온라인상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인 리뷰 데이터를 빅 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관광생태계의 변화 속에서 관광목적지의 전략적인 이미지 마케팅을 위해서는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서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관광목적지의 인식에 대한 파악이 반드시 필요하다. 설문조사를 거치지 않고 실제 관광목적지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의 평가를 통해 관광목적지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분석방법 절차를 체계화로 하였으며, 향후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분석할 때 방법론적으로 의미 있는 중요한 연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 활용된 빅 데이터는 ‘Python’라는 전용 웹크롤러 프로그램을 통한 14,406건 온라인 리뷰를 수집하였으며, 실제 분석에 이용된 데이터의 단어 수는 34,624개로 구성되었다. 또한, 서울의 관광지 상위인 ‘명동’(3795건), ‘경복궁’(3690건), ‘삼청동’(1072건), ‘남산N서울타워’(3453건), ‘북촌’(2396건)으로 수집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기법을 통해 관광지 이미지의 3가지로 구성요소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ython 웹 크롤러를 통해 수집한 온라인 리뷰 데이터의 동시출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서울에 관광목적지로서 5곳의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언급한 많이 사용된 상위 키워드 50개로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50개 키워드들을 관광지 이미지의 결정요인에 따라 요소별로 분류하였으며 ‘인프라시설’, ‘사회적 환경’, ‘자연자원’, ‘정보자원’, ‘쾌적함’, ‘진정함’, ‘인상적’ 그리고 ‘관광 특정활동’의 8가지로 분류하였다. 셋째, TF-IDF기법을 이용해서 분류된 관광지 이미지의 구성요소를 대상으로 가중치를 산츨하며, 씨트립 및 마펑워 사이트에서 수집한 데이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하였고 데이터의 효과성을 확보하였다. 넷째, 추출된 온라인 리뷰 데이터를 내용분석을 하기위해 분류된 차원인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 그리고 ‘행동적 이미지’의 3개 척도, 8개의 구성요인에 대한 사용빈도를 계산하였다. 다섯째, 추출된 온라인 텍스트의 감정경향에 대한 분석하여 온라인 텍스트의 잠재적인 감정경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인프라시설’ 및 ‘사회적 환경’ 2개요인은 높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각하게 되었 반면에 ‘자연자원’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경향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을 통해 수집한 전체 네트워크 데이터들간의 상관관계가 유의성 검증을 하여 관광지 이미지의 구성요소들에 관련된 네트워크 데이터가 서울에 관광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Gephi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온라인 리뷰에 바탕으로 관광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인들의 연결망 구조 및 상관관계가 갖고있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분류된 각 요인들간의 연결이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를 갖게되며, 온라인상에 서울지역의 관광지 이미지를 형성되는 요소들이 밀접한 연결성을 갖게되고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관광지 이미지의 구성관계 시각화를 통해 중국인관광객들의 추구요인들 사이의 중요성을 각 요인들의 노드 수와 크기를 기준으로 3집단 계층적인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였다. 즉, 1단계 세분화된 핵심시장은 특정한 관광활동을 추구하며 관광목적지의 분위기에 관심 가지는 특성이 확인할 수 있다. 2단계 세분화된 관광시장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관광목적지의 인프라시설, 사회적 환경, 자연자원 그리고 정보자원과 연계되어 추진이 되었다는 것을 추측해 볼수있다. 3단계 세분화된 관광시장은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감정과 관광지를 대표성 있는 고유한 진정적인 특성 및 역동적이고 인성적인 느낌을 추구하는 중국인 관광객의 특정한 집단이다.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기존적인 통계분석방법과 결합하여 그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확고히 할 뿐만 아니라 그 응용의 가치를 배가시키는 연구가 거의 없는 실태이다. 시장세분화는 비슷한 특성을 갖게 된 소비자들을 그룹화 하여 그 욕구를 파악하여 목표 그룹에 맞춰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는 경영기법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시장세분화에 응용하면 더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광지 이미지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온라인 관광 리뷰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한 선행연구들과 다른 방법론적 접근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연구 결과는 중국인 관광객 대상으로 효과적인 관광시장에 대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관광지 이미지의 측정과 척도 개발을 위하여 의미 있는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 중국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및 지각된 위험이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GAO, MINGHUI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59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people's living standard has been greatly elevated. Customers have an increasing demand for cars, and the problems such as resource consumption, environmental damage, etc. are popping out. In recent years, haze weather appears more frequently, and therefore people’s demand for improving air quality is higher. Faced with a series of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deterioration, energy shortage and global warming, it has become the consensus of the whole world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and energy-saving new energy vehicle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ew energy vehicle industry, the Chinese government continuously provides financial subsidies for new energy vehicle companies. However, the policy of financial subsidies cannot last long. There has also been a tendency in recent years to reduce subsidies. Under such circumstances, it is worth studying the ways how to increase Chinese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At the same time, under the background of advocating energy saving and emission reduction all over the world, new energy vehicles with advantages of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have become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the fu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ustomer perception, this paper conducts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hinese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of new energy vehicles. By settling and analyzing related studies on purchase intention of new energy vehicles and based on the rational behavior theory, a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nese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referring to the previous papers, the author made hypotheses, prepare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a total of 262 questionnaires in the electronic form. Finally, SPSS 26.0 and AMOS 25.0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results, it shows that Chinese custo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novation, and recognition of new-energy vehicle products can positively affect their attitudes towards New-energy vehicles. Subjective norms an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s New-energy vehicl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new-energy vehicle purchase intention. Environmental value, economic value and quality value among consumers’ perceiver value have a positive impact on new-energy vehicle purchase intention. Among them, economic value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new-energy vehicle purchase intention. However, financial risk, performance risk and policy risk among consumers' perceiver risks have a negative impact on new-energy vehicle purchase intention. Among them, physical risk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new-energy vehicle purchase inten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easibility suggestions are put forwar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government and the enterprises, so as to promote and enhance Chinese customers’ new-energy vehicle purchase intention. 중국 경제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고 자동차에 대한 수요도 끊임없이 높아졌다. 하지만 이로 인한 자원 낭비, 환경 파괴 등의 환경문제들도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다. 수년 전부터 스모그와 미세먼지가 심각한 날들이 점점 더 많아지면서 공기의 질을 개선하라는 요구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대기오염, 자원 고갈, 기후 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들에 직면한 가운데 신에너지 자동차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약을 실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에게 재정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전 세계에서 에너지 절약, 오염물질 배출 감소 등을 외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 등의 방면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는 신에너지 자동차는 자동차 산업의 미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지원 정책의 강도가 다소 약해진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국 소비자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기업와 정부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에너지 자동차에 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신에너지 자동차의 개념과 유형 및 특징을 파악하고 합리적 행동이론에 추가적인 변수들을 결합하여 중국 소비자들이 환경의식, 혁신성, 신에너지 자동차의 인지도,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의 각 차원에서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에너지 자동차의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262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26.0 및 AMO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개인요인 (환경 의식, 혁신성 및 신에너지 자동차 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한 태도는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규범은 신에너지 자동차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한 지각된 가치(환경적 가치, 경제적 가치, 품질적 가치)는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가치는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한 지각된 위험(재무적 위험, 기능적 위험, 정책적 위험)은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체적 위험은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H1-1, H1-2, H1-3, H2, H3, H4-1, H4-2, H4-3, H5-1, H5-2, H5-4가 지지되었다. 반면에, 가설 H4-4, H5-3이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과 정부는 적절한 마케팅을 진행하여 신에너지 자동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수준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혁신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뛰어난 혁신성을 지니고 있는 소비자들은 다른 소비자들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 행위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중국 소비자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가운데 주관적 규범은 비교적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소비자는 주위의 사람들의 의견이나 행동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은 구전 효과 및 제품 이미지 제고, 소비자의 주관적 규범 의식 강화 등을 통하여 소비자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환경적 가치, 경제적 가치, 품질적 가치가 높을수록 중국 소비자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한 지각된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끊임없는 제품 관리, 기술 혁신, 연구개발을 통한 신에너지 자동차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신에너지 자동차의 생산 원가를 낮춰 판매 가격 수준을 낮춰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재무적 위험, 기능적 위험, 정책적 위험이 높을수록 중국 소비자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에너지 자동차 업계는 발전에 초점을 맞춰 핵심 기술의 연구개발을 더욱 강화하고 소비자가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한 안정성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부는 재정적 지원 정책 보완, 합리적인 판매 가격 설정, 기술력 및 안전성 향상, 구매에 대한 부담감 감소 등을 통해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소비자들이 환경 보호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신에너지 자동차가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인식을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 기업은 신에너지 자동차를 구매함으로써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소비자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신에너지 자동차의 연구개발과 마케팅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소비자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의도는 신에너지 자동차의 기술, 성능, 가격 등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자동차 기업은 기술 연구개발을 더욱 중시하고 끊임없이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고 신에너지 자동차의 성능에 대한 소비자의 염려을 줄일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소비자들이 신에너지 자동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비층에 대한 맞춤형 마케팅을 진행하는 등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힘써야 한다.

      • 중국 수용자의 한국 드라마에 대한 심리적인 시청경험에 관한 연구 : 문화적 근접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GAO, SIQI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59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자가 외국 영상물을 시청할 때 어떠한 심리적인 시청경험이 나타나는가, 이러한 심리적인 시청경험은 문화적 요소의 어떠한 영향을 받을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중국 수용자가 한국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은 한국 드라마를 시청할 때 나타나는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동일시, 몰입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한국 드라마 시청량의 조절효과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동일시 두 요인이 선행요인으로 몰입에 미치는 영향도 같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들에 의해 측정항목을 도출하여 설문지를 만들었다. 한국 드라마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중국 수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73부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화적 근접성은 ‘한국 동경’, ‘한국식 가치관’, ‘한국어 어학능력’이라는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동일시는 ‘인지적 동일시’, ‘유사성 인식’, 그리고 ‘감정적 동일시’라는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다음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동일시의 3개 요인, 몰입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화적 근접성의 3개 요인이 모두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 동경과 한국식 가치관 두 요인이 인지적 동일시와 유사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감정적 동일시의 경우, 한국식 가치관의 영향만 받는다. 전반적으로 한국어 어학능력보다 한국 동경과 한국식 가치관이 심리적인 시청경험들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 드라마 시청량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한국 동경과 한국식 가치관의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유사성 인식과 감정적 동일시가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중국 수용자가 한국 드라마를 시청할 때 심리적으로 나타나는 여러가지 경험들은 외적인 요인보다 주로 한국 동경과 한국식 가치관 이러한 내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즉 언어적 거리보다 문화적 거리는 수용자가 외국 영상물에 대한 수용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논문은 심리적인 시청경험의 측면에서 문화권이라는 한계에 초점을 맞춰 외국 영상물에 대한 심리적인 시청경험을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하나의 문화권에서 연구해온 이러한 시청효과가 문화적 요소 등 다른 영향요소와 결합하는 데에 가능성을 제공한다. 즉 수용자의 외국 영상물에 대한 시청효과에 관한 연구에 새로운 시사점을 주는 연구가 되겠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psychological viewing experience the audience experiences when watching foreign films, and how the psychological viewing experience will be affected by cultural facto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the cultural proximity of the Chinese audiences to Korea influences the parasocial interaction, identification, and flow experience when watching Korean drama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mount of Korean dramas viewing, the effect on flow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identification as predisposing factors。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reated by deriving the items of measurement which base o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on Chinese prisoners who have experienced Korean dramas, a total of 273 valid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cultural proximity gets 3 factors for ‘longing for Korea’, ‘Korean values’, and ‘Korean language ability’. Identification gets 3 factors for ‘cognitive identification’, ‘similarity realization’ , and ‘emotional identification’.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parasocial interaction, identification, and flow, all three factors of cultural proximity have an effect on parasocial interaction and flow. ‘Longing for Korea’ and ‘Korean values’ affect ‘cognitive identification’ and ‘similarity recognition’. In the case of emotional identification, it is only affected by Korean values. Overall, ‘longing for Korea’ and ‘Korean values’ have more influence on psychological viewing experiences than Korean language ability. Also, the amount of Korean dramas viewing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longing for Korea’ and ‘Korean values’ on parasocial interaction. Finally, parasocial interaction, similarity realization and emotional identifi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flow. It can be seen that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Chinese audiences watching Korean dramas are mainly influenced by internal factors such as ‘longing for Korea’ and ‘Korean values’ than external factors. In other words, the cultural distance rather than the linguistic distance has more influence on the viewing of the foreign videos by the audiences. This study examines the psychological viewing experiences of audiences when watching foreign videos, and provides a possibility to combine these viewing effects, which have been studied in one culture, with other influencing factors such as cultural factors.

      • 중국 지역편견 감소를 위한 유머적 이모티콘 표현 연구 : 위쳇 이모티콘 중심으로

        GAO, JING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359

        서로 다른 문화 풍속과 지리적 환경은 오늘날 중국의 지역 문화를 만들어냈고 이런 다른 지역 문화는 서로 영향을 주는 동시에 각종 모순과 편견을 일으켰다. 교통, 통신기술이 뒤처졌던 고대에는 소통이 부족하여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다른 지역에 대해 많은 단편적인 인식이 생기고, 많은 선입견이 형성되었고 이러한 선입견이 깊어짐에 따라 다양한 고정관념이 나타났고, 이러한 고정관념이 오래 지나 결국에는 지역 편견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교통 통신 기술의 부단한 발전으로 각 지역 간의 교류가 증가하여 이전의 지역의 편견을 어느 정도 완화가 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다른 지역의 고정관념을 세우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오늘날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인터넷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류를 증가시키긴 하지만, 어느 정도 지역 편견의 촉매제가 되고 있다. 일부 단편적이고 허위적인 메시지들이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전파되어 오히려 무형 속에서 지역 편견을 심화 시켰다. 인터넷상에서는 각 지역 간에 서로 비방하고 욕설하는 발언이 곳곳에서 발생하여 많은 사회의 잠재적인 모순을 야기하였고 지역 편견은 중국 현대 사회에서 가볍게 볼 수 없는 사회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위쳇 이모티콘 개발을 통해 지역 편견 문제의 날카로움을 약화시키기 위한 것이며 대중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이 문제를 대하고 유쾌한 분위기 속에서 쌍방의 소통을 늘려 지역 편견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줄이려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분석법을 운용하여 대량의 서적, 잡지, 국내외 유머 관련 사례, 이모티콘 등 방면의 문헌들을 통해 유머의 표현 기법, 이모티콘의 유형과 작용 등 내용에 대하여 분석을 하여 본문의 연구 체계와 구조를 세웠다. 조사분석으로 얻은 결론과 결합하여 위쳇 이모티콘 개발은 하나의 새로운 각도에서 유머 요소를 가미하고 과장, 풍자, 이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각 지역의 고정관념을 유머러스하고 재미있으며, 웃음을 참을 수 없게 하여 사용자들의 지역 편견이 가져온 위화감을 완화시켰다. 유머러스한 이모티콘은 지역 편견으로 인한 긴장의 분위기를 한층 더 가볍게하고 어색함을 해소하며 사용자의 감정을 섬세하게 전달하여 유쾌한 대화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더 깊이 소통할 수 있게 하여 쌍방이 서로가 있는 지역에 대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인식을 가지게 하고 근본적으로 지역의 편견을 완화하고,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Different cultures, customs and geographical conditions have given rise to multiple reginal cultures in today’s China. At the same time, all sorts of conflicts and biases have occurred in the interactions of different regional cultures. In the ancient time, it was difficult for people to make contact with and receive accurate and valid information from other regions due to the lack of efficien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fore, many biased opinions and preconceived impressions were established against other regions. As these biases continued to deepen, various stereotypes came into being, which eventually developed into geographical biases after spreading day by day.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actions between regions kept growing, which, to some extent, has mitigated the pre-existed geographical biases. However, the aggravation of stereotypes against other regions has not ceased. Alth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increased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it also catalyzes the condition of geographical biases at some level. Some one-sided and false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rapidly through the Internet, worsening the situation without people noticing. Slandering and abusing towards other regions can be seen everywhere on the Internet, which has generated many potential conflicts in the society. it is obvious that geographical biases have become a social issue that cannot be neglected.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weaken the acuteness of geographical bias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WeChat memes and spread a light spirit among the public in facing this issue. It is hoped that interactions between people can be realized in a delightful atmosphere with the negative influence from geographical biases. This thesis adopts the method of literature review. Efforts have been made in looking through a considerable number of books and magazines, referring to foreign literature on humors, memes and other related topics, analyzing the techniques of humorous expression as well as the types and contents of memes, thus forming the frame and structure of the research.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memes are able to turn stereotypes of different regions into humorous, funny and laughable elements if developed from a new point of view by integrating humorous factors, exaggeration, self-mocking, ponds, homophones and other ingredients, ultimately mitigating users’ antipathy resulted from geographical biases. Humorous memes can alleviate the tension caused by geographical biases, resolve embarrassing moments, enable users to express with a subtler way, create a more pleasant communication atmosphere for deeper exchanges of thoughts. Meanwhile, users can establish a more objective and fairer judgement on another user’s region. The goal is to mitigate geographical biases and reduce potential conflicts of various kinds by addressing the root cause.

      • Robert Starer 중급 피아노 작품 Sketches in Color 분석 연구

        GAO SONG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359

        Robert Starer (1924-2001)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현대음악 작곡가이자 음악교육가 겸 피아니스트이다. Starer는 음악교육자로서 어린이 음악교육에 관심이 많으며, 다조성, 12음기법, 무조성, jazz 등 20세기 다양한 음악어법을 경험할 수 있는 많은 피아노 교육용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은 북미 지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현대음악 지도에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은 레퍼토리로 평가를 받고 있다. Starer의 대표적인 작품 Sketches in Color는 현대적인 색채감이 넘치는 중급 교육용 피아노 작품이며, Set 1 (1963)과 Set 2 (1973)로 구성된다. 두 set는 모두 7개의 짧은 소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소곡들에는 특정 color를 명시하는 title이 붙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Sketches in Color는 다조성, 12음기법, 무조성, 신조성, 점묘주의, tone cluster, jazz, 변박자, 타악기적인 주법 등 다양한 20세기 작곡기법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작품에서 Starer는 음악과 색이 가지고 있는 연관성을 이용하여 20세기 음악요소들을 color와 접목시킴으로써 자신의 음악어법을 고안함과 동시에 20세기 현대음악 접근법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Set 1은 Starer의 아들 Dan의 피아노 학습을 위해 작곡하였으며,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아이들이 20세기 음악을 흥미롭게 공부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Sketches in Color Set 1은 1. Purple, 2. Shades of Blue, 3. Black and White, 4. Bright Orange, 5. Grey, 6. Pink, 7. Crimson으로 구성되었으며 Set 2는 1. Maroon, 2. Aluminum, 3. Sliver and Gold, 4. Khaki, 5. Pepper and Salt, 6. Aquamarine, 7. Chrome Yellow로 구성되었다. Set 2에 수록된 곡들은 Set 1과 다르게 곡 제목에서 color뿐만 아니라 금속계열인 aluminum, silver, gold와 조미료 계열인 pepper, salt등 다양한 소재들을 음악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는 Set 1보다 기교적으로 어렵고 음악적인 면에서도 더욱 깊이가 있다.

      • 여태현『 오늘은 누구도 행복하지 않았으면 좋겠단 생각을 했습니다 』의 한중변역

        GAO XUE MEI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여태현 작가의 산문집 『오늘은 누구도 행복하지 않았으면 좋겠단 생각을 했습니다』는 「가까워지는 줄 알았던 날들이 때론 멀어지기 위한 과정이었단 사실 그땐 몰랐다」, 「어떤 밤에는 이유 없이 외로울 수도 있다고」, 「그렇다면 사랑이라고 되지 말란 법 있겠습니까」 등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의 두 장은 주로 우리가 외로울 수밖에 없는 이유들이 담겨있고, 마지막 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외로움을 견딜 수 있게 해주는 이유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본서는 분명 위로에 목적을 둔 산문집이다. 그러나 작가는 독자들을 위로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외로운 것은 이상한 것 아니라는’낯선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여태현 작가는 소설 창작에 종사해보았기에 짧은 산문 속에서도 스토리텔링의 기법을 잘 구사하고 있다. 작가는 옛 연인과의 만남에서 이별 사이의 기억과 감정들을 들려주며,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한 후 그 상실감에서 느끼는 외로움과 그리움을 담담한 언어로 담아내며 공감을 이끌어 내는 한편, 직접적인 위로보다는,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로 풀어내며 독자로 하여금 자연스레 위안을 얻도록 해준다. 또한 본서는 외로움에 대한 직접적인 위로 대신, 외로움을 이기는 사뭇 다른 방법을 제시해준다. 사람들은 보통 어려움에 부딪칠 경우 애써 그것을 이겨내려 하지만, 작가는 오히려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강조한다. 우리의 삶에서 자주 마주치는 외로움은 전혀 이상할 것이 없는, 누구나 경험하는 일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혼자만의 외로움을 우리 모두의 외로움으로 확대시켜 골고루 나누어 주기에, 외로움이란 혼자만의 고통이 아닌 모두가 지니고 있는 인간 본연의 것임을 깨닫게 해주며 암암리에 위안의 선물을 안겨준다.

      • 한중 드라마에 재현된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 : <미스티>(한국)와 <逆流而上的你>(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GAO YUAN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59

        이 논문은 한국 드라마 <미스티>(2018.2.2.~2018.3.14.방영)와 중국 드라마 <逆流而上的你(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2019.2.12.~2019.3.10.방영)을 대상으로 드라마에 재현된 21세기 여성의 딜레마에 대해서 고찰하고 한중 여성이 당면한 문제적 현실에 대한 드라마적 재현 양상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국가에는 유가 사상이 문화적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남존여비라는 의식이 성 역할에도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상은 바뀌었지만 여전히 기층문화에서는 이러한 인식의 잔재가 남아있다. 드라마는 실생활의 현실적 양상에 기반하고 있는 동시에 당대의 문제적 사회현상과 핵심 문제를 다룸으로써 문화적 공존에 대한 토의 구조를 제안하기도 한다. 한국 드라마 <미스티>와 중국 드라마 <逆流而上的你(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 는 현대 한국과 중국의 여성들이 직장 생활을 하면서 직면하고 있는 일련의 문제들과 어려움들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한편, 여성인물이 직장생활에서 부딪치는 정체성의 충돌과 직업, 재현된 사회의 문제를 재현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취지에 부합한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직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두 편을 택하여, 여주인공이 안고 있는 직장 딜레마, 생활가정 딜레마, 인간관계의 딜레마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해당 문제에 대해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때 한국과 중국 드라마의 서사와 여주인공의 인물 분석에 주목함으로써, 전문직 여성이 당면하는 딜레마의 양상, 해결과 극복 과정, 그에 제한 사회의 대응의 차이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 한국 드라마 <미스티>와 중국 드라마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 두 드라마의 주요내용을 먼저 설명하고 두 드라마의 여주인공(한국 드라마 <미스티>의 여주인공 고혜란과 중국 드라마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의 여주인공 유애)의 이미지를 분석했다. 드라마에 재현된 인물형상, 인물관계, 성장배경, 가정생활 그리고 사업 활동에 대해서 정리 비교하고 그 속에서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를 반영하는 모순점을 찾아냈다. 제3장에서는 주로 전문직 여성에 대해서 드라마 속에 반영된 직장과 생활의 딜레마를 고찰하고 분석했다. 드라마에서 재현된 전문직 여성의 “젠더”의 딜레마, “성공”의 딜레마 그리고 “관계”의 딜레마 세 가지를 통해 드라마 속 여주인공이 전문직 여성으로서 겪는 딜레마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드라마에 반영된 실제 사회현상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첫째, “젠더”의 딜레마를 통해 전문직 여성의 외모, 고학력 그리고 가정과 전문직의 양립 등 문제를 반영한다. 둘째, “성공”의 딜레마를 통해 성공여성이 당면한 어려움, 성공여성의 표준, 성공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시각과 편견 그리고 "성공"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셋째, “관계”의 딜레마를 통해 동료관계, 부부 관계에 대해서 전문직 여성의 선택과 당면한 문제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양 국가의 드라마 속 인물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의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되, 그러한 드라마적 상상력을 공감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사회, 문화적, 전통적 배경을 아울러 탐색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직 여성을 다룬 보다 다양한 드라마 텍스트를 분석하고, 사회적 변화 요소를 역동적으로 고려한다면, 한국과 중국의 여성의 사회적 성취에 대한 사회적 상상력의 추이를 보다 정밀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based on the characters in Korean TV series “Misty” (2018.2.2~2018.3.14) and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2019.2.12~2019.3.10), explores the situation that women are in a dilemma in the 21st Century and discusses the issues both Korean and Chinese women are facing with in daily life. Traditionally in Asian countries like South Korea and China, the incorrect idea of female inferiority is still affecting people's minds since Confucianism is in the leading position in their literatur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society has been changed, but there are still remnants of this understanding in the grassroots culture. Based on the realistic form of real life, The TV series puts forward the discussion structure of cultural coexistence by combining social phenomena and core issues of contemporary issues. The Korean TV series “Misty” and the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reflect a series of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modern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workplace. In this paper, two TV series with professional women as the protagonists from South Korea and China are selected to consider relevant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eroine's workplace dilemma, life and family dilemma,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lemma and so on. In the meantime, We might as well focus on the narrative and character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TV dramas to examine the dilemmas faced by professional women, the process of solving and overcoming them, and the differences in limiting social responses. In the 2nd chapter, the main contents of the Korean TV series “Misty” and the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are introduced firstly, as well as the analysis of heroines in two TV series. Sorts out and compares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relationships, growth background, family life and career activities in the TV series, and finds out the contradictory points reflecting the dilemma of professional women. The 3rd chapter mainl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dilemma of career and life of professional women reflected in TV series. Through the “gender” dilemma, “success” dilemma and “relationship” dilemma of professional women presented in the TV series, analyzes the dilemma experienced by the heroine of the TV series as a professional woman, and the actual social phenomenon reflected in the TV series. First, through the “gender” dilemma,reflects the professional women's appearance, high education and family career coexistence issues. Second, through the dilemma of “success”, analyzes and indicates the difficulties faced by successful women, the standards of successful women, the social perception and prejudice against successful women and the negative impact of “success”. Thirdly, through the dilemma of "relationship", professional women's choices and problems can be refl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s and couples.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lemma of Korean and Chinese professional women through the characters in TV series of the two countries,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