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딥페이크 뉴스의 제3자 효과 : 중국 소셜 미디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

        Chen, Hui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1999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제3자 효과 가설(third-person effect)과 추정된 영향의 영향 가 설(influence of presumed influence)을 적용하여, 딥페이크 뉴스(deepfake news)에 대한 영향력 지각이 소셜 미디어 수용자의 잠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데이비슨(Davison, 1983), 건서와 스토리(Gunther & Storey, 2003)의 주장을 확장시키고 새로운 연구모형을 구축해 이론적 적 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딥페이크 뉴스에 관한 AI 기술 쟁점을 다룸 으로써 미디어 간접적 효과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딥페이크 뉴스가 미치는 심리적 및 사회적 영향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의의를 둔다. 이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여 딥페이크 기술로 생성된 뉴스가 피험 자들(N= 810)에게 미치는 미디어의 간접적인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딥페이크 기술로 합성된 여성 앵커의 뉴스 영상을 실험자극물로 사용하였 으며, 연구모델과 가설 분석을 위해 T-test, 구조방정식(SEM) 모델링을 실행 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딥페이크 뉴스를 진짜뉴스로 인식한 그룹과 가짜뉴 스로 인식한 그룹은 모두 제3자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두 그룹 간의 소셜 미디어 잠재적 행동 비교 결과, 딥페이크 뉴스를 가짜뉴스로 인식한 그룹보다 진짜뉴스로 인식한 그룹이 소셜 미디어 조정행동 의도가 더 높았으나, 진짜뉴스로 인식한 그룹보다 가짜뉴스로 인식한 그룹이 소셜 미디어 예방행동, 규제행동 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검증의 경 우, 제1자 효과 지각(FPE)은 제1자의 추정된 소셜 미디어 영향(sIPI1)을 경 유하여, 제1자의 소셜 미디어 조정행동(sCB1)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두 그룹은 모두 제3자 소셜 미디어 잠재적 행동(sMPB3)이 제1자 소셜 미디어 잠재적 행동(sMPB1)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를 통해 타인-자신 격차(DME)라는 새로운 변인이 도출되어 연구 모형을 수정하였다. 그 결과, 타인-자신 격차(DME)는 제3자 추정된 소셜 미 디어 영향(sIPI3)을 경유하여, 제1자의 소셜 미디어 조정행동(sCB1)에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딥페이크 뉴스의 제3자 효 과를 밝힘으로써, 진짜뉴스로 인식한 그룹과 가짜뉴스로 인식한 그룹 모두 타인이 자신보다 딥페이크 뉴스로부터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는 경 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딥페이크 뉴스의 진위를 인식하는 능력을 연구의 핵심으로 삼았으며, 그룹 간의 소셜 미디어 잠재적 행동 차이를 비교해봤 다. 가짜뉴스로 인식한 그룹은 딥페이크 뉴스에 대한 예방행동 의도와 규제 행동 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짜뉴스로 인식한 그룹은 딥 페이크 뉴스에 대한 수용의도와 공유의도가 더 강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 째, 본 연구는 제3자 효과(TPE)과 추정된 미디어 영향(IPI)을 연구 모델에 동시 포함시켜 딥페이크 뉴스의 미디어 간접 효과를 함께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모델의 구축은 딥페이크 뉴스가 제1자(본인)와 제3자(타인)에게 미치 는 영향을 보다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제3자의 소셜 미디어 잠재적 행동이 제1자의 소셜 미디어 잠재적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3자 행동에 대한 추정이 자신의 태도, 행동, 의사 결정에 상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 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급변하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새로 등장한 AI 기술로 생성 된 뉴스 콘텐츠의 제3자 효과를 확인하고, 이론적 틀을 확장시켜서 소셜 미 디어 수용자의 잠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특히, 뉴스 영향 력과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딥페이크 기술로 인해 강화되고, 수용자의 인 식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딥페이크 뉴스의 높 은 현실성은 수용자들이 쉽게 오도되어 소셜 미디어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는 딥페이크 뉴스를 규제하고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책임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미래에도 딥페이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가짜 뉴스가 실제 뉴스처럼 보이게 되면서 뉴스 형태가 더욱 정교화될 것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를 진실로 받아들여 소셜 미디어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하고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짜뉴스를 식별하고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연구와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리얼리즘과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EN HUI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1999

        본 연구에서는 문화계발이론(cultivation theory), 리얼리즘 인식(perceived-realism), 준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 등을 토대로 중국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정도(시청량, 시청집중도)에 따라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태도(신뢰도, 선호도, 시청의도, 충성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밝혔다. 또한 그 관계에서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총 618명의 응답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 연애,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 중 시청량층이 경 시청량층과 보통 시청량층에 비해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 시청집중도층이 경 시청집중도층과 보통 시청집중도층에 비해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을 덜 많이 느끼고 있었다. 둘째,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은 시청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리얼리즘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높을수록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 선호도, 시청의도, 충성도가 모두 높아지는 것이다. 셋째, 육아, 연애,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시청정도와 시청태도 간에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시청집중도와 시청태도 간에는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청자 태도에 대한 연구 분야의 확장에 기여하고 문화계발 효과를 활용 점에서 이론적 의미가 있으며 리얼리티 프로그램 제작 실무자에게 리얼리즘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을 고려의 필요성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 Macroeconomic conditions, corporate financing decisions, and credit risk

        Chen, Hui The University of Chicago 2007 해외박사(DDOD)

        RANK : 231983

        This thesis addresses two puzzles about corporate debt: the "credit spread puzzle"---why yield spreads between corporate bonds and treasuries are high and volatile---and the "under-leverage puzzle"---why firms use debt conservatively despite seemingly large tax benefits and low costs of financial distress. I propose a unified explanation for both puzzles: investors demand high risk premia for holding defaultable claims, including corporate bonds and levered firms, because (i) defaults tend to concentrate in bad times when marginal utility is high; (ii) default losses are also higher during such times. I study these comovements in a structural model, which endogenizes firms' financing and default decisions in an economy with business-cycle variation in expected growth rates and economic uncertainty. These dynamics coupled with recursive preferences generate countercyclical variation in risk prices, default probabilities, and default losses. The credit risk premia in my calibrated model are large enough to account for most of the high spreads and low leverage ratios. Relative to a standard structural model without business-cycle variation, the average spread between Baa and Aaa-rated bonds rises from 48 bp to around 100 bp, while the average optimal leverage ratio of a Baa-rated firm drops from 67% to 42%, both close to the U.S. data.

      • 한국어 신체어 ‘머리’의 형태·의미론적 연구

        Chen hui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1983

        <초록> 한국어 신체어 ‘머리’의 형태·의미론적 연구 陳慧(진혜) 본고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 신체어 ‘머리’라는 단어 및 관련 구성의 형태론적 특징과 의미론적 특징 그리고 연어 구성의 특징을 밝히는 데에 있다. 한국어에서 ‘머리’는 단일 형식으로 문장에 쓰이기도 하고 어근과 접미사로서 단어형성에 쓰이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머리’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주로 ‘머리’의 의미를 다루어 왔고, 단어형성의 관점에서 ‘머리’가 쓰인 복합어를 분석하여 복합어에서 ‘머리’의 의미 확장 양상을 밝혀 보려는 연구는 드물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머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보완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문장에서 쓰인 ‘머리’는 사람의 신체 부위만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용된 문장 환경에 따라 ‘일의 시작이나 처음’, ‘사물의 앞이나 위’,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 등의 시간적, 공간적, 추상적 의미들도 나타낸다. ‘머리’의 이러한 의미 확장은 주로 은유(隱喩)와 환유(換喩)에 의해 일어난다. 또한 확장된 의미들은 모두 원형의미인 ‘두부(頭部)’와의 유연성(有緣性)을 도출할 수 있다. 어근으로서의 ‘머리’가 쓰인 복합어는 형태론적으로 합성어와 파생어로 나뉘는 데 합성어가 파생어에 비해 많다. 합성어는 ‘머리’가 놓인 위치에 따라 크게 [[X]+‘머리’]형과 [‘머리’+[X]]형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고 [X]의 종류에 따라 다시 11가지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파생어는 접두파생어와 접미파생어로 나눠서 다룬다. 어근으로서의 ‘머리’가 쓰인 복합어에서는 의미 확장 양상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머리’의 원형의미와의 유연성(有緣性)을 도출하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접미사로서의 ‘-머리’는 선행 어기에 ‘비하’의 뜻을 더하는 기능을 한다. 형태적으로는 ‘-머리’의 선행 어기가 대부분 명사이고, 의미적으로는 이 선행 어기들이 긍정적 의미를 갖는 것(‘인정’, ‘재수’, ‘주견’ 등), 중립적 의미를 갖는 것(‘엉덩’, ‘골’, ‘행신’ 등), 그리고 부정적 의미를 갖는 것(‘넉살’, ‘넌덜’, ‘심술’ 등) 3가지로 나눠진다. 연어적으로는 ‘-머리’가 쓰인 파생어가 ‘없다’와 같은 부정적 의미를 가진 서술어와 공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좋다’와 같은 부정적 의미를 갖지 않는 서술어와 호응하기도 한다. 4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한다. 주요어: ‘머리’, 단어형성, 합성어, 파생어, 연어구성, 의미의 확장, 개념 영역 학 번: 2009-2249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