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높임법에 대한 외국인들의 인식 조사 및 역할극을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 연구

        이희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를 배우는 많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는 복잡한 상대 높임법의 체계를 현실에 맞게 '하오체', '하게체'를 제외한 4등분 체계로 단순화 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 대부분의 외국인 학습자는 한국어에서 높임말이 중요하고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상대 높임법의 모든 체계를 다양한 상황에 맞게 사용하지는 못 했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대체로 높임말을 사용할 때 '하오체', '하게체'를 제외한 나머지 등분 체계를 사용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 시 자신의 응답에 대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질문하였을 때 대부분의 외국인 학습자가 '지위가 높거나 낮기 때문에, 나이가 많거나 적기 때문에, 수업 시간에 배웠기 때문에, 잘 모르겠다.'처럼 한국어 높임법을 바르게 인식하고 사용하는 학습자가 드물었다. 더구나 특정인들 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하오체', '하게체'에 대해 드라마를 통해 들어본 적은 있지만 사용해 본 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상대 높임 등분 체계를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현실에 맞게 4등분 체계 즉, '해요체', '합쇼체', '해라체', '해체'로 제시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4등분 체계를 외국인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학습하여 이를 실생활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역할극을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였다. 외국인들이 한국어 높임법의 체계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실생활에서 상황과 상대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외국인들의 한국어 높임법 사용에 대한 교육도 실제 담화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면에서 역할극은 실제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설정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직접 대본을 써보고 주어진 역할을 해 봄으로써 한국어의 높임법을 학습하는 데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상대 높임법의 4등분 체계를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의 여러 가지 관계, 즉,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여 역할극을 구성해 보고, 말하기, 쓰기뿐만이 아니라 읽기, 듣기와의 통합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국내외의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어 높임법 체계를 보다 쉽게 배우고, 나아가 이를 적절히 사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implify the complex hearer honorification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into four dimensions except for two styles including 'hao' and 'hagae' to suit the given circumstances, as a lot of foreign learners who learn Korean had difficulties due to that. After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a survey was conducted on foreign Korean lear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foreign learners investigated were cognizant of the importance and absolute necessity of honorifics in Korean, but they couldn't put every honorific to the right use. In general, they utilized all the other dimensions of Korean honorification except 'hao' and 'hagae' when they used honorifics.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y they gave a particular answer, the vast majority only cited position or age as the reason, or just said that they learned it in class without giving any specific reason, or replied that they had no idea. Thus, few had the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 honorification. In the event of 'hao' and 'hagae' used only by particular people, they heard about them from TV dramas but never used them.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Korean hearer honorific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in view of the circumstances of foreign learners: 'haeyo', 'habsyo', 'haela' and 'hae'. And then a teaching-learning strategy was formulated by utilizing role play to assist foreign learners to make the right use of the four dimensions in real life. Korean honorification education provided to foreigners should be context-specific and practical enough to be of use for real life. In that sense, role play is one of the best ways to learn Korean honorification, as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foreign learners to write a script on their own on different possible situations and to perform the given roles. Therefore role play was prepared in this study in light of the speaker-hearer relationship and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both parties, and an inclusive teaching method was presented, which incorporates all the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eaching a lot of foreigners to learn Korean honorification more easily and make the right use of it, no matter whether they stay in our country or not.

      • RTE 실현을 위한 국방사업관리 표준 프로세스 모델 연구

        이희성 大田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1839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is an project in which the weapon systems of optimal power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military power for the purpose of national defense can be secured. In order to obtain the most highly efficient weapon system for optimal expenses at the most appropriate time, the organizations in charge of the tasks select capable businesses and with the request from the users perform the tasks of transforming the efficient managements of the project to the build-up of war potential. The dimension of defense project is expanding as the acquisition policy changes depending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urity situations, and as the aspects of war are getting more complicated. Therefore, in order to quickly deal with these changes, a new managing system unlike the old one has been required. In this context, many corporations have recently pursued RTE(Real Time Enterprise) management, in which they actively cope with changes to survive the rapidly changing market competition system, deal with in real time all the information that is being processed in the organization so that it can be seen at a glance, and all the real-time information and knowledge should be shared by anyone from the lower branch to the head decision-maker, minimizing decision-making time. In other words, it's been recognized that the management operation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real-time managerial perspectives adopted by ordinary corporations. In this thesis, the concept and implementing factors of RTE have been examined, and for the real-time enterprise it's been considered how the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had long conceptually existed, has developed and been applied. Besides, by making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nd the concept of RTE that has been applied in ordinary corporations, the necessity of defense project management operation being controlled by RTE concepts is presented. In addition, system development procedure are suggested concerning the functions needed for the defense project management system once it has been established on RTE ideas. And the necessary points are analyzed and brought forward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apply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the information technology needed to realize RTE management, to the program management system. Also, in order to establish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ogram for the realization of RTE, a standard process modeling procedure is suggested about the program management in general following the methodology provided by BPM technology.

      • 기독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영적성숙도의 관계 :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이희성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서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기독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기독청소년의 약물남용과 영적성숙도와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자아존중감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 기독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대한 목회 상담학적 접근과 지도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 표집시 경기도 서부지역으로 한정하고 D교회를 중심으로 6개 교회에 출석하는 중․고등부 학생들에게 무선표집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6년 6월 29일부터 8월 10까지 실시하였고, 총 350부를 배부하여 297부를 회수하였다. 회수율은 84.8%이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7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90부의 응답을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 21.0이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로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 등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약물 남용에 따른 청소년과 비남용 청소년의 개인 특성, 가정 특성, 종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정상 가정의 청소년들은 역기능 가정 출신 청소년들에 비해 약물 남용 정도가 적은 것으로 보아 교회는 성경적 가정 사역에 대한 교육과 사역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기독 청소년의 약물 남용 여부에 따른 영적 성숙도에 대한 조사 결과는 비남용한 청소년들이 약물을 남용한 청소년들 보다 그 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주일학교와 청소년 사역의 중요성을 시사해 준다. 교회는 그들의 영성을 책임질 교사들을 사회 관계망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와 같은 다양한 접근 방법에 대해 전문적으로 훈련시켜 주일학교라는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어서 청소년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교회에서의 영성 훈련을 시공을 초월해서 유비쿼터스의 개념을 가지고 이들이 영적으로 늘 깨어 있을 수 있다면 약물 남용과 같은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약물 중독에 노출된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가정, 학교, 그리고 사회에서의 자아존중감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것은 그들의 약물 남용여부와 영적 성숙도 관계에서 간접 효과를 갖는 매개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청소년들의 영적 성숙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약물 남용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예방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한 구체적 실천 방안으로는 그들이 주일학교에서의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예배 구상과 교회 사역에 그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케 함으로써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주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하겠다. 주요단어 : 약물남용, 청소년,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 다차원 교육정책분석모형을 활용한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정책 분석

        이희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정책을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변화 등에 부합한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정책분석 도구로 Cooper, Fusarelli, Randall의 다차원 교육정책분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모형은 다양한 분석적 관점을 제시할 수 있는 여러 이론들을 종합하여 정책의 맥락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정책의 규범적 가치와 이념은 무엇인가?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정책의 조직체계와 제도적인 구조는 어떠한가?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정책의 참여주체는 어떠하고 어떤 주체들이 정책에 호의적이거나 부정적인가?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는 현재 어떻게 기획, 운영, 평가되고 있는가? 다섯째, 다차원 교육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결과를 통하여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정책의 방향과 과제는 무엇인가? 규범적 차원으로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정책은 이념적으로 신자유주의, 가치로는 자율성(autonomy), 수월성(excellence)과 형평성(equity), 효율성(efficiency), 실용성(practicality)의 가치를 갖고 있었다. 구조적 차원으로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는 산학협력, 마이스터 교육과정, 선취업 후학습 제도 등을 통하여 각 산업분야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마이스터 교육과정 수립과 선취업 후학습 제도 등은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도이다. 구성적 차원으로 정부, 산업체, 학교구성원은 이 정책에 관하여 다양한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상황에 따라, 정책을 이해도에 따라 다른 이해관계에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기술적 차원으로 마이스터 인증시스템과 평가 및 운영 성과관리체계를 통하여 마이스터고 지정을 위한 적합성을 평가하고 개교 후 운영 성과관리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다. 다차원교육정책분석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정책의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신산업분야의 마이스터고가 지정될 수 있도록 인적, 물적,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새로운 산업분야의 지정을 위해서 정부의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정책을 위한 내실 있는 산학협력을 갖추어야 한다. 마이스터 교육과정 수립에서부터 산학협력은 정책의 핵심적인 제도이며, 이를 위하여 정부, 산업체, 학교구성원이 내실있는 협력체를 구축하고 이를 법제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새로운 시대의 기업 윤리상을 재정립하고, 사회 정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단순한 이윤추구를 위한 기업이 아닌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업윤리상을 정립하여야 한다. 넷째, 능력중심사회를 위한 대국민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 정책이 지향하는 사회정의는 국민들의 자신의 분야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하며, 능력에 의하여 인정받고 대우받는 능력중심사회에 있다. 그러므로 학력중심사회에서 벗어나 실력과 능력으로 인정받는 사회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국가수준 식품소비 다양성 변화패턴 및 결정요인 분석

        이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식량안보는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의 양과 질을 보장하는 모든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식량안보 관련 논의는 여전히 곡물 중심 및 식량 자급률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식량안보 평가에 사람들이 소비하는 식품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는 지표가 포함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개인이나 가구를 대상으로 한 식품소비 다양성 연구는 국내외에서 다수 이루어졌지만, 이를 국가수준에서 분석하고 세부적인 변화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국가 식량안보 정책을 마련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수준에서 식품소비 다양성의 변화패턴과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식량안보의 평가 가능성 탐색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시도하였다. 식품소비 다양성은 소비자들이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소비하고 있는가로 정의되는데, 이는 다양한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여 영양의 균형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동일한 식품군 내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미량영양소 공급을 늘리고 식사의 질을 개선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소비 다양성을 다양한 식품군을 섭취하는 식품군간 다양성과 식품군 내에서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는 식품군내 다양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기존의 가구수준 분석에서는 소득수준, 교육수준, 여성 경제활동 참여율, 연령, 거주지 등의 변수만 포함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에서 식품소비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산 다양성, 주식(主食)의 종류, 무역의 활성화 수준도 모두 고려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엔트로피 지수요인 분해와 패널회귀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자료로는 FAO에서 제공하는 식품수급표와 세계은행에서 제공하는 국제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변화패턴 분석결과는 전 세계 평균 식품군간 다양성 지수와 식품군내 다양성 지수 모두 시간이 지나면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전체 식품소비 다양성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식품군간 다양성이 높으나 식품군내 다양성 지수의 변화가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세계 126개 국가를 소득수준별, 지역별, 주식(主食)구분별로 나눠서 살펴봤을 때 그룹별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소득수준별 패턴은 소득이 낮은 국가에서 우선 식품군내 다양성을 추구하고, 중저·중고소득으로 갈수록 식품군간 다양성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다시 고소득이 되면 식품군내 소비 다양성을 더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필수 식품군 섭취가 가능한 경제수준 도달 여부와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의 안정화 수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지역별 변화패턴은 전반적으로 소득수준별 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지역별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방향이 다르거나, 변화 속도가 다르게 나타난 경우도 관찰되었다. 특히, 동부아시아 지역과 남아시아 지역의 변화패턴을 통해 주식에 따른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주식구분별 패턴에서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국가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식품군간 다양성 변화와 식품군내 다양성 변화 모두 평균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아시아의 쌀 위주 식단이 식품소비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밝힌 선행연구 결과가 식품소비 다양성 측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결정요인 분석결과로는 농업생산이 다각화될수록, 1인당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가 늘어날수록 식품소비는 다양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아질수록 사회가 고령화될수록 식품소비 다양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역의 활성화는 식품군간의 다양성은 높이는 반면, 식품군내의 다양성은 오히려 낮추게 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990년부터는 쌀과 밀을 주식(主食)으로 하는 국가의 식품소비 다양성 수준은 기타 작물을 주식으로 하는 국가에 비해 높은 반면, 다양성 지수 변화는 오히려 느리게 진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식품소비 다양성은 개인의 소득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소득수준이나 주식(主食)의 종류에 따라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경향도 보인다. 따라서 식품소비 다양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국가별 특성과 변화패턴을 감안하여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반영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식품군간 다양성과 식품군내 다양성의 개선 효과를 서로 상쇄시키지 않는 요인별 통합정책 마련도 함께 요구된다. Although food security is closely related to all processes that ensure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food consumed by people, discussions on food security are still focused on grain and staple food self sufficiency. The need to include indicators that can take into account the quality of food consumption has been raised in the discussions of food security evaluation. While many literatures on food consumption diversity at individual and household levels have been conduc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re are few studies done at the national level analyzing detailed factors of change, which may have affected to restricted preparation of systematic and sustainable national food security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and the determinants of food consumption diversity at the national level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evaluating food security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consider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Food diversity is defined as how diverse food is consumed including not only the consumption of an even quantity of food in order to have a balanced diet but also the quality of intake through consuming different food within the same food group.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consumption diversity decomposed into the diversity between food groups and the diversity within food group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household level variables such as income, educational attainment, femal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ge and residence, this study considered production diversity, types of staple food and trade activation levels that could affect food diversity at the national level. As an analysis method, the entropy index factor decomposition and panel regression model were use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FAO's food balance sheet and the World Bank's international statistics. The analysis shows that both the global average inter-food diversity index and the intra-food diversity index increased over time. Although inter-food diversity explains most of the overall food diversity, the intra-food diversity index increased faster. This study also found the patterns of food diversity change are different across countries by income levels, regions, and staple food categories, etc. First, the low-income countries tend to pursue intra-food diversity in earlier stages, and then they showed to emphasize the inter-food diversity as they move to the upper middle income group, while high-income countries show to pursue more intra-food diversity agai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economic levels of meeting the essential food needs and the level of stabiliz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Second, the regional change patterns we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income level, but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direction of change or the rate of chang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East Asia, Southeast Asia, and South Asia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aple food. Third, the patterns also depend on the types of staple food showed the largest change in countries consuming rice as their staple food, and both the changes in inter-food diversity index and intra-food diversity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Asian rice-based diets were strongly affected by the changes in food consumption. A result that was also confirmed in this current study. The determinant analysis showed that the food diversity increases as the production diversifies, income increases and education levels increase. However, the increases of women's labor participation and age decreases food diversity.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ation of trade could lead to the higher inter-food diversity, and lower intra-food diversity. Furthermore, from 1990, the food diversity levels in countries with rice and wheat as their staple food were higher than in other countries with other crops as the staple food, while variability index changes were found to be slower. In conclusion, food diversity varies not only depending on individual income, but also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it tends to show similar patterns depending on national income levels and the types of staple foo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food diversity,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predict and reflect changes in consideration of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In this process, integrated policies considering each factor that does not offset the improvement of inter-food diversity and intra-food diversity will be needed.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can be pointed out: the use of food supply as food consumption data instead of the net intake of food, the failure to consider regional differences in the country, and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s of staple food has not been thoroughly identified in the determinant analysis.

      •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 및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희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과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관계를 규명하여 교육 현장에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생 100명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 472명을 대상으로 최종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ver. 21.0)와 AMOS(ver. 21.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체육수업열정과 신체적자기효능감, 체육수업만족 일부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과 신체적자기효능감, 체육수업만족에서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이 신체적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이 체육수업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의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이 체육수업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더불어 신체적자기효능감도 체육수업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열정과 신체적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체육수업열정, 신체적자기효능감, 체육수업만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to the educational fiel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00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he f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472 student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sub-factors of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partially found in high school students' enthusiasm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enthusiasm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Fourth,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se results show that high school students' key words: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is proving that the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at physical self-efficacy is also a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their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작품의 조형성 연구

        이희성 한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1909~1992)은 인간의 자아와 타인이 바라보는 대상의 내면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20세기의 거장 중 한 사람이다. 비교적 늦은 나이에 독학으로 조형세계를 전개하였지만 독특한 표현 기법과 삶과 죽음에 대한 끊임 없는 성찰로 그 자신만의 조형성을 만들어 나간 위대한 화가임은 누구도 부정할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베이컨의 회화 속에 나타난 조형요소의 의미와 특징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그의 생애와 작품 속에 담긴 조형성의 관찰을 통해 그가 말하고자 했던 내용과 숨어있는 의미들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 청동의 납 함량에 따른 표면 색상 변화 연구

        이희성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Bronze is the alloyed material of copper and tin, and shows the difference of corrosion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corrosion environment and alloy ratio. Specially, the bronze artifacts exposed to outdoor is, different from the artifacts excavated in buried state, having the different corrosion aspect by the atmospheric environment change. This research manufactured the bronze sample of binary system(Cu-Sn) and ternary system(Cu-Sn-Pb) on the basis of alloy ratio of bronze relic, and grasped the surface color change of corrosion product generated through artificial corrosion experiment with visual inspection and analyzer. Also, the researcher executed Raman and SEM-EDS analysis of corrosion product and grasp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 of corrosion product according to the main corrosion factor of alloy element and outdoor bronze artifacts. The artificial corrosion experiment executed the atmospheric corrosion and salt corrosion that are the main corrosion factor of outdoor bronze artifacts, and analyzed the corrosion product and color change. In the experiment result and in most of bronze sample, the change of color was generated, and as a result of SEM-EDS and Raman, if the corrosion factor is S, it was generated in the mixed state of Tenorite and Cuprite and generated dark with yellowsis strongly. If the corrosion factor is C1, Cuprites were most generated, and the corrosion product and crystallization were much generated. Also, in the case of the salt spray test sample, the disintegrated corrosion product of light green was much in the local part, and the faster corrosion than the outdoor exposure experiment was progressed. As a result of experiment in accordance with the alloy ratio, in the binary system alloy, with the higher ratio of Cu, the color change of yellow and red was generated after the corrosion, and the change value of color is much, and the color of corrosion product observable in microscopic was appeared in variety. With the higher ratio of Sn, the less change of color, and the result of it relatively stable to the corrosion was confirmed, and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binary alloy was shown in similar aspect to ternary system alloy. The color change of binary system bronze and ternary system bronze showed the mixed spectrum of Cerussite and Cuprite of brown corrosion product. The yellow corrosion product is likely to be litharge, and it is judged to be careful as Ph had different corrosion product from the sample not alloyed. Also, in the alloyed sample of Ph, much of dispersive rust was generated due to its skewed phenomenon of Ph, and the tissue was appeared relatively unbalanced. Only with the limited alloy ratio and short-term artificial corrosion experiment, it is hard to clarify the corrosion aspect of outdoor bronze artifacts, but grasping the main corrosion factor or product of bronze relic surface and color through the visual inspection and scientific analysis, it is judged to be helpful to establish the plan of conservation management. 청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물로서, 부식 환경과 합금 비율에 따라 부식 생성물의 차이를 나타낸다. 특히 야외 노출된 청동유물은 매장된 상태에서 출토된 유물과 달리 대기 중의 환경변화에 의해 부식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동 유물의 합금비를 기준으로 이원계(Cu-Sn), 삼원계(Cu-Sn-Pb)의 청동 시편을 제작하여 인공 부식 실험을 통해 발생한 부식생성물을 육안관찰과 분석기기를 활용한 표면의 색상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부식 생성물에 대해 Raman, SEM-EDS 분석을 실시하여 합금 성분과 야외 청동 유물의 주요 부식인자에 따른 부식생성물의 특성과 종류를 파악하였다. 인공 부식 실험은 야외 청동 유물의 주요 부식 요인인 대기 부식과 염 부식을 시행하고 부식 생성물과 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청동 시편에서 색상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SEM-EDS와 Raman 촬영 결과, 부식인자가 S인 경우 Tenorite와 Cuprite가 혼재된 상태로 생성되어 어둡고 황변이 강하게 발생하였다. 부식인자가 Cl인 경우는 Cuprite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전체적으로 부식생성물과 결정화가 많이 생성되었다. 또한 염수 분무 실험 시편은 Light green계열의 분상화 된 부식생성물이 국소부위에서 다수 관찰되어 야외폭로실험 보다 더 빠른 부식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금 비율에 따른 실험 결과, 이원계 합금에서는 Cu의 비율이 높을수록 부식 후에 전체적으로 황색과 붉은색의 색상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색차의 변화 값이 크고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부식 생성물의 색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Sn의 비율이 높을수록 색상변화가 크게 없어 비교적 부식에 안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으며, 이원계 합금에서 나타나는 부식 특성은 삼원계 합금에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원계 청동과 삼원계 청동의 색상변화는 Brown계열의 부식 생성물이 Cerussite와 Cuprite가 혼재된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Yellow계열의 부식 생성물은 Litharge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Pb이 합금되지 않은 시편과는 부식 생성물이 다르게 나타나 유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b이 합금된 시편에서는 Pb의 편중 현상으로 인해 산발적인 녹이 다수 발생하였으며 조직이 비교적 불균일하게 나타났다. 한정적인 합금 비율과 단기간의 인공 부식 실험만으로 야외 청동 유물의 부식양상을 전체적으로 규명하기엔 어려움이 있으나 청동 유물 표면의 상태와 색상을 육안관찰 및 과학적 분석방법을 통하여 주요 부식 요인이나 부식 생성물을 파악하여 보존 관리에 대한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Josef Gabriel Rheinberger의 Messe in Es-Dur, Op.109 <Cantus-Missae> 분석 연구

        이희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thesis analyzes late romantic composer Josef Gabriel Rheinberger’s only mass written for 8-part double a cappella chorus. <Cantus-Missae> is the first piece he wrote after he obtained the rank of kappelmeister of the Royal Chapel of Munich in 1878. This piece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revival of church music, the Cecilia movement. He blended the traditional and romantic style to produce his own musical style in this piece. Traditional elements herein refer to 16th and 17th century church music tradition such as a cappella, Palestrina style, polychoral style, and use of counterpoint, whereas romantic elements herein refer to the new style of choral music such as musical contrasts, chromatic progression, sudden variation of rhythms, and compound chords. He composed various genre of music including operas, theatrical works, orchestral works, chamber music, piano works and prominently his organ works. However, in spite of its great value in music history, his choral works are not researched often. Therefore, to reconfirm that his work has influenced choral music, the author would like to examine his musical thoughts, compositional techniques through inspect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mantic period, Rheinberger’s life and works, characteristics of his choral music, and lastly analyzing <Cantus-Missae> with musical examples. The author hopes that this thesis helps musicians who wish to understand and perform his choral music, who worked for the revival of church music tradition and used new musical techniques of the romantic period. 본 논문은 후기 낭만시대 오르가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요셉 가브리엘 라인베르거(Josef Gabriel Rheinberger, 1839-1901)의 합창 작품인 《칸투스 미사(Messe in Es-Dur, Op.109 ‘Cantus-Missae’)》를 분석 연구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칸투스 미사>는 라인베르거가 1878년 뮌헨의 궁정 악장이 된 이후 첫 번째로 작곡한 곡이다. 이 곡은 그의 합창 작품들 중 유일하게 두 개의 합창단(Double chorus)인 총 8성부 아카펠라로 작곡된 곡이며, 팔레스트리나 양식, 이중합창(polychoral)양식, 대위법적 작곡 기법을 사용해 작곡되었다. 이러한 작곡 기법의 사용을 통해 과거 교회음악의 음악 요소를 중시하면서도 대조적인 악상, 반음계적 진행, 급격히 변하는 리듬, 혼합 화음, 불협 화음을 사용한 낭만시대의 양식을 조화롭게 융합하여 자신 고유의 음악 양식이 가장 잘 드러난 작품이다. 그는 오페라, 극음악, 관현악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등 많은 장르를 작곡하였지만 그중에 특히 오르간 작품이 유명하며 그의 합창 작품의 경우 음악사적으로 훌륭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그가 합창음악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재확인하고자 후기 낭만주의 시대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을 먼저 제시하고, 라인베르거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 나아가 합창음악의 특징까지 고찰하였다. 그 후 그의 음악적인 사상과 작곡 기법을 파악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것들을 토대로 악보와 함께 악곡을 분석하였다. 라인베르거는 교회음악의 전통을 회복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낭만시대의 새로운 음악을 혼합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라인베르거의 음악을 더 깊이 이해하고 연주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