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한 지역밀착형 사회적 기업 연구

        이미진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조기 제도화라는 긍정적인 성과를 이끌어내며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확충이라는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왔다. 하지만 중앙정부 주도의 사회적 기업 육성 정책들은 사회적 합의 없이 양적 성장에만 급급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동안 사회적 기업에 관한 정책을 주관해 오던 중앙정부는 앞으로 사회적 기업의 발굴과 육성에 관한 제반 사항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하고, 지역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려고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 기업 정책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기능이 강화될 것이 명확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준비와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실업, 사회 양극화, 사회서비스의 부족 등의 문제는 지방자치단체가 독자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려운 것들이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적 기업과 함께 시민단체, 민간기업,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과의 네트워크의 활용을 통해서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지역사회에서 기업 활동을 영위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업이 생산한 재화나 서비스는 지역주민들에 의해 소비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지역밀착형 사회적 기업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계속 부각될 것이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비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적합한 사회적 기업 모델로서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한 지역밀착형 사회적 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의 역할을 지역사회복지 측면에서 찾았고, 이러한 지역밀착형 사회적 기업의 육성을 위한 방법론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축과 활용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지역 특성을 살린 지역밀착형 사회적 기업의 지원과 육성을 위해서 지방자치단체는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의 성공은 시민사회의 이해와 적극적 참여가 전제되고 궁극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구매로 귀결될 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기업은 아직도 생소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사회적 기업의 역할과 긍정적인 효과가 체계적으로 수집되고 홍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지역에 있는 사회적 기업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고 성공사례를 발굴·홍보하여 사회적 기업에 대한 국민적 인식제고에 노력해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는 먼저 사회적 기업 지원을 위한 민간부문의 역량을 탐색하고, 이들을 사회적 기업들과 어떻게 연결시켜줄 수 있는지를 구상하며, 자발적인 협력이 어려운 경우 권위, 정보제공, 화합능력, 설득, 아이디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참여자들 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적 기업 육성을 주도적으로 시행하고, 인증과 지원에 대한 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이양하려는 정책 변화는 사회적 기업의 양적 성장을 지양하고 지역사회 여건에 맞는 사회적 기업을 육성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사회적 기업의 지원정책에 있어서도 우선구매촉진이나 연계기업에 대한 조세감면 등의 간접적인 지원정책들이 유명무실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기업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업무와 권한은 매우 초기 단계에 있는 상황으로 지역에 맞게 추진할 수 있는 핵심적 역할을 위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예산과 인력을 과감히 지방자치단체로 위임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사회적 기업 관련 기초연구 및 지역사회 자원조사를 통한 실행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전담부서의 설치와 사회적 기업, 시민단체, 학계를 연결할 수 있는 구심축으로서 전문지원기관의 설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섯째, 지역밀착형 사회적 기업이 지역 내 자원을 동원하고, 네트워크를 활용·유지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내 이해관계자들을 원활히 연계시켜 준다면 사회적 기업을 활용한 자본형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자본과 신뢰관계는 장기적으로 사회적 기업이 지역사회에서 지속 가능하게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기업의 성공적인 자립을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지만 사회적 기업 스스로도 혁신적 리더십, 사회적 목적과 수익창출 간의 균형을 늘 견지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의 업종별 네트워크는 사회적 기업의 규모의 경제를 확장시켜 민간의 영리기업들과 경쟁을 가능하게 만들어 줄 것이며, 지역별 네트워크는 사회적 기업의 홍보와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기업의 다양한 네트워크는 시민들의 참여와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며, 사회적 기업의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면 짧은 시간 양적으로 성장해 온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지속성장 가능성은 점차 질적으로 확대될 수 있으리라 본다.

      •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 인식능력과 지리적 공간 관계 표상에 미치는 영향

        이미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ap-mak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abilities to use spatial coordinates and representation of geographical spatial relationship in map-drawing. To accomplish the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proposed: 1. What kind of influence map-making activities have on children's abilities to use spatial coordinates? 1-1. What kind of influence map-making activities have on the children's ability to locate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1-2. What kind of influence map-making activities have on the children's ability to read the coordinate numbers? 2. Will map-making activities have influence on representation of geographical spatial relationship in map-drawing of children? 2-1. Will map-making activities have influence on the types of map-drawing of young children in map-drawings? 2-2. Will map-making activities have influence on geographical representation of young children in map-drawings? 42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S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Busan. 21 children(13 boys and 8 girl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21 children(12 boys and 9 girl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group had a difference of spatial ability statically. The tests used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est of spatial ability was constructed by Hong's(2001c) ‘The measurement tool on young children spatial ability'. The test of the children's abilities to locate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and to read the coordinate numbers were conducted on tasks by Blades and Spencer(1989) then revised through pilot test by Kwon(2004). The analysis of children's map-drawing were employed 'The instrument for classification of children's map-drawing' devised by Hong, Kim, and Jung(2007), and 'The instrument for analysis of geographical representation of children's map-drawing' also devised by Hong, Kim, and Jung(2007)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idea of Hyun(2001), Ahn(2002), Hong(2004), and 'the appropriate of map skill for young children' in the geography curriculum of United Kingdom.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nalysed with following methods. First, data were analysed with ANCOVA on the difference of score from pre- and post-test with being controled the score of spatial ability in order to find out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ability to use spatial coordinat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data were analys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on the types of map-drawing of children collected at the first and last of the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tendency of the type of map-drawing of children, and were analysed also these map-drawings on the basis of the factor of geographical represent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tendency of geographical representation in the map-drawings of children. To process those data, SPSS for Windows 13.0 program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the results of the test show that the map-making activities actuall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ability to use spatial coordinate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reated showed higher scores in ability to locate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treated. And the case of ability to read the coordinate number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oo. According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young children' abilities to locate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ce and read the coordinate number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map-making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 on young children ability to use spatial coordinates.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hildren's map-drawings show that a influence on representation of geographical spatial relationship in map-drawing of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have more growing tendency from the type of drawing expressing to the type of drawing-map mixed expression and map ex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Besides, the case of analysis of geographical representation of children in map-drawing, the experimental group shaw much change in map-drawing expression for location/direction, relation, view, environment and symbol at the end of the study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which show that map-mak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presentation of geographical spatial relationship in map-drawing of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 인식능력과 지리적 공간 관계 표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위치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공간 관계 표상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지도 표현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표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42명으로 실험집단 21명(남: 13명, 여: 8명)과 통제집단 21명(남: 12명, 여: 9명)이다. 검사 도구는 유아 공간능력, 좌표위치 인식 및 좌표 읽기, 유아의 지리적 공간 표상 분석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 공간능력 검사 도구는 홍혜경(2001c)이 제작한 ‘유아 공간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좌표위치 인식 및 좌표 읽기 검사 도구는 Blades와 Spenser(1989)가 사용한 도구를 권우정(2004)이 수정․보완하여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지리적 공간표상 분석을 위해 홍혜경, 김현, 정미영(2007)이 고안한 ‘유아의 지도 표현 유형 분석 도구’와 지도 유형 분석을 위해 현민숙(2001), 안남이(2002), 김혜연(2003), 홍혜경(2004)의 연구와 영국 국가 지리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유아 연령에 적합한 지도학습’을 기초로 홍혜경, 김현, 정미영(2007)이 고안한 ‘유아의 지리적 표상 분석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통계처리 및 분석하였다. 첫째, 좌표위치 인식 및 좌표 읽기 검사 점수의 사전․사후의 증가분에 대해 유아 공간능력 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둘째, 지리적 공간 관계 표상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초기, 후기 그림지도의 지도 표현 유형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변화량을 알아보았고, 지리적 표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지리적 표상의 요소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자료 처리는 SPSS for Window 13.0 progra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 인식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좌표 인식능력은 지도 만들기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좌표위치 인식 및 좌표 읽기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 인식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 인식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공간 관계 표상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지도 표현 유형 분석에서 지도 만들기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회화적 표현형에서 회화-지도적 표현형, 지도적 표현형으로 더 증가하였다. 또한 유아의 지리적 표상 분석에서도 지리적 표상 요소인 위치/방향, 관계, 조망, 도로, 주변환경, 상징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변화가 있었다. 이는 지도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공간 관계 표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통제소재 및 우울의 관계

        이미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통제소재 및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의 5학년 아동(남아 85명, 여아 91명)과 6학년 아동(남아 133명, 여아 111명)으로 총 420명이었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박진아(2001)가 수정, 보완한 척도로 사용하였다. 아동의 통제소재는 민하영(1998)이 제작한 내외 통제소재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우울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Kovacs의 우울 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1977)를 신은영(1998)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통제소재 및 우울이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하위 유형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내외통제소재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통제소재 및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통제소재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방법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하위 유형 중에서 공격적 대처행동과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드러났다. 공격적 대처행동은 남아가 많이 사용하였으며,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은 여아가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통제소재 중 외적 통제집단에 속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남아가 여아에 비해 더 외적 통제성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아동의 우울 수준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따라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대처행동을 하는 아동의 우울 수준이 가장 낮았고,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을 하는 아동의 우울 수준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아동의 통제소재에 따라 우울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적 통제집단에 속한 아동의 우울 수준이 내적 통제집단에 속한 아동의 우울 수준보다 높았다. 여섯째,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통제소재 및 우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은 통제소재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공격적 대처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아동의 우울은 공격적 대처행동과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통제소재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일곱째, 아동의 우울은 소극/회피적 대처행동, 통제소재, 공격적 대처행동이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우울 수준은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을 사용할 때 가장 설명력이 크며, 외적 통제소재와 공격적 대처행동 순으로 우울을 잘 설명했다. 아동 우울의 대부분은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삶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본 연구는 아동을 잘 이해하고 아동들이 밝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children's stress-coping styles,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420 5th(male 85, female 91) and 6th(male 133, female 111) graders recrui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Kyung-ki region. Children's Coping Behavior Ccale on daily life stress', which was developed by Min, Ha-young, Yoo, An-jin(1998) and modified by Park, Jin-a(2001),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stress-coping styles. Children' Locus of Control,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by Min, Ha-young(1998), and CD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Kovacs, 1977), which was revised by Shin, Eun-young(1998) were also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wo-way ANOVA, one-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Stepwis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ggressive and passive/avoidant coping styles. For example, boys tend to use more aggressive coping styles than girls. On the other hand, the girls tend to use passive/avoidant coping style than boy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erms of children's locus of control for depression. For example, the boys tended to use more external control than the girls. Third, the severity children's depression was not affected by children's gender and their level of school grade. Fourth, depression was dependent upon stress coping styles. For example, children who used a active coping style showed less depression than that of the children who applied the different coping skills. The children who used passive/avoidant coping style, experienc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at of children tried other stress coping styles. Fifth, the external locus-control group showed more severe depression than that of the internal locus-control group. Sixth, a act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y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styles of locus of control. However, an aggressive coping style was negatively related to locus of control. Children who were depressed exhibited aggressive coping and passive/avoidant coping styles. On the other hand, the depressed childre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locus of control. Finally, it was demonstr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at a passive/avoidant coping style, a locus of control, and an aggressive coping style were useful variables to predict children' depress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childhood depression can be persistent until adulthood if not treated,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children's mental wellbeing by identifying the causal variables for children's depression such as stress-coping styles and locus of control.

      • 언어재활사의 발달장애 중고등학생과 성인 대상 언어치료 인식 연구

        이미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s well as cognition and adjustment. Moreover such difficulties last long into adulthood. Accordingly they need continuous speech and language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Therefore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explore how speech-language pathologists(SLPs) in Korea perceive the treatment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intervention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urrent study surveyed 107 SLPs in Korea. The survey items included past and current experiences of treatment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on the clinical management, and SLPs perception and its inflential factors on the treatment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almost 86% of the participants(92/107) were providing or had previously provided treatment for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they were providing or had provided treatment for more numbers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han adults. The SLPs recognized the need for treatment,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higher for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ha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SLPs indicated that the treatment should be continuous for the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reover the SLPs indicated that the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uld not receive the treatment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In addition they indicated lack of clinical support would make the treatment difficult. Such perceptio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s of the SLPs; however such differences were limited. The current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ocial security system for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including providing treatment vouchers for adults. In addition re-education of the SLPs is needed especially for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help them to provide effective service for people with develpmental disabilities.

      • AR, CMR, CMRp 과제 해결 과정에서 시선 및 뇌 활성 비교

        이미진 한국교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AR 과제, CMR과제, CMRp 과제 해결과정에서 인지과정의 차이를 신경과학적 입장에서 밝히고, CMRp 과제를 통해 창의적 수학 추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얻어 수학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AR, CMR, CMRp 과제 해결과정에서의 시선 차이는 어떠한가? 2. AR, CMR, CMRp 과제 해결과정에서의 뇌활성 차이는 어떠한가? 3. 과제 유형에 따른 문제 해결 단계별 뇌파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대학교 대학생, 대학원생, 31명의 참여자들에게 화면을 통해 보이는 AR 과제, CMR과제, CMRp과제를 각각 2문항씩 풀게 하고 그 동안의 시선추적과 뇌파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수학 추론과제 유형별로 동일 패턴이 나타나는 시선을 기준으로 과제 해결 단계를 4단계로 정하고 각 과정에서의 EEG 뇌파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과제에서의 AOI를 설정하고 그 영역 간 눈 움직임 패턴의 양적 분석과 시선 움직임 패턴 양상의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과제 해결 단계에서 EEG를 통한 뇌 활성과 뇌파 분석을 통해 과제 유형별(AR, CMR, CMRp) 문제 이해 단계, 정보 탐색 단계, 문제 실행 단계, 문제 해결 단계에서의 각 뇌파를 분석하여 어떤 인지적 과정이 일어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제 유형별 과제 해결과정에서의 과제 간 시선의 움직임 패턴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시선 움직임의 양적 데이터 분석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과제 유형별 과제 해결 과정의 두뇌 활성 패턴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뇌파로는 AR 과제와 CMR 과제 사이에서는 문제 실행 단계에서, AR 과제와 CMRp 과제 사이에서는 정보탐색 단계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CMR 과제와 CMRp 과제 해결 과정 사이에서는 유효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이해하고자 할 때 뇌활성이 가장 높지만, AR 과제의 경우에는 해법을 이해하고자 할 때가 문제를 이해하고자 할 때보다 뇌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문제를 접할 때는 과제에 대한 정보가 최소한이어도 뇌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적 해법이 제시되어도 뇌활성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다. CMR 과제에서는 다른 과제와 비교하여 그림에 더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R 과제의 해법과 CMRp 과제의 힌트 영역은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며 다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하 추론 과제 해결과정에는 일정 패턴이 있기 때문에 각 과제 해결과정에 맞는 지도가 가능하다. AR, CMR, CMRp 과제 해결과정에서의 시선 움직임 패턴은 일정하며, 이는 인지적 처리와 관련이 있으므로 기하 과제 해결 과정에 일정 패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기하 추론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서는 그러한 각 해결과정에 맞는 지도를 할 수 있다. 둘째, 기하추론 과제 유형별로, 과제 해결 전략에는 차이를 보여 각 해결 전략에 대한 지도가 가능하다. AR은 과제 풀이의 효율성 면에서 해법이 제시된 해법추론 영역에 집중하며, CMRp는 힌트영역을 이용하여 그림 속에서 수학적 개념과 속성들을 찾고 풀이 전략들을 선택하게 된다. CMR은 그림 영역에서 정보를 찾아야 하고 풀이 전략도 찾아야 하기 때문에 문제를 이해한 다음에는 그림에 집중하게 된다. 이렇게 기하추론 과제 유형별로 풀이 전략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풀이 전략에 대하여 학습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기하 추론 과제 유형별로 과제 해결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지적 처리과정의 차이를 이용하여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 AR, CMR, CMRp 과제 유형, 모든 과제 해결 단계에서 전전두연합 영역과 둘레연합 영역이 활성화 되기는 하지만 각 과제 해결단계별로 뇌 활성에서 차이를 보이며, 과제 간 해결과정별 분석에서도 차이를 보여, 인지적 처리의 신경과학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적용하여 학습자의 과제별 풀이 과정에서 특정 뇌 영역이 활성 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넷째, 기하 추론 과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림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CMR 과제에서 정답율이 높을수록 그림에 더 집중하는 이유는 그림 속에서 수학적 속성이나 개념들을 찾기 위함이다. AR 과제에 비교하여 CMRp 과제에서 그림에 더 집중하는 것은 힌트를 통하여, 그림에 집중하고 그림 속에서 기하 개념과 요소를 찾고 그것들 간의 연결을 찾아 추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설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림에 집중하는 것은 수학적 소양을 높이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다섯째, CMR 과제 유형은 높은 뇌 활성을 일으키기 때문에 뇌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CMR은 주어진 정보가 문제와 그림에 한정되어 있어, 수집할 수 있는 정보가 매우 빈약하고 그로인해 인지부하가 매우 높다. 반면, CMRp는 실마리를 통해 그림 속에서 찾은 기하 개념과 요소들을 장기기억에서 검색하고 인출하여 추론으로 나아가도록 돕기 때문에 작업기억으로 정보를 불러올 정보가 상대적으로 적어 작업 기억의 인지부하를 줄여 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CMRp 과제는 CMR과제와 같은 인지적 처리 과정을 거치지만 낮은 뇌 활성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추론과제에서 인지적 처리에 효율적이다. CMR 과제와 CMRp 과제 사이에는 모든 과제 해결 단계,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풀이 과정에서 유사한 인지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MRp 과제는 CMR 과제에 비해 뇌 활성 영역을 좁히고 인지적 부하를 줄여 과제 수행의 효율성을 높여준다고 할 수 있다. 위 결론을 살펴보면 CMR 과제는 수학적 이해를 깊게 하고 수학적 속성을 찾고 개념 간 연결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과제이지만 공식, 해법 풀이, 예시 등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지부하를 높일 수 있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러나 CMRp 과제를 활용하면, CMR 과제와 유사한 인지과정을 경험할 수 있고 인지부하를 줄일 수 있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서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AR 과제의 비중을 줄여 CMRp 과제를 투입해 활용해 볼 가치가 있다. 그러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 CMRp 과제 설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 남자 프로골프 선수들의 햄스트링 유연성이 골프 드라이버 샷의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

        이미진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PGA 남자 프로골프 선수들 16명의 햄스트링 유연성이 코오롱 제59회 한국오픈 대회 드라이버 샷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햄스트링의 유연성과 대회 성적과 비교하였다. 근력, 근파워 뿐 아니라 유연성, 그 중 햄스트링 유연성이 중요하다는 점과 골프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훈련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부상예방과 재활 훈련 차원에서도 정보를 제공할하고자 한다. 자발적으로 체전굴 측정 동의서에 사인한 25세에서 35세에 해당되는 16명의 선수들을 선별하여 체전굴 측정기(Trunk forward flexion meter)로 햄스트링 유연성을 측정하여 상위그룹 8명과 하위그룹 8명으로 나누고, KPGA 홈페이지에 등록된 제59회 한국오픈대회의 드라이브 비거리와 대회성적을 사용하였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저체전굴 유연성(Low flexibility)을 가진 집단의 평균 드라이버 샷의 거리(292.37±4.99m)는 고체전굴 유연성(High flexibility)을 가진 집단의 평균 드라이브 샷의 거리 (290.12±6.12m)보다 높았으나, t=0.805, p=.434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2. 저체전굴 유연성(Low flexibility)을 가진 집단의 Total Par의 거리 (-0.12±7.10)는 고체전굴 유연성(High flexibility)을 가진 집단의 Total Par의 거리 (-2.25±10.43)보다 낮았으나, t=0.476, p=.64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 Systematic Study of the Family Coccinellidae (Coleoptera) from Korea

        이미진 안동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1839

        한국산 무당벌레과(Coccinellidae)를 대상으로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산 무당벌레과는 좁쌀무당벌레아과(Sticholotinae), 애기무당벌레아과(Scymninae), 홍점무당벌레아과(Chilocorinae), 홍테무당벌레아과(Coccidulinae), 무당벌레아과(Coccinellinae), 곱추무당벌레아과(改稱, Epilachninae) 6개 아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결과 총 35속 78종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산 무당벌레과는 현재까지 북한 서식종을 포함하여 총 6아과 13족 35속 78종이 기록되어 있다. 기존 [한국곤충명집, ESK & ESAE (1994)] 및 [한국총목록, 백 등(2010)]에 기재되어 있던 74종 중 오동정이 의심되는 4종(Scymnus fuscatus, Adalia bipunctata, Coelophora biplagiata, Coelophora bisellata), 북한에만 분포하고 있는 10종을 제외하고, 기존에 국내 분포 기록이 있었으나 종 목록에 등재되지 않은 4종(Nephus patagiatus, Nephus yotsumon, Sasajiscymnus nakanei, Sasajiscymnus pilicrepus),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국내 미기록종 4종(Cryptolaemus montrouzieri, Adalia conglomerata, Myzia gebleri, Cynegetis impunctata)을 포함하여 총 6과 13족 34속 68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종 및 상위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 기재문 및 도해를 수록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총 68종 및 이들의 상위분류군인 34속, 13족에 대하여 각 분류단계별(족, 속, 종) 유연관계에 대한 계통분석을 실시하였다. 계통분석은 총 30개의 형태적 형질을 이용하였으며, out-group으로는 무당벌레과의 근연분류군 중 상대적으로 원시적 형질을 가진 무당벌레붙이과의 무당벌레붙이(Ancylopus pictus asiaticus Strohecker)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식식성(phytophagous) 분류군인 곱추무당벌레아과는 가장 원시적인 계통을 나타내는 측계통군으로 구분되어 기타 아과와 계통학적 차이를 보였으며, 균식성(fungiocorous)인 노랑무당벌레족(Psylloborini)을 포함한 5개 아과는 곱추무당벌레아과와 구분되는 별개의 단계통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랑무당벌레족은 단계통군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원시적 형질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a result of the systematic study of the Korean Coccinellidae, a total of 78 species belonging to 35 genera of 13 tribes from 6 subfamilies was recogniz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 total of 74 species was listed in the ‘Checklist of Korean Insects’. However, there were included 4 species of misidentified (doubtfully) species (Scymnus fuscatus, Adalia bipunctata, Coelophora biplagiata, and Coelophora bisellata) and 10 species found only in North Korea, but not in South Korea. Of the species listed in this study, 8 species were added including 4 of unlisted species (Nephus patagiatus, Nephus yotsumon, Sasajiscymnus nakanei, and Sasajiscymnus pilicrepus) and 4 species of first reported from Korea (Cryptolaemus montrouzieri, Adalia conglomerata, Myzia gebleri, and Cynegetis impunctata). Therefore, in this study, totally 68 species, 34 genera, 13 tribes, and 6 subfamilies of Korean Coccinellidae were revised with diagnostic characters. Also, their taxonomic keys and illustrations were provided. Thirty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character states were selected for phylogenetic analysis. Ancylopus pictus asiaticus belonging to the family Endomychidae (more primitive taxon than Coccinellidae) was chosen as an out-group taxon. In all three trees, the family Coccinellidae is monophyletic, exception of the members of Epilachninae, which are entirely phytophagous. Epilachninae divided into a primitive paraphyletic group, and the other subfamilies divided into a monophyletic group. In the monophyletic group, tribe Psylloborini (containing fungiocorous) classified into a rather primitive than other groups.

      • 음식체험요소와 감정반응 및 고객가치창출의 관계 연구 : DIY레스토랑 이용고객을 중심으로

        이미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Modern society has been enriched economically by industrializtion and mass production of materials, but excessive materialism has caused people to lose their value and feel mentally alienated and deprived. With this breakthrough, humans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mental abundance’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e consumption process itself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gaining satisfaction in terms of emotional and sensibility through consumption not just consumption of matter. The empirical economic theory of Pine and Gilmore (1998), which aims to create more profit through consumers' empirical value by recognizing DIY consumption behaviors and experiences that are entertaining, creating and realizing personal values on their own, as higher concepts of goods and services,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corporate marketing or management. Experience is drawing attention because it immediately satisfies customers' interests and desires at the experience site, builds a favorable position by improving satisfaction in the short term, and affects the way customers behave and create value in the long term. 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restaurant businesses that provide tangible and intangible services, the customer experience and memory have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consumption behavior, as goods and services often do not remain with the customer after purc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DIY restaurant to realize the value of experience consumption and t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orporate value by creating individual value based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customers by applying the empirical economic theory of Pine and Gilmore (1998) to food experience elem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food experience component consisted of recreational, educational, deviant, and aesthetic experience, the emotional response consisted of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customer value creation consisted of economic,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Based on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DIY restaurant us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experience factors, emotional reactions and customer value cre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experience element and emotional response had positive influence on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 while the educational experience had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al response but not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respons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sponse and customer value creation showed that the cognitive response had an effect on economic value, functional value,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value, and that emotional response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economic value, func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experience and customer value crea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economic,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but deviant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conomic and social values and not significant effects on functional values. In order for restaurants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customers must be willing to pay for the value of their experience. In this study, by applying the food experience element to DIY restaurant, we confirmed that consumer buying behavior in relation to emotional response is influenced by logical and rational thinking, but tends to be done by individual emotions. In addition, despite having to pay significantly higher costs than restaurants in their peer group, DIY Restaurant provided practical suggestions that the joy of experience, customer value through interaction and entrepreneurship can be realized jointly with the economic benefits of unlimited refills to customers. Based on this, more diverse food experiences and events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in restaurants and applied to marketing to prepare a joint value creation plan for consumers and businesses. 현대사회는 산업화와 물질의 대량생산으로 경제적으로 풍요해 졌으나, 과도한 물질만능주의는 인간의 가치를 잃어버리고 정신적 소외감과 박탈감을 느끼게 하였다. 이러한 현상의 돌파구로 인간은 ‘정신적 풍요’와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으며, 단순한 물질의 소비가 아니라 소비를 통하여 정서적⋅감각적 측면에서 만족감을 얻고, 감정을 획득하는 소비 과정자체가 목적인 경험소비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만드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개인적 가치를 스스로 창조하며 실현하고자 하는 DIY소비행동과, 체험을 상품과 서비스의 상위개념으로 인식해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를 통해 더 많은 이윤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Pine and Gilmore(1998)의 체험경제이론은 기업의 마케팅이나 경영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체험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고객의 관심과 욕구를 체험현장에서 즉시 충족시키고 단기적으로는 만족을 높여 호의적인 입지를 구축하며, 장기적으로 행동의도와 고객의 가치창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유⋅무형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식기업의 특성상 구매 후 상품과 서비스가 고객에게 남아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고객의 경험과 기억은 소비행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경험소비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DIY레스토랑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음식체험요소에 Pine and Gilmore(1998)의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하여 고객의 감정반응에 따른 개인의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가치창출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인 음식체험요소는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심미적 체험으로 구성하고, 감정반응은 인지적 반응, 정서적 반응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인 고객가치창출은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DIY레스토랑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음식체험요소, 감정반응, 고객가치창출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음식체험요소와 감정반응의 관계는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 심미적 체험은 인지적 반응과 정서적 반응 모두에 정(+)의 영향 미쳤고, 교육적 체험은 정서적 반응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적 반응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감정반응과 고객가치창출의 관계는 인지적 반응이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정서적 반응은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식체험요소와 고객가치창출의 관계는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심미적 체험은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탈적 체험은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능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레스토랑이 경쟁우위에 서기 위해 고객이 경험의 가치에 대한 비용을 기꺼이 지불 할 수 있도록 DIY레스토랑에 음식체험요소를 적용하여 감정반응과의 관계에서 소비자의 구매 행동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에도 영향을 받지만 개인의 감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IY레스토랑에서의 음식체험은 동종업계의 레스토랑보다 월등히 높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고객에게 무한리필이라는 경제적 이익과 함께 경험의 즐거움, 상호교류를 통한 고객가치와 기업가치가 공동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레스토랑에서 더욱 다양한 음식체험과 이벤트를 기획하고 개발하여 마케팅에 적용함으로써 소비자와 기업의 공동가치창출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