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고소송의 대상확대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이동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The supreme principle of administrative laws is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Administration'. Namely 'Administrattion shall not violate Law'(Supremacy principle of law). Administration should be based on the law'(Deferment principle of law).Now, can people unconditionally file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s a right relief for seeking its correction when the government office administered illegally? Reality is not so. The reason is that an appeal suit as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tangled with the dilemma of disposability. The disposal as an object for the appeal suit means 'execution or refusal of government authority as a law enforcement act for specidfic facts perpetrated by the government office or its other equivalent administrative action'(Administration Litigation Law Section 2, clause 1 and number 1).Therefore, not only all execution of government authorit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office may not be an object of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but also the breadth of right relief is vary narrow and unstable without predictive possibility as the interpretation of 'its other equivalent administrative action' itself depends on the judgment by the court. For instance, a suit itself is blocked despite the fact that registration of cadastral records such as cadaster, forrest land register, building ledger among 'Realakt', administrative map and administrative plan(master plan) are closely related to the citizen's legal status. Also, as for 'administrative legislation', it must be contested as a norm control when it becomes a premise for a trial as the first-priority issue. To contest an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e citizen is required to be sentenced to a unfavorable individual decision, or a sanction judgment or a criminal prosecution through an active violat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which may be considered a unreasoable demand without a possibility of endurance. And concerning a disciplinary action, whereas dispoability is acknowledged for expulsion, dismissal, demotion, suspension, wage cut and reprimand, the disposability is not recognized for relief of post which is in fact heavier than wage cut, thus losing consistency of right relief or predicitive possibility accompanied by confusion. The occurrence of such problem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urr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does not embrace all administrative actions by the government office as an object for judicial review. Because of this, blind spots of right relief for citizens were formed from administrative actions such as 'contract and pledge 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realakt, public law' . Also, as the court fails to embrace all administrative actions by the government office as an object for judicial review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come to undertake the administrative actions that were not processed by courts due to the subsidiarity requirement for constitutional appeals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causing unnecessary conflicts between two institut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curr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should be comprehensively improved as it has a problem of reducing the complaint's object and weakening the possibility for relief of citizens' right. While there may be several ways of improvement, French system of arrogation litigation and the legislative system of our constitutional court may be considered as a model. French system of arrogation litigation and the laws of our constitutional court treat all exercises of government authority as an object for judicial reviews with the exception of private economic acts by the government office. With inclusion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an object for judicial reviews, in particular, it has been settled as an equipped system to the extent of being sufficient to fulfill realization of relieving citizens' rights. Therefore, amendments in the curr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should be achieved with such prior examples of legislation as a motive. Namely, with reference to Frech system of arrogation litigation, and on the basis of the legislative system of our constitutional court,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should be developed as a system respecting the courts' responsibility to realize the rule of law while ensuring the rights and freedom of citizens to the maximum. 행정법의 최고의 원리는 '법치행정의 원리'이다. 즉 '행정은 법률에 위반될 수 없다'(법률우 위의 원칙), '행정은 법률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법률유보의 원칙)는 원칙이다. 그런데 행정 청이 위법한 행정을 한 경우 국민들이 이에 대한 시정을 구하는 권리구제로서 행정소송을 무조건 할 수 있을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행정소송으로서의 항고소송이 처분성 이라는 딜레마에 얽혀 있기 때문이다. 항고소송의 대상인 처분은 '행정청이 행하는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집행행위로서의 공권력의 행사 또는 그 거부와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정작 용'을 뜻한다(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 및 제1호). 그러므로 행정청이 행하는 모든 공권력의 행사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정작용'의 해석 자체가 법원의 재량에 달려 있어 국민의 권리구제 폭이 아주 좁고, 예측가능성마저도 없어 불안정하다. 예컨대, '사실행위' 중 토지대장·임야대장·건축물대장 등 지적공부의 등재, 행정지도·행정계획(마스터플랜) 등은 시민의 법적 지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송자체가 봉쇄되었다. 또한 '행정입법'에 대해서는 그것이 선결문제로서 재판의 전제가 되는 경우 구체적 규범통제로써 다툴 수밖에 없는데, 행정입법을 다투기 위해서는 먼저 그 행정입법에 의거한 불리한 개별처분을 받든지 아니면 행정입법을 적극적으로 위반하여 제재처분 또는 형사소추를 받을 것을 시민에게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수인가능성이 없는 무리한 요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징계처분과 관련하여 파면·해임·강등·정직·감봉·견책은 처분성이 인정되고 견책이나 감봉보다 사실상 무거운 징계인 '직위해제'는 처분성을 인정하지 않는 등 권리구제의 일관성이나 예측가능성마저도 상실해 혼선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것은 현행 행정소송법이 행정청의 모든 행정작용을 사법심사의 대상으로 포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행정입법·사실행위·공법상 계약·확약 등'의 행정작용으로부터 국민의 권리구제의 사각지대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법원이 행정청의 모든 행정작용을 사법심사의 대상으로 포괄하지 못하면서 헌법재판소의 헌법소원의 보충성 요건에 의해 법원에서 처리하지 못한 행정작용을 헌법재판소에서 담당하게 되어 두 기관 간 불필요한 갈등만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각건대 현행 행정소송법은 항고소송의 대상을 축소하여 국민들의 권리구제 가능성을 취약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총체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그 개선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프랑스의 월권소송제도와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법의 입법체계를 그 모델로 삼아야 한다고 본다. 프랑스의 월권소송제도와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법은 행정청의 사경제적 행위를 제외한 모든 공권력의 행사를 사법심사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특히 행정입법을 사법심사의 대상으로 포괄하면서 국민의 권리구제 실현을 이행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완비된 제도로 정착되었다. 따라서 현행 행정소송법의 개정 역시 이러한 선행 입법례를 모티브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즉, 프랑스의 월권소송제도를 참작하고,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법의 입법체계를 토대로 하여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법치주의 실현을 위한 사법권의 책임을 존중하는 제도로서 행정소송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본다.

      • 평생학습도시 정책과 기타 도시정책 비교분석

        이동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Nowadays, transition to procedure of borderless indeterminate competition becomes a conjuncture and also could be good opportunities. A exclusive town that has a prospective foundation that stands on the exclusive basis to create a future value could keep good opportunities alive. In this point, a intensification of global competitiveness of urban district could be straightened by making a basis of urban sure and citizen, industr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government are also be straightened after all. Thereafter, specialized urban development should be fundamental strategies. The central government stands on this need of times is propelling a large scale urban development policy due to accelerate the balanced development in between localities and make the key point to be a advanced Korea with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potential power of all local development. Those representative policies are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upbringing small towns, industrial cities and innovative cities. Therefore a contemporary circumstances is being advance into economical based on knowledge that are an important skill of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nd straightening competitive power in the central Lifelong learning policy. The central government of Korea has chosen municipal policies. In my study, it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those municipal policies Hereafter the central government will have to choose the direction of policy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comparative analysis policy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documentary records. Those are; What is the substantial organization? Who is the method processor? What is the object of policy and expecting consequence? Who is the budget supporter? Is there a legal basis? How much does have common interests with civilian for processing policy? Those six comparative patterns that have been processed systematically are showed as the follows. First, Search for the background and details for the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Second, Search for the details of the policy of the upbringing small towns first and then tak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policy of Lifelong Learning cities and deduce implic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of Lifelong Learning Cities. Third, Search for the details of the policy for industrial cities, then deduce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Fourth, Search for the details of the policy of the innovative cities and deduce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Fifth, Search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that based on the details of comparative analysis each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Sixth, Search for the developing ability for effectiveness with using the both of these policy of city and the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Integrated Consequence of this Study Every city policies is given from the various departments of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districts for the development and the central government has tried to activate local cities policy with supporting budgets. In the case of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a credential method is activate and the upbringing policy of the small town is spread with the method of the Saemaeul project. The policy of industrial cities that has been driven is through the formation of reversal relation between industries and cities. The innovation of city policies has applied the method of the zero some game from the style of rearrangement. The new objects are established to become a new era with the target of existing cities and tried to improve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cities. It is a policy for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and the upbringing of small town. It is the policy that the industrial cities and innovative cities should be the model of city development closed a concept of the new city composition. The legal authority of the small town upbringing policy, industrial cities and innovative cities is prepared and has a safety project also a large amount of budget is given. Otherwise the legal authority of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has been tried but failed. So there is no legal basis to get enough budget support. Despite of limitation of the legal basis and budget,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is spread with tremendous cooperation of many urban districts in short time. This is different from the other cities trying to approach the central policy of H/W.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have various resources reformation come under the cities. Therefore it makes the ability of city the greatest because of being able to approach policy of the center S/W. Therefore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has to be able to supply S/W. If this runs parallel with other urban districts policy, those results are shown to give rise through helping each other. Like it is,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policy is to give rise results more when it is processed with other urban district policy and the both H/W and S/W are to develop to adjust the style of new era.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policy supplied S/W of development of urban districts. 1. It has to be established that individual regulation for stabilizing process the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2. It has to be established that a special financial law for confirming some stabilizing budgets to process the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3. It has suggested to be established that committee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with the a president of the prime minister like the case of increasing position of the committee. 4. It has suggested to process the other cities policy of the city development with the poli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together in order to give rise the mutual results and to and to make competitive power of the city. 5. It has suggested to make plan activate the policy with introduction of regular revaluation for result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process. 6. It has suggested to contract a support agreement that is able to make a promise to do project easily for the central government and a president of the local districts of the owner projects, 7. It has suggested to take a part in projects as a civilian partner with an autonomous district and an educational facilities when it applies to have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assignment. Its barriers in between the countries have been disappeared and the local districts are able to participate boundless world wide competition. In this 21st century, every local districts keeps up its development improving and supports the life of the local residents to be improved and also wish to bring up suitable policy for its local districts based on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districts project to have enough economical competition. 오늘날 국경 없는 무한경쟁 체제로의 변화는 지방도시의 위기이자 기회가 되고 있다. 축적된 기반 위에서 미래의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잠재적 기반이 있는 도시만이 기회를 살려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방도시의 국제 경쟁력 강화는 결국 도시의 기반을 다지고 시민, 기업, 정부의 국제적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도시의 특화 발전은 핵심 전략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 속에 중앙정부는 지역간 균형 있는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모든 지역의 발전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선진 한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어 나가자는 취지로,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방법으로 대규모의 도시 개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정책이 평생학습도시·소도읍육성·기업도시·혁신도시 정책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식기반의 경제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현 시대 상황에서 지역의 인적 자원을 양성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도구로 인정받는 평생학습도시 정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중앙정부가 지방도시의 발전을 위해 채택하고 있는 도시정책들을 비교분석하고자 하며, 향후 중앙정부가 평생학습도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취해야 하는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방법으로 문헌 분석을 통한 비교정책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정책수립 집행 당사자가 누구인가, 정책의 내용 구조와 집행방법은 무엇인가, 정책의 목표와 기대성과가 무엇인가, 예산의 뒷받침은 어떻게 되며, 법적 근거가 있는가, 정책집행의 민간 참여자와 이해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하는 여섯 가지의 비교 준거틀을 변인으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체계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배경과 내용을 알아본다. 둘째, 소도읍 육성 정책의 내용을 알아보고, 평생학습도시 정책과 비교분석하여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셋째, 기업도시 정책의 내용을 알아보고, 평생학습도시 정책과 비교분석하여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넷째, 혁신도시 정책의 내용을 알아보고, 평생학습도시 정책과 비교분석하여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섯째, 각각의 도시정책을 평생학습도시 정책과 비교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발전 방향을 알아본다. 여섯째, 이들 도시정책을 평생학습도시 정책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가능성을 알아본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각각의 도시정책들은 모두 중앙정부의 여러 부처에서 지방도시의 발전을 위해 법적 기반을 제시하고, 예산을 지원하면서 정책을 활성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경우에는 인정(credential)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소도읍육성 정책은 새마을 사업의 논리를 확대하였다. 기업도시 정책은 기업과 도시간의 역전관계의 형성을 통해 추진되었으며, 혁신도시 정책은 공공기관 재배치방식의 제로섬 게임의 논리를 적용하였다. 기존도시를 대상으로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도시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한 것이 평생학습도시정책과 소도읍육성 정책이라면, 기업도시 정책과 혁신도시 정책은 신도시 조성의 개념에 가까운 도시발전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소도읍육성 정책과 기업도시 및 혁신도시 정책은 모두 사업에 대한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여 추진의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예산 측면에서도 중 또는 대규모의 지원을 감행하였다. 반면 평생학습도시 정책은 평생교육법 안에 평생학습도시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사업 추진의 안정성과 충분한 지원을 확보할 수 있는 독자적인 법률안을 갖지 못하고 있으며, 예산의 측면에서도 극히 적은 규모의 예산을 지원하는 한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생학습도시 정책은 법적 기반 및 예산의 큰 한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기에 많은 지방도시들이 폭발적인 호응을 보이며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기타의 도시들이 하드웨어 중심의 정책적 접근을 시도한 것과 달리 평생학습도시는 해당 도시가 갖고 있는 여러 자원을 재구조화함으로써 도시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정책적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는 평생학습도시 정책이 든든한 하드웨어를 조성할 수 있는 기타의 지방도시정책과 병행해서 추진될 수 있다면 각 도시정책들이 상호 보완하고 상호작용을 통한 효과성의 상승 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이 평생학습도시 정책은 다른 지방도시 정책과 병행하여 추진할 때 더욱 효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지역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새로운 시대에 맞는 모습으로 발전시켜나갈 수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지방도시 발전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발전을 위하여 ①평생학습도시 정책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한 독자적인 개별법을 제정해야 하며, ②평생학습도시 정책을 추진해갈 수 있는 안정적인 예산의 확보를 위한 특별회계(가칭)를 설치해야 하고, ③평생교육진흥위원회의 위상을 격상시키거나 기업도시의 경우처럼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평생학습도시위원회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④상호 영향력을 극대화시키고 도시의 경쟁력을 최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기타의 도시발전 정책을 평생학습도시 정책과 병행하여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⑤평생학습도시 사업 실적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제를 도입하여 정책의 활성화를 도모할 것을 제안하였다. ⑥사업추진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중앙정부와 자치단체장이 함께 원활한 사업의 추진을 약속하는 「육성협약」을 체결할 것을 제안하며, ⑦평생학습도시 지정 신청 시 지자체 및 교육청과 더불어 민간도 파트너로 사업에 함께 참여하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가간의 장벽이 사라지고 지방 도시가 세계 속에서 무한경쟁에 참여하게 되는 21세기에 우리나라의 각 지방 도시가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면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경제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에 적합한 지방 도시 육성 정책을 함께 병행하여 추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UAV를 활용한 CSMA/CA 기반 실시간 중계 통신 기법

        이동준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기존 지상망과 위성망으로 이루어진 통신 체계는 지상망의 지형 제약으로 인한 LOS 보장 불가 문제와 늘어나는 통신 노드 대비 위성망의 주파수 자원 부족 문제로 인해 두 체계 사이에 공중망을 부체계로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중 네트워크는 크게 고고도에서 라우팅과 네트워크 자원 할당을 관리하는 상시 네트워크와 지상 노드의 통신 중계를 지원하는 중계 네트워크로 나뉜다. 공중 중계 네트워크는 기존 통신 네트워크와 달리 통신 범위가 증가하고, 2홉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에 관한 논문은 기존 CSMA/CA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실험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문이 대부분이며, 공중 중계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MAC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경쟁 기반 채널 접근 방식인 CSMA/CA (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기법을 활용하여 UAV (Unmanned Aerial Vehicle) 공중 중계통신을 구성할 때 야기되는 실시간성 보장 불가 문제에 대해 분석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CSMA/CA 기반 실시간성 보장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CSMA/CA 기법을 통한 공중 중계 통신은 중계 노드를 담당하는 UAV 또한 경쟁을 통하여 채널에 접근하기 때문에 2 홉 거리의 전송 환경인 공중 중계 통신에서의 실시간성 보장은 불가능하며, 계속적인 경쟁 실패로 인한 오버플로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대일 통신을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중계 과정에서의 패킷 전송 실패를 송신노드가 확인할 수 없는 신뢰성 보장 불가 문제 또한 발생한다. 제안하는 실시간 보장 기법 TM-CSMA/CA (Time Mirroring based CSMA/CA)은 중계 노드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기존 2번의 경쟁을 통한 중계 방식을 1번의 경쟁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신 과정에서의 실시간성을 부여한다. 또한 위성에서 사용되는 오버히어링 (Overhearing) 기법을 활용하여 자신이 보낸 데이터가 제대로 중계노드에게 전해졌는지 확인하며, Ack 프레임 교환 과정을 생략하여 불필요한 프레임 교환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실시간성을 강화한다. OPNET Modeler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성능 분석 결과,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CSMA/CA 기법에 비해 높은 처리량과 낮은 데이터 지연 시간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중계 과정에서의 경쟁 생략으로 중계노드의 지연과 오버플로우가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기법은 실시간성을 보장 할 수 있는 공중 중계통신 기법이라 할 수 있다.

      • 건설기업의 효율적 원가관리에 관한 연구

        이동준 용인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건설업은 타 산업에 비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경기 부양의 선도 산업으로써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우리나라의 건설업은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성장세를 유지하여 왔는데, 2007년 이후 해외공사의 비중이 커지며 해외 공사 수주액이 전체공사의 절반을 넘고 있다. 2012년 올해 해외 수주액은 7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나, 최근 종합건설업체의 영업이익률이 4년 연속 하락하며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이는 매출원가율 상승과 판매비와 관리비 증가 때문으로 건설업체들의 매출액대비 영업이익률은 2010년 5.0%에서 2011년에는 4.1%로 하락하였고, 매출순이익률도 0.8% 하락한 1.4%에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고 새로운 지역으로의 진출로 인한 Risk증가 및 급격한 세계 물가 변동 등으로 인하여 건설공사에서 투입원가 인하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는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사원가의 절감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인데, 건설회사의 손익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사원가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느냐에 따라 좌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원가관리, 공정관리, 외주관리, 자재관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원가 절감의 방안을 모색하고, 건설 기업의 산업적, 회계적 특성을 파악하여 원가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원가 개선책들과 선진 건설사와 국내 대기업에서 적용 중인 원가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Construction industry is important for national economy with its big spillover effect relative to other industries.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has grown rapidly since the 1970s and recently increased the share of projects abroad to be more than the half. The amount of order in 2012 is expected to be US$ 70 billions but the operating profit rate has declined last 4 years. It is due to the rise of cost-sales ratio as the expenses of sales and management increase. The operating profit ratio to sales of construction companies dropped from 5.0% in 2010 to 4.1% in 2011 and net profit ratio to sales fell by 0.8% point to be 1.4%. The intense competition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isk from entry to new regional markets, and world-wide inflation are now reducing the sales-profit ratio and demands for the reduction of input costs. The reduction of inputs costs is important for the company to contract the order and secure the profitability which depends on how efficiently a company manages the input costs.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management theories of cost, process, subcontract, and materials in construction business to explore the ways for cost reduction and investigates industrial and accounting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companies to find out how to improve cost management. It also suggests the traditional ways for cost reduction and current ways adopted by foreign and domestic major companies.

      • 다중관측각 고해상도 SAR 영상의 정밀 기하 정합

        이동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사용가능한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 영상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재해, 재난, 군사, 교통, 농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SAR 위성 영상을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영상 정합은 다양한 적용 분야의 적용을 위한 전 처리 과정으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단계이다. 특히 고해상도 SAR 위성 영상의 발달로 기존에는 관측할 수 없었던 작은 객체에 대한 감시, 탐지, 식별 등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SAR 영상의 능동형 촬영 시스템에 따른 스펙클 노이즈(Speckle noise)와 측면기하에 따른 기하학적 왜곡은 SAR 영상 간 정합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특히, 관심 지역에 기복변위가 존재할 경우 기존의 변환 모델을 활용한 알고리즘은 영상에 지역적으로 이격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군사, 보안 등에 주로 활용되는 SAR 위성 영상의 특성상 관심 지역에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때에 따라서 위성 자체의 궤도 오차에 의하여 정합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략정합 단계와 정밀정합 단계의 두 단계를 통한 고해상도 SAR 위성 영상의 효과적인 정합 방법을 제안하였다. 개략정합 단계에서 DEM과 궤도 데이터가 존재 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상정하고 기하보정과 SAR-SIFT 기반의 정합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정밀정합 단계에서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NCC (Normalized Cross Correlation), PC-NCC (Phase Congruency NCC), MI (Mutual Information)를 기반으로 하는 템플릿 매칭(Template Matching) 방법을 비교 알고리즘으로 사용했다. 정밀정합 단계에서 사용한 GeFolki (Geoscience extened Folki Iteration) 알고리즘은 변환 모델 없이 영상 전체 화소에서 변화량(offset)을 추정하는 비강성 모델(Non-Rigid) 기법의 일종으로 영상 내 기복변위에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다. 정량적인 정합 성능 평가를 위하여 RMSE (Root Mean Square Error)와 이미지 품질 평가 알고리즘의 일종인 FSIM (Feature Similarity) 지수를 활용하여 성능 평가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정합 성능 평가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통한 정성적 평가로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관측각 환경에서의 SAR 영상 간 정합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SAR 영상인 TerraSAR-X Staring mode 영상을 취득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대다수의 실험 데이터에서 GeFolki를 이용한 연구 결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RMSE는 2화소 이내의 오차 수준, FSIM 지수는 다른 기법에 대비해 0.01 ~ 0.04 우수한 수준의 결과를 보였다. 두 영상간의 거리 방향의 변화량를 보았을 때 연구지역의 DEM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지형효과를 충분히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결과는 추후 다양한 고해상도 SAR 위성 영상 활용 시 효과적인 정합 기술로써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鬱陵島 自生 山菜類의 硏究ㆍ栽培ㆍ利用 現況 및 開發方案

        이동준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datas needed to develop endemic wild vegetables of Ulleung island through investigating the status of research,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them. In this study, 15 species of wild vegetables,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Nakai, Aster glehni F.Schmidt,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Saussurea grandifolia Maxim., Petasites japonicus Maxim.,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Allium grayi Regel,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ralia elata (Miq.) Seem, Kalopanax pictus (Thunb.) Nakai, Campanula takesimana Nakai,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Hara, were investigated. From the survey of the above 15 species of wild vegetables, the status of research,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them was as follows: 442 theses dealing with the 15 species of wild vegetables were analyzed to review the status of research. The percentage of theses dealing with Aralia elata (Miq.) Seem,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nd Kalopanax pictus (Thunb.) Nakai, members of Araliaceae, were very high to the extent of 50.2%. But, that of theses dealing with endemic plants in Ulleung island comprising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Nakai,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Campanula takesimana Nakai and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and cultivated wild vegetables comprising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Nakai, Aster glehni F. Schmidt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Hara was low overall. The number of theses dealing with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one of the 4 species of cultivated wild vegetables, and Saussurea grandifolia Maxim., one of the 11 species of non-cultivated wild vegetables, was only 1 respectively. Among various research fields, the percentage of theses dealing with fields such as 'cultivation/flowering physiology' and 'chemistry/analysis' was high, while that of theses dealing with fields such as 'cultivat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 'precessing/food', 'classification/morphology', 'heridity/breeding', 'tissue culture', 'stroage/distribution', 'pathology' and 'environment/ecology' was low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percentage of theses on 'chemistry/analysis', that of theses on 'precessing/food' based on 'chemistry/analysis' was low relatively. It was estim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tend researches on wild vegetables such as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and Saussurea grandifolia Maxim., whose percentage of research theses is low at present, and fields such as 'environment/ecology', pathology' and 'tissue culture', researches on which are weak, through sublating the present state that researches were focused on a few species of wild vegetables such as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llium grayi Regel and Aralia elata (Miq.) Seem, and a few fields such as 'cultivation/flowering physiology' and 'chemistry/analysis'. The cultivation of wild vegetables in Ulleung island was confined to 4 species of wild vegetables comprising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Nakai, Aster glehni F.Schmidt,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Hara and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The profitability of cultivated wild vegetables in Ulleung island was high considerably in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Nakai, Aster glehni F.Schmidt,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except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Hara compared with that of wild vegetables cultivated at upland soil in highland areas in Gangwon-do.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showed high development possibility among the non-cultivated wild vegetables and its yields in Ulleung-gun were higher than those in any other gun districts except Cheorwon-gun. The cultural system of wild vegetables assumed field cultivation and introduction of cultivat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 was weak. The nutritional components in wild vegetables in Ulleung island were superior to those in general cultivated vegetables comprising perilla leaf, lettuce and spinach, and functional medicinal components were abundant in most of wild vegetables in Ulleung island. In addition, the edible parts and recipes of them were diverse. But, the use of them showed tendency to be focused on the cultivated wild vegetables comprising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Nakai, Aster glehni F.Schmidt,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Hara. The plans for developing endemic wild vegetables in Ulleung island are as follows: Firstly, the range of cultivated wild vegetables need to be extended through domesticating non-cultivated wild vegetables. The range extention of cultivated wild vegetables will meet the various demands of consumers and help to preserve the habitats of endemic wild vegetables such as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Secondly,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nd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for both wild vegetables and medicinal herb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widely as functional leaf vegetables. Thirdly, application range of wild vegetables should be expanded through developing various foods(or products) such as kimchi, tea etc using various wild vegetables. Fourthly, active R&D for novel natural medicinal components in wild vegetables will ensure to isolate and extract natural functional components with less side effects in wild vegetables besides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in which some of those components were successfully extracted previously. Fifthly, it is recommended that wild vegetables should be guaranteed their quality from the registeration in Geographical Indication(GI). Sixthly, cosidering the condition that the ratio of mountainous farming areas is so high, researches on developing wild vegetables adaptable to upland soil in mountainous areas including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Hara need to be conducted. Seventhly, introduction of gathering license and closing trails of natural habitat for wild vegetables, and education on the right gatheing methods are needed to protect the habitat from the discreet gathering. 본 연구는 울릉도 산채류 연구, 재배, 이용 현황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고 개발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울릉도의 자생식물은 122과 465속 975종(신과 김, 2002)으로서, 이 중 산채로 이용 가능한 식물은 45종으로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주요 산채로서 울릉미역취, 섬쑥부쟁이, 물엉겅퀴, 서덜취, 머위, 산마늘, 산달래, 독활, 두릅나무, 음나무, 섬초롱꽃, 고사리, 섬고사리, 전호, 눈개승마 등 15종을 선정하여 관련문헌 조사를 수행하여 442편의 학술자료를 확인하였다. 울릉미역취를 포함한 15종의 산채류 조사를 통해 나타난 연구, 재배,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15종의 울릉도 산채류를 다룬 총 442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현황을 살펴보았다. 산채별로는 두릅나무과 식물인 두릅나무, 독활, 음나무 3종을 다룬 논문의 비중이 전체의 50.2%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으나, 특산식물인 울릉미역취, 섬쑥부쟁이, 물엉겅퀴, 섬초롱꽃, 섬고사리와 재배산채인 울릉미역취, 섬쑥부쟁이, 눈개승마를 다룬 논문의 비중은 전반적으로 낮았다. 재배산채 중 하나인 섬고사리와 비재배산채인 서덜취에 대해 보고된 논문은 각각 1편에 불과하였다. 연구분야별로는 성분분석(영양/약리 성분) 및 재배․개화생리의 비중이 높은 반면, 시설재배, 가공/식품, 분류/형태, 유전육종, 저장/유통, 조직배양, 병리, 자생지환경/생태조사 분야의 비중은 낮게 나타났다. 산채 연구가 두릅나무, 독활, 음나무, 산마늘 등 일부 산채에 집중되고, 성분분석(영양/약리) 및 재배․개화생리 등 일부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현상을 지양하여, 섬고사리, 서덜취 등 연구비중이 낮은 산채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고, 자생지환경/생태조사, 병리, 저장/유통 등 연구가 미약한 분야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울릉도 산채류 재배는 울릉미역취, 섬쑥부쟁이, 눈개승마, 섬고사리 등 4종의 산채류에 한정되어 있었다. 재배산채의 수익성을 강원도 고령지 경사전 재배 산채류와 비교해 본 결과, 눈개승마를 제외한 울릉미역취, 섬쑥부쟁이, 섬고사리의 수익성이 상당히 높았다. 한편, 비재배산채의 경우 독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활 생산량은 행정면적 대비 전국 최대생산량이었다. 산채류 재배방식은 노지재배로, 시설재배 도입이 미비하였다. 울릉도 자생 산채류의 일반영양성분은 특히 칼슘, 인, 철, 칼륨 등 무기성분 함량이 깻잎, 상추, 시금치 등 일반채소류에 비해 높았으며, 대부분의 산채류에서 기능성 약리성분이 확인되었다. 한편, 울릉도 산채류는 그 이용부위 및 이용법이 다양하였다. 다만, 그 이용이 울릉미역취, 섬쑥부쟁이, 섬고사리, 눈개승마 등 4종의 재배산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울릉도 자생 유망 산채류의 개발을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재배산채를 재배화하여 재배산채의 범위를 넓히도록 하며, 재배산채 범위 확대를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며, 산마늘, 전호, 독활 등의 자생 산채류 서식지를 보존해야 한다. 둘째, 산채, 약초 겸용 작물인 전호, 독활, 물엉겅퀴 등을 기능성 쌈채소로 널리 활용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셋째, 산채류를 김치, 차(茶) 등 다양한 먹을거리(제품)로 개발하여 산채류의 활용범위를 넓혀야 한다. 넷째, 산채류를 소재로 천연약리성분을 개발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여 이미 천연항염제 추출에 성공한 바 있는 전호 이외의 산채류에서도 부작용이 적은 천연약리성분을 분리,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지리적표시’ 등록으로 산채류를 명품브랜드화 해야 하며, 기등록된 울릉미역취, 섬쑥부쟁이, 섬고사리, 눈개승마 이외의 산채에 대한 등록 노력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산간지 경사전 비중이 특히 높은 환경을 고려하여 눈개승마를 포함하여 산간지 경사전 재배에 적합한 산채 개발과 재배 확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곱째, 산채의 이용, 개발에 대한 연구와 함께, 남채에 의한 자생지 훼손을 막기 위해서 채취인 면허제 및 채취지역의 휴식년제 도입과 올바른 채취방법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