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존 스토트의 설교 원리와 다리 놓기 이론의 활용 방안

        이정훈 백석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설교의 역사는 다리 놓기의 역사와 함께 했다. 모든 설교자의 바람도 텍스트의 내용을 올바르게 전달하고, 적용함으로써 청중을 변화 시키려는 다리 놓기에 있을 것이다. 비록 시대마다 그 정도가 다르고, 설교자마다 강조점이 다를 수 있으나, 다리 놓기를 거부하는 설교자는 찾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다리 놓기가 유독 존 스토트를 통해 주목 받는 것은 텍스트와 콘텍스트에 대해 깊이 연구한 설교자이며, 그의 다리 놓기가 적법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대가 그 어느 때보다 다리 놓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존 스토트의 설교 원리로 대변되는 다리 놓기를 고찰하고, 이를 체계화함으로 실제 목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언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 강단의 다리 놓기를 위해 통합적 설교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존 스토트의 설교 세계는 그의 성장 배경과 신앙 형성에 미친 다양한 영향들과 깊이 관계하고 있다. 존 스토트 설교의 키워드는 “텍스트, 십자가의 복음, 청중이해”라 할 수 있다. 존 스토트의 성장과 신앙 배경이 주었던 설교적 영향중에 가장 주목할 것은 모든 설교는 강해설교라는 성경의 권위 인정과 설교에 대한 신학적 토대의 견실함일 것이다. 또한 그의 설교의 핵심은 인생의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그의 설교는 텍스트에 머물지 않고, 청중의 삶의 현장으로 들어가려는 다리 놓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 존 스토트의 설교는 다리 놓기를 위해 텍스트와 콘텍스트 각각에 견고한 교각을 강조하고 있다. 견고한 교각을 위해 각각에 대한 강조점이 있다. 텍스트의 강조점은 그리스도의 성경관을 기초한 성경의 권위, 텍스트와 콘텍스트를 오가며 이루어지는 석의(exegesis), 본문의 중심사상, 복음적 메시지이다. 콘텍스트의 강조점은 설교자의 세상 읽기를 통해 현대적 그리스도, 청중의 본질적 필요, 대안 공동체를 통한 사회적 책임이다.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기 위해 텍스트 쪽은 메시지의 수령을 위한 수동성, 초월적 진리를 찾기 위한 신실함, 1차 청중에게 적용했던 적실성을 요구한다. 콘텍스트 쪽은 시대적 대안을 제시하려는 적극성, 그리스도를 갈구하는 필요성, 적용을 결정하기 위한 민감성을 요구한다. 3. 다리 놓기를 위해 구조에 대한 통합적 설교모델과 요소에 대한 역학모델을 중심으로 활용 방안을 제언한다. 존 스토트는 오늘의 설교적 갈등에 대해 성경적이지만 현대적이 못하고, 반대로 현대적이지만 성경적이지 못한 양극화에 있다고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리 놓기를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도 문제 해결과 실천적 대안을 위해 설교 요소를 중심으로 양극화의 극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왜냐면 모든 설교 요소는 연결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텍스트는 청중은 쉽게 이해하며, 오랫동안 기억하도록 명료한 중심사상을 가지고 있다. 둘째, 설교자는 텍스트와 콘텍스트를 연결하기 위해 신실함과 민감함이 필요하다. 셋째, 청중은 통일성을 자각하고 은혜에 따른 윤리적 지향점을 듣고자 한다. 넷째, 성령은 연결의 영이며, 청중을 텍스트의 지점으로 이끄는 다리 놓기의 주체이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볼 때 한국 강단에서 다리 놓기를 실현하기 위해 설교 구조의 통합과 설교 요소의 역학적 불균형 해소가 풀어야 할 숙제라 판단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 구조에 대해 실제 삶의 문제를 텍스트를 통해 해결해 가는 실용적 설교와 미래의 비전을 대하고 세상의 대안 공동체로 걸어가게 하는 예시적 설교, 그리고 이 둘의 상호 교환을 통한 통합을 제언했다. 또한 설교 요소에 대해 텍스트, 설교자, 청중, 성령의 역학적 상호작용을 위해 관계성을 설명하고 이를 점검할 수 있도록 역학모델을 제시하였다.

      • 河川의 生態復元을 위한 地域別, 河川類型別 特性比較 : 江原道 地域의 16個 河川을 對象으로

        이정훈 檀國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data which can be utiliz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rivers to their natural conditions through subdividing the 16 second-grade local rivers in Gangwon-province into 2 regions and 5 rivers type by investigating physical and biochemical conditions of water, and fauna and flora at total 47 sites of the rivers. In addition, the data are to be used for th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preservation, limitation, mitig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ivers by understanding current conditions of them. Rivers in Gangwon-province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the river-close-to-mountain in Yeongseo area and the river-close-to-ground in Yeongdong area. Types of rivers were also divided into 3 categories, the close-to-mountain-type, the mixed-type(mountain and ground) and the close-to-ground-type, and further subdivided in detail into 5 categories, the natural-river-close-to-mountain(Odae river, Yongtan river and Beopheung river), the artificial-river-close-to-mountain (Jangnam river, Hwa river, Sinheung river, Chu river, Sagok river and Guwun river), the mixed-river (Imgok river and Geumsan river), the natural-river-close-to-ground (Seo river and Daemiweon river) or the artificial-river-close-to-ground (Sampo river, Geoma river, and Geumgwang river). The phys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bottom compositions, temperature and water velocity of the local rivers in Yeongseo and Yeongdong areas are as follows: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showed slower water velocity and higher temperature than the rivers in Yeongseo area, and belong to the river-close-to-ground with low water volume. Bottom compositions of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were mainly small gravels, sand and soil bank. Land uses around the rivers were farm lands and habitats. The upstream of the rivers in Yeongseo region had rapid velocity, and the type of the rivers are belong to the river-close- to-mountain. The compositions of river bed were bedrocks, large rocks and small rocks, and type of banks was natural bank or soil bank. The materials of river revetment were consisted of piling of natural rocks and net containing small rocks. The major land usage was forest. Bi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rivers in Yeongseo area that pass through mountain areas with less pollutants were at the first grade in BOD standard. On the contrary,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were at the second or the third grade. Vascular plants appeared around all the rivers studied in this research were 89 families, 242 genuses, 353 species, 49 varieties, and 3 formas. More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in Yeongseo than Yeongdong area because of mountains in that area. The ratio of HH(Hydatophytes) and Th(Therophytes) of the 16 riv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ny other rivers in Korea. Except for the upstream of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the number of plant species was decreased toward the downstream of the rivers. However, the sunny plant, naturalized plant, annual plant, perennial plant, and Th and H(Hemicrytophytes) types were increased toward the downstream. In case of Odae river, Yongtan river, Jangnam river, Daemiweon river, Hwa river, Beopheung river, Guwun river and Geumsan river in Yeongseo area, Microphanerophytes and Nanophanero- phytes were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The total 405 plant species discovered at the locations above were belong to 14 families and 42 species.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toward the downstreamwas higher than the upstream of the rivers. Diversity of fish discovered at the 42 sites, excluding 5 sites (3 sites of Imgok river, 1 site of Yongtan river and 1 site of Sagok river), was found to be 13 families, 48 species and 1,846 individuals. Eighteen, the highest number, of fish species were discovered at Yongtan river, 16 species at Chu river, 15 species at Seo river, 13 species at Odae river, and 12 species at Beopheung river. More fish species were found in Yeongseo than Yeongdong area in general, and the investigation from therivers showed that more fish species and individuals lived at the joining points of the middle-downstream than the upstream of the rivers. Fish species such as Zacco temmicki, Opsariichthys uncrostris amurensis, Rinogobius brunneus, Liobagrus andersoni, Rynchocryris oxycephalus,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Psuedogobio ecocinus, Coreoleuciscus splendidus and Rhynchocypris kumgangensis were appeared in the rivers in Yeongseo area since they have rapid water velocity and are consisted of bedrocks, large rocks, small rocks as well as sand. On the other hand, the fish species found in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that flow down to East sea were Rhynchocypris lagowskii, Cobitis melanoleuca, and Pungitus sinensis kaibarae. Zacco temmicki and Rynchocryris oxycephalus which live in cold water of the first grade quality were the dominant fish species of the rivers in Yeongseo area, and dominant fish species in the rivers in Yeongdong region were Rhynchocypris lagowskii and Pungitus sinensis kaibarae, indicating that the river environment affects the distribution of fish species. The fish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richness index of fish ranges from 0.77 to 3.63. The richness index of the rivers in Yeongseo area were following orders; Yongtan river(3.63), Chu river(2.94), Odae river(2.78), Beupheung river(2.67), Guwun river(2.54), Seo river(2.19) and Geumsan river(2.18), of which the richness index of was generally higher than 2. The richness index was below 2 in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except for Chu river, and Sinheung river showed the lowest value of 0.77. Higher index was shown at the middle- downstream than the upstream of the rivers. Similar to the richness index, the diversity index of fish was high in Yeongseo area ranging from 0.81 to 2.42, for example, Yongtan river(2.42), Beupheung river(2.30), Geumsan river(2.16), Chu river(1.99) and Guwun river(1.93). The diversity index of other rivers was around 1, and Sagok river had the lowest index of 0.81. The evenness index of fish ranges from 0.45 to 0.97. Sinheung river in Yeongdong area had 0.97, the highest index, indicating the even distribution of fish species, and Sagok river in Yeongseo area showed the lowest index 0.45 probably due to the small number of existing species despite of the large number of individuals. Comparing biological indexes of fish, all sites of the rivers in Yeongseo area showed higher value than those in Yeongdong area except Chu river. It can be judged from these data that the rivers in Yeongseo area, rather than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are examples that lead a direction for the restoration of natural river system since the fish species that appeared in clean water quality such as Zacco temmicki, Hemibarbus longirostris, Coreoleuciscus splendidus, Hemibarbus mylodon, Liobagrus andersoni,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Iksookimia rotundicaudata, Coreoperca herzi and Pungtungia herzi. are generally found there. In case of Benthos, presence of total 5 phylums, 8 classes, 17 items, 47 families, 125 species and 3,241 individuals was confirmed. Approximately 112 species and 3,054 individuals belong to Arthropod phylum were most commonly found, and small number of Flatyheminthes phylum (1 species and 6individuals) and phylum Nematomorpha (1 species and 7 individuals) were also discovered. The water quality was good at the middle-upper stream of the rivers in Yeongseo area since many individuals belong to Family Grossosomatidae( Grossoma Kua), Family Baetidae( Epeorus pellu- cidus etc) and Family Gammaridae ( Gammarus sp) were discovered, and some of the upstram and the middle stream of the rivers were appeared to be near the natural river state. Family Chironomidae , Trichoptera and Ephemeridae were dominant or sub-dominant species of Benthos at the most of the rivers studies in this research, indicating that water quality of those rivers was fine. The richness index of benthos was widely ranged from 1.24 to 9.14. The river showing the highest richness index was Beopheung river(9.14), and the value of the other rivers was in following orders: Guwun river(6.34), Daemiweon river(6.15), Jangnam river(5.96), Sampo river(5.59), Geumsan river(5.04) and Chu river(5.09). Thereby, the richness index of species in Yeongseo rivers located in mountain area was generally over 5. On the other hand, the richness indexes of the rivers in Yeongdong area were 2~3 except for Chu river, and Geumgwang river had the lowest value of 1.24. The richness index of the middle-downstream at the sites of the rivers analyzed was higher than the upstream. The diversity index of benthos was ranged from 0.95 to 3.49, and Beopheung river (3.49), Geumsan river (3.05), Daemiweon river (2.98) and Guwun river (2.97) showed the index value higher than 2. Gegwang river had the lowest value of 0.95 among the rivers that have the value of lower than 1. The evenness index was between 0.56 to 0.88, and index of both Sinheung and Geumgwang river was 0.88, indicating the most even distribution of fish species. Index of Odae river was 0.56 reflecting the biased distribution of species compared to the large number of individual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biological indexes of benthos, the rivers in Yeongseo area have higher indexes at all sites studied than those of Yeongdong area, and therefore, the land water system in Yeongseo area can be considered as an example to guide a direction for restoring natural river system. The 16 river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into natural- river-close-to-mountain, artificial-river-close-to-mountain, mixed-river, natural-river-close-to-ground or artificial-river- close-to-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com- pare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rivers-close-to-mountain and natural-rivers-close-to-ground are that they are composed consist of bedrocks, natural soil banks, and piling of natural rocks, large stones, gravel and sand, but there are no artificial structures. Land use is mountain, farm land, road or habitats. Mixed-river, artificial-river-close-to-mountain and -ground types were consisted of natural banks, natural revetment and concrete walls. Land use is farm land, roads, habitats or moun- tains. I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natural-river close-to-mountain and -ground types have the first grade of water quality, thereby, shows the natural feature of a clean natural river. On the contrary, artificial-river-close-to-ground and mixed-river types have the water quality of the second or the third grade except for the uppermost-streams, indicating the presence of pollutant sources. In case of flora, the mixed-rivers have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66~148), and natural-river-close-to-mountain(56~127) is higher than the natural-river-close-to-ground(51~78). The artificial-river-close-to-mountain(21~96) has more flora than the natural-river-close-to-ground(57~78) and the artificial- river-close-to-ground(40~89). However, the naturalized ratio interpreted as a barometer of urbanization is in order of natural -river-close-to-mountain > natural-river-close-to-ground > mixed -river > artificial-river-close-to-ground > artificial -river-close-to -mountain. In natural-rivers-close-to-mountain, representative plant spe- cies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representing species: Quercus mongolica) , Salix gracilistyla, Acer ginnala, Zanthoxylum schini- folium and Phragmites japonica that usually form colonies in the well-forested mountains. Representative plant species in artificial-rivers-close-to-mountain were Pinus densiflora, Robinia pseudoacacia, Morus, Ailanthus altissima, Salix gracilistyla, Phragmites japonica, Rorippa islantica, Vicia amoena Fischer, Persicaria blumei, Rumex crispus, Bidens frondosa,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thunbergii, Artemisia feddei and Digitaria sanguinalis. In case of mixed-rivers, Pinus densiflora, Quercus, Robinia pseudoacacia, and Castanea crenata var. dulcis that normally appeared in mountains and ground-rivers were found. Water plants such as Salix gracilistyla, Phragmites japonica, Rorippa islantica, Humulus japonicus, and Persicaria thunbergi that to be water plants in rivers, and Bidensfrondosa, Oenothera odorat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Rumex crispus, Erigeron annuus, Setaria viridis and Artemisia capillaris, that usually reside in the slope of river, bank road and farmland were also found. Representative plants in the natural-rivers-close-to-ground ere Quercus, Pinus densiflora, Robinia pseudoacacia, Salix koreensis, Salix gracilistyla, Phragmites japonica, Rorippa islantica, Persicaria thunbergii, Clematis apiifolia, Sisyrinchium ngustifolium,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blumei and Artemisia feddei since the rivers are formed along the hills of low altitude unlike those of the natural-rivers-close-to-mountain. Examplary plants in the artificial-rivers-close-to-ground were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Robinia pseudoacacia,Paulownia coreana, Phragmites japonica, Rorippa islantica, Phragmites communis, Echinochloa crus-galli, Artemisia feddei, Persicaria thunbergiid,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blumei, Oenothera odorata, Clematis apiifolia, Erigeron annuus, Rumex crispus, Stellaria aquatic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and Amorpha fruticosa. Sunny and naturalized plants were more frequently found than shade plants, and Phragmites communis and Typha orientalis were discovered often at the sites of small water flux.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of fish and Benthos in the natural-river-close-to-mountain were Rhynchocypris oxyce- phalus, Zaccom temmincki, Coreoleuciscus splendidus and hironomus sp.,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Zaccom temmincki, Zacco platypus, Iksookomia koreensis, Rhinogobius brunneeus, Chironomus sp, Hydropsyche Kua and Eporus latifolium. in the artificial-river-close-to-mountain. In the mixed-rivers, the domonant and sub-dominant of fish and benthos were Rhynchocypris oxycephalus, Zaccom temmincki, Zacco platypus and Chironomus sp., whereas Rhynchocypris oxycephalus, Zacco platypus, Chironomus sp. , Paraleptophlebia chocorata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natural-river-close- to-ground except for the upstream of the rivers. In the artificial-river-close-to-ground, Zacco pltatypus, Rhynchocypris axycephalus, Pungitus sinensis kaibarae, Chironomus sp. and Limnodrilus socialis that have endurance to pollution were dominant. Results of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richness and diversity of fish and Benthos in the natural-river-close-to-mountain were the highest, and those of artificial-river-close-to-ground were the lowest among all rivers. The richness and diversity index of the artificial-rivers- close-to-mountain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artificial- river-close-to-ground. In case of the mixed-river, richness and diversity of Benthos were middle of values of those of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river-close-to-mountain. Dominance and evenness indexes of the natural-river-close-to-mountain were the highest among all rivers. Richness and diversity indexes of the river-close-to-mountai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iver-close-to-ground, and dominance and evenness indexes of the river-close-to-mountain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river-close-to-ground. Directions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River restoration should maximally provide the connectivity of the river functions; and, in context of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expand long and wide eco-corridors with continuous vegeta- tion. In case of fragmentation of eco-corridors between aquatic and land ecologies by surrounding land uses such as roads, houses, amusement parks or farms, ecological axis should b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spaces so that diverse functions of aquatic ecosystem can be restored. In addition, isolation of aquatic ecology by artificial disturbance should be minimized . Bank and revetment be restored in natural state with consideration for surrounding connections, and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concrete walls, in particular, need to be excluded from the restoration plan if possible because they cause the disconnection of ecology. For restoring river bed, the river bed materials which endure water flow velocity and provide habitats for fishes that found in natural rivers should be used. It is desirable to keep river beds in their original conditions, and clean-up of the beds are not recommended since it results in disturbance of ecosystem. Aquatic vegetation is a basic element for controlling river corridor functions, and flora composed of several species, rather than some specific species, should be used in the restoration of vegetation. The objective of restoring rivers is to recover the natural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lant colonies in the river corridors to their natural state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the river-close- to-ground and -mountain investigated in this study should be utilized in restoration pla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Quercus(representing species; Quercus mongolica, Salix gracilistyla), Acer ginnala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aquatic plant like Phragmites japonica should be used in case of the rivers-close-to-mountain in Gangwon-province. For the rivers-close-to-ground, Pinus densi flora, Pinus thunbergii and Phragmites japonica are desirable as restoring plants. Phragmites communis and Typha orientalis can be used in slow water velocity region. Natural resident species should be used for resto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clude Typha orientalis and Phragmites japonica that can remove pollutants in water of the rivers. 본 연구는 강원도의 지방2급 하천 16개하천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하천별로 2~3지점씩 총 47개 지점을 대상으로 물리적, 이화학적 수환경 및 수생태계를 조사 분석하여 지역별, 하천유형별로 구분하고 비교·분석함으로서 이수 및 치수 목적상 또는 하천의 생태복원시 원래의 자연상태의 하천모습에 가깝게 복원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 하천의 현재 상태를 파악함으로서 보존(preservation), 제한(limitation), 완화(mitigation), 복원(restoration)을 결정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강원도 하천은 지역적으로 영서지방의 산지계류형 하천과 영동지방의 평지형 하천으로 특성이 구분되었다. 또한, 하천별 유형은 크게 산지형, 혼합형, 평지형 등 3개로 분류하여, 이를 세분화하여 산지자연형(오대천, 용탄천, 법흥천), 산지인공형(장남천, 화천, 신흥천, 추천, 사곡천, 구운천), 혼합형(임곡천, 금산천), 평지자연형(서천, 대미원천), 평지인공형(삼포천, 거마천, 금광천) 등 총 5개 유형으로 세분화 하였다. 지역적인 하천특성으로 영서지방 및 영동지방의 하천에 대한 물리적,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물리적환경특성을 대변하는 하상구조, 수온, 유속, 유량등은 영동지역 하천의 경우는 영서지방의 하천에 비하여 유속이 느리고 수온은 높으며 유량이 적은 평지형 하천이였으며 하상은 대부분이 잔자갈, 모래, 뻘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변토지이용은 농경지나 주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서지방의 하천의 경우는 상류부에서는 유속이 빠른 산간계류형태의 하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상재료는 거석, 큰돌, 작은돌로 이루어져 있다. 제방형식은 대분이 자연제방 및 토사제방으로 구축되어 있다. 호안공의 소재는 자연석쌓기와 돌망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토지이용은 대부분 임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은 산간지대를 통과하거나 오염원이 적은 영서지역의 하천 조사지점에서의 BOD기준 수질등급은 대부분이 Ⅰ등급의 수질상태를 보였던 반면에 영동지방의 하천은 Ⅱ~Ⅲ등급수준의 수질상태를 보였다. 연구대상하천에서 파악된 소산관속식물은 총 89과 242속 353종 49변종 3품종 405종류로 영동지방의 하천보다는 영서지방의 하천이 산간계류를 포함하여 산림내 분포 수종의 출현이 높아 종조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대상하천의 생활형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16개 연구대상하천 모두에서 HH(수생식물)와 Th(일년생식물)의 비율이 남한지역과 비교시 훨씬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영동지방에 위치한 삼포천, 거마천, 금광천, 임곡천, 신흥천, 추천 등 6개 하천은 상류지점의 산간지역을 제외하고는 하류로 내려올수록 낮은 평지형하천으로 산림내 출현종수(목본성)가 감소하고 양지 및 귀화식물, 일년생 및 다년생식물, 반지중식물인 Th 및 H유형의 생활형을 갖는 식물이 증가추세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서지방에 위치한 오대천, 용탄천, 장남천, 대미원천, 화천, 법흥천, 구운천, 금산천 등 8개 하천의 경우는 목본성인 교목 및 관목 등의 식물들의 출현비율이 영동지방의 하천보다는 다소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출현한 식물종 총 405종류에 대한 귀화식물은 총 14과 42종류로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영동하천 및 영서하천에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동하천의 경우 귀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경우는 임곡천 3개 지점, 용탄천과 사곡천 각각 1개 지점 등 총 5개 지점을 제외한 42개 지점에서 총 13과 48종 1,846개체의 어류가 출현하였고 출현어류상은 용탄천 18종류로 가장 많은 어종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추천 16종, 서천 15종, 오대천 13종, 법흥천 12종 등으로 대체로 영서지방의 하천에서 다양한 어종이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6개 연구대상하천의 상⋅중⋅하류를 선정하여 어류를 조사한 결과 상류보다는 중⋅하류 합수점에서 어종 및 개체수가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원 영서지역 내륙산간 하천의 어종은 하천의 물리특성상 유속이 빠르고 암반, 큰돌, 작은돌, 모래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갈겨니, 끄리, 밀어, 퉁가리, 버들치, 배가사리, 모래무지, 쉬리, 금강모치 등이 출현한 반면,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영동지방하천의 경우는 버들개, 북방종개, 잔가시고기 등이 출현하였다. 영서지역하천의 경우는 1급수 냉수성인 갈겨니, 버들치 등이 우세하게 출현하였으며, 영동지방의 경우는 버들개, 잔가시고기 등이 출현하여 서식환경이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류의 풍부도지수는, 0.77〜3.63범위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게 나타난 하천 순으로는 용탄천(3.63), 추천(2.94), 오대천(2.78), 법흥천(2.67), 구운천(2.54), 서천(2.19), 금산천(2.18) 등의 순으로 대체적으로 영서지방의 하천에서 2를 상회하는 수치로 나타났고, 영동지방하천의 경우는 추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2를 하회하는 양상으로 신흥천이 0.77로 가장 낮은 지수값을 보였고 각 하천 조사지점별로는 상류지점 보다는 중⋅하류지점에서 높은 지수의 값을 보였다. 어류의 다양도지수는 풍부도지수와 비슷한 양상인 0.81〜2.42범위로 나타났으며, 용탄천(2.42), 법흥천(2.30), 금산천(2.16), 추천(1.99), 구운천(1.93) 등 영서지방의 하천에서 높은 지수의 값을 보였고, 이외의 하천에서는 1내외의 지수값을 보였으며, 사곡천이 0.8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어류의 균등도지수는 0.45〜0.97범위로 나타났고, 영동지방의 신흥천이 0.97로 가장 고른 종의 출현비율을 보였으며, 사곡천이 0.45로 가장 편중된 개체수를 보인 것으로 보아 출현종수에 비해 개체수가 많은 관계로 균등도지수 값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추정된 어류의 생물지수를 비교해볼 때 영동지방의 추천을 제외하고는 영서지방의 하천에서 대체로 전지점에서 높은 지수의 값들이 나타나, 영동지방의 하천보다는 냉수성 및 1, 2급수에서 주로 서식하는 갈겨니, 참마자, 쉬리, 어름치, 퉁가리, 배가사리, 새코미꾸리, 꺽지, 돌고기 등이 출현한 영서지방의 하천수역이 대체로 청정한 수역의 어류가 서식하는 하천으로 우리나라의 자연하천복원의 방향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하천으로 판단된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8강 17목 47과 125종 3,241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절지동물문이 112종류 3,054개체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고, 편형동물문과 유선형동물문이 각각 1종류 6개체, 1종류 7개체로 소수 나타났다. 영서지방하천의 중상류에는 날도래류(광택날도래 등)나 하루살이류(흰부채하루살이 등), 옆새우류 등이 비교적 많이 출현하여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일부 상⋅중류부의 경우 자연형에 가까운 하천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은 연구대상하천의 대부분이 깔따구류와 날도래류, 하루살이류 등이 우점종 및 아우점종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대체로 하천수질은 양호한 편으로 조사되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풍부도지수는 1.24〜9.14범위로 폭넓게 나타났다. 가장 높게 나타난 하천 순으로는 법흥천(9.14), 구운천(6.34), 대미원천(6.15), 장남천(5.96), 삼포천(5.59), 금산천(5.04), 추천(5.09) 등의 순으로 일부 영동지방의 하천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강원내륙산간의 영서하천에서 5를 상회하는 수치로 나타났다. 영동지방하천의 경우는 추천, 삼포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2, 3의 수준으로 금광천이 1.24로 가장 낮은 지수값을 보였고 각 하천 조사지점별로는 상류지점 보다는 중⋅하류지점에서 높은 지수의 값을 보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다양도지수는 0.95〜3.49범위로 나타났으며, 법흥천(3.49), 금산천(3.05), 대미원천(2.98), 구운천(2.97) 등이 2 이상의 높은 지수의 값을 보였고, 1 이하의 지수값을 보인 하천은 영동지역의 금광천이 0.9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균등도지수는 0.56〜0.88범위로 나타났고 신흥천과 금광천이 각각 0.88로 가장 고른 종의 출현비율을 보였으며, 오대천이 0.56으로 가장 편중된 개체수를 보인 것으로 보아 출현종수에 비해 개체수가 많은 관계로 균등도지수 값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생물지수를 토대로 비교해볼 때 영동지방의 영서지방의 하천에서 대체로 전지점에서 높은 지수의 값들이 나타나, 영동지방의 하천보다는 산간계류형 및 1~2급수에서 주로 서식하는 날도래류, 하루살이류, 깔따구류 등이 다수개체 출현한 영서산간내륙의 하천수역이 대체로 청정한 수역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수서곤충 포함)이 주로 서식하는 하천으로 우리나라의 자연하천복원의 방향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하천으로 판단된다. 하천을 산지형(산지자연형, 산지인공형), 혼합형, 평지형(평지자연형, 평지인공형)으로 분류하여 유형별 특성을 비교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5개 유형의 하천에 대한 물리, 이화학적, 생물상 등에 대한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산지형은 영서산간내륙지방의 하천이 대부분이고, 평지형은 영동지방의 하천에서 보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의 경우 산지 및 평지 자연형의 경우는 산지암반, 자연토사 제방, 자연석쌓기 등으로 구축되어 있고 인공구조물이 거의 없으며 암반, 큰돌(호박돌), 자갈, 모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 토지이용은 산지나 일부 농경지나 도로, 주거지로 구성되어 있다. 혼합형, 산지인공형 및 평지인공형의 경우 자연제방, 자연호안과 콘크리이트,옹벽등과 임야, 농경지, 도로, 주거지등으로 혼재되어 있다. 이화학적인 특성으로는 산지자연형 및 평지자연형 하천의 경우 1급수의 하천수질을 보여 청정자연하천으로의 지표가 되는 자연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 반면, 평지인공 하천 및 혼합형 하천의 경우는 각종 인공제방과 산지형에서 보여지는 하상구성원 외에 뻘, 진흙 등이 나타났고 최상류 지점을 예외로 대부분이 하천수질 Ⅱ~Ⅲ급수로 주변 오염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상의 경우는 혼합형에서 가장 높은 종출현(66~148)을 보였고, 평지자연형(51~78)보다는 산지자연형(56~127)에서 종의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평지자연형(57~78) 및 평지인공형(40~89)에 비해 산지인공형(21~96)의 경우에 높은 출현율을 보였고 반면에 하천환경의 인공성과 인위적 간섭에 따른 도시화의 척도로 보는 귀화율은 산지자연형, 평지자연형, 혼합형, 평지인공, 산지인공형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출현식물은 산지자연형에서 산세가 우수하고 자연이차림에서 군락을 형성하는 소나무와 참나무류(대표종 : 신갈나무), 갯버들, 신나무, 산초나무, 달뿌리풀 등이 표징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산지인공형을 대표하는 식물로는 일부하천정비 및 호안공의 영향에 따른 교란의 원인으로 산지에서의 소나무와 더불어 아까시나무, 뽕나무, 가중나무 등 인공식재수를 포함하며, 이외 갯버들, 달뿌리풀, 속속이풀, 갈퀴나물, 개여뀌, 소리쟁이, 미국가막사리, 환삼덩굴, 고마리, 뺑쑥, 바랭이 등이 표징종으로 출현하였다. 혼합형의 경우는 산지와 평지하천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소나무와 참나무류, 아까시나무, 밤나무 등의 산지 목본이 출현하였고 하천수생식물로는 갯버들, 달뿌리풀, 속속이풀, 환삼덩굴, 고마리를 포함함과 동시에 하천사면 및 제방도로, 경작지 등지에서 흔히 출현하는 양지 및 귀화식물인 미국가막사리, 달맞이꽃, 돼지풀, 소리쟁이, 개망초, 강아지풀, 사철쑥 등이 주로 출현하였다. 평지자연형을 대표하는 식물로는 산지자연형과는 다소 구분되는 낮은 저평지형 구릉산지를 따라 형성된 하천인 까닭에 참나무류, 소나무, 아까시나무, 버드나무 등 교목과 갯버들, 달뿌리풀, 속속이풀, 고마리, 사위질빵, 족제비싸리, 환삼덩굴, 개여뀌, 뺑쑥 등이 출현하였으며, 평지인공형의 출현 식물로는 낮은 저평지 및 경작지 및 전원주거지 등을 통과하는 하천인 까닭으로 소나무, 곰솔, 아까시나무, 오동나무 등 식재수와 달뿌리풀, 속속이풀, 갈대, 돌피, 뺑쑥, 고마리, 환삼덩굴, 개여뀌, 달맞이꽃, 사위질빵, 개망초, 소리쟁이, 쇠별꽃, 쑥, 명아주, 족제비싸리 등으로 음지성 보다는 양지성 및 귀화식물류가 대체로 출현율이 높았으며, 하천의 흐름이 적은 곳에서는 갈대, 부들 등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어류 및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 및 개체수의 경우는 다양한 서식처를 지니고 있는 산지형과 평지형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어류 및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출현종을 보면 청정1급수의 지표종으로 구분되는 종들이 산지자연형에서는 버들치, 갈겨니, 쉬리, 깔다구 등이 우점하고 산지인공형에서는 버들치, 갈겨니, 피라미, 참종개, 밀어, 깔다구, 줄날도래, 부채하루살이등이 우점하였다. 혼합형의 경우는 버들치, 갈겨니, 피라미, 깔다구등이 우점하였고 평지형에서는 자연형의 경우 버들치, 피라미, 깔다구, 두갈래하루살이가 우점 하였으며 평지 인공형의 경우 일부 자연성을 갖는 상류지점을 제외하고는 오염에 대한 내성이 강한 피라미, 버들치, 잔가시고기, 깔다구, 실지렁이가 우점하였다. 생물군집분석 결과 산지자연형하천에서 어류 및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풍부도 및 다양도가 다른 유형의 하천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지인공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평지인공형과 산지인공형의 비교시 풍부도 및 다양도의 비교는 산지인공형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혼재형의 수생동물의 경우 풍부도, 다양도는 산지자연형과 산지인공형의 중간정도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점도 및 균등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지형과 산지형에서의 풍부도 및 다양도는 산지형에서 높고, 우점도 및 균등도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하천의 생태적복원을 위한 복원방향은 다음과 같다. 하천복원은 하천 기능의 연결성을 최대로 확보하여야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식생이 연속적으로 피복된 길고 폭이 넓은 생태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천생태계와 육상산림생태계의 연결공간이 도로, 주택지, 유원지, 농지등 주변의 토지이용에 의해 단절되어 있는 경우 이들 공간에 대한 생태축을 형성하여 하천생태계의 다양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인위적교란에 의한 하천생태계의 고립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제방 및 호안은 주변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자연형호안 및 제방으로 복원하도록 하며 특히 콘크리이트 옹벽등과 같은 인공시설물은 생태계의 단절을 야기시키므로 가급적 배제시키도록 복원방향을 계획 하여야 한다. 하상의 복원은 하천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속에 견딜 수 있는 하상재료를 사용하도록 하고, 특히 자연형 하천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물고기들이 서식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도록 한다. 하상은 가급적 원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고, 특히 하상정비는 생태계 교란을 야기시키므로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천에서 식생은 하천회랑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본요소로서 복원 식생의 도입은 특정식물종의 복원보다는 여러종으로 구성된 식물군집이 형성 될 수 있도록 한다. 하천복원의 목표는 하천회랑에서 식물군집의 구조와 분포에 대한 자연 유형을 복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사된 산지 및 평지 자연형하천의 식생특성을 대조식물로 하여 복원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본 연구결과 강원도 하천의 경우 산지 하천의 경우는 참나무류(대표종 ; 신갈나무), 갯버들, 신나무, 산초나무 및 수변식물로서 유속에 견딜수 있는 달뿌리풀 등 포복성 식생을 도입 하도록 한다. 평지형하천의 경우는 소나무, 곰솔, 달뿌리풀이나 , 유속이 작은 곳에서는 갈대, 부들등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본래의 서식종들의 매토종자를 도입하도록 하고 하천의 수질의 정화능을 가지고 있는 정수성식생을 도입하는것이 필요하다.

      • VEILING :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유혹(seduction)' 개념을 중심으로

        이정훈 京畿大學校 建築專門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현대화 과정 이전의 서구사회가 확립해 온 체계는 견고하며, 지속적이고 고착적 이었다. 그러나 합리주의와 자본주의의 산업화로 특징지을 수 있는 '현대화의 과정'은 낡은 공동체적 질서와 가치를 날려 없애 버리는 가차 없는 자기 파괴의 과정일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마저도 끊임없이 혁신시키는 창조적 자기 파괴과정이다. Marx & Engels의『 공산당 선언(Communist manifesto)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와 같은 현대성의 자기파괴는 현대성의 구조마저도 안정적으로 지속할 수 없는 조건을 창출하는 모순을 드러냈지만,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가 현대성의 존재방식임에는 이견이 없는 듯 하다. 그렇다면, 오늘날 '건축' 또한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말인가? 어쨌거나 우리는 변화를 거부하는 모든 것들이 끊임없이 바뀌어 가는 오늘날의 상황 속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시대의 뒤안길로 사라져야 할 운명에 놓이는 것-물질적인 측면에서는 더더욱-을 종종 목도해 왔다. 그렇다면 건축의 새로운 존재방식으로서의 '변화'를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 낼 것인가? 나의 작업은, 이러한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써,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베일링(Veiling)의 작업을 통한 '유혹(Seduction)' 개념에서 실마리를 얻고자한다. '변화'는 보통 하나의 결핍에서 비롯된다. '체계를 무너뜨리고, 결정성을 탈피하며 다른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 그리하여 본래의 궤도를 이탈하게 하는 것', 이러한 것들이 변화의 한 형식일 것이다. 위에 언급한 이것이 바로 보드리야르가 말하는 '유혹'개념이다. 그런데 그에 따르면 해석(interpretation)은 숨은 의미를 찾는 가운데 (변화)공간-놀이와 내기의 공간, 유혹적인 정열의 공간-을 이용하지 않고 파괴해 버린다. 이로써 해석은 유혹에 대립되는 것이고, 해석적인 모든 이야기는 가장 유혹적이지 못한 것이 되어버리고 만다. 요컨대, 해석을 비껴가면서, 본래의 궤도를 이탈하는 것이 유혹적 인 것이고, 이 '유혹'이 곧 변화 가능성을 준다는 말이다. 그런데 "실재는 매혹이 부재하는 장소이며, 유혹은 실재를 둘러싸고 있는 베일(Veil)의 작용에 의해 발생 한다"는 그의 언급을 통해 종합해 볼 수 있듯이, 이러한 변화의 첫 단계로써, 우리는 '베일(Veil)의 작용'을 지목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 한 구조물의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특히, 그 구조물의 특별한 의미를 파악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던, 블론델(J. F. Blondel)에 의해 막이 올랐던 Architecture Parlante(Speaking Architecture), 즉 설화적 건축은 아마도 건축의 해석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의지의 표명일 것이다. 따라서 '변화'의 가능성을 억제하는, 이러한 해석(interpretation)을 지양하고 변화의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건축의 베일링(Veiling)을 제안한다. 이것은 이야기의 가상으로 작용하며, 이야기의 표면상의 기호, 이야기의 굴절, 이야기의 뉘앙스가 지니는 불확실하거나 상궤를 벗어난, 의례적이고 면밀한 순환이다. 이러한 모든 것이 의미의 농도를 엷게 만든다. 그리고 유혹적인 것이 된다. The systems established in the western societies before modernization was started were adamant, continuous and fixed. However, 'modernization process' characterized by industrialization of rationalism and capitalism is the creative and self-destructive process continuously innovating even itself as well as the relentless self-destruction process eradicating old communistic orders and values. As we recognized in Communist Manifesto of Marx & Engels, while this self-destruction of modernity revealed contradiction as creating the conditions that the structure of modernity could not be stably sustained, it seemed to agree with the fact that these continuous "changes" were ways of existence for modernity. Then, is today's 'architecture' able to exist only through continuous changes? Anyway, we can not actively cope with current situations that all things denying changes have to be changed and frequently observed that many things faced their fate to be disappeared behind the scene-more in material aspects. If so, how can we make these "changes" as the new ways of existence for architecture? My research tried to find a clue from the concept of 'seduction' suggested in veiling activity of Jean Baudrillard, as one of alternatives for the possibility of "changes". "Changes" usually arise from a lack of something. 'Destroying systems, escaping from determination, and so deviating from original tracks' will be one of types of changes. Those behaviors mentioned above are the concept of "seduction" presented by Baudrillard. However, as searching for hidden meanings, interpretation destroys spaces(changes)-space for playing and betting, space for seductive passion-without using them. Thus, interpretation is confronted with seduction and all narrative stories become something that are not the most seductive. That is to say, stepping aside interpretation and deviating from original tracks are seductive and this 'seduction' creat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However, as we think collectively from his saying that "the reality is the place without seduction and the seduction is generated by veiling surrounding the reality", the first step for these changes can be said as "veiling". In the late 19th century, Architecture Parlante(Speaking Architecture) emerged by J.F. Blondel who thought that we needed to understand especially specific meanings of a structure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a structure, that is, narrative architecture will be the most direct expression of intention about interpretation on architecture. Thus, I suggested veiling of architecture, as the way to evade from this interpretation prohibiting possibility of "changes" and maximize the diversity of changes. Veiling works virtual stories and is the formal and sophisticated circulation deviating from obscurity and ordinary tracks contained in the nuance of a story, superficial symbols of a story and refraction of a story. All these things tarnish the intensify of meanings. And they become seductive.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경화시간에 따른 화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정훈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SPF)는 우수한 단열성능 뿐만 아니라,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며 단열성능 요구조건에 따른 두께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SPF의 장점으로 일반 건축물뿐만 아니라, 지하 및 냉동물류창고 내벽에 적용되는 단열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창틀 주변의 균열 또는 틈새에 발포된 SPF는 기밀유지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 패널에서와 유사하게 SPF는 낮은 화재 저항성으로 인하여 화재의 발생빈도가 높으며, 빠른 화재확산속도로 인하여 대형화재를 야기할 수 있다. 추가로 검은 연기를 다량 발생시켜 재실자의 가시거리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CO) 및 시안화수소(HCN)와 같은 유독가스를 다량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 발생된 냉동물류창고의 화재사례를 고려할 때, 공사현장에서 SPF를 활용한 단열작업 공정에서 발생된 화재는 막대한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SPF의 열분해 및 연소특성에 관한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발포 이후 경화시간에 따른 화재특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와 경화제를 활용한 포터블 장치를 활용하여, 건축 공사현장에서와 동일한 원리의 경질 SPF가 제작되었다. 열중량분석을 통해 SPF의 열분해 물성이 측정되었으며, SPF의 다양한 발포 두께에 대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VOCs가 측정되었다. 또한 ISO 5660-1에 근거한 콘 칼로리미터를 활용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점화시간, 질량감소율, 열방출률, 연소열, CO 및 Soot yields 그리고 표면 점화온도가 측정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SPF의 발포 과정에서 경화제와 주제의 질량비는 현장 상황 및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질량비 변화에 따른 열분해 물성이 우선적으로 검토되었다. 경화제와 주제의 질량비가 0.9~1.2로 변화되더라도 최대 열분해 반응이 발생되는 기준온도(Reference temperature) 및 기준 반응속도(Reference rate)에는 큰 변화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Kissinger 및 Flynn-Wall-Ozawa methods에 의해 산출된 활성화 에너지는 정량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화재 확산과정에서 열분해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활성화 에너지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SPF의 발포 이후에 경화시간에 따른 VOCs의 발생량은 초기 3 min에서 최대값이 확인되며, 이후 급격하게 감소되다가 35 min 이후에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SPF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VOCs의 발생량은 증가되지만, 정량적으로 큰 차이를 갖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SPF 발포 단계에서 점화원의 관리 및 환기를 위한 작업 주의 시간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 칼로리미터를 활용한 경화시간에 따른 SPF의 화재특성으로서, 복사 열유속에 노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점화시간은 약 60 min 이내에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이후에 점화시간의 큰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질량감소율, 최대 열방출률 및 총 방출열량에서도 유사한 확인되었다. 유효 연소열의 경우에는 VOCs가 최대로 발생되는 3 min에서 최대값을 갖으며, 이후에는 경화시간에 상관없이 유사한 값을 갖는다. CO 및 Soot yields 역시 경화시간 3 min 시점에서 최대값을 보이며, 이후에는 큰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다. 위 결과로부터 VOCs의 발생량 변화는 연소열, CO 및 Soot yields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복사 열유속의 환경에서 표면 점화시간의 측정을 통해 임계 열유속이 산출되었으며, 경화시간에 따라 표면 점화온도에 상당한 변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경화시간 10분과 24시간의 조건에서, 표면 점화온도는 각각 약 263℃와 318℃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발포 이후 초기 경화단계에서 SPF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점화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SPF의 열분해 특성, 그리고 경화시간에 따른 VOCs의 발생량 및 화재특성 변화에 대한 이해는 냉동물류창고의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점화 및 화재확산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측정된 결과들은 SPF의 화재확산을 포함한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화재시뮬레이션의 입력인자로 활용될 예정이다.

      • The Study of Cervical Muscle Strength Assessment and Intervention Deep Cervical Flexor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이정훈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In people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the cervical vertebrae are flex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neck extensor is activated, strength of the deep cervical flexors is weakened, and the craniocervical angle (CVA) is reduced. FHP anomalies are assessed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and craniocervical flexion test (CCFT). Is used to increase muscle activity in deep cervical flexors (DCF). The DCF option has been activated, and muscle strength is measured and increased. A study that examined ways to improve FHP by using exercise or equipment that uses effective equipment, and the fact is that it is lacking. is there. In this study, 1)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thod for measuring muscle strength of the neck using a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sensor, 2) does the CCFT method using PBU actually increase DCF strength? 3)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CF strengthening intervention method using a load-cell-type muscle force measuring sensor of DCF force, neck pain, and neck bone alignment in people with FHP. In the first study, we included 16 healthy adults (5 men and 11 women), with a portable force measuring system and load-cell-type with four neck movements (craniocervical flexion, craniocervical extension, cervicothoracic flexion, and cervicothoracic extension). Cervical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in the supine position and the prone position by using the muscle force measurement sensor of the above,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of the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and the portable muscular force measurement system inside the probe were excellen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0.78–0.99). The reliability between the load-cell-type muscular strength sensor and the stylus of the portable muscular strength measurement system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ICC: 0.68–0.99). The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sensor of the portabl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system showed excellent validity (ICC: 0.83–0.98). In the second study, we included 24 participants (6 men and 18 women) and used a PBU to measure CCFT intermediate muscle strength to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The measurement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e DCF strength. The average DCF strength measured using the CCFT Medium Strength Sensor using the PBU is the following: maximum muscle strength: 3.21±2.80kg, 20 mmHg: 0.87±0.70kg, 22 mmHg: 1.03±0.89kg, 24 mmHg: 1.30±1.14kg, 26 mmHg: 1.45±1.30kg, 28 mmHg: 1.68±1.52kg, 30 mmHg: 1.91±1.73kg. The ratio of muscle strength at each pressure of maximum muscle strength is 20 mmHg: 27.76±2.26%, 22 mmHg: 32.82±1.63%, 24 mmHg: 42.05±2.15%, 26 mmHg: 47.01±2.25%, 28 mmHg: 55.11±2.57%, 30 mmHg: 62.89±3.17%. In the third study, 30 FHP participants (11 men, 19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used a PBU-based CCFT exercise method and a load-cell-type muscle force sensor. Then, the practice method of maintaining CCF muscle strength and performing CCFT in real time is divided into two groups, arbitrated and CVA, DCF strength, and neck pain of FHP participants. CCFT using a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significantly increased CVA and DCF strength and significantly reduced neck pain compared with CCFT using PBU.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was a highly reliable and useful device for measuring muscular force, which can be used to measure muscular force in real time. The method of confirming and performing CCFT can be used in an intervention method that strengthens cervical muscle strength and further presents a method to improve the posture of participants with FHP and selectively strengthen DCF. The intervention method of performing load-cell using can be used as a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DCF strength by substituting the practice method of using PBU.

      • 가다머의 해석학적 지평연구 : 『진리와 방법』을 중심으로

        이정훈 장로회신학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지금 우리 시대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견의 여지없지 어떤 대상에 대한 탐구를 자연과학적인 방법으로 하는 것을 정답으로 생각한다. 심지어 정신과학의 기초를 세우고자 했던 딜타이도 자연과학적 연구방법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가다머는 평가한다. 그래서 가다머는 해석학의 역사를 되짚어 가면서 대상에 적합한 연구방법이 무엇인지를 반복해서 강조하고 묻는다. 그리고 가다머는 해석학의 대상으로서 역사에 대한 탐구가 자연에 대한 탐구와 같은 연구방법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이의를 제기한다. 가다머는 역사를 하이데거가 주장했던 불확실한 현실 속에 던져진 인간이 경험하는 세계이해의 과정으로 파악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이해는 결국 자기이해로 귀결되며, 현존재로서 인간이 가능성을 향해서 자신을 내어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마치 바퀴가 굴러가듯이 전진하고 발전하는 순환의 과정으로 파악한다. 해석학의 기초는 이해가 가지는 이러한 순환적 구조에 있다. 학문은 진리를 추구하는 영역이다. 그렇다면 진리는 어디에 있는가? 하이데거의 주장대로 진리는 존재와 함께 한다. 존재하는 것은 살고, 살게 한다. 역사는 바로 이 살고 살게 하는 존재들에 의해서 연결되고 역동성을 얻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해석을 필요로 하는 낯선 역사의 사건과 상황을 구성한다. 가다머는 하나의 이야기를 마무리할 때마다 다시 역사와 그 기초가 되는 삶으로 돌아간다. 그러면서 그는 역사 속에 존재하는 진리성을 발견하는 학문이 해석학임을 주장한다. 개인의 삶이 역사적 맥락이라는 내적인 통일성으로 연결되도록, 살아보지 않은 시간과 세상을 보고 들을 수 있도록 우리에게는 전승되는 전통들이 있다. 그리고 전통이 제 역할을 하도록 일정부분 돕는 것이 권위이다. 그러나 인간이 이성의 힘을 알게 되고, 자신의 가능성을 더 많이 인식하게 되자 전통과 권위는 함께 페기 되고, 삶의 당연한 자기표현으로써 정당한 선입견들마저도 폐기대상으로 몰려서 버림을 받았다. 가다머는 이 모든 것을 복권할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인간존재가 유한함을 인정하고 눈을 뜨고, 귀를 열고, 마음을 열어서 해석 대상을 보고 들으면서 해석자 자신의 가능성을 확장해가기를 바란다. 그래서 해석자는 겸손할 수밖에 없고 겸손해야한다. 왜냐하면 가다머의 주장대로 역사인식이 역사보다 클 수 없는 것처럼 해석자는 해석대상을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의 원리, 진리성의 문제를 가다머는 놀이 개념을 통해서 설명한다. 하위징아의 주장에 따라 놀이가 인간의 본질이라고 한다면, 그것이 인간존재가 자유와 해방을 누리는 가장 원초적인 방식이기 때문일 것이다. 가다머는 놀이를 예술작품과 연결하면서 역사가 자기중심적인 통일성을 이루는 것처럼 놀이는 절대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자신을 표현한다고 본다. 자기표현은 또한 자연이 존재하는 보편적인 방식이다. 놀이가 자기 자신을 주장하는 방식은 놀이의 규칙이나 질서를 통해서인데, 놀이하는 사람은 그 놀이에 적합한 규칙과 질서를 따라서, 그리고 자신의 선택과 진지성의 정도에 따라서 놀이에 몰입하게 된다. 몰입은 놀이함의 정점일 뿐만 아니라, 놀이함이 다시 놀이가 되는 자기이해의 순환구조를 보여준다. 이것이 놀이가 존재하는 방식이고,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이며, 역사가 존재하는 방식이다. 중요한 것은 놀이하는 사람이 주체가 아니라, 놀이이며, 놀이함이 총체적 변화를 통해서 놀이됨이 된다. 그래서 텍스트에 접근하는 해석자에게 요구되는 것이 역사의식이다. 내가 경험하지 못했던 시대의 전통과 권위에 대한 인정함이 있어야 하며, 올바른 이해를 위한 정당한 선입견을 습득해야 한다. 타자를 받아들이고 자아를 내보이는 것은 자연이 생존하는 이해의 방식이고, 역사의 존재방식인 것처럼 해석자는 자신을 넘어선 것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므로 해석자는 자신이 역사보다, 진리보다, 해석의 대상인 텍스트보다 작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필자는 가다머의 해석학적 지평을 통해서 역사적 존재이며, 진리를 담고 있는 신약성서가 주장하는 바가 성취되고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자들이 자신을 넘어선 역사와 진리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자기중심적 통일성, 지평, 상호이해, 역사성, 영향사적 의식, 해석학적 경험

      •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중흥3구역 혼합형 주택재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훈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Although Urban Renewal Projects are based on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Renewal Law” and has contributed to improvement i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ecurement of lacking renewal-based facility, the landscape is spoiled after large-scale development as redevelopment of large-scale apartment housing form caused features of detached houses to disappear, and the plan to reflect features of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has also been limited. Gwangju integrated rehabilitation (re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rehabilitation) methods into a mixed development method in 2020 Gwangju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basic plan to resolve confusion of project enforcement methods, introduced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to recommend partial development for rehabilitation type development of small-household unit depending on local conditions, selecting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12 districts), Housing Redevelopment (14 districts) and Urban Environment Renewal Project (4 districts) out of a total of 123 districts, and establishing those districts as Renewal Expected District that can mix local improvement and redevelopment to promote. In this way, this research deducts analyzing article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existing redevelopment metho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deducting problem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and targeted location of Punghyang, Buk-gu Mix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example with Mix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targeted location of 3rdDistrict, Jungheung, Buk-gu, Gwangju as the key, and suggesting a method to utilize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 procedures and practicality through surveys with expert city planners, public officials, city renewal project professionals and others; advanced researches; and reference. First,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 guidelines and utilizing manuals with details added to relevant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to utilize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and it is analyzed that definitions and contents of these terms should be added to relevant legislation and local government ordinances and become legalized and institutionalized. Second, project procedures and methods of local improvement method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making in order to promote additional plans and projects of retaining and preservation areas in Rehabilitation Redevelopment Method including redevelopment of existing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and preservation areas. Third, in the aspect of procedures and practicality,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are introduced to maintain features of detached houses and prevent spoil on landscape followed by large-scale development, so ties through extensive-level plans that consider surrounding districts and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and materials related to formulation of plans, which can implement plans and projects by separating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with their blocks according to the relevant province’s features, should be established, and public financial support, urban landscape agreement and residents agreement are needed which can improve, maintain and support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Fourth, in the case of Mix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as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are included to devise a renewal plan, an example of excluding fine districts or no longer proceeding the project was investigated because agreement rate of more than 75% of proprietor of land or building could not be reached, so Mix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s analyzed to need a separate rule when calculating agreement rate of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and revision on relevant legislation that eases up agreement rate in authorization of establishing an association. Fifth,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was analyzed to need a change in method from existing urban renewal projects’ participation method for residents such as exhibiting before residents, briefing session for residents and a written notice, to establishing a plan through city plan facilitation at the stage of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basic plan; and a change to various participation methods for residents such as workshops and meetings for residents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renewal plans and renewal districts. Notions and features of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introduced from Gwangju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basic plan, are considered to suggest utilizing methods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 procedures and practicality, so that local improvement project such as preservation and retention, and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of redevelopment project can be utilized. With such research and analysis study, it is anticipated for detailed guidelines and utilizing manuals to be established, which can be used well in various city renewal projects with local improvement, redevelopment and mixed development forms. Key terms: Mixed Development,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basic plan, Housing Redevelopment, Retention, Residents' participation 도시정비사업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근거하여 주거지정비에서는 주거환경개선사업, 주택재개발, 주택재건축 사업으로 낙후된 주거환경개선과 부족한 정비기반시설확보에 기여하여 왔으나, 한편으로는 고밀 공동주택 형태의 전면개발로 인해 단독 주택지의 특성이 사라져 고밀개발에 따른 경관침해가 발생하였고, 보전지역과 존치지역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는 계획에도 한계가 있어 왔다. 광주광역시에서는 2020 광주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 수복(전면), 전면(수복) 방식을 혼합 개발방식으로 통합하여 사업시행방식의 혼선을 해소하고, 소가구단위의 수복형개발 등을 지역여건에 따라 부분별 개발을 권장하고자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을 도입하여, 총 123개 구역 중 주거환경개선사업(12개구역), 주택재개발(14개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4개구역)을 선정하여 현지개량과 전면개발을 혼합하여 추진할 수 있는 정비예정구역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을 기존의 재개발방식인 주택재개발사업과 주거환경개선사업과의 비교ㆍ분석을 통해 분석항목을 도출하여,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3구역 혼합주택재개발사업대상지 사례를 중심으로 북구 풍향 혼합주택재개발사업 사례 대상지와 비교ㆍ분석 등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시계획전문가, 공무원, 도시정비사업종사자 등의 설문조사와 선행연구, 참고문헌 등을 통해 정책적인 측면과 절차적ㆍ실행적 측면에서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책적 측면에서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을 활용하기 위한 세부적인 내용을 관련 지침에 추가한 가이드라인과 활용매뉴얼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용어의 정의와 내용을 관련 법령과 지자체 조례에 추가하여 법ㆍ제도화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존의 주택재개발사업의 전면개발과 보전지역을 포함한 수복재개발방식에서 추가적으로 존치지역과 보전지역의 계획과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현지개량방식의 사업 절차와 방식 등이 정책적 측면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절차적․실행적 측면에서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은 단독 주택지의 특성을 유지하고 고밀개발에 따른 경관침해현상을 방지하고자 도입되었으므로, 주변 구역과 존치, 보전지역을 고려한 광역적인 차원의 계획을 통한 연계와 해당 지역의 특성에 따라 존치지역과 보전지역을 블록별로 분리해 계획과 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계획수립관련 사항이 마련되어야 하며, 존치지역과 보전지역 등을 개량, 관리, 지원 등을 할 수 있는 공공의 금융지원, 경관협정, 주민협정 등이 필요하다. 넷째, 혼합형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우 존치지역과 보전지역을 포함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게 됨에 따라 토지등소유자의 75%이상의 동의율을 충족하지 못하여 양호한 구역을 제척하거나 사업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는 사례가 조사되어 혼합주택재개발사업은 존치지역과 보전지역의 동의율 산정시 별도로 하는 규정과 조합설립인가 동의율을 완화하는 관련 법령의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은 기존 도시정비사업의 주민참여방식인 주민공람, 주민설명회, 서면통보 등에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수립 단계에서는 도시계획 퍼실리테이션을 통한 계획수립,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지정시에는 주민워크샵, 주민간담회 등의 다양한 주민참여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광주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 도입된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여, 존치, 보전 등의 현지개량사업과 전면개발사업의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이 활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 측면과 절차적ㆍ실행적 측면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사ㆍ분석 연구로 현지개량, 전면개발, 혼합개발 유형 등이 다양한 도시정비사업 유형과 잘 활용될 수 있는 세부적 가이드라인과 활용매뉴얼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 地域革新體制에서의 技術移轉 및 事業化 活性化 方案

        이정훈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의 주제는 공공연구성과의 확산을 위해 대학 및 연구소 내에 TLO(Technology License Office)를 설치하였고, 기술중개기관으로 지역테크노파크 내 지역기술이전센터를 설치·운영 중에 있으나 각 기관이 각각 다른 주관부처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고, 지원기관간 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요자인 중소기업은 큰 도움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분석하여 산·학·연 협력을 통한 수요지향적 기술개발지원 및 사업화를 위한 사후관리 방안을 도출하고,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기관간 역할 분담을 통한 협업시스템의 구축으로 각 지원기관의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현재 우리나라 정부 연구개발에 있어서 기술사업화 관련 투자는 전체 R&D 예산 대비 30.4%를 차지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관련 총 투자 중 사업화를 전제로 한 연구개발투자의 비중이 92.1%이며, 기술의 확산 및 활용 등에 관련된 기반조성 비중이 7.9%에 불과하다. 이는 아직까지도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 집행에 있어서 기술사업화 관련 투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기술사업화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사업화를 전제로 한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기술의 확산과 활용 부분의 서비스업 활성화가 중요한 요소임을 감안할 때 현재의 기술사업화 관련 예산은 다소 비균형적 형태를 보이고 있다.또한 그나마 현재 추진중인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사업도 단순히 기술개발에서 사업화라는 순차적이고, 수동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각 사업마다 다른 주체에 의해 서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산업 수요를 충족하는 기술은 부족하고, 중소기업의 다양하고 광범위한 기술 수요를 공공연구기관에서 충족시키지 못하며, 기술수요자인 중소기업과 기술공급자인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시점의 차이로 인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야기하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국가차원의 종합적인 사업계획 없이 단위사업으로 개별 부처에서 유사사업이 중복 시행되고 있는 지원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후 사업화를 위한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여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기관간 역할 분담과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성공적인 기술사업화 추진을 위한 사후관리 체계 구축방안을 강구해 보기로 한다. 이 논문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정부의 기술개발 위주의 연구개발 지원 등 불균형적인 예산 투입으로 인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산업 수요를 충족하는 기술이 부족하여 사업화 성공률이 10~30%에 머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 과정에서 정부 각 부처는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사업을 추진하였으나 부처간 경쟁에 따른 양적 확장 위주의 정책으로 기술사업화 분야의 전문 지원 기능이 취약한 상황임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와 그간 진행되어 온 지원사업의 내용 및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한편 외국의 경우 기술개발과 기술이전 지원프로그램이 하나로 연계되어 있고, 지역혁신산업이 지역기술개발과 지역기술이전사업을 포함하여 일관되게 추진되고 있다. 게다가 지역 내 산·학·연 협력을 통해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에 대하여 초기부터 연구자와 기업가와의 만남을 통해 활용성 높은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사업화에 대한 불확실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사후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와 같이 우리나라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 성과에 대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바 그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기술이전 및 사업화 유망 기술의 적극적 탐색과 기술이전 잠재력이 우수한 기술의 완성도 제고 지원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둘째, 유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공공기술이전조직과 민간기술이전조직의 역할 분담 및 협업 체제를 구체화하며, 셋째,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전문 컨설팅 지원과 R&D사업 결과물의 추적조사에 의한 사업화 현황 모니터링, 유망 기업에 대한 비즈니스 컨설팅 기능 강화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결론적으로 지역 내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단계부터 사업화 가능성에 대한 시장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연구기획·수행·개발·사업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적이면서 능동적인 구조로 지원사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spread the outcome of public research, Technology License Office(TLO) have been installed in colleges and research institutions, and Regional Technology Transfer Centers(RTTC) are operational in regional Techno-park as technology-brokering institutions. But, each institution is run by separate management offices, resulting in the inability to give an all-around servic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supporting institutions is not smooth. Thus, the main users,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unable to receive much help. The topic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present methods to reinvigorate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through demand-oriented suppo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rivation of post-commercialization maintenance methods through academic-industrial-research cooperation, and building a cooperation system by allotting the various roles and technology transfer to the various supporting institutions to aid in the efficient support of each supporting institution.Currentl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akes up 30.4% of the total R&D budget in the Korean gover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Among the enti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vest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with the premise of business application took up 92.1%, and only 7.9% for the spread and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technology. This implies that the gover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budget execution greatly lack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elated investments. In order for previously mentione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o show its effectiveness, not only is investment with the premise of business application important, but the reinvigoration of the spread and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is just as important. With that in mind, the current budget regard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hows an unbalanced state.In additio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upport, which are currently in progress, are taking passive step-wise approaches from technology development to commercialization, and each project is not coordinated with others as they are all under separate management. Due to these problems, the industry lacks technology that suffices its demands,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are unable to satiate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ith their need for various technological needs, and due to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echnological demands and the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providing the necessary technology, imbalance is inevitable.In this research, we pinpointed the areas in which individual institutions have separately began similar support projects due to the lack of a central national project plan, and analyzed whether post-commercialization process after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was adequately performed, and sought to build an effective post-commercializ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cooperative effort betwee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ject support institutions. The principal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Due to the government's technology development-oriented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unbalanced budget input has led to 10 to 30% success rate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demanded technologies. In this process, various sectors of the government have promoted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jects, but due to competition between the sectors, projects grew quantitativel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lacked professional support. All these were verified through surve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analysis of the progress and end reports of support projects that have taken place, or are currently in progress.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echnology development and technology transfer support programs are all linked in one system, and regional revolutionary industries go hand-in-hand with regional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transfer project. Also, through academic-industry-research cooperation, researchers and entrepreneurs gather together to discuss technologies with higher commercial possibility from the beginning to promote a much more efficien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and to reduce the uncertainties, post-commercialization management is systematically controlled.As the demand for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are increasing in Korea, we present the following as methods of invigoration: first, active search of hopeful technology for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nd heightening the completeness of technology with high potential for technology transfer to establish a demand-oriented circulation system; second, actualizing public and private technology transfer institutions performing similar projects and allotting tasks to materialize a cooperative system; and third, professional consulting support to promo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nd status monitoring of R&D projects, enforcement of business consulting for high-potential businesses, and establishment of a continuous post-commercialization management system.In conclusion, in order to invigora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rough regional academic-industrial-research cooperation, through research of market demand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an active and demand-oriented cyclic system of project planning, execu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

      • 평생교육원 실태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 경기도ㆍ인천지역 3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이정훈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ㆍ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At this research, I found an awareness and values about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trainees of the institute named as continuing Education Center and considered that the institute conducting continuing education is how to cope with a future. Also I tried to find where we are going based on the situ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Korea, development aspects and a survey of satisfac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documentary records and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curriculums of continuing education in each annex university. All of them are set limits to adult learners taken in the continuing education of the first semester in 2008 from curriculums of continuing education in each annex university. After selecting learners who took regular courses of continuing education in each annex university in KyungGi Province, I conducted a suvey of three of them. A questionnaire was given out 150copies to each university around K univ. of Suwon, H univ. of Ansan and I univ. of Inchon. I want to draw up a plan to revitalize continuing education in each annex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questions and The sruvey showed that. First, it is exposed that 're-registration·recommendation accepted or rejected‘ have gotten from a score which is relatively low. This is a big issue that when we look at the result of the study which is 28% of suggestions have registered through 'recommendation or encouragement'. To make a life-long education center rotation continuously,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center will need to prepare for the counterplan. They need to focus on students who register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that emphasizing why this education is important and how can they change the image that can attract students.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center shall give good images to existing members about life-long education center to make them re-register. That will make a system that existing members spread good news about the center and draws more people to center. The 'existing member-centered' will be a catalysis for more activating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university. Second, when we look at the background factors of adult student, in the analysis of age group, twenties' entir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This means that the process is not quite right to twenties or the courses is limited for twenties. Therefore,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university must develop a program that can make people to join together with whole generation, not limited to specific generation. Especially,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center exist where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re, this is a great opportunity to gather them as trainees. Though, the center doesn't recognize undergraduate students or graduate students as trainees yet. If they accept them as potential trainees and open a appropriate course for them, it will activate more effectively. Third, we need to address the 'educational operation satisfaction' that was exposed a low level satisfaction. Educational operation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variety of course’, ‘tuition fees’, 'educational place'. Also, in survey about 'what are the most appropriate ways to activate effectively for life-long education center', most of respondents answered such as 'establishing various courses' and 'lowering the tuition fees'. Therefore, in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center, they need to establish variety lectures and composed programs to meet students' demand and tuition fees for trainees who are participating. Expending 'educational place'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to remove trainees' disappointments. Consequently, if a 'trainee-centered' lectures and managements, and 'considering' educations are realized,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center probably activates effectively and also promote our nation'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원 또는 사회교육원이라 일컫는 기관의 수강생들을 통해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을 알아보고 평생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이 미래에 어떻게 대처해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 평생교육원의 실태와 그 발전 양상, 그리고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한 미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방법은 문헌자료 연구와 현재 각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과정에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주 대상은 2008학년도 1학기 평생교육원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로 그 범위를 경기도 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으로 제한하였다. 표본 대상 범위는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 정규 등록한 학습자를 모집단으로 선정 후, 그 중 3개 대학을 표본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의 K대학, 안산시의 H대학, 인천시의 I대학을 중심으로 각 대학별로 150부씩 배포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활성화방안을 얻고자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등록·추천 여부’가 성인학습자 배경 변인을 통틀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음이 드러났다. 이것은 평생교육원 등록 경위에 ‘소개나 권유’를 통해 등록했다는 의견이 28%라는 큰 비중을 차지했음을 볼 때 연구에 큰 시사점을 남긴다. 평생교육원의 이용이 단지 일회성 교육이 한하지 않고 지속적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평생교육원에 등록하는 학습자들에게 평생교육과 그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평생교육원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기존에 등록한 수강생에게 평생교육원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어 등록했던 사람들이 또 다시 등록하게 하고, 또한 그들이 더 많은 사람들을 평생교육의 장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하는 ‘등록한 수강생 중심’의 배려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배경변인별로 살펴보면 연령별 분석에서 ‘20대’의 전체적인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대의 입맛에 맞는 과정이 부족함을 뜻한다. 그러므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평생교육이 특정 세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대학교의 학부생들이나 대학원생들과 가까이에 있으므로 그들을 수강생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대학교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을 수강생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이 그들을 잠재적 수강생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을 위한 맞춤형 강좌를 개설한다면 평생교육원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낮은 수준의 만족도를 드러냈던 ‘교육 운영 만족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육 운영 만족도는 ‘강좌의 다양성’, ‘수업료’, ‘교육장소’의 3가지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평생교육원 활성화를 위해 어떤 방안이 필요할 것인가’에 대한 자유 서술식 유형의 질문에서도 ‘다양한 강좌 개설 필요’, ‘저렴한 수업료’라고 기재한 답변이 가장 많았었다. 그러므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는 평생교육을 실현하는 학습자들을 위해 좀 더 다채롭고 풍부한 강의를 개발하고 개설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들의 수요에 맞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수업료를 조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장소’도 학습인원에 맞게 확장하여 평생교육을 실현하는 학습자들의 불만요인을 제거해주는 일이 시급하리라 본다. 결론적으로 ‘수강생 중심’의 강의와 운영이 이뤄지고 그들을 ‘배려’하는 평생교육이 이뤄진다면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활성화는 물론 우리나라 국민의 평생교육이 촉진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