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의 혼돈적 질서에 대한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은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9

        도시를 바라보는 본인의 관점은 도시의 다양한 구조 안에서 보여 지는 방향성과 여러 시점의 차이를 통해 나타나는 거리와 깊이 속도감을 통한 현상들을 연구하고 그 복잡한 구조 안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질서에 대한 개념을 생각하는 과정에서부터 시작된다. 삶을 살아가면서 생겨나는 모든 선택의 과정에서 인간은 한계와 적절성 표준과 기준을 발견한다. 이것은 개인으로서는 사소한 생각, 신념, 믿음, 행위, 개인의 세계관을 말하며 더 넓은 범위로는 도시에서 빠른 속도로 다가오는 정보와 이미지, 도시의 유동적 요소들의 완전해 지려는 발전과 진화됨이 창조의 질서에 따라 움직여 가고 있음을 내포 하고 있다. 매일 생활하고 지나쳐 가고 있는 도시의 이미지를 통해 파편적이며 분산적 요소, 과거와 현재의 기억들의 해체 또 보여 지는 것과 보이지 않는 영적인 부분들을 생각하게 되었고 그 부분들이 창조시점 즉‘태초에’혼돈과 공허한 무질서 상태 또한 카오스적 현상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창조자의 선한 계획아래 완성이 되어지기 전 초기 드로잉 단계, 질서를 위한 무질서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인이 현재로부터 외부를 바라보는 시각은 긍정함에 있으며 혼돈함 가운데 진정한 진리와 ‘존재 의미 있는 삶’ 이란 무엇인가 생각하게 되었다. 본인의 작업에서 많이 보여 지는 왜곡된 형태가 있는데 이 부분 역시 완전한 모양이 주어지기 전 질서를 염두 한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한 시각적 조형요소라 할 수 있겠다. 본인이 매일 접하고 있는 일상에서 공간을 인식하는 시점과 구도의 변화를 다른 시점에서 조망하여 보고 일상에 대한 관점을 재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고들을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 배경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첫째, 도시는 인간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로 생각하며 도시 공간을 통해 작품의 표출매체로 삼고 분석하고 의미를 찾으려고 했으며 둘째, 도시의 가시적인 측면에서 혼돈해 보이나 질서와 무질서의 이중성이 내재함으로 궁극적으로는 생명력과 가치가 있음을 부여하고 서술한다. 셋째, 현대 사회에서 인간관계의 소통을 통해 나타나는 가치관의 기준과 경계의 모호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과 도모해야 할 가치관에 대해 의미를 두고 설명하고자 한다. My personal perspective for the city begins from studying phenomenon through distance, depth, and speed that shows through the differences of many views, the direction within the diverse structure of cities, and the process of considering the concepts for another order that exists within such a complex structure. In the process of all possibilities of selections that arise while living, people find the limit and proper standard and criteria. It designates personal view of the world for trivial thoughts, belief, faith, and activities in terms of individuals, and in a wider term, it means that the development and evolvement of information that reaches people at a faster speed in the city, and image and flexible elements of the city are trying to become complete according to the order of creation. I came to think of dissolution of fragmented and dispersed elements, and memories of the past and present, and invisible spiritual parts through the images of the city we live and pass by everyday. Then I also thought that these parts is similar to the chaos, in other words, the status of disorder with confusion and emptiness in 'the beginning', which is the creating point of these parts. Moreover, I thought it was similar to the disorder to establish an order at the pre-stage of drawing before the plan was completed under the creator's good-will planning. Considering these thoughts, I came to wonder what the real truth and 'meaningful life' is within the confusion, while agreeing with the perspective I look at today from outside. There are many distorted forms that I find while working, and even these parts can be thought as elements of visual models to express movements with order in consideration, before they are given perfect forms. I tried to reinterpret the perspective for daily lives by observing the change of structure and the point of recognizing space in our daily lives I experience every day, from another perspective. I tried to retranslate the view for the daily lives by observing the changes of perspectives and structures, recognizing space in the daily lives I make contact everyday from another view. Based on such thoughts, the background of my works can be categorized largely into 3. First, I considered the city as the medium to express my works thinking that the city is the mirror that reflects inner nature of human by analyzing it and finding its meaning. Second, I described by giving life and value, ultimately, as the city includes dual standards of order and chaos together, although it looks chaotic at sight. Third, I tried to describe putting significance on the value system to pursue and the phenomenon that happens due to vague boundaries and standards of value system that show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on today's society.

      • Paul Verlaine의 동일 시를 소재로 한 G. U. Faure와 C. A. Debussy의 가곡 비교 연구 : Mandoline과 Green을 중심으로

        이은영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is a research that deals with both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two art songs of Gabriel Urbain Faure (1844~1896) and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which have same poem of Paul Verlaine (1844~1896). French art song has been developed as a type of Melody. Faure, who had composed more than 100 art songs, is a composer who promoted art song that merges poem and music organically. Debussy is a composer who delivered post romantic music to modern one in whole field of western music including the art songs of france. He wrote about 80 art songs, and he has achieved mystific accordance between poem and music, which is able to be compared with famous german composer H. Wolf's. Both of them had composed many songs based on the poems of symbolism poets in contemporary age, specially Paul Verlaine. In this paper, feature and composing technique of both Faure and Debussy was researched through Mandoline and Green that are ones of Paul Verlaine's beautiful poems that inspire many famous composers. First, the background of each poems was investigated, and then analysis of songs was made progress. According to result of this paper, the common idea is that the close reaction of melodic rhythm to the syllable of poetic diction. In the point of difference, Faure has shown extended harmony, late solution of harmony, a chromatic scale progress and etc. but not broken frame of traditional conservation though he has used the accompaniment that expresses whole atmosphere of songs and lyrical melody. On the other side, Debussy has expressed the poem actively using the accompaniment of various pattern and harmony in recitative style. Also, he has tried to concentrate on expressing color of sound according to the word through new trials like an open string arpeggio, sustained note, parallel chords instead of extended triads based on functional harmony 본 논문은 폴 베를렌느 (Paul Verlaine 1844~1896)의 동일 시를 (Mandoline, Green을 중심으로 ) 소재로 한 가브리엘 위르뱅 포레 (Gabriel Urbain Faure 1845~1924)와 클로드 아실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가곡의비교 연구 조사서이다. 프랑스에서 가곡은 멜로디(Melodie)의 형태로 발전되었다. 100여 곡이 넘는 가곡을 작곡한 포레는 프랑스의 가곡을 시와 음악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예술적 차원의 가곡으로 끌어올린 작곡가이다. 한편 드뷔시는 프랑스 가곡을 비롯한 서양 음악 전반에 있어, 후기 낭만과 근대를 현대 음악의 문으로 인도한 작곡가이다. 그는 80여 곡의 가곡을 작곡하였고, 가사 선택에 있어 엄격하기까지 했던 독일의 작곡가 볼프(H. Wolf)와 비교될 정도로 시와 음악의 신비스러운 조합을 이루어냈다. 이들 작곡가들은 동시대의 문학 흐름인 상징주의 시인들의 시를 소재로 하여 많은 곡을 썼는데, 그 대표적인 상징주의 시인으로는 폴 베를렌느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주옥같은 가곡으로 탄생된 베를렌느의 여러 시 중, Mandoline 과 Green을 통해 포레와 드뷔시의 특징과 작곡기법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Mandoline 과 Green 각 시의 배경에 대한 조사와 곡의 분석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시를 전달하기 위해 두 작곡가가 공통적으로 사용한 idea는 시어의 음절에 따라 선율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예)Serenade, Chanteuses 장음절에 긴 음가의 선율을 배치] 두 작곡가의 차이점으로, 포레는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반주부와 서정적인 선율을 사용하는 등, 보수적인 틀을 깨지 않으면서도 화성의 늦은 해결과 반음계 진행 등을 통해 전통에서 확장된 화성을 보여 주었다. 반면 드뷔시는 다양한 패턴의 반주부와 낭송조의 노래 선율을 사용하여 시를 적극적으로 표현해 주었다. 또한 당연시 여겨지던 조성 중심의 기능적인 화성 대신, 개방현 아르페지오와 지속음, 병행화음 등의 전혀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가사에 따른 소리의 색채를 표현하는 것에 집중하려 하였다.

      • 오감 그림책을 활용한 감각활동이 영아의 감각능력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first three years after birth is the period in which many changes are being quickly made among all the stages of human development. It is often called a critical period because the developments made in this period are influential throughout one's life. Since the infancy is also important in that all the fundamental developments are made, it is crucial to prepare proper programs, know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or good infant education. In order to give good education to infant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 development is crucial as it occurs in a comprehensive way not in a separated way. Since infants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eir bodies and sensory actions and their language development is made through the interrelationship with sensory actions, five sense picture book activity was adopted as an integrating method to develop the sense and language skills toge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effects of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development of sense ability and language for infants. It is also to help improve sense ability and language skills of infants using five sense picture in the field of infant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issues adopted for the purpose: l.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infants? l-l.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general process of infants? l-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auditory process of infants? l-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visual process of infants? l-4.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tactile process of infants? l-5.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vestibular sense of infants? l-6.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sense of taste of infants?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2-l.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2-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 action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20 infants including 8 infants less than 1 year old from two classes and 12 infants less than two years old attending I Day Care Center in D city. The comparative group consists of 20 infants including 8 infants less than 1 year old from two classes and 12 infants less than two years old from two classes attending W Day Care Center in the same city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average age distribution of the infants was 29 months, 29 month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months for the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The pilot-test, teacher training, preliminary test, experiment process, post test, data analysis were made in order for the research. The sense ability strips developed by Dunn(2000) and translated by Kim, Myung-ji(2002) were used to measure the sense ability of infants. The sub-categories of sense ability strips consist of general process, auditory process, tactile process, vestibular sense process and sense of taste process. In order to measure the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SELSI developed by Kim, Kyung-tae, Kim, Kyung-hee, Yoon, Hye-ryun and Kim, Wha-soo(2004) was used. The sub-categories of language development testing strips for infants consist of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For this research, the average of Pre-and-Post test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ANCOVA analysis was administered for the measured value of the post test considering the preliminary test as covariate variable.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it was analyzed by the SPASS23.0 statistical program. The followings are brief summary of this research. First, the effects of sense activities using five sense picture book on the sense 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for infa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reas of auditory process and tactile process. However, th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areas of visual process, vestibular sense and sense of taste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sense ability in terms of general process, auditory process and tactile proces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language development,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reas of expressive language and language ability a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n general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 회계기록의 특성과 가치를 고려한 기록관리 개선 방안

        이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Unlike the accounting records, the financial records reported by their nature are the reporting system that shows the financial status and operational status of the concerned economic entity in a certain form to the trustee. However, the records should show the context of organic relations, but semi-permanently or permanently classified financial settlement reports will show the information users to the financial and operational status of the specific time and specific period selectively and implicitly, It does not show the entire course of activities. In the case of public institutions, some of the financial records will be included in the unit assignment according to the function origin. A record-based approach based on sources does not show the financial context of the institution. Financial reports that are reported on the basis of accounting records are processed according to themes, and they are created under legal external environment and become static reporting form for a specific period. It does not conclude that this is meaningless, but exists as a conceptual component composed of the results required in the interests of the time. However, the accounting records produced in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without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ies are objective information showing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unprocessed accounting entity itself. In the essence of accounting records, the value of accounting records begins with the understanding of accounting for the economic events of economic agents.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accounting in the interest has been reflect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keholder and the trustee,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interests of the times, which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and the change of the reporting system. These relationships are perpetual and are to be preserved unless they are mutually extinguished. However, many legal systems and practices surrounding records management keep accounting within a five-year horizon and reduce the spectrum of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record management in accounting records.

      •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직업관과 수학 진로 지향도 비교

        이은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오늘날 미래 인재를 육성하고 수학 관련 분야의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하여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직업관과 진로 지향도를 비교하여 수학 영재의 진로 발달 특성을 이해하며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 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직업관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나.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 지향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다.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직업관과 진로 지향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D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의 수학영재 교육과정을 이수 중에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과 D광역시에 소재한 A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수학 영재 교육과정을 이수 중에 있는 5, 6학년 초등수학영재, 총 91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일반학생은 D교육청 산하 5, 6학년 학생으로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지 않는 1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직업관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는 Ginzberg(1951), Super(1962)의 분류 방식을 기초로 한 양한주, 정철영(1998)의 직업 가치관 모형 및 신명호(2003)의 직업관 검사문항을 재구성하였고 직업관 검사도구 신뢰도 계수는 0.839이었다. 그리고 진로 지향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 도구는 윤진 등(2003)의 연구에서 과학 진로에 관련한 실태조사를 위하여 개발된 설문을 윤혜경 등(2006)이 재구성한 설문을 수학과로 재구성한 것이고 신뢰도 계수는 0.935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직업관과 수학 관련 진로 지향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수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긍정적인 직업관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내적 성취가 높은 직업 가치관에 매력을 느꼈다. 둘째, 초등수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높은 수학 관련 진로 지향도를 가지고 있었다. 수학 학습 선호도가 높았으며 수학 진로의 정보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셋째, 초등수학영재와 직업관과 수학 관련 진로 선호도 간에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나 경제성에서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아 초등수학영재는 수학 관련 진로 지향 시 경제성 관련 가치에는 크게 비중을 두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학영재의 직업관과 수학 진로 지향성이 정적 상관관계에 있으므로 초등수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진로 지도 및 진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초등수학영재들의 직업 가치관을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수학 관련 진로 소개 시 내적 성취를 일으킬 수 있는 부분에 유의하여 수학 관련 직업에 대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후속연구에서는 직업관 및 수학 관련 진로 지향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조사하여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재 집단 내에서의 비교 연구 및 질적 연구를 통하여 영재 학생들에 대한 인적 자원 손실이 없도록 유의해야 한다.

      •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과 또래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 학년에 재학 중인 592명의 남녀 아동들이다.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은 민하영(1998)이 번안하고 장영수(2008)가 수정․보완한 Barnes와 Olson(1982)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검사 PACI(parent 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 중 모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관계는 Furman과 Buhrmester(1985)의 NRI(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를 수정․보완한 김진경(2002)의 척도를, 자아탄력성은 유성경(2002)이 번역하고 채호숙(2008)이 수정․보완한 Kremen(1996)의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e Scal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및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 또래관계,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을 높이 지각할수록 또래관계의 질은 높아지며 문제형 의사소통을 지각할수록 또래관계의 질 또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문제형 의사소통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높아지며, 문제형 의사소통을 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또래관계의 질은 긍정적이고 높았으며, 자아탄력성이 낮을수록 부정적이고 질이 낮은 또래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또래관계 간의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의 문제형 의사소통과 또래관계 간의 경로에서도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은 아동의 또래관계에 부분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아탄력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유형이 개방형일 경우 아동이 긍정적 또래관계를 맺는 반면, 어머니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할수록 부정적인 또래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유형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아동의 또래관계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592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5, 6 grade, both girls and boys. For the criterion for this research design, followings are the criterions of this research; first, as a criterion for the communication type of the child and mother, the mother criterion of PACI(parent 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 which was adapted by Ha-Young Min(1998)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Young-Soo Jang(2008) was used. Second, the NRI(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 of Furman & Buhrmester(1985),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Jin-Kyung Kim(2002) was used as a criterion for the peer relationship. Third, the Ego-Resilience Scale of Kremen(1996) revised and supplemented by Ho-sook Chae(2008) was used for ego-resilience observation. The data collected from survey was analyzed via SPSS 12.0 and AMOS 18.0 for statistical treatment. To find out the general properti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est methods, a Cronbach coefficient was calculated. Then to find out the multiple relation of the communication type of mother-child, peer relationship, ego-resilience, a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calculated. For the last,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type to peer relationship, the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was used and the significance was tested through Sobel's significance test.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more open type communication of mother was recognized by child, the bette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observed. And the more problem type communication recognized by child, the wors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observed. Second, there w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from open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to child's ego-resilience, and problem type communication's effect was negative. In other words, the more open type communication possibly leads to the more child's ego-resilience, and the more problem type possibly leads to the less ego-resilience. Third, child's ego-resilience affected on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The more ego-resilience, the peer relationship was better and higher, and the less ego-resilience, the peer relationship was negative and lower. For the last, the ego-resilience has partial mediated effect on the path from open type communication with mother to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partial mediated effect was observed in the path from problem type communication to peer relationship. It means that the mother-child communication type has not only the direct effect on child's peer relationship, but also the indirect effect via the mediated variable, the ego-resilienc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 that the more mother-child open type communication leads to child's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meanwhile, the more problem type communication leads to negative peer relationship was verified. Furthermore, by finding the partial mediated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 path from the mother-child communication type to child's peer relationship,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dentifying the causal/cor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as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research on child's peer relationship.

      • ADHD 아동의 집중력향상을 위한 노래 모음집

        이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교육 현장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제 아동의 유형으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der:ADHD)를 들 수 있다. 1995년 한국 보건연구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10세 이하 아동의 8.6%가 주의력결핍, 산만성의 행동 문제를 가진 것으로 밝히고 있으며 서울 시내 초등학교 1,2,3학년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급당 평균 3~4명에 해당하는 많은 아동들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나타내고 있으며 남녀의 비율은 4:1에서 9: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복 외, 199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아동발달상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장애로서 주의집중력 부족, 충동적 행동과 과잉활동 성향이 주요한 특성이다. 이러한 일차적인 문제로 인해서 이차적으로 학습수행, 또래와의 관계 등 사회적인 적응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그 결과 낮은 자존감 등의 정서적 부적응을 초래하게 된다. 정서적 부적응의 징후들로는 자주 예측 불가능하게 기분이 바뀌며 좌절에 대한 인내심이 낮고 좌절 상황에 대한 과도한 정서 반응을 들 수 있다. 또한 울화, 분노를 자주 터트리며 우울하고 자존감이 낮음을 볼 수 있는데, 학습상황이 구조화되고 대인관계가 넓어지는 학령기에 이르러 특히 문제가 되고 있다(윤치연, 2002). 그 이유는 이때가 되면 아동들이 학교에서 지켜야할 규칙이 명백해지고 뚜렷한 목적이 있는 행동을 요구받기 때문에 주의집중 장애의 특성이 객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할 만큼 뚜렷해지기 때문이다(Barkley, 1996). 이와 같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 중 50%는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자연 치유되지만 나머지는 청소년이 되어서도 위와 같은 문제행동으로 인하여 낮은 학업성취도와 부정적인 자아개념으로 인해 심한 경우 반사회적인 행동까지 야기하게 되므로 아동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을 개선시키기 위한 중재방법으로는 크게 흥분제 약물치료, 행동치료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인지 행동적 중재 등이 있다. 그 중 약물치료는 신경 생물학적 원인론에 근거한 중재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수업을 방해하는 문제행동의 감소 등 긍정적인 효과가 많이 보고 되고 있고 단시일 내에 행동상의 주요증상에 대한 감소를 가져오는데 반하여 학업이나 대인관계 등 심리 사회적 적응과 같은 부수적인 문제에는 그다지 큰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하며 극히 외재적인 통제이기 때문에 자아효능감과 자아개념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이상복, 이상훈, 이효신, 1996). 그러므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사회,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약물치료와 병행할 수 있는 치료프로그램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음악은 감각적인 호소력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의 매개체이기 때문에 어떤 사회나 문화 속에서도 일상생활에 있어 인간에게 큰 의미를 주는 집단 활동의 하나로 미적인 경험을 통해 즐거움과 유쾌함 속에서 우리가 얻고자 하는 음악외적인 목적까지 달성할 수 있다. Jeannett(1966)는 음악활동이 참여자의 활동을 강조하기 때문에 참여자는 즐겁고 유쾌한 경험을 할 수 있다고 하였고, Kohut(1957)은 음악의 반복, 형태, 스타일의 친숙성이 안정성을 제공하여 두려움 없는 진정한 즐거움을 동반한다고 하였다. 또한 Taylor(1997)는 음악치료에 있어서 치료의 목적이, 단순히 환자들에게 일련의 대처 행동들과 관련지식들을 획득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이 환경으로부터 받아들인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정보처리 과정에는 현실에 대한 정확한 지각, 사건들의 순서적이고 연속적인 계획, 정보에 대한 선별적 주의과정, 단기와 장기기억에 필요한 저장과 회상 등이 포함되어진다. 즉, Taylor에 있어서 음악치료는 음악적 자극을 사용하여 환자들의 정보처리 능력을 돕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음악이 기억을 향상시키며 주의 산만을 감소시킨다는 Morton, Kershner와 Siegel(1990)의 연구는 음악이 각 반구의 전문화된 음악적인 처리과정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양측적인 대뇌 각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음악을 정보이론과 관련하여 언어식별을 증가시키는 구조적 자극제로 그리고 구두적 모방에 대한 자극제로 강조하였고, 음악이 청각적 자극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음악의 구조가 안정된 환경과 순서를 제공하여 정신지체아들의 주의집중시간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홍화진(1999)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에게 음악활동을 시행한 결과 주 증상의 감소와 친 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고 하였고, 시설아동의 친 사회적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김말희, 2001). 이 외에도 음악치료가 장애아동들의 문제행동 감소에 적용된 많은 긍정적인 연구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문지영, 1999; 성인영, 1999). 이러한 점들은 주의집중력 부족, 충동적 행동과 과잉활동 성향으로 낮은 사회성과 정서적 부적응을 보이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에게 접근할 수 있는 좋은 도구라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본 과제의 목적인 주의집중력 향상과 더불어 주의집중장애 아동에게 정서적 안정과 함께 또래와 잘 어울릴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을 길러주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고 나아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해나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 (The) Banach Tarski paradox and amenability

        이은영 蔚山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1,m>=1와 <g・Φ, m>=<Φ,m> (g∈G, Φ∈l∞(G))를 만족시키는m∈l∞(G)*이 존재하는 이산 그룹 G 를 아미너블 그룹이라고 한다. 이런 아미너빌러티의 특성은 그룹에 작용하는 패러독시컬리티에 기초한다. 그룹 G가 패러독시컬 하지 않다는 것과 필요충분 조건은 유한 가법적 함수 μ:Ƥ(G)→[0, ∞) 가 존재하여 모든 G의 원소 g와 G의 부분집합 E에 대하여 μ(G)=1, μ(gE)=μ(E)를 만족하는 것이다. 이것을 타르스키 이론이라고 한다. S. Wagon의 접근 방식에 따라 type semi-group을 소개하고 타르스키 이론의 증명을 구체화 하였다. 더 나아가 그룹 G가 패러독시컬하지 않은 것과 아미너블 하다는 것이 필요충분조건 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A discrete group G is called amenable if there is m∈l∞(G)* such that <1,m>=1 and <g・Φ, m>=<Φ,m> (g∈G, Φ∈l∞(G)). But there is an intrinsic characterization of amenability based on the paradoxicality of group action. G is not paradoxical if and only if there is a finitely additive set function μ:Ƥ(G)→[0, ∞) such that μ(G)=1 and μ(gE)=μ(E) for all g∈G and E⊂G. This is the Tarski theorem. Following S. Wagon’s approach we introduce the notion of type semi-group given an action of G and provide a more elaborate proof of Tarski's theorem. Moreover, we show that if the group G is not paradoxical, then it is amenable and vice ver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