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비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통합횡단시계열분석을 이용한 회귀분석

        이동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I.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metropolitans, provinces,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in Korea and to examine whether or not change i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metropolitans, provinces,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in Korea has occurred after the execu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To accomplish these purpose, both literature review and the quantitative method were employed. The developm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Establishment of research problem, purpose, scope and method. Chapter 2: Exploring the various theoretical models and previous empirical researches. Chapter 3: Establishment of analytical framework and research hypotheses. Chapter 4: Design of data-collecting, variable-measuring, and data-analyzing method. The major analysis techniques ar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hapter 5: Actual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districts in Seoul. Chapter 6: Summary and conclus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ies of public policy making have been developed in two directions. The first, a within-system approach is focused on the mechanism of government policy making and aimed to find who participate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what the participant roles are, and wh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licy making structure are. An incrementalism is also involved in the within-system approach. The second, a comparative system approach is focused attention on the linkage among environmental conditions, system characteristics, and policy. The theory of the determinants of policy making have been developed since 1950s. Early economists stressed the importance of socio-economic variables which were per capita incom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 Early political scientists stresse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system factors which were the role of two-party competition, voter participation, and electionin. And the hybrid model which synthesized both politic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followed. Ⅲ. Findings and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plained variable-measuring and the type of local governments. The first, in the case of metropolitans in Korea; subsidy and municipal tax have positive influence on on both the level and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But politicions of the ruling party and participation in politics nega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The second, in the case of provinces in Korea; subsidy and the last year's share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level and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but political competition negatively influence on both the level and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The execu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positively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but politicions of the ruling party and the rate of the needy negatively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The third, in the case of counties in Korea; the execu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and the last year's share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level and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Subsidy and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municipal tax positively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But participation in politics negatively influence on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The Fourth, in the case of districts in Korea; the execu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subsidy and the last year's share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level and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Municipal tax, political competition and participation in politics positively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Population positively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but population and the rate of the needy negatively influence on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And the fifth, in the case of cities in Korea; the execu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and the last year's share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level and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Municipal tax,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subsidy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And population and the rate of the needy positively influence on the shares of socialwelfare expenditure. 1995년 6월 27일 제1기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실시되어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가 시작되었으며, 1998년 6월 4일 제2기 민선 지방정부가 구성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지방자치의 실시는 사회전반 특히, 지방행정과 정책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기대되며 지방정부의 재정지출 변화를 통해서 구체화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 실시로 인해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지방정부의 재정지출 변화 중 지역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사회복지비지출을 대상으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 전체 자치단체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사회복지비지출의 결정요인을 비교·분석하여 지방자치의 실시를 전후한 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지출이 변화를 파악하여 향후 지방정부의 정책결정자들이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론적 기초로 정책학적 관점에서 공공정책 결정요인 연구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적 모형, 사회경제적 모형 및 혼합모형과 지방정부의 재정지출변화에 관한 경제적 관점과 정치적 관점을 살펴보고, 국내외의 경험적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기존 이론과 경험적 연구를 검토하여 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사회복지비지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독립변수로는 사회경제적 요인인 인구, 의존인구, 지방세수입, 보조금, 정치적 요인인 지방자치실시, 정치참여, 정치적 경쟁, 여당소속단체장, 점증주의 요인인 과년도 복지비지출비율 등을 설정하여 회귀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전국의 1개 특별시, 5개 광역시, 9개 도, 47개 자치구, 27개 일반시, 89개 군을 대상으로 1992년부터 1998년 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지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자치단체의 유형과 종속변수의 측정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보조금과 과년도 복지지출비율은 거의 모든 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비지출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사회경제적 요인인 지방세수입은 주로 대도시 지역인 광역시와 자치구에서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로 농촌 및 중소도시 지역인 도, 군 및 일반시에서는 무의미하거나 상대적으로 약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규모는 군 및 모든 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 지출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방자치의 실시, 정치참여, 정치적 경쟁 및 여당소속단체장과 같은 정치적 요인은 대게 광역자치단체인 광역시, 도에서는 무의미하거나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초자지단체인 시, 군, 자치구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역주민에 대한 복지서비스가 주로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며, 재정지출 변화에 대한 이론 중 기초자치단체는 정치적 관점이 적합하다는 것을 밝혀주는 것이다.

      • 악성코드 감염 특성에 따른 웹사이트 위험도 분류에 관한 연구

        이동영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인터넷 이용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웹사이트 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가 주요 위협으로 등장하여 그로 인한 피해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악성코드를 은닉하고 있는 웹사이트를 탐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웹사이트 은닉 악성코드 탐지 시스템 등이 개발·운용되고 있으나 국내 모든 웹사이트를 분석하고, 탐지되는 악성코드에 대응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시스템 및 인적자원 등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악성코드 은닉 웹사이트 관리 및 대응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웹사이트 은닉 악성코드 탐지 결과를 바탕으로 악성코드가 탐지된 경유지 웹사이트의 감염 특성을 구분할 수 있는 변수를 개발·분석하여 그에 따른 위험도를 산정하였다. 3년 간 탐지된 경유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악성코드 감염 특성을 4가지 변수에 따라 분석하였고 각각 위험도를 산정, 경유지별 최종 위험도를 도출하였다. 악성코드 탐지결과를 재가공한 경유지 웹사이트 별 위험도와 그 변화 추이 등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국내 웹사이트 별 위험관리 우선순위 부여 등 관리자 입장에서 웹사이트 관리·분석의 효율성 증대 및 보다 효과적인 조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악성코드, 웹사이트 위험도, 사이버 보안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with it, the spread of malicious code through websites. These various malicious codes have become a major threat as the damage caused by them is increasing. Although malicious code detection systems for websites are developed and operated, to ensure security it is necessary to analyze all websites in the country, and there are limits to resourc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managing and responding to malicious code being distributed by infected website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security risk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actual websites infected with malicious co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ec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4 variables and the risk was calculated and the final risk level was calculated for each landing site. Using the analysis results such as the risk level and the changing trend of waypoint websites that reprocess malicious code, we can provide insight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and analysis of infected websites for the website manager. Keyword: Malicious Code, Website Risk, Cyber Security

      •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이동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와 읍면 지역 중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그림에서 환경은 동물과 식물이 생활하는 자연 공간, 동물과 식물 및 인간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 동물과 식물 및 인간의 삶을 지원하는 공간, 인간에 의해 수정되고 영향을 받는 공간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다수는 환경을 동물과 식물이 생활하는 자연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 공간에는 인간이나 인간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인공물, 오염상태나 환경문제가 나타나 있지 않았다. 환경을 동물과 식물 및 인간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의 그림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과 인간이 함께 조화롭게 살아가는 공간이 환경이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동물과 식물 및 인간의 삶을 지원하는 공간이 바로 환경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경우는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인간에 의해 수정되고 영향을 받는 공간으로 환경을 인식하는 경우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인간의 활동에 의해 자연 공간으로서의 환경이 오염되었으나, 인간이 오염된 환경을 개선하고 보호하려는 활동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염된 환경으로 환경을 인식하여 인간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와 달리 조립된 환경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인간의 활동을 통해 환경이 보다 아름다워지고 편리해졌다는 긍정적 인식 또한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한국 배우들의 메소드 연기에 대한 이해

        이동영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한국배우들을 대상으로 연기를 접하는 교육과정과 실제 공연과정에서 수용되어진 메소드 연기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메소드 연기에 대한 한국 연기자의 인식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현역 배우들의 직접적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하여 메소드 연기의 수용과정, 적용, 이해 등을 알아보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 본인의 교육과정 및 배우로서의 경험에서 이야기의 시작점을 찾았고, 배우 중 경력 3년 이상이고 성별 및 정규 교육과정의 유무의 상관없이 연구 기간 중 심층 인터뷰가 가능한 5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장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한 현장 텍스트를 토대로 연구 텍스트를 완성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들은 연기에 호기심을 가지고 교육받는 초반에 메소드 연기를 접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무대 위에서 연기함에 대한 경외심과 훈련과정에서 순간적인 심리적 전이의 쾌감을 통해 메소드 연기술에 대한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된다. 이는 배우에게 연기에 대한 갈망을 일정 부분 채워주고 훈련과정에 대한 성취감을 준다. 둘째,한국 교육과정에서 ‘정서적 기억’을 중심으로 맞추어 지는데,이완훈련의 경우 연기 실습과정에서 장면발표와 함께 혼합되어 병행되면서 감각훈련과 함께 단시간에 표면적을 진행되었다.정서적 훈련과정에서 본인이 가지고 있었던 기억을 통해 ‘극단의 상태를 반복할 수 있는 길’을 여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정서의 기억훈련을 통한 발화는 그러한 ‘나라는 개체 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그러나 이렇게 효용성에 치우친 훈련은 역사와 변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없고 단순히 수업에서 배우가 나로써 인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남게 된다.대부분 이 훈련이 연기를 배우는 초반에 이루어지므로.이를 통해 얻어지는 성취감이나 카타르시스로 생기는 만족감이 나중에는 배우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안겨줄 수 있으며 계속되는 연기 경험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할 수 있었다.이후 배우는 훈련 과정에서 메소드 연기의 효용성을 알고 공연에서 인물 창조를 하면서 이를 적용하고 대체하게 된다.이 과정에서 배우는 정서적 기억을 통한 인물에 직접적인 대입은 ‘불가능하다’라고 여긴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던 ‘감정의 대체’역시 ‘혼자 연기하기’와 ‘극중 인물의 왜곡’을 경험하게 한다.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배우는 절대적이었던 메소드 연기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갖게 된다. 셋째,배우의 메소드 연기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공연에 참여하고 그 안에서 다양한 인물을 접근하면서 변화한다.과거의 필터링 없이 받아들이는 지점과 달리 배우 스스로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에 대해 인식하고 취사선택하는 지점이 생긴다.인물을 구축함에 있어 선택하는 여러 가지 방법론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의식적으로 진정성과 자발성을 갖추고 무대에서 연기하는데 긍정적인 효과와 동시에 어떤 순간에는 한발 물러서서 밖으로 나와서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는 경각심을 심어주었다. 이처럼 메소드 연기는 배우 개개인에게 다르게 수용되어졌으며 이러한 연기술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실체적인 효과만을 노린 훈련이나 절대적인 이론 제시가 아닌 다양한 방법론들과 함께 선택의 하나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론적인 연기술이 아닌 공연들 통해 얻어지는 배우 자신의 직업적 경험을 적절히 적용한 실증적인 연기술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training process for performances and the method acting of actual acting processes of Korea actors, through which provides the practical resources to raise their awareness of the Method acting.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has explored the narrative investigations. This research method is to recognize the acceptance processes, applications, understandings etc of the Method acting through the narrations about the direct experiences of the actors on the active list. I started this narration study from my own training processes and experiences as an actor, and selected 5 actors who had more than 3 years experiences as actors and obtain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whether or not they had experienced the regular training processes. I processed the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them and created the field texts, based on which had completed the study texts. The results from the narr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tors encountered the Method acting at the early stage of performance training that they were curious about the performance, through which they came to accept the Method acting skills without refusal through the thrills of acting on the stage and happiness caused by psychological transition during the training process. It partly fulfill the desires of actors for acting and provi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for the training processes. Second, the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is focusing the Method acting on the ‘Affective memory’, which is retained as the method to easily access to the characters - as the actor is the self in the simple learning class, because it used to be processed without explaining about the history and process of change. As most of such training courses are processed to learn how to act in the early stag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it or the satisfaction caused by the catharsis may influence upon the actor significantly. However, such methodological classes may bring the psychological burdens to the actors and cause the negative impacts on their subsequent performance carriers. In the case of the relaxation training, the acting practices and scene presentations are mixed and paralleled to be the aspect of sensory training, and is superficially conducted. This training course has a significant effect upon opening the ‘way to overcome the extreme condition’ which is to be expressed in the training through the memories the actor had. In addition, the ignition through the memory training of emo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ulation of the subject – ‘self’. Learning the efficacy of the Method acting in the training course and creating the characters during the performance, the actors may apply and replace it in their acting.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Affective memory’ and the direct applications to such replacement would be impossible. Strasberg admitted the criticisms by the reasons that he could not afford all the diversified and complex emotions that were supposed to be expressed by the characters in the play, and as its resolution, he recommended ‘the replacement of emotions’. However, it may cause the ‘one-man play’ and ‘distortion of characters in the play’, which the other co-players also have experienced. Third, the awareness of method acting may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participation in various plays and encounter diversified characters within it. Different from the point to accept the past without filtering, there created the point to recognize and choose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by the actors themselves. It may be called one of various choices for the actors to take in order to establish their characters in the play. In addition, it may bring the positive effect in playing on the stage while being equipped with the intentional ‘spontaneity’ as well as the sense of alert stepping back and objectively seeing it from outside. As such, the Method acting is to be applied in accordance with each individual, and to develop the performance skills in positive direction. It should be presented not by only the training aiming at the tangible effects or the presentations of absolute theories but by a variety of theories as well as by the appropriate applications of the professional experiences through their performances.

      • 버터플라이 밸브의 수학적 모델링 및 Smith PID 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

        이동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버터플라이 밸브는 냉각수와 유류 계통 등에 범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밸브 재질이 발달함에 따라 LNG선의 천연가스의 유량 조절과 핵 처리 장치의 퍼지밸브 등의 특수 용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버터플라이밸브는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폭의 밸브와 비교하여 중량이 작고 낮은 높이를 가지므로 주변 보조기구로서의 탑재성능이 양호한 설계상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버터플라이 밸브는 디스크 각에 따른 유동면적이 선형적으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 각이 작을 때와 디스크 각이 지나치게 클 때에는 유량조절능력이 감소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버터플라이밸브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을 활용함과 동시에 유량 제어를 위해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수행되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대상의 수학적 모델링과 동특성 해석을 통해 2-자유도 PID 제어기와 Smith PID 제어기를 설계하여 비교, 분석하여 버터플라이 밸브의 유량 제어를 위한 적절한 제어기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제안된 2-자유도 PID 및 Smith PID 제어 알고리즘은 실 프로세서에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버터플라이 밸브 시스템 프로세서의 제어밸브에 직접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SI를 활용한 수업이 과제집착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동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SSI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의 과제집착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SSI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5개의 SSI를 선정하였고, 이를 활용한 수업을 계획하여 연구집단에 처치하였다. 5주간 5차시에 걸쳐 SSI를 활용하여 수업할 수 있도록 개발안 수업 지도안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개발한 학습지를 활용하여 학습에 활용하였다.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SSI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단순한 과학 기술에 대한 지식적인 학습 보다는 가치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을 통하여 암기를 위한 지식의 범주를 넘어서 과학이 다양한 개인 및 사회, 다양한 객체들과 교류하며 발생하는 관계에 대하여 고민하기 시작하고, 좀 더 넓은 범주 안에서 과학적 지식 및 사실에 대해 접근을 시도해 보는 과정 안에서 과학적 태도의 변화가 생긴 것이라 판단된다. 하위요소별 분석에서도 3개의 요소 중 2개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과학적 태도의 수용 요소는 한 번도 인식하지 못한 새로운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많은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에 대한 활용이나 학습자의 선택이 다시 기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과정에서 향상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과학 수업의 즐거움의 요소는 새로운 사실이나 기술 및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이것을 알아가며 얻게 되는 충족감에 의해 향상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향상되지 않은 과학적 탐구에 대한 태도의 요소는 연구자가 구상한 수업 형태의 특성상 과학 탐구 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기에 나타났다고 여겨진다. 둘째, SSI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과제집착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는 과학 기술을 알아야 하는 지식이 아니라 학습자 자신을 비롯한 사회 및 세계와 직접적 연관을 지닌다는 사실을 알고, 지식 위주의 가벼운 접근보다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하는 사안이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접근에서 나타난 변화라고 판단된다. 하위요소별 분석에서도 4개의 요소 중 3개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성취목표 요소의 향상은 학습자들의 가치판단 및 결정을 위한 토론 과정에서 나오는 과학 기술의 다양한 영향력들이 학습자들의 과학 학습에 대해 애착 형성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여겨진다. 자기통제 요소의 향상은 학습자들의 토론 과정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제안들을 또래 학습자들이 점수를 부여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사고과정 및 합당한 근거 제시가 없다면 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과정에 대한 경험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여겨진다. 몰입 요소의 향상은 흥미로운 기술에 대해 알아보는 과정, 토론 과정과 그에 대한 점수 부여, 과학 기술의 활용에 대한 사고과정 등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SSI와 관련된 기술이 가지고 오는 변화를 진지하게 고민해 보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여겨진다. 유의미한 변화를 가지고 오지 않은 책임감 요소는 연구자가 구상한 수업의 형태상 과학 기술에 대한 탐구활동이나 실험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SSI로 활용하는 기술들이 학습자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거나 탐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과정을 통하여 접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고 여겨진다. 셋째, SSI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SSI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흥미도(평균 4.96), SSI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한 내용에 대한 활용(평균 4.29), SSI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이 도움이 되는가(평균 4.98), SSI를 활용한 수업에서 사용된 자료에 대한 만족도(평균 4.85)로 4가지의 하위 항목이 모두 고르게 나타났다. 이는 익숙한 형태의 수업의 구성과 경험해보지 못한 주제 및 자료의 활용, 자유로운 분위기에서의 토론 및 가치판단 과정이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다고 여겨진다.

      • 공적소득보장프로그램의 빈곤감소효과에 대한 장애인·비장애인가구 간 비교연구 : FGT지수를 활용한 요인분해 및 차이검정

        이동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공적소득보장프로그램의 주요한 정책효과인 빈곤감소효과에 초점을 맞춰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 간 상이한 양상에 대한 구성내용과 통계적 차이를 비교평가함으로써 정책효과의 유형 및 수준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통해 실효성 있는 장애인 공적소득보장체계구축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즉 주요 논의의 초점은 첫째, 한 국가의 다양한 재정정책 중 경제적 소득보장으로서의 공적소득보장프로그램, 둘째, 공적소득보장에 대한 정책분석의 접근 중 성과평가로서의 빈곤감소효과, 셋째,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FGT지수의 활용과 이의 유용성에 기반 한 요인분해와 차이검정의 적용, 넷째, 분석과정에서 정책설계 및 평가 상의 시사점을 얻기 위한 장애인?비장애인가구 간 비교평가 등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은 첫째, 장애인가구의 비장애인가구에 비교되는 열악한 경제적 지위특성에 대한 문제의식, 둘째, 이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전략으로서의 장애인공적소득보장프로그램의 실효성 부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셋째, 정책적?학문적 관심부족과 실증분석 접근의 내용적?방법론적 한계에 대한 분석적 비판, 넷째, 소득보장에 대한 정책아젠다로서의 중요성과 시의성에 기반한 당위성과 필요성에 기인하다 하겠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근거하여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 간 공적소득보장프로그램의 빈곤감소효과의 상이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 간 기술적 수준에서, 요인분해(지수요소별?소득원천별?하위집단별 분해)를 통한 내용구성(성과구성?원인구성?배분구성)에서, 그리고 효과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에서 어떠한 상이한 양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것들이다.이에 본 연구는 공적소득보장프로그램 및 빈곤에 대한 이론적?정책적 분석을 바탕으로, 2006년 한국복지패널(KWPS) 원자료(제1차년도)를 활용하여 장애인가구 838가구와 비장애인가구는 6,009가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효과측정의 일반적인 방법은, 공리충족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용성을 갖는 FGT지수를 활용하여 공적소득보장 급여가 제공되기 전후의 빈곤특성을 비교하여 그 변화유형과 수준을 평가하여 효과계측을 하는 방식이다(개념적으로 실험설계와 유사하며 이때 독립변수는 공적소득보장프로그램이고, 종속변수는 FGT지수임.). 그리고 구체적인 방법은, 이러한 분석과정에 정책효과의 내용구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요인분해(지수요소별?소득원천별?하위집단별 분해)와 요인분해를 통해 확인된 효과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는 차이검정(전후?집단 간 차이검정)을 적용하여 분석의 구체성과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분석결과, 우선 지수요소별 분해를 통해 빈곤감소효과의 성과구성을 확인하였는데, 장애인가구의 경우 사회수당과 사회보험에서 소득분배효과의 절대적 기여도가 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대적 기여도의 경우는 장애인?비장애인 가구의 모든 급여유형에서 빈곤계층비율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공공부조를 제외하고 사회수당, 사회보험, 공적이전, 공적보장 모두에서 평균소득효과가 그 다음으로 높았다. 상대빈곤선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절대빈곤선의 절대적 기여도에서 음(-)의 효과가 있는 사회수당과 사회보험 중 사회보험은 같은 결과가 나타났지만 사회수당은 양(+)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대적 기여도의 경우에는 절대빈곤선에서 가장 높게 관측되었던 빈곤계층비율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평균소득효과는 다소 높아졌다. 둘째, 소득원천별 분해를 통해 빈곤감소효과의 원인구성을 살펴본 결과, 절대빈곤선을 기준으로 했을 때 장애인가구는 공공부조와 사회수당의 상대적 기여도가 높은 반면, 비장애인가구는 공공부조 다음으로 사회보험이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이에 장애인가구는 공적이전소득이 전체 빈곤감소효과의 약 94%를 포괄하고 있는 반면 비장애인가구는 약 72%인 것으로 나타나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계적 기여도에 있어서 공공부조는 장애인?비장애인가구 모두에서 1이상의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는데, 사회보험의 경우 장애인가구는 1미만의 값을 나타낸 반면 비장애인가구는 1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상이한 양상을 보여 주었다. 상대빈곤선 기준에서는 절대빈곤선과 비교하여 장애인가구의 사회수당과 사회보험의 상대적 기여도가 다소 상승하고, 한계적 기여도에 있어서는 사회수당과 사회보험이 다소 상승하는데, 특히 사회수당의 경우 절대빈곤선 적용 시 1미만의 값이 상대빈곤선 적용 시 1이상의 값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위집단별 분해를 통한 효과의 배분구성을 확인한 결과,우선 장애인?비장애인가구로 구분한 하위집단에서는 장애인가구의 빈곤감소효과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가 사회보험을 제외하고는 비장애인가구에 비해 큰 것으로 확인되어 긍정적이었으나, 한계적 기여도에서는 구성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여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 취약성이 확인됨으로써 부정적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장애인?비장애인가구 내 인구사회적, 경제적, 사회보장수급관련, 장애특성관련 하위집단 구분을 통한 정책효과의 기여도를 분해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공공부조는 인구사회적 특성구분에 따른 분석에서 한부모가구와 거주지역의 중소도시, 농어촌이, 경제적 특성구분에 따른 분석에서 취업가구와 자활근로가구, 주택비소유가구, 추가적으로 장애특성에서 장애유형 중 내부장애 및 정신적 장애의 정책효과 배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부정적인 측면이 확인되었다. 사회수당의 경우 인구사회적 특성구분에 따른 분석에서 한부모가구, 근로불능가구, 비건강가구, 경제적 특성구분에 따른 분석에서는 취업가구와 자활근로가구에서 보다 낮게 정책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보장수급관련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기초보장비수급가구가, 추가적으로 장애특성관련 분석에서는 중증장애와 정신적 장애가구에서 보다 낮은 정책효과를 나타냈다. 사회보험의 경우 인구사회적 특성구분에서는 근로불능가구에서, 경제적 특성에서는 취업가구와 자활근로가구에서, 장애특성관련 구분에서는 장애유형에서 정신적 장애가 상대적으로 낮은 정책효과 혜택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이전은 공공부조와, 공적보장은 공적이전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어 하위집단별 분해에 따른 정책효과의 배분정도평가는 공공부조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한계적 기여도에서는 급여유형별로 다소 상이한 양상을 나타내긴 하였으나 대체로 취약집단일 것으로 생각한 하위집단에서의 한계적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관측됨으로써 정책효과의 긍정적 배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취약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상당수 발견되었다. 넷째, 정책효과의 상이한 양상을 통계적으로 검정한 차이검정분석에서는,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절대빈곤선 적용 시 장애인가구에서는 공공부조, 공적이전, 공적보장의 정책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된 반면, 비장애인가구에서는 어떠한 급여 빈곤감소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단, 유의수준을 0.1로 할 경우 장애인가구에서는 사회수당이, 비장애인가구에서는 사회보험, 공적이전, 공적보장이 정책효과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대빈곤선 적용 시 장애인가구는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었고, 비장애인가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득보장 후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 간 FGT지수를 기준으로 한 빈곤특성의 차이검정에서 절대?상대빈곤선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는데, 가구유형별?제도유형별 접근과 취약계층에 대한 분배정의의 실현을 규범적 가치로 하는 기반 위에, 개별 정책에서 첫째, 공공부조에서는 최저생계비 계측과 가구균등화 지수 산정 시 장애인가구의 특수성 반영, 주거급여에 대한 추가적 정책고려의 필요성, 지역별 최저생계비 계측에 대한 타당성 확보, 자활급여를 포함한 근로연계정책의 개선 등을, 둘째, 사회수당과 관련해서는 우선적으로 급여차등화의 합리화와 이를 바탕으로 한 대상확대 및 급여수준 증대, 개별적 특성에 기반 한 다양한 급여유형의 도입과 부조적 성격의 사회수당에 대한 역할조정과 연계강화 등을, 셋째, 사회보험과 관련해서는 정책효과 증진을 위한 사회보험 급여수급률 확대노력의 개별 제도의 우선적 과제 제시, 보험급여수급의 과중한 역진성문제의 조정필요성 등을 각각 제시하였다. 넷째, 개별제도가 아닌 전체 공적소득보장정책과 관련, 장애인가구의 공공부조 집중현상에 대한 개선과 빈곤 후 취약한 빈곤실태 해결을 위한 추가적 정책노력의 필요성 등을 타 제도와의 조정 및 연계라는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liciting policy implic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a viable public income security program for the disabled through empirical ground on the types and levels of policy effects by comparatively evaluating the content compositions an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patterns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with the focus on their poverty reduction effects, one of the major policy effects of the program. Therefore, in the study the followings were mainly discussed: first, the public income security program as economic income security among a nation's various financial policies; second, poverty reduction effect as performance evaluation among approaches to policy analysis on public income security; third, the utilization of FGT poverty indices for securing the validity of analysis results and the application of factor decomposition and difference test based on its usefulness; fourth, comparative evalua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aimed at obtain suggestions for policy design and evaluation in the analysis process. The necessities of this study were attributed to the followings: first, awareness of problem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household's economic status which is far inferior to that of the non-disabled household; second, critical examination on the lack of viability of the public income security program for the disabled as a direct strategy in response to the problems; third, analytical criticism of the lack of policy and academic attention and the limitations with content and methodology of empirical and analytical approaches; fourth, the necessity based on the timeliness and importance of policy agenda on income security. On the basis of such aims and necessities,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in order to specifically examine the various patterns of the poverty reduction effects of the public income security program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The questions were mainly about what patterns would be detected in the descriptive levels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in content composition(the composition of performance?cause?distribution) through factor decomposition(decomposition by index components?income sources?subgroups), and in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ffect differences.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838 disabled households and 6,009 non-disabled households utilizing the raw data (of the first year) of 2006 Korean Welfare Panel Study (KWPS)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olicy analysis of the public income security program and poverty. A general method employ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effects in this study evaluated the types and levels of changes by comparing poverty characteristics using various useful FGT indices including axiom before and after the provision of public income security benefit (The method is conceptually similar to the design of the experiment. The public income security program and FGT indices were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In addition, a concrete method employed in this study tried to raise the specificity and objectivity of the analysis by applying factor decompositions(decomposition by index components, decomposition by income sources, decomposition by subgroup), that enables more detailed identification of the content composition of policy effects, and difference test(paired t-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at) that confirm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ffect differences verified by the factor decompositions.From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erformance composition of poverty reduction effects was examined through decomposition by index component. In the disabled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effect of social allowance and social insurance was negative in terms of absolute contribution. As for relative contribution, in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the effect of the poverty class proportion was confirmed to be the highest in all benefit types and it was followed by average income effects in social allowance, social insurance, public income transform, and public income security except for public assistance. When the relative poverty line was used as a yardstick, social allowance displayed positive effect while social insurance showed negative effect. When the absolute poverty line was applied as a yardstick, both social allowance and social insurance all displayed negative effect. In the case of relative contribution, the effect of the poverty class proportion that was the highest in the absolute line relatively decreased, whereas average income effect increased a little. Second, cause composition of poverty reduction effect was examined through decomposition by income source. When the absolute poverty line was applied as a yardstick,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allowance displayed relatively high contribution in the disabled household, whereas in the non-disabled household, social insurance followed social assistance which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In the disabled household, public transform income accounted for about 94% of the entire poverty reduction effect, whereas in non-disabled household it recorded around 72%,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as for marginal contribution, public assistance showed high contribution above one in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In the meantime, social insurance showed low contribution below one in the disabled household and relatively high contribution above one in the non-disabled household. Compared with when the absolute poverty line was applie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social allowance and social insurance somewhat increased when the relative poverty line was applied. As for limited contribution, social allowance and social insurance also rose a little. Especially, social allowance figure which was below one, when the absolute poverty line was applied, rose above one when the relative line was applied. Third, the distribution composition of the effects was examined through decomposition by subgroups. In sub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households, the disabled household's relative contribution to the effects of poverty reduction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n disabled household only in social insurance, which was very positive. In limited contribution, the disabled household showed relatively higher contribution considering its population proportion, confirming its relative vulnerability. Next, the contributions of policy effects were decomposed and then analyzed through the population social, economic, and social security supply and demand related division of subgroup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related division of sub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public assistance displayed lower contribution to the poverty reduction of household with single mother or fathe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division by population social characteristics. It also showed lower contribution to the poverty reduction of household with working member, household with participants in self-support program, and homeless household in the analysis based on division by econom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based on division by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ose who had intra-physical disability or mental disability were less affected by public assistance than those who had other types of disabilities. As for social allowance, household with single mother or father, household with member with complete disability, and household with healthless member displayed less policy effects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division by population soc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based on division by economic characteristics, household with working member and household with participants in self-support program showed less policy effects. Furthermore, household don't receive benefi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and household containing a member with severe disability and household containing member with mental disability showed less policy effects in the analysis based on social security supply and demand 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analysis based on disability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As for social insurance, household with member with complete disability, household with working member and household with participants in self-support program, and the mentally disabled experiences less policy effects in the division based on population social characteristics, the division based on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division based on disability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Public income transform and public assistance showed similar patterns, and public security and public income transform also similar in their patterns. This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distribution of policy effects based on decomposition by subgroup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ublic assistance. In the meantime, although each benefit type showed somewhat different patterns in the limited contribution, the subgroup which had been considered largely vulnerable displayed relatively higher limited contribution. In spite of positive distribution of policy effects, quite a few vulnerabilities were still detected. Fourth, in the analysis that statistically verified the different patterns of policy effects, when the absolute poverty line was applied with 0.05 level of significance, public assistance, public income transform, and public security display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overty reduction of the disabled household. Whereas, few benefit typ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overty reduction of the non-disabled household. However, when 0.01 level of significance was applied, social allowance in the disabled household and social insurance, public i...

      • 종합편성채널 보도조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동영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The comprehensive programs channel was expected to relieve the monopolies of public opinion by public broadcasting, but at the same time it was criticized for the possibility of reinforcing the monopoly of public opinion due to the influence of leading newspapers. After its first broadcast in December 2011, it faced poor ratings and was criticized for being too suggestive and biased. It was also criticized that the overall tone of the channel was in favor of the ruling party, and that a lot of political figures with strong political views appear in public affairs TV shows. Despite such criticism, the overall ratings and the news ratings showed a steady increase. In 2019, the ratings of the important news surpassed those of the public broadcasting news. However, the studies on journalism of the comprehensive programs channels were mainly about the problems of a specific issue or a program, rather than research on the news organizations that actually produce the news. According to McNair (1998), the culture of the news organizations define the overall content of coverage process. Because of the closed environment within the press, however, there are some real difficulties in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news organization of each comprehensive program channel. This study has firstly analyzed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each comprehensive program channel by comparing its news organization to those of the existing public broadcasting. Based on such external characteristics, an in-depth interview of the reporters who work in each comprehensive program channel was done. This provided the data of the figure of the news organization and the number of people assigned in each comprehensive programs channel. It has been revealed that more people were assigned in the political desk and in the city desk in the comprehensive programs channel, compared to the public broadcasting. It was a strategy to survive the competition with public broadcasting by focusing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at the viewers are most interested in.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were also discov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desk and the field reporters interacted directly, showing efficiency in the overall process of choosing the source, covering, producing and broadcasting the news. This is a very good way of producing the news in terms of efficiency. In other words, since fast, direct, and accurate order is given to the reporter, he or she would produce the news without disagreement based on the given order. Nevertheless, the comprehensive program channel companies lacked experienced journalists with around 10-years experience. Thanks to such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journalists with much less experience were able to have various experiences in live shows or in studio appearances, they became more skillful in a short amount of time, often being scouted by public broadcasters. Due to this shift in personnel of reporters, the shortage of experienced journalists was found in each news organization. Such problem led to the quick and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desk and field journalist, while also creating a tendency to produce news with consistency. It was also found that executives of the influential news company, which is the parent company, play major roles in the comprehensive programs channel. Moreover, it reflecte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newspaper company. Comprehensive programs channels whose parent company is a financial newspaper company run the economy desk and the industry desk separately, unlike other comprehensive programs channel. They even had twice as many personnels, and it was also the case of other comprehensive programs channels. 종합편성(이하 종편)채널은 등장 초기부터 방송 여론 독과점의 해소 가능성과 함께 모(母)기업인 유력 신문사의 영향에 따른 여론 독과점의 심화 가능성을 동시에 지적 받았다. 그러나 뉴스영역을 중심으로 종편 저널리즘은 나름의 독특한 위상을 확립, 제고시켜왔으며 2019년 하반기에는 메인 뉴스 시청률이 공중파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종편 저널리즘 연구는 특정 이슈나 프로그램을 놓고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지적할 뿐 보도 조직에 천착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각 종편 방송사가 공개하고 있는 조직 체계를 바탕으로 기존 공중파 방송사 보도조직 체계와 비교해 외형적으로는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그리고 내재적으로 조직 운영 즉 인력 충원 및 운용 그리고 뉴스 기획, 취재 및 데스킹 과정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문헌조사와 현장기자 중심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편 방송사 뉴스 조직은 어떻게 부서를 조직하고 어느 정도의 인원을 배치했는지 파악한 결과, 공중파 방송 뉴스 조직에 비해 정치부와 사회부에 인력을 집중 배치하고 있는 점이 뚜렷한 특징으로 확인됐다.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조직이지만 시청자의 관심을 받는 정치 사회 이슈를 다루는 보도에 집중해 공중파 뉴스와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는 전략적 선택을 한 것이다. 한편 경제신문을 모기업으로 둔 종편사의 경우 경제부와 산업부를 분리해 운영하며 다른 종편사 경제 분야 기자와 비교하면 2배에 이르는 규모로 인력을 배치하고 있었다. 아울러 심층면접 결과 두 부서에 취재 기자를 집중 배치하는 방식 외에도 조직의 내부 운영과정 즉,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 방식, 뉴스 리포트의 제작 과정 등 실제 뉴스를 방송에 내보내는 전반적인 흐름에 있어 부장(데스크)과 취재기자가 직접 소통하는 방식을 작동시켜 조직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의 내면화는 효율성 측면에서는 직접적이고 빠르며 정확한 지시가 내려지면 현장 취재기자는 그 내용에 충실하게 제작하기 때문에 회사 내부의 데스크와 의견 차이 없이 빠르게 뉴스 리포트를 제작한다는 특징이 존재하는 반면 이 과정에서 10년차 안팎의 중견 기자가 부족한 종편사로서는 인력운용의 현실적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출범 초기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연차가 낮은 기자 시절에도 생중계나 스튜디오 출연 등 다양한 경험을 압축적으로 배워야 하는 현상도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 덕분에 종편사 소속 낮은 연차의 기자들은 빠르게 실력을 향상할 수 있었고 일부는 이를 바탕으로 공중파 방송사로 스카우트 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조성됐다. 이런 취재 기자들의 인적 이동 때문에 중견 기자의 부족 현상이 각 종편 보도조직마다 발생했고 이 같은 현실의 문제는 부장-현장기자의 빠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만듦과 동시에 일사불란한 논조의 뉴스를 제작하는 구조가 기능적으로 발달할 수밖에 없게 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본 공중파 방송사 보도조직과 달리 모기업인 유력 신문사의 간부가 파견 또는 이직 등의 방식으로 종편 보도조직에 주요 보직을 맡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신문사 보도조직의 특성이나 관행이 방송보도조직에 반영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